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8533A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8533A
KR20160068533A KR1020140174389A KR20140174389A KR20160068533A KR 20160068533 A KR20160068533 A KR 20160068533A KR 1020140174389 A KR1020140174389 A KR 1020140174389A KR 20140174389 A KR20140174389 A KR 20140174389A KR 20160068533 A KR20160068533 A KR 201600685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mobile terminal
information
wireless communication
predeterm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4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태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743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68533A/ko
Publication of KR201600685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85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21Terminal devices adapted for Wireless Local Loop op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22Selective call receivers
    • H04W88/023Selective call receivers with message or information receiving capability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기 설정된 다른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가 탐색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를 기준으로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한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부와, 기 설정된 제1 단말기와 연결된 이후에,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상기 제1 단말기와의 무선 통신이 중단된 경우, 상기 제1 단말기에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의 이동 경로에 관련된 정보가 수신되도록,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에 상기 이동 단말기에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기 설정된 다른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가 탐색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에는 기술의 발달로 인해 다양한 용도의 이동 단말기들이 등장하고 있다. 예를 들어 현재 등장하는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어, 현재의 위치를 다른 단말기에 표시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하기도 한다. 이러한 단말기는 주로 아이들이나, 치매 등의 질병을 가지고 있는 노인, 또는 장애인과 같이, 다른 간병인 또는 가족의 돌봄을 필요로 하는 피보호자가 착용하고, 상기 피보호자의 위치를 상기 간병인이나 가족들과 같은 보호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이동 단말기의 경우, 위치 정보 획득을 위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등을 이용하여 획득된 위치 정보를 기 설정된 보호자의 이동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으로, 만약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GPS 신호가 없다면 상기 피보호자의 위치를 찾는데 어려움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이동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이동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발신되는 위치 정보가 없는 경우에도 상기 이동 단말기를 사용하는 피보호자가 이동한 경로에 대한 정보를, 보호자가 보다 쉽게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상기 이동 단말기를 기준으로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한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부와, 기 설정된 제1 단말기와 연결된 이후에,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상기 제1 단말기와의 무선 통신이 중단된 경우, 상기 제1 단말기에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의 이동 경로에 관련된 정보가 수신되도록,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에 상기 이동 단말기에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기는, 상기 이동 단말기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한 복수의 단말기에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하고, 상기 메시지는, 상기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기가 상기 이동 단말기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기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제3 단말기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3 단말기는, 상기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이동 단말기가 주변에 있는지 여부를 상기 제3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을 수 있는 메뉴 화면을 상기 제3 단말기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하며, 상기 제1 메뉴 화면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에 근거하여, 상기 제3 단말기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한 다른 적어도 하나의 제3 단말기에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전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메뉴 화면은, 상기 제1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메시지 전송 또는 호를 착신하기 위한 항목 및, 상기 제3 단말기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상기 제1 단말기에 전송하기 위한 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3 단말기는, 상기 제1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상기 제3 단말기의 현재 위치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제1 단말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3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3 단말기의 위치에 관련된 정보를, 상기 제1 단말기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기는, 상기 메뉴 화면에 대한 상기 제3 단말기의 사용자의 선택에 근거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가 주변에 있음이 선택된 제3 단말기와, 상기 이동 단말기가 주변에 없음이 선택된 제3 단말기를 서로 구분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단말기와의 무선 통신이 중단된 경우, 일정 시간 동안 기 설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상기 제1 단말기와의 무선 통신을 시도하고, 상기 무선 통신이 실패하는 경우 이를 기 설정된 횟수 만큼 반복하며, 상기 기 설정된 횟수 만큼 반복하여 무선 연결을 시도한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단말기와의 무선 통신이 중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연결 시도가 반복될 때마다, 상기 일정 시간 및, 상기 기 설정된 시간 간격 중 적어도 하나를 서로 다르게 하며, 상기 일정 시간 및, 상기 기 설정된 시간 간격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무선 연결 시도가 반복될 때마다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기 설정된 코드(code)를 포함하는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1 단말기와의 무선 통신이 중단되었는지 여부에 상관없이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에 상기 이동 단말기에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상기 기 설정된 코드를 포함하는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제1 단말기와 무선 연결 상태를 오프(off)하거나, 상기 제1 단말기에 무선 연결을 기 설정된 횟수 만큼 반복하여 시도하는 것을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가 소지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기기와 무선 통신을 연결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며, 상기 다른 기기와 무선 통신이 중단된 경우, 서로 다른 시간 간격으로 상기 이동 단말기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단말기와 상기 이동 단말기에 무선 통신이 연결된 이후에, 상기 다른 기기와 상기 이동 단말기의 무선 통신이 중단되는 경우, 상기 제1 단말기에 상기 다른 기기와의 무선 통신 중단을 알리는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1 단말기는,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상기 다른 기기와의 무선 통신 중단을 알리기 위한 신호가 수신되면, 기 설정된 알람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기는, 상기 제2 단말기의 사용자가, 상기 제1 이동 단말기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기에 관련된 정보의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요청에 대해 응답하도록 기 설정된 서비스에 가입된 단말기임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기는,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CCTV(Closed Curcuit Television : CCTV), 무선 신호 중계기, 또는 기지국임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현재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는 위치 정보 획득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고유 정보 및, 상기 위치 정보 획득부를 통해 검출된 위치 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에 상기 이동 단말기에 관련된 정보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가, 현재의 위치에 관련된 정보를 가지고 있는 경우, 이에 근거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산출하고, 산출된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한 제2 단말기로부터 현재의 위치를 산출할 수 없는 경우, 현재의 시각에 대한 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기는,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일정 거리 이상 이격된 위치에 있는 단말기임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부는, BT(Bluetooth : BT) 또는 BLE(Bluetooth Low Energy : BLE) 신호를 사용하여 상기 단말기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한 단말기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기 설정된 제1 단말기와 무선 통신을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단말기와 무선 통신이 연결된 이후, 상기 제1 단말기와의 무선 통신이 중단되면,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를 탐색하는 단계와, 상기 탐색된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에,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의 이동 경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도록 기 설정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기 설정된 정보를 상기 탐색된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및,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제1 단말기와의 무선 통신이 재연결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단말기를 탐색하는 단계, 상기 기 설정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단말기에 상기 기 설정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는,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단말기를 통해 기 설정된 정보가 보호자의 이동 단말기에 전송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송출되는 위치 정보가 없는 경우에도 상기 보호자가 상기 이동 단말기가 이동한 경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는,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인접한 다른 단말기가 가지고 있는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의 위치를 산출하고, 산출된 위치 정보를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단말기에 전송함으로써,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을 구비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보다 그 크기 및 무게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가,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한 다른 단말기에 기 설정된 정보를 전송하는 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가,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한 다른 단말기에 기 설정된 정보를 전송하는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가, 다른 단말기에 전송하는 기 설정된 정보를 생성하는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가, 보호자의 이동 단말기와 무선 통신이 중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가, 사용자가 착용한 다른 기기와의 연결 상태에 따라 다른 단말기를 탐색 및 기 설정된 정보를 전송하는 시간 주기를 변경하는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보호자의 이동 단말기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이동 경로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보호자의 이동 단말기에서 작성된 메시지가, 복수의 다른 단말기로 전파되는 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9a 내지 도 9d는, 복수의 제3 단말기들을 통해 전파되는 메시지의 예 및, 상기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기의 사용자가, 제1 단말기에 부가적인 정보를 전송하는 예들을 도시한 예시도들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상기 위치 정보를 전송한 제3 단말기들의 위치가, 상기 제1 단말기에서 표시되는 예를 도시하는 예시도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그리고 도 1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가 밴드(band) 형태로 구현된 예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우선 도 1a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제어부(110)와 상기 제어부(110)에 연결되는 무선 통신부(120), 전원 공급부(140), 메모리(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위치 정보 획득부(1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a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100)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 1b에서 보이고 있는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부나 키 등을 포함하지 않는 단순한 밴드 형태로, 그 크기와 무게를 최소화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다른 사람이 보기에 팔찌등과 같이 단순한 장식품으로 보일 수도 있다. 이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악의적인 목적으로 타인에게 납치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를 납치한 타인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를 단순한 장식품으로 생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를 중심으로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단말기와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단말기가 있는지 여부를 탐색할 수 있으며, 상기 탐색된 단말기로부터 특정 정보를 전송받거나, 또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서 생성된 정보를 상기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단말기에 전송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기 설정된 단말기(예를 들어 보호자의 단말기)와 무선 통신 연결을 수행하고, 상기 기 설정된 단말기와의 무선 통신이 중단되는 경우 이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 통신부(12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일정 시간을 주기로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단말기를 탐색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 통신부(12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상기 탐색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단말기 중 현재의 위치 산출에 필요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 통신부(12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단말기에 기 설정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 설정된 정보는, 기 설정된 단말기, 즉 예를 들어 보호자의 단말기가,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이동된 경로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정보로서,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ID(Identification)와 같은 고유 정보 및,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감지되었던 시간을 포함하는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기 설정된 정보는, 이동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에 관련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 정보 획득부(130)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위치 정보 획득부(130)에서 획득된 위치 정보가 상기 기 설정된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가 상기 위치 정보 획득부(130)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라면, 또는 비록 위치 정보 획득부(130)를 포함하더라도 상기 위치 정보 획득부(130)가 현재의 위치 획득이 불가능한 경우라면, 상기 제어부(110)는 탐색된 복수의 제2 단말기를 이용하여 현재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즉, 예를 들어 상기 제2 단말기가 적어도 3개이며, 상기 제2 단말기들 중 적어도 하나가 위치 정보를 가지고 있는 경우, 제어부(110)는 상기 무선 통신부(120)를 통해 상기 제2 단말기들 중 적어도 하나가 가지고 있는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상기 적어도 3개의 제2 단말기들의 삼각 측량 역산 및, 상기 수신된 위치 정보로부터 현재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10)는 상기 위치 정보 획득부(130)가 없는 경우에도 현재의 위치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기 설정된 정보를, 상기 적어도 3개의 제2 단말기들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2 단말기의 수가 많으면 많을수록 보다 정확한 위치 정보가 산출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2 단말기로부터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없는 경우, 즉,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 개수가 3개 미만이거나,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 중, 위치 정보를 가지고 있는 단말기가 없는 경우라면, 제어부(110)는 현재의 시각 정보를 포함하는 기 설정된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에 전송할 수도 있다.
그리고 메모리(150)는 이동 단말기(100)의 고유 정보 및,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50)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기 설정된 거리 이내의 다른 단말기를 탐색하는 기능, 다른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위치 정보로부터 현재의 위치를 산출하는 기능 및, 상기 기 설정된 정보를 생성하는 기능 등)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이동 단말기(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50)에 저장되고, 이동 단말기(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10)에 의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1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5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메모리(15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a와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1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한편 제어부(110)는 기 설정된 단말기, 즉 예를 들어 보호자의 단말기(이하 제1 단말기라고 칭하기로 한다)와 무선 통신이 연결되도록 상기 무선 통신부(120)를 제어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어부(110)는 상기 제1 단말기와의 무선 통신이 중단되는 경우, 기 설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단말기를 탐색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상기 탐색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단말기(이하 제2 단말기라고 칭하기로 한다)에 상기 기 설정된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이동한 흔적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에 남을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가, 이처럼 기 설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한 다른 단말기에 기 설정된 정보를 전송하는 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먼저 이동 단말기(100a)는 기 설정된 거리 이내(210)에 위치한 제1 단말기(200)와 무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100a)가 악의적인 목적으로 이동되면, 상기 이동된 이동 단말기(100b)와 상기 제1 단말기(200) 사이에 연결된 무선 통신이 중단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100b)는,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이동 단말기(100) 주변의 다른 단말기(제2 단말기)를 탐색할 수 있다.
즉, 이동 단말기(100b)는 상기 도 2에서 보이고 있는 것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b)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내(250)에 위치한 복수의 제2 단말기(252, 254, 256, 258)를 탐색할 수 있다. 그리고 탐색된 제2 단말기들(252, 254, 256, 258)에 기 설정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 설정된 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고유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로서, 현재의 시각에 관련된 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으며, 가능한 경우 현재 이동 단말기(100b)의 위치에 대한 정보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그러면 상기 제2 단말기들(252, 254, 256, 258)에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상기 기 설정된 정보가 저장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b)의 흔적에 관련된 정보가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동 단말기(100b)가 계속 이동하는 경우, 기 설정된 시간만큼 이동된 이동 단말기(100c)는 다시 기 설정된 거리 이내(260)에 위치한 복수의 제2 단말기(256, 258, 262, 264)를 탐색할 수 있다. 그리고 탐색된 제2 단말기들(256, 258, 262, 264)에 상기 기 설정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단말기들(256, 258, 262, 264) 중, 상기 기 설정된 시간만큼 이동하기 전의 이동 단말기(100b)와, 상기 기 설정된 시간 만큼 이동된 이동 단말기(100c) 모두로부터 상기 기 설정된 정보를 수신한 제2 단말기들(256, 258)에는, 상기 기 설정된 정보가, 수신된 시간 순서에 따라 차례대로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기 설정된 정보는, 상기 제2 단말기에 로그(log) 정보의 형태로 기록될 수 있다. 따라서 이처럼 상기 기 설정된 정보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순서에 따라 상기 제2 단말기들에 기록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상기 기 설정된 제1 영역(250)을 거쳐 상기 기 설정된 제2 영역(260)으로 이동한 사실을 알리기 위한 정보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단말기(200)의 사용자, 즉 보호자는, 복수의 단말기 중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이동한 경로 상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를 식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제2 단말기들에 상기 기 설정된 정보가 적어도 하나 기록된 순서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이동한 경로를 파악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110)는 상기 기 설정된 정보를 전송함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한 단말기들(제2 단말기들) 중, 일정 거리 이상 이격된 위치에 있는 단말기들에 한하여 상기 기 설정된 정보가 전송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는, 만약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악의적인 목적으로 이동, 즉 납치된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를 납치한 납치범의 이동 단말기 역시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한 상태일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어부(110)는 상기 납치범의 이동 단말기에 상기 기 설정된 정보가 전송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일정 거리 이상 이격된 제2 단말기들에 한해서만 상기 기 설정된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무선 통신부(120)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 주변의 다른 단말기를 탐색하기 위해 송출한 탐색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가 수신되는 시간, 및/또는 상기 응답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기 위한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상기 응답 신호의 세기 및/또는 상기 응답 신호가 수신될 때까지 소요된 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제2 단말기들 중,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한 단말기를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상기 응답 신호가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수신 및/또는 기 설정된 세기 이상의 세기로 상기 응답 신호를 전송한 단말기의 경우, 해당 단말기가 상기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상기 제2 단말기들 중,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한 단말기에는 상기 기 설정된 정보가 전송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또는 제어부(110)는 GPS 모듈 등 위치 정보 획득부(130)로부터 획득된 위치를 확인한 결과, 상기 이동 단말기(100)와 동일한 위치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단말기에는 상기 기 설정된 정보가 전송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110)는 기 설정된 다른 기기와의 무선 통신이 연결되도록 상기 무선 통신부(12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다른 기기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착용하고 있는 다른 기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맨 배낭이나 상기 사용자의 의복에 부착된 기기일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 사용자의 손목이나 발목에 착용하고 있는 기기일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10)는 상기 다른 기기와의 무선 통신 연결 상태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를 탐색 및, 탐색된 제2 단말기에 상기 기 설정된 정보를 전송하는 시간 주기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상기 다른 기기와,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무선 통신이 중단된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100) 또는 상기 다른 기기가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로부터 떼어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시간 주기를 더욱 단축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 또는 상기 다른 기기가 사용자로부터 떼어진 경우 상기 사용자가 악의적인 목적으로 이동된 것으로 생각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제어부(110)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상기 제1 단말기(200)와의 무선 통신이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다른 기기와의 무선 통신이 중단되는 경우라면, 상기 제1 단말기(200)에 이를 알리기 위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 사용자의 보호자가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악의적인 목적으로 이동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신호를 수신한 제1 단말기(200)는, 상기 신호가 수신되면 이를 알리기 위한 알람을 출력하여, 상기 보호자가 현재 발생한 급박한 상황에 대해 보다 빠르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알람은, 기 설정된 화상 정보나, 진동 또는 음향 신호 중 적어도 하나로 출력되어, 사용자가 상기 급박한 상황의 발생을 바로 인지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전원 공급부(140)는 제어부(11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 공급부(14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 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5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위에서 살펴본 이동 단말기(100)를 통하여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살펴보기에 앞서,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에 대하여 도 1a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무선 통신부(110)에 대하여 살펴보면,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20)는 블루투스(Bluetooth™), BLE(Bluetooth low Energy)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20)는,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이동 단말기(100)와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한 기 설정된 단말기(예를 들어 보호자의 이동 단말기) 또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이치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단말기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무선 통신부(120)는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BT(Bluetooth) 신호 또는 BLE(Bluetooth Low Energy) 신호를 통해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단말기를 탐색하고, 탐색된 단말기에 기 설정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무선 통신부(120)는, 보다 바람직하게 BLE 방식의 신호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소모되는 전력을 보다 절감할 수 있으므로, 실시간으로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한 다른 단말기를 탐색 및, 탐색된 단말기에 기 설정된 정보를 전송되도록 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무선 통신부(120)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착용한 다른 기기와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무선 통신부(12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기기 사이의 무선 통신을 연결하고, 상기 다른 기기와의 무선 통신 연결이 중단되는 경우 이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른 기기와의 무선 통신 연결이 중단되면, 상기 무선 통신부(120)는 상기 제어부(110)에 이를 알릴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위치 정보 획득부(130) 더 포함할 수 있다. 그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모듈이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위치 정보 획득부(130)는 GPS모듈을 활용하면,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위치 정보 획득부(130)는 Wi-Fi 모듈을 활용하면, Wi-Fi모듈과 무선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AP(Wireless Access Point)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메모리(15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SSD 타입(Solid State Disk type), SDD 타입(Silicon Disk Drive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5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될 수도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40)는 연결포트를 구비할 수 있으며, 연결포트는 배터리의 충전을 위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충전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전원 공급부(140)는 상기 연결포트를 이용하지 않고 무선방식으로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전원 공급부(140)는 외부의 무선 전력 전송장치로부터 자기 유도 현상에 기초한 유도 결합(Inductive Coupling) 방식이나 전자기적 공진 현상에 기초한 공진 결합(Magnetic Resonance Coupling) 방식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이동 단말기에서 구현될 수 있는 제어 방법과 관련된 실시 예들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겠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가,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한 다른 단말기에 기 설정된 정보를 전송하는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10)는 우선 기 설정된 제1 단말기(200), 즉 기 설정된 보호자의 이동 단말기와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S300). 그리고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제1 단말기(200)와의 무선 통신 상태를 지속적으로 체크하여, 상기 제1 단말기(200)와의 무선 통신이 중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02).
예를 들어, 상기 S302 단계에서 상기 제1 단말기(200)와 이격된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 이상인 경우에 상기 제1 단말기(200)와 상기 이동 단말기(100) 사이에 연결된 무선 통신은 중단될 수 있다. 그러나 제1 단말기(200)와 이동 단말기(100) 사이에 일정 두께 이상의 벽 등과 같은 차폐물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상기 제1 단말기(200)와 상기 이동 단말기(100) 사이의 무선 통신이 중단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단말기(200)와 상기 이동 단말기(100) 사이에 일시적인 전파 장애가 있는 경우 역시 상기 제1 단말기(200)와 상기 이동 단말기(100) 사이의 무선 통신이 중단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10)는 상기 S302 단계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100)와 제1 단말기(200) 사이의 무선 통신이 중단되는 경우, 이러한 무선 통신 중단이 일시적인 것인지 그렇지 않은 것인지를 판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기(100)와 제1 단말기(200) 사이의 무선 통신이 중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이하 이처럼 제어부(110)가, 상기 이동 단말기(100)와 제1 단말기(200) 사이의 무선 통신이 중단되는 경우, 이러한 무선 통신 중단이 일시적인 것인지 여부를 구분하여, 상기 S302 단계의 무선 통신 중단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 과정을 하기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한편, 상기 S302 단계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100)와 제1 단말기(200) 사이의 무선 통신이 중단된 경우라면, 제어부(110)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단말기를 탐색할 수 있다(S304). 여기서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탐색된,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한 다른 단말기를 '제2 단말기'라고 칭하기로 한다.
한편 이러한 탐색은, 상기 탐색된 단말기에 무선 통신을 연결하려는 목적이 아니라,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한 단말기들을 찾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의해 탐색된 단말기들, 즉 제2 단말기들은,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탐색을 감지하더라도 이를 상기 제2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알리지 않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있어서, 상기 제2 단말기들은 단지 미리 설정된 프로토콜(protocol)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되는 소량의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할 뿐, 제2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이를 알리거나 표시하지 않음으로써 상기 제2 단말기의 사용자가 이를 자각하지 못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2 단말기가 탐색되면, 제어부(110)는 상기 탐색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2 단말기에 전송할 기 설정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306). 그리고 상기 S304 단계에서 탐색된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에, 상기 S306 단계에서 생성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308).
여기서 상기 S306 단계에서 생성되는 기 설정된 정보는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여 생성될 수 있다. 우선 상기 기 설정된 정보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기 설정된 ID(Identification)와 같은 고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고유 정보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를, 상기 제1 단말기(200)의 사용자가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 기 설정된 정보는, 가능한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구성 요소(위치 정보 획득부(130))를 가지고 있으며, 또한 상기 위치 정보 획득부(130)를 통해 현재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것이 가능한 경우라면, 제어부(110)는 상기 위치 정보 획득부(130)를 통해 얻어진 현재의 위치 정보를, 현재의 시각 정보와 함께 상기 기 설정된 정보에 포함시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만약,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 정보 획득부(130)를 구비하지 않거나, 또는 상기 위치 정보 획득부(130)를 통해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없는 경우라면, 제어부(110)는 현재의 위치를 산출하기 위해 상기 S304 단계에서 탐색된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를 이용할 수도 있다. 즉, 제어부(110)는 상기 탐색된 제2 단말기의 개수가 기 설정된 개수 이상이며, 상기 제2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가 현재의 위치 정보를 가지고 있는 경우, 위치 정보를 가진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위치 정보를 통해, 삼각 측량의 역산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를 산출할 수도 있다. 이하 이처럼 탐색된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에 관련된 정보를 산출하는 경우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10)의 동작 과정을 하기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한편 이처럼 위치 정보가 얻어질 수 있는 경우, 제어부(110)는 상기 획득된 위치 정보, 현재의 시각에 대한 정보, 그리고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고유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생성된 정보를 상기 S304 단계에서 탐색된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만약 상기 제어부(110)가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없는 경우, 즉, 위치 정보 획득부(130)를 구비하지 않거나, 상기 위치 정보 획득부(130)가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어려운 상황, 또는 상기 탐색된 제2 단말기 중 어느 하나도 위치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라면, 상기 제어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의 고유 정보 및, 현재 시각에 대한 정보만을 포함하는 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110)는 S308단계에서, 상기 탐색된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에 상기 생성된 정보가 전송되면,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제1 단말기(200)와의 무선 통신이 재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310). 그리고 상기 S310 단계의 판단 결과,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제1 단말기(200)와의 무선 통신이 재연결되지 않은 경우라면, 제어부(110)는 다시 S304 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한 단말기들을 다시 탐색하고, 탐색된 단말기들에 기 설정된 정보를 다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기 설정된 정보는 새로 생성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제어부(110)는, 위치 정보 획득부(130) 또는 상기 새로 탐색된 단말기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얻어지는 새로운 위치 정보를 상기 기 설정된 정보에 포함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S310 단계의 기 설정된 시간 간격마다, 현재의 시각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새로 산출된 위치 정보, 그리고 이동 단말기(100)의 고유 정보를 포함하는 새로운 정보가, 상기 새로 탐색된 단말기들에게 전송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기 설정된 시간을 주기로, 상기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할 때마다, 새로운 제2 단말기들을 탐색하고, 탐색된 새로운 제2 단말기에, 새로 생성되는 상기 '기 설정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S310 단계에서 상기 제1 단말기와의 무선 통신이 다시 연결된 경우라면, 즉, 상기 제1 단말기(200)의 사용자가,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를 찾게 되는 경우라면, 제어부(110)는 상기 제1 단말기(200)와 무선 통신이 연결되는 동안, 새로운 제2 단말기를 탐색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다시 상기 S302 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제1 단말기(200)와의 무선 통신 연결 상태가 중단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상기 '제2 단말기'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한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기 설정된 정보를 저장하는 단말기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단말기'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현재의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경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현재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제2 단말기'는, 이동 통신 신호 또는 다양한 WIFI 신호를 중계하는 무선 신호 중계기나 기지국, 또는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와 같은 다양한 공익 목적의 기기 등 일 수 있으며, 다른 단말기에 횡단보도 또는 어린이 구역 등을 알리기 위해 공공 시설망에 설치된 기기 일 수도 있다. 또는 스마트 폰(smart phone) 또는 태블릿(Tablet) PC와 같은 이동 통신 단말기일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2 단말기가, 스마트 폰 또는 태블릿 PC와 같은 이동 통신 단말기인 경우, 상기 제2 단말기는, 특정 서비스에 가입한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 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특정 서비스는, 상기 제1 단말기(200)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를 찾기 위한 정보의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기 설정된 정보를 수신한 단말기가 상기 요청에 대해 응답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서비스는, 국가 또는 공공 기관에서 공익을 위해 제공되는 서비스의 일환으로 제공되는 것일 수 있다. 즉, 국가 또는 공공 기관에서 현재 제공되고 있는 특정 지역에 대한 재난 알림 등과 같은 형태의 서비스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기 제2 단말기의 사용자는 별도의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지 않는 경우에도 상기 서비스에 가입할 수 있다. 한편 이처럼 국가 또는 공공 기관에서 상기 서비스가 제공되는 것이 아니라고 할지라도, 비영리 기관 또는 공익 기관 등에서 배포되는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 얼마든지 상기 서비스가 제공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서비스에 가입하는 경우, 상기 제2 단말기는 자신의 위치 정보와 관련된 정보를 제1 단말기(200)에 전송될 수 있어야 한다. 이에 따라 제2 단말기의 사용자는, 미아나 치매 노인 또는 지체 장애자 등을 찾기 위한 용도에 한하여 상기 제2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것에 대해 동의를 받는 절차를 통하여 상기 서비스에 가입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서비스의 가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는 상기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데 있어 사용자가 동의하지 않는 경우라고 할지라도,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가 제2 단말기로 사용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즉,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기 설정된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1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를 찾기 위한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1 단말기(200)에 호를 착신하거나 메시지 등을 전송하여 현재의 위치에 관련된 정보를 제2 단말기의 사용자가 직접 제공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상기 위치 정보를 자동으로 전송하는데 있어서 동의를 하지 않은 사용자라고 할지라도, 상기 서비스에 가입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며, 이러한 방법을 통해 보다 많은 사용자들이 상기 서비스에 가입되도록 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이는 보다 많은 사용자들이 상기 서비스에 가입될수록, 이동 단말기(100) 사용자의 주변에 상기 서비스에 가입된 사용자들이 위치할 확률이 높고, 이에 따라 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를 찾을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 서비스를 운영하는 주체는, 서비스에 가입된 단말기들에 한하여, 특정 이동 단말기의 고유 정보를 수신한 단말기들의 위치 정보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서비스에 보다 많은 단말기의 사용자들이 가입하도록 유도할 수도 있다.
한편 무선 신호 중계기나 기지국, CCTV 또는, 공공 시설망 등에 연결된 기기와 같이 다양한 공익 목적을 위해 사용되는 기기 역시, 국가 또는 공공 기관 등의 공익사업 일환으로, 미아나 치매 노인 또는 지체 장애자를 찾기 위한 상기 제2 단말기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무선 신호 중계기나 기지국, 또는 CCTV 등의 기기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기 설정된 정보가 수신되면 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제1 단말기(200)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와 관련된 정보의 요청이 있는 경우, 자신의 위치 정보를 상기 제1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만약 상기 제2 단말기가, CCTV와 같이 이미지를 촬영하는 것이 가능한 기기라면,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를 찾기 위한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기 설정된 정보가 수신된 시각에 촬영된 이미지를 상기 제1 단말기(200)에 전송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제2 단말기가 상기 촬영된 이미지로부터 안면이나 키, 또는 옷 색상 등을 인식할 수 있는 경우라면, 상기 제2 단말기는 상기 촬영된 이미지로부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를 착용한 사용자, 즉 미아나, 치매 노인 또는 지체 장애자 등을 인식하여, 보다 정확한 결과가 상기 응답으로 전송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2 단말기가 주변의 다른 CCTV 들과 연결이 가능한 경우라면, 상기 제2 단말기는 연결가능한 다른 CCTV들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 즉 미아나, 치매 노인, 또는 지체 장애자의 이동 경로를 실시간으로 추적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가, 상기 S306단계에서 적어도 하나의 다른 단말기, 즉 제2 단말기에 전송하기 위한 기 설정된 정보를 생성하는 동작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10)는 상기 S304 단계에서 탐색된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에 전송할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GPS 모듈 등과 같이 자체적으로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구성 요소(예 : 위치 정보 획득부(130))를 가지고 있는 경우라면, 상기 구성 요소만으로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러나 만약 상기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구성 요소를 가지고 있지 않거나, 또는 상기 위치 정보 획득부(130)가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없는 경우, 제어부(110)는 상기 S304 단계에서 탐색된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도 4는 이러한 경우의 예를 설명하고 있는 것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10)는 상기 S304 단계에서,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가 탐색되면, 상기 탐색된 제2 단말기의 개수가 기 설정된 개수 이상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400).
예를 들어 상술한 설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10)는 삼각 측량법의 역산을 이용하여 현재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를 산출할 수도 있음을 언급한 바 있다. 그리고 이처럼 삼각 측량법을 사용하는 경우라면 최소한 3개의 다른 단말기가 필요하며, 이에 따라 상기 S402 단계에서 기 설정된 개수는 '3개'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 설정된 개수'는 상기 제어부(110)가 상기 탐색된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를 통해 위치를 산출하는 방법에 따라 서로 다르게 결정될 수 있다. 즉, 상술한 설명과 같이, 삼각 측량법을 이용하는 경우 상기 기 설정된 개수는 '3개'가 될 수 있으나, 만약 제어부(110)가 삼각 측량법이 아니라 다른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라면, 그에 따라 상기 기 설정된 개수는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다. 그러나 이하의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어부(110)가 삼각 측량법을 이용하여 현재의 위치를 산출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며, 얼마든지 다른 방법이 사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삼각 측량법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를 산출하는 경우, 제어부(110)는 상기 S304 단계에서 탐색된 제2 단말기의 개수가 상기 기 설정된 개수, 즉 3개 미만이라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로부터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를 산출하기 힘들다고 판단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의 고유 정보 및 현재 시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408). 그리고 상기 S408 단계에서 생성된 정보는, 상기 도 3의 S308 단계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에 전송될 수 있다.
그러나 만약 상기 S304 단계에서 탐색된 제2 단말기의 개수가 3개 이상인 경우라면, 제어부(110)는 상기 제2 단말기들을 통해 현재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를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10)는 상기 기 설정된 개수 이상의 제2 단말기들 중, 위치 정보를 가지고 있는 단말기가 적어도 하나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S402).
그리고 상기 S402 단계에서 상기 기 설정된 개수 이상의 제2 단말기들 중, 위치 정보를 가지고 있는 단말기가 적어도 하나 있는 경우라면, 제어부(110)는 상기 위치 정보를 가진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로부터, 그 단말기가 가지고 있는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404). 그리고 상기 S404 단계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기 설정된 위치 산출 방식에 따라 현재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산출된 위치 정보 및, 현재 시각에 대한 정보와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고유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406). 이러한 경우 상기 S406 단계에서 생성된 정보는, 상기 도 3의 S308 단계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에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10)는 상기 위치 정보를 가지고 있는 제2 단말기의 개수가 3개 이상인 경우라면, 삼각 측량법을 이용하여 현재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2 단말기의 개수가 많으면 많을수록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가 정확하게 산출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위치 정보를 가지고 있는 제2 단말기의 개수가 3개 미만인 경우라면, 삼각 측량법의 역산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산출할 수도 있다.
즉,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상기 제2 단말기들 각각에 특정 신호를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특정 신호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는 시간에 근거하여 상기 제2 단말기들 각각과 상기 이동 단말기(100) 사이의 거리를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상기 제2 단말기들 각각과 상기 이동 단말기(100) 사이의 거리에 근거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와 상기 제2 단말기들의 상대적인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제2 단말기들 중 어느 하나가 위치 정보를 가지고 있는 경우, 제어부(110)는 상기 산출된 상대적 위치와, 상기 어느 하나의 제2 단말기가 가지고 있는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를 산출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단말기들 중 하나라도 위치 정보를 가지고 있는 경우라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2 단말기들 모두가 위치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라면, 제어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의 상대적 위치를 산출할 수 있을 뿐, 현재의 위치를 산출하기 어렵다고 판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S402 단계에서, 상기 기 설정된 개수 이상의 제2 단말기들 모두가 위치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라면, 제어부(110)는 상기 S408 단계로 진행하여 현재 시각에 대한 정보와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고유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S408 단계에서 생성된 정보는, 상기 도 3의 S308 단계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에 전송될 수 있다.
한편 상기 S402 단계 및 상기 S404 단계는, 제어부(110)의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현재의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제2 단말기가 적어도 하나 있는지 여부에 따라 결정될 수도 있다. 즉, 제어부(110)는 상기 탐색된 기 설정된 개수 이상의 제2 단말기들에게 현재의 위치에 관련된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특정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상기 특정 신호에 대해 상기 기 설정된 개수 이상의 제2 단말기들로부터 수신되는 응답 신호에 따라, 상기 S402 단계에서 상기 제2 단말기들 중 위치 정보를 가지고 있는 단말기가 적어도 하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응답 신호는, 상기 특정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기 설정된 갯수 이상의 제2 단말기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되는 위치 정보, 또는 위치 정보가 없음을 알리는 신호가 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와 제1 단말기(200) 사이의 무선 통신이 중단되는 경우, 이러한 무선 통신 중단이 일시적인 것인지 그렇지 않은 것인지를 판단할 수도 있음을 언급한 바 있다.
도 5는 이러한 경우에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가, 보호자의 이동 단말기와 무선 통신이 중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10)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와 제1 단말기(200) 사이의 무선 통신이 중단되는 경우, 상기 제1 단말기(200)에 재연결을 시도한다(S500). 그리고 제어부(110)는 상기 제1 단말기(200)와의 무선 통신 재연결이 실패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502).
상기 S502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제1 단말기(200)와의 무선 통신 재연결이 성공한 경우라면, 제어부(110)는 제1 단말기(200)와 상기 이동 단말기(100) 사이의 무선 통신이 유지되는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S504). 이러한 경우 제어부(110)는 상기 도 3의 S302 단계에서, 제1 단말기(200)와의 무선 통신이 중단되지 않은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S502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제1 단말기(200)와의 무선 통신 재연결이 실패한 경우라면, 제어부(110)는 상기 S502 단계에서의 무선 통신 재연결 시도가 기 설정된 횟수 만큼 반복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506). 그리고 상기 S506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S502 단계의 무선 통신 재연결 시도가 기 설정된 횟수 만큼 반복된 경우라면, 상기 제1 단말기(200)와의 무선 통신이 중단된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S508). 이러한 경우 제어부(110)는 상기 도 3의 S302 단계에서, 제1 단말기(200)와의 무선 통신이 중단된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으며, 상기 도 3의 S304 단계에서 S310 단계에 이르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S506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S502 단계에서의 무선 통신 재연결 시도가 기 설정된 횟수 만큼 반복되지 않은 경우라면, 제어부(110)는 상기 제1 단말기(200)에 무선 통신 연결을 시도하는 시간 간격 및/또는 상기 제1 단말기(200)에 무선 통신 연결을 재시도하는 재연결 시간을 변경할 수 있다(S510). 이러한 경우, 제어부(110)는 상기 S502 단계에서, 상기 변경된 시간 간격 및, 재연결 시간에 따라 상기 제1 단말기(200)와 무선 통신 재연결을 시도하고, 재연결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단말기와 무선 통신이 연결된 상태로 판단(S504)하거나, 무선 통신이 중단된 상태로 판단(S508)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단말기(200)와 무선 통신을 재연결을 시도한 횟수가 기 설정된 횟수 미만인 경우, 제어부(110)는 상기 제1 단말기(200)에 무선 통신을 시도하는 시간 간격 및/또는 재연결 시간을 변경하여 다시 재연결을 시도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재연결 시간은, 상기 제1 단말기(200)와의 무선 통신이 연결되지 않는 경우 무선 통신을 복수회 시도하는 기 설정된 시간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무선 통신을 시도하는 시간 간격은, 상기 재연결 시간동안 상기 무선 통신을 시도하는 시간 간격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상기 재연결 시간이 3분(180초)이고, 상기 무선 통신을 시도하는 시간 간격이 10초인 경우라면, 제어부(110)는 상기 제1 단말기(200)와 이동 단말기(100) 사이의 무선 통신이 중단되는 경우, 상기 재연결 시간 3분동안, 10초마다 한번씩 상기 제1 단말기(200)와 무선 통신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재연결 시간동안 상기 제1 단말기(200)와 이동 단말기(100)와의 무선 통신이 재개되지 않는 경우라면, 다시 기 설정된 횟수 기 설정된 시간(재연결 시간) 동안 기 설정된 시간 간격(무선 통신을 시도하는 시간 간격) 마다 상기 제1 단말기(200)와 무선 통신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그리고 이를 기 설정된 횟수 만큼 반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5의 S510 단계에서 보이고 있는 것과 같이, 상기 재연결 시간 및/또는 상기 시간 간격은 상기 제1 단말기(200)와의 무선 통신 재연결이 시도될 때마다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최초의 무선 통신 연결 재연결시에는, 1분(최초 재연결 시간) 동안 10초 간격(최초 무선 통신 시도 간격)으로 상기 제1 단말기(200)와 무선 통신을 시도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1분간 상기 제1 단말기(200)와 무선 통신이 재개되지 않는 경우라면, 제어부(110)는 4분(2차 재연결 시간) 동안 30초 간격(2차 무선 통신 시도 간격)으로 상기 제1 단말기(20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2차 재연결 시도에도 재연결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5분(3차 재연결 시간) 동안 1분 간격(3차 무선 통신 시도 간격)으로 상기 제1 단말기와 무선 통신을 시도하는 3차 재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3차 재연결이 실패하는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제1 단말기(200)에 대한 무선 연결 시도를 중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단말기(200)와 최초로 무선 통신이 중단된 이후 기 설정된 시간, 예를 들어'10분'(상기 1, 2, 3차 재연결을 시도한 시간) 동안 상기 제1 단말기(200)와의 무선 연결이 재개되지 않은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200)는 상기 제1 단말기(200)와의 무선 통신 시도를 중단하여 상기 제1 단말기(200)와의 무선 통신 시도로 인해 소모되는 전력을 절약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제1 단말기(200)와 상기 이동 단말기(100) 사이의 무선 통신이 중단된 것으로 판단하고(S508), 상기 도 3의 S304 단계에서 S310 단계에 이르는 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재연결 시도가 반복될 때마다 상기 S510 단계에서, 재연결 시간 및 상기 무선 통신을 시도하는 간격을 보다 길게 변경함으로써, 상기 제1 단말기(200)와의 무선 통신 시도로 인해 소모되는 전력을 보다 절약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 의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기 설정된 다른 기기와의 연결 상태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즉 제2 단말기를 탐색 및 상기 탐색된 제2 단말기에 기 설정된 정보를 전송하는 시간 간격을 변경할 수도 있음을 언급한 바 있다.
도 6은 이러한 경우에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가, 사용자가 착용한 다른 기기와의 연결 상태에 따라 다른 단말기를 탐색 및 기 설정된 정보를 전송하는 시간 간격을 변경하는 동작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기 설정된 다른 기기가 있는 경우 상기 다른 기기와의 무선 통신 연결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S600). 상기 '다른 기기'는,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납치 또는 유괴를 당하는 경우, 상기 납치범 또는 유괴범이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로부터, 이동 단말기(100) 또는 상기 다른 기기를 떼어내는 경우에, 상기 제1 단말기(200)의 사용자에게 이를 알리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다른 기기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맨 배낭이나 상기 사용자의 의복에 부착된 기기일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 사용자의 손목이나 발목에 착용하고 있는 기기일 수도 있다. 또는 상기 '다른 기기'는, 상기 '다른 기기' 가 위치 정보를 제1 단말기(200)에 알리기 위한 기기로 상기 납치범 또는 유괴범이 오인할 수 있도록, 위치 정보를 송출하는 통상적인 기기의 외형을 가질 수도 있다.
한편 이러한 기 설정된 다른 기기와 이동 단말기(100) 사이에 무선 통신이 연결되는 경우, 제어부(110)는 상기 기 설정된 다른 기기와의 무선 연결이 중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602). 그리고 만약 상기 S502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기 설정된 다른 기기와의 무선 연결이 중단된 경우라면, 제어부(110)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제2 단말기)를 탐색하는 시간 주기를 단축할 수 있다(S604). 이러한 경우 상기 제2 단말기를 탐색하는 시간 주기가 단축되면 상기 탐색된 제2 단말기에 기 설정된 정보를 전송하는 시간 주기 역시 단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실시간으로 제2 단말기를 탐색하고, 탐색된 제2 단말기에 기 설정된 정보가 전송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기 설정된 다른 기기와의 무선 통신 연결이 중단되는 경우, 보다 짧은 시간 간격마다 상기 제2 단말기를 탐색 및, 기 설정된 정보를 상기 탐색된 제2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후 제1 단말기(200)의 사용자가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이동한 경로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경우, 보다 많은 정보가 상기 제2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1 단말기(200)로 수신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이동 경로에 대한 보다 자세한 정보가 상기 제1 단말기(200)에 수집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 설정된 다른 기기 뿐만 아니라, 상기 제1 단말기(200)가 상기 이동 단말기(100)와 연결된 상태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10)는 상기 S602 단계에서 상기 기 설정된 다른 기기와의 무선 연결이 중단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S604 단계에서 상기 제2 단말기를 탐색하는 시간 주기를 단축할 뿐만 아니라, 상기 제1 단말기(200)에 상기 기 설정된 다른 기기와의 무선 연결이 중단되었음을 알리는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S606). 이러한 경우 상기 제1 단말기(200)는 상기 S606 단계에서 수신된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기 설정된 알람이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알람은 미리 설정된 형태의 화상 정보, 진동, 음향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단말기(200)의 사용자는, 상기 알람 또는 상기 알람이 출력되는 형태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100)와 상기 기 설정된 다른 기기와의 무선 연결이 중단된 사실을 바로 인지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빠른 조치를 취할 수 있다.
한편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가 기 설정된 제1 단말기(200) 또는 기 설정된 다른 기기와의 무선 연결이 중단되는 경우에 수행되는 동작 과정에 대해 자세하게 살펴보았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와의 무선 통신이 중단된 경우 상기 제1 단말기(200)가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및 이동 경로에 대한 정보를 다른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동작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보호자의 이동 단말기, 즉 제1 단말기(200)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이동 경로에 관련된 정보를 다른 단말기를 통해 수신하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는 것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와의 무선 통신이 중단되는 경우, 상기 제1 단말기(200)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를 찾기 위한 메시지를 상기 제1 단말기(200)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한 복수의 단말기들에게 전송할 수 있다(S700). 여기서 상기 제1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되는 메시지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고유 정보 및, 상기 제1 단말기(200)의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텍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단말기(200)의 사용자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 사용자의 인상착의에 관련된 정보를 상기 메시지에 포함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시지에는, 상기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기들의 위치 정보를, 상기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기가 상기 제1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상기 제1 단말기(200)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경우 상기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기의 사용자는,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제1 단말기(200)에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단말기(200)로 메시지나 이미지를 전송할 수 있으며, 또는 호를 착신할 수도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의 고유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메시지는, 상기 제1 단말기(200)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한 복수의 단말기에 전송될 수 있다(S702). 그리고 상기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기들은, 상기 특정 서비스에 가입된 사용자의 단말기들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단말기들은, 만약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정보, 즉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고유 정보 및 현재 정보, 그리고 위치 정보를 더 포함하는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이를 저장한 단말기, 즉,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하였던 제2 단말기 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기는, 자신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기 설정된 정보를 수신한 제2 단말기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기는, 상기 수신된 메시지에 포함된 이동 단말기(100)의 고유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가 수신된 적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704). 그리고 만약 상기 제1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된 메시지에 포함된 이동 단말기(100)의 고유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가 수신된 적이 없다면, 상기 제1 단말기(200)의 메시지에 대해 응답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만약 상기 제1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된 메시지에 포함된 이동 단말기(100)의 고유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가 수신된 적이 있는 경우라면, 상기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기는,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상기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기 주변에 있는지 여부를, 사용자(상기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선택받기 위한 메뉴 화면을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할 수 있다(S706).
이러한 경우 상기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기는, 상기 가입된 서비스에 따라 자신의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제1 단말기(200)에 전송할 수 있다(S708). 즉,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단말기(200)에 자신의 위치에 관련된 정보를 보내는 단말기는, 상기 수신된 메시지에 포함된 이동 단말기(100)의 고유 정보를 수신한 단말기, 즉 현재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있는 제2 단말기이거나, 또는 이전에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하였던 제2 단말기였을 수 있다. 한편 만약 상기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기의 사용자가, 위치 정보를 자동으로 전송하는 것에 동의를 하지 않은 경우라면, 상기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위치 정보가 전송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기가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구성요소를 가지고 있지 않거나, 현재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없는 경우라면, 상기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기는, 현재 자신의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다른 위치에 관련된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즉, 상기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기는, 현재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중계기나 기지국, 또는 CCTV나 다른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제1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기들로부터 전송된 위치 정보들은 상기 제1 단말기(200)에 수신될 수 있다(S714). 이러한 경우 상기 제1 단말기(200)는 상기 수신된 위치 정보를 기 설정된 방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단말기(200)는, 현재의 지역과 관련된 지도 이미지 상에 상기 수신된 위치 정보들에 대응되는 지점을 표시할 수 있다(S716).
한편, 상기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기는, 상기 위치 정보를 제1 단말기(200)로 전송하면, 상기 S706 단계에서 표시된 메뉴 화면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에 근거하여,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한 다른 단말기에 전파(broadcasting)할 수 있다(S710). 예를 들어 상기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기의 사용자는, 상기 S706 단계에서 표시된 메뉴 화면에서 현재 주변에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있음'을 선택하거나, 또는 주변에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없음'을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만약 상기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주변에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있음'이 선택된 경우라면, 상기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기는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다른 단말기로 전파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 사용자의 위치를 이미 찾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만약 상기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주변에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없음'이 선택된 경우라면, 상기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기는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단말기로 전파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기의 사용자는, 주변에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있음' 또는 '없음'을 선택하기 전에, 현재 주변에 있는 인물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맞는지 여부를 상기 제1 단말기(200)의 사용자에게 문의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기는, 위치 정보 뿐만 아니라, 메시지나 촬영된 이미지 등 사용자에 관련된 부가적인 정보를 더 상기 제1 단말기(200)에 더 전송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기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제1 단말기(200)에 호를 착신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기의 사용자는, 상기 제1 단말기(200) 사용자의 응답에 근거하여 주변에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있음' 또는 '없음'을 선택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수신된 메시지가 전파되면, 이동 단말기(100)의 고유 정보 및, 상기 제1 단말기(200)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텍스트를 포함하는 메시지가, 현재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기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단말기로 전송될 수 있다(S712). 그리고 상기 메시지를 수신한 다른 단말기는, 상기 S704 단계에서 S710 단계에 이르는 단계를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최초에 제1 단말기(200)에서 복수의 다른 단말기에,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고유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가 전송되면,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고유 정보를 수신한 적 있었던 다른 단말기들 사이에서 상기 메시지가 계속 전파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고유 정보가 수신된 단말기들의 위치 정보는 상기 제1 단말기(200)에 수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단말기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이동된 경로에 관련된 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며, 이를 기 설정된 방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단말기(200)는 위치 정보를 전송한 단말기의 사용자의 선택 결과에 따라 상기 수신된 위치 정보를 서로 다르게 표시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1 단말기(200)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주변에 있음'이 선택된 단말기의 위치를, 그렇지 않은 단말기와 구분되게 표시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경우 제1 단말기(200)의 사용자는, 보다 빠르게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고,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주변에 있음'이 선택된 단말기에 호 착신 또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등 그에 따른 조치를 보다 빠르게 취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하 이처럼, 이동 단말기(100)의 고유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다른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단말기를, 제3 단말기(270)라고 칭하기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3 단말기(270)에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말기는, 제1 단말기(200)이거나 또는 보다 먼저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고유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한 다른 단말기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고유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는, 상기 제1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되어, 제3 단말기(270)들을 통해 계속 전파되어 확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 단말기(270)들로부터 수신되는 위치 정보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이동한 경로에 대한 정보가 될 수 있다.
도 8은 이처럼 제1 단말기(200)에서 작성된 메시지가, 복수의 제3 단말기(270)를 통해 전파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가 최초에 있던 위치(100a)에서 다른 위치(100b 및 100c)로 이동되는 경우, 이러한 이동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기(100)와 상기 제1 단말기(200) 사이의 무선 통신이 중단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도 8에서 보이고 있는 것과 같이, 최초의 위치(100a)에서 두 번째 위치(100b)를 거쳐, 세 번째 위치(100c)로 이동된 경우라면,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 중에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한 단말기들로, 고유 정보 및 현재 시각에 대한 정보 그리고 현재의 위치에 관련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이동된 위치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한 단말기들(270a, 270b, 270e, 270f, 270i, 270j, 270k)에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정보가 저장 및 수신된 순서대로 기록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1 단말기(200)는 이동 단말기(100)의 고유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제1 단말기(200)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내(800)에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다른 단말기들(270a, 270b, 270c, 270d)이 상기 제1 단말기(200)에서 전파된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단말기들(270a, 270b, 270c, 270d)이 최초의 제3 단말기들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최초의 제3 단말기들(270a, 270b, 270c, 270d) 중,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정보가 저장 및 기록된 단말기들(270a, 270b)은 상기 수신된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현재의 위치 정보를 상기 제1 단말기(200)에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근처에 있는지 여부를 상기 단말기들(270a, 270b)의 사용자들로부터 확인받기 위한 메뉴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말기들(270a, 270b)은 상기 메뉴 화면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에 근거하여,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단말기에게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단말기들(270a, 270b)로부터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기들(270g, 270e, 270i, 270m)은 다시 새로운 제3 단말기들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새로운 제3 단말기들(270g, 270e, 270i, 270m)은, 수신된 메시지에 포함된 이동 단말기(100)의 고유 정보에 대응되는 정보가 저장 또는 기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고유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수신한 단말기들(270e, 270i)은 현재의 위치 정보를 상기 제1 단말기(200)에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근처에 있는지 여부를 상기 단말기들(270e, 270i)의 사용자들로부터 확인받기 위한 메뉴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시지를 전송한 단말기들(270a, 270b)과 동일하게, 상기 메뉴 화면에 대한 상기 단말기들(270e, 270i)의 사용자 선택에 근거하여, 상기 단말기들(270e, 270i)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한 다른 단말기들(270a, 270g, 270h, 270f, 270b, 270j, 270m)에 상기 메시지를 전파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한 단말기들(270a, 270g, 270h, 270f, 270b, 270j, 270m) 중, 이미 메시지가 수신된 단말기들(270a, 270g, 270b, 270m)은 이미 위치 정보를 상기 제1 단말기(200)에 전송하였으므로 다시 위 과정을 반복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단말기들(270e, 270i)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한 단말기들(270a, 270g, 270h, 270f, 270b, 270j, 270m) 중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고유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가 한번도 수신되지 않은 단말기들(270h, 270f, 270j)만 상기 제1 단말기(200)에 위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말기들(270h, 270f, 270j)은,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되는 메뉴 화면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에 근거하여, 다른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메시지, 즉 상기 이동 단말기의 고유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다시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한 다른 단말기들(270k, 270n)에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100)가 이동된 경로 상에 위치한 단말기들이 제3 단말기로서, 상기 이동된 이동 단말기(100)의 이동 경로에 대한 정보(즉 상기 제3 단말기들의 위치 정보)를 상기 제1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단말기(200)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이동된 경로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를 제1 단말기(200)의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단말기(200)는 제3 단말기의 위치 정보와 함께, 상기 제3 단말기가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경우, 보다 정확하게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이동 경로에 대한 정보가 수집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정보에,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에 관련된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라도, 상기 제1 단말기(200)의 사용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3 단말기들로부터 수신된 위치 정보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이동된 경로를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여기서 상기 제1 단말기(200)로 수신된 정보는 경찰서 또는 소방서 등과 같은 공공기관에 제공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1 단말기(200)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로부터 가장 근접한 경찰서 등에 상기 정보가 제공되도록 함으로서,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보다 신속하게 찾아지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이상의 설명에서는, 제1 단말기(200)로부터 생성된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고유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가, 복수의 제3 단말기들을 통해 전파되는 과정 및, 상기 전파되는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하게 살펴보았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복수의 제3 단말기들을 통해 전파되는 상기 메시지의 예 및, 상기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에 상기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기의 사용자가, 제1 단말기(200)에 부가적인 정보를 전송하는 예, 그리고 복수의 제3 단말기로부터 위치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제1 단말기(200)가 이를 기 설정된 방식으로 표시하는 예를 예시도를 참조하여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도 9a 내지 도 9d는, 복수의 제3 단말기들을 통해 전파되는 상기 메시지의 예 및, 상기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기의 사용자가, 제1 단말기(200)에 부가적인 정보를 전송하는 예들을 도시한 예시도들이다.
우선 도 9a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도 9a는 복수의 제3 단말기들을 통해 전파되는 상기 메시지의 텍스트 내용이 출력되는 화면(900)의 예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도 9a에서 보이고 있는 것처럼, 상기 제1 단말기(200)의 사용자가 입력한 텍스트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주변에 있음'(here : 902) 또는 '주변에 없음'(not here : 904)을, 상기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기의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항목들을 포함하는 메뉴 화면이 같이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텍스트 및 메뉴 화면은, 상기 도 7의 S704 단계 내지 S706 단계에서 설명되어 있는 것과 같이, 특정 이동 단말기(100)의 고유 정보 및, 상기 텍스트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기(제3 단말기)에, 상기 특정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정보가 저장 및 기록된 경우에 한하여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자신의 단말기에 상기 도 9a에 보이고 있는 것과 같은 화면(900)이 출력되는 경우, 상기 제3 단말기(270)의 사용자는, 상기 수신된 메시지에 포함된 고유 정보를 가지는 이동 단말기(100)가, 현재 자신의 주변에 있거나 또는 자신의 주변에 있었음을 인지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3 단말기(270)의 사용자는, 상기 텍스트 내용으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기(100) 사용자의 인상착의를 확인하고, 자신의 주변에 상기 텍스트에서 언급된 인상착의에 대응되는 인물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주변에 있음(here : 902)'또는, '주변에 없음(not here : 904)'를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3 단말기(270)의 사용자가 상기 항목들(902, 904) 중 어느 것을 선택하더라도, 상기 제3 단말기(270)의 위치에 관련된 정보가 상기 제1 단말기로 전송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3 단말기(270)에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이상, 과거에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상기 제3 단말기(270) 주변에 있었던 것이므로, 비록 현재 상기 제3 단말기(270)의 주변에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없다고 할지라도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이동한 흔적에 관련된 정보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상기 제3 단말기(270)의 사용자가, '주변에 있음(here : 902)'을 선택하는 경우, '주변에 없음(not here : 904)'이 선택된 경우와 다르게 상기 제1 단말기(200)에 표시될 수도 있다. 이는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발견된 경우, 보다 신속하게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를, 상기 제1 단말기(200)의 사용자가 찾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제3 단말기(270)의 사용자는, 도 9b에서 보이고 있는 것과 같이, 바로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주변에 있음(here : 902)'또는, '주변에 없음(not here : 904)'를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만약 상기 제3 단말기(270)의 사용자가, '주변에 있음(here : 902)'을 선택하는 경우 이를 알리는 메시지가 상기 제1 단말기(200)로 전송될 수 있으며, '주변에 없음(not here : 904)'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상기 제3 단말기(270)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3 단말기(270)는 자신에게 상기 메시지를 전송한 단말기에는 상기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을 수도 있음이 물론이다.
한편, 상기 제3 단말기(270)의 사용자는, 도 9b에서 보이고 있는 것처럼, 바로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주변에 있음 또는 없음을 선택하지 않고, 상기 제1 단말기(200)에 부가적인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3 단말기(270)의 사용자는 직접 작성한 메시지를 상기 제1 단말기(200)에 전송하거나, 상기 제3 단말기(270)를 이용하여 촬영한 이미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도 9c 및 도 9d는 이러한 예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제3 단말기(270)의 사용자가, 상기 제1 단말기(200)에 부가적인 정보를 전송할 것을 선택하는 경우라면, 상기 제3 단말기(270)는, 상기 제1 단말기(200)에 전송될 부가적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항목들을 포함하는 메뉴 화면을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직접 작성한 메시지의 예를 보이고 있는 도 9c의 경우, 사용자가 메시지의 전송을 선택할 수 있는 항목(reply : 934)을 선택하면, 상기 메시지 작성창(922)에서 보이고 있는 메시지가 상기 제1 단말기(200)에 전송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는 상기 촬영된 이미지를 상기 메시지에 첨부하여 상기 제1 단말기에 전송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3 단말기(270)는 이미지를 첨부할 수 있는 항목(image : 930)을 선택하여, 상기 제3 단말기(270)를 이용하여 촬영된 이미지를 현재 작성중인 메시지에 첨부할 수 있으며, 상기 촬영된 이미지에 포함된 인물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맞는지 여부의 확인을 상기 제1 단말기(200) 사용자에게 요청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도 9c 및 도 9d에서 보이고 있는 것처럼, 이미지 또는 메시지 뿐만 아니라, 상기 제3 단말기(270)의 사용자가 상기 제1 단말기(200)의 사용자에게 직접 통화를 할 수도 있다. 즉, 제3 단말기(270)의 사용자가 상기 표시된 항목들 중, '통화하기(call : 932)'를 선택하는 경우라면, 제3 단말기(270)는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제1 단말기(200)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단말기(200)에 호를 착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단말기(200)의 사용자가 상기 착신된 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1 단말기(200)와 상기 제3 단말기(270) 사이에는 통화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제3 단말기(270)는 상기 항목들 중 '취소'(cancel : 936)가 선택되는 경우라면, 상기 현재 작성중인 메시지를 삭제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메시지 작성창(922)에 작성 중인 메시지는 삭제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도 9b에서 보이고 있는 것과 같이, 단지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주변에 있음(here : 902)'또는, '주변에 없음(not here : 904)'에 대응되는 정보가 전송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도 10a 및 도 10b는, 상기 위치 정보를 전송한 제3 단말기들의 위치가, 상기 제1 단말기에서 표시되는 예를 도시하는 예시도들이다.
우선 도 10a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도 10a에서는, 제1 단말기(200)를 중심(1000)으로 하여, 위치 정보를 전송한 제3 단말기(270)들의 위치들(1002)만을 표시하는 것을 보이고 있으며, 도 10b는 제1 단말기(200) 주변에서 감지 가능한 다른 단말기들을 모두 표시하고, 상기 위치 정보를 전송한 제3 단말기(270) 들을 그렇지 않은 단말기들과 구분되게 표시하는 예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감지 가능한 다른 단말기들은, 상기 제1 단말기(200) 주변에 위치한 무선 신호 중계기나 기지국, 또는 CCTV와 같은 다양한 공익 목적의 기기 또는 횡단보도 또는 어린이 구역 등을 알리기 위해 공공 시설망에 연결되는 기기일 수 있다. 이러한 기기들의 경우 그 자체가 랜드 마크(land mark)의 역할을 할 수 있으므로, 제1 단말기(200)의 사용자에게 보다 직관적으로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이동된 경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러한 상기 제3 단말기들의 위치는 해당 지역의 지도 정보와 함께 제공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경우, 상기도 10a 및 도 10b에서 보이고 있는 것과 같은 제3 단말기들의 위치들이 지도 이미지 상에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10b에서 보이고 있는 것과 같이, 제1 단말기(200)는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주변에 있음(here : 902)'이 선택된 제3 단말기(1006)의 위치를, '주변에 없음(not here : 904)'를 선택한 다른 제3 단말기들과 구분되게 표시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1 단말기(200)는 이를 구분하기 위한 그래픽 객체(1004)를 상기 제3 단말기(1006)의 주변에 더 표시하여, 제1 단말기(200)의 사용자가 이를 보다 신속하고 직관적으로 인식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타인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를 단순한 장식품으로 생각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나 키 등을 포함하지 않는 단순한 밴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기 설정된 단말기, 즉 제1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따라 그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단말기(200)는 기 설정된 코드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전송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상기 제1 단말기(200)에 재연결을 시도하는 것을 중지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바로 상기 제1 단말기(200)와의 무선 통신 연결 상태가 중단된 것으로 판단하고, 보다 짧은 시간 간격으로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한 단말기들을 탐색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납치된 것이 확실한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서 낭비되는 전력을 절감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이동 경로에 대한 정보를 보다 빨리 수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제1 단말기(200)로부터 기 설정된 코드가 수신되는 경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제1 단말기(200)와 무선 통신이 연결된 상태라도 이를 오프(off)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는 제1 단말기(200)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한 단말기들이 바로 탐색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는 상기 기 설정된 코드가 포함된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100)와 제1 단말기(200) 사이의 무선 통신 연결을 오프(off)하거나 또는 무선 통신 연결 시도를 중단하는 것만을 예로 들었으나 이와는 반대로 동작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즉, 상기 이동 단말기(100)와 상기 제1 단말기(200) 사이의 무선 통신 연결이 현재 중단된 상태인 경우, 상기 제1 단말기(200)의 사용자는 상기 기 설정된 코드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단말기(200)와 이동 단말기(100) 사이의 무선 통신 연결이 재개되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20)

  1.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를 기준으로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한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부;
    기 설정된 제1 단말기와 연결된 이후에,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상기 제1 단말기와의 무선 통신이 중단된 경우, 상기 제1 단말기에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의 이동 경로에 관련된 정보가 수신되도록,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에 상기 이동 단말기에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기는,
    상기 이동 단말기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한 복수의 단말기에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하고,
    상기 메시지는,
    상기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기가 상기 이동 단말기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기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제3 단말기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3 단말기는,
    상기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이동 단말기가 주변에 있는지 여부를 상기 제3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을 수 있는 메뉴 화면을 상기 제3 단말기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하며,
    상기 제1 메뉴 화면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에 근거하여, 상기 제3 단말기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한 다른 적어도 하나의 제3 단말기에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전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화면은,
    상기 제1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메시지 전송 또는 호를 착신하기 위한 항목 및, 상기 제3 단말기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상기 제1 단말기에 전송하기 위한 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3 단말기는,
    상기 제1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상기 제3 단말기의 현재 위치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제1 단말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3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3 단말기의 위치에 관련된 정보를, 상기 제1 단말기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기는,
    상기 메뉴 화면에 대한 상기 제3 단말기의 사용자의 선택에 근거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가 주변에 있음이 선택된 제3 단말기와, 상기 이동 단말기가 주변에 없음이 선택된 제3 단말기를 서로 구분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단말기와의 무선 통신이 중단된 경우, 일정 시간 동안 기 설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상기 제1 단말기와의 무선 통신을 시도하고, 상기 무선 통신이 실패하는 경우 이를 기 설정된 횟수 만큼 반복하며,
    상기 기 설정된 횟수 만큼 반복하여 무선 연결을 시도한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단말기와의 무선 통신이 중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연결 시도가 반복될 때마다, 상기 일정 시간 및, 상기 기 설정된 시간 간격 중 적어도 하나를 서로 다르게 하며,
    상기 일정 시간 및, 상기 기 설정된 시간 간격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무선 연결 시도가 반복될 때마다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기 설정된 코드(code)를 포함하는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1 단말기와의 무선 통신이 중단되었는지 여부에 상관없이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에 상기 이동 단말기에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상기 기 설정된 코드를 포함하는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제1 단말기와 무선 연결 상태를 오프(off)하거나, 상기 제1 단말기에 무선 연결을 기 설정된 횟수 만큼 반복하여 시도하는 것을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가 소지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기기와 무선 통신을 연결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며,
    상기 다른 기기와 무선 통신이 중단된 경우, 서로 다른 시간 간격으로 상기 이동 단말기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단말기와 상기 이동 단말기에 무선 통신이 연결된 이후에, 상기 다른 기기와 상기 이동 단말기의 무선 통신이 중단되는 경우, 상기 제1 단말기에 상기 다른 기기와의 무선 통신 중단을 알리는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1 단말기는,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상기 다른 기기와의 무선 통신 중단을 알리기 위한 신호가 수신되면, 기 설정된 알람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기는,
    상기 제2 단말기의 사용자가, 상기 제1 이동 단말기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기에 관련된 정보의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요청에 대해 응답하도록 기 설정된 서비스에 가입된 단말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기는,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CCTV(Closed Curcuit Television : CCTV), 무선 신호 중계기, 또는 기지국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5. 제1항에 있어서,
    현재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는 위치 정보 획득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고유 정보 및, 상기 위치 정보 획득부를 통해 검출된 위치 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에 상기 이동 단말기에 관련된 정보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가, 현재의 위치에 관련된 정보를 가지고 있는 경우, 이에 근거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산출하고, 산출된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한 제2 단말기로부터 현재의 위치를 산출할 수 없는 경우, 현재의 시각에 대한 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기는,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일정 거리 이상 이격된 위치에 있는 단말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부는,
    BT(Bluetooth : BT) 또는 BLE(Bluetooth Low Energy : BLE) 신호를 사용하여 상기 단말기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한 단말기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0.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기 설정된 제1 단말기와 무선 통신을 연결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기와 무선 통신이 연결된 이후, 상기 제1 단말기와의 무선 통신이 중단되면,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를 탐색하는 단계;
    상기 탐색된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에,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의 이동 경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도록 기 설정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기 설정된 정보를 상기 탐색된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및,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제1 단말기와의 무선 통신이 재연결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단말기를 탐색하는 단계, 상기 기 설정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단말기에 상기 기 설정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20140174389A 2014-12-05 2014-12-05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685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4389A KR20160068533A (ko) 2014-12-05 2014-12-05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4389A KR20160068533A (ko) 2014-12-05 2014-12-05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8533A true KR20160068533A (ko) 2016-06-15

Family

ID=56135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4389A KR20160068533A (ko) 2014-12-05 2014-12-05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6853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68471B2 (en) * 2015-03-24 2019-04-23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for upgrading terminal system, terminal, and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68471B2 (en) * 2015-03-24 2019-04-23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for upgrading terminal system, terminal, and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32390B1 (en) Mobile device utilizing time of flight for personal security and localization
JP6382957B2 (ja) ウェアラブルデバイスの位置決め方法及び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CN106851555B (zh) 用于地理围栏操作的装置和方法
US10425766B2 (en) Location systems using short-range communications
KR101556675B1 (ko) 통신단말을 이용한 이동비콘의 위치산출방법
KR101560200B1 (ko) 크라우드 네트워크를 이용한 위치 관제 시스템
WO2016131183A1 (zh) 一种获取目标物位置信息的方法、装置及系统
US9220078B1 (en) Mobile device utilizing time of flight for localization
KR20130028317A (ko) 위치 추적용 휴대용 단말기, 위치 추적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위치 추적 시스템
JP2015194943A (ja) 監視システム
KR20090000125A (ko)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미아 발생 예방 시스템 및 방법
KR101409824B1 (ko) 블루투스 통신 기반 위급 상황 관리 시스템
CN105744470A (zh) 定位信息传输方法、装置及系统
TWI583983B (zh) 藍芽定位系統及方法
JPWO2017221301A1 (ja) 制御システム
KR101371662B1 (ko) 미아 추적 시스템 장치 및 그 방법
JP2010219956A (ja) 移動警告システム、移動体通信端末および移動警告方法
KR20160068533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JP6300878B1 (ja) 管理対象端末、サーバ、携帯電話装置、携帯情報端末プログラム、携帯電話装置プログラム及び位置管理システム
KR20110049928A (ko) 실시간 위치추적 단말을 이용한 미아찾기 방법 및 시스템
US7058546B2 (en) System and device for monitoring of occupancy area
KR101699982B1 (ko) 다양한 위치 식별 이동단말 및 그 동작 방법, 이동단말의 위치에 따른 서비스 제공 기지국 및 그 동작 방법
KR101622847B1 (ko) 위치 정보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JP5963734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
KR102009964B1 (ko) Ble송수신기를 이용한 보호대상자 위치정보 제공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