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1140A -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 Google Patents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1140A
KR20160061140A KR1020140163680A KR20140163680A KR20160061140A KR 20160061140 A KR20160061140 A KR 20160061140A KR 1020140163680 A KR1020140163680 A KR 1020140163680A KR 20140163680 A KR20140163680 A KR 20140163680A KR 20160061140 A KR20160061140 A KR 201600611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film
emitting device
organic light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368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37824B1 (en
Inventor
김성인
유용환
김태훈
송석균
고영욱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철원플라즈마 산업기술연구원
주식회사 지엘비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철원플라즈마 산업기술연구원, 주식회사 지엘비젼 filed Critical 재단법인 철원플라즈마 산업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1636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7824B1/en
Priority to PCT/KR2015/012601 priority patent/WO2016080817A1/en
Publication of KR201600611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114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78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782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10K59/8722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9/879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ractive means, e.g. lens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capable of increasing light efficiency and outputting light with a uniform wavelength.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comprises: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outputting light; a light extracting film formed o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a bonding layer interposed between the light extracting film and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bonding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the light extracting film together.

Description

유기발광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evice}[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실시 예는 유기발광장치에 관한 것이다.An embodiment relates to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유기발광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는 빛을 방출하는 유기 발광 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를 가지고 화상을 표시하는 자발광형 표시 장치이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와 달리 별도의 광원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상대적으로 두께와 무게를 줄일 수있다. 또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낮은 소비 전력, 높은 휘도 및 높은 반응 속도 등의 고품위 특성을 나타내므로 휴대용 전자 기기의 차세대 표시 장치로 주목받고 있다.[0002]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display is a self-emission type display device hav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that emits light and displays an image. Unlike a liquid crystal display,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oes not require a separate light source, so that the thickness and weight can be relatively reduced. In additio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s are attracting attention as next generation display devices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because they exhibit high quality characteristics such as low power consumption, high luminance, and high response speed.

상기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캐소드 전극, 애노드 전극 및 캐소드 전극과 애노드 전극사이에 개재되는 유기 발광층을 포함한다. 상기 캐소드 전극과 애노드 전극 양단에 전압이 인가될 때 전자 및 정공이 캐소드 전극 및 애노드 전극으로부터 각각 주입되어 유기 발광층내에서 결합하여 형성된 여기자가 기저상태로 떨어질 때 발생되는 에너지에 의해 빛이 발생된다. 상기 유기 발광층으로부터 출사한 광은 내부구조간의 굴절률 차이에 의해 내부 구조에서 반사되며, 그 결과 상당량의 광이 내부구조에서 손실되어 광추출 효율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광경로가 상이하여 적색, 녹색 및 청색 각각의 효율이 달라 파장이 왜곡되어 원하는 파장의 광을 출력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The OLED display includes a cathode electrode, an anode electrode, and an organic emission layer interposed between the cathode electrode and the anode electrode. When a voltage is applied to both the cathode electrode and the anode electrode, electrons and holes are injected from the cathode electrode and the anode electrode, respectively, and light is generated due to energy generated when the excitons formed by coupling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drop to the ground state. The 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is reflected by the internal structure due to the difference in refractive index between the internal structures. As a result, a considerable amount of light is lost in the internal structure, resulting in low light extraction efficiency. In addition, since the optical paths are different, efficiency of each of red, green, and blue is different, and the wavelength is distorted, so that light having a desired wavelength can not be output.

실시 예는 광효율을 향상시키고, 균질한 파장대의 광을 출력할 수 있는 유기발광장치를 제공한다. The embodiment provides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capable of improving light efficiency and outputting light of a uniform wavelength band.

실시 예에 따른 유기발광장치는, 광을 출력하는 유기발광소자; 상기 유기발광소자 상에 형성되는 광추출 필름; 및 상기 광추출 필름 및 상기 유기발광소자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유기발광소자와 상기 광추출 필름을 접착시키는 접착층을 포함한다.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n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that outputs light; A light extracting film formed on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And an adhesive layer interposed between the light extracting film and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to bond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the light extracting film.

상기 접착층은 접착물질을 포함하는 폴리머 재질이고, 상기 광추출 필름은 상기 접착층이 상기 유기발광소자에 부착된 이후 상기 접착층에 부착될 수 있다.The adhesive layer may be a polymer material including an adhesive material, and the light extracting film may be attached to the adhesive layer after the adhesive layer is attached 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상기 접착물질은 OCA 또는 PDMS일 수 있다.The adhesive material may be OCA or PDMS.

상기 유기발광소자는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기판과 상기 접착층의 굴절율의 차이는 5%이하일 수 있다.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includes a substrate, and a difference in refractive index between the substrate and the adhesive layer may be 5% or less.

상기 광추출 필름은 다수의 비즈를 포함할 수 있다.The light extracting film may include a plurality of beads.

상기 비즈는 아크릴 비즈이고, 상기 아크릴 비즈는 4um 내지 20um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The beads may be acrylic beads, and the acrylic beads may have a size of 4 um to 20 um.

상기 비즈는 글라스 비즈이고, 상기 글라스 비즈는 50nm 내지 2000um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The beads are glass beads, and the glass beads may have a size of 50 nm to 2000 um.

상기 광추출 필름의 두께는 50um 내지 300um일 수 있다.The thickness of the light extracting film may be 50 [mu] m to 300 [mu] m.

상기 비즈는 30% 내지 70%의 농도를 가질 수 있다.The beads may have a concentration of 30% to 70%.

상기 광추출 필름 상에 부착되는 양자점 필름을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 quantum dot film attached on the light extracting film.

상기 광추출 필름과 상기 유기발광소자 사이에 형성되는 양자점 필름을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 quantum dot film formed between the light extracting film and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상기 광추출 필름은 다수의 양자점 및 다수의 비즈를 포함할 수 있다.The light extracting film may include a plurality of quantum dots and a plurality of beads.

상기 다수의 양자점 및 다수의 비즈가 혼입된 광추출 필름은 150um 내지 1000u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The light extracting film incorporating the plurality of quantum dots and the plurality of beads may have a thickness of 150 to 1000 um.

상기 다수의 양자점 및 다수의 비즈가 혼입된 광추출 필름은 150um 내지 1000u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The light extracting film incorporating the plurality of quantum dots and the plurality of beads may have a thickness of 150 to 1000 um.

상기 광추출 필름은 제1 광추출 필름 및 제2 광추출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광추출 필름 및 제2 광추출 필름 사이에 개재되는 양자점 필름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light extracting film may further include a first light extracting film and a second light extracting film, and a quantum dot film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light extracting film and the second light extracting film.

실시 예에 따른 유기발광장치는 일정 범위의 굴절율을 가지는 접착층으로 광추출 필름을 접착시켜, 광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can improve the light efficiency by bonding the light extracting film to the adhesive layer having a refractive index within a certain range.

실시 예에 따른 유기발광장치는 일정한 크기범위를 가지는 비즈를 광추출 필름에 혼입시켜 광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can improve light efficiency by incorporating beads having a certain size range into a light extracting film.

실시 예에 따른 유기발광장치는 양자점 필름을 더 부착하여, 광효율을 향상시키고, 균질한 파장대의 광을 출력할 수 있다.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can further attach a quantum dot film to improve light efficiency and output light of a uniform wavelength band.

실시 예에 따른 유기발광장치는 다수의 양자점 및 다수의 비즈가 혼입된 광추출 필름을 부착하여 광효율을 향상시키고, 균질한 파장대의 광을 출력할 수 있다.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can improve light efficiency and output light of a uniform wavelength band by attaching a light extracting film incorporating a plurality of quantum dots and a plurality of beads.

도 1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유기발광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광추출 필름의 두께에 따른 광효율 상승률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제2 실시 예에 따른 유기발광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제3 실시 예에 따른 유기발광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제1 실시 예 내지 제3 실시 예의 유기발광장치의 광효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제4 실시 예에 따른 유기발광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제4 실시 예에 따른 유기발광장치로부터 출력되는 광의 파장별 세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제4 실시 예에 따른 유기발광장치의 혼입필름의 두께별 파장에 대한 광의 세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2 is a graph showing the rate of increase in optical efficiency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light extracting film.
3 is a view show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4 is a view show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5 is a diagram showing the light efficiency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of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6 is a view show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FIG. 7 is a graph showing the intensity of light output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by wavelength.
FIG. 8 is a graph showing the intensity of light with respect to wavelength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mixed film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ve concept. Other embodiment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ve concept may readily be suggested, but are also consider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signate the same components i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of the embodiments.

도 1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유기발광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도 1을 참조하면, 제1 실시 예에 따른 유기발광장치(1)는 유기발광소자(10), 광추출 필름(20) 및 접착층(3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may include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10, a light extracting film 20, and an adhesive layer 30.

상기 유기발광소자(10)는 제1 전극(11), 유기 발광층(13), 제2 전극(15) 및 기판(17)을 포함할 수 있다.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10 may include a first electrode 11,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3, a second electrode 15, and a substrate 17.

상기 제1 전극(11)은 애노드 전극일 수도 있고, 캐소드 전극일 수도 있다. 상기 제1 전극(11)이 애노드 전극이라면, 상기 제2 전극(15)은 캐소드 전극으로 작동될 수 있고, 상기 제1 전극(11)이 캐소드 전극이라면, 상기 제2 전극(15)은 애노드 전극으로 작동될 수 있다.The first electrode 11 may be an anode electrode or a cathode electrode. If the first electrode 11 is an anode electrode, the second electrode 15 may operate as a cathode electrode. If the first electrode 11 is a cathode electrode, the second electrode 15 may be an anode electrode Lt; / RTI >

상기 제1 전극(11)은 Ag, Mg, Al, Pt, Au, Ni, Nd, Ir, Cr, Li 및 Ca 을 포함하는 일함수가 낮은 고도전성의 금속의 합금 또는 적층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11)에 일함수가 낮은 금속을 사용하여 상기 제1 전극(11)과 상기 유기 발광층(13) 사이에 형성되는 장벽을 낮춤으로써 전자 주입을 용이하게 하여 높은 전류밀도를 확보할 수 있다.The first electrode 11 may be formed of an alloy or a laminate of a metal having a low work function and containing a high work function including Ag, Mg, Al, Pt, Au, Ni, Nd, Ir, Cr, Li and Ca. A metal having a low work function is used for the first electrode 11 to lower a barrier form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11 and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3 to facilitate electron injection to secure a high current density .

상기 제2 전극(15)은 상기 유기 발광층(13)으로부터의 광을 투과할 수 있도록 투명도전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15)은 ITO, ITZO 또는 IZO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15)은 나노 와이어, 메탈메시, 나노튜브, 그래핀등의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electrode 15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so as to transmit light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3. The second electrode 15 may be formed of ITO, ITZO, or IZO material. The second electrode 15 may be formed of a nanowire, a metal mesh, a nanotube, or a graphene.

상기 유기 발광층(13)은 상기 제1 전극(11) 및 제2 전극(15)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기 발광층(13)은 정공 주입층, 정공 수송층, 발광층, 전자 수송층 및 전자 주입층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다중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층들 중에 발광층을 제외한 나머지 층들은 경우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3 may be form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11 and the second electrode 15.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3 may be formed of multiple layers including at least one of a hole injection layer, a hole transport layer, a light emitting layer, an electron transport layer, and an electron injection layer. Among the above-mentioned layers, the remaining layers except for the light emitting layer may be omitted in some cases.

상기 유기 발광층(13)이 전술한 모든 층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정공 주입층이 애노드 전극과 접하는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전자 주입층이 캐소드 전극과 접하는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정공 주입층과 상기 전자 주입층 상이에 정공 수송층, 발광층 및 전자 수송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될 수 있다. 상기 유기 발광층(13)은 필요에 따라 다른 층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When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3 includes all the layers described above, the hole injection layer is disposed in a region in contact with the anode electrode, the electron injection layer is disposed in a region in contact with the cathode electrode, A hole transporting layer, a light emitting layer and an electron transporting layer may be sequentially stacked on the injection layer.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3 may further include another layer as needed.

상기 제2 전극(15) 상에는 기판(17)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기판(17)은 상기 유기발광소자(10)의 베이스 역할을 할 수 있다. 도면 상에서는 상기 기판(17)이 상기 제2 전극(15) 상부에 적층되는 형식으로 도시되었으나, 상기 기판(17) 상에 상기 제2 전극(15), 유기 발광층(13) 및 제1 전극(11)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상기 유기발광소자(10)를 구성할 수도 있다.The substrate 17 may be positioned on the second electrode 15. The substrate 17 may serve as a bas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10. Although the substrate 17 is stacked on the second electrode 15 in the drawing, the second electrode 15,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3, and the first electrode 11 ) May be sequentially stacked to form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10.

상기 기판(17)은 유리 또는 플라스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판(17)은 플렉서블 기판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기판(17)이 유리기판인 경우 상기 기판(17)은 1.48의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The substrate 17 may comprise a glass or plastic material. The substrate 17 may be formed of a flexible substrate. When the substrate 17 is a glass substrate, the substrate 17 may have a refractive index of 1.48.

상기 광추출 필름(20)은 상기 유기발광소자(10)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광추출 필름(20)은 상기 접착층(30)에 의해 상기 유기발광소자(10)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광추출 필름(20)은 상기 유기발광소자(10)의 기판(17)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광추출 필름(20)은 상기 접착층(30)을 통해 상기 기판(17)에 부착될 수 있다. 즉, 상기 기판(17)의 일면에는 상기 제2 전극(15)이 형성되고, 상기 기판(17)의 타면에는 접착층(30)이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접착층(30)은 상기 기판(17)의 전면에 도포되어 상기 광추출 필름(20)의 전면과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접착층(30)의 양면은 접착성을 가질 수 있다.The light extracting film 20 may be attached 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10. The light extracting film 20 may be attached 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10 by the adhesive layer 30. The light extracting film 20 may be attached to the substrate 17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10. The light extracting film 20 may be attached to the substrate 17 through the adhesive layer 30. That is, the second electrode 15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17, and the adhesive layer 30 may be attach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substrate 17. The adhesive layer 30 may be appli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substrate 17 and adher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light extracting film 20. Both surfaces of the adhesive layer 30 may have adhesiveness.

상기 광추출 필름(20)은 상기 접착층(30)이 상기 기판(17) 상에 부착된 이후에 상기 상기 접착층(30) 상에 부착될 수 있다. 즉, 상기 접착층(30)이 상기 기판(17) 상에 부착된 이후 상기 광추출 필름(20)이 상기 접착층(30) 상에 부착될 수 있다.The light extracting film 20 may be adhered on the adhesive layer 30 after the adhesive layer 30 is adhered on the substrate 17. That is, the light extracting film 20 may be attached on the adhesive layer 30 after the adhesive layer 30 is attached on the substrate 17.

상기 접착층(30)이 상기 기판(17) 상에 부착된 이후 압력을 가하여 상기 접착층(30)과 상기 기판(17) 사이에 존재할 수 있는 간극을 제거한 이후 상기 광추출 필름(20)을 상기 접착층(30)에 부착하고, 이후 상기 광추출 필름(20) 상에 압력을 가하여 상기 광추출 필름(20)과 상기 접착층(30) 사이에 존재할 수 있는 간극을 제거할 수 있다.After the adhesive layer 30 is adhered on the substrate 17, pressure is applied to remove the gap that may exist between the adhesive layer 30 and the substrate 17, and then the light extracting film 20 is adhered to the adhesive layer 30 30 and then applying a pressure on the light extracting film 20 to remove a gap that may exist between the light extracting film 20 and the adhesive layer 30.

상기 접착층(30)은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접착층(30)의 굴절률은 상기 기판(17)과 동일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접착층(30)은 상기 기판(17)과 오차범위 내의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접착층(30)과 상기 기판(17)의 굴절률의 오차범위는 상기 기판(17)의 굴절률을 기준으로 의 굴절률은 5%이하일 수 있다.The adhesive layer 30 may have a refractive index. The refractive index of the adhesive layer 30 may be the same as that of the substrate 17. Alternatively, the adhesive layer 30 may have a refractive index within an error range with respect to the substrate 17. The error range of the refractive index between the adhesive layer 30 and the substrate 17 may be 5% or less based o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substrate 17.

상기 접착층(30)은 접착물질을 포함하는 폴리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착층(30)은 PDMS 또는 OCA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착층(30)이 PDMS 또는 OCA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일부영역에만 접착테이프를 부착하여 상기 광추출 필름(20)을 상기 기판(17)에 부착하는 방법보다 상기 광추출 필름(20)의 전체 면적이 균일하게 상기 기판(17)에 접착되어 상기 광추출 필름(20)과 상기 기판(17) 사이의 간극에 따른 굴절률 차이로 야기되는 광손실을 줄여 광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adhesive layer 30 may be formed of a polymer material including an adhesive material. The adhesive layer 30 may be formed of PDMS or OCA material. When the adhesive layer 30 is formed of PDMS or OCA material, the total area of the light extracting film 20 is smaller than the total area of the light extracting film 20, Can be uniformly adhered to the substrate (17), thereby reducing light loss caused by a difference in refractive index depending on a gap between the light extracting film (20) and the substrate (17).

상기 접착층(30)이 PDMS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접착층(30)의 굴절률은 1.45일 수 있다. 상기 접착층(30)이 OCA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접착층(30)의 굴절율은 1.475일 수 있다.
When the adhesive layer 30 is formed of PDMS material, the refractive index of the adhesive layer 30 may be 1.45. When the adhesive layer 30 is formed of an OCA material, the refractive index of the adhesive layer 30 may be 1.475.

구분division 종래Conventional 종래 부착방법Conventional attachment method PDMS를 이용한 접착Adhesion using PDMS OCA를 이용한 접착Adhesion using OCA 광효율(lm/W)Luminous efficiency (lm / W) 31.631.6 43.0843.08 46.3646.36 49.3749.37 광효율 상승률(%)Increase in optical efficiency (%) 100100 136.3136.3 146.7146.7 156.2156.2

표 1은 접착층(30)을 이용한 접착시 상승되는 광효율을 나타내는 표이다.Table 1 is a table showing the light efficiency to be increased when the adhesive layer 30 is used for bonding.

표 1에 의해 종래 광추출 필름(20)을 사용하지 않은 유기발광장치의 광효율이 31.6 lm/W이고, 종래 접착 테이프를 이용하여 광추출 필름(20)이 부착된 유기발광장치의 광효율이 43.08 lm/W인 경우 상기 PDMS를 이용하여 상기 광추출 필름(20)을 부착한 경우 유기발광장치의 광효율은 43.46 lm/W로 종래의 유기발광장치의 광효율 대비 46.7%의 상승률을 가진다. 또한, 종래 접착 테이프를 이용한 방식보다도 높은 광효율을 가질 수 있다.Table 1 shows that the light efficiency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without the conventional light extracting film 20 is 31.6 lm / W and the light efficiency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with the light extracting film 20 using the conventional adhesive tape is 43.08 lm / W, the optical efficiency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is 43.46 lm / W when the light extracting film 20 is attached using the PDMS. The light efficiency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is 46.7% higher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In addition, it can have a higher optical efficiency than the conventional method using an adhesive tape.

상기 OCA를 이용하여 상기 광추출 필름(20)을 부착한 경우 상기 유기발광장치의 광효율은 49.37 lm/W로 종래의 유기발광장치의 광효율 대비 56.2%의 상승률을 가지며 종래 접착 테이프를 이용한 방식보다도 높은 광효율을 가질 수 있다.When the light extracting film 20 is attached using the OCA, the light efficiency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is 49.37 lm / W, which is 56.2% higher than the light efficiency of the conventional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Light efficiency can be obtained.

즉, 상기 PDMS 또는 OCA 재질의 접착층(30)을 이용하여 상기 광추출 필름(20)을 부착하는 경우 종래 광추출 필름(20)을 사용하지 않은 유기발광장치보다 비약적으로 광효율이 향상되고, 종래의 접착 테이프를 이용한 방식보다도 높은 광효율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PDMS 또는 OCA 재질의 접착층(30)을 이용하여 광추출 필름(20)을 부착하여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고,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at is, in the case of attaching the light extracting film 20 using the PDMS or OCA adhesive layer 30, the light efficiency is remarkably improved as compared with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not using the conventional light extracting film 20, It is possible to have a higher optical efficiency than the method using an adhesive tape. Therefore, by attaching the light extracting film 20 using the PDMS or OCA adhesive layer 30, the 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and the brightness can be improved.

또한, 상기 접착층(30)을 이용하여 상기 광추출 필름(20)을 부착하는 경우 전 파장대에서 높은 광이 출력됨을 표 2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light extracting film 20 is adhered using the adhesive layer 30, it can be seen from Table 2 that light output at a whole wavelength range is output.

광원Light source 청색광원Blue light source 적색광원Red light source 녹색광원Green light source 종래(lm/w)Conventional (lm / w) 1.811.81 1.191.19 17.9517.95 OCA를 이용한 접착(lm/w)Adhesion using OCA (lm / w) 2.482.48 1.741.74 28.928.9 광효율 상승률(%)Increase in optical efficiency (%) 137137 146.2146.2 161161

상기 표 2를 통해, OCA 재질의 접착층(30)을 이용하여 광추출 필름(20) 각각의 파장대를 가지는 광을 출력하는 유기발광소자(10)에 부착하는 경우 청색광을 출력하는 유기발광소자(10)의 경우 37%의 광효율 상승률을 가지고, 적색광을 출력하는 유기발광소자(10)의 경우 46.2%의 광효율 상승률을 가지고, 녹색광을 출력하는 유기발광소자(10)의 경우 61%의 광효율 상승률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attaching 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10 that outputs light having a wavelength band of each of the light extracting films 20 using the adhesive layer 30 of OCA material,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10 ) Has a luminous efficiency increase rate of 37%, a luminous efficiency increase rate of 46.2% for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10 that outputs red light, and a luminous efficiency increase rate of 61% for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10 that outputs green light can confirm.

상기 접착층(30)을 이용하여 광추출 필름(20)을 부착하는 경우 전파장 대에서 높은 광효율 상승을 유발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청색, 적색 및 녹색 파장대의 중첩으로 발생하는 백색광의 광효율 상승을 유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When the light extracting film 20 is adhered using the adhesive layer 30, a high light efficiency rise can be caused in the propagation zone, thereby causing an increase in the light efficiency of the white light caused by superposition of blue, red and green wavelength ranges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상기 광추출 필름(20)은 다수의 비즈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비즈는 상기 광추출 필름(20) 내부에 균질하게 분포될 수 있다.The light extracting film 20 may include a plurality of beads. The plurality of beads may be uniformly distributed within the light extracting film 20. [

상기 비즈는 아크릴 비즈 또는 글라스 비즈일 수 있다. 상기 아크릴 비즈는 4um 내지 20um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아크릴 비즈는 1.49의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The beads may be acrylic beads or glass beads. The acrylic beads may have a size of 4 um to 20 um. The acrylic beads may have a refractive index of 1.49.

표 3은 상기 아크릴 비즈의 크기에 따른 광효율 상승률을 나타낸다. 이때, 상기 아크릴 비즈의 농도는 30%로 고정하였다.Table 3 shows the rate of optical efficiency increase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acrylic beads. At this time, the concentration of the acrylic beads was fixed to 30%.

종래Conventional 4um4um 20um20um 광효율(lm/w)Light efficiency (lm / w) 4.924.92 6.466.46 6.376.37 광효율 상승률(%)Increase in optical efficiency (%) 100100 131.3131.3 129.5129.5

표 3을 참조하면, 4um의 아크릴 비즈를 사용하는 경우 아크릴 비즈를 사용하지 않을 때보다 31.3% 높은 광효율을 얻을 수 있고, 20um의 아크릴 비즈를 사용하는 경우 29.5% 높은 광효율을 얻을 수 있다.Referring to Table 3, when 4 μm acrylic beads are used, light efficiency of 31.3% can be obtained higher than when acrylic beads are not used, and 29.5% higher light efficiency can be obtained when using 20 μm acrylic beads.

상기 글라스 비즈는 50nm 내지 2000um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글라스 비즈는 1.36 내지 1.44의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The glass beads may have a size of 50 nm to 2000 um. The glass beads may have a refractive index of 1.36 to 1.44.

표 4는 상기 글라스 비즈의 크기에 따른 광효율 상승률을 나타낸다. 이 때, 상기 글라스 비즈의 농도는 30%로 고정하였다.Table 4 shows the rate of optical efficiency increas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glass beads. At this time, the concentration of the glass beads was fixed to 30%.

종래Conventional 50nm50nm 500nm500 nm 2000nm2000 nm 광효율(lm/W)Luminous efficiency (lm / W) 4.924.92 6.986.98 6.366.36 6.56.5 광효율 상승률(%)Increase in optical efficiency (%) 100100 145.7145.7 129.3129.3 132.1132.1

표 4를 참조하면, 50nm의 글라스 비즈를 사용하는 경우 글라스 비즈를 사용하지 않을 때보다 45.7% 높은 광효율을 얻을 수 있고, 500nm의 글라스 비즈를 사용하는 경우 29.3% 높은 광효율을 얻을 수 있고, 2000nm의 글라스 비즈를 사용하는 경우 32.1% 높은 광효율을 얻을 수 있다.Referring to Table 4, when using 50 nm glass beads, light efficiency of 45.7% higher than when glass beads are not used, 29.3% higher light efficiency when using glass beads of 500 nm, If glass beads are used, a high optical efficiency of 32.1% can be obtained.

상기 범위보다 작은 비즈를 사용하는 경우 비즈에 반사되는 광이 작아 광효율 상승 효과를 얻을 수 없고, 상기 범위보다 큰 비즈를 사용하는 경우 투과율 저하로 인해 광효율 상승 효과를 얻을 수 없다.When the beads smaller than the above range are used, the light reflected on the beads is small, so that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light efficiency can not be obtained. When the beads larger than the above range are used, the light efficiency increase effect can not be obtained due to the decrease of the transmittance.

상기와 같이 광추출 필름(20)이 아크릴 비즈 또는 글라스 비즈를 포함하는 경우 광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When the light extracting film 20 includes acrylic beads or glass beads as described above, the light efficiency can be improved.

상기 광추출 필름(20)은 일정 범위 내의 두께에서 높은 광효율 상승을 유발할 수 있다. 상기 광추출 필름(20)의 두께는 50um 내지 300um일 수 있다.The light extracting film 20 may cause a high optical efficiency rise at a thickness within a certain range. The thickness of the light extracting film 20 may be 50 [mu] m to 300 [mu] m.

도 2는 광추출 필름의 두께에 따른 광효율 상승률을 나타내는 도면이다.2 is a graph showing the rate of increase in optical efficiency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light extracting film.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상기 광추출 필름(20)의 두께가 50um인 경우 5.55 lm/W의 광효율을 가질 수 있고, 상기 광추출 필름(20)의 두께가 100um인 경우 5.79 lm/W의 광효율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광추출 필름(20)의 두께가 200um인 경우 6.05 lm/W의 광효율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광추출 필름(20)의 두께가 300um인 경우 6.98 lm/W의 광효율을 가질 수 있다.2A and 2B, the light extracting film 20 may have a light efficiency of 5.55 lm / W when the thickness of the light extracting film 20 is 50um and a light efficiency of 5.79 lm / W when the thickness of the light extracting film 20 is 100um. Th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of the light extracting film 20 may be as high as 6.05 lm / W when the thickness of the light extracting film 20 is 200 mum and the light efficiency of 6.98 lm / W when the thickness of the light extracting film 20 is 300 mum Lt; / RTI >

또한, 상기 광추출 필름(20)의 두께가 50um 내지 300um 인 경우 전파장 대에서 고른 광효율 상승을 유발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thickness of the light extracting film 20 is in the range of 50 袖 m to 300 袖 m, the light efficiency may be evenly increased in the waveguide.

상기 광추출 필름(20)의 두께가 20um 미만인 경우 제조 공정상 비용 큰 비용이 소비되며, 높은 광효율 상승을 유발할 수 없다. 또한, 상기 광추출 필름(20)의 두께가 300um를 초과하는 경우 광추출 필름(20)의 두께가 두꺼워져 표시장치의 박형화에 부합할 수 없다.
If the thickness of the light extracting film 20 is less than 20 탆, a large cost is incurred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a high optical efficiency rise can not be caused. If the thickness of the light extracting film 20 is more than 300 탆, the thickness of the light extracting film 20 may not be sufficient to meet the requirement for a thin display device.

또한, 상기 광추출 필름(20)의 비즈는 일정 범위내의 농도에서 높은 광효율 상승을 유발할 수 있다. 상기 글라스 비즈는 30% 내지 70%의 농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글라스 비즈의 농도는 상기 광추출 필름(20)의 부피 대비 상기 글라스 비즈 전체의 부피로 정의될 수 있다.Further, the beads of the light extracting film 20 may cause a high optical efficiency rise at a concentration within a certain range. The glass beads may have a concentration of 30% to 70%. The concentration of the glass beads may be defined as the volume of the entire glass beads with respect to the volume of the light extracting film 20.

표 5는 글라스 비즈의 농도에 따른 광효율 상승률을 나타낸다. 이 때, 상기 비즈는 글라스 비즈로 고정하였고, 상기 글라스 비즈의 크기는 2000nm로 고정하였다.Table 5 shows the rate of increase of optical efficiency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glass beads. At this time, the beads were fixed with glass beads, and the size of the glass beads was fixed to 2000 nm.

종래Conventional 30%30% 50%50% 70%70% 광효율(lm/W)Luminous efficiency (lm / W) 4.924.92 6.56.5 6.676.67 6.336.33 광효율 상승률(%)Increase in optical efficiency (%) 100100 132.1132.1 135.6135.6 128.7128.7

표 5를 참조하면, 상기 글라스 비즈의 농도가 30% 일때, 광효율은 6.5 lm/W로 종래 대비 32.1%의 광효율 상승률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글라스 비즈의 농도가 50%일 때, 광효율은 6.67 lm/W로 종래 대비 35.6%의 광효율 상승률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글라스 비즈의 농도가 70%일 때, 광효율은 6.33 lm/W로 종래대비 28.7%의 광효율 상승율을 가질 수 있다.Referring to Table 5, when the concentration of the glass beads is 30%, the light efficiency is 6.5 lm / W, which is 32.1% higher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art. When the concentration of the glass beads is 50%, the optical efficiency is 6.67 lm / W, which is 35.6% higher than the conventional optical efficiency. When the concentration of the glass beads is 70%, the light efficiency is 6.33 lm / W, which is 28.7% higher than that of the prior art.

상기 글라스 비즈의 농도가 30% 미만인 경우 글라스 비즈에 의한 광효율 상승이 작아지며, 상기 글라스 비즈의 농도가 7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투과도가 하락하여 광효율 상승이 작아진다.
When the concentration of the glass beads is less than 30%, the rise of the optical efficiency due to the glass beads decreases. When the concentration of the glass beads exceeds 70%, the transmittance decreases and the increase in the optical efficiency decreases.

도 3은 제2 실시 예에 따른 유기발광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제2 실시 예에 따른 유기발광장치는 제1 실시 예와 비교하여 양자점 필름이 부가되는 것 이외에는 제1 실시 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제2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제1 실시 예와 공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except that a quantum dot film is added as compared with the first embodiment. Therefore, in describing the second embodimen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도 3을 참조하면, 제2 실시 예에 따른 유기발광장치(1)는 유기발광소자(10), 광추출 필름(20) 및 양자점 필름(4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1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may include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10, the light extracting film 20, and the quantum dot film 40.

상기 광추출 필름(20) 및 양자점 필름(40)은 상기 유기발광소자(10) 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될 수 있다.The light extracting film 20 and the quantum dot film 40 may be sequentially stacked o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10.

상기 유기발광소자(10) 및 양자점 필름(40)은 접착층(30)에 의해 상기 광추출 필름(20)과 접착될 수 있다.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10 and the quantum dot film 40 may be adhered to the light extracting film 20 by an adhesive layer 30.

상기 접착층(30)은 PDMS 또는 OCA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착층(30)은 제1 접착층(31) 및 제2 접착층(33)을 포함할 수 있다.The adhesive layer 30 may be formed of PDMS or OCA material. The adhesive layer 30 may include a first adhesive layer 31 and a second adhesive layer 33.

상기 제1 접착층(31)은 상기 유기발광소자(10)와 상기 광추출 필름(20)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광추출 필름(20)을 상기 유기발광소자(10)에 부착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접착층(31)은 상기 광추출 필름(20)의 전면에 도포될 수 있다.The first adhesive layer 31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10 and the light extracting film 20 to attach the light extracting film 20 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10. The first adhesive layer 31 may be applied to the entire surface of the light extracting film 20.

상기 제2 접착층(33)은 상기 광추출 필름(20)과 상기 양자점 필름(40)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양자점 필름(40)을 상기 광추출 필름(20)에 부착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접착층(33)은 상기 광추출 필름(20)의 전면에 도포될 수 있다.The second adhesive layer 33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light extracting film 20 and the quantum dot film 40 to attach the quantum dot film 40 to the light extracting film 20. The second adhesive layer 33 may be applied to the entire surface of the light extracting film 20.

상기 제1 접착층(31)과 상기 제2 접착층(33)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adhesive layer 31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33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상기 양자점 필름(40)은 양자점(Quantom dot)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양자점은 상기 양자점 필름(40) 내부에 균질하게 혼입될 수 있다.The quantum dot film 40 may include a quantum dot. The quantum dots may be uniformly mixed in the quantum dot film 40.

상기 양자점은 나노크기의 반도체 물질로서 양자제한(quantum confinement) 효과를 나타내는 물질이다. 이러한 양자점은 여기원 (excitation source)으로부터 빛을 흡수하여받아 에너지 여기 상태에 이르면, 자체적으로 해당하는 양자점의 에너지 밴드 갭 (band gap)에 해당하는따른 에너지를 방출하게 된다. 따라서, 양자점의 크기 또는 물질 조성을 조절하게 되면 해당에너지 밴드 갭(band gap)을 조절할 수 있게 되어 다양한 빛을 발광할 수 있어 전자소자의 발광체로 이용될 수 있다.The quantum dot is a nano-sized semiconductor material and exhibits a quantum confinement effect. Such a quantum dot absorbs light from an excitation source, and upon reaching an energy-excited state, emits energy corresponding to an energy band gap of the corresponding quantum dot. Accordingly, when the size or the material composition of the quantum dots is controlled, the corresponding energy band gap can be controlled, and various light can be emitted, thereby being used as an emitter of an electronic device.

상기 나노크기의 반도체 물질은 II-VI족 화합물, III-V족 화합물, IV-VI족 화합물, IV족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The nano-sized semiconductor material may be selected from Group II-VI compounds, Group III-V compounds, Group IV-VI compounds, Group IV compounds, or mixtures thereof.

상기 II-VI족 화합물은 CdSe, CdTe, ZnS, ZnSe, ZnTe, ZnO, HgS, HgSe, HgTe 등의 이원소 화합물 또는 CdSeS, CdSeTe, CdSTe, ZnSeS, ZnSeTe, ZnSTe, HgSeS, HgSeTe, HgSTe, CdZnS, CdZnSe, CdZnTe, CdHgS, CdHgSe, CdHgTe, HgZnS, HgZnSe 등의 삼원소 화합물 또는 HggZnTe, CdZnSeS, CdZnSeTe, CdZnSTe, CdHgSeS, CdHgSeTe, CdHgSTe, HgZnSeS, HgZnSeTe, HgZnSTe 등의 사원소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CdSeS, CdSeS, CdSeS, ZnSeS, ZnSeTe, ZnSTe, HgSeS, HgSeTe, HgSTe, CdZnS, HgSe, HgTe, ZnTe, ZnSe, ZnTe, ZnO, A trivalent compound such as CdZnSe, CdZnTe, CdHgS, CdHgSe, CdHgTe, HgZnS, HgZnSe, or a ternary compound such as HggZnTe, CdZnSeS, CdZnSeTe, CdZnSTe, CdHgSeS, CdHgSeTe, CdHgSTe, HgZnSeS, HgZnSeTe, HgZnSTe have.

상기 III-V족 화합물은 GaN, GaP, GaAs, GaSb, AlN, AlP, AlAs, AlSb, InN, InP, InAs, InSb 등의 이원소 화합물 또는 GaNP, GaNAs, GaNSb, GaPAs, GaPSb, AlNP, AlNAs, AlNSb, AlPAs, AlPSb, InNP, InNAs, InNSb, InPAs, InPSb, GaAlNP 등의 삼원소 화합물 또는 GaAlNAs, GaAlNSb, GaAlPAs, GaAlPSb, GaInNP, GaInNAs, GaInNSb, GaInPAs, GaInPSb, InAlNP, InAlNAs, InAlNSb, InAlPAs, InAlPSb 등의 사원소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The group III-V compound may be one of GaN, GaNAs, GaNSb, GaPAs, GaPSb, AlNP, AlNAs, GaN, GaN, GaN, GaN, GaN, AlN, AlN, AlN, InAlPb, InAlPb, InAlPb, InAlPb, InAlPb, InAlPb, InAlPb, InAlPb, InAlPb, InAlPb, InAlPb, InAlPb, InAlPb, InAlPb, , And the like.

상기 IV-VI족 화합물은 SnS, SnSe, SnTe, PbS, PbSe, PbTe 등의 이원소 화합물 또는 SnSeS, SnSeTe, SnSTe, PbSeS, PbSeTe, PbSTe, SnPbS, SnPbSe, SnPbTe 등의 삼원소 화합물 또는 SnPbSSe, SnPbSeTe, SnPbSTe 등의 사원소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The IV-VI compound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ernary compounds such as SnSeS, SnSeS, SnSeTe, SnSTe, PbSeS, PbSeTe, PbSTe, SnPbS, SnPbSe and SnPbTe, SnPbSSe, SnPbSeTe , SnPbSTe, and the like.

상기 IV족 화합물은 Si, Ge 등의 단일 원소 화합물 또는 SiC, SiGe 등의 이원소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The Group IV compound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ingle element compounds such as Si and Ge, or these element compounds such as SiC and SiGe.

상기 이원소 화합물, 삼원소 화합물 또는 사원소 화합물의 경우, 그 결정구조는 부분적으로 나누어져 동일 입자 내에 존재하거나 합금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the elemental compound, the trivalent compound or the mesoporous compound, the crystal structure thereof may be partially contained and exist in the same particle or in an alloy form.

도 4는 제3 실시 예에 따른 유기발광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4 is a view show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제3실시 예에 따른 유기발광장치는 제1 실시 예와 비교하여 양자점 필름이 부가되는 것 이외에는 제1 실시 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제3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제1 실시 예와 공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is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except that a quantum dot film is added in comparison with the first embodiment. Therefore, in describing the third embodimen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components common to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도 4를 참조하면, 제3 실시 예에 따른 유기발광장치(1)는 유기발광소자(10), 광추출 필름(20) 및 양자점 필름(4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1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may include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10, the light extracting film 20, and the quantum dot film 40.

상기 양자점 필름(40) 및 광추출 필름(20)은 상기 유기발광소자(10) 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될 수 있다.The quantum dot film 40 and the light extracting film 20 may be sequentially stacked o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10.

상기 유기발광소자(10) 및 광추출 필름(20)은 접착층(30)에 의해 상기 양자점 필름(40)과 접착될 수 있다.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10 and the light extracting film 20 may be bonded to the quantum dot film 40 by an adhesive layer 30.

상기 접착층(30)은 PDMS 또는 OCA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착층(30)은 제1 접착층(31) 및 제2 접착층(33)을 포함할 수 있다.The adhesive layer 30 may be formed of PDMS or OCA material. The adhesive layer 30 may include a first adhesive layer 31 and a second adhesive layer 33.

상기 제1 접착층(31)은 상기 유기발광소자(10)와 상기 양자점 필름(40)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양자점 필름(40)을 상기 유기발광소자(10)에 부착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접착층(31)은 상기 양자점 필름(20)의 전면에 도포될 수 있다.The first adhesive layer 31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10 and the quantum dot film 40 to attach the quantum dot film 40 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10. The first adhesive layer 31 may be applied to the entire surface of the quantum dot film 20.

상기 제2 접착층(33)은 상기 광추출 필름(20)과 상기 양자점 필름(40)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양자점 필름(40)을 상기 광추출 필름(20)에 부착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접착층(33)은 상기 양자점 필름(40)의 전면에 도포될 수 있다.The second adhesive layer 33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light extracting film 20 and the quantum dot film 40 to attach the quantum dot film 40 to the light extracting film 20. The second adhesive layer 33 may be applied to the entire surface of the quantum dot film 40.

상기 제1 접착층(31)과 상기 제2 접착층(33)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adhesive layer 31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33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상기 양자점 필름(40)은 양자점(Quantom dot)을 포함할 수 있다.
The quantum dot film 40 may include a quantum dot.

도 5는 제1 실시 예 내지 제3 실시 예의 유기발광장치의 광효율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표 6은 제1 실시 예 내지 제3 실시 예의 유기발광 장치의 광효율을 나타내는 표이다.5 is a diagram showing the light efficiency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of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and Table 6 is a table showing the light efficiency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of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종래Conventional 제1 실시 예First Embodiment 제2 실시 예Second Embodiment 제3 실시 예Third Embodiment 광효율(lm/W)Luminous efficiency (lm / W) 4.24.2 5.925.92 5.675.67 5.585.58 광효율 상승률(%)Increase in optical efficiency (%) 100100 141141 135135 133133

도 5 및 표 6을 참조하면, 제2 실시 예의 광추출 필름(20)과 양자점 필름(40)의 순차적 적층구조에서는 유기발광장치가 5.67 lm/W의 광효율을 가짐으로써 종래 대비 35% 광효율 상승률을 가진다. 제3 실시 예의 양자점 필름(40)과 광추출 필름(20)의 순차적인 적층구조에서의 유기발광장치는 5.58 lm/W의 광효율을 가짐으로써 종래대비 33%의 광효율 상승률을 가진다.5 and 6, in the sequentially stacked structure of the light extracting film 20 and the quantum dot film 40 of the second embodiment,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has a light efficiency of 5.67 lm / W, I have.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in the sequential lamination structure of the quantum dot film 40 and the light extracting film 20 of the third embodiment has a light efficiency of 5.58 lm / W and thus has a light efficiency increase rate of 33%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one.

또한, 도 5의 파장범위에 따른 광의 세기를 보면, 종래 및 제1 실시 예에 비해, 제2 실시 예 및 제3 실시 예가 넓은 범위의 광분포를 가진다. 특히, 제2 실시 예 및 제3 실시 예의 경우 장파장에서 광의 세기가 강해져 종래 및 제1 실시 예에 비해 상대적으로 균일한 광이 출사될 수 있다.5, the second embodiment and the third embodiment have a wide range of light distribution a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and first embodiments. Particularly, in the second embodiment and the third embodiment, the intensity of light is increased at a long wavelength, and relatively uniform light can be emitted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and first embodiments.

상기 제2 실시 예 및 제3 실시 예가 넓은 범위의 광분포를 가짐으로써 CRI(Color Rendering Index)를 상승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CRI는 같은 색온도를 가지는 자연광(black body radiation과 유사)과 인공적으로 제작한 조명을 동일한 사물에 조사한 경우, 상기 사물의 색상이 달라지는 정도를 나타내며, 자연광, 즉 흑체복사의 경우를 100으로 하여 인공적인 조명이 이에 얼마나 가까운지를 표시한다. CRI가 100에 근접할수록 발광 장치는 자연광에 근접한 백색광을 구현한다.The second embodiment and the third embodiment have a wide range of light distribution, thereby increasing the CRI (Color Rendering Index). The CRI represents the degree of change of the color of the object when the natural light (similar to black body radiation) having the same color temperature and the artificially produced illumination are irradiated to the same object, and the natural light, that is, the black body radiation, Indicating how close the illumination is to this. As the CRI approaches 100, the light emitting device implements white light close to natural light.

상기 제2 실시 예 및 제3 실시 예에 의해 CRI를 상승시킬 수 있어 간이한 방법으로 자연광과 유사한 광을 출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CRI can be raised by the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so that light similar to natural light can be emitted in a simple manner.

도 6은 제4 실시 예에 따른 유기발광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제4 실시 예에 따른 유기발광장치는 제2 실시 예와 비교하여 광추출 필름이 더 부가되는 것 이외에는 동일하다. 따라서, 제4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제2 실시 예와 공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is the same as the second embodiment except that a light extracting film is further added. Therefore, in describing the fourth embodimen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components common to the second embodiment,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도 6을 참조하면, 제4 실시 예에 따른 유기발광장치(1)는 유기발광소자(10), 제1 광추출 필름(21), 제2 광추출 필름(23) 및 양자점 필름(40)을 포함할 수 있다.6,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1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includes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10, a first light extracting film 21, a second light extracting film 23, and a quantum dot film 40 .

상기 제1 광추출 필름(21), 양자점 필름(40) 및 제2 광추출 필름(23)은 상기 유기발광소자(10) 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될 수 있다.The first light extracting film 21, the quantum dot film 40 and the second light extracting film 23 may be sequentially stacked o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10.

상기 유기발광소자(10), 제1 광추출 필름(21), 양자점 필름(40) 및 제2 광추출 필름(23)은 접착층(30)에 의해 각각 접착될 수 있다.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10, the first light extracting film 21, the quantum dot film 40 and the second light extracting film 23 may be adhered to each other by the adhesive layer 30.

상기 접착층(30)은 PDMS 또는 OCA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착층(30)은 제1 접착층(31), 제2 접착층(33) 및 제3 접착층(35)을 포함할 수 있다.The adhesive layer 30 may be formed of PDMS or OCA material. The adhesive layer 30 may include a first adhesive layer 31, a second adhesive layer 33, and a third adhesive layer 35.

상기 제1 접착층(31)은 상기 유기발광소자(10)와 상기 제1 광추출 필름(21)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 광추출 필름(21)을 상기 유기발광소자(10)에 부착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접착층(31)은 상기 제1 광추출 필름(21)의 전면에 도포될 수 있다.The first adhesive layer 31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10 and the first light extracting film 21 to attach the first light extracting film 21 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10. [ have. The first adhesive layer 31 may be applied to the entire surface of the first light extracting film 21.

상기 제2 접착층(33)은 상기 제1 광추출 필름(21)과 상기 양자점 필름(40)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양자점 필름(40)을 상기 제1 광추출 필름(21)에 부착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접착층(33)은 상기 양자점 필름(40)의 전면에 도포될 수 있다.The second adhesive layer 33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light extracting film 21 and the quantum dot film 40 to attach the quantum dot film 40 to the first light extracting film 21. The second adhesive layer 33 may be applied to the entire surface of the quantum dot film 40.

상기 양자점 필름(40)은 양자점(Quantom dot)을 포함할 수 있다.The quantum dot film 40 may include a quantum dot.

상기 제3 접착층(35)은 상기 양자점 필름(40)과 상기 제2 광추출 필름(23)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2 광추출 필름(23)을 상기 양자점 필름(40)에 부착시킬 수 있다. 상기 제3 접착층(35)은 상기 제2 광추출 필름(23)의 전면에 도포될 수 있다.The third adhesive layer 35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quantum dot film 40 and the second light extracting film 23 to attach the second light extracting film 23 to the quantum dot film 40. The third adhesive layer 35 may be applied to the entire surface of the second light extracting film 23.

상기 제1 광추출 필름(21), 제2 광추출 필름(23) 및 양자점 필름(40)에 의해 상기 유기발광장치(1)의 광효율이 향상되고, 출사되는 광의 CRI가 상승하는 효과가 있다.The light efficiency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1 is improved by the first light extracting film 21, the second light extracting film 23 and the quantum dot film 40 and the CRI of emitted light is increased.

상기 제1 광추출 필름(21) 및 상기 제2 광추출 필름(23)은 동일한 광특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광추출 필름(21) 및 제2 광추출 필름(23)은 상기 양자점 필름(40)의 양면에 부착됨으로써 상기 양자점 필름(40)을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first light extracting film 21 and the second light extracting film 23 may have the same optical characteristics. The first light extracting film 21 and the second light extracting film 23 may be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quantum dot film 40 to protect the quantum dot film 40.

도 7은 제5 실시 예에 따른 유기발광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7 is a view show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제5 실시 예에 따른 유기발광장치는 제1 실시 예와 비교하여 광추출 필름을 제외하고 혼입 필름이 도포된 것 이외에는 제1 실시 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제5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제1 실시 예과 공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is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except that the mixed film except for the light extracting film is applied as compared with the first embodiment. Therefore, in describing the fifth embodimen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components common to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7을 참조하면, 제5 실시 예에 따른 유기발광장치(1)는 유기발광소자(10) 및 혼입필름(50)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1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may include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10 and the mixed film 50.

상기 혼입필름(50)은 상기 유기발광소자(10)에 접착층(30)을 통해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접착층(30)은 상기 유기발광소자(10) 및 혼입필름(50)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유기발광소자(10)에 상기 혼입필름(50)을 고정시킨다.The mixed film 50 may be adhered 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10 through the adhesive layer 30. The adhesive layer 30 is sandwiched betwee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10 and the immersion film 50 to fix the immersion film 50 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10.

상기 혼입필름(50)은 비즈(51) 및 양자점(5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즈(51) 및 양자점(53)은 상기 혼입필름(50) 내부에 균질하게 혼입될 수 있다. 상기 비즈(51)는 글라스 비즈 또는 아크릴 비즈일 수 있다.The inclusion film 50 may include beads 51 and quantum dots 53. The beads 51 and the quantum dots 53 may be uniformly mixed in the mixed film 50. The beads 51 may be glass beads or acrylic beads.

상기 혼입필름(50)에 포함된 비즈(51) 및 양자점(53)에 의해 상기 유기발광소자(10)로부터 발생된 광의 광효율이 향상되고, 넓은 파장대의 광을 균질하게 출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의 효과는 도 8 및 표 7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The light efficiency of the light generated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10 is improved by the beads 51 and the quantum dots 53 included in the mixed film 50 and the light of a wide wavelength range can be outputted homogeneously . The above effect can be confirmed by FIG. 8 and Table 7.

종래Conventional 제1 비교 예Comparative Example 1 제2 비교 예Comparative Example 2 제5 실시 예Fifth Embodiment 광효율(lm/W)Luminous efficiency (lm / W) 2.322.32 3.113.11 3.243.24 3.573.57 광효율 상승률(%)Increase in optical efficiency (%) 100100 134134 139139 153153

도 8 및 표 7을 참조하면, 제1 비교 예는 비즈가 혼입된 광추출필름(20)을 포함하는 유기발광장치를 나타내고, 제2 비교 예는 양자점이 혼입된 필름을 포함하는 유기발광장치를 나타낸다.8 and 7, the first comparative example shows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including a light extraction film 20 in which beads are incorporated, and the second comparative example shows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including a film incorporating a quantum dot .

제1 비교예는 3.11 lm/W의 광효율을 가져 종래의 필름을 포함하지 않는 유기발광장치 대비 34%의 광효율 상승률을 가지며, 제2 비교 예는 3.24 lm/W의 광효율을 가져 종래 기술 대비 39%의 광효율 상승률을 가진다. 이에 반해, 제5 실시 예에 따른 혼입필름(50)을 포함하는 유기발광장치는 3.57 lm/W의 광효율을 가지며, 종래 기술 대비 53%의 광효율 상승률을 가진다.The first comparative example has a luminous efficacy of 3.11 lm / W and has a luminous efficiency increase rate of 34% compared with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which does not include a conventional film. The second comparative example has a luminous efficiency of 3.24 lm / As shown in FIG. On the other hand,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including the mixed film 50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has a light efficiency of 3.57 lm / W and a luminous efficiency increase rate of 53% as compared with the prior art.

파장별 광의 세기를 보면, 제1 비교 예 및 제2 비교 예에 비해 제5 실시 예가 청색광을 가지는 단파장 범위에서는 광의 세기가 작다. 다만, 적색광을 가지는 장파장 범위에서는 제1 비교 예 및 제2 비교 예에 비해 광의 세기가 크다. 상기 혼입필름(50)은 상대적으로 세기가 큰 단파장 범위의 광의 세기를 줄이고, 장파장 범위의 광의 세기를 강하게 함으로써 전체적으로 균질한 광을 얻을 수 있다. 즉, 상기 혼입필름(50)의해 CRI가 상승하는 효과가 있다.The intensity of the light according to the wavelength is smaller in the short wavelength range having the blue light than the first and second comparative examples. However, in the long wavelength range having red light, the intensity of light is larger than that of the first comparative example and the second comparative example. The intruding film 50 can reduce the intensity of light having a relatively large intensity in a short wavelength range and intensify light intensity in a long wavelength range, thereby obtaining uniformly light as a whole. That is, there is an effect that the CRI is increased by the inclusion film (50).

전체적인 광효율에 대해서는 제5 실시 예가 단파장 범위의 광이 작은 대신 장파장 범위의 광의 세기가 비약적으로 증가함으로써 전체광 효율도 제1 및 제2 비교 예에 비해 높은 값을 가진다.
With respect to the overall optical efficiency, the optical efficiency of the fifth embodiment is much higher than that of the first and second comparative examples because the intensity of the light in the long wavelength range increases drastically as the light of the short wavelength range is small.

상기 혼입필름(50)은 일정범위 내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혼입필름(50)은 150um 내지 1000u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혼입필름(50)은 500u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도 9는 혼입필름 두께에 따른 출력광의 파장별 분포를 나타낸다.The impregnated film 50 may have a thickness within a certain range. The impregnated film 50 may have a thickness of 150 [mu] m to 1000 [mu] m. Preferably, the impregnated film 50 may have a thickness of 500 um. 9 shows the distribution of the output light according to the wavelength of the incident film.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혼입필름(50)이 150um 내지 1000um의 범위를 가지는 경우 CRI가 상승한다. 특히, 상기 혼입필름(50)이 500um의 두께를 가지는 경우 균질한 광이 방사되어 높은 CRI를 가지는 광을 구현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 when the mixed film 50 has a range of 150 to 1000 um, the CRI rises. Particularly, when the mixed film 50 has a thickness of 500 um, homogeneous light is radiated to realize light having a high CRI.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 유기발광장치
10: 유기발광소자
11: 제1 전극
13: 유기 발광층
15: 제2 전극
17: 기판
20: 광추출 필름
30: 접착층
40: 양자점 필름
50: 혼입 필름
51: 글라스 비즈
53: 양자점
1: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10: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11: first electrode
13: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5: second electrode
17: substrate
20: Light extraction film
30: Adhesive layer
40: Quantum dot film
50: Entrapment film
51: Glass beads
53: Quantum dot

Claims (15)

광을 출력하는 유기발광소자;
상기 유기발광소자 상에 형성되는 광추출 필름; 및
상기 광추출 필름 및 상기 유기발광소자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유기발광소자와 상기 광추출 필름을 접착시키는 접착층을 포함하는 유기발광장치.
An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for outputting light;
A light extracting film formed on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And
And an adhesive layer interposed between the light extracting film and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to bond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the light extracting fil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접착물질을 포함하는 폴리머 재질이고,
상기 광추출 필름은 상기 접착층이 상기 유기발광소자에 부착된 이후 상기 접착층에 부착되는 유기발광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dhesive layer is a polymer material comprising an adhesive material,
Wherein the light extracting film is attached to the adhesive layer after the adhesive layer is attached 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물질은 OCA 또는 PDMS인 유기발광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adhesive material is OCA or PDM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발광소자는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기판과 상기 접착층의 굴절율의 차이는 5%이하인 유기발광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comprises a substrate,
Wherein a difference in refractive index between the substrate and the adhesive layer is 5% or les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추출 필름은 다수의 비즈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ight extracting film comprises a plurality of bead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비즈는 아크릴 비즈이고,
상기 아크릴 비즈는 4um 내지 20um의 크기를 가지는 유기발광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beads are acrylic beads,
Wherein the acrylic beads have a size of 4 um to 20 um.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비즈는 글라스 비즈이고,
상기 글라스 비즈는 50nm 내지 2000um의 크기를 가지는 유기발광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beads are glass beads,
Wherein the glass beads have a size of 50 nm to 2000 u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추출 필름의 두께는 50um 내지 300um인 유기발광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hickness of the light extracting film is 50 mu m to 300 mu m.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비즈는 30% 내지 70%의 농도를 가지는 유기발광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beads have a concentration of 30% to 7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추출 필름 상에 부착되는 양자점 필름을 더 포함하는 유기발광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quantum dot film attached on the light extracting fil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추출 필름과 상기 유기발광소자 사이에 형성되는 양자점 필름을 더 포함하는 유기발광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quantum dot film formed between the light extracting film and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추출 필름은 다수의 양자점 및 다수의 비즈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ight extracting film comprises a plurality of quantum dots and a plurality of beads.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양자점 및 다수의 비즈가 혼입된 광추출 필름은 150um 내지 1000um의 두께를 가지는 유기발광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light extracting film in which the plurality of quantum dots and the plurality of beads are mixed has a thickness of 150 mu m to 1000 mu m.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양자점 및 다수의 비즈가 혼입된 광추출 필름은 150um 내지 1000um의 두께를 가지는 유기발광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light extracting film in which the plurality of quantum dots and the plurality of beads are mixed has a thickness of 150 mu m to 1000 mu 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추출 필름은 제1 광추출 필름 및 제2 광추출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광추출 필름 및 제2 광추출 필름 사이에 개재되는 양자점 필름을 더 포함하는 유기발광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ight extracting film comprises a first light extracting film and a second light extracting film,
And a quantum dot film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light extracting film and the second light extracting film.
KR1020140163680A 2014-11-21 2014-11-21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KR101937824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3680A KR101937824B1 (en) 2014-11-21 2014-11-21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PCT/KR2015/012601 WO2016080817A1 (en) 2014-11-21 2015-11-23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3680A KR101937824B1 (en) 2014-11-21 2014-11-21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1140A true KR20160061140A (en) 2016-05-31
KR101937824B1 KR101937824B1 (en) 2019-01-11

Family

ID=56014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3680A KR101937824B1 (en) 2014-11-21 2014-11-21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37824B1 (en)
WO (1) WO2016080817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30850B2 (en) 2016-09-26 2019-06-2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68660A (en) * 2018-12-20 2019-03-15 中山百灵生物技术有限公司 A kind of production technology of Austria's shellfish cholic acid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4545A (en) * 2004-09-14 2006-03-17 (주)케이디티 High-luminance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displays
JP2012043754A (en) * 2010-08-23 2012-03-01 Fujifilm Corp Particulate layer transfer material,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30063111A (en) * 2011-12-06 2013-06-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Method of fabricating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5500B1 (en) * 2004-11-30 2007-05-07 (주)케이디티 Light source with micro-cavity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nd photoluminescent layer
KR20070116480A (en) * 2006-06-05 2007-12-10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KR101946391B1 (en) * 2012-05-31 2019-02-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4545A (en) * 2004-09-14 2006-03-17 (주)케이디티 High-luminance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displays
JP2012043754A (en) * 2010-08-23 2012-03-01 Fujifilm Corp Particulate layer transfer material,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30063111A (en) * 2011-12-06 2013-06-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Method of fabricating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30850B2 (en) 2016-09-26 2019-06-2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80817A1 (en) 2016-05-26
KR101937824B1 (en) 2019-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11637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710212B1 (en) Optical device and light emitting diode package using the same, backlight apparatus
US11194083B2 (en) Color filter including quantum dots and metal nanoparticles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2377904B1 (en) Display device
KR102655757B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200381484A1 (en) Display device
KR102317874B1 (en)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KR20180040173A (en) High luminance display device
CN110673394A (en) Backlight assembly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561114B1 (en) Manufacturing method for color conversion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display device including color conversion panel
US9447932B2 (en) Light-emitting diode packag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13153105A (en) Phosphor plate, light-emitting device using phosphor plat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phosphor plate
KR102639974B1 (en) Self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20200115761A (en)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EP3678187A1 (en) Display device
KR20200117080A (en)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210078620A (en) Display device
KR101937824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KR20200043581A (en) Display device
KR102619610B1 (en) Self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102575029B1 (en) Display device
KR101741951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200019409A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display
KR102531370B1 (en) Lighting device
US20220199692A1 (en) Color filter structur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