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0765A - Cleaning-tool case, and cleaning tool with attached case - Google Patents

Cleaning-tool case, and cleaning tool with attached cas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0765A
KR20160070765A KR1020167010417A KR20167010417A KR20160070765A KR 20160070765 A KR20160070765 A KR 20160070765A KR 1020167010417 A KR1020167010417 A KR 1020167010417A KR 20167010417 A KR20167010417 A KR 20167010417A KR 20160070765 A KR20160070765 A KR 201600707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rail
axial direction
case
adhesive tape
tape r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041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07338B1 (en
Inventor
요시히로 하시즈메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토무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토무즈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토무즈
Publication of KR201600707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076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73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733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0Domestic clean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L25/005Domestic clean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sing adhesive or tacky surfaces to remove dirt, e.g. lint removers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청소구용 케이스(1)는, 통형체에는, 청소구(10)에 지지된 점착 테이프 롤이 축 방향을 따라 끼우거나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축 방향의 일단(1a)에서의 일단 개구(5)와, 주위 방향의 소정 폭, 또한 축 방향 일단(1a)으로부터 적어도 중앙부(1c)에 이르는 통벽 개구(7)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통벽 개구(7)를 형성하는 통벽 에지부(7a) 중, 축 방향 일단(1a)으로부터 적어도 중앙부(1c)를 따르는 부분에 볼록하게 형성되고, 플랜지부(13)가 슬라이딩 가능한 하측 레일부(8)와, 상기 하측 레일부(8)의 축 방향에서의 일단(8a) 측을 제외한 중앙부측에 있어서, 하측 레일부(8)에 대하여 통형체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이격되어 설치되고, 하측 레일부(8)와의 사이에 플랜지부(13)를 유지할 수 있는 상측 레일부(9)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 end opening 5 at one end 1a in the axial direction is provided in the tubular body so that the adhesive tape roll supported by the cleaning tool 10 can be fitted or separated along the axial direction. And a cylindrical wall opening 7 extending from the one axial end 1a to the central portion 1c at a predetermined width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formed with a cylindrical wall edge portion 7a forming the cylindrical wall opening 7, A lower rail portion 8 which is convexly formed at least along the central portion 1c from one end 1a of the axial direction and which is capable of sliding the flange portion 13, Which is spaced radially outwardly of the tubular body with respect to the lower rail portion 8 and is capable of holding the flange portion 13 between the lower rail portion 8 and the lower rail portion 8, And a rail part (9).

Description

청소구용 케이스, 및 케이스를 구비하는 청소구{CLEANING-TOOL CASE, AND CLEANING TOOL WITH ATTACHED CAS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eaning apparatus having a cleaning case,

본 발명은, 점착면(粘着面)을 가지는 테이프형 기재(基材)를 권취하여 이루어지는 점착(粘着) 테이프 롤을 지지 가능한 청소구(cleaning tool)에 의해 지지된 점착 테이프 롤을 수용하기 위한 청소구용 케이스와, 상기 청소구용 케이스 및 상기 청소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케이스를 가지는 청소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cleaning (cleaning) an adhesive tape roll supported by a cleaning tool capable of supporting an adhesive tape roll formed by winding a tape-like base material having an adhesive surface (adhesive surface) And a case having the case, the case for the case, and the case.

종래, 이 종류의 케이스를 구비하는 청소구의 청소구용 케이스로서, 반원 통형상을 가지는 한 쌍의 커버 멤버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커버 멤버를 서로 회동(回動)시켜 개폐시킴으로써, 내부에 점착 테이프 롤이 수납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특허 문헌 2). BACKGROUND ART Conventionally, a case for a cleaning tool having a cleaning case of this type has a pair of cover members each having a semicircular cylindrical shape, and each of the cover members is rotated (rotated)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and Patent Document 2).

이러한 청소구용 케이스는, 점착 테이프 롤의 권심(卷芯)을 따라 삽입되는 테이프 지지부와, 일단측이 테이프 지지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타단에 파지(把持) 가능한 그립부를 가지는 지지 샤프트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청소구에 의해 지지된 점착 테이프 롤을 수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Such a cleaning case includes a tape support portion which is inserted along the core of the adhesive tape roll and a support shaft which has a grip portion capable of holding the tape support portion at one end and rotatably supporting the tape support at one end And an adhesive tape roll supported by a cleaning tool.

일본 공개특허 제2003―265401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3-265401 일본 공개특허 제2004―073562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4-073562

그러나, 상기 종래의 청소구용 케이스에서는, 청소구를 끼우거나 분리할 때, 각각의 커버 멤버를 서로 회동시켜 개폐시키는 것을 요하므로, 사용 편리성의 점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However,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cleaning utensil, there is room for improvement in terms of convenience in use, since it is necessary to open and close the cover members by rotating them when sandwiching or removing the cleaning tools.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청소구를 끼우거나 분리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사용 편리성이 양호한 청소구용 케이스와 케이스를 구비하는 청소구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leaner having a cleaner case and a case which are easy to use because they can be easily inserted and removed, do.

본 발명에 관한 청소구용 케이스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점착면을 가지는 테이프형 기재를 권취하여 이루어지는 점착 테이프 롤을 상기 롤의 중심축선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상기 롤의 직경 방향 외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플랜지부(flange portion)를 구비하는 청소구에 의해 지지된 점착 테이프 롤을 수용 가능한 통형체를 이루는 청소구용 케이스로서, 통형체에는, 청소구에 지지된 점착 테이프 롤이 축 방향을 따라 끼우거나 분리 가능하도록, 축 방향 일단에서의 일단 개구와, 주위 방향의 소정 폭, 또한 축 방향 일단으로부터 적어도 중앙부에 이르는 통벽 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통벽 개구를 형성하는 통벽 에지부 중, 축 방향 일단으로부터 적어도 중앙부를 따르는 부분에 볼록하게 형성되고, 플랜지부가 슬라이딩 가능한 하측 레일부와, 상기 하측 레일부의 축 방향에서의 일단측을 제외한 중앙부측에 있어서, 하측 레일부에 대하여 통형체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이격되어 설치되고, 하측 레일부와의 사이에 플랜지부를 유지할 수 있는 상측 레일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case for a cleaning impl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and includes a main body portion for rotatably supporting an adhesive tape roll formed by winding a tape base material having an adhesive surface around a central axis of the roll, A case for a cleaning implement comprising a tubular body capable of accommodating an adhesive tape roll supported by a cleaning tool having a flange portion convexly formed in a radially outward direction of the roll in the body portion, And an opening at one end in the axial direction, a predetermined width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t least a central portion from one axial end in the axial direction are formed so that the adhesive tape roll supported on the sphere can be fitted or removed along the axial direction, In the wall edge portion forming the pierced-wall opening, convex portions are formed in a portion extending from one end in the axial direction along at least the central portion And a flange portion which is slidable on the lower rail and a lower rail which is provided at a central portion side excluding one end side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lower rail portion and is spaced radially outwardly of the tubular body from the lower rail portion, And an upper rail portion capable of holding the flange portion between the upper rail portion and the lower rail portion.

이러한 청소구용 케이스에 의하면, 청소구에 지지된 점착 테이프 롤은, 일단 개구와 통벽 개구를 통하여 통형체에 수용된다. 이 때, 청소구의 플랜지부는, 하측 레일부의 축 방향에서의 일단측에 탑재되어, 축 방향 중앙부측을 향해 하측 레일부 상을 슬라이딩하고, 하측 레일부의 중앙부측에 있어서, 하측 레일부와 상측 레일부에 의해 유지된다. According to this cleaning case, the adhesive tape roll supported by the cleaning tool is once housed in the tubular body through the opening and the tubular wall opening. At this time, the flange portion of the cleaning mouth is mounted on one end side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lower side rail portion and slides on the lower side rail portion toward the axially central portion side. On the central portion side of the lower side rail portion, And is maintained by the rail part.

한편, 이와 같이 수용된, 청소구에 지지된 점착 테이프 롤은, 일단 개구와 통벽 개구를 통하여 통형체로부터 꺼내진다. 이 때, 청소구의 플랜지부는, 하측 레일부 상을 축 방향의 중앙부측으로부터 일단측으로 슬라이딩되고, 하측 레일부의 일단측에 있어서, 상기 유지가 해제된다. On the other han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roll held in the cleaning port is once taken out of the tubular body through the opening and the tubular wall opening. At this time, the flange portion of the cleaning mouth slides from the central side toward the one end side of the lower rail portion in the axial direction, and the holding is released at one end side of the lower rail portion.

이와 같이, 이러한 청소구용 케이스에 의하면, 청소구에 지지된 점착 테이프 롤을 끼우거나 분리(introduced and removed)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사용 편리성이 우수하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is case for a cleaning implement, it is easy to insert and remove the adhesive tape roll supported by the cleaning tool, and the use convenience is excellent.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청소구용 케이스에서는, 상기 본체부에는, 파지 가능한 손잡이가 볼록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측 레일부는, 플랜지부가 하측 레일부 상을 슬라이딩할 때, 손잡이가 통벽 개구 내를 축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통벽 에지부의 축 방향 중앙부측으로 축 방향을 따라 볼록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측 레일부는, 청소구에 지지된 점착 테이프 롤이 통형체에 수용된 상태에서, 청소구의 플랜지부가 하측 레일부의 상기 일단측으로 슬라이딩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손잡이에 걸거나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게 걸어맞추어지는 걸어맞춤용 돌기를 구비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cleaning impl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grip portion is formed in the main body portion so as to be convex, and the upper rail portion is formed such that when the flange portion slides on the lower rail portion, And the upper rail portion is formed so that the flange portion of the cleaning mouth is engaged with the lower side rail in a state in which the adhesive tape roll supported by the cleaning mouth is accommodated in the tubular body,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n engaging protrusion which is engaged with the handle so as to be able to be engaged or disengaged so as to suppress sliding of the part to the one end side.

이러한 청소구용 케이스에 의하면, 플랜지부가 하측 레일부 상을 슬라이딩할 때, 상측 레일부에 의해, 손잡이가 통벽 개구 내를 축 방향을 따라 이동하므로, 손잡이를 파지하여 청소구를 통형체에 대하여 조작할 수 있고, 청소구에 지지된 점착 테이프 롤이 끼워지거나 분리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사용 편리성이 우수하다. 또한, 청소구에 지지된 점착 테이프 롤이 통형체에 수용된 상태에서, 걸어맞춤용 돌기가 손잡이에 걸어맞추어짐으로써, 청소구의 플랜지부가 하측 레일부의 상기 일단측으로 축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청소구에 지지된 점착 테이프 롤이 통형체로부터 뜻하지 않게 꺼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된 점착 테이프 롤을 통형체로부터 꺼낼 때는, 걸어맞춤용 돌기에 의한 손잡이의 걸어맞춤을 해제함으로써, 청소구의 플랜지부가 하측 레일부의 상기 일단측으로 축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한다. According to such a cleaning case, when the flange portion slides on the lower rail portion, the handle moves along the axial direction in the through-hole opening by the upper rail, so that the cleaning tool is operated with respect to the tubular body And the adhesive tape roll supported by the cleaning mouth can be easily fitted or separated, and thus the use convenience is excellent. Further, in the state in which the adhesive tape roll supported by the cleaning tool is received in the tubular body, the engagement protrusion is engaged with the handle so that the flange portion of the cleaning mouth is prevented from sliding along the axial direction to the one end side of the lower rail So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adhesive tape roll supported by the cleaning tool from being unintentionally taken out of the tubular body. Further, when the accommodated tape roll is taken out from the tubular body, the engagement of the handle by the engagement protrusion is released so that the flange portion of the cleaning mouth slides along the axial direction toward the one end side of the lower rail.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청소구용 케이스에서는, 하측 레일부의 축 방향의 길이에 있어서, 축 방향의 일단측으로서 상측 레일부가 대향하고 있지 않은 부분의 길이와, 축 방향의 중앙부측으로서 상측 레일부가 대향하고 있는 부분의 길이와의 비는, 1:3 내지 3:1이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In the case of the cleaning impl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xial length of the lower rail, a length of a part of the upper rail not facing the upper rail as one end in the axial direction, And the ratio of the length of the portion to be formed is 1: 3 to 3: 1.

이러한 청소구용 케이스에 의하면, 청소구에 지지된 점착 테이프 롤이 통형체에 수용될 때, 플랜지부는, 하측 레일부의 축 방향에서의 일단측에 대하여 확실하게 탑재할 수 있는 동시에, 플랜지부는, 축 방향 중앙부측을 향해 하측 레일부 상을 슬라이딩했을 때, 하측 레일부의 중앙부측에 있어서, 하측 레일부와 상측 레일부에 의해 확실하게 유지된다. According to such a cleaning case, when the adhesive tape roll supported by the cleaning tool is received in the tubular body, the flange portion can be securely mounted on one end side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lower side rail portion, When the lower rail portion is slid toward the center portion in the direction of the lower rail, it is reliably held by the lower rail portion and the upper rail portion on the central portion side of the lower rail portion.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케이스를 구비하는 청소구는, 상기 청소구용 케이스와, 상기 청소구용 케이스에 수용되는 점착 테이프 롤을 지지하는 상기 청소구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The cleaning tool having the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case for the cleaner and the cleaning tool for supporting the adhesive tape roll accommodated in the case for the cleaner.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케이스를 구비하는 청소구에서는, 상기 통벽 개구는, 축 방향 일단으로부터 중앙부에 걸쳐 형성되어 있고, 통형체 중, 통벽 개구보다 축 방향 타단측으로서 축 방향 중앙부측으로부터 타단에 이르는 통벽부, 또는 본체부 중 어느 한쪽은, 플랜지부가 하측 레일부에 탑재된 상태에 있어서, 통형체의 축 방향을 따른 평면 형상을 이루고, 다른 쪽은, 상기 한쪽을 향해 볼록하게 되는 만곡 형상을 이루어 구성되어 있고, 상기 만곡 형상과 상기 평면 형상은, 플랜지부가 하측 레일부 상을 슬라이딩하여, 청소구에 지지된 점착 테이프 롤이 통형체에 대하여 소정의 수용 위치에 수용될 때, 본체부가 통벽부와 맞닿는 상태로 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In the cleaning mouth having the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ylindrical wall opening is formed from one axial end to the central portion. In the tubular body, the other axial end side from the axial center side to the other end Either the tubular wall portion or the main body portion has a planar shape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tubular member in a state where the flange portion is mounted on the lower rail portion and the other has a curved shape that is convex toward the one side Wherein when the adhesive tape roll supported by the cleaning tool is accommodated in the predetermined receiving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tubular body, the body portion and the tubular body portion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be configured to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이러한 케이스를 구비하는 청소구에 의하면, 청소구에 지지된 점착 테이프 롤이 통형체에 수용되도록 플랜지부가 하측 레일부 상을 슬라이딩하여, 본체부와 상기 통벽부가 맞닿은 상태로 되었을 때, 상기 점착 테이프 롤이 통형체에 대하여 소정의 수용 위치에 수용되므로, 청소구에 지지된 점착 테이프 롤을 청소구용 케이스에 대하여 정확하게 수용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cleaning tool having such a case, the flange portion slides on the lower rail portion so that the adhesive tape roll supported by the cleaning tool is received in the tubular body, and when the body portion and the barrel wall portion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The adhesive tape roll supported by the cleaning tool can be accurately accommodated in the cleaning cas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청소구용 케이스, 및 케이스를 구비하는 청소구에 의하면, 청소구에 지지된 점착 테이프 롤을 청소구용 케이스에 수용할 때, 청소구의 플랜지부는, 하측 레일부의 축 방향에서의 일단측에 탑재되어, 축 방향 중앙부측을 향해 하측 레일부 상을 슬라이딩하고, 하측 레일부의 중앙부측에 있어서, 하측 레일부와 상측 레일부에 의해 유지되는 한편, 이와 같이 수용된 점착 테이프 롤을 통형체로부터 꺼낼 때는, 청소구의 플랜지부는, 하측 레일부 상을 축 방향의 중앙부측으로부터 일단측으로 슬라이딩하고, 하측 레일부의 일단측에 있어서, 상기 유지가 해제되므로, 청소구에 지지된 점착 테이프 롤이 끼워지거나 분리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사용 편리성이 우수하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cleaning tool having the case and the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adhesive tape roll supported by the cleaning tool is housed in the case for the cleaning tool, the flange portion of the cleaning tool is moved in the axial direction And is held by the lower rail portion and the upper rail portion at the center side of the lower rail portion while sliding on the lower rail portion toward the axially central portion side while being held by the lower rail portion and the upper rail portion, The flange portion of the cleaning mouth slides the lower rail portion from the central side toward the one end side in the axial direction and the holding is released at the one end side of the lower rail portion, The roll can be easily inserted or separated, and the use convenience is excellen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청소구용 케이스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동 청소구용 케이스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동 청소구용 케이스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동 청소구용 케이스의 좌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5는 상기 실시형태에 관한 청소구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동 청소구의 우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7은 동 청소구를 청소구용 케이스에 수용한 상태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8은 도 7의 A―A선 단면도(斷面圖)를 나타낸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se for a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shows a front view of the case for the cleaner.
3 is a plan view of the case for the cleaner.
4 is a left side view of the case for the cleaner.
5 shows a front view of a cleaning mouth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
6 is a right side view of the cleaning mouth.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leaner housing accommodated in a cleaning case.
8 show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케이스를 구비하는 청소구, 및 청소구용 케이스의 일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Hereinafter, one embodiment of a cleaner and a cleaner case having a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실시형태에 관한 케이스를 구비하는 청소구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점착 테이프 롤(도시하지 않음)을 지지하기 위한 청소구(10)와, 청소구(10)에 의해 지지되는 점착 테이프 롤을 수용하는 청소구용 케이스(1)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As shown in Fig. 7, the cleaning tool having the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with a cleaning tool 10 for supporting an adhesive tape roll (not shown), 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tape roll And a case 1 for a cleaner.

점착 테이프 롤은, 점착면을 가지는 테이프형 기재를 권취하여 이루어진다. 본 실시형태의 점착 테이프 롤은, 적어도 한쪽 면이 점착면으로 되어 있는 테이프형 기재를, 중심선 상에 통형(筒形)으로 권취하여 이루어지는 청소용의 것이다. 상세하게는, 점착 테이프 롤은, 중심선 상을 따라 축공(軸孔)이 형성되도록, 테이프형 기재를 점착면인 한쪽 면을 외측으로 하여 중심선의 주위에 권취하여 이루어진다. The adhesive tape roll is formed by winding a tape-like base material having an adhesive surface. The adhesive tape roll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a cleaning tape formed by winding a tape-like base material having at least one surface thereof as an adhesive surface on a center line in a cylindrical shape. Specifically, the adhesive tape roll is formed by winding a tape-like base material around a center line with one side of the adhesive surface facing outward so that a shaft hole is formed along the center line.

청소구(10)는, 점착 테이프 롤을 상기 롤의 중심축선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형태의 청소구(10)는, 도 5,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점착 테이프 롤의 축공[통공(筒孔)]에 삽통(揷通)되는 심체(芯體; core)(11)와, 상기 심체(11)가 설치되는 본체부(12)를 구비한다. The cleaning tool 10 is configured to rotatably support the adhesive tape roll around the central axis of the roll. 5 and 6, the cleaning tool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core 11 inserted into a shaft hole (through-hole) of the adhesive tape roll, And a body portion 12 on which the core body 11 is installed.

본체부(12)는, 점착 테이프 롤 또는 심체(11)의 축 방향의 길이에 대응하는 장척(長尺)의 형상을 이루고, 길이 방향 중앙부측이 높이 방향(길이 방향 및 폭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 위쪽으로 볼록하게 되는 만곡 형상을 이룬다. 이 본체부(12)는, 심체(11)의 축 방향 일단부(11a)와 타단부(11b)를 각각 지지하는 일단 지지부(12a)와 타단 지지부(12b)를 가진다. 일단 지지부(12a)와 타단 지지부(12b)는, 본체부(12)의 길이 방향 양 단부보다 높이 방향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The main body portion 12 has a long shape corresponding to the axial length of the adhesive tape roll or the core body 11 and has a longitudinally central portion side in the height directio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 To form a curved shape that is convex upward. The main body portion 12 has one end support portion 12a and another end support portion 12b for supporting the axial end portion 11a and the other end portion 11b of the core body 11 respectively. The support portion 12a and the other end support portion 12b extend downward in the height direction from both end portio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12. [

그리고, 심체(11)의 일단부(11a)는, 상기 일단부(11a)를 기점(起点)으로 하여 심체(11)를 본체부(12)에 대하여 가동(可動) 가능하도록, 일단 지지부(12a)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심체(11)의 타단부(11b)는, 타단 지지부(12b)에 걸거나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게 걸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심체(11)의 타단부(11b)가 타단 지지부(12b)에 걸린 상태에서는, 일단부(11a)를 기점으로 한 심체(11)의 상기 가동은 규제되고 있다. 한편, 상기 걸림이 해제된 상태에서는, 일단부(11a)가 기점으로 되고, 타단부(11b)가 타단 지지부(12b)로부터 개방된 자유단으로 되어, 심체(11)가 본체부(12)에 대하여 가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The one end 11a of the core 11 has a one end supporting portion 12a so as to be movable relative to the main body 12 with the one end 11a as a starting point, ). The other end portion 11b of the core body 11 is configured to be hooked so as to be able to hang or separate from the other end support portion 12b. Therefore, when the other end portion 11b of the core body 11 is caught by the other end support portion 12b, the movement of the core body 11 starting from the one end portion 11a is restricted. On the other hand, in the state in which the engagement is released, the one end 11a is the starting point and the other end 11b is the free end opened from the other end supporting portion 12b, Respectively.

이 본체부(12)에는, 점착 테이프 롤의 직경 방향 외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플랜지부(13)가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체부(12)의 길이 방향을 따른 측면에는, 길이 방향의 일단측으로부터 타단측에 걸쳐 길이 방향[점착 테이프 롤 또는 심체(11)의 축 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설치되고, 폭 방향 외측 방향으로 돌출하는 플랜지부(13)가 형성되어 있다. 즉, 플랜지부(13)는, 본체부(12)의 길이 방향을 따른 각각의 측면에 서로 폭 방향 외측 방향으로 되도록, 한 쌍 형성되어 있다. 이 플랜지부(13)는, 길이 방향을 따른 장척의 형상을 이루고 있고, 높이 방향 하면이 평면 형상을 이루고, 높이 방향 상면의 길이 방향 중앙부측이 높이 방향 위쪽으로 볼록하게 되는 만곡 형상을 이룬다. The main body 12 is provided with a flange portion 13 which is convexly formed in the radially outward direction of the adhesive tape roll. Concretely, on the side surfac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12, there are provided continuously from one end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other end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axial direction of the adhesive tape roll or the core 11) A flange portion 13 protruding outward in the direction is formed. That is, the flange portions 13 are formed on the respective side surfac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12 so as to be mutually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The flange portion 13 has a long shap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bottom surface in the height direction has a planar shape, and a longitudinally middle portion side of the height direction top surface is convex upward in the height direction.

또한, 본체부(12)에는, 파지 가능한 봉형(棒形)의 손잡이(14)가 높이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있다(도 5 참조). 손잡이(14)는, 높이 방향으로 장척의 앞벽부(14a)와, 앞벽부(14a)의 장변(長邊)에 안길이 방향 이면(裏面) 측을 향해 세워 설치되고, 폭 방향에 대향하는 한 쌍의 측벽부(14b, 14b)를 가진다. 앞벽부(14a)의 폭 방향 중앙부는, 안길이 방향 전방으로 볼록하게 되는 만곡 형상을 이룬다. 또한, 앞벽부(14a)의 안길이 방향 이면(裏面)에서의 폭 방향 중앙부의 높이 방향을 따른 부위에는, 한 쌍의 측벽부(14b, 14b)보다 안길이 방향 이면측으로 높고 볼록하게 형성되는 중앙 벽부(14c)가 형성되어 있다(도 6, 도 7 참조). In addition, in the main body 12, a grip 14 capable of gripping is formed so as to be convex in the height direction (see Fig. 5). The handle 14 is provided so as to extend toward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ont wall portion 14a and to face the back surfac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ont wall portion 14a, And a pair of side wall portions 14b and 14b. The central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ront wall portion 14a has a curved shape in which the seat back is convex in the forward direction. Further, at a portion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center in the width direction on the back surface of the front wall portion 14a, a center portion formed to be convex higher than the pair of side wall portions 14b, 14b And a wall portion 14c is formed (see Figs. 6 and 7).

본 실시형태에 관한 청소구용 케이스(1)는,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형체를 이룬다. 통형체는, 중공부(中空部)를 가지는 중공체(中空體)이다. 통형체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청소구(10)[본체부(12)]의 길이 방향의 길이에 대응하는 장척의 판형을 이루는 저벽부(底璧部)(2)와, 저벽부(2)의 각각의 장변에 세워 설치되어 폭 방향에 대향하는 한 쌍의 측벽부(3, 3)와, 한 쌍의 측벽부(3, 3)의 높이 방향 단부(端部)끼리를 길이 방향의 중앙부측으로부터 타단측에 걸쳐 연결하는 천정벽부(天壁部)(4)를 구비한다. 이 통형체의 축 방향의 길이는, 청소구(10)[본체부(12)]의 길이 방향의 길이보다 길게 구성되어 있다. As shown in Figs. 1 to 4, the cleaning case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 tubular body. The tubular body is a hollow body having a hollow portion. As shown in Fig. 1, the tubular member has a bottom wall portion (bottom wall portion) 2 having a long plate shape corresponding to the longitudinal length of the cleaning tool 10 (main body portion 12) A pair of side wall portions 3 and 3 which are erected on respective long sides of the pair of side wall portions 3 and 3 and which are opposed to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and a pair of side wall portions 3 and 3, And a ceiling wall portion (top wall portion) 4 connecting the other end side from the center portion side. The axial length of the tubular member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cleaning tool 10 (body portion 1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저벽부(2)는, 대략 직사각형 판형을 이룬다. 한 쌍의 측벽부(3, 3)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높이 방향의 중앙부측이 서로 외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되는 만곡 형상을 이룬다. 또한, 천정벽부(4)는, 도 2,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 방향을 따라 평면 형상을 이룬다. 이러한 천정벽부(4)의 평면 형상은, 본체부(12)의 만곡 형상(높이 방향 위쪽으로 볼록한 형상)에 대하여, 플랜지부(13)가 하측 레일부(8) 상을 슬라이딩하여, 청소구(10)에 지지된 점착 테이프 롤이 통형체에 대하여 소정의 수용 위치에 수용될 때, 본체부(12)가 천정벽부(4)와 맞닿는 상태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The bottom wall portion 2 h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late shape. As shown in Fig. 4, the pair of sidewall portions 3, 3 has a curved shape in which the center portion side in the height direction is convex outwardly from each other. 2 and 4, the ceiling wall portion 4 has a planar shape along the axial direction. The flange portion 13 slides on the lower rail portion 8 with respect to the curved shape (the convex shape upward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12, 10, the main body portion 12 is in contact with the ceiling wall portion 4 when the adhesive tape roll supported by the main body portion 10 is received in the predetermined receiving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tubular body.

이와 같은 통형체에는, 축 방향 일단(1a) 및 타단(1b)의 각각에서의 일단 개구(5) 및 타단 개구(6)와, 주위 방향의 소정 폭, 또한 축 방향 일단(1a)으로부터 중앙부(1c)에 이르는 통벽 개구(7)가 형성되어 있다(도 1, 도 4 참조). 일단 개구(5)와 통벽 개구(7)는, 청소구(10)에 지지된 점착 테이프 롤을 축 방향을 따라 끼우거나 분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개구이며, 타단 개구(6)는, 경량화 또는 디자인성의 향상을 위한 개구이다. One end opening 5 and the other end opening 6 in each of the one axial end 1a and the other end 1b of the tubular member are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width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1c) are formed (see Figs. 1 and 4). The opening 5 and the barrel opening 7 are openings for allowing the adhesive tape roll supported by the cleaning tool 10 to be fitted or separated along the axial direction and the other end opening 6 is made to be lightweight This is an opening for improving the design property.

이러한 통형체는, 도 1,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벽 개구(7)를 형성하는 통벽 에지부(7a)의 축 방향 일단(1a)으로부터 축 방향을 따라 타단(1b)에 이르는 부분에 볼록하게 형성되고, 플랜지부(13)가 슬라이딩 가능한 하측 레일부(8)와, 상기 하측 레일부(8)의 축 방향에서의 일단(8a) 측을 제외한 중앙부(8c) 측에 있어서, 하측 레일부(8)에 대하여 통형체의 직경 방향 외측에 이격되어 설치되고, 하측 레일부(8)와의 사이에 플랜지부(13)를 유지할 수 있는 상측 레일부(9)를 구비한다. Such a tubular body is provided with a convex portion at a portion extending from one axial end 1a of the cylindrical wall edge portion 7a forming the through-hole opening 7 to the other end 1b along the axial direction as shown in Figs. 1 and 3, And a flange portion 13 on the side of the central portion 8c except for one end 8a side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lower rail portion 8, And an upper rail 9 spaced apart from the tubular body 8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tubular body and capable of holding the flange 13 between the lower rail 8 and the lower rail 8.

하측 레일부(8)는, 플랜지부(13)가 축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하도록, 플랜지부(13)를 탑재 가능한 한 쌍의 대향하는 레일부이며, 각 레일부는, 축 방향을 따른 평면 형상을 이룬다(도 4 참조). 하측 레일부(8)의 축 방향의 일단(8a) 측은, 상측 레일부(9)에 대향하고 있지 않고 통벽 개구(7)에 면하는 일단측 부분(8A)이며, 축 방향의 중앙부(8c) 측은, 상측 레일부(9)에 대향하고 있는 중앙부측 부분(8C)이며, 축 방향의 타단(8b) 측은, 천정벽부(4)에 대향하고 있는 타단측 부분(8B)이다(도 3 참조). The lower rail portion 8 is a pair of opposing rails on which the flange portion 13 can be mounted so that the flange portion 13 slides along the axial direction and each rail portion has a planar shape along the axial direction (See Fig. 4). One end 8a side of the lower rail 8 in the axial direction is an end side portion 8A which is not opposed to the upper rail 9 and faces the cylindrical wall opening 7, Side portion 8C facing the upper rail 9 and the other end 8b side in the axial direction is the other end side portion 8B opposed to the ceiling portion 4 (see Fig. 3) .

하측 레일부(8)의 일단측 부분(8A)은, 통벽 개구(7)에 면하고 있으므로, 통벽 개구(7)를 통하여 플랜지부(13)가 탑재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하측 레일부(8)의 중앙부측 부분(8C)은, 직경 방향 외측으로부터 상측 레일부(9)에 의해 덮혀 있고, 중앙부측 부분(8C)과 상측 레일부(9)와의 사이에 있어서, 플랜지부(13)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의 이동을 규제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하측 레일부(8)의 타단측 부분(8B)은, 직경 방향 외측으로부터 천정벽부(4)에 의해 덮혀 있고, 타단측 부분(8B)과 천정벽부(4)와의 사이에 있어서, 플랜지부(13)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의 이동을 규제 가능하게 하고 있다. The flange portion 13 can be mounted via the through-hole opening 7 because the one end side portion 8A of the lower rail portion 8 faces the through- The central portion 8C of the lower rail 8 is covered by the upper rail 9 from the radially outer side and between the central portion 8C and the upper rail 9, So that the radial outward movement of the flange portion 13 can be regulated. The other end side portion 8B of the lower rail portion 8 is covered by the ceiling wall portion 4 from the radially outer side and between the other end side portion 8B and the ceiling wall portion 4, So that it is possible to regulate the movement in the radially outward direction.

또한, 하측 레일부(8)의 축 방향의 길이에 있어서, 일단측 부분(8A)의 길이와, 중앙부측 부분(8C)의 길이와의 비는, 1:3 내지 3:1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러한 비는, 1:1이며, 즉 축 방향의 길이에 있어서, 일단측 부분(8A)과 중앙부측 부분(8C)과는 거의 같게 구성되어 있다(도 3 참조).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일단측 부분(8A)과 중앙부측 부분(8C)과 타단측 부분(8B)과의 축 방향의 길이의 비는 대략, 1:1:1.5이다. The ratio of the length of the one end portion 8A to the length of the center portion 8C in the axial length of the lower rail 8 is 1: 3 to 3: 1. In this embodiment, this ratio is 1: 1, that is, in the axial direction, the one end portion 8A and the center portion 8C are substantially the same (see Fig. 3).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ratio of the length in the axial direction between the one end portion 8A, the center portion 8C and the other end portion 8B is approximately 1: 1: 1.5.

상측 레일부(9)는, 대향하는 한 쌍의 레일부이며, 각 레일부는, 축 방향을 따른 평면 형상을 이룬다(도 3, 도 4 참조). 상측 레일부(9)는, 플랜지부(13)가 하측 레일부(8) 상을 슬라이딩할 때, 손잡이(14)가 통벽 개구 내를 축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통벽 에지부(7a)의 축 방향 중앙부측으로 축 방향을 따라 볼록하게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측 레일부(9)는, 통형체의 축 방향 중앙부(1c) 측에서의 천정벽부(4)의 길이 방향 일단측의 부분이, 폭 방향 중앙부의 소정 폭으로 길이 방향을 따라 절결되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도 3 참조). 이 상측 레일부(9)는, 한 쌍의 측벽부(3, 3)의 높이 방향 단부에서의 길이 방향 중앙부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상측 레일부(9)의 길이 방향을 따른 에지부 중, 일단측으로부터 소정 길이 이격된 위치에는, 서로 접근하도록 돌출되어 대향하는 한 쌍의 걸어맞춤용 돌기(90)가 형성되어 있다(도 3 참조). 상측 레일부(9)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걸어맞춤용 돌기(90)가 형성되어 있는 위치로부터 천정벽부(4)까지의 길이는, 손잡이(14)의 하나의 측벽부(14b)와 중앙 벽부(14c)와의 사이의 길이에 상당한다. The upper rail 9 has a pair of opposing rail portions, and each of the rail portions has a planar shape along the axial direction (see Figs. 3 and 4). The upper rail 9 is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barrel edge portion 7a such that when the flange portion 13 slides on the lower rail portion 8 the handle 14 moves along the axial direction within the barrel- And is formed so as to be convex along the axial direction toward the direction center side. Concretely, the upper rail 9 is formed such that the one end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eiling portion 4 on the axially central portion 1c side of the tubular body is cu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a predetermined width in the widthwise central portion (See Fig. 3). The upper rail 9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longitudinal center of the pair of side wall portions 3, 3 in the height direction. A pair of engaging projections 90 projecting and facing each other is formed at a position spaced from the one end sid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edge por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rail 9 Reference). The length from the position at which the engaging projection 90 is formed to the ceiling wall portion 4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rail 9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side wall portion 14b of the handle 14, (14c).

걸어맞춤용 돌기(90)는, 플랜지부(13)가 하측 레일부(8) 상을 슬라이딩할 때, 손잡이(14)에 걸거나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게 걸어맞추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특히, 걸어맞춤용 돌기(90)는, 청소구(10)에 지지된 점착 테이프 롤이 통형체에 대하여 소정의 수용 위치에 수용된 상태에서, 청소구(10)의 플랜지부(13)가 하측 레일부(8)의 일단(8a) 측으로 슬라이딩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손잡이(14)의 안길이 방향 전방으로 볼록하게 되는 앞벽부(14a)와 안길이 방향 이면측으로 볼록하게 되는 중앙 벽부(14c)에 걸거나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게 걸어맞추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7, 도 8 참조). The engaging projection 90 is configured to engage with the handle 14 so as to be capable of being engaged or disengaged when the flange portion 13 slides on the lower rail portion 8. [ The flange portion 13 of the cleaning tool 10 is positioned on the lower side of the tubular body in a state in which the adhesive tape roll supported on the cleaning tool 10 is accommodated in the predetermined receiving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tubular body, The front wall portion 14a in which the seat 14 of the handle 14 is convex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the center wall portion 14c in which the seat 14 is convex in the backward direction in order to restrain the sliding of the end portion 8a of the portion 8 (See Figs. 7 and 8).

이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케이스를 구비하는 청소구의 청소구용 케이스(1)에는, 청소구(10)에 의해 지지되는 점착 테이프 롤이 끼워지거나 분리된다. The adhesive tape roll supported by the cleaning tool 10 is fitted in or separated from the case 1 for the cleaning tool of the cleaning tool having the case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먼저, 청소구(10)의 심체(11)의 타단부(11b)와 본체부(12)의 타단 지지부(12b)와의 걸림을 해제하고, 일단부(11a)를 기점으로 하여 심체(11)를 본체부(12)에 대하여 원하는 위치까지 이동시켜, 심체(11)의 타단부(11b)와 본체부(12)의 타단 지지부(12b)를 충분히 이격시킴으로써, 심체(11)에 대하여 타단부(11b) 측으로부터 일단부(11a) 측을 향해 점착 테이프 롤을 삽통시킨다. 심체(11)에 점착 테이프 롤을 삽통시킨 후, 심체(11)의 타단부(11b)와 본체부(12)의 타단 지지부(12를 거는 것에 의해, 청소구(10)는, 점착 테이프 롤을 중심축선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상태로 된다. First, the engagement between the other end 11b of the core body 11 of the cleaning tool 10 and the other end support portion 12b of the main body 12 is released, and the core body 11 The other end portion 11b of the core body 11 and the other end support portion 12b of the main body portion 12 are sufficiently separated from each other so that the other end portion 11b To the one end portion 11a side. After the adhesive tape roll is inserted into the core body 11, the other end portion 11b of the core body 11 and the other end support portion 12 of the main body portion 12 are hooked on the cleaning tool 10, And is rotatably supported around the central axis.

이와 같이, 청소구(10)에 지지된 점착 테이프 롤은, 일단 개구(5)와 통벽 개구(7)를 통하여 통형체에 수용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adhesive tape roll supported on the cleaning tool 10 is once housed in the tubular body through the opening 5 and the tubular wall opening 7.

이 때, 청소구(10)의 플랜지부(13)[상세하게는, 플랜지부(13)의 길이 방향의 일단측 또는 타단측]는, 하측 레일부(8)의 축 방향에서의 일단(8a) 측에 탑재되어, 축 방향 타단(8b) 측을 향해 하측 레일부(8) 상을 슬라이딩한다. 플랜지부(13)의 길이 방향 중앙부는, 하측 레일부(8)의 중앙부(8c) 측에 있어서, 하측 레일부(8)와 상측 레일부(9)에 의해 직경 방향의 이동이 규제되어 유지(걸어맞춤)된다(도 7, 도 8 참조). 또한, 플랜지부(13)의 길이 방향 타단부는, 하측 레일부(8)의 타단(8b) 측에 있어서, 하측 레일부(8)와 천정벽부(4)에 의해 직경 방향의 이동이 규제되어 유지(걸어맞춤)된다. At this time, the flange portion 13 (more specifically, the one end side or the other end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lange portion 13) of the cleaning tool 10 is connected to one end 8a , And slides on the lower rail 8 toward the other axial end 8b side. The radial movement of the flange portion 13 is regulated by the lower rail portion 8 and the upper rail portion 9 on the side of the central portion 8c of the lower rail portion 8, (See Figs. 7 and 8). The other end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lange portion 13 is restricted in the radial direction movement by the lower rail portion 8 and the ceiling portion 4 on the other end 8b side of the lower rail portion 8 (Engaged).

이와 같은 플랜지부(13)의 슬라이딩에 따라서, 손잡이(14)는, 통형체의 축 방향 일단(1a) 측으로부터 중앙부(1c) 측으로 통벽 개구(7) 내를 축 방향을 따라 이동되고, 천정벽부(4)에 의해 이동이 규제된다. 손잡이(14)[앞벽부(14a)와 중앙 벽부(14c)]가 걸어맞춤용 돌기(90)를 통과할 때는, 손잡이(14)는, 걸어맞춤용 돌기(90)에 의한 억제(저항)에 저항하여 일단(1a) 측으로부터 중앙부(1c) 측으로 이동되고, 사용자는, 손잡이(14)를 통하여 클릭 감각을 받는다. 이 때, 손잡이(14)의 폭 방향 절반측[중앙 벽부(14c)로부터 하나의 측벽부(14b)까지의 부분]은, 상측 레일부(9)의 길이 방향을 따른 부위 중, 걸어맞춤용 돌기(90)가 형성되어 있는 위치로부터 천정벽부(4)까지의 부위와, 천정벽부(4)와, 걸어맞춤용 돌기(90)에 의해 구획되는 중앙 영역(S)에 위치한다(도 3, 도 7 참조). 또한, 이 때, 본체부(12)의 만곡 형상과 천정벽부(4)의 평면 형상과는 서로 맞닿는다. 이와 같이, 손잡이(14)가 상기 중앙 영역(S)에 위치하고, 본체부(12)와 천정벽부(4)가 맞닿은 상태에 있어서, 청소구(10)에 지지된 점착 테이프 롤은, 통형체에 대하여 소정의 수용 위치에 수용된 상태로 된다. According to such sliding of the flange portion 13, the handle 14 is moved along the axial direction from the one axial end 1a side of the tubular body to the central portion 1c side in the tubular opening 7, (4). When the knob 14 (the front wall portion 14a and the center wall portion 14c) passes the engaging projection 90, the knob 14 is pressed against the restraining (resistance) by the engaging projection 90 The user is moved from the one end 1a side to the middle portion 1c side by resistance and receives a click feeling through the knob 14. [ At this time, the widthwise half side of the knob 14 (the portion from the center wall portion 14c to one sidewall portion 14b) is a portion of the por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rail 9, Is located in a central region S defined by a portion from the position where the base member 90 is formed to the ceiling wall portion 4 and the ceiling wall portion 4 and the engagement projection 90 7). At this time, the curved shape of the main body portion 12 and the plane shape of the ceiling wall portion 4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adhesive tape roll supported by the cleaning tool 10 in the state that the handle 14 is located in the central region S and the main body portion 12 and the ceiling wall portion 4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s received in a predetermined receiving position.

이와 같이, 점착 테이프 롤이 소정의 수용 위치에 수용된 상태에 있어서, 손잡이(14)는, 걸어맞춤용 돌기(90)에 의해 걸어맞추어져 있다. 그러므로, 청소구(10)의 플랜지부(13)가 하측 레일부(8)의 일단(8a) 측으로 축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것이 억제되어 있다. Thus, in the state in which the adhesive tape roll is accommodated in the predetermined receiving position, the knob 14 is engaged by the engagement protrusion 90. [ Therefore, the flange portion 13 of the cleaning tool 10 is prevented from sliding along the axial direction to the one end 8a side of the lower rail portion 8.

수용된 점착 테이프 롤을 통형체로부터 꺼낼 때는, 걸어맞춤용 돌기(90)에 의한 손잡이(14)의 걸어맞춤을 해제함으로써, 청소구(10)의 플랜지부(13)를 하측 레일부(8)의 일단(8a) 측으로 축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시킨다. The flange portion 13 of the cleaning tool 10 is fitted to the flange portion 13 of the lower rail portion 8 by releasing the engagement of the handle 14 by the engagement projection 90. [ And slides along the axial direction toward the one end 8a side.

그리고, 청소구(10)의 플랜지부(13)는, 하측 레일부(8) 상을 축 방향의 타단(8b) 측으로부터 일단(8a) 측으로 슬라이딩하여 하측 레일부(8)의 일단(8a) 측에 있어서, 상측 레일부(9) 및 천정벽부(4)에 의한 직경 방향 외측으로의 이동 규제가 해제되고, 하측 레일부(8)와 상측 레일부(9) 및 천정벽부(4)에 의한 유지(걸어맞춤)가 해제된다. 그 결과, 청소구(10)에 지지된 점착 테이프 롤은, 일단 개구(5)와 통벽 개구(7)를 통하여 통형체로부터 꺼내진다. The flange portion 13 of the cleaning tool 10 slides on the lower rail portion 8 from the other end 8b side to the one end 8a side to be fixed to one end 8a of the lower rail portion 8, The upper rail 9 and the ceiling wall portion 4 are released from the radial outward restriction by the upper rail 9 and the ceiling wall portion 4, Maintenance (engagement) is released. As a result, the adhesive tape roll supported on the cleaning tool 10 is once taken out of the tubular body through the opening 5 and the through-hole opening 7.

이상, 본 실시형태에 관한 케이스를 구비하는 청소구, 및 청소구용 케이스(1)에 의하면, 청소구(10)에 지지된 점착 테이프 롤을 청소구용 케이스(1)에 수용할 때, 청소구(10)의 플랜지부(13)는, 하측 레일부(8)의 축 방향에서의 일단(8a) 측에 탑재되어, 축 방향 타단(8b) 측을 향해 하측 레일부 상을 슬라이딩하고, 하측 레일부(8)의 중앙부(8c) 측에 있어서, 하측 레일부(8)와 상측 레일부(9)에 의해 유지되는 한편, 이와 같이, 수용된 점착 테이프 롤을 통형체로부터 꺼낼 때는, 청소구(10)의 플랜지부(13)는, 하측 레일부 상을 축 방향의 타단(8b) 측으로부터 일단(8a) 측으로 슬라이딩하여 하측 레일부(8)의 일단(8a) 측에 있어서, 상기 유지가 해제되므로, 청소구(10)에 지지된 점착 테이프 롤을 끼우거나 분리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사용 편리성이 우수하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cleaning tool and the cleaning tool case 1 equipped with the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adhesive tape roll supported by the cleaning tool 10 is accommodated in the cleaning case 1, The flange portion 13 of the lower rail portion 10 is mounted on one end 8a side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lower rail portion 8 and slides the lower rail portion face toward the other axial end 8b side, The cleaning tool 10 is held by the lower rail 8 and the upper rail 9 on the side of the central portion 8c of the tubular body 8, The flange portion 13 of the flange portion 13 slides the lower rail portion face from the other end 8b side toward the one end 8a side to release the holding at the one end 8a side of the lower rail portion 8, It is easy to insert or detach the adhesive tape roll supported on the cleaning tool 10, and the use convenience is excellent.

또한, 이러한 케이스를 구비하는 청소구, 및 청소구용 케이스(1)에 의하면, 플랜지부(13)가 하측 레일부(8) 상을 슬라이딩할 때, 상측 레일부(9)에 의해, 손잡이(14)가 통벽 개구(7) 내를 축 방향을 따라 이동하므로, 손잡이(14)를 파지하여 청소구(10)를 통형체에 대하여 조작할 수 있어, 청소구(10)에 지지된 점착 테이프 롤을 끼우거나 분리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므로, 사용 편리성이 우수하다. According to the cleaner and the cleaning case 1 having such a case, when the flange portion 13 slides on the lower rail portion 8, the handle 14 The cleaning tool 10 can be operated with respect to the tubular body by gripping the grip 14 so that the adhesive tape roll supported on the cleaning tool 10 can be move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cylindrical wall opening 7, So that it is easy to insert or separate, and thus the usability is excellent.

또한, 이러한 케이스를 구비하는 청소구, 및 청소구용 케이스(1)에 의하면, 하측 레일부(8)의 일단측 부분(8A)과 중앙부측 부분(8C)과 거의 같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청소구(10)에 지지된 점착 테이프 롤이 통형체에 수용될 때, 플랜지부(13)는, 하측 레일부(8)의 축 방향에서의 일단(8a) 측에 대하여 확실하게 탑재할 수 있는 동시에, 플랜지부(13)는, 축 방향 타단(8b) 측을 향해 하측 레일부(8) 상을 슬라이딩했을 때, 하측 레일부(8)의 중앙부(8c) 측에 있어서, 하측 레일부(8)와 상측 레일부(9)에 의해 확실하게 유지된다. Since the cleaner and the cleaning case 1 having such a case are configured to be substantially identical to the one end portion 8A and the center portion 8C of the lower rail 8, The flange portion 13 can reliably be mounted on the end 8a side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lower rail portion 8, When the lower rail 8 is slid on the lower rail 8 toward the other axial end 8b side, the lower rail 8 and the upper rail 8 on the side of the central portion 8c of the lower rail 8, And is reliably held by the rail portion 9.

또한, 이러한 케이스를 구비하는 청소구, 및 청소구용 케이스(1)에 의하면, 청소구(10)에 지지된 점착 테이프 롤이 통형체에 대하여 소정의 수용 위치에 수용된 상태에서, 걸어맞춤용 돌기(90)가 손잡이(14)에 걸어맞추어짐으로써, 청소구(10)의 플랜지부(13)가 하측 레일부(8)의 일단(8a) 측으로 축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청소구(10)에 지지된 점착 테이프 롤이 통형체로부터 뜻하지 않게 꺼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수용된 점착 테이프 롤을 통형체로부터 꺼낼 때는, 걸어맞춤용 돌기(90)에 의한 손잡이(14)의 걸어맞춤을 해제함으로써, 청소구(10)의 플랜지부(13)를 하측 레일부(8)의 일단(8a) 측으로 축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According to the cleaning tool and the cleaning tool case 1 having such a case, the adhesive tape roll supported by the cleaning tool 10 is accommodated in the predetermined receiving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tubular bod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lange portion 13 of the cleaning tool 10 from sliding along the axial direction toward the one end 8a side of the lower rail portion 8,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adhesive tape roll supported by the sphere 10 from being accidentally removed from the tubular body. On the other hand, when the accommodated adhesive tape roll is taken out from the tubular body, the engagement of the handle 14 by the engaging projection 90 is released so that the flange portion 13 of the cleaning tool 10 is engaged with the lower rail portion 8 To the one end 8a side of the base portion 8a.

또한, 이러한 케이스를 구비하는 청소구, 및 청소구용 케이스(1)에 의하면, 청소구(10)에 지지된 점착 테이프 롤이 통형체에 수용되도록, 손잡이(14)가 통형체의 축 방향 일단(1a) 측으로부터 중앙부(1c) 측으로 이동되어 걸어맞춤용 돌기(90)를 통과할 때, 손잡이(14)가 걸어맞춤용 돌기(90)에 의한 억제에 저항하여 이동되면, 사용자가 손잡이(14)를 통하여 클릭 감각을 느끼므로, 청소구(10)에 지지된 점착 테이프 롤이 통형체에 대하여 소정의 수용 위치에 수용된 것을 감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cleaning tool and the cleaning tool case 1 having such a case, the grip 14 is held at one en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tubular body so that the adhesive tape roll supported by the cleaning tool 10 is received in the tubular body When the handle 14 is moved against the restraining by the engaging projection 90 when the handle 14 is moved from the side 1a to the center portion 1c and passes through the engaging projection 90, It is possible to sense that the adhesive tape roll supported on the cleaning tool 10 is accommodated in the predetermined receiving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tubular body.

또한, 이러한 케이스를 구비하는 청소구, 및 청소구용 케이스(1)에 의하면, 청소구(10)에 지지된 점착 테이프 롤이 통형체에 대하여 소정의 수용 위치에 수용될 때, 본체부(12)의 만곡 형상과 천정벽부(4)의 평면 형상은, 플랜지부(13)가 하측 레일부(8) 상을 슬라이딩하여, 본체부(12)와 천정벽부(4)가 맞닿은 상태로 되었을 때, 본체부(12)의 이동이 천정벽부(4)에 의해 억제되는 동시에, 점착 테이프 롤이 통형체에 대하여 소정의 수용 위치에 수용되므로, 청소구(10)에 지지된 점착 테이프 롤을 청소구용 케이스(1)에 대하여 정확하게 수용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cleaning tool and the cleaning tool case 1 having such a case, when the adhesive tape roll supported by the cleaning tool 10 is received in the predetermined receiving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tubular body, When the flange portion 13 slides on the lower rail portion 8 and the main body portion 12 and the ceiling wall portion 4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the curved shape of the main body portion 12 and the ceiling wall portion 4, The movement of the portion 12 is suppressed by the ceiling wall portion 4 and the adhesive tape roll is accommodated in the predetermined receiving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tubular body so that the adhesive tape roll supported on the cleaning tool 10 is inserted into the case 1). ≪ / RTI >

그리고, 본 발명에 관한 케이스를 구비하는 청소구, 및 청소구용 케이스는,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각종 변경이 가능하다. Further, the cleaning tool and the cleaning case having the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예를 들면, 본 실시형태에서는, 플랜지부(13)가 본체부(12)의 길이 방향을 따른 각각의 측면에 서로 폭 방향 외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있고, 플랜지부(13)를 통하여 본체부(12)의 길이 방향을 통형체의 축 방향을 따르게 할 수 있도록 하여, 청소구(10)에 지지된 점착 테이프 롤을 청소구용 케이스(1)에 수용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플랜지부(13)가 본체부(12)의 폭 방향에 따르는 각각의 측면에 서로 길이 방향 외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구성되며, 플랜지부(13)를 통하여 본체부(12)의 폭 방향을 통형체의 축 방향을 따르게 할 수 있도록 하여, 청소구(10)에 지지된 점착 테이프 롤을 청소구용 케이스(1)에 수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For examp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lange portions 13 are formed on the respective side surfac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12 so as to be convex in the width direction outward directio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ubular member 12 can be made to follow the axial direction of the tubular body so that the adhesive tape roll supported by the cleaning tool 10 is housed in the cleaning case 1 And flange portions 13 are formed on respective side surfaces of the main body portion 12 along the width direction so as to be convex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utward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12 through the flange portion 13 It is also possible to accommodate the adhesive tape roll supported by the cleaning tool 10 in the case 1 for the cleaning tool so as to follow the axial direction of the tubular body.

이 경우, 청소구용 케이스(통형체)는, 청소구(본체부)의 길이 방향의 길이에 대응하는 장척의 판형을 이루는 저벽부와, 저벽부의 각각의 단변(短邊)에 세워 설치되어 길이 방향으로 대향하는 한 쌍의 측벽부와, 한 쌍의 측벽부의 높이 방향 단부끼리를 폭 방향의 중앙부측으로부터 타단측에 걸쳐 연결하는 천정벽부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통형체에는, 폭 방향(축 방향) 일단에서의 일단 개구와, 주위 방향의 소정 폭, 또한 폭 방향(축 방향) 일단으로부터 중앙부에 이르는 통벽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통형체는, 통벽 개구를 형성하는 통벽 에지부의 폭 방향(축 방향) 일단으로부터 축 방향을 따라 타단에 이르는 부분에 볼록하게 형성되고, 플랜지부가 슬라이딩 가능한 하측 레일부와, 상기 하측 레일부의 축 방향에서의 일단측을 제외한 중앙부측에 있어서, 하측 레일부에 대하여 통형체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이격되어 설치되고, 하측 레일부와의 사이에 플랜지부를 유지할 수 있는 상측 레일부를 구비한다. In this case, the cleaning case (tubular body) is provided with a bottom wall portion having a long plate shape corresponding to the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leaning mouth (body portion) And a ceiling wall portion connecting the heightwise end portions of the pair of side wall portions from the center portion side in the width direction to the other end portion. In such a tubular body, there is formed a one-end opening at one end in the width direction (axial direction), and a wall opening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predetermined width in the peripheral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axial direction) to the central portion. The tubular body is formed so as to protrude from one end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axial direction) of the wall edge portion forming the through-hole opening to the other end along the axial direction, and has a lower rail portion in which the flange portion is slidable, And an upper rail portion which is provided at a central portion side excluding the one end side in the direction of the lower rail and is spaced radially outwardly of the tubular body from the lower rail portion and is capable of holding the flange portion with the lower rail portion.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플랜지부(13)는, 본체부(12)의 측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설치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플랜지부는, 본체부의 측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이산적(離散的)으로 복수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복수의 플랜지부(13)는,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lange portion 13 has been described as being provided continuousl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side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2. However, the flange portion is not limited to this, It is also possible to form a plurality of discrete discrete patterns. For example, a plurality of the flange portions 13 can b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a predetermined interval.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측 레일부(8)의 축 방향의 길이에 있어서, 일단측 부분(8A)의 길이와, 중앙부측 부분(8C)의 길이와의 비는, 1:1로 구성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일단측 부분(8A)의 길이와, 중앙부측 부분(8C)의 길이와의 비는, 1:3, 2:1, 또는 3:1 등으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ratio of the length of the one end portion 8A to the length of the center portion 8C in the axial length of the lower rail 8 is 1: 1 The ratio of the length of the one end portion 8A to the length of the center portion 8C is 1: 3, 2: 1, or 3: 1 or the like. It is also possible.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측 레일부(8)는, 통벽 개구(7)를 형성하는 통벽 에지부(7a)의 축 방향 일단(1a)으로부터 축 방향을 따라 타단(1b)에 이르는 부분에 볼록하게 형성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하측 레일부(8)는, 통벽 개구(7)를 형성하는 통벽 에지부(7a) 중, 축 방향 일단(1a)으로부터 중앙부(1c)를 따르는 부분에 볼록하게 형성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lower rail portion 8 is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a convex portion is formed in a portion extending from one axial end 1a of the cylindrical wall edge portion 7a forming the pneumatic wall opening 7 to the other end 1b along the axial direc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lower rail part 8 may be formed so as to extend from the axial end 1 a to the central part 1c among the wall edge portions 7a forming the through- It is possible to have a configuration in which it is formed convexly in the following portion.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통벽 개구(7)는, 축 방향 일단(1a)으로부터 중앙부(1c)에 걸쳐 형성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통벽 개구(7)는, 축 방향 일단(1a)으로부터 타단(1b)에 걸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ase has been described in which the through-hole 7 is formed from one axial end 1a to the central portion 1c.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1a) to the other end (1b).

이 경우, 상측 레일부(9)는, 하측 레일부(8)의 축 방향에서의 일단(8a) 측을 제외한 중앙부(8c) 측으로부터 타단(8b) 측에 있어서, 하측 레일부(8)에 대하여 통형체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이격되어 통형체에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그 외에, 상측 레일부(9)는, 하측 레일부(8)의 축 방향에서의 일단(8a) 측과 타단(8b) 측을 제외한 중앙부(8c) 측에 있어서, 하측 레일부(8)에 대하여 통형체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이격되어 통형체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측 레일부(9)에는, 통형체의 축 방향의 중심에 대하여 좌우 대칭이 되도록, 축 방향 일단측 가까이의 위치와 타단측 가까이의 위치에 걸어맞춤용 돌기(90)가 각각 형성되어도 된다. 이 때, 길이 방향(축 방향)에서의 걸어맞춤용 돌기(90) 사이의 길이는, 각각의 걸어맞춤용 돌기(90)가 손잡이(14)의 폭 방향으로 중앙 벽부(14c)의 양측에 밀착되어 위치하도록 한 길이로 구성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손잡이(14)는, 걸어맞춤용 돌기(90) 사이에 구획되는 영역의 축 방향 양측에 위치하는 걸어맞춤용 돌기(90)에 걸어맞추어지므로, 청소구에 지지된 점착 테이프 롤이 통형체로부터 뜻하지 않게 꺼내지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upper rail portion 9 is provided on the lower rail portion 8 on the side of the central portion 8c side from the side of the other end 8b except for one end 8a side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lower rail portion 8 It is possible to dispose the tubular body in the radially outer direction of the tubular body. In addition, the upper rail portion 9 is provided on the lower rail portion 8 on the side of the central portion 8c excluding the one end 8a side and the other end 8b side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lower rail portion 8 It is also possible to dispose the tubular member in the radially outer side of the tubular member. The upper rail 9 may be provided with an engaging projection 90 at a position near one end in the axial direction and at a position near the other end so as to be laterally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axial center of the tubular body . At this time, the length between the engaging projections 9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xial direction) is set such that the engaging projections 90 are in close contact with both sides of the center wall portion 14c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grip 14 So as to be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is configuration, the grip 14 is engaged with the engaging projection 90 located on both sides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region partitioned between the engaging projections 90, so that the adhesive tape roll It is possible to reliably prevent unintentional removal from the tubular body.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본체부(12)가 만곡 형상을 이루고, 천정벽부(4)가 평면 형상을 이루어, 본체부(12)와 천정벽부(4)가 맞닿도록 구성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체부(12)가 점착 테이프 롤의 축 방향을 따른 평면 형상을 이루고, 통형체의 중앙부(1c) 측에서의 천정벽부(4)의 일단측이 높이 방향 아래쪽으로 볼록하게 되는 만곡 형상을 이루어, 본체부(12)와 천정벽부(4)가 맞닿을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ase has been described in which the main body portion 12 has a curved shape, the ceiling wall portion 4 has a planar shape, and the main body portion 12 and the ceiling wall portion 4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body portion 12 may have a flat shape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adhesive tape roll, and one end side of the ceiling portion 4 on the side of the central portion 1c of the tubular body may be curved So that the main body portion 12 and the ceiling wall portion 4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청소구(10)는, 심체(11)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청소구(10)는, 심체(11)를 구비하지 않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청소구(10)는, 점착 테이프 롤의 축 방향 일단측과 타단측을 각각 지지하는 일단 지지부와 타단 지지부를 가지는 본체부를 구비하여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외에, 청소구(10)는, 점착 테이프 롤의 축 방향 일단측과 타단측과의 어느 한쪽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leaning tool 10 is provided with the core body 11,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cleaning tool 1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core body 11 is not provided . In this case, the cleaning tool 10 can be configured to include a body portion having one end support portion and the other end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the axial one end side and the other end side of the adhesive tape roll,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cleaning tool 10 may be provided with a supporting portion for supporting either the axial end side end or the other end side of the adhesive tape roll.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점착 테이프 롤은, 중심선 상을 따라 축공이 형성되도록, 테이프형 기재를 점착면인 한쪽 면을 외측으로 하여 중심선의 주위에 권취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점착 테이프 롤은, 중심선 상을 따라 축공이 형성되도록, 테이프형 기재를 점착면인 한쪽 면을 내측으로 하여 중심선의 주위에 권취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이라도 되고, 점착 테이프 롤은, 테이프형 기재의 한쪽 및 다른 쪽 면이 모두 점착면에 의해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adhesive tape roll is configured such that the tape-like base material is wound around the center line with one side of the adhesive surface facing outward so that a shaft hole is formed along the center line. However, The adhesive tape roll may be constituted by winding the tape-like base material around the center line with one side of the tape-like base material as the adhesive surface inward so that a shaft hole is formed along the center line. And the other surface may be constituted by the adhesive surface.

1: 청소구용 케이스(통형체), 1a: 통형체의 일단, 1b: 통형체의 타단, 1c: 통형체의 중앙부, 2: 저벽부, 3: 측벽부, 4: 천정벽부, 5: 통형체의 일단 개구, 6: 통형체의 타단 개구, 7: 통형체의 통벽 개구, 7a: 통벽 에지부, 8: 하측 레일부, 8A: 일단측 부분, 8C: 중앙부측 부분, 8a: 하측 레일부의 일단, 8b: 하측 레일부의 타단, 8c: 하측 레일부의 중앙부, 9: 상측 레일부, 10: 청소구, 11: 심체, 11a: 심체의 일단부, 11b: 심체의 타단부, 12: 본체부, 12a: 일단 지지부, 12b: 타단 지지부, 13: 플랜지부, 14: 손잡이, 14a: 앞벽부, 14b: 측벽부, 14c: 중앙 벽부, 90: 걸어맞춤용 돌기1 is a side view of the tubular body, and Fig. 1 is a side view of the tubular body. Fig. 2 is a side view of the tubular body. Fig. 7A is a bottom wall edge portion of the tubular wall portion 8 is a lower side rail portion 8A is a one end side portion 8C is a center portion side portion 8a is a bottom side portion A center portion of a lower side portion of the lower rail portion and a lower side portion of the lower side portion of the main body; 8b: the other end of the lower side portion; A flange portion 14a, a handle 14a, a front wall portion 14b, a side wall portion 14c, a central wall portion 90, an engaging projection 12a,

Claims (5)

점착면(粘着面)을 가지는 테이프형 기재(基材)를 권취하여 이루어지는 점착 테이프 롤을 상기 점착 테이프 롤의 중심축선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상기 점착 테이프 롤의 직경 방향 외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플랜지부(flange portion)를 구비하는 청소구(cleaning tool)에 의해 지지된 상기 점착 테이프 롤을 수용 가능한 통형체를 이루는 청소구용 케이스로서,
상기 통형체에는, 상기 청소구에 지지된 상기 점착 테이프 롤이 축 방향을 따라 끼워지거나 분리(introduced and removed) 가능하도록, 축 방향 일단에서의 일단 개구와, 주위 방향의 소정 폭, 또한 축 방향 일단으로부터 적어도 중앙부에 이르는 통벽 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통벽 개구를 형성하는 통벽 에지부 중, 축 방향 일단으로부터 적어도 중앙부를 따르는 부분에 볼록하게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부가 슬라이딩 가능한 하측 레일부; 및
상기 하측 레일부의 축 방향에서의 일단측을 제외한 중앙부측에 있어서, 상기 하측 레일부에 대하여 상기 통형체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기 하측 레일부와의 사이에 상기 플랜지부를 유지할 수 있는 상측 레일부;
를 포함하는 청소구용 케이스.
A main body portion rotatably supporting an adhesive tape roll formed by winding a tape-shaped base material having an adhesive surface (adhesive surface) around the center axis of the adhesive tape roll; 1. A case for a cleaner comprising a tubular body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adhesive tape roll supported by a cleaning tool having a flange portion convexly formed in a radially outward direction,
The tubular body is provided with an end opening at one end in the axial direction, a predetermined width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one end in the axial direction so that the adhesive tape roll supported by the cleaning mouth can be inserted and removed along the axial direction, And at least a central opening is formed at the center,
A lower rail portion which is convexly formed at a portion along at least a central portion from one axial end of the bottom wall edge portion forming the above-mentioned tubular wall opening, and the flange portion is slidable; And
And a flange portion that is provided to be spaced radially outwardly of the tubular body with respect to the lower rail portion on the side of a central portion excluding one end side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lower rail portion, Upper rail;
And a case for a cleaning applian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는, 파지(把持) 가능한 손잡이가 볼록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측 레일부는, 상기 플랜지부가 상기 하측 레일부 상을 슬라이딩할 때, 상기 손잡이가 상기 통벽 개구 내를 축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통벽 에지부의 축 방향 중앙부측으로 축 방향을 따라 볼록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측 레일부는, 상기 청소구에 지지된 상기 점착 테이프 롤이 상기 통형체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청소구의 플랜지부가 상기 하측 레일부의 상기 일단측으로 슬라이딩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상기 손잡이에 걸거나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게 걸어맞추어지는 걸어맞춤용 돌기를 구비하는, 청소구용 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main body portion, a grip capable of being gripped is formed to be convex,
The upper rail portion is formed to be convex along the axial direction toward the axially central portion side of the wall edge portion so that the handle moves along the axial direction within the barrel opening when the flange portion slides on the lower rail portion ,
Wherein the upper rail portion is provided with an upper rail portion which is engaged with or separated from the handle so as to prevent the flange portion of the cleaning mouth from sliding to the one end side of the lower rail when the adhesive tape roll supported by the cleaning mouth is received in the tubular body, Wherein the engaging protrusion is engaged with the engaging projection.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레일부의 축 방향의 길이에 있어서, 축 방향의 일단측으로서 상기 상측 레일부가 대향하고 있지 않은 부분의 길이와, 축 방향의 중앙부측으로서 상기 상측 레일부가 대향하고 있는 부분의 길이와의 비는, 1:3 내지 3:1인, 청소구용 케이스.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a ratio of a length of a portion of the lower rail in the axial direction to a portion of the rail in which the upper rail portion is not opposed as one axial end side and a length of a portion of the upper rail portion, Is 1: 3 to 3: 1.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청소구용 케이스; 및
상기 청소구용 케이스에 수용되는 점착 테이프 롤을 지지하는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청소구;
를 포함하는 케이스를 구비하는 청소구.
The cleaner cas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nd
The cleaner according to claim 1 or 2, which supports the adhesive tape roll accommodated in the case for the cleaner;
And a case including the cas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통벽 개구는, 축 방향 일단으로부터 중앙부에 걸쳐 형성되어 있고,
상기 통형체 중, 상기 통벽 개구보다 축 방향 타단측으로서 축 방향 중앙부측으로부터 타단에 이르는 통벽부, 또는 상기 본체부 중 어느 한쪽은, 상기 플랜지부가 상기 하측 레일부에 탑재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통형체의 축 방향을 따른 평면 형상을 이루고, 다른 쪽은, 상기 한쪽을 향해 볼록하게 되는 만곡 형상을 이루어 구성되어 있고,
상기 만곡 형상과 상기 평면 형상은, 상기 플랜지부가 상기 하측 레일부 상을 슬라이딩하여, 상기 청소구에 지지된 상기 점착 테이프 롤이 상기 통형체에 대하여 소정의 수용 위치에 수용될 때, 상기 본체부가 상기 통벽부와 맞닿는 상태로 되도록 구성되는, 케이스를 구비하는 청소구.
5. The method of claim 4,
The pneumatic wall opening is formed from one axial end to a central portion,
Wherein either one of the cylindrical wall portion extending from the axially central portion side to the other end as the other end side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cylindrical wall opening or the main body portion is provided with the flange portion on the lower rail portion, And the other is formed in a curved shape that is convex toward the one side,
Wherein the curved shape and the flat shape are formed such that when the flange portion slides on the lower rail portion and the adhesive tape roll supported by the cleaning tool is received in a predetermined receiving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tubular body, And is configured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cylindrical wall portion.
KR1020167010417A 2013-10-15 2013-10-15 Cleaning tool with attached case KR102007338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3/078013 WO2015056310A1 (en) 2013-10-15 2013-10-15 Cleaning-tool case, and cleaning tool with attached cas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0765A true KR20160070765A (en) 2016-06-20
KR102007338B1 KR102007338B1 (en) 2019-08-05

Family

ID=52827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0417A KR102007338B1 (en) 2013-10-15 2013-10-15 Cleaning tool with attached case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WO2015056310A1 (en)
KR (1) KR102007338B1 (en)
CN (1) CN105658131A (en)
WO (1) WO2015056310A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2715U (en) * 2020-05-29 2021-12-07 오진열 Cleaning hand roller device for dust removal
KR102567904B1 (en) * 2022-10-11 2023-08-18 주식회사 선광 Tape cleaner with slant line cutting tap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91961B2 (en) * 2016-06-17 2020-11-25 株式会社ニトムズ Cleaning tool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89632A1 (en) * 2001-11-09 2003-05-1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over for a roll of contaminant removal tape
JP2003265401A (en) 2002-03-15 2003-09-24 Nitomuzu:Kk Pressure sensitive adhesion type cleaner
JP2004073562A (en) 2002-08-20 2004-03-11 Nitomuzu:Kk Adhesive cleaner and cover for stor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5734Y2 (en) * 1984-10-26 1991-06-04
JPH0135708Y2 (en) * 1985-07-13 1989-10-31
JPH0723890A (en) * 1993-05-11 1995-01-27 Hiroshi Fukuba Housing case for tacky adhesive type cleaning means
JP3003410U (en) * 1994-04-21 1994-10-18 好司 岡田 Mop storage case
JPH1189786A (en) * 1997-09-22 1999-04-06 Sekisui Chem Co Ltd Case for containing adhesive roll cleaner
JPH11178769A (en) * 1997-12-19 1999-07-06 Kao Corp Housing tool of cleaning too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89632A1 (en) * 2001-11-09 2003-05-1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over for a roll of contaminant removal tape
JP2003265401A (en) 2002-03-15 2003-09-24 Nitomuzu:Kk Pressure sensitive adhesion type cleaner
JP2004073562A (en) 2002-08-20 2004-03-11 Nitomuzu:Kk Adhesive cleaner and cover for storing the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2715U (en) * 2020-05-29 2021-12-07 오진열 Cleaning hand roller device for dust removal
KR102567904B1 (en) * 2022-10-11 2023-08-18 주식회사 선광 Tape cleaner with slant line cutting tap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7338B1 (en) 2019-08-05
CN105658131A (en) 2016-06-08
WO2015056310A1 (en) 2015-04-23
JPWO2015056310A1 (en) 2017-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58292B2 (en) Ambidextrous utility knife
US20160120392A1 (en) Tape cleaner
US20130104405A1 (en) Ambidextrous Utility Knife
KR20160070765A (en) Cleaning-tool case, and cleaning tool with attached case
WO2016177795A1 (en) Hook structure for a nailer
US9227316B2 (en) Tool box
CA2962928C (en) Push-sticks for saws and storage systems therefor
KR101427297B1 (en) A Wrap Holder
IT202100017951A1 (en) HOLDER FOR ADHESIVE TAPE
JP2014219518A (en) Optical fiber holder
TWI586305B (en) Case for cleaner, and cleaner with case
KR200486207Y1 (en) Cable knife for removing coating of cable
KR20190080231A (en) Container and holder detachably attached in interlocking method
KR101634213B1 (en) Electric Driving Tool with Dual Switch Knob
US20060021193A1 (en) Handle of an adhesive-tape cutter able to accommodate articles
JP3119154U (en) Cleaning brush structure
JP6033653B2 (en) Tool holder
KR101614718B1 (en) Tape measure with mount for writing materials
JPH07328959A (en) Saw sheath suspended from waist belt
JP4929210B2 (en) Mobile cleaner
KR102208734B1 (en) Safety cutter knife
KR20160068800A (en) Cleaning tool
KR20180136251A (en) Razor
JP2005253914A (en) Slidable bobbin holder for sewing machine
JP2013044574A (en) Belt clip for measuring tap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