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3133A - 폴더형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폴더형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3133A
KR20160063133A KR1020140166747A KR20140166747A KR20160063133A KR 20160063133 A KR20160063133 A KR 20160063133A KR 1020140166747 A KR1020140166747 A KR 1020140166747A KR 20140166747 A KR20140166747 A KR 20140166747A KR 20160063133 A KR20160063133 A KR 201600631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ing
flexible member
guide
guide roll
fo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6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정열
박두호
장인현
김용석
박장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667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63133A/ko
Publication of KR201600631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31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battery compartment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폴더형 전자기기는, 일방향으로 폴딩(folding)되도록 폴딩영역이 형성된 플렉서블 부재, 상기 플렉서블 부재와 결합하고, 상기 폴딩영역에 대응되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개구부의 상기 일방향에 수직방향 양단의 연결부재를 통해 상기 개구부 양측에 형성되는 제1 몸체와 제2 몸체가 연결된 외장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몸체 또는 제2 몸체 어느 하나는 상기 연결부재가 폴딩됨으로써, 상기 제1 몸체 및 상기 제2 몸체가 중첩되도록 상기 플렉서블 부재의 폴딩영역에서 일체로 폴딩된다. 이에 따라, 폴딩시에 플렉서블 부재의 내구성 및 작동의 신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제품수명도 함께 연장될 수 있다.

Description

폴더형 전자기기{Folder type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폴더형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핸드폰은 이동 통신 기술의 괄목할 만한 발전과 통신 장비의 소형화로 인해 현대인에게 필수 소지품이 되었다. 최근에는 전화 기능 이외에도 무선인터넷 접속, 동영상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의 기능 등이 첨단기능이 부가되면서 고가의 스마트폰이 출시되어 각광받고 있다.
스마트폰은 다양한 기능을 구비함에 따라 크기가 커지게 되고, 최근의 소비자 선호에 따라 대형 액정화면을 기본적인 구성으로 취하고 있어 대개 바 타입으로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폰은 다양한 기능이 추가되는 등첨단화되면서 이를 장식하거나 내부 구조를 보호하기 위한 케이스들도 발달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스마트폰 케이스는 스마트폰을 보호하기 위한 기능을 위주로 할 뿐 스마트폰의 기능을 효율적으로 향상시키는 기능이 부가되어 있지 않다.
최근에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대면적화가 요구되고 있으나, 크기의 증가로인한 휴대성의 저하로 이를 극복하기 위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탑재된 폴더형 전자기기는 그 폴딩시의 신뢰성의 향상이 요구되며, 종래 일반적인 듀얼디스플레이의 접이식 단말기와 같은 경우 대한민국 공개공보 제2012-0053685호에 개시되어 있다.
KR 2012-0053685 A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폴더형 전자기기의 폴더영역에서의 피로를 근본적으로 차단하여 장치의 내구성 및 장치 작동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한 폴더형 전자기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폴더형 전자기기의 작동의 회전 및 슬라이딩 방식을 혼용 적용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장치의 내구성 및 장치 작동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폴더형 전자기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폴더형 전자기기는, 일방향으로 폴딩(folding)되도록 폴딩영역이 형성된 플렉서블 부재;
상기 플렉서블 부재와 결합하고, 상기 폴딩영역에 대응되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개구부의 상기 일방향에 수직방향 양단의 연결부재를 통해 상기 개구부 양측에 형성되는 제1 몸체와 제2 몸체가 연결된 외장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몸체 또는 제2 몸체 어느 하나는 상기 연결부재가 폴딩됨으로써, 상기 제1 몸체 및 상기 제2 몸체가 중첩되도록 상기 플렉서블 부재의 폴딩영역에서 일체로 폴딩되는 폴더형 전자기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형 전자기기는, 플렉서블 부재가 폴딩영역에서 자연스러운 형상으로 폴딩되도록 폴딩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폴더형 전자기기의 평면도;
도 2는 도 1의 AA'에 대한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일측방향에서의 측면도;
도 4는 도 3의 부분 확대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폴더형 전자기기의 작동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형 전자기기의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형 전자기기가 접힌 모습의 측면도; 및
도 10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형 전자기기의 작동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일면", "타면",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폴더형 전자기기의 평면도, 도 2는 도 1의 AA'에 대한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일측방향에서의 측면도, 도 4는 도 3의 부분 확대도이고,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폴더형 전자기기의 작동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폴더형 전자기기는, 일방향으로 폴딩(folding)되도록 폴딩영역(FA)이 형성된 플렉서블 부재(30), 상기 플렉서블 부재(30)와 결합하고, 상기 폴딩영역(FA)에 대응되는 개구부(14)가 형성되며, 개구부(14)의 상기 일방향에 수직방향 양단의 연결부재(20)를 통해 상기 개구부(14) 양측에 형성되는 제1 몸체(11)와 제2 몸체(12)가 연결된 외장부재(1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몸체(11) 또는 제2 몸체(12) 어느 하나는 상기 연결부재(20)가 폴딩됨으로써, 상기 제1 몸체(11) 및 상기 제2 몸체(12)가 중첩되도록 상기 플렉서블 부재(30)의 폴딩영역(FA)에서 플렉서블 부재(30)와 일체로 폴딩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폴딩(folding)이라 함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폴더형 전자기기가 폴딩영역(FA)을 중심으로 접혔다 펴지는 작동을 반복하는 작동의 모습을 나타내는 것으로, 본 명세서에서는 외장부재(10) 및 플렉서블 부재(30)가 일방향으로 접히는 동작을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플렉서블 부재(30)는 일방향으로 폴딩(folding)되도록 폴딩영역(FA)이 형성된다. 플렉서블 부재(30)는 전자기기에 적용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터치패널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나 센서 등이 적용될 수 있으며, 폴딩되도록 작동가능한 유연한 부재로 형성된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플렉서블 부재(30)는 폴딩영역(FA)상으로 반복적으로 폴딩됨에 따라 플렉서블 부재(30)에 결합된 외장부재(10)의 내구성의 문제, 플렉서블 부재(30)의 폴딩시의 폴딩부분의 내구성이나 신뢰성, 즉 폴딩시에 폴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거나 특정부분에 힘이 집중되어 파손되는 문제 등 다양한 문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플렉서블 부재(30) 및 이를 지지하도록 결합되는 외장부재(10)가 일체로 폴딩될 때, 폴딩동작의 신뢰성 및 반복되는 폴딩에도 불구하고 높은 내구성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외장부재(10)는 플렉서블 부재(30)에 결합되며, 플렉서블 부재(30)를 보호하거나,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외장부재(10)가 외측면으로 형성되고, 내측면에 플렉서블 부재(30)가 결합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플렉서블 부재(30)는 내측면 또는 외측면에 모두 형성가능하다. 여기서 외장부재(10)는 폴더형 전자기기의 외부 케이스 역할을 할 수 있지만, 플렉서블 부재(30)를 지지하면서, 외측에 별도의 외부 하우징 또는 외부 케이스가 더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장부재(10)는 폴딩영역(FA)에 대응되는 개구부(14)가 형성되며, 개구부(14)의 상기 폴딩되는 일방향에 수직한 방향의 양단에 형성된 연결부재(20)를 통해 제1 몸체(11)와 제2 몸체(12)가 연결되어 형성된다. 연결부재(20)는 제1 몸체(11) 또는 제2 몸체(12)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플렉서블 부재(30)외측에 동일재질 또는 이종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장부재(10)는 플렉서블 부재(30)가 폴딩되는 폴딩영역(FA)을 개구부(14)로 형성하여, 폴딩영역(FA)에서 외장부재(10)와 플렉서블 부재(30)가 본딩결합시 두 부재간에 내외측면에서 형성되는 압축응력과 인장응력의 차이로 발생될 수 있는 폴딩영역(FA)상에서 양 부재의 크랙이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시된 도면에서는, 폴딩영역(FA)상에 개구부(14)의 양측단에는 외장부재(10)의 일측과 타측의 제1 몸체(11)와 제2 몸체(12)를 구조적으로 연결시키는 연결부재(20)가 형성되는 것을 도시하였다.
연결부재(20)는 제1 몸체(11)와 제2 몸체(12)를 연결하도록 제1 몸체(11)와 제2 몸체(12)의 연결부상에 일체로 결합될 수 있지만, 플렉서블 부재(30)와 일체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할 수 있다. 연결부재(20)는 폴딩영역(FA)상에서 동일하게 폴딩되도록 유연한 부재로 형성되는 것이 적절하며, 후술하는 실시예에서 연결부재(20)상에 회전 및 선형운동하는 가이드롤(40)을 통해 외장부재(10) 및 플렉서블 부재(30)의 폴딩동작을 보다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제1 몸체(11)와 제2 몸체(12)는 개구부(14)의 양측에 배치되고, 플렉서블 부재(30)를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제1 몸체(11)와 제2 몸체(12) 어느 하나가 일방향으로 폴딩되어, 제1 몸체(11)와 제2 몸체(12)가 중첩되도록 접힘으로서 폴딩동작이 완료된다. 이러한 동작을 반복하도록 폴더형 전자기기가 구성된다.
연결부재(20)는 제1 몸체(11) 또는 제2 몸체(12)(이하에서는 제1 몸체(11)가 고정되고, 제2 몸체(12)가 회전 및 슬라이딩되어 제1 몸체(11)와 중첩되도록 접히는 것을 전제로 기술하기로 하며, 제1 몸체(11)와 제2 몸체(12)는 상호 구조적으로 호환 및 교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중 어느 하나가 폴딩영역(FA)을 중심으로 회전 및 슬라이딩되어 제1 몸체(11)와 제2 몸체(12)가 중첩되도록 폴딩된다. 이때, 연결부재(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유연한 재질을 통해 자연스럽게 외장부재(10) 및 플렉서블 부재(30)가 폴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몸체(12)의 폴딩의 신뢰성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해, 연결부재(20)의 표면에 요철부(21)를 형성시키고, 요철부(21)상으로 가이드롤(40)을 이동시킴으로써 가이드롤(40)을 회전시켜 제2 몸체(12)를 폴딩시킬 수 있다. 가이드롤(40)을 연결부재(20) 표면상에서 이동시키기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몸체(11)의 폴딩방향의 양측단에 가이드몸체(13)가 형성된다 가이드몸체(13)는 제1 몸체(11)의 양측단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연결부재(20)까지 연장되어 형성된다. 연결부재(20)상에서 이동하는 가이드롤(40)의 이동방향의 안내 및 가이드롤(40)을 지지하기 위해 선형방향의 가이드홀(13a)이 형성된다. 가이드홀(13a)상에는 가이드롤(40)의 걸림부(42)가 삽입됨으로써 가이드롤(40)이 가이드홀(13a)의 선형방향으로 앞뒤로 이동할 수 있다. 가이드홀(13a)에 걸림부(42)가 삽입되어 가이드롤(40)이 고정되어 걸림부(42)가 가이드홀(13a)에서 빠지지 않도록 가이드홀(13a)을 관통한 걸림부(42) 끝단에 고정편(42a)을 결합하여 가이드롤(40)이 가이드홀(13a)에 결합, 지지될 수 있다(도 1, 도 5 내지 도 7 참조)
가이드롤(40)은 회전하면서 연결부재(20)상에서 선형이동하여 제2 몸체(12)를 폴딩하도록 회전 및 슬라이딩하여 제2 몸체(12)가 제1 몸체(11)에 중첩되도록 접히게 된다. 가이드롤(40)은 연결부재(20) 표면에 형성된 요철부(21)에 대응되도록 몸체롤(41)의 표면상에 톱니부(41a)를 형성하여 이동경로에 대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요철부(21)에 대응되는 톱니부(41a)는 요철부(21)의 오목 볼록한 부분에 교호적으로 대응되는 볼록 및 오목한 부분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요철부(21)와 톱니부(41a)의 대응형상은 특별하게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종류의 형상 및 구조를 상보적으로 구성하여 가이드롤(40)의 이동경로를 가이드 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롤(40)을 통해 이동하는 경로의 거리는 플렉서블 부재(30)로부터 가이드롤(40)의 중심부까지의 수직방향 거리를 r(도 4의 d1 에 해당함)로 정의할 때, 총 이동거리의 범위는 π×r로 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것은 플렉서블 부재(30) 자체가 연결부재(20)로 사용되는 것을 전제로 한 것이다. 연결부재(20)가 제1 몸체(11) 또는 제2 몸체(12)와 결합되는 경우, d1은 플렉서블 부재(30)로부터 수직거리를 계산하여 적용해야 함은 물론이다.
또한, 가이드롤(40)의 이동거리는 플렉서블 부재(30)의 중성면(Neutral Plane)으로 정의되는 면상으로부터 가이드롤(40)의 중심부가지의 거리를 r(도 4의 d2 에 해당함)로 정의하여 총 이동가능거리의 범위는 π×r로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연결부재(20)는 플렉서블 부재(30)자체로 형성되는 것을 전제로 도 4에 도시된 것이며, 연결부재(20)가 외장부재(1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 r은 플렉서블 부재(30)의 중성면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가이드롤(40)의 중심부 까지의 거리로 정의된다.
여기서 중성면이란, 어느 기재의 폴딩영역(벤딩되는 영역)에서 폴딩되는 기재의 변형률(strain)이 최소화되는 면을 의미한다.
중성면(Netural Plane)은 하기의 [수학식 1]에 따른 곡률반경(RNP)을 갖는 지점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적층되는 구성요소의 갯수, 상기 구성요소의 재질적인 특성(탄성률등) 및 적층두께등에 의해, 형성되는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1
(여기에서, L 은 적층되는 구성요소의 횡방향으로의 길이를 의미함)
상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롤(40)의 총 이동거리의 제한범위를 두는 것은 제2 몸체(12)가 효과적으로 회전 및 슬라이딩을 하여 접히게 됨으로써 폴딩영역(FA)상의 피로도나 폴딩의 신뢰성을 보다 효과적으로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거리의 범위(π×r)에서 플렉서블 부재(30)의 폴딩시에 폴딩영역상에서 효과적으로 폴딩되어 폴딩영역에서의 플렉서블 부재(30)의 내구성 및 폴딩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거리의 범위는 제조공정 및 조립과정을 고려하여 ±5%의 오차범위를 갖는 것으로 한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폴더형 전자기기의 작동순서도이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딩되기 전에 외장부재(10)의 제1 몸체(11)와 제2 몸체(12)의 외측면에 플렉서블 부재(30)가 결합되고, 폴딩영역(FA)에 대응되는 외장부재(10)의 개구부(14)에는 플렉서블 부재(30)가 노출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플렉서블 부재(30)의 폴딩영역(FA)을 노출하게 함으로써, 다른 부재와의 본딩결합시 발생될 수 있는 내측면과 외측면의 압축응력 및 인장응력의 차이로 인한 크랙등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다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몸체(12)가 폴딩영역(FA) 양단에 형성된 가이드롤(40)에 접하여 폴딩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가이드롤(40)에 의해 제2 몸체(12)의 폴딩방향 및 회전운동의 반경이 가이드 될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롤(40)은 πr의 범위로 이동거리를 제어할 수 있다. 그러므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2 몸체의 회전 및 슬라이딩운동을 제어할 뿐만 아니라, 가이드롤의 해당거리(πr)를 오차범위 내에서 제어할 수 있는 별도의 전자기기 또는 자기기구를 구비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이동거리를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몸체(12)가 가이드롤(40)에 접한상태에서, 앞쪽으로 슬라이딩되어 제1 몸체(11)와 중첩되도록 폴딩된다. 단순히 회전하여 바로 폴딩되는 것이 아니라, 회전 및 슬라이딩운동을 순차적으로 구현함으로써, 폴딩영역(FA)상의 플렉서블 부재(30)의 내구성을 보다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으며, 플렉서블 부재(30)가 폴딩의 반복시에 받는 피로도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형 전자기기의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형 전자기기가 접힌 모습의 측면도이고, 도 10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형 전자기기의 작동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혀 전자기기는, 상술한 일실시예의 모든 구성을 포함하되, 플렉서블 부재(30)의 폴딩영역(FA)상에 플렉서블 부재(30)의 폴딩을 본딩에 의한 접착이 되지 않은 상태로 접촉함으로써 폴딩작동을 안내할 수 있는 폴딩가이드부재(50)가 더 포함된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의 가이드롤(13a)을 통해, 제2 몸체(12)가 플렉서블 부재(30)와 함께 회전 및 슬라이딩운동으로 폴딩구조를 형성함으로써, 플렉서블 부재(30)와 폴딩가이드부재(50)와의 접촉시에 마찰(전단응력)이 최소화 또는 거의 없는 상태로 폴딩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형 전자기기는, 제1 몸체(11)와 제2 몸체(12)로 이루어지는 외장부재(10)의 개구부(14)상에 형성되어 폴딩영역(FA)상으로 폴딩되는 플렉서블 부재(30)를 자연스럽게 감싸도록 형성된다. 폴딩가이드부재(50)는 플렉서블 부재(30)의 폴딩시 곡면을 형성하도록 원통형 부재로 형성되는 것이 적절하나, 기기의 특성 및 기타 제반사정을 고려하여 폴딩부가 곡면 이외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히 제2 몸체(12)가 폴딩되어 제1 몸체(11)에 중첩되는 경우에, 플렉서블 부재(30)가 폴딩가이드부재(50)의 외주면에 감싸도록 형성되어, 폴딩 상태에서의 플렉서블 부재(30)를 지지할 수 있는 역할도 함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도 상술한 일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2 몸체(12)가 회전 및 슬라이딩운동을 순차적으로 수행하여 제2 몸체가 폴딩되도록 작동된다. 다만, 제2 몸체(12)가 폴딩영역(FA)상으로 폴딩될 때, 플렉서블 부재(30)의 폴딩영역에서 폴딩가이드부재(50)에 자연스럽게 감싸도록 폴딩되어 작동의 신뢰성을 보다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폴딩가이드부재(50)는 개구부(14)상에 제1 몸체(11) 또는 제2 몸체(12) 어느 일측에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도면에서는, 제1 몸체(11)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플렉서블 부재(30)의 폴딩작동을 가이드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폴딩영역(FA)상에서 플렉서블 부재(30)를 가이드할 수 있다면 특별한 결합위치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외장부재: 10 제1몸체: 11
제2 몸체: 12 가이드몸체: 13
가이드홀: 13a 개구부 : 14
연결부재 20 요철부: 21
플렉서블 부재: 30 가이드롤: 40
몸체롤: 41 톱니부: 41a
걸림부: 42 고정편: 42a
폴딩가이드부재: 50
폴딩영역: FA 중성면: NP

Claims (12)

  1. 일방향으로 폴딩(folding)되도록 폴딩영역이 형성된 플렉서블 부재;
    상기 플렉서블 부재와 결합하고, 상기 폴딩영역에 대응되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개구부의 상기 일방향에 수직방향 양단의 연결부재를 통해 상기 개구부 양측에 형성되는 제1 몸체와 제2 몸체가 연결된 외장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몸체 또는 제2 몸체 어느 하나는 상기 연결부재가 폴딩됨으로써, 상기 제1 몸체 및 상기 제2 몸체가 중첩되도록 상기 플렉서블 부재의 폴딩영역에서 일체로 폴딩되는 폴더형 전자기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장부재는,
    상기 연결부재상에 요철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몸체 또는 제2 몸체 중 어느 하나의 폴딩방향 양측단에 상부로 돌출되고, 상기 개구부 양단의 연결부재 외측면에 대응되도록 가이드홀이 형성되는 가이드몸체; 및
    상기 가이드홀 상에서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걸리는 걸림부가 형성되며, 상기 요철부면에서 회전 및 선형운동하는 가이드롤;을 더 포함하는 폴더형 전자기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롤은 상기 요철부에 맞물려 이동가능하도록 대응되는 형상의 톱니부를 더 포함하는 폴더형 전자기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롤의 이동경로를 가이드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플렉서블 부재로부터 상기 가이드롤의 중심까지의 수직방향 거리를 r이라고 하면, 상기 가이드롤의 이동거리는 πr 의 범위내에서 형성되는 폴더형 전자기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최단거리 r은
    상기 플렉서블 부재의 중성면으로부터 상기 가이드롤의 중심부까지의 수직방향 거리로 정의되는 폴더형 전자기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상에 대응되는 상기 플렉서블 부재가 일방향으로 폴딩되도록 가이드 하며, 상기 개구부 일측의 상기 제1 몸체 또는 제2 몸체상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폴딩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는 폴더형 전자기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폴딩가이드부재는 폴딩방향으로 상기 플렉서블 부재의 폴딩면에 결합되도록 원통형의 롤 형태로 형성된 폴더형 전자기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유연한 재질로 형성된 폴더형 전자기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플렉서블 부재와 일체로 형성된 폴더형 전자기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 몸체 및 제2 몸체와 일체로 형성된 폴더형 전자기기.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부재는 상기 외장부재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에 결합되는 폴더형 전자기기.
  12. 청구항 4 또는 5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롤의 이동거리의 범위 πr 은
    πr-(0.05×πr) 내지 πr+(0.05×πr)의 범위내에 형성된 폴더형 전자기기.
KR1020140166747A 2014-11-26 2014-11-26 폴더형 전자기기 KR201600631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6747A KR20160063133A (ko) 2014-11-26 2014-11-26 폴더형 전자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6747A KR20160063133A (ko) 2014-11-26 2014-11-26 폴더형 전자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3133A true KR20160063133A (ko) 2016-06-03

Family

ID=56192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6747A KR20160063133A (ko) 2014-11-26 2014-11-26 폴더형 전자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6313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27761A (zh) * 2022-03-01 2022-06-14 苏州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折叠屏及显示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3685A (ko) 2010-11-18 2012-05-29 삼성전자주식회사 듀얼디스플레이 접이식단말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3685A (ko) 2010-11-18 2012-05-29 삼성전자주식회사 듀얼디스플레이 접이식단말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27761A (zh) * 2022-03-01 2022-06-14 苏州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折叠屏及显示装置
CN114627761B (zh) * 2022-03-01 2023-10-13 苏州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折叠屏及显示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88100B2 (en) Foldable display device
US10185367B2 (en) Display device
CN108028029B (zh) 柔性器件
KR101848891B1 (ko) 슬라이딩 구동에 의한 화면 확장형 이동 단말기
CN108122493B (zh) 可折叠显示设备
WO2019120167A1 (zh) 转动机构及折叠终端
US10212830B2 (en) Foldable display device
EP2546720A2 (en) Flexible display with display support
JP2019506651A (ja) 折畳み可能コンポーネントおよびモバイル端末
KR20190004618A (ko) 슬라이딩 구동에 의한 화면 확장형 이동 단말기
KR20170057500A (ko) 폴더블 표시 장치
US20120044620A1 (en) Mobile device
US20210272486A1 (en) Display apparatus
KR102178724B1 (ko) 힌지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접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
US20220083102A1 (en) Foldable display device
JP5175964B1 (ja) 電子機器
WO2014080545A1 (ja) 携帯端末装置、携帯端末、及び携帯端末用カバー
KR20150099677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를 구비한 접철식 전자 기기
KR20230041969A (ko) 이동 단말기
CN109564446A (zh) 电子设备用铰链及电子设备
KR20150135731A (ko) 힌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KR20160063133A (ko) 폴더형 전자기기
JP4405501B2 (ja) スライド式携帯機器
JP4246769B2 (ja) 携帯端末
KR100796944B1 (ko) 태엽 형태로 양방향으로 감긴 일체형 스프링을 이용한 탄성모듈 및 이를 구비한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의 슬라이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