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7684A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7684A
KR20160067684A KR1020140173393A KR20140173393A KR20160067684A KR 20160067684 A KR20160067684 A KR 20160067684A KR 1020140173393 A KR1020140173393 A KR 1020140173393A KR 20140173393 A KR20140173393 A KR 20140173393A KR 20160067684 A KR20160067684 A KR 201600676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rnal electronic
electronic device
server
control command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3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홍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733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67684A/ko
Priority to US14/837,799 priority patent/US20160165228A1/en
Publication of KR201600676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76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4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monitoring of server load, available bandwidth, upstream reque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or multiplex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IEEE 1394 or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2Adapting the video or multiplex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IEEE 1394 or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d protocol, e.g. IEEE 1394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7/00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 H04N17/004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for digital televi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7/00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 H04N17/04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for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4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monitoring of server load, available bandwidth, upstream requests
    • H04N21/2401Monitoring of the client buff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or multiplex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IEEE 1394 or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2Adapting the video or multiplex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IEEE 1394 or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d protocol, e.g. IEEE 1394
    • H04N21/43635HDMI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12Test circuits or failure detection circuits included in a display system, as permanent part thereof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06Consumer Electronics Control, i.e. control of another device by a display or vice versa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12Use of DVI or HDMI protocol in interfaces along the display data pipelin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6Electronic inspection or testing of displays and display drivers, e.g. of LED or LCD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09G5/006Details of the interface to the display terminal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시된다. 본 디스플레이 장치는, 원격 진단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와 네트워크 통신을 수행하는 제1 통신부, 외부 전자 장치와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로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는 제2 통신부 및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원격 진단 서비스와 관련된 제어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제어 명령을 CEC(Consumer Electronics Control) 명령으로 변환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동작 상태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그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S THEREOF }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서버 및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여 외부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한 것이다.
전자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다양한 유형의 전자 제품들이 개발 및 보급되고 있으며, 각종 통신 기능이 구비된 전자 장치들이 대부분의 일반 가정에서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직접적으로 전자 제품을 제어하고, 더 나아가, 간접적으로 전자 제품에 연결된 다른 전자 제품을 제어하는 기능도 구비되어 출시되어 있다.
특히,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로 연결된 전자 장치 간에는 제어 명령을 CEC(Consumer Electronics Control) 명령으로 변경하여 서로 간에 제어가 가능하다. 그에 따라, 리모컨 등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 HDMI로 연결된 다른 전자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다만, 리모컨과 같이 근거리에 있는 경우에만 다른 전자 장치를 제어할 수 있었고, 원거리에 있는 경우에는 다른 전자 장치를 제어할 수 없었으며, 그에 따라 다른 전자 장치 등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 수리를 위해서는 직접 방문하는 등의 불편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를 서버를 통하여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원격 진단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와 네트워크 통신을 수행하는 제1 통신부, 외부 전자 장치와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로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는 제2 통신부 및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원격 진단 서비스와 관련된 제어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제어 명령을 CEC(Consumer Electronics Control) 명령으로 변환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동작 상태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된 제어 명령에 따른 상태 요청 신호를 CEC 명령으로 변환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상태 요청 신호에 따라 수신된 동작 상태 정보를 역변환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된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동작에 따른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상태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화면 진단 서비스와 관련된 제어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제어 명령을 CEC 명령으로 변환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동작에 따른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상태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연결 진단 서비스와 관련된 제어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제어 명령을 CEC 명령으로 변환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동작에 따른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연결 상태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동작 상태에 따른 진단 결과가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진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를 직접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진단 결과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소프트웨어의 오류를 나타내는 정보이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소프트웨어를 초기화 또는 업데이트하기 위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제공하고, 상기 초기화 또는 상기 업데이트를 진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단 결과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정상이라는 정보이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상태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CEC 명령 변환 테이블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명령을 CEC 명령으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동작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원격 진단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와 네트워크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의 원격 진단 서비스와 관련된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제어 명령을 CEC(Consumer Electronics Control) 명령으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된 CEC 명령으로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동작 상태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제어 명령에 따른 상태 요청 신호를 CEC 명령으로 변환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상태 요청 신호에 따라 수신된 동작 상태 정보를 역변환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신된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동작에 따른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상태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원격 진단 서비스와 관련된 제어 명령은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화면 진단 서비스와 관련된 제어 명령이고,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동작에 따른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상태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원격 진단 서비스와 관련된 제어 명령은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연결 진단 서비스와 관련된 제어 명령이고,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동작에 따른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연결 상태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동작 상태에 따른 진단 결과가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진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를 직접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진단 결과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소프트웨어의 오류를 나타내는 정보이고, 상기 직접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소프트웨어를 초기화 또는 업데이트하기 위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제공하고, 상기 초기화 또는 상기 업데이트를 진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단 결과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정상이라는 정보이며, 상기 직접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상태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CEC 명령으로 변환하는 단계는, CEC 명령 변환 테이블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명령을 CEC 명령으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동작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서버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를 제어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진단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진단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로부터 진단 결과를 수신한 후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CEC 명령 변환 테이블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진단 시스템(1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격 진단 시스템(10)은 디스플레이 장치(100), 외부 전자 장치(200) 및 서버(30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원격 진단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300)와 네트워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서버(300)와 네트워크 통신을 수행하여 원격으로 사용자의 제어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노트북 또는 모바일 폰을 이용하여 서버(300)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고, 노트북 또는 모바일 폰 뿐만 아니라 데스크탑 및 태블릿 PC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서버(300)가 사용자와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연결해주는 장치로 도시되어 있으나, 서버(300)가 없이 사용자의 노트북 또는 모바일 폰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직접 접속하여 제어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다만, 이하에서는 서버(300)가 연결된 원격 진단 시스템(10)을 설명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 전자 장치와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로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HDMI는 비압축 방식의 디지털 비디오와 오디오 신호를 통합전송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규격의 하나이다. PC와 디스플레이의 인터페이스 표준 규격인 DVI를 AV 가전용으로 변경한 것으로, 영상·음성을 압축하지 않고 플레이어에서 TV쪽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HDMI로 연결된 전자 장치 간에는 CEC(Consumer Electronics Control) 명령을 통하여 제어가 가능하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서버(300)로부터 외부 전자 장치(200)의 원격 진단 서비스와 관련된 제어 명령이 수신되면, 수신된 제어 명령을 CEC 명령으로 변환하여 외부 전자 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하고, 외부 전자 장치(200)의 동작 상태 정보를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원격 진단 서비스와 관련된 제어 명령은 다양한 형식으로 전송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인터넷망을 이용하거나 휴대폰의 통신망을 이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 전자 장치(200)를 제어하고, 외부 전자 장치(200)로부터 동작 상태 정보를 수신하거나 직접 판단하여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외부 전자 장치(200)는 HDMI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연결되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전자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동작 상태 정보 등을 전송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200)는 셋탑박스와 같은 방송수신장치일 수 있으며,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DVD 플레이어 등과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계되어 동작할 수 있는 전자 장치이면 외부 전자 장치에 해당한다.
한편, 서버(3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네트워크 통신을 수행하여 원격 진단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30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와 네트워크 통신을 수행하여 원격 진단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서버(30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각의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암호화하여 저장하여 둘 수 있으며, 서버(300)는 각각의 사용자에게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만을 제어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원격 진단 시스템(10)은 원격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200)를 제어하거나 동작 상태 정보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는 더욱 편리하게 외부 전자 장치(200)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통신부(110), 제2 통신부(120) 및 프로세서(130)를 포함한다.
제1 통신부(110)는 서버(300)와 통신을 수행한다. 제1 통신부(110)는 서버(300)로부터 외부 전자 장치(200)의 원격 진단 서비스와 관련된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그에 따른 외부 전자 장치(200)의 동작 상태 정보를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통신부(110)는 유선 LAN(Local Area Network) 카드, 무선 LAN 카드, 블루투스 모듈,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모듈, 무선 통신 모듈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카드 및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무선 통신 모듈은 IEEE, 지그비,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등과 같은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모듈을 의미한다.
제2 통신부(120)는 HDMI를 통하여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제2 통신부(120)는 외부 전자 장치(200)로 CEC 명령을 전송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CEC 명령은 외부 전자 장치(2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일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들 들어, 외부 전자 장치에 제공되는 환경 설정 정보일 수도 있으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의 동작 상태 정보일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한다.
프로세서(130)는 서버(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130)는 일반적으로 장치의 제어를 담당하는 구성으로, 중앙처리장치, 마이크로 프로세서, 프로세서 등과 혼용될 수 있으며,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통신부(120) 등 다른 기능부와 함께 단일칩 시스템 (System-on-a-chip 또는 System on chip, SOC, SoC)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서버(300)로부터 외부 전자 장치(200)의 원격 진단 서비스와 관련된 제어 명령이 수신되면, 수신된 제어 명령을 CEC 명령으로 변환하여 외부 전자 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하고, 외부 전자 장치(200)의 동작 상태 정보를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수신된 제어 명령에 따른 상태 요청 신호를 CEC 명령으로 변환하여 외부 전자 장치(200)에 전송하고, 상태 요청 신호에 따라 수신된 동작 상태 정보를 역변환하여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수신된 제어 명령에 따라 외부 전자 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하고, 외부 전자 장치(200)의 동작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 상태 정보를 획득하여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서버(300)로부터 외부 전자 장치(200)의 화면 진단 서비스와 관련된 제어 명령이 수신되면, 수신된 제어 명령을 CEC 명령으로 변환하여 외부 전자 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하고, 외부 전자 장치(200)의 동작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 상태 정보를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서버(300)로부터 외부 전자 장치(200)의 연결 진단 서비스와 관련된 제어 명령이 수신되면, 수신된 제어 명령을 CEC 명령으로 변환하여 외부 전자 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하고, 외부 전자 장치(200)의 동작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연결 상태 정보를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외부 전자 장치(200)의 동작 상태에 따른 진단 결과가 서버(300)로부터 수신되면, 수신된 진단 결과에 기초하여 외부 전자 장치(200)를 직접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진단 결과는, 외부 전자 장치(200)의 소프트웨어의 오류를 나타내는 정보이고, 프로세서(130)는, 외부 전자 장치(200)의 소프트웨어를 초기화 또는 업데이트하기 위한 정보를 수신하여 외부 전자 장치(200)로 제공하고, 초기화 또는 업데이트를 진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진단 결과는, 외부 전자 장치(200)가 정상이라는 정보이며,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 상태 정보를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CEC 명령 변환 테이블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프로세서(130)는,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명령을 CEC 명령으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프로세서(130)는, 외부 전자 장치(200)의 동작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b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통신부(110), 제2 통신부(120), 프로세서(130), 저장부(140), 디스플레이부(150), 오디오 처리부(160), 비디오 처리부(170), 스피커(180), 버튼(181), 카메라(182), 마이크(183)를 포함한다. 도 2b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도 2a에 도시된 구성요소와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프로세서(130)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RAM(131), ROM(132), 메인 CPU(133), 그래픽 처리부(13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35-1 ~ 135-n), 버스(136)를 포함한다.
RAM(131), ROM(132), 메인 CPU(133), 그래픽 처리부(13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35-1 ~ 135-n) 등은 버스(136)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35-1 내지 135-n)는 상술한 각종 구성요소들과 연결된다. 인터페이스들 중 하나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될 수도 있다.
메인 CPU(133)는 저장부(140)에 액세스하여, 저장부(140)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한다. 그리고, 저장부(14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ROM(132)에는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 등이 저장된다. 턴온 명령이 입력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메인 CPU(133)는 ROM(132)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저장부(150)에 저장된 O/S를 RAM(131)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부팅이 완료되면, 메인 CPU(133)는 저장부(150)에 저장된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RAM(131)에 복사하고, RAM(131)에 복사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한다.
그래픽 처리부(134)는 연산부(미도시) 및 렌더링부(미도시)를 이용하여 아이콘, 이미지, 텍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객체를 포함하는 화면을 생성한다. 연산부(미도시)는 수신된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화면의 레이아웃에 따라 각 객체들이 표시될 좌표값, 형태, 크기, 컬러 등과 같은 속성값을 연산한다. 렌더링부(미도시)는 연산부(미도시)에서 연산한 속성값에 기초하여 객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레이아웃의 화면을 생성한다. 렌더링부(미도시)에서 생성된 화면은 디스플레이부(150)의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표시된다.
한편, 상술한 프로세서(130)의 동작은 저장부(140)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저장부(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구동시키기 위한 O/S(Operating System) 소프트웨어 모듈, CEC 명령 변환 테이블, 진단 결과에 따른 외부 전자 장치(200) 제어 모듈 등과 같이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 경우 프로세서(130)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외부 전자 장치(200)의 동작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60)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오디오 처리부(160)에서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이나 증폭, 노이즈 필터링 등과 같은 다양한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비디오 처리부(170)는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비디오 처리부(170)에서는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 스케일링, 노이즈 필터링, 프레임 레이트 변환, 해상도 변환 등과 같은 다양한 이미지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스피커(180)는 오디오 처리부(160)에서 처리된 각종 오디오 데이터 뿐만 아니라 각종 알림 음이나 음성 메시지 등을 출력하는 구성요소이다.
버튼(181)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본체 외관의 전면부나 측면부, 배면부 등의 임의의 영역에 형성된 기계적 버튼, 터치 패드(210), 휠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버튼이 될 수 있다.
카메라(182)는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촬상하기 위한 구성이다. 카메라(182)는 전면 카메라, 후면 카메라와 같이 복수 개로 구현될 수 있다. 마이크(183)는 사용자 음성이나 기타 소리를 입력받아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기본 구성과 다양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진단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 화면 진단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서버(300)로부터 외부 전자 장치(200)의 화면 진단 서비스와 관련된 제어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이용하여 특정 컨텐츠를 시청하는 중에 디스플레이 화면에 이상이 발생하였으나 자체 해결이 불가능한 경우 서버스 센터 등으로 도움을 요청할 수 있고, 서비스 센터는 외부에서 직접 서버(300)를 통해 화면 진단 서비스를 이용하여 제어 명령을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고, 사용자가 외부에서 직접 서버(300)를 통해 화면 진단 서비스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서비스 센터가 외부에서 진단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제어 명령은 외부 전자 장치(200)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의 정보를 요청하는 명령, 컨텐츠를 다시 수신하라는 명령 등일 수 있다. 제어 명령은 상술하였듯이 구체적으로 외부 전자 장치(200)를 세부 동작을 직접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명령일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외부 전자 장치(200)를 직접 진단하도록 하거나 외부 전자 장치(200)가 직접 자가 진단하여 진단 결과를 전송하도록 하는 제어 명령일 수도 있다.
한편, 프로세서(130)는 수신된 제어 명령을 CEC 명령으로 변환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변환된 CEC 명령을 외부 전자 장치(200)로 전송하여 외부 전자 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하고, 외부 전자 장치(200)의 동작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 상태 정보를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 상태 정보 뿐만 아니라 외부 전자 장치(200)로부터 동작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전송할 수도 있다. 여기서, 외부 전자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동작 상태 정보 역시 CEC 명령으로 수신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130)는 CEC 명령의 형식으로 수신된 동작 상태 정보를 역변환하여 서버(3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 상태 정보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 상태 정보도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3a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공하는 해상도와 외부 전자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컨텐츠의 해상도가 일치하지 않아 컨텐츠가 가로 방향으로만 확대되어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도시하였다. 예를 들어, 외부 전자 장치(200)가 제공하는 컨텐츠의 화면 비율은 4:3인데,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하는 화면 비율은 16:10인 경우일 수 있다. 그에 따라, 서버(300)로부터 화면 진단을 위한 제어 명령이 수신될 수 있다.
제어 명령이 외부 전자 장치(200)에서 제공되는 컨텐츠의 정보를 요청하는 명령이면, 서비스 센터는 컨텐츠의 정보를 수신하여 해상도에 문제가 있음을 판단하고, 화면 비율을 조정하도록 새로운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제어 명령이 화면을 자동으로 조정할 것을 요청하는 명령이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어 명령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해상도와 컨텐츠의 해상도가 일치하지 않음을 판단하여 화면 비율을 조정할 수 있다. 또는 외부 전자 장치(200)가 해상도의 불일치를 판단하고 컨텐츠의 해상도를 변경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연결 진단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b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서버(300)로부터 외부 전자 장치(200)의 연결 진단 서비스와 관련된 제어 명령이 수신되면, 수신된 제어 명령을 CEC 명령으로 변환하여 외부 전자 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하고, 외부 전자 장치(200)의 동작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연결 상태 정보를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3b에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200-1, 200-2)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였다. 사용자는 제1 외부 전자 장치(200-1)의 컨텐츠를 시청하고 싶으나, 제2 외부 전자 장치(200-2)의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거나 아무런 컨텐츠도 디스플레이되지 않는 경우, 서비스 센터는 제어 명령을 전송하여 연결 진단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서비스 센터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200-1, 200-2)로 현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컨텐츠를 제공하는지 여부를 요청하는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그에 대한 응답이 없거나, 컨텐츠를 제공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경우라면, 서비스 센터는 해당 외부 전자 장치에 전원 인가 명령을 전송하거나 컨텐츠를 수신하여 제공하도록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제어 명령은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연결 상태를 판단하여 자동으로 연결 상태를 조정하도록 하는 명령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200-1, 200-2)의 연결 상태를 판단하여 어느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가 연결되어 있지 않다고 파악되면, 이러한 상태를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200-1, 200-2)가 모두 연결되어 있다고 판단되면, 현재 디스플레이하고 있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외부 전자 장치의 명칭을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300)로부터 진단 결과를 수신한 후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서버(300)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그에 대응되는 외부 전자 장치(200)의 동작 상태 정보 및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 상태 정보를 서버(300)로 전송하는 것을 전제로 하여 설명한다. 동작 상태 정보를 수신한 서버(300)는 직접 그에 대한 진단 결과를 생성할 수도 있고, 서비스 센터로 동작 상태 정보를 전송하여 그에 대한 진단 결과를 수신할 수도 있다.
도 4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외부 전자 장치(200)의 동작 상태에 따른 진단 결과를 서버(300)로부터 수신한다(S410).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진단 결과가 외부 전자 장치(200)의 문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420). 여기서,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진단 결과는 외부 전자 장치(200)의 문제인지가 직접적으로 판단된 정보일 수 있고, 이 경우에는 프로세서(130)는 해당 정보를 파악하여 그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한다.
진단 결과가 외부 전자 장치(200)의 문제라고 판단한 경우, 프로세서(130)는 외부 전자 장치(200)의 소프트웨어의 오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430). 외부 전자 장치(200)의 소프트웨어의 오류라고 판단되면, 프로세서(130)는 외부 전자 장치(200)의 소프트웨어를 초기화 또는 업데이트하기 위한 정보를 수신하여 외부 전자 장치(200)로 제공하고, 초기화 또는 업데이트를 진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440). 외부 전자 장치(200)의 소프트웨어의 오류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프로세서(130)는 외부 전자 장치(200)의 하드웨어적인 제어 또는 문제 해결이 불가함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450).
한편, 진단 결과가 외부 전자 장치(200)의 문제가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 상태 정보를 서버(300)로 전송한다(S460). 서버(300)는 수신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진단할 수 있고, 진단 결과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하거나 적절한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CEC 명령 변환 테이블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 내지 5c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CEC 명령 변환 테이블을 저장하는 저장부(140)를 더 포함하고, 프로세서(130)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명령을 CEC 명령으로 변환할 수 있다. CEC 명령 변환 테이ㅂ부블은 대체로 제어 명령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operation id도 있다.
또한, CEC 명령 변환 테이블에는 user operation이 할당되지 않은 operation id가 있으며, 제조사 등은 상술한 operation id에 원하는 기능을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조사는 독자적인 기능을 operation id에 할당하여 이용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조사는 user operation이 할당되지 않은 operation id에 아무런 기능을 할당하지 않거나, 타 제조사와 협약 등을 통하여 공통되는 기능을 할당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서버(300)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원격 진단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300)와 네트워크 통신을 수행하여 서버(300)로부터 HDMI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200)의 원격 진단 서비스와 관련된 제어 명령을 수신한다(S610).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수신된 제어 명령을 CEC 명령으로 변환한다(S620). 그리고, 변환된 CEC 명령으로 외부 전자 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하고, 외부 전자 장치(200)의 동작 상태 정보를 서버(300)로 전송한다(S630).
또한, 서버(300)로 전송하는 단계(S630)는, 수신된 제어 명령에 따른 상태 요청 신호를 CEC 명령으로 변환하여 외부 전자 장치(200)에 전송하고, 상태 요청 신호에 따라 수신된 동작 상태 정보를 역변환하여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수신된 제어 명령에 따라 외부 전자 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하고, 외부 전자 장치(200)의 동작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 상태 정보를 획득하여 서버(300)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전자 장치(200)의 원격 진단 서비스와 관련된 제어 명령은 외부 전자 장치(200)의 화면 진단 서비스와 관련된 제어 명령이고, 서버(300)로 전송하는 단계(S630)는, 외부 전자 장치(200)의 동작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 상태 정보를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외부 전자 장치(200)의 원격 진단 서비스와 관련된 제어 명령은 외부 전자 장치(200)의 연결 진단 서비스와 관련된 제어 명령이고, 서버(300)로 전송하는 단계(S630)는, 외부 전자 장치(200)의 동작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연결 상태 정보를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전자 장치(200)의 동작 상태에 따른 진단 결과가 서버(300)로부터 수신되면, 수신된 진단 결과에 기초하여 외부 전자 장치(200)를 직접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진단 결과는, 외부 전자 장치(200)의 소프트웨어의 오류를 나타내는 정보이고, 직접 제어하는 단계는, 외부 전자 장치(200)의 소프트웨어를 초기화 또는 업데이트하기 위한 정보를 수신하여 외부 전자 장치(200)로 제공하고, 초기화 또는 상기 업데이트를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진단 결과는, 외부 전자 장치(200)가 정상이라는 정보이며, 직접 제어하는 단계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 상태 정보를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CEC 명령으로 변환하는 단계(S620)는, CEC 명령 변환 테이블에 기초하여 제어 명령을 CEC 명령으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전자 장치(200)의 동작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서버(300)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은 프로그래밍되어 각종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저장 매체를 실행하는 다양한 유형의 전자 장치에서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이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원격 진단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와 네트워크 통신을 수행하여 서버로부터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의 원격 진단 서비스와 관련된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제어 명령을 CEC(Consumer Electronics Control) 명령으로 변환하는 단계 및 변환된 CEC 명령으로 외부 전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고, 외부 전자 장치의 동작 상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가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 : 원격 진단 시스템 100 : 디스플레이 장치
110 : 제1 통신부 120 : 제2 통신부
130 : 프로세서 140 : 저장부
150 : 디스플레이부 200 : 외부 전자 장치
300 : 서버

Claims (20)

  1. 원격 진단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와 네트워크 통신을 수행하는 제1 통신부;
    외부 전자 장치와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로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는 제2 통신부; 및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원격 진단 서비스와 관련된 제어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제어 명령을 CEC(Consumer Electronics Control) 명령으로 변환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동작 상태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된 제어 명령에 따른 상태 요청 신호를 CEC 명령으로 변환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상태 요청 신호에 따라 수신된 동작 상태 정보를 역변환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된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동작에 따른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상태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화면 진단 서비스와 관련된 제어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제어 명령을 CEC 명령으로 변환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동작에 따른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상태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연결 진단 서비스와 관련된 제어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제어 명령을 CEC 명령으로 변환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동작에 따른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연결 상태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동작 상태에 따른 진단 결과가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진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를 직접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 결과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소프트웨어의 오류를 나타내는 정보이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소프트웨어를 초기화 또는 업데이트하기 위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제공하고, 상기 초기화 또는 상기 업데이트를 진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 결과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정상이라는 정보이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상태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CEC 명령 변환 테이블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명령을 CEC 명령으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동작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원격 진단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와 네트워크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의 원격 진단 서비스와 관련된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제어 명령을 CEC(Consumer Electronics Control) 명령으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된 CEC 명령으로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동작 상태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제어 명령에 따른 상태 요청 신호를 CEC 명령으로 변환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상태 요청 신호에 따라 수신된 동작 상태 정보를 역변환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동작에 따른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상태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원격 진단 서비스와 관련된 제어 명령은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화면 진단 서비스와 관련된 제어 명령이고,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동작에 따른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상태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원격 진단 서비스와 관련된 제어 명령은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연결 진단 서비스와 관련된 제어 명령이고,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동작에 따른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연결 상태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동작 상태에 따른 진단 결과가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진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를 직접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 결과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소프트웨어의 오류를 나타내는 정보이고,
    상기 직접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소프트웨어를 초기화 또는 업데이트하기 위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제공하고, 상기 초기화 또는 상기 업데이트를 진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 결과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정상이라는 정보이며,
    상기 직접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상태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CEC 명령으로 변환하는 단계는,
    CEC 명령 변환 테이블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명령을 CEC 명령으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동작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140173393A 2014-12-04 2014-12-04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6768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3393A KR20160067684A (ko) 2014-12-04 2014-12-04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4/837,799 US20160165228A1 (en) 2014-12-04 2015-08-27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3393A KR20160067684A (ko) 2014-12-04 2014-12-04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7684A true KR20160067684A (ko) 2016-06-14

Family

ID=56095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3393A KR20160067684A (ko) 2014-12-04 2014-12-04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60165228A1 (ko)
KR (1) KR2016006768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333442A1 (en) * 2021-09-30 2024-03-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69050A1 (ja) * 2006-11-29 2008-06-12 Panasonic Corporation 映像音声信号入出力装置、映像音声再生装置、映像音声装置ネットワークおよび信号再生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165228A1 (en) 2016-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22041B2 (en) Wireless screen transmission method, extension device, and wireless screen transmission system
US10869079B2 (e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displaying content of peripheral device
WO2015043485A1 (zh) 一种显示方法及显示设备
US9274781B2 (en) Display device capable of upgrading smart function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08848333B (zh) 信号转换模块和移动终端
WO2012169157A1 (ja) 被サポート装置、サポート装置、機器間ガイドシステム、記録媒体、及び集積回路
US9992439B2 (en) Display apparatus, controlling method, and display system
TW201427407A (zh) 電視機控制系統及方法
US20130258204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d upgrading the same
JP2011139411A (ja) 機器制御装置、機器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397886B1 (ko) 전자 장치,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011054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sam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1136285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KR20160067684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5988357B2 (ja) 操作学習装置及び操作学習方法
US20150215575A1 (en) Relay apparatus
CN111164985B (zh) 显示设备及其控制方法和记录介质
CN110162284B (zh) 一种操控接口装置及其操控系统
CN112714272A (zh) 设备间控制方法、终端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TWI663860B (zh) Adjustable interface conversion method
EP2445226A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nd exter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291948B2 (en) Network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HDMI device
TWI675574B (zh) 可調式視訊轉換方法
CN112369040B (zh) 远程控制设备、远程控制设备的控制方法和电子系统
CN116887133A (zh) 主音频设备及音频数据传输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