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2493A - 배터리 관리장치 - Google Patents

배터리 관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2493A
KR20160062493A KR1020140165292A KR20140165292A KR20160062493A KR 20160062493 A KR20160062493 A KR 20160062493A KR 1020140165292 A KR1020140165292 A KR 1020140165292A KR 20140165292 A KR20140165292 A KR 20140165292A KR 20160062493 A KR20160062493 A KR 201600624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function
main device
additional function
control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5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정환
김수겸
김지만
Original Assignee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652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62493A/ko
Publication of KR20160062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24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 관리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관리장치는 메인 장치에 구비된 배터리를 관리하는 장치로서, 상기 배터리의 잔량 레벨을 결정하고, 결정된 배터리의 잔량 레벨과 대응해서 상기 메인 장치에 대해 미리 정해져 있는 차단 대상의 부가 기능을 특정하며, 특정된 차단 대상의 부가 기능을 오프 상태로 전환하는 제어 모듈 및 사용자 입력을 통해 상기 차단 대상의 부가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입력 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배터리 관리장치{Battery management apparatus}
본 발명은 배터리 관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메인 장치의 배터리 잔량에 따라 부가 기능을 오프 상태로 전환하여 배터리의 용량을 관리하는 배터리 관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터리로 동작하는 메인 장치의 경우 배터리 용량이라는 제약사항이 있다. 따라서, 배터리 용량이 다하기 전에 미리 충전하거나 다른 배터리로 교체하여야만, 메인 장치를 동작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메인 장치는 배터리를 구비하는 장비로서, 무선 CCTV 카메라를 일례로 들 수 있다.
무선 CCTV 카메라는 설치가 용이하다는 것이 큰 장점으로서, 점차 소형화, 고화질 및 고성능화 추세이다. 특히, 전원까지 배터리로 공급받는 완전 무선방식에 대한 관심 또한 커지고 있다.
완전 무선방식의 CCTV 카메라를 구비하는 경우, 어떠한 상황에서도 감시를 중단없이 지속하는 것이 중요한 CCTV의 특성상 배터리 사용을 최적화하여 사용시간을 최대한으로 연장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종래 기술에 따르면 완전 무선방식의 CCTV 카메라에 적용하기 위한 배터리 용량 자체를 고용량으로 구비하거나, 장비 내의 소비 전력을 최소화하는 정도이다.
즉, 종래 기술에서는 완전 무선방식의 CCTV 카메라에 구비된 다양한 부가기능을 활용하면서 배터리의 용량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수준까지 이르고 있지는 않다.
따라서, 완전 무선방식의 CCTV 카메라를 비롯한 메인 장치에 구비된 다양한 고사양의 부가기능을 활용하면서 배터리의 용량 또한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로 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48493 (2004.06.10)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과제는 메인 장치의 배터리 잔량에 따라 부가 기능을 오프 상태로 전환하여 배터리의 용량을 관리하는 배터리 관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메인 장치의 배터리 잔량에 따라 사용자가 우선순위를 낮게 지정한 부가기능부터 순차적으로 오프 처리하는 배터리 관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그리고, 메인 장치의 배터리 잔량에 따라 차단하고자 하는 부가 기능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배터리 관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관점에 따른 배터리 관리장치는 메인 장치에 구비된 배터리를 관리하는 장치로서, 상기 배터리의 잔량 레벨을 결정하고, 결정된 배터리의 잔량 레벨과 대응해서 상기 메인 장치에 대해 미리 정해져 있는 차단 대상의 부가 기능을 특정하며, 특정된 차단 대상의 부가 기능을 오프 상태로 전환하는 제어 모듈 및 사용자 입력을 통해 상기 차단 대상의 부가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입력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결정된 배터리의 잔량 레벨과 대응하여 차단 대상의 부가 기능 리스트 중에서 우선 순위가 낮은 차단 대상의 부가 기능부터 순차적으로 오프 전환할 수 있다.
상기 입력 모듈은 상기 메인 장치의 설치 환경 및 타겟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거나, 상기 차단 대상의 부가 기능을 직접 선택한다.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메인 장치의 설치 환경 및 타겟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경우, 우선순위별로 구분된 차단 대상의 부가 기능 리스트를 자동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차단 대상의 부가 기능을 직접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차단 대상의 부가 기능과 필수 연동하는 다른 부가 기능이 존재하면 관련 안내 메시지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는 수단으로 출력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메인 장치의 타겟 기능을 존속하기 위한 예정 시간이 정해져 있는 경우, 상기 결정된 배터리의 잔량 레벨을 기초로 상기 예정 시간 동안 상기 타겟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최우선으로 해서 상기 차단 대상의 부가 기능을 오프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메인 장치의 배터리 잔량에 따라 부가 기능을 오프 상태로 전환하여 배터리의 용량을 관리할 뿐만 아니라, 메인 장치의 배터리 잔량에 따라 사용자가 우선순위를 낮게 지정한 부가기능부터 순차적으로 오프 처리하는 것도 가능하며, 메인 장치의 배터리 잔량에 따라 차단하고자 하는 부가 기능을 사용자가 선택하는 것 또한 가능한 배터리 관리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메인 장치에 구비된 다양한 고사양의 부가기능을 활용하면서 배터리의 용량 또한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배터리 관리장치를 포함한 메인 장치를 일 실시 예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메인 장치를 일 실시 예로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배터리 관리장치의 동작 과정을 일 실시 예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배터리 관리장치(100)는 메인 장치(200)의 배터리 잔량에 따라 메인 장치(200)의 부가 기능을 오프 상태로 전환하여 배터리의 용량을 관리하며, 더 나아가 메인 장치(200)의 배터리 잔량에 따라 차단하고자 하는 부가 기능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갖춘다.
또한, 배터리 관리장치(100)는 메인 장치(200)의 배터리 잔량에 따라 사용자가 우선순위를 낮게 지정한 부가 기능부터 순차적으로 오프 처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전술한 메인 장치(200)는 배터리를 구비하는 장비로서, 무선 CCTV 카메라를 일례로 들 수 있다. 특히, 무선 CCTV 카메라 중에서도 전원까지 배터리로 공급받는 완전 무선방식의 무선 CCTV 카메라가 전술한 메인 장치(200)가 될 수 있다. 이하, 메인 장치(200)의 구체적 구조에 대한 설명이 필요로 하는 경우 완전 무선방식의 무선 CCTV 카메라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자 한다.
배터리 관리장치(100)는 메인 장치(200)에 구비된 배터리를 관리하는 장치로서, 배터리의 잔량 레벨을 결정하고, 결정된 배터리의 잔량 레벨과 대응해서 메인 장치(200)에 대해 미리 정해져 있는 차단 대상의 부가 기능을 특정하며, 특정된 차단 대상의 부가 기능을 오프 상태로 전환하는 제어 모듈(110), 및 사용자 입력을 통해 차단 대상의 부가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입력 모듈(120)을 포함한다.
제어 모듈(110)은 현 시점에 메인 장치(200)의 배터리에 잔존하는 배터리의 잔량 레벨과 대응하여 차단 대상의 부가 기능 리스트 중에서 우선 순위가 낮은 차단 대상의 부가 기능부터 순차적으로 오프 전환할 수 있다.
여기서, 차단 대상의 부가 기능 리스트라 함은 메인 장치(200)에 배터리 관리장치(100)를 구비하거나, 메인 장치(200)에 이미 구비된 배터리 관리장치(100)를 활성화한 시점에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정해진 리스트이다.
차단 대상의 부가 기능 리스트를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정한다는 것은 여러 방식이 있다.
입력 모듈(120)을 통해 사용자는 메인 장치(200)의 설치 환경 및 타겟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거나, 차단 대상의 부가 기능을 직접 선택할 수 있다.
입력 모듈(120)을 이용해서 메인 장치(200)의 설치 환경 및 타겟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경우, 제어 모듈(110)에서 자동으로 우선순위별로 구분된 차단 대상의 부가 기능 리스트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제어 모듈(110)은 메인 장치(200)의 설치 환경 및 타겟 기능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각 경우의 수 별로 우선순위를 구분한 차단 대상의 부가 기능 리스트를 미리 확보하여 저장 중인 것으로 로딩하는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메인 장치(200)의 설치 환경을 '공공 장소'로 선택한 경우, 공공 장소에서 드나드는 다양한 사람들의 특징을 선별하여야만 감시 카메라로서 기능할 수 있기 때문에 '영상 품질 강화 기능'을 타겟 기능을 설정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설정된 기준을 근거로 '움직임 감지 기능' 또는 '소리 감지 기능' 등의 부가 기능은 상대적으로 우선 순위가 떨어지는 것으로서 설정됨에 따라 배터리의 잔량 레벨에 따라 차단 대상의 부가 기능 리스트에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타겟 기능이라 함은 배터리의 용량을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메인 장치(200)가 최종적으로 동작할 때까지 유지되어야 할 핵심 부가 기능을 일컫는다.
한편, 입력 모듈(120)을 이용해서 차단 대상의 부가 기능을 직접 선택하는 경우, 제어 모듈(110)은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선택된 항목을 기준으로 해서 차단 대상의 부가 기능 리스트를 설정할 수 있다.
제어 모듈(110)은 사용자에 의해 차단 대상의 부가 기능이 직접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차단 대상의 부가 기능과 필수 연동하는 다른 부가 기능이 존재하면 관련 안내 메시지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는 수단으로 출력 제어할 수도 있다. 다른 방식으로, 제어 모듈(110)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차단 대상의 부가 기능과 필수 연동하는 다른 부가 기능이 존재하면 필수 연동하는 다른 부가 기능을 사용자가 선택된 부가 기능과 동일한 그룹으로서 자동 관리할 수도 있다.
도 2는 도 1의 배터리 관리장치를 포함한 메인 장치를 일 실시 예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메인 장치(200)는 배터리(210), 배터리 잔량 측정부(220) 및 배터리 관리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장치(200)의 각종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구성은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배터리 잔량 측정부(220)는 메인 장치(200) 내에 배터리 잔량 측정 회로 등의 형태로서 다양하게 구비 가능하다. 이와 같은 배터리 잔량 측정부(220)는 통상의 메인 장치(200)에 이미 구비된 경우가 많으므로 배터리 관리장치(100)의 외부에 위치하여 배터리 관리장치(100)에 배터리(210)의 잔량 레벨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배터리 잔량 측정부(220)도 배터리 관리장치(100)에 포함되는 구성으로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은 도 2의 메인 장치를 일 실시 예로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3의 a) 도면을 참조하면, 메인 장치(200)의 배터리 용량이 대략 25%인 경우에 대한 예이다. 도 3의 각 도면에 도시된 메인 장치(200)에 대한 차단 대상의 부가 기능 리스트가 다음과 같이 설정될 수 있다.
<우선순위>
1 순위: 영상 품질 강화 기능
2 순위: 오디오 출력 기능
3 순위: 움직임 감지 기능, 소리 감지 기능
<배터리 잔량 레벨에 따른 차단 대상 부가 기능 리스트>
* 배터리 용량이 25% 이하: 3 순위의 부가 기능을 오프 상태로 전환
* 배터리 용량이 15% 이하: 2 순위의 부가 기능을 오프 상태로 전환
* 배터리 용량이 5% 이하: 1 순위의 부가 기능을 오프 상태로 전환
즉, 위 언급된 차단 대상의 부가 기능 리스트를 기준으로 하는 경우 도 3의 a)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인 장치(200)의 배터리 용량이 25% 이하로 결정되면 제어 모듈(110)은 '움직임 감지 기능' 및 '소리 감지 기능'을 오프 상태로 전환해서 배터리 용량의 소모율을 줄일 수 있다.
도 3의 b)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장치(200)의 배터리 용량이 15% 이하로 결정되면 제어 모듈(110)은 '오디오 출력 기능'을 오프 상태로 전환해서 배터리 용량의 소모율을 더 줄일 수 있다.
그리고, 도 3의 c)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장치(200)의 배터리 용량이 5% 이하로 결정되면 제어 모듈(110)은 '영상 품질 강화 기능'을 오프 상태로 전환해서 배터리 용량의 소모율을 최소화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제어 모듈(110)은 메인 장치(200)의 타겟 기능을 존속하기 위한 예정 시간이 정해져 있는 경우, 현 시점에서 결정된 배터리(210)의 잔량 레벨을 기초로 예정 시간 동안 타겟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최우선으로 해서 차단 대상의 부가 기능을 오프 상태로 전환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타겟 기능이 '영상 품질 강화 기능'을 유지한 채 영상 촬영을 하는 것이고, 예정 시간이 최소한 '2 주일'로 정해져 있는 경우이면, 현 시점의 메인 장치(200)의 배터리 용량이 25% 이어서 미리 정해진 차단 대상의 부가 기능 리스트에 따라 '움직임 감지 기능' 및 '소리 감지 기능'을 오프 상태로 전환하고, 메인 장치(200)의 배터리 용량이 15% 인 경우에 차단 대상이 되는 '오디오 출력 기능'은 온 상태로 유지하여야 함에도 불구하고, 타겟 기능으로 설정된 '영상 품질 강화 기능'을 예정 시간 동안 유지하기 위하여 '오디오 출력 기능'을 메인 장치(200)의 배터리 용량이 25%인 시점에서 미리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배터리 관리장치의 동작 과정을 일 실시 예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배터리 관리장치(100)는 배터리 관리를 위한 사용자 입력을 받는다(S1).
S1 단계의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배터리 관리장치(100)는 메인 장치(200)의 배터리의 잔량 레벨별 차단 대상의 부가 기능을 설정한다(S3).
이후, 배터리 관리장치(100)는 S3 단계까지 차단 대상의 부가 기능에 대한 설정을 완료한 경우 배터리 관리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S5).
S5 단계에 이르러 배터리 관리 모드가 실행되는 경우, 배터리 관리장치(100)는 배터리(210)의 잔량 레벨에 대한 측정 과정을 거쳐 제공된 정보를 기초로 배터리(210)의 잔량 레벨을 결정한다(S7 내지 S9).
S9 단계에서 결정된 배터리(210)의 잔량 레벨과 대응해서 메인 장치(200)에 대해 미리 정해져 있는 차단 대상의 부가 기능을 특정하고(S11), 배터리 관리장치(100)는 S11 단계에서 특정된 차단 대상의 부가 기능을 오프 상태로 제어한다(S13).
이후, 배터리 방전이 되지 않는 한 위 단계들을 반복한다(S15).
이후, 배터리 소모가 아닌 배터리 충전이 있는 경우(S17), S17 단계의 배터리 충전에 의해 변동된 배터리(210)의 잔량 레벨을 측정한 정보를 기초로 배터리(210)의 잔량 레벨을 결정한다(S19 내지 S21).
S21 단계에서 결정된 배터리의 잔량 레벨에 대응하여, 이전에 차단 대상의 부가 기능 중에서 배터리 충전에 따른 개방 대상의 부가 기능을 특정하고(S23), 배터리 관리장치(100)는 S23 단계에서 특정된 개방 대상의 부가 기능을 온 상태로 제어한다(S25).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메인 장치의 배터리 잔량에 따라 부가 기능을 오프 상태로 전환하여 배터리의 용량을 관리하는 배터리 관리장치에 관한 것임에 따라,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0: 배터리 관리장치 110: 제어 모듈
120: 입력 모듈 200: 메인 장치
210: 배터리 220: 배터리 잔량 측정부

Claims (6)

  1. 메인 장치에 구비된 배터리를 관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잔량 레벨을 결정하고, 결정된 배터리의 잔량 레벨과 대응해서 상기 메인 장치에 대해 미리 정해져 있는 차단 대상의 부가 기능을 특정하며, 특정된 차단 대상의 부가 기능을 오프 상태로 전환하는 제어 모듈; 및
    사용자 입력을 통해 상기 차단 대상의 부가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입력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관리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결정된 배터리의 잔량 레벨과 대응하여 차단 대상의 부가 기능 리스트 중에서 우선 순위가 낮은 차단 대상의 부가 기능부터 순차적으로 오프 전환하는 배터리 관리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모듈은 상기 메인 장치의 설치 환경 및 타겟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거나, 상기 차단 대상의 부가 기능을 직접 선택하는 배터리 관리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메인 장치의 설치 환경 및 타겟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경우, 우선순위별로 구분된 차단 대상의 부가 기능 리스트를 자동 설정하는 배터리 관리장치.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차단 대상의 부가 기능을 직접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차단 대상의 부가 기능과 필수 연동하는 다른 부가 기능이 존재하면 관련 안내 메시지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는 수단으로 출력 제어하는 배터리 관리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메인 장치의 타겟 기능을 존속하기 위한 예정 시간이 정해져 있는 경우, 상기 결정된 배터리의 잔량 레벨을 기초로 상기 예정 시간 동안 상기 타겟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최우선으로 해서 상기 차단 대상의 부가 기능을 오프 상태로 전환하는 배터리 관리장치.




KR1020140165292A 2014-11-25 2014-11-25 배터리 관리장치 KR201600624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5292A KR20160062493A (ko) 2014-11-25 2014-11-25 배터리 관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5292A KR20160062493A (ko) 2014-11-25 2014-11-25 배터리 관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2493A true KR20160062493A (ko) 2016-06-02

Family

ID=56135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5292A KR20160062493A (ko) 2014-11-25 2014-11-25 배터리 관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6249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66729A1 (ko) * 2016-10-06 2018-04-12 주식회사 피엠그로우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8493A (ko) 2002-12-03 2004-06-10 주식회사 컴퓨터프로덕션 무선 카메라의 배터리 용량 자동 체크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8493A (ko) 2002-12-03 2004-06-10 주식회사 컴퓨터프로덕션 무선 카메라의 배터리 용량 자동 체크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66729A1 (ko) * 2016-10-06 2018-04-12 주식회사 피엠그로우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52901B2 (ja) 電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8791670B2 (en) Batter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of dynamically allocating charging current
CN103677214B (zh) 用于移动终端的耗电控制方法、装置以及移动终端
JP2020501482A (ja) 無線バッテリー管理システム及びこれを含むバッテリーパック
EP3099017B1 (en) A method and a device for controlling a smart home power supply
US20190006853A1 (en)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for power management
CN114977343A (zh) 一种充电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2736970A (zh) 光伏系统动态重构方法及装置、系统和电子设备
JP6257336B2 (ja) 撮像装置及び撮像装置の制御方法
CN105323643A (zh) 一种实现电视通道和电视应用快速切换的控制装置
CN105323638A (zh) 一种电视机的信号源端口监测方法及装置
KR20160062493A (ko) 배터리 관리장치
CN104219453A (zh) 一种相机模组的镜头控制方法和终端
CN104165436A (zh) 空调器运行参数调整方法和系统
CN105338260A (zh) 信号源切换方法和系统
US11513309B2 (en) Lens apparatus, imaging apparatus, and accessory
US9606613B2 (en) System and method for shifting image display apparatus to energy-saving state based on result of detection of data input and operation on the image display apparatus within a predetermined time period
JP2007110667A (ja) デジタルマルチメディア放送端末において、プリセットされたスリープモードの実行を一時中断する方法
TW201437845A (zh) 一種綁定配對方法、控制系統及設備
CN105468124A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CN105511428A (zh) 实现智能设备状态实时变化的方法和智能设备
US10218891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for the same, and storage medium for priority image transfer
US20210168440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projector
KR102566857B1 (ko)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디바이스 전력 최적화
US20220247198A1 (en) Charging method and device, and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