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3759A - Touch Screen Pan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ouch Screen Pannel - Google Patents

Touch Screen Pan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ouch Screen Panne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3759A
KR20160063759A KR1020140167457A KR20140167457A KR20160063759A KR 20160063759 A KR20160063759 A KR 20160063759A KR 1020140167457 A KR1020140167457 A KR 1020140167457A KR 20140167457 A KR20140167457 A KR 20140167457A KR 20160063759 A KR20160063759 A KR 201600637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film
touch screen
screen panel
film
pattern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74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74051B1 (en
Inventor
단성백
황진수
박효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모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모센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모센스
Priority to KR1020140167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4051B1/en
Publication of KR201600637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375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40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405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uch screen panel and a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and, more specifically, to a touch screen panel with a reinforced film on which one surface and a surface opposite to the one surface have different roughness. Therefore, adhesive force of a layer attached to the reinforced film may be enhanced. At the same time, enlarging a size of the touch screen panel is appropriate, as the same may be lighter. In addition, the touch screen panel is also appropriate for a flexible touch screen panel.

Description

터치 스크린 패널 및 터치 스크린 패널 제조 방법{Touch Screen Pan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ouch Screen Pannel}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uch screen panel and a touch screen panel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 패널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강화 필름의 일면과 상기 강화 필름에서 상기 일면의 반대면의 거칠기를 서로 다르게 한 터치 스크린 패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uch screen panel, and more particularly, to a touch screen panel in which a surface of a reinforcing film and a surface of the reinforcing film opposite to the one surface have different roughnesses.

최근, 키보드, 마우스, 트랙볼, 조이스틱, 디지타이저(digitizer) 등의 다양한 입력장치(Input Device)들이 사용자와 가전기기 또는 각종 정보통신기기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구성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In recent years, various input devices such as a keyboard, a mouse, a trackball, a joystick, and a digitizer have been used to configure an interface between a user and a home appliance or various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s.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입력장치를 사용하는 것은 사용법을 익혀야 하고 공간을 차지하는 등의 불편을 야기하여 제품의 완성도를 높이기 어려운 면이 있었다. 따라서, 편리하면서도 간단하고 오작동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입력장치에 대한 요구가 날로 증가되고 있다. However, the use of the above-described input device has a drawback in that it is required to learn how to use it and occupies a space, thereby making it difficult to improve the completeness of the product. Therefore, there is a growing demand for an input device that is convenient and simple and can reduce malfunctions.

이와 같은 요구에 따라 사용자가 손이나 펜 등으로 화면과 직접 접촉하여 정보를 입력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touch screen panel)이 제안되었다.In accordance with such a demand, a touch screen panel has been proposed in which a user directly touches a screen with a hand or a pen to input information.

터치 스크린 패널은 간단하고, 오작동이 적으며, 별도의 입력기기를 사용하지 않고도 입력이 가능할 뿐 아니라 사용자가 화면에 표시되는 내용을 통해 신속하고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는 편리성 때문에 다양한 표시장치에 적용되고 있다.The touch screen panel is simple, has little malfunction, can be input without using a separate input device, and can be operated quickly and easily through the contents displayed on the screen. .

터치 스크린 패널은 터치된 부분을 감지하는 방식에 따라, 상판 또는 하판에 금속 전극을 형성하여 직류전압을 인가한 상태에서 터치된 위치를 저항에 따른 전압 구배(voltage gradient)로 판단하는 저항막 방식(resistivetype), 도전막에 등전위를 형성하고 터치에 따른 상하판의 전압 변화가 일어난 위치를 감지하여 터치된 부분을 감지하는 정전용량 방식(capacitive type), 전자펜이 도전막을 터치함에 따라 유도되는 LC값을 읽어들여 터치된 부분을 감지하는 전자 유도 방식(electromagnetic type) 등으로 구별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광학 방식, 초음파 방식 등이 알려져 있다.In the touch screen panel, a metal electrode is formed on a top plate or a bottom plate according to a method of detecting a touched portion, and a resistive film type in which a touched position is determined as a voltage gradient according to a resistance a capacitive type in which an equal potential is formed on a conductive film and a touched portion is sensed by detecting a position where a voltage change of the upper and lower plates due to a touch is sensed and an LC value And an electromagnetic type in which a touch is detected by sensing the touch portion. In addition, an optical method, an ultrasonic method, and the like are known.

일반적으로 터치 스크린 패널은 표면에 투명 전극이 구비된 투명 전극 필름을 커버 유리(Cover Glass)에 합착하여 제작되고 있다.Generally, a touch screen panel is manufactured by attaching a transparent electrode film having a transparent electrode on a surface thereof to a cover glass.

그러나, 유리를 기재로 사용할 경우, 대면적화 했을 때 무게가 무거워지며, 플렉서블한 터치 스크린을 만들기에 어려움이 있다.However, when glass is used as a substrate, the weight becomes heavier when it is large-sized, and it is difficult to make a flexible touch screen.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기술1(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3-0116784호)의 표시장치용 터치 스크린 패널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부(A), 라우팅 배선부(B) 및 패드부(C)를 포함한다.Therefore,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the touch screen panel for a display device of the prior art 1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13-0116784) includes an electrode portion A, a routing wiring portion B) and a pad portion (C).

전극부(A)는 기판(100)의 일면 상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 1 전극들(RS) 또는 센싱전극들(RS)(이하, 제 1 전극들이라 함)과, 절연층(HC1)을 사이에 두고 상기 복수의 제 1 전극들(RS)과 교차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제 2 전극들(TS) 또는 구동전극들(TS)(이하, 제 2 전극들이라 함)과, 기판의 타면 상에 형성되는 하드 코팅층(HC2)을 포함한다.The electrode unit A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electrodes RS or sensing electrodes RS (hereinafter referred to as first electrode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100 and a plurality of first electrodes RS A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s TS or driving electrodes TS (hereinafter, referred to as second electrodes) formed so as to cross the plurality of first electrodes RS, (HC2).

제 1 전극들(RS)은 기판(100)의 1면 상에 형성되며, 제 1 방향(예컨대, Y축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된다. 복수의 제 2 전극들(TS)은 제 1 전극들(RS)을 커버하도록 형성되는 절연층(HC1)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전극들(RS)과 교차하는 제 2 방향(예컨대, X축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된다. The first electrodes RS ar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100 and arranged in a first direction (e.g., the Y-axis direction). The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s TS are formed on the insulating layer HC1 formed to cover the first electrodes RS and are formed in a second direction intersecting with the first electrodes RS Axis direction).

즉, 터치스크린 패널을 구성하는 제 1 및 제 2 전극들(RS, TS)은 기판(100)의 한쪽에 형성되어 절연층(HC1)에 의해 전기적으로 서로 절연되고, 기판(100)의 다른 쪽에는 절연층(HC1)과 동일한 재료의 하드 코팅층(HC2)이 형성된다.That is,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RS and TS constituting the touch screen panel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substrate 100, are electrically insulated from each other by the insulating layer HC1, A hard coat layer HC2 of the same material as the insulating layer HC1 is formed.

터치 스크린 패널에서 기판(100)은 PET와 같은 연성의 플라스틱계 물질로 형성되며, 제 1 및 제 2 전극들(RS, TS)은 ITO(Indium Tin Oxide), IZO(Indioum Zinc Oxide), GZO(Gallium-doped ZincOxide), 금속 나노와이어(metal Nano Wire), 또는 탄소 계열 투명 전극들과 같은 투명 도전성 물질로 형성된다.In the touch screen panel, the substrate 100 is formed of a flexible plastic material such as PET.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RS and TS are formed of indium tin oxide (ITO), indium zinc oxide (IZO), indium zinc oxide Gallium-doped ZincOxide, metal Nano Wire, or carbon-based transparent electrodes.

절연층(HC1)과 하드 코팅층(HC2)은 광 경화성이 우수한 일반 자외선 경화형 수지, 나노 실리카 혼합 자외선 경화형 수지, SSQ기반 자외선 경화형 수지와 같은 자외선 경화형 수지로 형성되나, 열 경화형 수지로 형성될 수도있다.The insulating layer HC1 and the hard coat layer HC2 are formed of an ultraviolet curable resin such as a general ultraviolet curable resin excellent in light curability, a nano silica mixed ultraviolet curable resin, an SSQ based ultraviolet curable resin, or may be formed of a thermosetting resin .

라우팅 배선부(B)는 기판(100)의 전극부(A) 외곽에서 절연층(HC1) 상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 1 라우팅 배선들(RW1)과 복수의 제 2 라우팅 배선들(RW2)을 포함한다. The routing wiring portion B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routing wiring lines RW1 and a plurality of second routing wiring lines RW2 formed on the insulating layer HC1 outside the electrode portion A of the substrate 100 .

복수의 제 1 라우팅 배선들(RW1)은 절연층(HC1)의 콘택홀(CH)를 통해 노출된 복수의 제 1 전극들(RS)과 각각 연결되고, 복수의 제 2 라우팅 배선들(RW2)은 절연층(HC1) 상에 형성된 복수의 제 2 전극들(TS)과 각각 직접 연결된다. The plurality of first routing wirings RW1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first electrodes RS exposed through the contact holes CH of the insulating layer HC1 and the plurality of second routing wirings RW2, Are direct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s TS formed on the insulating layer HC1, respectively.

제 1 및 제 2 라우팅 배선들(RW1, RW2)이 형성된 영역에 대응하는 기판(100)의 타면에는 전극부(A)로부터 연장되는 하드 코팅층(HC2)이 형성된다. A hard coat layer HC2 extending from the electrode portion A is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substrate 100 corresponding to the region where the first and second routing wirings RW1 and RW2 are formed.

제 1및 제 2 라우팅 배선들(RW1, RW2)은 Al, AlNd, Mo, MoTi, Cu, Cr, Ag, Ag 계열 합금들과 같은 금속물질로 형성된다.The first and second routing wirings RW1 and RW2 are formed of a metal material such as Al, AlNd, Mo, MoTi, Cu, Cr, Ag, or Ag series alloys.

패드부(C)는 기판(100)의 라우팅 배선부(B)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제 1 패드들(RP1)과, 복수의 제 2 패드들(RP2)을 포함한다. The pad portion C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pads RP1 and a plurality of second pads RP2 formed adjacent to the routing wiring portion B of the substrate 100. [

복수의 제 1 패드들(RP1)은 복수의 제 1 라우팅 배선들(RW1)을 통해 복수의 제 1 전극들(RS)과 각각 접속되고, 복수의 제 2 패드들(RP2)은 복수의 제 2 라우팅 배선들(RW2)을 통해 복수의 제 2 전극들(TS)과 각각 접속된다. 제 1 및 제 2 패드들(RP1, RP2) 또한 Al, AlNd, Mo, MoTi, Cu, Cr, Ag, Ag 계열 합금들과 같은 금속물질로 형성된다.The plurality of first pads RP1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first electrodes RS through the plurality of first routing wirings RW1 and the plurality of second pads RP2 are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second And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s TS through the routing wirings RW2. The first and second pads RP1 and RP2 are also formed of a metal material such as Al, AlNd, Mo, MoTi, Cu, Cr, Ag and Ag alloys.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3-0050249호(이하, '종래기술2'라 함)에도 터치 스크린 패널에서 유리 대신에 강화 필름을 사용한 것이 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2에는 기재층으로서는 통상 산술 평균 표면 거칠기가 0.02 이상 0.06 이하인 것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이 나타나 있다. 또 기재층에는 필요에 따라서 매트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이러한 매트 처리를 시행한 기재층의 산술 평균 표면 거칠기는 0.07 이상 2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이상 1 이하로 할 수 있다. 필름 원반 제조후의 처리에 있어서의 상처 발생이 방지되고, 취급성이 향상되도록 기재층의 표면 거칠기를 이러한 범위로 제어하는 것이 나타나 있다.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13-0050249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2") discloses that a reinforcing film is used instead of glass in a touch screen panel. In Conventional Technique 2, it is shown that a base layer having an arithmetic mean surface roughness of usually 0.02 or more and 0.06 or less can be used. The substrate layer can be subjected to a mat treatment if necessary. The arithmetic mean surface roughness of the base layer subjected to such matting treatment may be 0.07 or more and 2 or less, more preferably 0.1 or more and 1 or less. The surface roughness of the base layer is controlled to be within such a range so that the occurrence of scratches in the treatment after the production of the original master film is prevented and the handling property is improved.

그러나 이와 같은 강화 필름을 터치 스크린 패널의 기재로 사용할 경우, 강화 필름에 접착되는 금속 패턴의 접착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when such a reinforcement film is used as a substrate of a touch screen panel,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dhesion of the metal pattern adhered to the reinforcement film is deteriorated.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3-0116784호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13-0116784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3-0050249호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13-0050249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강화 필름에 접착되는 층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경량화가 가능하여 대면적화에 적합하며, 플랙서블 터치 스크린 패널에 적합한 터치 스크린 패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ouch screen panel suitable for a flexible touch screen panel, which can improve the adhesion of a layer adhered to a reinforcement film, It has its purpose.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터치 스크린 패널은, 강화 필름과, 상기 강화 필름의 일면에 형성된 패턴층을 포함하며, 상기 강화 필름의 일면과 상기 강화 필름에서 상기 일면의 반대면의 거칠기는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ouch screen panel including: a reinforcing film; and a pattern layer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reinforcing film, wherein a roughness of the opposite surface of the reinforcing film, They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상기 강화 필름의 일면은 상기 강화 필름의 반대면보다 더 거칠게 형성될 수 있다.One side of the reinforcing film may be formed to be rougher than the opposite side of the reinforcing film.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터치 스크린 패널 제조 방법은, 강화 필름의 일면과 상기 강화 필름에서 상기 일면의 반대면의 거칠기를 서로 다르게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강화 필름의 일면에 패턴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ouch screen panel, the method comprising: forming a reinforcing film and a reinforcing film having different roughnesses on opposite sides of the reinforcing film;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상기 강화 필름의 일면이 상기 강화 필름의 반대면보다 더 거칠게 형성되고, 상기 패턴층은 상기 일면에 접착되며, 상기 패턴층은 스퍼터링법, 열증착법, 이빔증착법, 아크이온플레팅법을 단독으로 적용하거나 복합화를 통해 상기 강화 필름 일면에 접착될 수 있다.The reinforcing film may have one side more rough than the opposite side of the reinforcing film and the pattern layer may be adhered to the one side of the reinforcing film. The pattern layer may be formed by sputtering, thermal evaporation, ion beam evaporation, arc ion plating, To the one side of the reinforcing film.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터치 스크린 패널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touch screen panel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강화 필름의 일면과 상기 강화 필름에서 상기 일면의 반대면의 거칠기를 서로 다르게 하여, 강화 필름에 접착되는 층(패턴층 등)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경량화가 가능하여 대면적화에 적합하며, 플랙서블 터치 스크린 패널에 적합하다.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adhesion of the layer (pattern layer or the like) adhered to the reinforcing film by making the one surface of the reinforcing film and the reinforcing film have different roughnesses from the surface opposite to the one surface, Suitable for flexible touch screen panels.

상기 패턴층은 스퍼터링을 통해 상기 강화 필름 일면에 접착되어, 접착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The pattern layer is bonded to one surface of the reinforcing film through sputtering, so that the adhesive force can be further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 단면도.
도 4는 종래의 표시장치용 터치 스크린 패널의 평면도.
1 is a sectional view of a touch screen pane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ectional view of a touch screen pane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touch screen pane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lan view of a conventional touch screen panel for a display devic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For reference,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conventional ar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bove-described prior art,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터치 스크린 패널은, 강화 필름(10)과, 상기 강화 필름(10)의 일면(1)에 형성된 패턴층(20)을 포함하며, 상기 강화 필름(10)의 일면(1)과 상기 강화 필름(10)에서 상기 일면(1)의 반대면(2)의 거칠기는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1, the touch screen panel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reinforcing film 10 and a pattern layer 20 formed on one surface 1 of the reinforcing film 10, and the reinforcing film 10 (1) of the reinforcing film (10) and the opposite surface (2) of the reinforcing film (10)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강화 필름(10)은 상면과 하면이 평편한 평판으로 구비된다.The reinforcing film 10 is provided as a flat plate whose upper and lower surfaces are flat.

강화 필름(10)은 광선을 투과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에 투명 특히 무색 투명으로 형성되어 있다. Since the reinforcement film 10 needs to transmit a light ray, it is formed to be transparent, particularly colorless transparent.

강화 필름(10)을 구성하는 주성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전형적으로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아크릴계수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및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The main component constituting the reinforcement film 1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typically it can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polycarbonate resin, a cycloolefin resin, an acrylic resin, a polypropylene resin and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resin.

이들 합성 수지는 우수한 광학적 투명성을 가지고 있어, 광선을 양호하게 투과시킬 수 있다. These synthetic resins have excellent optical transparency and can transmit light rays well.

그 중에서도 강화 필름(10)을 구성하는 주성분으로서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일 수 있다.Among them, the main component constituting the reinforcement film 10 may be a polycarbonate resin, a cycloolefin resin or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resin.

강화 필름(10)은 투명성 및 원하는 강도를 해치지 않는 한 다른 임의 성분을 포함해도 되는데, 상기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주성분을 바람직하게는 90질량% 이상 포함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98질량% 이상 포함한다. The reinforcement film 10 may contain other optional components as long as it does not impair the transparency and the desired strength. The reinforcing film 10 preferably contains 90 mass% or more of the main component composed of the synthetic resin, more preferably 98 mass% or more.

여기서의 임의 성분의 예로서는 자외선 방지제, 활제, 가공 조제, 가소제, 내충격 조제, 위상차 저감제, 광택제거제, 항균제, 곰팡이 방지제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optional components include an ultraviolet ray inhibitor, a lubricant, a processing aid, a plasticizer, an impact resistance auxiliary, a retardation reducing agent, a gloss removing agent, an antibacterial agent and an antifungal agent.

강화 필름(10)을 형성하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직쇄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또는 분기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의 어느 한쪽만이어도 되는데, 직쇄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와 분기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로 할 수 있다.The polycarbonate resin forming the reinforcing film 1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either a straight chain polycarbonate resin or a branched polycarbonate resin, and may be a linear polycarbonate resin and a branched polycarbonate resin Based resin.

직쇄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로서는 공지의 포스겐법 또는 용융법에 의해 제조된 직쇄의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이며, 카보네이트 성분과 디페놀 성분으로 이루어진다. The linear polycarbonate resin is a straight chain aromatic polycarbonate resin prepared by a known phosgene method or a melting method and is composed of a carbonate component and a diphenol component.

카보네이트 성분을 도입하기 위한 전구 물질로서는 예를 들면 포스겐, 디페닐카보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 디페놀로서는 예를 들면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 1,1-비스(4-히드록시페닐)시클로헥산, 1,1-비스(3,5-디메실-4-히드록시페닐)시클로헥산, 1,1-비스(4-히드록시페닐)데칸, 1,1-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1,1-비스(4-히드록시페닐)시클로데칸, 1,1-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시클로도데칸, 4,4'-디히드록시디페닐에테르, 4,4'-티오디페놀, 4,4'-디히드록시-3,3-디클로로디페닐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직쇄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는 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3989672호 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 등으로 제조되며, 그 굴절율은 1.57 이상 1.59 이하일 수 있다.Examples of the precursor for introducing the carbonate component include phosgene, diphenyl carbonate, and the like. Examples of the diphenol include 2,2-bis (4-hydroxyphenyl) propane, 2,2-bis (3,5-dimethyl- Bis (4-hydroxyphenyl) decane, 1,1-bis (4-hydroxyphenyl) cyclohexane, 1,1- (3,5-dimethyl-4-hydroxyphenyl) cyclododecane, 4,4'-di (4-hydroxyphenyl) propane, 1,1- Hydroxydiphenyl ether, 4,4'-thiodiphenol, 4,4'-dihydroxy-3,3-dichlorodiphenyl ether, and the like. Thes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Such a linear polycarbonate resin is produced, for example, by the method described in U.S. Patent No. 3989672. The refractive index may be 1.57 or more and 1.59 or less.

분기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로서는 분기제를 사용하여 제조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이며, 분기제로서는 예를들면 플로로글루신, 트리멜리트산, 1,1,1-트리스(4-히드록시페닐)에탄, 1,1,2-트리스(4-히드록시페닐)에탄, 1,1,2-트리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1,1,1-트리스(4-히드록시페닐)메탄, 1,1,1-트리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1,1,1-트리스(2-메틸-4-히드록시페닐)메탄, 1,1,1-트리스(2-메틸-4-히드록시페닐)에탄, 1,1,1-트리스(3-메틸-4-히드록시페닐)메탄, 1,1,1-트리스(3-메틸-4-히드록시페닐)에탄, 1,1,1-트리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메탄, 1,1,1-트리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에탄, 1,1,1-트리스(3-클로로-4-히드록시페닐)메탄, 1,1,1-트리스(3-클로로-4-히드록시페닐)에탄, 1,1,1-트리스(3,5-디클로로-4-히드록시페닐)메탄, 1,1,1-트리스(3,5-디클로로-4-히드록시페닐)에탄, 1,1,1-트리스(3-브로모-4-히드록시페닐)메탄, 1,1,1-트리스(3-브로모-4-히드록시페닐)에탄, 1,1,1-트리스(3,5-디브로모-4-히드록시페닐)메탄, 1,1,1-트리스(3,5-디브로모-4-히드록시페닐)에탄, 4,4'-디히드록시-2,5-디히드록시디페닐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The branched polycarbonate resin is a polycarbonate resin produced by using a branching agent. Examples of the branching agent include fluoroglycine, trimellitic acid, 1,1,1-tris (4-hydroxyphenyl) ethane, 1,1,2-tris (4-hydroxyphenyl) ethane, 1,1,2-tris (4-hydroxyphenyl) propane, Tris (4-hydroxyphenyl) propane, 1,1,1-tris (2-methyl-4-hydroxyphenyl) methane, 1,1,1- Phenyl) ethane, 1,1,1-tris (3-methyl-4-hydroxyphenyl) methane, 1,1,1- Tris (3,5-dimethyl-4-hydroxyphenyl) methane, 1,1,1-tris (3,5- 4-hydroxyphenyl) methane, 1,1,1-tris (3-chloro-4-hydroxyphenyl) ethane, 1,1,1- 1,1,1-tris (3,5-dichloro-4-hydroxyphenyl) ethane, 1, 1,1,1-tris (3-bromo-4-hydroxyphenyl) methane, 1,1,1- Dibromo-4-hydroxyphenyl) methane, 1,1,1-tris (3,5-dibromo-4-hydroxyphenyl) ethane, 4,4'-dihydroxy- - dihydroxydiphenyl ether, and the like.

이러한 분기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는 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03-182524호에 들고 있는 바와 같이, 방향족 디페놀류, 상기 분기제 및 포스겐으로부터 유도되는 폴리카보네이트 올리고머, 방향족 디페놀류 및 말단정지제를 이들을 포함하는 반응 혼합액이 난류가 되도록 교반하면서 반응시키고, 반응 혼합액의 점도가 상승한 시점에서, 알칼리 수용액을 가함과 아울러 반응 혼합액을 층류로서 반응시키는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Such a branched polycarbonate-based resin can be produced, for example, as disclosed in JP-A-03-182524, by reacting an aromatic diphenol, a polycarbonate oligomer derived from the branching agent and phosgene, an aromatic diphenol, Is reacted with stirring so as to become turbulent flow, and at the time when the viscosity of the reaction mixture is increased, an aqueous alkali solution is added and the reaction mixture is reacted as a laminar flow.

수지 조성물의 분기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중에 5질량% 이상 80질량% 이하의 범위에서 함유되고, 10질량% 이상 60질량% 이하의 범위일 수 있다.The branch polycarbonate resin of the resin composition is contained in the polycarbonate resin in the range of 5% by mass or more and 80% by mass or less, and may be in the range of 10% by mass or more and 60% by mass or less.

이것은 분기 폴리카보네이트계수지가 10질량% 미만에서는 신장 점도가 저하되어 압출 성형에서의 성형이 곤란하게 되기 때문이며, 80질량%를 넘으면 수지의 전단 점도가 높아져 성형 가공성이 저하하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when the branched polycarbonate resin is less than 10% by mass, the elongation viscosity is lowered and molding in extrusion molding becomes difficult. When the amount is more than 80% by mass, the shear viscosity of the resin increases and molding processability decreases.

강화 필름(10)을 형성하는 시클로올레핀계 수지로서는 환상 올레핀(시클로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모노머의 유닛을 가지는 수지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강화 필름(10)에 사용되는 시클로올레핀계 수지로서는 시클로올레핀 폴리머(COP) 또는 시클로올레핀 코폴리머(COC)의 어느 것이어도 되는데, 시클로올레핀 코폴리머일 수 있다.The cycloolefin-based resin forming the reinforcing film 1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has a unit of a monomer comprising a cyclic olefin (cycloolefin). As the cycloolefin-based resin used for the reinforcing film 10, a cycloolefin polymer (COP) or a cycloolefin copolymer (COC) may be used, and it may be a cycloolefin copolymer.

상기 시클로올레핀 코폴리머는 환상 올레핀과 에틸렌 등의 올레핀과의 공중합체인 비결정성의 환상 올레핀계 수지를 말한다. 환상 올레핀으로서는 다환식의 환상 올레핀과 단환식의 환상 올레핀이 존재하고 있다. 이러한 다환식의 환상 올레핀으로서는 노르보르넨, 메틸노르보르넨, 디메틸노르보르넨, 에틸노르보르넨, 에틸리덴노르보르넨, 부틸노르보르넨, 디시클로펜타디엔, 디히드로디시클로펜타디엔, 메틸디시클로펜타디엔, 디메틸디시클로펜타디엔, 테트라시클로도데센, 메틸테트라시클로도데센, 디메틸시클로테트라도데센, 트리시클로펜타디엔, 테트라시클로펜타디엔 등을 들 수 있다. 또, 단환식의 환상 올레핀으로서는 시클로부텐, 시클로펜텐, 시클로옥텐, 시클로옥타디엔, 시클로옥타트리엔, 시클로도데카트리엔 등을 들 수 있다.The cycloolefin copolymer refers to an amorphous cycloolefin resin that is a copolymer of a cyclic olefin and an olefin such as ethylene. As the cyclic olefin, polycyclic cyclic olefin and monocyclic cyclic olefin exist. Examples of such polycyclic cyclic olefins include norbornene, methyl norbornene, dimethyl norbornene, ethyl norbornene, ethylidene norbornene, butyl norbornene, dicyclopentadiene, dihydrodicyclopentadiene, methyl Dicyclopentadiene, dimethyldicyclopentadiene, tetracyclododecene, methyltetracyclododecene, dimethylcyclotetradodecene, tricyclopentadiene, tetracyclopentadiene, and the like. Examples of the monocyclic cyclic olefin include cyclobutene, cyclopentene, cyclooctene, cyclooctadiene, cyclooctatriene, cyclododecatriene, and the like.

강화 필름(10)을 형성하는 아크릴계 수지는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에 유래하는 골격을 가지는 수지이다. 아크릴계 수지의 예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폴리메타크릴산메틸 등의 폴리(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메타크릴산메틸-(메타)아크릴산 공중합체, 메타크릴산메틸-(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메타크릴산메틸-아크릴산에스테르-(메타)아크릴산 공중합체, (메타)아크릴산메틸-스티렌 공중합체, 지환족 탄화수소기를 가지는 중합체(예를 들면, 메타크릴산메틸-메타크릴산시클로헥실 공중합체, 메타크릴산메틸-(메타)아크릴산노르보르닐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아크릴계 수지 중에서도 폴리(메타)아크릴산메틸 등의 폴리(메타)아크릴산 C1-6 알킬이 바람직하고, 메타크릴산메틸계 수지가 보다 바람직하다.The acrylic resin forming the reinforcing film 10 is a resin having a skeleton derived from acrylic acid or methacrylic acid. Examples of the acrylic resin include, but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to, poly (meth) acrylic acid esters such as polymethyl methacrylate, methyl methacrylate- (meth) acrylic acid copolymer, methacrylic acid methyl- (meth) (Meth) acrylic acid ester-methacrylic acid copolymer, a (meth) acrylic acid methyl-styrene copolymer, a polymer having an alicyclic hydrocarbon group (for example, methyl methacrylate-cyclohexyl methacrylate copolymer, methacrylic acid Methyl (meth) acrylate norbornyl copolymer). Among these acrylic resins, poly (meth) acrylate C1-6 alkyl such as poly (meth) acrylate is preferable, and methyl methacrylate resin is more preferable.

강화 필름(10)을 형성하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는 프로필렌에 유래하는 골격을 가지는 수지이다. 폴리프로필렌계수지의 예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프로필렌의 단독 중합체, 또는 프로필렌과, 에틸렌 및 탄소수 4-12의 α-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모노머와의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The polypropylene resin forming the reinforcing film 10 is a resin having a skeleton derived from propylene. Examples of polypropylene resin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homopolymers of propylene or copolymers of propylene and at least one monom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ethylene and alpha -olefins of 4 to 12 carbon atoms.

강화 필름(10)을 형성하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는 테레프탈산과 에틸렌글리콜의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폴리머이다.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는 다른 코모노머를 포함하는 것이어도 되는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반복 단위가 80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는 예를 들면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및 에틸렌글리콜을 반응기에 도입하고, 내온을 서서히 올리면서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행한 후, 반응 생성물을 중합 반응기에 옮기고, 고온진공하에서 중합 반응을 행함으로써 생성할 수 있다.The polyethylene terephthalate resin forming the reinforcing film 10 is a polymer obtained by the reaction of terephthalic acid with ethylene glycol. The polyethylene terephthalate resin may contain other comonomers,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repeating unit of the polyethylene terephthalate is 80 mol% or more. Polyethylene terephthalate can be produced, for example, by introducing dimethyl terephthalate and ethylene glycol into a reactor, gradually changing the internal temperature to transesterify, transferring the reaction product to a polymerization reactor, and conducting polymerization under high temperature and vacuum conditions have.

강화 필름(10)의 일면(1:상면)과 강화 필름(10)에서 일면(1)의 반대면(2:하면)의 거칠기는 서로 다르게 형성된다.The roughness of one surface 1 (the upper surface) of the reinforcing film 10 and that of the reinforcing film 10 opposite to the one surface 1 (lower surface 2)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강화 필름(10)의 거칠기는 표면 처리를 통해 형성할 수 있다.The roughness of the reinforcing film 10 can be formed through surface treatment.

예를 들어, 강화 필름(10)은 버프(buff) 또는 사포를 이용한 연마공정을 통해 표면처리 되어 거칠기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버프는 사포롤로 구비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reinforcing film 10 may be surface treated through a polishing process using a buff or sandpaper to control the roughness. The buff can be provided as a sandpaper.

버프를 이용하여 강화 필름(10)의 표면을 연마할 경우, 강화 필름(10)의 표면에는 다수개의 홈이 상기 버프의 연마방향으로 연속되도록 형성된다.When the surface of the reinforcing film 10 is polished by using the buff, a plurality of grooves ar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reinforcing film 10 so as to be continuous in the polishing direction of the buff.

이와 같이 표면처리를 버프를 이용한 연마공정으로 하여, 표면처리가 단순한 공정으로 처리 가능해진다.As described above, the surface treatment can be performed by a simple polishing process using a buff.

또는, 강화 필름(10)은 진공 에칭 방법 또는 화학 약품에 의한 흑색 착화물을 형성하는 방법을 통해 표면처리 되어 거칠기가 조절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reinforcing film 10 may be surface-treated through a method of forming a black complex by a vacuum etching method or a chemical to control the roughness.

상기 거칠기는 마이크로 단위로 조절하여 될 수 있다.The roughness can be adjusted in units of micrometers.

상세하게는, 강화 필름(10)의 일면(1)은 강화 필름(10)의 반대면(2)보다 더 거칠게 형성된다.Specifically, one side 1 of the reinforcing film 10 is formed to be rougher than the opposite side 2 of the reinforcing film 10.

패턴층(20)은 강화 필름(10)의 일면(1)에 형성된다.The pattern layer 20 is formed on one side 1 of the reinforcing film 10.

패턴층(20)은 금속 소재로 형성되며, 전극 회로를 형성한다.The pattern layer 20 is formed of a metal material and forms an electrode circuit.

패턴층(20)은 스퍼터링을 통해 강화 필름(10)의 일면(1)에 접착된다.The pattern layer 20 is bonded to one surface 1 of the reinforcing film 10 through sputtering.

전술한 바와 다르게, 패턴층(20)은 스퍼터링법, 열증착법, 이빔증착법, 아크이온플레팅법을 단독으로 적용하거나 복합화를 통해 강화 필름(10)의 일면(1)에 접착될 수 있다.The pattern layer 20 may be adhered to one surface 1 of the reinforcing film 10 through sputtering, thermal evaporation, ion beam evaporation, arc ion plating, or compounding.

패턴층(20)은 강화 필름(10)의 일면(1)에 접착되는 베이스 회로층(21)과 베이스 회로층(21)에 형성되는 금속 패턴층(22)을 포함한다.The pattern layer 20 includes a base circuit layer 21 adhered to one surface 1 of the reinforcing film 10 and a metal pattern layer 22 formed on the base circuit layer 21. [

베이스 회로층(21)은 검은색 계열의 색상을 가지는 금속재질의 흑화층일 수 있다. 이로 인해, 사람의 눈으로 시인성이 없는 미세 회로를 용이하게 구현하여 투명도가 높은 효과가 있다.The base circuit layer 21 may be a blackening layer made of a metal having a black-based color.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easily realize a microcircuit having no visibility with the eyes of a person, and thus the transparency is high.

전술한 바와 다르게, 패턴층(20)은 베이스 회로층(21) 없이 금속 패턴층(22)만 포함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attern layer 20 may include only the metal pattern layer 22 without the base circuit layer 21.

이와 같이 패턴층(20)이 강화 필름(10)의 더 거친 면에 접착되어, 접착력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플랙서블한 터치 스크린에 적용시 여러번의 굽힘에도 패턴층(20)의 접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attern layer 20 is adhered to the rougher surface of the reinforcing film 10, which has an advantage of improving the adhesive strength. Therefore, when applied to a flexible touch screen, the bonded state of the pattern layer 20 can be maintained even after bending several times.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터치 스크린 패널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ouch screen panel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본 실시예의 터치 스크린 패널 제조 방법은, 강화 필름(10)의 일면(1)과 상기 강화 필름(10)에서 상기 일면(1)의 반대면(2)의 거칠기를 서로 다르게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강화 필름(10)의 일면(1)에 패턴층(20)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touch screen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the steps of forming one surface 1 of the reinforcing film 10 and the other surface 2 opposite to the one surface 1 of the reinforcing film 10 differently from each other, And forming a pattern layer (20) on one surface (1) of the reinforcing film (10).

강화 필름(10)의 일면(1)이 강화 필름(10)의 반대면(2)보다 더 거칠도록 강화 필름(10)을 형성한다.The reinforcing film 10 is formed such that one side 1 of the reinforcing film 10 is rougher than the opposite side 2 of the reinforcing film 10.

이러한 강화 필름(10)의 일면(1)에 스퍼터링을 통해 패턴층(20)을 접착시킨다.
The pattern layer 20 is bonded to one surface 1 of the reinforcing film 10 through sputtering.

전술한 바와 다르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 패턴층(22) 표면(상면)에 흑화층(23)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흑화층(23)으로 인해 패턴층(20)의 금속에 의한 반사가 저감되어 사람의 눈으로 인지하기 어렵게 된다.
2, a blackening layer 23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upper surface) of the metal pattern layer 22. This blackening layer 23 reduces the reflection of the pattern layer 20 by the metal, making it difficult for the human eye to recognize.

또한, 전술한 바와 다르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턴층(20)이 베이스 회로층(21)을 구비하지 않고 금속 패턴층(22)만 포함하도록 할 수도 있다.
3, the pattern layer 20 may not include the base circuit layer 21 but may include only the metal pattern layer 22. In this cas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일면
2 : 반대면
10 : 강화 필름
20 : 패턴층
21 : 베이스 회로층
22 : 금속 패턴층
DESCRIPTION OF REFERENCE NUMERALS
1: One side
2: opposite face
10: reinforced film
20: pattern layer
21: Base circuit layer
22: metal pattern layer

Claims (5)

강화 필름;
상기 강화 필름의 일면에 형성된 패턴층을 포함하며,
상기 강화 필름의 일면과 상기 강화 필름에서 상기 일면의 반대면의 거칠기는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Reinforced film;
And a pattern layer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reinforcing film,
Wherein one surface of the reinforcing film and the surface roughness of the opposite surface of the reinforcing film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강화 필름의 일면은 상기 강화 필름의 반대면보다 더 거칠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one side of the reinforcing film is rougher than the opposite side of the reinforcing film.
강화 필름의 일면과 상기 강화 필름에서 상기 일면의 반대면의 거칠기를 서로 다르게 형성하는 단계;
상기 강화 필름의 일면에 패턴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제조 방법.
Forming a reinforcing film having a roughness different from that of the opposite surface of the reinforcing film;
And forming a pattern layer on one side of the reinforcing film.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강화 필름의 일면이 상기 강화 필름의 반대면보다 더 거칠게 형성되고,
상기 패턴층은 상기 일면에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One side of the reinforcing film is formed to be rougher than the opposite side of the reinforcing film,
Wherein the pattern layer is adhered to the one surface.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층은 스퍼터링법, 열증착법, 이빔증착법, 아크이온플레팅법을 단독으로 적용하거나 복합화를 통해 상기 강화 필름 일면에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제조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4,
Wherein the pattern layer is adhered to one surface of the reinforcing film through sputtering, thermal evaporation, ion beam evaporation, arc ion plating, or compounding.
KR1020140167457A 2014-11-27 2014-11-27 Touch Screen Pan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ouch Screen Pannel KR10227405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7457A KR102274051B1 (en) 2014-11-27 2014-11-27 Touch Screen Pan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ouch Screen Pann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7457A KR102274051B1 (en) 2014-11-27 2014-11-27 Touch Screen Pan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ouch Screen Panne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3759A true KR20160063759A (en) 2016-06-07
KR102274051B1 KR102274051B1 (en) 2021-07-08

Family

ID=56192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7457A KR102274051B1 (en) 2014-11-27 2014-11-27 Touch Screen Pan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ouch Screen Panne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4051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62578A (en) * 2018-06-12 2018-11-06 信利光电股份有限公司 A kind of metal grill touch screen and its preparation process
US20210128410A1 (en) * 2019-11-04 2021-05-06 Schott Ag Substrate having a marking element, container comprising such a substrate and method for producing a substrate having a marking element
WO2022211421A1 (en) * 2021-03-29 2022-10-06 동우화인켐 주식회사 Digitizer and image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2814A (en) * 2010-02-10 2011-08-18 (주)삼원에스티 Touch panel sensor
KR20130050249A (en) 2011-11-07 2013-05-15 케이와 인코포레이티드 Hard coat film, transparent conductive laminate and touch panel
KR20130116784A (en) 2012-04-16 2013-10-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Touch screen panel for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14191806A (en) * 2013-03-28 2014-10-06 Dainippon Printing Co Ltd Production method of conductive sheet for touch panel and conductive sheet for touch pane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2814A (en) * 2010-02-10 2011-08-18 (주)삼원에스티 Touch panel sensor
KR20130050249A (en) 2011-11-07 2013-05-15 케이와 인코포레이티드 Hard coat film, transparent conductive laminate and touch panel
KR20130116784A (en) 2012-04-16 2013-10-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Touch screen panel for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14191806A (en) * 2013-03-28 2014-10-06 Dainippon Printing Co Ltd Production method of conductive sheet for touch panel and conductive sheet for touch panel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62578A (en) * 2018-06-12 2018-11-06 信利光电股份有限公司 A kind of metal grill touch screen and its preparation process
US20210128410A1 (en) * 2019-11-04 2021-05-06 Schott Ag Substrate having a marking element, container comprising such a substrate and method for producing a substrate having a marking element
US11938090B2 (en) * 2019-11-04 2024-03-26 Schott Pharma Ag & Co. Kgaa Substrate having a marking element, container comprising such a substrate and method for producing a substrate having a marking element
WO2022211421A1 (en) * 2021-03-29 2022-10-06 동우화인켐 주식회사 Digitizer and image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4051B1 (en) 2021-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9603B1 (en) Touch window and display with the same
KR101643377B1 (en) Foldable touch screen display apparatus
CN102855014B (en) Touch screen panel
US9323361B2 (en) Integrated touch screen
KR20140003476U (en) Touch panel
US8895136B2 (en) Transparent conductive film
KR101956086B1 (en) Touch panel, display and method of the same
KR20130119762A (en) Touch panel
TWM473561U (en) Touch display device
TWM460338U (en) Touch panel and touch-display panel using the same
KR20150087613A (en) Touch sensor
KR101040873B1 (en) Touch Screen Panel device
TWI566155B (en) Capacitive touch panel
JP3181326U (en) Touch panel and touch display panel used therefor
KR102302817B1 (en) Touch window
KR20160063759A (en) Touch Screen Pan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ouch Screen Pannel
WO2011108494A1 (en) Conductive laminate film and touch panel using the same
US20130269991A1 (en) Touch panel
KR102175361B1 (en) Touch window and display with the same
KR102199361B1 (en) Electrode member and touch window comprising the same
KR101658932B1 (en) Touch Screen Pannel
TWI474385B (en) Abstract of the disclosure
KR20140038818A (en) Touch panel
CN102789826A (en) Conductive thin film
TWI588700B (en) Touch-sensitiv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