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8225A - 새집 - Google Patents

새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8225A
KR20160068225A KR1020140173647A KR20140173647A KR20160068225A KR 20160068225 A KR20160068225 A KR 20160068225A KR 1020140173647 A KR1020140173647 A KR 1020140173647A KR 20140173647 A KR20140173647 A KR 20140173647A KR 20160068225 A KR20160068225 A KR 201600682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bird
size
nest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3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8315B1 (ko
Inventor
박찬열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Priority to KR10201401736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8315B1/ko
Publication of KR201600682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82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83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83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31/00Housing birds
    • A01K31/06Cages, e.g. for singing bir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31/00Housing birds
    • A01K31/06Cages, e.g. for singing birds
    • A01K31/08Collapsible cag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rd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공적으로 제작한 새집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새가 활동할 수 있는 공간을 가지며, 한쪽 면이 개방된 개방 면을 갖는 본체(101)와, 내부에 수용공간을 가지며 본체의 개방 면과 결합되는 개방 면을 갖는 분리형 덮개(102)와, 본체의 일측에 형성된 출입구(104)를 가지며, 분리형 덮개의 수용공간 내에는, 본체 내의 둥지를 촬영하는 제 1 카메라(105)와, 출입구를 출입하는 새를 촬영하는 제 2 카메라(106)와, 제 1 및 제 2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중앙통제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부(122)와, 제 1 카메라와 제 2 카메라 및 통신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21)가 배치되어 있으며, 이 분리형 덮개(102)는 새의 산란기부터 새끼새가 어미새로 성장하여 새집을 떠날 때까지만 사용된다.

Description

새집{BIRD'S NEST}
본 발명은 새집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시나 마을 인근의 숲 등에서 서식하는 새들의 생태를 분석하기 위한 새집에 관한 것이다.
새집은 새의 번식 등을 위해 인공적으로 만든 작은 집이며, 새들은 새집 안에서 둥지를 칠 수 있고, 이 둥지를 이용하여 산란, 부화 및 성장을 한다.
일반적으로 새는 숲의 나무구멍이나 처마 밑, 바위 틈, 돌담의 틈 또는 나뭇가지에 마른 풀의 줄기나 뿌리 또는 이끼 등을 이용하여 둥지를 틀고 산란 및 부화를 통해서 번식한다.
그러나 최근 도시화의 진전에 따라서 새들이 둥지를 틀 수 있는 장소가 줄어들고 있고, 둥지를 만들기 위한 재료도 줄어들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래서 인공적으로 만든 새집을 도시나 마을 인근의 숲에 달아줌으로써 새의 번식을 유도하는 등의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고, 이들의 증식을 위한 번식생태의 연구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새들의 번식생태의 연구를 위해서는 새의 산란에서부터 부화 및 성장과정 전반에 걸친 지속적인 실시간 관찰이 필요하다.
새의 생활상태를 관찰할 수 있는 종래기술의 새집으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새집이 있다. 도 1은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종래의 새집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종래의 새집은 내부에 새가 둥지를 틀고 생활할 수 있는 공간을 갖는 육면체 형상의 새장(10)의 내부 벽면에 새집 내부에서 생활하는 새의 모습을 촬영하는 카메라(30)를 설치하고, 이 카메라(30)에 의해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새장(10)의 외부에 설치된 스크린(31)을 통해서 관찰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종래기술의 새집은 새장(10) 내에서의 새의 활동을 카메라(30) 및 스크린(31)에 의해 새집 외부에서 관찰할 수는 있으나, 새의 산란과정에서의 새알의 개수나 크기, 새알의 부화과정 및 부화율, 부화 후의 성장과정에서의 먹이의 공급 등을 포함하는 새의 번식생태 전반에 걸쳐서는 연속적이면서도 실시간적인 관찰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특히 야생에서 산란, 부화 및 번식을 하는 야생조류의 특성을 고려하면 상기 종래기술의 새집은 야생 조류의 좋지 않은 영향을 주며, 생태의 관찰 및 연구용으로는 매우 부적합하다.
특허문헌 1 : 공개특허 2013-0065260호 공보(2013. 6. 19. 공개)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새의 부화에서부터 번식 및 먹이 공급을 통한 성장과정 전반에 걸쳐서 새의 번식생태를 실시간으로 관찰할 수 있는 새집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새집은, 내부에 새가 활동할 수 있는 공간을 가지며, 한쪽 면이 개방된 개방 면을 갖는 본체와, 내부에 수용공간을 가지며 상기 본체의 상기 개방 면과 결합하는 개방 면을 갖는 분리형 덮개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형성된 출입구를 가지며, 상기 분리형 덮개의 상기 수용공간 내에는, 상기 본체 내의 둥지를 촬영하는 제 1 카메라와, 상기 출입구를 출입하는 새를 촬영하는 제 2 카메라와,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중앙통제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부와, 상기 제 1 카메라와 상기 제 2 카메라 및 상기 통신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으로부터 상기 둥지에 산란한 새알의 크기를 산출하고, 산출한 새알의 크기정보를 상기 제 1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과 함께 상기 중앙통제장치로 전송해도 좋다.
또, 상기 제 1 카메라는 상기 둥지만을 촬영하며, 상기 새알의 크기는 상기 둥지와 상기 제 1 카메라의 렌즈 사이의 거리와 상기 제 1 카메라의 렌즈와 상기 제 1 카메라에 촬영된 영상 사이의 거리로부터 상기 둥지의 실제 크기와 상기 촬영된 영상의 크기의 관계를 구하고, 상기 둥지의 실제 크기와 상기 촬영된 영상의 크기의 관계 및 상기 촬영된 영상 중에서 새알이 점유하는 비율로부터 상기 새알의 크기를 산출해도 좋다.
또는, 상기 제 1 카메라는 상기 새알만을 촬영하며, 상기 새알의 크기는 상기 새알과 상기 제 1 카메라의 렌즈 사이의 거리와 상기 제 1 카메라의 렌즈와 상기 제 1 카메라에 촬영된 영상 사이의 거리로부터 상기 새알의 크기를 산출해도 좋다.
또,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으로부터 상기 새가 물고 들어오는 먹이의 크기를 더 산출하고, 산출한 먹이의 크기정보를 상기 제 1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과 함께 상기 중앙통제장치로 전송해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새의 부화에서부터 번식 및 먹이 공급을 통한 성장과정 전반에 걸쳐서 새의 번식생태를 실시간으로 관찰할 수 있는 새집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새집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새집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새집 감시장치의 구성을 나태는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새집에서 새알의 크기 및 어미새가 물어오는 먹이의 크기를 계산하기 위한 원리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새집을 이용하여 산란 및 번식을 하는 박새 용 새집을 예로 들어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새집은 박새용으로만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다른 어떤 조류의 번식생태의 연구에도 활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새집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로, (a)는 분리형 덮개가 장착된 새집의 구조를 나타내고, (b)는 분리형 덮개를 그 안쪽에서 본 모습을 나타낸다.
도 2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본 실시형태의 박새용 새집(100)은 새집 본체(101)와 본체(101)의 위쪽에 설치되며 본체(101)로부터 분리 가능한 구조를 갖는 분리형 덮개(102)를 갖는다.
본체(101)에는 내부에 새가 산란 및 부화를 할 수 있는 둥지(미 도시)를 설치하고 산란, 부화 및 먹이공급활동을 할 수 있는 공간을 가지며, 분리형 덮개(102)가 설치되는 상부를 제외한 전체 면이 폐쇄된 형상을 이루고 있고, 통상은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체(101)를 구성하는 4개의 벽면 중 한쪽 면에는 개폐 가능한 개폐용 문(103)이 설치되고, 또, 본체(101)의 4개의 벽면 중 개폐용 문(103)이 설치된 면 이외의 면 중 어느 한 면의 대략 중앙부에는 새집(100) 안으로 새가 출입할 수 있는 출입구(104)가 설치된다. 이 출입구(104)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통상 원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크기는 어미새가 자유롭게 출입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 예를 들어 새집(100)이 박새용인 경우에는 박새 어미새의 크기를 감안하면 그 지름은 대략 4.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출입구(104)의 좌우 양측에는 한 쌍의 적외선 센서(108, 108)가 설치되며, 이 한 쌍의 적외선 센서(108, 108)는 후술하는 제어 및 통신모듈(109)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 2 (b)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분리형 덮개(102)는 본체(101)에 대해 분리 및 결합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며, 새의 번식기에는 본체(101)에 본 발명의 분리형 덮개(102)를 장착하여 새집(100) 내에서 새가 산란, 부화 및 먹이공급을 통해 성장하는 과정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하고, 번식기 이외의 기간에는 본 발명의 분리형 덮개(102)가 아닌 일반 덮개를 장착하여 고가 장비인 카메라 등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분리형 덮개(102)는 한쪽 면이 개방되며 내부에는 후술하는 새집 감시장치(120)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갖는 형상으로서, 본체(101)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이면 좋고, 예를 들어 본체(101)가 직육면체 형상이면 분리형 덮개(102)도 직육면체 형상으로 하는 것이 좋으며, 개방된 면 측이 앞에서 설명한 본체(101)의 개방 면과 결합한다. 본체(101)와 분리형 덮개(102)의 결합방법은 공지의 어떤 방법으로 해도 좋다.
분리형 덮개(102)의 안쪽에는 제 1 카메라(105)와 제 2 카메라(106)와 LED 램프(107)와 제어 및 통신모듈(109) 및 안테나(110)가 배치되어 있다.
제 1 카메라(105)는 새집(100) 내의 바닥 면에 위치하는 둥지를 관찰하기 위한 카메라로서, 바람직하게는 둥지 전체의 모습을 새집(100) 내에서 발생하는 음성과 함께 동영상으로 촬영하며, 제 1 카메라(105)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이용해서 새가 산란한 새알의 크기 및 개수 등을 관찰할 수 있다. 산란한 새알의 크기를 관찰하는 방법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제 2 카메라(106)는 출입구(104)를 통해 출입하는 어미새를 관찰하기 위한 카메라로서, 제 2 카메라(106)가 촬영한 영상으로부터 부화한 새끼 새가 어미새로 성장하기까지의 전 성장기간에 걸쳐서 어미새가 새끼새에게 먹이를 물어다 준 횟수, 먹이의 크기 등을 관찰 분석할 수 있고, 이로부터 성장기간 전체에 걸쳐서 새끼새 한 마리당 섭취한 먹이의 양 등을 추정할 수 있다.
또, 제 1 카메라(105) 및 제 2 카메라(106)는 예를 들어 SD카드와 같은 자체 메모리장치를 가지며, 각각의 카메라가 촬영한 동영상을 당해 카메라의 메모리장치에 저장할 수 있다.
제 1 카메라(105) 및 제 2 카메라(106)의 설치위치는 분리형 덮개(102) 내의 어떤 위치라도 좋으나, 중요한 점은 제 1 카메라(105)는 새집 내의 둥지를 관찰하기에 가장 적합한 위치이면 좋고, 제 2 카메라(106)는 출입구(104)를 통해서 새집(100) 내로 출입하는 어미새를 관찰하기에 가장 적합한 위치 및 각도이면 좋다. 또, 제 1 카메라(105) 및 제 2 카메라(106)는 각자의 기능을 수행하기에 적절한 위치 및 각도로 조절될 수 있다.
LED 램프(107)는 예를 들어 야간 등에 새집(100)의 내부가 어두워져서 제 1 카메라(105) 및 제 2 카메라(106)가 새집(100) 내부의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최소 밝기에 미달하는 경우에 발광하여 새집(100) 내부의 밝기를 제 1 카메라(105) 및 제 2 카메라(106)가 영상을 촬영하기에 적합한 밝기로 해 주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0.1W 정도의 약한 밝기의 LED 램프를 이용한다.
제어 및 통신모듈(109)은 제어부(121)와 통신부(122)를 포함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제 1 카메라(105), 제 2 카메라(106), LED 램프(107) 및 적외선 센서(108, 108) 등을 포함하는 새집 감시장치(120)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수단(미 도시)을 더 포함해도 좋다. 또, 전원공급수단은 외부 간선전원으로부터 새집 감시장치에 전원을 공급해도 좋고, 예를 들어 태양전지와 같은 설비로부터 전원을 공급해도 좋으며, 그 외의 다른 공지의 방법으로 해도 좋다.
통신부(122)는 제어부(121)의 제어에 따라서 제 1 카메라(105) 및 제 2 카메라(106)가 촬영한 영상을 예를 들어 감시 서버와 같은 중앙통제장치(미 도시)로, 무선통신이나 유선통신 등의 적절한 전송방식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새집(100)은 숲 속과 같은 지역에 설치되고, 또, 하나의 숲에는 다수의 새집이 설치된다는 것을 고려하면 새집(100)과 중앙통제장치 사이의 통신방식은 무선통신방식이 바람직하며, 안테나(110)는 새집(100)과 중앙통제장치 사이의 통신방식이 무선통신방식인 경우에 새집(100)의 통신부(122)로부터 송신되는 영상을 무선으로 송출하기 위한 것이다.
또, 예를 들어 다수의 새집이 설치되는 숲 내에 일정 영역을 포괄할 수 있는 중계소를 설치하고, 새집(100)과 중계소 사이는 예를 들어 WiFi나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으로 통신을 하며, 중계소와 중앙통제장치 사이는 유선통신방식으로 통신을 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통신방식은 필요에 따라서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제어부(121)는 제 1 카메라(105), 제 2 카메라(106), LED 램프(107), 통신부(122) 등을 제어한다.
다음에, 도 3을 이용해서 본 실시형태의 새집 감시장치(120)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새집 감시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앞에서도 설명한 것과 같이, 본 실시형태의 새집 감시장치(120)는 분리형 덮개(102) 내에 배치되는 제 1 카메라(105)와 제 2 카메라(106)와 LED 램프(107)와 제어부(121)와 통신부(122) 및 안테나(110)와, 본체(101)의 출입구(104)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적외선 센서(108, 108)를 포함한다.
먼저, 새집(100)의 본체(101)에 설치된 출입구(104)를 통해서 어미새가 새집(100) 내로 들어오는 것을 감지하면 제어부(121)는 제 1 카메라(105)를 동작시켜서 어미새의 새집(100) 내에서의 활동모습을 촬영한다.
제 1 카메라(105)는 새집(100) 내의 둥지에 초점을 맞추고 있고, 바람직하게는 둥지만을 중심으로 한 어미새의 활동모습을 촬영하며, 특히, 어미새가 둥지에 새알을 산란한 경우에는 이 산란한 새알을 촬영하고, 어미새가 산란한 새알을 품어서 부화시키고 있는 경우에는 부화과정을 촬영하며, 부화 후에는 새끼새의 성장과정을 촬영하여 제 1 카메라(105) 자체에 구비하고 있는 내부 메모리에 저장하는 동시에, 제어부(121)의 제어에 따라서 통신부(122)를 통해서 촬영된 영상을 중앙통제장치로 전송한다.
또, 제어부(121)는 어미새가 새알을 산란한 경우에는 촬영된 새알의 개수 및 크기를 계산하고, 계산된 새알의 개수 및 크기에 관한 정보를 새집(100) 내에서의 어미새의 영상과 함께 통신부(122)를 통해서 중앙통제장치로 전송한다.
도 4 (a)를 이용하여 제 1 카메라(105)가 촬영한 영상으로부터 제어부(121)가 새알의 크기를 계산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 (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새집에서 새알의 크기 및 어미새가 물어오는 먹이의 크기를 계산하기 위한 원리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9a)에서 보는 것과 같이, 제 1 카메라(105)는 새집(100)의 둥지(101a)와 제 1 카메라(105)의 렌즈(105a) 사이의 거리가 i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고, 제 1 카메라(105)의 렌즈(105a)와 당해 제 1 카메라(105)에 형성되는 영상(105b) 사이의 거리는 f로 설정되어 있다. 이때, 둥지(101a)의 실제 크기(예를 들어 지름)를 e로 하면 제 1 카메라(105)가 촬영한 둥지(101a)의 크기(예를 들어 지름) s는,
Figure pat00001
가 된다.
상기 수학 식 1로부터 제어부(121)는 실제 둥지(101a)의 실제 크기와 제 1 카메라(105)에 촬영된 영상의 크기 사이의 관계를 구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둥지(101a)의 크기가 10㎝이고 제 1 카메라(105)에 촬영된 영상의 크기가 1㎝인 경우 둥지의 실제 크기에 대해 촬영된 영상의 크기는 1/10이 된다.
또, 어미새가 둥지(101a)에 1개의 새알을 부화한 경우에는 둥지(101a)를 포함하여 둥지(101a) 내에 새알을 촬영한 영상으로부터 전체 영상 중 새알이 차지하는 비율을 예를 들어 둥지(101a)의 면적과 새알의 면적의 관계로부터 구할 수 있고, 이 과정을 통해서 제어부(121)는 새알의 크기를 계산할 수 있다.
만일, 새알이 복수 개인 경우에는 전체 새알의 개수와 촬영된 둥지 영상에서 복수 개의 새알이 차지하는 전체 면적을 계산함으로써 복수 개의 새알의 평균 크기를 계산할 수 있다.
또, 적외선 센서(108, 108)를 통해서 어미새가 출입구(104)를 통해서 새집(100) 내로 들어오는 것을 검출하면 제어부(121)는 제 2 카메라(106)를 동작시켜서 출입구(104)로 들어오는 어미새의 모습을 촬영하며, 특히, 어미새가 먹이를 물고 들어오는 경우에는 그 모습을 촬영하여 제 2 카메라(106) 자체에 구비하는 메모리장치에 저장하는 동시에 통신부(122) 및 안테나(110)를 통해서 중앙통제장치로 전송하도록 한다.
이때, 어미새가 부화한 새끼새에게 먹이를 공급하는 중이면, 즉, 새끼새의 성장과정이면 제어부(121)는 제 2 카메라(106)가 촬영한 어미새의 영상으로부터 먹이의 크기를 산출하여 상기 어미새의 모습을 촬영한 영상과 함께 제 2 카메라(106) 자체에 구비하는 메모리장치에 저장하는 동시에 통신부(122) 및 안테나(110)를 통해서 중앙통제장치로 전송한다. 여기서, 먹이의 크기를 산출하는 방법은 상기 새알의 크기를 구하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할 수 있으며, 다만, 상기 방법에서 둥지(101a)를 출입구(104)로 대치하는 등의 작업이 필요하다.
또, 어미새가 출입구(104)를 통해서 새집(100) 내로 들어오는 것을 감지하면 제어부(121)는 LED 램프(107)를 점등시켜서 새집(100) 내의 밝기를 제 1 카메라(105) 및 제 2 카메라(106)가 영상을 촬영하기에 적합한 밝기로 한다. 당연하나, LED 램프(107)를 점등시키지 않아도 새집(100) 내의 밝기가 제 1 카메라(105) 및 제 2 카메라(106)가 영상을 촬영하기에 적합한 밝기인 경우에는 LED 램프(107)를 점등시키지 않아도 좋다.
또, 제어부(121)는 적외선 센서(108, 108)로부터 어미새가 출입구(104)를 통해서 새집(100) 밖으로 나간 것을 감지하면 제 1 카메라(105) 및 제 2 카메라(106)의 제어하여 각각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동시에 LED 램프(107)를 소등시킨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제 1 카메라(105) 및 제 2 카메라(106)는 어미새가 새집(100) 내에 머물고 있는 동안에만 새집(100) 내의 모습을 촬영하도록 할 수 있다.
새집(100)에 설치된 제 1 카메라(105) 및 제 2 카메라(106)가 촬영한 영상과 함께 새알의 개수 및 크기정보와 어미새가 물고 오는 먹이의 크기정보 등을 수신한 중앙통제장치는 수신한 이들 정보로부터 당해 새집(100) 내에서의 새의 산란, 부화 및 먹이공급을 통한 새끼새의 성장과정 전반에 걸친 정보를 얻을 수 있고, 예를 들어 특정 숲 또는 특정 산과 같이 일정한 지역 내에 복수의 새집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복수의 새집 각각의 정보를 취합 및 가공하여 당해 지역 내의 새의 생태 전반을 관찰할 수 있다.
또, 산란, 부화 및 성장기를 지나서 새끼새가 어미새로부터 독립하여 새집(100)을 떠난 후에는 본 발명의 분리형 덮개(102)를 일반형 덮개로 교체하면 좋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카메라(105)는 둥지(101a) 전체를 촬영하며, 실제 둥지(101a)의 크기와 촬영된 영상 중의 둥지의 크기와의 관계, 촬영된 영상에서의 둥지의 면적과 촬영된 영상 중 새알이 점유하는 면적과의 관계로부터 새알의 크기를 산출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제 1 카메라(105)가 새알만을 직접 촬영하도록 해도 좋으며, 이 경우에는 상기 실시형태에 비해 훨씬 간단한 방법으로 새알의 크기를 계산할 수 있다. 당연하나, 이를 위해서는 제 1 카메라(105)는 둥지 내의 새알만을 촬영하도록 촛점거리가 설정되어 있어야 한다.
제 1 카메라(105)가 새알만 촬영하는 경우의 예에 대해서 도 4 (b)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설명한다.
도 4 (b)에서 도 4 (a)와 다른 점은 도 4 (a)에선 실제 둥지의 크기와 촬영된 영상의 크기의 관계 및 촬영된 둥지 영상 중에서 새알이 차지하는 면적의 관계로부터 실제 새알의 크기를 구했으나, 도 4 (b)에서는 제 1 카메라(105)가 촬영한 영상의 크기로부터 실제 새알의 크기를 구한다는 점이다.
제 1 카메라(105)에 촬영된 새알의 영상(105b)과 제 1 카메라(105)의 렌즈(105a) 사이의 거리가 f1, 실제 새알(101b)과 제 1 카메라(105) 사이의 거리가 i1이고, 촬영된 새알의 영상(105b)의 크기가 s1일 때, 실제 새알의 크기 e1은,
Figure pat00002
으로부터 구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어미새가 출입구(104)를 출입하는 것을 적외선 센서(108, 108)가 검출하면 제 1 카메라(105)와 제 2 카메라(106) 및 LED 램프(107)가 동작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적외선 센서(108, 108)는 생략해도 좋으며, 이 경우에는 제 1 카메라(105)와 제 2 카메라(106) 및 LED 램프(107)는 항상 상시적으로 동작하여 새집(100) 내를 촬영한다.
또는, 제 1 카메라(105)와 제 2 카메라(106)는 상시적으로 동작하도록 하고, LED 램프(107)만이 적외선 센서(108, 108)와 연계하여 점등 및 소등하도록 해도 좋고, 제 2 카메라(106) 및 LED 램프(107)는 적외선 센서(108, 108)와 연계하여 동작하며, 제 1 카메라(105)는 상시적으로 동작하도록 해도 좋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새집 내를 조명하는 조명수단으로 LED 램프를 이용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LED 램프 이외의 다른 조명수단을 이용해도 좋다. 또, 예를 들어 제 1 및 제 2 카메라가 야간이나 어두운 곳에서도 촬영을 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카메라인 경우에는 조명수단은 생략해도 좋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분리형 덮개(102)는 새의 번식기에만 사용하고 번식기 이외의 기간에는 일반용 덮개로 교체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번식기 이외의 기간에도 본 발명의 분리형 덮개(102)를 계속해서 사용하는 것으로 해도 상관없다.
100 새집 101 본체
102 분리형 덮개 103 개폐용 문
104 출입구 105 제 1 카메라
106 제 2 카메라 107 LED 램프
108 적외선 센서 109 제어 및 통신모듈
110 안테나 120 새집 감시장치
121 제어부 122 통신부

Claims (7)

  1. 내부에 새가 활동할 수 있는 공간을 가지며, 한쪽 면이 개방된 개방 면을 갖는 본체와,
    내부에 수용공간을 가지며 상기 본체의 상기 개방 면과 결합하는 개방 면을 갖는 분리형 덮개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형성된 출입구를 가지며,
    상기 분리형 덮개의 상기 수용공간 내에는,
    상기 본체 내의 둥지를 촬영하는 제 1 카메라와,
    상기 출입구를 출입하는 새를 촬영하는 제 2 카메라와,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중앙통제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부와,
    상기 제 1 카메라와 상기 제 2 카메라 및 상기 통신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배치되어 있는 새집.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으로부터 상기 둥지에 산란한 새알의 크기를 산출하고, 산출한 새알의 크기정보를 상기 제 1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과 함께 상기 중앙통제장치로 전송하는 새집.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1 카메라는 상기 둥지만을 촬영하며,
    상기 새알의 크기는 상기 둥지와 상기 제 1 카메라의 렌즈 사이의 거리와 상기 제 1 카메라의 렌즈와 상기 제 1 카메라에 촬영된 영상 사이의 거리로부터 상기 둥지의 실제 크기와 상기 촬영된 영상의 크기의 관계를 구하고, 상기 둥지의 실제 크기와 상기 촬영된 영상의 크기의 관계 및 상기 촬영된 영상 중에서 새알이 점유하는 비율로부터 상기 새알의 크기를 산출하는 새집.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1 카메라는 상기 새알만을 촬영하며,
    상기 새알의 크기는 상기 새알과 상기 제 1 카메라의 렌즈 사이의 거리와 상기 제 1 카메라의 렌즈와 상기 제 1 카메라에 촬영된 영상 사이의 거리로부터 상기 새알의 크기를 산출하는 새집.
  5.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으로부터 상기 새가 물고 들어오는 먹이의 크기를 더 산출하고, 산출한 먹이의 크기정보를 상기 제 1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과 함께 상기 중앙통제장치로 전송하는 새집.
  6.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구의 양측에 설치된 적외선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외부로부터 새가 상기 출입구로 들어오는 것을 상기 적외선 센서가 감지한 때 상기 제 1 카메라와 상기 제 2 카메라 및 상기 통신부를 동작시키는 새집.
  7.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새집 내의 밝기를 상기 제 1 카메라 및 상기 제 2 카메라가 상기 내의 영상의 촬영에 적합한 밝기가 되도록 조명하는 조명수단을 더 포함하는 새집.
KR1020140173647A 2014-12-05 2014-12-05 새집 KR1016983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3647A KR101698315B1 (ko) 2014-12-05 2014-12-05 새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3647A KR101698315B1 (ko) 2014-12-05 2014-12-05 새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8225A true KR20160068225A (ko) 2016-06-15
KR101698315B1 KR101698315B1 (ko) 2017-01-20

Family

ID=56134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3647A KR101698315B1 (ko) 2014-12-05 2014-12-05 새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831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7891A (ko) 2018-02-13 2019-08-21 (주)동명엔터프라이즈 토양 지하수 오염탐지를 위한 누유검출장치
CN110973053A (zh) * 2019-12-06 2020-04-10 酒泉市林果服务中心 一种啄木鸟人工迁徙引种方法
KR20200038776A (ko) * 2018-10-04 2020-04-14 국립생태원 조류 번식생태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090398A (ko) * 2020-01-10 2021-07-20 국립생태원 인공새집 및 그 관리 시스템
KR20230000111U (ko) 2022-11-04 2023-01-12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친환경 인공 둥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3676A (ko) 2019-07-28 2021-02-05 김범준 동물 관찰 둥지
KR102366738B1 (ko) * 2019-11-14 2022-02-23 국립생태원 다람쥐 포획틀
KR20230083477A (ko) 2021-12-03 2023-06-12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조류의 생태 모니터링을 위한 생태정보 센서 및 기록 시스템을 탑재한 인공 새집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44580A (ja) * 2008-08-12 2010-02-25 Nikon Corp カメラおよび検索システム
US20120048203A1 (en) * 2010-09-01 2012-03-01 Bonham Douglas M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uraging citizens to acquire biological data by adding sensors to a camera-equipped birdhouse
KR20130065260A (ko) 2011-12-09 2013-06-19 배순선 자연 친화적 새장 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44580A (ja) * 2008-08-12 2010-02-25 Nikon Corp カメラおよび検索システム
US20120048203A1 (en) * 2010-09-01 2012-03-01 Bonham Douglas M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uraging citizens to acquire biological data by adding sensors to a camera-equipped birdhouse
KR20130065260A (ko) 2011-12-09 2013-06-19 배순선 자연 친화적 새장 구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7891A (ko) 2018-02-13 2019-08-21 (주)동명엔터프라이즈 토양 지하수 오염탐지를 위한 누유검출장치
KR20200038776A (ko) * 2018-10-04 2020-04-14 국립생태원 조류 번식생태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0973053A (zh) * 2019-12-06 2020-04-10 酒泉市林果服务中心 一种啄木鸟人工迁徙引种方法
CN110973053B (zh) * 2019-12-06 2021-10-19 酒泉市林果服务中心 一种啄木鸟人工迁徙引种方法
KR20210090398A (ko) * 2020-01-10 2021-07-20 국립생태원 인공새집 및 그 관리 시스템
KR20230000111U (ko) 2022-11-04 2023-01-12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친환경 인공 둥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8315B1 (ko) 2017-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8315B1 (ko) 새집
US11771074B2 (en) Sensor based observation of anthropods
Hadjur et al. Toward an intelligent and efficient beehive: A survey of precision beekeeping systems and services
EP3389371B1 (fr) Robot mobile, notammment d'éducation, pour élevage avicole et installation d'élevage mettant en oeuvre un ou plusieurs robots
US20160277688A1 (en) Low-light trail camera
KR101536095B1 (ko)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산지 생태 축산의 방목형 목장 운용 및 관리 시스템
WO2016132415A1 (ja) ニワトリの飼育方法
KR20170133076A (ko) 곤충 사육장치와 그 사육장치의 사육관리시스템 및 그 사육관리시스템의 운영방법
KR20160092538A (ko) 센서와 무인비행체를 이용한 방목 가축 질병 예측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CN206005604U (zh) 一种黑水虻养殖、收集装置
KR20180127855A (ko) 이동식 대차 시스템을 이용한 복합형 사육 장치 및 그의 원격제어 방법
JP2020171248A (ja) 動物捕獲装置
JP5733702B2 (ja) 実験用小動物のための体温測定装置および体温測定方法
KR101867985B1 (ko) 양봉용 관제 시스템
JP5963068B1 (ja) ニワトリの飼育方法
Nagy et al. SMART-BARN: Scalable multimodal arena for real-time tracking behavior of animals in large numbers
KR20190081666A (ko) 자동환기장치를 구비한 꿀벌통
KR101740641B1 (ko) 무게측정부를 구비한 꿀벌통의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방법
KR101725036B1 (ko) 표층 하부 환경을 고려한 비닐 하우스 장치,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농작물 및 가축 생육 시스템
RU2299560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содержания пчелосемей
ES2958527T3 (es) Procedimiento y sistema de gestión de productos fitosanitarios en un campo agrícola
KR102653155B1 (ko) 동애등에 자동 사육시스템
Hunter et al. A user-centred design approach towards developing an intelligent living environment for honeybees
KR20210058443A (ko) 다람쥐 포획틀
KR20220082187A (ko)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사물인터넷 기반 파충류 사육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