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9379A - 암석의 박편 영상을 이용한 암석의 투수율 및 공극률 산출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암석의 박편 영상을 이용한 암석의 투수율 및 공극률 산출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9379A
KR20160069379A KR1020140175273A KR20140175273A KR20160069379A KR 20160069379 A KR20160069379 A KR 20160069379A KR 1020140175273 A KR1020140175273 A KR 1020140175273A KR 20140175273 A KR20140175273 A KR 20140175273A KR 20160069379 A KR20160069379 A KR 201600693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osity
rock
permeability
image
dimens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5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1336B1 (ko
Inventor
김영석
Original Assignee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752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1336B1/ko
Publication of KR201600693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93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13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13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8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 area of porous materia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5/00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1/00Microscop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60Analysis of geometric attribut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And Reinforcement Of Foundation Soil By Compacting Or Drain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암석의 박편 영상을 이용하여 3차원 공극 구조를 얻고 이 공극 구조에서 격자 볼츠만 법을 이용해 암석의 투수율 및 공극률을 산출하는, 암석의 박편 영상을 이용한 암석의 투수율 및 공극률 산출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암석의 박편 영상을 이용한 암석의 투수율 및 공극률 산출 장치는, 암석 박편 샘플을 촬영하여 2차원 박편 영상을 획득하도록 구성된, 디지털 카메라가 장착된 현미경과, 상기 현미경으로부터 2차원 박편 영상을 입력받아 3차원 공극 구조를 획득하고 이 공극 구조에서 격자 볼츠만 법을 이용해 암석의 투수율 및 공극률을 산출하여서 이에 상응하는 표시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제어 수단과, 상기 제어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표시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암석의 박편 영상을 이용한 암석의 투수율 및 공극률 산출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ALCULATING PERMEABILITY AND POROSITY OF ROCK USING IMAGE OF SLICE OF ROCK}
본 발명은 암석의 박편 영상을 이용한 암석의 투수율 및 공극률 산출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암석의 박편 영상을 이용하여 3차원 공극 구조를 얻고 이 공극 구조에서 격자 볼츠만 법을 이용해 암석의 투수율 및 공극률을 산출하는, 암석의 박편 영상을 이용한 암석의 투수율 및 공극률 산출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암석의 투수율을 측정하거나 예측하는 것은 지하수 연구, 토목 기초, 유가스 자원 개발, 온실 가스 지중 저장 등의 분야에 있어서 소위 "지질 특성화"에 매우 중요하고 기초적인 작업이다.
종래의 암석 투수율 측정은, 암석 및 토양 시료를 원주형으로 획득하여 실험실에서 실제로 측정하거나, 암석 및 토양 시료를 성형 및 가공하여 원기둥 모양의 미소 암석 샘플을 제조하고 고에너지의 X선 가속기를 이용하여 원기둥 모양의 암석 샘플을 CT 촬영하여서 3차원 암석 구조를 획득한 후 투수율을 측정하는 방식을 채택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투수율 측정 방식중 암석 및 토양 시료를 원주형으로 획득하여 실험실에서 실제로 측정하는 방식은 실험실에서의 측정시간이 길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종래의 투수율 측정 방식중 고에너지의 X선 가속기를 이용하는 방식은 원기둥의 암석 샘플을 획득하기가 용이하지 않으며 X선 가속기를 이용하므로 비용이 고가이고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투수율 측정 방식은 어떠한 암상(지층)의 투수율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자연적인 공극률의 변화에 의해 투수율의 변화 양상을 파악하여 피팅 커브(fitting curve)를 획득해야 하기 때문에 여러 개의 샘플을 대상으로 측정해야 하므로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비용이 많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비용이 저가이며 시간이 많이 소요되지 않으면서 효율적으로 암석의 투수율 및 공극률을 산출할 수 있는, 암석의 박편 영상을 이용한 암석의 투수율 및 공극률 산출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의한 암석의 박편 영상을 이용한 암석의 투수율 및 공극률 산출 장치는 암석 박편 샘플을 촬영하여 2차원 박편 영상을 획득하도록 구성된, 디지털 카메라가 장착된 현미경, 상기 현미경으로부터 2차원 박편 영상을 입력받아 3차원 공극 구조를 획득하고 이 공극 구조에서 격자 볼츠만 법을 이용해 암석의 투수율 및 공극률을 산출하여서 이에 상응하는 표시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제어 수단, 및 상기 제어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표시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나의 실시형태에 의한 암석의 박편 영상을 이용한 암석의 투수율 및 공극률 산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2차원 박편 영상을 입력받아 영상분석을 통해 자기 상관 길이를 계산하고 최적 해상도를 도출하며, 공극률 및 입자 별로 상기 최적 해상도를 가진 입력 영상을 생성하며, 3차원 구조 생성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상기 생성된 입력 영상 별 동확률 3차원 공극 구조를 획득하고 공극률을 획득하며, 상기 획득된 3차원 공극구조에서 격자 볼츠만 법을 이용한 유체 전산 모사를 수행하며, 상기 유체 전산 모사의 결과를 다시 방정식에 적용하여 투수율을 계산하며, 모든 입력 영상의 투수율 및 공극률이 계산되면 입력 영상별로 계산된 투수율 및 공극률의 변화 양상에 따른 표시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입력 영상별로 계산된 투수율 및 공극률을 평균하여 대표 투수율 및 대표 공극률을 계산하여 이에 상응하는 표시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나의 실시형태에 의한 암석의 박편 영상을 이용한 암석의 투수율 및 공극률 산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극률 및 입자 별로 생성된 입력 영상은 암석의 변형의 영향으로 생성된 압축 밴드와 그 압축 밴드의 양 옆의 메트릭스 구간으로 분류되고, 상기 압축 밴드 및 메트릭스 구간에서 각각 3개 영역(양호하게 분류된 큰 입자의 영역, 양호하게 분류된 작은 입자의 영역, 양호하지 않게 분류된 입자의 영역)인 총 6개 영역에서 획득된 영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암석의 박편 영상을 이용한 암석의 투수율 및 공극률 산출 방법은, 암석 박편 샘플을 촬영하여 2차원 박편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2차원 박편 영상을 입력받아 영상분석을 통해 자기 상관 길이를 계산하고 최적 해상도를 도출하는 단계, 공극률 및 입자 별로 상기 최적 해상도를 가진 입력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3차원 구조 생성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상기 생성된 입력 영상 별 동확률 3차원 공극 구조를 획득하고 공극률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3차원 공극구조에서 격자 볼츠만 법을 이용한 유체 전산 모사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유체 전산 모사의 결과를 다시 방정식에 적용하여 투수율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입력 영상 모두의 투수율 및 공극률이 계산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단계에서 생성된 모든 입력 영상의 투수율 및 공극률이 계산되었다면 상기 입력 영상별로 계산된 투수율 및 공극률의 변화 양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암석의 박편 영상을 이용한 암석의 투수율 및 공극률 산출 방법은, 상기 투수율 및 공극률의 변화 양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후에, 상기 입력 영상별로 계산된 투수율 및 공극률을 평균하여 대표 투수율 및 대표 공극률을 계산하여서 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암석의 박편 영상을 이용한 암석의 투수율 및 공극률 산출 방법은, 상기 판단단계에서 생성된 모든 입력 영상의 투수율 및 공극률이 계산되지 않았다면 상기 생성된 입력 영상 별 동확률 3차원 공극 구조를 획득하고 공극률을 획득하는 단계로 진행될 수 있다.
상기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암석의 박편 영상을 이용한 암석의 투수율 및 공극률 산출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공극률 및 입자 별로 생성된 입력 영상은 암석의 변형의 영향으로 생성된 압축 밴드와 그 압축 밴드의 양 옆의 메트릭스 구간으로 분류되고, 상기 압축 밴드 및 메트릭스 구간에서 각각 3개 영역(양호하게 분류된 큰 입자의 영역, 양호하게 분류된 작은 입자의 영역, 양호하지 않게 분류된 입자의 영역)인 총 6개 영역에서 획득된 영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암석의 박편 영상을 이용한 암석의 투수율 및 공극률 산출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일반적인 지질조사에서 흔히 사용되는 암편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암석 박편 샘플을 이용하므로, 종래의 투수율 측정 방식에 비해 샘플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얻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암석의 박편 영상을 이용한 암석의 투수율 및 공극률 산출 장치 및 그 방법에 의하면, 2차원 박편 영상을 이용하여 3차원 공극 구조를 얻고 이 공극 구조에서 격자 볼츠만 법을 이용해 암석의 투수율 및 공극률을 산출하는 방식이므로, 종래의 투수율 측정 방식에 비해 비용이 저가이며 시간이 많이 소요되지 않으면서 효율적으로 암석의 투수율 및 공극률을 산출할 수 있다는 다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암석의 박편 영상을 이용한 암석의 투수율 및 공극률 산출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암석의 박편 영상을 이용한 암석의 투수율 및 공극률 산출 방법을 도시하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3은 디지털 카메라가 장착된 현미경을 이용하여 획득된 박편의 영상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의 (a)는 박편 영상의 2차원 자기 상관 함수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b)는 상기 2차원 자기 상관 함수로부터 추출된 두 개의 1차원 자기 상관 함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최적 해상도를 가진 박편 영상의 전체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투수율 계산 및 변화양상을 관찰하기 위해 도 5의 전체 영역에서 선택된 각 영역별 입력 영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3차원 구조 생성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생성된 3차원 공극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격자 볼츠만법에서 사용하는 속도 벡터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3차원 공극 구조에서 유체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각 그룹별로 예측된 공극률과 투수율의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각 그룹별로 파악된 공극률에 따른 투수율의 변화 양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암석의 박편 영상을 이용한 암석의 투수율 및 공극률 산출 장치의 블록 구성도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암석의 박편 영상을 이용한 암석의 투수율 및 공극률 산출 장치는 디지털 카메라가 장착된 현미경(100), 제어 수단(200) 및 표시부(300)를 포함한다.
디지털 카메라가 장착된 현미경(100)은 암석 박편 샘플을 촬영하여 2차원 박편 영상을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어 수단(200)은 디지털 카메라가 장착된 현미경(100)으로부터 2차원 박편 영상을 입력받아 3차원 공극 구조를 획득하고 이 공극 구조에서 격자 볼츠만 법을 이용해 암석의 투수율 및 공극률을 산출하여서 이에 상응하는 표시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마이크로컴퓨터이다. 한편, 제어 수단(200)은 디지털 카메라가 장착된 현미경(100) 또는 표시부(300)와 유, 무선 통신가능한 이동 단말기(예컨대, 노트북, 퍼스널컴퓨터, PDA, PMP, 스마트폰 등)일 수 있다. 제어 수단(200)이 수행하는 암석의 박편 영상을 이용한 암석의 투수율 및 공극률 산출 방법에 대해서는 뒤에 설명하기로 한다.
표시부(300)는 제어 수단(200)로부터 출력되는 표시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 LCD, PDP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암석의 박편 영상을 이용한 암석의 투수율 및 공극률 산출 장치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암석의 박편 영상을 이용한 암석의 투수율 및 공극률 산출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디지털 카메라가 장착된 현미경(100)을 이용해 암석 박편 샘플을 촬영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2차원 박편 영상을 획득한다(S1). 도 3에서 청색부분은 공극을 나타내고, 회색 계열은 입자를 나타낸다. 위치에 따라 입자의 크기나 공극의 양의 차이가 현저함을 알 수 있다.
이어서, 제어 수단(200)은 획득된 상기 2차원 박편 영상을 디지털 카메라가 장착된 현미경(100)으로부터 입력받아 영상분석을 통해 자기 상관 길이(α)를 계산하고, 최적 해상도를 도출한다(S2). 본 스텝(S2)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적절한 해상도를 정하기 위해 상기 2차원 박편 영상을 2차원 함수(f(r))로 구성하고, 이로부터 자기 상관 함수(A(h))를 계산한다. 그 식은 다음과 같다.
[수학식 1]
A(h)=〈f(r)f(r+h)〉
[여기서, h는 간격(Lag)이며,〈〉는 평균을 의미한다]
이어서, 계산된 상기 자기 상관 함수(A(h))의 X축으로의 성분과 Y축으로의 성 분으로부터 1차원 자기 상관 함수를 추출하고, 이 함수를 다음의 모델함수로 피팅(fitting)하게 되면 모델함수 내의 자기 상관 길이(α)가 정해진다.
[수학식 2]
Figure pat00001
[여기서, φ는 공극률이다]
상기 자기 상관 길이(α)는 박편의 평균 입자 사이즈와 연관되며, 효율적인 투수율 예측을 위해서는 이 자기 상관 길이(α) 당 10~20개 사이의 픽셀이 되도록 영상의 해상도를 조절하여 다음 단계의 입력변수로 활용한다. 도 4 (a)는 박편 영상의 2차원 자기 상관 함수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 (b)는 상기 2차원 자기 상관 함수로부터 추출된 두 개의 1차원 자기 상관 함수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X방향 함수와 Y방향 함수, 그리고 이를 이용한 모델함수를 도출하여 자기 상관 길이(α)를 구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스텝(S3)에서, 제어 수단(200)은 공극률 및 입자 별로 상기 최적 해상도를 가진 입력 영상을 생성한다. 도 5는 최적 해상도를 가진 박편 영상의 전체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은 투수율 계산 및 변화양상을 관찰하기 위해 도 5의 전체 영역에서 선택된 각 영역별 입력 영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공극률 및 입자 별로 생성된 입력 영상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석의 변형의 영향으로 생성된 압축 밴드와 그 압축 밴드의 양 옆의 메트릭스 구간으로 분류되고, 압축 밴드 및 메트릭스 구간에서 각각 3개 영역(양호하게 분류된 큰 입자의 영역, 양호하게 분류된 작은 입자의 영역, 양호하지 않게 분류된 입자의 영역)인 총 6개 영역에서 획득된 영상이다.
이어서, 제어 수단(200)은 3차원 구조 생성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스텝(S3)에서 생성된 입력 영상 별 동확률 3차원 공극 구조(도 7 참조)를 획득한다(S4).
스텝(S5)에서, 제어 수단(200)은 스텝(S4)에서 획득된 3차원 공극구조에서 격자 볼츠만 법을 이용한 유체 전산 모사를 수행한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복잡한 3차원 공극구조를 고려한 투수율 계산을 위해서 격자 볼츠만 방법을 이용하였다. 격자 볼츠만 방법은 셀룰라 오토마타(cellular automata) 이론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이는 간단한 로컬 룰(local rule)을 이용해 많은 수의 셀로 구성된 복잡한 시스템의 상호작용을 쉽게 묘사할 수 있는 특징을 갖고 있다. 또한, 어떠한 별개의 기하학적 구조 조건이나 다른 컴퓨팅 환경에서도 빠르게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격자볼츠만 방법은 질량 보존과 운동량 보존을 통해 나비어-스톡스 방정식의 해와 근사하도록 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시간
Figure pat00002
와 위치
Figure pat00003
에서의 입자 밀도 분포는
Figure pat00004
로 나타낸다.
Figure pat00005
는 각 방향의 속도 벡터를 의미하며,
Figure pat00006
는 각각의 방향을 의미한다. 각 방향은 2차원에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격자모델(face-centered hypercube grid)로 나타내며, 8개의 속도 방향을 갖는다. 각 노드에서의 초기밀도의 값인 로컬 질량 밀도
Figure pat00007
, 운동량 밀도
Figure pat00008
, 그리고 운동량 속 텐서(momentum flux tensor)
Figure pat00009
는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
[수학식 3]
Figure pat00010

[수학식 4]
Figure pat00011

[수학식 5]
Figure pat00012
[여기서
Figure pat00013
는 속도벡터
Figure pat00014
Figure pat00015
성분
Figure pat00016
또는
Figure pat00017
성분
Figure pat00018
이다]
시간 흐름에 따른 분포 함수
Figure pat00019
는 불연속 볼츠만 방정식인 수학식 6과 같이 나타낸다.
[수학식 6]
Figure pat00020
[여기서,
Figure pat00021
는 충돌 연산자이고,
Figure pat00022
는 다음 시간 단계에서의 질량 밀도 분포를 의미한다]
시간 전개에 따른 분포 함수는 충돌 단계(collision step)와 전파 단계(propagation step)로 구성되며, 충돌 단계에서는 각각의 격자노드의 질량과 운동량을 재분배한다. 또한, 위치
Figure pat00023
에서의 분포는 이웃 위치에서
Figure pat00024
로 나타낸다. 수학식 6은 충돌 연산자를 선형화하고 고유방정식(eigen equations)을 풀면 수학식 7로 표시된다.
[수학식 7]
Figure pat00025

[여기서
Figure pat00026
는 갱신된 운동량 속 텐서이다]
새로운 분포는 유체의 특성에 따라
Figure pat00027
그리고
Figure pat00028
과 같은 계수가 결정된다. 충돌과 전파는 정류상태가 될 때까지 지속되며, 로컬 속(local flux)(
Figure pat00029
)는 수학식 8과 같이 계산된다.
[수학식 8]
Figure pat00030

이 방법을 활용하여 본 발명에서는 C언어를 사용하여 발명자가 개발한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스텝(S4)에서의 3차원 공극구조에 이 방법을 적용하여 계산한 지역적 유체의 속도분포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어서, 제어 수단(200)은 스텝(S5)에서 수행한 유체 전산 모사의 결과를 다시(Darcy) 방정식에 적용하여 투수율을 계산한다(S6). 좀 더 상세하게는, 앞에서 획득된 지역적 유체의 속도분포로부터 평균 속
Figure pat00031
를 계산하고, 적용한 압력구배
Figure pat00032
, 그리고 유체의 점도
Figure pat00033
를 이용하면 투수율
Figure pat00034
는 다음의 수학식 9와 같은 다시(Darcy) 식으로 표시된다.
[수학식 9]
Figure pat00035
이어서, 스텝(S7)에서는 제어 수단(200)이 스텝(S3)에서 생성된 입력 영상 모두의 투수율 및 공극률이 계산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스텝(S7)에서 모든 입력 영상의 투수율 및 공극률이 계산되었다면(YES), 스텝(S8)으로 진행되어 입력 영상별로 계산된 투수율 및 공극률의 변화 양상을 표시부(300)를 통해 디스플레이한다. 도 11에는 입력 영상별로 계산된 투수율 및 공극률의 변화 양상이 도시되어 있다.
스텝(S9)에서, 제어 수단(200)은 입력 영상별로 계산된 투수율 및 공극률을 평균하여 대표 투수율 및 대표 공극률을 계산한후 표시부(300)를 통해 이를 디스플레이한다. 도 10은 각 그룹별로 예측된 공극률과 투수율의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큰 원은 평균값을 나타내고, 세부 값은 오른 쪽에 표시되어 있다. 작은 점들은 각 동확률 3차원 구조에서 얻어진 값들로 이들의 통계학적 분포를 반영하고 있다. 실험데이터는 이러한 복잡한 구조의 세부적인 투수율과 공극률의 값들을 전혀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한편, 스텝(S7)에서 모든 입력 영상의 투수율 및 공극률이 계산되지 않았다면(NO), 상기 스텝(S4)으로 진행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암석의 박편 영상을 이용한 암석의 투수율 및 공극률 산출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일반적인 지질조사에서 흔히 사용되는 암편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암석 박편 샘플을 이용하므로, 종래의 투수율 측정 방식에 비해 샘플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암석의 박편 영상을 이용한 암석의 투수율 및 공극률 산출 장치 및 그 방법에 의하면, 2차원 박편 영상을 이용하여 3차원 공극 구조를 얻고 이 공극 구조에서 격자 볼츠만 법을 이용해 암석의 투수율 및 공극률을 산출하는 방식이므로, 종래의 투수율 측정 방식에 비해 비용이 저가이며 시간이 많이 소요되지 않으면서 효율적으로 암석의 투수율 및 공극률을 산출할 수 있다.
도면과 명세서에는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으며,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 것이지 의미를 한정하거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디지털 카메라 장착 현미경 200: 제어 수단
300: 표시부

Claims (7)

  1. 암석 박편 샘플을 촬영하여 2차원 박편 영상을 획득하도록 구성된, 디지털 카메라가 장착된 현미경;
    상기 현미경으로부터 2차원 박편 영상을 입력받아 3차원 공극 구조를 획득하고 이 공극 구조에서 격자 볼츠만 법을 이용해 암석의 투수율 및 공극률을 산출하여서 이에 상응하는 표시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제어 수단; 및
    상기 제어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표시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석의 박편 영상을 이용한 암석의 투수율 및 공극률 산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2차원 박편 영상을 입력받아 영상분석을 통해 자기 상관 길이를 계산하고 최적 해상도를 도출하며, 공극률 및 입자 별로 상기 최적 해상도를 가진 입력 영상을 생성하며, 3차원 구조 생성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상기 생성된 입력 영상 별 동확률 3차원 공극 구조를 획득하고 공극률을 획득하며, 상기 획득된 3차원 공극구조에서 격자 볼츠만 법을 이용한 유체 전산 모사를 수행하며, 상기 유체 전산 모사의 결과를 다시 방정식에 적용하여 투수율을 계산하며, 모든 입력 영상의 투수율 및 공극률이 계산되면 입력 영상별로 계산된 투수율 및 공극률의 변화 양상에 따른 표시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입력 영상별로 계산된 투수율 및 공극률을 평균하여 대표 투수율 및 대표 공극률을 계산하여 이에 상응하는 표시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석의 박편 영상을 이용한 암석의 투수율 및 공극률 산출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극률 및 입자 별로 생성된 입력 영상은 암석의 변형의 영향으로 생성된 압축 밴드와 그 압축 밴드의 양 옆의 메트릭스 구간으로 분류되고, 상기 압축 밴드 및 메트릭스 구간에서 각각 3개 영역(양호하게 분류된 큰 입자의 영역, 양호하게 분류된 작은 입자의 영역, 양호하지 않게 분류된 입자의 영역)인 총 6개 영역에서 획득된 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석의 박편 영상을 이용한 암석의 투수율 및 공극률 산출 장치.
  4. 암석 박편 샘플을 촬영하여 2차원 박편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2차원 박편 영상을 입력받아 영상분석을 통해 자기 상관 길이를 계산하고 최적 해상도를 도출하는 단계;
    공극률 및 입자 별로 상기 최적 해상도를 가진 입력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3차원 구조 생성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상기 생성된 입력 영상 별 동확률 3차원 공극 구조를 획득하고 공극률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3차원 공극구조에서 격자 볼츠만 법을 이용한 유체 전산 모사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유체 전산 모사의 결과를 다시 방정식에 적용하여 투수율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입력 영상 모두의 투수율 및 공극률이 계산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단계에서 생성된 모든 입력 영상의 투수율 및 공극률이 계산되었다면 상기 입력 영상별로 계산된 투수율 및 공극률의 변화 양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석의 박편 영상을 이용한 암석의 투수율 및 공극률 산출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투수율 및 공극률의 변화 양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후에, 상기 입력 영상별로 계산된 투수율 및 공극률을 평균하여 대표 투수율 및 대표 공극률을 계산하여서 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석의 박편 영상을 이용한 암석의 투수율 및 공극률 산출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단계에서 생성된 모든 입력 영상의 투수율 및 공극률이 계산되지 않았다면 상기 생성된 입력 영상 별 동확률 3차원 공극 구조를 획득하고 공극률을 획득하는 단계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석의 박편 영상을 이용한 암석의 투수율 및 공극률 산출 방법.
  7. 제 4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극률 및 입자 별로 생성된 입력 영상은 암석의 변형의 영향으로 생성된 압축 밴드와 그 압축 밴드의 양 옆의 메트릭스 구간으로 분류되고, 상기 압축 밴드 및 메트릭스 구간에서 각각 3개 영역(양호하게 분류된 큰 입자의 영역, 양호하게 분류된 작은 입자의 영역, 양호하지 않게 분류된 입자의 영역)인 총 6개 영역에서 획득된 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석의 박편 영상을 이용한 암석의 투수율 및 공극률 산출 방법.
KR1020140175273A 2014-12-08 2014-12-08 암석의 박편 영상을 이용한 암석의 투수율 및 공극률 산출 장치 및 그 방법 KR1016613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5273A KR101661336B1 (ko) 2014-12-08 2014-12-08 암석의 박편 영상을 이용한 암석의 투수율 및 공극률 산출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5273A KR101661336B1 (ko) 2014-12-08 2014-12-08 암석의 박편 영상을 이용한 암석의 투수율 및 공극률 산출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9379A true KR20160069379A (ko) 2016-06-16
KR101661336B1 KR101661336B1 (ko) 2016-09-29

Family

ID=56354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5273A KR101661336B1 (ko) 2014-12-08 2014-12-08 암석의 박편 영상을 이용한 암석의 투수율 및 공극률 산출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1336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39197A (zh) * 2017-06-22 2017-10-10 成都理工大学 一种偏光显微镜虚拟仿真实现方法
CN110222368A (zh) * 2019-08-02 2019-09-10 中国石油大学(华东) 一种利用二维切片计算岩心三维孔隙度和渗透率的方法
US10495568B2 (en) 2017-04-28 2019-12-03 The Royal Institution For The Advancement Of Learning/Mcgill University Apparatus for analyzing a sample of granular material
CN110940610A (zh) * 2019-11-27 2020-03-31 山东科技大学 破碎岩石非线性渗流试验系统及方法
KR102177448B1 (ko) 2019-08-13 2020-11-1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X-선 ct 이미지 및 공극 크기 분포를 이용한 다공성 재료 또는 균열 재료의 3차원 유동 평가 방법
CN113029899A (zh) * 2021-02-24 2021-06-25 西南石油大学 一种基于显微图像处理的砂岩渗透率计算方法
CN113570703A (zh) * 2021-07-26 2021-10-29 北京航空航天大学 一种基于图像识别技术的三维数字模型孔隙率计算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7440B1 (ko) * 2016-11-01 2017-02-20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가도리니움 화합물을 반응시킨 암석 시료의 전자현미경 이미지를 활용한 공극률 측정방법
CN108267390B (zh) * 2016-12-30 2020-07-10 中国石油天然气股份有限公司 一种含纳米孔隙储层的气体渗透率确定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1276A (ko) * 2010-12-22 2012-07-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차원 영상의 해상도 레벨에 따른 3차원 복원 물체의 텍스처 생성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1276A (ko) * 2010-12-22 2012-07-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차원 영상의 해상도 레벨에 따른 3차원 복원 물체의 텍스처 생성 장치 및 그 방법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암석의 공극률 및 밀도 측정 표준시험법", 터널과 지하공간 제16권, 제2호, 2006, pp. 95-98 *
BOEK, E. S. 외., "Lattice-Boltzmann studies of fluid flow in porous media with realistic rock geometries", Computers and mathematics with applications, 2010, Vol. 59, pp. 2305-2314 *
BOSL, W. J. 외., "A study of porosity and permeability using a lattice Boltzmann simulation",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1998, Vol. 25, No. 9, pp. 1475-1478 *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95568B2 (en) 2017-04-28 2019-12-03 The Royal Institution For The Advancement Of Learning/Mcgill University Apparatus for analyzing a sample of granular material
CN107239197A (zh) * 2017-06-22 2017-10-10 成都理工大学 一种偏光显微镜虚拟仿真实现方法
CN107239197B (zh) * 2017-06-22 2020-05-05 成都理工大学 一种偏光显微镜虚拟仿真实现方法
CN110222368A (zh) * 2019-08-02 2019-09-10 中国石油大学(华东) 一种利用二维切片计算岩心三维孔隙度和渗透率的方法
CN110222368B (zh) * 2019-08-02 2021-09-17 中国石油大学(华东) 一种利用二维切片计算岩心三维孔隙度和渗透率的方法
KR102177448B1 (ko) 2019-08-13 2020-11-1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X-선 ct 이미지 및 공극 크기 분포를 이용한 다공성 재료 또는 균열 재료의 3차원 유동 평가 방법
CN110940610A (zh) * 2019-11-27 2020-03-31 山东科技大学 破碎岩石非线性渗流试验系统及方法
CN113029899A (zh) * 2021-02-24 2021-06-25 西南石油大学 一种基于显微图像处理的砂岩渗透率计算方法
CN113570703A (zh) * 2021-07-26 2021-10-29 北京航空航天大学 一种基于图像识别技术的三维数字模型孔隙率计算方法
CN113570703B (zh) * 2021-07-26 2023-05-16 北京航空航天大学 一种基于图像识别技术的三维数字模型孔隙率计算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1336B1 (ko) 2016-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1336B1 (ko) 암석의 박편 영상을 이용한 암석의 투수율 및 공극률 산출 장치 및 그 방법
Ghabraie et al. Application of 3D laser scanner, optical transducers and digital image processing techniques in physical modelling of mining-related strata movement
RU2639727C2 (ru) Системы и способы цифрового анализа горных пород с определением сэо многофазного потока
RU2656256C2 (ru) Определение тенденций при помощи цифровой физики пород и их применение для масштабирования
Han et al. Monitoring tunnel deformations by means of multi-epoch dispersed 3D LiDAR point clouds: An improved approach
Nila et al. A PIV-based method for estimating slamming loads during water entry of rigid bodies
Moro et al. Analysis of large, seismically induced, gravitational deformations imaged by high-resolution COSMO-SkyMed synthetic aperture radar
JP5384316B2 (ja) 変位計測装置、変位計測方法、及び変位計測プログラム
Babanouri et al. Modeling spatial structure of rock fracture surfaces before and after shear test: a method for estimating morphology of damaged zones
Zakirov et al. Prediction of permeability and tortuosity in heterogeneous porous media using a disorder parameter
Fang et al. Application of a multi-smartphone measurement system in slope model tests
Han et al. An integrated method for rapid estimation of the valley incision by debris flows
Thiele et al. Insights into the mechanics of en-échelon sigmoidal vein formation using ultra-high resolution photogrammetry and computed tomography
Zhang et al. GPU-accelerated 3D reconstruction of porous media using multiple-point statistics
Masoodi et al. Application of short-range photogrammetry for monitoring seepage erosion of riverbank by laboratory experiments
RU2565325C2 (ru) Моделирование геологического процесса
Liebold et al. Advanced spatio-temporal filtering techniques for photogrammetric image sequence analysis in civil engineering material testing
CN110222368A (zh) 一种利用二维切片计算岩心三维孔隙度和渗透率的方法
JP2007170821A (ja) 三次元変位計測方法
Vletter (Semi) automatic extraction from Airborne Laser Scan data of roads and paths in forested areas
Adnan et al. Preliminary assessment of joint roughness coefficient of rock slope using close-range photogrammetry technique
Salah Geostatistical analysis of groundwater levels in the south Al Jabal Al Akhdar area using GIS
JP2021012078A (ja) 温度分布推定装置及び温度分布推定方法
CN105651964A (zh) 一种确定裂隙岩体表征单元体积的方法
KR102177448B1 (ko) X-선 ct 이미지 및 공극 크기 분포를 이용한 다공성 재료 또는 균열 재료의 3차원 유동 평가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