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2671A - 초다시점 영상 생성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초다시점 영상 생성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2671A
KR20160062671A KR1020150110133A KR20150110133A KR20160062671A KR 20160062671 A KR20160062671 A KR 20160062671A KR 1020150110133 A KR1020150110133 A KR 1020150110133A KR 20150110133 A KR20150110133 A KR 20150110133A KR 20160062671 A KR20160062671 A KR 201600626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er
image
shutters
optical system
ti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0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02139B1 (ko
Inventor
이범렬
박정철
손형재
정일권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US14/939,725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60150224A1/en
Publication of KR20160062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26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2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21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N13/0246
    • H04N13/0203
    • H04N13/0253
    • H04N13/0296

Abstract

초다시점 영상 생성 장치가 제공된다. 이 장치는, 제1 셔터 타이밍에 따라 제1 시점 영상에 대응하는 제1 광원을 출력하는 제1 셔터; 상기 제1 셔터 타이밍에 동기화된 제2 셔터 타이밍에 따라 제2 시점 영상에 대응하는 제2 광원을 출력하는 제2 셔터; 상기 제1 셔터 타이밍에 따라, 상기 제1 셔터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제1 광원을 제1 영상광으로 변환하는 제1 투사 광학계; 상기 제2 셔터 타이밍에 따라, 상기 제2 셔터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제2 광원을 제2 영상광으로 변환하는 제2 투사 광학계; 및 상기 제1 투사 광학계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제1 영상광과 상기 제2 투사 광학계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제2 영상광을 혼합하여 초다시점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광 혼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초다시점 영상 생성 장치 및 그 방법{DEVICE FOR GENERATING SUPER MULTI-VIEW IMAG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초다시점 영상 생성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프로젝션 방식으로 초다시점 영상을 생성하는 초다시점 영상 생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상용화되고 있는 3차원 영상 디스플레이 기술은 두 눈의 양안시차(binocular parallax)를 이용하는 것으로, 시점이 서로 다른 좌안용 영상과 우안용 영상을 시청자의 좌안과 우안에 각각 제공함으로써 시청자가 입체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한다.
그런데, 좌안용 영상과 우안용 영상의 2시점만을 제공하는 기존의 3차원 영상 디스플레이 기술은 시청자의 이동에 따른 시점의 변화를 반영하지 못한다. 때문에, 자연스러운 입체감을 제공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자연스러운 운동시차(motion parallax)를 제공하기 위하여 다수의 시점을 제공할 수 있는 다시점 영상 디스플레이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다시점 영상 디스플레이 기술은 다수의 시역(viewing zone)에 서로 다른 시점의 3차원 영상을 각각 제공하는 기술이다.
최근에는 더욱 자연스러운 운동시차(motion parallax)를 제공하고, 단안으로도 입체 영상을 감상할 수 있도록 하는 초다시점(super multi-view) 영상 디스플레이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초다시점 영상 디스플레이 기술은 시청자의 단안에 복수의 시점 영상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초다시점 3차원 영상 디스플레이 기술은 시청자의 단안의 동공 크기보다 작은 영역 내에 복수 시점의 영상을 형성한다. 따라서, 시청자의 망막에는 항상 복수의 시차의 영상이 투영되므로 단안으로도 입체감을 느낄 수 있어서, 더욱 자연스러운 입체감의 형성이 가능하다.
초다시점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방법으로, 다수의 카메라를 이용할 수 있다. 즉, 시역 별로 배치된 각 카메라를 통해 시점 영상을 획득하고, 카메라가 설치되지 않은 카메라와 카메라 사이의 시역에서 획득되어야 하는 중간 영상은 인접 영상의 조합으로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초다시점 단안 영상을 프로젝션 방식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장치는, 하나의 셔터를 이용하여 복수의 시점 영상에 대한 동기 타이밍을 제어하여 초다시점 단안 영상을 생성한다.
이렇게 단일 셔터를 이용한 셔터링 방식으로 복수의 시점 영상에 대한 동기 타이밍을 제어하는 경우, 각 시점 영상 간에 상호 간섭을 유발하여 초다시점 영상의 표시품질을 저하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시점 별 동기화 된 셔터 타이밍(shutter timing)으로 인접한 시점 영상 간의 상호 간섭을 제거하는 초다시점 영상 생성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초다시점 영상 생성 장치는, 제1 셔터 타이밍에 따라 제1 시점 영상에 대응하는 제1 광원을 출력하는 제1 셔터; 상기 제1 셔터 타이밍에 동기화된 제2 셔터 타이밍에 따라 제2 시점 영상에 대응하는 제2 광원을 출력하는 제2 셔터; 상기 제1 셔터 타이밍에 따라, 상기 제1 셔터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제1 광원을 제1 영상광으로 변환하는 제1 투사 광학계; 상기 제2 셔터 타이밍에 따라, 상기 제2 셔터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제2 광원을 제2 영상광으로 변환하는 제2 투사 광학계; 및 상기 제1 투사 광학계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제1 영상광과 상기 제2 투사 광학계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제2 영상광을 혼합하여 초다시점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광 혼합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른 초다시점 영상 생성 방법은, 관찰자의 시역을 기준으로 제1 시점 영상과 제2 시점 영상을 선택하는 제1 단계; 상기 제1 시점 영상에 대응하는 제1 광원을 생성하고, 상기 제2 시점 영상에 대응하는 제2 광원을 생성하고, 생성된 제1 및 제2 광원을 각각 제1 및 제2 셔터로 출력하는 제2 단계; 제1 셔터 타이밍으로 제1 셔터를 동작시켜 상기 제1 광원을 제1 투사 광학계로 출력하고, 상기 제1 셔터 타이밍으로 제2 셔터를 동작시켜 상기 제2 광원을 제2 투사 광학계로 출력하는 제3 단계; 상기 제1 투사 광학계에서 상기 제1 셔터 타이밍에 따라 입력된 제1 광원을 제1 영상광으로 변환하고, 상기 제2 투사 광학계에서 상기 제2 셔터 타이밍에 따라 입력된 상기 제2 광원을 제2 영상광으로 변환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제1 영상광과 상기 제2 영상광을 혼합한 초다시점 영상을 생성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점 별 동기화 된 셔터 타이밍(shutter timing)으로 인접한 시점 영상 간의 상호 간섭이 제거된 초다시점 영상을 생성함으로써, 실사 수준의 초다시점 영상 제작, 시역 별로 초다시점 영상의 조성 방식의 규명 및 초다시점 영상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양안시차 및 눈의 조절작용의 불일치에 의한 시각적 피로감이 없는 3차원 입체 영상 콘텐츠 시장 규모의 획기적인 상승 효과를 제공하게 되며, 연속 시차를 갖는 실사 수준의 입체영상 콘텐츠의 제작의 활성화를 통하여 기존 영상 시장의 규모 확대 면에서 새로운 변혁을 일으키는 티핑포인트의 역할과 관련 시장 및 파생 시장의 규모 또한 파급력 및 확장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초다시점 영상 콘텐츠의 획득 및 생성 시장의 활성화를 촉발하게 되며, 초다시점 영상의 디스플레이 검증을 위한 기반 환경의 제시를 통하여 초다시점 영상 콘텐츠 제작과 관련된 산업의 추가적인 확산 효과도 기대된다. 본 발명을 통하여 보다 효과적인 새로운 초다시점 영상 생성 장치를 제시함으로써 초다시점 영상 디스플레이 기술의 한 단계 업그레이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어 초다시점 영상 콘텐츠의 대량 생산과 소비 확장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좌안용 초다시점 영상 생성 장치와 우안용 초다시점 영상 생성 장치를 시메트릭한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콤팩트한 크기의 초다시점 영상 생성 장치의 제작이 가능하게 되어 상용화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초다시점 영상 생성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초다시점 영상 생성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도 1 도시된 제1 및 제2 LCD 셔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초다시점 영상 생성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전술한 목적 및 그 이외의 목적과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목적, 구성 및 효과를 용이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으로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됨을 배제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초다시점 영상 프로젝션 장치를 구성하기 위해 초다시점 영상을 제시하기 위한 수단으로는 각 투사 광학계(Projection Objective)의 전 단에 LCD 셔터를 배치하여 한 개의 셔터와 서로 인접하는 스트라이프 셔터의 ON/OFF에 따른 상호 간섭을 제거하게 하며, 각 셔터의 위치는 항상 서로 좌우로 인접하도록 배열하고, 두 셔터의 ON의 상대적인 위치를 항상 유지하면서 각 셔터의 스트라이프의 ON 되는 스트라이프가 좌에서 우(또는 우에서 좌)로 이동하게 하며,
각 셔터에서 각 스트라이프의 ON 주기는 각 영상 프레임의 ON 시간의 1/16 시간 주기가 되도록 하는 것과,
두 셔터에서 ON 스트라이프 사이의 상호 간섭을 최소화 하기 위해 각 셔터는 영상 프레임의 ON 시간의 1/2 시간 동안 동작하게 하고,
두 셔터에서 ON 스트라이프 사이의 동작 시간을 프레임 영상의 ON시간 동안 동시에 동작하도록 하는 장치와 그 구성 방법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한 영상 프레임의 초다시점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는 시간과 동기를 맞추어 LCD 셔터의 동기화를 제어하게 된다.
이 시점 영상을 단안에서 양안으로 확대하여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더욱 자연스러운 초다시점 영상을 관찰자에게 제시하게 된다. 관찰자에게 제시되는 초다시점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서 프레넬 렌즈와 같은 방식을 적용한 투사스크린을 활용하게 된다.
좌안에 대한 다시점 영상을 실시간으로 제시하기 위해서는 단안 영상을 시점별로 제시해야 하며,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의 시점별 영상 디스플레이를 시역의 조성 방식에 따라 호스트 시스템에서 동기화 시켜 제시하게 된다.
콤팩트한 초다시점 영상 생성 장치의 구성을 위한 광학계 구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좌안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와 우안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를 시메트릭한 구조로 구성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초다시점 영상 생성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초다시점 영상 생성 장치(100)는 관찰자의 단안에 제공되는 초다시점 영상을 생성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초다시점 영상 생성 장치(100)는 호스트 시스템(host system, 110), 저장부(120), 제1 및 제2 LCD 프로젝션 램프(120A, 120B), 동기화부(130), 제1 및 제2 LCD 셔터(shutter)(140A, 140B), 제1 및 제2 투사 광학계(Projection Objective)(150A, 150B) 및 영상광 혼합부(160)를 포함한다.
상기 호스트 시스템(110)는 초다시점 영상 생성 장치(100)의 각 구성들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으로서, 저장부(120)에 저장된 다수의 다시점 영상(multi-view images) 중에서 초다시점 영상을 생성하고자 하는 관찰자의 시역을 기준으로 선택된 제1 및 제2 시점 영상(VI1, VI2)를 제1 및 제2 프로젝션 LCD 유닛(120A, 120B)에 로딩한다.
상기 제1 LCD 프로젝션 램프(120A)은 상기 호스트 시스템(110)로부터 로딩된 상기 제1 시점 영상(VI1)에 대응하는 제1 시점의 제1 LCD 광원을 상기 제1 LCD 셔터(140A)로 출력한다.
상기 제2 LCD 프로젝션 램프(120B)은 상기 호스트 시스템(110)로부터 로딩된 상기 제2 시점 영상(VI1)에 대응하는 제2 시점의 제2 LCD 광원을 상기 제2 LCD 셔터(140B)로 출력한다.
상기 동기화부(130)는 제1 시점 영상과 제2 시점 영상 간의 간섭이 제거되도록 제1 및 제2 LCD 셔터(140A, 140B)의 셔터 타이밍을 제어한다.
상기 제1 LCD 셔터(140A)는 상기 동기화부(130)에 의해 제어된 제1 셔터 타이밍에 따라 상기 제1 LCD 광원을 상기 제1 투사 광학계(150A)로 출력한다.
상기 제2 LCD 셔터(140B)는 상기 동기화부(130)에 의한 상기 제1 셔터 타이밍에 동기화된 제2 셔터 타이밍에 따라 상기 제2 LCD 광원을 상기 제2 투사 광학계(150B)로 출력한다. 상기 제1 및 제2 LCD 셔터(140A, 140B)의 셔터 타이밍에 대한 설명은 아래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기술한다.
상기 제1 투사 광학계(150A)는 상기 제1 LCD 셔터(140A)의 셔터 타이밍에 따라 상기 제1 LCD 셔터(140A)로부터 출력되는 제1 시점의 제1 LCD 광원을 영상 정보를 갖는 제1 시점의 제1 영상광으로 변환한다.
상기 제2 투사 광학계(150B)는 상기 제2 LCD 셔터(140B)의 셔터 타이밍에 따라 상기 제2 LCD 셔터(140B)로부터 출력되는 제2 시점의 제2 LCD 광원을 영상 정보를 갖는 제2 시점의 제2 영상광으로 변환한다.
상기 영상광 혼합부(160)는 상기 제1 투사 광학계(150A)로부터 출력되는 제1 시점의 제1 영상광과 상기 제2 투사 광학계(150B)로부터 출력되는 제2 시점의 제2 영상광을 혼합한다. 여기서, 상기 영상광 혼합부(160)는 하프 미러(half mirror) 또는 빔스플리터(beam splitter)일 수 있다.
상기 영상광 혼합부(160)에 의해 혼합된 영상광은 투사 스크린(300)에 투사되고, 투사 스크린(300)에 투사된 혼합된 영상광은 관찰자의 단안에 제공됨으로써, 관찰자는 초다시점 영상을 관측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초다시점 영상 생성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초다시점 영상 생성 장치는 무안경 방식으로 사용자의 양안에 제공되는 초다시점 영상을 생성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초다시점 영상 생성 장치는 관찰자의 양안에 초다시점 영상을 제공하기 위해 도 1의 초다시점 영상 생성 장치(100)를 시메트릭(symmetric)하게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초다시점 영상 생성 장치는 좌안용 초다시점 영상 생성 장치(100)와 우안용 초다시점 영상 생성 장치(200)를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각 장치(100, 200)는 도 1의 초다시점 영상 생성 장치(100)와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갖는다. 도 2에서는 도 1의 초다시점 영상 생성 장치(100)가 좌안용 초다시점 영상 생성 장치로 사용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좌안용 초다시점 영상 생성 장치에 대한 상세 설명은 도 1을 참조함 설명으로 대신한다.
그리고, 도 2의 우안용 초다시점 영상 생성 장치는 좌안용 초다시점 영상 생성 장치(100)와 시메트릭(symmetric)하게 구성되도록 제1 및 제2 LCD 프로젝션 램프(220A, 220B), 제1 및 제2 LCD 셔터(shutter)(240A, 240B), 제1 및 제2 투사 광학계(250A, 250B) 및 하프 미러(260)을 포함한다. 이들 구성들은 좌안용 초다시점 영상 생성 장치(100)의 각 구성들(120A, 120B, 140A, 140B, 150A, 150B, 160)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이들 구성들(220A, 220B, 240A, 240B, 250A, 250B, 260)에 대한 설명은 도 1을 참조한 설명으로 대신한다. 한편, 도 2에서는, 도면의 간략화를 위해, 도 1에 도시한 호스트 시스템(110), 저장부(120), 동기화부(130)는 도시되지 않았다.
이와 같이,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초다시점 영상 생성 장치에서는, 도 1에 도시된 초다시점 영상 생성 장치를 시메트릭한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전체 시스템을 콤팩트하게 설계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는 도 1 도시된 제1 및 제2 LCD 셔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및 제2 LCD 셔터(140A, 140B) 각각은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다수의 스트라이프 셔터(S1~Sn, 여기서, n은 자연수)를 포함한다.
각 스트라이프 셔터(S1~Sn)는 상기 동기화부(130)에 의해 좌측에서 우측 또는 우측에서 좌측으로 온(ON)되도록 제어된다. 이때, 제1 LCD 셔터(140A) 내에서 온(ON)된 스트라이프 셔터(S1~Sn)에 대한 제2 LCD 셔터(140B) 내에서 온(ON)되는 스트라이프 셔터(S1~Sn)의 상대적 위치를 유지하면서, 각 스트라이프 셔터(S1~Sn)는 좌측에서 우측으로 또는 우측에서 좌측으로 온(ON) 되도록 제어된다. 즉, 제1 LCD 셔터(140A) 내의 하나의 스트라이프 셔터가 온(ON) 되는 시점과 제2 LCD 셔터(140B) 내의 하나의 스트라이프 셔터가 온(ON) 되는 시점 간의 시간 차이를 그대로 유지하면, 각 스트라이프 셔터(S1~Sn)는 좌측에서 우측 또는 우측에서 좌측으로 온(ON)되도록 제어된다.
각 스트라이프 셔터(S1~Sn)의 온(on) 시간은 상기 동기화부(130)에 의해 초다시점 영상의 한 프레임의 1/16 시간으로 제어된다.
제1 LCD 셔터(140A) 내의 스트라이프 셔터(S1~Sn)에서 출력되는 제1 시점의 제1 영상광과 제2 LCD 셔터(140B) 내의 스타라이프 셔터(S1~Sn)에서 출력되는 제2 시점의 제2 영상광 간의 상호 간섭을 줄이기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LCD 셔터(140A)는 상기 동기화부(130)에 의해 상기 한 프레임(①)의 전체 시간 중 1/2 시간(②) 동안 동작하도록 제어되고, 상기 제2 LCD 셔터(140B)는 상기 한 프레임의 나머지 1/2 시간(③) 동안 동작하도록 제어된다.
다르게, 상기 동기화부(1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LCD 셔터(140A)와 제2 LCD 셔터(140B)를 상기 한 프레임의 시간 동안 동시에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도 5의 ②, ③).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초다시점 영상 생성 방법을 도시한 것으로서, 단안용 초다시점 영상 생성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도 1을 함께 참조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단계 S610에서, 초다시점 영상을 생성하고자 하는 관찰자의 시역을 기준으로 제1 시점 영상과 제2 시점 영상을 선택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이어, 단계 S620에서, 제1 및 제2 LCD 프로젝션 램프(120A, 120B)에서, 상기 제1 시점 영상에 대응하는 제1 광원을 생성하고, 상기 제2 시점 영상에 대응하는 제2 광원을 생성하고, 생성된 제1 및 제2 광원을 각각 제1 및 제2 셔터로 출력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이어, 단계 S630에서, 제1 셔터 타이밍으로 제1 LCD 셔터를 동작시켜 상기 제1 광원을 제1 투사 광학계로 출력하고, 상기 제1 셔터 타이밍으로 제2 LCD 셔터를 동작시켜 상기 제2 광원을 제2 투사 광학계로 출력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셔터 내의 각 스트라이프 셔터(S1~Sn)는 좌측에서 우측 또는 우측에서 좌측으로 순차적으로 온(ON)되는 상기 제1 셔터 타이밍으로 동작하고, 상기 제2 셔터 내의 각 스트라이프 셔터(S1~Sn)는 제1 LCD 셔터(140A) 내의 하나의 스트라이프 셔터가 온(ON) 되는 시점과 일정한 시간차를 두고, 좌측에서 우측 또는 우측에서 좌측으로 온(ON)되는 상기 제2 셔터 타이밍으로 동작한다.
이어, 단계 S640에서, 상기 제1 투사 광학계(150A)에서 상기 제1 셔터 타이밍에 따라 입력된 제1 광원을 제1 영상광으로 변환하고, 상기 제2 투사 광학계(150B)에서 상기 제2 셔터 타이밍에 따라 입력된 상기 제2 광원을 제2 영상광으로 변환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이어, 단계 650에서, 영상광 혼합부(160)에서, 상기 제1 영상광과 상기 제2 영상광을 혼합한 초다시점 영상을 생성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이후, 상기 생성된 초다시점 영상은 투사 스크린에 투사되어 관찰자에게 제공되고, 초다시점 영상을 생성하고자 하는 관찰자의 다음 시역(next viewing)이 존재하면, 상기 다음 시역을 기준으로 제1 시점 영상과 제2 시점 영상을 선택하여, 상기 단계 S610 내지 단계 S650을 반복 수행한다.
만일, 관찰자의 다음 시역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초다시점 영상을 생성하는 일련의 모든 절차는 종료된다.
이상의 단계는 단안용 초다시점 영상 생성 방법을 나타낸 것으로서, 이를 양안용 초다시점 영상 생성 방법을 확장하는 경우, 상기 단계 S610 내지 단계 S650을 좌안용 초다시점 영상 생성 방법으로서 순차적으로 진행하고, 우안용 초다시점 영상 생성 방법으로서, 상기 단계 S610 내지 단계 S650을 순차적으로 동시에 진행하고, 각각 방법에서 생성된 좌안용 초다시점 영상과 우안용 초다시점 영상을 투사 스크린에 투사함으로써, 관찰자는 양안용 초다시점 영상을 투사 스크린을 통하여 관찰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2)

  1. 제1 셔터 타이밍에 따라 제1 시점 영상에 대응하는 제1 광원을 출력하는 제1 셔터;
    상기 제1 셔터 타이밍에 동기화된 제2 셔터 타이밍에 따라 제2 시점 영상에 대응하는 제2 광원을 출력하는 제2 셔터;
    상기 제1 셔터 타이밍에 따라, 상기 제1 셔터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제1 광원을 제1 영상광으로 변환하는 제1 투사 광학계;
    상기 제2 셔터 타이밍에 따라, 상기 제2 셔터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제2 광원을 제2 영상광으로 변환하는 제2 투사 광학계; 및
    상기 제1 투사 광학계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제1 영상광과 상기 제2 투사 광학계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제2 영상광을 혼합하여 초다시점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광 혼합부
    를 포함하는 초다시점 영상 생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셔터 각각은,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다수의 스트라이프 셔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초다시점 영상 생성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셔터 내의 각 스트라이프 셔터는,
    상기 제1 셔터 타이밍에 따라, 순차적으로 온(ON)되고,
    상기 제2 셔터 내의 각 스트라이프 셔터는,
    상기 제2 셔터 타이밍에 따라, 상기 제1 셔터 내의 각 스트라이프 셔터가 온(ON) 되는 시점과 일정한 시간차를 두고, 순차적으로 온(ON)됨을 특징으로 하는 초다시점 영상 생성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스트라이프 셔터 각각의 온(ON) 시간은,
    상기 초다시점 영상의 한 프레임의 1/16 시간임을 특징으로 하는 초다시점 영상 생성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시간상으로 연속한 제1 및 제2 시간 구간으로 이루어진 상기 초다시점 영상의 한 프레임 내에서,
    상기 제1 셔터는 상기 제1 셔터 타이밍에 따라 상기 제1 시간 구간 동안 동작하고,
    상기 제2 셔텨는 상기 제2 셔터 타이밍에 따라 상기 제2 시간 구간 동안 동작함을 특징으로 하는 초다시점 영상 생성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 구간의 길이와 상기 제2 시간 구간의 길이는 동일함을 특징으로 하는 초다시점 영상 생성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셔터의 셔터 타이밍을 제어하는 동기화부를 더 포함을 특징으로 하는 초다시점 영상 생성 장치.
  8. 관찰자의 시역을 기준으로 제1 시점 영상과 제2 시점 영상을 선택하는 제1 단계;
    상기 제1 시점 영상에 대응하는 제1 광원을 생성하고, 상기 제2 시점 영상에 대응하는 제2 광원을 생성하고, 생성된 제1 및 제2 광원을 각각 제1 및 제2 셔터로 출력하는 제2 단계;
    제1 셔터 타이밍으로 제1 셔터를 동작시켜 상기 제1 광원을 제1 투사 광학계로 출력하고, 상기 제1 셔터 타이밍으로 제2 셔터를 동작시켜 상기 제2 광원을 제2 투사 광학계로 출력하는 제3 단계;
    상기 제1 투사 광학계에서 상기 제1 셔터 타이밍에 따라 입력된 제1 광원을 제1 영상광으로 변환하고, 상기 제2 투사 광학계에서 상기 제2 셔터 타이밍에 따라 입력된 상기 제2 광원을 제2 영상광으로 변환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제1 영상광과 상기 제2 영상광을 혼합한 초다시점 영상을 생성하는 제5 단계;
    를 포함하는 초다시점 영상 생성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셔터 각각은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다수의 스트라이프 셔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 3 단계에서,
    상기 제1 셔터 내의 각 스트라이프 셔터는 상기 제1 셔터 타이밍에 따라, 순차적으로 온(ON)되고, 상기 제2 셔터 내의 각 스트라이프 셔터는 상기 제2 셔터 타이밍에 따라, 상기 제1 셔터 내의 각 스트라이프 셔터가 온(ON) 되는 시점과 일정한 시간차를 두고, 순차적으로 온(ON)됨을 특징으로 하는 초다시점 영상 생성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스트라이프 셔터 각각의 온(ON) 시간은,
    상기 초다시점 영상의 한 프레임의 1/16 시간임을 특징으로 하는 초다시점 영상 생성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시간상으로 연속한 제1 및 제2 시간 구간으로 이루어진 상기 초다시점 영상의 한 프레임 내에서,
    상기 제1 셔터가 상기 제1 셔터 타이밍에 따라 상기 제1 시간 구간 동안 동작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셔텨가 상기 제2 셔터 타이밍에 따라 상기 제2 시간 구간 동안 동작하는 단계
    를 포함을 특징으로 하는 초다시점 영상 생성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 구간의 길이와 상기 제2 시간 구간의 길이는 동일함을 특징으로 하는 초다시점 영상 생성 방법.
KR1020150110133A 2014-11-25 2015-08-04 초다시점 영상 생성 장치 및 그 방법 KR1018021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939,725 US20160150224A1 (en) 2014-11-25 2015-11-12 Device and method for generating super multi-viewpoint im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5188 2014-11-25
KR20140165188 2014-11-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2671A true KR20160062671A (ko) 2016-06-02
KR101802139B1 KR101802139B1 (ko) 2017-12-28

Family

ID=56135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0133A KR101802139B1 (ko) 2014-11-25 2015-08-04 초다시점 영상 생성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213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16566B2 (en) 2016-07-22 2020-04-07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3D image display system and method
US10891424B2 (en) 2016-07-22 2021-01-12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3D image content which enables user interacti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16566B2 (en) 2016-07-22 2020-04-07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3D image display system and method
US10891424B2 (en) 2016-07-22 2021-01-12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3D image content which enables user intera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2139B1 (ko) 2017-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11611B2 (en) Device and method for performing multiple view imaging by means of a plurality of video processing devices
KR101747298B1 (ko) 에지형 백라이트 유닛을 구비한 lcd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7670004B2 (en) Dual ZScreen® projection
JP4827783B2 (ja) 画像表示装置
JP2011114867A (ja) 再生モード切替方法、出力モード切替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ディスプレイ装置と3d映像提供システム
CN102067178A (zh) 在三维演示期间对二维内容的显示
JP2011242773A (ja) 立体映像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JP2010153983A (ja) 投影型映像表示装置および該方法
CN102759848B (zh) 一种投影显示系统、投影设备及投影显示方法
CN102566250B (zh) 一种裸眼自由立体显示的投影系统及显示器
US9479761B2 (en) Document camera, method for controlling document camera, program, and display processing system
KR101802139B1 (ko) 초다시점 영상 생성 장치 및 그 방법
US20160034048A1 (en) Video display system, three-dimensional video pointing device and video display device
TW201430388A (zh) 多視點三維顯示器系統及其控制方法
Pastoor 3D Displays
KR20160098589A (ko) 홀로그램 3d 영상의 촬영 및 표출장치
JP2013090180A (ja) 立体映像撮影表示装置
WO2021227945A1 (zh) 一种显示装置和系统以及方法
JP7185163B2 (ja) 立体画像表示システム、立体画像表示方法、およびプロジェクタ
JP3472068B2 (ja) 立体映像表示装置
JP2010139855A (ja) 表示装置、表示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JP2011135252A (ja) 立体映像撮影用カメラ調整補助装置
JP2004258594A (ja) 広角度から鑑賞できる立体画像表示装置
Akşit et al. Light engine and optics for HELIUM3D auto-stereoscopic laser scanning display
JP5275760B2 (ja) 立体画像表示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