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9672A - 핑거 입력장치 - Google Patents

핑거 입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9672A
KR20160069672A KR1020140175536A KR20140175536A KR20160069672A KR 20160069672 A KR20160069672 A KR 20160069672A KR 1020140175536 A KR1020140175536 A KR 1020140175536A KR 20140175536 A KR20140175536 A KR 20140175536A KR 20160069672 A KR20160069672 A KR 201600696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
reference contact
activated
area
sen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5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6909B1 (ko
Inventor
곽동선
Original Assignee
곽동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동선 filed Critical 곽동선
Priority to KR10201401755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6909B1/ko
Publication of KR201600696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96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6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69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핑거 입력장치에 관련되며, 구성에 특징을 살펴보면, 손가락을 감지하여 전기,전자기기를 조작하도록 터치영역(10)이 구비되고, 상기 터치영역(10)에 감지되는 손가락 중 어느 하나의 손가락을 기준접점(20)으로 인식하고, 상기 기준접점(20)에 감지된 손가락의 이동에 따라 커서이동이 활성화되며, 상기 기준접점(20)을 기준으로 활성화되어 손가락이 감지되는 위치에 따라 설정된 기능이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손가락에 의해 설정된 기준접점을 기반으로 이후 감지되는 손가락과의 유기적인 모션을 감지하여 커서이동, 버튼 활성화를 포함하는 기존 마우스장치를 대신할 정도의 편의성이 제공되면서 정밀도 높은 섬세한 작업이 가능하고, 손가락을 이용한 입력방식의 특성상 협소한 터치공간에서도 조작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핑거 입력장치{Finger Input Devices}
본 발명은 핑거 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협소한 터치영역에서도 손가락이 터치되는 기준접점을 기반으로 커서이동, 버튼 활성화를 포함하는 기존 마우스장치를 대신할 정도의 편의성 및 정밀도를 제공하도록 하는 핑거 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현대 정보화 사회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수많은 IT 정보기기들(예컨대, 개인용컴퓨터, 휴대전화, 스마트폰, 테블릿PC, 금융자동화단말기, 자동티켓발급기, 출입통제시스템 등)이 존재한다. 이러한 대부분의 정보기기들은 사용자로부터 다양한 정보를 입력받아야 하는데, 지금까지 마우스를 포함하는 입력수단에 의존하였으나, 근자에는 입력수단의 무게와 버튼감으로 인한 손목 터널 증후군 예방 및 피로감 감소를 위해 화면을 터치하는 방식의 터치패드 사용이 확대되는 추세이다.
예컨대, 터치패드는 사용자에 의한 터치정보를 화면으로 인식하여 그에 해당하는 영역을 활성화하는 단순 입력수단으로서, 주로 하나의 손가락을 감지하여 위치이동, 화면상에 표시되는 버튼 클릭 정도로 사용범위가 제한되므로, 기존 마우스를 대신할 정도의 조작 편의성이 제공되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에 종래에 공개특허 제10-2013-0015511호에서 손바닥과 2개의 손가락의 센서 접지면을 활용하여 마우스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마우스를 사용하는 것처럼 자연스러운 손 동작으로 데이터의입력을 수행하도록 하는 기술이 선 공개된바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마우스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마우스를 사용하는 것처럼 자연스러운 손 동작으로 데이터의 입력을 수행하는 기술이지만, 입력수단으로 활용시 많은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첫째, 손바닥 터치영역의 이동에 따라 마우스 포인터가 이동되므로 사실상 마우스 조작과 동일하게 팔을 사용해야 함에 따라 사실상 피로감을 감소시키기 위한 목적을 달성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둘째, 손바닥 터치영역과 2개의 손가락 터치영역이 역삼각형을 이루는 것을 기준으로 이후 손가락의 터치영역을 감지하여 버튼기능을 수행하므로, 손바닥과 손가락이 동시 터치되도록 터치영역이 광폭으로 확장되는 문제점이 따랐다.
셋째, 손바닥 터치영역의 이동으로 마우스 포인터가 이동하므로, 포인터의 정밀제어가 불가능하여 기존 마우스를 대신할 정도의 정밀도를 기대하기 어려운 폐단이 따랐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안 된 것으로서, 협소한 터치영역에서도 손가락이 터치되는 기준접점을 기반으로 커서이동, 버튼 활성화를 포함하는 기존 마우스장치를 대신할 정도의 편의성 및 정밀도를 제공하도록 하는 핑거 입력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특징은, 손가락을 감지하여 전기,전자기기를 조작하도록 터치영역(10)이 구비되고, 상기 터치영역(10)에 감지되는 손가락 중 어느 하나의 손가락을 기준접점(20)으로 인식하고, 상기 기준접점(20)에 감지된 손가락의 이동에 따라 커서이동이 활성화되며, 상기 기준접점(20)을 기준으로 활성화되는 가상기능영역(50)이 구비되어, 손가락이 감지되는 위치에 따라 설정된 기능이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가상기능영역(50)은 기준접점(20)을 기준으로 활성화되고, 기준접점(20)을 포함하면서 좌, 우, 상, 하측으로 터치영역(10)이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터치영역(10)에 두 손가락이상이 감지되었을 때 그 손가락 중 어느 하나의 손가락을 기준접점(20)으로 인식하여 커서의 이동상태가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준접점(20)이 활성화된 후 손가락이 미감지된 상태로 설정값 동안 가상기능영역(50)이 활성화되고, 설정값이 경과하여 감지되는 손가락 중 어느 하나의 손가락을 기준접점(20)으로 재 인식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준접점(20)을 반복터치시 가상기능영역(40)이 활성화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상기능영역(50)에 손가락이 감지되어 추가 기능이 활성화된 상태로 터치영역(10)에 감지된 손가락을 이동시 드래그 기능이 수행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기준접점(20)은 하나의 손가락이 감지된 영역 또는 두개의 손가락이 감지시 좌측 또는 우측 손가락이 감지된 영역 또는 세개의 손가락이 감지시 중앙 손가락이 감지된 영역으로 인식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준접점(20)은 터치영역(10)에 인식되는 직후부터 설정값 동안 활성화되고, 설정값은 사용자에 의해 변경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준접점(20)은 설정값에 의해 영역이 지정되고, 설정값은 사용자에 의해 변경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상기능영역(50)의 상하측 또는 상측 또는 하측에 감지된 손가락의 이동에 따라 화면이동이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손가락으로 인식하는 감지영역의 최대값이 설정되고, 설정값 보다 큰 값을 가진 감지영역이 인식되거나 그 영역이 상방향으로 이동시 키보드입력창(40)이 활성화되고, 그 영역이 하방향으로 이동시 키보드입력창(40)이 비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의하면, 본 발명은 손가락에 의해 설정된 기준접점을 기반으로 이후 감지되는 손가락과의 유기적인 모션을 감지하여 커서이동, 버튼 활성화를 포함하는 기존 마우스장치를 대신할 정도의 편의성이 제공되면서 정밀도 높은 섬세한 작업이 가능하고, 손가락을 이용한 입력방식의 특성상 협소한 터치공간에서도 조작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핑거 입력장치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핑거 입력장치의 기준접점 인식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핑거 입력장치의 커서이동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핑거 입력장치의 좌우측버튼 활성화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핑거 입력장치의 가상경계선이 활성화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핑거 입력장치의 화면이동기능이 활성화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핑거 입력장치의 화면 확대, 축소기능이 활성화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핑거 입력장치의 키보드입력창이 활성화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핑거 입력장치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핑거 입력장치에 관련되며, 이때 핑거 입력장치는 협소한 터치영역에서도 손가락이 터치되는 기준접점을 기반으로 커서이동, 버튼 활성화를 포함하는 기존 마우스장치를 대신할 정도의 편의성 및 정밀도를 제공하기 위해 손가락에 의해 설정되는 기준접점(20)과, 기준접점(20)을 기준으로 이후 터치되는 손가락을 감지하는 가상기능영역(50)을 포함하여 주요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핑커 입력장치는 손가락을 감지하여 전기,전자기기를 조작하도록 터치영역(10)이 구비되고, 상기 터치영역(10)에 감지되는 손가락 중 어느 하나의 손가락을 기준접점(20)으로 인식하고, 상기 기준접점(20)에 감지된 손가락의 이동에 따라 커서이동이 활성화된다. 터치영역(10)은 스마트폰, 테블릿PC를 포함하는 터치스크린화면이거나, 컴퓨터와 연결되어 터치신호를 감지하여 연산처리하는 터치패드형 입력장치를 포함하고, 후술하는 손가락에 의한 커서이동 및 버튼 활성화를 포함하는 조작은 운영시스템(윈도우, 리눅스)과 매칭되어 세부 설정(터치방법, 터치시간, 속도)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기준접점(20)은 하나의 손가락이 감지된 영역 또는 두개의 손가락이 감지시 좌측 또는 우측 손가락이 감지된 영역 또는 세개의 손가락이 감지시 중앙 손가락이 감지된 영역으로 인식하도록 구비된다. 일예로서 도 2 (a)는 터치영역(10)에 중지 손가락 하나가 감지시 기준접점(20)으로 인식한 상태를 도시하고, 2 (b)는 중지와 약지 손가락이 감지시 좌측에 위치된 중지를 기준접점(20)으로 인식(사용자 설정에 의해 우측에 위치된 약지를 기준접점(20)으로 인식되도록 변경가능 함)한 상태를 나타내며, 도 2 (c)는 검지, 중지, 약지가 감지시 중앙에 위치된 중지를 기준접점(20)으로 인식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2(a)처럼 한 손가락을 이용시, 한 손가락을 기준접점(20)으로 설정하였을 때 기준접점(20)과 가상기능영역(50) 감지를 구분하기 위해 최초감지 및 커서이동 상태에서 감지를 제거 후 일정시간(0.2초)후 터치영역(10)에 손가락이 감지되면 기준접점(20)으로 인식하고 기준접점(20)을 인식 후 그 기준접점(20)에서 손가락 감지를 제거 후 일정시간(0.2초)이내에는 가상기능영역(50)이 활성화되어 손가락이 감지되면 그 기능이 수행되고, 일정시간(0.2초)을 지나면 터치영역(10)만 활성화 되어 손가락이 감지되면 기준접점(20)으로 생성되어 커서이동이 활성화된다.
또, 도 2(b) 내지 (c)와 같이 두 손가락 이상을 사용시, 일정시간(0.1초)이내에 두 손가락 이상이 감지되면 그 중 어느 한 손가락을 기준접점(20)으로 인식하여 커서 기능이 활성화 되고, 일정시간(0.1초) 까지 한 손가락만 감지되면 일정시간(0.1초)후 가상기능영역(50)의 기능이 활성화 되어 그 기능이 실행되며, 커서의 움직임 상태에서도 다른 손가락으로 가상기능영역(50)의 기능을 선택하면 그 기능이 실행되도록 하여 좀 더 스마트한 마우스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손가락의 감지가 일정시간 없을 때에는 기준접점(20)이 중앙으로 이동 되거나, 혹은 화면에 중앙접점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게 하여 바로 가상기능영역(50)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또, 다른 손가락이 터치영역(10)을 이탈하여 한 손가락만 남았을 경우 한 손가락은 터치가 아니라 움직이고 있었기 때문에 한 손가락 감지로 인식하여 가상기능영역(50)을 수행하지 않게 하고, 커서의 이동만 중지된다. 일예로서, 오른쪽 마우스의 경우 중지와 약지의 두 손가락으로 마우스를 움직이면서 검지로 왼쪽버튼 클릭 약지로 오른쪽 버튼클릭, 중지로 중앙버튼 반복터치로 클릭하게 된다.
또, 상기 기준접점(20)은 터치영역(10)에 인식되는 직후부터 설정시간동안 활성화되고, 설정시간은 사용자에 의해 변경가능하도록 구비된다. 기준접점(20)의 설정시간은 사용자가 손가락을 터치영역(10)에 터치하여 기준접점(20)이 감지된 후 사용자가 터치영역(10)을 지속적으로 터치하지 않고 터치해제하라도 설정시간동안 터치된 것과 동일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설정시간을 짧게 설정(예컨대, 0.2초이하)할 경우에는 기준접점(20)에 손가락이 감지된 상태로 이루어지는 조작(예컨대, 커서이동, 버튼조작 및 화면이동 등)을 신속하게 수행하고자 할 경우에 적합한 반면, 노약자나 어린이를 포함하는 소근육 사용에 둔한 사용자의 경우에는 기준접점(20)의 활성화 설정시간을 1.5~2.5초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준접점(20)은 설정값에 의해 영역이 지정되고, 설정값은 사용자에 의해 변경가능하도록 구비된다. 기준접점(20) 영역은 후술하는 제3버튼을 활성화하기 위해 기준접점(20) 영역내에서 손가락의 반복터치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기준접점(20)영역의 설정값이 지름 10mm이하로 협소하게 설정되면 이후 반복터치되는 손가락 감지에 정확도를 기해야 하고, 지름이 20mm이상으로 확대 설정되면 기준접점(20)을 기준으로 추가 감지되는 손가락이 기준접점(20)영역에 겹치면서 입력불량으로 이어지므로, 바람직하게는 지름 15mm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기준접점(20)에 감지된 손가락의 이동에 따라 커서이동이 활성화된다. 도 3처럼 사용자가 터치영역(10)에 손가락을 터치하여 기준접점(20)으로 인식한 후, 기준접점(20)에 감지된 손가락을 터치한 상태로 이동하여 커서를 이동기능을 수행하거나 짧게 터치후 기준접점(20)이 활성화되는 설정시간내에 기준접점(20) 영역을 다시 터치하여 이동시 커서 이동기능이 수행된다.
또, 상기 터치영역(10)에 두 손가락이상이 감지되었을 때 그 손가락 중 어느 하나의 손가락을 기준접점(20)으로 인식하여 커서의 이동상태가 활성화되고, 이때기준이 되는 손가락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 및 변경가능하다.
또한, 상기 기준접점(20)을 기준으로 활성화되는 가상기능영역(50)이 구비되어, 손가락이 감지되는 위치(크기, 방법, 모션)에 따라 설정된 기능이 활성화된다. 가상기능영역(50)은 기준접점(20)을 기준으로 활성화되고, 기준접점(20)을 포함하면서 좌, 우, 상, 하측으로 터치영역(10)이 분할된다.
여기서 상기 가상기능영역(50)은 기준접점(20)을 중심으로 화면을 상,하,좌,우 분할하는 가상경계선(30)이 방사형으로 활성화되어 상,하,좌,우측 터치영역(10)이 구분되도록 구비된다. 가상경계선(30)은 기준점점을 중심으로 'X'자 구조로 터치영역(10)을 상하좌우측으로 4분할하고, 이때 가상경계선(30)은 도 5처럼 사용자가 육안으로 식별가능하도록 터치영역(10)상에 가상선으로 표시되거나 생략가능하다.
실시예로서, 상기 기준접점(20)을 기준으로 가상기능영역(50)의 우측 터치영역(10)에 손가락이 감지되면 제1버튼이 활성화되고, 좌측 터치영역(10)에 손가락이 감지되면 제2버튼이 활성화되도록 구비된다. 즉 기준접점(20)이 인식된 이후 감지되는 손가락의 감지 위치에 따라 제1버튼 또는 제2버튼이 활성화되는바, 도 4 (a)와 같이 중지에 의해 감지된 기준접점(20)의 우측 터치영역(10)에 약지 손가락이 터치되면 제1버튼(기존 마우스의 우측버튼)이 활성화되고, 도 4 (b)처럼 기준접점(20)의 좌측 터치영역(10)에 검지 손가락이 터치되면 제2버튼(기존 마우스의 좌측버튼)이 활성화된다.
한편, 도 4 (a) 내지 (b)에서 기준접점(20)이 중지로 인식되고, 제1, 2버튼은 약지와 검지 손가락에 의해 각각 인식되는 상태를 도시하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고 도 4 (c)와 같이 기준접점(20)이 인식된 후에는 어느 한손가락만을 이용하여 기준접점(20)을 기준으로 좌측 또는 우측을 터치함으로서 제1, 2버튼을 활성화하는 구성도 가능하고, 이때 기준접점(20)은 육안으로 확인가능하게 가상으로 표시가능하다.
또, 상기 기준접점(20)이 인식된 후 상하측 터치영역(10)을 이용한 화면이동(기존 마우스 휠기능)기능이 활성화되는바, 여기서 기준접점(20)을 기준으로 상하측 또는 상측 또는 하측에 감지된 손가락의 이동에 따라 화면이동이 활성화된다. 도 6과 같이 어느 손가락에 의해 기준접점(20)이 인식된 후 가상경계선(30)에 의해 구분되는 상하측 또는 상측 또는 하측 터치영역(10)에 손가락을 터치한 상태로 화면을 이동하게 되고, 이때 문서프로그램 또는 익스플로우를 실행시에는 화면이 상하좌우로 이동하고, 그림파일을 포함하는 확대된 화면일 경우 360°방향으로 화면이동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기준접점(20)이 활성화된 후 손가락이 미감지된 상태로 설정값 동안 가상기능영역(50)이 활성화되고, 설정값이 경과하여 감지되는 손가락 중 어느 하나의 손가락을 기준접점(20)으로 재 인식하도록 구비된다. 이때 설정값은 사용자에 의해 조절되되, 빠른 조작을 위해 0.05~0.3초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기준접점(20)을 반복터치시 가상기능영역(40)이 활성화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반복터치로 감지하는 대기 시간은 빠른 조작을 위해 0.05~0.3초로 설정되고, 가상기능영역(40)이 활성화된 후 기준접점 위치에 손가락이 감지시 제3버튼(예컨대, 기존 마우스 휠버튼)이 활성화된다.
또한, 상기 가상기능영역(50)에 손가락이 감지되어 추가 기능이 활성화된 상태로 터치영역(10)에 감지된 손가락을 이동시 드래그 기능이 수행되도록 구비된다. 커서를 이동후 가상기능역역(50)을 활성화시키고, 이어서 터치영역에 감지된 손가락을 접지한 상태로 이동시 커서 위치저점을 기준으로 드래그 기능이 활성화되고, 손가락을 접지해제하면 드래그 영역에 위치된 요소(예컨대, 텍스트, 그림 등)가 선택된다.
또한, 상기 기준접점(20)을 기준으로 좌측 또는 우측에 감지되는 손가락과 기준접점(20)에 감지된 손가락 사이의 거리가 확대되면 화면확대기능이 활성화되고, 거리가 축소되면 화면축소기능이 활성화된다. 즉 도 7처럼 기준접점(20)이 감지된 후 두 손가락이 감지되고, 이 두손가락의 간격에 따라 화면 확대, 축소기능이 활성화되는바, 이때 어느 한 손가락이 터치영역(10)에 감지된 후 다시 두 손가락을 이용하거나, 두 손가락을 화면이 터치한 상태로 손가락 사이간격을 조절하여 화면 확대, 축소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손가락으로 인식하는 감지영역의 최대값이 설정되고, 설정값 보다 큰 값을 가진 감지영역이 인식되거나 그 영역이 상방향으로 이동시 키보드입력창(40)이 활성화되고, 그 영역이 하방향으로 이동시 키보드입력창(40)이 비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예로서, 손가락으로 인식되는 감지영역을 사용자의 손가락 터치부 사이즈를 고려하여 최대값이 20mm로 설정하면, 도 8 (a)처럼 손가락을 눕힌상태로 접지하거나 도 8 (b)와 같이 손바닥을 이용하여 설정값보다 확장된 접지면적이 터치시 키보드입력을 위한 창이 활성화되고, 키보드입력을 위한 창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다시 확장된 감지영역이 감지되면 비활성화된다. 다른 실시예로서 확장된 감지영역이 상방향으로 이동시 키보드입력을 위한 창이 활성화되고, 반대로 확장된 감지영역이 하방향으로 이동시키면 키보드입력창(40)이 비활성화된다.
이처럼 손가락에 의해 설정된 기준접점을 기반으로 이후 감지되는 손가락과의 유기적인 터치모션을 감지하여 커서이동, 버튼 활성화를 포함하는 기존 마우스장치를 대신할 정도의 편의성이 제공되면서 정밀도 높은 섬세한 작업이 가능하고, 손가락을 이용한 입력방식의 특성상 협소한 터치공간에서도 조작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 스마트 폰이나 테블릿 PC에 적용시 마우스 커서가 화면에 구비되면서 기준접점도 사용자의 손가락 감지 위치에 따라 이동되고, 이러한 조작은 PC를 원격 조정시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10: 터치영역 20: 기준접점
30: 가상경계선 40: 키보드입력창
50: 가상기능영역

Claims (11)

  1. 손가락을 감지하여 전기,전자기기를 조작하도록 터치영역(10)이 구비되고,
    상기 터치영역(10)에 감지되는 손가락 중 어느 하나의 손가락을 기준접점(20)으로 인식하고,
    상기 기준접점(20)에 감지된 손가락의 이동에 따라 커서이동이 활성화되며,
    상기 기준접점(20)을 기준으로 활성화되는 가상기능영역(50)이 구비되어, 손가락이 감지되면 설정된 기능이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핑거 입력장치.
  2. 제 1항 있어서,
    상기 가상기능영역(50)은 기준접점(20)을 기준으로 활성화되고, 기준접점(20)을 포함하면서 좌, 우, 상, 하측으로 터치영역(10)이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핑거 입력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영역(10)에 두 손가락이상이 감지되었을 때 그 손가락 중 어느 하나의 손가락을 기준접점(20)으로 인식하여 커서의 이동상태가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핑거 입력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접점(20)이 활성화된 후 손가락이 미감지된 상태로 설정값 동안 가상기능영역(50)이 활성화되고, 설정값이 경과하여 감지되는 손가락 중 어느 하나의 손가락을 기준접점(20)으로 재 인식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핑거 입력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접점(20)을 반복터치시 가상기능영역(40)이 활성화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핑거 입력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기능영역(50)에 손가락이 감지되어 추가 기능이 활성화된 상태로 터치영역(10)에 감지된 손가락을 이동시 드래그 기능이 수행되도록 구비되는 핑거 입력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접점(20)은 하나의 손가락이 감지된 영역 또는 두개의 손가락이 감지시 좌측 또는 우측 손가락이 감지된 영역 또는 세개의 손가락이 감지시 중앙 손가락이 감지된 영역으로 인식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핑거 입력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접점(20)은 터치영역(10)에 인식되는 직후부터 설정값 동안 활성화되고, 설정값은 사용자에 의해 변경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핑거 입력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접점(20)은 설정값에 의해 영역이 지정되고, 설정값은 사용자에 의해 변경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핑거 입력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기능영역(50)의 상하측 또는 상측 또는 하측에 감지된 손가락의 이동에 따라 화면이동이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핑거 입력장치.
  11.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으로 인식하는 감지영역의 최대값이 설정되고, 설정값 보다 큰 값을 가진 감지영역이 인식되거나 그 영역이 상방향으로 이동시 키보드입력창(40)이 활성화되고, 그 영역이 하방향으로 이동시 키보드입력창(40)이 비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핑거 입력장치.
KR1020140175536A 2014-12-09 2014-12-09 핑거 입력장치 KR1017069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5536A KR101706909B1 (ko) 2014-12-09 2014-12-09 핑거 입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5536A KR101706909B1 (ko) 2014-12-09 2014-12-09 핑거 입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9672A true KR20160069672A (ko) 2016-06-17
KR101706909B1 KR101706909B1 (ko) 2017-02-27

Family

ID=56343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5536A KR101706909B1 (ko) 2014-12-09 2014-12-09 핑거 입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69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89957B2 (en) 2018-10-10 2022-11-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external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xternal electronic device by using electronic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27957A (ja) * 2011-11-08 2012-02-09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ポインティング方法
KR20140070213A (ko) * 2012-11-30 2014-06-10 주식회사 유누스 터치 디바이스 지원 기기의 마우스 대체 입력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27957A (ja) * 2011-11-08 2012-02-09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ポインティング方法
KR20140070213A (ko) * 2012-11-30 2014-06-10 주식회사 유누스 터치 디바이스 지원 기기의 마우스 대체 입력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89957B2 (en) 2018-10-10 2022-11-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external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xternal electronic device by using electron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6909B1 (ko) 2017-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02042B2 (en) Force vector cursor control
US10331219B2 (en) Identification and use of gestures in proximity to a sensor
US10061510B2 (en) Gesture multi-function on a physical keyboard
US20120105367A1 (en) Methods of using tactile force sensing for intuitive user interface
KR101770309B1 (ko) 촉각 입력 디바이스를 통해 받아들인 입력 판정
KR20120094955A (ko) 작동 모드들을 변화시키는 방법 및 장치
US20140317564A1 (en) Navigation and language input using multi-function key
CN108874284A (zh) 手势触发方法
US20140298275A1 (en) Method for recognizing input gestures
US9367169B2 (en) Method, circuit, and system for hover and gesture detection with a touch screen
US20140359541A1 (en)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multi-touch operation in the same
US9727151B2 (en) Avoiding accidental cursor movement when contacting a surface of a trackpad
KR20160019449A (ko) 간접 입력의 명확화 기법
TWI480792B (zh) 電子裝置的操作方法
US20200057518A1 (en) Smart touch pad device
KR101706909B1 (ko) 핑거 입력장치
Krithikaa Touch screen technology–a review
EP3433713B1 (en) Selecting first digital input behavior based on presence of a second, concurrent, input
US10303299B2 (en) Use of groove analysis in a touch screen device to determine occurrence of an elongated touch by a single finger
US20160217767A1 (en) A Peripheral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Using Same
US9244608B2 (en) Method and system for gesture identification
US10620760B2 (en) Touch motion tracking and reporting technique for slow touch movements
KR101468970B1 (ko)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입력을 통한 객체 스크롤 방법 및 장치
KR20160000534U (ko) 터치패드를 구비한 스마트폰
US20170371481A1 (en) Enhanced touchscre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0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