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4616A - 문신 인쇄 장치 - Google Patents

문신 인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4616A
KR20160064616A KR1020140168438A KR20140168438A KR20160064616A KR 20160064616 A KR20160064616 A KR 20160064616A KR 1020140168438 A KR1020140168438 A KR 1020140168438A KR 20140168438 A KR20140168438 A KR 20140168438A KR 20160064616 A KR20160064616 A KR 201600646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
tattoo
light source
skin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8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규진
정상욱
배희호
장상현
Original Assignee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68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64616A/ko
Publication of KR201600646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46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76Tattooing apparat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nesthesiology (AREA)
  • Vir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문신 인쇄 장치는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기 개구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 롤러부; 상기 회전 롤러부의 외측면에 설치되고, 문신용 잉크를 피부에 배출하는 복수의 잉크 배출 니들; 상기 잉크 배출 니들에 문신용 잉크를 공급하는 잉크 공급부; 상기 잉크 배출 니들에서 배출되는 문신용 잉크에 광을 조사하여 경화시키는 경화용 광원; 및 복수의 상기 잉크 배출 니들에 문신용 잉크가 공급되도록 상기 잉크 공급부를 제어하고, 상기 경화용 광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문신 인쇄 장치{tattoo printing apparatus}
본 개시(disclosure)는 문신 인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신속하고 용이하게 문신을 새길 수 있는 문신 인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체의 피부는 사람의 외관을 형성한다. 피부에는 문신이 새겨질 수 있다. 시술자가 문신용 바늘에 문신용 잉크를 묻힌 후 문신용 바늘을 피부에 침투시킨다. 이러한 과정을 반복함에 의해 피부에 특정 문양의 문신이 새겨진다.
그러나, 문신용 바늘에 잉크를 묻히고 피부에 침투시키는 과정이 장시간에 걸쳐 수행되므로, 문신 시술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문신 시술 시간이 장기화됨에 따라 피시술자의 고통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피시술자의 진피에 문신이 시술되므로, 한번 새겨진 문신은 제거하기가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문신 시술 시간이 장기화됨에 따라 문신 시술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문신용 바늘을 이용하여 피부에 문신을 새기므로, 숙달된 시술자만이 피부에 문신을 새길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는, 신속하고 용이하게 문신을 새길 수 있는 문신 인쇄 장치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르는 문신 인쇄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문신 인쇄 장치는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기 개구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 롤러부; 상기 회전 롤러부의 외측면에 설치되고, 문신용 잉크를 피부에 배출하는 복수의 잉크 배출 니들; 상기 잉크 배출 니들에 문신용 잉크를 공급하는 잉크 공급부;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잉크 배출 니들에서 배출되는 잉크에 광을 조사하여 문신용 잉크를 경화시키는 경화용 광원; 및 복수의 상기 잉크 배출 니들에 해당 색상의 문신용 잉크가 공급되도록 상기 잉크 공급부를 제어하고, 상기 경화용 광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의 다른 측면에 따르는 문신 인쇄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문신 인쇄 장치는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기 개구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 롤러부; 상기 회전 롤러부의 외측면에 설치되고, 문신용 잉크를 피부에 배출하는 복수의 잉크 배출 니들; 상기 잉크 배출 니들에 문신용 잉크를 공급하는 잉크 공급부; 상기 회전 롤러부에 설치되고, 상기 잉크 배출 니들에서 배출되는 문신용 잉크에 광을 조사하여 문신용 잉크를 경화시키는 경화용 광원; 및 복수의 상기 잉크 배출 니들에 해당 색상의 문신용 잉크가 공급되도록 상기 잉크 공급부를 제어하고, 상기 경화용 광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는 문신 인쇄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문신 인쇄 장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일측면에 설치되고, 문신용 잉크를 피부에 배출하는 복수의 잉크 배출 니들; 상기 잉크 배출 니들에 문신용 잉크를 공급하는 잉크 공급부; 상기 케이스의 일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잉크 배출 니들에서 배출되는 잉크에 광을 조사하여 문신용 잉크를 경화시키는 경화용 광원; 및 복수의 상기 잉크 배출 니들에 해당 색상의 문신용 잉크가 공급되도록 상기 잉크 공급부를 제어하고, 상기 경화용 광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에 따르면, 케이스가 피부를 따라 이동됨에 따라 회전 롤러부가 회전되면서 피부에 문신을 형성하므로, 문신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르면, 케이스를 이동시키면 회전 롤러부가 회전되면서 피부에 문신이 형성되므로, 숙달되지 않은 시술자나 또는 본인 스스로 피부에 문신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르면, 문신 시술 시간이 단축될 수 있으므로, 피시술자가 짧은 시간 동안만 고통을 느끼게 할 수 있고, 문신의 시술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르면, 표피를 흑화시켜 문신을 형성하므로, 표피가 자연적으로 탈리하는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시술한 문신이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제1 실시 예에 따르는 문신 인쇄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제1 실시 예에 따르는 문신 인쇄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제1 실시 예에 따르는 문신 인쇄 장치의 잉크 공급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제1 실시 예에 따르는 문신 인쇄 장치에서 회전 롤러부와 잉크 배출 니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제2 실시 예에 따르는 문신 인쇄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제2 실시 예에 따르는 문신 인쇄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제2 실시 예에 따르는 문신 인쇄 장치에서 회전 롤러부, 잉크 배출 니들 및 경화용 광원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제3 실시 예에 따르는 문신 인쇄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제3 실시 예에 따르는 문신 인쇄 장치에서 회전 롤러부와 잉크 배출 니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제4 실시 예에 따르는 문신 인쇄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제4 실시 예에 따르는 문신 인쇄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제5 실시 예에 따르는 문신 인쇄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제5 실시 예에 따르는 문신 인쇄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개시에 개시된 기술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에서 각 장치의 구성요소를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상기 구성요소의 폭이나 두께 등의 크기를 다소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본 명세서에서 일 요소가 다른 요소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하는 것으로 언급되는 경우, 이는 상기 일 요소가 다른 요소 '위' 또는 '아래'에 바로 위치하거나 또는 그들 요소들 사이에 추가적인 요소가 개재될 수 있다는 의미를 모두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부' 또는 '하부' 라는 용어는 관찰자의 시점에서 설정된 상대적인 개념으로, 관찰자의 시점이 달라지면, '상부' 가 '하부'를 의미할 수도 있고, '하부'가 '상부'를 의미할 수도 있다.
복수의 도면들 상에서 동일 부호는 실질적으로 서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또,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기술되는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상술하는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은 문신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새길 수 있는 문신 인쇄 장치를 제시한다.
먼저, 본 개시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문신 인쇄 장치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제1 실시 예에 따르는 문신 인쇄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개시의 제1 실시 예에 따르는 문신 인쇄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개시의 제1 실시 예에 따르는 문신 인쇄 장치의 잉크 공급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개시의 제1 실시 예에 따르는 문신 인쇄 장치에서 회전 롤러부와 잉크 배출 니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문신 인쇄 장치는 케이스(110), 회전 롤러부(120), 복수의 잉크 배출 니들(130), 잉크 공급부(140), 경화용 광원(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한다.
케이스(110)에는 일측(도 2의 하측)에 개구부(113)가 형성된다. 개구부(113)는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케이스(110)는 전체적으로 직사각 박스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110)의 폭은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회전 롤러부(120)는 케이스(110)의 개구부(113)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회전 롤러부(120)의 양측에는 회전축(미도시)이 결합되고, 회전축이 케이스(110)에 고정될 수 있다. 일 예로서, 회전 롤러부(120)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회전 롤러부(120)의 길이는 피부가 모두 접촉될 수 있도록 적절한 길이로 설계된다.
복수의 잉크 배출 니들(130)은 회전 롤러부(120)의 외측면에 설치된다. 잉크 배출 니들(130)은 문신용 잉크를 피부에 배출한다. 복수의 잉크 배출 니들(130)이 피부에 문신용 잉크를 배출하므로, 피부에 문신 문양이 새겨질 수 있다. 문신용 잉크는 자외선에 의해 경화되고, 전도성 또는 비전도성 잉크이다.
피부는 표피와 진피를 포함한다. 표피는 1개월 정도 지나면 벗겨지고 새로운 표피가 재생된다. 진피는 표피 밑에 존재하고, 피부로부터 벗겨지지 않는다.
잉크 배출 니들(130)은 회전 롤러부(120)의 외측면에 매트릭스 형태(matrix)로 배치될 수 있다. 잉크공급부(140)의 노즐부(144)가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는 잉크 배출 니들(130)에 개별적으로 잉크를 공급함으로써,각각의 잉크 배출 니들(130)은 별개 색상의 잉크를 배출할 수 있다. 따라서, 잉크 배출 니들(130)에 의해 피부에 다양한 형태의 문신이 새겨질 수 있다.
잉크 배출 니들(130)의 배출부(133)는 피부에 침투되도록 회전 롤러부(120)의 외측면에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때, 잉크 배출 니들(130)의 배출부(133)는 표피에만 침투될 수 있는 높이로 돌출되도록 구성되어,피부와의 접촉 시표피에 문신용 잉크를 배출할 수 있다. 피부의 표피에 문신용 잉크가 투입되면 표피에 문신이 새겨지므로, 문신이 표피가 벗겨질 때까지 거의 1개월 동안 그대로 유지된다. 또한, 잉크 배출 니들(130)의 배출부(133)는 진피에 침투될 수 있는 높이로 조절 가능하거나 각각의 높이 별로 돌출되도록 교체 가능하게 설치되어 피부의 진피에 문신용 잉크를 배출할 수도 있다. 이때, 일부 영역의 잉크 배출 니들의 높이는 다른 일부 영역의 잉크 배출 니들의 높이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피부의 진피에 문신용 잉크가 투입되면 진피에 문신이 새겨지므로, 문신이 영구적으로 유지된다. 따라서, 잉크 배출 니들(130)의 배출부(133)의 돌출 높이는 문신 용도에 따라 피부의 표피 또는 진피에 문신용 잉크를 배출할 수 있도록 적절하게 높이 조절이 가능하거나 적절한 높이 또는 서로 다른 높이로 설계된 잉크 배출 니들 유닛으로 교체 가능하다. 잉크 배출 니들(130)이 높이 조절됨에 따라 하나의 문신에서 일부 영역은 영구히 보존되고 다른 일부 영역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사라지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잉크 배출 니들(130)은 내측에 잉크 유로(132)가 형성되는 튜브 형태로 형성된다. 잉크 배출 니들(130)의 배출부(133)는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피부에 용이하게 침투될 수 있다. 또한, 배출부(133)가 테이퍼지게 형성되므로 피부에서 용이하게 빠질 수도 있다. 따라서, 잉크 배출 니들(130)이 피부에 침투되거나 빠질 때에 고통이 완화되게 할 수 있다.
잉크 공급부(140)는 잉크 배출 니들(130)에 문신용 잉크를 공급한다. 잉크 공급부(140)는 잉크 배출 니들(130)에 인접하여 회전 롤러부(12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잉크 공급부(140)는 통로부(142)가 형성되는 헤드부(141)와, 통로부(142)에 연결되는 배출 챔버부(144)와, 배출 챔버부(144)에 배치되어 배출 챔버부(144)에 분사 압력을 작용하는 액츄에이터(146)와, 배출 챔버부(144)에 연결되어 문신용 잉크를 분사하는 노즐부(148)를 포함한다. 노즐부(148)는 잉크 배출 니들(230)의 각각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잉크 공급부(140)는 반도체 제조 공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액츄에이터(146)로는 압전소자를 적용할 수 있다. 노즐부(148)에는 잉크 배출 니들(130)이 연결된다. 액츄에이터(146)가 구동되면, 배출 챔버부(144)의 문신용 잉크가 노즐부(148)와 잉크 배출 니들(130)로 배출된다. 이러한 잉크 공급부(140)는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잉크 공급부(140)의 배출 챔버부(144)에는 알코올 유로부(149a)에 의해 알코올 공급부(149)가 연결된다. 알코올 공급부(149)는 잉크 공급부(140)의 배출 챔버부(144)에 알코올을 공급하여 잉크 배출 니들(130)을 통해 알코올이 배출되도록 한다. 잉크 배출 니들(130)의 문신용 잉크는 경우에 따라서는 UV-B 광 또는 UV-C 광에 의해 살균이 가능하나 잉크 배출 니들(130)에 잔류되는 문신용 잉크가 경화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이 경우, 알코올을 잉크 공급부(140)의 배출 챔버부(144)에 공급하여 모든 잉크 배출 니들(130)을 통해서 알코올이 배출되어 UV-B 광 또는 UV-C 광에 의해 잉크 배출 니들(130)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알코올이 모든 잉크 배출 니들(130)을 통해 배출되므로, 피와 같은 오염물질이 잉크 배출 니들(130)의 내부를 막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경화용 광원(150)은 회전 롤러부(120)와 인접하여 위치하는 케이스(110)의 일측에 설치된다. 경화용 광원은 잉크 배출 니들(130)에서 배출되는 문신용 잉크에 광을 조사하여 문신용 잉크를 경화시킨다. 문신용 잉크가 경화됨에 따라 문신용 잉크가 표피나 진피에 착색된다. 또한, 문신용 잉크가 광에 의해 경화되므로, 문신용 잉크가 피부로부터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경화용 광원(150)은 회전 롤러부(120)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회전 롤러부(120)가 회전됨에 따라 잉크 배출 니들(130)이 피부에 문신용 잉크를 배출하고, 경화용 광원(150)이 뒤따르면서 피부에 광을 조사하여 문신용 잉크를 경화시킨다. 이때, 경화용 광원이 조사하는 광의 파장, 시간, 세기에 따라 잉크의 경화뿐만 아니라 피부의 태닝(tanning) 효과를 동반할 수 있다.
경화용 광원(150)은 복수의 발광 엘이디가 일렬 또는 복수 열로 배열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경화용 광원(150)은 경화용 광원(150)은 UV-A 광을 조사하는 자외선 엘이디(153)일 수 있다. UV-A 광은 일 예로서, 320-400nm의 파장을 갖는 자외선으로 정의된다.
제어부(160)는 복수의 잉크 배출 니들(130)에 대응하는 색상의 문신용 잉크가 공급되도록 잉크 공급부(140)를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160)에는 잉크 배출 니들(130)의 위치에 관한 데이터가 미리 저장되어 있다. 제어부(160)는 입력된 문신 문양 데이터와 잉크 배출 니들(130)에 대한 위치 데이터를 연산하여 해당 잉크 배출 니들(130)에 해당 색상이 배출되도록 잉크 공급부(140)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60)는 경화용 광원(15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전원 공급부을 제어한다. 전원 공급부는 케이스(110)의 내부에 설치되는 배터리에 연결되거나 케이블(163) 커넥터에 의해 외부의 전원과 연결될 수 있다.
문신 인쇄 장치는 살균용 광원(170)을 더 포함한다. 살균용 광원(170)은 케이스(110)에 설치된다. 살균용 광원(170)은 회전 롤러부(120)에 광을 조사하여 잉크 배출 니들(130)과 회전 롤러부(120)를 살균한다. 살균용 광원(170)이 잉크 배출 니들(130)과 회전 롤러부(120)를 살균하므로, 피부에 문신을 새길 때에 피부에 세균 등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잉크 배출 니들(130)을 통해 세균 등이 잉크 공급부(140)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살균용 광원(170)은 회전 롤러부(120)의 외측면 일부를 둘러싸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살균용 광원(170)은 회전 롤러부(120)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어 회전 롤러부(120)의 길이방향 전체를 살균한다. 이때, 살균용 광원(170)은 회전 롤러부(120)의 길이방향과 나란하도록 복수의 발광 엘이디가 일열 또는 복수 열로 배열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살균용 광원(170)은 UV-B 또는 UV-C 광을 조사하는 자외선 엘이디(미도시)이다. UV-B 광은 일 예로서, 280-320nm의 파장을 갖는 자외선으로 정의된다. UV-C 광은 일 예로서, 100-280nm의 파장을 갖는 자외선으로 정의된다. 살균용 광원(170)으로 파장이 상대적으로 짧은 UV-B 또는 UV-C 광을 사용하므로, 살균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문신 인쇄 장치는 제어부(160)에 문신 문양에 관한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부(180)를 더 포함한다. 입력부(180)를 통해 문신 문양 데이터가 제어부(160)에 입력되므로, 문신 시술자가 문신 문양을 선택한 후 문신 문양 데이터를 제어부(160)에 입력하면, 제어부(160)는 문신 문양에 따라 해당 잉크 배출 니들(130)에 해당 색상의 문신용 잉크를 배출하도록 한다.
입력부(180)로는 와이파이, 블루투스 등의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무선통신기기 또는 케이블(163)에 의해 제어부(160)에 데이터를 직접 입력하는 유선통신기기가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문신 인쇄 장치의 작용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문신 시술자가 입력부(180)를 통해 문신 문양에 관한 데이터를 제어부(160)에 입력한다. 제어부(160)는 입력된 문신 문양에 대한 데이터와 잉크 배출 니들(130)의 위치 정보를 연산한다. 이때, 제어부(160)는 해당 잉크 배출 니들(130)에서 배출될 문신용 잉크의 색상과, 회전 롤러부(120)의 회전 속도에 대응되는 문신용 잉크의 배출 시간이 미리 결정된다.
문신 개시 버튼(미도시)이 선택되고, 케이스(110)가 피부를 따라 이동되면, 회전 롤러부(120)가 회전됨에 따라 잉크 배출 니들(130)의 배출부(133)가 피부에 침투되었다가 피부에서 빠지게 된다. 이때, 제어부(160)는 피부에 침투되는 해당 잉크 배출 니들(130)에서 잉크공급부(140)로부터 제공되는 대응 색상의 문신용 잉크가 배출되도록 한다. 회전 롤러부(120)가 피부를 따라 계속적으로 회전되면, 후행하는 해당 잉크 배출 니들(130)에서 해당 색상의 문신용 잉크가 배출된다. 따라서, 피부의 표피 또는 진피에는 문신용 잉크가 주입된다.
회전 롤러부(120)가 잉크를 피부에 주입하면, 후행하는 경화용 광원(150)에서 UV-A 광을 피부에 조사한다. UV-A 광은 피부에 주입되는 문신용 잉크를 경화시킨다. 따라서, 문신용 잉크가 피부에 경화되어 문신 문양이 이루어진다.
또한, 살균용 광원(170)은 회전 롤러부(120) 측으로 UV-B 또는 UV-C 광을 조사한다. UV-B 또는 UV-C 광은 회전 롤러부(120)의 표면과 잉크 배출 니들(130)을 살균한다. 따라서, 회전 롤러부(120)와 잉크 배출 니들(130)에서 세균이 번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세균이 잉크 배출 니들(130)의 잉크 유로(132)를 따라 이동하여 잉크 공급부(140)의 배출 챔버부(144)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회전 롤러부(120)의 회전이 정지되면, 제어부(160)는 잉크 배출 니들(130)에 잉크가 공급되는 문신용 잉크를 차단도록 잉크 공급부(140)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60)는 경화용 광원(150)과 살균용 광원(170)에 전원을 차단한다.
상기와 같이, 케이스(110)가 피부를 따라 이동됨에 따라 회전 롤러부(120)가 회전되면서 피부에 문신을 형성하므로, 문신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110)를 이동시키면 회전 롤러부(120)가 회전되면서 피부에 문신이 형성되므로, 숙달되지 않은 시술자나 또는 본인 스스로 피부에 문신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문신 시술 시간이 단축될 수 있으므로, 피시술자가 짧은 시간 동안만 고통을 느끼게 할 수 있고, 문신의 시술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본 개시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문신 인쇄 장치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제2 실시 예는 상술한 제1 실시 예에 비해 경화용 광원(150)의 설치 위치를 제외하고는 제1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아래에서는 동일한 구성에 관해서는 동일한 도번을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제2 실시 예에 따르는 문신 인쇄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개시의 제2 실시 예에 따르는 문신 인쇄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개시의 제2 실시 예에 따르는 문신 인쇄 장치에서 회전 롤러부, 잉크 배출 니들 및 경화용 광원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문신 인쇄 장치는 회전 롤러부(120)에 설치되는 경화용 광원(150)을 포함한다. 경화용 광원(150)은 잉크 배출 니들(130)에서 배출되는 문신용 잉크에 광을 조사하여 문신용 잉크를 경화시킨다. 회전 롤러부(120)에 경화용 광원(150)이 설치되므로, 피부에서 가장 근접한 곳에서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이때, 경화용 광원(150)은 잉크 배출 니들(130) 사이에 복수 개 배치될 수 있다. 경화용 광원(150)이 잉크 배출 니들(130) 사이에 배치되므로, 잉크 배출 니들(130)이 피부에 문신용 잉크를 주입한 직후에 문신용 잉크를 경화시킬 수 있다. 이때, 피부에 가까이 위치한 일부의 경화용 광원(150)에만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피부에 광이 조사되도록 한다. 그리고, 나머지 경화용 광원(150)에는 전원이 인가되지 않는다.
경화용 광원(150)은 회전 롤러부(120)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경화용 광원(150)은 자외선 엘이디(153)가 일열 또는 복수 열로 배열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경화용 광원(150)이 회전 롤러부(120)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므로, 잉크 배출 니들(130) 열 사이사이에 경화용 광원(150)을 설치할 수 있다. 이때, 경화용 광원(150)은 잉크 배출 니들(130) 열의 사이사이마다 설치되거나, 복수의 잉크 배출 니들(130) 열 사이마다 설치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개시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문신 인쇄 장치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제3 실시 예는 상술한 제2 실시 예에 비해 경화용 광원(150)의 설치 위치를 제외하고는 제2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아래에서는 동일한 구성에 관해서는 동일한 도번을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개시의 제3 실시 예에 따르는 문신 인쇄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9는 본 개시의 제3 실시 예에 따르는 문신 인쇄 장치에서 회전 롤러부와 잉크 배출 니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문신 인쇄 장치는 잉크 배출 니들(130)을 포함한다. 잉크 배출 니들(130)의 배출부(133)는 회전 롤러부(120)의 외측면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배출부(133)는회전 롤러부(120)의 표면 위로 돌출되지 않을 수 있으며, 피부 내부로 침투하지 않을 수 있다. 잉크 배출 니들(130)의 배출부(133)가 회전 롤러부(120)의 외측면과 동일하거나 거의 동일한 평면상에 배치되므로, 잉크 배출 니들(130)에서 배출되는 문신용 잉크가 표피와 진피에 침투하지 못하고 피부의 표면에 형성된다. 따라서, 하루나 몇 일 동안만 피부에 문신을 새기려고 할 경우에 간편하게 이용될 수 있다.
또한, 경화용 광원(150)이 회전 롤러부(120)의 외측면에 설치되므로, 피부와 가장 가까운 위치에서 피부의 문신용 잉크를 경화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본 개시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문신 인쇄 장치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개시의 제4 실시 예에 따르는 문신 인쇄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개시의 제4 실시 예에 따르는 문신 인쇄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문신 인쇄 장치는 케이스(210), 복수의 잉크 배출 니들(230), 잉크 공급부(240), 경화용 광원(250) 및 제어부(260)를 포함한다. 잉크 공급부(240)는 잉크 배출 니들(230)과 인접하여 케이스(2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잉크 공급부(240)의 노즐부(148)는 잉크 배출 니들(230)의 각각에 대응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2 실시예의 잉크 공급부(240)는 제1 실시예의 도 3에 도시된 잉크 공급부(14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잉크 공급부(240)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케이스(210)는 전체적으로 사각판 형태로 형성된다. 케이스(210)의 일측면은 볼록하게 라운진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케이스(210)의 양측면이 일측으로 볼록하게 라운진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케이스(210)의 폭은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잉크 배출 니들(230)은 케이스(210)의 일측면에 설치된다. 복수의 잉크 배출 니들(230)이 볼록하게 라운진 형태의 일측면에 설치되므로, 복수의 잉크 배출 니들(230)의 단부가 라운드진 형태의 가상의 곡면상에 배치된다. 잉크 배출 니들(230)은 문신용 잉크를 피부에 배출한다. 복수의 잉크 배출 니들(230)이 피부에 문신용 잉크를 배출하므로, 피부에 문신 문양이 새겨질 수 있다. 문신용 잉크는 자외선에 의해 경화되고, 전도성을 띄는 잉크이다.
잉크 배출 니들(230)은 케이스(210)의 일측면에 매트릭스 형태(matrix)로 배치될 수 있다. 잉크 배출 니들(230)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므로, 해당 잉크 배출 니들(230)에서 해당 색상의 잉크가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잉크 배출 니들(230)에 의해 피부에 다양한 형태의 문신이 새겨질 수 있다.
잉크 배출 니들(230)의 배출부(133: 도 7 참조)는 피부에 침투되도록 케이스(210)의 일측면에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때, 잉크 배출 니들(230)의 배출부(133)는 표피에만 침투될 수 있는 높이로 돌출되어 피부의 표피에 문신용 잉크를 배출할 수 있다. 피부의 표피에 문신용 잉크가 투입되면 표피에 문신이 새겨지므로, 문신이 표피가 벗겨질 때까지 거의 1개월 동안 그대로 유지된다. 또한, 잉크 배출 니들(230)의 배출부(133)는 진피에 침투될 수 있는 높이로 돌출되어 피부의 진피에 문신용 잉크를 배출할 수 있다. 피부의 진피에 문신용 잉크가 투입되면 진피에 문신이 새겨지므로, 문신이 영구적으로 유지된다. 따라서, 잉크 배출 니들(230)의 배출부(133)의 돌출 높이는 문신 용도에 따라 적절하게 설계될 수 있다.
잉크 배출 니들(230)은 내측에 잉크 유로(132: 도 7 참조)가 형성되는 튜브 형태로 형성된다. 잉크 배출 니들(230)의 배출부(133)는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피부에 용이하게 침투될 수 있다. 또한, 배출부(133)가 테이퍼지게 형성되므로 피부에서 용이하게 빠질 수도 있다. 따라서, 잉크 배출 니들(230)이 피부에 침투되거나 빠질 때에 고통이 완화되게 할 수 있다.
잉크 공급부(140)(도 3 참조)는 잉크 배출 니들(230)에 문신용 잉크를 공급한다. 잉크 공급부(140)는 통로부(142)가 형성되는 헤드부(141)와, 통로부(142)에 연결되는 배출 챔버부(144)와, 배출 챔버부(144)에 배치되어 배출 챔버부(144)에 분사 압력을 작용하는 액츄에이터(146)와, 배출 챔버부(144)에 연결되어 문신용 잉크를 분사하는 노즐부(148)를 포함한다. 잉크 공급부(140)는 반도체 제조 공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액츄에이터(146)로는 압전소자를 적용할 수 있다. 노즐부(148)에는 잉크 배출 니들(230)이 연결된다. 액츄에이터(146)가 구동되면, 배출 챔버부(144)의 문신용 잉크가 노즐부(148)와 잉크 배출 니들(230)로 배출된다. 이러한 잉크 공급부(140)는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경화용 광원(250)은 케이스(210)의 일측면에 설치된다. 경화용 광원은 잉크 배출 니들(230)에서 배출되는 문신용 잉크에 광을 조사하여 문신용 잉크를 경화시킨다. 문신용 잉크가 경화됨에 따라 잉크가 표피나 진피에 착색된다. 또한, 문신용 잉크가 광에 의해 경화되므로, 잉크가 피부로부터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경화용 광원(250)은 케이스(210)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케이스(120)가 피부에서 이동됨에 따라 잉크 배출 니들(230)이 피부에 잉크를 배출하고, 경화용 광원(250)이 뒤따르면서 피부에 광을 조사하여 잉크를 경화시킨다.
경화용 광원(250)은 복수의 발광 엘이디가 일렬 또는 복수 열로 배열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경화용 광원(250)은 경화용 광원(250)은 UV-A 광을 조사하는 자외선 엘이디(미도시) 이다. UV-A 광은 320-400nm의 파장을 갖는 자외선으로 정의된다.
제어부(260)는 복수의 잉크 배출 니들(230)에 해당 색상의 문신용 잉크가 공급되도록 잉크 공급부(140: 도 3 참조)를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260)에는 잉크 배출 니들(230)의 위치에 관한 데이터가 미리 저장되어 있다. 제어부(260)는 입력된 문신 문양 데이터와 잉크 배출 니들(230)에 대한 위치 데이터를 연산하여 해당 잉크 배출 니들(230)에 해당 색상이 배출되도록 잉크 공급부(140)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260)는 경화용 광원(25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전원 공급부을 제어한다. 전원 공급부는 케이스(210)의 내부에 설치되는 배터리에 연결되거나 케이블(263)에 의해 외부의 전원과 연결될 수 있다.
문신 인쇄 장치는 제어부(260)에 문신 문양에 관한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부(180: 도 6 참조)를 더 포함한다. 입력부(180)를 통해 문신 문양 데이터가 제어부(260)에 입력되므로, 문신 시술자가 문신 문양을 선택한 후 문신 문양 데이터를 제어부(260)에 입력하면, 제어부(260)는 문신 문양에 따라 해당 잉크 배출 니들(230)에 해당 색상의 문신용 잉크를 배출하도록 한다.
입력부(180)로는 와이파이, 블루트스 등의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무선통신기기 또는 케이블(263)에 의해 제어부(260)에 데이터를 직접 입력하는 유선통신기기가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문신 인쇄 장치의 작용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문신 시술자가 입력부(180: 도 6 참조)를 통해 문신 문양에 관한 데이터를 제어부(260)에 입력한다. 제어부(260)는 입력된 문신 문양에 대한 데이터와 잉크 배출 니들(230)의 위치 정보를 연산한다.
문신 개시 버튼(미도시)이 선택되고, 케이스(210)의 일측을 피부에 접촉시키면, 케이스(210)의 일측(도 11의 좌측)에 위치된 잉크 배출 니들(230)이 피부에 침투된다. 케이스(210)의 일측면이 볼록하게 형성되므로, 케이스(210)의 타측(도 11의 우측)을 천천히 하강시키면 잉크 배출 니들(130)이 순차적으로 피부에 침투된다. 따라서, 피부의 표피 또는 진피에는 문신용 잉크가 주입된다.
잉크 배출 니들(230)이 잉크를 피부에 주입하면, 경화용 광원(250)에서 UV-A 광을 피부에 조사한다. UV-A 광은 피부에 주입되는 문신용 잉크를 경화시킨다. 따라서, 문신용 잉크가 피부에 경화되어 문신 문양이 이루어진다.
잉크 배출 니들(230)이 모두 피부에서 뽑히면, 제어부(260)는 잉크 배출 니들(230)에 잉크가 공급되는 문신용 잉크를 차단되도록 잉크 공급부(140)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260)는 경화용 광원(250)에 전원을 차단한다.
상기와 같이, 케이스(210)의 일측면이 볼록하게 형성되고, 케이스(210)이 일측면에 잉크 배출 니들(230)이 설치되므로, 케이스(210)를 피부에 대고 굴리기만 하면 피부에 문신이 형성되므로, 문신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210)를 피부에 굴리기만 하면 문신이 형성되므로, 숙달되지 않은 시술자나 또는 본인 스스로 피부에 문신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문신 시술 시간이 단축될 수 있으므로, 피시술자가 짧은 시간 동안만 고통을 느끼게 할 수 있고, 문신의 시술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본 개시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문신 인쇄 장치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제5 실시 예는 상술한 제4 실시 예에 비해 케이스의 형태를 제외하고는 제4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아래에서는 동일한 구성에 관해서는 동일한 도번을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2는 본 개시의 제5 실시 예에 따르는 문신 인쇄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개시의 제5 실시 예에 따르는 문신 인쇄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케이스(210)의 일측면은 평면 형태로 형성된다. 케이스(210)의 일측면에는 복수의 잉크 배출 니들(230)이 설치된다. 이때, 복수의 잉크 배출 니들(230)의 단부는 평면 형태의 가상의 일면상에 모두 배치된다. 잉크 배출 니들(230)의 단부가 케이스(210)의 일측면에서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므로, 케이스(210)가 피부에 접촉되면, 모든 잉크 배출 니들(230)의 단부가 피부에 접촉된다. 그리고, 케이스(210)가 피부 측으로 가압되면, 잉크 배출 니들(230)의 배출부(133)가 피부의 표피나 또는 진피로 침투된다. 이어, 제어부(260)는 복수의 잉크 배출 니들(230)에서 동시에 문신용 잉크를 피부의 표피나 진피에 배출하여 피부에 문신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케이스(210)의 일측면이 평면 형태로 형성되고, 복수의 잉크 배울 니들이 케이스(210)의 일측면에서 동일한 높이를 이루므로, 모든 잉크 배출 니들(230)이 피부에 동시에 침투될 수 있다. 따라서, 케이스(210)를 피부에 대고 가압하기만 하면 피부에 문신이 형성되므로, 문신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210)를 피부에 가압하기만 하면 문신이 형성되므로, 숙달되지 않은 시술자나 또는 본인 스스로 피부에 문신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문신 시술 시간이 단축될 수 있으므로, 피시술자가 짧은 시간 동안만 고통을 느끼게 할 수 있고, 문신의 시술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도면 및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출원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출원에 개시된 실시 예들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케이스 113: 개구부
120: 회전 롤러부 130: 잉크 배출 니들
132: 잉크 유로 133: 배출부
140: 잉크 공급부 141: 헤드부
142: 통로부 144: 배출 챔버부
146: 액츄에이터 148: 노즐부
150: 경화용 광원 153: 자외선 엘이디
160: 제어부 163: 케이블
170: 살균용 광원
180: 입력부 200: 문신 인쇄 장치
210: 케이스 230: 잉크 배출 니들
250: 경화용 광원 260: 제어부
263: 케이블

Claims (19)

  1.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기 개구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 롤러부;
    상기 회전 롤러부의 외측면에 설치되고, 문신용 잉크를 배출하는 복수의 잉크 배출 니들;
    상기 잉크 배출 니들에 문신용 잉크를 공급하는 잉크 공급부;
    상기 잉크 배출 니들에서 배출되는 문신용 잉크에 광을 조사하여 경화시키는 경화용 광원; 및
    복수의 상기 잉크 배출 니들에 문신용 잉크가 공급되도록 상기 잉크 공급부를 제어하고, 상기 경화용 광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신 인쇄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 배출 니들은 상기 회전 롤러부의 외측면에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신 인쇄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 배출 니들의 배출부는 피부에 침투되도록 상기 회전 롤러부의 외측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신 인쇄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 배출 니들은 내측에 잉크 유로가 형성되는 튜브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배출부는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신 인쇄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 배출 니들의 배출부는 상기 회전 롤러부의 외측면 내부에 수용되어, 피부 내부로 침투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신 인쇄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용 광원은 상기 회전 롤러부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신 인쇄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용 광원은 상기 회전 롤러부와 인접하여 위치하는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신 인쇄 장치.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용 광원은 상기 회전 롤러부의 상기 잉크 배출 니들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신 인쇄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용 광원은 UV-A 광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신 인쇄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회전 롤러부에 광을 조사하여 상기 잉크 배출 니들과 상기 회전 롤러부를 살균하는 살균용 광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신 인쇄 장치.
  11.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용 광원은 상기 회전 롤러부의 외측면 일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신 인쇄 장치.
  12.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용 광원은 UV-B 또는 UV-C 광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신 인쇄 장치.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 공급부에 연결되고, 상기 잉크 공급부에 알코올을 공급하여 상기 잉크 배출 니들을 통해 알코올이 배출되도록 알코올 공급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신 인쇄 장치.

  14.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일측면에 설치되고, 문신용 잉크를 배출하는 복수의 잉크 배출 니들;
    상기 잉크 배출 니들에 문신용 잉크를 공급하는 잉크 공급부;
    상기 케이스의 일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잉크 배출 니들에서 배출되는 문신용 잉크에 광을 조사하여 경화시키는 경화용 광원; 및
    복수의 상기 잉크 배출 니들에 문신용 잉크가 공급되도록 상기 잉크 공급부를 제어하고, 상기 경화용 광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신 인쇄 장치.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 배출 니들은 상기 케이스의 일측면에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신 인쇄 장치.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 배출 니들의 배출부는 피부에 침투되도록 상기 케이스의 일측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신 인쇄 장치.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 배출 니들은 내측에 잉크 유로가 형성되는 튜브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배출부는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신 인쇄 장치.
  18.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일측면은 볼록하게 라운드진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신 인쇄 장치.
  19.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일측면은 평면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신 인쇄 장치.

KR1020140168438A 2014-11-28 2014-11-28 문신 인쇄 장치 KR201600646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8438A KR20160064616A (ko) 2014-11-28 2014-11-28 문신 인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8438A KR20160064616A (ko) 2014-11-28 2014-11-28 문신 인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4616A true KR20160064616A (ko) 2016-06-08

Family

ID=56193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8438A KR20160064616A (ko) 2014-11-28 2014-11-28 문신 인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64616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300467A1 (en) * 2015-06-29 2018-10-18 Intel Corporation Pairing a user with a wearable computing device
US10600508B1 (en) 2019-02-08 2020-03-24 Bodyguard Id, Llc Temporary identification systems for a healthcare provider
KR20200031887A (ko) * 2018-09-17 2020-03-25 윤형 디스크 니들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시술 장치
KR20200031888A (ko) * 2018-09-17 2020-03-25 윤형 디스크 니들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시술 장치
KR20200042157A (ko) * 2018-10-15 2020-04-23 윤형 피부 시술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300467A1 (en) * 2015-06-29 2018-10-18 Intel Corporation Pairing a user with a wearable computing device
KR20200031887A (ko) * 2018-09-17 2020-03-25 윤형 디스크 니들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시술 장치
KR20200031888A (ko) * 2018-09-17 2020-03-25 윤형 디스크 니들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시술 장치
KR20200042157A (ko) * 2018-10-15 2020-04-23 윤형 피부 시술 장치
US10600508B1 (en) 2019-02-08 2020-03-24 Bodyguard Id, Llc Temporary identification systems for a healthcare provider
US10998089B1 (en) 2019-02-08 2021-05-04 Bodyguard Id, Llc Systems and methods for temporarily displaying information on a us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64616A (ko) 문신 인쇄 장치
JP4431527B2 (ja) 美容機器
US20070149991A1 (en) Skin rejuvination resurfacing method
KR101845073B1 (ko) 광 치료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JP2013534167A (ja) 個人美容皮膚治療のための電磁気エネルギーアプリケーター
KR20170129685A (ko) 문신 형성을 위한 자동화된 측정 및 제어 시스템
US9737727B2 (e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laser light therapy of hair
CA2842275A1 (en) Disposable skin care device
KR101801695B1 (ko) 멀티 니들모듈과 자동주사장치
EP1911410A1 (de) Vorrichtung für dermatologische Behandlungen
JP4041836B1 (ja) 美容機器
US20140257254A1 (en) Fractional Handpiece for Dermatological Treatments
KR20170019024A (ko) 전류인가형 니들모듈과 자동주사장치
KR101811830B1 (ko) 라이트 펜 디스펜서
KR101384747B1 (ko) 피부용 약물 주입장치
KR101664245B1 (ko) 피부치료용 핸드피스
US2022024160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ightening skin and other tissues
TWI450742B (zh) 光學裝置
DE10120629A1 (de) Bestrahlungsgerät
KR102073921B1 (ko) 피부치료용 핸드피스
KR20170042173A (ko) 고농도 산소를 발생 시키는 산소발생기를 포함하는 다파장 led 광 치료기기
US20230034882A1 (en) Laser device for skin treatments and method
US20170050048A1 (en) Method or apparatus for wrinkle treatment
KR20200029317A (ko) 구동수단을 구비하는 마이크로 니들 롤러
DE102020124899A1 (de) Fußbad mit Licht, insbesondere Blaulicht, sowie Verfahren zur Behandlung von zwei Füß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