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6322A - 피톤치드가 함침된 위생용 패드 - Google Patents

피톤치드가 함침된 위생용 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6322A
KR20160066322A KR1020140170550A KR20140170550A KR20160066322A KR 20160066322 A KR20160066322 A KR 20160066322A KR 1020140170550 A KR1020140170550 A KR 1020140170550A KR 20140170550 A KR20140170550 A KR 20140170550A KR 20160066322 A KR20160066322 A KR 201600663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ytoncide
fibers
weight
liquid
sanitary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0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54285B1 (ko
Inventor
전정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무나라 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무나라 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무나라 애
Priority to KR10201401705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4285B1/ko
Publication of KR201600663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63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42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42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2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46Deodorants or malodour counteractants, e.g. to inhibit the formation of ammonia or 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2013/15821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characterized by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 A61F2013/15934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characterized by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for making non-woven
    • A61F2013/1596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characterized by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for making non-woven by meltblown techniq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2013/53013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being made in fibre but being not pulp
    • A61F2013/53034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being made in fibre but being not pulp being natural fib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톤치드가 함침된 위생용 패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높은 항균작용, 탈취작용, 알레르기 및 피부질환 개선작용을 가지는 피톤치드를 피부에 직접적으로 닿게 되는 위생용 패드에 접목하여 장기간 착용시에도 위생성 및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위생용 패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피톤치드가 함침된 위생용 패드는 천연섬유에 피톤치드 및 한약재 성분을 함침시킨 흡수 코어 층을 사용하여 세균의 번식을 막는 동시에, 합성 고분자 흡수제 대신 천연 흡수제를 사용하여 패드의 흡수력은 높이고,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방출효과가 있는 세라믹 파우더 및 피부 발진을 막아주는 항바이러스성 물질인 베튤린(betulin), 루페올(lupeol) 및 미코스테롤(mycosterol) 등을 첨가하여 기능성을 높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피톤치드가 함침된 위생용 패드{Sanitary pad containing the phytoncide}
본 발명은 피톤치드가 함침된 위생용 패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높은 항균작용, 탈취작용, 알레르기 및 피부질환 개선작용을 가지는 피톤치드를 피부에 직접적으로 닿게 되는 위생용 패드에 접목하여 장기간 착용시에도 위생성 및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위생용 패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피톤치드가 함침된 위생용 패드는 천연섬유에 피톤치드 및 한약재 성분을 함침시킨 흡수 코어 층을 사용하여 세균의 번식을 막는 동시에, 합성 고분자 흡수제 대신 천연 흡수제를 사용하여 패드의 흡수력은 높이고,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방출효과가 있는 세라믹 파우더 및 피부 발진을 막아주는 항바이러스성 물질인 베튤린(betulin), 루페올(lupeol) 및 미코스테롤(mycosterol) 등을 첨가하여 기능성을 높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피톤치드(phytoncide)는 러시아어로 '식물의'라는 뜻의 'phyton'과 '죽이다'라는 뜻의 'cide'가 합해서 생긴 말로서, 식물이 병원균에 저항하기 위해 방출 또는 분비하는 물질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스트레스의 완화작용, 강력한 항균작용, 탈취작용, 피로의 진정작용, 알레르기 및 피부질환 개선작용 및 면역기능 증대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처럼 다양한 기능을 지닌 피톤치드의 효과를 과학적으로 밝히기 위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요즘에는 도시 공간에서도 손쉽게 삼림욕을 즐길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피톤치드 성분을 추출하여 만든 각종 방향제품이 판매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피톤치드 성분은 주로 알코올에 편백나무를 갈아 넣고 이를 가열한 후, 여기에서 발생하는 증기를 포집 회수하여 얻고 있으나. 이와 같이 제조한 피톤치드는 희석 과정에서 유화제 등의 인체에 유해한 화학약품이 사용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알코올 대신에 편백나무 잎과 물을 혼합한 후 이를 가열하여 피톤치드 성분을 얻는 방법도 개발되고 있으나, 상기와 같은 방법은 편백나무 잎 내부에 존재하는 피톤치드가 편백나무의 표피를 뚫고 배출되기가 용이하지 않아 추출이 용이하지 않다는 한계가 있었다.
한편, 위생용 패드는 여성, 노약자, 어린아이 등이 일상생활에서 자주 사용하는 것으로서, 생리형, 배설물 등의 각종 오염물질이 흡수되기 때문에 항균성 및 탈취성을 갖추는 것이 중요할 뿐만 아니라, 오염물질이 피부에 직접 닿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오염물질의 빠른 흡수성을 가지는 것도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또한, 상기 위생용 패드는 피부에 직접 접촉하는 형태로 착용되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시 알레르기나 피부발질 등의 피부질환을 일으킬 수 있으며, 특히 피부가 예민한 사람들에게는 합성 화학물질의 접촉으로 인한 각종 트러블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위생용 패드에 다양한 천연물질이나 항균물질들을 접목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일 실시예로 공개특허 제2012-0096701호(2012년 8월 31일, 공개)에서는 여러가지 한방조성물을 흡수시트에 도포하여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한방 생리대를 제시하고 있으며, 공개특허 제2004-0027827호(2004.04.01 공개)에서는 항균, 소취 기능이 우수한 은(銀)섬유을 이용한 면생리대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은 제조방법이 복잡하거나 흡수력이 떨어져 실제로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높은 항균성 및 탈취성을 가짐과 동시에 천연 흡수제를 사용하여 패드의 흡수력은 높이고, 제조방법이 간단한 기능성 흡수성 패드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2012-0096701호 (2012년 8월 31일, 공개) 한국공개특허 제2004-0027827호(2004.04.01 공개)
본 발명은 종래의 흡수성 패드가 갖는 문제점을 해결 및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 부직포 제조시 피톤치드 및 한약재 성분을 함침시켜 세균의 번식을 막는 한편, 고분자 흡수제가 아닌 천연 흡수제를 사용함으로서 생리대의 흡수력은 높이고 제조방법이 간단한 기능성 위생용 패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덜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액체 투과성 톱시트(topsheet) 층; 액체 흡수성 코어(core) 층; 및 액체 불투과성 백시트(backsheet) 층;을 포함하는 위생용 패드에 있어서, 상기 액체 흡수성 코어 층에 피톤치드 성분이 함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톤치드가 함침된 위생용 패드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액체 흡수성 코어 층이 피톤치드가 함침된 천연섬유를 사용하여 멜트블로운 방식으로 제조된 부직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피톤치드가 함침된 천연섬유는, 편백나무, 백반, 대황, 건지황, 감초, 활석, 오약 및 자초를 혼합한 조성물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혼합된 조성물 1 ㎏ 당 추출수 5 ~ 10 L를 혼합하고 80 ~ 90 ℃에서 3 ~ 5시간 가열하여 열수 추출하는 단계; 상기 열수 추출된 추출물에 울, 모시, 면 및 실크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인 천연섬유를 1 ~ 24 시간 동안 침지시킨 후 건조시키는 단계;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성물은 편백나무 50 ~ 60 중량%, 백반 10 ~ 20 중량%, 대황 5 ~ 10 중량%, 건지황 5 ~ 10 중량%, 감초 5 ~ 10 중량%, 활석 5 ~ 10 중량%, 오약 5 ~ 10 중량% 및 자초 5 ~ 1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추출수는, 알칼리 이온수 1000㎖당 산화칼슘 100~400g을 첨가하여 교반한 후 실온에서 방치하여 얻은 상등액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천연섬유에는 세라믹 파우더가 전체 천연섬유 중량에 대하여 0.05 ∼ 20 %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액체 흡수성 코어(core) 층 하부에는 제올라이트(zeolite), 알루미늄실리케이트(aluminum Silicate) 및 웁살라이트(upsalite)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흡수제 층이 더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액체 투과성 톱시트 층은 재생섬유, 합성섬유 또는 이들의 혼합섬유를 사용하여 멜트블로운(meltblown) 방식으로 제조되는 부직포로서, 상기 재생섬유, 합성섬유 또는 이들의 혼합섬유는 직경이 0.1 ~ 7.0 ㎛ 인 초극세 섬유이거나, 베튤린(betulin), 루페올(lupeol) 및 미코스테롤(mycosterol)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액체 불투과성 백시트 층은 재생섬유, 합성섬유 또는 이들의 혼합섬유를 사용하여 건식법으로 제조되는 부직포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톤치드가 함침된 위생용 패드는 천연섬유에 피톤치드 및 한약재 성분을 함침시킨 흡수 코어 층을 적용하여 항균성 및 탈취성을 높일 뿐만 아니라 제조방법이 간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위생용 패드는 세균의 번식을 막는 동시에, 합성 고분자 흡수제 대신 천연 흡수제를 사용하여 패드의 흡수력은 높이고,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방출효과가 있는 세라믹 파우더 및 항바이러스성 물질인 베튤린(betulin), 루페올(lupeol) 및 미코스테롤(mycosterol) 등을 첨가하여 장기간 착용 시에도 피부트러블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실시예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 기재된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액체 투과성 톱시트(topsheet) 층; 액체 흡수성 코어(core) 층; 및 액체 불투과성 백시트(backsheet) 층;을 포함하는 위생용 패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액체 흡수성 코어 층에 피톤치드 성분이 함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피톤치드 성분은 식물이 병원균에 저항하기 위해 방출 또는 분비하는 물질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스트레스의 완화작용, 강력한 항균작용, 탈취작용, 피로의 진정작용, 알레르기 및 피부질환 개선작용 및 면역기능 증대 효과를 가지고 있으나, 종래에는 유화제 등 화학약품의 사용을 최소화하면서 활용하기가 어려워 위생용 패드에 접목하기 어려웠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피톤치드 성분을 별도의 화학약품을 사용하지 않고 위생용 패드에 적용하기 위하여, 편백나무 이외의 다양한 천연성분들을 함께 사용하며, 알칼리수를 이용한 추출방법을 사용하여 화학약품을 사용하지 않고도 간단하고 효율적으로 위생용 패드에 유효성분들을 함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상기 액체 흡수성 코어 층은 피톤치드가 함침된 천연섬유를 사용하여 멜트블로운 방식으로 제조되는 부직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천연섬유는 재생섬유나 합성섬유에 비해 피톤치드를 함침시켰을 때 세균 번식 억제 능력 및 효과의 지속성이 더욱 뛰어난 소재로서, 울, 모시, 면 및 실크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흡수성을 높이기 위하여 면 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천연섬유에 피톤치드를 함유한 기능성 유효성분들을 함침시키기 위하여, 먼저 편백나무, 백반, 대황, 건지황, 감초, 활석, 오약 및 자초를 혼합한 조성물을 먼저 준비한 후, 상기 혼합된 조성물 1 ㎏ 당 추출수 5 ~ 10 L를 혼합하고 80 ~ 90 ℃에서 3 ~ 5시간 가열하여 열수 추출한다. 이후, 상기 열수 추출된 추출물에 천연섬유를 1 ~ 24 시간 동안 침지시킨 후 건조시켜 최종적으로 피톤치드 성분이 함유된 천연섬유를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성물은 편백나무 50 ~ 60 중량%, 백반 10 ~ 20 중량%, 대황 5 ~ 10 중량%, 건지황 5 ~ 10 중량%, 감초 5 ~ 10 중량%, 활석 5 ~ 10 중량%, 오약 5 ~ 10 중량% 및 자초 5 ~ 1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성분을 자세히 살펴보면, 먼저 편백나무는 피톤치드의 주 공급원이 되는 재료로서, 열수추출 과정에서 얻어지는 테르펜(terpene) 계통의 유기화합물이 해충, 병균, 공팡이, 박테리아 등을 살균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백반은 황산알루미늄과 리튬 이외의 알칼리금속, 탈륨, 암모늄 등 1가금속의 황산염이 만드는 복염으로 명반이라고도 한다. 함유되어 있는 1가의 금속이온에 따라 칼륨백반(potassium alum:칼리나이트) KAl(SO4)2 12H2O, 암모늄백반(ammonium alum:체르미 가이트) (NH4)Al(SO4)2 ·12H2O 등 이라고도 한다. 백반은 어느 것이나 성분인 1가의 금속황산염과 3가의 금속황산염의 1:1 혼합수용액으로부터 결정으로서 생성되며 결정은 물에 잘 녹는다.
백반의 효능으로는 지혈지사, 하혈, 살충해독, 수렴, 항균, 트리코모나스 질염, 액취증 개선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편백나무와 함께 쓰여져 편백나무로부터 피톤치드 성분이 잘 추출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대황은 「신농본초경」에 처음으로 기재된 한약재로서, 마디풀과의 다년생 초본이며, 한의학적으로 그 성질이 몹시 차고 맛은 쓰며 독이 없는 바, 파적체, 활혈거어, 사열독하는 효능이 있으며, 다양한 어혈과 적체의 치료에 응용되고 있다. 특히, 대황은 활혈작용이 있어서 혈액의 점도를 하강시키며, 혈액을 희석시키는 기능을 하는 바, 흡수용 패드 내로 흡수되는 오염물질이 뭉치지 않고 내부로 잘 흡수되도록 돕는 효과를 가져온다.
상기 건지황은 번조, 갈증, 골증, 소갈증, 토혈, 코피에 쓰이며 열로 인한 피부발진을 치료한다. 약리작용은 혈당강하, 강심, 이뇨, 간기능보호, 항균작용이 보고되었으며, 혈맥을 통하게 하고 기력을 더해주며 귀와 눈을 예리하게 하고, 더운 피를 차게 하며 피를 생성하고 신장에 부족한 수분을 보한다 하여 민간인들 사이에 감국화 등을 차로 끓여서 음용하여 왔다.
상기 감초는 다년생에 속하는 한약재의 성분으로 유해한 성분과 독성을 중화, 희석하고, 각종 냄새와 맛을 유용한 부분으로 생성시키는 작용을 하고 있으며, 인체에 유익한 해독작용으로 습진, 피부병, 항염증의 작용에 널이 쓰여지고 있다.
상기 활석은 Mg3(OH)2Si4O10의 화학식을 가지며, 방광염, 요도염, 발열 등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습을 제거하는 특성이 있어 섬유를 건조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해준다.
상기 오약(Lindera aggregate)은 녹나무과의 식물로서, 타원형 혹은 계란 모양 잎이 어긋나게 붙어있고 노란풀색의 작은 꽃이 핀다. 오약은 몸의 기를 순환시키며, 위를 따뜻하게 하고 다뇨증, 소화장애, 설사, 달거리 등에 사용하며, 뿐리 부분에는 린데네올, 린데닌, 린데스트렌, 린데란, 린데록시드 등의 테르펜 화합물이 존재하여 항균, 살균 효과가 있다.
상기 자초(Radix Lithospermi)는 지치과의 다년초로 시코닌(Shikonin), 아세틸시코닌(Acetylshikonin) 등과 함께 다당류인 리소스퍼먼(Lithosperman) 등의 성분을 함유하며, 혈액 순환 촉진 작용, 해독작용, 항균 및 항염작용 등이 있어 각종 창양 종기나 화상, 습진 등을 치료하는데 상용되는 한약재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은 편백나무 외에도 상기와 같이 다양한 성분들을 함께 사용함으로써, 피톤치드의 항균, 살균, 탈취 효과 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한약재를 추출할 때는 정제수 또는 정제수와 알콜류를 일정량 혼합한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본 발명은 상기 천연식물들의 유효성분을 효율적으로 추출하기 위하여 pH 7.5~10.5의 알칼리 이온수를 추출수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알카리 이온수는 분자 집단(cluster)이 6개 단위로 구성되어 13~15개 단위로 수소 결합을 이루고 있는 물보다 작아 침투력이 좋고, 열전도가 높아 성분 용출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뿐 아니라 흡수력 또한 우수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알칼리 이온수를 용매로 사용함으로써 유효성분이 안전하게 추출되어 추출물이 원래 가지고 있는 활성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추출수는 알칼리 이온수 1000㎖당 산화칼슘 100~400g을 첨가하여 교반한 후 실온에서 3~10시간 방치하여 얻은 상등액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산화칼슘은 용질에 대한 용매의 삼투압 현상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며, 이를 통하여 추출된 용액 속에 항균 효과를 가지는 활성 성분의 함량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알칼리 이온수와 산화칼슘이 함께 사용되어 항균효과를 증대시키는 시너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항균 효과를 더욱 높이기 위하여, 천연섬유에 항균성, 원적외선과 음이온 방출 효과가 있는 세라믹 파우더를 전체 천연섬유 중량에 대하여 0.05 ∼ 20 %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천연섬유의 낮은 흡수성을 보완하기 위하여, 액체 흡수성 코어(core) 층 아래에 제올라이트(zeolite), 알루미늄실리케이트(aluminum Silicate) 및 웁살라이트(upsalite)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로 이루어진 흡수제 층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종래의 생리대에서 사용하던 고분자 흡수제는 생리통, 피부 발진 등의 부작용을 유발하는 반면 상기 제올라이트, 알루미늄실리케이트 및 웁살라이트는 천연 광물에서 유래한 흡수제로 인체에 무해하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액체 투과성 톱시트 층은 재생섬유, 합성섬유 또는 이들의 혼합섬유를 사용하여 멜트블로운(meltblown) 방식으로 제조되는 부직포로서, 상기 재생섬유, 합성섬유 또는 이들의 혼합섬유는 촉감의 우수성을 위하여 초극세 섬유를 사용한다. 이때, 섬유의 직경이 0.1 ㎛ 미만일 경우 생리혈이 투과되지 못하며, 7.0 ㎛을 초과할 경우 피부에 자극을 나타낼 수 있기에, 상기 초극제 섬유의 직경은 0.1 ~ 7.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액체 투과성 톱시트층은 상업적으로 사용가능한 다양한 물질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일 실시예로 항바이러스 효과가 있는 물질인 베튤린(betulin), 루페올(lupeol) 및 미코스테롤(mycosterol)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피부 발진을 막아주는 효과도 있는 베튤린이 사용된다.
또한, 액체 불투과성 백시트 층은 상업적으로 사용가능한 다양한 물질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일 실시예로 재생섬유, 합성섬유 또는 이들의 혼합섬유를 사용하여 건식법으로 제조되는 부직포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액체 투과성 탑시트 층과 액체 불투과성 백시트 층 사이에 액체 흡수성 코어 층이 개재되도록 적층한 후 워터제트(water jet) 방식으로 단일 적층 부직포를 형성시켜 본 발명의 피톤치드가 함침된 위생용 패드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워터제트 방식은 섬유에 고압의 물을 분사해서 결합시기는 것으로 유연성과 통기성이 뛰어나다. 위생적이어서 메디칼용 심지, 생활용품, 코팅기포, 루핑재, 위생용품으로 주로 사용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실시예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실시예]
피톤치드 및 한약재 혼합 추출물의 제조
피톤치드 성분을 추출해내기 위하여 편백나무를 사용하되, 항균작용 및 기타 효능을 더하기 위하여 한약재를 추가하여, 편백나무 500 g, 백반 100 g, 대황 50 g, 건지황 100 g, 감초 100 g, 활석 50 g, 오약 50 g 및 자초 50 g을 포함하는 혼합물에 증류수 10 L를 혼합하고 90 ℃에서 4시간 가열하여 열수 추출하여 피톤치드 및 한약재 혼합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피톤치드 추출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와의 비교를 위하여 편백나무 1 kg에 증류수 10 L를 혼합하고 90 ℃에서 4시간 가열하여 열수 추출하여 피톤치드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한약재 추출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와의 비교를 위하여 백반 200 g, 대황 100 g, 건지황 200 g, 감초 200 g, 활석 100 g, 오약 100 g 및 자초 100 g을 포함하는 혼합물에 증류수 10 L를 혼합하고 90 ℃에서 4시간 가열하여 열수 추출하여 한약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황색포도상구균( Staphylococcus aureus )의 배양
황색포도상구균은 피부 감염시 발진 및 통증을 일으키며 봉와직염이 되기도 한다. 또한 식중독으로 감염된 경우는 복통, 설사, 구토 및 고열 등을 일으킨다. 이러한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피톤치드의 항균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Beef Extract 3 g, 펩톤(peptone) 5 g, 한천(agar) 15 g이 든 배지 23 g을 증류수 1 L에 넣어 가압증기멸균(autoclave)하여 제조한 영양한천평판배지(Nutrient agar plate)에 황색포도상구균을 접종한 후 37 ℃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실험예 2]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피톤치드의 항균효과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피톤치드의 항균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MTT 실험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24-웰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1 × 105/웰 세포수인 조건에서,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 1,2 의 방법에 따라 제조한 추출액을 각각 처리하여 24 시간 동안 배양한 후, MTT(3-4,5-dimethylthiazol-2,5-diphenyltetra zolium bromide) 5 ㎎/㎖을 혼합하여 37℃에서 3 시간 동안 추가 배양하였다. 이 후 배지를 제거하고 형성된 포르마잔 크리스탈(formazan crystal)을 DMSO 500 ㎕에 용해한 후,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기로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아래 표 1과 같다.
대조군 실험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세포생존율(%) 100 44 68 92
표 1에서 볼 수 있듯이, 대조군에서의 황색포도상구균의 생존율은 100 %인 반면, 실험예 1과 비교예 1 내지 2에서의 생존율은 각각 44 %, 68 %, 92 %로 나타났다. 따라서 피톤치드가 세포의 성장을 억제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피톤치드와 본 발명의 한약재 성분이 혼합될 때 그 효과가 더욱 증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10)

  1. 액체 투과성 톱시트(topsheet) 층, 액체 흡수성 코어(core) 층, 및 액체 불투과성 백시트(backsheet) 층을 포함하는 위생용 패드에 있어서,
    상기 액체 흡수성 코어 층에 피톤치드 성분이 함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톤치드가 함침된 위생용 패드.
  2. 제1항에 대하여,
    상기 액체 흡수성 코어 층이 피톤치드가 함침된 천연섬유를 사용하여 멜트블로운 방식으로 제조된 부직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톤치드가 함침된 위생용 패드.
  3. 제2항에 대하여,
    상기 피톤치드가 함침된 천연섬유는,
    편백나무, 백반, 대황, 건지황, 감초, 활석, 오약 및 자초를 혼합한 조성물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혼합된 조성물 1 ㎏ 당 추출수 5 ~ 10 L를 혼합하고 80 ~ 90 ℃에서 3 ~ 5시간 가열하여 열수 추출하는 단계;
    상기 열수 추출된 추출물에 천연섬유를 1 ~ 24 시간 동안 침지시킨 후 건조시키는 단계;
    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톤치드가 함침된 위생용 패드.
  4. 제3항에 대하여,
    상기 조성물이 편백나무 50 ~ 60 중량%, 백반 10 ~ 20 중량%, 대황 5 ~ 10 중량%, 건지황 5 ~ 10 중량%, 감초 5 ~ 10 중량%, 활석 5 ~ 10 중량%, 오약 5 ~ 10 중량% 및 자초 5 ~ 1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톤치드가 함침된 위생용 패드.
  5. 제3항에 대하여,
    상기 추출수가, 알칼리 이온수 1000㎖당 산화칼슘 100~400g을 첨가하여 교반한 후 실온에서 방치하여 얻은 상등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톤치드가 함침된 위생용 패드.
  6. 제2항에 대하여,
    상기 천연섬유에 세라믹 파우더가 전체 천연섬유 중량에 대하여 0.05 ∼ 20 % 더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톤치드가 함침된 위생용 패드.
  7. 제1항에 대하여,
    상기 액체 흡수성 코어(core) 층 하부에 제올라이트(zeolite), 알루미늄실리케이트(aluminum Silicate) 및 웁살라이트(upsalite)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흡수제 층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톤치드가 함침된 위생용 패드.
  8. 제1항에 대하여,
    상기 액체 투과성 톱시트 층은 재생섬유, 합성섬유 또는 이들의 혼합섬유를 사용하여 멜트블로운(meltblown) 방식으로 제조되는 부직포로서,
    상기 재생섬유, 합성섬유 또는 이들의 혼합섬유는 직경이 0.1 ~ 7.0 ㎛ 인 초극세 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톤치드가 함침된 위생용 패드.
  9. 제1항에 대하여,
    상기 액체 투과성 톱시트층은 베튤린(betulin), 루페올(lupeol) 및 미코스테롤(mycosterol)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톤치드가 함침된 위생용 패드.
  10. 제1항에 대하여,
    상기 액체 불투과성 백시트 층은 재생섬유, 합성섬유 또는 이들의 혼합섬유를 사용하여 건식법으로 제조되는 부직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톤치드가 함침된 위생용 패드.
KR1020140170550A 2014-12-02 2014-12-02 피톤치드가 함침된 위생용 패드 KR1016542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0550A KR101654285B1 (ko) 2014-12-02 2014-12-02 피톤치드가 함침된 위생용 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0550A KR101654285B1 (ko) 2014-12-02 2014-12-02 피톤치드가 함침된 위생용 패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6322A true KR20160066322A (ko) 2016-06-10
KR101654285B1 KR101654285B1 (ko) 2016-09-06

Family

ID=56190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0550A KR101654285B1 (ko) 2014-12-02 2014-12-02 피톤치드가 함침된 위생용 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428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7443A (ko) 2017-09-07 2019-03-15 (주)피톤치드연구소 피톤치드가 담지된 기능성 스마트 생리대
CN117503983A (zh) * 2023-11-09 2024-02-06 珠海市健朗生活用品有限公司 一种含有草本植物提取物的拉提式卫生用品及其制备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6859A (ko) * 2001-06-18 2002-12-31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압축기용 슈의 제조방법
KR20040027827A (ko) 2004-03-10 2004-04-01 신원규 항균, 소취 기능이 우수한 은(銀)섬유 천연 염색 면생리대.
KR20090030905A (ko) * 2007-09-21 2009-03-25 주식회사 쌍용씨앤비 기능성 물질을 함유하는 일회용 흡수제품
KR20110023432A (ko) * 2009-08-31 2011-03-08 (주)진흥코퍼레이션 한방 조성물이 함유된 요실금 패드 및 그 제조방법
US20120165773A1 (en) * 2009-07-13 2012-06-28 Masashi Nakashita Absorbent core and absorbent article
KR20120096701A (ko) 2011-02-23 2012-08-31 (주)에스에스오케이 한방 생리대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6859A (ko) * 2001-06-18 2002-12-31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압축기용 슈의 제조방법
KR20040027827A (ko) 2004-03-10 2004-04-01 신원규 항균, 소취 기능이 우수한 은(銀)섬유 천연 염색 면생리대.
KR20090030905A (ko) * 2007-09-21 2009-03-25 주식회사 쌍용씨앤비 기능성 물질을 함유하는 일회용 흡수제품
US20120165773A1 (en) * 2009-07-13 2012-06-28 Masashi Nakashita Absorbent core and absorbent article
KR20110023432A (ko) * 2009-08-31 2011-03-08 (주)진흥코퍼레이션 한방 조성물이 함유된 요실금 패드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96701A (ko) 2011-02-23 2012-08-31 (주)에스에스오케이 한방 생리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7443A (ko) 2017-09-07 2019-03-15 (주)피톤치드연구소 피톤치드가 담지된 기능성 스마트 생리대
WO2019050334A3 (ko) * 2017-09-07 2019-04-25 주식회사 피톤치드연구소 피톤치드를 함유하는 일회용 생리대
CN117503983A (zh) * 2023-11-09 2024-02-06 珠海市健朗生活用品有限公司 一种含有草本植物提取物的拉提式卫生用品及其制备方法
CN117503983B (zh) * 2023-11-09 2024-04-09 珠海市健朗生活用品有限公司 一种含有草本植物提取物的拉提式卫生用品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4285B1 (ko) 2016-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6452B1 (ko) 한방 조성물이 함유된 생리대
CN106265147A (zh) 一种含天然植物精油的花露水及其制备方法
CN104921568B (zh) 一种广谱抗菌型负离子地毯
KR101609357B1 (ko) 티트리, 명반, 맥반석 및 제올라이트 조성물과 고흡수성수지(sap)가 함유된 생리대 제조방법
CN105615586A (zh) 一种具有净化空气功能的苦楝皮地毯
CN106349801A (zh) 一种复配活性矿物质环保油墨
KR200405651Y1 (ko) 한방 조성물이 함유된 생리대
KR101654285B1 (ko) 피톤치드가 함침된 위생용 패드
KR20170130690A (ko) 천연 추출물을 이용한 항균 세제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항균 세제 조성물
KR20160054915A (ko) 티트리, 명반, 쑥, 당귀, 천궁, 박하 및 제올라이트 조성물과 고흡수성수지(sap)가 함유된 한방 패드 및 그 제조방법
CN104985963A (zh) 一种电气石与活性炭复配的新型文具收纳装置
CN107754000A (zh) 一种抑菌防病的女性护理用无纺布及其应用
KR101502083B1 (ko) 티트리, 명반, 맥반석 및 제올라이트 조성물과 고흡수성수지(sap)가 함유된 기저귀 제조방법
CN105700719A (zh) 一种带腕部按摩功能的计算机用阴离子防滑鼠标腕垫
CN105030124A (zh) 一种具有净化空气功能的苦楝皮功能型纸巾盒
KR101902300B1 (ko) 쑥을 함유한 화장지 제조방법
CN104957952A (zh) 具有保健驱蚊功能的长叶冻绿地毯
CN107754001A (zh) 一种防治产褥感染的女性护理用无纺布及其应用
CN104957950B (zh) 一种新型葫芦茶负离子保健型地毯
CN105966129A (zh) 一种具有远红外线保健功能的文具收纳盒
CN105664438A (zh) 一种室内用健身单车椅垫套件及装备该套件的健身单车
CN105963970A (zh) 改进型多功能儿童玩具
KR20070055184A (ko) 피톤치드 입욕제 및 그 제조방법
CN104958026A (zh) 一种具有驱避蚊虫的家居型甜马郁兰香味纸巾盒
CN104939725A (zh) 一种覆盆子抗菌型负离子纸巾盒的构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