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0198A - Display device with repair structure - Google Patents

Display device with repair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0198A
KR20160060198A KR1020140161484A KR20140161484A KR20160060198A KR 20160060198 A KR20160060198 A KR 20160060198A KR 1020140161484 A KR1020140161484 A KR 1020140161484A KR 20140161484 A KR20140161484 A KR 20140161484A KR 20160060198 A KR20160060198 A KR 201600601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line
repair
layer
repair pattern
g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148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98795B1 (en
Inventor
김호준
박선익
조준영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614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8795B1/en
Publication of KR201600601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019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87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879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86Wiring, e.g. gate line, drain lin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or capacitors or resistor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86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50Protective arrangements
    • G02F2201/506Repairing, e.g. with redundant arrangement against defective par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having a repair structure for enabling a bad pixel of a display panel to operate as a normal pixel.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is the display device which comprises a display panel which is located on the same layer as a pixel electrode, which excludes a first region overlapping a data line and a gate line, and which is made of a plurality of pixel regions including a repair pattern located on a second region partially overlapping the data line.

Description

리페어 구조를 갖는 표시장치{DISPLAY DEVICE WITH REPAIR STRUCTURE}DISPLAY DEVICE WITH REPAIR STRUCTURE [0002]

본 발명은 리페어 구조를 갖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having a repair structure.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장치에 대한 요구가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근래에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플라즈마표시장치(PDP: Plasma Display Panel), 유기발광표시장치(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등과 같은 다양한 표시장치가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표시장치에는, 그에 맞는 표시패널이 포함된다. 한편, 액정표시장치, 유기발광표시장치 등의 표시장치를 위한 표시패널은 화상 표시를 위해 적어도 하나의 트랜지스터를 각 화소에 배치하고 있다. 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As an information-oriented society develops, there have been various demands for a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images. Recently,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plasma display panel (PDP) Various display devices such as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device are being used. Such various display apparatuses include display panels corresponding thereto. On the other hand, in a display panel for a display device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or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t least one transistor is disposed in each pixel for image display.

이러한 표시패널의 각 화소 내 트랜지스터는 많은 공정을 거쳐서 만들어지기 때문에, 공정상 미세한 이물들에 의해 트랜지스터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아 해당 화소가 휘점화 또는 암점화가 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Since the transistors in each pixel of the display panel are manufactured through a number of processes, the transistor may not operate normally due to microscopic foreign substances in the process, and the pixels may be ignited or darkened.

이러한 휘점화 또는 암점화가 된 불량 화소는, 표시패널의 수율과 제작 비용에 매우 심각한 악영향을 끼치게 된다. Such defective pixels that are subjected to smearing or darkening have a serious adverse effect on the yield of the display panel and on the fabrication cost.

따라서, 종래에는, 공정상의 미세한 이물로 인해, 휘점화가 된 불량 화소는 암점화시켜 정상 화소로 동작하지 않도록 하여, 육안으로 인식이 잘 되지 않도록 하는 리페어 처리를 해왔다. 그러나 리페어를 위해 별도의 구조를 트랜지스터 내에 구성할 경우, 리페어를 위한 구조와 트랜지스터 내의 다른 구성 요소 간에 기생 캐패시턴스(capacitance)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어왔다. Therefore, in the related art, defective pixels that have been ignited due to microscopic foreign substances in the process have been subjected to repair processing so as not to operate as normal pixels and ignorable by the naked eye. However, when a separate structure is built in a transistor for repair, there has been a problem that parasitic capacitance occurs between the structure for repair and other components in the transistor.

따라서, 기생 캐패시턴스가 발생하지 않는 리페어 구조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repair structure in which parasitic capacitance does not occur.

이러한 배경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게이트라인과 데이터라인 간에 쇼트가 발생할 경우 이를 리페어하는 구조를 가지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In view of the foregoing,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play device having a structure for repairing a short circuit between a gate line and a data line.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소전극이 형성된 층에 리페어패턴을 배치하여 리페어패턴으로 인한 기생 캐패시턴스를 제거하는 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ispose a repair pattern on a layer on which a pixel electrode is formed to remove parasitic capacitance due to a repair pattern.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리페어 공정의 정확성 및 안정성을 높이기 위하여 리페어 지점을 나타내는 구조가 포함된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structure representing a repair point in order to improve the accuracy and stability of the repair process.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화소전극과 동일한 층에 위치하며, 데이터라인과 게이트라인이 중첩하는 제1영역을 제외하며 데이터라인과 일부 중첩되는 제2영역 상에 위치하는 리페어패턴을 포함하는 다수의 화소 영역으로 구성된 표시패널을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object, in one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a pixel electrode, a pixel electrode, and a data line, And a display panel including a plurality of pixel regions including a repair pattern to be repaired.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데이터라인과 연결되며 화소전극과 절연하여 화소전극과 동일한 층에 위치하는 리페어패턴을 포함하는 다수의 화소 영역으로 구성된 표시패널을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display panel including a plurality of pixel regions connected to a data line and including a repair pattern that is isolated from a pixel electrode and located in the same layer as the pixel electrod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리페어패턴을 화소전극층 상에 배치하여 리페어패턴으로 인해 발생하는 기생 캐패시턴스를 감소시키며, 그로 인한 박막 트랜지스터의 출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pair pattern is disposed on the pixel electrode layer to reduce the parasitic capacitance caused by the repair pattern, thereby improving the output of the thin film transistor.

또한, 리페어를 위한 용접 지점을 안료층 혹은 보호층의 홀을 통하여 표시할 수 있으므로, 리페어 공정의 정확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 Further, since the welding point for repair can be displayed through the hole in the pigment layer or the protective layer, the accuracy of the repairing process can be improved.

또한, 리페어패턴은 게이트라인-데이터라인 간의 쇼트가 발생하는 영역과 상이한 층에 배치되므로, 리페어 공정에서 새로이 쇼트가 발생할 가능성을 제거하여 리페어 공정의 안정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repair pattern is disposed in a different layer from the region where the short circuit between the gate line and the data line occurs,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the stability of the repair process by eliminating the possibility of newly occurring short circuit in the repair process.

도 1은 실시예들을 적용하기 위한 표시장치(100)의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COT 구조에서의 리페어 구조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2의 201의 A-B 단면을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페이 패턴이 형성된 화소 영역을 도시한다.
도 5는 도 4의 402의 A-B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6은 도 4의 구조에서 게이트라인(410)과 데이터라인(420) 간에 쇼트가 발생한 경우 커팅하는 위치를 도시한다.
도 7은 도 6의 구조에서 데이터라인(420)을 리페어하기 위해 웰딩하는 위치를 도시한다.
도 8은 도 7의 A-B 부분을 절단한 경우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리페어패턴이 형성된 화소 영역을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리페어패턴 하에는 안료가 형성되지 않도록 하는 구성을 도시한다.
도 11은 도 10의 A-B 영역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리페어패턴과 데이터라인이 연결되어 있는 구성을 도시한다.
도 13은 도 12의 구성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리페어패턴이 오픈된 형태를 도시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리페어패턴이 오픈된 형태를 도시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데이터라인과 게이트라인 및 리페어패턴을 도시한다.
Figure 1 schematically illustrates a system of a display device 100 for applying embodiments.
Figure 2 shows the repair structure in the COT structure.
Fig. 3 shows an AB cross section of 201 in Fig.
FIG. 4 illustrates a pixel region in which a repeating pattern is form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shows a cross-section of AB of 402 in Fig.
Fig. 6 shows a position where a cut occurs between the gate line 410 and the data line 420 in the structure of Fig.
FIG. 7 shows the location of welding to repair the data line 420 in the structure of FIG.
Fig. 8 shows a case where the AB portion in Fig. 7 is cut.
FIG. 9 shows a pixel region where a repair pattern is form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shows a structure in which no pigment is formed under a repair patter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shows a cross section of the AB region of Fig.
FIG. 12 shows a structure in which a repair pattern and a data lin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shows a cross section of the configuration of Fig.
FIG. 14 shows an open form of a repair patter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llustrates an open form of a repair patter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shows a data line and a gate line and a repair patter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n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no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drawings, even if they are shown o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s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terms do not limit the nature, order, order, or number of the components.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Quot; intervening "or that each component may be" connected, "" coupled, "or " connected" through other components.

도 1은 실시예들을 적용하기 위한 표시장치(100)의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Figure 1 schematically illustrates a system of a display device 100 for applying embodiments.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들을 적용하기 위한 표시장치(100)는, 다수의 데이터라인(DL1~DLm) 및 다수의 게이트라인(GL1~GLn)이 형성되어 다수의 화소가 정의된 표시패널(110)과, 다수의 데이터라인(DL1~DLm)으로 데이터 전압을 공급하는 데이터 구동부(120)와, 다수의 게이트라인(GL1~GLn)으로 스캔 신호를 공급하는 게이트 구동부(130)와, 데이터 구동부(120) 및 게이트 구동부(130)의 구동 타이밍을 제어하는 타이밍 컨트롤러(140) 등을 포함한다. 1, a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data lines DL1 to DLm and a plurality of gate lines GL1 to GLn, A data driver 120 for supplying a data voltage to a plurality of data lines DL1 to DLm; a gate driver 130 for supplying a scan signal to a plurality of gate lines GL1 to GLn; A timing controller 140 for controlling the driving timings of the gate driver 120 and the gate driver 130, and the like.

데이터 구동부(120)는 타이밍 컨트롤러(140)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 제어신호(DCS) 및 변환된 영상신호(R'G'B')에 응답하여, 변환된 영상신호(R'G'B')를 계조 값에 대응하는 전압 값인 데이터 신호(아날로그 화소신호 혹은 데이터 전압)로 변환하여 데이터라인에 공급한다.The data driver 120 receives the converted video signal R'G'B 'in response to the data control signal DCS input from the timing controller 140 and the converted video signal R'G'B' (Analog pixel signal or data voltage) which is a voltage value corresponding to the gray-scale value, and supplies the data to the data line.

게이트 구동부(130)는 타이밍 컨트롤러(140)로부터 입력되는 게이트 제어신호(GCS)에 응답하여 게이트라인에 스캔신호(게이트 펄스 또는 스캔펄스, 게이트 온신호)를 순차적으로 공급한다.The gate driver 130 sequentially supplies a scan signal (a gate pulse, a scan pulse, and a gate-on signal) to the gate line in response to a gate control signal GCS input from the timing controller 140.

이러한 표시장치(100)는, 액정표시장치(LCD) 또는 유기발광표시장치(OLED) 등일 수 있는데, 표시장치(100)의 종류에 관계없이, 표시장치(100)의 각 화소에는 하나 이상의 트랜지스터가 반드시 포함될 수 있다. The display device 100 may be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OLED), or the like. Regardless of the type of the display device 100, .

한편, 표시장치(100)가 액정표시장치(LCD)인 경우, 표시패널(110)은 액정표시패널로, 트랜지스터, 다층구조의 보호층, 두 장의 기판들과 그 사이에 위치하는 액정층, 배향막, 칼라필터, 블랙매트릭스 및 감광성 물질층 등을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display apparatus 100 i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the display panel 110 is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which includes a transistor, a protective layer of a multilayer structure, a liquid crystal layer located between the two substrates, , A color filter, a black matrix, and a layer of photosensitive material, and the like.

표시패널(110)이 액정표시패널인 경우, 제 1 기판(하부 기판)은 COT(Color filter On TFT) 구조로 구현될 수 있고, 이 경우에, 블랙매트릭스와 컬러필터는 제 1 기판에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트랜지스터는 반도체층을 포함하고, 반도체층을 보호하기 위한 다층구조의 보호층이 구비될 수 있다.When the display panel 110 is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the first substrate (lower substrate) may be implemented as a COT (Color Filter On TFT) structure. In this case, a black matrix and a color filter are formed on the first substrate It is possible. Here, the transistor includes a semiconductor layer, and a multi-layered protection layer for protecting the semiconductor layer may be provided.

표시패널(110)이 액정표시패널인 경우, 제조공정에 있어서, 식각공정에 있어 다수의 컨택홀들의 높이(또는 두께)를 낮추어 컨택홀의 크기(size)가 제어될 수 있고, 제조공정 중에 감광성 물질층을 마스크로 사용함으로써, 마스크의 수와 공정의 수가 축소될 수 있다. 또한 제 1 기판(하부 기판)에는 다수의 데이터라인들과 교차되는 다수의 게이트라인들(또는 스캔라인들)의 교차부들에 형성되는 다수의 트랜지스터들, 액정셀들에 데이터전압을 충전시키기 위한 다수의 화소전극, 화소전극에 접속되어 액정셀의 전압을 유지시키기 위한 스토리지 캐패시터(Storage Capacitor) 등을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display panel 110 is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the height (or thickness) of a plurality of contact holes in the etching process can be lowered so that the size of the contact holes can be controlled, By using the layer as a mask, the number of masks and the number of processes can be reduced. The first substrate (lower substrate) may include a plurality of transistors formed at intersections of a plurality of gate lines (or scan lines) intersecting a plurality of data lines, a plurality of transistors A storage capacitor connected to the pixel electrode for maintaining the voltage of the liquid crystal cell, and the like.

표시패널(110)이 액정표시패널인 경우, 제 2 기판(상부 기판)에는 블랙매트릭스, 컬러필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화소(P)들은 데이터라인들과 게이트라인들에 의해 정의된 화소 영역에 형성되어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다. 화소들 각각의 액정셀은 화소전극에 인가되는 데이터전압과 공통전극에 인가되는 공통전압의 전압차에 따라 인가되는 전계에 의해 구동되어 입사광의 투과량을 조절한다.In the case where the display panel 110 is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the second substrate (upper substrate) may include a black matrix, a color filter, and the like, and the pixels P may include pixel regions defined by data lines and gate lines And arranged in a matrix form. The liquid crystal cells of each of the pixels are driven by an electric field applied in accordance with a voltage difference between a data voltage applied to the pixel electrode and a common voltage applied to the common electrode to control the amount of incident light.

표시패널(110)이 액정표시패널인 경우, IPS(In Plane Switching) 모드, FFS(Fringe Field Switching)모드 등 다른 액정 모드로도 구현될 수 있으며, 공통전극은 TN 모드와 VA 모드와 같은 수직전계 구동방식에서는 제 2 기판에 형성될 수 있고, IPS 모드와 FFS 모드와 같은 수평전계 구동방식에서 화소전극과 함께 제 1 기판에 형성될 수 있다.When the display panel 110 is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it may be implemented in other liquid crystal modes such as IPS (In Plane Switching) mode and FFS (Fringe Field Switching) mode. The common electrode may be a vertical electric field In the driving method, the second substrate may be formed on the first substrate together with the pixel electrode in the horizontal electric field driving method such as the IPS mode and the FFS mode.

한편, 게이트라인에서 연결된 게이트와 데이터라인에서 연결되거나 데이터라인과 동일한 층에 위치하는 소스 및 드레인으로 하나의 박막 트랜지스터가 형성되는데, 박막 트랜지스터 근처에 위치하는 게이트라인과 데이터라인이 수직으로 교차하여 위치하게 된다. 이렇게 수직으로 교차한 상태에서 게이트라인과 데이터라인 사이의 절연물질에 데미지가 발생하여 게이트라인과 데이터라인이 연결되는 경우 쇼트가 발생하며 이는 인접한 화소 영역에까지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이러한 쇼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리페어 구조를 필요로 한다. On the other hand, one thin film transistor is formed as a source and a drain connected at the gate and the data line connected to the gate line or at the same layer as the data line. The gate line and the data line, which are located near the thin film transistor, . When the gate line and the data lin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due to damage to the insulating material between the gate line and the data line in the vertical cross state, a short circuit occurs, which affects the adjacent pixel region. Therefore, a repair structure is required to solve such a shot problem.

도 2는 COT 구조에서의 리페어 구조를 도시한다.Figure 2 shows the repair structure in the COT structure.

201은 게이트라인이 형성되는 게이트층(210), 데이터라인이 형성되는 소스/드레인층(220), 그리고 화소전극층(230)의 구조를 보여준다. 도면에 미도시되었으나, 게이트층(210)과 소스/드레인층(220) 사이에 보호층이 형성되며, 소스/드레인층(220)과 화소전극층(230) 사이에도 절연을 위한 보호층이 형성될 수 있다. 보호층의 실시예로 패시베이션층, 안료층, 패시베이션층 등이 위치하며, 단일층 또는 다중층 구조가 될 수 있다.Reference numeral 201 denotes a structure of a gate layer 210 in which a gate line is formed, a source / drain layer 220 in which a data line is formed, and a pixel electrode layer 230. A protective layer is formed between the gate layer 210 and the source / drain layer 220 and a protective layer for insulation is formed between the source / drain layer 220 and the pixel electrode layer 230 . Examples of the protective layer include a passivation layer, a pigment layer, a passivation layer and the like, and may be a single layer or a multilayer structure.

게이트라인과 박막트랜지스터(280)의 게이트와 연결되며, 데이터라인은 박막 트랜지스터(280)의 소스 또는 드레인과 연결된다. 따라서, 게이트라인과 데이터라인은 박막트랜지스터(280)의 영역 혹은 박막트랜지스터(280)의 인접한 영역에서 중첩될 수 있다. 데이터라인이 형성되는 소스/드레인층(220)과 게이트라인이 형성되는 게이트층(210)의 중첩되는 영역은 290과 같이 리페어 구조를 가지고 있다. 291은 구동을 위한 라인이고, 292 및 293은 리페어를 위해 추가된 라인이다. 291 에서 데이터라인(220)과 게이트라인(210)이 쇼트가 발생할 경우 291 부분을 데이터라인(220)에서 분리시켜도 데이터라인(220)의 신호가 제대로 박막 트랜지스터 혹은 다른 화소 영역으로 인가될 수 있도록 292 및 293이 리페어 기능을 제공한다. 리페어 구조는 소스/드레인층(220), 즉 데이터라인이 양갈래로 형성된 패턴을 일 실시예로 하는데, 291, 292, 293과 같이 소스/드레인층(220)은 세 영역 중 어느 한 곳을 제거하여도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리페어 구조이다. 한편, 291, 292, 293은 모두 게이트층(210), 즉 게이트라인과 쇼트(short)가 발생할 수 있는 영역이다. The gate line is connected to the gate of the thin film transistor 280, and the data line is connected to the source or drain of the thin film transistor 280. Thus, the gate line and the data line may overlap in the region of the thin film transistor 280 or in the adjacent region of the thin film transistor 280. [ The overlapped region of the source / drain layer 220 in which the data line is formed and the gate layer 210 in which the gate line is formed has a repair structure such as 290. 291 is a line for driving, and 292 and 293 are lines added for repair. The data line 220 and the gate line 210 may be disconnected from the data line 220 when the data line 220 and the gate line 210 are short-circuited at 291 to 292 so that the signal of the data line 220 may be properly applied to the thin- And 293 provide the repair function. The repair structure is an embodiment in which the source / drain layer 220, that is, the data line is formed in a double-sided pattern, and the source / drain layer 220, such as 291, 292 and 293, Is a repair structure that operates normally. On the other hand, reference numerals 291, 292, and 293 denote regions where the gate layer 210, that is, a gate line and a short can occur.

202 및 203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201에서 화소전극층(230)을 도시하지 않고 게이트층(210)과 소스/드레인층(220)만을 도시한 구조이다. IPS 구조에서 화소전극층(230)은 공통전극(Vcom)층과 동일한 층으로, 공정 과정에서 화소전극과 공통 전극을 하나의 메탈로 형성할 수 있다. Reference numerals 202 and 203 denote only the gate layer 210 and the source / drain layer 220, not the pixel electrode layer 230 in FIG. In the IPS structure, the pixel electrode layer 230 is the same layer as the common electrode (Vcom) layer. In the process, the pixel electrode and the common electrode may be formed of one metal.

201의 290이 리페어를 위한 구조이며, 여기에서 게이트층(210)과 소스/드레인층(220)이 중첩되는 영역 중 291 영역에서 쇼트(short)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291의 양측의 소스/드레인층(220)을 절단하면 203과 되며, 앞서 290의 리페어 구조로 인해 소스/드레인(220)은 정상적인 동작을 수행한다. A structure 290 of FIG. 2 is constructed in which a short may occur in the region 291 of the region where the gate layer 210 and the source / drain layer 220 are overlapped. In this case, when the source / drain layer 220 on both sides of the transistor 291 is cut, the transistor 203 is formed. Due to the repair structure of the transistor 290, the source / drain 220 performs a normal operation.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소스/드레인층(220)을 완성한 후, 쇼트가 발생된 패턴(오픈된 지점)의 위치를 찾아가 해당 화소에 대해 리페어를 수행한다. 즉, GDS(Gate-Drain-short)가 발생한 부위를 정의하고, 해당 부위(292)의 데이터라인을 레이어 커팅(Layer Cutting)하면 리페어가 완료한다.In more detail, after completing the source / drain layer 220, a position of a pattern in which a short is generated (open point) is searched for and the repair is performed on the pixel. That is, a portion where a gate-drain-short (GDS) occurs is defined, and the data line of the corresponding portion 292 is subjected to layer cutting to complete the repair.

한편, 도 2와 같이 리페어를 위한 소스/드레인층(220)의 패턴(292, 293)이 게이트층(210)과 다수 지점에서 오버랩되며 캐패시턴스(Capacitance)를 발생시키며 이는 출력에 불리하다. 즉, 리페어를 위해 형성한 구조 자체가 게이트층(210)과 소스/드레인층(220)간 중첩되는 크로스(Cross)영역을 증가 시켜 GDS로 인한 불량 가능성이 증가한다. On the other hand, patterns 292 and 293 of the source / drain layer 220 for repair are overlapped with the gate layer 210 at many points as shown in FIG. 2, which causes capacitance, which is disadvantageous to the output. That is, the structure formed for repair increases the cross region where the gate layer 210 and the source / drain layer 220 overlap each other, thereby increasing the possibility of defects due to GDS.

도 3은 도 2의 201의 A-B 단면을 도시한다. 게이트층(210)과 소스/드레인층(220)간에 패시베이션층(215)이 위치하며, 소스/드레인층(220)과 화소전극층(230) 사이에도 안료층(222) 및 패시베이션층(225)이 위치한다. 한편 게이트층(210)과 소스/드레인층(220)간의 거리는 d이며, 여기서 캐패시턴스(C)는 아래 수학식 1에 제시된 바와 같이 거리 d에 반비례한다. 따라서, d가 작을수록 게이트층(210)과 소스/드레인층(220)간의 캐패시턴스는 높아진다. 물론 d가 작을수록 게이트층(210)과 소스/드레인층(220)간의 쇼트가 발생할 확률도 높아진다. 3 shows a section A-B of 201 in Fig. A passivation layer 215 is disposed between the gate layer 210 and the source / drain layer 220 and a pigment layer 222 and a passivation layer 225 are formed between the source / drain layer 220 and the pixel electrode layer 230 Located. While the distance between gate layer 210 and source / drain layer 220 is d, where capacitance C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distance d as shown in Equation 1 below. Thus, the smaller the d, the higher the capacitance between the gate layer 210 and the source / drain layer 220. Of course, the smaller the d, the higher the probability of a short circuit between the gate layer 210 and the source / drain layer 220.

[수학식 1][Equation 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도 2와 같은 리페어 구조는 불량을 발생시키는 메커니즘과 이를 해결하는 메커니즘이 동일한 메탈을 대상으로 하고 있어서, 리페어를 위한 구조이지만, 불량 발생 확률이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캐패시턴스 발생은 메탈 간 유전체가 존재할 경우 반드시 발생하며, 게이트층(210)과 소스/드레인층(220)간의 패시베이션(215)은 대략 2000~6000Å의 낮은 두께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수학식 1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높은 캐패시턴스가 발생할 수 있다. The repair structure shown in FIG. 2 is a structure for repairing a metal having a mechanism for generating a defect and a mechanism for solving the same, so that the probability of failure can be increased. Also, since the passivation 215 between the gate layer 210 and the source / drain layer 220 has a thickness as low as about 2000 to 6000 ANGSTROM, the generation of capacitance necessarily occurs in the presence of an intermetal dielectric, A high capacitance may occur as shown in FIG.

이하, 본 발명에서는 게이트라인과 데이트라인 간에 쇼트가 발생할 경우 이를 리페어하는 리페어패턴을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리페어 대상을 소스/드레인층과 화소전극층으로 구성하여 캐패시턴스를 줄일 수 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repair pattern for repairing a short circuit between a gate line and a data line.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pair target can be composed of a source / drain layer and a pixel electrode layer, thereby reducing the capacitanc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페이 패턴이 형성된 화소 영역을 도시한다. 도 4의 401은 리페어패턴이 형성된 구성을 보여준다. 425는 데이터라인(420)에 연결되거나 혹은 데이터라인(420)과 동일한 층에 위치하는 소스 및 드레인과 게이트라인(410)에 연결된 게이트로 구성된 박막 트랜지스터의 영역을 지시한다. 428은 게이트라인(410)과 데이터라인(420)이 중첩되는 영역을 지시한다. 428에서 게이트라인(410)과 데이터라인(420) 간에 쇼트가 발생할 수 있다.FIG. 4 illustrates a pixel region in which a repeating pattern is form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numeral 401 in FIG. 4 shows a structure in which a repair pattern is formed. Reference numeral 425 denotes an area of a thin film transistor which is connected to the data line 420 or composed of a source and a drain located on the same layer as the data line 420 and a gate connected to the gate line 410. Reference numeral 428 denotes an area where the gate line 410 and the data line 420 overlap. A short may occur between the gate line 410 and the data line 420 at 428.

402는 401 상에 화소전극 및 리페어패턴이 형성된 도면이다. 리페어패턴(440)은 401에서 428로 지시되는 영역을 노출시키는 홀(445)을 포함하며, 화소전극(430)과 동일한 층에서 화소전극(430)과 같은 물질로 형성된다. 리페어패턴(440)은 428로 지시되는 영역에서 쇼트가 발생할 경우, 데이터라인(420)을 박막 트랜지스터 영역(425)의 소스 또는 드레인과 연결하기 위한 구조이다. Reference numeral 402 denotes a pixel electrode and a repair pattern formed on the 401. The repair pattern 440 includes a hole 445 exposing an area indicated by 401 to 428 and is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pixel electrode 430 in the same layer as the pixel electrode 430. The repair pattern 440 is a structure for connecting the data line 420 to the source or the drain of the thin film transistor region 425 when a short circuit occurs in an area indicated by 428.

도 4에서 428 영역을 노출시키기 위한 형태의 실시예로 홀과 같은 폐곡선을 제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428 영역을 노출시키는 어떠한 형태의 리페어패턴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중심부가 홀이 형성된 도넛 형태 이외에도 428영역을 노출시키는 곡선 혹은 곡선형의 도형 혹은 꺾인 선 형상의 도형 역시 리페어패턴의 실시예가 될 수 있다.4, a closed curve such as a hole is shown as an embodiment for exposing the area 428.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ny type of repair pattern that exposes the area 428 is possible. For example, in addition to the donut shape in which a hole is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a curved shape or a curved shape or a broken line shape that exposes the area 428 may also be an example of a repair pattern.

도 5는 도 4의 402의 A-B의 단면을 도시한다. 게이트라인(410) 상에 제1보호층(415)이 위치하며, 그 위에 데이터라인(420)이 절연하여 위치한다. 그리고 데이터라인(420) 상에는 안료층(421) 및 제2보호층(422)가 위치한다. 제1보호층(415) 및 제2보호층(422)는 패시베이션층을 일 실시예로 한다. 데이터라인(420)이 형성된 층과 리페어패턴(440) 사이의 간격은 d'으로 앞서 도 3의 d보다 크다. 따라서, 캐패시턴스가 발생하지 않거나, 혹은 도 2 및 도 3의 경우보다 낮은 캐패시턴스가 발생한다. 앞서 도 3의 경우 패시베이션(215)의 두께로 인해 캐패시턴스를 결정하는 거리 d의 값이 2000~6000Å였으나, 도 5와 같이 두 개의 층(421 및 422)로 인한 두께 d'는 30000~33000Å로 최소 5배, 최대 16배의 차이가 발생하여 리페어패턴과 데이터라인 사이에 발생가능한 캐패시턴스를 크게 낮출 수 있다. 즉, 리페어패턴으로 인한 기생 캐패시턴스를 줄여 박막 트랜지스터의 출력을 향상할 수 있다.Fig. 5 shows a cross section taken along line A-B of 402 in Fig. A first passivation layer 415 is located on the gate line 410, on which the data line 420 is isolated. On the data line 420, a pigment layer 421 and a second protective layer 422 are disposed. The first passivation layer 415 and the second passivation layer 422 may be a passivation layer. The distance between the layer in which the data line 420 is formed and the repair pattern 440 is larger than d in Fig. 3, ahead of d '. Therefore, capacitance is not generated, or capacitance lower than in the case of FIGS. 2 and 3 is generated. 3, the distance d that determines the capacitance due to the thickness of the passivation layer 215 is 2000 to 6000 Å. However, since the thickness d 'of the two layers 421 and 422 is 30000 to 33000 Å, A difference of 5 times and a maximum of 16 times occurs, and the capacitance that can be generated between the repair pattern and the data line can be significantly lowered. That is, the parasitic capacitance due to the repair pattern can be reduced, and the output of the thin film transistor can be improved.

도 6은 도 4의 구조에서 게이트라인(410)과 데이터라인(420) 간에 쇼트가 발생한 경우 커팅하는 위치를 도시한다. Fig. 6 shows a position where a cut occurs between the gate line 410 and the data line 420 in the structure of Fig.

앞서 도 4에서는 홀(445)에 대응되는 영역(428)에서 게이트라인(410)과 데이터라인(420)이 중첩되어 위치하는데, 제1보호층(415)에서 게이트라인(410)과 데이터라인(420)이 절연하지 못하고 쇼트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쇼트가 발생한 부분을 박막 트랜지스터 영역과 분리시키기 위해, 601의 491 및 492 부분을 절단한다. 이 경우 게이트라인(410)은 그대로이지만, 데이터라인(420)은 절단된다. 리페어패턴(440)에 홀(445)가 위치하므로, 홀(445)를 통하여 데이터라인(420)을 절단할 수 있다. 절단된 부분을 확대하면 602와 같다. 4, the gate line 410 and the data line 420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in the region 428 corresponding to the hole 445. In the first protective layer 415, the gate line 410 and the data line 420) can not be insulated and a short circuit may occur. In this case, portions 491 and 492 of 601 are cut so as to separate the portion where the short is generated from the thin film transistor region. In this case, the gate line 410 remains, but the data line 420 is disconnected. Since the hole 445 is located in the repair pattern 440, the data line 420 can be cut through the hole 445. [ The enlarged portion is the same as 602.

도 7은 도 6의 구조에서 데이터라인(420)을 리페어하기 위해 웰딩하는 위치를 도시한다. FIG. 7 shows the location of welding to repair the data line 420 in the structure of FIG.

앞서 도 6과 같은 구조에서 602와 같이 데이터라인(420)을 절단하면 게이트라인(410)과 데이터라인(420)의 쇼트 문제는 해결되지만 데이터라인(420)의 신호가 다른 화소 영역으로 전달되지 못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앞서 살펴본 리페어패턴(440)과 데이터라인(420)을 연결한다. 연결은 도 7의 461 및 462의 영역에서 용접(welding)하여 데이터라인(420)이 리페어패턴(440)에 연결된다.6, when the data line 420 is cut off as shown at 602, the short-circuit problem between the gate line 410 and the data line 420 is solved, but the signal of the data line 420 is not transferred to another pixel region .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repair pattern 440 and the data line 4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connection is welded in the area of 461 and 462 in FIG. 7 so that the data line 420 is connected to the repair pattern 440.

정리하면, 리페어패턴(440)은 데이터라인(420)과 연결되고, 화소전극과 절연한 상태가 된다. 그리고 리페어가 일어나기 전에 데이터라인(420)과 연결되었던 쇼팅부(쇼팅이 발생한 부분, 628)는 더 이상 데이터라인(420)과 연결되어 있지 않는다. 따라서 쇼팅부(628)에 게이트라인(410)의 스캔 신호가 인가되어도 데이터라인(420)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인접한 화소의 동작에도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또한, 리페어패턴(440)이 데이터라인(420)과 연결되므로 데이터라인(420)의 신호가 화소들에게 정상적으로 인가된다. In summary, the repair pattern 440 is connected to the data line 420 and insulated from the pixel electrode. And the shorting portion (the portion where the shorting occurred) 628, which was connected to the data line 420 before the repair, is no longer connected to the data line 420. Therefore, even if the scan signal of the gate line 410 is applied to the shorting portion 628, the data line 420 is not affected and the operation of adjacent pixels is not affected. Also, since the repair pattern 440 is connected to the data line 420, the signal on the data line 420 is normally applied to the pixels.

도 8은 도 7의 A-B 부분을 절단한 경우를 도시한다. 495는 게이트라인(410)과 데이터라인(420)이 쇼트됨을 보여준다. 쇼팅된 데이터라인(420)은 쇼팅부(628)이며, 더 이상 데이터라인(420)의 신호가 인가되지 않는다. 즉, 도 6에서 지시된 커팅 영역인 491 및 492 부분에서 데이터라인(420)이 절단됨을 알 수 있다. 용접을 위한 영역인 461 및 462에서 리페어패턴(440)이 데이터라인(420)과 연결되므로 데이터라인(420)의 신호가 인접한 화소에 인가될 수 있다. Fig. 8 shows a case where the portion A-B in Fig. 7 is cut. 495 shows that the gate line 410 and the data line 420 are short-circuited. The shorted data line 420 is the shorting portion 628, and no longer the signal of the data line 420 is applied. That is, it can be seen that the data line 420 is cut in the cutting areas 491 and 492 indicated in FIG. The repair pattern 440 is connected to the data line 420 in the regions 461 and 462 for welding so that the signal of the data line 420 can be applied to the adjacent pixels.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리페어패턴이 형성된 화소 영역을 도시한다. 도 4와 달리, 리페어패턴(440)과 화소전극(430) 사이에 연결패턴(910)이 위치한다. 데이터라인(420)과 게이트라인(410) 사이에 쇼트가 발생하지 않으면 리페어패턴(440)은 화소전극(430)에 연결되거나, 또는 화소전극과 같은 층에 형성되는 공통전극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불량이 발생할 경우 연결패턴을 절단하고, 쇼팅된 데이터라인을 절단하며, 각 절단선은 991, 491, 492가 된다. 그리고, 리페어패턴과 데이터라인을 연결하기 위해 리페어패턴(440)과 데이터라인(420)이 중첩되는 두 영역에서 용접 공정을 적용함은 앞서 살펴보았다. 연결패턴이 절단된 경우를 확대하면 905와 같다. 920에서 지시되는 영역에서 910의 연결패턴이 절단되어 있다. FIG. 9 shows a pixel region where a repair pattern is form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the connection pattern 910 is located between the repair pattern 440 and the pixel electrode 430. [ The repair pattern 440 may be connected to the pixel electrode 430 or may be connected to a common electrode formed in the same layer as the pixel electrode. When a defect occurs, the connection pattern is cut, and the shorted data line is cut, and each cut line becomes 991, 491, and 492. The welding process is applied to the two areas where the repair pattern 440 and the data line 420 are overlapped to connect the repair pattern and the data line. If the connection pattern is cut off, it is equal to 905. 910 < / RTI > connection pattern is cut in the area indicated by 920.

도 9의 리페어패턴패턴은 화소전극이 아닌 공통전극과도 연결될 수 있다. IPS 구조에서 화소전극과 공통전극은 동일한 물질로 동일한 층에 형성되며, 이 과정에서 리페어패턴은 화소전극 혹은 공통전극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리페어패턴을 공통전극 또는 화소전극과 연결시킬 경우 리페어가 발생하기 전에는 공통전극의 신호 또는 화소전극의 신호를 전달하는 기능을 제공하므로, 리페어패턴이 리페어가 되지 않을 경우에도 별도의 신호가 인가되는 특성을 유지한다. The repair pattern in FIG. 9 may be connected to a common electrode other than the pixel electrode. In the IPS structure, the pixel electrode and the common electrode are formed on the same layer with the same material. In this process, the repair pattern may be formed in connection with any one of the pixel electrode and the common electrode. When the repair pattern is connected to the common electrode or the pixel electrode, since the function of transmitting the signal of the common electrode or the signal of the pixel electrode before the repair is performed is provided, even when the repair pattern is not repaired, Lt; / RTI >

즉, 쇼트가 발생하면, 도 6 내지 도 8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리페어 과정이 일어나며, 또한 연결패턴(910) 역시 절단되어 리페어패턴(440)을 화소전극(430)과 절연시킨다. 991은 연결패턴(910)을 절단하는 위치를 보여준다. 6 to 8, the repairing process is also performed and the connection pattern 910 is also cut to insulate the repair pattern 440 from the pixel electrode 430. In other words, Reference numeral 991 denotes a position where the connection pattern 910 is cut.

도 10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리페어패턴 하에는 안료가 형성되지 않도록 하는 구성을 도시한다. 안료가 형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리페어 공정을 시행함에 있어서 용접할 공간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Fig. 10 shows a structure in which no pigment is formed under a repair patter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igment is not formed, the space to be welded can be easily grasped in the repair process.

도 4와 구조가 동일하며, 리페어패턴(440)과 데이터라인(420)이 중첩되는 영역에 1011 및 1012과 같이 안료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아 리페어 공정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카메라에서 리페어패턴(440) 상의 용접 지점을 정확히 인식할 수 있다. 즉, 리페어를 위한 지점을 정확하기 파악할 수 있으며, 리페어 과정에서 별도의 쇼트가 발생할 가능성을 제거하므로 안정적인 리페어 구조를 제공한다.4, the repair layer 440 and the data line 420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In a region where the pigment layer is not formed as shown in 1011 and 1012, the repair pattern 440 is removed from the camera during the repair process,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recognize the welding spot on the workpiece.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identify the point for repair, and eliminates the possibility of a separate shot in the repair process, thereby providing a stable repair structure.

도 11은 도 10의 A-B 영역의 단면을 도시한다. 1101은 앞서 1011 및 1012에서 안료층(1110)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보여준다. 1102는 1101의 구조에서 데이터라인(420)과 게이트라인(410) 사이에 쇼트가 발생한 경우, 리페어된 상태를 보여준다. 1192와 같이 쇼트가 발생한 데이터라인(420)은 절단되어 있다. 즉, 리페어가 일어나기 전에 데이터라인(420)과 연결되었던 쇼팅부(628)는 더 이상 데이터라인(420)과 연결되어 있지 않는다. 따라서 쇼팅부(628)에 게이트라인(410)의 스캔 신호가 인가되어도 데이터라인(420)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인접한 화소의 동작에도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그리고, 안료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1011, 1012)에서 용접이 이루어져 리페어패턴(440)과 데이터라인(420)이 연결된다. 11 shows a cross section of the region A-B in Fig. 1101 shows a state in which the pigment layer 1110 is not formed in 1011 and 1012 previously. Reference numeral 1102 denotes a repaired state when a short circuit occurs between the data line 420 and the gate line 410 in the structure 1101. FIG. The data line 420 in which a short-circuited is generated as shown in 1192 is cut off. That is, the shorting unit 628, which was connected to the data line 420 before the repair, is no longer connected to the data line 420. Therefore, even if the scan signal of the gate line 410 is applied to the shorting portion 628, the data line 420 is not affected and the operation of adjacent pixels is not affected. Welding is performed in the regions 1011 and 1012 where no pigment is formed, and the repair pattern 440 and the data line 420 are connected.

도 12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리페어패턴과 데이터라인이 연결되어 있는 구성을 도시한다. 리페어패턴(1340)은 데이터라인(420)과 연결되어 있다. 데이터라인(420)과 게이트라인(410) 상에 쇼트가 발생하지 않으면 리페어패턴(1340)은 데이터라인(420)과 연결된 상태를 유지한다. 리페어패턴(1340)과 데이터라인(420)은 1351 및 1352의 홀을 통하여 연결된 상태를 유지한다. FIG. 12 shows a structure in which a repair pattern and a data lin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pair pattern 1340 is connected to the data line 420. The repair pattern 1340 remains connected to the data line 420 if no short circuit occurs on the data line 420 and the gate line 410. [ The repair pattern 1340 and the data line 420 remain connected through the holes 1351 and 1352. [

도 13은 도 12의 구성의 단면을 도시한다. 1301은 리페어 공정을 적용하기 전의 구성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리페어패턴(1340)은 데이터라인(420)과 연결되어 있다. 1302는 리페어 공정을 적용한 후의 구성이다. 데이터라인(420)에서 1392와 같이 게이트라인(410)과 쇼트가 발생하면 491, 492 부분이 절단된다.13 shows a cross section of the configuration of Fig. 1301 is a configuration before the repair process is applied. As described above, the repair pattern 1340 is connected to the data line 420. Reference numeral 1302 denotes a structure after the repair process is applied. When a short circuit occurs between the gate line 410 and the data line 420 at 1392, portions 491 and 492 are cut off.

도 12와 같이 리페어 공정의 유무와 관계없이 리페어패턴(1340)을 데이터라인(420)과 연결시키면, 리페어 공정에서 별도의 용접 작업을 진행할 필요 없이 데이터라인(420)만 절단할 수 있으므로, 리페어 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다. 즉, 안료층(1310)과 보호층(1320)에 마스크 등을 이용하여 홀(1351, 1352)을 생성하고, 이후 화소전극층을 증착하며 리페어패턴이 홀(1351, 1352)을 통하여 데이터라인(420)과 연결되며 이후 리페어가 필요할 경우 1302와 같이 절단 공정만을 진행하여 리페어 공정을 줄일 수 있다. 12, when the repair pattern 1340 is connected to the data line 420 regardless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repair process, only the data line 420 can be cut without performing a separate welding operation in the repair process, Can be simplified. That is, holes 1351 and 1352 are formed in the pigment layer 1310 and the protective layer 1320 using a mask or the like, and then a pixel electrode layer is deposited, and a repair pattern is formed on the data lines 420 ), And if repair is required afterward, the repairing process can be reduced by performing only the cutting process as in 1302.

지금까지 살펴본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정리하면 게이트라인과 데이터라인의 중첩되는 영역에서 발생하는 쇼트를 리페어하기 위한 리페어패턴을 게이트라인층 또는 데이터라인층에 형성하지 않고, 데이터라인층과 화소전극층으로 변경한다. 이를 위해, 최상위층의 화소전극층에서 리페어를 위한 패턴을 설계할 수 있으며, 일 실시예에 의하면 리페어패턴은 화소전극과 플로팅되도록 설계할 수 있고,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도 9와 같이 리페어패턴을 화소전극과 연결되도록 설계할 수 있다. 리페어패턴을 화소전극층에 형성하므로, 리페어패턴과 데이터라인 사이의 거리를 증가시켜 불필요한 캐패시턴스의 발생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데이터라인층과 화소전극층의 거리가 증가하여 리페어패턴으로 인해 발생하는 쇼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리페어패턴은 게이트라인과 데이터라인 간의 쇼트가 발생할 경우, 데이터라인을 레이저 커팅할 수 있도록 해당 중첩 공간을 홀로 비워두는 구성을 일 실시예로 한다. 물론, 반드시 홀의 형태가 아니라 일부가 개방된 형태가 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 repair pattern for repairing a short circuit occurring in the overlapping area of the gate line and the data line is not formed in the gate line layer or the data line layer, Change it. For this purpose, it is possible to design a pattern for repair in the pixel electrode layer of the uppermost layer, 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repair pattern can be designed to float with the pixel electrode, an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t can be designed to be connected to the electrode. Since the repair pattern is formed in the pixel electrode layer, the distance between the repair pattern and the data line can be increased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unnecessary capacitance. In addi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data line layer and the pixel electrode layer increases, and the short circuit problem caused by the repair pattern can be solved. The repair pattern is a configuration in which, when a short-circuit occurs between the gate line and the data line, the overlapping space is left empty for laser-cutting the data line. Of course, it is not necessarily a form of a hole, but a part of it may be an open form.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리페어패턴이 오픈된 형태를 도시한다. 앞서 리페어패턴은 게이트라인과 데이터라인 간의 중첩되는 영역 상에 홀이 형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이 반드시 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14의 구성과 같이 리페어패턴(1440)은 도 4의 리페어패턴(440)과 달리, 좌측 상향이 오픈되어 열린 곡선(개곡선)의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FIG. 14 shows an open form of a repair patter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repair pattern, a hole was formed on the overlapped region between the gate line and the data lin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holes. Unlike the repair pattern 440 of FIG. 4, the repair pattern 1440 is formed in the shape of an opened curve (open curve) .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리페어패턴이 오픈된 형태를 도시한다. 리페어패턴(1540)은 도 4의 리페어패턴(440)과 달리, 좌측이 모두 오픈된 역"C"형상의 곡선(개곡선)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외에도 리페어패턴의 다양한 실시예를 살펴보면, 도 16과 같다. FIG. 15 illustrates an open form of a repair patter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repair pattern 440 in FIG. 4, the repair pattern 1540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curve (open curve) of a reverse "C" In addition, various embodiments of the repair pattern are shown in FIG.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데이터라인과 게이트라인 및 리페어패턴을 도시한다. 16 shows a data line and a gate line and a repair patter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01은 리페어패턴(1640a)가 데이터라인(1620a) 및 게이트라인(1610a)이 중첩되는 영역에 위치하지 않으며 꺾인 선의 형태인 실시예를 보여준다. 1602은 리페어패턴(1640b)가 데이터라인(1620b) 및 게이트라인(1610b)이 중첩되는 영역에 위치하지 않으며 직선의 형태인 실시예를 보여준다. 반면 데이터라인(1620b)이 꺾인 선의 형태임을 알 수 있다. Reference numeral 1601 denotes an embodiment in which the repair pattern 1640a is not located in a region where the data line 1620a and the gate line 1610a are overlapped and is in the form of a broken line. Reference numeral 1602 denotes an embodiment in which the repair pattern 1640b is not located in a region where the data line 1620b and the gate line 1610b overlap, and is in the form of a straight line. Whereas the data line 1620b is in the form of a broken line.

리페어패턴이 게이트라인과 데이터라인 간의 중첩되는 영역을 비워두고 형성되므로, 리페어 공정시 절단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리페어 지점을 확인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로 리페어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The repair pattern is formed with the overlapping area between the gate line and the data line being left empty, so that the repairing process can be easily performed during the repair process. In addition, a repair pattern can be formed in various forms so that the repair point can be identified.

또한, 리페어패턴은 데이터라인과 중첩되도록 형성되어야 리페어를 위한 용접이 가능하다. 따라서, 리페어패턴은 두 지점에서 데이터라인과 중첩되는 형태이다. In addition, the repair pattern must be formed so as to overlap with the data lines so that welding for repair can be performed. Thus, the repair pattern overlaps the data line at two points.

전술한 리페어패턴의 구성을 적용할 경우, 게이트라인과 데이터라인 간의 쇼트가 발생할 경우 해당 영역에서 데이터라인을 절단하고, 리페어패턴을 이용하여 데이터라인을 다시 연결하는 리페어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리페어패턴과 데이터라인을 연결하기 위한 용접 공정과, 데이터라인을 쇼팅된 부분과 절연시키는 커팅 공정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미리 리페어패턴과 데이터라인을 연결시킨 리페어패턴을 형성하고, 이후 쇼팅이 발생할 경우 데이터라인을 쇼팅된 부분과 절연시키는 커팅 공정만을 적용할 수 있다. 이는 도 12 및 도 13에서 살펴보았다. In the case of applying the above-described repair pattern configuration, when a short circuit occurs between the gate line and the data line, the data line is cut in the corresponding area, and the repair process of reconnecting the data line using the repair pattern can be performed. In this process, a welding process for connecting the repair pattern and the data line and a cutting process for insulating the data line from the shorted portion may be further included. It is also possible to form a repair pattern in which a repair pattern is connected to a data line in advance, and only a cutting process in which a data line is insulated from a shorted portion in the event of shorting can be applied. This is shown in FIGS. 12 and 13.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불량이 발생하는 영역, 예를 들어 데이터라인과 게이트라인이 중첩(cross)하는 영역에만 리페어패턴을 배치한다. 리페어패턴은 화소전극층과 동일한 층에, 화소전극층과 동일한 물질(ITO, IGZO, IZO 등)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리페어패턴이 화소전극층에 형성되므로, 쇼트가 발생하는 게이트라인-데이터라인과 별도의 영역에 형성된다. 따라서, 쇼트를 해결하는 영역과 쇼트가 발생하는 영역이 분리되어 있어 불량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또한, 리페어패턴과 데이터라인 사이의 거리로 인하여 리페어패턴으로 인해 발생하는 캐패시턴스가 줄어든다. 또한, 리페어패턴에서 리페어를 용이하게 수행하기 위해 안료층(421) 또는 보호층(422) 상에 미리 홀을 형성하여 커팅 또는 용접 공정을 수행시 카메라로 해당 지점을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그 결과 리페어 공정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Hereinafte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pair pattern is arranged only in an area in which a defect occurs, for example, an area where a data line and a gate line cross each other. The repair pattern can be formed on the same layer as the pixel electrode layer by using the same material (ITO, IGZO, IZO, etc.) as the pixel electrode layer. Since the repair pattern is formed in the pixel electrode layer, it is formed in a region separate from the gate line-data line where a short-circuit occurs. Therefore, the region where the shot is solved and the region where the shot is generated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so that the possibility of failure can be reduced. Also, the distance between the repair pattern and the data line reduces the capacitance caused by the repair pattern. In addition, holes can be formed on the pigment layer 421 or the protective layer 422 in order to easily perform repair in the repair pattern, so that the camera can accurately recognize the point when performing a cutting or welding process. As a result, the accuracy of the repair process can be improved.

본 발명을 적용할 경우, 게이트 신호를 전달하는 게이트라인과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는 데이터 신호가 중첩되는 영역에서 쇼트가 발생할 경우 이를 리페어하기 위해 화소전극층에 리페어패턴을 형성한다. 소스-드레인이 형성되는 층(데이터 라인 층)과 화소전극 사이에 보호층(패시베이션 층)과 안료층이 위치하며 데이터 라인이 형성된 층과 화소전극이 형성된 층 사이의 거리가 게이트라인과 데이터라인 사이의 층간 거리보다 높으므로 기생 캐패시턴스를 제거할 수 있다. 리페어패턴은 쇼트가 발생하여 커팅을 진행할 영역을 비워둘 수 있다. 이는 앞서 살펴본 홀의 형태이거나 리페어패턴 자체가 폐곡선 또는 개곡선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 repair pattern is formed on the pixel electrode layer in order to repair a short circuit in a region where a gate line for transferring a gate signal and a data signal for transferring a data signal overlap. (Passivation layer) and the pigment layer are located between the layer where the source-drain is formed (the data line layer) and the pixel electrode,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layer where the data line is formed and the layer where the pixel electrode is formed is between the gate line and the data line The parasitic capacitance can be removed. The repair pattern can leave the area where the cutting will occur and the cutting will proceed. This can be in the form of a hole as described above, or the repair pattern itself can have various shapes such as a closed curve or an open curve.

또한, 쇼팅된 부분을 커팅한 후, 다시 리페어패턴과 데이터라인을 연결시키기 위해 쇼팅 발생과 무관하게 리페어패턴과 데이터라인을 연결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보호층과 안료층에 홀을 생성하여 데이터라인과 리페어패턴을 연결할 수 있는데, 일 실시예로 홀이 생성된 영역에 CVD 증착 과정을 통하여 데이터라인과 리페어패턴을 연결할 수 있다. 한편, 리페어 패턴은 플로팅되거나 또는 Vcom 신호가 들어오도록 설계할 수 있다.In addition, after cutting the shorted portion, the repair pattern and the data line can be connected regardless of the occurrence of the shorting to connect the repair pattern and the data line again. For this purpose, a hole may be formed in the protective layer and the pigment layer to connect the data line and the repair pattern. In one embodiment, the repair pattern may be connected to the data line through the CVD deposition process. On the other hand, the repair pattern can be designed to float or to receive the Vcom signal.

본 발명에 의하면, 표시패널(110)에서 데이터라인과 게이트라인 사이에 쇼트가 발생할 경우 이를 리페어하는 리페어패턴을 갖는 표시장치(100)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of providing a display device (100) having a repair pattern that repairs a short circuit between a data line and a gate line in the display panel (110).

본 발명을 적용할 경우, 리페어패턴이 포함된 화소 영역으로 구성된 표시패널을 제공한다. 리페어패턴은 리페어 공정 없이 출하된 표시패널/표시장치의 화소 영역은 화소전극과 동일한 층에 위치하며, 데이터라인과 게이트라인이 중첩하는 제1영역을 제외하며 데이터라인과 일부 중첩되는 제2영역 상에 위치하는 리페어패턴을 포함한다. 한편 리페어 공정이 진행된 화소 영역을 살펴보면, 데이터라인과 동일한 층에서 소스 또는 드레인과 절연하여 위치하는 쇼팅부와, 데이터라인과 연결되며 상기 화소전극과 절연하여 상기 화소전극과 동일한 층에 위치하는 리페어패턴이 위치한다. 표시패널에 따라 일부 화소 영역에는 리페어 공정 처리를 거친 리페어패턴이 존재하며, 또다른 화소 영역에는 리페어 공정 처리 없는 리페어패턴이 존재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isplay panel comprising a pixel region including a repair pattern. In the repair pattern, the pixel region of the display panel / display device shipped without a repair process is located on the same layer as the pixel electrode, and the second region excluding the first region in which the data line and the gate line overlap, As shown in FIG. On the other hand, in the pixel region in which the repair process is performed, a shorting portion positioned in the same layer as the data line and insulated from the source or the drain is formed. The repairing portion, which is connected to the data line and isolated from the pixel electrode, . Depending on the display panel, some pixel areas have a repair pattern that has undergone a repair process, and another pixel area has a repair pattern that does not include a repair process.

리페어패턴에 연결패턴이 존재할 경우, 리페어 공정을 거친 후에는 연결패턴이 절단된 형태로 존재한다. If there is a connection pattern in the repair pattern, after the repair process, the connection pattern exists in a cut form.

이상에서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구성의 결합, 분리, 치환 및 변경 등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s. , Separation, substitution, and alteration of the invention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표시장치
110: 표시패널
120: 데이터 구동부
130: 게이트 구동부
140: 타이밍 컨트롤러
440, 1440, 1540, 1640a, 1640b: 리페어패턴
100: display device
110: Display panel
120: Data driver
130: Gate driver
140: Timing controller
440, 1440, 1540, 1640a, 1640b: repair pattern

Claims (10)

게이트라인과 연결된 게이트와 상기 게이트라인과 절연하여 위치하는 데이터라인에 연결되거나 상기 데이터라인과 동일한 층에 위치하는 소스 및 드레인으로 구성된 박막 트랜지스터와,
상기 소스 또는 드레인에 연결된 화소전극과,
상기 화소전극과 동일한 층에 위치하며, 상기 데이터라인과 상기 게이트라인이 중첩하는 제1영역을 제외하며 상기 데이터라인과 일부 중첩되는 제2영역 상에 위치하는 리페어패턴을 포함하는 다수의 화소 영역으로 구성된 표시패널;
상기 데이터라인으로 데이터 전압을 공급하는 데이터 구동부; 및
상기 게이트라인으로 스캔 신호를 공급하는 게이트 구동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A thin film transistor having a gate connected to a gate line and a source and a drain connected to a data line insulated from the gate line or located on the same layer as the data line;
A pixel electrode connected to the source or the drain,
A plurality of pixel regions including a repair pattern located on a same layer as the pixel electrode and located on a second region excluding a first region overlapping the data line and the gate line and partially overlapping the data line, A display panel configured;
A data driver for supplying a data voltage to the data line; And
And a gate driver for supplying a scan signal to the gate li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페어패턴과 상기 화소전극 또는 상기 화소전극과 동일한 층에 형성된 공통전극과 연결패턴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pair pattern is connected to the common electrode formed on the same layer as the pixel electrode or the pixel electrode in a connection patter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라인과 상기 데이터라인 사이에 제1보호층이 위치하며,
상기 데이터라인과 상기 리페어패턴 사이에 안료층 및 제2보호층이 위치하며,
상기 제1보호층의 두께보다 상기 제2보호층 및 상기 안료층의 두께가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protective layer is located between the gate line and the data line,
A pigment layer and a second protective layer are disposed between the data line and the repair pattern,
Wherein a thickness of the second protective layer and a thickness of the pigment layer are larger than a thickness of the first protective lay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리페어패턴 하의 안료층에 홀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3,
And a hole is located in the pigment layer under the repair patter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홀은 상기 데이터라인을 노출시키며;
상기 리페어패턴은 상기 홀을 통하여 상기 데이터라인과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hole exposing the data line;
And the repair pattern is connected to the data line through the ho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페어패턴은 상기 제1영역을 둘러싼 폐곡선의 형태이거나 또는 상기 제2영역에서 개곡선으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pair pattern is in the form of a closed curve surrounding the first region or in an open curve in the second reg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페어패턴은 상기 제2영역 상에서 상기 데이터라인과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repair pattern overlaps the data line on the second region.
게이트라인과 연결된 게이트와 상기 게이트라인과 절연하여 위치하는 데이터라인에 연결되거나 상기 데이터라인과 동일한 층에 위치하는 소스 및 드레인으로 구성된 박막 트랜지스터와,
상기 소스 또는 드레인에 연결된 화소전극과,
상기 데이터라인과 동일한 층에서 상기 소스 또는 드레인과 절연하여 위치하는 쇼팅부와,
상기 데이터라인과 연결되며 상기 화소전극과 절연하여 상기 화소전극과 동일한 층에 위치하는 리페어패턴을 포함하는 다수의 화소 영역으로 구성된 표시패널;
상기 데이터라인으로 데이터 전압을 공급하는 데이터 구동부; 및
상기 게이트라인으로 스캔 신호를 공급하는 게이트 구동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A thin film transistor having a gate connected to a gate line and a source and a drain connected to a data line insulated from the gate line or located on the same layer as the data line;
A pixel electrode connected to the source or the drain,
A shorting part located in the same layer as the data line and insulated from the source or the drain,
And a plurality of pixel regions connected to the data lines, the pixel regions being insulated from the pixel electrodes and including a repair pattern located on the same layer as the pixel electrodes;
A data driver for supplying a data voltage to the data line; And
And a gate driver for supplying a scan signal to the gate lin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리페어패턴과 상기 화소전극 사이에 절단된 연결패턴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And a connection pattern cut between the repair pattern and the pixel electrode is positioned.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라인과 상기 데이터라인 사이에 제1보호층이 위치하며,
상기 데이터라인과 상기 리페어패턴 사이에 안료층 및 제2보호층이 위치하며,
상기 리페어패턴 하의 안료층 및 상기 제2보호층에 홀이 위치하며,
상기 리페어패턴은 상기 홀을 통하여 상기 데이터라인과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A first protective layer is located between the gate line and the data line,
A pigment layer and a second protective layer are disposed between the data line and the repair pattern,
A hole in the pigment layer under the repair pattern and the second protective layer,
And the repair pattern is connected to the data line through the hole.

KR1020140161484A 2014-11-19 2014-11-19 Display device with repair structure KR10219879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1484A KR102198795B1 (en) 2014-11-19 2014-11-19 Display device with repair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1484A KR102198795B1 (en) 2014-11-19 2014-11-19 Display device with repair struc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0198A true KR20160060198A (en) 2016-05-30
KR102198795B1 KR102198795B1 (en) 2021-01-06

Family

ID=57124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1484A KR102198795B1 (en) 2014-11-19 2014-11-19 Display device with repair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8795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24630B2 (en) 2017-07-31 2019-09-24 L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US11067859B2 (en) 2018-08-23 2021-07-20 Samsung Displa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repairing method thereof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0378A (en) * 2000-05-01 2001-11-14 구본준, 론 위라하디락사 Structure of Repair in liquid crystal display and method for repairing the same
KR20070117738A (en) * 2006-06-09 2007-12-13 삼성전자주식회사 Repair method of display plate and display plate repaired by the method
US20090102998A1 (en) * 2007-10-18 2009-04-23 Hannstar Display Corporation Display apparatus and repair method thereof
KR20110066337A (en) * 2009-12-11 2011-06-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Thin film transist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0378A (en) * 2000-05-01 2001-11-14 구본준, 론 위라하디락사 Structure of Repair in liquid crystal display and method for repairing the same
KR20070117738A (en) * 2006-06-09 2007-12-13 삼성전자주식회사 Repair method of display plate and display plate repaired by the method
US20090102998A1 (en) * 2007-10-18 2009-04-23 Hannstar Display Corporation Display apparatus and repair method thereof
KR20110066337A (en) * 2009-12-11 2011-06-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Thin film transist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24630B2 (en) 2017-07-31 2019-09-24 L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US11067859B2 (en) 2018-08-23 2021-07-20 Samsung Displa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repair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8795B1 (en) 2021-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49700B2 (en) OLED array substrat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repairing dark spot thereon
JP4088619B2 (en) Active matrix substrate and display device
CN100463018C (en) Active matrix substrate, display device, and pixel defect correcting method
JP2007298791A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repairing its defect
KR20180049349A (en) Touch-Type Display Panel and Short-Repair Method thereof
US9366926B2 (en) Pixel unit, array substrate, method for manufacturing array substrate, method for repairing array substrate, and display device
KR101820032B1 (en) Thin film transistor panel,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to repair thereof
US20110109863A1 (en) Common repair structures for close bus in a liquid crystal display
WO2011096125A1 (en) Display device
KR20070072304A (en) Flat panel display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KR102195180B1 (en) Display device with redundancy transistor structure
US10838277B2 (en) Image display device with frame region transistor control line including stacked line layers
CN100557805C (en) Dot structure
US10126617B2 (en) Method and device for repairing bright dot in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with bright dots repaired
US7990486B2 (en)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with line defect repairing mechanism and repairing method thereof
JP2008010815A (en) Auto repair structure f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20150370101A1 (en) Method of repairing display panel, and display panel
KR102075060B1 (en) Structure for repairing wirings and flat pane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102198795B1 (en) Display device with repair structure
JPH03242625A (en) Active matrix typ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N103163700A (en) Fault correcting method of display base plate, display device and scanning strip
JP2010165866A (en) Method of manufacturing thin film transistor
JP4627081B2 (en) Active matrix substrate and display device
TWI814549B (en) Active device substrate
KR100671522B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disclination of liquid cryst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