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8800A - Cleaning tool - Google Patents

Cleaning too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8800A
KR20160068800A KR1020167010396A KR20167010396A KR20160068800A KR 20160068800 A KR20160068800 A KR 20160068800A KR 1020167010396 A KR1020167010396 A KR 1020167010396A KR 20167010396 A KR20167010396 A KR 20167010396A KR 20160068800 A KR20160068800 A KR 201600688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core body
core
convex
conca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03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53788B1 (en
Inventor
요시히로 하시즈메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토무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토무즈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토무즈
Publication of KR201600688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880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37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378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0Domestic clean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L25/005Domestic clean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sing adhesive or tacky surfaces to remove dirt, e.g. lint remo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02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 A47L11/10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motor-driven
    • A47L11/14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motor-driven with rotating tools
    • A47L11/18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motor-driven with rotating tools the tools being roll 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38Other dusting implements

Abstract

청소구에서는, 심체(1)의 일단부(10)는, 상기 일단부(10)를 기점으로 하여 심체(1)를 본체부(2)에 대하여 가동 가능하도록, 본체부(2)의 일단 지지부(20)에 연결되어 있고, 심체(1)의 타단부(11)는, 본체부(2)의 타단 지지부(21)에 걸거나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게 걸리도록 구성되어 있고, 타단부(11)가 타단 지지부(21)에 걸린 상태에서는, 일단부(10)를 기점으로 한 심체(1)의 상기 가동은 규제되어 있고, 상기 걸림이 해제된 상태에서는, 일단부(10)가 기점으로 되고, 타단부(11)가 타단 지지부(21)로부터 개방된 자유단으로 되어, 심체(1)가 본체부(2)에 대하여 가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One end portion 10 of the core body 1 is fixed to the one end support portion 10 of the main body portion 2 so as to be movable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portion 2 with the one end portion 10 as a starting point, And the other end 11 of the core body 1 is engaged with the other end supporting portion 21 of the main body portion 2 so as to be capable of being hooked or detached. In the state in which the end portion 10 is engaged with the other end support portion 21, the movement of the core body 1 starting from the one end portion 10 is restricted. And the other end 11 is a free end opened from the other end supporting portion 21 so that the core 1 is movable relative to the main body 2. [

Description

청소구{CLEANING TOOL}CLEANING TOOL

본 발명은, 적어도 한쪽 면이 점착면(粘着面)으로 되어 있는 테이프형 기재(基材)를, 중심선 상에 통형(筒形)으로 권취하여 이루어지는 점착(粘着) 테이프 롤을 장착시켜 사용하기 위한 청소구(淸掃具; cleaning tool)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attaching and us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roll formed by winding a tape-like base material having at least one surface thereof as an adhesive surface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surfa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eaning tool.

종래, 이 종류의 청소구로서, 점착 롤러의 통공(筒孔)에 삽통(揷通)되는 심축(芯軸)과, 심축의 양 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 지지체와, 사용자가 유지하기 위한 지지 통부를 구비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BACKGROUND ART Conventionally, as this type of cleaning tool, there has been known a cleaning tool which includes a core shaft inserted into a through hole of a pressure roller, a roller support body rotatably supporting both ends of the core shaft,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이러한 청소구에서는, 점착 롤러를 장착할 때는, 심축의 양 단부를 롤러 지지체로부터 분리하여, 심축에 점착 롤러를 장착한 후, 심축의 양 단부를 롤러 지지체에 장착하고 있다. 한편, 청소구로부터 점착 롤러를 분리할 때는, 심축의 양 단부를 롤러 지지체로부터 분리하여, 심축으로부터 점착 롤러를 분리(detach)해 내고, 심축의 양 단부를 롤러 지지체에 장착하고 있다. In this cleaning section, when the pressure roller is mounted, both ends of the core shaft are separated from the roller support body, and the pressure roller is attached to the core shaft, and both ends of the core shaft are attached to the roller support body. On the other hand, when separating the pressure roller from the cleaning port, both ends of the core shaft are separated from the roller support body, the pressure roller is detached from the core shaft, and both ends of the core shaft are attached to the roller support body.

일본 공개특허 제2003―190066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3-190066

그러나, 상기 종래의 청소구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점착 롤러의 착탈(着脫)에 있어서, 롤러 지지체로부터 심축의 양 단부를 일단 분리하여, 심축에 대하여 점착 롤러를 착탈한 후, 심축의 양 단부를 롤러 지지체에 다시 장착한다는 일련의 행위를 요하므로, 점착 롤러의 착탈이 번거롭다는 문제가 있었다. However, in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cleaning tool, as described above, in the attachment and detachment of the pressure roller, both ends of the core shaft are separated from the roller support once, the pressure roller is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core shaft, It is necessary to reattach the roller to the roller support, so tha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attachment and detachment of the adhesive roller is cumbersome.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점착 테이프 롤을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는 청소구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leaning tool which can easily detach and remove an adhesive tape roll.

본 발명에 관한 청소구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적어도 한쪽 면이 점착면으로 되어 있는 테이프형 기재를, 중심선 상에 통형으로 권취하여 이루어지는 점착 테이프 롤의 통공에 삽통되는 심체(芯體 core)와, 상기 심체가 설치되는 본체부를 구비하고, 본체부는, 심체의 삽통 방향에서의 일단부와 타단부를 각각 지지하기 위한 일단 지지부와 타단 지지부를 가지는 청소구로서, 심체의 일단부는, 상기 일단부를 기점(起点)으로 하여 심체를 본체부에 대하여 가동(可動) 가능하도록, 본체부의 일단 지지부에 연결되어 있고, 심체의 타단부는, 본체부의 타단 지지부에 걸거나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게 걸리도록 구성되어 있고, 타단부가 타단 지지부에 걸린 상태에서는, 일단부를 기점으로 한 심체의 상기 가동은 규제되어 있고, 상기 걸림이 해제된 상태에서는, 일단부가 기점으로 되고, 타단부가 타단 지지부로부터 개방된 자유단으로 되어, 심체가 본체부에 대하여 가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leaning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has a core body inserted into a through hole of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roll formed by winding a tape-shaped base material having at least one surface thereof as an adhesive surface, and one end portion of the core body having one end support portion and the other end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one end portion and the other end portion in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core body, And the other end of the core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support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so as to be capable of hanging or separating so that the core body can be movable relative to the main body portion at one end thereof as a starting point. And the other end portion is caught by the other end support portion, the movement of the core body starting from the one end portion is regulated, In the Figure this released state, the one end portion starting point, is the freedom of the other end open the other end from the support, howev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re body is configured to be movable with respect to the body portion.

이러한 청소구에 의하면, 심체의 타단부와 본체부의 타단 지지부와의 걸림이 해제된 상태에서는, 심체의 타단부가 자유단으로 되고, 일단부를 기점으로 하여 심체가 본체부에 대하여 가동 가능하므로, 청소구에 점착 테이프 롤을 착탈할 때, 심체의 타단부와 본체부의 타단 지지부와의 걸림을 해제하고, 일단부를 기점으로 하여 심체를 본체부에 대하여 원하는 위치까지 이동시켜, 심체의 타단부와 본체부의 타단 지지부를 충분히 이격시킴으로써, 심체에 대하여 타단부 측으로부터 일단부 측을 향해 또는 그 역방향으로 점착 테이프 롤을 그 통공을 통하여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다. According to such a cleaning tool, in a state in which the other end of the core body and the other end support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are released from each other, the other end of the core body is free end and the core body is movable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portion from the one end, When the adhesive tape roll is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sphere, the other end of the core body is released from engagement with the other end support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the core body is moved to a desired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portion, The adhesive tape roll can be easily attached and detached from the other end side toward the one end side or the opposit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ore body through the through hole by sufficiently separating the other end supporting portion.

그리고, 이러한 청소구에서는, 심체의 타단부가 본체부의 타단 지지부에 걸린 상태에서는, 일단부를 기점으로 한 심체의 상기 가동은 규제되므로, 점착 테이프 롤을 사용할 때는, 점착 테이프 롤이 장착된 심체의 타단부를 본체부의 타단 지지부에 걸고, 일단부를 기점으로 한 심체의 가동을 규제함으로써, 심체에 장착된 점착 테이프 롤을 적절히 회전 사용할 수 있다. In this cleaning tool, when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core body is caught by the other end support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the movement of the core body starting from the one end portion is restricted. Therefore, when using the adhesive tape roll, The end portion is hooked to the other end support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the movement of the core body starting from the one end portion is regulated so that the adhesive tape roll mounted on the core body can be appropriately rotated.

또한, 본 발명에 이러한 청소구에서는, 심체의 타단부와 본체부의 타단 지지부 중 어느 한쪽에, 오목부가 형성되고, 다른 쪽에, 상기 오목부에 끼워맞추어지는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고, 타단부와 타단 지지부와의 상기 걸림은, 오목부와 볼록부에 의한 요철(凹凸) 끼워맞춤 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the cleaning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cave portion is formed in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core body and the other end supporting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the convex portion fitted to the concave portion is formed on the other side, It is also possible to arrange the engagement with the concave portion and the convex portion to fit the concave and convex portions.

이러한 청소구에서는, 심체의 타단부는, 요철 끼워맞춤에 의해 본체부의 타단 지지부에 확실하고 또한 용이하게 걸 수 있으므로, 일단부를 기점으로 한 심체의 상기 가동을 확실하게 규제할 수 있다. In such a cleaning tool, the other end of the core body can be surely and easily hooked to the other end support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by the concave-convex fitting, so that the movement of the core body starting from one end can be reliably regulated.

또한, 본 발명에 이러한 청소구에서는, 심체의 타단부와 본체부의 타단 지지부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은, 상기 걸림 시에 볼록부를 오목부를 향해 또는 오목부를 볼록부를 향해 유도하고, 상기 걸림의 해제 시에 볼록부를 오목부로부터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또는 오목부를 볼록부로부터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유도하는 가이드부를 구비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In the cleaning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of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core and the other end supporting portion of the main body guides the convex portion toward the concave portion or the concave portion toward the convex portion at the time of the engagement, And a guide portion for guiding the recessed portion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recessed portion or in a direction for separating the recessed portion from the projected portion.

이러한 청소구에서는, 가이드부에 의한 유도에 의해, 심체의 타단부를 본체부의 타단 지지부에 용이하게 걸 수 있는 동시에, 상기 걸림을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다.In such a cleaning unit, the other end of the core body can be easily hooked to the other end support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by the guidance by the guide portion, and the engagement can be easily releas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이러한 청소구에 의하면, 심체의 타단부와 본체부의 타단 지지부와의 걸림이 해제된 상태에서는, 심체의 타단부가 자유단으로 되고, 일단부를 기점으로 하여 심체가 본체부에 대하여 가동 가능하므로, 청소구에 점착 테이프 롤을 착탈할 때, 심체의 타단부와 본체부의 타단 지지부와의 걸림을 해제하고, 일단부를 기점으로 하여 심체를 본체부에 대하여 원하는 위치까지 이동시켜, 심체의 타단부와 본체부의 타단 지지부를 충분히 이격시킴으로써, 심체에 대하여 타단부 측으로부터 일단부 측을 향해 또는 그 역방향으로 점착 테이프 롤을 그 통공을 통하여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cleaning tool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ate where the other end of the core body and the other end support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are released from engagement with each other, the other end of the core body is free end, It is possible to release the engagement between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core body and the other end support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when the adhesive tape roll is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cleaning mouth, and the core body is moved to a desired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portion, The adhesive tape roll can be easily attached and detached from the other end side toward the one end side or the opposit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ore body by easily separating the other end of the core body from the other end supporting part of the main body par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청소구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동 청소구의 배면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동 청소구의 우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동 청소구의 좌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도 3의 A-A선 단면도(斷面圖)를 나타낸다.
도 6은 동 청소구의 심체를 일단부를 기점으로 하여 가동시킨 상태의 도면을 나타낸다.
1 is a front view of a cleaning mou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rear view of the cleaning mouth.
3 is a right side view of the cleaning mouth.
4 shows a left side view of the cleaning mouth.
5 show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Fig. 6 shows a state in which the core of the cleaning mouth is moved from one end to the other.

이하, 본 발명에 이러한 청소구의 일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one embodiment of the cleaning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실시형태에 이러한 청소구는, 적어도 한쪽 면이 점착면으로 되어 있는 테이프형 기재를, 중심선 상에 통형으로 권취하여 이루어지는 청소용의 점착 테이프 롤을 장착시켜 사용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세하게는, 점착 테이프 롤은, 중심선 상을 따라 축공(軸孔)이 형성되도록, 테이프형 기재를 점착면일뿐인 면을 외측으로 하여 중심선의 주위에 권취하여 이루어진다. In this embodiment, such a cleaning tool is used by attaching a cleaning adhesive tape roll formed by winding a tape-shaped substrate having at least one surface thereof as an adherend surface in a cylindrical shape on a center line. More specifically, the adhesive tape roll is formed by winding the tape-like base material around the center line with the surface only of the adhesive surface outward so that a shaft hole is formed along the center line.

청소구는,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점착 테이프 롤(도시하지 않음)의 축공(통공)에 삽통되는 심체(1)와, 상기 심체(1)가 설치되는 본체부(2)를 구비한다. As shown in Figs. 1 to 4, the cleaning tool includes a core 1 inserted into a shaft hole (through hole) of an adhesive tape roll (not shown), and a main body 2 provided with the core 1 do.

심체(1)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일방향으로 장척(長尺)의 형상을 이룬다. 심체(1)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원기둥형의 심체 본체부(1a)로 구성된다. 이 심체(1)에서는, 심체 본체부(1a)의 길이 방향, 또는 점착 테이프 롤의 축공에 삽통되는 삽통 방향의 일단측을 일단부(10)로 하고, 타단측을 타단부(11)로 한다(도 1 참조).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re body 1 has a long shape in one direc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re body 1 is formed of a cylindrical core body portion 1a. In this core body 1, one end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re body portion 1a or in the inserting direction inserted into the shaft hole of the adhesive tape roll is defined as one end portion 10 and the other end side is defined as the other end portion 11 (See Fig. 1).

일단부(10)는, 심체 본체부(1a)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베이스부(12a)와, 상기 베이스부(12a)의 길이 방향 단부(端部)에 일체로 설치되고, 길이 방향으로 교차하는 안길이 방향을 따른 축부(軸部)(12b)(본 실시형태에서는, 원기둥체)로 이루어지는 연결부(12)를 가진다(도 1, 도 3 참조). 이러한 연결부(12)는, 심체 본체부(1a)를 길이 방향을 따라 투영한 투영폭 내에 들어가도록 되어 있다. The one end portion 10 includes a base portion 12a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core body portion 1a and a pair of base portions 12b integrally provided at the longitudinal end portions of the base portion 12a, And has a connecting portion 12 composed of a shaft portion 12b (in this embodiment, a cylindrical body) along the direction of the seat surface (see Figs. 1 and 3). The connecting portion 12 is arranged to be within the projection width obtained by projecting the core body portion 1a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타단부(11)는, 심체 본체부(1a)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수평부(13a)와, 상기 수평부(13a)의 길이 방향 단부로부터 세워 형성되는 입설부(立設部; erected portion)(13b)로 이루어지는 걸림부(13)를 가진다(도 1, 도 4, 도 5, 도 6 참조). 걸림부(13)는, 입설부(13b)의 내면측에 있어서, 길이 방향의 내측 방향[타단부(11)로부터 일단부(10)를 향하는 방향]으로 볼록형을 이루는 볼록부(13c)를 가진다(도 5, 도 6 참조). 또한, 걸림부(13)의 입설부(13b)에서의 선단부는, 입설 방향이면서 길이 방향의 외측 방향[일단부(10)로부터 타단부(11)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가이드부(13d)로서 구성된다(도 4, 도 5, 도 6 참조). 이러한 걸림부(13)는, 심체 본체부(1a)를 길이 방향을 따라 투영한 투영폭 내에 들어가도록 되어 있다. The other end portion 11 includes a horizontal portion 13a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core body portion 1a and an erected portion formed upright from an end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rizontal portion 13a, (See Figs. 1, 4, 5, and 6). The engaging portion 13 has a convex portion 13c which is convex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side (the direction from the other end 11 to the one end 10) on the inner surface side of the mouth portion 13b (See Figs. 5 and 6).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engaging portion 13 in the mouth portion 13b is formed along the outward dir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direction from the one end portion 10 to the other end portion 11) (See Figs. 4, 5, and 6). The engaging portion 13 is arranged to be within the projection width obtained by projecting the core body portion 1a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본체부(2)는, 심체(1)의 일단부(10)와 타단부(11)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이 본체부(2)는, 일방향으로 장척의 벽부인 본체 지지부(2a)를 가진다(도 1 참조). 본체 지지부(2a)의 길이 방향의 양 단부에는, 심체(1)의 길이 방향(삽통 방향)에서의 일단부(10)와 타단부(11)를 각각 지지하기 위한 일단 지지부(20)와 타단 지지부(21)가 대향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체 지지부(2a)의 길이 방향 중앙부에는, 파지(把持) 가능한 손잡이(3)가 설치되어 있다. The main body portion 2 is configured to support one end portion 10 and the other end portion 11 of the core body 1. The main body portion 2 has a main body supporting portion 2a which is a long wall portion in one direction (see Fig. 1). Both end portions of the main body supporting portion 2a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provided with one end supporting portion 20 and one end supporting portion 20 for supporting the one end portion 10 and the other end portion 1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21) are provided so as to face each other. A handle 3 capable of gripping is provided at a longitudinally central portion of the main body supporting portion 2a.

일단 지지부(20)는, 본체 지지부(2a)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로부터 수직 형성되는 측벽부이며, 심체(1)의 일단부(10)에 대응하도록 구성된다. 일단 지지부(20)는, 일단부(10)의 연결부(12)에 연결하기 위해, 축부(12b)를 안길이 방향을 따른 중심축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부(20a)를 가진다(도 1, 도 3, 도 5, 도 6 참조). 베어링부(20a)는, 축부(12b)의 양 단부를 삽통시키는 관통공, 또는 축부(12b)의 양 단부를 끼워맞추는 끼워맞춤 오목부를 가지고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베어링부(20a)는, 안길이 방향에 대향하는 한 쌍의 벽부에 의해 구성되며, 한 쌍의 벽부에는 각각, 축부(12b)의 단부를 삽통시키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The supporting portion 20 is a sidewall portion vertically formed from one longitudinal end portion of the main body supporting portion 2a and is configured to correspond to the one end portion 10 of the core body 1. [ The support portion 20 has a bearing portion 20a for rotatably supporting the shaft portion 12b about a central axis along the bearing direction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rtion 12 of the one end portion 10 1, Fig. 3, Fig. 5, Fig. 6). The bearing portion 20a may have a through hole for inserting both ends of the shaft portion 12b or a fitting recess portion for fitting both ends of the shaft portion 12b. The bearing portion 20a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stituted by a pair of wall portions opposed to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Each of the pair of wall portions is provided with a through hole for inserting the end portion of the shaft portion 12b.

타단 지지부(21)는, 본체 지지부(2a)의 길이 방향의 타단부로부터 수직 형성되는 측벽부이며, 심체(1)의 타단부(11)에 대응하도록 구성된다. 타단 지지부(21)는, 일단 지지부(20)에 대향하는 내면의 반대면인 외면에, 심체(1)의 타단부(11)의 볼록부(13c)가 끼워맞추어지기 위한 오목형의 오목부(21a)를 가진다(도 5, 도 6 참조). 본 실시형태에서는, 오목부(21a)는, 심체(1)의 볼록부(13c)의 형상에 대응하는 오목부로 구성되지만, 심체(1)의 볼록부(13c) 형상에 대응하는 관통공이라도 된다. 또한, 타단 지지부(21)의 외면에는, 타단부(11)의 입설부(13b)의 안길이 방향의 치수보다 약간 큰 치수만큼 안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에지 벽부(21b, 21b)가 길이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있다(도 1, 도 4 참조). The other end support portion 21 is a sidewall portion formed vertically from the other end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support portion 2a and is configured to correspond to the other end portion 11 of the core body 1. The other end supporting portion 21 has a concave recessed portion for fitting the convex portion 13c of the other end 11 of the core 1 to the outer surface which is the opposite surface of the inner surface opposed to the supporting portion 20 21a) (see Figs. 5 and 6). The concave portion 21a is formed as a concav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convex portion 13c of the core body 1 but may be a through hole corresponding to the convex portion 13c shape of the core body 1 . A pair of edge wall portions 21b and 21b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other end support portion 21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dimension slightly larger than the dimension in the direction of the mouth portion 13b of the other end portion 11, Are formed to be convex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ee Figs. 1 and 4).

손잡이(3)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봉형(棒形)을 이룬다. 구체적으로는, 손잡이(3)는, 본체 지지부(2a)의 길이 방향으로 교차(본 실시형태에서는, 직교 또는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장척의 앞벽부(30)를 가진다. 앞벽부(30)의 안길이 방향 전면(前面)(30a)은, 폭 방향의 중앙부에 안길이 방향 전방으로 볼록해지도록 만곡 형상을 이루고 있고, 이 전면(30a)에는, 길이 방향의 선단[본체 지지부(2a)에 설치되는 기단(基端)과는 반대측의 단부] 측에 안길이 방향을 따른 관통공(P)이 천설(穿設)되어 있다(도 1, 도 3 참조). 또한, 앞벽부(30)의 안길이 방향 이면(裏面)(30b)에서의 폭 방향의 양 단부에는, 안길이 방향 이면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측벽부(31, 31)가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앞벽부(30)의 길이 방향의 선단측에는, 안길이 방향 이면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상벽부(32)가 형성되어 있다(도 2 참조). 또한, 앞벽부(30)의 안길이 방향 이면(30b)에서의 폭 방향의 중앙부에는, 한 쌍의 측벽부(31, 31)보다 높고 안길이 방향 이면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중앙 벽부(33)가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도 2, 도 3 참조). In this embodiment, the handle 3 has a bar shape. Specifically, the handle 3 has a long front wall portion 30 in a direction intersecting (orthogonal or substantially orthogonal in this embodim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supporting portion 2a.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nt face 30a of the front wall portion 30 has a curved shape so as to be convex toward the front direction in the central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A through hole P extending in the direction of the seat back is forme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proximal end of the support portion 2a (see Figs. 1 and 3). A pair of side wall portions 31 and 31 which are convexly formed on the back side of the front wall portion 30 are formed in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on the rear surface 30b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top wall portion 32 which is convexly formed on the back side of the front wall portion 3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formed (see Fig. 2). A center wall portion 33 which is formed so as to be convex on the side of the side wall portions 31 and 31 which is higher than the pair of side wall portions 31 and 31 is formed at the central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ront wall portion 30, (See Figs. 2 and 3).

이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청소구에서는, 심체(1)의 일단부(10)는, 상기 일단부(10)를 기점으로 하여 심체(1)를 본체부(2)에 대하여 가동 가능하게 하기 위해, 본체부(2)의 일단 지지부(20)에 연결되어 지지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일단부(10)의 축부(12b)의 양 단부는, 축부(12b)의 중심축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일단 지지부(20)의 베어링부(20a)에 연결됨으로써, 본체부(2)의 일단 지지부(20)는, 심체(1)의 일단부(10)를 지지하고 있다. 즉, 심체(1)는, 일단부(10)를 기점으로 하여 본체부(2)에 대하여 회동하도록 되어 있다(도 6 참조). In order to make the core 1 movable relative to the main body portion 2 with the one end portion 10 as a starting point, the one end portion 10 of the core body 1, And is connected to and supported by the one-end supporting portion 20 of the base 2. Concretely, both end portions of the shaft portion 12b of the one end portion 10 are connected to the bearing portion 20a of the one end support portion 20 so as to be rotatable about the central axis of the shaft portion 12b, The supporting portion 20 of the one end portion 10 of the core body 1 supports the one end portion 10 of the core body 1. In other words, the core 1 is configured to rotate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2 starting from the one end 10 (refer to Fig. 6).

또한, 심체(1)의 타단부(11)는, 본체부(2)의 타단 지지부(21)에 걸거나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게 걸린다. 구체적으로는, 심체(1)를 일단부(10)를 기점으로 하여 회동(回動)시켜, 타단부(11)에서의 걸림부(13)의 내면측과 타단 지지부(21)의 외면측이 대향하도록, 타단부(11)와 타단 지지부(21)를 서로 근접시킨다. 이 때, 타단부(11)의 걸림부(13)[입설부(13b)]에서의 내면측의 볼록부(13c)를, 타단 지지부(21)의 외면측의 오목부(21a)를 향해 또는 오목부(21a)를 볼록부(13c)를 향해, 타단부(11)의 가이드부(13d)를 타단 지지부(21)의 한 쌍의 에지 벽부(21b, 21b) 사이를 따라 이동(또는 슬라이딩)시킨다. 그리고, 타단부(11)의 볼록부(13c)가, 타단 지지부(21)의 오목부(21a)에 끼워맞추어짐으로써, 심체(1)의 타단부(11)는, 본체부(2)의 타단 지지부(21)에 걸린다. 이와 같이, 타단부(11)가 타단 지지부(21)에 걸린 상태에서는, 타단부(11)는 지지단(支持端)으로서 타단 지지부(21)에 지지되고, 일단부(10)를 기점으로 한 심체(1)의 회동은 규제된다(도 1, 도 5 참조). The other end 11 of the core 1 is hooked so as to be able to hang or separate from the other end supporting portion 21 of the main body 2. [ More specifically, the core 1 is rotated with the end 10 as a starting point so that the inner surface side of the engaging portion 13 at the other end portion 11 and the outer surface side of the other end supporting portion 21 The other end portion 11 and the other end support portion 21 are brought close to each other so as to face each other. At this time, the convex portion 13c on the inner surface side in the engaging portion 13 (the tongue portion 13b) of the other end portion 11 is directed toward the concave portion 21a on the outer surface side of the other end supporting portion 21 The concave portion 21a is moved toward the convex portion 13c and the guide portion 13d of the other end portion 11 is moved (or slid) along the pair of the edge wall portions 21b, 21b of the other end support portion 21, . The convex portion 13c of the other end portion 11 is engaged with the concave portion 21a of the other end supporting portion 21 so that the other end portion 11 of the core body 1 is engaged with the concave portion 21a of the body portion 2, And is caught by the other end supporting portion 21. The other end 11 is supported by the other end supporting portion 21 as a supporting end and is supported by the other end supporting portion 21 in the state where the other end 11 is held by the other end supporting portion 21. [ The rotation of the core body 1 is restricted (see Figs. 1 and 5).

한편, 타단부(11)의 걸림부(13)에서의 볼록부(13c)를 타단 지지부(21)의 오목부(21a)로부터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또는 오목부(21a)를 볼록부(13c)로부터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타단부(11)의 가이드부(13d)를 타단 지지부(21)의 한 쌍의 에지 벽부(21b, 21b) 사이를 따라 이동(또는 슬라이딩)시킨다. 그리고, 타단부(11)의 볼록부(13c)와 타단 지지부(21)의 오목부(21a)와의 끼워맞춤이 해제되면, 심체(1)의 타단부(11)와 본체부(2)의 타단 지지부(21)와의 걸림이 해제된다. 이와 같이, 양자의 걸림이 해제된 상태에서는, 타단 지지부(21)에 의한 지지가 해제된 타단부(11)는 자유단으로서 타단 지지부(21)로부터 개방되고, 일단부(10)를 기점으로 하여 심체(1)가 본체부(2)에 대하여 회동한다. 이와 같은 본체부(2)에 대한 심체(1)의 회동에서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단부(10)를 기점으로 하여 심체(1)를 본체부(2)에 대하여 원하는 위치까지 이동시켜, 심체(1)의 타단부(11)와 본체부(2)의 타단 지지부(21)를 이격시킬 수 있다. The convex portion 13c of the engaging portion 13 of the other end portion 11 is separated from the concave portion 21a of the other end supporting portion 21 or the concave portion 21a is moved away from the convex portion 13c The guide portion 13d of the other end portion 11 is moved (or slid) along the space between the pair of edge wall portions 21b, 21b of the other end support portion 21 in the direction of separating the other end portion. When the convex portion 13c of the other end portion 11 and the concave portion 21a of the other end supporting portion 21 are released from each other, the other end portion 11 of the core body 1 and the other end The engagement with the support portion 21 is released. In this state, the other end portion 11 released by the other end support portion 21 is released from the other end support portion 21 as a free end, and the one end portion 10 is set as a start point The core body 1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portion 2. 6, the core 1 is moved to a desired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2 with the one end 10 as a starting point The other end 11 of the core body 1 and the other end supporting portion 21 of the main body 2 can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이러한 청소구에 의하면, 심체(1)의 타단부(11)와 본체부(2)의 타단 지지부(21)와의 걸림이 해제된 상태에서는, 심체(1)의 타단부(11)가 자유단으로 되고, 일단부(10)를 기점으로 하여 심체(1)가 본체부(2)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므로, 청소구에 점착 테이프 롤을 착탈할 때, 심체(1)의 타단부(11)와 본체부(2)의 타단 지지부(21)와의 걸림을 해제하고, 일단부(10)를 기점으로 하여 심체(1)를 본체부(2)에 대하여 원하는 위치까지 이동시켜, 심체(1)의 타단부(11)와 본체부(2)의 타단 지지부(21)를 충분히 이격시킴으로써, 심체(1)에 대하여 타단부(11) 측으로부터 일단부(10) 측을 향해 또는 그 역방향으로 점착 테이프 롤을 그 축공을 통하여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when the engagement between the other end 11 of the core 1 and the other end supporting portion 21 of the main body 2 is released, The core body 1 can be rotated relative to the body portion 2 with the end portion 11 as a free end and starting from the one end portion 10 so that when the adhesive tape roll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cleaning tool, And the core body 1 is moved to a desired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portion 2 with the one end portion 10 as a starting point And the other end 11 of the core body 1 and the other end supporting portion 21 of the main body 2 are sufficiently spaced from the other end 11 side toward the end 10 side The adhesive tape roll can be easily attached and detached through the shaft hole in the opposite direction.

또한, 이러한 청소구에서는, 심체(1)의 타단부(11)가 본체부(2)의 타단 지지부(21)에 걸린 상태에서는, 일단부(10)를 기점으로 한 심체(1)의 회동은 규제되므로, 점착 테이프 롤을 사용할 때는, 점착 테이프 롤이 장착된 심체(1)의 타단부(11)를 본체부(2)의 타단 지지부(21)에 걸고, 일단부(10)를 기점으로 한 심체(1)의 회동을 규제함으로써, 심체(1)에 장착된 점착 테이프 롤을 적절히 회전 사용할 수 있다. In this cleaning tool, when the other end portion 11 of the core body 1 is caught by the other end supporting portion 21 of the main body portion 2, the rotation of the core body 1 starting from the one end portion 10 The other end portion 11 of the core body 1 on which the adhesive tape roll is mounted is hooked to the other end support portion 21 of the main body portion 2 and the one end portion 10 is used as the starting point By restricting the rotation of the core body 1, the adhesive tape roll mounted on the core body 1 can be appropriately rotated.

또한, 이러한 청소구에서는, 심체(1)의 타단부(11)는, 요철 끼워맞춤에 의해 본체부(2)의 타단 지지부(21)에 확실하고 또한 용이하게 걸 수 있으므로, 일단부(10)를 기점으로 한 심체(1)의 회동을 확실하게 규제할 수 있다. Since the other end 11 of the core 1 can be surely and easily hooked on the other end supporting portion 21 of the main body 2 by the concave-convex fitting, The rotation of the core body 1 can be reliably regulated.

또한, 이러한 청소구에서는, 타단부(11)의 가이드부(13d)가 타단 지지부(21)의 한 쌍의 에지 벽부(21b, 21b)의 사이를 따라 슬라이딩함으로써, 타단부(11)와 타단 지지부(21)와의 걸림 시에는, 타단부(11)의 볼록부(13c)가 타단 지지부(21)의 오목부(21a)를 향해 또는 오목부(21a)가 볼록부(13c)를 향해 유도되어 심체(1)의 타단부(11)를 본체부(2)의 타단 지지부(21)에 용이하게 걸 수 있다. The guide portion 13d of the other end portion 11 slides along the space between the pair of the edge wall portions 21b and 21b of the other end support portion 21 so that the other end portion 11 and the other end support portion 21, The convex portion 13c of the other end portion 11 is guided toward the concave portion 21a of the other end supporting portion 21 or the concave portion 21a is directed toward the convex portion 13c, The other end portion 11 of the main body portion 1 can be easily hooked to the other end support portion 21 of the main body portion 2. [

한편, 이러한 청소구에서는, 타단부(11)와 타단 지지부(21)와의 걸림을 해제할 때는, 가이드부(13d)가 한 쌍의 에지 벽부(21b, 21b)의 사이를 따라 슬라이딩함으로써, 볼록부(13c)가 오목부(21a)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또는 오목부(21a)가 볼록부(13c)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유도되어, 타단부(11)와 타단 지지부(21)와의 걸림을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청소구에서는, 가이드부(13d)에 손가락을 거는 것에 의해, 타단부(11)를 타단 지지부(21)에 대하여 용이하게 이동시켜, 타단부(11)와 타단 지지부(21)와의 걸림 또는 상기 걸림의 해제를 할 수 있다. In this cleaning tool, when the engagement between the other end portion 11 and the other end support portion 21 is released, the guide portion 13d slides along the pair of the edge wall portions 21b, 21b, The engagement between the other end portion 11 and the other end support portion 21 can be easily releas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concave portion 21a or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convex portion 13c by the concave portion 21a . In this cleaning mouth, the other end 11 is easily moved with respect to the other end supporting portion 21 by engaging the finger on the guide portion 13d so that the engagement between the other end 11 and the other end supporting portion 21 Or release the engagement.

또한, 이러한 청소구에서는, 심체(1)의 연결부(12) 및 걸림부(13)는, 심체 본체부(1a)를 길이 방향을 따라 투영한 투영폭 내에 들어가도록 되어 있으므로, 심체 본체부(1a)에 점착 테이프 롤의 축공을 삽통시킬 때, 또는 심체 본체부(1a)로부터 점착 테이프 롤을 분리해 낼 때, 연결부(12) 및 걸림부(13)가 점착 테이프 롤의 이동을 저해하지 않아, 점착 테이프 롤을 심체(1)에 대하여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Since the connecting portion 12 and the engaging portion 13 of the core body 1 are arranged to be within the projection width obtained by projecting the core body portion 1a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connecting portion 12 and the engaging portion 13 do not impede the movement of the adhesive tape roll when the shaft hole of the adhesive tape roll is inserted into the core body portion 1a or when the adhesive tape roll is separated from the core body portion 1a, The adhesive tape roll can be smoothly moved with respect to the core body 1.

또한, 이러한 청소구에서는, 파지 가능한 손잡이(3)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청소구에 장착한 점착 테이프 롤을 회전 사용할 때나, 점착 테이프 롤을 착탈할 때, 손잡이(3)를 파지하여 작업할 수 있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Further, in this cleaning section, since the handle 3 capable of being held is provided, it is possible to grip and hold the handle 3 when the adhesive tape roll attached to the cleaning mouth is rotated or when the adhesive tape roll is detached , Workability can be improved.

또한, 이러한 청소구에서는, 손잡이(3)에 관통공(P)이 형성되어 있고, 예를 들면, 청소구를 사용하지 않을 때 등에, 벽으로부터 현수(懸垂)된 훅 등의 갈고리형 클로우부(claw portion)에 관통공(P)을 통하여 당겨 거는 것에 의해, 바닥면 등에 탑재시키는 것을 요하는, 정리 정돈할 수 있다. In this cleaning mouth, a through hole P is formed in the handle 3. For example, when a cleaning mouth is not used, a hook-like claw portion such as a hook suspended from the wall claw portion through a through-hole P, so that it is necessary to mount it on a floor surface or the like.

또한, 이러한 청소구에서는, 손잡이(3)의 전면(30a)에서의 폭 방향의 중앙부는, 안길이 방향 전방으로 볼록해지도록 만곡 형상을 이루고, 또한 손잡이(3)의 이면(30b)에서의 폭 방향의 중앙부에는, 양단 측의 한 쌍의 측벽부(31, 31)보다 높고 안길이 방향 이면(30b) 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중앙 벽부(33)가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청소구에서는, 손잡이(3)를 파지했을 때, 잡은 손바닥의 만곡면을 손잡이(3)의 전면(30a) 또는 이면(30b) 측의 형상을 따르기 쉽고, 또는 손가락의 휨 기점인 관절부를 손잡이(3)의 폭 방향을 따르는 주위 방향의 코너부를 따르기 쉽기 때문에, 손잡이(3)를 파지하기 쉽다. The central portion of the front surface 30a of the handle 3 in the widthwise direction has a curved shape so that the seat back is convex toward the front and the width of the back surface 30b of the handle 3 A central wall portion 33 which is formed so as to be convex on the side of the pair of side wall portions 31, 31 on both ends and on the side of the seat portion 30b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fore, in such a cleaning tool, when the grip 3 is gripped, the curved surface of the palm of the hand is easy to follow the shape of the front surface 30a or the back surface 30b side of the handle 3, It is easy to grip the handle 3 because it is easy to follow the corner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handle 3. [

그리고, 본 발명에 이러한 청소구는,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각종 변경이 가능하다. The cleaning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예를 들면, 본 실시형태에서는, 심체(1)는, 원기둥형으로 구성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심체(1)는, 다각 기둥형이나, 길이 방향의 일단부 측으로부터 타단부 측을 향해 좁아지는 형상 등 각종 형상도 가능하며, 또한 길이 방향을 따라 내부에 중공부(中空部) 또는 관통공이 형성된 형상도 가능하다. For examp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re body 1 is described as being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core body 1 may have a polygonal columnar shape, A shape that narrows toward the end side, or a shape in which a hollow portion or a through hole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심체(1)의 연결부(12)는, 베이스부(12a)와 축부(12b)로 구성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연결부(12)는, 본체부(2)의 타단 지지부(21)와 일체적 또는 별체로 힌지로 연결되고, 힌지를 기점으로 하여 심체(1)를 본체부(2)에 회동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연결부(12)는, 연결부(12)를 기점으로 하여 다축(多軸) 회전(예를 들면, 2축이나 3축 주위) 가능하게 타단 지지부(21)에 연결되는 것이나, 또는 연결부(12)는, 볼 조인트를 통하여 타단 지지부(21)에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nection portion 12 of the core 1 is composed of the base portion 12a and the shaft portion 12b.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The core body 1 may be connected to the other end supporting portion 21 of the main body 2 by a hinge integrally or separately so that the core body 1 can be rotated on the main body portion 2 with the hinge as a starting point. The connecting portion 12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supporting portion 21 so as to be capable of multi-axis rotation (for example, around two or three axes) starting from the connecting portion 12, May be connected to the other end supporting portion 21 through a ball joint.

그 외에, 연결부(12)는, 타단 지지부(21)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연결부(12)는, 타단 지지부(21)에 직동(直動)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연결부(12)와 타단 지지부(21) 중 어느 한쪽은, 레일부를 가지고, 다른 쪽은, 레일부에 걸어맞추어져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부를 가지고, 연결부(12)가 타단 지지부(21)에 대하여 직선 운동(또는 직선적으로 가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The connecting portion 12 is not limited to the case where the connecting portion 12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supporting portion 21 and the connecting portion 12 can be connected to the other end supporting portion 21 in a linearly movable manner . For example, one of the connecting portion 12 and the other end supporting portion 21 has a rail portion and the other has a sliding portion that engages and slides on the rail portion, and the connecting portion 12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supporting portion 21 It is possible to constitute a rectilinear motion (or linearly move) with respect to the vehicle.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심체(1)의 타단부(11)와 본체부(2)의 타단 지지부(21)와의 걸림에 있어서, 타단부(11)의 걸림부(13)를 타단 지지부(21)의 외면측으로 하여, 걸림부(13)의 내면의 볼록부(13c)를, 타단 지지부(21)의 외면의 오목부(21a)에 끼워맞추어지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심체(1)의 타단부(11)와 본체부(2)의 타단 지지부(21)와의 걸림에 있어서, 타단부(11)의 걸림부(13)를 타단 지지부(21)의 내면측으로 하여, 걸림부(13)의 외면의 볼록부(13c)를, 타단 지지부(21)의 내면의 오목부(21a)에 끼워맞추어지도록 한 구성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걸림부(13)[입설부(13b)]의 외면에 볼록부(13c)가 형성되고, 타단 지지부(21)의 내면에 오목부(21a)가 형성된다. In this embodiment, in the engagement between the other end 11 of the core 1 and the other end supporting portion 21 of the main body 2, the engaging portion 13 of the other end 11 is engaged with the other end supporting portion 21 The convex portion 13c of the inner surface of the engaging portion 13 is fitted to the concave portion 21a of the outer surface of the other end supporting portion 21. However, The engaging portion 13 of the other end portion 11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side of the other end supporting portion 21 in the engagement between the other end portion 11 of the main body portion 2 and the other end supporting portion 21 of the main body portion 2, It is also possible to adopt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convex portion 13c of the outer surface of the other end support portion 21 is fitted to the concave portion 21a on the inner surface of the other end support portion 21. [ In this case, the convex portion 13c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engaging portion 13 (the tongue portion 13b), and the concave portion 21a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other end supporting portion 21. [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심체(1)의 걸림부(13)에 볼록부(13c)가 형성되고, 본체부(2)의 타단 지지부(21)에 오목부(21a)가 형성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심체(1)의 걸림부(13)에 오목부(구멍부도 포함함)가 형성되고, 본체부(2)의 타단 지지부(21)에 걸림부(13)의 오목부에 끼워맞추어지는 볼록부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protrusion 13c is formed in the latching portion 13 of the core 1 and the concave portion 21a is formed in the other end supporting portion 21 of the main body 2 The concave portion (including the hole portion) is formed in the engaging portion 13 of the core body 1 and the concave portion of the engaging portion 13 is formed in the other end supporting portion 21 of the main body portion 2, It is also possible that a convex portion fitted to the portion is formed.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걸림부(13)는, 수평부(13a)와 입설부(13b)를 가지고, 입설부(13b)가 볼록부(13c)를 가지고 구성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걸림부(13)는, 심체 본체부(1a)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볼록부로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타단 지지부(21)는, 걸림부(13)(볼록부)에 끼워맞추어지는 오목부(구멍부도 포함함)를 가지고 구성된다. 심체(1)의 타단부(11)와 본체부(2)의 타단 지지부(21)와의 걸림에서는, 타단부(11)의 걸림부(13)를 타단 지지부(21)의 내면측으로 하여, 타단 지지부(21)의 내면의 오목부에 걸림부(13)가 끼워맞추어진다. 또는, 걸림부(13)는, 심체 본체부(1a)로부터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오목부(구멍부를 포함함)이며, 타단 지지부(21)는, 걸림부(13)(오목부)에 끼워맞추어지는 볼록부를 가지고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심체(1)의 타단부(11)와 본체부(2)의 타단 지지부(21)와의 걸림에서는, 타단부(11)의 걸림부(13)를 타단 지지부(21)의 내면측으로 하여, 타단 지지부(21)의 내면의 볼록부에 걸림부(13)가 끼워맞추어진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latching portion 13 has the horizontal portion 13a and the mouth portion 13b, and the mouth portion 13b has the convex portion 13c. The engaging portion 13 may be configured as a convex portion formed to be convex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core body portion 1a. In this case, the other end supporting portion 21 is formed with a recess (including a hole) that is fitted to the engaging portion 13 (convex portion). The engaging portion 13 of the other end 11 is made to be the inner surface side of the other end supporting portion 21 and the other end portion 11 of the body 1 is engaged with the other end supporting portion 21 of the body portion 2, The engaging portion 13 is fitted in the concave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engaging portion 21. Alternatively, the engaging portion 13 is a concave portion (including a hole portion)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core body portion 1a and the other end supporting portion 21 is fitted to the engaging portion 13 (concave portion) It is also possible to have a protruding portion fitted thereto. The engaging portion 13 of the other end 11 is made to be the inner surface side of the other end supporting portion 21 and the other end portion 11 of the body 1 is engaged with the other end supporting portion 21 of the body portion 2, The engaging portion 13 is fitted to the convex portion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21.

그 외에, 걸림부(13)의 입설부(13b)는, 세워 형성 방향을 따른 양측 단부에 있어서, 안길이 방향을 따른 오목부를 가지고, 타단 지지부(21)의 내면 또는 외면에는, 오목부에 끼워맞추어지는 볼록부가 길이 방향으로 세워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mouth portion 13b of the engaging portion 13 has recesses along the direction of the seat at both side ends along the standing formation direction, and the inner surface or the outer surface of the other end supporting portion 21 is fitted It is also possible to constitute such that the projected convex portions are formed to b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또한, 그 외에, 걸림부(13)의 입설부(13b)는, 안길이 방향의 전방 및/또는 이면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볼록부를 가지고, 타단 지지부(21)의 한 쌍의 에지 벽부(21b, 21b) 또는 타벽부에 걸림부(13)의 볼록부에 끼워맞추어지는 오목부가 오목하게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insertion portion 13b of the latching portion 13 has a convex portion convexly formed on the front side and / or the back side of the backward direction, and the pair of edge wall portions 21b, 21b or a concave portion to be fitted to the convex portion of the engaging portion 13 on the other wall portion.

또한, 걸림부(13)의 볼록부(13c)를 타단 지지부(21)의 오목부(21a)에 안내하도록, 타단 지지부(21)에는, 수직 형성 방향 단부(端部)로부터 오목부(21a)와 연통되는 유도부(길이 방향을 따른 오목형의 오목부 또는 관통공)가 수직 형성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유도부의 안길이 방향의 치수는, 볼록부(13c) 및 오목부(21a)의 안길이 방향의 치수보다 작게 구성함으로써, 오목부(21a)로부터 볼록부(13c)가 뜻하지 않게 벗어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The concave portion 21a is formed in the other end supporting portion 21 from the end in the vertical forming direction so that the convex portion 13c of the engaging portion 13 is guided to the concave portion 21a of the other end supporting portion 21. [ (A concave portion or a through ho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communicating with the guide portion may be formed along the vertical forming direction. The dimension in the direction of the depth of the guide portion can be made smaller than the dimension of the convex portion 13c and the concave portion 21a in the direction of the direction so that the convex portion 13c does not accidentally deviate from the concave portion 21a have.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타단부(11)와 타단 지지부(21)와의 걸림은, 볼록부(13c)와 오목부(21a)와의 요철 끼워맞춤에 의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타단부(11)는, 타단 지지부(21)를 당겨 걸어 거는 갈고리 클로우형의 훅부(hook member)를 가지고, 또는 타단 지지부(21)는, 타단부(11)를 당겨 걸어 거는 갈고리 클로우형의 훅부를 가지고, 훅부의 훅에 의해, 타단부(11)와 타단 지지부(21)를 걸리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engagement between the other end portion 11 and the other end support portion 21 has been explained by engaging convex and concave portions between the convex portion 13c and the concave portion 21a.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The other end portion 11 has a hook member of a claw claw type for pulling the other end support portion 21 or the other end support portion 21 has a hook claw type hook It is also possible to hook the other end portion 11 and the other end support portion 21 by the hook of the hook portion.

그 외에, 타단부(11)는, 타단 지지부(21)를 향해 가압하는 가압 수단을 구비하거나, 또는 타단 지지부(21)는, 타단부(11)를 향해 가압하는 가압 수단을 가지고, 가압 수단에 의한 가압력에 의해, 타단부(11)와 타단 지지부(21)를 걸리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other end portion 11 is provided with a pressing means for pressing toward the other end supporting portion 21 or the other end supporting portion 21 has a pressing means for pressing toward the other end portion 11, The other end portion 11 and the other end support portion 21 can be engaged with each other.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점착 테이프 롤은, 중심선 상을 따라 축공이 형성되도록, 테이프형 기재를 점착면일뿐인 면을 외측으로 하여 중심선의 주위에 권취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점착 테이프 롤은, 중심선 상을 따라 축공이 형성되도록, 테이프형 기재를 점착면일뿐인 면을 내측으로 하여 중심선의 주위에 권취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이라도 되고, 점착 테이프 롤은, 테이프형 기재의 한쪽 및 다른 쪽 면이 모두 점착면에 의해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adhesive tape roll has been described by taking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tape-like base material is wound around the center line with the surface only of the adhesive surface facing outward so that a shaft hole is formed along the center line. However, The adhesive tape roll may be constituted by winding the tape-like base material around the center line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tape-like base material only being the adhesive surface, and the adhesive tape roll may be constituted by a tape- And the other surface may be constituted by the adhesive surface.

1: 심체, 1a: 심체 본체부, 10: 일단부, 11: 타단부, 12: 연결부, 12a: 베이스부, 12b: 축부, 13: 걸림부, 13a: 수평부, 13b: 입설부, 13c: 볼록부, 13d: 가이드부, 2: 본체부, 2a: 본체 지지부, 20: 일단 지지부, 20a: 베어링부, 21: 타단 지지부, 21a: 오목부, 21b, 21b: 한 쌍의 에지 벽부, 3: 손잡이, 30: 앞벽부, 30a: 앞벽부의 전면, 30b: 앞벽부의 이면, 31, 31: 한 쌍의 측벽부, 32: 상벽부, 33: 중앙 벽부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re body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 pair of edge wall portions and a pair of edge wall portions ar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ain body support portion, A pair of side wall portions 32, a top wall portion 33, a central wall portion 30,

Claims (3)

적어도 한쪽 면이 점착면(粘着面)으로 되어 있는 테이프형 기재(基材)를, 중심선 상에 통형(筒形)으로 권취하여 이루어지는 점착 테이프 롤의 통공(筒孔)에 삽통(揷通)되는 심체(芯體; core)와, 상기 심체가 설치되는 본체부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심체의 삽통 방향에서의 일단부와 타단부를 각각 지지하기 위한 일단 지지부와 타단 지지부를 포함하는 청소구(cleaning tool)로서,
상기 심체의 일단부는, 상기 일단부를 기점(起点)으로 하여 상기 심체를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가동(可動)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부의 일단 지지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심체의 타단부는, 상기 본체부의 타단 지지부에 걸거나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게 걸리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타단부가 상기 타단 지지부에 걸린 상태에서는, 상기 일단부를 기점으로 한 상기 심체의 상기 가동은 규제되어 있고, 상기 걸림이 해제된 상태에서는, 상기 일단부가 기점으로 되고, 상기 타단부가 상기 타단 지지부로부터 개방된 자유단으로 되어, 상기 심체가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가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청소구.
(Base material) in which at least one surface is an adhesive surface (adhesive surface) is inserted into a through hole of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roll formed by winding in a cylindrical shape on a center line And a main body part provided with the core body. The main body part includes a cleaning part having one end supporting part and the other end supporting part for supporting one end and the other end in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core, As a cleaning tool,
One end of the core body is connected to the one end support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so that the core body can be moved relative to the main body portion with the one end portion as a starting point,
And the other end of the core body is configured to be hooked on or separated from the other end support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in a state where the other end portion is caught by the other end support portion, the movement of the core body, And the other end is a free end opened from the other end supporting portion and the core body is configured to be movable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portion in the state in which the engagement is released,
Clean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심체의 타단부와 상기 본체부의 타단 지지부 중 어느 한쪽에 오목부가 형성되고, 다른 쪽에 상기 오목부에 끼워맞추어지는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타단부와 상기 타단 지지부와의 상기 걸림은, 상기 오목부와 상기 볼록부에 의한 요철(凹凸) 끼워맞춤인, 청소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concave portion is formed in one of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core body and the other end supporting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a convex portion fitted to the concave portion is formed on the other side,
And the engagement between the other end portion and the other end support portion is a concave / convex fitment by the concave portion and the convex por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심체의 타단부와 상기 본체부의 타단 지지부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은, 상기 걸림 시에 상기 볼록부를 상기 오목부를 향해 또는 상기 오목부를 상기 볼록부를 향해 유도하고, 상기 걸림의 해제 시에 상기 오목부로부터 상기 볼록부를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또는 상기 볼록부로부터 상기 오목부를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유도하는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있는, 청소구.
3. The method of claim 2,
At least one of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core and the other end supporting portion of the main body guides the convex portion toward the concave portion or the concave portion toward the convex portion at the time of the engagement, And a guiding portion for guiding the convex portion in a direction separating the convex portion or in a direction for separating the concave portion from the convex portion.
KR1020167010396A 2013-10-11 2013-10-11 Cleaning tool KR102053788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3/077774 WO2015052835A1 (en) 2013-10-11 2013-10-11 Cleaning too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8800A true KR20160068800A (en) 2016-06-15
KR102053788B1 KR102053788B1 (en) 2019-12-09

Family

ID=52812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0396A KR102053788B1 (en) 2013-10-11 2013-10-11 Cleaning tool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293162B2 (en)
KR (1) KR102053788B1 (en)
CN (1) CN105682527B (en)
WO (1) WO2015052835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70013B1 (en) 2018-10-24 2022-12-14 Techtronic Floor Care Technology Limited Floor clean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90066A (en) 2001-12-27 2003-07-08 Yamazaki Corp Cleaning device
JP2004057602A (en) * 2002-07-30 2004-02-26 Matsuura Plast Kk Adhesive cleaner
JP2010221063A (en) * 2010-06-11 2010-10-07 Kao Corp Cleaning tool
JP5051734B2 (en) * 2010-06-11 2012-10-17 花王株式会社 Clean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28820A (en) * 1985-04-02 1986-10-13 東郷 修 Cleaner
JPS62137030A (en) * 1985-12-09 1987-06-19 中島 義雄 Roller type adhesive tape dust adhering container
JPH07227375A (en) * 1994-02-21 1995-08-29 Masayuki Hanabusa Cleaning device
JP2004237023A (en) * 2002-02-28 2004-08-26 Kao Corp Pressure sensitive self-adhesive roll cleaner
JP4176784B2 (en) * 2006-06-01 2008-11-05 勲 河野 Portable dust collector
JP5349248B2 (en) * 2009-10-21 2013-11-20 株式会社ニトムズ Adhesive cleaner
JP3171809U (en) * 2011-09-06 2011-11-17 赤門ウイレックス株式会社 Adhesive roller holde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90066A (en) 2001-12-27 2003-07-08 Yamazaki Corp Cleaning device
JP2004057602A (en) * 2002-07-30 2004-02-26 Matsuura Plast Kk Adhesive cleaner
JP2010221063A (en) * 2010-06-11 2010-10-07 Kao Corp Cleaning tool
JP5051733B2 (en) * 2010-06-11 2012-10-17 花王株式会社 Cleaning tool
JP5051734B2 (en) * 2010-06-11 2012-10-17 花王株式会社 Clean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682527B (en) 2018-10-16
WO2015052835A1 (en) 2015-04-16
JPWO2015052835A1 (en) 2017-03-09
KR102053788B1 (en) 2019-12-09
JP6293162B2 (en) 2018-03-14
CN105682527A (en) 2016-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692998S1 (en) Anal irrigation device
JP2008266025A (en) Belt retaining device
JPWO2016135897A1 (en) Slider for slide fastener
KR20160068800A (en) Cleaning tool
JP2016041219A (en) Adhesion type cleaning tool
JP2003265401A (en) Pressure sensitive adhesion type cleaner
KR20180112663A (en) Cleaning device
WO2010064215A3 (en) A universal tape machine (utm) head assembly for a carton sealing machine
JP2016106813A (en) Guide wire introduction assist tool
CN211299986U (en) Eye standard silkworm measuring tool that crouches
CN212382587U (en) Cleaning tool handle, cleaning tool, and cleaning sheet for cleaning tool
TWI608817B (en) Cleaner
JP2010240972A (en) Cartridge type coating film transfer tool
JP3140773U (en) Operation cord clamp
CN110916774A (en) Sheath tearing and stripping depth regulator
JP2015034030A (en) Sheet body holder and sheet body holding method
JPH107312A (en) Tape dispenser
WO2008120760A1 (en) Binding machine
JP2007153440A (en) Wrap holder
CN202137746U (en) Hand-held tool lever accommodation structure
JP2016226244A (en) Charge connector
JP2010012063A (en) Roll paper holder
TW201607700A (en) Quick-release female joint tool
JP6180444B2 (en) Cleaning tool
ITMI20070110U1 (en) DETERMINATION OF A NAIL DURING HIS INTRODUCTION WITHIN A SOLID BO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