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9924A - 터치 메모리 펜 - Google Patents

터치 메모리 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9924A
KR20160069924A KR1020140176146A KR20140176146A KR20160069924A KR 20160069924 A KR20160069924 A KR 20160069924A KR 1020140176146 A KR1020140176146 A KR 1020140176146A KR 20140176146 A KR20140176146 A KR 20140176146A KR 20160069924 A KR20160069924 A KR 201600699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pen
memory
unit
master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6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원우
Original Assignee
최원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원우 filed Critical 최원우
Priority to KR10201401761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69924A/ko
Publication of KR201600699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99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1Mouse/trackball convertible devices, in which the same ball is used to track the 2D relative mov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2Light pens for emitting or receiving ligh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 메모리 펜에 관한 것으로,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이동단말 등과 같은 마스터 장치의 포인팅 디바이스로 동작하면서 동시에 외장 메모리로 동작하되, 마스터 장치의 터치 스크린상에서의 사용자 조작에 따라 문서, 이미지, 동영상, 음성 파일 등과 같은 컨텐츠 데이터를 쉽고 간편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터치 메모리 펜{Touch memory pen}
본 발명은 터치 펜 기술에 관련한 것으로, 특히 터치 메모리 펜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 제20-2013-0007278호(2013. 12. 20)에서 용도에 따라 성분의 교체 또는 충전할 수 있는 필기용 잉크가 내재되어 있고, 펜촉의 누름 조작에 따라 카운 팅이 가능한 쓰기 겸용 메모리 전자펜을 제안하고 있으며, 펜촉을 필요에 따라 터치식 펜촉으로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자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이동단말 등과 같은 마스터 장치의 포인팅 디바이스로 동작하면서 동시에 외장 메모리로 동작하되, 마스터 장치의 터치 스크린상에서의 사용자 조작에 따라 문서, 이미지, 동영상, 음성 파일 등과 같은 컨텐츠 데이터를 쉽고 간편하게 관리할 수 있는 터치 메모리 펜에 대한 연구를 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 제20-2013-0007278호(2013. 12. 20)
본 발명은 상기한 취지하에 발명된 것으로,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이동단말 등과 같은 마스터 장치의 포인팅 디바이스로 동작하면서 동시에 외장 메모리로 동작하되, 마스터 장치의 터치 스크린상에서의 사용자 조작에 따라 문서, 이미지, 동영상, 음성 파일 등과 같은 컨텐츠 데이터를 쉽고 간편하게 관리할 수 있는 터치 메모리 펜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터치 메모리 펜이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일단에 결합되는 터치펜부와; 상기 몸체부 타단에 결합되는 메모리부와; 상기 터치펜부와 메모리부 사이의 몸체부 내부에 내장되어 마스터 장치와 근거리 무선 통신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터치 메모리 펜이 상기 메모리부 단부에 형성되는 USB 포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터치 메모리 펜이 몸체부 외곽 특정 부위에 형성되어 메모리부로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또는 메모리부로부터 데이터를 읽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행하는 조작 버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가 블루투스(Bluetooth) 또는 NFC(Naer Field Communication) 또는 지그비(Zigbee) 통신 방식으로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터치펜부가 정전식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터치펜부가 감압식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마스터 장치가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이동단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이동단말 등과 같은 마스터 장치의 포인팅 디바이스로 동작하면서 동시에 외장 메모리로 동작하되, 마스터 장치의 터치 스크린상에서의 사용자 조작에 따라 문서, 이미지, 동영상, 음성 파일 등과 같은 컨텐츠 데이터를 쉽고 간편하게 관리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 메모리 펜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 실시예들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 명세서 전반에 걸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사용자 또는 운용자의 의도, 관례 등에 따라 충분히 변형될 수 있는 사항이므로, 이 용어들의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 메모리 펜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터치 메모리 펜(100)은 몸체부(110)와, 터치펜부(120)와, 메모리부(130)와, 근거리 무선 통신부(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부(110)는 외부 충격에 의해 변형되지 않는 강도가 높은 프라스틱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단은 터치펜부(120)가 장착되고, 타단은 메모리부(130)가 장착될 수 있는 결합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결합 구조는 나사 결합 구조일 수 있다.
상기 터치펜부(120)는 상기 몸체부(110) 일단에 결합되어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이동단말 등의 마스터 장치(200)의 포인팅 디바이스로 동작한다. 예컨대, 상기 터치펜부(120)가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흐르는 전류를 흡수하는 정전식 또는 감압식 터치스크린에 압력을 가하는 감압식일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130)는 상기 몸체부(120) 타단에 결합되어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이동단말 등의 마스터 장치(200)의 외장 메모리로 동작한다. 예컨대, 상기 메모리부(130)가 플래쉬 메모리일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140)는 상기 터치펜부(120)와 메모리부(130) 사이의 몸체부(110) 내부에 칩(chip) 형태로 내장되어 마스터 장치와 근거리 무선 통신한다. 예컨대,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140)가 블루투스(Bluetooth) 또는 NFC(Naer Field Communication) 또는 지그비(Zigbee) 통신 방식으로 통신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렇게 구현함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터치 메모리 펜(100)은 몸체부(110) 일단에 결합되는 터치펜부(120)가 마스터 장치(200)의 포인팅 디바이스로 동작하고, 몸체부(110) 타단에 결합되는 메모리부(130)가 마스터 장치(200)의 외장 메모리로 인식되어 동작한다.
이 때, 마스터 장치의 터치 스크린상에서의 사용자 조작에 따라 근거리 무선 통신부(140)를 통해 문서, 이미지, 동영상, 음성 파일 등과 같은 컨텐츠 데이터를 메모리부(130)에 저장하거나, 메모리부(130)로부터 읽을 수 있어 쉽고 간편하게 컨텐츠 데이터 관리가 가능하므로,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터치 메모리 펜(100)이 상기 메모리부(130) 단부에 형성되는 USB 포트(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USB 포트(150)가 크기가 비교적 소형인 Micro-A 또는 Micro-B 타입 USB 포트일 수 있다. 이 때, USB 포트(150)를 보호하기 위한 별도의 포트 커버(151)를 구비할 수도 있다.
이 실시예는 블루투스(Bluetooth) 또는 NFC(Naer Field Communication) 또는 지그비(Zigbee) 통신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이 지원하지 않는 마스터 장치(200)의 USB 연결젝에 USB 포트(150)를 삽입하여 메모리부(130)가 마스터 장치(200)의 외장 메모리로서 동작하도록 한 실시예이다.
한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터치 메모리 펜(100)이 몸체부(110) 외곽 특정 부위에 형성되어 메모리부(130)로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또는 메모리부(130)로부터 데이터를 읽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행하는 조작 버튼(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마스터 장치(200)에 의해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터치 메모리 펜(100)이 외장형 메모리로 인식된 후, 사용자가 마스터 장치(200)의 터치 스크린상에서 문서, 이미지, 동영상, 음성 파일 등과 같은 컨텐츠를 터치 메모리 펜(100)의 터치펜부(120)를 터치하여 선택한 상태에서 조작 버튼(160)을 누르면, 해당 컨텐츠 데이터가 저장될 메모리부(130)의 디렉토리 선택을 위한 화면 인터페이스가 제공되고, 이 상태에서 터치 메모리 펜(100)을 통해 디렉토리를 선택하면, 선택된 디렉토리로 선택된 컨텐츠 데이터가 저장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마스터 장치(200)에 의해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터치 메모리 펜(100)이 외장형 메모리로 인식된 후, 사용자가 마스터 장치(200)의 터치 스크린상에 표시되는 메모리부(130)의 디렉토리를 검색해 문서, 이미지, 동영상, 음성 파일 등과 같은 컨텐츠를 터치 메모리 펜(100)의 터치펜부(120)를 터치하여 선택한 상태에서 조작 버튼(160)을 누르면, 메모리부(130)로부터 선택된 컨텐츠 데이터가 읽어져 마스터 장치(200)의 터치 스크린상에 실행되거나, 표시되거나 또는 재생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현함에 의해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이동단말 등과 같은 마스터 장치의 포인팅 디바이스로 동작하면서 동시에 외장 메모리로 동작하되, 마스터 장치의 터치 스크린상에서의 사용자 조작에 따라 문서, 이미지, 동영상, 음성 파일 등과 같은 컨텐츠 데이터를 쉽고 간편하게 관리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에서 제시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의해 참조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이러한 기재로부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괄되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본 발명은 터치 펜 기술분야 및 이의 응용 기술분야에서 산업상으로 이용 가능하다.
100 : 터치 메모리 펜
110 : 몸체부
120 : 터치펜부
130 : 메모리부
140 : 근거리 무선 통신부
150 : USB 포트
151 : 포트 커버
160 : 조작 버튼
200 : 마스터 장치

Claims (7)

  1.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일단에 결합되는 터치펜부와;
    상기 몸체부 타단에 결합되는 메모리부와;
    상기 터치펜부와 메모리부 사이의 몸체부 내부에 내장되어 마스터 장치와 근거리 무선 통신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메모리 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메모리 펜이:
    상기 메모리부 단부에 형성되는 USB 포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메모리 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메모리 펜이:
    몸체부 외곽 특정 부위에 형성되어 메모리부로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또는 메모리부로부터 데이터를 읽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행하는 조작 버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메모리 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가:
    블루투스(Bluetooth) 또는 NFC(Naer Field Communication) 또는 지그비(Zigbee) 통신 방식으로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메모리 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펜부가:
    정전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메모리 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펜부가:
    감압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메모리 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장치가: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이동단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메모리 펜.
KR1020140176146A 2014-12-09 2014-12-09 터치 메모리 펜 KR201600699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6146A KR20160069924A (ko) 2014-12-09 2014-12-09 터치 메모리 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6146A KR20160069924A (ko) 2014-12-09 2014-12-09 터치 메모리 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9924A true KR20160069924A (ko) 2016-06-17

Family

ID=56343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6146A KR20160069924A (ko) 2014-12-09 2014-12-09 터치 메모리 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6992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92926B2 (en) 2021-07-14 2023-02-2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Establishing wireless pairing via electrostatic interface using temporary key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7278U (ko) 2012-06-12 2013-12-20 윤영휘 메모리용 전자 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7278U (ko) 2012-06-12 2013-12-20 윤영휘 메모리용 전자 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92926B2 (en) 2021-07-14 2023-02-2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Establishing wireless pairing via electrostatic interface using temporary ke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4288B1 (ko) 입력 유닛에 햅틱 효과를 제공하는 휴대 단말 및 방법
KR101992192B1 (ko) 이동 단말기
KR102091077B1 (ko) 입력 유닛의 피드백을 제어하는 휴대 단말 및 방법과, 이를 제공하는 상기 입력 유닛 및 방법
US20130201162A1 (en) Multi-purpose pen input device for use with mobile computers
US20170031467A1 (en) Method, accessory and touch writing pen for simultaneously forming entity and electronic handwriting
KR101561763B1 (ko)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전자 장비용 정보 처리 방법 및 장비
KR102191345B1 (ko) 전자 기기의 입력 장치, 방법 및 시스템
KR102476127B1 (ko) 전자 장치와 연결된 스타일러스 펜과 연관된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장치 및 그에 관한 방법
US20140028636A1 (en) Multi-function stylus
US20110267306A1 (en) Electronic reading apparatus and the note recording method thereof
KR102102663B1 (ko) 휴대단말기의 사용 방법 및 장치
CN104281316A (zh) 电子设备的输入设备及使用所述输入设备的输入方法
US20150177838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haptic feedback
KR20200017788A (ko) 버튼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의 동작 방법
KR20200067593A (ko) 증강 현실 이모지를 생성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에 관한 방법
US10755461B2 (en) Display device, display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20200033962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igital pen
KR20160069924A (ko) 터치 메모리 펜
KR102336983B1 (ko) 필기 입력에 의해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하는 펜 타입의 멀티 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266191B1 (ko) 스크린을 제어하는 휴대 단말 및 방법
KR101459077B1 (ko) 스마트 펜을 이용한 필기 입력에 따른 전송장치
CN204180169U (zh) 移动终端的快捷拍摄系统
KR102459727B1 (ko) 전자 펜을 이용하여 동작 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108089732B (zh) 演示用电容笔及投影手机
CN201792620U (zh) 书写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