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2893A - 각막곡률과 굴절이상을 이용한 안축길이 계산 방법 - Google Patents

각막곡률과 굴절이상을 이용한 안축길이 계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2893A
KR20160062893A KR1020140166104A KR20140166104A KR20160062893A KR 20160062893 A KR20160062893 A KR 20160062893A KR 1020140166104 A KR1020140166104 A KR 1020140166104A KR 20140166104 A KR20140166104 A KR 20140166104A KR 20160062893 A KR20160062893 A KR 201600628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xial length
equation
calculated
measured
corneal curv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6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8198B1 (ko
Inventor
김형수
Original Assignee
김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수 filed Critical 김형수
Priority to KR10201401661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8198B1/ko
Publication of KR20160062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28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81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81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6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bifocal; multifocal ; progressiv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06F17/10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 G06F17/11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for solving equations, e.g. nonlinear equations, general mathematical optimization probl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Z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6Z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59/00Optical: systems and elements
    • Y10S359/90Metho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Algebr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yeglasses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인화된 누진안경렌즈(progressive additional ophthalmic lenses)와 단초점안경렌즈(monofocal ophthalmic lens)의 설계에 안축길이(axial length)라는 변수를 적용하기 위하여 안축길이를 실제로 측정하지 않고 계산하기 위한 공식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계산 방식은 단지 각막곡률 값과 등가구면 굴절이상 값만을 사용하여 안축길이를 높은 신뢰도로 계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계산 공식을 사용할 경우 정확한 안축길이를 적용시킨 누진안경렌즈 또는 단초점안경렌즈의 설계 및 상용화가 가능하다.

Description

각막곡률과 굴절이상을 이용한 안축길이 계산 방법{A method for calculation of axial length using keratometry and refractive error}
본 발명은 개인화된 누진안경렌즈(progressive additional ophthalmic lenses)와 단초점안경렌즈(monofocal ophthalmic lens)의 설계에 안축길이(axial length)라는 변수를 적용하기 위하여 안축길이를 실제로 측정하지 않고 계산할 수 있는 공식에 관한 것이다.
[문헌 1] US 6637880 B1 (YAMAKAJI T.) 2003. 10. 28.
[문헌 2] US 8303114 B2 (BERTHEZENE M.A.) 2012. 11. 6.
[문헌 3] US 7434935 B2 (BONNIN T.) 2008. 10. 14.
[문헌 4] Duke-Elder S, Abrams D. System of ophthalmology. Vol V: Ophthalmic optics and refraction. London: Henry Kimpton, 1970;120-292.
[문헌 5] Kushner BJ, Qui CO, Lucchese NJ. Axial length estimation in strabismic patients. J Pediatr Ophthalmol Strabismus 1996;33:257-261.
개개인의 안축길이를 알기 위해서는 초음파를 이용한 A-scan 또는 부분결합간섭의 원리를 이용하는 IOL-master(Carl Zeiss, Germany)와 같은 고가의 장비를 사용해야 한다. 하지만 안경렌즈를 설계하기 위해서 모든 개개인의 안축길이를 실측한다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한 일이며 의료법상으로 안경렌즈를 처방하는 안경사가 이러한 장비를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안경렌즈의 처방에 안축길이라는 변수를 적용하여 더 정확하고 편안한 안경렌즈를 설계하기 위해서 안경사가 실제로 사용할 수 있는 장비인 자동굴절력계(auto-refractormeter)를 통해 측정한 각막곡률과 굴절이상 만을 사용하여 안축길이를 계산할 수 있는 공식을 만들어 안경렌즈 설계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과 이점은 아래에 설명되는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 및 도면에 의해서 명확하게 된다.
안축길이 계산 공식을 만들기 위해서 굴스트란드(Gullstrand, 1911)의 약식 모형안(simplified schematic eye)의 여러 수치 중 각막곡률(corneal radius) 7.8 mm와 안축길이 24.0 mm가 사용되었다.
우선 굴스트란드 약식 모형안의 안수치를 사용한 비례식을 통해 각막곡률에 따른 정시안(emmetropic eye)의 안축길이를 구하는 수학식 1을 유도하였다.
수학식 1
emmeAL = 24.0×CR/7.8
상기 수학식 1에서 CR은 각막곡률 값을 나타낸다.
다음으로 굴절이상에 따라 보정된 안축길이를 구하는 수학식 2를 유도하였다.
수학식 2
compAL = ±SE×0.4
상기 수학식 2에서 SE는 등가구면 굴절이상 값을 나타낸다. 수학식 2에 사용된 상수 '0.4'는 눈에서 1 디옵터(D, diopter)의 굴절력 변화는 안축길이의 0.4 mm 변화와 같다는 연구결과<<Rubin M.L. Optics for clinicians.Gainesville: Triad Publishers, 1977;136.>>를 토대로 도출하였다.
위의 수학식 1과 수학식 2를 하나의 식으로 통합하여 유도하면 아래와 같은 안축길이 계산 공식(formula for calculated axial length)인 수학식 3이 만들어진다.
수학식 3
calAL = (24.0×CR/7.8) - (SE×0.4)
상기 수학식 3에서 CR은 각막곡률, SE는 등가구면 굴절이상 값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특징과 이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i) 본 발명은 안축길이를 계산할 수 있는 공식을 제공한다.
(ii) 본 발명의 안축길이 계산 공식은 측정된 각막곡률과 굴절이상 만으로 높은 신뢰도의 안축길이를 계산(예측)할 수 있다.
(iii) 본 발명의 계산 공식을 사용하여 계산된 안축길이를 누진안경렌즈의 설계에 적용하여 안경 착용자로 하여금 더 편안한 시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한다.
(iv) 본 발명의 계산 공식을 자동굴절력계에 하나의 프로세스의 형태로 적용하여 각막곡률과 굴절이상을 측정함과 동시에 안축길이를 자동으로 계산할 수 있도록 만들 수 있다.
도 1은 비정시에 따른 실측된 안축길이를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비정시에 따른 계산된 안축길이를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계산된 안축길이와 실측된 안축길이를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전체 그룹(근시안, 원시안, 정시안)에서 계산된 안축길이와 실측된 안축길이의 차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계산된 안축길이와 실측된 안축길이 사이의 오차를 비교한 도면이다.
도 6은 계산된 안축길이와 실측된 안축길이의 상관분석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서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실험재료 및 실험방법
본 연구의 취지에 동의한 348명(696안)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안과적 질환 또는 눈 수술 과거력이 있는 대상자와 최대교정시력이 0.8 이하인 대상자는 제외시켰다. 정시와 비정시(근시, 원시)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서 대상자를 근시안, 원시안, 정시안의 세 군으로 나누어 분류하였다. 이 때 등가구면굴절력(SE, spherical equivalent)이 -0.50 D를 초과하는 (-) 굴절력을 갖는 경우는 근시안 그룹(myopic eye group), +0.50 D 보다 큰 (+) 굴절력을 갖는 경우는 원시안 그룹(hyperopic eye group), -0.50 D ~ +0.50 D 사이는 정시안 그룹(emmetropic eye group)으로 분류하였다.
모든 대상자를 상대로 자동굴절검사(HRK-7000, Huvitz, Korea)를 통해 굴절이상과 각막곡률을 측정하였으며 자각적 굴절검사로 나안시력 및 최대교정시력을 확인하였다. 또한 IOL-Master(Carl Zeiss, Germany)를 사용하여 안축길이를 실측하였다.
이번 발명의 목적인 굴절이상과 각막곡률 수치만을 사용해 안축길이를 계산하기 위하여 본 연구자는 굴스트란드의 약식 모형안을 기초해 안축길이 계산 공식을 만들어 각 개인에게 적용시키고 이의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공식의 1차 유도를 위해서 굴스트란드의 약식 모형안의 여러 수치 중 등가 각막곡률 7.8 mm와 안축길이(중심와 위치) 24.0 mm가 사용되었다. 이를 비례식으로 정리하고 굴절이상 변화에 대한 안축길이 보정 상수 0.4를 대입하면 최종적인 안축길이 계산 공식이 된다.
Rubin은 눈에서 축성 비정시의 경우 0.4 mm의 안축길이 변화는 굴절이상의 1 D의 변화와 같다고 했다<<Rubin M.L. The induction of refractive errors by retinal detachment surgery. Trans Am Ophthalmol Soc. 1975;73:452-490.>>. 그리고 Lancaster는 1 mm의 안축길이 증가는 굴절이상의 2.5-3.0 D 변화를 발생시킨다고 했다<<Lancaster W. Refraction and motility. Springfield: Charles C. Thomas, 1952;149.>>. 또한 Nassaralla는 1 mm 안축길이에 대응되는 굴절이상 변화는 2.45 D라고 했다<<Nassaralla J.J., Nassaralla B.R.A. Refractive changes after scleral buckling surgery. Arq Bras Oftalmol 2003;66:575-578.>>. 이러한 여러 연구들의 결과를 토대로 이번 연구에서는 굴절이상 보정 상수를 0.4로 적용하여 공식을 유도하였다.
위의 모든 과정을 거쳐서 도출된 안축길이 계산 공식(formula for calculated axial length)은 다음과 같다. 아래의 공식에서 CR은 각막곡률이고 SE는 등가구면 굴절이상을 나타낸다.
calAL = ( 24.00×CR/7.8 ) - ( SE×0.4 )
예를 들어 평균 각막곡률이 7.64 mm, 등가구면 굴절이상이 -4.50 D인 사람의 안축길이를 계산하면, calAL = ( 24.00×7.46/7.8) - ( -4.50×0.4 ) = 24.75 mm가 된다. 실제로 IOL-Master를 통해 이 사람의 안축길이를 측정한 결과 24.96 mm이었다. 따라서 실측된 안축길이와 안축길이 계산 공식을 사용해 계산된 값과의 차이는 0.21 mm가 된다.
자료의 분석은 SPSS 20.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실측된 안축길이와 계산 공식을 통해 계산된 안축길이에 대하여 paired t-test와 ANOVA를 이용하여 유의성을 검증하였고 다중비교(multiple comparison)에는 쉐페검증법(Scheffe test)을 사용하였으며 유의수준은 p<0.05로 하였다. 또한 회귀분석(regression analysis)을 사용하여 각막곡률과 굴절이상, 안축길이와 굴절이상 사이의 상관관계와 실측된 안축길이와 계산된 안축길이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MedCalc (Version 12.7.7.0, Mariakerke, Belgium)의 Bland Altman plot을 사용하여 실측된 안축길이와 계산된 안축길이 차이를 비교하였다.
실험결과
실측된 안축길이(measured AL)는 근시안 25.19±1.61 mm, 원시안 22.88±0.95 mm, 정시안 23.41±0.69 mm로 굴절이상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0.000). 각 비정시에 대해서 쉐페검증법(Scheffe test)으로 다중비교(multiple comparison)한 결과 실측된 안축길이는 근시안과 원시안(p=0.000), 근시안과 정시안(p=0.000), 정시안과 원시안(p=0.011)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타나냈다(도 1).
계산된 안축길이(calculated AL)는 근시안 25.46±1.66 mm, 원시안 22.94± 0.99 mm, 정시안 23.43±0.70 mm였으며 안축길이 평균은 24.50±1.83 mm로 굴절이상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0). 각 비정시에 대해서 쉐페검증법으로 다중비교한 결과 계산된 안축길이는 근시안과 원시안(p=0.000), 근시안과 정시안(p=0.000), 정시안과 원시안(p=0.026)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도 2).
계산된 안축길이는 24.50±1.83 mm, 실측된 안축길이는 24.32±1.73 mm로 조사되었고 실측된 안축길이 보다 계산된 안축길이가 더 길게 측정되었다(도 3). 두 측정 방법 사이의 차이는 0.18±0.47 mm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0.000, 도 4). 근시안에서 계산된 안축길이는 25.46±1.66 mm, 실측된 안축길이는 25.19±1.61 mm로 측정되었다. 두 측정법 사이의 차이는 0.27±0.49 mm로 계산된 안축길이가 더 길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0). 원시안에서 계산된 안축길이는 22.94±0.99 mm, 실측된 안축길이는 22.88±0.95 mm로 측정되었다. 두 측정법 사이의 차이는 0.05±0.43 mm로 계산된 안축길이가 더 길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이지 않았다(p=0.080). 정시안에서 계산된 안축길이는 23.43±0.70 mm, 실측된 안축길이는 23.41±0.69 mm로 측정되었다. 두 측정법 사이의 차이는 0.02±0.36 mm로 계산된 안축길이가 더 길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이지는 않았다(p=0.637).
실측된 안축길이와 계산된 안축길이의 차이를 오차범위에 따라서 정리해보면 계산된 안축길이가 더 길게 측정된 경우는 전체(696안) 중 432안 이었다. 그 중 계산된 안축길이가 0.00-0.25 mm 더 길게 측정된 경우는 전체(432안) 중 147안(34.03%), 0.26-0.50 mm 길게 측정된 경우는 143안(33.10%), 0.51-0.75 mm 길게 측정된 경우는 68안(15.74%), 0.76-1.00 mm 길게 측정된 경우는 44안(10.19%), 1.01mm 이상 길게 측정된 경우는 30안(6.94%)로 조사되었다(도 5).
실측된 안축길이와 계산된 안축길이의 차이를 오차범위에 따라서 정리해 봤을 때 계산된 안축길이가 더 짧게 측정된 경우는 전체(696안) 중 264안 이었다. 그 중 계산된 안축길이가 0.00-0.25 mm 더 짧게 측정된 경우는 전체(264안) 중 137안(51.89%), 0.26-0.50 mm 짧게 측정된 경우는 98안(37.12%), 0.51-0.75 mm 짧게 측정된 경우는 22안(8.33%), 0.76-1.00 mm 짧게 측정된 경우는 6안(2.27%), 1.01 mm 이상 짧게 측정된 경우는 1안(0.39%)로 조사되었다.
실측된 안축길이와 계산된 안축길이의 오차가 0.00-0.25 mm인 경우는 전체(696안) 중 284안(40.80%), 0.26-0.50 mm는 241안(34.63%), 0.51-0.75 mm는 90안(12.93%), 0.76-1.00 mm는 50안(7.19%), 1.01 mm 이상인 경우는 31안(4.45%)으로 나타났다. 두 검사법 사이의 차이를 살펴봤을 때 75.43%에서 0.50 mm 이하의 오차, 95.55%에서 1.00 mm 이하의 오차를 나타냈다.
실측된 안축길이와 계산된 안축길이 사이의 상관분석(correlation analysis) 결과 피어슨 상관계수(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값이 0.967로 실측된 안축길이와 계산된 안축길이는 아주 높은 선형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0).또한 결정계수(coefficient of determination,)는 0.934로 나타나 실측된 안축길이와 계산된 안축길이의 설명력은 약 93%라고 할 수 있다(도 6).
안축길이는 안과학(ophthalmology) 분야에서는 아주 흔하게 사용되는 눈 구성요소 중 하나이다. 주로 백내장 수술(cataract surgery)을 할 때 사용되는 인공수정체(IOL, intra ocular lens)의 도수(dioptric power)를 결정할 때 없어서는 안 될 아주 중요한 요소이다. 그 외에 사시 수술을 할 때에도 안축길이를 사용해 외안근의 부착 위치를 결정할 때 사용하기도 한다. 또한 굴절력 변화(특히 근시 진행)와 관련된 연구를 수행할 때에도 사용된다. 하지만 특별한 경우가 아니라면 이러한 경우 모두 A-scan 또는 IOL-Master(Clarl Zeiss, Germany)와 같은 고가의 장비를 사용하여 안축길이를 측정한다.
하지만 안경광학(ophthalmic optics) 분야에서는 이와 같은 안축길이의 활용이 상당히 제한적이다. 왜냐하면 각 개인에게 적용되는 안경렌즈는 모두 다르게 처방되며 그러한 안경처방을 할 때 마다 모두 안축길이를 실측하여 적용한다는 것은 비용적인 측면과 현실적인 측면을 생각했을 때 상당히 어려운 일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현재의 실정은 안경렌즈의 처방에 정시와 비정시에 대한 굴절이상 부분만이 렌즈의 설계에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이번 발명의 배경이 되는 특허(U.S. 6637880 B1, 2003과 U.S. 8303144 B3, 2012)에서도 안구회선점에 따라 달라지는 안경렌즈의 설계에 대해서 논의되었다. 하지만 그 안구회선점의 위치를 구하기 위해 먼저 알아야 할 안축길이의 측정에 대해서는 실측하여 구하는 방법과 회귀분석 함수를 사용하는 방법 외에는 논의된 바가 없다. 하지만 이 전에도 언급했듯이 모든 안경 착용자 개개인의 안축길이를 실측한다는 것은 현실상 어려운 일이며 회귀분석 함수를 사용한다고 해도 그 정확성은 낮다. 예를 들어 특허(U.S. 8303144 B2, 2012)의 내용에 제시되어 있는 회귀분석 함수 d = -23.58 0.299SR (d : axial length, SR : spherical refraction)를 사용하여 이번 연구 대상자의 데이터를 토대로 확인한 결과 실측한 안축길이와 계산된 안축길이 사이에는 평균 1.41±2.84 mm의 차이를 보여 이번 연구의 결과(평균 0.18±0.47 mm 차이)와 상당히 큰 차이를 나타냈다. 이러한 큰 결과의 차이를 보이는 이유는 회귀함수를 구하기 위한 그 연구의 대상자들의 평균 연령대가 25±5세(범위 : 18-36세)로 젊은 층만을 대상으로 했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광범위한 나이대의 안축길이를 계산하기에는 부족함이 있다. 그리고 또 다른 회귀분석 함수 AL/CR = 2.99880.05446e (LA : axial length, CR : corneal radius, e : refractive error)를 사용하여 이번 연구 대상자의 데이터를 토대로 확인한 결과 실측한 안축길이와 계산된 안축길이 사이에는 평균 0.39±0.50 mm의 차이를 보여 이번 연구의 결과(평균 0.18±0.47 mm 차이)와 2배 이상의 차이를 보였다. 이 회귀분석 함수의 경우에도 18-30세로 연구 대상자의 나이를 제한하여 젊은 성인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10세 이하와 30세 이상의 연령대에 대한 안축길이 계산은 정확하지 않을 수밖에 없는 것 같다. 또한 이번 연구 결과에서도 볼 수 있듯이 나이가 많은 경우에는 어린 경우와 비교해 상대적으로 안축길이가 짧은 것을 볼 수 있었다. 즉, 과거 보다는 현재 인구의 안축길이가 더 길어지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연구들을 시행한 시점은 과거이기 때문에 그 당시의 눈 구성요소 측정 결과를 현재에 그대로 적용시키는 데에는 문제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이번 연구에서 제시한 안축길이 계산 공식을 통해서 연령대와 연구 시점에 따른 문제 등에 의한 부정확한 안축길이 예측 결과를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이번 연구를 위해서 본 연구자가 만든 안축길이 계산 공식은 현재 가장 널리 알려져 있고 사용되고 있는 굴스트란드 모형안을 기초로 하였다. 또한 이 공식에 사용된 굴절이상 보정 상수인 0.4는 여러 연구자들의 연구를 토대로 결정하였다. 이번 연구의 실측된 안축길이와 굴절이상 데이터를 토대로 한 회귀분석 방정식(regression equation)은 다음과 같았다(도 7). AL = 23.453 - 0.39×SE (AL : axial length, SE : spherical equivalent). 이 회귀 방정식에서 안축길이 변화에 대한 굴절력 변화의 결과는 다른 여러 연구 결과와 거의 같았다. 즉, 1 mm 안축길이 변화는 굴절이상의 0.39 D 변화와 같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따라서 굴절이상 보정 상수를 0.4로 설정한 것은 결과적으로 올바른 선택이었다고 할 수 있겠다.
Kushner 등은 사시 수술 시에 외안근의 부착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A-scan을 사용하여 환자의 안축길이를 측정할 수 없을 때 제한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안축길이 예측(계산) 공식을 만들었다. 이 안축길이 예측 공식에는 굴절이상과 나이를 사용한 선형 회귀함수가 사용되었다. 이 연구에서 예측된 안축길이 오차가 0.5 mm 이하인 경우는 전체 대상자의 43%이었고 1.0 mm 이하인 경우는 75%, 1.5 mm 이하는 92%였다고 했다. 이번 연구에서는 0.5mm 이하의 오차를 보인 경우는 75.43%, 1.00 mm 이하의 오차를 보인 경우는 95.55%로 나타나 Kushner의 연구와 비교하여 상당히 높은 정확성을 보였다. 이러한 차이가 난 이유는 첫째로 Kushner의 연구에서 사용된 공식은 자신들의 대상자의 자료를 토대로 구한 단순한 선형 회귀함수를 사용했기 때문이며 둘째로 이 함수에는 나이와 굴절이상만이 포함되어 있어서 이번 연구처럼 각막곡률을 함께 포함하지 않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부분결합간섭의 원리를 이용하여 안축길이를 측정하는 IOL-master의 정확성(accuracy)은 0.012 mm로 아주 정확하며 초음파(ultrasound)를 사용하여 안축길이를 측정하는 A-scan의 경우 그 정확성은 0.10-0.12 mm이다<<Holladay J.T. Ultrasound and optical biometry. Cataract Refract Surg Today Eur 2009.>>. 다시 말해 IOL-master의 측정 오차는 0.012 mm이며 A-scan의 측정 오차는 0.10-0.12 mm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번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계산된 안축길이와 실측된 안축길이 사이의 평균 오차는 0.18±0.47 mm로 A-scan의 측정 오차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 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이번 연구를 위해 만들어진 안축길이 계산 공식의 정확성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다.
이번 연구에 사용된 안축길이 계산 공식은 각막곡률과 굴절이상이라는 변수를 사용하게 된다. 즉, 눈의 굴절구성요소 중의 하나인 수정체에 대한 부분이 변수로 사용되지 않았기 때문에 굴절성 비정시(refractive ametropia) 중 각막 굴절력에 의한 비정시의 경우는 상당히 정확할 것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만약 그 비정시가 수정체의 굴절력 변화에 의해 발생한다면 그 정확성은 다소 떨어질 것으로 생각된다. 이번 연구에서 1.00 mm 이상의 오차가 발생한 경우가 그러한 수정체 굴절력 변화에 의한 굴절성 비정시일 것으로 생각된다.
HOYA 특허(U.S. 6,637,880 B1, 2003)를 살펴보면 안축길이라는 변수를 적용한 누진렌즈를 주문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에 변수들을 기록하여 자동으로 주문할 수 있는 시스템이 제시되어 있다. 그 중에서 안축길이를 기록하는 칸(CO value)에 안축길이 측정값 또는 계산값을 입력하면 컴퓨터 시스템이 자동적으로 VR값과 CR값을 계산하여 렌즈 설계에 적용하게 된다. 하지만 아직까지 이러한 특허가 적용된 렌즈가 상용화되지 않았기 때문에 실제로 적용해 볼 수는 없다. 이러한 설계 방식의 렌즈가 상용화되지 못한 이유 중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실제 누진렌즈를 판매하는 안경사가 안축길이를 실측할 수 없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한다. 이번 연구를 통해서 정확하게 계산된 안축길이를 렌즈 제작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길이 열린 것이다.

Claims (6)

  1. 각막곡률에 따른 정시안의 안축길이를 계산하기 위한 방법:
    수학식 1
    emmeAL = 24.0×CR/7.8
    상기 수학식 1에서 CR은 각막곡률 값을 나타낸다.
  2. 제 1 항의 수학식 1을 유도하기 위하여 모형안의 각막곡률 수치를 사용하는 방법.
  3. 제 1 항의 수학식 1의 결과를 비정시에 따라 보정하기 위해 안축길이 변화에 따른 눈의 굴절력의 변화 또는 눈의 굴절력 변화에 따른 안축길이 변화의 비율을 사용하는 방법:
    수학식 2
    compAL = SE×0.4
    상기 수학식 2에서 SE는 등가구면 굴절이상 값을 나타낸다.
  4. 제 1 항과 제 2 항을 통해서 각막곡률과 등가구면 굴절이상을 사용하여 안축길이를 계산하는 방법:
    수학식 3
    calAL = (24.0×CR/7.8) - (SE×0.4)
    상기 수학식 3에서 CR은 각막곡률, SE는 등가구면 굴절이상 값을 나타낸다.
  5. 다음의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안축길이를 계산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a) 각막곡률과 등가구면 굴절이상의 값을 입력하는 프로세스;
    (b) 하기 수학식 3을 연산하는 프로세스; 및
    수학식 3
    calAL = (24.0×CR/7.8) - (SE×0.4)
    상기 수학식 3에서 CR은 각막곡률, SE는 등가구면 굴절이상 값을 나타낸다.
    (c) 상기 프로세스 (b)의 결과 값을 이용하여 안축길이를 계산하는 프로세스.
  6. 제 4 항의 안축길이 계산 수학식 3을 사용하여 안경렌즈 설계에 이용하는 방법:
    (a) 수학식 3을 사용하여 누진안경렌즈를 설계하는 방법;
    (b) 수학식 3을 사용하여 단초점안경렌즈를 설계하는 방법;
    (c) 수학식 3을 사용하여 이중초점안경렌즈를 설계하는 방법.
KR1020140166104A 2014-11-26 2014-11-26 각막곡률과 굴절이상을 이용한 안축길이 계산 방법 KR1016481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6104A KR101648198B1 (ko) 2014-11-26 2014-11-26 각막곡률과 굴절이상을 이용한 안축길이 계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6104A KR101648198B1 (ko) 2014-11-26 2014-11-26 각막곡률과 굴절이상을 이용한 안축길이 계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2893A true KR20160062893A (ko) 2016-06-03
KR101648198B1 KR101648198B1 (ko) 2016-08-12

Family

ID=56192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6104A KR101648198B1 (ko) 2014-11-26 2014-11-26 각막곡률과 굴절이상을 이용한 안축길이 계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819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95233A1 (en) * 2017-04-25 2018-10-31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Ametropia treatment tracking methods and system
KR20180119505A (ko) * 2017-04-25 2018-11-02 존슨 앤드 존슨 비젼 케어, 인코포레이티드 비정시 치료 추적 방법 및 시스템
CN114911069A (zh) * 2021-02-10 2022-08-16 爱博诺德(北京)医疗科技股份有限公司 视网膜周边离焦模型的建模方法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Rubin M.L. Optics for clinicians, Gainesville: Triad Publishers, 1977; 136. *
김찬수 등, 정시안에서 연령에 따른 안수치들의 변화, 대한안과학회지 제49권 제3호, pp. 425-432, 2008. *
서용원 등, 굴절이상과 안축장/각막곡률반경 비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Vol. 4, No. 2, December, 1999. *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95233A1 (en) * 2017-04-25 2018-10-31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Ametropia treatment tracking methods and system
KR20180119505A (ko) * 2017-04-25 2018-11-02 존슨 앤드 존슨 비젼 케어, 인코포레이티드 비정시 치료 추적 방법 및 시스템
CN108836626A (zh) * 2017-04-25 2018-11-20 庄臣及庄臣视力保护公司 屈光异常治疗追踪方法和系统
JP2018183590A (ja) * 2017-04-25 2018-11-22 ジョンソン・アンド・ジョンソン・ビジョン・ケア・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非正視治療の追跡方法及びシステム
EP3395233B1 (en) 2017-04-25 2022-04-20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Ametropia treatment tracking methods and system
CN108836626B (zh) * 2017-04-25 2022-08-02 庄臣及庄臣视力保护公司 屈光异常治疗追踪方法和系统
EP4049580A1 (en) * 2017-04-25 2022-08-31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Ametropia treatment tracking methods and system
CN114911069A (zh) * 2021-02-10 2022-08-16 爱博诺德(北京)医疗科技股份有限公司 视网膜周边离焦模型的建模方法
CN114911069B (zh) * 2021-02-10 2024-04-02 爱博诺德(北京)医疗科技股份有限公司 视网膜周边离焦模型的建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8198B1 (ko) 2016-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hao et al. Age-related changes in corneal astigmatism
US20120229758A1 (en) Method for providing a spectacle ophthalmic lens by calculating or selecting a design
EP3420887A1 (en) Method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eye rotation center of the eye of a subject, and associated device
KR101648198B1 (ko) 각막곡률과 굴절이상을 이용한 안축길이 계산 방법
Fulk et al. The effect of changing from glasses to soft contact lenses on myopia progression in adolescents
Kim et al. Comparison of predicted and measured axial length for ophthalmic lens design
Bernal-Molina et al. Influence of ametropia and its correction on measurement of accommodation
Achiron et al. Contemporary management of aniseikonia
Sunder Raj et al. Comparative evaluation of the Allergan Humphrey 570 and Canon RK-l autorefractors: I. Objective autorefraction in normal subjects
Lambert et al. Long-term outcomes of undercorrection versus full correction after unilateral intraocular lens implantation in children
Lie et al. Using the lens paradox to optimize an in vivo MRI-based optical model of the aging human crystalline lens
US20190216314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intraocular lens power
Lundström et al. Peripheral aberrations
Uretmen et al. Oculometric features of hyperopia in children with accommodative refractive esotropia
KR102645227B1 (ko) 단안의 조절반응 범위의 차를 이용한 프리즘 처방 방법
KR101067762B1 (ko) 한국식 검안방법용 예비검사 장치
Kaur et al. Subjective Refraction Techniques
KR101644489B1 (ko) 사위 측정 방법
Tian et al. Vergence Formula for Estimating the Refractive Status of Aphakic Eyes in Pediatric Patients
Hessler et al. Unlock the secrets of the myopic eye: What axial length readings and crystalline lens power tell you.
US10247963B2 (en) Method for optical design of a pair of ophthalmic lenses and pair of ophthalmic lenses thus obtained
KR102645226B1 (ko) 노안가입도 산출방법
Giner et al. Assessment of multifocal contact lens over-refraction using an infrared, open-field autorefractor: A preliminary study
WO2013159076A2 (en) Vision enhancement systems and methods
RU2793380C1 (ru)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переносимости оптической коррекции аномалий рефракции при работе вблиз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