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4858A - Battery pack with improved safety - Google Patents

Battery pack with improved safet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4858A
KR20160064858A KR1020140169082A KR20140169082A KR20160064858A KR 20160064858 A KR20160064858 A KR 20160064858A KR 1020140169082 A KR1020140169082 A KR 1020140169082A KR 20140169082 A KR20140169082 A KR 20140169082A KR 20160064858 A KR20160064858 A KR 201600648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terminal
battery cell
battery
pack
pack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90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787633B1 (en
Inventor
오경수
구자훈
류덕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401690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7633B1/en
Publication of KR201600648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485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76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763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20Pressure-sensitive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attery pack comprises: at least one battery cell; a pack case for accommodating the battery cell; a first fixed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cell and fixed to the pack case; a second fixed terminal fixed to the pack case and connected to an external connector or an adjacent battery pack; and a bus bar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first fixed terminal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other side connected to the second fixed termina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pack case includes a pair of rotation pressing units installed to apply rupture pressure to the bus bar by being rotated by an expansion force induced by a swelling phenomenon of the battery cel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n abnormal phenomenon such as an overcurrent flowing in a battery pack due a short circuit or the like, occurs, a flow path of the current can be quickly and securely blocked, thereby securing the safety of use of a secondary battery.

Description

안전성이 강화된 배터리 팩{Battery pack with improved safety}[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pack with improved safety,

본 발명은 안전성이 강화된 배터리 팩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는 배터리 팩 내에 구비된 배터리 셀의 스웰링 현상의 발생에 따라 배터리 팩에 흐르는 과전류를 좀 더 신속히 차단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배터리 팩 구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pack with enhanced safety and, more particularly, to a battery pack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blocking an overcurrent flowing in a battery pack more quickly in response to occurrence of a swelling phenomenon of the battery cell, Structure.

비디오 카메라, 휴대용 전화, 휴대용 PC 등의 휴대용 전기 제품 사용이 활성화됨에 따라 그 구동 전원으로서 주로 사용되는 이차전지에 대한 중요성이 증가되고 있다.As the use of portable electric appliances such as video cameras, portable telephones, and portable PCs is being activated, the importance of secondary batteries, which are mainly used as driving power sources, is increasing.

통상적으로 충전이 불가능한 일차전지와는 달리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는 디지털 카메라, 셀룰러 폰, 랩탑 컴퓨터, 파워 툴, 전기 자전거,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 대용량 전력 저장 장치 등 첨단 분야의 개발로 활발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Unlike a primary battery, which can not be charged normally, a secondary battery capable of charging and discharging is active in the development of advanced fields such as a digital camera, a cellular phone, a laptop computer, a power tool, an electric bicycle, an electric vehicle, a hybrid vehicle, Research is underway.

특히, 리튬 이차전지는 기존의 납 축전지, 니켈-카드뮴 전지, 니켈-수소 전지, 니켈-아연전지 등 다른 이차전지와 비교하여 단위 중량 당 에너지 밀도가 높고 급속 충전이 가능하므로 사용의 증가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In particular,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has a higher energy density per unit weight and can be rapidly charged as compared with other secondary batteries such as lead-acid batteries, nickel-cadmium batteries, nickel-hydrogen batteries and nickel-zinc batteries. It is progressing.

리튬 이차전지는 작동 전압이 3.6V 이상으로 휴대용 전자 기기의 전원으로 사용되거나, 다수의 전지를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하여 고출력의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 파워툴, 전기 자전거, 전력저장장치, UPS 등에 사용된다.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has an operating voltage of 3.6 V or higher and can be used as a power sourc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or a plurality of batteries can be connected in series or in parallel to a high output electric vehicle, a hybrid vehicle, a power tool, an electric bicycle, Is used.

리튬 이차전지는 니켈-카드뮴 전지나 니켈-메탈 하이드라이드 전지에 비하여 작동 전압이3배가 높고, 단위 중량당 에너지 밀도의 특성도 우수하여 급속도로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has a working voltage three times higher than that of a nickel-cadmium battery or a nickel-metal hydride battery, and has an excellent energy density per unit weight, and is rapidly used.

리튬 이차전지는 전해질 종류에 따라 액체 전해질을 사용하는 리튬 이온전지와 고분자 고체 전해질을 사용하는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로 구분할 수 있다. 그리고,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는 고분자 고체 전해질의 종류에 따라 전해액이 전혀 함유되어 있지 않은 완전 고체형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와 전해액을 함유하고 있는 겔형 고분자 전해질을 사용하는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로 나눌 수 있다.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can be classified into a lithium ion battery using a liquid electrolyte and a lithium ion polymer battery using a polymer solid electrolyte depending on the type of electrolyte. The lithium ion polymer battery can be divided into a fully solid lithium ion polymer battery containing no electrolytic solution and a lithium ion polymer battery using a gel polymer electrolyte containing an electrolyte depending on the kind of polymer solid electrolyte.

액체 전해질을 사용하는 리튬 이온전지의 경우 대개 원통이나 각형의 금속 캔을 용기로 하여 용접 밀봉시킨 형태로 사용된다. 이런 금속 캔을 용기로 사용하는 캔형 이차전지는 형태가 고정되므로 이를 전원으로 사용하는 전기 제품의 디자인을 제약하는 단점이 있고, 부피를 줄이는 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전극 조립체와 전해질을 필름으로 만든 파우치 포장재에 넣고 밀봉하여 사용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In the case of a lithium ion battery using a liquid electrolyte, it is usually used in a form in which a cylinder or a rectangular metal can is used as a container and welded and sealed. Since the can type secondary battery using such a metal can as a container is fixed in shape,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it restricts the design of an electrical product using the metal can as a power source, and it is difficult to reduce the volume. Accordingly, a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in which an electrode assembly and an electrolyte are sealed in a film pouch packaging material has been developed and used.

그런데, 리튬 이차전지는 과열이 될 경우 폭발 위험성이 있어서 안전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 중의 하나이다. 리튬 이차전지의 과열은 여러 가지 원인에서 발생되는데, 그 중 하나가 리튬 이차전지를 통해 한계 이상의 과전류가 흐르는 경우를 들 수 있다. 과전류가 흐르면 리튬 이차전지가 주울열에 의해 발열을 하므로 전지의 내부 온도가 급속하게 상승한다. 또한 온도의 급속한 상승은 전해액의 분해 반응을 야기하여 열폭주 현상(thermal runaway)을 일으킴으로써 결국에는 전지의 폭발까지 이어지게 된다. 과전류는 뽀족한 금속 물체가 리튬 이차전지를 관통하거나 양극과 음극 사이에 개재된 분리막의 수축에 의해 양극과 음극 사이의 절연이 파괴되거나 외부에 연결된 충전 회로나 부하의 이상으로 인해 돌입전류(rush current)가 전지에 인가되는 경우 등에 발생된다.However, when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is overheated, there is a danger of explosion and it is an important task to secure safety. Overheating of a lithium secondary battery occurs for various reasons, for example, a case where an overcurrent flows beyond a limit through a lithium secondary battery. When the overcurrent flows,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battery rises rapidly because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generates heat by joule heat. Also, the rapid rise of the temperature causes a decomposition reaction of the electrolytic solution and causes a thermal runaway, which eventually leads to the explosion of the battery. The overcurrent is a phenomenon in which a metal object penetrates a lithium secondary battery or the insulation between an anode and a cathode is destroyed by shrinkage of a separator interposed between an anode and a cathode or a rush current Is applied to the battery.

따라서 리튬 이차전지는 과전류의 발생과 같은 이상 상황으로부터 전지를 보호하기 위해 보호회로와 결합되어 사용되며, 상기 보호회로에는 과전류가 발생되었을 때 충전 또는 방전전류가 흐르는 선로를 비가역적으로 단선시키는 퓨즈 소자가 포함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Therefore,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is used in combination with a protection circuit to protect the battery from an abnormal situation such as the occurrence of an overcurrent, and the protection circuit is provided with a fuse element for irreversibly disconnecting a line through which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flows when an over- .

도 1은 리튬 이차전지와 결합되는 보호회로의 구성 중 퓨즈 소자의 배치 구조와 동작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1 is a circuit diagram for explaining an arrangement structure and an operation mechanism of a fuse element in a structure of a protection circuit coupled to a lithium secondary battery.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회로는 과전류 발생 시 이차전지를 보호하기 위해 퓨즈 소자(1), 과전류 센싱을 위한 센스 저항(2), 과전류 발생을 모니터하여 과전류 발생 시 퓨즈 소자(1)를 동작시키는 마이크로컨트롤러(3) 및 상기 퓨즈 소자(1)에 동작 전류의 유입을 스위칭하는 스위치(4)를 포함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protection circuit includes a fuse element 1 for protecting the secondary battery when an overcurrent occurs, a sense resistor 2 for sensing an overcurrent, and a fuse element 1 for monitoring the occurrence of an overcurrent, And a switch (4) for switching the flow of an operating current into the fuse element (1).

퓨즈 소자(1)는 셀 어셈블리(B)의 최 외측 단자에 연결된 주 선로에 설치된다. 주 선로는 충전 전류 또는 방전 전류가 흐르는 배선을 말한다. 도면에는, 퓨즈 소자(1)가 고전위 선로(Pack+)에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The fuse element 1 is installed in a main line connected to the outermost terminal of the cell assembly B. The main line refers to a wiring through which charging current or discharging current flows. In the figure, the fuse element 1 is shown mounted on a high potential line (Pack +).

퓨즈 소자(1)는 3단자 소자 부품으로 2개의 단자는 충전 또는 방전 전류가 흐르는 주 선로에, 1개의 단자는 스위치(4)와 접속된다. 그리고 내부에는 주 선로와 직렬 연결되며 특정 온도에서 융단이 이루어지는 퓨즈(1a)와, 상기 퓨즈(1a)에 열을 인가하는 저항(1b)이 포함되어 있다.The fuse element 1 is a three-terminal element part, two terminals are connected to a main line through which a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flows, and on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switch 4. And a fuse 1a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main line and carpetted at a specific temperature, and a resistor 1b for applying heat to the fuse 1a.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3)는 센스 저항(2) 양단의 전압을 주기적으로 검출하여 과전류 발생 여부를 모니터하며, 과전류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스위치(4)를 턴 온시킨다. 그러면 주 선로에 흐르는 전류가 퓨즈 소자(1) 측으로 바이패스되어 저항(1b)에 인가된다. 이에 따라, 저항(1b)에서 발생된 주울열이 퓨즈(1a)에 전도되어 퓨즈(1a)의 온도를 상승시키며, 퓨즈(1a)의 온도가 융단 온도까지 오르게 되면 퓨즈(1a)가 융단됨으로써 주 선로가 비가역적으로 단선된다. 주 선로가 단선되면 과전류가 더 이상 흐르지 않게 되므로 과전류로부터 비롯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The microcontroller 3 periodically detects the voltage across the sense resistor 2 and monitors whether an overcurrent is generat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an overcurrent is generated, the microcontroller 3 turns the switch 4 on. Then, a current flowing in the main line is bypassed to the fuse element 1 and applied to the resistor 1b. Thus, the joule heat generated in the resistor 1b is conducted to the fuse 1a to raise the temperature of the fuse 1a. When the temperature of the fuse 1a rises to the fusing temperature, the fuse 1a is fused, The line is irreversibly disconnected. When the main line is disconnected, the overcurrent does not flow any more, so that the problem caused by the overcurrent can be solved.

그런데,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은 여러 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즉, 마이크로컨트롤러(3)에서 고장이 생기면 과전류가 발생된 상황에서도 스위치(4)가 턴온되지 않는다. 이런 경우 퓨즈 소자(1)의 저항(1b)으로 전류가 유입되지 않으므로 퓨즈 소자(1)가 동작을 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또한 보호회로 내에 퓨즈 소자(1)의 배치를 위한 공간이 별도로 필요하고 퓨즈 소자(1)의 동작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알고리즘이 마이크로컨트롤러(3)에 반드시 적재되어야 한다. 따라서 보호회로의 공간 효율성이 저하되고 마이크로컨트롤러(3)의 부하를 증가시키는 단점이 있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techniques have various problems. That is, if a failure occurs in the microcontroller 3, the switch 4 is not turned on even when an overcurrent is generated. In this case, since the current does not flow into the resistor 1b of the fuse element 1,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use element 1 does not operate. Further, a space for arranging the fuse element 1 in the protection circuit is separately required, and a program algorithm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fuse element 1 must be loaded in the microcontroller 3. Therefore, the space efficiency of the protection circuit is lowered and the load of the microcontroller 3 is increased.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보호회로의 능동적인 과전류 차단 기능과는 별도로 이차전지 자체에서 수동 방식의 과전류 차단 기능을 구현하되, 이러한 과전류의 차단이 안정적으로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배터리 팩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overcurrent shutoff function of a passive type in a secondary battery itself separately from an active overcurrent shutoff function of a protection circuit, And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battery pack structure.

다만,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matter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은,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셀; 상기 배터리 셀을 수용하는 팩 케이스; 상기 배터리 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팩 케이스에 고정되는 제1 고정 단자; 상기 팩 케이스에 고정되며 외부 커넥터 또는 인접한 배터리 팩과 연결되는 제2 고정 단자; 및 길이 방향 일 측은 상기 제1 고정 단자에 연결되고, 길이 방향 타 측은 상기 제2 고정 단자에 연결되는 버스 바; 를 포함하며, 상기 팩 케이스는, 상기 배터리 셀의 스웰링 현상에 따른 팽창력에 의해 회동되어 상기 버스 바에 파단 압력을 가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회동 가압부를 구비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attery pack comprising: at least one battery cell; A pack case for accommodating the battery cell; A first fixed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cell and fixed to the pack case; A second fixed terminal fixed to the pack case and connected to an external connector or an adjacent battery pack; A bus bar having one longitudinal side connected to the first fixed terminal and the other longitudinal side connected to the second fixed terminal; The pack case includes a pair of pivotal pushing portions that are pivoted by the expansion force of the battery cell due to the swelling phenomenon and are provided to apply a breaking pressure to the bus bar.

상기 한 쌍의 회동 가압부는, 상기 팩 케이스의 본체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 될 수 있다.The pair of pivotal pressing portions may be hinged to the main body of the pack case to be pivotable.

상기 한 쌍의 회동 가압부 각각은, 회동 시에 상기 제1 고정 단자 또는 제2 고정 단자가 회동 가압부와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상기 제1 고정 단자 또는 제2 고정 단자가 삽입되는 간섭 회피 슬릿을 구비할 수 있다.Each of the pair of pivotal pressing portions includes an interference avoiding slit in which the first fixed terminal or the second fixed terminal is inserted so that the first fixed terminal or the second fixed terminal does not interfere with the pivotal pressing portion during rotation can do.

상기 한 쌍의 회동 가압부는, 상기 배터리 셀의 스웰링 현상이 발생되는 경우 배터리 셀의 스웰링 면의 중심부가 팩 케이스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직접 버스 바를 가압할 수 있도록 서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The pair of pivotal pressing portions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that the center of the swelling surface of the battery cell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pack case and can directly press the bus bar when a swelling phenomenon of the battery cell occurs.

상기 제2 고정 단자는, 외부 기기 또는 인접한 다른 배터리 팩과 연결될 수 있다.The second fixed terminal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or another adjacent battery pack.

한편,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을 탑재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attery p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자동차는, EV, HEV 및 PHEV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The automobile may be any one of EV, HEV, and PHEV.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단락 등을 이유로 배터리 팩에 과전류가 흐르는 등의 이상현상이 발생되는 경우 전류의 이동 경로를 신속하고 확실하게 차단함으로써 이차전지 사용상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n abnormal phenomenon such as an overcurrent flows in the battery pack due to a short circuit or the like, the current path of the current can be quickly and surely blocked, thereby securing safety in use of the secondary battery.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리튬 이차전지와 결합되는 보호회로의 구성 중 퓨즈 소자의 배치 구조와 동작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배터리 팩의 과전류 차단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배터리 팩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orporated in and constitute a part of the specification,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given below, serve to further the understanding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invention.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1 is a circuit diagram for explaining an arrangement structure and an operation mechanism of a fuse element in a structure of a protection circuit coupled to a lithium secondary battery.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a battery p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an overcurrent cutoff process of the battery pack shown in FIG. 2. Referring to FIG.
FIG. 4 is a view showing a part of the battery pack shown in FIG. 3.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and the inventor should appropriately interpret the concepts of the terms appropriately It should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10)을 설명하기로 한다.2 to 4, a battery pack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배터리 팩의 과전류 차단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배터리 팩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a battery p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an overcurrent cutoff process of the battery pack shown in FIG. 2, Fig. 6 is a view showing a part of the battery pack shown in Fig.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10)은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셀(11), 팩 케이스(12), 제1 회동 가압부(13), 제2 회동 가압부(14), 제1 고정 단자(15), 제2 고정 단자(16) 및 버스 바(17)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2 to 4, a battery pack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one battery cell 11, a pack case 12, a first rotation pushing portion 13, A first fixed terminal 15, a second fixed terminal 16, and a bus bar 17, as shown in FIG.

상기 배터리 셀(11)은, 전기화학 반응에 의해 전력을 생산하는 것으로서, 반복적인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에 해당한다.The battery cell 11 corresponds to a secondary battery capable of repeatedly charging / discharging, which generates electric power by an electrochemical reaction.

상기 배터리 셀(11)로는, 예를 들어, 파우치 타입의 배터리 셀이 이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파우치 타입의 배터리 셀은 전극 조립체,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며 밀봉되는 파우치 케이스 및 전극 조립체와 연결되어 파우치 케이스 케이스의 외부로 인출되는 전극 리드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For example, a battery cell of a pouch type may be used as the battery cell 11. The battery cell of the pouch type may be connected to an electrode assembly, a pouch case which is sealed to receive the electrode assembly and an electrode assembly, And an electrode lead which is drawn out to the outside of the case.

상기 팩 케이스(12)는 내부 공간에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셀(11)을 수용하는 것이다. 상기 팩 케이스(12)는, 단락 등으로 인한 배터리 셀(11) 내부의 이상 반응으로 인해 배터리 셀(11)이 팽창하는 스웰링(Swelling) 현상이 발생되는 경우 배터리 셀(11)의 부풀어 오른 면에 의한 압력에 따라 배터리 팩(10)의 외측을 향해 회동됨으로써 버스 바(17)를 가압하는 제1 회동 가압부(14) 및 제2 회동 가압부(15)를 구비한다.The pack case 12 accommodates at least one battery cell 11 in an inner space. The swelling of the battery cell 11 due to a short-circuit or the like may cause swelling of the battery cell 11 due to an abnormal reaction in the battery cell 11, (14) and a second rotary pressing portion (15) for pressing the bus bar (17) by being rotated toward the outside of the battery pack (10) in accordance with the pressure by the first rotary pressing portion

한 쌍의 상기 회동 가압부(13,14)는 스웰링 시에 팽창되는 배터리 셀(11)의 팽창 면과 대면하며, 스웨링 시에 배터리 셀(11)의 팽창 면 중심부가 팩 케이스(12)의 외측으로 노출됨으로써 버스 바(17)를 직접 가압할 수 있도록 상호 이격되어 있다.A pair of the pivotal pressing portions 13 and 14 face the expansion surface of the battery cell 11 that is expanded at the time of swelling and the central portion of the expansion surface of the battery cell 11 is in contact with the pack case 12 at the time of swing. So that the bus bars 17 can be directly pressed against each other.

한편, 이러한 회동 가압부(13,14)는 팩 케이스 본체에 힌지결합 방식으로 결합되어 결합부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동될 수 있다.The pivot pressing portions 13 and 14 are coupled to the pack case body in a hinged manner, and can be pivoted with the coupling portion as a rotation axis.

즉, 상기 배터리 팩(10)은, 배터리 셀(11)의 스웰링 현상 발생 시에 회동 가압부(14,15)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통해 배터리 셀(11)의 팽창 면이 버스 바(17)를 가압할 뿐만 아니라, 배터리 셀(11)의 팽창 면과 대면하는 회동 가압부(13,14)가 팩 케이스 본체와의 결합 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됨으로써 버스 바(17)를 가압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That is, when the battery cell 11 is swelled, the expansion surface of the battery cell 11 is separated from the bus bar 17 through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rotation pressing portions 14, (13, 14) facing the expansion surface of the battery cell (11) are pivoted around the joint portion with the pack case body, thereby pressing the bus bar (17) .

여기서, 팩 케이스 본체라 함은, 팩 케이스(11) 중 회동 가압부(13,14)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일컫는 용어에 해당하는 것이다.Here, the pack case main body corresponds to the term of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pack case 11 except for the rotation pushing portions 13 and 14. [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10)은 스웰링 현상이 발생되는 경우에 있어서, 배터리 셀(11)의 팽창된 면과 팩 케이스(12)의 일부에 해당하는 한 쌍의 회동 가압부(13,14) 각각의 단부가 동시에 버스 바(17)를 가압함으로써 버스 바(17)의 신속하고도 확실한 파단을 유도할 수 있는 것이다(도 3 참조).As described above, when the swelling phenomenon occurs, the battery pack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when the swelling phenomenon occurs, a pair of rotations corresponding to the expanded surface of the battery cell 11 and a part of the pack case 12 The ends of each of the pressing portions 13 and 14 press the bus bar 17 at the same time, so that the bus bar 17 can be promptly and reliably broken (see Fig. 3).

상기 제1 고정 단자(15)는 팩 케이스 본체에 고정되며, 배터리 셀(1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2 고정 단자(16)는 제1 고정 단자(15)와 마찬가지로 팩 케이스 본체에 고정되며, 버스 바(17)를 통해 제1 고정 단자(16)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2 고정 단자(16)에는 외부 기기 또는 인접한 다른 배터리 팩이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fixed terminal 15 is fixed to the pack case body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cell 11. The second fixed terminal 16 is fixed to the pack case body in the same manner as the first fixed terminal 15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fixed terminal 16 through the bus bar 17. An external device or another adjacent battery pack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fixed terminal 16.

즉, 상기 배터리 팩(10)에 있어서, 제2 고정 단자(16)는 버스 바(17) 및 제1 고정 단자(15)를 통해 배터리 셀(11)과 전기적 연결상태를 유지하면서 외부 단자로서 기능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in the battery pack 10, the second fixed terminal 16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cell 11 through the bus bar 17 and the first fixed terminal 15, You can do it.

한편, 상기 제1 고정 단자(15) 및 제2 고정 단자(16)는 각각 제1 회동 가압부(13) 및 제2 회동 가압부(14)의 회동 시에도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며 버스 바(17)를 지지하고 있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회동 가압부(14, 15)의 회동 시에도 회동 가압부(13,14)와 간섭을 일으키지 않아야 한다.The first fixed terminal 15 and the second fixed terminal 16 are fixed to the first fixed pressing portion 13 and the second fixed pressing portion 14 when the first fixed pressing portion 13 and the second fixed pressing portion 14 are rotated, 17, and for this purpose, the rotation pressing portions 14, 15), it should not interfere with the rotation pressing portions (13, 14).

이를 위해 제1 회동 가압부(13)는 제1 고정 단자(15)가 삽입 관통될 수 있는 제1 간섭 회피 슬릿(13a)을 구비하고, 마찬가지로 제2 회동 가압부(14)는 제2 고정 단자(16)가 삽입 관통될 수 있는 제2 간섭 회피 슬릿(16a)을 구비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도 4 참조).To this end, the first rotation pushing portion 13 includes a first interference avoiding slit 13a through which the first stationary terminal 15 can be inserted. Similarly, the second rotation pushing portion 14 includes a second stationary terminal 15, And a second interference avoiding slit 16a through which the antenna 16 can be inserted (see Fig. 4).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10)은 이상 현상에 따른 배터리 셀(11)의 스웰링 현상 발생 시에 배터리 셀(11)의 팽창 면이 버스 바(17)를 가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팩 케이스(12)의 일부가 배터리 셀(11)의 스웰링 현상에 따른 압력에 의해 버스 바(17)를 추가적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battery pack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welling phenomenon of the battery cell 11 occurs due to an abnormal phenomenon, the expansion surface of the battery cell 11 contacts the bus bar 17 A part of the pack case 12 is configured to further pressurize the bus bar 17 by the pressure caused by the swelling phenomenon of the battery cell 11. [

이러한 가압 구조는 버스 바(17)의 신속하고도 정확한 파단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배터리 팩(10)에 과전류가 흘러 발화나 폭발 등의 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Such a pressing structure allows fast and accurate breakage of the bus bar 17, so that an overcurrent flows through the battery pack 10 to prevent an accident such as ignition or explosion from occurring.

또한, 이처럼 높은 안전성을 갖는 배터리 팩(10)은, 특히 고전압이 요구되며 잦은 충/방전이 반복되는 EV(Electric Vehicle), HEV(Hybrid Electric Vehicle) 또는 PHEV(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등에 적용되는 경우 더욱 큰 가치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The battery pack 10 having such a high safety is applied to an electric vehicle (EV), a hybrid electric vehicle (HEV), or a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PHEV), in which a high voltage is required and frequent charging / It will be able to have even greater value.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details thereof 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 배터리 팩
11: 배터리 셀
12: 팩 케이스
13: 제1 회동 가압부
13a: 제1 간섭 회피 슬릿
14: 제2 회동 가압부
14a: 제2 간섭 회피 슬릿
15: 제1 고정 단자
16: 제2 고정 단자
17: 버스 바
10: Battery pack
11: Battery cell
12: Pack case
13: first rotating pressing part
13a: first interference avoiding slit
14: Second rotary pressing portion
14a: second interference avoiding slit
15: first fixed terminal
16: second fixed terminal
17: Bus bar

Claims (7)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셀;
상기 배터리 셀을 수용하는 팩 케이스;
상기 배터리 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팩 케이스에 고정되는 제1 고정 단자;
상기 팩 케이스에 고정되며 외부 커넥터 또는 인접한 배터리 팩과 연결되는 제2 고정 단자; 및
길이 방향 일 측은 상기 제1 고정 단자에 연결되고, 길이 방향 타 측은 상기 제2 고정 단자에 연결되는 버스 바; 를 포함하며,
상기 팩 케이스는,
상기 배터리 셀의 스웰링 현상에 따른 팽창력에 의해 회동되어 상기 버스 바에 파단 압력을 가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회동 가압부를 구비하는 배터리 팩.
At least one battery cell;
A pack case for accommodating the battery cell;
A first fixed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cell and fixed to the pack case;
A second fixed terminal fixed to the pack case and connected to an external connector or an adjacent battery pack; And
A bus bar having one longitudinal side connected to the first fixed terminal and the other longitudinal side connected to the second fixed terminal; / RTI >
The pack case includes:
And a pair of pivotal pushing portions that are pivoted by the expansion force of the battery cell in accordance with a swelling phenomenon and are provided to apply a breaking pressure to the bus ba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회동 가압부는,
상기 팩 케이스의 본체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air of pivotal pressing portions comprises:
Wherein the battery pack is hinged to the main body of the pack case and is rotat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회동 가압부 각각은,
회동 시에 상기 제1 고정 단자 또는 제2 고정 단자가 회동 가압부와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상기 제1 고정 단자 또는 제2 고정 단자가 삽입되는 간섭 회피 슬릿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each of the pair of pivotal pressing portions includes:
And an interference avoiding slit in which the first fixed terminal or the second fixed terminal is inserted so that the first fixed terminal or the second fixed terminal does not interfere with the pivotal pressing portion during rot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회동 가압부는,
상기 배터리 셀의 스웰링 현상이 발생되는 경우 배터리 셀의 스웰링 면의 중심부가 팩 케이스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직접 버스 바를 가압할 수 있도록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air of pivotal pressing portions comprises:
Wherein a central portion of the swelling surface of the battery cell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pack case when the swelling phenomenon of the battery cell occurs, so that the center portion of the swelling surface of the battery cell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as to directly press the bus ba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 단자는,
외부 기기 또는 인접한 다른 배터리 팩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fixed terminal comprises:
And is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or another adjacent battery pack.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배터리 팩이 탑재된 자동차.An automobile on which the battery pack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is mounted. 제6항에 있어서,
EV, HEV 및 PHEV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EV, HEV, and PHEV.
KR1020140169082A 2014-11-28 2014-11-28 Battery pack with improved safety KR10178763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9082A KR101787633B1 (en) 2014-11-28 2014-11-28 Battery pack with improved safe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9082A KR101787633B1 (en) 2014-11-28 2014-11-28 Battery pack with improved safet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4858A true KR20160064858A (en) 2016-06-08
KR101787633B1 KR101787633B1 (en) 2017-11-15

Family

ID=56193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9082A KR101787633B1 (en) 2014-11-28 2014-11-28 Battery pack with improved safet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7633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6245A (en) * 2017-09-27 2019-04-04 주식회사 엘지화학 Battery module, battery pack and vehicle comprising the same
US11031650B2 (en) 2017-09-29 2021-06-08 Lg Chem, Ltd.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compris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4179B1 (en) * 2011-11-09 2013-08-0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Apparatus for preventing overcharge batter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6245A (en) * 2017-09-27 2019-04-04 주식회사 엘지화학 Battery module, battery pack and vehicle comprising the same
US11031650B2 (en) 2017-09-29 2021-06-08 Lg Chem, Ltd.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compris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7633B1 (en) 2017-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68477C2 (en) Accumulator battery of middle or large size of increased security
JP5804540B2 (en) Battery pack with improved safety
KR101433199B1 (en) Battery module and Busbar applied for battery module
KR101690295B1 (en) Overcurrent shut-off device and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KR101383167B1 (en) Battery Pack of Improved Safety
KR101715695B1 (en) Battery pack and inter-busbar applied for the same
KR20180091446A (en) Battery pack and busbar applied for the same
JP7037019B2 (en) Battery module with connector breaker
KR101370264B1 (en) Soldering connector, and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comprising the same
KR101812273B1 (en) Battery module including bus bar for cutting off current flowing
JP6505259B2 (en) battery pack
JP2014533424A (en) Battery pack with improved safety
KR20180064221A (en)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module
KR20140064093A (en) Battery module with improved safety and bus bar applied for the same
KR20180119319A (en) Battery cell with improved safety
KR20150045241A (en) Battery cell equipped with disconnection device, and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comprising the same
KR101787633B1 (en) Battery pack with improved safety
KR20150062688A (en) Battery cell,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comprising the same
KR101486927B1 (en) Battery module and terminal assembly applied for the same
KR10126287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tecting battery pack by detecting swelling phenomenon of battery cell
KR20140129600A (en) Secondary battery and Component for secondary battery applied for it
KR20110037378A (en) Rechargeable lithium ion battery pack using battery management system and swelling detecting apparatus
KR102059608B1 (en) Electrical Element Having Coupling Part Available for Disconnection by Heat
KR20140008908A (en) Connecting element for secondary battery,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compri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