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7685A - 비디오 장면 모아보기 제공 방법, 서버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비디오 장면 모아보기 제공 방법, 서버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7685A
KR20160067685A KR1020140173394A KR20140173394A KR20160067685A KR 20160067685 A KR20160067685 A KR 20160067685A KR 1020140173394 A KR1020140173394 A KR 1020140173394A KR 20140173394 A KR20140173394 A KR 20140173394A KR 20160067685 A KR20160067685 A KR 201600676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data
specific
scene
metafile
vi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3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7532B1 (ko
Inventor
권재철
김종성
김병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401733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7532B1/ko
Publication of KR201600676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76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75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75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04N21/218Source of audio or video content, e.g. local disk arr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04N21/222Secondary servers, e.g. proxy server, cable television Head-end
    • H04N21/2225Local VOD ser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모아보기 제공 서버는 콘텐츠를 복수의 장면으로 분할하고, 상기 각 장면 내의 객체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처리하는 메타데이터 처리부, 상기 처리된 메타데이터를 저장하는 메타데이터 베이스, 상기 메타데이터중 특정 객체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선택하고, 편성하여 메타파일을 생성하는 모아보기 편성부 및 상기 메타파일에 기초하여 VOD 서버를 제어하는 메타파일 실행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비디오 장면 모아보기 제공 방법, 서버 및 시스템 {METHOD, SERVER AND SYSTEM FOR PROVIDING VIDEO SCENE COLLECTION}
본 발명은 비디오 장면 모아보기 제공 방법, 서버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IPTV나 케이블TV, OTT(Over The Top) 미디어 사업자들이 제공하는 중요 서비스 중 하나가 VOD(Video On Demand) 서비스이다. 드라마나 영화, 다큐멘터리 등 장르별로 시청자들의 시청패턴은 다를 수 있지만 정상적인 콘텐츠 시청 이외에 특정 인물이 나오는 장면만 모아보기, 특정 가수가 출연하는 무대만 모아보기, 연예 프로그램의 특정 코너만 모아보기 등 시청자들의 다양한 콘텐츠 소비욕구를 반영한 서비스가 시도되고 있다. 이러한 모아보기 제공 방법과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 10-1999-0044496호는 대표이미지를 이용한 요약비디오 생성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비디오를 구성하는 컷의 대표이미지 정보를 추출하고 이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이용하여 요약비디오를 생성하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콘텐츠 제공자나 방송사업자들이 보유하고 있는 콘텐츠를 활용하여 시청자들에게 새로운 시청 경험을 제공하고, 콘텐츠 노출기회를 확대함으로써 사업자와 시청자에게 모두 이득이 되는 새로운 시청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콘텐츠 내에 포함되어 있는 객체들의 의미를 분석하여 장면 단위로 메타데이터를 자동 추출하고 이를 DB화하여 특정 객체별로 모아보기를 생성할 수 있는 모아보기 제공 방법, 서버 및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메타데이터DB에서 특정 객체의 메타데이터를 추출 및 편성하여 메타파일을 작성하고, 메타파일을 미디어 서버에서 처리함으로써 시청자에게 새롭게 편성된 모아보기 콘텐츠를 스트리밍으로 제공할 수 있는 모아보기 제공 방법, 서버 및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모아보기 제공 서버에 있어서, 콘텐츠를 복수의 장면으로 분할하고, 상기 각 장면 내의 객체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처리하는 메타데이터 처리부, 상기 처리된 메타데이터를 저장하는 메타데이터 베이스, 상기 메타데이터중 특정 객체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선택하고, 편성하여 메타파일을 생성하는 메타파일 생성부 및 상기 메타파일에 기초하여 VOD 서버를 제어하는 VOD 서버 제어부를 포함하는, 모아보기 제공 서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모아보기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 모아보기 제공 서버 및 VOD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모아보기 제공 서버는, 콘텐츠 내의 객체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처리하고, 상기 메타데이터를 기초로 메타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메타파일을 기초로 상기 VOD 서버를 제어하고, 상기 VOD 서버는, 상기 모아보기 제공 서버의 제어를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 모아보기 스트림을 전달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은, 상기 모아보기 스트림을 출력하는 것인, 모아보기 제공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모아보기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콘텐츠를 복수의 장면으로 분할하고, 상기 각 장면 내의 객체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처리하는 단계, 상기 메타데이터를 메타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메타데이터중 특정 객체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선택하고, 편성하여 메타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메타파일에 기초하여 VOD 서버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아보기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하나의 콘텐츠 또는 다수의 콘텐츠에 포함된 특정 객체가 등장하는 장면을 모아보기 편성함으로써 시청자들에게 새로운 시청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모아보기 제공 방법, 서버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콘텐츠 내에 포함되어 있는 객체들의 의미를 분석하여 장면 단위로 메타데이터를 추출하고 이를 DB화하여 특정 객체별 모아보기를 자동적으로 생성할 수 있는 모아보기 제공 방법, 서버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다수의 콘텐츠를 대상으로 장면들을 모아보기할 때 원본 콘텐츠와는 별도의 콘텐츠를 새로 제작하는 것이 아니라 연속적으로 재생되도록 제어하는 메타파일만 생성함으로써 기존 VOD 콘텐츠 관리와 스토리지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있고, 원본 콘텐츠를 가공함으로서 야기될 수 있는 지적재산권 침해 리스크를 경감시킬 수 있는 모아보기 제공 방법, 서버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특정 인물, 특정 사물, 특정 음향, 특정 자막, 특정 장소, 특정 자연형상 등을 포함하는 객체에 대한 모아보기를 제공함으로써 동영상 학습 교재 제작이나 특정 주제의 비디오 클립 제작 등에 다양하게 응용될 수 있는 모아보기 제공 방법, 서버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아보기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아보기 제공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데이터 처리부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객체 분석부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아보기를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아보기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아보기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모아보기 제공 시스템(1)은 모아보기 제공 서버(100), VOD 서버(200) 및 클라이언트 단말(3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에 도시된 모아보기 제공 서버(100), VOD 서버(200) 및 클라이언트 단말(300)은 모아보기 제공 시스템(1)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는 구성요소들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의 모아보기 제공 시스템(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를 통해 연결된다. 네트워크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는, Wi-Fi, 블루투스(Bluetooth),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3G, 4G, LTE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모아보기 제공 서버(100)는, 콘텐츠를 복수의 장면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각 장면 내에서 객체를 검출 및 인식하여 객체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메타데이터는 해당 객체의 객체명, 해당 객체가 포함되어 있는 콘텐츠의 콘텐츠 ID 및 콘텐츠 내에서 해당 객체가 등장하는 장면의 시간적 위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모아보기 제공 서버(100)는 처리된 메타데이터를 메타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고, 저장된 메타데이터 중 특정 객체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선택 및 편성하여 메타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메타파일은 특정 객체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연속으로 이어 붙임으로써 생성될 수 있으며, 메타데이터의 편성 방법은 다양할 수 있다.
모아보기 제공 서버(100)는 생성된 메타파일을 기초로 VOD 서버(200)를 제어함으로써 특정 객체에 대한 모아보기를 스트리밍 형식으로 클라이언트 단말(300)에 제공할 수 있다. 모아보기 제공 서버(100)에 대해서는 도 2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VOD 서버(200)는, 콘텐츠 제공자로부터 입수된 콘텐츠를 저장 및 관리하고, 콘텐츠를 시청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VOD 서버(200)는 콘텐츠 제공자로부터 입수된 콘텐츠를 암호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VOD 서버(200)는 모아보기 제공 서버(100)의 제어를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300)로 모아보기 스트림을 전달할 수 있다. VOD 서버(200)는 메타파일의 재생 리스트에 표현되어 있는 비디오 장면 조각들을 끊김 없이 연속적으로 스트리밍함으로써 모아보기를 제공할 수 있다.
VOD 서버(200)는 적절한 시간 내에 서로 다른 콘텐츠의 서로 다른 장면들을 연속적으로 스트리밍하기 위해 현재 스트리밍하고 있는 장면 이후에 스트리밍할 장면들을 사전에 메모리에 가져다 놓을 수 있다.
클라이언트 단말(300)은, STB(Set-Top Box)나 모바일 단말기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클라이언트 단말(300)은 유저인터페이스를 통해 시청자로부터 관심 객체명을 입력받을 수 있으며, VOD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모아보기 스트리밍을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관심 객체명의 입력은 사전에 등장인물 리스트나 관심객체 리스트를 UI를 통해 제공하여 시청자가 관심객체를 선택함으로써 입력 받을 수 있다. 또는, 시청자가 직접 키워드를 입력할 수도 있다. 입력된 관심 객체명은 메타정보 입력부를 통해 메타파일 관리부에 보내어져 메타파일을 조회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아보기 제공 서버(100)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모아보기 제공 서버(100)는 메타데이터 처리부(110), 메타데이터 베이스(120), 모아보기 편성부(130), 메타파일 관리부(140), 메타파일 실행부(150) 및 메타정보 입력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메타데이터 처리부(110)는, 콘텐츠로부터 장면을 구분하고, 장면 내의 객체분석을 통해 메타데이터를 자동으로 추출할 수 있다. 메타데이터는 객체의 객체명, 해당 객체를 포함하고 있는 콘텐츠의 콘텐츠 ID 및 콘텐츠 내에서 해당 객체가 등장하는 장면의 시간적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콘텐츠 ID는 콘텐츠 파일의 이름과 콘텐츠 파일의 저장위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장면의 시간적 위치는 장면의 시작 시간 및 장면의 종료 시간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메타데이터 처리부(110)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데이터 처리부(110)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메타데이터 처리부(110)는 콘텐츠를 장면 단위로 구분하는 장면/샷 분석부(112)와 분할된 장면에서 객체를 검출하고, 검출된 객체를 인식하는 객체 분석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장면/샷 분석부(112)는 하나의 콘텐츠를 장면 단위로 구분할 수 있으며, 하나의 장면은 여러 개의 샷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객체 분석부(114)는 객체 검출기(116)와 객체 인식기(118)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객체 검출기(114)는 매 프레임 단위 또는 일정 프레임 간격으로 객체를 검출할 수 있고, 객체 인식기(118)는 검출된 객체의 객체명을 인식할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객체 분석부(114)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객체 분석부(114)의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객체 분석부(114)는 얼굴 검출기(1161), 사물 검출기(1162), 사람 검출기(1163), 랜드마크 검출기(1164), 음향 검출기(1165), 자막 검출기(1166) 등의 객체 검출기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객체 분석부(114)는 표정 분류기(1180), 얼굴 인식기(1181), 사물 인식기(1182), 행동 인식기(1183), 사람 인식기(1184), 장소 인식기(1185), 음향 인식기(1186), 음성 인식기(1187), 감성 분류기(1188), 문자 인식기(1189) 등의 객체 인식기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객체 분석부(114)는 다양한 객체 검출기 및 객체 인식기를 통해 다양한 객체를 자동으로 분석할 수 있다. 이 때 객체는 특정 인물, 특정 사물, 특정 음향, 특정 자막, 특정 장소 및 특정 자연 현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장소에서 촬영된 영화나 드라마의 장면만을 뽑아서 모아보기를 하는 경우에는 그 장소에 대한 역사적, 문화적 이해를 높일 수 있으며, 콘텐츠 속 스토리와 함께 그 장소를 오랫동안 기억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특정 사물 객체, 예를 들면 개나 고양이, 뱀, 사자 등이 등장하는 장면만을 모으거나 특정 자연현상, 예를 들면 화산활동이 표현되어 있는 장면을 추출한다면 사물의 생태와 습성, 화산활동의 진행과정 등을 공부할 수 있는 훌륭한 교육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이 외에도 특정 음향이나 자막, 의상, 안경 등이 나타나는 장면들을 모아 마케팅, 상품 프로모션 등을 위한 자료를 만드는데 활용할 수도 있다.
다시 도 2로 돌아오면, 메타데이터 처리부(110)는 장면에 실려있는 비디오 신호와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아 여러가지 객체 검출기와 인식기를 통과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해당 장면에 포함된 다양한 메타데이터들을 자동으로 추출할 수 있다. 객체를 검출하고 인식하는 구체적인 알고리즘은 기존에 알려져 있는 방식들을 이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객체의 검출 및 인식 방법에 대해서는 특정한 방법으로 제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데이터 처리부(1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메타데이터를 자동으로 추출하므로 수작업으로 감당할 수 없었던 작업량에 대한 메타데이터의 추출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예컨대, 특정 가요프로그램에 출연하는 가수별 모아보기, 특정 연예 프로그램에서 코너별 모아보기 등은 수작업으로도 충분히 수행할 수 있을 정도의 작업량이나 모든 가요 프로그램이나 모든 연예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특정 인물이 출연하는 장면 또는 무대/코너를 모아보기 하고자 할 때는 수작업으로는 감당할 수 없는 작업량이 예상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데이터 처리부는 후자의 경우에도 메타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메타데이터 베이스(120)는, 메타데이터 처리부(110)에서 처리된 메타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모아보기 편성부(130)는, 메타데이터 처리부(110)에 저장된 메타데이터 중 특정 객체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검색하고, 검색된 메타데이터들을 편성함으로써 메타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모아보기 편성부(130)는 시청자의 요청에 의해 실시간으로 메타파일을 생성할 수도 있고, 시청자들이 관심을 가질만한 객체에 대해 사전에 미리 메타파일을 생성해 둘 수도 있다.
모아보기 편성부(130)는 메타데이터 처리부(110)에서 검색된 메타데이터를 연속으로 이어 붙여서 메타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메타파일은 메타데이터즉, 원본 영상의 콘텐츠 ID와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원본 콘텐츠를 가공함으로써 생성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원본 콘텐츠를 가공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지적재산권 침해 리스크를 피하거나 경감시킬 수 있다. 메타파일의 실제 구현은 XML(extensible MakeUp Language)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모아보기 편성부(130)는 검색된 메타데이터를 자동으로 편성할 수 있으며, 편성 방법에는 다양한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시청 가능한 총 시간을 설정하는 경우에는 이하에서 상술할 다양한 우선순위 방법에 의해 관심장면을 우선적으로 편성할 수도 있으며, 개인 식별이 가능한 경우에는 사용자의 성향에 따른 맞춤형 편성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모아보기를 편성하는 다양한 우선순위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모아보기를 편성하는 방법은 여기에 기재된 방법들로 제한되어 해석되지 않으며 다양한 방법에 의해 편성될 수 있다.
단일 콘텐츠 내에서 특정 인물에 대한 모아보기를 편성하는 경우, 즉, 영화나 드라마의 특정 회차에 한해 특정 인물의 모아보기를 편성하는 경우에는, 특정 인물이 출연하는 장면을 시간순서로 나열하여 편성하기, 특정 인물이 출연하는 장면 중 가장 긴 장면부터 나열하여 편성하기, 특정 인물의 얼굴표정 또는 음성으로부터 추출한 감성정보를 통해 감성장면을 우선적으로 나열하여 편성하기 등의 방법이 가능하다.
시리즈물의 여러 회차에 걸쳐서 특정인물에 대한 모아보기를 편성하는 경우, 즉, 특정인물이 여러 회차에 걸쳐 출연하는 연속극과 같은 시리즈물에서 모아보기를 편성하는 경우에는, 1회차부터 오름차순으로 회차를 나열하여 편성하기, 시청이력이 가장 많은 인기 회차의 장면을 우선적으로 편성하기 등의 방법이 가능하다. 인기 콘텐츠는 전체 사용자들의 시청로그를 분석하면 알아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분석방법을 특정하지 않는다.
여러 콘텐츠에 걸쳐서 특정인물에 대한 모아보기를 편성하는 경우, 즉, 특정인물이 출연한 서로 다른 콘텐츠에 있는 장면을 모아보기할 경우에는, 시청이력이 가장 많은 인기 콘텐츠의 장면을 우선 편성하기, 가장 최신의 콘텐츠 내의 장면을 우선 편성하기 등의 방법이 가능하다
개인을 식별하여 개인 맞춤형 모아보기를 편성하는 경우, 즉, 시청자가 개인화 서비스 내에서 모아보기 서비스를 요청하는 경우에는 시청자의 시청 성향에 기반하여 모아보기를 편성할 수 있다. 예컨대, 시청자가 선호하는 장르의 콘텐츠 내에서의 특정 인물의 출연 장면을 우선하여 편성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의 시청 성향은 사용자의 로그 정보를 이용하여 파악할 수 있다.
모아보기 편성부(130)는, 예컨대, 드라마 "왕가네 식구들" 49회차에서 배우 이병준이 등장하는 장면들만을 모아서 메타파일을 편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라마의 모든 회차에서 이병준이 등장하는 장면들만 모아 메타파일을 생성할 수도 있으며, 배우 이병준이 출연한 모든 드라마나 영화에서 이병준이 등장하는 장면들만을 모아 메타파일을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메타파일 관리부(140)는, 모아보기 편성부(130)에서 생성된 메타파일의 유지, 관리, 업데이트 등을 수행하며, 메타정보 입력부(160)를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관심 객체명을 전달받는 경우, 해당 객체명을 조회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메타파일 관리부(140)는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전달받은 관심 객체명을 조회한 결과, 해당 객체에 대한 메타파일이 기 생성되어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저장된 메타파일을 메타파일 실행부(150)로 전달하며, 해당 객체에 대한 메타파일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모아보기 편성부(130)로 메타파일의 생성을 요청할 수 있다.
메타파일 실행부(150)는, 메타파일에 기초하여 VOD 서버에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메타파일 실행부(150)는 메타파일을 파싱(parsing)하면서 VOD 서버를 제어함으로써 VOD 서버가 모아보기를 스트리밍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메타파일 실행부(150)는 메타파일에 작성되어 있는 XML 구문을 한줄씩 해석하면서 VOD 서버가 어느 순간에 어떤 콘텐츠의 어떤 장면을 스트리밍할 것인지를 알려줄 수 있다. 메타파일에는 콘텐츠 ID와 해당 객체가 등장하는 장면의 시간정보 등 재생정보 리스트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VOD 서버에 재생정보를 제공함으로써 VOD 서버가 클라이언트 단말로 모아보기 출력 스트림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메타파일 실행부(150)는 VOD서버가 적절한 시간 내에 서로 다른 콘텐츠의 서로 다른 장면을 연속적으로 스트리밍할 수 있도록 현재 스트리밍하고 있는 장면 이후에 스트리밍할 장면들을 사전에 메모리에 가져다 놓을 수도 있다.
메타정보 입력부(160)는,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관심 객체명을 입력받아 메타파일 관리부(140)로 전달할 수 있다. 전달된 관심 객체명은 메타파일 관리부(140)에서 메타파일을 조회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아보기 제공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아보기를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을 참조하면, 콘텐츠 제공자(500)로부터 콘텐츠를 입수 및 등록하고(S520), 등록된 콘텐츠는 암호화를 거쳐(S540) VOD 서버(200)에 저장된다. 이 때 콘텐츠는 복사되어 모아보기 제공 서버(100)에 전달될 수 있다. 모아보기 제공 서버(100)의 메타데이터 처리부(110)는 전달된 콘텐츠의 비디오 신호와 오디오 신호 등을 기초로 콘텐츠 내의 객체를 분석하여 메타데이터를 처리하고, 처리된 메타데이터를 메타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모아보기 편성부(130)는 메타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메타데이터를 검색 및 편성함으로써 메타파일을 생성하여 저장할 수 있다. 모아보기 제공 서버의 메타정보 입력부(160)는 클라이언트 단말(300)로부터 관심 객체명을 입력받는 경우, 메타파일 관리부(140)에 해당 객체에 대한 메타파일이 저장되어 있는지 조회할 수 있으며, 해당 객체에 대한 메타파일이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메타파일을 새로 생성하여 실행할 수 있고, 해당 객체에 대한 메타파일이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저장되어 있는 메타파일을 실행할 수 있다.
메타파일 실행부(150)는 생성 또는 저장된 메타파일을 기초로 VOD 서버를 제어하여 VOD 서버(200)가 모아보기 스트림을 클라이언트 단말(300)로 전달하도록 할 수 있으며, 클라이언트 단말(300)은 전달받은 모아보기를 출력할 수 있다. 이하, 도 6을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아보기 제공 방법의 흐름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아보기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모아보기 제공 서버는 콘텐츠 제공자로부터 콘텐츠를 입수(S600)하여 입수된 콘텐츠를 복사한다(S602). 모아보기 제공 서버는 복사된 콘텐츠에 대해서 객체 분석을 수행하여(S604) 콘텐츠로부터 메타데이터를 자동으로 추출하고, 추출된 메타데이터를 메타 메타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한다(S606). 모아보기 제공 서버는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모아보기를 편성(S608), 즉 메타파일을 생성하며, 생성된 메타파일을 관리한다(S610). 이 후,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객체명을 입력 받으면(S611), 입력된 객체명에 대한 메타파일이 기존에 생성되었는지 조회한다(S612). 조회 결과(S614), 해당 메타파일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모아보기 편성 단계(S608)로 되돌아가며, 해당 메타파일이 존재하는 경우, 저장되어 있는 메타파일을 실행시킨다(S616). 모아보기 제공 서버는 메타파일을 기초로 VOD 서버를 제어하며(S618), 이에 따라 VOD 서버는 클라이언트 단말로 모아보기 스트림을 전송한다(S620).
본 발명에서는 방송사업자의 서버가 주도적으로 모아보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제안하였으나, 이 모아보기 동작은 클라이언트가 주도적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클라이언트가 메타파일을 서버서부터 제공받아 XML 해석을 진행하면서 해당 콘텐츠의 해당 장면의 위치(URL)에 접근하여 해당 객체에 대한 모아보기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확장될 수 있다.
상술한 모아보기 제공 방법은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또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모아보기 제공 서버
200: VOD 서버
300: 클라이언트 단말

Claims (21)

  1. 모아보기 제공 서버에 있어서,
    콘텐츠를 복수의 장면으로 분할하고, 상기 각 장면 내의 객체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처리하는 메타데이터 처리부;
    상기 처리된 메타데이터를 저장하는 메타데이터 베이스;
    상기 메타데이터중 특정 객체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선택하고, 편성하여 메타파일을 생성하는 모아보기 편성부; 및
    상기 메타파일에 기초하여 VOD 서버를 제어하는 메타파일 실행부
    를 포함하는, 모아보기 제공 서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콘텐츠를 장면 단위로 구분하는 장면/샷 분석부; 및
    상기 장면에서 객체를 검출하고, 검출된 객체를 인식하는 객체 분석부
    를 포함하는, 모아보기 제공 서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는 특정 인물, 특정 사물, 특정 음향, 특정 자막, 특정 장소, 특정 자연현상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모아보기 제공 서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데이터는 상기 객체의 객체명, 상기 객체가 포함되어 있는 콘텐츠의 콘텐츠 ID 및 상기 객체가 등장하는 장면의 시간적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모아보기 제공 서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장면의 비디오 신호와 오디오 신호를 기초로 상기 객체의 메타데이터를 자동으로 추출하는 것인, 모아보기 제공 서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파일의 저장, 관리, 업데이트, 조회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하는 메타파일 관리부; 및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관심 객체명을 입력받는 메타정보 입력부
    를 더 포함하는, 모아보기 제공 서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정보 입력부는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관심 객체명을 상기 메타파일 관리부로 전달하고,
    상기 메타파일 관리부는 전달받은 상기 관심 객체명에 대응하는 메타파일을 조회하고, 대응하는 메타파일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모아보기 편성부로 메타파일의 생성을 요청하는 것인, 모아보기 제공 서버.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아보기 편성부는, 상기 특정 객체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상기 장면의 시간 순서 또는 시청 이력이 많은 순서 중 하나 이상을 기준으로 하여 편성하는 것인, 모아보기 제공 서버.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아보기 편성부는, 클라이언트의 로그 정보를 기초로 상기 클라이언트의 성향을 파악하고, 상기 성향을 기초로 맞춤형 메타파일을 생성하는 것인, 모아보기 제공 서버.
  10. 모아보기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
    모아보기 제공 서버; 및
    VOD 서버
    를 포함하고,
    상기 모아보기 제공 서버는, 콘텐츠 내의 객체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처리하고, 상기 메타데이터를 기초로 메타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메타파일을 기초로 상기 VOD 서버를 제어하고,
    상기 VOD 서버는, 상기 모아보기 제공 서버의 제어를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 모아보기 스트림을 전달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은, 상기 모아보기 스트림을 출력하는 것인, 모아보기 제공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데이터는 상기 객체의 객체명, 상기 객체가 포함되어 있는 콘텐츠의 콘텐츠 ID 및 상기 객체가 등장하는 장면의 시간적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모아보기 제공 시스템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은 상기 모아보기 제공 서버로 관심 객체명을 전송하고, 상기 모아보기 제공 서버는 상기 관심 객체명에 대응하는 메타파일을 조회 또는 생성하는 것인, 모아보기 제공 시스템.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모아보기 제공 서버는 상기 객체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장면의 시간 순서 또는 시청 이력이 많은 순서 중 하나 이상을 기준으로 하여 편성하는 것인, 모아보기 제공 시스템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모아보기 제공 서버는 클라이언트의 로그 정보를 기초로 상기 클라이언트의 성향을 파악하고, 상기 성향을 기초로 맞춤형 메타파일을 생성하는 것인, 모아보기 제공 시스템.
  15. 모아보기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콘텐츠를 복수의 장면으로 분할하고, 상기 각 장면 내의 객체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처리하는 단계;
    상기 메타데이터를 메타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메타데이터중 특정 객체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선택하고, 편성하여 메타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메타파일에 기초하여 VOD 서버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모아보기 제공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관심 객체명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메타데이터 베이스에서 상기 수신한 관심 객체명에 대응하는 메타파일을 조회하는 단계; 및
    상기 관심 객체명에 대응하는 메타파일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새로운 메타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모아보기 제공 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는 특정 인물, 특정 사물, 특정 음향, 특정 자막, 특정 장소, 특정 자연현상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모아보기 제공 방법.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데이터는 상기 객체의 객체명, 상기 객체가 포함되어 있는 콘텐츠의 콘텐츠 ID 및 상기 객체가 등장하는 장면의 시간적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모아보기 제공 방법.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데이터는 상기 장면의 비디오 신호와 오디오 신호를 기초로 자동으로 추출되는 것인, 모아보기 제공 방법.
  20.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특정 객체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장면의 시간 순서 또는 시청 이력이 많은 순서 중 하나 이상을 기준으로 편성하여 메타파일을 생성하는 것인, 모아보기 제공 방법.
  21.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는 클라이언트의 로그 정보를 기초로 상기 클라이언트의 성향을 파악하고, 상기 성향을 기초로 맞춤형 메타파일을 생성하는 것인, 모아보기 제공 방법.
KR1020140173394A 2014-12-04 2014-12-04 비디오 장면 모아보기 제공 방법, 서버 및 시스템 KR1022475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3394A KR102247532B1 (ko) 2014-12-04 2014-12-04 비디오 장면 모아보기 제공 방법, 서버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3394A KR102247532B1 (ko) 2014-12-04 2014-12-04 비디오 장면 모아보기 제공 방법, 서버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7685A true KR20160067685A (ko) 2016-06-14
KR102247532B1 KR102247532B1 (ko) 2021-05-03

Family

ID=56191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3394A KR102247532B1 (ko) 2014-12-04 2014-12-04 비디오 장면 모아보기 제공 방법, 서버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753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2617B1 (ko) * 2018-12-07 2020-02-03 주식회사 코난테크놀로지 얼굴 인식 기반 등장인물 정보 제공 시스템의 워크플로우 및 메타데이터 처리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118093B1 (ko) * 2018-12-07 2020-06-02 주식회사 코난테크놀로지 얼굴 인식 기반 등장인물 정보 제공 시스템의 워크플로우 처리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9742A (ko) * 1998-07-28 2000-02-15 구자홍 동영상에서의 특정인물 등장구간 검색 시스템
KR20040064703A (ko) * 2001-11-09 2004-07-19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정보 경보들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20130013938A (ko) * 2011-07-29 2013-02-06 브로드밴드미디어주식회사 코너별 시청이 가능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그 서비스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9742A (ko) * 1998-07-28 2000-02-15 구자홍 동영상에서의 특정인물 등장구간 검색 시스템
KR20040064703A (ko) * 2001-11-09 2004-07-19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정보 경보들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20130013938A (ko) * 2011-07-29 2013-02-06 브로드밴드미디어주식회사 코너별 시청이 가능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그 서비스 제공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2617B1 (ko) * 2018-12-07 2020-02-03 주식회사 코난테크놀로지 얼굴 인식 기반 등장인물 정보 제공 시스템의 워크플로우 및 메타데이터 처리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118093B1 (ko) * 2018-12-07 2020-06-02 주식회사 코난테크놀로지 얼굴 인식 기반 등장인물 정보 제공 시스템의 워크플로우 처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7532B1 (ko) 2021-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232289A1 (en) Crowdsourcing Supplemental Content
US20190253474A1 (en) Media production system with location-based feature
JP2020166887A (ja) メディアアセットに関するコンテクスト上関係する情報を表示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20170318335A1 (en) Multimedia content management system
CN103299648A (zh) 接收增强服务的方法及其显示装置
US2016003539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lipping video segments
KR20100122486A (ko) 컨텐츠 및 메타데이터를 사용하는 기법
US11153663B2 (en) Automatically generating supercuts
US2019019976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eviewing content
US20200021872A1 (en) Method and system for switching to dynamically assembled video during streaming of live video
JP2014131253A (ja) コンテンツ生成方法及びメディアクラウドサーバ
US2017013481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user interaction
JP2012134980A (ja) パーソナライズド・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150012946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esenting tag lines associated with media assets
CN108924606A (zh) 流媒体处理方法、装置、存储介质和电子装置
US20230334082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dditional information based on multimedia content being viewed
KR102247532B1 (ko) 비디오 장면 모아보기 제공 방법, 서버 및 시스템
KR102313309B1 (ko) 고객 맞춤형 라이브 방송 시스템
US20180192138A1 (en) Recommendation of segmented content
KR101958936B1 (ko) Tv 채널형 관심사 콘텐츠를 구성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2036383B1 (ko) 콘텐츠 생성 방법 및 그 장치
EP2587829A1 (en) Video analysis information upload apparatus and video viewing system and method
US20200359111A1 (en) Automatically generating supercuts
KR102229955B1 (ko) 커스터마이즈 음원생성을 위한 장치와 시스템 및 커스터마이즈 음원 생성 방법
KR20200079741A (ko) 개인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