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5576A - 위조 감별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위조 감별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5576A
KR20160065576A KR1020140169736A KR20140169736A KR20160065576A KR 20160065576 A KR20160065576 A KR 20160065576A KR 1020140169736 A KR1020140169736 A KR 1020140169736A KR 20140169736 A KR20140169736 A KR 20140169736A KR 20160065576 A KR20160065576 A KR 201600655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nic crystal
reflected light
light
modul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9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성
남현문
Original Assignee
울산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울산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울산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401697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65576A/ko
Publication of KR201600655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55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003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using security elemen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06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using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7D7/12Visible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radi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06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using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7D7/12Visible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radiation
    • G07D7/1205Testing spectral properti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06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using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7D7/12Visible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radiation
    • G07D7/121Apparatus characterised by sensor detai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Inspection Of Paper Currency And Valuable Secur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나노 파티클들을 이용하여 대상물에 단층의 나노 구조를 가지는 광결정을 형성하는 인쇄 모듈과, 상기 광결정에 광을 조사하는 광원모듈과, 상기 광이 조사된 상기 광결정으로부터 방출되는 반사광을 감지하여 감지 정보를 생성하는 반사광 감지모듈 및 상기 감지 정보를 기 저장된 위조 감별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대상물의 위조 여부를 판단하는 위조여부 감별모듈을 포함하는 위조 감별 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나노 입자의 자기제어조립방식으로 단층 구조를 형성하여 제조공정이 간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위조 감별 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counterfeit}
본 발명은 위조 감별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조공정이 간소해지고 제조비용이 절감되는 위조 감별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폐, 증서 등의 유가증서는 경제적 가치를 내포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유가증서의 위조는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고가의 명품들(예: 가방, 지갑, 주류, 전자제품 등) 역시 유가 증서와 마찬가지로 위조와 변조가 날로 증가하고 있다.
유가증서와, 고가의 명품들은 그 진위 여부를 판정하기 어려울 정도로 그 위조 방식이 날로 정교해지고 있다. 이 때문에, 유가증서를 발급받고 명품을 구매하는 개인들이 위조와 변조를 확인하기 어려워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유가증서를 발행하거나, 고가의 명품들을 유통하는 당사자들 역시도 이러한 위조와 변조에 대한 정확한 판별이 어려워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관련 기술들이 연구되었고, 그 중에서 위조와 변조를 방지하는데 광결정 구조를 이용하는 기술도 개발되었다. 하지만, 광결정 구조를 이용한 관련 기술들을 통해 위조와 변조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상이한 굴절율 또는 유전상수를 갖는 입자를 3차원으로 배열해 제조해야만 그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위조와 변조를 방지하기 위한 광결정 구조 기술을 적용함에 있어, 광결정 구조의 제조공정이 복잡하고 제조비용이 늘어나는 단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4-0026766호
본 발명은, 제조공정이 간소해지고 제조비용이 절감되는 위조 감별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나노 파티클들을 이용하여 대상물에 단층의 나노 구조를 가지는 광결정을 형성하는 인쇄 모듈과, 상기 광결정에 광을 조사하는 광원모듈과, 상기 광이 조사된 상기 광결정으로부터 방출되는 반사광을 감지하여 감지 정보를 생성하는 반사광 감지모듈과, 상기 감지 정보를 기 저장된 위조 감별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대상물의 위조 여부를 판단하는 위조여부 감별모듈을 포함하는 위조 감별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동대상물을 준비하는 단계와, 인쇄 모듈이 나노 파티클들을 이용하여 상기 대상물에 단층의 나노 구조를 가지는 광결정을 형성하는 단계와, 광원 모듈이 상기 광결정에 광을 조사하는 단계와, 반사광 감지모듈이 상기 광이 조사된 상기 광결정으로부터 방출되는 반사광을 감지하여 감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위조여부 감별모듈이 상기 감지 정보를 기 저장된 위조 감별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대상물의 위조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조 감별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위조 감별 장치 및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광결정 구조를 단층 구조로 형성하여 제조공정이 간소화되고 제조비용이 절감되므로 대량 생산이 용이하게 된다.
둘째, 위조 감별에 다양한 조건들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하고 신뢰성 있는 위조 감별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조 감별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위조 감별 장치의 구성들 중 광결정을 친수성을 가지는 대상물에 형성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도 2에 대한 비교예로서 광결정을 소수성을 가지는 대상물에 형성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위조 감별 장치의 구성인 친수성 대상물 위에 형성되어진 광결정의 크기와 패턴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광결정의 반사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위조 감별 장치의 구성인 소수성 대상물 위에 형성되어진 광결정의 크기와 패턴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광결정의 반사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 내지 도 16은 도 1에 도시된 위조 감별 장치의 구성인 특정 광결정 패턴이 형성되는 친수성 대상물의 배경색과 광의 세기에 따라 각각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17 내지 도 20은 도 1에 도시된 위조 감별 장치의 구성인 각도 변화에 따른 광결정의 반사광 성분을 나타낸 그래프들이다.
도 21은 도 1에 도시된 위조 감별 장치의 구성인 광결정의 배열형태 및 밀집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는 도 21에 도시된 배열형태 및 밀집도에 따른 광결정의 반사광 성분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3은 도 1에 도시된 위조 감별 장치의 구성인 광결정의 배열형태 및 밀집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는 도 23에 도시된 배열형태 및 밀집도에 따른 광결정의 반사광 성분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5는 도 1에 도시된 위조 감별 장치를 이용한 위조 감별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조 감별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조 감별 장치(100)의 개략적인 구성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위조 감별 장치(100)는 인쇄모듈(110), 광원모듈(120), 반사광 감지모듈(130), 위조여부 감별모듈(140)을 포함한다.
상기 인쇄모듈(110)은 나노 파티클(151)들과 용매를 혼합하여 잉크젯 방식으로 상기 대상물(50)에 단층 나노 구조를 가지는 상기 광결정(150)을 형성시키는데, 상기 용매는 Formamide(FA) 솔벤트(solvent)(152)를 사용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솔벤트에 제한되지 않고, 휘발성을 갖는 액체를 용매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대상물(50)은 유리, 수지, 금속 등 광결정 구조 형성이 가능한 모든 재질이 사용된다.
상기 솔밴트와 상기 나노 파티클(151)들이 상기 인쇄모듈(110)로부터 상기 대상물(50)의 표면에 잉크젯(inkjet) 방식으로 인쇄되며(도 2 참조), 상기 나노 파티클(151)들은 상기 솔벤트(152)에 포함되어 존재하다가, 상기 솔벤트(152)가 증발하면서(도 3 참조), 상기 대상물(50)의 표면에 단층 나노구조를 가지도록 자기제어조립 되어 광결정(150)을 형성하고, 상기 광결정(150)은 매트릭스 패턴으로 인쇄된다.(도 4 참조).
상기 나노 파티클(151)들과 상기 솔벤트(152)를 이용해 상기 광결정(150)을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 대상물(50)의 표면은 친수성 성질을 가진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대상물(50)의 표면이 소수성일 경우 나노 파티클(151)들과 혼합된 솔벤트(152)가 상기 대상물(50)의 표면에서 좁은 표면적으로 형성된다.(도 5 참조)
따라서, 솔벤트(152)가 증발된 후 나노 파티클(151)들은 상기 대상물(50)의 표면에서 평면형(flat shape)의 단층 배열되는 것이 아니라 복수층의 돔(dome) 형상으로 형성된다.(도 6 내지 도 8 참조)
상기 광원모듈(120)은 상기 광결정(150)에 광원을 조사하고, 상기 광이 조사된 상기 광결정(150)은 반사광을 조사한다. 상기 광원모듈(120)은 상기 광원은 백색광을 조사한다.
상기 반사광 감지모듈(130)은 상기 광결정(150)으로부터 반사되는 반사광을 감지하여 감지정보를 생성한다. 즉 상기 감지정보에는 상기 반사광에 대한 색정보인 RGB 성분 정보가 포함되는 것이다.
도 13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반사광은 상기 조사된 광의 세기와 상기 광결정(150)이 형성되는 상기 대상물(50)의 표면 배경색에 따라 변화된다. 상기 대상물(50)의 표면 배경색을 어두운 색상으로 구비한 상태에서, 상기 대상물(50)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광결정(150)에 광을 조사하지 않으면, 광결정(150)의 형상은 관찰되지만, 색상은 관찰되지 않는다.(도 13 참조)
상기 대상물(50)의 표면 배경색을 어두운 색상으로 구비한 상태에서, 상기 대상물(50)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광결정(150)에 광을 조사하면, 상기 광결정(150)의 형상과 색상이 관찰된다.(도 14 참조)
상기 대상물(50)의 표면 배경색을 밝은 색상으로 구비한 상태에서, 상기 대상물(50)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광결정(150)에 광을 조사하지 않으면, 광결정(150)의 형상과 색상은 관찰되지 않는다.(도 15 참조)
상기 대상물(50)의 표면 배경색을 밝은 색상으로 구비한 상태에서, 상기 대상물(50)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광결정(150)에 광을 조사하더라도 상기 반사광을 통한 광결정(150)의 형상과 색상은 관찰되지 않는다.(도 16 참조) 따라서, 배경색과, 조사광의 세기를 조절하여 위조 감별에 이용할 수 있다.
도 17 내지 도 20을 참조하면, 상기 반사광의 성분은 반사광 감지모듈(130)이 상기 반사광을 감지하는 위치에 따라 변화되는데, 상기 반사광 감지모듈(130)을 위치를 상기 광결정(150)에 대하여 20ㅀ 각도로(도 17참조) 위치시킨 경우 반사광의 성분과(도 18 참조), 상기 반사광 감지모듈(130)의 위치를 상기 광결정(150)에 대하여 30ㅀ 각도로(도 19 참조) 위치시킨 경우 반사광의 성분(도 20 참조)은 차이가 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조건을 통해 위조 감별에 이용할 수 있다.
도 21 내지 도 24를 참조하면, 상기 반사광의 성분은 인쇄되어진 상기 광결정(150)의 수에 따라 변화된다. 상기 광결정(150)들이 단위면적 당 14개가 형성된 경우(도 21 참조) 상기 반사광의 성분과(도 22 참조), 상기 광결정(150)들이 단위면적 당 10개가 형성된 경우의(도 23 참조) 상기 반사광의 성분(도 24 참조)을 비교하여 이를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조건을 통해 위조 감별에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위조여부 감별모듈(140)은 상기 반사광 감지모듈(130)에서 생성된 상기 감지정보를 기 저장된 위조 감별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대상물(50)의 위조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감지정보에 포함된 반사광의 성분정보는 상기 조사되는 광의 세기, 상기 반사광 감지모듈(130)이 상기 반사광을 감지하는 위치, 배열, 상기 배경색을 포함하는 조건 가운데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토대로 변경됨은 이미 전술한바 있다.
따라서, 상기 조건들에 따른 상기 반사광의 성분정보들이 포함된 위조 감별정보는 메모리(미도시)에 기 저장되며, 상기 위조여부 감별모듈(140)이 상기 위조 감별정보에 기초로 상기 대상물(50)에 대응하는 상기 감지정보를 판독하고, 상기 대상물(50)의 위조와 변조여부를 판단하여 진위여부를 감별할 수 있는 것이다.
도 25는 도 1에 도시된 위조 감별 장치(100)를 이용한 위조 감별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5를 참조하면, 우선 인쇄 대상이 되는 대상물(50)을 준비한다(S110).
인쇄 모듈이 나노 파티클(151)들을 이용하여 상기 대상물(50)에 단층의 나노 구조를 가지는 광결정(150)을 형성한다(S120).
광원 모듈이 상기 광결정(150)에 광을 조사한다(S130).
반사광 감지모듈(130)이 상기 광이 조사된 상기 광결정(150)으로부터 방출되는 반사광을 감지하여 감지 정보를 생성한다(S140).
위조여부 감별모듈(140)이 상기 감지 정보를 기 저장된 위조 감별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대상물(50)의 위조 여부를 판단한다(S150)
도 2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조 감별 장치(200)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26을 참조하여, 기술적 특징이 있는 부분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대상물에 인쇄모듈을 통해 광결정(250)을 형성하는데, 여기서 상기 대상물(600은 칩모듈(260)이 구비된 플라스틱 카드 본체로 가정한다. 상기 광결정(250)을 형성시키기 전에 플라스틱의 소수성 성질을 친수성 성질로 치환하기 위해 O2 플라즈마 표면처리를 시행한다. 광원모듈(220)은 특정위치에서 상기 광결정(250)에 광을 조사하며, 상기 광이 조사된 상기 광결정(250)은 반사광을 방출한다.
반사광 감지모듈(230)은 상기 반사광을 감지하여 감지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반사광 감지모듈(230)은 상기 광결정(250) 주위의 설정된 구간을 이동(예: 회전이동, 왕복 이동, 회전 왕복 이동 등)하며 상기 반사광 감지모듈(230)의 위치별 반사광을 측정하여 상기 반사광의 성분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감지정보를 생성하는 것이다.
상기 칩모듈(260)에는 상기 광원모듈(220)의 위치, 상기 반사광 감지모듈(230)의 위치에 따른 상기 반사광의 성분정보가 포함된 위조 감별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상기 위조여부 감별모듈(240)은 상기 칩모듈(260)로부터 상기 위조 감별정보를 독출하여, 상기 반사광 감지모듈(230)로부터 획득한 상기 감지정보의 진위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50, 60 : 대상물 110, 210: 인쇄모듈
120, 220 : 광원모듈 130, 230 : 반사광 감지모듈
140, 240 : 위조여부 감별모듈 150, 250 : 광결정

Claims (11)

  1. 나노 파티클들을 이용하여 대상물에 단층의 나노 구조를 가지는 광결정을 형성하는 인쇄 모듈;
    상기 광결정에 광을 조사하는 광원모듈;
    상기 광이 조사된 상기 광결정으로부터 방출되는 반사광을 감지하여 감지 정보를 생성하는 반사광 감지모듈; 및
    상기 감지 정보를 기 저장된 위조 감별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대상물의 위조 여부를 판단하는 위조여부 감별모듈을 포함하는 위조 감별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반사광의 성분은, 상기 조사된 광의 세기에 따라 변화되는 위조 감별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반사광의 성분은, 상기 반사광 감지모듈이 상기 반사광을 감지하는 위치에 따라 변화되는 위조 감별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반사광의 성분은, 인쇄되어진 상기 광결정의 개수와 밀집도에 따라 변화되는 위조 감별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반사광의 성분은, 상기 대상물에 상기 광결정이 형성된 면의 배경색에 따라 변화되는 위조 감별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결정들은 매트릭스 구조로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 반사광의 성분은, 상기 매트릭스 구조의 피치에 따라 변화되는 위조 감별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결정은, 상기 나노 파티클들의 자기제어조립 방식을 통하여 형성되는 위조 감별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대상물의 상기 광결정이 형성되는 면이 친수성인 위조 감별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쇄모듈은, 상기 나노 파티클들을 FA 솔벤트와 혼합하여, 잉크젯 방식으로 상기 대상물을 인쇄하는 위조 감별 장치.
  10. 대상물을 준비하는 단계;
    인쇄 모듈이 나노 파티클들을 이용하여 상기 대상물에 단층의 나노 구조를 가지는 광결정을 형성하는 단계;
    광원 모듈이 상기 광결정에 광을 조사하는 단계;
    반사광 감지모듈이 상기 광이 조사된 상기 광결정으로부터 방출되는 반사광을 감지하여 감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위조여부 감별모듈이 상기 감지 정보를 기 저장된 위조 감별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대상물의 위조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조 감별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인쇄모듈은, 상기 나노 파티클들을 FA 솔벤트와 혼합하여, 잉크젯 방식으로 상기 대상물을 인쇄하는 위조 감별 방법.
KR1020140169736A 2014-12-01 2014-12-01 위조 감별 장치 및 방법 KR201600655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9736A KR20160065576A (ko) 2014-12-01 2014-12-01 위조 감별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9736A KR20160065576A (ko) 2014-12-01 2014-12-01 위조 감별 장치 및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1981A Division KR101746511B1 (ko) 2016-11-15 2016-11-15 위조 감별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5576A true KR20160065576A (ko) 2016-06-09

Family

ID=56138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9736A KR20160065576A (ko) 2014-12-01 2014-12-01 위조 감별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6557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34324A (zh) * 2018-05-29 2018-12-18 新伟智方有限公司 含光子晶体材料的防伪变造用qr码及其应用方法
KR20200060858A (ko) * 2018-11-23 2020-06-02 엔비에스티(주) 광결정 소재를 포함하는 위변조 방지용 전자태그 및 이의 활용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26766A (ko) 2012-08-23 2014-03-06 한국조폐공사 유가증서 보안요소용 광학 소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26766A (ko) 2012-08-23 2014-03-06 한국조폐공사 유가증서 보안요소용 광학 소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34324A (zh) * 2018-05-29 2018-12-18 新伟智方有限公司 含光子晶体材料的防伪变造用qr码及其应用方法
KR20200060858A (ko) * 2018-11-23 2020-06-02 엔비에스티(주) 광결정 소재를 포함하는 위변조 방지용 전자태그 및 이의 활용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49881B1 (ko) 보안 다큐먼트의 검증
EP2724332B1 (en) Systems for tracking and authenticating goods
US20130300101A1 (en) Laminated Documents and Cards Including Embedded Security Features
CN109416851B (zh) 用于利用长余辉发射来认证安全标记的方法和包含一个或多个长余辉化合物的安全标记
US20230050173A1 (en) Authentication system
JP6707926B2 (ja) 識別システム、識別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750621B2 (en) Method of authenticating security marker
US10479128B2 (en) Security feature
US10796120B2 (en) Photoluminescent authenticatio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JP6819295B2 (ja) 発光媒体および発光媒体の読み取り方法
CN105308655B (zh) 验证设备和方法
KR101746511B1 (ko) 위조 감별 장치 및 방법
US11263856B2 (en) Coded polymer substrates for banknote authentication
US10139342B2 (en) Photoluminescent authenticatio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KR20160065576A (ko) 위조 감별 장치 및 방법
US11501593B2 (en) Machine-readable polymer security threads
AU2020368043A1 (en) Security print media
CN105453145B (zh) 用于检查安全文件的安全元件的方法和设备
US20180252637A1 (en) Coded polymer substrates for banknote authentication
US9940495B2 (en) Optical reader device, tag for use on a disposable or replaceable component, optical data validation system and method for optical data validation
US20220291127A1 (en) An article comprising fluorescence marker particles and a method of identifying the same
EP1527412B1 (fr) Document de securite comportant un microcircuit integre lie a un microcircuit de mesure
CN112689838B (zh) 光致发光鉴定装置、系统和方法
CA3027466C (en) Method for authenticating a security marking utilizing long afterglow emission, and security marking comprising one or more afterglow compound
US8588506B2 (en) Image algorithms to reject undesired image featu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