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5252A - 변속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변속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5252A
KR20160065252A KR1020140168108A KR20140168108A KR20160065252A KR 20160065252 A KR20160065252 A KR 20160065252A KR 1020140168108 A KR1020140168108 A KR 1020140168108A KR 20140168108 A KR20140168108 A KR 20140168108A KR 20160065252 A KR20160065252 A KR 201600652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ge
clutch pack
wheel clutch
hydraulic pressure
re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81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대성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681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65252A/ko
Publication of KR20160065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52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4Smoothing ratio shi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 F16H3/4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using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38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 F16H61/40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hydrostatic
    • F16H61/42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hydrostatic involving adjustment of a pump or motor with adjustable output or capacity
    • F16H61/431Pump capacity control by electro-hydraulic control means, e.g. using solenoid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38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 F16H61/40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hydrostatic
    • F16H61/42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hydrostatic involving adjustment of a pump or motor with adjustable output or capacity
    • F16H61/433Pump capacity control by fluid pressure control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ar-Shifting Mech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동부와 연결되는 입력축, 입력축에 구비되는 선기어, 선기어의 일측에 베어링을 매개로 장착되는 리테이너, 리테이너의 내경면에 형성된 링기어, 선기어 및 링기어에 맞물리는 유성기어, 유성기어와 결합되는 캐리어, 캐리어와 맞물리는 출력축 기어를 갖는 출력축, 결합되는 경우 리테이너를 구속하는 1단용 외륜 클러치 팩, 결합되는 경우 리테이너와 입력축을 동기화하는 2단용 내륜 클러치 팩, 1단용 외륜 클러치 팩 및 2단용 내륜 클러치 팩을 선택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한 유압을 제공하는 유압펌프, 유압펌프에서 토출되어 1단용 외륜 클러치 팩 및 2단용 내륜 클러치 팩에 공급되는 유압을 제어하는 컨트롤러, 및 캐리어의 회전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센서를 포함하며, 컨트롤러는 속도센서에 의해 감지된 캐리어의 회전 속도를 통해 1단용 외륜 클러치 팩 및 2단용 내륜 클러치 팩에 공급되는 유압을 제어하는 변속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해, 운전자의 성향 내지 주행 조건에 따라 5톤급 굴삭기의 트랜스미션을 수동 방식(Manual) 또는 자동 방식(Automatic)으로 작동할 수 있다.

Description

변속 제어 장치{A shift control apparatus}
본 발명은 변속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장비의 경우 엔진의 출력이 일정하기 때문에 주행방향을 전환하거나 주행속도를 바꾸기 위한 변속기인 기어박스 구동장치(트랜스미션)를 필수적으로 장착하고 있다.
한편, 종래에는 "건설장비용 기어박스 구동장치(대한민국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168894호)"가 개시된바 있다. 그런데, 종래기술에 따른 건설장비용 기어박스 구동장치의 경우, 오직 수동 방식(Manual)으로만 작동하여 잦은 변속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운전자에게 불편함을 주고 있다.
KR10-1168894 B1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선택적으로 수동 방식(Manual) 또는 자동 방식(Automatic)으로 작동되는 5톤급 굴삭기의 변속 제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주행 연비가 향상된 변속 제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변속 제어 장치는, 구동부와 연결되는 입력축; 상기 입력축에 구비되는 선기어; 상기 선기어의 일측에 베어링을 매개로 장착되는 리테이너; 상기 리테이너의 내경면에 형성된 링기어; 상기 선기어 및 링기어에 맞물리는 유성기어; 상기 유성기어와 결합되는 캐리어; 상기 캐리어와 맞물리는 출력축 기어를 갖는 출력축; 결합되는 경우 상기 리테이너를 구속하는 1단용 외륜 클러치 팩; 결합되는 경우 상기 리테이너와 상기 입력축을 동기화하는 2단용 내륜 클러치 팩; 상기 1단용 외륜 클러치 팩 및 2단용 내륜 클러치 팩을 선택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한 유압을 제공하는 유압펌프; 상기 유압펌프에서 토출되어 상기 1단용 외륜 클러치 팩 및 2단용 내륜 클러치 팩에 공급되는 유압을 제어하는 컨트롤러; 및 상기 캐리어의 회전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속도센서에 의해 감지된 캐리어의 회전 속도를 통해 상기 1단용 외륜 클러치 팩 및 2단용 내륜 클러치 팩에 공급되는 유압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1단 스프링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1단용 외륜 클러치 팩을 결합하도록 가압하는 1단 피스톤; 2단 스프링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2단용 내륜 클러치 팩을 결합하도록 가압하는 2단 피스톤; 유압이 공급되면 상기 1단 피스톤을 상기 1단 스프링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형성된 1단 압력포트; 및 유압이 공급되면 상기 2단 피스톤을 상기 2단 스프링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형성된 2단 압력포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압펌프에서 토출된 유압은 솔레노이드 밸브를 통해 상기 1단 압력포트 또는 2단 압력포트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운전자에 의해 온(on)/오프(off) 조작이 가능한 파킹 스위치와 연결되며, 상기 파킹 스위치가 온(on)이 되는 경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1단 압력포트 및 2단 압력포트로 공급되는 유압을 모두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운전자에 의해 조작가능한 변속레버와 연결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변속레버의 조작에 따라 상기 1단용 외륜 클러치 팩 및 2단용 내륜 클러치 팩에 공급되는 유압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을 통해, 운전자의 성향 내지 주행 조건에 따라 트랜스미션을 수동 방식(Manual) 또는 자동 방식(Automatic)으로 작동할 수 있다.
또한, 주행 연비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트랜스미션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변속 제어 장치를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변속 제어 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트랜스미션(도 2의 10)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케이스(130)의 우측(동력이 최초 입력되는 쪽)에는 모터캐리어(118)가 직접 조립되고, 좌측에는 제1 및 제2서브케이스(131,132)가 차례로 조립되며, 제2서브케이스(132)의 바깥쪽에는 마감플레이트(133)가 장착된다.
이에, 주행모터가 연결되는 모터캐리어(118)의 반대쪽 위치에 클러치 팩을 비롯한 피스톤 및 스프링 등과 같은 각종 필수 부품들이 장착됨에 따라, 각 필수부품과 모터캐리어(118)간의 간섭 발생이 배제될 수 있고, 따라서 모터 용량이 다르게 적용되는 각 톤수별 건설장비 차량마다 모터캐리어(118)의 사양 변경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비된 케이스(130)의 내부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입력축(110)이 배열되는 바, 입력축(110)의 좌측단은 마감플레이트(133)에 베어링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입력축(110)의 우측단은 모터캐리어(118)에 결합되는 주행모터(미도시됨)측과 동력 전달을 받을 수 있게 연결된다.
상기 입력축(110)의 외경면에서 중간 위치쪽에는 하나의 유성기어셋트가 조합되어 배치되는 바, 일단 유성기어 셋트의 선기어(108)는 입력축(110)의 중간 위치쪽 외경면에 가공된다.
이때, 상기 선기어(108)의 좌측쪽에는 베어링을 매개로 입력축(110)에 회전 가능하게 리테이너(122)가 장착되며, 이 리테이너(122)의 우측단 내경면에 내접기어인 링기어(106)가 가공된다.
이에, 상기 유성기어셋트중 복수개의 유성기어(107)가 선기어(108)에 외접하며 치합되는 동시에 링기어(106)에 내접하며 치합되어진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유성기어(107)의 축에는 캐리어(109)가 일체로 연결되며, 이 캐리어(109)의 우측단부는 케이스의 내벽면에 베어링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케이스(130)의 내부에서 입력축(110)의 아래쪽에 출력축(120)이 배열되는 바, 이 출력축(120)에 일체로 형성된 출력축 기어(111)가 동력 전달을 받을 수 있게 캐리어(109)와 맞물리게 된다.
여기서, 상기 리테이너(122)의 좌측에 일체로 연장 형성된 연장단(123)과, 입력축(110)의 외경 사이 공간에 다수의 마찰판 및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2단용 내륜 클러치 팩(112)이 장착되며, 이 2단용 내륜 클러치 팩(112)의 구성중 플레이트가 리테이어(122)의 연장단(123) 내경과 입력축(110) 외경에 스플라인(124) 결합된다.
또한, 상기 2단용 내륜 클러치 팩(112)의 좌측쪽에 2단용 내륜 클러치 팩(112)의 결합 작동 및 결합 해제 작동을 위한 2단 피스톤(102,103) 및 2단 스프링(104)이 설치된다.
상기 2단 피스톤(102,203)은 입력축(110)의 좌측단부의 외경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 2단용 내륜 클러치 팩(112)을 가압시키는 구성으로서, 2단용 제1피스톤(102)과 2단용 제2피스톤(10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2단 피스톤(102,103)중 우측에 배열되는 2단용 제2피스톤(103)의 이면은 2단용 제1피스톤(102)의 전면과 밀착되고 그 정면은 2단용 내륜 클러치 팩(112)을 가압하는 부분이 되고, 반면에 2단 피스톤(102,103)중 좌측에 배열되는 2단용 제1피스톤(102)의 이면은 마감플레이트(133)에 장착되는 2단 스프링(104)에 의하여 탄성 지지된다.
상기 2단 스프링(104)은 케이스(130)의 좌측면에 장착된 마감플레이트(133)의 안쪽면에 장착되는 바, 이 2단 스프링(104)의 탄성력에 의하여 2단용 제1피스톤(102)의 이면이 밀리는 동시에 서로 접한 2단용 제2피스톤(103)도 2단용 내륜 클러치 팩(112)쪽으로 밀리게 되어, 2단용 내륜 클러치 팩(112)의 결합 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2단용 제1피스톤(102)의 전면과 2단용 제2피스톤(103)의 이면이 밀착되는 부분에는 스러스트 베어링(117)이 장착되어 서로간의 접촉 마찰이 부드럽게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2단용 내륜 클러치 팩(112)의 외측과 제1서브케이스(131)의 내경 사이공간에 다수의 마찰판 및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1단용 외륜 클러치 팩(113)이 장착되며, 이 1단용 외륜 클러치 팩(113)의 구성중 플레이트가 제1서브케이스(131)의 내경에 형성된 스플라인(119)에 삽입 결합된다.
또한, 상기 1단용 외륜 클러치 팩(113)의 좌측쪽에 1단용 외륜 클러치 팩(113)의 결합 작동 및 결합 해제 작동을 위한 1단 피스톤(100) 및 1단 스프링(105)이 설치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1단 피스톤(100)은 2단 피스톤(102,103)중 2단용 제2피스톤(103)의 외경쪽에 이격 배치되어 1단용 외륜 클러치 팩(113)을 가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제2서브케이스(132)의 내벽면과 1단 피스톤(100)의 이면 사이에는 1단 피스톤(100)을 1단용 외륜 클러치 팩(113)쪽으로 밀어주는 1단 스프링(105)이 설치되는 바, 1단 스프링(105)의 탄성력이 1단 피스톤(100)의 이면에 작용하게 되면, 1단 피스톤(100)이 1단용 외륜 클러치 팩(113)쪽을 가압하게 되어 1단용 외륜 클러치 팩(113)의 결합 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제1서브케이스(131)에는 1단 피스톤(105)을 후진시키기 위한 유압을 1단 피스톤(105)의 앞쪽공간으로 제공하는 1단 압력포트(114)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2서브케이스(132)에는 2단 피스톤(102,103)을 후진시키기 위한 유압을 2단용 제1피스톤(102)의 앞쪽공간으로 제공하는 2단 압력포트(115)가 관통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트랜스미션은 주차브레이크 기능도 겸비할 수 있다.
즉, 차량의 정지 상태에서 1단 압력포트(114) 및 2단 압력포트(115)에 유압이 해제되면, 1단 스프링(105) 및 2단 스프링(204)의 탄성력에 의해 1단 피스톤(100) 및 2단 피스톤(102,103)이 각각 1단용 외륜 클러치 팩(113)과 2단용 내륜 클러치 팩(112)을 가압하게 되어, 입력축(110)이 고정되는 상태가 되므로, 결국 입력축(110)의 동력이 출력축(120)으로 용이하게 차단되어 주차브레이크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트랜스미션의 작동 흐름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단 동력전달>
먼저, 모터 캐리어(118)에 연결된 주행모터(미도시됨)를 통해 들어오는 동력이 입력축(110)에 입력되면, 입력축(110)에 형성된 선기어(108)가 회전하고, 이 선기어(108)의 회전력은 선기어(108)와 맞물린 유성기어(107)로 전달된다.
이때, 2단 압력포트(115)를 통해 공급된 유압이 2단 피스톤(102,103)중 2단용 제1피스톤(102)의 앞쪽공간에 인가되면, 2단용 제1피스톤(102)이 후진하는 동시에 2단용 제1피스톤(102)과 접한 2단용 제2피스톤(103)이 2단용 내륜 클러치 팩(112)을 가압하지 않게 되므로, 2단용 내륜 클러치 팩(112)의 결합이 해제된 상태가 된다.
이와 함께, 1단 스프링(105)이 1단 피스톤(100)의 이면을 밀어주게 되고, 동시에 1단 피스톤(100)의 전면이 1단용 외륜 클러치 팩(113)을 가압하여, 1단용 외륜 클러치 팩(113)의 마찰판과 플레이트가 압착된다.
이렇게 제1서브케이스(131)의 내경과 리테이너(122)의 외경 사이 공간에서 스플라인(119) 결합된 1단용 외륜 클러치 팩(113)의 마찰판과 플레이트가 압착되면, 마찰판 및 플레이트와 결합된 리테이너(122)가 구속되고, 동시에 리테이너(122)의 후단 내경에 형성된 내접기어인 링기어(106)도 구속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입력축(110)으로 입력된 동력이 선기어(108)를 통해 유성기어(107)로 전달되면, 유성기어(107)는 링기어(106)를 따라 회전하게 되고, 이때의 회전력은 유성기어(107)와 일체로 연결된 캐리어(109)로 전달된다.
이에 따라, 캐리어(109)의 1단 회전 동력이 캐리어(109)와 맞물린 출력축 기어(111)로 전달됨으로써, 최종적으로 출력축 기어(111)를 일체로 갖는 출력축(120)에 1단 동력이 전달되어 진다.
<2단 동력전달>
주행모터를 통해 들어오는 동력을 입력축과 일체인 선 기어를 회전시켜 동력을 2단 스프링 힘에 의해 2단 피스톤 1, 2가 동시에 내륜 클러치 팩의 마찰판과 플레이트를 압착시켜 입력축과 링 기어가 일체가 되어 상시회전하여 캐리어 기어를 회전시켜 캐리어 기어와 맞물려 있는 출력축기어에 동력을 전달 출력축에 회전을 전달한다.
마찬가지로, 모터 캐리어(118)에 연결된 주행모터(미도시됨)를 통해 들어오는 동력이 입력축(110)에 입력되면, 입력축(110)에 형성된 선기어(108)가 회전하고, 이 선기어(108)의 회전력은 선기어(108)와 맞물린 유성기어(107)로 전달된다.
이때, 1단 압력포트(114)를 통해 공급된 유압이 1단 피스톤(100)의 앞쪽공간에 인가되면, 1단 제1피스톤(100)이후진하여 1단용 외륜 클러치 팩(113)을 가압하지 않게 되므로, 1단용 외륜 클러치 팩(113)의 결합이 해제된 상태가 된다.
이와 함께, 2단 스프링(104)이 2단 피스톤(102,103)중 2단용 제1피스톤(102)의 이면을 탄성력을 이용하여 밀어주게 되고, 동시에 2단용 제1피스톤(102)과 스러스트 베어링(117)을 매개로 접하고 있는 2단용 제2피스톤(103)이 2단용 내륜 클러치 팩(112)을 가압하여, 2단용 내륜 클러치 팩(112)의 마찰판과 플레이트가 압착된다.
이렇게 리테이너(122)의 내경과 입력축(110)의 외경 사이 공간에서 스플라인(124) 결합된 2단용 내륜 클러치 팩(112)의 마찰판과 플레이트가 압착되면, 입력축(110)과 리테이너(122)가 동기화되고, 동시에 리테이너(122)의 우측단 내경에 형성된 내접기어인 링기어(106)도 리테이너(122)와 함께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입력축(110)과 링기어(106)가 서로 동기화되면서 상시 회전을 하고, 이와 함께 입력축(110)으로 입력된 동력이 선기어(108)를 통해 유성기어(107)로 전달됨에 따라, 회전하고 있는 링기어(106)를 따라 유성기어(107)가 보다 빠르게 회전을 하여, 유성기어(107)와 일체로 된 캐리어(109)가 2단 동력전달을 위한 회전을 하게된다.
이에 따라, 캐리어(109)의 2단 회전 동력이 캐리어(109)와 맞물린 출력축 기어(111)로 전달됨으로써, 최종적으로 출력축 기어(111)를 일체로 갖는 출력축(120)에 2단 동력이 전달되어진다.
<주차브레이크 기능>
차량이 완전 정지 상태가 되면, 유압공급수단의 작동이 정지되는 동시에 1단 압력포트(114) 및 2단 압력포트(115)에 대한 유압이 해제된다.
이렇게 1단 압력포트(114) 및 2단 압력포트(115)에 인가된 유압이 해제되면, 1단 스프링(105) 및 2단 스프링(104)의 힘에 의해 1단 피스톤(100) 및 2단 피스톤(102,103)이 각각 1단용 외륜 클러치 팩(113)과 2단용 내륜 클러치 팩(112)을 가압함으로써, 리테이너(122) 및 입력축(100)을 잡아주게 됨에 따라, 입력축(100)의 동력이 출력축으로 용이하게 차단되는 주차브레이크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변속 제어 장치를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변속 제어 장치는, 트랜스미션(10), 컨트롤러(20), 밸브블록(30), 변속레버(40) 및 파킹 스위치(50)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20)는, 유압펌프(미도시)에서 토출되어 1단용 외륜 클러치 팩(113) 및 2단용 내륜 클러치 팩(112)에 공급되는 유압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컨트롤러(20)는, 캐리어(109)의 회전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센서(140)에 의해 감지된 캐리어(109)의 회전 속도를 통해 1단용 외륜 클러치 팩(113) 및 2단용 내륜 클러치 팩(112)에 공급되는 유압을 제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밸브블록(30)은, 시프팅 솔레노이드 밸브(31) 및 파킹 솔레노이드 밸브(32)를 포함할 수 있다. 시프팅 솔레노이드 밸브(31)는, 유압펌프에서 토출된 유압을 1단 압력포트(114) 또는 2단 압력포트(115)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즉, 시프팅 솔레노이드 밸브(31)는, 유압을 선택적으로 차단하거나 공급하여 트랜스미션(10)의 변속을 수행할 수 있다. 파킹 솔레노이드 밸브(32)는, 후술할 파킹 스위치(50)와 연결될 수 있다. 파킹 솔레노이드 밸브(32)는, 파킹 스위치(50)가 온(on)이 되는 경우 컨트롤러(20)의 제어에 의해 1단 압력포트(114) 및 2단 압력포트(115)로 공급되는 유압을 모두 차단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변속레버(40)는, 운전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다. 즉, 변속레버(40)는, 운전자가 수동(Manual)방식으로 변속을 조작하고자할 때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운전자에 의해 변속레버(40)가 조작되면, 컨트롤러(20)는 변속레버(40)의 조작에 따라 1단용 외륜 클러치 팩(113) 및 2단용 내륜 클러치 팩(112)에 공급되는 유압을 제어할 수 있다.
파킹 스위치(50)는, 온(on)/오프(off) 조작이 가능한 스위치일 수 있다. 파킹 스위치(50)는, 운전자에 의해 조작되어 트랜스미션(10)의 상태를 주차상태(파킹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변속 제어 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변속 제어 장치는, 운전자의 선택에 따라 수동 방식(Manual) 또는 자동 방식(Automatic)으로 작동될 수 있다. 일례로서, 운전자는 변속레버(40)를 통해 수동 방식(Manual) 또는 자동 방식(Automatic)으로 전환할 수 있다.
먼저, 수동 방식의 경우, 운전자는 변속레버(40)를 조작하고 조작된 변속레버(40)에 따라 컨트롤러(20)가 밸브블록(30)의 시프팅 솔레노이드 밸브(31)를 제어함으로써 1단 압력포트(114) 및 2단 압력포트(115)로 유입되는 유압이 제어되어 변속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자동 방식의 경우, 일례로서 운전자는 변속레버(40)를 드라이브(D) 모드에 둔 상태로 엑셀을 가압하거나 브레이크를 가압하는 방식으로 차량의 속도를 제어하면, 속도센서(140)는 캐리어(109)의 회전 속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회전 속도는 컨트롤러(20)에 전송되어 컨트롤러(20)가 밸브블록(30)의 시프팅 솔레노이드 밸브(31)를 제어함으로써 변속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20)는 기설정된 캐리어(109)의 회전 속도를 기준으로 트랜스미션(10)을 1단 또는 2단으로 변속할 수 있다. 컨트롤러(20)는, 시프팅 솔레노이드 밸브(31)를 통해 1단 압력포트(114) 및 2단 압력포트(115)로 유입되는 유압을 제어하여 1단 또는 2단으로 변속할 수 있다.
한편, 파킹 스위치(50)가 온(on)이 되는 경우에는 컨트롤러(20)가 파킹 솔레노이드 밸브(32)를 제어함으로써 트랜스미션(10)를 파킹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컨트롤러(20)는 파킹 솔레노이드 밸브(32)를 통해 1단 압력포트(114) 및 2단 압력포트(115)로 유입되는 유압을 모두 차단하여 트랜스미션(10)를 파킹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트랜스미션
20 : 컨트롤러
30 : 밸브블록
40 : 변속레버
50 : 파킹 스위치

Claims (5)

  1. 구동부와 연결되는 입력축과, 상기 입력축에 구비되는 선기어, 상기 선기어의 일측에 베어링을 매개로 장착되는 리테이너, 상기 리테이너의 내경면에 형성된 링기어, 상기 선기어 및 링기어에 맞물리는 유성기어, 상기 유성기어와 결합되는 캐리어, 상기 캐리어와 맞물리는 출력축 기어를 갖는 출력축, 결합되는 경우 상기 리테이너를 구속하는 1단용 외륜 클러치 팩, 결합되는 경우 상기 리테이너와 상기 입력축을 동기화하는 2단용 내륜 클러치 팩, 상기 1단용 외륜 클러치 팩 및 2단용 내륜 클러치 팩을 선택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한 유압을 제공하는 유압펌프, 상기 유압펌프에서 토출되어 상기 1단용 외륜 클러치 팩 및 2단용 내륜 클러치 팩에 공급되는 유압을 제어하는 컨트롤러 및 상기 캐리어의 회전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속도센서에 의해 감지된 캐리어의 회전 속도를 통해 상기 1단용 외륜 클러치 팩 및 2단용 내륜 클러치 팩에 공급되는 유압을 제어하는 변속 제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1단 스프링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1단용 외륜 클러치 팩을 결합하도록 가압하는 1단 피스톤;
    2단 스프링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2단용 내륜 클러치 팩을 결합하도록 가압하는 2단 피스톤;
    유압이 공급되면 상기 1단 피스톤을 상기 1단 스프링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형성된 1단 압력포트; 및
    유압이 공급되면 상기 2단 피스톤을 상기 2단 스프링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형성된 2단 압력포트를 더 포함하는 변속 제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펌프에서 토출된 유압은 솔레노이드 밸브를 통해 상기 1단 압력포트 또는 2단 압력포트로 공급되는 변속 제어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운전자에 의해 온(on)/오프(off) 조작이 가능한 파킹 스위치와 연결되며,
    상기 파킹 스위치가 온(on)이 되는 경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1단 압력포트 및 2단 압력포트로 공급되는 유압을 모두 차단하는 변속 제어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운전자에 의해 조작가능한 변속레버와 연결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변속레버의 조작에 따라 상기 1단용 외륜 클러치 팩 및 2단용 내륜 클러치 팩에 공급되는 유압을 제어하는 변속 제어 장치.
KR1020140168108A 2014-11-28 2014-11-28 변속 제어 장치 KR201600652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8108A KR20160065252A (ko) 2014-11-28 2014-11-28 변속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8108A KR20160065252A (ko) 2014-11-28 2014-11-28 변속 제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5252A true KR20160065252A (ko) 2016-06-09

Family

ID=56138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8108A KR20160065252A (ko) 2014-11-28 2014-11-28 변속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6525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8894B1 (ko) 2010-11-17 2012-10-30 (주)엠에스정밀 건설장비용 기어박스 구동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8894B1 (ko) 2010-11-17 2012-10-30 (주)엠에스정밀 건설장비용 기어박스 구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11287B2 (en) Dual piston transmission clutch
JP5874839B2 (ja) 変速機のブレーキ装置及びその制御システム
US9261188B2 (en) Actuator arrangement for a drive train
US7121970B2 (en) Control system for a hydro-mechanical transmission
JP3940266B2 (ja) クラッチ操作システム用油圧機構
US8491434B2 (en) Transmission assembly having variable force clutch
US20140123799A1 (en) Valve integrated park inhibit solenoid assembly
US9188224B2 (en) Gear shift arrangement with parking block and method for its activation
US20110108384A1 (en) Positively engaging shifting element which can be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ctuated
JP6003516B2 (ja) 自動変速機
KR101168894B1 (ko) 건설장비용 기어박스 구동장치
KR20160117495A (ko) 차량용 유압 시스템
US8984989B2 (en) Clutch arrangement and method for actuating same
US20170240042A1 (en) Transmission internal pto clutch and method of control
KR101012469B1 (ko) 다단 자동 변속기
US7867132B2 (en) Gear transmission
US20180172086A1 (en) Electronic clutch actuator with manual override piston
EP3419850A1 (en) Transmission internal pto clutch and method of control
US10024429B2 (en) Automatic transmission
US20190136878A1 (en) Hydraulic control system having four-position main pressure regulator
KR20160065252A (ko) 변속 제어 장치
US7413525B2 (en) Hydraulic control system for power transmission assembly
US20160290499A1 (en) Hydraulic control device of automatic transmission
KR102324433B1 (ko) 변속 시스템
KR101998305B1 (ko) 변속 제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