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3491A - Apparatus for Supporting Walking Trainee and Apparatus for Training Walk Compri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Supporting Walking Trainee and Apparatus for Training Walk Compris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63491A KR20160063491A KR1020140166528A KR20140166528A KR20160063491A KR 20160063491 A KR20160063491 A KR 20160063491A KR 1020140166528 A KR1020140166528 A KR 1020140166528A KR 20140166528 A KR20140166528 A KR 20140166528A KR 20160063491 A KR20160063491 A KR 2016006349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lking
- supporting
- coupled
- gait
- trainee
- Prior art date
Links
- 210000004197 pelvis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0000005021 gai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0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10000003205 muscle Anatomy 0.000 description 5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125000002066 L-histidyl group Chemical group [H]N1C([H])=NC(C([H])([H])[C@](C(=O)[*])([H])N([H])[H])=C1[H]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396 body weigh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0038 chest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6010019468 Hemipleg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8389 Nerve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33799 Paraly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1074 Re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0339 Spinal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015 abdome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74 ascen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556 brai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931 brain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9028 brain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133 brain ste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354 dail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03 everyda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4674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127 kne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414 leg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141 lower extremity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5036 nerv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764 nerve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653 nervous syste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26 neurolog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61H1/0255—Both knee and hip of a patient, e.g. in supine or sitting position, the feet being moved together in a plan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body-symmetrical plane
- A61H1/0262—Walking movement; Appliances for aiding disabled persons to walk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18—Drawing-out devices
- A61H1/0229—Drawing-out devices by reducing gravity forces normally applied to the body, e.g. by lifting or hanging the body or part of it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61H2201/0149—Seat or chai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92—Specific means for adjusting dimens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0—Le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30/00—Measuring physical parameters of the user
- A61H2230/80—Weigh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보행 훈련을 하기 위한 보행 훈련자 지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보행 훈련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lking trainer supporting apparatus for performing walking training and a gait train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일반적으로 사람에게 있어서 보행은 일상 생활에서 가장 기초적이면서 필수적인 동작이다. 그러므로, 질병이나 사고로 인하여 신경 기능의 손상을 입거나 근육의 불균형 발달로 인하여 제대로 걷지 못하는 환자들에게 보행 훈련을 실시하는 것은, 그 환자가 일상 생활로 복귀할 수 있도록 하는 첫번째 관문이 된다. 하지만, 척추에 손상을 입거나, 관절이 약해진 사람들의 경우 보행 훈련에 많은 제약이 존재한다. 즉, 몸을 움직일 때마다 척추나 관절에 극심한 통증이 발생되기 때문에 오랜 시간 보행 훈련을 지속하는 것이 힘든 것은 물론, 보행 훈련 중 넘어짐 등의 사고를 당함으로써 제2의 상해를 입게 될 가능성도 높다.Generally, for a person, walking is the most fundamental and necessary action in everyday life. Therefore, performing gait training for patients who suffer from neurological damage due to illness or accident or who can not walk properly due to muscle imbalance develops to become the first gateway to return to their daily lives. However, for people with spinal injuries or weak joints, there are many restrictions on gait training. In other words, every time you move your body, it causes extreme pain in your spine or joints, so it is not only difficult to maintain long-time gait training, but also it is very likely that you will suffer a second injury by falling down during walking training.
이러한 보행 훈련 장치 중에는 오버헤드 하네스 타입(Overhead Harness Type)의 보행 훈련 장치가 있다. 오버헤드 하네스 타입의 보행 훈련 장치는 보행 훈련자의 체중이 하지에 집중되는 것을 분산시키기 위해 보행 훈련자의 상체를 보행 훈련자의 머리 위에서 견인하여 보행 훈련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그러나, 오버헤드 하네스 타입의 보행 훈련 장치는 보행 훈련자가 하네스(Harness) 체결용 조끼를 착용해야 하므로 착용에 오랜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조끼의 하부가 보행 훈련자의 가랑이 사이에 위치하므로 체중이 집중되어 통증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종래 기술에 따른 보행 훈련 장치는 보행 훈련자가 앉아서 보행 훈련을 수행하도록 착석식 형태로 개발되었으나,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Among these gait training apparatuses, there is a gait training apparatus of an overhead harness type. The overhead harness type gait training device is a device for tracing the upper body of the gait trainer on the head of the gait trainer so as to disperse the weight of the gait trainer to the lower extremity so as to perform gait training. However, since the overhead harness type gait training apparatus requires a long time to wear since the walking trainer must wear a harness tightening vest, the lower part of the vest is positioned between the crotch of the walking trainee, There is a problem that causes pain. In order to improve this, the gait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s been developed as a sitting type in which the gait trainer performs sitting and walking training, however, there are the following problems.
첫째, 종래 기술에 따른 보행 훈련 장치는 보행 훈련자의 체중이 가랑이 사이 또는 골반부 등 일부에만 집중되므로, 보행 훈련자가 오랜 시간 보행 훈련을 수행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종래 기술에 따른 보행 훈련 장치는 보행 훈련자에 대한 회복에 오랜 시간이 걸리는 문제가 있다.First, since the weight of the walking trainee is concentrated only in the crotch part or the pelvis part, the walking training device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has a problem that the walking trainee can not perform the long time walking training. 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gait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ior art takes a long time to recover from the gait trainee.
둘째, 종래 기술에 따른 보행 훈련 장치는 키, 몸무게 등 보행 훈련자의 체격을 고려하지 않고 일률적인 크기로 제작되었다. 이에 따라, 종래 기술에 따른 보행 훈련 장치는 보행 훈련자의 체격에 적합하지 않으므로 낙상(落傷)과 같은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Second, the gait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ior art was manufactured in a uniform size without considering the physical strength of the gait trainer such as height and weight. Accordingly, the gait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not suitable for the physique of the walking trainee, thereby causing a safety accident such as a fall injury.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보행 훈련자의 체중이 일부에만 집중되는 것을 분산시킬 수 있는 보행 훈련자 지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보행 훈련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gait trainer supporting apparatus and a gait training apparatus including the gait trainer supporting apparatus capable of dispersing the weight of a gait trainer only in a part thereof.
본 발명은 다양한 보행 훈련자의 체격에 맞도록 구현됨으로써, 보행 훈련자에 대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보행 훈련자 지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보행 훈련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provide a gait trainer supporting apparatus and a gait training apparatus including the gait trainer supporting apparatus, which can prevent a safety accident to a gait trainer by being implemented in accordance with the physique of various gait trainees.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lude the following configuration.
본 발명에 따른 보행 훈련자 지지장치는 보행 훈련자의 골반부를 지지하기 위한 시트부; 상기 시트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일측이 이동 및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타측에 결합되고, 상기 시트부에 탑승한 보행 훈련자의 하중이 분산되도록 상기 보행 훈련자의 상반신을 지지하며 상기 연결부를 통해 위치가 조절되는 상반신지지부를 포함한다.A walking trainer suppor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at portion for supporting a pelvis of a walking trainee; A body in which the seat portion is rotatably engaged; A connecting portion to which one side of the body is movably and rotatably coupled; And an upper body supporting portion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on portion and supporting the upper body of the walking trainer so that the load of the walking trainee aboard the seat portion is dispersed, and the position being adjusted through the connecting portion.
본 발명에 따른 보행 훈련자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반신지지부는 상기 보행 훈련자의 체격에 따라 상기 연결부를 통해 상기 본체로부터 이격되는 이격거리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gait trainer suppor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tance that the upper body half portion is spaced apart from the main body through the connection portion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physique of the walking trainee.
본 발명에 따른 보행 훈련자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반신지지부는 상기 시트부가 위치한 하측에 반대되는 상측이 상기 연결부에 결합되고, 상기 보행 훈련자의 체격에 따라 상기 연결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높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walking trainer suppor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portion opposite to the lower side where the seat portion is located is coupled to the connecting portion, and the height is adjusted by rotating around the connecting portion according to the physique of the walking trainer .
본 발명에 따른 보행 훈련자 지지장치는 보행 훈련자의 안전을 위해 상기 상반신지지부를 기준으로 상기 본체의 좌측에 결합되는 제1지지부재 및 상기 본체의 우측에 결합되는 제2지지부재를 포함하는 핸들부를 포함한다. 상기 핸들부는 상기 시트부가 위치한 하측에서 상기 상반신지지부가 위치한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제1지지부재 및 상기 제2지지부재 사이의 거리가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walking trainer suppor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andle portion including a first support member coupled to the left side of the main body and a second support member coupled to the right side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upper body support portion for safety of the walking trainee do.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support member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is reduced as the handle portion moves from the lower side where the seat portion is located to the upper side where the upper body support portion is located.
본 발명에 따른 보행 훈련 장치는 보행 훈련자의 발을 지지하고 이동시키기 위한 보행부, 상기 보행부가 결합되는 제1지지부, 상기 제1지지부에 중력 방향으로 결합되는 제2지지부, 상기 제2지지부에 일측이 높이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높이조절부, 및 상기 높이조절부의 타측에 결합되고, 보행 훈련자를 지지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4항 중에서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보행 훈련자 지지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gait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alking part for supporting and moving the foot of a walking trainee, a first support part for coupling the walking part, a second support part for coupling to the first support part in the gravity direction, And a gait trainer supporting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for supporting the gait trainer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height adjusting portion, do.
본 발명에 따른 보행 훈련 장치는 보행 훈련자의 체중을 측정하기 위해 상기 높이조절부에 설치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gait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nsor unit installed in the height adjusting unit for measuring the weight of a walking trainee.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achieved.
본 발명은 보행 훈련자의 체중이 일부에만 집중되는 것을 분산시키도록 구현됨으로써, 보행 훈련 시간을 증가시켜 보행 훈련자의 회복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so as to disperse the weight of the walking trainee only to a part of the body, thereby shortening the recovery period of the walking trainee by increasing the walking training time.
본 발명은 다양한 보행 훈련자의 체격에 맞도록 구현됨으로써, 보행 훈련 간에 발생하는 불편함을 해소하여 보행 훈련자에 대한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in accordance with the physique of various walking trainees, thereby eliminating the inconvenience caused between the walking exercises, thereby preventing a safety accident from occurring to the walking traine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행 훈련자 지지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행 훈련자 지지장치에서 상반신지지부가 본체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조절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행 훈련자 지지장치에서 상반신지지부가 회전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보행 훈련자 지지장치에서 핸들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보행 훈련자 지지장치에서 핸들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보행 훈련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walking trainer suppor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S. 2 and 3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for explaining the distance that the upper body support portion is spaced apart from the body in the walking trainer suppor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rotation of the upper half body support portion in the walking trainer suppor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handle portion in the walking trainer suppor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chematic front view for explaining a handle portion in a walking trainer suppor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gait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보행 훈련자 지지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a walking trainer suppor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행 훈련자 지지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행 훈련자 지지장치에서 상반신지지부가 본체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조절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행 훈련자 지지장치에서 상반신지지부가 회전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보행 훈련자 지지장치에서 핸들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보행 훈련자 지지장치에서 핸들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정면도이다.FIG.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walking trainer suppor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2 and 3 are schematic views for explaining how the distance of the upper body supporting portion from the body is adjusted in the walking trainer suppor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handle portion of a walking trainer suppor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handle portion of a walking trainer suppor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chematic front view for explaining the handle portion in the walking trainer suppor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보행 훈련자 지지장치(100)는 보행 훈련자가 앉은 상태에서 보행 훈련을 수행하도록 구현되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보행 훈련자 지지장치(100)는 보행 훈련자의 체중을 분산시키도록 구현됨으로써, 보행 훈련 시간을 증가시켜 보행할 수 있는 회복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행 훈련자 지지장치(100)는 보행 훈련자의 체격에 맞도록 위치 조절이 가능하므로 보행 훈련자에 대한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행 훈련자에 대한 적합한 보행 훈련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walking
본 발명에 따른 보행 훈련자 지지장치(100)는 보행 훈련자의 골반부를 지지하기 위한 시트부(110), 상기 시트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본체(120), 상기 본체에 일측이 이동 및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130), 및 상기 연결부의 타측에 결합되고, 보행 훈련자의 상반신을 지지하는 상반신지지부(140)를 포함한다.The walking
상기 상반신지지부(140)는 상기 시트부(110)에 탑승한 보행 훈련자의 체중이 분산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연결부(130)를 통해 위치가 조절된다. 예컨대, 상기 상반신지지부(140)는 상기 보행 훈련자의 흉부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시트부(110)에 집중되는 체중을 분산시킬 수 있다. 상기 상반신지지부(140)는 상기 본체(12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연결부(130)를 통해 상기 본체(120)와 이격된 이격 거리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상반신지지부(140)는 상기 본체(1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연결부(130)가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됨으로써 상기 보행 훈련자의 상반신을 지지할 수 있는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The upper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보행 훈련자 지지장치(100)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Therefore, the walking
첫째, 본 발명에 따른 보행 훈련자 지지장치(100)는 상기 상반신지지부(140)가 보행 훈련자의 상반신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시트부(110)에 집중되는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보행 훈련자 지지장치(100)는 상기 보행 훈련자의 골반부가 부담하는 하중을 감소시킴으로써, 보행 훈련 시간을 증가시켜 보행할 수 있는 회복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First, in the walking
둘째, 본 발명에 따른 보행 훈련자 지지장치(100)는 상기 상반신지지부(140)가 상기 연결부(130)를 통해 상기 본체(120)로부터 이격된 이격 거리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구현됨으로써, 보행 훈련자의 체격에 맞도록 위치 조절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보행 훈련자 지지장치(100)는 보행 훈련자가 편안하고 안전하게 보행 훈련할 수 있으므로 낙상(落傷)과 같은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Second, the walking
이하에서는 상기 시트부(110), 상기 본체(120), 상기 연결부(130), 및 상기 상반신지지부(140)에 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도 1을 참고하면, 상기 시트부(110)는 보행 훈련자의 골반부를 지지한다. 상기 시트부(110)는 상기 본체(120)에 결합되고, 보행 훈련자가 상기 시트부(110)에 탑승함으로써 상기 보행 훈련자의 골반부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시트부(110)는 자전거나 오토바이의 안장과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보행 훈련자의 골반부를 지지할 수 있는 형태이면 원형이나 타원형 등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시트부(110)는 상기 보행 훈련자의 골반부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보행 훈련자가 서서 보행 훈련을 수행할 경우에 비해 상기 보행 훈련자의 하반신이 부담하는 하중을 완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시트부(110)는 편마비가 발생한 보행 훈련자뿐만 아니라, 뇌나 신경 손상으로 보행이 자유롭지 못한 보행 훈련자들처럼 자신의 체중을 전부 지지할 수 없는 보행 훈련자들이 지지해야 하는 체중을 완화함으로써 보행 훈련을 용이하게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트부(110)는 상기 본체(1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보행 훈련자는 골반부가 상기 시트부(110)에 접촉된 상태에서도 상기 시트부(110)가 좌우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시트부(110)가 고정되었을 경우에 비해 골반부의 움직임을 더 자연스럽게 하여 보행 훈련을 수행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도 1을 참고하면, 상기 본체(120)는 상기 보행 훈련자들이 앉은 상태에서 보행 훈련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전체적인 형태가 'L'자로 형성된다. 상기 시트부(110)는 상기 본체(120)에서 중력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 위치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보행 훈련자는 상기 시트부(110)에 골반부가 접촉됨으로써, 탈부하 상태에서 보행 훈련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본체(120)에서 시트부(110)가 결합된 위치보다 높은 위치에는 상기 연결부(130)를 통해 상기 상반신지지부(140)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본체(120)는 상기 보행 훈련자의 골반부 및 상기 보행 훈련자의 상반신을 지지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연결부(130)는 상기 본체(120)에 일측이 이동 및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연결부(130)의 타측에는 상기 상반신지지부(140)가 결합된다. 상기 상반신지지부(140)는 상기 시트부(110)가 위치한 하측과 반대되는 상측이 상기 연결부(130)에 결합된다. 상기 연결부(130)는 상기 본체(120)를 관통하여 일측에는 너트 혹은 볼트 머리가 위치되고, 타측에는 상기 상반신지지부(140)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30)는 볼트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상기 본체(120)와 상기 상반신지지부(140)를 연결하고 상기 본체(120)로부터 이동 및 회전 가능한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연결부(130)는 상기 시트부(110)와 평행하도록 중력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본체(120)에 결합될 수 있다.2 and 3, the
상기 상반신지지부(140)는 상기 연결부(130)가 이동 및 회전함에 따라 함께 이동 및 회전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연결부(130)가 상기 본체(120)로부터 상기 시트부(110)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상반신지지부(140)는 상기 본체(12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시트부(110)와 상기 상반신지지부(140)의 거리가 가까워지므로, 어린이 혹은 여성 등 체격이 작은 보행 훈련자가 보행 훈련하기에 적합한 위치가 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연결부(130)가 상기 본체(120)로부터 상기 시트부(110)가 위치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상반신지지부(140)는 상기 본체(120)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시트부(110)와 상기 상반신지지부(140)의 거리가 멀어지므로, 남성과 같이 체격이 큰 보행 훈련자가 보행 훈련하기에 적합한 위치가 될 수 있다.The upper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상반신지지부(140)는 상기 보행 훈련자의 상반신을 지지한다. 이를 위해, 상기 상반신지지부(140)는 상기 본체(120)의 전체적인 'L'자 형태에서 'l'부분에 결합된다. 상기 상반신지지부(140)는 상기 연결부(130)를 통해 상기 본체(12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반신지지부(140)는 상기 보행 훈련자의 상반신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시트부(110)가 지지하는 보행 훈련자의 체중을 분산시킨다. 예컨대, 상기 상반신지지부(140)는 보행 훈련자가 상기 시트부(110)에 앉은 상태에서 상반신을 상기 본체(120)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기울일 경우, 상기 보행 훈련자의 흉부 또는 배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시트부(110)가 지지하는 체중을 분산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보행 훈련자 지지장치(100)는 보행 훈련자의 골반부에만 체중이 집중될 경우 보행 훈련자의 하반신이 저리거나 마비되는 등 오랜 시간 보행 훈련을 수행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보행 훈련자 지지장치(100)는 보행 훈련자의 보행 훈련 시간을 증가시킴으로써, 보행 가능한 상태로의 회복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3 and 4, the upper
상기 상반신지지부(140)는 높이가 조절된다. 상기 상반신지지부(140)는 상기 연결부(130)가 제1방향(R1, 도 4에 도시됨)으로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함으로써 상기 보행 훈련자의 상반신을 지지하는 높이가 높아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상반신지지부(140)는 상기 제1방향으로 회전하기 전인 제1위치에 위치될 경우 높이가 낮아진다. 이 경우, 상기 시트부(110)와 상기 상반신지지부(140)의 거리가 가까워지므로 어린이 또는 여성과 같이 키가 작아 상반신의 높이가 낮은 보행 훈련자가 보행 훈련하기에 적합한 위치가 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상반신지지부(140)는 상기 제1방향으로 회전한 후인 제2위치에 위치될 경우 높이가 높아진다. 이 경우, 상기 시트부(110)와 상기 상반신지지부(140)의 거리가 멀어지므로 남성과 같이 키가 커서 상반신의 높이가 높은 보행 훈련자가 보행 훈련하기에 적합한 위치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보행 훈련자 지지장치(100)는 상기 상반신지지부(140)가 보행 훈련자의 체격 또는 키에 맞도록 위치가 조절되도록 구현됨으로써, 보행 훈련 간에 불편함 없이 자유롭게 보행 훈련을 수행할 수 있다.The height of the upper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보행 훈련자 지지장치(100)는 핸들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5 and 6, the walking
상기 핸들부(150)는 보행 훈련자의 안전을 위해 설치된다. 상기 핸들부(150)는 상기 본체(120)의 좌측 및 우측에 설치되고 상기 시트부(110) 쪽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핸들부(150)는 보행 훈련자가 보행 훈련을 시작하기 전에 손으로 잡고 앉을 수 있는 손잡이 기능을 가질 뿐만 아니라, 보행 훈련 중에 팔을 걸쳐 보행 훈련자가 부담하는 하중을 감소시킬 수 있는 기능도 가진다. 상기 핸들부(150)는 상기 상반신지지부(140)를 기준으로 상기 본체(120)의 좌측에 결합되는 제1지지부재(151) 및 상기 본체(120)의 우측에 결합되는 제2지지부재(152)를 더 포함한다.The
상기 제1지지부재(151)는 전체적인 형태가 'ㄷ'자로 형성된다. 상기 제1지지부재(151)는 파이프와 같은 관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보행 훈련자가 손으로 잡기 편하거나 팔을 걸치기 편한 형태이면 직방체 형태 등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지지부재(151)는 보행 훈련자의 손이나 팔이 접촉하여도 잘 미끄러지지 않는 소재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보행 훈련자가 보행 훈련 간에 낙상하거나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first supporting
상기 제2지지부재(152)도 상기 제1지지부재(151)와 마찬가지로 전체적인 형태가 'ㄷ'자로 형성된다. 상기 제2지지부재(152)는 상기 상반신지지부(140)를 기준으로 상기 제1지지부재(151)와 대칭되게 상기 본체(120)의 우측에 결합된다. 상기 제2지지부재(152)는 파이프와 같은 관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보행 훈련자가 손으로 잡기 편하거나 팔을 걸치기 편한 형태이면 직방체 형태 등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2지지부재(152)는 보행 훈련자의 손이나 팔이 접촉하여도 잘 미끄러지지 않는 소재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보행 훈련자가 보행 훈련 간에 낙상하거나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Like the
상기 핸들부(150)는 상기 시트부(110)가 위치한 하측에서 상기 상반신지지부(140)가 위치한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제1지지부재(151) 및 상기 제2지지부재(152) 사이의 거리가 감소되게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핸들부(150)는 상측이 상기 보행 훈련자의 어깨 폭에 맞거나 더 좁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보행 훈련자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보행 훈련자가 쉽게 상기 핸들부(150)에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보행 훈련자 지지장치(100)는 보행 훈련 간에 상기 보행 훈련자가 낙상하거나 넘어지는 것을 더 방지하여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더 방지할 수 있다.The distance between the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보행 훈련 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gait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보행 훈련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7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gait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보행 훈련 장치(200)는 질병이나 사고로 인하여 신경 기능의 손상을 입거나 근육의 불균형 발달로 인하여 제대로 걷지 못하는 환자들이 보행 훈련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Referring to FIG. 7, the
본 발명에 따른 보행 훈련 장치(200)는 보행 훈련자의 발을 지지하고 이동시키기 위한 보행부(210), 상기 보행부가 결합되는 제1지지부(220), 상기 제1지지부에 중력 방향으로 결합되는 제2지지부(230), 상기 제2지지부에 일측이 높이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높이조절부(240) 및 상기 높이조절부의 타측에 결합되는 보행 훈련자 지지장치(100)를 포함한다.The walking and
본 발명에 따른 보행 훈련 장치(200)는 상기 보행 훈련자 지지장치(100)를 이용하여 상기 보행 훈련자의 체중을 일부 지지해줌으로써, 보행 훈련자가 부담하는 하중을 완화시킬 수 있다.The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보행부(210)는 보행 훈련자의 발을 지지한다. 상기 보행부(210)는 상기 보행 훈련자가 상기 보행부(210)에 탑승함으로써 상기 보행 훈련자의 발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보행부(210)는 편마비가 발생한 보행 훈련자나 노약자 등 쇠약한 보행 훈련자가 용이하게 올라설 수 있도록 낮은 위치에 위치된다. 상기 보행부(210)는 전체적으로 사각판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보행 훈련자들이 발을 올리고 안정적으로 중심을 잡고 보행 훈련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상기 보행부(210)는 상기 제1지지부(2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보행부(210)는 회전함으로써 상기 보행 훈련자들이 보행에 필요한 근육들을 반복적으로 수축, 이완시킴으로써 보행 훈련자들이 근육을 강화하도록 기능한다. 또한, 상기 보행부(210)는 상기 보행 훈련자가 보행에 필요한 신체균형을 유지하려는 반사작용 등 뇌, 신경과 관련된 부분도 훈련되도록 기능한다. 이러한 수동적인 반복 행위를 통하여 보행 훈련자는 보행에 필요한 학습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보행부(210)는 좌우가 상반되게 앞뒤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보행부(210)는 좌우가 동시에 앞뒤로 이동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보행 훈련자는 양발이 각각 움직이거나 동시에 움직이는 등 다양한 상황에 맞는 근육을 강화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상기 제1지지부(220)에는 상기 보행부(210)가 결합된다. 상기 보행부(210)는 상기 제1지지부(2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쳇바퀴 형태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220)는 상기 보행부(210)가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바닥에 지지된다. 상기 제1지지부(220)에는 상기 제2지지부(230), 상기 높이조절부(240) 및 상기 보행 훈련자 지지장치(100)도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지지부(220)는 상기 제2지지부(230), 상기 높이조절부(240) 및 상기 보행 훈련자 지지장치(100)도 지지할 수 있다.The
상기 제2지지부(230)는 상기 제1지지부(220)에 중력 방향으로 결합된다. 상기 제2지지부(230)는 일측이 상기 제1지지부(220)에 접촉되고, 타측이 상기 보행부(210)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위치되게 상기 제1지지부(220)에 결합된다. 상기 제2지지부(230)의 타측에는 상기 높이조절부(240) 및 상기 보행 훈련자 지지장치(100)가 결합된다. 이에 따라, 보행 훈련자가 보행 훈련을 수행할 경우, 상반신을 상기 보행 훈련자 지지장치(100)에 안정적으로 지지시키면서 보행 훈련을 수행할 수 있다.The
상기 높이조절부(240)는 전체적인 형태가 'ㄱ'자로 형성된다. 그러므로, 상기 보행 훈련자가 상기 보행 훈련자 지지장치(100)에 탑승해서 보행 훈련을 수행할 경우에도 양다리 및 무릎이 상기 높이조절부(240)에 충돌하여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부(240)는 일측이 상기 제2지지부(230)에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높이조절부(240)의 타측에는 상기 보행 훈련자 지지장치(100)가 결합된다. 상기 높이조절부(240)는 유압실린더 또는 공압실린더를 이용한 실린더방식, 모터와 볼스크류 등을 이용한 볼스크류방식, 모터와 랙기어와 피니언기어 등을 이용한 기어방식, 모터와 풀리와 벨트 등을 이용한 벨트방식, 코일과 영구자석 등을 이용한 리니어모터 등을 이용하여 상기 보행 훈련자 지지장치(100)를 승강시킬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높이조절부(240)는 상기 보행 훈련자의 키가 클 경우 상기 보행부(210)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올라감으로써, 상기 보행 훈련자의 골반부 및 상반신이 상기 보행 훈련자 지지장치(100)에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높이조절부(240)는 상기 보행 훈련자의 키가 작을 경우 상기 보행부(210)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내려감으로써, 상기 보행 훈련자의 골반부 및 상반신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부(240)는 상기 제2지지부(230)에 고정될 수 있지만, 상기 보행 훈련자가 훈련하는 동안 승하강함으로써 상기 보행 훈련자의 보행 훈련을 도울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높이조절부(240)에는 보행 훈련자의 체중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부(미도시)가 설치된다. 상기 센서부는 상기 보행 훈련자 지지장치(100)에 상기 보행 훈련자가 탑승하면 상기 보행 훈련자가 부담하는 하중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는 상기 보행 훈련자가 부담하는 하중을 측정한 후 유선 또는 무선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높이조절부(240)에 송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보행 훈련자가 부담하는 하중 정보를 수신한 높이조절부(240)는 상기 보행 훈련자 지지장치(100)의 승하강 위치와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The
100 : 보행 훈련자 지지장치
110 : 시트부
120 : 본체
130 : 연결부
140 : 상반신지지부
150 : 핸들부
200 : 보행 훈련 장치
210 : 보행부
220 : 제1지지부
230 : 제2지지부
240 : 높이조절부100: Walking trainer support device
110: seat portion 120: main body
130: connection part 140: upper body support part
150: Handle part 200: Walking training device
210: walking part 220: first supporting part
230: second support part 240: height adjustment part
Claims (6)
상기 시트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일측이 이동 및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타측에 결합되고, 상기 시트부에 탑승한 보행 훈련자의 하중이 분산되도록 상기 보행 훈련자의 상반신을 지지하며 상기 연결부를 통해 위치가 조절되는 상반신지지부를 포함하는 보행 훈련자 지지장치.A seat portion for supporting the pelvis of the walking trainee;
A body in which the seat portion is rotatably engaged;
A connecting portion to which one side of the body is movably and rotatably coupled; And
And an upper body supporting portion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on portion and supporting the upper body of the walking trainer so that a load of a walking trainee on the seat portion is dispersed, the position being adjusted through the connecting portion.
상기 상반신지지부는 상기 보행 훈련자의 체격에 따라 상기 연결부를 통해 상기 본체로부터 이격되는 이격거리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훈련자 지지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pper body half portion is spaced apart from the main body through the connecting portion according to the physique of the walking trainee.
상기 상반신지지부는 상기 시트부가 위치한 하측에 반대되는 상측이 상기 연결부에 결합되고, 상기 보행 훈련자의 체격에 따라 상기 연결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높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훈련자 지지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body supporting portion is coupled to the connecting portion at an upper side opposite to a lower side where the seat portion is located, and the height is adjusted by rotating around the connecting portion according to a physique of the walking trainee.
보행 훈련자의 안전을 위해 상기 상반신지지부를 기준으로 상기 본체의 좌측에 결합되는 제1지지부재 및 상기 본체의 우측에 결합되는 제2지지부재를 포함하는 핸들부를 포함하고,
상기 핸들부는 상기 시트부가 위치한 하측에서 상기 상반신지지부가 위치한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제1지지부재 및 상기 제2지지부재 사이의 거리가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훈련자 지지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handle portion including a first support member coupled to the left side of the main body and a second support member coupled to the right side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upper body support portion for the safety of a walking trainee,
Wherein a distance between the first support member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is reduced as the handle portion moves from the lower side where the seat portion is located to the upper side where the upper body support portion is located.
상기 보행부가 결합되는 제1지지부;
상기 제1지지부에 중력 방향으로 결합되는 제2지지부;
상기 제2지지부에 일측이 높이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높이조절부; 및
상기 높이조절부의 타측에 결합되고, 보행 훈련자를 지지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4항 중에서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보행 훈련자 지지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훈련 장치.A walking part for supporting and moving the feet of the walking trainee;
A first support part coupled to the walking part;
A second support portion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portion in the gravity direction;
A height adjuster having a height adjust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second support; And
The gait training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ich is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height adjuster and supports the gait trainee.
보행 훈련자의 체중을 측정하기 위해 상기 높이조절부에 설치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훈련 장치.6. The method of claim 5,
And a sensor unit mounted on the height adjusting unit for measuring the weight of the walking traine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66528A KR102296449B1 (en) | 2014-11-26 | 2014-11-26 | Apparatus for Supporting Walking Trainee and Apparatus for Training Walk Compris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66528A KR102296449B1 (en) | 2014-11-26 | 2014-11-26 | Apparatus for Supporting Walking Trainee and Apparatus for Training Walk Comprising the sam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63491A true KR20160063491A (en) | 2016-06-07 |
KR102296449B1 KR102296449B1 (en) | 2021-09-07 |
Family
ID=56192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66528A KR102296449B1 (en) | 2014-11-26 | 2014-11-26 | Apparatus for Supporting Walking Trainee and Apparatus for Training Walk Compris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96449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117593A1 (en) * | 2016-12-20 | 2018-06-28 | 큐렉소 주식회사 | Gait training apparatus |
KR102127011B1 (en) * | 2019-02-11 | 2020-06-25 | 큐렉소 주식회사 | Seating-type robot for gait trainer apparatus having improved approaching function |
KR20220089921A (en) | 2020-12-22 | 2022-06-29 | 광주과학기술원 | A companion robot for gait rehabilitation training and gait training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2592326B (en) * | 2018-12-07 | 2022-03-23 | Remedy Innovations Ltd | A treadmill exercise apparatus |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08760A (en) * | 2001-07-18 | 2002-01-31 | 박이순 | physical treatment device for handicapped people |
KR100391830B1 (en) * | 2000-12-28 | 2003-07-12 | 대한민국 | Welfare Robotic System for the Rehabilitation Training of the people with disability for bipedal walking |
KR20050041133A (en) | 2003-10-30 | 2005-05-04 | 한국과학기술원 | Walking training support robot with the distributed control of pneumatic actuator |
KR20070036783A (en) * | 2004-06-29 | 2007-04-03 | 리해빌리테이션 인스티튜트 오브 시카고 엔터프라이지즈 | Walking and balance exercise device |
KR101093558B1 (en) * | 2010-01-20 | 2011-12-13 | 김산 | Whole body training device |
US20120000496A1 (en) * | 2010-07-02 | 2012-01-05 | Eli Razon | Sit down and stand up walker with seat assembly |
KR20120042524A (en) | 2010-10-25 | 2012-05-03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 Walking assisting device having user recognition function |
KR101193404B1 (en) * | 2012-04-05 | 2012-10-24 | 주식회사 하이파오피스 | Chair with waist supporter |
-
2014
- 2014-11-26 KR KR1020140166528A patent/KR102296449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91830B1 (en) * | 2000-12-28 | 2003-07-12 | 대한민국 | Welfare Robotic System for the Rehabilitation Training of the people with disability for bipedal walking |
KR20020008760A (en) * | 2001-07-18 | 2002-01-31 | 박이순 | physical treatment device for handicapped people |
KR100459629B1 (en) * | 2001-07-18 | 2004-12-03 | 박이순 | physical treatment device for handicapped people |
KR20050041133A (en) | 2003-10-30 | 2005-05-04 | 한국과학기술원 | Walking training support robot with the distributed control of pneumatic actuator |
KR20070036783A (en) * | 2004-06-29 | 2007-04-03 | 리해빌리테이션 인스티튜트 오브 시카고 엔터프라이지즈 | Walking and balance exercise device |
KR101093558B1 (en) * | 2010-01-20 | 2011-12-13 | 김산 | Whole body training device |
US20120000496A1 (en) * | 2010-07-02 | 2012-01-05 | Eli Razon | Sit down and stand up walker with seat assembly |
KR20120042524A (en) | 2010-10-25 | 2012-05-03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 Walking assisting device having user recognition function |
KR101193404B1 (en) * | 2012-04-05 | 2012-10-24 | 주식회사 하이파오피스 | Chair with waist supporter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117593A1 (en) * | 2016-12-20 | 2018-06-28 | 큐렉소 주식회사 | Gait training apparatus |
KR102127011B1 (en) * | 2019-02-11 | 2020-06-25 | 큐렉소 주식회사 | Seating-type robot for gait trainer apparatus having improved approaching function |
US11351082B2 (en) | 2019-02-11 | 2022-06-07 | Curexo, Inc. | Seating-type gait rehabilitation robot improved in entry characteristics |
KR20220089921A (en) | 2020-12-22 | 2022-06-29 | 광주과학기술원 | A companion robot for gait rehabilitation training and gait training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96449B1 (en) | 2021-09-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167163B2 (en) | Leg rehabilitation exercise apparatus | |
CN202355552U (en) | Walk exercising rehabilitation device for cerebral palsy patients | |
US10894182B2 (en) | Walking training apparatus | |
Baek et al. | The effects of horse riding simulation training on stroke patients’ balance ability and abdominal muscle thickness changes | |
KR102022567B1 (en) | Weight training device for disabled people with spinal cord injury | |
KR20160063491A (en) | Apparatus for Supporting Walking Trainee and Apparatus for Training Walk Comprising the same | |
US20180000682A1 (en) | Physical therapy and walker apparatus | |
US10363449B2 (en) | Exercise devices and systems | |
JP2013116146A (en) | Walker with arm swinging function | |
CN204246753U (en) | A kind of abdominal muscle exercises device | |
US9808669B2 (en) | Device for training abductors and/or adductors of the hip joint | |
KR102104262B1 (en) | Riding Type Apparatus for Training Walk | |
KR101527593B1 (en) | Pre-gait training apparatus | |
CN214436235U (en) | Suspension device for suspension therapy for child rehabilitation nursing | |
CN103949036A (en) | Abdominal muscle exercise device | |
US20130226046A1 (en) | J Walker Rehabilitation "Learn To Walk Again" System | |
CN203458748U (en) | Exerciser for lumbo-abdominal strength | |
KR101419187B1 (en) | Arm exercising apparatus for rotator cuff | |
CN206285418U (en) | A kind of health and fitness facilities for alleviating lumbar fatigue | |
KR20160095886A (en) | Assistant harness for dispersion of weight installed Rehabilitation robot for walking | |
US20100311554A1 (en) | Upper torso exercise apparatus | |
KR20200142921A (en) | Walking Training Apparatus | |
WO2018117593A1 (en) | Gait training apparatus | |
TWI847659B (en) | Gait Training Device | |
SU1326292A1 (en) | Apparatus for train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