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2455A - Mobile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Mobile display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62455A KR20160062455A KR1020140165206A KR20140165206A KR20160062455A KR 20160062455 A KR20160062455 A KR 20160062455A KR 1020140165206 A KR1020140165206 A KR 1020140165206A KR 20140165206 A KR20140165206 A KR 20140165206A KR 20160062455 A KR20160062455 A KR 2016006245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splay device
- portable display
- magnet
- case
- uni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62—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ed keyboard
- G06F1/1669—Detachable keyboard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휴대의 편의성과 사용의 편리성을 제고한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display device that improves portability and ease of use.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외부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외부장치와 연결은 유선 케이블을 이용할 수도 있으나, 블루투스 와이파이 등의 데이터 통신을 통해 외부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The display device may receive information from the outside and output an image through the display unit. The external device can be connected with a wired cable, but it can receive external data through data communication such as Bluetooth WiFi.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부를 전면에 구비하며, 최근에는 디스플레이부 이외의 구성은 최소화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크기는 디스플레이 크기와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다. The display device has a display portion on the front side. In recent years, the configuration other than the display portion is minimized, and the size of the display device is not greatly different from the display size.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예로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넷북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주로 거치형태보다 휴대용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휴대의 편의성,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시 편리성, 배터리의 지속 사용가능성 등에 대한 고려가 되고 있다. Examples of display devices include mobile phones, smart phones, tablet PCs, notebooks, and netbooks. The display device is mainly used as a portable device rather than a stand-alone type, and consideration has been given to convenience of carrying, convenience of use without regard to a place, possibility of continuous use of the battery, and the like.
휴대성을 위해서는 크기를 최소화해야하므로, 일반적인 거치형 디바이스에 실장되는 냉각팬이 생략되며, 크기를 최소화하기 위해 자판을 생략하고 디스플레이부에 터치센서를 부가하여 터치입력 방식을 채택하는 경우가 많다. In order to minimize portability, a cooling fan mounted on a general stationary device is omitted. In order to minimize the size, a keyboard is omitted and a touch sensor is added to a display unit to adopt a touch input method.
또한, 사용의 편의성을 위해 어디에서나 거치하고 사용할 수 있는 지지 구조가 필요하며, 또한 배터리를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대용량 배터리에 대한 연구가 되고 있다.Also, for convenience of use, a supporting structure that can be used anywhere is required, and a large capacity battery is being studied so that the battery can be continuously used.
본 발명은 휴대의 편의성과 사용의 편리성을 제고하기 위해 내부에 배터리 배치를 개선하여 공간활용도를 높임으로서 크기를 늘리지 않고 배터리 용량을 최대화할 수 있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rtable display device capable of maximizing the capacity of a battery without increasing its size by improving the arrangement of batteries therein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carrying and convenience of use.
전면에 디스플레이부가 위치하는 프론트 케이스; 상기 프론트 케이스의 배면에 결합하여 전장부를 형성하는 리어 케이스; 상기 전장부에 배치되는 미들 프레임; 제1 극이 전면을 향하도록 상기 미들 프레임의 전면에 배치되는 전면 자석; 및 제1 극이 배면을 향하도록 상기 미들 프레임의 배면에 배치되는 후면 자석을 포함하며, 전면에서 바라본 상기 전면 자석의 위치와 배면에서 바라본 상기 후면 자석의 위치가 동일한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A front case having a display part on a front surface thereof; A rear case coupled to a rear surface of the front case to form a full length portion; A middle frame disposed in the front portion; A front magnet disposed on a front surface of the middle frame such that a first pole faces the front surface; And a rear magnet disposed on a rear surface of the middle frame such that the first pole faces the rear surface, wherein a position of the front magnet viewed from the front side and a position of the rear magnet viewed from the rear surface are the same.
상기 프론트 케이스 또는 상기 리어 케이스의 크기에 상응하는 키보드 케이스; 상기 키보드 케이스의 전면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키; 및 상기 제1 극과 반대 극인 제2 극이 상기 키보드 케이스의 전면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키보드 자석을 더 포함하고, 상기 키보드 케이스의 전면이 상기 프론트 케이스를 향하도록 배치하면 상기 전면 자석과 상기 키보드 자석이 자력에 의해 결합하고, 상기 키보드 케이스의 전면이 상기 리어 케이스를 향하도록 배치하면 상기 후면 자석과 상기 키보드 자석이 자력에 의해 결합할 수 있다. A keyboard case corresponding to a size of the front case or the rear case; A plurality of keys located on a front surface of the keyboard case; And a keyboard magnet disposed so that a second pole opposite to the first pole faces a front surface of the keyboard case. When the front surface of the keyboard case is disposed to face the front case, the front magnet and the keyboard magnet And when the front surface of the keyboard case is disposed to face the rear case, the rear magnet and the keyboard magnet can be coupled by the magnetic force.
상기 전면 자석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둘레에 복수개 위치하고, 상기 복수개의 전면자석은 상기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가운데를 중심으로 점대칭이 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후면 자석은 상기 전면 자석의 위치에 상응하는 위치에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Wherein the plurality of front magnets are arranged so as to be point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portable display device, and a plurality of rear magnets are arrang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s of the front magnets .
상기 전면 자석은 상기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전면의 상부 중간에 배치되는 제1 전면 자석과, 전면의 하부 중간에 배치되는 제2 전면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ront magnet may include a first front magnet disposed at an upper middle portion of the front surface of the portable display device, and a second front magnet disposed at a lower middle portion of the front surface.
상기 전면 자석은 상기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4개 모서리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The front magnets may be positioned at four corners of the portable display device, respectively.
상기 전면 자석 및 상기 후면 자석은 네오디뮴자석을 이용할 수 있다. The front magnet and the rear magnet may use neodymium magnets.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별도의 거치장치를 추가적으로 휴대할 필요 없이 어디에서나 손쉽게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rtable display device can be easily mounted anywhere without needing to carry a separate mounting device.
또한, 키보드 유닛을 선택적으로 휴대할 수 있으며, 휴대시 본체와 결합하여 휴대의 편의성을 높임과 동시에 키보드 유닛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를 보호할 수 있다. 키보드 유닛을 사용하지 않고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경우 키보드 유닛을 본체 배면에 결합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keyboard unit can be carried selectively, and the portable unit can be combined with the main body during portability to enhance the convenience of carrying, and at the same time, the display unit can be protected using the keyboard unit. When the portable display device is used without using the keyboard unit, the keyboard unit can be coupl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main body, thereb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use.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공용 배터리를 이용할 수 있어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크기를 늘리지 않고도 배터리 용량을 늘릴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lso, the display device can use a common battery, which can reduce manufacturing cost, and can increase the battery capacity without increasing the size of the display device.
또한, 메인기판의 구동칩에서 발생한 열을 손쉽게 방열하여 열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고 사용성을 제고할 수 있다. In addition, heat generated in the driving chip of the main substrate can easily be dissipated, thereby preventing breakage due to heat and enhancing usability.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Further scope of applicabi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specific examples, such as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re given by way of illustration only, since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거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힌지 부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본체 케이스와 키보드 케이스의 결합방법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본체 케이스에 배치된 자석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배터리와 메인기판의 배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과 비교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메인기판으로 부터 열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메인기판의 일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리어 케이스 내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portable display device associated with the present invention. 1,
2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display devic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display device associated with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display device associated with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side view showing a mounted state of a port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hinge portion of a portable display devic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various embodiments of a method of combining a main body case and a keyboard case of a port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various embodiments of magnets disposed in a body case of a portable display devic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of a battery and a main board of a port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n exemplary diagram for comparison with FIG.
12 is a view showing a flow of heat from a main substrate of a port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view showing one surface of a main substrate of a port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view showing the inner surface of the rear case of the portable display devic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signate identical or similar element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uffix "module" and " par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their own meaning or rol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arts will be omitt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may be blurre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s claimed. , ≪ / RTI >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including ordinal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to thes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display devic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센싱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The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와 다른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 사이, 또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The
센싱부(140)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내 정보,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The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팁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The
인터페이스부(160)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The
또한, 메모리(170)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The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operations associated with the application program, the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와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The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At least some of the components may operate in cooperation with each other to implement a method of operation, control, or control of a portable display device in accordance with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addition, the method of operation, control, or control of the portable display device may be implemented on a portable display device by driving at least one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전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배면 사시도이다. 영상은 일반적으로 직사각형의 프레임 안에서 제공되므로, 직사각형의 디스플레이부(151)를 갖고 직사각형의 디스플레이부(151) 형상에 상응한 직사각형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제공할 수 있다. FIG. 2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여기에서 본체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적어도 하나의 집합체로 보아 이를 지칭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예를 들면 프레임,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Wherein the body can be understood as a concept that refers to this as at least one collection of
일체형 바디인 유니바디 형태의 케이스도 가능하나, 일반적으로는 전면 외관을 구성하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후면 외관을 구성하는 리어 케이스(102)로 구성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배치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미들 케이스(103)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A uni-body case, which is an integral body, is also possible, but it can be generally composed of a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 본체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151)가 배치되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의 윈도우는 프론트 케이스(101)에 장착되어 프론트 케이스(101)와 함께 단말기 본체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A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 본체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151)가 배치되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의 윈도우는 프론트 케이스(101)에 장착되어 프론트 케이스(101)와 함께 본체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A
이러한 케이스들(101, 102)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알루미늄(Al), 티타늄(Ti)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se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복수의 케이스(101, 102)가 각종 전자부품들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마련하는 위의 예와 달리, 하나의 케이스가 상기 내부 공간을 마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합성수지 또는 금속이 측면에서 후면으로 이어지는 유니 바디의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가 구현될 수 있다.The
한편,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단말기 본체 내부로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하는 방수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수부는 윈도우(151a)와 프론트 케이스(101) 사이,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 또는 리어 케이스(102)와 후면 커버(103) 사이에 구비되어, 이들의 결합 시 내부 공간을 밀폐하는 방수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152), 근접 센서(141), 조도 센서(142), 광 출력부(154), 제1 및 제2 카메라(121a, 121b), 마이크로폰(122), 인터페이스부(160) 등이 구비될 수 있다.The
디스플레이부(151)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The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방식에 의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터치센서는 상기 터치를 감지하고, 제어부(180)는 이에 근거하여 상기 터치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 방식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문자 또는 숫자이거나, 각종 모드에서의 지시 또는 지정 가능한 메뉴항목 등일 수 있다.The
한편, 터치센서는, 터치패턴을 구비하는 필름 형태로 구성되어 윈도우(151a)와 윈도우(151a)의 배면 상의 디스플레이(미도시) 사이에 배치되거나, 윈도우(151a)의 배면에 직접 패터닝되는 메탈 와이어가 될 수도 있다. 또는,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의 기판 상에 배치되거나, 디스플레이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The touch sensor may be a film having a touch pattern and disposed between the window 151a and a display (not shown) on the rear surface of the window 151a, or may be a metal wire . Alternatively, the touch sensor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display. For example, the touch sensor may be disposed on a substrate of the display or inside the display.
이처럼,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센서와 함께 터치 스크린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 입력부(123, 도 1a 참조)로 기능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음향 출력부(152)는 각종 알람음이나 멀티미디어의 재생음을 출력하는 라우드 스피커(loud 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음향 출력부(152)를 이용하지 않고 외부 출력장치를 이용하기 위해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와 외부 출력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이어잭(15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광 출력부(154)는 이벤트의 발생시 이를 알리기 위한 빛을 출력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을 들 수 있다.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이벤트 확인이 감지되면, 빛의 출력이 종료되도록 광 출력부(154)를 제어할 수 있다.The
제1 카메라(121a)는 촬영 모드 또는 화상통화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으며,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The
마이크로폰(122)은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도록 이루어진다. 마이크로폰(122)은 복수의 개소에 구비되어 스테레오 음향을 입력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인터페이스부(160)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외부기기와 연결시킬 수 있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60)는 다른 장치(예를 들어, 이어폰, 외장 스피커)와의 연결을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 등], 또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단자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소켓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The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후면에는 제2카메라(121b)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카메라(121b)는 제1 카메라(121a)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게 된다.And a
제2카메라(121b)는 적어도 하나의 라인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렌즈는 행렬(matrix) 형식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이러한 카메라는, 어레이 카메라로 명명될 수 있다. 제2 카메라(121b)가 어레이 카메라로 구성되는 경우, 복수의 렌즈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영상을 촬영할 수 있으며, 보다 나은 품질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The
플래시(124)는 제2카메라(121b)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플래시(124)는 제2카메라(121b)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하여 빛을 비추게 된다.The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는 무선 통신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구비될 수 있다. 안테나는 단말기 본체에 내장되거나, 케이스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 수신 모듈(111, 도 1a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는 단말기 본체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안테나는 필름 타입으로 형성되어 리어 케이스(112)의 내측면에 부착될 수도 있고, 도전성 재질을 포함하는 케이스가 안테나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The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190, 도 1a 참조)가 구비된다. 전원 공급부(190)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본체의 외부에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배터리(191)를 포함할 수 있다.The
배터리(191)는 별도의 전원 연결 포트(193)을 구비할 수도 있고, 인터페이스부(160)에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을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91)는 무선충전기기를 통하여 무선충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무선충전은 자기유도방식 또는 공진방식(자기공명방식)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The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배면에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거치하기 위한 스탠드(10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탠드(105)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하단에서 힌지를 통해 결합하여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펼쳐져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지지하여 사용자가 손으로 잡지 않고도 책상 등에 거치한 채로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이용할 수 있다. The back surface of the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는 외관을 보호하거나,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기능을 보조 또는 확장시키는 액세서리가 추가될 수 있다. 이러한 액세서리의 일 예로,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적어도 일면을 덮거나 수용하는 커버 또는 파우치를 들 수 있다. 커버 또는 파우치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연동되어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기능을 확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면에는 키보드를 구비하고, 배면은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외관을 보호하는 키보드 커버를 들 수 있다. The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부(151)가 전면에 결합된 프론트 케이스(101),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배면에 위치하는 배터리(191), 배터리(191)의 배면에 위치하는 미들 프레임(104), 미들 프레임(104)의 배면에 결합하는 메인기판(185) 그리고 배면을 커버하는 리어 케이스(102)로 구성된다.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프론트 케이스(101)에 결합한 디스플레이부(151)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함께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전면을 구성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둘레에 신호선이 배치되며, 상기 신호선이 사용자에게 노출되지 않도록 디스플레이 둘레부분을 커버하는 베젤을 구비한다. 상기 베젤은 프론트 케이스(101)가 디스플레이부(151)의 둘레를 커버하거나, 디스플레이부(151)의 전면에 결합하는 윈도우의 배면 둘레에 인쇄하여 구성할 수 있다. The
디스플레이부(151)의 단부에는 디스플레이부(151)에 영상정보에 따라 각 픽셀을 구동시키기 위한 디스플레이 기판(1511)이 위치한다. 디스플레이 기판(1511)은 4개의 변 또는 2개의 변에 각각 구비될 수 있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1개만 구비하여 디스플레이부(151)의 일측에만 연결될 수 있다. At the end of the
디스플레이부(151)와 디스플레이 기판(1511)은 플렉서블 기판을 통해 연결되며, 디스플레이 기판(1511)과 메인기판(185) 사이의 연결도 플렉서블 기판(1513, 도 10 참조)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메인기판(185)의 제어에 따라 디스플레이 기판(1511)은 디스플레이부(151)의 각 픽셀를 선택적으로 구동하여 영상을 구현한다. The
다음으로 디스플레이부(151) 배면에 위치하는 배터리(191)는 전장부에서 가장 많은 영역을 차지한다. 특히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가 멀티미디어 장치로서 기능이 확대됨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의 사용시간이 길어지고 배터리(191) 소모량이 많아져 배터리 사용 시간이 단축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대용량의 배터리(191)를 이용하거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 이상의 배터리(191)를 이용할 수 있다. Next, the
배터리(191)의 배면에 위치하는 미들 프레임(104)은 디스플레이부(151)의 배면을 지지하며,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 강성을 부가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강성을 위해 마그네슘과 같이 강성이 있는 금속소재를 포함하며, 실장되는 부품의 형상에 맞추어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금속으로 구현하기 어려운 미세한 요철이 필요한 부분은, 마그네슘 프레임을 주형에 넣고 사출물을 주입하여 이중사출 방식으로 부분적으로 사출 프레임을 부가할 수도 있다. The
무게를 줄이기 위해 미들 프레임(104)에 분적으로 개구부(104')를 형성할 수 있으며,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두께를 줄이기 위해 두께가 두꺼운 부품(예를 들면 배터리(191))이 실장되는 부분은 부분적으로 미들 프레임(104)이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미들 프레임(104)의 전면에 실장되는 디스플레이부(151) 및 배터리(191)와 미들 프레임(104)의 배면에 실장되는 메인기판(185) 사이의 접속을 위해 미들 프레임(104)에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An opening 104 'may be formed in the
미들 프레임(104)의 배면에 위치하는 메인기판(185)은 두께가 두꺼워 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배터리(191)와 중첩되지 않게 배치된다. 메인기판(185)에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구동하는 구동칩(186)이 실장된다.The
상기 구동칩(186)은 디스플레이부(151), 카메라(121), 음향출력부(152) 등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각 부품을 제어하고 및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연산을 담당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공급된 전원을 각 부품에 분배하는 전원 분배칩 등 다양한 아이씨(IC)가 포함된다. 아이씨(IC)는 회로가 집적된 장치로서, 외부 충격에 취약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칩(186)을 커버하는 쉴드캔(18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메인기판(185)에는 카메라(121),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인터페이스부(160), 전원이 입력되는 전원 입력부(193), 음향 출력부(152), 이어잭 플러그(152') 등이 실장되거나, 이격되어 실장되는 경우 케이블이나, 플렉서블 기판으로 연결되어 메인기판(185)의 제어를 받는다. The
메인기판(185)의 배면을 커버하며 프론트 케이스(101) 또는 미들 프레임(104)과 결합하는 리어 케이스(102)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후면 외관을 형성하며, 일반적으로 프론트 케이스(101)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리어 케이스는 분리되지 않도록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탈착 가능한 구조로 형성할 수도 있다. The
본 발명의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배면에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거치하기 위한 스탠드(10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The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거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본체(100')를 지지하는 스탠드(105)를 포함한다. 상기 스탠드(105)의 일단(105a, 도면 상으로 하단)은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배면 일측 단부에 힌지결합하며, 휴대시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배면에 붙어있도록 접을 수 있다. Fig. 5 is a view showing a mounted state of the
책상에 거치하여 사용할 때에는 도 5와 같이 스탠드(105)를 회전하여 본체(100')와 L자 형상을 이루며 펼쳐질 수 있다. 5, the
상기 힌지(1051)는 사용자가 일정 크기 이상의 힘을 주어야 회전이 가능하며,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무게에 의한 힘에 의해서는 접히지 않고 각도를 유지할 수 있다. The
도 3에는 상기 스탠드(105)가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장변(長邊)에 힌지결합하고, 단변(短邊)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를 도시하고 있으나, 단변에 힌지결합하고 장변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일 수도 있다. 또는 스탠드(105)를 복수 개를 구비하여 다양한 방향으로 거치할 수 있다. 3, the
무게중심보다 스탠드(105)의 길이가 짧으면 스탠드(105)를 펴서 본체(100')를 지지하는 힘이 충분하지 않아,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51)의 상단 부분을 터치하면 뒤로 넘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스탠드(105)의 타단은 상기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무게중심보다 위쪽에 위치시켜 상기 문제를 해결한다.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무게가 특정 부위에 치우치지 않고 비교적 균일하다고 할 때, 스탠드(105)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길이의 1/2 보다 길다. If the length of the
상기 스탠드(105)는 리어 케이스(102)의 배면에 결합할 수 있으나, 스탠드(105)와 리어 케이스(102)가 중첩되면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문제가 있다. The
따라서, 스탠드(105) 부분의 두께 증가를 막기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탠드(105)를 미들 프레임(104)에 힌지결합하고, 리어 케이스(102)에 스탠드(105)의 형상에 상응하는 개구부(102')를 형성하여 상기 개구부(102')를 통해 스탠드(105)가 노출되도록 배치할 수 있다. 4, the
리어 케이스(102)의 두께와 스탠드(105)의 두께를 동일하게 하거나, 스탠드(105)가 위치하는 부분의 미들 프레임의 두께를 얇게 하면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배면에 스탠드(105) 부분이 돌출되지 않고 리어 케이스(102)와 동일한 평면을 구성할 수 있다. When the thickness of the
스탠드(105)의 타단(105b)을 잡아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배면 방향으로 당겨 스탠드(105)를 펼 수 있다. 이때, 스탠드(105)의 타단(105b)이 리어 케이스(102)가 동일 평면에 위치하면 스탠드(105)의 타단(105b)을 사용자가 잡기 어려우므로 리어 케이스(102)의 개구부(102')를 스탠드(105)의 타단(105b) 부분에서 조금더 크게 연장(102")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연장된 개구부(102")에 손가락을 넣어 스탠드(105)를 펼 수 있다. The user can hold the other end 105b of the
회전제한 각도에 이르면 더 이상 회전하지 않고 고정되며, 더 이상 회전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표시하는 표식(1052)이 힌지(1051)에 나타날 수 있다. When the rotation limit angle is reached, a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힌지(1051) 부분의 분해 사시도이다.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힌지(1051)가 스탠드 일단의 양 단부에 각각 위치하며, 각 힌지(1051)는 미들 프레임(104)에 고정되고, 상기 스탠드의 일단은 힌지(1051)의 축에 삽입되어 회전한다. 반대로, 힌지(1051)가 스탠드에 결합하고 미들 프레임(104)이 힌지(1051) 축에 결합하여 본체(100')가 힌지(1051)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도 있다. Each of the
도 6은 전자의 경우를 도시하고 있는 바, 전자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미들 프레임(104)에서 힌지(1051)가 위치하는 부분(1043)은 개구부를 형성하거나, 리세스시켜 힌지(1051)의 두께에 의해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두께가 두꺼워 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Fig. 6 shows the case of the former, which will be described on the basis of the former embodiment. The
힌지(1051)는 본체(100')와 스탠드(105)의 각도가 벌어진 채로 유지되도록 본체(100')의 무게 이상의 힘이 가해져야 회전 되도록 회전 장력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회전 각도 제한을 나타내는 표식(1052)는 힌지(1051)에 표시되어 있으며, 스탠드(105)가 펼쳐지면 노출되고 접혀진 상태에서는 가려진다.The rotation tension can be set so that the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비스듬하게 거치하여 사용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되는 터치 키패드를 이용한 입력이 불편하며, 터치입력보다 물리적인 키를 이용한 입력이 오타를 줄일 수 있다. 그러나 노트북과 같이 별도의 키패드를 구비하면 휴대시 이용하거나, 동영상이나 문서를 보는 등 키를 이용한 입력이 많지 않은 경우에 불편한 문제가 있다. As shown in FIG. 5, when the
따라서, 본 발명의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본체(100')와 분리가능한 키보드 유닛(13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키보드 유닛(130)은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크기에 상응하는 크기의 키보드 케이스(131)와 상기 키보드 케이스(131)의 전면에 실장되는 복수개의 키(132)를 포함한다. 키(132) 이외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패드(133)를 구비하여 마우스 기능을 부가할 수 있다. The
키보드 유닛(130)은 상기 본체(100')와 케이블 또는 블루투스로 연결하여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기능을 확장할 수 있다. 이때, 키보드 유닛(130)을 별도로 가지고 다니면 휴대에 불편함이 있는바, 상기 키보드 유닛(130)을 본체(100')에 결합하여 일체형으로 휴대할 수 있다. The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본체(100')와 키보드 유닛(130)의 결합방법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의 (a)와 같이 키보드 유닛(130)의 전면의 키(132)와 본체(100')의 디스플레이부(151)가 마주보도록 겹쳐서 결합하여 디스플레이부(151)를 보호하면서 키보드 유닛(130)을 본체(100')와 같이 휴대하기 용이하다.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various embodiments of a method of combining the main body 100 'and the
또한 도 7의 (b)와 같이 키보드 유닛(130)을 180°회전한 상태에서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와 결합할 수 있고 영화감상을 하거나 지하철과 같은 이동 중에 사용하기 위해 본체(100')의 배면을 커버하도록 키보드 유닛(130)을 결합할 수 있다. 7 (b), the
키보드 유닛(130)과 본체(100')는 자석(109, 139)을 이용해 결합할 수 있다. 일측에 자석을 구비하고 타측은 금속물질을 포함하는 경우 결합할 수 있으나, 이 방식은 양측에 모두 자석을 구비한 경우보다 결합력이 떨어진다. 따라서 본체(100')에 본체 자석(109)을 구비하고, 상기 본체 자석(109)에 대응하는 위치에 본체 자석(109)과 반대의 극을 갖는 키보드 자석(139)을 키보드 유닛(130)에 구비할 수 있다. The
예를 들어 본체 자석(109)의 N극이 본체(100')의 외측을 향하도록 본체(100')에 배치되면, 키보드 자석(139)은 S극이 키보드 유닛(130)의 키(132)를 구비한 전면을 향해 배치된다. 도 8을 참고하면, 본체(100')의 4개 모서리 부근에 본체 자석(109)이 구비된 실시예로서, 본체(100')의 4개 모서리 전면에 N극(혹은 S극)이 전면을 향하도록 본체 자석(109)이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와 키보드 유닛(130)의 전면이 대향할 때 상기 자석과 마주보는 위치에 상기 본체 자석(109)과 반대극인 S극(혹은 N극)이 전면을 향하도록 키보드 자석(139)이 키보드 유닛(130)에 구비될 수 있다. When the N pole of the main body magnet 109 is disposed on the main body 100 'so as to face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0', the S pole of the
4개의 모서리 부근에 배치된 자석은 본체(100')의 가운데를 중심으로 점대칭으로 배치되어 도 7의 (b)와 같이 키보드 유닛(130) 또는 본체(100') 중 하나가 180°회전한 상태에서도 서로 결합될 수 있다. The magnets disposed in the vicinity of the four corners are arranged point-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main body 100 'so that one of the
본체 자석(109) 및 키보드 자석(139)이 점대칭으로 The main body magnet 109 and the
도 7의 (c)와 같이 결합하기 위해서는 본체 자석(109)은 본체(100')의 전면뿐만 아니라 배면을 향하여 전면과 동일하게 자석이 배치된다. 이때 키보드 유닛(130)의 자석은 S극(혹은 N극)이 전면을 향하므로 배면을 향하는 본체 자석(109)은 N극(혹은 S극)이 배면을 향하도록 배치해야한다. 이때, 전면에 배치된 본체 자석(109)과 배면에 배치된 본체 자석(109)이 서로 반발하게 되므로, 서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전면에 인접하게 배면에 인접하게 배치한다. 7 (c), the magnets are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as well as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magnet 100'. At this time, the magnet of the
또한, 전면의 본체 자석(109)과 배면의 본체 자석(109) 사이에 마그네슘을 포함하는 미들 프레임(104)이 위치하는 바, 미들 프레임(104)에 의해 전면과 후면에 위치하는 자석의 자력이 상쇄될 수 있다. The
상하 좌우 전면과 후면에 관계없이 도 7과 같은 태양으로 결합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본체 자석(109) 및 키보드 자석(139)은 본체(100') 또는 키보드 유닛(130)의 가운데를 중심으로 점대칭으로 배치되어야 한다.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본체(100') 케이스에 배치된 자석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투시도이다. 7, the main body magnet 109 and the
도 9의 (a)와 같이 상하 중앙 부분에 위치하거나, (b)와 같이 좌우의 중앙 부분 더 위치시켜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또는 (c)와 같이 상부는 오른쪽에 치우치도록 배치되고 하부는 왼쪽에 치우치도록 배치되어 2개의 본체 자석(109)을 연결하면 사선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좌우는 바뀔 수 있다. As shown in FIG. 9 (a), the upper and lower central portions may be positioned, or the left and right central portions may be positioned as shown in FIG. 9 (b). Alternatively, as shown in (c), the upper portion may be disposed to be shifted to the right, and the lower portion may be disposed to be shifted to the left, so that the two main magnets 109 may be arranged diagonally to each other.
이 경우 배면의 본체 자석(109)은 배면에서 바라볼 때 상부는 우측에 하부는 좌측에 배치되므로 배면의 본체 자석(109)과 전면의 본체 자석(109)이 중첩되지 않게 배치되는 장점이 있다. In this case, since the main body magnet 109 on the rear surface is disposed on the right side and the lower side on the left side when viewed from the rear sid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main body magnet 109 on the rear side and the main body magnet 109 on the front side are arranged so as not to overlap with each other.
도 10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배터리(191)의 배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배터리(191)와 메인기판(185)의 위치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미들 프레임(104)은 생략하였다. 배터리(191)는 L자 형상의 제1 영역(A)에 배치되고 메인기판(185)은 두께 증가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배터리(191)와 중첩되지 않게 제2 영역(B)에 배치한다.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크기가 커지더라도 디스플레이부(151)와 배터리(191)의 크기 이외에 메인기판(185), 카메라(121) 등 다른 부품의 크기는 크게 차이 나지 않는다. 10 is a diagram showing the arrangement of the
한편, 디스플레이부(151)가 커지면 전력소모가 커지는 바, 배터리(191)의 크기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크기가 커지면 더 커질 필요가 있다. 배터리(191)는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으로 제조되며, 형상을 직사각형으로 제한하는 경우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공간 활용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size of the
배터리(191)의 형상을 직사각형 이외의 형상으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구조적인 변경이 필요하여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복수개의 배터리(191)를 이용하여 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2개의 배터리(191a, 191b)를 이용하되 하나는 장변이 상하방향을 향하고(191a) 다른 배터리(191)는 장변이 좌우방향을 향하도록(191b) 배치하여 전체 배터리가 차지하는 제1 영역(A)이 L자 형이 되도록 배터리(191a, 191b)를 배치할 수 있다. In order to realize the shape of the
2 개의 배터리(191a, 191b)를 배치하는 데 있어서, L자 형으로 배치하면 메인기판(185)이 위치하는 공간의 크기를 제한된 공간 내에서 최대로 제공할 수 있다. 도 11은 두 개의 배터리(191a, 191b)를 같은 방향으로 배치한 경우 본원 발명과 비교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When the two
도 11의 (a)와 같이 배터리(191a, 191b)의 장변이 서로 인접하도록 배치하면, 메인기판(85)이 배터리(191)와 나란히 배치되어야 하므로, 메인기판(85)이 배치될 공간의 좁아지는 문제가 있다. 11A, when the long sides of the
반대로 메인기판(185)의 실장공간인 제2 영역(B) 확보를 위해 도 11의 (b)와 같이 배터리(191a, 191b)의 단변이 서로 인접하도록 배치하는 경우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가로 길이가 길어지는 문제가 있다. On the contrary, when the short sides of the
이에 반해 본 발명은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크기를 증가시키지 않고 전장부의 공간 활용도를 최대로 높이기 위해 L자 형태로 배터리(191)를 배치한다. 배터리(191)의 접속단자(192)와 연결되는 배터리 기판(195)은 메인기판(185)과 케이블(196)을 통해 접속하여 배터리(191)의 전원을 메인기판(185)으로 전달하고, 전원 포트(193)을 통해 인가받은 외부전원은 메인기판(185)을 통해 배터리(191)에 저장할 수 있다. In contrast, the present invention disposes the
배터리(191)와 메인기판(185)을 연결하는 배터리 기판(195)은 2개의 배터리(191a, 191b)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다만, 접속단자(192)는 배터리(191)의 내부 구조상 배터리(191)의 단변 쪽에 위치하기 때문에 L자형으로 배치하는 경우 장변이 세로로 배치된 배터리(191a)의 접속단자(192)는 플렉서블 기판(194)을 통해 배터리 기판(195)과 연결할 수 있다. The
배터리(191)가 L자로 배치되는 경우 메인기판(185)은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일측 모서리 부분에 위치한다.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측면과 인접한 부분에 인터페이스(160), 전원 포트(193)와 같은 외부 장치와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가 배치되므로, 메인기판은 케이스(101, 102)의 측면과 인접하여 배치된다.When the
한편,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기판(1511)은 디스플레이부(151)의 일측과 플렉서블 기판(188)을 통해 연결되어 디스플레이부(151)의 배면으로 접혀져 배치된다. 즉, 디스플레이 기판(1515)은 전장부의 일측에 치우쳐서 배치되야 하므로 상기 메인기판(185)과 이격되어 다른 측의 외각에 배치된다. A display substrate 1511 for controlling the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격되어 배치된 메인기판(185)과 디스플레이 기판(1515)은 배터리(191)를 가로질러 플렉서블 기판(188)으로 연결할 수 있다. The
도 12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메인기판(185)으로부터 발생한 열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메인기판(185)에 실장된 구동칩(186)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가 구동시 열을 발생한다. 지속적으로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사용하거나 대용량의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경우 구동칩(186)에서 발생하는 열이 40℃ 이상으로 올라갈 수 있다. 이 때 사용자가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잡고 사용하기 어려우며, 열에 의해 구동칩(186) 및 부품이 파손될 위험이 있다. 12 is a view showing the flow of heat generated from the
따라서 메인기판(185)에 실장된 구동칩(186)에서 발생하는 열을 분산시킬 필요가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메인기판(185)의 전면과 후면에서 동시에 열을 확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메인기판(185)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미들 프레임(104)에 접하도록 결합되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들 프레임(104)을 따라 메인기판(185)의 구동칩(186)에서 발생한 열이 확산된다.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disperse heat generated from the
도 13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메인기판(185)의 일면을 도시한 도면으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기판(185)에서 미들 프레임(104)으로 열이 잘 전달되도록 미들 프레임(104)과 메인기판(185) 사이에 열전달 시트(189)를 개재할 수 있다.13 is a view showing one surface of the
열전달 시트(189)는 열 전도율이 높은 페라이트나 구리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접착력을 갖아 미들 프레임(104)과 메인기판(185)이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열전달 시트(189)는 메인기판(185) 중 열이 많이 발생하는 구동칩(186)이 실장된 위치에 배치한다. The
미들 프레임(104)은 메인기판(185)이 위치하는 제2 영역(B)은 개구부를 최소화 하고 배터리(191)가 위치한 제1 영역(A)에 개구부를 형성할 수 있다. 미들 프레임(104)을 부분적으로 생략하더라도 배터리(191)가 디스플레이부(151)를 지지하며,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강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미들 프레임(104)에 개구부(104')를 형성하면 재료비가 절감되고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무게를 줄일 수 있다. The
도 14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리어 케이스(102) 내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메인기판(185)의 배면 방향은 리어 케이스(102) 내측에 위치한 방열시트(1022)를 이용하여 열을 확산시킬 수 있다.Fig. 14 is a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서 배터리 부분에 열이 가장 적게 발생하므로 배터리 부분으로 열을 wjekfe하기 위해 도 14와 같이 방열시트(1022)를 배터리가 위치한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It is possible to extend the
메인기판(185)의 구동칩(186)은 전술한 바와 같이 실드캔(187)으로 보호되고 있으며, 상기 실드캔(187)은 금속물질을 포함한다. 실드캔(187)에서 흡수한 열은 방열시트(1022)로 전달되어 방열시트(1022)를 따라 확산되어 방열된다. 리어 케이스(102)는 최외각 구조물인 바, 리어 케이스(102)를 통한 방열 성능은 우수하다. The
본 발명의 메인기판(185)은 미들 프레임(104)을 통해 열을 확산하고 더불어 리어 케이스(102)의 방열시트(1022)를 통해 방열할 수 있어 방열성능이 우수하다. The
사용자가 통상적으로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사용시 하부를 잡기 때문에 메인기판(185)을 상부에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desirable to position the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별도의 거치장치를 추가적으로 휴대할 필요 없이 어디에서나 손쉽게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한, 키보드 유닛(130)을 선택적으로 휴대할 수 있으며, 휴대시 본체(100')와 결합하여 휴대의 편의성을 높임과 동시에 키보드 유닛(130)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51)를 보호할 수 있다. 키보드 유닛(130)을 사용하지 않고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이용하는 경우 키보드 유닛(130)을 본체(100') 배면에 결합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공용 배터리(191)를 이용할 수 있어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크기를 늘리지 않고도 배터리(191) 용량을 늘릴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lso, the
또한, 메인기판(185)의 구동칩(186)에서 발생한 열을 손쉽게 방열하여 열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고 사용성을 제고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heat generated in the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in all aspects as limiting and should be considered illustra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rational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이동단말기
110: 무선통신부
120: 입력부
130: 키보드 유닛
140: 센싱부
150: 출력부
160: 인터페이스부
170: 메모리
180: 제어부
190: 전원공급부
101: 프론트 케이스
102: 리어 케이스
1021: 제1 개구부
1022: 제2 개구부
104: 미들 프레임
1041: 개구부
105: 스탠드
1051: 힌지
151: 디스플레이부
1511: 디스플레이 기판
185: 메인기판
186: 구동칩
187: 쉴드캔
191a, 191b: 배터리
1913: 배터리 커넥터
1915: 배터리 기판
1916: 플렉서블 기판
A: 제1 영역
B; 제2 영역100: mobile terminal 110: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20: input unit 130: keyboard unit
140: sensing unit 150: output unit
160: interface unit 170: memory
180: control unit 190: power supply unit
101: front case 102: rear case
1021: first opening portion 1022: second opening portion
104: middle frame 1041: opening
105: Stand 1051: Hinge
151: display portion 1511: display substrate
185: main substrate 186: driving chip
187: shield can 191a, 191b: battery
1913: Battery connector 1915: Battery board
1916: Flexible PCB
A: first region B; The second region
Claims (6)
상기 프론트 케이스의 배면에 결합하여 전장부를 형성하는 리어 케이스;
상기 전장부에 배치되는 미들 프레임;
제1 극이 전면을 향하도록 상기 미들 프레임의 전면에 배치되는 전면 자석; 및
제1 극이 배면을 향하도록 상기 미들 프레임의 배면에 배치되는 후면 자석을 포함하며,
전면에서 바라본 상기 전면 자석의 위치와 배면에서 바라본 상기 후면 자석의 위치가 동일한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A front case having a display part on a front surface thereof;
A rear case coupled to a rear surface of the front case to form a full length portion;
A middle frame disposed in the front portion;
A front magnet disposed on a front surface of the middle frame such that a first pole faces the front surface; And
And a rear magnet disposed on a rear surface of the middle frame such that the first pole faces the rear surface,
Wherein the position of the front magnet viewed from the front side and the position of the rear magnet viewed from the rear face are the same.
상기 프론트 케이스 또는 상기 리어 케이스의 크기에 상응하는 키보드 케이스;
상기 키보드 케이스의 전면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키; 및
상기 제1 극과 반대 극인 제2 극이 상기 키보드 케이스의 전면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키보드 자석을 더 포함하고,
상기 키보드 케이스의 전면이 상기 프론트 케이스를 향하도록 배치하면 상기 전면 자석과 상기 키보드 자석이 자력에 의해 결합하고,
상기 키보드 케이스의 전면이 상기 리어 케이스를 향하도록 배치하면 상기 후면 자석과 상기 키보드 자석이 자력에 의해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keyboard case corresponding to a size of the front case or the rear case;
A plurality of keys located on a front surface of the keyboard case; And
And a keyboard magnet disposed such that a second pole opposite to the first pole faces the front surface of the keyboard case,
Wherein when the front surface of the keyboard case is disposed to face the front case, the front magnet and the keyboard magnet are coupled by a magnetic force,
Wherein when the front surface of the keyboard case is disposed to face the rear case, the rear magnet and the keyboard magnet are coupled by a magnetic force.
상기 전면 자석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둘레에 복수개 위치하고,
상기 복수개의 전면자석은 상기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가운데를 중심으로 점대칭이 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후면 자석은 상기 전면 자석의 위치에 상응하는 위치에 복수개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plurality of front magnets are disposed around the display unit,
Wherein the plurality of front magnets are disposed so as to be point-symmetric about the center of the portable display device,
Wherein a plurality of the rear magnets are dispos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s of the front magnets.
상기 전면 자석은
상기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전면의 상부 중간에 배치되는 제1 전면 자석과, 전면의 하부 중간에 배치되는 제2 전면 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3. The method of claim 2,
The front magnet
A first front magnet disposed in an upper middle portion of the front surface of the portable display device; and a second front magnet disposed in a lower middle portion of the front surface of the portable display device.
상기 전면 자석은
상기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4개 모서리에 각각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 The method of claim 2,
The front magnet
Wherein the display device is located at four corners of the portable display device.
상기 전면 자석 및 상기 후면 자석은 네오디뮴자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ront magnet and the rear magnet are neodymium magnets.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65206A KR102355619B1 (en) | 2014-11-25 | 2014-11-25 | Mobile display device |
US15/529,286 US10126777B2 (en) | 2014-11-25 | 2014-12-04 | Portable display device |
PCT/KR2014/011810 WO2016085020A1 (en) | 2014-11-25 | 2014-12-04 | Portable display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65206A KR102355619B1 (en) | 2014-11-25 | 2014-11-25 | Mobile display de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62455A true KR20160062455A (en) | 2016-06-02 |
KR102355619B1 KR102355619B1 (en) | 2022-01-26 |
Family
ID=56135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65206A KR102355619B1 (en) | 2014-11-25 | 2014-11-25 | Mobile display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55619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044139A1 (en) * | 2016-09-05 | 2018-03-08 | 삼성전자 주식회사 |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keyboard cover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037905A (en) * | 2010-09-17 | 2012-04-20 | 애플 인크. | Electronic device with magnetic attachment |
-
2014
- 2014-11-25 KR KR1020140165206A patent/KR102355619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037905A (en) * | 2010-09-17 | 2012-04-20 | 애플 인크. | Electronic device with magnetic attachment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044139A1 (en) * | 2016-09-05 | 2018-03-08 | 삼성전자 주식회사 |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keyboard cover |
KR20180026992A (en) * | 2016-09-05 | 2018-03-14 | 삼성전자주식회사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keyboard cover |
US11307673B2 (en) | 2016-09-05 | 2022-04-19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keyboard cov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55619B1 (en) | 2022-01-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126777B2 (en) | Portable display device | |
KR102415651B1 (en) | Mobile terminal | |
US9986072B2 (en) | Mobile terminal | |
KR101759950B1 (en) | Mobile terminal | |
KR102206242B1 (en) | Mobile terminal | |
KR20150124710A (en) | Mobile terminal case and mobile terminal | |
KR102167928B1 (en) | Mobile terminal | |
KR20160009914A (en) | Mobile terminal | |
KR20150136934A (en) | Mobile terminal | |
KR20170028164A (en) | Mobile terminal | |
KR20160018164A (en) | Mobile terminal | |
KR102358748B1 (en) | Mobile display device | |
KR101529933B1 (en) | Mobile terminal | |
KR102318544B1 (en) | Mobile display device | |
KR102355619B1 (en) | Mobile display device | |
KR102355620B1 (en) | Mobile display device | |
KR20160054777A (en) | Display module and mobilterminal having it | |
WO2020145444A1 (en) | Mobile terminal | |
KR20150132994A (en) | Mobile terminal | |
KR20170022143A (en) | Mobile terminal | |
KR20170083406A (en) | Mobile terminal | |
KR101727513B1 (en) | Mobile terminal | |
KR20150144630A (en) | Mobile terminal | |
KR101587178B1 (en) | Mobile terminal | |
KR101566285B1 (en) | Mobile termina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