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3883A -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3883A
KR20160063883A KR1020140167727A KR20140167727A KR20160063883A KR 20160063883 A KR20160063883 A KR 20160063883A KR 1020140167727 A KR1020140167727 A KR 1020140167727A KR 20140167727 A KR20140167727 A KR 20140167727A KR 20160063883 A KR20160063883 A KR 201600638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information
sender
message information
rece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7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찬석
박춘희
박병태
김기훈
정일채
Original Assignee
이찬석
박병태
김기훈
박춘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찬석, 박병태, 김기훈, 박춘희 filed Critical 이찬석
Priority to KR10201401677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63883A/ko
Publication of KR201600638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38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26Incentive systems for frequent usage, e.g. frequent flyer miles programs or point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60Subscription-based services using application servers or record carriers, e.g. SIM application toolk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22Selective call receivers
    • H04W88/023Selective call receivers with message or information receiving cap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04W88/184Messaging devices, e.g. message cent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발신자가 전송하고자 하는 메시지 정보를 단문 메시지, 왑 푸쉬 메시지 및 멀티미디어 메시지로 구분하여 수신자의 단말에 전송할 수 있게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메시지 전송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상기 메시지 전송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하여 발신자가 수신자에게 전송하고자 하는 메시지 정보를 생성하며, 수신자를 선택하여 상기 메시지 정보를 전송하는 발신자 단말; 메시지 전송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상기 메시지 전송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하여 상기 메시지 정보를 수신할 지 여부를 선택하여 상기 메시지 정보를 수신 및 실행시키는 수신자 단말: 및 상기 발신자의 메시지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메시지 정보에 포함된 메시지 종류에 따라 전송 인프라를 선택한 후, 상기 발신자에 의하여 선택된 수신자에게 상기 메시지 정보를 수신할 지 여부를 묻는 메시지를 발송하며, 상기 수신자의 수신 결과에 따라 상기 전송 인프라를 적용하여 상기 수신자 단말에 상기 메시지 정보를 전송하는 메시지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는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ELECTRONIC BUSINESS CARD SERVI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동영상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CBS(Cell Broadcast Service)는 이동 통신 기지국을 통해 동일 CELL 내에 있는 모든 단말기에 동시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술로서 다수 가입자들에게 실시간으로 전달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개인별 정보 도달율은 SMS(Simple Message Service)보다 낮지만 교환기 부하 및 페이징 채널의 트래픽이 적고 송출 원가도 저렴하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또한 주문형 비디오와 같은 멀티미디어 정보 전달과 위치 기반 서비스가 가능해 지역 기반의 모바일 광고 마케팅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MMS(Multimedia Messaging System)는 3세대 이동 통신 서비스의 기본 요소로서 정지 영상, 음악, 음성, 동영상 등 다양한 형식의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메시징 시스템이다. 2세대의 짧은 메시지 서비스인 SMS 의 뒤를 잇는 MMS는 기존의 미디어 형식 메시지들과 멀티미디어 형식 메시지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 시스템을 사용해 실시간 전송 요구 없이 사용자들간에 송수신이 가능하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CBS는 이동 통신망에서의 SMS 규격을 이용한 것으로 텍스트 기반 데이터, 그림이나 동영상 같은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모두 하나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전송하는 것은 어렵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52595호 '메시지 서비스 방법 및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27065호 '휴대용 단말 장치들의 메시지 송수신을 위한 메시지 통합 관리 시스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발신자가 전송하고자 하는 메시지 정보를 단문 메시지, 왑 푸쉬 메시지 및 멀티미디어 메시지로 구분하여 수신자의 단말에 전송할 수 있는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은 메시지 전송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상기 메시지 전송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하여 발신자가 수신자에게 전송하고자 하는 메시지 정보를 생성하며, 수신자를 선택하여 상기 메시지 정보를 전송하는 발신자 단말; 메시지 전송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상기 메시지 전송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하여 상기 메시지 정보를 수신할 지 여부를 선택하여 상기 메시지 정보를 수신 및 실행시키는 수신자 단말: 및 상기 발신자의 메시지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메시지 정보에 포함된 메시지 종류에 따라 전송 인프라를 선택한 후, 상기 발신자에 의하여 선택된 수신자에게 상기 메시지 정보를 수신할 지 여부를 묻는 메시지를 발송하며, 상기 수신자의 수신 결과에 따라 상기 전송 인프라를 적용하여 상기 수신자 단말에 상기 메시지 정보를 전송하는 메시지 서비스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 정보는 텍스트 데이터, 이미지 데이터,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송 인프라는 SMS(Short Messaging Service) 인프라와 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 전송 인프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신자 단말은 상기 메시지 서비스 서버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제1 통신부; 상기 메시지 전송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회원 정보를 입력하거나, 상기 메시지 정보에 포함하고자 하는 메시지 정보를 입력 또는 선택하는 제1 정보 입력부; 상기 수신자에게 전송을 원하는 발신자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을 인식하는 음성 인식부; 상기 수신자에게 전송을 원하는 발신자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 촬영부; 상기 발신자의 선택에 의하여 원하는 음악을 상기 메시지 정보에 합성시키는 음악 제공부; 상기 메시지 정보, 음성 정보, 영상 정보, 음악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 정보를 편집하여 발신자의 메시지 정보를 생성하는 메시지 편집부; 상기 메시지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메시지 정보의 전송에 대한 포인트를 수령하는 제1 포인트 수신부; 상기 수신자의 주소록 정보, 상기 메시지 서비스 서버와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1 메모리부; 상기 제1 메모리부에 저장된 데이터와, 상기 발신자로부터의 정보 입력을 위한 화면을 표시하는 제1 디스플레이부; 상기 포인트, 상기 발신자가 선물하고자 하는 기프트 정보 중 발신자에 의하여 선택된 항목을 상기 메시지 정보와 함께 상기 수신자에게 제공할 것을 요청하는 선물 제공부; 상기 수신자 단말에 제공되는 발신자의 메시지 정보에 대한 상기 수신자의 수신 여부 결과를 카운트하는 수신 확인부; 및 메시지 전송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상기 메시지 전송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하여 상기 발신자 단말을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신자 단말은 상기 메시지 서비스 서버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제2 통신부; 상기 메시지 전송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회원 정보를 입력하거나, 상기 메시지 정보를 수신할 지 여부를 선택하는 제2 정보 입력부; 상기 메시지 정보의 음성 정보, 영상 정보, 음악 정보를 출력하는 정보 출력부; 상기 메시지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메시지 정보의 전송에 대한 포인트를 수령하는 제2 포인트 수신부; 상기 메시지 서비스 서버와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2 메모리부; 상기 제2 메모리부에 저장된 데이터와, 상기 수신자로부터의 정보 입력을 위한 화면을 표시하는 제2 디스플레이부; 및 메시지 전송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상기 메시지 전송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하여 상기 수신자 단말을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 서비스 서버는 상기 발신자 단말 및 수신자 단말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통신 모듈; 상기 발신자 또는 수신자의 회원 가입 여부를 인증하는 회원 인증 모듈; 상기 발신자의 요청에 의한 메시지 정보의 종류를 판단하는 종류 판단 모듈; 상기 메시지 정보의 종류에 따라 전송 인프라를 선택하는 인프라 선택 모듈; 상기 발신자에 의하여 선택된 수신자에게 상기 메시지 정보를 수신할 지 여부를 묻는 메시지를 생성하는 수신 메시지 생성 모듈; 상기 발신자로부터 입력된 메시지 정보를 하나의 메시지 형태로 변환하는 매니저 모듈; 상기 메시지 정보를 구성하는 각 항목 별로 발신자 또는 수신자들을 분류하는 매칭 모듈; 상기 분류된 항목별로 해당 발신자 또는 수신자들에게 분류 정보를 제공하는 매칭 정보 제공 모듈; 상기 메시지 정보의 전송 또는 상기 메시지 정보의 수신 여부 결과에 대한 포인트를 상기 발신자 단말 또는 수신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포인트 부여 모듈;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하여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 모듈; 및 상기 메시지 서비스 서버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니저 모듈은 상기 메시지 정보의 내용이 텍스트로만 구성되어 있는 경우, 상기 메시지 형태를 단문 메시지로 재구성하고, 상기 메시지 정보의 용량이 미리 설정된 최대 단문 메시지 용량보다 큰 경우, 상기 단문 메시지를 복수의 단문 메시지들로 재구성하며, 상기 메시지 정보에 왑 푸쉬 정보가 있는 경우, 상기 메시지 형태를 왑 푸쉬 단문 메시지로 재구성하여, 상기 제어 모듈의 제어에 의하여 SMS 인프라를 통하여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매니저 모듈은 상기 메시지 정보의 내용이 텍스트로만 구성되어 있는 경우 또는 왑 푸쉬 정보가 있는 경우의 이외에는 상기 메시지 정보를 멀티미디어 메시지로 재구성하여, 상기 제어 모듈의 제어에 의하여 MMS 인프라를 통하여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은 발신자가 전송하고자 하는 메시지 정보를 단문 메시지, 왑 푸쉬 메시지 및 멀티미디어 메시지로 구분하여 수신자의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발신자가 동영상을 직접 촬영하여 수신자에게 전송할 수 있기 때문에, 동일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최적으로 메시지 전송 요청을 처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발신자 단말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다.
도 3은 도 1의 수신자 단말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다.
도 4는 도 4의 수신자 단말의 메시지 정보 수신 동의 동작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메시지 서비스 서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발신자 단말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도 3은 도 1의 수신자 단말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4는 도 4의 수신자 단말의 메시지 정보 수신 동의 동작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도 1의 메시지 서비스 서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은 발신자가 전송하고자 하는 메시지 정보를 단문 메시지, 왑 푸쉬(WAP PUSH) 메시지 및 멀티미디어 메시지로 구분하여 수신자의 단말에 전송하는 시스템으로서, 발신자 단말(10), 수신자 단말(20) 및 메시지 서비스 서버(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의 발신자 단말(10)과 수신자 단말(2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 실행이 가능한 스마트 폰(smart phone)이 사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발신자 단말(10) 및 수신자 단말(20)의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서의 발신자 단말(10) 및 수신자 단말(20)은 다양한 유무선 환경에 적용될 수 있는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IPad, HPC(Hand Personal Computer), 웹패드, 노트북,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폰, 팜PC, e-Book단말기, HHT(Hand Held Terminal)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외에도 어플리케이션의 실행과 전화 통화, 문자 또는 SMS 전송이 가능한 다양한 단말에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발신자 단말(10)은 발신자의 요청에 의하여 수신자에게 메시지 제공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 장치로서, 메시지 전송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메시지 전송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하여 발신자의 메시지 정보를 생성한 후, 수신자를 선택하여 메시지 정보를 전송한다. 이때, 상기 메시지 정보는 텍스트 데이터, 이미지 데이터,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이러한 동작을 구현하기 위하여, 상기 발신자 단말(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통신부(110), 제1 정보 입력부(115), 음성 인식부(120), 영상 촬영부(130), 음악 제공부(135), 메시지 편집부(140), 제1 포인트 수신부(150), 제1 메모리부(155), 제1 디스플레이부(160), 선물 제공부(170), 수신 확인부(180) 및 제1 제어부(19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통신부(110)는 메시지 서비스 서버(30)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장치로서, 발신자가 메시지 서비스 서버(30)에 접속하여 본 메시지 제공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메시지 전송 어플리케이션을 수신하거나, 메시지 정보 전송을 위한 수신자의 전화 정보나 메시지 정보를 전송한다.
이러한 제1 통신부(110)는 발신자 단말(10)과 수신자 단말(20) 간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통신부(110)는,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이동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및 위치 정보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통신 모듈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 및 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통신 모듈은 3G 방식, 4G 방식, LTE 방식, LTE-A, 5G 및 그 등가 방식 등의 무선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통신 단말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위치정보 모듈은 이동 통신 단말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상기 제1 정보 입력부(115)는 제1 디스플레이부(160)에 표시된 작성창에 메시지 전송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회원 정보를 입력하거나, 메시지 정보에 포함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입력 또는 선택하는 장치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발신자 단말(10)에는 회원 정보를 입력하거나 메시지 정보를 입력 및 선택하기 위한 텍스트 입력 프로그램, 문서 작성 프로그램, 음성 인식 프로그램 또는 영상 촬영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메시지 정보의 작성이라 함은 작성 중이거나 작성 완료된 메시지의 편집 또는 수정 등과 같은 일련의 조작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1 정보 입력부(115)는 제1 디스플레이부(160)와 별도로 구성된 터치 패드(정압/정전) 또는 터치 스크린 형태로 구성되어, 발신자가 메시지 정보 전송을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본 발명에서는 제1 정보 입력부(115)가 제1 디스플레이부(160)와 별도의 구성인 것을 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제1 정보 입력부(115)는 제1 디스플레이부(160)와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음성 인식부(120)는 수신자에게 전송을 원하는 발신자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을 인식하는 장치로서, 발신자가 수신자에게 전송하고자 하는 음성 메시지를 인식한다. 상기 음성 메시지는 자신의 상태, 전하고 싶은 인사말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음성 메시지의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음성 인식부(120)는 공지된 음성 인식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음성 인식부(120)는 사용자로부터 음성 신호가 입력되는 마이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이때,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제1 통신부(110)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영상 촬영부(130)는 수신자에게 전송을 원하는 발신자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을 촬영하는 장치로서, 일반적으로 발신자의 스마트폰에 장착된 카메라 모듈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영상 촬영부(130)의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영상 촬영부(130)는 발신자가 원하는 영상을 촬영하여 해당 영상 정보를 제1 제어부(190)의 제어에 의하여 메시지 편집부(140)에 전송한다.
상기 음악 제공부(135)는 발신자의 선택에 의하여 원하는 음악을 메시지 정보에 합성시키는 장치로서, 발신자가 메시지 정보와 함께 음악을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제1 메모리부(155)에 미리 저장된 음악 정보 중 원하는 음악 정보를 선택한 다음, 전자 명함에 첨부한다.
상기 메시지 편집부(140)는 텍스트, 음성, 음악, 동영상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 정보를 편집하여 발신자의 메시지 정보를 생성하는 장치이다. 상기 메시지 편집부(140)는 제1 디스플레이부(160)에 표시되는 메시지 정보의 특정 내용의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등을 데코레이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데코레이션 기능은 뷰(View) 기능, 에딧(Edit) 기능 및 라이트/리드(Write/Read) 기능을 포함하는데, 뷰 기능은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등을 화면에 그리는 역할을 담당하고, 에딧 기능은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등을 편집하고 배치하는 역할을 담당하며, 라이트/리드 기능은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등을 저장하고 읽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와 같이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등을 저장하고 저장한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등을 읽어내기 위해 메시지 편집부(140)는 제1 메모리부(155)에 연동할 수 있다.
이러한 메시지 편집부(140)는 기존의 텍스트 정보에 이미지 또는 동영상 정보 등을 포함하도록 메시지 정보를 편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동영상 정보는 생일 축하 노래를 부르는 영상, 프로포즈를 하는 영상 등을 제작하고 전송하여 받아보는 순간까지 하나의 스토리를 만들어 가고 자신의 의사를 전달할 수 있는 다양한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 편집부(140)는 메시지 정보를 복수 개의 페이지로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상기 메시지 편집부(140)는 메시지 정보를 복수 개의 페이지로 구성하여 각각의 페이지에 다양한 동영상이 포함되도록 편집할 수 있다.
상기 제1 포인트 수신부(150)는 메시지 서비스 서버(30)로부터 메시지 정보의 전송에 대한 포인트를 수령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제1 포인트 수령부는 메시지 서비스 서버(30)로부터 수신자의 메시지 정보의 수령 등으로 인한 포인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1 메모리부(155)는 수신자의 주소록 정보, 메시지 서비스 서버(30)와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장치로서, 발신자 단말(10)의 동작 제어 시 필요한 다수의 프로그램과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롬(ROM: Read Only Memory) 및 램(RAM: Random Access Memory), 음성 메모리 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 메모리부(155)는 메시지 정보를 이루는 음성 정보, 텍스트 정보, 이미지 정보, 영상 정보, 음악 정보 등을 각각 저장하기 위해 할당된 메모리 영역을 구비한다.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160)는 제1 메모리부(155)에 저장된 데이터와, 발신자로부터의 정보 입력을 위한 화면을 표시하는 장치이다. 즉,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160)는 제1 제어부(190)의 제어에 따라, 메시지 정보를 위한 세부사항(예를 들면, 텍스트 메시지, 음성 메시지, 영상 데이터 등)의 입력 화면으로 구성된다. 또한, 세부 사항을 기입하도록 하는 입력 화면이 사용자의 입력으로 완성되면 생성된 전자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상기 메시지 정보의 작성 화면뿐만 아니라 기 존재하는 메시지 정보를 수정하기 위한 수정 화면, 메시지 정보를 상대방에게 전송하도록 하는 전송화면 등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160)는 메시지 정보를 작성하기 위한 메인 화면을 먼저 표시하고, 발신자는 도 4의 좌측에 나타나 있는 그림, 텍스트상자, 사진 앨범의 아이콘을 적절히 활용하여 배경화면의 위에 그림과 메모를 삽입 및 배치하여 메시지 정보를 작성 또는 수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160)는 발신자 단말(1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상기 발신자 단말(10)이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하고,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이러한 제1 디스플레이부(16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TOLED(Transparant OLED)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160)는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터치 스크린 형태로 구현되어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선물 제공부(170)는 포인트, 발신자가 선물하고자 하는 기프트 정보 중 발신자에 의하여 선택된 항목을 메시지 정보와 함께 수신자에게 제공할 것을 메시지 서비스 서버(30)에 요청하는 장치이다.
상기 수신 확인부(180)는 수신자 단말(20)에 제공되는 발신자의 메시지 정보에 대한 수신자의 수신 여부 결과를 카운트하는 장치이다. 즉, 상기 수신 확인부(180)는 발신자의 메시지 정보에 대한 수신자의 수신 동의 횟수를 카운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신 확인부(180)는 수신자 단말(20)에 발신자의 전화 정보가 미리 저장되거나 미리 수신동의가 설정된 경우에는 발신자의 메시지 정보가 수신자 단말(20)에 발송된 후 소정 시간 후에는 수신자 단말(20)에 정상적으로 수신된 것으로 인지하여 횟수로 카운트한다.
상기 제1 제어부(190)는 메시지 전송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메시지 전송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이다. 즉, 상기 제1 제어부(190)는 메시지 전송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하여 발신자의 메시지 정보를 생성한 후, 수신자를 선택하여 메시지 정보를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제어부(190)는 발신자가 메시지 정보의 편집을 선택하면 제1 디스플레이부(160)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메시지 작성을 위한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발신자 정보에 대하여 기본틀로서 구획을 설정하고 발신자에게 각 기본틀에 대하여 편집 가능한 기능을 제1 디스플레이부(160) 상에 디스플레이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제어부(190)는 기본 메시지에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발신자 정보 등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화면을 각각 조각으로 구분하여 위치를 이동할 수 있게끔 하여, 좀 더 수월하게 발신자가 메시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제1 제어부(190)의 기능은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제1 제어부(19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제1 메모리부(155)에 저장되고, 제1 제어부(19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상기 수신자 단말(20)은 발신자로부터 제공된 메시지 정보를 메시지 서비스 서버(30)로부터 수신하는 단말 장치로서, 메시지 전송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메시지 전송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하여 메시지 정보를 수신할 지 여부를 선택하여 메시지 정보를 수신 및 실행시킨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수신자 단말(20)은 제2 통신부(210), 제2 정보 입력부(220), 정보 출력부(230), 제2 포인트 수신부(240), 제2 메모리부(250), 제2 디스플레이부(260) 및 제2 제어부(270)를 포함한다.
상기 제2 통신부(210)는 메시지 서비스 서버(30)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장치로서, 수신자가 메시지 서비스 서버(30)에 접속하여 본 메시지 제공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메시지 전송 어플리케이션을 수신하거나, 메시지 정보 수신을 위한 수신자의 동의 정보를 전송한다. 이러한 제2 통신부(210)는 발신자 단말(10)과 수신자 단말(20) 간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통신부(210)는,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이동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및 위치 정보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정보 입력부(220)는 메시지 전송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회원 정보를 입력하거나, 메시지 정보를 수신할 지 여부 또는 메시지 정보를 다른 사용자에게 재전송할 지 여부를 선택하는 장치이다. 여기서, 상기 수신자 단말(20)에는 회원 정보를 입력하거나 메시지 정보를 입력 및 선택하기 위한 텍스트 입력 프로그램, 문서 작성 프로그램, 음성 인식 프로그램 또는 영상 촬영 프로그램 등이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정보 입력부(220)는 메시지 서비스 서버(30)로부터 발신자의 메시지 정보를 수신할 지 여부의 메시지(즉, '이찬으로부터 메시지 정보가 수신되었습니다. 확인하겠습니까?')를 수신한 다음, 수신할 지 여부를 제2 디스플레이부(260) 상에서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정보 입력부(220)는 제2 디스플레이부(260)와 별도로 구성된 터치 패드(정압/정전) 또는 터치 스크린 형태로 구성되어, 수신자가 메시지 정보의 수신 또는 수정을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본 발명에서는 제2 정보 입력부(220)가 제2 디스플레이부(260)와 별도의 구성인 것을 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제2 정보 입력부(220)는 제2 디스플레이부(260)와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정보 출력부(230)는 메시지 정보의 텍스트 정보, 영상 정보, 음성 정보, 음악 정보를 출력하는 장치로서, 마이크로폰(MIC) 및 스피커(SPK)를 포함하여 마이크로폰(MIC)으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데이터화하여 제2 제어부(270)로 출력하고, 제2 제어부(270)로부터 입력되는 음성데이터를 스피커(SPK)를 통해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상기 제2 포인트 수신부(240)는 메시지 서비스 서버(30)로부터 메시지 정보의 전송에 대한 포인트를 수령하는 장치로서, 발신자의 메시지 정보를 수신하여 다른 사용자에게 전달하고, 다른 사용자 단말이 해당 메시지 정보를 수신 또는 수신에 동의할 경우에 이에 해당되는 포인트를 메시지 서비스 서버(30)로부터 수신한다.
상기 제2 메모리부(250)는 메시지 서비스 서버(30)와 송수신되는 데이터, 상기 재편집된 메시지 정보를 저장하는 장치로서, 수신자 단말(20)의 동작 제어 시 필요한 다수의 프로그램과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롬 및 램, 음성 메모리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260)는 제2 메모리부(250)에 저장된 데이터와, 수신자로부터의 정보 입력을 위한 화면을 표시하는 장치로서, 본 메시지 제공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회원 정보의 입력 화면, 작성 완료된 메시지 정보를 수신 또는 재편집하기 위한 재편집 화면 등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260)는 메시지 정보의 수신을 동의하는 지 여부를 묻는 팝업창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디스플레이부(260)는 액정 디스플레이,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3차원 디스플레이, TOLED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제어부(270)는 메시지 전송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메시지 전송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이다. 즉, 상기 제2 제어부(270)는 메시지 전송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하여 메시지 정보를 수신할 지 여부를 선택하여 메시지 정보를 수신 및 실행시키도록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메시지 서비스 서버(30)는 본 메시지 제공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 또는 업체 등에 구비되어 개방형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사용하는 다양한 서비스 응용들이 존재하는 장치로서, 웹서비스 기술에 기반을 둔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등의 메시지 전송 요청을 처리한다. 이러한 메시지 서비스 서버(30)는 발신자의 메시지 정보를 저장하고, 메시지 정보에 포함된 메시지 종류에 따라 전송 인프라를 선택한 후, 발신자에 의하여 선택된 수신자에게 메시지 정보를 수신할 지 여부를 묻는 메시지를 발송하며, 수신자의 수신 결과에 따라 전송 인프라를 적용하여 수신자 단말(20)에 메시지 정보를 전송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메시지 서비스 서버(30)는 통신 모듈(310), 회원 인증 모듈(320), 종류 판단 모듈(330), 인프라 선택 모듈(335), 수신 메시지 생성 모듈(340), 매니저 모듈(345), 매칭 모듈(350), 매칭 정보 제공 모듈(355), 포인트 부여 모듈(360), 저장 모듈(370) 및 제어 모듈(380)을 포함한다.
상기 통신 모듈(310)은 발신자 단말(10) 및 수신자 단말(20)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장치로서, 유무선 네트워크로 이루어진다. 상기 유무선 네트워크는 통신망에 정의된 프로토콜 스택을 기반으로 발신자 단말(10) 및 수신자 단말(20)과 소정의 통신채널을 연결하고, 발신자 단말(10) 및 수신자 단말(20)에 구비된 통신 프로그램에 정의된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발신자 및 수신자와 메시지 서비스 서버(30)간 메시지 제공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정보를 송수신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네트워크의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와이파이 방식, 지그비 방식, 블루투스 방식, 3G, 4G, LTE, LTE-A 방식, LAN, WAN 및 그 등가 방식 등의 다양한 유무선 통신 방식을 적용할 수도 있다.
상기 회원 인증 모듈(320)은 발신자 또는 수신자의 회원 가입 여부를 인증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인증을 위하여 입력되는 회원 정보는 사용자의 아이디, 비밀번호, 연락처, 사진, 이미지, 동영상, 음성, 음악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회원 인증 모듈(320)은 발신자 단말(10) 또는 수신자 단말(20)의 회원 정보를 메시지 정보 수신시 함께 제공받아 서비스 가입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여러가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종류 판단 모듈(330)은 발신자의 요청에 의한 메시지 정보의 종류를 판단하는 장치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종류 판단 모듈(330)은 SMPP(Short Message Peer to Peer) 프로토콜과 MM7 프로토콜을 통해 각각 SMSC(Short Message Service Center)와 MMRS(Multimedia Message Relay Server)과의 연결을 구성하여, 발신자에 의하여 요청된 메시지 정보가 텍스트 데이터, 이미지 데이터,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 데이터 중 어느 항목에 해당되는 지 판단하게 된다.
상기 인프라 선택 모듈(335)은 메시지 정보의 종류에 따라 전송 인프라를 선택하는 장치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인프라 선택 모듈(335)은 메시지 정보의 종류에 따라 SMS 인프라 또는 MMS 인프라를 선택, 즉 전송 인프라를 선택한다. 여기서, 상기 SMS 인프라는 SMS(Short Message Service) 혹은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Push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 인프라이다. 또한, 상기 MMS 인프라는 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 인프라이다.
한편,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Push 메시지는 문자 이외에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첨부해 보냄으로써 이용자가 직접 해당 사이트 서버에 접속, 그림, 음악, 및 동영상 등을 제공받는 서비스이다. 특정 용도의 응용 서비스를 이용해 하나의 ID를 정의하고 짧은 메시지 서비스(동영상을 포함하는 단문 메시징 서비스가 이용될 수 있음)의 사용자 데이터 안에 콜백(CallBack) URL을 지정, 메시지가 사용자의 단말기에 전송되면 사용자가 원할 경우 콜백 URL에 지정된 사이트에 곧바로 접속해 원하는 작업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예를 들면, 메시지의 콘텐츠 타입(Content Type)이 'application/wap.vnd.sl'는 WAP Push 메시지임을 나타낸다. 그 내용으로 실제 자원이 있는 URL을 포함한다.
WAP Push 메시지의 수신자는 해당 자원(URL 등)과의 연결을 위해 메시지 서비스 서버(30)에 접근하여 해당되는 자원에 접근할 수 있다. WAP Push 메시지는 PPG(Push Proxy Gateway)를 통해서 수신자 단말(20)까지 전송될 수 있다. 현재 대부분의 경우 WAP Push 메시지를 싣고 가는 전송방식으로 SMS를 이용하고 있다. 콘텐츠 타입이 WAP Push 메시지일 경우, SMPP 프로토콜을 이용하기 위해 메시지를 WAP Push 단문 메시지로 재구성한다.
상기 수신 메시지 생성 모듈(340)은 발신자에 의하여 선택된 수신자에게 메시지 정보를 수신할 지 여부를 묻는 메시지를 생성하는 장치이다.
상기 매니저 모듈(345)은 발신자로부터 입력된 메시지 정보를 하나의 메시지 형태로 변환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매니저 모듈(345)은 일종의 데이터 변환 장치로서, 예컨대 발신자 단말(10)로부터 전송된 메시지 정보 및 수신자 단말(20)의 전화번호 또는 주소록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네트워크에 적합한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제공한다.
상기 매칭 모듈(350)은 메시지 정보를 구성하는 각 항목 별로 발신자 또는 수신자들을 분류하는 장치이다. 즉, 상기 매칭 모듈(350)은 메시지 정보가 텍스트 데이터만을 포함하는 경우,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하는 경우, 정지 영상을 포함하는 경우, 동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경우, 음악 데이터를 포함하는 경우, 음성 데이터를 포함하는 경우 등의 항목 별로 발신자들을 분류한다. 또한, 상기 매칭 모듈(350)은 메시지 정보를 수신자 단말(20)이 수신에 동의하는 경우, 수신된 메시지 정보를 다른 수신자 단말(20)에 재전송하는 경우, 수신된 메시지 정보를 재편집하여 다른 수신자 단말(20)에 재전송하는 경우 등의 항목별로 수신자들을 분류한다.
상기 매칭 정보 제공 모듈(355)은 매칭 모듈(350)에 의하여 분류된 항목별로 해당 발신자 또는 수신자들에게 분류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이다. 즉, 상기 매칭 정보 제공 모듈(355)은 매칭 모듈(350)에 의하여 분류된 항목 별로 해당 발신자 또는 수신자들에 자신들의 분류 항목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포인트 부여 모듈(360)은 메시지 정보의 전송 또는 메시지 정보의 수신 여부 결과에 대한 포인트를 발신자 단말(10) 또는 수신자 단말(20)에게 제공하는 장치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포인트 부여 모듈(360)은 매칭 모듈(350)에 의하여 분류된 항목별로 발신자 또는 수신자의 포인트를 산출한다. 즉, 상기 포인트 부여 모듈(360)은 항목에 대한 발신자 또는 수신자의 사용 활동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별 포인트를 산출한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별 포인트를 통하여 발신자 또는 수신자의 메시지 정보의 사용 성향에 대한 정보를 객관적인 수치로 알 수 있게 되고, 이러한 수치를 통하여 발신자 또는 수신자에게 포인트를 부여하여 메시지 정보의 계속적인 사용을 유도할 수 있다.
상기 포인트 부여 모듈(360)은 수학식 1에 의하여, 사용자별 포인트를 산출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1
여기서, i는 항목 번호이고, n은 항목 전체 수이며, a i 는 항목별 자동 가중치값이고, w i 는 항목별 임의 가중치값이며, t j 는 타임별 가중치값이고, xij는 타임값별 변수값이며,
Figure pat00002
는 전체 사용자의 전체 항목별 변수값들의 평균값이고, σ i 는 전체 사용자의 전체 항목별 변수값들의 표준편차이다.
상술한 각각의 변수 중 a i , w i , t j 에 대하여 예를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a i 는 동영상 메시지 제공 서비스 요청시 자동가중치 값으로 동영상 메시지 제공 서비스 요청 사용자수를 전체 사용자수를 나눈 값에 해당되고, w i 는 항목별로 운영자가 강제로 부여하는 가중치 값에 해당된다. 또한, t j 는 최근 1개월 내의 항목 사용 활동시 활동수에 곱해지는 5의 값이고, 1 내지 4개월 내의 항목 사용 활동시 곱해지는 3의 값이며, 5 내지 8개월 내의 항목 사용 활동시 곱해지는 2의 값이고, 8 내지 12개월 사용 활동시 곱해지는 1의 값이며, 1년 이전 활동시 곱해지는 0.5의 값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수는 항목에 대하여 기준 횟수(예를 들어, 1회 또는 2회) 이상 활동한 사용자의 수일 수 있다.
상기 사용 활동 정보는 발신자의 경우 메시지 정보가 텍스트 데이터만을 포함하는 경우의 횟수,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하는 경우의 횟수, 정지 영상을 포함하는 경우의 횟수, 동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경우의 횟수, 음악 데이터를 포함하는 경우의 횟수, 음성 데이터를 포함하는 경우의 횟수 등일 수 있고, 수신자의 경우 메시지 정보를 수신자 단말(20)이 수신에 동의하는 경우의 횟수, 수신된 메시지 정보를 다른 수신자 단말(20)에 재전송하는 경우의 횟수, 수신된 메시지 정보를 재편집하여 다른 수신자 단말(20)에 재전송하는 경우의 횟수 등일 수 있다. 이러한 사용 활동 정보는 본 메시지 정보 제공 서비스의 사용을 유도하여 활성화시키기 위하여 설계자 또는 운영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상기 저장 모듈(370)은 통신 모듈(310)을 통하여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장치로서, 발신자 단말(10) 또는 수신자 단말(20)의 동작 제어 시 필요한 다수의 프로그램과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롬 및 램, 음성 메모리 등으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상기 저장 모듈(370)은 메시지 정보의 전송에 필요한 음성 인식 프로그램, 번역 프로그램, 발신자 단말(10) 또는 수신자 단말(20)에 제공하는 메시지 전송 어플리케이션, 음악 정보, 음성 정보, 포인트 정보, 선물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 모듈(370)은 발신자 단말(10) 및 수신자 단말(20)의 사용자들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관리하고, 예컨대 메시지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는 발신자 단말(10)의 사용자 정보의 변경이 발생하였을 때 수신자 단말(20)의 사용자 즉 지인들에게 관련 데이터를 읽어 가도록 유도하는 역할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모듈(380)은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로서, 발신자의 메시지 정보를 저장하고, 발신자에 의하여 선택된 수신자에게 메시지 정보를 수신할 지 여부를 묻는 메시지를 발송하며, 수신자의 수신 결과에 따라 수신자 단말(20)에 메시지 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에 따르면, 발신자가 전송하고자 하는 메시지 정보를 단문 메시지, 왑 푸쉬 메시지 및 멀티미디어 메시지로 구분하여 수신자의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발신자가 동영상을 직접 촬영하여 수신자에게 전송할 수 있기 때문에, 동일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최적으로 메시지 전송 요청을 처리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발신자 단말 20: 수신자 단말
30: 메시지 서비스 서버 110: 제1 통신부
115: 제1 정보 입력부 120: 음성 인식부
130: 영상 촬영부 135: 음악 제공부
140: 메시지 편집부 150: 제1 포인트 수신부
155: 제1 메모리부 160: 제1 디스플레이부
170: 선물 제공부 180: 수신 확인부
190: 제1 제어부 210: 제2 통신부
220: 제2 정보 입력부 230: 정보 출력부
240: 제2 포인트 수신부 250: 제2 메모리부
260: 제2 디스플레이부 270: 제2 제어부
310: 통신 모듈 320: 회원 인증 모듈
330: 종류 판단 모듈 335: 인프라 선택 모듈
340: 수신 메시지 생성 모듈 345: 매니저 모듈
350: 매칭 모듈 355: 매칭 정보 제공 모듈
360: 포인트 부여 모듈 370: 저장 모듈
380: 제어 모듈

Claims (8)

  1. 메시지 전송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상기 메시지 전송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하여 발신자가 수신자에게 전송하고자 하는 메시지 정보를 생성하며, 수신자를 선택하여 상기 메시지 정보를 전송하는 발신자 단말;
    메시지 전송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상기 메시지 전송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하여 상기 메시지 정보를 수신할 지 여부를 선택하여 상기 메시지 정보를 수신 및 실행시키는 수신자 단말: 및
    상기 발신자의 메시지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메시지 정보에 포함된 메시지 종류에 따라 전송 인프라를 선택한 후, 상기 발신자에 의하여 선택된 수신자에게 상기 메시지 정보를 수신할 지 여부를 묻는 메시지를 발송하며, 상기 수신자의 수신 결과에 따라 상기 전송 인프라를 적용하여 상기 수신자 단말에 상기 메시지 정보를 전송하는 메시지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정보는 텍스트 데이터, 이미지 데이터,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송 인프라는 SMS(Short Messaging Service) 인프라와 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 전송 인프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자 단말은
    상기 메시지 서비스 서버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제1 통신부;
    상기 메시지 전송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회원 정보를 입력하거나, 상기 메시지 정보에 포함하고자 하는 메시지 정보를 입력 또는 선택하는 제1 정보 입력부;
    상기 수신자에게 전송을 원하는 발신자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을 인식하는 음성 인식부;
    상기 수신자에게 전송을 원하는 발신자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 촬영부;
    상기 발신자의 선택에 의하여 원하는 음악을 상기 메시지 정보에 합성시키는 음악 제공부;
    상기 메시지 정보, 음성 정보, 영상 정보, 음악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 정보를 편집하여 발신자의 메시지 정보를 생성하는 메시지 편집부;
    상기 메시지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메시지 정보의 전송에 대한 포인트를 수령하는 제1 포인트 수신부;
    상기 수신자의 주소록 정보, 상기 메시지 서비스 서버와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1 메모리부;
    상기 제1 메모리부에 저장된 데이터와, 상기 발신자로부터의 정보 입력을 위한 화면을 표시하는 제1 디스플레이부;
    상기 포인트, 상기 발신자가 선물하고자 하는 기프트 정보 중 발신자에 의하여 선택된 항목을 상기 메시지 정보와 함께 상기 수신자에게 제공할 것을 요청하는 선물 제공부;
    상기 수신자 단말에 제공되는 발신자의 메시지 정보에 대한 상기 수신자의 수신 여부 결과를 카운트하는 수신 확인부; 및
    메시지 전송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상기 메시지 전송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하여 상기 발신자 단말을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자 단말은
    상기 메시지 서비스 서버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제2 통신부;
    상기 메시지 전송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회원 정보를 입력하거나, 상기 메시지 정보를 수신할 지 여부를 선택하는 제2 정보 입력부;
    상기 메시지 정보의 음성 정보, 영상 정보, 음악 정보를 출력하는 정보 출력부;
    상기 메시지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메시지 정보의 전송에 대한 포인트를 수령하는 제2 포인트 수신부;
    상기 메시지 서비스 서버와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2 메모리부;
    상기 제2 메모리부에 저장된 데이터와, 상기 수신자로부터의 정보 입력을 위한 화면을 표시하는 제2 디스플레이부; 및
    메시지 전송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상기 메시지 전송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하여 상기 수신자 단말을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서비스 서버는
    상기 발신자 단말 및 수신자 단말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통신 모듈;
    상기 발신자 또는 수신자의 회원 가입 여부를 인증하는 회원 인증 모듈;
    상기 발신자의 요청에 의한 메시지 정보의 종류를 판단하는 종류 판단 모듈;
    상기 메시지 정보의 종류에 따라 전송 인프라를 선택하는 인프라 선택 모듈;
    상기 발신자에 의하여 선택된 수신자에게 상기 메시지 정보를 수신할 지 여부를 묻는 메시지를 생성하는 수신 메시지 생성 모듈;
    상기 발신자로부터 입력된 메시지 정보를 하나의 메시지 형태로 변환하는 매니저 모듈;
    상기 메시지 정보를 구성하는 각 항목 별로 발신자 또는 수신자들을 분류하는 매칭 모듈;
    상기 분류된 항목별로 해당 발신자 또는 수신자들에게 분류 정보를 제공하는 매칭 정보 제공 모듈;
    상기 메시지 정보의 전송 또는 상기 메시지 정보의 수신 여부 결과에 대한 포인트를 상기 발신자 단말 또는 수신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포인트 부여 모듈;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하여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 모듈; 및
    상기 메시지 서비스 서버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니저 모듈은
    상기 메시지 정보의 내용이 텍스트로만 구성되어 있는 경우, 상기 메시지 형태를 단문 메시지로 재구성하고, 상기 메시지 정보의 용량이 미리 설정된 최대 단문 메시지 용량보다 큰 경우, 상기 단문 메시지를 복수의 단문 메시지들로 재구성하며, 상기 메시지 정보에 왑 푸쉬 정보가 있는 경우, 상기 메시지 형태를 왑 푸쉬 단문 메시지로 재구성하여, 상기 제어 모듈의 제어에 의하여 SMS 인프라를 통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니저 모듈은
    상기 메시지 정보의 내용이 텍스트로만 구성되어 있는 경우 또는 왑 푸쉬 정보가 있는 경우의 이외에는 상기 메시지 정보를 멀티미디어 메시지로 재구성하여, 상기 제어 모듈의 제어에 의하여 MMS 인프라를 통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KR1020140167727A 2014-11-27 2014-11-27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KR201600638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7727A KR20160063883A (ko) 2014-11-27 2014-11-27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7727A KR20160063883A (ko) 2014-11-27 2014-11-27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3883A true KR20160063883A (ko) 2016-06-07

Family

ID=56192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7727A KR20160063883A (ko) 2014-11-27 2014-11-27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63883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2595A (ko) 2007-11-21 2009-05-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메시지 서비스 방법 및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KR20140127065A (ko) 2013-04-24 2014-11-03 송수현 휴대용 단말 장치들의 메시지 송수신을 위한 메시지 통합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2595A (ko) 2007-11-21 2009-05-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메시지 서비스 방법 및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KR20140127065A (ko) 2013-04-24 2014-11-03 송수현 휴대용 단말 장치들의 메시지 송수신을 위한 메시지 통합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7711B1 (ko) 전자 명함 서비스 시스템
US20200220827A1 (en) Media object distribution
US9225831B2 (en) Mobile terminal having auto answering function and auto answering method for use in the mobile terminal
ES2656986T3 (es) Sistemas y procedimientos para compartir datos entre múltiples dispositivos de usuario final
CN102656918B (zh) 用于利用通信历史的方法和装置
US8577338B2 (en) Messaging with media integration
US8644810B1 (en) Method and system for dynamic font support on mobile devices
US11695715B2 (e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ums for providing a rich menu for instant messaging services
CN104937633B (zh) 内容共享方法和装置
KR101470346B1 (ko) Rcs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사용자 단말간 스크린 쉐어 방법
CN107181755B (zh) 一种办公平台的身份识别方法、装置及系统
US20170339277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notifications in communications networks
EP3002718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walkie-talkie communications
US20160142361A1 (en) Image with audio conversation system and method utilizing social media communications
US20180139158A1 (en) System and method for multipurpose and multiformat instant messaging
WO2019047809A1 (zh) 处理应用中图像的方法、装置、终端设备和存储介质
WO2018223860A1 (zh) 活动提醒方法、活动提醒消息生成方法及装置
KR102051591B1 (ko) 통신 장치에서 캘린더를 구성하는 방법 및 장치
CN103944806A (zh) 一种基于微信平台的数据传输方法和系统
KR101697712B1 (ko) 아바타를 이용한 음성 메시지 전송 시스템
WO2019218160A1 (zh) 信息传输方法及装置
KR102058635B1 (ko) 파일 이름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60063883A (ko)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WO2015021043A1 (en) System and a method for sending and receiving action-based digital greeting cards
KR20140015698A (ko) 캐릭터 광고 문자 서비스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캐릭터 광고 문자 서비스를 위한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5625;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0928

Effective date: 201806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