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8198A - 흡수식 냉동기의 압력방출용 진공밸브 - Google Patents

흡수식 냉동기의 압력방출용 진공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8198A
KR20160068198A KR1020140173585A KR20140173585A KR20160068198A KR 20160068198 A KR20160068198 A KR 20160068198A KR 1020140173585 A KR1020140173585 A KR 1020140173585A KR 20140173585 A KR20140173585 A KR 20140173585A KR 20160068198 A KR20160068198 A KR 201600681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valve body
valve
absorption refrigerator
dis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3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8743B1 (ko
Inventor
김경영
최영찬
김인관
유재성
Original Assignee
(주)월드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월드이엔씨 filed Critical (주)월드이엔씨
Priority to KR10201401735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8743B1/ko
Publication of KR201600681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81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87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87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20Disposition of valves, e.g. of on-off valves or flow control valves
    • F25B41/22Disposition of valves, e.g. of on-off valves or flow control valves between evaporator and compress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20Disposition of valves, e.g. of on-off valves or flow control valves
    • F25B41/26Disposition of valves, e.g. of on-off valves or flow control valves of fluid flow reversing val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7Relating to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technolog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62Absorption based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uid Mechanics (AREA)
  • Details Of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가 진공에 가까운 상태로 운전되는 흡수식 냉동기에 이상이 발생되어 내부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높아지는 문제가 발생될 되는 경우, 흡수식 냉동기 내부가 가압되기 이전에 내부의 압력을 외부로 방출시켜 흡수식 냉동기의 구성품이 변형 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흡수기 냉동기용 진공밸브에 관한 것이고, 흡수식 냉동기에 설치되고, 중앙에는 기체 및 유체가 이동되는 압력방출구가 형성되며, 압력방출구의 상단 측면에는 단턱이 형성되고 단턱의 외측에는 상부를 향해 측벽이 형성된 밸브 본체;와 밸브 본체의 단턱에 접하게 설치되어 압력방출구를 폐쇄하게 형성된 디스크;와 밸브 본체의 상부에 실치되되, 밸브 본체와의 이격되는 간격이 조절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밸브 커버;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냉동기용 진공밸브로 실현 가능하며, 흡수식 냉동기의 내부가 가압되기 시작하는 20㎪ 이하의 압력에서도 작동되어 흡수식 냉동기의 내부가 가압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흡수식 냉동기의 내부에 이상이 발생되어 내부가 가압되더라도 다른 구성품이 압력에 의해 변형 및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흡수식 냉동기의 압력방출용 진공밸브{VACUUM VALVE FOR ABSORBENT REFRIGERATION}
본 발명은 흡수식 냉동기의 압력방출용 진공밸브에 관한 것이고,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가 진공 상태로 운전되는 흡수식 냉동기에 이상이 발생되어 내부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높아지는 문제가 발생될 되는 경우, 흡수식 냉동기 내부가 가압되기 이전에 내부의 압력을 외부로 방출시켜 흡수식 냉동기의 구성품이 변형 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흡수식 냉동기의 압력방출용 진공밸브에 관한 것이다.
흡수식 냉동기는 열효율이 높고 전기를 거의 사용하지 않는 것은 물론, 발전소나 소각장 등에서 발생되는 폐열을 활용하여 냉방이 가능한 친환경 설비이다. 더불어 대기압 보다 낮은 진공 상태에서 작동되기 때문에 폭발의 위험이 없고, 물을 냉매로 사용하기 때문에 장치에 고장이 발생한다 하여도 오염물질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는 친환경적인 설비이기도 하다.
흡수식 냉동기는 증발기, 흡수기, 재생기, 응축기가 주요 구성품으로 구비되고, 이들 주요 구성품은 각각의 역할에 맞는 압력으로 감압된 상태로 운전되고, 증발기에는 냉각배관이 설치되고 재생기에는 폐열을 이용하거나 직접 열을 공급하는 가열장치가 구비된다. 흡수기와 응축기는 내부를 냉각시키는 냉각장치가 설치된다.
냉각장치에는 외부와 열교환 가능하게 냉각수라인이 설치되고, 냉각수는 흡수기의 내부의 냉매증기를 냉각시키는데 사용되어 냉매증기가 농용액에 흡수되는 것을 돕고, 응축기의 내부에서는 재생기의 희용액에서 증발된 후 유입된 냉매증기를 냉각시켜 냉매액이 되게 한다.
이처럼 흡수식 냉동기는 냉매를 희용액과 농용액에 증발과 흡수를 반복시키는 과정에서 냉방에 필요한 냉수를 냉각시키는 장치이고, 전기로만 가동되는 압축식 냉동기에 비해 열효율이 높고, 냉매인 물을 증발시키기 용이한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 진공 상태에서 작동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흡수식 냉동기는 일정 압력을 유지하기 위해 추기장치가 장착되어 흡수식 냉동기가 작동되면서 발생되는 질소, 수소와 같은 종류의 불응축가스를 주기적으로 제거하면서 작동된다.
그러나 흡수식 냉동기의 전열관이 파손되어 전열관 내부로 흐르는 대기압 이상의 압력의 물이 냉동기 내부로 유입되는 경우가 발생되면 진공에 가까운 부압상태를 유지해야 하는 냉동기 내부는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으로 가압될 수 있다.
이처럼 흡수식 냉동기의 내부가 가압되면, 부압상태에서 작동되게 설계된 냉동기의 각종배관들에는 압력에 의한 변형이 발생할 수 있고, 배관에 변형이 발생된 흡수식 냉동기는 최악의 경우 모든 배관 및 부품을 교체해야 하는 심각한 문제가 발생되기도 한다.
따라서 흡수식 냉동기는 내부가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으로 가압되더라도 배관에 변형이 발생되기 전에 내부의 압력을 외부로 방출시켜야만 한다. 이를 위해 흡수식 냉동기에는 비상시 내부의 압력을 외부로 즉시 방출시키기 위한 장치인 진공밸브를 필요로 한다.
종래 사용되고 있는 진공밸브들은 벨로우즈타입, 스프링타입, 파열판타입이 주를 이루고 있고, 모두 대기압보다 매우 높은 압력에서 작동되는 장치를 위해 개발된 것이다.
이러한 관계로 대기압보다 낮은 압력에서 작동하는 흡수식 냉동기에서는 대기압을 초과하는 압력에서는 즉시 작동되어야 하는 진공밸브가 기대만큼의 성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 오히려, 일부 제품은 흡수식 냉동기의 배관에 변형이 발생할 수도 있는 70㎪ 정도의 압력에서도 작동하지 않는 경우도 있어, 기존의 진공밸브를 사용하는 데는 가격적인 문제만이 아닌 작동 성능에 대한 문제도 함께 있는 것이 현실이다.
더욱이 흡수식 냉동기는 제작된 장소에서 설치된 장소까지는 대기압과 동일한 압력의 질소가스로 충전된 상태로 이동되고, 설치된 후에는 추기장치를 가동시켜 실제 작동 시의 압력으로 감압된 뒤 작동된다. 운영 중에도 주기적으로 정비를 위해 내부의 압력을 대기압과 동일한 압력까지 가압시켜 설비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는 경우도 있다.
이처럼 흡수식 냉동기는 대기압보다 낮은 압력으로 감압된 상태에서 운전이 이루어지는 것은 사실이나, 정비 및 장비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기 위해 인위적으로 가압과 감압이 이루어지기도 하고, 정상적인 운전 시에는 긴급상황에 의해 내부의 압력이 대기압을 초과하는 압력으로 가압이 될 수도 있는 환경에서 운전된다.
따라서 안전장치의 일종으로 설치되는 진공밸브는 이처럼 변화하는 내부의 압력에 대하여 신속히 대처할 수 있도록 조작이 편리해야 하는 것은 물론, 정상 작동 시에는 내부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증가할 경우에 신속히 작동되어 흡수식 냉동기의 구성품들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해야만 한다.
그러나 지금까지 흡수식 냉동기에 사용되어온 진공밸브는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비용은 비싼 반면, 조작이 용이하지 않은 것이 현실이었고, 작동압력이 높아 흡수식 냉동기 내부가 가압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개발된 것이고, 흡수식 냉동기의 내부가 가압되기 시작하는 20㎪ 이하의 압력에서도 작동될 수 있도록 하여 흡수식 냉동기의 배관들이 변형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흡수식 냉동기의 압력방출용 진공밸브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흡수식 냉동기가 운반, 설치, 운전 및 정비 시에 가압 또는 감압되어야 하는 상황에서 신속하게 작동 또는 정지 상태로 변경시킬 수 있는 흡수식 냉동기의 압력방출용 진공밸브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더불어, 기존의 진공밸브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할 수 있는 흡수식 냉동기의 압력방출용 진공밸브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개발된 본 발명은, 흡수식 냉동기에 설치되어 흡수식 냉동기 내부가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으로 가압되는 경우 내부의 압력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설치되는 진공밸브에 있어서, 흡수식 냉동기에 설치되고, 중앙에는 기체 및 유체가 이동되는 압력방출구가 형성되며, 압력방출구의 상단 측면에는 단턱이 형성되고 단턱의 외측에는 상부를 향해 측벽이 형성된 밸브 본체;와 밸브 본체의 단턱에 접하게 설치되어 압력방출구를 폐쇄하게 형성된 디스크;와 밸브 본체의 상부에 실치되되, 밸브 본체와의 이격되는 간격이 조절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밸브 커버;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냉동기의 압력방출용 진공밸브로 실현 가능하다.
더불어, 단턱에는 디스크와의 사이에서 가압되어 압력방출구와 외부를 차단시키는 바닥패킹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냉동기의 압력방출용 진공밸브로 실현 가능하다.
더불어, 디스크의 측면에는 밸브 본체의 측벽과 접하는 면에는 오목한 모양의 패킹홈이 형성되고, 패킹홈에는 디스크의 측면과 밸브 본체의 측벽 사이를 밀폐시키는 측면패킹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냉동기의 압력방출용 진공밸브로 실현 가능하다.
더불어, 디스크의 양측 평면에는 중앙에서 서로 반대방향의 측면으로 이격된 위치에 디스크에 관통되지 않게 공구결합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냉동기의 압력방출용 진공밸브로 실현 가능하다.
더불어, 밸브 본체에는 측벽의 외부에 중심으로 부터 균일한 각도로 4 방향에 나사공이 형성되고, 밸브 커버에는 밸브 본체의 나사공과 일치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밸브 본체의 나사공에는 조절나사가 밸브 커버의 관통공을 통과하여 결합되고, 조절나사는 밸브 본체와 밸브 커버의 이격되는 거리를 조절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냉동기의 압력방출용 진공밸브로 실현 가능하다.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은 흡수식 냉동기의 내부가 가압되기 시작하는 20㎪ 이하의 압력에서도 작동되어 흡수식 냉동기의 내부가 가압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흡수식 냉동기의 내부에 이상이 발생되어 내부가 가압되더라도 다른 구성품이 압력에 의해 변형 및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진공밸브를 신속하게 작동 또는 정지 상태로 변경할 수 있어, 흡수식 냉동기를 운반, 설치, 운전 및 정비를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구조가 간단하여 종래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흡수식 냉동기의 압력방출용 진공밸브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흡수식 냉동기의 압력방출용 진공밸브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흡수식 냉동기의 압력방출용 진공밸브 중 디스크를 상세히 도시한 단면 사시도,
동 4는 도 3의 흡수식 냉동기의 압력방출용 진공밸브 중 밸브 본체를 상세히 도시한 단면 사시도,
도 5는 도 1의 흡수식 냉동기의 압력방출용 진공밸브가 작동이 정지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흡수식 냉동기의 압력방출용 진공밸브가 작동이 정지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흡수식 냉동기의 압력방출용 진공밸브가 작동이 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흡수식 냉동기의 압력방출용 진공밸브가 작동되어 흡수식 냉동기 내부의 압력이 외부로 방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흡수식 냉동기의 압력방출용 진공밸브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4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흡수식 냉동기의 압력방출용 진공밸브(10:이하, 진공밸브라 함.)는 흡수식 냉동기(1)의 외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흡수식 냉동기(1)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밸브 본체(100), 디스크(200), 밸브 커버(300) 등을 주요 구성품으로 한다.
밸브 본체(100)는 중앙에 흡수식 냉동기(1)의 내부 압력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통로인 압력방출구(110)가 형성되고, 압력방출구(110)의 측면에는 단턱(120)이 형성되며, 단턱(120)의 외측에는 직각방향의 상부로 측벽(130)이 형성된다. 이처럼 구성된 밸브 본체(100)는 도면상 원형으로 제작된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사각형이나 다각형으로도 제작이 가능하다.
디스크(200)는 압력방출구(110)의 측벽(130)에 일치되게 삽입된 후 밸브 본체(100)의 단턱(120)에 밀착되는 것이고, 밸브 본체(100)의 압력방출구(110)를 폐쇄시키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디스크(200)는 밸브 본체(100)에 형성된 측벽(130)과의 사이에서도 유격이 거의 없는 헐거운 끼워맞춤 정도로 조립될 수 있게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스크(200)와 밸브 본체(100)의 측벽(130) 간에 헐거운 끼워맞춤 정도의 공차를 두는 것은 디스크(200)가 측벽(130)을 통해 삽입되는 것에는 지장이 없으면서 측벽(130)과의 사이에 형성된 틈새로는 압력이 방출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밸브 커버(300)는 밸브 본체(100)와 결합되는 것이고, 밸브 본체(100)와의 이격된 간격이 조절되면서 진공밸브(10)가 작동 또는 정지되게 조절하는데 사용되는 것이다. 이에 더불어 밸브 커버(300)의 추가적인 용도는 진공밸브(10)가 작동될 때 진공밸브(10)를 구성하는 디스크(200)가 외부로 완전히 분리되더라도 디스크(200)가 진공밸브(10)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디스크(200)가 분리되면서 2차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이처럼 구성된 진공밸브(10)는 흡수식 냉동기(1)의 특정 부분에 설치되는 것은 아니나, 가급적 온도가 낮은 증발기, 흡수기, 응축기와 접하는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증발기, 흡수기, 응축기에 접하게 설치시키는 것은 이들 장치에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냉수 또는 냉각수가 경유되는 라인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이며, 이들 냉수, 냉각수라인에 이상이 발생되어 냉수, 냉각수가 장치 내부로 유입되는 경우 내부의 압력이 급격히 상승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할 목적에서 이다.
또한, 밸브 본체(100)의 단턱(120)과 디스크(200) 사이에는 압력방출구(110)를 더욱 견고하게 폐쇄시킬 수 있도록 바닥패킹재(401)가 더 설치될 수도 있다. 바닥패킹재(401)는 고무재질의 것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밸브 본체(100)의 압력방출구(110)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게 단턱(120)의 표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단턱(120)의 표면에는 바닥패킹재(401)가 정위치에 설치될 수 있도록 설치홈(121)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디스크(200)의 측면과 밸브 본체(100)의 측벽(130) 사이에도 압력방출구(110)를 밀폐시키기 위한 측면패킹재(402)가 더 설치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디스크(200)의 측면에는 내부를 향해 오목한 모양의 패킹홈(21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패킹홈(210)에는 고무재질의 측면패킹재(402)가 설치된다.
측면패킹재(402)는 밸브 본체(100)의 측벽(130)과 디스크(200)의 사이에서 가압/변형되며 설치되는 것이고, 초기 설치 시에는 마찰을 줄여주는 오일류를 사용하여 밸브 본체(100)의 측벽(130)과 디스크(200) 사이에 밀착 및 가압되며 설치되어 진공밸브(10)가 밀폐되게 한다.
이때, 측벽(130)의 상단에는 측면패킹재(402)가 원할하게 가압되며 설치될 수 있도록 모서리가 호형상으로 가공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설치호(131)에 의해 측면패킹재(402)가 균일한 형상으로 변형되면서 측벽(130) 중앙으로 이동하게 된다.
측면패킹재(402)는 압력방출구(110)를 폐쇄시키는 보조수단으로서, 압력방출구(110)는 1차적으로 단턱(120)과 디스크(200)의 면접촉에 의해 밀폐되고, 단턱(120)과 디스크(200) 사이에 설치되는 바닥패킹재(401)에 의해 완전 밀폐되는 구조로 제작된다. 그러나 바닥패킹재(401)의 표면에 이물질이 묻어있거나 가공 상의 오차로 인해 압력방출구(110)가 완전히 밀폐되지 않을 수 있는 것을 고려하여 측면패킹재(402)가 추가로 설치된다.
즉, 밸브 본체(100)의 압력방출구(110)는 디스크(200)의 바닥패킹재(401)에 의해 1차 밀폐되고, 측면패킹재(402)에 의해 2차로 밀폐되어 견고하게 밀폐된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진공밸브(10)는 정상 작동되는 흡수식 냉동기의 내부가 대기압보다 낮은 압력으로 감압된 상태에서는 흡수식 냉동기 내부의 진공도에 따라 디스크(200)가 압력방출구(110)로 당겨지면서 밀폐가 이루어지는 구조이다. 따라서 별도의 장치 없이도 외기가 흡수식 냉동기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더욱이 디스크(200)와 밸브 본체(100)의 측벽(130) 사이에 설치되는 측면패킹재(402)는 압력방출구(110)를 밀폐시키는 기능과 함께 디스크(200)가 밸브 본체(100)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수단으로도 사용된다. 즉, 흡수식 냉동기 내부의 진공도에 변화가 발생된다 하여도 측면패킹재(402)에 의해 디스크(200)는 압력방출구(110)에 결합된 상태를 지속하여 유지하려는 기능을 가지게 된다.
즉, 측면패킹재(402)는 디스크(200)와 밸브 본체(100)의 사이에서 결합구와 같은 기능도 함께 담당하고, 이로 인해 디스크(200)와 바닥패킹재(401) 및 단턱(120)의 결합력을 증가시켜 압력방출구(110)를 더욱 효과적으로 밀폐시킬 수 있다.
그러나 흡수식 냉동기 내부에 이상이 발생되어 압력이 증가하는 경우, 흡수식 냉동기의 압력은 진공밸브(10)에도 동일하게 가해진다. 진공밸브(10)에 가해진 압력이 대기압보다 높아지면 이 압력에 의해 압력방출구(110)의 단턱(120)에 밀착되어 있던 디스크(200)는 흡수식 냉동기 내부에서 가해지는 압력의 크기에 따라 밸브 본체(100)의 외부를 향해 이동하게 된다.
흡수식 냉동기(1) 내부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커지면 디스크(200)는 압력방출구(110)의 단턱(120)에서 분리되면서 측벽(130)과의 사이에 틈새가 형성되고, 이 틈새로 흡수식 냉동기(1) 내부의 압력이 방출되어 흡수식 냉동기 내부는 일정 압력 이상으로 상승되는 것이 차단된다.
또한, 흡수식 냉동기(1) 내부의 압력이 급속히 증가하는 경우라면 진공밸브(10)의 디스크(200)는 압력방출구(110)와 완전히 분리될 수도 있다. 그러나 급속히 증가하는 압력에 의해 디스크(200)가 압력방출구(110)에서 분리된다면, 디스크(200)는 밸브 본체(100)로부터 발사되듯이 고속으로 분리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의 진공밸브(10)는 밸브 본체(100)의 상부로 밸브 커버(300)가 설치되어 있어 디스크(200)가 발사되는 것과 같이 튀어나가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밸브 커버(300)는 디스크(200)의 분리 시 디스크(200)의 분실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디스크(200)의 고속 분리로 인한 2차 사고가 발생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흡수식 냉동기(1)는 설치를 위해 운반할 때나, 설치가 완료된 후 시운전이나 유지보수를 위한 점검 시에는 내부를 가압하여 대기압과 동일한 압력이 되도록 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본 발명에 의한 진공밸브(10)는 밸브 커버(300)를 밸브 본체(100)에 밀착되게 고정하는 것으로 디스크(200)가 작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에 의한 진공밸브(10)는 밸브 본체(100)와 디스크(200)의 결합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조절나사(501)와 고정나사(502)를 구비되어 있기 때문이다. 또한, 밸브 본체(100)의 측벽(130)의 외부에는 밸브 본체(100)의 중심으로부터 균일한 각도로 4 방향에 나사공(150)이 형성된다. 밸브 커버(300)에도 밸브 본체(100)의 나사공(150)과 일치하는 관통공(310)이 형성되고, 밸브 본체(100)의 나사공(150)에는 밸브 커버(300)의 관통공(310)을 통과한 조절나사(501) 및 고정나사(502)가 교차되게 결합된다.
밸브 본체(100)와 밸브 커버(300)에 균일한 각도로 이격된 4 방향에 나사공(150)을 형성시켜 조절나사(501) 및 고정나사(502)가 체결되는 것은 흡수식 냉동기의 운반, 설치 및 운전 시의 환경에 따라 신속하게 진공밸브(10)를 작동 또는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밸브 본체(100)와 밸브 커버(300)의 사이에 설치되는 조절나사(501)는 길이가 긴 것이 사용되고, 고정나사(502)는 조절나사(501)보다 길이가 짧은 것이 사용된다.
조절나사(501)는 디스크(200)가 이동되는 거리를 고려하여 설치되는 것으로서, 디스크(200)의 이동되는 거리는 조절나사(501)의 나사머리의 하단에서 밸브 커버(300)의 두께를 뺀 높이가 될 것이다. 따라서 조절나사(501)의 길이는 통상 디스크(200)의 바닥이 밸브 본체(100)의 측벽(130) 상단과 분리되는 높이 이상을 고려하여 정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조절나사(501)는 항상 밸브 본체(100)에 결합되어 있는 것이고, 고정나사(502)는 이동 또는 정비 시에만 사용되는 것이다. 따라서 운반 및 설치가 완료된 상태라면 고정나사(502)는 분리시켜 별도로 보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정비 및 점검을 위해 흡수식 냉동기의 내부를 가압해야 하는 경우에만 고정나사(502)를 사용하게 된다.
더불어, 본 발명에 의한 진공밸브(10)를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에는 일정기간의 사용기산을 정해 후 주기적으로 바닥패킹재(401)와 측면패킹재(402)를 교환해야 하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진공밸브(10)는 흡수식 냉동기 내부를 가압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디스크(200)를 밸브 본체(100)에서 분리시키기 용이하지 않은 것은 물론, 실제로는 대기압보다 더 높은 압력으로 가압해야만 디스크(200)를 분리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으로 흡수식 냉동기(1) 내부를 가압하지 않으면서도 디스크(200)를 분리시킬 수 있도록 디스크(200)의 표면에 공구를 결합시킬 수 있는 공구결합홀(220)이 형성될 수 있다.
공구결합홀(220)은 디스크(200)의 양측 평면의 중앙에서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격되는 측면에 형성될 수 있고, 일측의 공구결합홀(220)은 타측으로 관통되지는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양측에 공구결합홀(220)을 형성시킨 이유는 작업현장에서 디스크(200)의 일측면에 이물질이나 흠집이 발생되어 사용이 불가능해질 경우를 고려한 것으로서, 디스크(200)의 양측 평면을 모두 압력방출구(110)의 단턱(120)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밀착면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작업자는 진공밸브(10)의 밀폐에 유리한 면을 선별하여 디스크(200)를 압력방출구(110)의 단턱(120)에 결합시키면 되고, 점검을 위해 디스크(200)를 분리시켜야 하는 경우에는 디스크(200)의 표면에 형성된 공구결합홀(220)에 디스크(200)를 분리하기 용이하게 고안된 지렛대 또는 손잡이가 달린 나사 등을 결합하여 디스크(200)를 분리하여 사용하면 된다.
이처럼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진공밸브(10)는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설치 및 사용이 용이한 것은 물론, 흡수식 냉동기의 운전상태에 따라 진공밸브(10)의 작동 또는 정지 상태를 신속하게 설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고 할 것이다.
지금까지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이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첨부된 도면과 본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그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할 것이고, 그러한 모든 변경 및 수정에 대한 균등물들은 모두 본 특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만 한다.
1: 흡수식 냉동기 100: 밸브 본체
110: 압력 방출구 120: 단턱
121: 설치홈 130: 측벽
131: 설치호 150: 나사공
200: 디스크 210: 패킹홈
220: 공구결합홀 300: 밸브 커버
310: 관통공 401: 바닥패킹재
402: 측면패킹재 501: 조절나사
502: 고정나사

Claims (5)

  1. 흡수식 냉동기에 설치되어 흡수식 냉동기 내부가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으로 가압되는 경우 내부의 압력을 외부로 방출하기 위해 설치되는 진공밸브에 있어서,
    흡수식 냉동기(1)에 설치되고, 중앙에는 기체 및 유체가 이동되는 압력방출구(110)가 형성되며, 압력방출구(110)의 상단 측면에는 단턱(120)이 형성되고 단턱(120)의 외측에는 상부를 향해 측벽(130)이 형성된 밸브 본체(100);와
    밸브 본체(100)의 단턱(120)에 접하게 설치되어 압력방출구(110)를 폐쇄하게 형성된 디스크(200);와
    밸브 본체(100)의 상부에 실치되되, 밸브 본체(100)와의 이격되는 간격이 조절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밸브 커버(300);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냉동기의 압력방출용 진공밸브.
  2. 제 1항에 있어서,
    단턱(120)에는 디스크(200)와의 사이에서 가압되어 압력방출구(110)와 외부를 차단시키는 바닥패킹재(40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냉동기의 압력방출용 진공밸브.


  3. 제 1항에 있어서,
    디스크(200)의 측면에는 밸브 본체(100)의 측벽(130)과 접하는 면에는 오목한 모양의 패킹홈(210)이 형성되고, 패킹홈(210)에는 디스크(200)의 측면과 밸브 본체(100)의 측벽(130) 사이를 밀폐시키는 측면패킹재(402)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냉동기의 압력방출용 진공밸브.
  4. 제 3항에 있어서,
    디스크(200)의 양측 평면에는 중앙에서 서로 반대방향의 측면으로 이격된 위치에 디스크(200)가 관통되지 않게 공구결합홀(22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냉동기의 압력방출용 진공밸브.
  5. 제 1항에 있어서,
    밸브 본체(100)에는 측벽(130)의 외부에 중심으로 부터 균일한 각도로 4 방향에 나사공(150)이 형성되고, 밸브 커버(300)에는 밸브 본체(100)의 나사공(150)과 일치하는 관통공(310)이 형성되며,
    밸브 본체(100)의 나사공(150)에는 조절나사(501)가 밸브 커버(300)의 관통공(310)을 통과하여 결합되고, 조절나사(501)는 밸브 본체(100)와 밸브 커버(300)의 이격되는 거리를 조절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냉동기의 압력방출용 진공밸브.

KR1020140173585A 2014-12-05 2014-12-05 흡수식 냉동기의 압력방출용 진공밸브 KR1016487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3585A KR101648743B1 (ko) 2014-12-05 2014-12-05 흡수식 냉동기의 압력방출용 진공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3585A KR101648743B1 (ko) 2014-12-05 2014-12-05 흡수식 냉동기의 압력방출용 진공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8198A true KR20160068198A (ko) 2016-06-15
KR101648743B1 KR101648743B1 (ko) 2016-08-17

Family

ID=56134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3585A KR101648743B1 (ko) 2014-12-05 2014-12-05 흡수식 냉동기의 압력방출용 진공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874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41926U (ko) * 1977-08-31 1979-03-20
KR19990056521A (ko) * 1997-12-29 1999-07-15 오상수 흡수식 냉온수기의 불응축가스 배출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41926U (ko) * 1977-08-31 1979-03-20
KR19990056521A (ko) * 1997-12-29 1999-07-15 오상수 흡수식 냉온수기의 불응축가스 배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8743B1 (ko) 2016-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16641A (en) Refrigerant system charging and evacuating manifold
US10228064B2 (en) Multi-ported refrigeration valve assembly
US20100187454A1 (en) Actuator having an override apparatus
KR101648743B1 (ko) 흡수식 냉동기의 압력방출용 진공밸브
US9228668B2 (en) Overpressure relief valve assembly
RU2176047C1 (ru) Предохранительный клапан (варианты)
JP2018515738A5 (ko)
EP2672798B1 (en) Compact two sided cold plate with floating transfer tubes
KR102104893B1 (ko) 증발기 및 이를 포함하는 터보 냉동기
KR200321348Y1 (ko) 암모니아 및 후레온 공조냉동용 안전밸브의 가스 충진 니플
KR102455824B1 (ko) 냉동장치
CN202349305U (zh) 低温系统温度控制节流阀
US3797564A (en) Adjustable soft packing seal
KR101071394B1 (ko) 배관 동파 방지 밸브
RU187492U1 (ru) Клапан поддержания давления
KR101640581B1 (ko) 배관 동파 방지장치
CN215451529U (zh) 冷媒接头、用于动力电池的热管理装置及温度控制系统
RU139472U1 (ru) Вантуз нефтепровода
KR102356518B1 (ko) 진공안전밸브
CN215763956U (zh) 一种蒸汽管道泄漏时带压堵漏的装置
CN113479037B (zh) 一种集成式制冷装置和车载空调系统及车辆
CN203979538U (zh) 一种溴化锂吸收式机组的安全保护装置
CN210718184U (zh) 一种螺杆冷水机容调装置
KR200298294Y1 (ko) 암모니아 및 후레온 가스압축식 공조냉동용 안전밸브
KR102048705B1 (ko) 열교환기 동파방지용 릴리프 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