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6402A - 투표 시스템 - Google Patents

투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6402A
KR20160066402A KR1020140170739A KR20140170739A KR20160066402A KR 20160066402 A KR20160066402 A KR 20160066402A KR 1020140170739 A KR1020140170739 A KR 1020140170739A KR 20140170739 A KR20140170739 A KR 20140170739A KR 20160066402 A KR20160066402 A KR 201600664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ting
information
data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0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형
Original Assignee
김태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형 filed Critical 김태형
Priority to KR10201401707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66402A/ko
Publication of KR201600664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64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06Q50/265Personal security, identity or safe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50/00Market activiti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or related to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 Y04S50/14Marketing, i.e. market research and analysis, surveying, promotions, advertising, buyer profiling, customer management or reward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회라는 특수한 집단이 수행하는 투표를 이동통신단말기를 활용하여 투명하고 정확하며 신속함과 동시에 적은 비용으로 투표하는 투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선거종류정보, 후보자정보, 당선기준정보, 당선인원수정보, 유권자인원수정보를 입력하여 전자적으로 투표하는 제 1 투표어플리케이션을 생성하고, 상기 유권자인원수정보에 맞게 인증키를 생성하며 투표시작데이터와 투표종료데이터로 상기 제 1 투표어플리케이션을 통한 투표시작과 투표종료를 제어하고 투표데이터를 수집하여 개표를 자동으로 카운트하는 투표관리서버와, 상기 인증키를 입력하여 로그인 후 상기 제 1 투표어플리케이션을 제공받아서 당선인원수 만큼 후보자를 선택한 상기 투표데이터를 상기 투표관리서버에 전송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제 1 투표어플리케이션 접근을 허용하는 상기 투표시작데이터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제 1 투표어플리케이션 접근을 차단하는 상기 투표종료데이터를 생성하며 생성된 상기 투표시작데이터와 투표종료데이터를 상기 투표관리서버에 전송하는 투표관리단말기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른, 본 발명은 후보자정보를 쉽게 획득하여 후보자를 선택하는데 도움을 주고 인증키를 활용하여 중복투표가 불가하며 개표가 정확함과 동시에 경제적이고 특수한 환경의 교회투표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투표 시스템 {Vote system}
본 발명은 투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교회라는 특수한 집단이 수행하는 투표를 이동통신단말기를 활용하여 투명하고 정확하며 신속함과 동시에 적은 비용으로 투표하는 투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투표는 많은 기관에서 실시하고 있지만, 수기투표방식이 대부분이고 이러한 수기투표방식은 투표와 개표를 위해서 많은 인원과 상당한 시간이 요구되고 부정확한 결과로 인하여 다툼이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OMR(Optical Mark Reader)용지를 이용한 투표는 수기투표방식보다 시간이 다소 절약되기는 하지만 표기오류, 스캔오류로 인하여 정확성이 떨어지고 중복투표 또는 대리투표가 가능한 문제점이 있으며 후보자와 OMR용지를 비교해야 하므로 원하지 않은 출마자에게 투표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고 투표를 하기 위해서 OMR용지, 기기 및 전문요원이 있어야 하는데 이때 발생되는 비용이 고가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자투표는 전자투표를 하기 위한 투표소에 가서 후보자 번호를 전자투표기에 입력하는데 이때 정확성은 높으나 전자투표기의 기기가 고가이고 오류 발생을 대비하여 전문요원이 각각의 전자투표기에 배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투표시 많은 비용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투표와 관련되어 이미 공개된 선행기술들 중에서 대표적으로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3-0038256호인 투표 전산화 장치 및 방법은 투표자 명단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투표 결과를 집계하는 중앙 컴퓨터와, 상기 중앙 컴퓨터와 온라인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투표자에게 투표 자격의 존재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투표자 자격 조회기와, 상기 투표자 자격 조회기로부터 투표자의 정보를 전송받고 그 전송된 투표자의 개인 정보를 마그네틱 카드에 기록하고 그 마그네틱 카드를 해당 투표자에게 발급하는 마그네틱 카드 발급기, 및 상기 중앙 컴퓨터와 온라인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투표자가 발급된 마그네틱 카드를 이용하여 수행한 투표 결과를 집계하고 그 집계된 투표 결과를 상기 중앙 컴퓨터에 제공하는 투표기로 이루어진 기술에 관한 것이다.
또한, 투표자 자격 조회기에서 투표자에게 투표 자격의 존재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투표자 자격 조회기에서 투표자 개인 정보를 전송받은 마그네틱 카드 단말기는 마그네틱 카드에 전송된 투표자 개인 정보를 기록하고 그 개인 정보가 기록된 마그네틱 카드를 상기 투표자에게 교부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투표자는 교부된 상기 마그네틱 카드를 이용하여 투표기에서 후보자에 대한 투표를 수행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투표기는 상기 마그네틱 카드에 기록된 투표자의 개인 정보를 삭제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투표기는 상기 투표자의 투표 결과를 상기 마그네틱 카드에 기록하고 후보자별로 득표한 마그네틱 카드를 분류하여 저장하는 제 5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전산화된 투표이기는 하지만 교회에서 수행되는 특수한 환경의 투표에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교회라는 특수한 집단에서 투표할 수 있는 투표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투표 시스템은 선거종류정보, 후보자정보, 당선기준정보, 당선인원수정보, 유권자인원수정보를 입력하여 전자적으로 투표하기 위한 제 1 투표어플리케이션을 생성하고, 상기 유권자인원수정보에 맞게 인증키를 생성하며 투표시작데이터와 투표종료데이터로 상기 제 1 투표어플리케이션을 통한 투표시작과 투표종료를 제어하고 투표데이터를 수집하여 개표를 자동으로 카운트하는 투표관리서버와, 상기 인증키를 입력하여 로그인 후 상기 제 1 투표어플리케이션을 제공받아서 당선인원수 만큼 후보자를 선택한 상기 투표데이터를 상기 투표관리서버에 전송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제 1 투표어플리케이션의 접근을 허용하는 상기 투표시작데이터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제 1 투표어플리케이션의 접근을 차단하는 투표종료데이터를 생성하며 생성된 투표시작데이터와 투표종료데이터를 상기 투표관리서버에 전송하는 투표관리단말기로 이루어진 것을 해결 수단으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후보자정보를 쉽게 획득하여 후보자를 선택하는데 도움을 주고 인증키를 활용하여 중복투표가 불가하며 개표가 정확함과 동시에 경제적이고 특수한 환경의 교회투표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투표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증키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2차투표 후보자 선정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투표어플리케이션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은 최적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투표 시스템 구성도로, 상기 투표 시스템은 투표관리서버(100)와 이동통신단말기(200) 및 투표관리단말기(300)로 이루어진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투표관리서버(100)는 선거종류정보, 후보자정보, 당선기준정보, 당선인원수정보, 유권자인원수정보를 입력하여 전자적으로 투표하기 위한 제 1 투표어플리케이션을 생성하고 상기 유권자인원수정보에 맞게 인증키를 생성하며 투표시작데이터와 투표종료데이터로 상기 제 1 투표어플리케이션을 통한 투표시작과 투표종료를 제어하며 투표데이터를 수집하여 개표를 자동으로 카운트한다.
예컨대, 상기 선거종류정보는 A 교회에서 장로, 권사, 집사를 선출한다면 상기 장로, 권사, 집사를 투표한다는 정보를 입력하는 것이고 상기 후보자정보는 상기 장로, 권사, 집사 각각에 대한 후보자정보를 입력하는 것이며 상기 당선기준정보는 일정득표수 이상 득표해야 당선된다는 기준을 입력하는 것이고 당선인원수정보는 후보자 총 몇 명 중에서 몇 명이 당선되는 것을 입력하는 것이며 유권자인원수정보는 투표에 참가하는 유권자수를 입력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입력되면 이동통신단말기(200)를 통하여 전자적으로 투표하기 위한 제 1 투표어플리케이션이 구축되는 것이다.
상기 인증키는 이동통신단말기(200)에 다양한 형태로 전송하는 것도 바람직하지만 인증키를 생성하고 생성된 인증키를 종이에 기록하여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는 것도 바람직하며 종이에 인증키를 기록한 경우는 투표현장에서 1인 1인증키를 지급함에 따라 중복투표를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
특히, 상기 인증키는 개인 소유의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투표하는 것이기 때문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화번호 구조를 이용하면 누구나 용이하게 접근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투표시작데이터와 투표종료데이터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통신망으로 투표한다는 것은 원거리에서도 투표가 가능하기 때문에 타인에 의한 중복투표가 가능할 수 있지만 투표현장에서 인증키를 제공함과 동시에 투표시작을 유권자에게 알리고 상기 투표시작데이터를 상기 투표관리서버(100)에 전송하면 투표현장에 없는 유권자는 언제 투표하는지를 알 수 없기 때문에 현장투표가 가능해지고 또한 투표현장에서 투표종료를 유권자에게 알리고 상기 투표종료데이터를 상기 투표관리서버(100)에 전송하면 투표현장에 참석한 모든 유권자가 모두 투표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아울러, 개표는 이동통신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된 투표데이터를 통해서 후보자들 각각의 표를 카운트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투표관리서버(100)는 상기 제 1 투표어플리케이션에 재투표정보가 입력됨에 따라 당선자가 없거나 상기 당선인원수정보에 해당하는 인원수만큼 당선 당선되지 않은 경우에 1차 투표에서 당선자를 제외하고 다득표순서로 설정된 배수만큼 후보자를 자동으로 결정하여 재투표를 하기 위한 제 2 투표어플리케이션을 생성한다.
예컨대, 상기 투표관리서버(100)는 당선기준정보에 투표 총인원의 2/3라고 입력한 후 투표가 종료되면 그 결과가 입력한 총인원의 2/3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 즉, 당선자가 전혀 없는 경우는 다시 투표하기 위하여 제 2 투표어플리케이션을 생성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 2 투표어플리케이션은 1차 투표에서 다득표를 받은 후보자 순서로 설정된 배수만큼 후보자를 다시 결정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예를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100명의 유권자가 투표에 참여하고, 후보자1은 60표, 후보자2는 50표, 후보자3은 40표, 후보자4는 30표, 후보자5는 25표, 후보자6은 20표, 후보자7은 15표, 후보자8은 10표, 후보자9는 7표, 후보자10은 3표라는 개표결과가 나왔으나 설정된 당선기준정보(2/3, 66명)에 해당되지 않아서 당선자가 선출되지 않으면 설정된 2배수에 해당하는 후보자를 다득표순인 후보자1, 2, 3, 4, 5, 6으로 설정하여 제 2 투표어플리케이션에서 투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1차 투표에서 당선자가 1명인 경우는 당선자 1명을 제외한 나머지 후보자들을 다득표순으로 설정된 배수만큼 다시 설정하여 제 2 투표어플리케이션에서 투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투표관리서버(100)는 당선인원수정보에 해당하는 인원수가 될 때까지 상기 제 2 투표어플리케이션과 같은 투표어플리케이션을 반복 생성한다.
예컨대, 교회에서 장로 선출시 꼭 5명을 뽑아야 한다면 5명이 모두 선출될때까지 투표를 해야하기 때문에 투표어플리케이션이 지속적으로 생성되는 것이다.
한편 몇 차 투표까지만 투표어플리케이션을 생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상기 투표관리서버(100)는 임의의 한 교회에서 투표하고자 요청이 오면 상기한 바와 같이 시스템을 구축하여 투표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투표관리서버(100)는 투표하기 위하여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일종의 시스템으로 구축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통신단말기(200)는 상기 인증키를 입력하여 로그인 후 상기 제 1 투표어플리케이션을 제공 받아서 당선인원수 만큼 후보자를 선택한 상기 투표데이터를 상기 투표관리서버(100)에 전송한다.
예컨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200)는 표시창에 장로투표라고 표시가 되고 후보자수와 당선자수가 표시된 이후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보자의 사진과 함께 총 투표가 가능한 수가 표시되고 사용자는 투표 가능한 수만큼 후보자를 선택하여 투표에 참여한다.
특히, 후보자 사진을 선택할 경우 후보자의 프로필 및 개인 정보가 표시되어 후보자 정보를 쉽게 습득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이동통신단말기(200)는 상기 인증키를 입력하여 로그인 후 상기 제 1 투표어플리케이션을 제공받아서 당선인원수보다 적게 후보자를 선택한 상기 투표데이터를 상기 투표관리서버(100)에 전송한다.
즉, 유권자는 당선인원수 만큼 투표할 수 있는 권한이 있으나 유권자가 꼭 당선인원수 만큼 투표하지 않고 당선인원수보다 적게 투표하여도 투표관리서버(100)에서 오류처리 없이 개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200)는 후보자를 선택하여 상기 투표관리서버(100)에 투표한 정보, 즉 투표데이터가 전송되면 상기 투표관리서버(100)에서 카운트하여 집계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동통신단말기(200)는 서로 다른 인증키를 입력하여 투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할아버지, 할머니와 같이 이동통신단말기(200)의 사용이 미숙한 경우는 다른 사람의 이동통신단말기(200)를 통해서 투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이상 설명한 이동통신단말기(200)는 휴대용으로 소지할 수 있는 단말기 모두가 포함되고 특히, 스마트폰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투표관리단말기(300)는 이동통신단말기(200)가 상기 제 1 투표어플리케이션의 접근을 허용하는 상기 투표시작데이터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200)가 상기 제 1 투표어플리케이션의 접근을 차단하는 상기 투표종료데이터를 생성하며 생성된 상기 투표시작데이터와 투표종료데이터를 상기 투표관리서버(100)에 전송한다.
예컨대, 교회투표는 교회에서 인증키를 받은 후 교회내에서 투표하는 것이 보통이기 때문에 교회내에서 투표시작을 투표참여자에게 알림과 동시에 상기 투표관리서버(100)에 투표시작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투표관리단말기(300)는 투표시작데이터를 상기 투표관리서버(100)에 전송하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200)에서 투표가 가능하도록 상기 투표관리서버(100)에서 제 1 투표어플리케이션의 접근을 허용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투표관리단말기(300)는 투표종료데이터를 상기 투표관리서버(100)에 전송하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200)에서 투표가 종료되도록 제 1 투표어플리케이션을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투표관리단말기(300)는 투표종료데이터를 상기 투표관리서버(100)에 전송하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200)에서 투표가 불가능하게 상기 투표관리서버(100)에서 제 1 투표어플리케이션의 접근을 차단하는 것이다.
도면과 상세한 설명에서 최적 실시예들이 개시되고, 이상에서 사용된 특정한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일 뿐,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이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규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고,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투표관리서버 200 : 이동통신단말기
300 : 투표관리단말기

Claims (5)

  1. 선거종류정보, 후보자정보, 당선기준정보, 당선인원수정보, 유권자인원수정보를 입력하여 전자적으로 투표하는 제 1 투표어플리케이션을 생성하고, 상기 유권자인원수정보에 맞게 인증키를 생성하며 투표시작데이터와 투표종료데이터로 상기 제 1 투표어플리케이션을 통한 투표시작과 투표종료를 제어하고 투표데이터를 수집하여 개표를 자동으로 카운트하는 투표관리서버와;
    상기 인증키를 입력하여 로그인 후 상기 제 1 투표어플리케이션을 제공받아서 당선인원수 만큼 후보자를 선택한 상기 투표데이터를 상기 투표관리서버에 전송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제 1 투표어플리케이션 접근을 허용하는 상기 투표시작데이터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제 1 투표어플리케이션 접근을 차단하는 상기 투표종료데이터를 생성하며 생성된 상기 투표시작데이터와 투표종료데이터를 상기 투표관리서버에 전송하는 투표관리단말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표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인증키를 입력하여 로그인 후 상기 제 1 투표어플리케이션을 제공받아서 당선인원수보다 적게 후보자를 선택한 상기 투표데이터를 상기 투표관리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표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투표관리서버는
    상기 제 1 투표어플리케이션에 재투표정보가 입력됨에 따라 당선자가 없거나 상기 당선인원수정보에 해당하는 인원수만큼 당선되지 않은 경우에 1차 투표에서 당선자를 제외하고 다득표 순서로 설정된 배수만큼 후보자를 자동으로 결정하여 재투표하기 위한 제 2 투표어플리케이션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표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투표관리서버는
    당선인원수정보에 해당하는 인원수가 될 때까지 상기 제 2 투표어플리케이션과 같은 투표어플리케이션을 반복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표 시스템.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서로 다른 인증키를 입력하여 투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표 시스템.
KR1020140170739A 2014-12-02 2014-12-02 투표 시스템 KR201600664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0739A KR20160066402A (ko) 2014-12-02 2014-12-02 투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0739A KR20160066402A (ko) 2014-12-02 2014-12-02 투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6402A true KR20160066402A (ko) 2016-06-10

Family

ID=56190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0739A KR20160066402A (ko) 2014-12-02 2014-12-02 투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6640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98843A (zh) * 2020-12-04 2021-04-02 光大科技有限公司 投票数据的处理方法和装置及存储介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98843A (zh) * 2020-12-04 2021-04-02 光大科技有限公司 投票数据的处理方法和装置及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796708B (zh) 电子投票系统及方法
Anandaraj et al. Secured electronic voting machine using biometric
US20160042308A1 (en) Timesly: A Mobile Solution for Attendance Verification Powered by Face Technology
Prasad et al. Aadhar based electronic voting machine using arduino
US10002481B2 (en) Vote casting system and method
KR20180096976A (ko) 전자투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Mohammed et al. Efficient e-voting android based system
US11087578B2 (en) Voting booth, system,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Gentles et al. Biometric secured mobile voting
KR20170110511A (ko) 스마트 단말을 이용한 출석 인증 장치
Raj et al. An online voting system using biometric fingerprint and Aadhaar card
Shuaibu et al. A framework for the adoption of electronic voting system in Nigeria
KR20160066402A (ko) 투표 시스템
Piam et al. Face Authentication-Based Online Voting System
Salman et al. Analysis of the traditional voting system and transition to the online voting system in the republic of Iraq
US20210264443A1 (en) System and method of counting votes in an electronic voting system
Eteng et al. An Online Voting System for Colleges and Universities: A Case Study of National Association of Science Students (NASS), University of Calabar
Chen et al. A Mobile Computing Based Attendance System and Students' Attitude Study
US20140207536A1 (en) Electronic polling device
US20140052504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rketing political membership
Malik et al. Enhancing the Security of Online Voting System Using Defined Biometrics
Mathew et al. Secure E-Voting System
WO2013182252A1 (en) Voting method
RU2753392C1 (ru) Способ тайного голосования и электр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реализации
Obeidallah et al. An online e-voting prototype for student's union elections in Jordanian universit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