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0594A - 단말의 위치 측위를 위한 기록매체 및 위치정보관리장치 - Google Patents

단말의 위치 측위를 위한 기록매체 및 위치정보관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0594A
KR20160070594A KR1020140177760A KR20140177760A KR20160070594A KR 20160070594 A KR20160070594 A KR 20160070594A KR 1020140177760 A KR1020140177760 A KR 1020140177760A KR 20140177760 A KR20140177760 A KR 20140177760A KR 20160070594 A KR20160070594 A KR 201600705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position information
message
management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77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부섭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777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70594A/ko
Publication of KR201600705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05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04W64/003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locating network equip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205Details
    • G01S5/0242Determining the position of transmitters to be subsequently used in position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205Details
    • G01S5/0244Accuracy or reliability of position solution or of measurements contributing theret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60Subscription-based services using application servers or record carriers, e.g. SIM application toolk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22Selective call receivers
    • H04W88/023Selective call receivers with message or information receiving capability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의 위치 측위에 있어서 정확도를 효율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단말의 위치 측위를 위한 기록매체 및 위치정보관리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Description

단말의 위치 측위를 위한 기록매체 및 위치정보관리장치{RECORDING MEDIA FOR MEASURING MOBILE LOCATION AND LOCATION MANAGEMENT APPARATUS}
본 발명은, 단말의 위치 측위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말의 위치 측위에 있어서 정확도를 효율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단말의 위치 측위를 위한 기록매체 및 위치정보관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단말의 위치정보를 측정하는 위치 측위 기술로서 가장 많이 쓰고 있는 방식은, 단말이 접속된 기지국의 셀 위치정보를 이용하는 셀(Cell)기반 방식이다.
이러한 셀기반 방식은, 셀 커버리지의 크기만큼 오차가 발생하기 때문에 정확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위치 측위 기술로서, 셀기반 방식 보다 정확도가 높은 방식으로는, WiFi정보를 기 축적하여 구축한 WiFi DB를 이용하는 WiFi기반 방식, 그리고 단말의 GPS신호를 이용하는 GPS기반 방식이 있다.
WiFi기반 방식은, 측위 결과 즉 측정한 단말의 위치정보 정확도가 셀기반 방식 보다 높지만, WiFi DB를 구축하는 비용이 상당히 많이 들고 DB 구축 정보가 매우 적어 실효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많이 쓰이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반면, GPS기반 방식은, 측위 결과 즉 측정한 단말의 위치정보 정확도가 가장 높다는 장점이 있지만, 단말이 건물 안이 아닌 GPS신호가 수신되는 장소에 있어야 하고 단말에 저장된 GPS신호가 최신 정보여야 하는 상황적인 제약 조건을 갖는 단점이 있다.
결국, 단말의 위치 측위에 있어서, 비교적 정확도가 높은 WiFi기반 방식 및 GPS기반 방식이 있음에도, 비록 정확도가 떨어지지만 상황적인 제약 조건이 크지 않은 셀기반 방식이 가장 많이 쓰이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측위 결과로서 얻어지는 단말의 위치정보에 대한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단말의 위치 측위에 있어서, 측위 결과로서 얻어지는 단말의 위치정보에 대한 정확도를 효율적으로 향상시키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단말의 위치 측위에 있어서 정확도를 효율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단말의 위치 측위를 위한 기록매체 및 위치정보관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는, 자기 단말의 위치정보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자기 단말의 주변단말을 탐색하기 위한 탐색메시지를 전송하여, 상기 탐색메시지를 수신한 주변단말로부터 응답되는 탐색응답메시지에서 상기 주변단말의 위치정보를 파악하는 단계; 및 상기 자기 단말의 위치정보 및 상기 주변단말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자기 단말의 최종 위치정보를 계산하여 확인하거나, 또는 상기 자기 단말의 위치정보 및 상기 주변단말의 위치정보를 위치정보관리장치로 제공하여, 위치정보관리장치에서 상기 자기 단말의 위치정보 및 상기 주변단말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자기 단말의 최종 위치정보를 계산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명령어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변단말의 위치정보를 파악하는 단계는, 상기 자기 단말의 위치정보가 기 설정된 정확도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만, 수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위치정보관리장치로부터 상기 자기 단말의 위치정보가 기 설정된 정확도조건을 만족하지 못한다는 판단결과를 수신한 경우에만, 수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자기 단말은, 상기 위치정보관리장치로부터 위치 측위가 요청된 단말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탐색메시지는, 상기 자기 단말 및 상기 주변단말에서 사용하는 이동통신 기반의 주파수대역을 통해, 상기 자기 단말에서 브로드캐스팅되는 메시지일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위치정보관리장치는, 특정 단말에 대하여 위치 측위를 요청하는 측위요청부; 상기 요청에 따라 상기 특정 단말의 위치정보를 확인하는 위치정보확인부; 상기 특정 단말의 주변단말에서 송신되는 위치정보메시지를 수신하는 메시지수신부; 및 상기 특정 단말의 위치정보 및 상기 주변단말의 위치정보메시지를 이용해서, 상기 특정 단말의 최종 위치정보를 계산하는 위치정보계산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위치정보확인부는, 상기 특정 단말의 위치정보가 기 설정된 정확도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만, 상기 특정 단말에게 주변단말로 주변단말의 위치정보메시지를 상기 특정 단말 또는 상기 위치정보관리장치에게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특정 단말의 최종 위치정보는, 상기 특정 단말의 위치정보 및 상기 주변단말의 위치정보 각각을 기초로 계산되는 위치정보 평균값일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의 위치 측위를 위한 기록매체 및 위치정보관리장치에 의하면, 단말의 위치 측위에 있어서 정확도를 효율적으로 향상시키는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단말의 주변 환경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록매체가 탑재된 단말 및 위치정보관리장치가 포함되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위치정보관리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위치정보관리장치의 동작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단말의 주변 환경을 보여주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10)에 의해 형성되는 셀(C10) 내에는 다수의 단말(예 : 1,2,3,4,5)가 위치할 수 있고, 이러한 다수의 단말(예 : 1,2,3,4,5) 각각은 셀(C10)을 형성하는 기지국(10)에 접속하여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다수의 단말(예 : 1,2,3,4,5) 모두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단말일 수도 있고, 다수의 단말(예 : 1,2,3,4,5) 중 일부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단말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단말의 위치정보를 측정하는 위치 측위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다수의 단말(예 : 1,2,3,4,5) 중에서 측위 대상 단말로서 단말1을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먼저, 기존의 일반적인 위치 측위 방식을 간단하게 설명하면, 셀 위치정보를 이용하는 셀(Cell)기반 방식, WiFi DB를 이용하는 WiFi기반 방식, 및 GPS신호를 이용하는 GPS기반 방식, 이렇게 3가지 방식이 있다.
이때, WiFi기반 방식 및 GPS기반 방식의 경우, 측위 결과 즉 측정한 단말의 위치정보 정확도가 높은 장점이 있지만, WiFi기반 방식은 WiFi DB를 구축하는 비용이 상당히 많이 들고 DB 구축 정보가 매우 적어 실효성이 떨어지는 상황적인 제약 조건이 있고, GPS기반 방식은 단말이 건물 안이 아닌 GPS신호가 수신되는 장소에 있어야 하고 단말에 저장된 GPS신호가 최신 정보여야 하는 상황적인 제약 조건이 있다.
반면, 셀기반 방식의 경우, 상황적인 제약 조건이 크지 않은 장점으로 인해 가장 많이 쓰기는 방식이지만, 측위 결과 즉 측정한 단말의 위치정보 정확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예를 들면, 단말1의 위치 측위 시, 셀기반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라면, 단말1의 위치정보로서 단말1이 접속한 기지국(10)의 셀(C10) 위치정보(예 : 셀 중앙위치)가 측정될 것이다.
결국, 셀기반 방식을 사용하여 측정된 단말1의 위치정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1이 접속하고 있는 셀(C10)의 셀 커버리지가 크면 클수록, 실제 단말1의 위치와의 오차가 커질 것이고 정확도는 더욱 떨어질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단말의 위치 측위에 있어서, 측위 결과로서 얻어지는 단말의 위치정보에 대한 정확도를 효율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측위방식(이하, D2D 활용 측위방식)을 제안하고자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에서는 제안하는 D2D 활용 측위방식을 실현하는 실현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와 위치정보관리장치(서버)를 제안하고자 한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록매체가 탑재된 단말(100) 및 위치정보관리장치(200)가 포함되는 시스템을 간략하게 설명하겠다.
이때, 단말(100)은, 본 발명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가 탑재되어 있는 자기 단말로서, 측위 대상 단말이라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에 도시된 단말1을 언급하여, 단말(100)과 단말1이 동일한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겠다.
단말(100)은, 측위 이벤트가 발생하면, 기 보유하고 있는 측위방식을 통해 단말(100) 자신의 위치정보를 측정하게 된다.
이때, 측위 이벤트는, 단말(100)에서 위치정보를 필요로 하는 기능 또는 앱(예 : 길찾기 기능 또는 앱)을 실행한 경우 또는 위치정보관리장치(200)로부터 위치 측위가 요청된 경우,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단말(100)은, 측위 이벤트가 발생하면, 기 보유하고 있는 측위기능, 예컨대 셀기반 방식, WiFi기반 방식, 및 GPS기반 방식 중 어느 하나를 통해 단말(100) 자신의 위치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단말(100)의 위치정보가, 셀기반 방식을 통해 측정되는 경우를 예로서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한편, 본 발명이 적용되는 단말(100)은, 기본적으로 주변단말을 탐색 및 식별하기 위한 탐색메시지를 전송하는 기능을 보유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단말(100)은, 이동통신 기반의 주파수대역을 통해서 주변단말을 탐색 및 식별하기 위한 탐색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하여 전송하는 기능을 보유하는 것을 전제로 하며, 이러한 기능을 보다 구체적으로 정의하면 LTE D2D(Device-to-Device communication) 기능이라 할 수 있다.
LTE D2D 기술이란, 서로 근접한 단말끼리 기지국 또는 AP(Access Point)와 같은 기존 인프라를 거치지 않고 직접적으로 통신하는 기술을 의미하며, Wi-Fi, Bluetooth, ZigBee, NFC 등과 같은 근거리 통신 기술이 비면허 주파수대역(Unlicensed Band)을 사용하는 것과 달리, 이동통신 기반의 주파수대역 즉 면허 주파수대역(Licensed Band)을 사용한다.
비면허 주파수대역은, 간섭 측면이나 서비스 측면에서 제어가 어려워 서비스 품질의 보장에 대한 한계가 존재하며 전송 범위 또한 한정적인 문제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이동통신 기반의 면허 주파수대역을 사용하여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단말 간에서는, 비면허 주파수대역을 통한 단말 간 통신(예 : Wi-Fi, Bluetooth, ZigBee, NFC) 보다는, 이동통신 기반의 면허 주파수대역을 통한 단말 간 통신 즉 LTE D2D 통신이 간섭 및 서비스 측면의 제어, 품질 보장 등에서 효과적일 것이다.
이러한 LTE D2D 기술은, 주변단말을 탐색 및 식별하기 위한 탐색메시지(예 : LTE D2D Discovery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하는 단말 탐색(Discovery)단계, 단말 탐색단계에서 탐색 및 식별한 단말 간의 데이터 전송링크를 생성하는 링크 생성단계, 단말 간의 데이터 전송링크가 생성된 후 실질적인 통신이 이루어지는 데이터 전송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이에, 단말(100)은, 기본적으로 LTE D2D 기술을 지원하는 기능(이하, LTE D2D기능)을 보유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이러한, 단말(100)은, 전술과 같이 단말(100) 자신의 위치정보를 측정하는 한편, LTE D2D기능을 활용한 탐색메시지(예 : LTE D2D Discovery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하여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말(100)은, 전술과 같이 측정한 단말(100)의 위치정보가 기 설정된 정확도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LTE D2D기능을 활용한 탐색메시지(예 : LTE D2D Discovery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하여 전송할 수 있다.
또는, 단말(100)은, 전술과 같이 측정한 단말(100)의 위치정보를 확인한 위치정보관리장치(200)로부터 단말(100)의 위치정보가 기 설정된 정확도조건을 만족하지 못한다는 판단결과를 수신한 경우, LTE D2D기능을 활용한 탐색메시지(예 : LTE D2D Discovery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정확도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란, 단말(100)의 위치정보가 셀(Cell)기반 방식을 통해서 측정된 경우를 의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금번 측정한 단말(100)의 위치정보가, 정확도가 비교적 높은 WiFi기반 방식 또는 GPS기반 방식이 아닌, 정확도가 낮은 셀기반 방식을 통해서 측정된 경우라면, 정확도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에 해당될 것이고, 이 경우 단말(100)은 LTE D2D기능을 활용한 탐색메시지(예 : LTE D2D Discovery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하여 전송하게 된다.
이에, 단말(100, 단말1과 동일)의 주변단말 즉, 도 1과 같이 단말(100, 단말1과 동일)의 주변에 위치한 단말2,3,4에서는 LTE D2D기능을 보유한다면 단말(100)으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되는 탐색메시지를 수신하게 될 것이다.
이 경우, 주변단말2,3,4는, LTE D2D기능에 따라서 탐색메시지에 대응하여 탐색응답메시지를 단말(100) 또는 위치정보관리장치(200)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단말(100)로부터의 탐색메시지를 수신한 주변단말2,3,4는, 이에 대한 탐색응답메시지를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고, 또는 단말(100)를 통해 기지국(10)을 거쳐 위치정보관리장치(200)로 전송하거나 단말(100)을 통하지 않고 통해 기지국(10)을 거쳐 위치정보관리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주변단말2,3,4 각각은, 탐색응답메시지의 정해진 부분에 부가정보로서 자신의 위치정보를 포함시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탐색응답메시지에 포함되는 주변단말2,3,4 각각의 위치정보는, 셀기반 방식 보다 정확도가 높은 WiFi기반 방식 또는 GPS기반 방식을 통해 측정된 위치정보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겠다.
단말(100)은, 주변단말2,3,4에서 전송되는 탐색응답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각 탐색응답메시지로부터 주변단말2,3,4 각각의 위치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단말(100)은, 단말(100)의 위치정보 및 주변단말2,3,4 각각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를 계산하여 및 확인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단말(100)은, 단말(100)의 위치정보 및 주변단말2,3,4 각각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위치정보 평균값을 계산하고, 계산한 위치정보 평균값을 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로 확인할 수 있다.
또는, 단말(100)은, 단말(100)의 위치정보 및 주변단말2,3,4 각각의 위치정보를 위치정보관리장치(200)로 제공하여, 위치정보관리장치(200)에서 단말(100)의 위치정보 및 주변단말2,3,4 각각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를 계산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단말(100)은, 앞서 측정한 단말(100)의 위치정보를 위치정보관리장치(200)로 제공한다.
또한, 단말(100)은, 주변단말2,3,4에서 전송되는 탐색응답메시지에서 파악한 주변단말2,3,4 각각의 위치정보를 위치정보관리장치(200)로 제공한다.
이에, 위치정보관리장치(200)는, 단말(100)의 위치정보 및 주변단말2,3,4 각각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를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위치정보관리장치(200)는, 단말(100)의 위치정보 및 주변단말2,3,4 각각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위치정보 평균값을 계산하고, 계산한 위치정보 평균값을 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로 결정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앞서 측정한 단말(100)의 위치정보는, 셀기반 방식으로 측정되었기 때문에, 단말(100, 단말1과 동일)이 접속한 기지국(10)의 셀(C10) 위치정보(예 : 셀 중앙위치)일 것이며, 단말(100)의 실제 위치와 오차가 클 것이다. 한편, 주변단말2,3,4 각각의 위치정보는, WiFi기반 방식 또는 GPS기반 방식으로 측정되었기 때문에, 비교적 주변단말2,3,4 각각의 실제 위치와 일치할 것이다.
이에, 주변단말2,3,4 각각의 위치정보 및 단말(100)의 위치정보 각각을 기초로 계산되는 위치정보 평균값(=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는, 앞서 측정된 단말(100)의 위치정보(예 : 셀 중앙위치) 보다 단말(100)의 실제 위치에 근접하여 오차가 줄어든 정보일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D2D 활용 측위방식에 따르면, 단말(100)의 위치 측위에 있어서, 단말(100)에 보유된 LTE D2D기능의 탐색메시지를 활용하여 주변단말(예 : 2,3,4)의 위치정보를 쉽게 획득하고, 획득한 주변단말(예 : 2,3,4)의 위치정보 및 단말(100)에서 측정된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를 계산함으로써, 측위 결과로서 얻어지는 단말(100)의 위치정보(최종 위치정보) 오차를 줄여 정확도를 효율적으로 향상시키는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D2D 활용 측위방식은, 측위 대상 단말에서 정확도가 높은 측위방식(예 : WiFi기반 방식 및 GPS기반 방식)을 사용할 수 없고, 정확도가 떨어지는 측위방식(예 : 셀기반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말(100)은, 측위부(110)와, D2D기능부(120)와, 최종위치정보확인부(130)을 포함한다.
측위부(110)는, 측위 대상 단말인 자기 단말, 즉 단말(100)의 위치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기능부이다.
예를 들어, 측위부(110)는, 셀기반 방식, WiFi기반 방식, 및 GPS기반 방식 중 어느 하나를 통해 단말(100)의 위치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이에, 측위부(110)는, 단말(100)에서 측위 이벤트가 발생하면, 측위부(110)는, 셀기반 방식, WiFi기반 방식, 및 GPS기반 방식 중 어느 하나를 통해 단말(100)의 위치정보를 측정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단말(100)의 위치정보가, 셀기반 방식을 통해 측정되는 경우를 예로서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D2D기능부(120)는, 서로 근접한 단말끼리 기지국 또는 AP(Access Point)와 같은 기존 인프라를 거치지 않고 직접적으로 통신하기 위한 기능부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D2D기능부(120)는, LTE D2D 기술을 지원하는 기능부이다.
이에, D2D기능부(120)는, LTE D2D기능을 활용한 탐색메시지(예 : LTE D2D Discovery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하여 전송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D2D기능부(120)는, 측위부(110)에서 측정한 단말(100)의 위치정보가 기 설정된 정확도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또는 측위부(110)에서 측정한 단말(100)의 위치정보를 확인한 위치정보관리장치(200)로부터 단말(100)의 위치정보가 기 설정된 정확도조건을 만족하지 못한다는 판단결과를 수신한 경우에, LTE D2D기능을 활용한 탐색메시지(예 : LTE D2D Discovery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정확도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란, 단말(100)의 위치정보가 셀기반 방식을 통해서 측정된 경우를 의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금번 측정한 단말(100)의 위치정보가, 정확도가 비교적 높은 WiFi기반 방식 또는 GPS기반 방식이 아닌, 정확도가 낮은 셀기반 방식을 통해서 측정된 경우라면, 정확도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에 해당될 것이고, 이 경우 D2D기능부(120)는 LTE D2D기능을 활용한 탐색메시지(예 : LTE D2D Discovery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하여 전송하게 된다.
이에, 단말(100, 단말1과 동일)의 주변단말 즉, 도 1과 같이 단말(100, 단말1과 동일)의 주변에 위치한 단말2,3,4에서는 LTE D2D기능을 보유한다면 단말(100)으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되는 탐색메시지를 수신하게 될 것이다.
이 경우, 주변단말2,3,4는, LTE D2D기능에 따라서 탐색메시지에 대응하여 탐색응답메시지를 단말(100) 또는 위치정보관리장치(200)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단말(100)로부터의 탐색메시지를 수신한 주변단말2,3,4는, 이에 대한 탐색응답메시지를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고, 또는 단말(100)를 통해 기지국(10)을 거쳐 위치정보관리장치(200)로 전송하거나 단말(100)을 통하지 않고 통해 기지국(10)을 거쳐 위치정보관리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D2D기능부(120)는, 단말(100)이 전송(브로드캐스팅)한 탐색메시지에 대응하여 주변단말2,3,4로부터 응답되는 탐색응답메시지를 수신할 것이다.
최종위치정보확인부(130)는, 단말(100)의 위치정보를 확인하고, 주변단말2,3,4의 탐색응답메시지로부터 주변단말2,3,4 각각의 위치정보를 확인하면, 단말(100)의 위치정보 및 주변단말2,3,4 각각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계산되는 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를 확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최종위치정보확인부(130)는, 단말(100)의 위치정보 및 주변단말2,3,4 각각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를 직접 계산하여 및 확인할 수도 있다.
또는, 최종위치정보확인부(130)는, 단말(100)의 위치정보 및 주변단말2,3,4 각각의 위치정보를 위치정보관리장치(200)로 제공한다.
위치정보관리장치(200)는, 단말(100)의 위치정보 및 주변단말2,3,4 각각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위치정보 평균값을 계산하고, 계산한 위치정보 평균값을 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로 결정할 수 있다.
이에, 최종위치정보확인부(130)는, 위치정보관리장치(200)에서 계산된 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최종위치정보확인부(130)는, 전술과 같이 확인한 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를, 측위결과로서 단말(100)에서 실행한 기능 또는 앱(예 : 길찾기 기능 또는 앱)과 연동하는 위치기반서비스로 제공하거나, 위치정보관리장치(2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단말(100)에 따르면, 단말(100)의 위치 측위에 있어서, 단말(100)에 보유된 LTE D2D기능의 탐색메시지를 활용하여 주변단말(예 : 2,3,4)의 위치정보를 쉽게 획득하고, 획득한 주변단말(예 : 2,3,4)의 위치정보 및 단말(100)에서 측정된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를 계산함으로써, 측위 결과로서 얻어지는 단말(100)의 위치정보(최종 위치정보) 오차를 줄여 정확도를 효율적으로 향상시키는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한편, 전술에 언급한 측위부(110), D2D기능부(120) 및 최종위치정보확인부(130) 중 적어도 하나는, 기록매체(예 :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 등) 형태로 구성되어 단말(100)에 탑재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면, 측위부(110) 및 D2D기능부(120)는 단말(100)에 구비되어 있는 기능일 수 있고, 최종위치정보확인부(130)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D2D 활용 측위방식을 실현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한 기록매체(예 :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 등) 형태로 구성되어 단말(100)에 탑재된 것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위치정보관리장치(200)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위치정보관리장치(200)는, 특정 단말에 대하여 위치 측위를 요청하는 측위요청부(210)와, 상기 요청에 따라 상기 특정 단말의 위치정보를 확인하는 위치정보확인부(220)와, 상기 특정 단말의 주변단말에서 송신되는 위치정보메시지를 수신하는 메시지수신부(230)와, 상기 특정 단말의 위치정보 및 상기 주변단말의 위치정보메시지를 이용해서, 상기 특정 단말의 최종 위치정보를 계산하는 위치정보계산부(240)를 포함한다.
측위요청부(210)는, 특정 단말에 대하여 위치 측위를 요청한다.
이때, 특정 단말은, 측위 대상 단말을 의미하며, 전술과 같이 단말(100)을 언급하도록 하겠다.
즉, 측위요청부(210)는, 측위 대상 단말인 단말(100)에 대하여 위치 측위를 요청한다.
위치정보확인부(220)는, 전술의 요청에 따라 단말(100)의 위치정보를 확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위치정보관리장치(200)로부터 위치 측위를 요청 받은 단말(100)은, 요청에 따라서, 기 보유하고 있는 측위기능, 예컨대 셀기반 방식, WiFi기반 방식, 및 GPS기반 방식 중 어느 하나를 통해 단말(100) 자신의 위치정보를 측정할 것이다.
그리고, 단말(100)은, 측정한 단말(100)의 위치정보를 기지국(10)을 거쳐 위치정보관리장치(200)로 전송한다.
이에 위치정보확인부(220)는, 단말(100)로부터 전송되는 단말(100)의 위치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메시지수신부(230)는, 단말(100)의 주변단말에서 송신되는 위치정보메시지를 수신한다.
여기서, 위치정보메시지란, 주변단말의 위치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메시지를 의미하며, 예컨대 LTE D2D기능 기반의 탐색응답메시지일 수 있다.
즉, 메시지수신부(230)는, 단말(100)의 주변단말에서 송신되는 위치정보메시지 예컨대 탐색응답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위치정보확인부(220)는, 단말(100)의 위치정보가 기 설정된 정확도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만, 단말(100)에게 주변단말로 주변단말의 위치정보메시지를 단말(100) 또는 위치정보관리장치(200)에게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위치정보확인부(220)는, 단말(100)의 위치정보가 기 설정된 정확도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여 정확도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이에 대응하는 판단결과(정확도조건 만족 못함)을 단말(1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단말(100)에서는, 위치정보관리장치(200)로부터 단말(100)의 위치정보가 기 설정된 정확도조건을 만족하지 못한다는 판단결과를 수신한 경우에만, 탐색메시지 즉 주변단말을 탐색하기 위한 LTE D2D기능을 활용한 탐색메시지(예 : LTE D2D Discovery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정확도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란, 단말(100)의 위치정보가 셀기반 방식을 통해서 측정된 경우를 의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단말(100, 단말1과 동일)의 주변단말 즉, 도 1과 같이 단말(100, 단말1과 동일)의 주변에 위치한 단말2,3,4에서는, LTE D2D기능을 보유한다면 단말(100)으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되는 탐색메시지를 수신하게 될 것이다.
이 경우, 주변단말2,3,4는, LTE D2D기능에 따라서 탐색메시지에 대응하여 탐색응답메시지를 단말(100) 또는 위치정보관리장치(200)로 전송한다.
결국, 단말(100)의 주변단말2,3,4는, 단말(100)의 위치정보가 기 설정된 정확도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만 단말(100)에서 전송될 수 있는 탐색메시지를 수신함에 따라, 탐색응답메시지를 단말(100) 또는 위치정보관리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메시지수신부(230)는, 단말(100)의 주변단말2,3,4에서 전송되는 탐색응답메시지(위치정보 포함)를 수신할 수 있다.
위치정보계산부(240)는, 단말(100)의 위치정보 및 주변단말2,3,4의 탐색응답메시지로부터 파악되는 주변단말2,3,4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를 계산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위치정보계산부(240)는, 전술에서 수신한 주변단말2,3,4의 탐색응답메시지로부터 주변단말2,3,4의 위치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이에, 위치정보계산부(240)는, 단말(100)의 위치정보 및 주변단말2,3,4 각각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위치정보 평균값을 계산하고, 계산한 위치정보 평균값을 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로 결정할 수 있다.
위치정보계산부(240)는, 전술의 계산한 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를, 측위결과로서 단말(100)로 제공하거나, 단말(100)과 연동시키고자 하는 위치기반서비스로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위치정보관리장치(200)에 따르면, 단말(100)의 위치 측위에 있어서, 단말(100)에 보유된 LTE D2D기능의 탐색메시지를 활용하여 주변단말(예 : 2,3,4)의 위치정보를 쉽게 획득하고, 획득한 주변단말(예 : 2,3,4)의 위치정보 및 단말(100)에서 측정된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를 계산함으로써, 측위 결과로서 얻어지는 단말(100)의 위치정보(최종 위치정보) 오차를 줄여 정확도를 효율적으로 향상시키는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의 도 1 내지 도 4에서 언급한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때, 설명의 편의 상, 본 발명의 단말로서 도 1에 도시된 단말1,2,3,4,5 중 단말1을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1에서는, 측위 이벤트 예컨대 단말1에서 위치정보를 필요로 하는 기능 또는 앱(예 : 길찾기 기능 또는 앱)을 실행한 경우 또는 위치정보관리장치(200)로부터 위치 측위가 요청된 경우와 같은, 측위 이벤트가 발생할 수 있다(S100).
본 발명에 따른 단말1의 동작 방법은, 측위 이벤트가 발생하면, 자기 단말 즉 단말1의 위치정보를 측정한다(S110).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1의 동작 방법은, 기 보유하고 있는 측위기능, 예컨대 셀기반 방식, WiFi기반 방식, 및 GPS기반 방식 중 어느 하나를 통해 단말1자신의 위치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단말1의 위치정보가, 셀기반 방식을 통해 측정되는 경우를 예로서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1의 동작 방법은, S110단계에서 측정한 단말1의 위치정보가 기 설정된 정확도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여(S115), 정확도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S115 No), LTE D2D기능을 활용한 탐색메시지(예 : LTE D2D Discovery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하여 전송할 수 있다(S120).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단말1의 동작 방법은, 단말1의 위치정보가 정확도조건을 만족하는 경우(S115 Yes), S110단계에서 측정한 단말1의 위치정보를 측위결과로서 단말1에서 실행한 기능 또는 앱(예 : 길찾기 기능 또는 앱)과 연동하는 위치기반서비스로 제공하거나, 위치정보관리장치(200)로 제공할 수 있다(S150).
이때, 정확도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란, 단말1의 위치정보가 셀(Cell)기반 방식을 통해서 측정된 경우를 의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단말1의 주변단말 즉, 도 1과 같이 단말1의 주변에 위치한 단말2,3,4에서는 LTE D2D기능을 보유한다면 단말1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되는 탐색메시지를 수신하게 될 것이다.
이 경우, 주변단말2,3,4는, LTE D2D기능에 따라서 탐색메시지에 대응하여 탐색응답메시지를 단말1로 전송한다.
이때, 주변단말2,3,4 각각은, 탐색응답메시지의 정해진 부분에 부가정보로서 자신의 위치정보를 포함시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탐색응답메시지에 포함되는 주변단말2,3,4 각각의 위치정보는, 셀기반 방식 보다 정확도가 높은 WiFi기반 방식 또는 GPS기반 방식을 통해 측정된 위치정보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겠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단말1의 동작 방법은, S120단계에서 단말1이 전송(브로드캐스팅)한 탐색메시지에 대응하여 주변단말2,3,4에서 전송되는 탐색응답메시지를 수신하고, 각 탐색응답메시지로부터 주변단말2,3,4 각각의 위치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S130).
이후, 본 발명에 따른 단말1의 동작 방법은, 앞서 측정한 단말1의 위치정보 및 주변단말2,3,4 각각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단말1의 최종 위치정보를 계산 및 확인할 수 있다(S140).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단말1의 동작 방법은, 단말1의 위치정보 및 주변단말2,3,4 각각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위치정보 평균값을 계산하고, 계산한 위치정보 평균값을 단말1의 최종 위치정보로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단말1의 동작 방법은, S140단계에서 확인하는 단말1의 최종 위치정보를, 측위결과로서 단말1에서 실행한 기능 또는 앱(예 : 길찾기 기능 또는 앱)과 연동하는 위치기반서비스로 제공하거나, 위치정보관리장치(200)로 제공할 수 있다(S150).
물론, 본 발명에 따른 단말1의 동작 방법은, S130단계에서 주변단말2,3,4 각각의 위치정보를 확인한 후, S140단계를 통해 단말1이 직접 단말1의 최종 위치정보를 계산하는 대신, 단말1의 위치정보 및 주변단말2,3,4 각각의 위치정보를 위치정보관리장치(200)로 제공하여 위치정보관리장치(200)에서 단말1의 위치정보 및 주변단말2,3,4 각각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계산되는 단말1의 최종 위치정보를 위치정보관리장치(200)로부터 확인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의 동작 방법에 따르면, 단말1의 위치 측위에 있어서, 단말1에 보유된 LTE D2D기능의 탐색메시지를 활용하여 주변단말(예 : 2,3,4)의 위치정보를 쉽게 획득하고, 획득한 주변단말(예 : 2,3,4)의 위치정보 및 단말1에서 측정된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단말1의 최종 위치정보를 계산함으로써, 측위 결과로서 얻어지는 단말1의 위치정보(최종 위치정보) 오차를 줄여 정확도를 효율적으로 향상시키는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위치정보관리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의 도 1 내지 도 4에서 언급한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본 발명에 따른 위치정보관리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측위 대상 단말 즉 전술과 같이 단말1에 대하여 위치 측위를 요청한다(S200).
본 발명에 따른 위치정보관리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전술의 요청에 따라 단말1의 위치정보를 확인한다(S210).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위치정보관리장치(200)로부터 위치 측위를 요청 받은 단말1은, 요청에 따라서, 기 보유하고 있는 측위기능, 예컨대 셀기반 방식, WiFi기반 방식, 및 GPS기반 방식 중 어느 하나를 통해 단말1 자신의 위치정보를 측정할 것이다.
그리고, 단말1은, 측정한 단말1의 위치정보를 기지국(10)을 거쳐 위치정보관리장치(200)로 전송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위치정보관리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단말1로부터 전송되는 단말1의 위치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후, 본 발명에 따른 위치정보관리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단말1의 주변단말에서 송신되는 위치정보메시지를 수신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위치정보관리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단말1의 위치정보가 기 설정된 정확도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만, 단말1에게 주변단말로 주변단말의 위치정보메시지(예 : 탐색응답메시지)를 단말1 또는 위치정보관리장치(200)에게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위치정보관리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단말1의 위치정보가 기 설정된 정확도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여(S215), 정확도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이에 대응하는 판단결과(정확도조건 만족 못함)을 단말1로 제공할 수 있다(S215 No).
이에, 단말1에서는, 위치정보관리장치(200)로부터 단말1의 위치정보가 기 설정된 정확도조건을 만족하지 못한다는 판단결과를 수신한 경우에, 탐색메시지 즉 주변단말을 탐색하기 위한 LTE D2D기능을 활용한 탐색메시지(예 : LTE D2D Discovery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정확도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란, 단말1의 위치정보가 셀기반 방식을 통해서 측정된 경우를 의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단말1의 주변단말 즉, 도 1과 같이 단말1의 주변에 위치한 단말2,3,4에서는 LTE D2D기능을 보유한다면 단말1으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되는 탐색메시지를 수신하게 될 것이다.
이 경우, 주변단말2,3,4는, LTE D2D기능에 따라서 탐색메시지에 대응하여 탐색응답메시지를 단말1 또는 위치정보관리장치(200)로 전송한다.
결국, 단말1의 주변단말2,3,4는, 단말1의 위치정보가 기 설정된 정확도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만 단말1에서 전송될 수 있는 탐색메시지를 수신함에 따라, 탐색응답메시지를 단말1 또는 위치정보관리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위치정보관리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단말1의 주변단말2,3,4에서 전송되는 위치정보메시지 즉 탐색응답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S220).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위치정보관리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단말1의 주변단말2,3,4에서 전송되는 탐색응답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한 주변단말2,3,4의 탐색응답메시지로부터 주변단말2,3,4의 위치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S220).
본 발명에 따른 위치정보관리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단말1의 위치정보 및 주변단말2,3,4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단말1의 최종 위치정보를 계산한다(S230).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위치정보관리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단말1의 위치정보 및 주변단말2,3,4 각각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위치정보 평균값을 계산하고, 계산한 위치정보 평균값을 단말1의 최종 위치정보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위치정보관리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전술의 계산한 단말1의 최종 위치정보를, 측위결과로서 단말1로 제공하거나, 단말1과 연동시키고자 하는 위치기반서비스로 제공할 수 있다(S240).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위치정보관리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단말1의 위치정보가 정확도조건을 만족하는 경우(S215 Yes), S210단계에서 확인한 단말1의 위치정보를 측위결과로서 단말1로 제공하거나, 단말1과 연동시키고자 하는 위치기반서비스로 제공할 수 있다(S240).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위치정보관리장치(200)의 동작 방법에 의하면, 단말1의 위치 측위에 있어서, 단말1에 보유된 LTE D2D기능의 탐색메시지를 활용하여 주변단말(예 : 2,3,4)의 위치정보를 쉽게 획득하고, 획득한 주변단말(예 : 2,3,4)의 위치정보 및 단말1에서 측정된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단말1의 최종 위치정보를 계산함으로써, 측위 결과로서 얻어지는 단말1의 위치정보(최종 위치정보) 오차를 줄여 정확도를 효율적으로 향상시키는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의 위치 측위에 있어서, 단말에서 측정된 위치정보와, 단말에 보유된 LTE D2D기능의 탐색메시지를 활용하여 획득한 주변단말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단말의 최종 위치정보를 얻음으로써, 측위 결과로서 얻어지는 단말의 위치정보(최종 위치정보) 오차를 줄여 정확도를 효율적으로 향상시키는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 방법, 위치정보관리장치의 동작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의 위치 측위를 위한 기록매체 및 위치정보관리장치에 따르면, 단말의 위치 측위에 있어서 정확도를 효율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0 : 단말
110 : 측위부 120 : D2D기능부
130 : 최종위치정보확인부
200 : 위치정보관리장치
210 : 측위요청부 220 : 위치정보확인부
230 : 메시지수신부 240 : 위치정보계산부

Claims (8)

  1. 자기 단말의 위치정보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자기 단말의 주변단말을 탐색하기 위한 탐색메시지를 전송하여, 상기 탐색메시지를 수신한 주변단말로부터 응답되는 탐색응답메시지에서 상기 주변단말의 위치정보를 파악하는 단계; 및
    상기 자기 단말의 위치정보 및 상기 주변단말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자기 단말의 최종 위치정보를 계산하여 확인하거나, 또는 상기 자기 단말의 위치정보 및 상기 주변단말의 위치정보를 위치정보관리장치로 제공하여, 위치정보관리장치에서 상기 자기 단말의 위치정보 및 상기 주변단말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자기 단말의 최종 위치정보를 계산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단말의 위치정보를 파악하는 단계는,
    상기 자기 단말의 위치정보가 기 설정된 정확도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만,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단말의 위치정보를 파악하는 단계는,
    상기 위치정보관리장치로부터 상기 자기 단말의 위치정보가 기 설정된 정확도조건을 만족하지 못한다는 판단결과를 수신한 경우에만,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 단말은,
    상기 위치정보관리장치로부터 위치 측위가 요청된 단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탐색메시지는,
    상기 자기 단말 및 상기 주변단말에서 사용하는 이동통신 기반의 주파수대역을 통해, 상기 자기 단말에서 브로드캐스팅되는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6. 특정 단말에 대하여 위치 측위를 요청하는 측위요청부;
    상기 요청에 따라 상기 특정 단말의 위치정보를 확인하는 위치정보확인부;
    상기 특정 단말의 주변단말에서 송신되는 위치정보메시지를 수신하는 메시지수신부; 및
    상기 특정 단말의 위치정보 및 상기 주변단말의 위치정보메시지를 이용해서, 상기 특정 단말의 최종 위치정보를 계산하는 위치정보계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관리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확인부는,
    상기 특정 단말의 위치정보가 기 설정된 정확도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만, 상기 특정 단말에게 주변단말로 주변단말의 위치정보메시지를 상기 특정 단말 또는 상기 위치정보관리장치에게 전송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관리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단말의 최종 위치정보는,
    상기 특정 단말의 위치정보 및 상기 주변단말의 위치정보 각각을 기초로 계산되는 위치정보 평균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관리장치.
KR1020140177760A 2014-12-10 2014-12-10 단말의 위치 측위를 위한 기록매체 및 위치정보관리장치 KR201600705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7760A KR20160070594A (ko) 2014-12-10 2014-12-10 단말의 위치 측위를 위한 기록매체 및 위치정보관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7760A KR20160070594A (ko) 2014-12-10 2014-12-10 단말의 위치 측위를 위한 기록매체 및 위치정보관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0594A true KR20160070594A (ko) 2016-06-20

Family

ID=56354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7760A KR20160070594A (ko) 2014-12-10 2014-12-10 단말의 위치 측위를 위한 기록매체 및 위치정보관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7059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6080A (ko) 2016-10-27 2018-05-08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위치 측정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6080A (ko) 2016-10-27 2018-05-08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위치 측정 방법, 장치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13104B2 (en) Vehicle location services
US9648651B2 (en) Methods and apparatus to determine distance between devices for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and proximity services
US20190132832A1 (en)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EP2818886B1 (en) Network positioning method and related equipment
JP2020519036A (ja) 無線通信に用いられる電子装置及び方法
US20110200023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a position fix indoors
EP3491855B1 (en) Method and apparatus relating to v2x communication
WO2015135478A1 (zh) 一种终端定位方法及设备
US1032127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rvice
WO2014110727A1 (zh) 定位处理方法、装置及系统
US20160174142A1 (en) Radio base station apparatus, radio terminal apparatus, radio communication system, inter-terminal direct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WO2013171993A1 (ja) 基地局測位装置、基地局測位方法及び基地局測位プログラム
KR101810687B1 (ko) 이동 단말의 위치 측위 방법 및 기록 매체
WO2022079980A1 (ja) 電波マップ更新装置、及び通信品質特定装置
AU2021235888A1 (en) Passive asset tracking using observations of Wi-Fi access points
US2013008898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verage of wireless transceiver
KR20160070594A (ko) 단말의 위치 측위를 위한 기록매체 및 위치정보관리장치
JP2010016731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不感地帯検出方法及び装置
TW202135546A (zh) 使用無線保真(Wi-Fi)存取點之觀測進行的被動資產追蹤
US20230276397A1 (en) Method for generating positioning data
WO2023065306A1 (en) Method and apparatus of sidelink positioning
KR20170017099A (ko) 에이전트를 이용한 와이파이 포지셔닝 시스템을 위한 액세스 포인트 정보 수집 방법 및 장치
KR101590412B1 (ko) 주변단말 간 서비스 이용을 위한 기록매체 및 서비스제공장치
KR20140112321A (ko) 모바일 단말, 그를 이용한 무선 통신 방법 및 그를 기록한 기록매체
KR20110035889A (ko) 무선 측위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