KR20160071032A - 브리켓 및 브리켓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브리켓 및 브리켓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1032A
KR20160071032A KR1020140178237A KR20140178237A KR20160071032A KR 20160071032 A KR20160071032 A KR 20160071032A KR 1020140178237 A KR1020140178237 A KR 1020140178237A KR 20140178237 A KR20140178237 A KR 20140178237A KR 20160071032 A KR20160071032 A KR 201600710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ron
mass
briquettes
product
mill sca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8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완호
손상한
왕민규
장동석
심양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401782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71032A/ko
Publication of KR201600710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10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1/00Preliminary treatment of ores or scrap
    • C22B1/14Agglomerating; Briquetting; Binding; Granul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1/00Preliminary treatment of ores or scrap
    • C22B1/14Agglomerating; Briquetting; Binding; Granulating
    • C22B1/24Binding; Briquetting ; Granul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0Recyc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함철 부산물을 선별하는 과정, 비정형의 입자를 가지는 밀 스케일과 1종 이상의 선별된 상기 함철 부산물을 혼합하는 과정, 및 상기 밀 스케일과 상기 함철 부산물의 혼합물을 성형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바인더를 첨가하지 않고 밀 스케일을 이용하여 브리켓을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브리켓 및 브리켓 제조방법{Briquette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Briquettes}
본 발명은 브리켓 및 브리켓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바인더를 첨가하지 않고 밀 스케일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는 브리켓 및 브리켓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밀 스케일은 강 또는 용철이 비산되거나 산화되면서 생성될 수 있는데, 철강조업 중 제강 공정 또는 열연 공정에서 주로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밀 스케일은 철(Fe)의 함량이 70질량% 이상이기 때문에, 밀 스케일을 재활용하면 원료비를 크게 절감할 수 있다.
이에, 최근에는 밀 스케일을 재활용하여 소결 공정 및 제강 공정 등에서 철원 공급원 또는 대체재로 사용하였다. 또는, 밀 스케일을 브리켓으로 제조한 후 용융 환원 공정을 통해 환원하여 용철을 생산하고 있다. 이때, 노내 통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노내에서 밀 스케일 브리켓의 분말 발생률을 감소시켜야 한다. 따라서, 밀 스케일 브리켓 제조시 밀 스케일 브리켓이 가지는 냉간 및 열간 강도가 중요하다.
그런데, 밀 스케일의 경우 입자 형상의 불균일성 또는 다양성 등으로 인해, 고강도의 브리켓으로 제조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이에, 종래에는 고강도의 밀 스케일 브리켓을 제조하기 위해 밀 스케일에 바인더를 혼합하여 밀 스케일 브리켓을 제조하였다.
그러나, 바인더를 혼합하여 제조된 밀 스케일 브리켓의 경우, 바인더가 노내에서 고온에 의해 용융 또는 기화될 수 있다. 따라서, 바인더가 바인더로서의 역할을 상실하여 밀 스케일 브리켓의 열간 강도가 취약해지고 노내에서 분말 발생률이 증가하여 노내 통기성 확보가 어려워질 수 있다. 또한, 바인더가 용융 또는 기화되면서 발생한 알칼리계 물질에 의해 조업이나 설비가 불안정화되는 문제가 있다.
KR 2012-0042981 A
본 발명은 밀 스케일을 재활용할 수 있는 브리켓 및 브리켓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바인더를 첨가하지 않고 제조될 수 있는 고강도의 브리켓 및 브리켓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강 또는 용철이 비산되거나 산화되어 발생하고 비정형의 입자를 가지는 밀 스케일, 및 환원철 제조공정에서 발생되는 1종 이상의 함철 부산물을 포함한다.
상기 브리켓의 질량에 대하여 상기 함철 부산물이 30~90질량% 함유된다.
상기 함철 부산물의 질량에 대해 상기 함철 부산물에 금속 철(Fe)이 5~100질량% 함유된다.
노 내에서 3mm 이하의 분말 발생률이 30%이하이다.
상기 브리켓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상기 함철 부산물이 30~60질량% 함유된다.
탄소계 물질 1종 이상이 더 혼합되고, 상기 탄소계 물질의 질량에 대해 상기 탄소계 물질에 고정 탄소가 50~100질량% 함유된다.
상기 밀 스케일의 질량에 대해 상기 밀 스케일에 철(Fe)이 60~90질량% 함유된다.
상기 함철 부산물은 구형, 직육각형, 및 다면체 형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은, 함철 부산물을 선별하는 과정, 비정형의 입자를 가지는 밀 스케일과 1종 이상의 선별된 상기 함철 부산물을 혼합하는 과정, 및 상기 밀 스케일과 상기 함철 부산물의 혼합물을 성형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함철 부산물을 선별하는 과정은, 평균 입도가 8mm 이하이고, 금속 철(Fe) 함량이 5~100질량%인 함철 부산물을 선별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밀 스케일과 상기 함철 부산물을 혼합하는 과정은, 1종 이상의 탄소계 물질을 혼합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탄소계 물질은 콜(Coal), 코크스(Cokes), 차르(Char), 및 차콜(Char Coal)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혼합물을 성형하는 과정은, 상기 혼합물을 5~10ton/cm의 성형압으로 성형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혼합물을 성형하는 과정은, 상온 또는 열간 상태에서 상기 혼합물을 성형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밀 스케일에 바인더를 혼합하지 않고 브리켓을 제조할 수 있다. 이에, 철강조업에서 밀 스케일을 브리켓으로 재활용하여 원료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밀 스케일에 바인더를 혼합하지 않고 금속 간의 결합에 의해 브리켓을 제조함으로, 브리켓이 고온에서도 고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노내에서 브리켓의 열간 강도가 개선되어 노내 분말 발생률이 증가하는 것을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노내 통기성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고, 조업이나 설비가 안정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브리켓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밀 스케일과 함철 부산물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브리켓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압축강도 측정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브리켓들과 밀 스케일의 압축강도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브리켓과 밀 스케일의 입도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면은 과장될 수 있고,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브리켓은, 강 또는 용철이 비산되거나 산화되어 발생하고 비정형의 입자를 가지는 밀 스케일, 및 환원철 제조공정에서 발생되는 1종 이상의 함철 부산물을 포함한다.
밀 스케일은 강 또는 용철이 비산되거나 산화되면서 생성되는 산화철일 수 있다. 또한, 밀 스케일에는 밀 스케일을 100질량%라고 했을 때 철(Fe)이 60~90질량% 함유될 수 있다. 즉, 밀 스케일이 철(Fe)을 60질량% 미만 함유하면 철 성분이 적어 밀 스케일을 원료로 재활용하기에 부적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밀 철강조업에서 발생하는 밀 스케일은 철(Fe)을 90질량% 이하로 함유하고 있다. 이에, 밀 스케일을 브리켓으로 재활용하려면, 밀 스케일의 질량에 대해 밀 스케일에 철(Fe)의 함량이 60~90질량%이어야 한다.
이러한 밀 스케일은 제강 공정 또는 열연 공정에서 강 또는 용철의 비산 등으로 인해 생성되기 때문에, 입자들의 크기나 형상이 다양할 수 있다. 즉, 입자 형상이 불균일할 수 있다. 따라서, 밀 스케일만을 성형하여 브리켓을 제조하는 경우, 밀 스케일 입자들의 결합이 안정적이지 못해 브리켓이 충분한 강도를 가지지 못할 수 있고, 노 내에서 분말 발생률이 증가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브리켓은 고강도로 가지기 위해 밀 스케일과 함철 부산물을 포함할 수 있다.
함철 부산물은 환원철 제조공정에서 발생하는 모든 부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함철 부산물에는 함철 부산물의 질량을 100질량%라고 했을 때, 금속 철(Fe)이 5~100질량% 함유될 수 있다. 함철 부산물 내 금속 철(Fe)은 바인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함철 부산물이 금속 철(Fe)을 5질량% 미만 함유하면 금속 철(Fe) 성분이 너무 적어 바인더 역할을 수행할 수 없기 때문에, 브리켓의 강도가 개선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함철 부산물은, 산화칼슘(CaO), 이산화규소(SiO2), 산화마그네슘(MgO), 산화알루미늄(Al2O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함철 부산물은 광석 자체가 분광이기 때문에, 입자형상이 밀 스케일 비해 균일하다. 예를 들어, 함철 부산물은 구형, 직육각형, 및 다면체 형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함철 부산물과 밀 스케일이 혼합되는 경우 밀 스케일들의 입자형상이 다양하기 때문에, 밀 스케일의 입자들 사이에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그런데 입자형상이 일정한 함철 부산물은 밀 스케일의 입자들 사이에 형성된 빈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밀 스케일의 입자들 사이에 형성되는 빈 공간이 감소하고, 함철 부산물과 밀 스케일의 접촉면적이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함철 부산물 내 금속 철(Fe) 성분이 바인더와 같은 역할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강도가 개선된 브리켓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함철 부산물은 브리켓의 전체 질량을 100질량%라고 했을 때, 브리켓에 30~90질량% 함유될 수 있다. 즉, 함철 부산물이 브리켓에 30질량%미만으로 함유되면, 함철 부산물의 혼합되는 양이 너무 적어 밀 스케일들 사이에 형성되는 빈 공간들을 충분히 메우지 못할 수 있다. 또한, 함철 부산물이 30질량% 이상 함유되어야 브리켓이 열간상태에서 강도를 유지하기 위한 금속 간 결합이 가능하다. 따라서, 함철 부산물과 밀 스케일 혼합물 내에 빈 공간이 너무 많이 형성되어 브리켓이 충분한 강도를 가지지 못할 수 있다.
한편, 함철 부산물이 브리켓에 30~90질량%를 초과하여 함유되면, 함유되는 밀 스케일의 양이 적어 재활용되는 밀 스케일의 양이 감소할 수 있다. 이에, 제강 공정 또는 열연 공정에서 생성된 밀 스케일을 처리하는데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함철 부산물은 브리켓의 강도를 개선할 수 있으면서, 충분한 양의 밀 스케일을 재활용할 수 있도록 브리켓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30~90질량% 함유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브리켓의 전체 질량을 100질량%라고 했을 때, 브리켓에 함철 부산물이 30~60질량% 함유될 수 있다. 브리켓의 강도를 개선하면 노 내에서 분말 발생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리켓을 재활용하는 경우 노 내에서 3mm이하 크기의 분말 발생률이 20~30% 이하로 관리되어야 한다. 이때, '분말 발생률 = 3mm이하 크기의 입자들의 총 질량 / 전체 입자들의 총 질량'이다. 분말 발생량이 증가하면 노 내 통기성이 저하되어 조업의 효율을 저하시키고 조업에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그러나, 분말로 판단하는 입도 크기는 3mm 이하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으며, 분 발생률의 관리 범위도 20~30%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그런데, 브리켓에 함철 부산물이 60질량% 초과하여 함유되는 경우, 브리켓의 강도 개선 효과가 둔화될 수 있다. 따라서, 브리켓이 일정한 강도를 유지하고 더 많은 밀 스케일을 함유할 수 있도록, 브리켓이 함철 부산물을 30~60질량% 함유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브리켓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함철 부산물이 30~60질량%만 함유되어도 노 내의 브리켓에서 발생하는 3mm 이하의 분말 발생률이 30%이하로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노 내의 통기성이 향상되고 더 많은 양의 밀 스케일을 재활용할 수 있다.
또한, 브리켓에는 탄소계 물질 1종 이상이 포함될 수 있고, 상기 탄소계 물질의 질량을 100질량%라고 했을 때, 탄소계 물질에 고정 탄소가 50~100질량% 함유될 수 있다. 즉, 밀 스케일과 함철 부산물을 혼합하면서 탄소계 물질을 함께 혼합하여 탄재 내장 브리켓을 제조할 수도 있다. 이러한 탄소계 물질은 당밀, 전분 등을 포함하는 유기 또는 무기 바인더와 구별된다.
이처럼, 밀 스케일에 바인더를 혼합하지 않고 금속 간의 결합에 의해 브리켓을 제조하여, 철강조업에서 밀 스케일을 브리켓으로 재활용할 수 있다. 이에, 재활용되는 브리켓을 통해 원료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밀 스케일에 바인더를 혼합하지 않고 브리켓을 제조함으로, 브리켓이 고온에서도 고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노내에서 브리켓의 열간 강도가 개선되어 노내 분말 발생률이 증가하는 것을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노내 통기성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고, 조업이나 설비가 안정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브리켓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밀 스케일과 함철 부산물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브리켓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브리켓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브리켓 제조방법은, 함철 부산물을 선별하는 과정(S100), 비정형의 입자를 가지는 밀 스케일과 1종 이상의 선별된 상기 함철 부산물을 혼합하는 과정(S200), 및 상기 밀 스케일과 상기 함철 부산물의 혼합물을 성형하는 과정(S300)을 포함한다.
이때, 밀 스케일은 제강 공정 또는 열연 공정에서 강 또는 용철의 비산 등으로 인해 생성되기 때문에, 크기나 형상이 다양할 수 있다. 즉, 도 2의 (a)와 같이, 입자 형상이 불균일할 수 있다. 이러한 밀 스케일의 형상 때문에, 밀 스케일 내 금속 철(Fe)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도 밀 스케일들끼리 접촉하는 면적이 적어 고강도를 가지는 브리켓을 생산할 수 없다. 즉, 밀 스케일만을 성형하여 브리켓을 제조하는 경우, 밀 스케일들의 결합이 안정적이지 못해 브리켓이 충분한 강도를 가지지 못할 수 있고, 노내에서 분말 발생률이 증가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브리켓을 제조하기 위해 밀 스케일과 함철 부산물을 혼합할 수 있다.
함철 부산물은 환원철 제조공정에서 발생하는 모든 부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함철 부산물은 광석 자체가 분광이기 때문에, 도 2의 (b)와 같이 입자형상이 밀 스케일 비해 균일하다. 예를 들어, 함철 부산물은 구형, 직육각형, 다면체 형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함철 부산물의 입자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이러한 함철 부산물과 밀 스케일이 혼합되는 경우 밀 스케일들의 입자형상이 다양하기 때문에, 밀 스케일들 사이에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그런데 입자형상이 일정한 함철 부산물은 밀 스케일들 사이에 형성된 빈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밀 스케일들 사이에 형성되는 빈 공간이 감소하고, 함철 부산물과 밀 스케일의 접촉면적이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함철 부산물 내 금속 철(Fe) 성분이 바인더와 같은 역할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강도가 개선된 브리켓이 제조될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을 이해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브리켓 제조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브리켓 제조장치는, 밀 스케일 또는 함철 부산물이 저장되는 저장부(110), 상기 저장부(110)와 연결되고 상기 저장부(110)로부터 공급되는 밀 스케일과 함철 부산물을 혼합하는 혼합부(120), 및 혼합된 밀 스케일과 함철 부산물을 성형하는 성형부(140)를 포함하고, 밀 스케일과 함철 부산물의 혼합물을 가열하는 가열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10)는 복수의 저장빈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저장부(110)는 밀 스케일을 저장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1 저장빈(111), 제1 종의 함철 부산물이 저장되는 제2 저장빈(112), 및 제2 종의 함철 부산물이 저장되는 제3 저장빈(113)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각각의 저장빈에 밀 스케일 또는 1종 이상의 함철 부산물을 저장할 수 있다.
혼합부(120)는 케이싱(121) 및 회전부재(122)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싱(121)은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고 저장부(110)와 연결된다. 회전부재(122)는 케이싱(121) 내에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수직방향의 축을 기준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케이싱(121) 내로 공급된 밀 스케일과 함철 부산물이 회전부재(122)의 회전으로 인해 서로 혼합될 수 있다.
가열부(130)는 혼합부(120)에 구비되거나 혼합부(120)와 성형부(14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가열부(130)는 밀 스케일과 함철 부산물의 혼합물에 열에너지를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가열부(130)가 밀 스케일과 함철 부산물을 가열하는 경우, 함철 부산물 내의 금속 철(Fe) 성분이 용융되면서 밀 스케일과 용이하게 결합되기 때문에 바인더 역할을 더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성형부(140)는 호퍼(141)와, 스크류 피더(142), 및 성형롤(143)을 포함할 수 있다. 호퍼(141)는 혼합부(120) 또는 가열부(130)와 연결되고, 내부에 공간을 형성한다. 이에, 밀 스케일과 함철 부산물의 혼합물이 호퍼(141)로 공급되어 임시로 저장될 수 있다. 스크류 피더(142)는 호퍼(141) 내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스크류 피더(142)가 회전하면 호퍼(141) 내의 밀 스케일과 함철 부산물의 혼합물이 하측의 성형롤(143)들 사이로 강제 장입될 수 있다. 성형롤(143)들은 호퍼(141)의 하측에 한 쌍이 구비된다. 이에, 성형롤(143)들이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 밀 스케일과 함철 부산물이 성형롤(143)들을 통과하면서 브리켓이 제조될 수 있다. 이렇게 제조된 브리켓은 고로나 용융환원로 등에서 사용될 수 있다.
하기에서는 브리켓의 제조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브리켓 제조에 합당한 함철 부산물을 선별할 수 있다.(S100) 예를 들어, 평균 입도가 0mm초과 8mm 이하이고, 금속 철(Fe) 함량이 5~100질량%인 함철 부산물을 선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함철 부산물의 평균 입도는 0.01mm~8mm일 수 있다. 입도와 관련하여 함철 부산물의 평균 입도가 0.01mm 미만이면 크기가 너무 작아 밀 스케일 사이의 공간들에 안착되지 못하고 날아갈 수 있다. 이에, 함철 부산물이 브리켓 제조에 적합하지 못할 수 있다.
반대로, 함철 부산물의 평균 입도가 8mm를 초과하면 함철 부산물이 밀 스케일들 사이에 형성되는 빈 공간에 배치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고, 합철 부산물과 밀 스케일이 접촉하여 결합될 수 있는 면적이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합철 부산물 내의 금속 철(Fe) 성분이 바인더 역할을 용이하게 수행하지 못해 브리켓의 강도가 저하될 수 있다. 이때, 0.01mm~8mm 사이의 다양한 입도를 가지는 함철 부산물이 함께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함철 부산물에는 함철 부산물의 질량을 100질량%라고 했을 때, 금속 철(Fe)이 5~100질량% 함유되어야 한다. 즉, 함철 부산물 내 금속 철(Fe)은 바인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함철 부산물이 금속 철(Fe)을 5질량% 미만 함유하면 금속 철(Fe) 성분이 너무 적어 바인더 역할을 수행할 수 없기 때문에, 브리켓의 강도가 개선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고강도의 브리켓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입도와 금속 철(Fe)에 따라 함철 부산물을 선별해야 한다.
이렇게 선별된 1종 이상의 함철 부산물은 밀 스케일과 혼합된다.(S200) 밀 스케일들의 입자형상이 다양하기 때문에, 밀 스케일들 사이에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그런데 함철 부산물과 밀 스케일을 혼합하면 입자형상이 일정한 함철 부산물이 밀 스케일들 사이에 형성된 빈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밀 스케일들 사이에 형성되는 빈 공간이 감소하고, 함철 부산물과 밀 스케일의 접촉면적이 증가할 수 있다.
이때, 함철 부산물은 브리켓의 전체 질량은 100질량%라고 했을 때, 상기 브리켓에 30~90질량% 함유될 수 있다. 즉, 함철 부산물이 브리켓에 30질량% 미만으로 함유되면, 함철 부산물의 혼합되는 양이 너무 적어 밀 스케일들 사이에 형성되는 빈 공간들을 충분히 메우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함철 부산물과 밀 스케일 혼합물 내에 빈 공간이 너무 많이 형성되어 브리켓이 충분한 강도를 가지지 못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브리켓의 전체 질량을 100질량%라고 했을 때, 브리켓에 함철 부산물이 30~60질량% 함유될 수 있다. 브리켓의 강도를 개선하면 노 내에서 분말 발생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리켓을 재활용하는 경우 노 내에서 3mm이하 크기의 분말 발생률이 20~30% 이하로 관리되어야 한다. 분말 발생량이 증가하면 노 내 통기성이 저하되어 조업의 효율을 저하시키고 조업에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그런데, 브리켓에 함철 부산물이 60질량% 초과하여 함유되는 경우, 브리켓의 강도 개선 효과가 둔화될 수 있다. 따라서, 브리켓이 일정한 강도를 유지하고 더 많은 밀 스케일을 함유할 수 있도록, 브리켓이 함철 부산물을 30~60질량% 함유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브리켓에 함철 부산물이 30~60질량%만 함유되어도 노 내의 브리켓에서 발생하는 3mm 이하의 분말 발생률이 30%이하로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노 내의 통기성이 향상되고 더 많은 양의 밀 스케일을 재활용할 수 있다.
또한, 브리켓에는 탄소계 물질 1종 이상이 포함될 수 있고, 상기 탄소계 물질의 질량을 100질량%라고 했을 때, 상기 탄소계 물질에 고정 탄소가 50~100질량% 함유될 수 있다. 즉, 밀 스케일과 함철 부산물을 혼합하면서 탄소계 물질을 함께 혼합하여 탄재 내장 브리켓을 제조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탄소계 물질은 콜(Coal), 코크스(Cokes), 차르(Char), 및 차콜(Char Coal)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밀 스케일과 함철 부산물의 혼합시켜 생성된 혼합물을 성형할 수 있다.(S300) 예를 들어, 성형부(140)의 성형롤(143)들을 통해 혼합물을 압축 성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혼합물을 5~10ton/cm의 성형압으로 성형할 수 있다. 즉, 혼합물에 대한 성형압이 증가할수록 브리켓의 압축강도가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브리켓이 충분한 압축강도를 가질 수 있도록 5ton/cm 이상의 성형압으로 혼합물을 성형해야 한다. 또한, 성형압이 10ton/cm를 초과하면 성형롤(143)에 너무 큰 부하가 걸려 장치가 손상될 수 있다.
또한, 혼합물의 성형은 상온 또는 열간 상태에서 수행될 수 있다. 즉, 일반적인 외부의 온도에서 혼합물의 성형이 수행될 수도 있고, 열에너지를 제공하여 섭씨 800~1000도의 온도에서 혼합물의 성형이 수행될 수도 있다. 열에너지를 제공하는 경우, 함철 부산물 내의 금속 철(Fe) 성분이 용융되면서 밀 스케일과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생산되는 브리켓의 압축강도가 향상될 수 있다.
이처럼, 밀 스케일에 바인더를 혼합하지 않고 브리켓을 제조하여, 철강조업에서 밀 스케일을 브리켓으로 재활용할 수 있다. 이에, 재활용되는 브리켓을 통해 원료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밀 스케일에 바인더를 혼합하지 않고 브리켓을 제조함으로, 브리켓이 고온에서도 고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노내에서 브리켓의 열간 강도가 저하되어 노내 분말 발생률이 증가하는 것을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노내 통기성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고, 조업이나 설비가 안정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압축강도 측정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브리켓들과 밀 스케일의 압축강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브리켓과 밀 스케일의 입도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하기에서는 실험 예 1 및 실험 예 2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실험 예 1을 진행하기 위해 우선, 밀 스케일과, 밀 스케일 및 함철 부산물이 브리켓 전체 질량을 기준으로 1:1으로 혼합된 혼합물을 성형롤(143)을 통과시켜 브리켓을 제조한다. 이때, 성형압은 10ton/cm이고, 제조되는 브리켓들의 크기는 45×23×18mm일 수 있다. 또한, 밀 스케일로는, 밀 스케일의 질량을 100질량%라고 했을 때, 총 철(Fe)이 약 73질량% 함유되고, 금속 철(Fe)이 약 9질량% 함유되며, 입도는 5mm이하로 형성되는 밀 스케일을 사용하였다. 한편, 함철 부산물로는, 함철 부산물의 질량을 100질량%라고 했을 때, 총 철(Fe)이 약 83질량% 함유되고, 금속 철(Fe)이 63질량% 함유되고, 입도는 5mm 이하로 형성되는 함철 부산물을 사용하였다.
이후, 압축강도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밀 스케일로 제조된 브리켓, 밀 스케일과 함철 부산물이 1:1로 혼합되어 제조된 브리켓의 압축강도 즉, 재료가 파괴되지 않고 견딜 수 있는 최대의 압축하중-응력을 측정하였다. 이때, 압축강도 측정장치는, 도 4와 같이, 시료가 안착되는 시료 지지대(30), 시료 지지대(30)의 상측에 배치되고 시료 지지대(30)와 이격되는 로드셀(20), 및 로드셀(20)과 연결되어 로드셀(20)로부터 측정되는 측정값을 시각적으로 표시해주는 디스플레이유닛(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압축강도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각각의 브리켓을 시료 지지대(30)에 안착시키고 로드셀(20)을 이용하여 각각의 브리켓의 압축강도를 측정하였다.
도 5는 실험 예 1에 따른 각각의 브리켓들의 압축 강도를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밀 스케일로 제조된 브리켓의 압축강도는 20kgf/p 미만지만, 밀 스케일에 함철 부산물을 혼합하는 경우, 브리켓의 압축강도 약 80kgf/p로 향상된 것을 알 수 있었다.(이때, p는 paticle 또는 piece의 약자로 브리켓 한 조각을 의미한다.) 이에, 함철 부산물 내의 금속 철(Fe)이 바인더 역할을 하여 밀 스케일들을 안정적으로 결합시켜준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함철 부산물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브리켓의 압축강도가 증가하여 함철 부산물의 함량과 브리켓의 압축강도가 선형적인 관계에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실험은 상온에서 수행된 것으로 밀 스케일과 함철 부산물의 혼합만으로 상온에서도 브리켓의 압축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 예 2에서는 밀 스케일로 제조된 브리켓, 및 밀 스케일과 함철 부산물이 1:1로 혼합되어 제조된 브리켓의 열간 강도를 측정하였다. 열간 강도 측정 실험은 열간 상태 또는 노 내의 환경에서 브리켓에 의한 분말 발생률을 측정하는 실험이다. 열간 강도의 측정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각각의 브리켓을 회전(2rpm) 가능한 드럼 속에 넣은 후, 질소 분위기의 섭씨 800~1000도 사이의 온도 변화환경에서 30분간 회전시킬 수 있다. 이후 체를 이용하여 3mm 이하 크기의 입자 발생량 또는 분말 발생량을 측정하였다. 즉, 열간 강도 측정은 노 내의 환경과 유사한 환경을 조성하여 노 내에서 브리켓에 의한 분말 발생률을 예측할 수 있다.
도 6은 실험 예 2에 따른 각각의 브리켓들의 3mm 이하 크기의 분말 발생률을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밀 스케일로 제조된 브리켓의 경우 3mm 이하 크기의 분이 브리켓 전체 질량을 100질량%라고 했을 때, 약 62질량% 발생하였다. 반면, 밀 스케일과 함철 부산물을 1:1로 혼합하여 제조된 브리켓의 경우 3mm 이하 크기의 분이 브리켓 전체 질량을 100질량%라고 했을 때, 약 11질량% 발생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밀 스케일과 함철 부산물을 혼합하여 제조된 브리켓의 열간 강도가 기존의 밀 스케일로 제조된 브리켓의 열간 강도에 비하여 현저히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밀 스케일과 함철 부산물을 혼합한 브리켓을 고온 용융 환원 공정에서 사용하는 경우 통기성을 확보할 수 있고, 광석 또는 스크랩 등의 대체재로서 사용가능함으로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밀 스케일에 바인더를 첨가하지 않고 고강도의 브리켓을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0: 저장부 120: 혼합부
130: 가열부 140: 성형부

Claims (14)

  1. 강 또는 용철이 비산되거나 산화되어 발생하고 비정형의 입자를 가지는 밀 스케일; 및
    환원철 제조공정에서 발생되는 1종 이상의 함철 부산물을 포함하는 브리켓.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브리켓의 질량에 대하여 상기 함철 부산물이 30~90질량% 함유되는 브리켓.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함철 부산물의 질량에 대해 상기 함철 부산물에 금속 철(Fe)이 5~100질량% 함유되는 브리켓.
  4. 청구항 3에 있어서,
    노 내에서 3mm 이하의 분말 발생률이 30%이하인 브리켓.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브리켓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상기 함철 부산물이 30~60질량% 함유되는 브리켓.
  6. 청구항 3에 있어서,
    탄소계 물질 1종 이상이 더 혼합되고, 상기 탄소계 물질의 질량에 대해 상기 탄소계 물질에 고정 탄소가 50~100질량% 함유되는 브리켓.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밀 스케일의 질량에 대해 상기 밀 스케일에 철(Fe)이 60~90질량% 함유되는 브리켓.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함철 부산물은 구형, 직육각형, 다면체 형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브리켓.
  9. 함철 부산물을 선별하는 과정;
    비정형의 입자를 가지는 밀 스케일과 1종 이상의 선별된 상기 함철 부산물을 혼합하는 과정; 및
    상기 밀 스케일과 상기 함철 부산물의 혼합물을 성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브리켓 제조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함철 부산물을 선별하는 과정은,
    평균 입도가 8mm 이하이고, 금속 철(Fe) 함량이 5~100질량%인 함철 부산물을 선별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브리켓 제조방법.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밀 스케일과 상기 함철 부산물을 혼합하는 과정은,
    1종 이상의 탄소계 물질을 혼합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브리켓 제조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탄소계 물질은 콜(Coal), 코크스(Cokes), 차르(Char), 및 차콜(Char Coal)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브리켓 제조방법.
  13.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을 성형하는 과정은,
    상기 혼합물을 5~10ton/cm의 성형압으로 성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브리켓 제조방법.
  14. 청구항 9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을 성형하는 과정은,
    상온 또는 열간 상태에서 상기 혼합물을 성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브리켓 제조방법.
KR1020140178237A 2014-12-11 2014-12-11 브리켓 및 브리켓 제조방법 KR201600710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8237A KR20160071032A (ko) 2014-12-11 2014-12-11 브리켓 및 브리켓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8237A KR20160071032A (ko) 2014-12-11 2014-12-11 브리켓 및 브리켓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1032A true KR20160071032A (ko) 2016-06-21

Family

ID=56353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8237A KR20160071032A (ko) 2014-12-11 2014-12-11 브리켓 및 브리켓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7103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42981A (ko) 2009-08-21 2012-05-03 신닛뽄세이테쯔 카부시키카이샤 고로용의 비소성 함탄 괴성광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42981A (ko) 2009-08-21 2012-05-03 신닛뽄세이테쯔 카부시키카이샤 고로용의 비소성 함탄 괴성광 및 그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39218B (ko)
WO2011034195A1 (ja) フェロコークスの製造方法
JP2009079292A (ja) 還元鉄成形体の製造方法、及び銑鉄の製造方法
Kleynhans et al. Unique challenges of clay binders in a pelletised chromite pre-reduction process
Bizhanov et al. Extruded briquettes–new charge component for the manganese ferroalloys production
WO2009123115A1 (ja) 還元鉄の製造方法
Tang et al. Effects of basicity and temperature on mineralogy and reduction behaviors of high-chromium vanadium-titanium magnetite sinters
JP2003342646A (ja) 高炉用のカーボン内装非焼成塊成鉱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1010667A1 (ja) 還元鉄製造用炭材内装塊成化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還元鉄製造方法
JP5512205B2 (ja) 塊成化状高炉用原料の強度改善方法
KR20160071032A (ko) 브리켓 및 브리켓 제조방법
KR101444562B1 (ko) 비소성 함탄 괴성광 및 그 제조 방법
JP6273983B2 (ja) 還元鉄を用いた高炉操業方法
JP3863052B2 (ja) 高炉原料装入方法
Kurunov et al. Brex–a new stage in the agglomeration of raw materials for blast furnaces
EP2495339B1 (en) Method for operating blast furnace
KR101421208B1 (ko) 탄재 선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환원철 제조 방법
CN103643089B (zh) 一种高碳铝铁合金及其制备工艺
CN112111616A (zh) 一种高炉炼铁用冷压复合炉料及其制备方法
Taheri et al. The effective parameters on thermal recovery and reduction of iron oxides in EAF slag
JP2019157253A (ja) 炭材内装鉱及びその製造方法
Singh et al. Testing of cement bonded briquettes under laboratory and blast furnace conditions Part 1–Effect of processing parameters
KR101278538B1 (ko) 전기로 충진재 제조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전기로 충진재
JP5012079B2 (ja) 高炉装入用の炭材内装還元鉄及び高炉操業方法
Bizhanov et al. Metallurgical properties of blast furnace extruded briquettes (BREX) based on hematite concentr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