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9088A - 소형 촬영 렌즈계 - Google Patents

소형 촬영 렌즈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9088A
KR20160069088A KR1020140174423A KR20140174423A KR20160069088A KR 20160069088 A KR20160069088 A KR 20160069088A KR 1020140174423 A KR1020140174423 A KR 1020140174423A KR 20140174423 A KR20140174423 A KR 20140174423A KR 20160069088 A KR20160069088 A KR 201600690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refractive power
optical axis
object side
conv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44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7208B1 (ko
Inventor
박성재
장동혁
Original Assignee
에이에이씨 어쿠스틱 테크놀로지스 (심천) 컴퍼니 리미티드
에이에이씨테크놀로지스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에이씨 어쿠스틱 테크놀로지스 (심천) 컴퍼니 리미티드, 에이에이씨테크놀로지스유한회사 filed Critical 에이에이씨 어쿠스틱 테크놀로지스 (심천)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to KR10201401744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7208B1/ko
Priority to CN201510074704.8A priority patent/CN104635320B/zh
Priority to US14/832,479 priority patent/US9618727B2/en
Priority to JP2015181824A priority patent/JP2016110073A/ja
Publication of KR201600690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90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72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72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1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 G02B13/002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 G02B13/004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having four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9/00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9/00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 G02B9/34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having four components onl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es (AREA)

Abstract

이 발명은 픽셀사이즈가 작아서 소형이면서도 높은 해상도를 갖는 상센서와 결합하여서 고해상도 카메라의 구현이 가능하게 하는 소형 촬영 렌즈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카메라는 소형이면서도 고해상도를 가지기 때문에 휴대 전화, 휴대 단말기, 디지털 카메라 등에 적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소형 촬영렌즈는, 물체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조리개와, 제1렌즈와, 제2렌즈와, 제3렌즈와, 제4렌즈를 포함한다. 제1렌즈는 정의 굴절력을 갖고 양볼록 형태이다. 제2렌즈는 부의 굴절력을 갖고 상측의 면이 볼록인 매니스커스 형태이다. 제3렌즈는 정의 굴절력을 갖고 양볼록 형태이다. 제4렌즈는 부의 굴절력을 갖고, 상측의 면이 변곡점을 가지고 있고, 광축에서 물체측 면은 볼록하고 상측 면은 오목 형태이고, 광축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측의 면이 볼록인 메니스커스 형태로 바뀐다.
이 경우, 적어도 상기 3렌즈의 상측 면은 구면을 가지며, 다음의 조건을 만족한다.
Figure pat00012

여기서, R6는 제3렌즈의 물체측 면의 곡률반경이고, R7은 제3렌즈의 상측 면의 골률반경이다.

Description

소형 촬영 렌즈계{Compact Imaging Lens System}
본 발명은 스마트폰이나 휴대 단말기에 촬영 렌즈계로 들어가서 카메라의 기능을 갖추게 하거나 디지털 카메라에 적용하여서 사용이 가능하다.
최근에 스마트폰이나 휴대 단말기의 휴대성이 더욱 강조되고 디스플레이의 발전으로 소형이면서 고해상도를 갖는 촬영렌즈가 요구되고 있다. 최근에는 수차보정을 통해 고성능의 확보하기 위하여 4개의 렌즈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종래에 4개 렌즈를 이용한 렌즈계는 광학계의 소형화 및 고성능화를 위하여 비구면 렌즈를 사용하고 있다. 이 경우, 비구면 렌즈의 경우 정밀 가공이 어렵다. 이는 결과적으로 생산성이 열화된다. 이와 더불어, 보다 물체를 보다 더 넓게 촬영하기 위한 광각 성능이 필요하다.
US8,395,691 B2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포함한 여러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렌즈 가공이 용이하면서도 소형화 및 고화소화가 가능한 소형 촬영 렌즈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광각 성능이 우수한 소형 활영 렌즈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형 촬영렌즈는, 물체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조리개와, 제1렌즈와, 제2렌즈와, 제3렌즈와, 제4렌즈를 포함한다. 제1렌즈는 정의 굴절력을 갖고 양볼록 형태이다. 제2렌즈는 부의 굴절력을 갖고 상측의 면이 볼록인 매니스커스 형태이다. 제3렌즈는 정의 굴절력을 갖고 양볼록 형태이다. 제4렌즈는 부의 굴절력을 갖고, 상측의 면이 변곡점을 가지고 있고, 광축에서 물체측 면은 볼록하고 상측 면은 오목 형태이고, 광축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측의 면이 볼록인 메니스커스 형태로 바뀐다.
이 경우, 적어도 상기 3렌즈의 상측 면은 구면을 가지며, 다음의 조건을 만족한다.
Figure pat00001
여기서, R6는 제3렌즈의 물체측 면의 곡률반경이고, R7은 제3렌즈의 상측 면의 골률반경이다.
이 경우, Ycl를 38.5deg로 입사되는 광선이 제4렌즈 상측 면에 교차하는 점과 광축과의 수직 높이라 하고, y를 상면의 대각 길이의 절반의 길이라 할 때 하기의 조건식을 만족할 수 있다.
Figure pat00002
또한, 상기 제1렌즈에 대해서 하기의 조건식을 만족할 수 있다.
Figure pat00003
여기서, TTL은 상기 제1렌즈의 첫면으로부터 상면까지의 거리이고, y는 상면에서의 대각선 길이의 절반이다.
이 경우, 상기 제4렌즈의 물체측 면은 광축이 정의 굴절력을 갖고, 광축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볼록한 변곡점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렌즈의 아베수는 제1렌즈, 제3렌즈, 및 제4렌즈의 아베수보다 작은 20 내지 3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렌즈, 제3렌즈 및 제3렌즈는 동일한 아베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2, 3, 4렌즈는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실시예에 따라서 소형이면서도 고해상도의 이미지센서를 갖는 휴대단말기 제품에 적용이 쉽도록 소형화, 고성능화, 제조에 대한 저민감도 설계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 촬영 렌즈계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 실시에에 따른 소형 촬영 렌즈계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의 소형 촬영 렌즈계의 종방향 구면수차, 비점수차 및 왜곡에 관한 수차도이다.
도 4는 도 2의 소형 촬영 렌즈계의 종방향 구면수차, 비점수차 및 왜곡에 관한 수차도이다.
도 5는 도 1에서 Ycl을 표시한 소형 촬영 렌즈계의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기계 가공 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또는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소형 촬영 렌즈계를 나타낸다. 도 1 및 도 2에서 R1, R2, R3, …는 각각 조리개, 렌즈 또는 광학 필터의 물체측/상측 면의 곡률반경을 나타내고, D1, D2, D3,…는 조리개, 렌즈 또는 광학필터 간의 거리 또는 조리개, 렌즈 또는 광학필터의 중심두께를 나타낸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물체측으로부터 상(image)측의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조리개(St), 제1렌즈(L1), 제2렌즈(L2), 제3렌즈(L3) 및 제4렌즈(L4)를 포함할 수 있다. 제4렌즈(L4)와 상면(Si) 사이에는 필터(filter)(LF)와 같은 광학 부재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제1렌즈(L1)는 정의 굴절력을 갖고 양볼록 형태의 렌즈이다.
제2렌즈(L2)는 부의 굴절력을 갖고 상측의 면이 볼록인 매니스커스 형태의 렌즈이다.
제3렌즈(L3)는 정의 굴절력을 갖고 양볼록 형태의 렌즈이다. 이 경우, 상기 제3렌즈의 상측 면은 구면이다. 상기 제3렌즈의 상측 면이 구면으로 제작되면 가공 정밀도를 완화시킬 수 있고, 오차를 줄일 수 있어서 높은 신뢰성을 갖는 렌즈계를 제조할 수 있다.
이 경우, R6를 제3렌즈의 물체측 면의 곡률반경이라 하고, R7을 제3렌즈의 상측 면의 골률반경이라 할 때 다음 조건식1을 만족한다.
Figure pat00004
조건식 1은, 제3렌즈의 상측 면이 구면이면서, 광학계 성능이 향상되는 최적의 조건이다. 즉, |R6/R7|가 2.6 이상이나, 2.4 이하인 경우에는, 구면수차, 비점수차, 상면만곡 및 왜곡수차가 커지게 되어서 광학계의 수차보정이 어려워져 고성능 렌즈계를 이루기 어렵다,
제4렌즈(L4)는 부의 굴절력을 갖는다. 제4렌즈(L4)는 상측 면이 변곡점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상측 면이 변곡점을 가지므로, 제4렌즈(L4)의 상측 면이 광축에서는 오목의 형태이다가 광축에서 멀어질수록 볼록한 매니스커스 렌즈의 형태일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이미지 면에 입사하는 주광선 입사각을 줄이고, 구면수차 및 비점수차 등을 줄일 수 있게 되어서 렌즈의 해상력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제4렌즈(L4)의 물체측 면은 변곡점이 있을 수 있다. 즉, 상기 제4렌즈(L4)의 물체측 면은 광축이 볼록한 형상을 가지고, 광축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오목인 메니스커스 형태로 바뀔 수 있다. 이는 제3렌즈의 물체측 면이 구면으로 제작됨으로써 발생되는 구면수차, 비점수차 및 왜곽수차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렌즈(L1)가 양 볼록 형태를 하고 있다. 이에 따라서 제1렌즈의 가공이 용이하다. 이와 더불어 제2렌즈(L2)는 부의 굴절률을 가지므로, 광학적 전장을 짧게 할 수 있고, 주변으로 가는 중심광선의 유효 상고 또한 높이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제3렌즈(L3)의 상측 면을 구면으로 함으로써 정밀 가공도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38.5°로 조리개 중심을 통과하는 주광선이 제4렌즈 상면에 교차하는 점과 광축과의 수직 높이를 Ycl라 하고, y를 상면의 대각 길이의 절반의 길이라 할 때 하기의 조건식 2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pat00005
조건식 2은 렌즈의 화각이 광각임을 나타낸 것이다. 만약 Ycl/y가 0.75 이상인 경우에는 화각이 너무 커서 수차가 커지게 되어서 성능이 떨어진다. 또한, 만약 Ycl/y가 0.65 이하인 경우에는 화각이 너무 작아져서 광각 렌즈계를 이룰 수 없다.
본 발명에 의한 촬영렌즈에 있어서, 제1렌즈(L1)에 대해서 하기의 조건식 2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pat00006
여기서, TTL은 상기 제1렌즈의 물체측 면으로부터 상면까지의 거리이고, y는 이미지 면(상면)에서 가장 높은 상고 높이(즉, 이미지 면에서 센서 대각선의 절반 길이)이고, 따라서 2y는 이미지 면에서 센서 대각선 길이를 나타낸다.
만약, TTL/2y 가 0.95를 초과하게 되면 광학계 전장이 길어지게 되어서 광학계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없다. 또한, 0.80보다 작으면 렌즈의 굴절력이 지나치게 커지게 되어서 제2 렌즈 및 제3렌즈를 통한 수차보정이 쉽지 않으므로, 결과적으로 고성능의 촬영 렌즈계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조리개(St)는 제1렌즈(L1)의 물체측 면보다 물체측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소형 촬영 렌즈계의 전체의 길이(전장)를 줄이는 효과가 있을 뿐 아니라 렌즈의 외경을 줄여줌으로써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한편, 제1 렌즈(L1)는 50 이상의 아베수를 가지고, 제2렌즈(L2)는 20 내지 30 사이의 아베수를 가질 수 있다. 그럼으로써, 초점거리의 증가에 따라 증가되는 종색수차를 효과적으로 보정할 수 있다. 상기 제1렌즈(L1)와 제2렌즈(L2)의 아베수 차이를 20이상 차이가 나게 함으로써 컨트라스트(Contrast)를 떨어지게 만드는 색플레어를 저감 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렌즈(L2)는 22 내지 25의 아베수, 보다 바람직하게는 23내지 24의 아베수를 가질 수 있다.
이와 함께 제3렌즈(L3) 및 제4렌즈(L4)를 아베수 50 이상의 소재를 사용하여 형성함으로써 색수차 보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3, 4렌즈는 동일한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2렌즈 또한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오는 비구면의 정의를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의 비구면 형상은 광축 방향을 z축으로 하고, 광축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을 h축으로 할 때, 광선의 진행 방향을 정으로 하여 다음과 같은 수학식1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z는 렌즈의 정점으로부터 광축 방향으로의 거리를, R는 광축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의 거리를, C는 렌즈의 정점에 있어서 곡률반경의 역수를, a1은 코닉 상수(conic constant)를, a4, a6, a8, a10, a12는 비구면 계수를 나타낸다.
Figure pat00007
Figure pat00008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형 촬영 렌즈계의 설계 데이터를 살펴본다.
표 1은 도 1에 도시된 소형 촬영 렌즈계의 설계 데이터를 나타내고, 표 2는 비구면 데이터를 나타낸다. 표 1에서 곡률반경은 도 1에서의 R1, R2, …로 표시되는 것이고, 두께 또는 거리는 도 1에서 D1, D2, …로 표시되는 것이다. 표 1에서 조리개와 제1 렌즈의 물체측 면 사이의 거리(D1)이 0은 조리개의 면이 제1 렌즈의 물체측 면과 동일한 면에 있음을 나타낸다.
실시예 1
  면속성 곡률 반경 두께 nd vd
object Sphere Infinity Infinity    
조리개 Sphere Infinity 0.00000    
2 Asphere 1.49984 0.47430 1.5441 56.1000
3 Asphere -2.05440 0.24946    
4 Asphere -0.73028 0.29026 1.6355 23.9000
5 Asphere -1.67352 0.02550    
6 Asphere 4.82937 0.58607 1.5441 56.1000
7 Sphere -2.07395 0.07425    
8 Asphere 0.81848 0.30822 1.5348 56.0000
9 Asphere 0.56726 0.26755    
10 Sphere Infinity 0.21000 1.5167 64.2000
11 Sphere Infinity 0.44504    
image Sphere Infinity 0.00496    
(초점거리 2.0813mm, F no 2.2, 화각 42.7872°)
실시예1에 대한 촬영 렌즈의 비구면 계수
  코닉상수
(K)
4차 계수 (A) 6차 계수
(B)
8차 계수
(C)
10차계수
(D)
12차계수
(E)
14차계수
(F)
16차계수
(G)
2 -2.2014
E+00
-1.4327
E-01
-7.2254
E-01
1.0823
E-01
-6.5564
E+00
2.9553
E+00
-1.0629
E+01
 
3 7.2259
E+00
-4.6481
E-01
-2.4853
E-01
-9.8550
E-03
3.1638
E+00
-5.8623
E+00
-4.3206
E+00
 
4 -8.1916
E-01
-7.6999
E-02
1.9976
E+00
1.8065
E-01
-2.6634
E+00
-2.4705
E+00
5.8108
E+00
4.1438
E-01
5 1.7331
E+00
-7.6507
E-04
1.5621
E+00
-6.6775
E-01
-9.8709
E-01
1.0462
E+00
7.9310
E-01
-1.2191
E+00
6 -3.7870
E+01
6.6249
E-02
-2.7573
E-01
3.1737
E-01
-7.1246
E-02
-1.8231
E-01
-8.0438
E-02
2.5673
E-01
8 -4.6444
E+00
-6.8425
E-01
-1.2554
E-01
7.7125
E-01
-5.2526
E-01
-5.1830
E-02
1.2751
E-01
-4.3361
E-02
9 -2.6070
E+00
-6.4902
E-01
6.2183
E-01
-3.7024
E-01
8.6801
E-02
1.0271
E-02
-6.8577
E-03
-3.2433
E-04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소형 촬상 렌즈계의 렌즈계(100)의 종방향 구면 수차(longitudinal spherical aberration), 비점 수차(astigmatism) 및 왜곡(distortion)을 보여준다.
종방향 구면 수차는 약 656.28nm, 587.56nm, 546.07nm, 486.13nm, 435.83nm의 파장을 갖는 빛에 대하여 도시되었으며, 비점수차 및 왜곡은 587.56nm의 빛에 대하여 도시되었다.
표 3은 도 2에 도시된 소형 촬영 렌즈계의 설계 데이터를 나타내고, 표 4는 비구면 데이터를 나타낸다. 표 3에서 곡률반경은 도 1에서의 R1, R2, …로 표시되는 것이고, 두께 또는 거리는 도 2에서 D1, D2, …로 표시되는 것이다. 표 3에서 조리개와 제1 렌즈의 물체측 면 사이의 거리(D1)이 0은 조리개의 면이 제1 렌즈의 물체측 면과 동일한 면에 있음을 나타낸다.
실시예 2
  면속성 곡률 반경 두께 nd vd
object Sphere Infinity Infinity    
조리개 Sphere Infinity 0.00000    
2 Asphere 1.50434 0.47430 1.5441 56.1000
3 Asphere -2.05492 0.25015    
4 Asphere -0.72959 0.29218 1.6355 23.9000
5 Asphere -1.66787 0.02550    
6 Asphere 5.26000 0.57769 1.5441 56.1000
7 Sphere -2.02804 0.07425    
8 Asphere 0.82389 0.30822 1.5348 56.0000
9 Asphere 0.57082 0.26716    
10 Sphere Infinity 0.21000 1.5167 64.2000
11 Sphere Infinity 0.45504    
image Sphere Infinity 0.00496    
(초점거리 2.085mm, F no 2.2, 화각 42.7895°)
실시예2에 대한 촬영 렌즈의 비구면 계수
  코닉 상수
(K)
4차 계수
(A)
6차 계수
(B)
8차 계수
(C)
10차계수
(D)
12차계수
(E)
14차계수
(F)
16차계수
(G)
2 -2.2014
E+00
-1.4327
E-01
-7.2254
E-01
1.0823
E-01
-6.5564
E+00
2.9553
E+00
-1.0629
E+01
 
3 7.2276
E+00
-4.6481
E-01
-2.4867
E-01
-5.6957
E-03
3.1592
E+00
-5.8623
E+00
-4.3206
E+00
 
4 -8.1635
E-01
-7.8703
E-02
1.9941
E+00
1.9322
E-01
-2.6989
E+00
-2.3531
E+00
5.6758
E+00
4.1438
E-01
5 1.7331
E+00
-7.6507
E-04
1.5617
E+00
-6.7291
E-01
-9.8247
E-01
1.0213
E+00
8.5064
E-01
-1.2471
E+00
6 -3.9242
E+01
6.6249
E-02
-2.7573
E-01
3.1737
E-01
-7.1246
E-02
-1.8231
E-01
-8.0438
E-02
2.5673
E-01
8 -4.6444
E+00
-6.8074
E-01
-1.2554
E-01
7.6993
E-01
-5.2526
E-01
-5.1830
E-02
1.2016
E-01
-3.8013
E-02
9 -2.6070
E+00
-6.4615
E-01
6.1940
E-01
-3.6959
E-01
8.7233
E-02
9.9158
E-03
-6.8577
E-03
-3.2433
E-04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소형 촬상 렌즈계의 렌즈계(100)의 종방향 구면 수차(longitudinal spherical aberration), 비점 수차(astigmatism) 및 왜곡(distortion)을 보여준다.
종방향 구면 수차는 약 656.28nm, 587.56nm, 546.07nm, 486.13nm, 435.83nm의 파장을 갖는 빛에 대하여 도시되었으며, 비점수차 및 왜곡은 587.56nm의 빛에 대하여 도시되었다.
다음의 표 5는 조건식 1 내지 3에 따른 각 실시예별 수치를 나타낸다.
조건식에 따른 실시예의 계산 값
조건식 실시예1 실시예2
2.4<|R6/R7|<2.6 2.329 2.496
0.65<Ycl/y<0.75 0.675 0.674
0.80<TTL/2y<0.95 0.82 0.82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L1 : 제1렌즈
L2 : 제2렌즈
L3 : 제3렌즈
R1, R2, … : 조리개, 렌즈 또는 광학필터의 곡률반경
D1, D2, … :조리개, 렌즈 또는 광학필터 간의 거리 또는 조리개, 렌즈 또는 광학필터의 중심두께

Claims (7)

  1. 물체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조리개;
    정의 굴절력을 갖고 양볼록 형태의 제1렌즈;
    부의 굴절력을 갖고 상측의 면이 볼록인 매니스커스 형태의 제2렌즈;
    정의 굴절력을 갖고 양볼록 형태의 제3렌즈; 및
    부의 굴절력을 갖고, 상측의 면이 변곡점을 가지고 있고, 광축에서 물체측 면은 볼록하고 상측 면은 오목 형태이고, 광축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측의 면이 볼록인 메니스커스 형태로 바뀌는 제4렌즈;를 포함하고,
    적어도 상기 3렌즈의 상측 면은 구면을 가지며, 다음의 조건을 만족하는 소형 촬영 렌즈계.
    Figure pat00009

    여기서, R6는 제3렌즈의 물체측 면의 곡률반경이고, R7은 제3렌즈의 상측 면의 골률반경이다.
  2. 청구항 1에 있어서,
    Ycl를 38.5deg로 입사되는 광선이 제4렌즈 상측 면에 교차하는 점과 광축과의 수직 높이라 하고, y를 상면의 대각 길이의 절반의 길이라 할 때 하기의 조건식을 만족하는 소형 촬영 렌즈계.
    Figure pat00010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에 대해서 하기의 조건식을 만족하는 소형 촬영 렌즈계.
    Figure pat00011

    여기서, TTL은 상기 제1렌즈의 첫면으로부터 상면까지의 거리이고, y는 상면에서의 대각선 길이의 절반이다.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4렌즈의 물체측 면은 광축이 정의 굴절력을 갖고, 광축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볼록한 변곡점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촬영 렌즈계.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렌즈의 아베수는 제1렌즈, 제3렌즈, 및 제4렌즈의 아베수보다 작은 20 내지 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촬영 렌즈계.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 제3렌즈 및 제3렌즈는 50 내지 60의 아베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촬영 렌즈계.
  7. 상기 제1, 2, 3, 4렌즈는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촬영 렌즈계.
KR1020140174423A 2014-12-05 2014-12-05 소형 촬영 렌즈계 KR1017172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4423A KR101717208B1 (ko) 2014-12-05 2014-12-05 소형 촬영 렌즈계
CN201510074704.8A CN104635320B (zh) 2014-12-05 2015-02-12 小型成像透镜系统
US14/832,479 US9618727B2 (en) 2014-12-05 2015-08-21 Imaging lens assembly
JP2015181824A JP2016110073A (ja) 2014-12-05 2015-09-15 小型結像レンズ系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4423A KR101717208B1 (ko) 2014-12-05 2014-12-05 소형 촬영 렌즈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9088A true KR20160069088A (ko) 2016-06-16
KR101717208B1 KR101717208B1 (ko) 2017-03-17

Family

ID=53214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4423A KR101717208B1 (ko) 2014-12-05 2014-12-05 소형 촬영 렌즈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618727B2 (ko)
JP (1) JP2016110073A (ko)
KR (1) KR101717208B1 (ko)
CN (1) CN10463532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58752B2 (ja) 2015-12-25 2018-07-18 カンタツ株式会社 撮像レンズ
CN105607233B (zh) * 2016-03-23 2018-09-07 浙江舜宇光学有限公司 摄远镜头
JP6456873B2 (ja) * 2016-06-01 2019-01-23 株式会社三共 遊技機
TWI634360B (zh) 2017-09-29 2018-09-01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
TWI816710B (zh) * 2018-11-06 2023-10-01 佳能企業股份有限公司 光學鏡頭
CN111722359B (zh) * 2019-03-21 2022-07-12 信泰光学(深圳)有限公司 成像镜头
TWI717161B (zh) * 2019-12-20 2021-01-21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光學鏡頭組、取像裝置及電子裝置
CN113341539B (zh) * 2021-05-20 2022-08-30 江西晶超光学有限公司 光学系统、镜头模组和电子设备
CN113534419A (zh) * 2021-09-15 2021-10-22 宁波永新光学股份有限公司 一种超高清车载光学成像镜头
CN115185068B (zh) * 2022-09-12 2023-05-30 江西联昊光电有限公司 光学镜头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93195A (ja) * 2006-01-20 2007-08-02 Canon Electronics Inc 撮影レンズ及びそれを有する撮像装置
JP2007212877A (ja) * 2006-02-10 2007-08-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単焦点撮像レンズ及びそれを備えた撮像装置
CN102854607A (zh) * 2011-06-27 2013-01-02 大立光电股份有限公司 光学影像撷取镜组
US8395691B2 (en) 2010-08-20 2013-03-12 Largan Precision Co., Ltd. Optical image-capturing lens assembly
JP5370619B1 (ja) * 2012-04-06 2013-12-18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撮像光学系、撮像装置およびデジタル機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45736B2 (en) * 2004-12-13 2006-12-05 Largan Precision Co., Ltd. Lens assembly for an image sensor
JP2006309148A (ja) * 2005-03-30 2006-11-09 Kyocera Corp 撮像レンズユニット、光学モジュール、および携帯端末
JP4887507B1 (ja) * 2011-01-31 2012-02-29 株式会社AAC Technologies Japan R&D Center 撮像レンズ
TWI438521B (zh) * 2012-10-02 2014-05-21 Largan Precision Co Ltd 影像系統鏡頭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93195A (ja) * 2006-01-20 2007-08-02 Canon Electronics Inc 撮影レンズ及びそれを有する撮像装置
JP2007212877A (ja) * 2006-02-10 2007-08-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単焦点撮像レンズ及びそれを備えた撮像装置
US8395691B2 (en) 2010-08-20 2013-03-12 Largan Precision Co., Ltd. Optical image-capturing lens assembly
CN102854607A (zh) * 2011-06-27 2013-01-02 大立光电股份有限公司 光学影像撷取镜组
JP5370619B1 (ja) * 2012-04-06 2013-12-18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撮像光学系、撮像装置およびデジタル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110073A (ja) 2016-06-20
KR101717208B1 (ko) 2017-03-17
US20160161708A1 (en) 2016-06-09
CN104635320B (zh) 2017-04-05
US9618727B2 (en) 2017-04-11
CN104635320A (zh) 2015-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10806B (zh) 光學拾像系統組
KR101717208B1 (ko) 소형 촬영 렌즈계
TWI463169B (zh) 影像系統鏡片組及取像裝置
TWI422900B (zh) 光學攝影鏡頭組
TWI474038B (zh) 成像系統鏡片組
TWI474069B (zh) 取像光學系統鏡組
TWI432772B (zh) 光學影像擷取透鏡組
TWI436089B (zh) 影像拾取光學透鏡組
TWI460465B (zh) 光學影像鏡頭系統組
TWI440884B (zh) 攝影系統
TWI467221B (zh) 拾像光學透鏡組
TWI432774B (zh) 影像擷取光學鏡頭
TWI439754B (zh) 結像系統鏡頭組
TWI461732B (zh) 影像擷取系統鏡頭組
TWI452334B (zh) 光學影像拾取系統鏡組
KR101820952B1 (ko) 촬영 렌즈계
TW201514534A (zh) 廣視角光學鏡頭
KR101882990B1 (ko) 촬영 렌즈계
TW201317619A (zh) 光學結像鏡頭
TW201331617A (zh) 攝像系統透鏡組
TW201344235A (zh) 影像擷取系統鏡片組
TW201305595A (zh) 影像擷取光學鏡片系統
TW201333519A (zh) 光學影像拾取系統
TW201310061A (zh) 光學拾像鏡片系統
TW201303348A (zh) 拾像光學系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