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7945A - 지능형 단말기 및 이의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지능형 단말기 및 이의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7945A
KR20160067945A KR1020167011968A KR20167011968A KR20160067945A KR 20160067945 A KR20160067945 A KR 20160067945A KR 1020167011968 A KR1020167011968 A KR 1020167011968A KR 20167011968 A KR20167011968 A KR 20167011968A KR 20160067945 A KR20160067945 A KR 201600679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probability
input operation
key
operation inte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1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0391B1 (ko
Inventor
하이자오 루
장취안 자오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600679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79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03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03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능형 단말기 및 이의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개시하며, 상기 방법은, 사용자가 상기 지능형 단말기의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상에서 입력 조작을, 오른손을 사용하여 수행하는지 아니면 왼손을 사용하여 수행하는지를 판정하는 단계; 판정의 결과가, 상기 사용자가 오른손을 사용하여 상기 입력 조작을 수행하는 것인 경우, 상기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상에 있는 입력 키를, 사전 설정된 규칙에 따라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배치되도록 설정하는 단계; 및 판정의 결과가, 상기 사용자가 왼손을 사용하여 상기 입력 조작을 수행하는 것인 경우, 상기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상에 있는 입력 키를, 사전 설정된 규칙에 따라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배치되도록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지능형 단말기 및 이의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가 사용자의 손가락을 큰 스크린상에 쉽게 뻗을 수 있어서, 사용자의 입력 속도를 높이며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지능형 단말기 및 이의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INTELLIGENT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INPUT OPERATION INTERFACE THEREOF}
본 발명은 지능형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지능형 단말기 및 이의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능형 단말기는 점차 사람들의 필수적인 통신 도구가 되고 있다. 사용자의 시각 경험을 향상시키기 위해, 엄청 큰 스크린을 가지는 핸드핼드 지능형 단말기가 개발 트랜드가 되었다. 4.5인치 스크린은 플래그십 모델에 대한 주요 구성이 되었으며, 4.7인치 또는 5.0인치 스크린은 다음 세대 지능형 단말기의 플래그십 모델에 대한 스크린 구성이 될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능형 단말기의 입력 방법은, 단어의 배치 순서의 동적 조정, 즉, 단어의 사용 빈도에 따라 지능적 순위 매김을 수행하는 것을 지원하므로, 후보 단어 중 가장 흔히 사용되는 단어를 가장 위에 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어는 사용 빈도가 높은 것에서부터 낮은 것에 따라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및 위에서 아래로 연속하여 배치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쉽게 선택할 수 있다.
핸드핼드 단말기는 상대적으로 큰 스크린을 가지며, 후보 단어는 보통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배치된다, 즉, 가장 흔히 사용되는 단어가 일반적으로 가장 왼쪽 위치에 위치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오른손으로 모바일 폰을 잡는 경우, 오른쪽 손의 엄지가 가장 왼쪽 위치에 닿는 것이 쉽지 않기 때문에 불편을 초래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문제는, 사용자의 입력 경험을 향상시키기 위해, 지능형 단말기의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를 어떻게 최적화할 것인지 이다.
전술한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지능형 단말기의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이는 사용자가 상기 지능형 단말기의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상에서 입력 조작을, 오른손을 사용하여 수행하는지 아니면 왼손을 사용하여 수행하는지를 판정하는 단계; 판정의 결과가, 상기 사용자가 오른손을 사용하여 상기 입력 조작을 수행하는 것인 경우, 상기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상에 있는 입력 키를, 사전 설정된 규칙에 따라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배치되도록 설정하는 단계; 및 판정의 결과가, 상기 사용자가 왼손을 사용하여 상기 입력 조작을 수행하는 것인 경우, 상기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상에 있는 입력 키를, 사전 설정된 규칙에 따라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배치되도록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지능형 단말기의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에 있어서, 가능 구현 방식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지능형 단말기의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상에서 입력 조작을, 오른손을 사용하여 수행하는지 아니면 왼손을 사용하여 수행하는지를 판정하는 단계는, 키의 터치 시간 간격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입력 조작을, 오른손을 사용하여 수행하는지 아니면 왼손을 사용하여 수행하는지를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키는 상기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상에 위치되어 있으며, 상기 키의 터치 시간 간격은 상기 키의 터치와 이전의 터치 간의 시간 간격을 나타낸다.
전술한 지능형 단말기의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에 있어서, 가능 구현 방식에서, 상기 키의 터치 시간 간격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입력 조작을, 오른손을 사용하여 수행하는지 아니면 왼손을 사용하여 수행하는지를 판정하는 단계는, 사전 설정된 길이의 시간 내에, 제1 터치 시간 간격 및 제2 터치 시간 간격에 대한 통계를 수집하는 단계 - 상기 제1 터치 시간 간격은 상기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의 좌측 상의 적어도 하나의 키의 터치 시간 간격의 평균 값을 나타내며, 상기 제2 터치 시간 간격은 상기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의 우측 상의 적어도 하나의 키의 터치 시간 간격의 평균 값을 나타냄 - ; 상기 제1 터치 시간 간격이 상기 제2 터치 시간 간격보다 작으면, 상기 사용자가 왼손을 사용하여 상기 입력 조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터치 시간 간격이 상기 제2 터치 시간 간격보다 크면, 상기 사용자가 오른손을 사용하여 상기 입력 조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지능형 단말기의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에 있어서, 가능 구현 방식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지능형 단말기의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상에서 입력 조작을, 오른손을 사용하여 수행하는지 아니면 왼손을 사용하여 수행하는지를 판정하는 단계는, 키의 서브-영역이 터치되는 확률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입력 조작을, 오른손을 사용하여 수행하는지 아니면 왼손을 사용하여 수행하는지를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키는 상기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상에 위치되어 있으며, 상기 서브-영역은 상기 키의 상단 좌측 (upper left), 하단 좌측(lower left), 상단 우측(upper right), 하단 우측(lower right), 좌측, 또는 우측 상의 일부분을 나타내며, 상기 키의 서브-영역이 터치되는 확률은, 상기 키가 터치된 횟수의 전체 수량 중 상기 서브-영역이 터치된 횟수의 수량의 비율을 나타낸다.
전술한 지능형 단말기의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에 있어서, 가능 구현 방식에서, 상기 키의 서브-영역이 터치되는 확률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입력 조작을, 오른손을 사용하여 수행하는지 아니면 왼손을 사용하여 수행하는지를 판정하는 단계는, 사전 설정된 길이의 시간 내에, 제1 터치 확률 및 제2 터치 확률에 대한 통계를 수집하는 단계 - 상기 제1 터치 확률은 상기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의 상단 우측 상의 키의 하단 좌측의 서브-영역이 터치되는 확률을 나타내며, 상기 제2 터치 확률은 상기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의 상단 좌측 상의 키의 하단 우측의 서브-영역이 터치되는 확률을 나타냄 - ; 상기 제1 터치 확률이 상기 제2 터치 확률보다 크면, 상기 사용자가 왼손을 사용하여 상기 입력 조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터치 확률이 상기 제2 터치 확률보다 작으면, 상기 사용자가 오른손을 사용하여 상기 입력 조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지능형 단말기의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에 있어서, 가능 구현 방식에서, 상기 키의 서브-영역이 터치되는 확률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입력 조작을, 오른손을 사용하여 수행하는지 아니면 왼손을 사용하여 수행하는지를 판정하는 단계는, 사전 설정된 길이의 시간 내에, 제1 터치 확률 및 제2 터치 확률에 대한 통계를 수집하는 단계 - 상기 제1 터치 확률은 상기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의 하단 우측 상의 키의 좌측의 서브-영역이 터치되는 확률을 나타내며, 상기 제2 터치 확률은 상기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의 하단 좌측 상의 키의 우측의 서브-영역이 터치되는 확률을 나타냄 - ; 상기 제1 터치 확률이 상기 제2 터치 확률보다 크면, 상기 사용자가 왼손을 사용하여 상기 입력 조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터치 확률이 상기 제2 터치 확률보다 작으면, 상기 사용자가 오른손을 사용하여 상기 입력 조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지능형 단말기의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에 있어서, 가능 구현 방식에서, 상기 키의 서브-영역이 터치되는 확률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입력 조작을, 오른손을 사용하여 수행하는지 아니면 왼손을 사용하여 수행하는지를 판정하는 단계는, 사전 설정된 길이의 시간 내에, 제1 터치 확률, 제2 터치 확률, 제3 터치 확률, 및 제4 터치 확률에 대한 통계를 수집하는 단계 - 상기 제1 터치 확률은 상기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의 좌측 상의 적어도 2개의 키의 우측의 서브-영역이 터치되는 확률의 평균 값을 나타내며, 상기 제2 터치 확률은 상기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의 좌측 상의 적어도 2개의 키의 좌측의 서브-영역이 터치되는 확률의 평균 값을 나타내고, 상기 제3 터치 확률은 상기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의 우측 상의 적어도 2개의 키의 우측의 서브-영역이 터치되는 확률의 평균 값을 나타내며, 상기 제4 터치 확률은 상기 우측 상의 적어도 2개의 키의 좌측의 서브-영역이 터치되는 확률의 평균 값을 나타냄 - ; 좌측의 터치 확률 차이와 우측의 터치 확률 차이를 계산하는 단계 - 상기 좌측의 터치 확률 차이는 상기 제1 터치 확률에서 상기 제2 터치 확률을 빼서 획득되는 값과 동일하며, 상기 우측의 터치 확률 차이는 상기 제3 터치 확률에서 상기 제4 터치 확률을 빼서 획득되는 값과 동일함 - ; 및 상기 좌측의 터치 확률 차이가 제1 임계값보다 크고 상기 우측의 터치 확률 차이가 제2 임계값보다 작으면, 상기 사용자가 오른손을 사용하여 상기 입력 조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지능형 단말기의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에 있어서, 가능 구현 방식에서, 상기 입력 키는, 후보 단어 키, 구두점 키, 숫자 키 및 일반 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전술한 지능형 단말기의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에 있어서, 가능 구현 방식에서, 상기 사전 설정된 규칙은, 사용 확률, 사용자 선호도, 및 네트워크 단어 빈도(network term frequency)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전술한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지능형 단말기를 제공하며, 이는 사용자가 상기 지능형 단말기의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상에서 입력 조작을, 오른손을 사용하여 수행하는지 아니면 왼손을 사용하여 수행하는지를 판정하도록 구성된 판정 모듈; 및 상기 판정 모듈에 연결되어 있으며, 판정의 결과가, 상기 사용자가 오른손을 사용하여 상기 입력 조작을 수행하는 것인 경우, 상기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상에 있는 입력 키를, 사전 설정된 규칙에 따라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배치되도록 설정하고, 판정의 결과가, 상기 사용자가 왼손을 사용하여 상기 입력 조작을 수행하는 것인 경우, 상기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상에 있는 입력 키를, 상기 사전 설정된 규칙에 따라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배치되도록 설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설정 모듈을 포함한다.
지능형 단말기에 있어서, 가능 구현 방식에서, 상기 판정 모듈은, 키의 터치 시간 간격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입력 조작을, 오른손을 사용하여 수행하는지 아니면 왼손을 사용하여 수행하는지를 판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1 판정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키는 상기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상에 위치되어 있으며, 상기 키의 터치 시간 간격은 상기 키의 터치와 이전의 터치 간의 시간 간격을 나타낸다.
지능형 단말기에 있어서, 가능 구현 방식에서, 상기 판정 모듈은, 제1 판정 유닛에 연결되어 있는 제1 계산 유닛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1 계산 유닛은, 사전 설정된 길이의 시간 내에, 제1 터치 시간 간격 및 제2 터치 시간 간격에 대한 통계를 수집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터치 시간 간격은 상기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의 좌측 상의 적어도 하나의 키의 터치 시간 간격의 평균 값을 나타내며, 상기 제2 터치 시간 간격은 상기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의 우측 상의 적어도 하나의 키의 터치 시간 간격의 평균 값을 나타내고, 상기 제1 판정 유닛은, 상기 제1 터치 시간 간격을 상기 제2 터치 시간 간격과 비교하고; 상기 제1 터치 시간 간격이 상기 제2 터치 시간 간격보다 작으면, 상기 사용자는 왼손을 사용하여 상기 입력 조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판정하고, 상기 제1 터치 시간 간격이 상기 제2 터치 시간 간격보다 크면, 상기 사용자는 오른손을 사용하여 상기 입력 조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판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지능형 단말기에 있어서, 가능 구현 방식에서, 상기 판정 모듈은, 키의 서브-영역이 터치되는 확률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입력 조작을, 오른손을 사용하여 수행하는지 아니면 왼손을 사용하여 수행하는지를 판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2 판정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키는 상기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상에 위치되어 있으며, 상기 서브-영역은 상기 키의 상단 좌측, 하단 좌측, 상단 우측, 하단 우측, 좌측, 또는 우측 상의 일부분을 나타내며, 상기 키의 서브-영역이 터치되는 확률은, 상기 키가 터치된 횟수의 전체 수량 중 상기 서브-영역이 터치된 횟수의 수량의 비율을 나타낸다.
지능형 단말기에 있어서, 가능 구현 방식에서, 상기 판정 모듈은, 상기 제2 판정 유닛에 연결되어 있는 제2 계산 유닛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2 계산 유닛은, 사전 설정된 길이의 시간 내에, 제1 터치 확률 및 제2 터치 확률에 대한 통계를 수집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1 터치 확률은 상기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의 상단 우측 상에서 키의 하단 좌측의 서브-영역이 터치되는 확률을 나타내며, 상기 제2 터치 확률은 상기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의 상단 좌측 상의 키의 하단 우측의 서브-영역이 터치되는 확률을 나타내고, 상기 제2 판정 유닛은, 상기 제1 터치 확률을 상기 제2 터치 확률과 비교하고; 상기 제1 터치 확률이 상기 제2 터치 확률보다 크면, 상기 사용자는 왼손을 사용하여 상기 입력 조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판정하고, 상기 제1 터치 확률이 상기 제2 터치 확률보다 작으면, 상기 사용자는 오른손을 사용하여 상기 입력 조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판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지능형 단말기에 있어서, 가능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2 계산 유닛은, 사전 설정된 길이의 시간 내에, 제1 터치 확률 및 제2 터치 확률에 대한 통계를 수집하도록 추가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1 터치 확률은 상기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의 하단 우측 상의 키의 좌측의 서브-영역이 터치되는 확률을 나타내며, 상기 제2 터치 확률은 상기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의 하단 좌측 상의 키의 우측의 서브-영역이 터치되는 확률을 나타낸다.
지능형 단말기에 있어서, 가능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2 계산 유닛은, 사전 설정된 길이의 시간 내에, 제1 터치 확률, 제2 터치 확률, 제3 터치 확률, 및 제4 터치 확률에 대한 통계를 수집하고, - 상기 제1 터치 확률은 상기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의 좌측 상의 적어도 2개의 키의 우측의 서브-영역이 터치되는 확률의 평균 값을 나타내며, 상기 제2 터치 확률은 상기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의 좌측 상의 적어도 2개의 키의 좌측의 서브-영역이 터치되는 확률의 평균 값을 나타내고, 상기 제3 터치 확률은 상기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의 우측 상의 적어도 2개의 키의 우측의 서브-영역이 터치되는 확률의 평균 값을 나타내며, 상기 제4 터치 확률은 상기 우측 상의 적어도 2개의 키의 좌측의 서브-영역이 터치되는 확률의 평균 값을 나타냄 - ; 좌측의 터치 확률 차이와 우측의 터치 확률 차이를 계산 - 상기 좌측의 터치 확률 차이는 상기 제1 터치 확률에서 상기 제2 터치 확률을 빼서 획득되는 값과 동일하며, 상기 우측의 터치 확률 차이는 상기 제3 터치 확률에서 상기 제4 터치 확률을 빼서 획득되는 값과 동일함 - ; 하도록 추가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2 판정 유닛은, 상기 좌측의 터치 확률 차이를 제1 임계값과, 상기 우측의 터치 확률 차이를 제2 임계값과 비교하고; 상기 좌측의 터치 확률 차이가 상기 제1 임계값보다 크고 상기 우측의 터치 확률 차이가 상기 제2 임계값보다 작으면, 상기 사용자가 오른손을 사용하여 상기 입력 조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판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지능형 단말기에 있어서, 가능 구현 방식에서, 상기 입력 키는, 후보 단어 키, 구두점 키, 숫자 키 및 일반 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지능형 단말기에 있어서, 가능 구현 방식에서, 상기 사전 설정된 규칙은, 사용 확률, 사용자 선호도, 및 네트워크 단어 빈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지능형 단말기 및 이의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가 지능형 단말기의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 상의 입력 조작을 오른손을 사용하여 수핸하는지 왼손을 사용하여 수행하는지 여부가 판정되고, 그 후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 상의 입력 키의 순서가 판정의 결과에 따라 조정되므로, 사용자는 사용자의 손가락을 큰 스크린 상에 쉽게 뻗을 수 있어서, 사용자의 입력 속도를 크게 높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측면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명세서에 포함되며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는 첨부된 도면 및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 특징, 및 측면을 설명하며,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데 이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단말기의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단말기의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9개의 키 입력 방법 인터페이스의 개략적인 다이어그램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단말기의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9개의 키 입력 방법 인터페이스를 서브-영역으로 나누는 개략적인 다이어그램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단말기의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단말기의 구조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단말기의 구조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예시적 실시예, 특징, 및 측면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가지는 요소를 지시한다. 실시예의 다양한 측면이 도면에 도시되었으나, 다른 표시가 없는 한, 도면은 반드시 스케일되어 도시된 것은 아니다.
구체적인 용어 “예시적”은 여기서 “일 예시, 실시예 또는 실례로서 사용됨”을 의미한다. “예시적”으로 설명된 임의의 실시예는 반드시 다른 실시예보다 우수하거나 양호한 것으로 설명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더 나은 설명을 위해, 많은 세부 사항이 이하의 구체적인 구현 방식으로 제시된다.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구체적인 세부 사항 없이 구현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일부 다른 실시예에서, 통상의 기술자에게 널리 알려진 방법, 수단, 구성 및 회로는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으므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이 강조될 수 있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단말기의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주로 포함한다:
S110. 사용자가 지능형 단말기의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상에서 입력 조작을, 오른손을 사용하여 수행하는지 아니면 왼손을 사용하여 수행하는지를 판정한다.
일반적으로, 엄지를 늘려 멀리 떨어진 키에 도달하는데 필요한 시간과 이 키에 정확하게 위치시키는 시간은, 엄지를 늘려 가까운 키에 도달하는데 필요한 시간과 이 키에 정확하게 위치시키는 시간보다 오래 걸린다. 따라서, 가능 구현 방식에서, 사용자가 입력 조작을 오른손을 사용하여 수행하는지 아니면 왼손을 사용하여 수행하는지는, 키의 터치 시간 간격의 기준으로 판정될 수 있으며, 여기서 키는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상에 위치하며, 키의 터치 시간 간격은 키의 터치 및 이전의 터치 간의 시간 간격을 나타낸다.
또한, 엄지가 상이한 영역에 있는 키를 누르는 경우, 일반적으로, 길이의 제한으로 인해, 엄지는 키의 모서리를 누를 수 있다. 따라서, 다른 가능 구현 방식에서, 사용자가 지능형 단말기의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상의 입력 조작을 오른손을 사용하여 수행하는지 아니면 왼손을 사용하여 수행하는지는, 키의 서브-영역이 터치되는 확률의 기준으로 결정될 수도 있으며, 서브-영역은 키의 상단 좌측, 하단 좌측, 상단 우측, 하단 우측, 좌측, 또는 우측 상의 일부분을 나타내며, 키의 서브-영역이 터치되는 확률은, 키가 터치된 횟수의 전체 수량 중 서브-영역이 터치된 횟수의 수량의 비율을 나타낸다.
S120. 판정의 결과가, 사용자가 입력 조작을 오른손을 사용하여 수행하는 것인 경우,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상에 있는 입력 키를, 사전 설정된 규칙에 따라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배치되도록 설정한다.
S130. 판정의 결과가, 사용자가 입력 조작을 왼손을 사용하여 수행하는 것인 경우,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상에 있는 입력 키를, 사전 설정된 규칙에 따라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배치되도록 설정한다.
가능 구현 방식에서, 입력 키는 후보 단어 키, 구두점 키, 숫자 키 및 일반 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가능 구현 방식에서, 사전 설정된 규칙은, 사용 확률, 사용자 선호도, 및 네트워크 단어 빈도(network term frequency)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력 키는 전술한 판정 결과의 기준 하에서 사용 확률이 높은 것에서 낮은 것으로 배치될 수 있고, 입력 키의 배치 순서는 사용자의 개인 선호도에 따라 상이한 판정 결과의 경우에 상응하게 조정될 수도 있다. 또한, 지능형 단말기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 네트워크에 의해 추천되는 후보 단어가 사용자가 입력 조작을 수행하는 손가락 근처에 배치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이 실시예의 지능형 단말기의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에 따르면,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 상의 입력 키의 순서는, 사용자가 지능형 단말기의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상에서 입력 조작을 오른손을 사용하여 수행하는지 아니면 왼손을 사용하여 수행하는지의 판정 결과에 따라 조정되므로, 사용자는 사용자의 손가락을 큰 스크린 상에 쉽게 뻗을 수 있어서, 사용자의 입력 속도를 높이며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 2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단말기의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의 구성과 동일한 참조 번호를 가지는 도 2의 구성은 동일한 기능을 가진다. 간략함을 위해, 이러한 구성의 세부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에 도시된 지능형 단말기의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과 도 1에 도시된 지능형 단말기의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간의 차이는, 가능 구현 방식에서, 실시예 1의 단계 S110의 구체적인 작동 단계가 다음과 같을 수 있다는 것이다:
S210. 사전 설정된 길이의 시간 내에, 제1 터치 시간 간격 및 제2 터치 시간 간격에 대한 통계를 수집한다. 가능 구현 방식에서, 제1 터치 시간 간격은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의 좌측 상의 적어도 하나의 키의 터치 시간 간격의 평균 값을 나타낼 수 있으며, 제2 터치 시간 간격은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의 우측 상의 적어도 하나의 키의 터치 시간 간격의 평균 값을 나타낼 수 있다.
S220. 제1 터치 시간 간격이 제2 터치 시간 간격보다 큰지 판정한다.
S230. 제1 터치 시간 간격이 제2 터치 시간 간격보다 크면, 사용자가, 오른손을 사용하여 입력 조작을 수행한다고 판정한다.
S240. 제1 터치 시간 간격이 제2 터치 시간 간격보다 작으면, 사용자가 왼손을 사용하여 입력 조작을 수행한다고 판정한다.
구체적으로, 키의 터치 시간 간격에 대한 통계는 사전 설정된 길이의 시간 내에 수집될 수 있다. 즉, 사전 설정된 길이의 시간 내에 키의 제1 터치 및 키의 제2 터치 간의 시간 간격에 대한 통계가 수집되고, 키의 제2 터치 및 키의 제3 터치 간의 시간 간격에 대한 통계가 수집되고, 유추에 의해, 사전 설정된 길이의 시간 내에의 키의 제2 터치에서 마지막 터치까지의 터치와 키의 마지막 터치 간의 시간 간격에 대한 통계가 수집된다. 그 후,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의 상이한 위치에서의 키의 터치 시간 간격의 길이가 분석된다. 도 3의 9개의 키 입력 방법 인터페이스가 일 예시로 사용된다. 9개의 키 입력 방법 인터페이스의 좌측 상의 키, 예컨대, “,”, “ghi”, 및 “pqrs”의 평균 터치 시간 간격이, 9개의 키 입력 방법 인터페이스의 우측 상의 키, 예컨대 “def”, “mno”, 및 “wxyz”의 평균 터치 시간 간격보다 작으면, 사용자가 왼손을 사용하여 입력 조작을 수행한다고 판정된다. 전자의 평균 터치 시간 간격이 후자의 평균 터치 시간 간격보다 크면, 사용자가 오른손을 사용하여 입력 조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판정된다.
키 누름과 다음 키 누름 간의 시간 간격이 사전 설정된 시간 임계값, 예컨대, 30초를 초과하는 경우, 다음 키 누름은 또 다른 사전 설정된 길이의 시간 내에 제1 키 누름으로 사용된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바람직하게, 사용자가 9개의 키 입력 방법을 보다 편리하게 사용하기 위해, 후보 단어의 배치 순서는 하나의 사전 설정된 길이의 시간 내에 오직 한번만 조정된다.
따라서, 이 실시예의 지능형 단말기의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가 입력 조작을 오른손을 사용하여 수행하는지 아니면 왼손을 사용하여 수행하는지는 키의 터치 시간 간격의 기준으로 결정되고, 그 후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 상의 입력 키의 순서는 판정의 결과에 따라 조정되므로, 사용자는 사용자의 손가락을 큰 스크린 상에 쉽게 뻗을 수 있어서, 사용자의 입력 속도를 높이며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 3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단말기의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의 구성과 동일한 참조 번호를 가지는 도 4의 구성은 동일한 기능을 가진다. 간략함을 위해, 이러한 구성의 세부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4에 도시된 지능형 단말기의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과 도 1에 도시된 지능형 단말기의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간의 차이는, 가능 구현 방식에서, 실시예 1의 단계 S110의 구체적인 작동 단계가 다음과 같을 수 있다는 것이다:
S410. 사전 설정된 길이의 시간 내에, 제1 터치 확률 및 제2 터치 확률에 대한 통계를 수집한다. 가능 구현 방식에서, 제1 터치 확률은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의 상단 우측 상에서 키의 하단 좌측의 서브-영역이 터치되는 확률을 나타낼 수 있으며, 제2 터치 확률은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의 상단 좌측 상의 키의 하단 우측의 서브-영역이 터치되는 확률을 나타낼 수 있다.
다른 가능 구현 방식에서, 제1 터치 확률은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의 하단 우측 상의 키의 좌측의 서브-영역이 터치되는 확률을 나타낼 수 있으며, 제2 터치 확률은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의 하단 좌측 상의 키의 우측의 서브-영역이 터치되는 확률을 나타낼 수 있다.
S420. 제1 터치 확률이 제2 터치 확률보다 작은 것으로 판정한다.
S430. 제1 터치 시간 간격이 제2 터치 시간 간격보다 작으면, 사용자가 오른손을 사용하여 입력 조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판정한다.
S440. 제1 터치 시간 간격이 제2 터치 시간 간격보다 크면, 사용자가 왼손을 사용하여 입력 조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판정한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아, 지능형 단말기의 9개의 핀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 상의 각 입력 키는 4개의 소형 영역, 상단 좌측, 하단 좌측, 상단 우측, 및 하단 우측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9개의 키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의 상단 우측 상의 “def” 키의 하단 좌측의 서브-영역이 터치되는 확률 P1과, 9개의 키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의 상단 좌측 상의 “,” 키의 하단 우측의 서브-영역이 터치되는 확률 P2에 대한 통계는, 사용자가 입력하기 시작한 후 사전 설정된 길이의 시간 내에 수집된다. P1이 P2보다 크면, 사용자가 왼손을 사용하여 입력 조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판정된다. P1이 P2보다 작으면, 사용자가 오른손을 사용하여 입력 조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판정된다.
또한, 9개의 키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의 하단 우측 상의 “wxyz” 키의 좌측의 서브-영역이 터치되는 확률 P3와 9개의 키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의 하단 좌측 상의 “pqrs” 키의 우측의 서브-영역이 터치되는 확률 P4에 대한 통계도 수집될 수 있다. P3가 P4보다 크면, 사용자가 왼손을 사용하여 입력 조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판정된다. P3가 P4보다 작으면, 사용자가 오른손을 사용하여 입력 조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판정된다.
유사하게, 키 누름과 다음 키 누름 간의 시간 간격이 사전 설정된 시간 임계값, 예컨대, 30초를 초과하는 경우, 다음 키 누름은 또 다른 사전 설정된 길이의 시간 내에 제1 키 누름으로 사용된다. 바람직하게, 사용자가 9개의 키 입력 방법을 보다 편리하게 사용하기 위해, 후보 단어의 배치 순서는 하나의 사전 설정된 시구간에서 오직 한번만 조정된다.
따라서, 이 실시예의 지능형 단말기의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가 오른손을 사용하여 입력 조작을 수행하는지 아니면 왼손을 사용하여 입력 조작을 수행하는지는 키의 서브-영역이 터치되는 확률 기준으로 결정되고, 그 후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 상의 입력 키의 순서는 판정의 결과에 따라 조정되므로, 사용자는 사용자의 손가락을 큰 스크린 상에 쉽게 뻗을 수 있어서, 사용자의 입력 속도를 높이며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 4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단말기의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의 구성과 동일한 참조 번호를 가지는 도 6의 구성은 동일한 기능을 가진다. 간략함을 위해, 이러한 구성의 세부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6에 도시된 지능형 단말기의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과 도 1에 도시된 지능형 단말기의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간의 차이는, 가능 구현 방식에서, 실시예 1의 단계 S110의 구체적인 작동 단계가 다음과 같을 수 있다는 것이다:
S610. 사전 설정된 길이의 시간 내에, 제1 터치 확률, 제2 터치 확률, 제3 터치 확률, 및 제4 터치 확률에 대한 통계를 수집한다. 가능 구현 방식에서, 제1 터치 확률은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의 좌측 상의 적어도 2개의 키의 우측의 서브-영역이 터치되는 확률의 평균 값을 나타낼 수 있으며, 제2 터치 확률은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의 좌측 상의 적어도 2개의 키의 좌측의 서브-영역이 터치되는 확률의 평균 값을 나타낼 수 있고, 제3 터치 확률은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의 우측 상의 적어도 2개의 키의 우측의 서브-영역이 터치되는 확률의 평균 값을 나타낼 수 있으며, 제4 터치 확률은 우측 상의 적어도 2개의 키의 좌측의 서브-영역이 터치되는 확률의 평균 값을 나타낼 수 있다.
S620. 좌측의 터치 확률 차이와 우측의 터치 확률 차이를 계산한다. 가능 구현 방식에서, 좌측의 터치 확률 차이는 제1 터치 확률에서 제2 터치 확률을 빼서 획득되는 값과 동일할 수 있으며, 우측의 터치 확률 차이는 제3 터치 확률에서 제4 터치 확률을 빼서 획득되는 값과 동일할 수 있다.
S630. 좌측의 터치 확률 차이가 제1 임계값보다 큰지 판정한다.
S640. 좌측의 터치 확률 차이가 제1 임계값보다 크면, 우측의 터치 확률 차이가 제2 임계값보다 작은지를 판정한다.
S650. 우측의 터치 확률 차이가 제2 임계값보다 작으면, 사용자가 오른손을 사용하여 입력 조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판정한다.
S660. 좌측의 터치 확률 차이가 제1 임계값보다 작거나, 또는 좌측의 터치 확률 차이가 제1 임계값보다 크고 우측의 터치 확률 차이가 제2 임계값보다 크면, 사용자는 왼손을 사용하여 입력 조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판정한다.
따라서, 이 실시예의 지능형 단말기의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가 오른손을 사용하여 입력 조작을 수행하는지 아니면 왼손을 사용하여 입력 조작을 수행하는지는 키의 서브-영역이 터치되는 확률 기준으로 결정되고, 그 후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 상의 입력 키의 순서는 판정의 결과에 따라 조정되므로, 사용자는 사용자의 손가락을 큰 스크린 상에 쉽게 뻗을 수 있어서, 사용자의 입력 속도를 높이며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오른손을 사용하여 입력 조작을 수행하는지 아니면 왼손을 사용하여 입력 조작을 수행하는지는 키의 터치 시간 간격의 기준 및 키의 서브-영역이 터치되는 확률의 기준으로 전술한 예시에서 설명되었으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한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사용자가 오른손을 사용하여 입력 조작을 수행하는지 아니면 왼손을 사용하여 입력 조작을 수행하는지가, 단말기 장치의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 상의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수행된 터치 동작 및/또는 탭핑 동작을 검출하여 판정되고, 입력 키가 판정의 결과에 따라 대응하는 측으로 조정되는 모든 방식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할 것이다.
실시예 5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단말기의 구조 블록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능형 단말기는 판정 모듈(710) 및 설정 모듈(720)을 포함한다. 판정 모듈(710)은, 사용자가 지능형 단말기의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상에서 입력 조작을 오른손을 사용하여 수행하는지 아니면 왼손을 사용하여 수행하는지를 판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설정 모듈(720)은 판정 모듈(710)에 연결되어 있으며, 판정의 결과가, 사용자가 오른손을 사용하여 입력 조작을 수행하는 것인 경우,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상에 있는 입력 키를, 사전 설정된 규칙에 따라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배치되도록 설정하고, 판정의 결과가, 사용자가 왼손을 사용하여 입력 조작을 수행하는 것인 경우,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상에 있는 입력 키를, 사전 설정된 규칙에 따라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배치되도록 설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가능 구현 방식에서, 입력 키는 후보 단어 키, 구두점 키, 숫자 키 및 일반 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가능 구현 방식에서, 사전 설정된 규칙은, 사용 확률, 사용자 선호도, 및 네트워크 단어 빈도(network term frequency)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가능 구현 방식에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정 모듈(710)은 제1 판정 유닛(810) 도는 제2 판정 유닛(8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판정 유닛(810)은, 키의 터치 시간 간격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오른손을 사용하여 입력 조작을 수행하는지, 왼손을 사용하여 입력 조작을 수행하는지를 판정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여기서 키는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상에 위치되어 있으며, 키의 터치 시간 간격은 키의 터치와 이전의 터치 간의 시간 간격을 나타낸다. 제2 판정 유닛(820)은, 키의 서브-영역이 터치되는 확률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오른손을 사용하여 입력 조작을 수행하는지, 왼손을 사용하여 입력 조작을 수행하는지를 판정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여기서 서브-영역은 키의 상단 좌측, 하단 좌측, 상단 우측, 하단 우측, 좌측, 또는 우측 상의 일부분을 나타내며, 키의 서브-영역이 터치되는 확률은, 키가 터치된 횟수의 전체 수량 중 서브-영역이 터치된 횟수의 수량의 비율을 나타낸다.
가능 구현 방식에서, 판정 모듈(710)은 제1 판정 유닛(810)에 연결되어 있는 제1 계산 유닛(830)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제1 계산 유닛(830)은, 사전 설정된 길이의 시간 내에, 제1 터치 시간 간격 및 제2 터치 시간 간격에 대한 통계를 수집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여기서 제1 터치 시간 간격은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의 좌측 상의 적어도 하나의 키의 터치 시간 간격의 평균 값을 나타내며, 제2 터치 시간 간격은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의 우측 상의 적어도 하나의 키의 터치 시간 간격의 평균 값을 나타낸다. 제1 판정 유닛(810)은, 제1 터치 시간 간격을 제2 터치 시간 간격과 비교하고; 제1 터치 시간 간격이 제2 터치 시간 간격보다 작으면, 사용자가 왼손을 사용하여 입력 조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판정하고, 제1 터치 시간 간격이 제2 터치 시간 간격보다 크면, 사용자가 오른손을 사용하여 입력 조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판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가능 구현 방식에서, 판정 모듈(710)은 제2 판정 유닛(820)에 연결되어 있는 제2 계산 유닛(840)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제2 계산 유닛(840)은 사전 설정된 길이의 시간 내에, 제1 터치 확률 및 제2 터치 확률에 대한 통계를 수집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여기서 제1 터치 확률은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의 상단 우측 상에서 키의 하단 좌측의 서브-영역이 터치되는 확률을 나타내며, 제2 터치 확률은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의 상단 좌측 상의 키의 하단 우측의 서브-영역이 터치되는 확률을 나타낸다. 제2 판정 유닛(820)은 제1 터치 확률을 제2 터치 확률과 비교하고; 제1 터치 확률이 제2 터치 확률보다 크면, 사용자는 왼손을 사용하여 입력 조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판정하고, 제1 터치 확률이 제2 터치 확률보다 작으면, 사용자는 오른손을 사용하여 입력 조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판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가능 구현 방식에서, 제2 계산 유닛(840)은, 사전 설정된 길이의 시간 내에, 제1 터치 확률 및 제2 터치 확률에 대한 통계를 수집하도록 추가로 구성되어 있고, 여기서 제1 터치 확률은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의 하단 우측 상의 키의 좌측의 서브-영역이 터치되는 확률을 나타내며, 제2 터치 확률은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의 하단 좌측 상의 키의 우측의 서브-영역이 터치되는 확률을 나타낸다.
가능 구현 방식에서, 제2 판정 유닛(412)은 구체적으로, 사전 설정된 길이의 시간 내에, 제1 터치 확률, 제2 터치 확률, 제3 터치 확률, 및 제4 터치 확률에 대한 통계를 수집하고 - 여기서 제1 터치 확률은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의 좌측 상의 적어도 2개의 키의 우측의 서브-영역이 터치되는 확률의 평균 값을 나타내며, 제2 터치 확률은 좌측 상의 적어도 2개의 키의 좌측의 서브-영역이 터치되는 확률의 평균 값을 나타내고, 제3 터치 확률은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의 우측 상의 적어도 2개의 키의 우측의 서브-영역이 터치되는 확률의 평균 값을 나타내며, 제4 터치 확률은 우측 상의 적어도 2개의 키의 좌측의 서브-영역이 터치되는 확률의 평균 값을 나타냄 - ; 좌측의 터치 확률 차이와 우측의 터치 확률 차이를 계산 - 좌측의 터치 확률 차이는 제1 터치 확률에서 제2 터치 확률을 빼서 획득되는 값과 동일하며, 우측의 터치 확률 차이는 제3 터치 확률에서 제4 터치 확률을 빼서 획득되는 값과 동일함 - ; 하도록 추가로 구성되어 있다. 제2 판정 유닛(820)은 좌측의 터치 확률 차이를 제1 임계값과, 우측의 터치 확률 차이를 제2 임계값과 비교하고; 좌측의 터치 확률 차이가 제1 임계값보다 크고 우측의 터치 확률 차이가 제2 임계값보다 작으면, 사용자가 입력 조작을 오른손을 사용하여 수행하는 것으로 판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의 지능형 단말기에 따르면, 판정 모듈이, 사용자가 지능형 단말기의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상에서 입력 조작을 오른손을 사용하여 수행하는지 아니면 왼손을 사용하여 수행하는지를 판정하고, 그 후 설정 모듈이, 판정의 결과를 기준으로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 상의 입력 키의 순서를 조정하므로, 사용자는 사용자의 손가락을 큰 스크린 상에 쉽게 뻗을 수 있어서, 사용자의 입력 속도를 높이며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 6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단말기의 구조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지능형 단말기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하는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이 실시예와 연관된 부분만을 설명한다. 개시되지 않은 기술적 세부 사항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할 수 있다.
지능형 단말기는 예컨대, 모바일 폰,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UMPC(Ultra-mobile Personal Computer), 넷북, 또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와 같은, 입력을 위한 터치보드를 가지는 단말기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지능형 단말기는 모바일 폰이라고 가정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연관된 모바일 폰(300)의 일부분의 구조 블록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폰(300)은, RF(radio frequency) 회로(320), 메모리(330), 입력 유닛(340), 디스플레이 유닛(350), 중력 센서(360), 오디오 회로(370), 프로세서(380), 및 전력 공급기(390)와 같은 부분을 포함한다. 통상의 기술자는 도 9에 도시된 모바일 폰의 구조는 모바일 폰에 대한 한정을 구성하지 않으며, 모바일 폰 대신에 도 9에 도시된 일부 부분 또는 일부 부분의 조합, 또는 상이하게 배치된 일부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이하에서는 모바일 폰(300)의 각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RF 회로(320)는 정보 수신 또는 송신 처리 또는 호 처리에서 신호를 수신하고 송신하고, 구체적으로, 기지국의 다운링크 정보를 수신한 후, 처리를 위해 프로세서(380)에 이를 전송하고, 또한 업링크 데이터를 기지국에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RF 회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안테나, 적어도 하나의 증폭기, 송수신기, 커플러, LNA(low noise amplifier), 듀플렉서, 등을 포함한다. 또한, RF 회로(320)는 나아가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다른 장치 및 네트워크와 통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GSM(Global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이메일, SMS(short message service), 등을 포함하는 임의의 통신 표준 또는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메모리(330)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소프트웨어 모듈을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380)는 메모리(33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소프트웨어 모듈을 실행하여 모바일 폰(300)의 다양한 기능적 애플리케이션 및 데이터 프로세싱을 실행한다. 메모리(330)는 주로 프로그램 저장 영역 및 데이터 저장 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프로그램 저장 영역은 운영체제, 적어도 하나의 기능(예컨대, 오디오 재생 기능 또는 이미지 재생 기능)에 의해 필요로 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고, 데이터 저장 영역은 모바일 폰(300)의 사용에 따라 생성된 데이터(예컨대 오디오 데이터, 이미지 데이터, 또는 주소록),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330)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나아가 비휘발성 메모리, 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마그네틱 저장 장치, 플래시 메모리 장치, 도는 다른 휘발성 솔리드-스테이트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유닛(340)은 입력 수 또는 글자 정보를 수신하고, 모바일 폰(300)의 사용자 설정 및 기능 제어와 연관된 신호 입력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력 유닛(340)은 터치 스크린(341) 및 다른 입력 장치(342)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널로도 불리는, 터치 스크린(341)은, 터치 스크린 상에 또는 근처에 사용자의 터치 동작(예컨대, 사용자가 손가락, 스타일러스,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물건 또는 액세서리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341) 위에 또는 터치 스크린(341) 근처에 수행되는 동작)을 수집할 수 있고, 사전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대응하는 연결 장치를 구동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터치 스크린(341)은 2개의 부분, 터치 검출 장치 및 터치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검출 장치는 사용자의 터치 방향을 검출하고, 터치 동작에 의해 생성된 신호를 검출하고, 신호를 터치 제어기에 전송한다. 터치 제어기는 터치 검출 장치로부터 터치 정보를 수신하고, 이 터치 정보를 터치 좌료로 변환하고, 이 터치 좌표를 프로세서에 전송하고; 터치 제어기는 또한, 프로세서로부터 전송된 명령을 수신하여 실행할 수도 있다. 또한, 터치 스크린(341)은 복수의 유형, 예컨대, 저항성 유형, 용량성 유형, 적외선 유형, 및 표면 탄성파(surface acoustic wave) 유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341)에 더하여, 입력 유닛(340)은 다른 입력 장치(342)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른 입력 장치(342)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물리적 키보드, 기능 키(예컨대, 볼륨 제어 키 또는 전원 온/오프 키), 트랙볼, 마우스, 조이스틱,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350)은 사용자에 의해 제공된 정보 또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정보, 및 모바일폰(300)의 다양한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350)은 디스플레이 패널(351)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341)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Emitting Diode), 등의 형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터치 스크린(341)은 디스플레이 패널(351)을 덮을 수 있다. 터치 스크린(341)이 터치 스크린(341) 상에 또는 근처에 터치 동작을 검출하는 경우, 터치 스크린(341)은 터치 이벤트의 유형을 판정하기 위해 프로세서(380)에 신호를 전송한다. 그 후, 프로세서(380)는 터치 이벤트의 유형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351)에 대응하는 시각적 출력을 제공한다. 도 3에서, 터치 스크린(341)과 디스플레이 패널(351)은 모바일 폰(300)의 입력 및 출력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2개의 독립적 부분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일부 실시예에서, 터치 스크린(341)과 디스플레이 패널(351)은 모바일 폰(300)의 입력 및 출력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통합될 수 있다.
중력 센서(360)는 각 방향(일반적으로 3개의 축)에서의 모바일 폰의 가속도 값을 검출할 수 있고; 모바일 폰이 계속 유지되는 경우, 중력의 방향과 값을 검출할 수 있고; 모바일 폰 자세(예컨대, 인물 모드와 풍경 모드 간의 스크린 교환, 연관 게임, 및 자력계 자세 보정(magnetometer posture calibration)), 진동 인지와 연관된 기능(예컨대, 계보기(pedometer) 및 노킹(knocking)), 등을 인지하는 애플리케이션에 구성될 수 있다.
모바일 폰(300)은 다른 센서, 예컨대 광 센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 센서는 주변 광 센서 및 근접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주변 광 센서는 주변 광의 밝기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341)의 밝기를 조정할 수 있다. 근접 센서는 물체가 가까이 움직이는지 또는 모바일 폼을 터치하는지를 검출할 수 있고; 모바일 폰(300)이 귀로 이동하는 경우, 근접 센서는 디스플레이 패널(341) 및/또는 백라이트를 끌 수 있다. 모바일 폰(300)은 나아가 다른 센서, 예컨대, 자이로스코프,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및 적외선 센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다시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는다.
오디오 회로(370), 확성기(371), 및 마이크로폰(372)는 사용자와 모바일 폰(300) 간의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오디오 회로(370)는 오디오 데이터에서 변환된 수신된 전기적 신호를 확성기(371)에 전송할 수 있으며, 확성기(371)는 출력을 위해 전기적 신호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한다. 다른 측면에서, 마이크로폰(372)는 수집된 오디오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 오디오 회로(370)는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고, 이 전기적 신호를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고, 오디오 데이터를, 예컨대 다른 모바일 폰에 전송하기 위해 RF 회로(320)에 이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거나, 또는 추가 처리를 위해 메모리에 이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프로세서(380)는 모바일 폰(300)의 제어 중심이며, 전체 모바일 폰의 부분과 연결하기 위해 다양한 인터페이스 및 선을 사용한다. 메모리(330)에 저장되어 있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또는 소프트웨어 모듈을 실행하거나 실현하고, 메모리(330)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호출하기 위해, 프로세서(380)는 모바일 폰(300)의 다양한 기능적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므로, 모바일 폰의 전반적인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서(38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프로세서(380)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변조 및 복조 프로세서를 통합할 수 있으며, 여기서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주로 운영 체제, 사용자 인터페이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을 처리하고, 변조 및 복조 프로세서는 주로 무선 통신을 처리한다. 프로세서(380)는 변조 및 복조 프로세서를 통합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것도 이해할 수 있다.
모바일 폰(300)은 각 부분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기(390)(예컨대, 배터리)를 추가로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전력 공급은 전력 공급 관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프로세서(380)에 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므로, 충전, 방전 및 전력 소모 관리와 같은 기능은 전력 공급 관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모바일 폰(300)은 도 9에 도시되지 않은 WiFi(Wireless Fidelity) 모듈, 블루투스 모듈,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세부 사항은 여기서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메모리(330)는 컴퓨터 작동 명령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도록 추가로 구성되어 있다. 프로그램은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지능형 단말기의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상에서 입력 조작을 오른손으로 사용하는지 또는 왼손으로 사용하는지를 결정하고; 판정의 결과가, 사용자가 입력 조작을 오른손을 사용하여 수행하는 것인 경우,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상에 있는 입력 키를, 사전 설정된 규칙에 따라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배치되도록 설정하고, 판정의 결과가, 사용자가 입력 조작을 왼손을 사용하여 수행하는 것인 경우,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상에 있는 입력 키를, 사전 설정된 규칙에 따라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배치되도록 설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입력 키는 후보 단어 키, 구두점 키, 숫자 키 및 일반 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전 설정된 규칙은, 사용 확률, 사용자 선호도, 및 네트워크 단어 빈도(network term frequency)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가능 구현 방식에서, 프로그램은 구체적으로, 키의 터치 시간 간격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오른손을 사용하여 입력 조작을 수행하는지, 왼손을 사용하여 입력 조작을 수행하는지를 판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키는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상에 위치되어 있으며, 키의 터치 시간 간격은 키의 터치와 이전의 터치 간의 시간 간격을 나타낸다.
가능 구현 방식에서, 프로그램은 구체적으로, 사전 설정된 길이의 시간 내에, 제1 터치 시간 간격 및 제2 터치 시간 간격에 대한 통계를 수집하고 - 여기서 제1 터치 시간 간격은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의 좌측 상의 적어도 하나의 키의 터치 시간 간격의 평균 값을 나타내며, 제2 터치 시간 간격은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의 우측 상의 적어도 하나의 키의 터치 시간 간격의 평균 값을 나타냄 - ; 제1 터치 시간 간격이 제2 터치 시간 간격보다 작으면, 사용자가 왼손을 사용하여 입력 조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판정하고, 제1 터치 시간 간격이 제2 터치 시간 간격보다 크면, 사용자가 오른손을 사용하여 입력 조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판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가능 구현 방식에서, 프로그램은 구체적으로, 키의 서브-영역이 터치되는 확률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오른손을 사용하여 입력 조작을 수행하는지, 왼손을 사용하여 입력 조작을 수행하는지를 판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키는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상에 위치되어 있으며, 서브-영역은 키의 상단 좌측, 하단 좌측, 상단 우측, 하단 우측, 좌측, 또는 우측 상의 일부분을 나타내며, 키의 서브-영역이 터치되는 확률은, 키가 터치된 횟수의 전체 수량 중 서브-영역이 터치된 횟수의 수량의 비율을 나타낸다.
가능 구현 방식에서, 프로그램은 구체적으로, 사전 설정된 길이의 시간 내에, 제1 터치 확률 및 제2 터치 확률에 대한 통계를 수집하고 - 여기서 제1 터치 확률은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의 상단 우측 상에서 키의 하단 좌측의 서브-영역이 터치되는 확률을 나타내며, 제2 터치 확률은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의 상단 좌측 상의 키의 하단 우측의 서브-영역이 터치되는 확률을 나타냄 - ; 제1 터치 확률이 제2 터치 확률보다 크면, 사용자는 왼손을 사용하여 입력 조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판정하고, 제1 터치 확률이 제2 터치 확률보다 작으면, 사용자는 오른손을 사용하여 입력 조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판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가능 구현 방식에서, 프로그램은 구체적으로, 사전 설정된 길이의 시간 내에, 제1 터치 확률 및 제2 터치 확률에 대한 통계를 수집하고 - 여기서 제1 터치 확률은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의 하단 우측 상의 키의 좌측의 서브-영역이 터치되는 확률을 나타내며, 제2 터치 확률은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의 하단 좌측 상의 키의 우측의 서브-영역이 터치되는 확률을 나타냄 - ; 제1 터치 확률이 제2 터치 확률보다 크면, 사용자는 왼손을 사용하여 입력 조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판정하고, 제1 터치 확률이 제2 터치 확률보다 작으면, 사용자는 오른손을 사용하여 입력 조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판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가능 구현 방식에서, 프로그램은 구체적으로, 사전 설정된 길이의 시간 내에, 제1 터치 확률, 제2 터치 확률, 제3 터치 확률, 및 제4 터치 확률에 대한 통계를 수집하고 - 제1 터치 확률은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의 좌측 상의 적어도 2개의 키의 우측의 서브-영역이 터치되는 확률의 평균 값을 나타내며, 제2 터치 확률은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의 좌측 상의 적어도 2개의 키의 좌측의 서브-영역이 터치되는 확률의 평균 값을 나타내고, 제3 터치 확률은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의 우측 상의 적어도 2개의 키의 우측의 서브-영역이 터치되는 확률의 평균 값을 나타내며, 제4 터치 확률은 우측 상의 적어도 2개의 키의 좌측의 서브-영역이 터치되는 확률의 평균 값을 나타냄 - ; 좌측의 터치 확률 차이와 우측의 터치 확률 차이를 계산하고 - 좌측의 터치 확률 차이는 제1 터치 확률에서 제2 터치 확률을 빼서 획득되는 값과 동일하며, 우측의 터치 확률 차이는 제3 터치 확률에서 제4 터치 확률을 빼서 획득되는 값과 동일함 - ; 좌측의 터치 확률 차이가 제1 임계값보다 크고 우측의 터치 확률 차이가 제2 임계값보다 작으면, 사용자가 오른손을 사용하여 입력 조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판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어 있다.
요컨대, 전술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의도는 아니다. 본 발명의 원칙 및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만들어지는 임의의 변형, 등가 대체물, 및 개선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속할 것이다.

Claims (18)

  1. 지능형 단말기의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으로서,
    사용자가 상기 지능형 단말기의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상에서 입력 조작을, 오른손을 사용하여 수행하는지 아니면 왼손을 사용하여 수행하는지를 판정하는 단계;
    판정의 결과가, 상기 사용자가 오른손을 사용하여 상기 입력 조작을 수행하는 것인 경우, 상기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상에 있는 입력 키를, 사전 설정된 규칙에 따라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배치되도록 설정하는 단계; 및
    판정의 결과가, 상기 사용자가 왼손을 사용하여 상기 입력 조작을 수행하는 것인 경우, 상기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상에 있는 입력 키를, 사전 설정된 규칙에 따라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배치되도록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지능형 단말기의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지능형 단말기의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상에서 입력 조작을, 오른손을 사용하여 수행하는지 아니면 왼손을 사용하여 수행하는지를 판정하는 단계는,
    키의 터치 시간 간격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입력 조작을, 오른손을 사용하여 수행하는지 아니면 왼손을 사용하여 수행하는지를 판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키는 상기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상에 위치되어 있으며, 상기 키의 터치 시간 간격은 상기 키의 터치와 이전의 터치 간의 시간 간격을 나타내는,
    지능형 단말기의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키의 터치 시간 간격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입력 조작을, 오른손을 사용하여 수행하는지 아니면 왼손을 사용하여 수행하는지를 판정하는 단계는,
    사전 설정된 길이의 시간 내에, 제1 터치 시간 간격 및 제2 터치 시간 간격에 대한 통계를 수집하는 단계 - 상기 제1 터치 시간 간격은 상기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의 좌측 상의 적어도 하나의 키의 터치 시간 간격의 평균 값을 나타내며, 상기 제2 터치 시간 간격은 상기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의 우측 상의 적어도 하나의 키의 터치 시간 간격의 평균 값을 나타냄 - ;
    상기 제1 터치 시간 간격이 상기 제2 터치 시간 간격보다 작으면, 상기 사용자가 왼손을 사용하여 상기 입력 조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터치 시간 간격이 상기 제2 터치 시간 간격보다 크면, 상기 사용자가 오른손을 사용하여 상기 입력 조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판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지능형 단말기의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지능형 단말기의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상에서 입력 조작을, 오른손을 사용하여 수행하는지 아니면 왼손을 사용하여 수행하는지를 판정하는 단계는,
    키의 서브-영역이 터치되는 확률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입력 조작을, 오른손을 사용하여 수행하는지 아니면 왼손을 사용하여 수행하는지를 판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키는 상기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상에 위치되어 있으며, 상기 서브-영역은 상기 키의 상단 좌측 (upper left), 하단 좌측(lower left), 상단 우측(upper right), 하단 우측(lower right), 좌측, 또는 우측 상의 일부분을 나타내며, 상기 키의 서브-영역이 터치되는 확률은, 상기 키가 터치된 횟수의 전체 수량 중 상기 서브-영역이 터치된 횟수의 수량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능형 단말기의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키의 서브-영역이 터치되는 확률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입력 조작을, 오른손을 사용하여 수행하는지 아니면 왼손을 사용하여 수행하는지를 판정하는 단계는,
    사전 설정된 길이의 시간 내에, 제1 터치 확률 및 제2 터치 확률에 대한 통계를 수집하는 단계 - 상기 제1 터치 확률은 상기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의 상단 우측 상의 키의 하단 좌측의 서브-영역이 터치되는 확률을 나타내며, 상기 제2 터치 확률은 상기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의 상단 좌측 상의 키의 하단 우측의 서브-영역이 터치되는 확률을 나타냄 - ;
    상기 제1 터치 확률이 상기 제2 터치 확률보다 크면, 상기 사용자가 왼손을 사용하여 상기 입력 조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터치 확률이 상기 제2 터치 확률보다 작으면, 상기 사용자가 오른손을 사용하여 상기 입력 조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판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지능형 단말기의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키의 서브-영역이 터치되는 확률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입력 조작을, 오른손을 사용하여 수행하는지 아니면 왼손을 사용하여 수행하는지를 판정하는 단계는,
    사전 설정된 길이의 시간 내에, 제1 터치 확률 및 제2 터치 확률에 대한 통계를 수집하는 단계 - 상기 제1 터치 확률은 상기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의 하단 우측 상의 키의 좌측의 서브-영역이 터치되는 확률을 나타내며, 상기 제2 터치 확률은 상기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의 하단 좌측 상의 키의 우측의 서브-영역이 터치되는 확률을 나타냄 - ;
    상기 제1 터치 확률이 상기 제2 터치 확률보다 크면, 상기 사용자가 왼손을 사용하여 상기 입력 조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터치 확률이 상기 제2 터치 확률보다 작으면, 상기 사용자가 오른손을 사용하여 상기 입력 조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판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지능형 단말기의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키의 서브-영역이 터치되는 확률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입력 조작을, 오른손을 사용하여 수행하는지 아니면 왼손을 사용하여 수행하는지를 판정하는 단계는,
    사전 설정된 길이의 시간 내에, 제1 터치 확률, 제2 터치 확률, 제3 터치 확률, 및 제4 터치 확률에 대한 통계를 수집하는 단계 - 상기 제1 터치 확률은 상기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의 좌측 상의 적어도 2개의 키의 우측의 서브-영역이 터치되는 확률의 평균 값을 나타내며, 상기 제2 터치 확률은 상기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의 좌측 상의 적어도 2개의 키의 좌측의 서브-영역이 터치되는 확률의 평균 값을 나타내고, 상기 제3 터치 확률은 상기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의 우측 상의 적어도 2개의 키의 우측의 서브-영역이 터치되는 확률의 평균 값을 나타내며, 상기 제4 터치 확률은 상기 우측 상의 적어도 2개의 키의 좌측의 서브-영역이 터치되는 확률의 평균 값을 나타냄 - ;
    좌측의 터치 확률 차이와 우측의 터치 확률 차이를 계산하는 단계 - 상기 좌측의 터치 확률 차이는 상기 제1 터치 확률에서 상기 제2 터치 확률을 빼서 획득되는 값과 동일하며, 상기 우측의 터치 확률 차이는 상기 제3 터치 확률에서 상기 제4 터치 확률을 빼서 획득되는 값과 동일함 - ; 및
    상기 좌측의 터치 확률 차이가 제1 임계값보다 크고 상기 우측의 터치 확률 차이가 제2 임계값보다 작으면, 상기 사용자가 오른손을 사용하여 상기 입력 조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판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지능형 단말기의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키는, 후보 단어 키, 구두점 키, 숫자 키 및 일반 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지능형 단말기의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설정된 규칙은, 사용 확률, 사용자 선호도, 및 네트워크 단어 빈도(network term frequency)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지능형 단말기의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10. 지능형 단말기로서,
    사용자가 상기 지능형 단말기의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상에서 입력 조작을, 오른손을 사용하여 수행하는지 아니면 왼손을 사용하여 수행하는지를 판정하도록 구성된 판정 모듈; 및
    상기 판정 모듈에 연결되어 있으며, 판정의 결과가, 상기 사용자가 오른손을 사용하여 상기 입력 조작을 수행하는 것인 경우, 상기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상에 있는 입력 키를, 사전 설정된 규칙에 따라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배치되도록 설정하고, 판정의 결과가, 상기 사용자가 왼손을 사용하여 상기 입력 조작을 수행하는 것인 경우, 상기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상에 있는 입력 키를, 상기 사전 설정된 규칙에 따라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배치되도록 설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설정 모듈
    을 포함하는
    지능형 단말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모듈은,
    키의 터치 시간 간격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입력 조작을, 오른손을 사용하여 수행하는지 아니면 왼손을 사용하여 수행하는지를 판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1 판정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키는 상기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상에 위치되어 있으며, 상기 키의 터치 시간 간격은 상기 키의 터치와 이전의 터치 간의 시간 간격을 나타내는,
    지능형 단말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모듈은, 제1 판정 유닛에 연결되어 있는 제1 계산 유닛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1 계산 유닛은, 사전 설정된 길이의 시간 내에, 제1 터치 시간 간격 및 제2 터치 시간 간격에 대한 통계를 수집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터치 시간 간격은 상기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의 좌측 상의 적어도 하나의 키의 터치 시간 간격의 평균 값을 나타내며, 상기 제2 터치 시간 간격은 상기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의 우측 상의 적어도 하나의 키의 터치 시간 간격의 평균 값을 나타내고,
    상기 제1 판정 유닛은, 상기 제1 터치 시간 간격을 상기 제2 터치 시간 간격과 비교하고; 상기 제1 터치 시간 간격이 상기 제2 터치 시간 간격보다 작으면, 상기 사용자는 왼손을 사용하여 상기 입력 조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판정하고, 상기 제1 터치 시간 간격이 상기 제2 터치 시간 간격보다 크면, 상기 사용자는 오른손을 사용하여 상기 입력 조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판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지능형 단말기.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모듈은,
    키의 서브-영역이 터치되는 확률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입력 조작을, 오른손을 사용하여 수행하는지 아니면 왼손을 사용하여 수행하는지를 판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2 판정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키는 상기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상에 위치되어 있으며, 상기 서브-영역은 상기 키의 상단 좌측, 하단 좌측, 상단 우측, 하단 우측, 좌측, 또는 우측 상의 일부분을 나타내며, 상기 키의 서브-영역이 터치되는 확률은, 상기 키가 터치된 횟수의 전체 수량 중 상기 서브-영역이 터치된 횟수의 수량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능형 단말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모듈은, 상기 제2 판정 유닛에 연결되어 있는 제2 계산 유닛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2 계산 유닛은, 사전 설정된 길이의 시간 내에, 제1 터치 확률 및 제2 터치 확률에 대한 통계를 수집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1 터치 확률은 상기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의 상단 우측 상에서 키의 하단 좌측의 서브-영역이 터치되는 확률을 나타내며, 상기 제2 터치 확률은 상기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의 상단 좌측 상의 키의 하단 우측의 서브-영역이 터치되는 확률을 나타내고,
    상기 제2 판정 유닛은, 상기 제1 터치 확률을 상기 제2 터치 확률과 비교하고; 상기 제1 터치 확률이 상기 제2 터치 확률보다 크면, 상기 사용자는 왼손을 사용하여 상기 입력 조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판정하고, 상기 제1 터치 확률이 상기 제2 터치 확률보다 작으면, 상기 사용자는 오른손을 사용하여 상기 입력 조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판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지능형 단말기.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계산 유닛은, 사전 설정된 길이의 시간 내에, 제1 터치 확률 및 제2 터치 확률에 대한 통계를 수집하도록 추가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1 터치 확률은 상기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의 하단 우측 상의 키의 좌측의 서브-영역이 터치되는 확률을 나타내며, 상기 제2 터치 확률은 상기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의 하단 좌측 상의 키의 우측의 서브-영역이 터치되는 확률을 나타내는,
    지능형 단말기.
  16.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계산 유닛은, 사전 설정된 길이의 시간 내에, 제1 터치 확률, 제2 터치 확률, 제3 터치 확률, 및 제4 터치 확률에 대한 통계를 수집하고, - 상기 제1 터치 확률은 상기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의 좌측 상의 적어도 2개의 키의 우측의 서브-영역이 터치되는 확률의 평균 값을 나타내며, 상기 제2 터치 확률은 상기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의 좌측 상의 적어도 2개의 키의 좌측의 서브-영역이 터치되는 확률의 평균 값을 나타내고, 상기 제3 터치 확률은 상기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의 우측 상의 적어도 2개의 키의 우측의 서브-영역이 터치되는 확률의 평균 값을 나타내며, 상기 제4 터치 확률은 상기 우측 상의 적어도 2개의 키의 좌측의 서브-영역이 터치되는 확률의 평균 값을 나타냄 - ; 좌측의 터치 확률 차이와 우측의 터치 확률 차이를 계산 - 상기 좌측의 터치 확률 차이는 상기 제1 터치 확률에서 상기 제2 터치 확률을 빼서 획득되는 값과 동일하며, 상기 우측의 터치 확률 차이는 상기 제3 터치 확률에서 상기 제4 터치 확률을 빼서 획득되는 값과 동일함 - ; 하도록 추가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2 판정 유닛은, 상기 좌측의 터치 확률 차이를 제1 임계값과, 상기 우측의 터치 확률 차이를 제2 임계값과 비교하고; 상기 좌측의 터치 확률 차이가 상기 제1 임계값보다 크고 상기 우측의 터치 확률 차이가 상기 제2 임계값보다 작으면, 상기 사용자가 오른손을 사용하여 상기 입력 조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판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지능형 단말기.
  17. 제10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키는, 후보 단어 키, 구두점 키, 숫자 키 및 일반 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지능형 단말기.
  18. 제10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설정된 규칙은, 사용 확률, 사용자 선호도, 및 네트워크 단어 빈도(network term frequency)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지능형 단말기.
KR1020167011968A 2013-11-08 2013-11-08 지능형 단말기 및 이의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KR1018703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3/086780 WO2015066892A1 (zh) 2013-11-08 2013-11-08 智能终端及用于显示其输入操作界面的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7945A true KR20160067945A (ko) 2016-06-14
KR101870391B1 KR101870391B1 (ko) 2018-06-22

Family

ID=51912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1968A KR101870391B1 (ko) 2013-11-08 2013-11-08 지능형 단말기 및 이의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60098190A1 (ko)
EP (1) EP2998843B1 (ko)
KR (1) KR101870391B1 (ko)
CN (1) CN104169860B (ko)
WO (1) WO201506689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14648A1 (ko) * 2022-07-12 2024-01-18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995248B2 (en) 2022-07-12 2024-05-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interface device of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48862B2 (en) * 2014-09-08 2018-08-14 Lenovo (Singapore) Pte. Ltd. Managing an on-screen keyboard
CN107291361A (zh) * 2016-03-30 2017-10-24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输入法的键盘布局设置方法及装置
CN107704101A (zh) * 2017-09-29 2018-02-16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信息显示方法、移动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41149A1 (en) * 2006-12-07 2008-06-12 Microsoft Corporation Finger-based user interface for handheld devices
EP2487576A2 (en) * 2011-02-10 2012-08-15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rea-efficient graphical user interface
US20130234948A1 (en) * 2012-03-11 2013-09-12 Jing Jian Selecting and Updating Location of Virtual Keyboard in a GUI Layout in Response to Orientation Change of a Portable Device
WO2013157232A2 (en) * 2012-04-19 2013-10-24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4423B1 (ko) * 2006-11-16 2012-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화면 표시 방법
JP4840474B2 (ja) * 2008-08-11 2011-12-21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20110087963A1 (en) * 2009-10-09 2011-04-14 At&T Mobility Ii Llc User Interface Control with Edge Finger and Motion Sensing
CN101916161B (zh) * 2010-08-04 2012-10-10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基于手指按压区域图形选择界面模式的方法及移动终端
CN101968710B (zh) * 2010-09-29 2012-11-14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电子终端人机界面的控制方法及电子终端
WO2012049942A1 (ja) * 2010-10-13 2012-04-19 Necカシオ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および携帯端末装置におけるタッチパネルの表示方法
CN102810039A (zh) * 2011-05-31 2012-12-0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左右手自适应的虚拟键盘显示方法及终端
KR101824388B1 (ko) * 2011-06-10 2018-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의 신체특성을 고려한 동적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517459B1 (ko) * 2011-06-23 2015-05-04 후아웨이 디바이스 컴퍼니 리미티드 핸드헬드형 단말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자동으로 스위칭하는 방법, 및 핸드헬드형 단말 기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41149A1 (en) * 2006-12-07 2008-06-12 Microsoft Corporation Finger-based user interface for handheld devices
EP2487576A2 (en) * 2011-02-10 2012-08-15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rea-efficient graphical user interface
US20130234948A1 (en) * 2012-03-11 2013-09-12 Jing Jian Selecting and Updating Location of Virtual Keyboard in a GUI Layout in Response to Orientation Change of a Portable Device
WO2013157232A2 (en) * 2012-04-19 2013-10-24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14648A1 (ko) * 2022-07-12 2024-01-18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995248B2 (en) 2022-07-12 2024-05-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interface device of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0391B1 (ko) 2018-06-22
CN104169860A (zh) 2014-11-26
US20160098190A1 (en) 2016-04-07
CN104169860B (zh) 2019-04-05
WO2015066892A1 (zh) 2015-05-14
EP2998843A1 (en) 2016-03-23
EP2998843A4 (en) 2016-08-31
EP2998843B1 (en) 2017-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17515B2 (en) Method for switching applications in split screen mode, computer devic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10133480B2 (en) Method for adjusting input-method keyboard and mobile terminal thereof
EP3396513A1 (en) Method and device for switching screen interface, and terminal
CN106055079B (zh) 一种中央处理器的管理方法、及装置
US20190200203A1 (en) Data Sharing Method and Terminal
CN106445596B (zh) 一种设置项的管理方法及装置
CN116257836B (zh) 一种指纹解锁方法及终端
US940535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entral processing unit
CN108370540B (zh) 通信设备以及降低通信设备功耗的方法、装置
WO2014000632A1 (zh) 一种获取移动终端安全状态的方法、装置及设备
TW201516844A (zh) 一種物件選擇的方法和裝置
US20190257887A1 (en) Method and device for ascertaining required charging time
US20150089431A1 (en) Method and terminal for displaying virtual keyboard and storage medium
KR101870391B1 (ko) 지능형 단말기 및 이의 입력 조작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CN106445304A (zh) 应用图标管理方法、及移动终端
CN107066090B (zh) 一种控制指纹识别模组的方法及移动终端
CN106055237A (zh) 一种滑动加速响应方法、及设备
WO2014094456A1 (zh) 页面切换方法、装置及终端
CN108885491A (zh) 一种双屏电子设备的屏幕切换方法及双屏电子设备
CN110908586A (zh) 一种键盘的显示方法、装置及终端设备
CN111132282B (zh) 一种应用于移动终端的应用处理器唤醒方法及装置
CN111966206B (zh) 一种指纹感应器的省电控制方法、装置及移动终端
WO2017113105A1 (zh) 一种多选项的排序方法、装置及终端
CN110109788B (zh) 多按键检测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07003902B (zh) 一种进程管理的方法、装置和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