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6983B1 - 필기 입력에 의해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하는 펜 타입의 멀티 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필기 입력에 의해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하는 펜 타입의 멀티 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6983B1
KR102336983B1 KR1020140193084A KR20140193084A KR102336983B1 KR 102336983 B1 KR102336983 B1 KR 102336983B1 KR 1020140193084 A KR1020140193084 A KR 1020140193084A KR 20140193084 A KR20140193084 A KR 20140193084A KR 102336983 B1 KR102336983 B1 KR 1023369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image data
unit
handwriting
tex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3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0601A (ko
Inventor
이도영
이주환
천시내
박시화
김종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930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6983B1/ko
Priority to PCT/KR2015/001365 priority patent/WO2016108336A1/en
Priority to US14/638,797 priority patent/US9753555B2/en
Publication of KR201600806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06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69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69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04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14Image acquisition
    • G06V30/142Image acquisition using hand-held instruments;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instruments
    • G06V30/1423Image acquisition using hand-held instruments;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instruments the instrument generating sequences of position coordinates corresponding to handwrit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8Timing circuits for raster scan 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1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during image pickup, e.g. digital cameras, camcorders, video cameras having integrated special effects capabilit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80/00Specific applications
    • G09G2380/02Flexible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필기 입력에 의해 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하는 펜 타입의 멀티 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을 개시한다. 본 명세서에 따른 펜 타입 멀티 미디어 디바이스는, 펜 형태의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어느 한 방향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사용자의 필기 입력을 센싱하여 입력 신호 및 필기 신호를 출력하는 필기 센서부; 및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한 이미지 데이터 및 상기 필기 센서부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입력 신호 및 필기 신호를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펜 타입 멀티 미디어 디바이스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부를 사용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한 후 미리 설정된 입력시간 이내에 상기 필기 센서부를 통해 사용자의 입력 신호를 수신할 때, 상기 입력 신호 및 필기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 동작에 따라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르면, 팬 사용이 익숙한 사용자에게 사용자의 필기 입력을 통해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필기 입력에 의해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하는 펜 타입의 멀티 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PEN TYPE MULTI-MEDIA DEVICE PROCESSING IMAGE DATA BY HANDWRITING INPUT AND CONTROL METHOD TREROF}
본 명세서는 펜 타입의 멀티 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필기 입력에 의해 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하는 펜 타입의 멀티 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기술 발전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멀티 미디어 디바이스가 개발되고 있다. 특히, 휴대성을 높이면서도 기존 펜을 통해 정보를 기록하던 습관에 익숙한 사용자를 위해 필기 입력이 가능한 펜 타입의 멀티 미디어 디바이스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 펜 타입의 멀티 미디어 디바이스에는 다양한 기능이 포함될 수 있으며, 다양한 기술 중 하나로서 카메라를 통한 사진 촬영이 가능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의사에 따라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멀티 미디어 디바이스와 사용자 사이에 인터페이스가 필요하며, 펜 타입의 멀티 미디어 디바이스의 특징을 이용한 기술이 요구된다.
본 명세서는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을 인식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필기 입력에 의해 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하는 펜 타입의 멀티 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명세서에 따른 펜 타입 멀티 미디어 디바이스는, 펜 형태의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어느 한 방향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사용자의 필기 입력을 센싱하여 입력 신호 및 필기 신호를 출력하는 필기 센서부; 및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한 이미지 데이터 및 상기 필기 센서부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입력 신호 및 필기 신호를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펜 타입 멀티 미디어 디바이스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부를 사용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한 후 미리 설정된 입력시간 이내에 상기 필기 센서부를 통해 사용자의 입력 신호를 수신할 때, 상기 입력 신호 및 필기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 동작에 따라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신호가 문자 입력일 때, 상기 필기 센서부를 통해 수신된 필기 입력을 문자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문자를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추가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환된 문자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가 화면에 디스플레이되었을 때 상기 디스플레이된 사진 위에 겹쳐진 형태로 보이도록 추가할 수 있으면, 상기 디스플레이된 사진의 뒷면에 추가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신호가 태그 입력일 때, 상기 필기 센서부를 통해 수신된 입력을 문자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문자에 대응하는 태그를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추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신호가 저장폴더선택 입력일 때, 상기 필기 센서부를 통해 수신된 입력을 문자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문자에 대응하는 폴더에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환된 문자에 대응하는 폴더가 존재하지 않을 때, 상기 변환된 문자의 이름을 가진 폴더를 생성한 후,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생성된 폴더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신호가 데이터전송 입력일 때, 상기 필기 센서부를 통해 수신된 입력을 문자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문자에 대응하는 수신지로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데이터전송은 SMS, e-mail 및 SNS로 이루어진 군에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필기 센서부는 가속도 센서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필기 센서부를 통해 수신된 패턴을 문자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문자에 대응하는 제어 동작에 따라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 위치한 필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필기 센서부는 상기 필기부에 의해 쓰여진 문자를 인식하는 영상 인식센서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필기 센서부가 인식한 문자를 광학 문자 인식(OCR)을 통해 문자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문자에 대응하는 제어 동작에 따라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펜 타입 멀티 미디어 디바이스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화면이 제어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한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롤러블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몸체부는, 일 측면에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의 크기에 대응하는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는 상기 몸체부 내부에는 감겨진 상태에서 상기 홈을 통해 상기 몸체부의 외부로 펼쳐질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명세서에 따른 펜 타입 멀티 미디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은, 카메라부, 사용자의 필기 입력을 센싱하여 입력 신호 및 필기 신호를 출력하는 필기 센서부 및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한 이미지 데이터 및 상기 필기 센서부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입력 신호를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펜 타입 멀티 미디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으로서, (a) 상기 제어부가 상기 카메라부를 사용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b) 상기 제어부가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한 후 미리 설정된 입력시간 이내에 상기 필기 센서부를 통해 사용자의 입력 신호를 수신할 때, 상기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 동작에 따라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르면, 팬 사용이 익숙한 사용자에게 사용자의 필기 입력을 통해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명세서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명세서를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펜 타입 멀티 미디어 디바이스의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펜 타입 멀티 미디어 디바이스에 포함된 구성요소의 전기적 연결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펜 타입 멀티 미디어 디바이스에 포함될 수 있는 구성 요소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라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한 펜 타입 멀티 미디어 디바이스의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에 따른 펜 타입 멀티 미디어 디바이스의 사용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미지 데이터에 문자를 추가하는 입력의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문자가 추가된 이미지 데이터의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이미지 데이터에 태그를 추가하는 입력의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이미지 데이터를 특정 폴더에저장하는 입력의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하는 입력의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펜 타입 멀티 미디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을 간략하게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고 또 이것에 의해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펜 타입 멀티 미디어 디바이스의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펜 타입 멀티 미디어 디바이스(10)는 몸체부(100), 카메라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100)는 펜(pen)의 형태를 가진다. 상기 펜 형태는 다양한 길이, 굵기, 외형을 가질 수 있으며, 인체공학을 고려하여 다양한 굴곡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카메라부(110)는 상기 몸체부(100)의 어느 한 방향을 촬영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부(110)는 상기 디바이스(10)의 주변 환경의 이미지를 촬영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 이를 위해 카메라부(110)는 광학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할 수 있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부(110)에서 촬영되어 전기적 신호로 변환된 이미지는 이후에 설명될 저장부(170)에 저장된 후 역시 이후에 설명될 제어부(130)로 출력되거나, 저장없이 바로 상기 제어부(130)로 출력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부(110)에 의해 촬영되는 이미지는 정지 영상이 될 수도 있고, 동영상이 될 수도 있다. 상기 카메라부(110)는 모션 센서 또는 비디오 센서로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카메라부(110)는 필요에 따라 복수의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펜 타입 멀티 미디어 디바이스에 포함된 구성요소의 전기적 연결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펜 타입 멀티 미디어 디바이스(10)는 필기 센서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부(110)에 대해서는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2에 도시된 상기 카메라부(110) 및 필기 센서부(120)는 전기적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각각 상기 제어부(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필기 센서부(120)는 사용자의 필기 입력을 센싱하여 입력 신호 및 필기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입력 신호란, 상기 카메라부(110)를 통해 획득된 이미지 데이터를 어떻게 처리할 것인가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의미한다. 상기 입력 신호의 예시로서,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문자를 추가하고자 하는 입력,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태그(tag)를 추가하고자 하는 입력,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특정 폴더에 저장하고자 하는 입력 및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고자 하는 입력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필기 신호란, 사용자가 본 명세서에 따른 펜 타입 멀티 미디어 디바이스(10)를 통해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 등의 내용을 의미한다. 즉, 사용자가 상기 디바이스(10)를 펜처럼 사용했을 때, 사용자가 의도한 문자, 숫자, 도형, 이미지 등을 의미한다.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카메라부(110)에서 촬영한 이미지 데이터 및 상기 필기 센서부(12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입력 신호 및 필기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펜 타입 멀티 미디어 디바이스에 포함될 수 있는 구성 요소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펜 타입 멀티 미디어 디바이스(10)는 카메라부(110), 필기 센서부(120) 및 제어부(130) 이외에 입력부(140), 오디오부(150), 디스플레이부(160), 저장부(170), 통신부(180) 및 파워부(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40)는 외부로부터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상기 입력부(140)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입력부(140)는 키보드, 키패드, 마우스, 터치패드, 버튼, 소프트키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넓은 의미로 상기 입력부(140)는 마이크, 터치 스크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는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 받을 수 있고,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의 터치 제스처를 입력 받을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마이크는 상기 오디오부(150)에 포함시킬 수 있고, 터치 스크린은 상기 디스플레이부(160)에 포함시킬 수 있다.
상기 오디오부(150)는 스피커 등의 오디오 출력 수단 및 마이크 등의 오디오 입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력 수단은 상기 디바이스(10)에서 실행 중인 콘텐츠의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는 상기 저장부(170)로부터 제공받을 수도 있고,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통신부(180)를 통해 제공받을 수도 있다. 상기 출력 수단은 공기 전도 스피커와 골전도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60)는 디스플레이 화면에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60) 상기 제어부(130)에서 실행되는 컨텐츠 또는 제어부(130)의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카메라부(110)에서 촬영한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6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부(160) 롤러블 디스플레이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라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한 펜 타입 멀티 미디어 디바이스의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롤러블 디스플레이(160)가 포함된 펜 타입 멀티 미디어 디바이스(10)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몸체부(100)는 일 측면에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160)의 크기에 대응하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160)는 상기 몸체부(100) 내부에는 감겨진 상태에서 상기 홈을 통해 상기 몸체부의 외부로 펼쳐질 수 있다.
상기 저장부(170)는 비디오, 오디오, 사진, 애플리케이션 등 다양한 디지털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어부(13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비디오 또는 사진은 상기 카메라부(110)를 통해 획득한 데이터일 수 있다. 상기 저장부(170)는 RAM(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등을 통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170)는 인터넷(internet) 상에서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하여 상기 저장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170)는 상기 디바이스(10)에 착탈 가능한 외부 저장 매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저장 매체는 SD (Secure Digital)나 CF (Compact Flash) 메모리와 같은 슬롯 형태, 메모리 스틱 형태, USB (Universal Serial Bus) 형태 등이 가능하다. 즉, 상기 외부 저장 매체는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10)에 착탈 가능하고, 오디오, 사진, 동영상, 어플리케이션 등과 같은 콘텐츠를 상기 디바이스(10)에 제공할 수 있는 저장 매체는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저장부(170)는 램(RAM), 롬(ROM), 캐쉬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CD, DVD, 블루레이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FDD), 자기 디스크, 메모리 카드, 플래쉬 메모리, USB 메모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80)는 외부 디지털 디바이스와 다양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외부 디지털 디바이스는 이동 단말기가 될 수도 있고, 고정 단말기가 될 수도 있다. 이동 단말기는 휴대폰, 스마트 폰, 태블릿 PC (Personal Computer), 스마트 패드, 노트북,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개인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디지털 카메라, 네비게이션 등이 될 수 있고, 고정 단말기는 데스크 탑, DVD (Digital Video Disc or Digital Versatile Disc) 플레이어, TV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다양한 프로토콜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 프로토콜이 될 수 있다. 유선 통신인 경우, 상기 통신부(180)는 상기 외부 디지털 디바이스와 유선 데이터 전송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다양한 입출력 인터페이스(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터페이스는 USB(Universal Serial Bus) 규격류, HDMI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DVI (Digital Visual Interface), IEEE 1394 규격류, 또는 데이터 전송과 관련된 다른 유사 규격에 따른 데이터 전송을 고려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인 경우, 상기 통신부(180)는 인터넷,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등의 외부 통신망으로의 무선 접속을 고려한 RF 전기회로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80)에 의해 접속되는 무선 통신망은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 그 외에 HSPA (High Speed Packet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LTE (Long Term Evolution) 등의 이동 통신 방식 또는 블루투스,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WLAN(Wireless LAN)(Wi-Fi) 등의 근거리 통신 방식의 인터페이스가 지원될 수 있다. 여기서 유/무선 인터페이스 방식은 본 명세서의 이해를 돕기 위한 실시예들이며,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방식은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될 수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 인터페이스 방식은 상기된 실시예들로 한정되지 않을 것이다.
상기 파워부(190)는 배터리 또는 외부 전원과 연결되는 파워 소스로서, 장치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는 일차 전지뿐만 아니라 이차 전지를 포함한다. 이차 전지의 경우, 재충전이 가능한 리튬 이온 전지, 리튬 폴리머 전지, 니켈 카드늄 전지, 니켈 수소 전지, 니켈 아연 전지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따른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카메라부(110)를 사용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한 후 미리 설정된 입력시간 이내에 상기 필기 센서부(120)를 통해 사용자의 입력 신호를 수신할 때, 상기 입력 신호 및 필기 입력에 대응하는 제어 동작에 따라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30)의 동작에 대해서는 도 5 및 도 10에 도시된 예제를 통해 다시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5는 본 명세서에 따른 펜 타입 멀티 미디어 디바이스의 사용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본 명세서에 따른 펜 타입 멀티 미디어 디바이스(10)를 이용하여 사진을 촬영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카메라부(110)는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130)에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60)에 출력할 수 있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미지 데이터에 문자를 추가하는 입력의 예시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사용자가 본 명세서에 따른 펜 타입 멀티 미디어 디바이스(10)를 이용하여 글씨를 쓰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입력 신호가 문자 입력일 때, 상기 필기 센서부(120)를 통해 수신된 입력을 문자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문자를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추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문자가 추가된 이미지 데이터의 예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6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필기 입력의 내용이 문자로 변환되어 이미지에 추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7에 도시된 예시처럼,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변환된 문자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가 화면에 디스플레이되었을 때 상기 디스플레이된 사진 위에 겹쳐진 형태로 보이도록 추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변환된 문자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가 화면에 디스플레이되었을 때 상기 디스플레이된 사진의 뒷면에 추가되도록 할 수 있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이미지 데이터에 태그를 추가하는 입력의 예시도이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입력 신호가 태그 입력일 때, 상기 필기 센서부(120)를 통해 수신된 입력을 문자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문자에 대응하는 태그를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추가할 수 있다.
도 9는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이미지 데이터를 특정 폴더에저장하는 입력의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입력 신호가 저장폴더선택 입력일 때, 상기 필기 센서부(120)를 통해 수신된 입력을 문자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문자에 대응하는 폴더에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만약, 상기 변환된 문자에 대응하는 폴더가 존재하지 않을 때,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변환된 문자의 이름을 가진 폴더를 생성한 후,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생성된 폴더에 저장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하는 입력의 예시도이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입력 신호가 데이터전송 입력일 때, 상기 필기 센서부(120)를 통해 수신된 입력을 문자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문자에 대응하는 수신지로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데이터전송은 SMS, e-mail 및 SNS로 이루어진 군에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에서 상기 입력 신호를 구분하기 위해 문자 외에 도형이 더 도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르면,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입력을 선택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특정 문자 또는 도형을 도시하여 본 명세서에 따른 디바이스(10)로 하여금 데이터 처리 방식을 입력 받도록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필기 센서부(120)는, 가속도 센서이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필기 센서부(120)를 통해 수신된 패턴을 문자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문자에 대응하는 제어 동작에 따라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반드시 종이 같은 곳에 필기를 하지 않고, 공중에서 필기를 하는 것과 같은 행동을 통해서도 필기 입력이 가능하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 위치한 필기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필기 센서부(120)는 상기 필기부에 의해 쓰여진 문자를 인식하는 영상 인식센서이고,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필기 센서부가 인식한 문자를 광학 문자 인식(OCR)을 통해 문자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문자에 대응하는 제어 동작에 따라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종이와 같은 곳에 기록된 필기를 인식할 수 있어서, 사용자 입력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저장부(170)에 저장된 콘텐츠, 또는 데이터 통신을 통해 수신된 콘텐츠 등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디지털 디바이스(10) 내부의 데이터를 프로세싱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30)는 상술한 디지털 디바이스(10)의 각 구성들을 제어하며, 각 구성들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30)는 상세하게 설명된 상기 다양한 제어 로직을 실행하기 위해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 알려진 프로세서,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다른 칩셋, 논리 회로, 레지스터, 통신 모뎀, 데이터 처리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어 로직이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때, 상기 제어부(130)는 프로그램 모듈의 집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때, 프로그램 모듈은 상기 저장부(170)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명세서에 따른 펜 타입 멀티 미디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상기 펜 타입 멀티 미디어 디바이스(10)의 각 구성에 대해서는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펜 타입 멀티 미디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을 간략하게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단계 S200에서,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카메라부(110)를 사용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30)는 단계 S210으로 이행한다.
다음 단계 S210에서.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한 후 미리 설정된 입력시간 이내에 상기 필기 센서부(120)를 통해 사용자의 입력 신호를 수신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입력 신호가 미리 설정된 시간 이내에 입력된 경우(단계 S210의 '예'), 상기 제어부(130)는 단계 S220으로 이행한다.
다음 단계 S220에서,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 동작에 따라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30)는 프로세서를 종료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 S220에서 상기 입력 신호가 문자 입력일 때,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필기 센서부(120)를 통해 수신된 입력을 문자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문자를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추가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대해서는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였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 S220에서, 상기 입력 신호가 태그 입력일 때,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필기 센서부(120)를 통해 수신된 입력을 문자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문자에 대응하는 태그를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추가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대해서는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였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 S220에서, 상기 입력 신호가 태그 입력일 때,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필기 센서부(120)를 통해 수신된 입력을 문자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문자에 대응하는 태그를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추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 S220에서, 상기 입력 신호가 저장폴더선택 입력일 때,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필기 센서부(120)를 통해 수신된 입력을 문자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문자에 대응하는 폴더에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 S220에서, 상기 입력 신호가 데이터전송 입력일 때,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필기 센서부(120)를 통해 수신된 입력을 문자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문자에 대응하는 수신지로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명세서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의해 권리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명세서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명세서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명세서에 기재된 "~부"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명세서를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였으나, 당업자라면 본 명세서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정, 변경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 및 실시예로부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 속한 사람이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것은 본 명세서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이해의 편의를 위해 종속적인 구성은 하나씩만 추가되는 예시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2이상의 종속적인 구성이 조합을 이루어 추가되는 실시예도 가능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에 본 명세서의 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10 : 펜 타입 멀티 미디어 디바이스
100 : 몸체부
110 : 카메라부
120 : 필기 센서부
130 : 제어부
140 : 입력부
150 : 오디오부
160 : 디스플레이부
170 : 저장부
180 : 통신부
190 : 파워부

Claims (20)

  1. 펜 형태의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어느 한 방향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상기 몸체부 내에 말려있거나 또는 상기 몸체부로부터 펼쳐지는 디스플레이로서, 롤러블 디스플레이인 디스플레이부; 및
    사용자의 필기 입력을 센싱하여 입력 신호 및 필기 신호를 출력하는 필기 센서부; 및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한 이미지 데이터 및 상기 필기 센서부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입력 신호 및 필기 신호를 처리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부를 사용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한 후 미리 설정된 입력시간 이내에 상기 필기 센서부를 통해 사용자의 입력 신호를 수신할 때, 상기 입력 신호 및 필기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 동작에 따라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 타입 멀티 미디어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신호가 문자 입력일 때, 상기 필기 센서부를 통해 수신된 필기 입력을 문자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문자를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 타입 멀티 미디어 디바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환된 문자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가 화면에 디스플레이되었을 때 상기 디스플레이된 사진 위에 겹쳐진 형태로 보이도록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 타입 멀티 미디어 디바이스.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환된 문자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가 화면에 디스플레이되었을 때 상기 디스플레이된 사진의 뒷면에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 타입 멀티 미디어 디바이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신호가 태그 입력일 때, 상기 필기 센서부를 통해 수신된 입력을 문자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문자에 대응하는 태그를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 타입 멀티 미디어 디바이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신호가 저장폴더선택 입력일 때, 상기 필기 센서부를 통해 수신된 입력을 문자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문자에 대응하는 폴더에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 타입 멀티 미디어 디바이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환된 문자에 대응하는 폴더가 존재하지 않을 때, 상기 변환된 문자의 이름을 가진 폴더를 생성한 후,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생성된 폴더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 타입 멀티 미디어 디바이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신호가 데이터전송 입력일 때, 상기 필기 센서부를 통해 수신된 입력을 문자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문자에 대응하는 수신지로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 타입 멀티 미디어 디바이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전송은, SMS, e-mail 및 SNS로 이루어진 군에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 타입 멀티 미디어 디바이스.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기 센서부는, 가속도 센서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필기 센서부를 통해 수신된 패턴을 문자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문자에 대응하는 제어 동작에 따라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 타입 멀티 미디어 디바이스.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 위치한 필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필기 센서부는, 상기 필기부에 의해 쓰여진 문자를 인식하는 영상 인식센서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필기 센서부가 인식한 문자를 광학 문자 인식(OCR)을 통해 문자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문자에 대응하는 제어 동작에 따라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 타입 멀티 미디어 디바이스.
  12. 삭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한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 타입 멀티 미디어 디바이스.
  14. 삭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일 측면에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의 크기에 대응하는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는, 상기 몸체부 내부에는 감겨진 상태에서 상기 홈을 통해 상기 몸체부의 외부로 펼쳐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 타입 멀티 미디어 디바이스.
  16. 카메라부, 사용자의 필기 입력을 센싱하여 입력 신호 및 필기 신호를 출력하는 필기 센서부 및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한 이미지 데이터 및 상기 필기 센서부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입력 신호를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펜 타입 멀티 미디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으로서,
    (a) 상기 제어부가 상기 카메라부를 사용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b) 상기 제어부가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한 후 미리 설정된 입력시간 이내에 상기 필기 센서부를 통해 사용자의 입력 신호를 수신할 때, 상기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 동작에 따라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펜 타입 멀티 미디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부는 롤러블 디스플레이인, 펜 타입 멀티 미디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입력 신호가 문자 입력일 때, 상기 필기 센서부를 통해 수신된 입력을 문자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문자를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추가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 타입 멀티 미디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입력 신호가 태그 입력일 때, 상기 필기 센서부를 통해 수신된 입력을 문자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문자에 대응하는 태그를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추가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 타입 멀티 미디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입력 신호가 저장폴더선택 입력일 때, 상기 필기 센서부를 통해 수신된 입력을 문자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문자에 대응하는 폴더에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 타입 멀티 미디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입력 신호가 데이터전송 입력일 때, 상기 필기 센서부를 통해 수신된 입력을 문자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문자에 대응하는 수신지로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 타입 멀티 미디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KR1020140193084A 2014-12-30 2014-12-30 필기 입력에 의해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하는 펜 타입의 멀티 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3369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3084A KR102336983B1 (ko) 2014-12-30 2014-12-30 필기 입력에 의해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하는 펜 타입의 멀티 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PCT/KR2015/001365 WO2016108336A1 (en) 2014-12-30 2015-02-11 Pen type multimedia device for processing image data by using handwriting inpu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4/638,797 US9753555B2 (en) 2014-12-30 2015-03-04 Pen type multimedia device for processing image data by using handwriting inpu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3084A KR102336983B1 (ko) 2014-12-30 2014-12-30 필기 입력에 의해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하는 펜 타입의 멀티 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0601A KR20160080601A (ko) 2016-07-08
KR102336983B1 true KR102336983B1 (ko) 2021-12-08

Family

ID=56164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3084A KR102336983B1 (ko) 2014-12-30 2014-12-30 필기 입력에 의해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하는 펜 타입의 멀티 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753555B2 (ko)
KR (1) KR102336983B1 (ko)
WO (1) WO20161083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01063B2 (en) 2018-07-18 2022-04-12 John J. King, JR. Smart pen device and method of implementing a smart pen device
KR20200088083A (ko) * 2019-01-14 2020-07-2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10040656A (ko) 2019-10-04 2021-04-1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N113329110A (zh) * 2021-05-26 2021-08-31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设备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24346A1 (en) * 2003-07-30 2005-02-03 Jean-Luc Dupraz Digital pen function control
US7627703B2 (en) * 2005-06-29 2009-12-01 Microsoft Corporation Input device with audio capabilities
US7970763B2 (en) * 2006-02-21 2011-06-28 Microsoft Corporation Searching and indexing of photos based on ink annotations
WO2011075113A1 (en) * 2009-12-14 2011-06-2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tylus for a touchscreen display
US8922530B2 (en) * 2010-01-06 2014-12-30 Apple Inc. Communicating stylus
WO2013084087A1 (en) * 2011-12-08 2013-06-13 Sony Mobile Communications Ab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the shape of a display device
EP2872981A4 (en) * 2012-07-13 2016-10-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SENDING AND RECEIVING DATA BETWEEN A MEMO LAYER AND APPLICATION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KR102084041B1 (ko) * 2012-08-24 2020-03-04 삼성전자 주식회사 펜 기능 운용 방법 및 시스템
KR102129374B1 (ko) * 2012-08-27 2020-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 및 휴대 단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188011A1 (en) 2016-06-30
US9753555B2 (en) 2017-09-05
KR20160080601A (ko) 2016-07-08
WO2016108336A1 (en) 2016-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2014223B2 (en) Content shar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KR102277260B1 (ko) 단말 장치 및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US10123366B2 (en) Wireless connection method, machine-readable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device using out-of-band channel
US20130324089A1 (en) Method for providing fingerprint-based shortcut key, machine-readable storage medium, and portable terminal
US9924018B2 (en) Multi display method,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device
US933583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EP2607994B1 (en) Stylus device
JP5469652B2 (ja) 入力インターフェースを提供するusb装置およびそのインターフェース提供方法
KR102336983B1 (ko) 필기 입력에 의해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하는 펜 타입의 멀티 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022042B1 (ko)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시스템
KR20150025452A (ko)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20160188162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for
EP3447626A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4019803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screen with eye tracking in portable terminal
WO2015163675A1 (en) Method of processing content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CN103631493B (zh) 图片显示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10794984A (zh) 笔记记录和存储方法、装置、终端、存储介质及系统
JP5960932B2 (ja) ページ適応方法、ページ適応装置、端末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20150009154A1 (en) Electronic device and touch control method thereof
KR20130089407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WO2014162604A1 (ja) 電子機器および手書きデータ処理方法
KR20140146785A (ko) 오디오 및 텍스트 간의 변환을 위한 방법 및 전자 장치
CN105094357A (zh) 一种输入方法、装置及电子设备
US20200264750A1 (en) Method for displaying visual object regarding contents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RU2587406C2 (ru)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визуального объекта и электр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спользуемое в не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