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0013A - 대량의 어류들이 서식하도록 작용하는 인공어초 기능과 하천을 이용하는 어린이와 어른들의 추락방지 작용과 오염된 하천수를 자연적으로 정화시켜도록 작용하는 친환경 종합 수질정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대량의 어류들이 서식하도록 작용하는 인공어초 기능과 하천을 이용하는 어린이와 어른들의 추락방지 작용과 오염된 하천수를 자연적으로 정화시켜도록 작용하는 친환경 종합 수질정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0013A
KR20160060013A KR1020160055986A KR20160055986A KR20160060013A KR 20160060013 A KR20160060013 A KR 20160060013A KR 1020160055986 A KR1020160055986 A KR 1020160055986A KR 20160055986 A KR20160055986 A KR 20160055986A KR 20160060013 A KR20160060013 A KR 201600600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ver
fish
water
fall prevention
fish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5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상관
Original Assignee
한상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상관 filed Critical 한상관
Priority to KR10201600559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60013A/ko
Publication of KR201600600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00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70Artificial fishing banks or reef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43Artificial seawe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40Swinging or turning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2Sediment base gates; Sand sluices; Structures for retaining arresting waterborne material
    • E02B8/023Arresting devices for waterborne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8Fish passes or other means providing for migration of fish; Passages for rafts or boa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60Ecological corridors or buffer zo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Revetment (AREA)
  • Artificial Fish Reefs (AREA)

Abstract

하천(100)을 굴착 준설하여 수로를 정비한후 수로바닥에 기초 콘크리트(700)을 설치하는 구조;
기초콘크리트(700) 상단에 가동보 수문(500)을 설치하는 구조;
가동보 수문(500)의 일측에 원형의 스크류하우징(600)과 결합되는 스크류이송기(601)의 구조;
스크류 이송기(601)의 상단에 구성되는 회전모타(602)의 구조;
스크류하우징(600)의 하단에 구성되는 부유물질 유입구(605)의 구조;
스크류하우징(600)의 상단에 구성되는 부유물질배출구(606)의 구조;
부유물질배출구(606)의 입구에 구성되는 이송용 콘베어 벨트(800)의 구조;
하천의 둔치 양안에 인공산란장(1000)과 물고기 이동구(1001)가 층층으로 구성되어 있는 인공어초 구조물(2000)을 설치하여 물고기를 비롯한 수생생물의 생활터전과 산란장이 구비되는 친환경 생태하천 수로의 구조;
인공어초 구조물(2000)의 상단부에 구성되는 자전거 도로와 산책로 겸용 둔치(200)의 구조;
하천(100)의 양안에 설치되는 추락방지막 조절기(300)의 구조;
추락방지막 조절기(300)과 결합되는 장대 형태의 조절봉(301)의 구조;
조절봉(301)과 결합되는 그믈 형태의 추락방지막(302)의 구조;
추락방지막(302)을 부유시켜주는 부구통(303)의 구조;
추락방지막(302)에 구성되는 수질정화추(102)의 구조;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하천(100)에 가동보 수문(500)을 설치하여 하천(100)의 둔치 부분까지 항상 수위를 유치시켜서 하천에 서식하는 물고기와 양서류를 비록한 수생동물들의 서식환경을 조성하여 이들 생물들의 서식환경을 도와주어서 자연생태계를 복원시켜주도록 구성되는 대량의 어류들이 서식하도록 작용하는 인공어초 기능과 하천을 이용하는 어린이와 어른들의 추락방지 작용과 오염된 하천수를 자연적으로 정화시켜도록 작용하는 친환경 종합 수질정화 시스템에 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대량의 어류들이 서식하도록 작용하는 인공어초 기능과 하천을 이용하는 어린이와 어른들의 추락방지 작용과 오염된 하천수를 자연적으로 정화시켜도록 작용하는 친환경 종합 수질정화 시스템 {omitted}
본 발명은 오염된 수질을 정화시키는 작용과 하천으로 추락하는 추락방지 작용과 대량의 어류들이 자유롭게 서식하도록 작용하는 인공어초 기능을 발휘하도록 구성되는 종합 수질정화 시스템에 관한 발명인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물과 육지의 경계를 이루게 되는 둔치경계면과 접하고 있는 물속에 설치하여 완만한 수심과 둔치의 침식방지, 물고기 및 수생생물의 생태보존, 오염된 수질의 정화 등을 이룰 수 있으면서 인공어초 기능도 발휘하는구성되는 종합 수질정화 시스템에 관한 발명인 것이다.
호안이라함은 물이 육지와 경계를 이루는 곳으로서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일종의 방호벽이다.하천제방의 침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저수로의 양안에 설치된다. 이러한 방호벽은 제방이나 뚝과 같은 형태로 축조되며 이때 물과 경계를 이루는 곳의 육지를 보통 둔치 또는 고수부지라 일컫는다.
상기 물과 육지의 경계를 이루는 방호벽(이하, “둔치경계면‘이라 함)은 보통 구조적으로 안정적인 콘크리트 구조물로 축조되거나 또는 자연친화적인 자재 즉, 돌망태 또는 석축과 같은 돌 등을 쌓아 축조되기도 한다.
하지만,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로 된 둔치경계면은 설치 후 인위적이라 미관상 좋지 못한 단점과 물고기 및 수생생물이 서식할 수 없게 되어 그로인한 수질정화기능을 할 수 없어 근래 들어 수질에 따른 환경오염의 주범으로 여겨지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돌쌓기 형태의 둔치경계면은 자연소재로 되어 외관이 친환경적이며 수생생물의 서식지를 제공하여 수질정화기능을 할 수 있으나 구조적으로 취약해 홍수에 따른 범람으로 쉽게 붕괴되는 단점이 있고, 보통의 우천시에도 물이 불어 급물살이 일게 되면 둔치의 지반을 파고 들어 조금씩 침식시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둔치경계면들은 거의 수직의 직립형으로 설치되어 물 가장자리의 수심이 급격이 깊어져 안전사고의 위험이 높은 단점이 있다.
또한 이렇게 구성되는 구조물들은 홍수시에 물고기들이 서식하지 못하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생태계를 파괴하는 단점으로 인하여 물고기들이 홍수시에 급류와 함께 하류로 떠내려가 있다가 다시 상류로 이동해야하는 번거로움으로 인하여 하천 생태계의 파괴를 가져오는 중대한 문제점들이 있었던 것이다.
출원번호 10-2003-0086372 공개 번호 10-2009-0073071 공개번호10-2005-0019569 특허 등록번호 10-1528504
종래의 하천은 홍수시에만 범람하는 물이 곧바로 배출되도록 구성되어서 물고기와 같은 수생동물들과 양서류들의 서식환경이 미약한 실정이다.
평소에는 물이 많이 흐르지 못함으로 인해 하여 물고기와 양서류들의 산란을 위한 서식 환경이 미약한 실정이다.
또한 물을 저수하여 놓게 되면 깊은 물에 어린이들이 익사하는 사고가 빈발하다보니 많은 물을 저수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하천수를 저장하여 놓게 되면 저장된 하천수의 수질변화로 인하여 하천수의 수질이 악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하천수를 저장해 놓게 되면 하천수의 상층부로 부상하는 부유물질들과 쓰레기들을 자동으로 처리하지 못하여 하천수의 오염을 가중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천에 물기기들과 양서류들의 서식공간인 어소 및 어초를 제공하여 토종 물고기의 번식 증대를 이룰 수 있도록 작용시킴과 동시에 그 내부로 물고기 드나들거나 수생 식물들이 서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조적으로 붕괴의 위험이 없고 또 물이 둔치의 지반으로 침투하여 침식시키는 것을 막을 수 있으며 물고기 및 수생생물의 서식지를 제공하여 자연생태의 보존과 이로 인한 오염된 수질의 정화기능을 발휘하여 하천수의 자정정화작을 촉진시켜서 하천의 생태환경을 건강하게 만들어 줌과 동시에 하천둔치를 이용하는 어린이들과 어른들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인공어초 기능을 가진 생태 호안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호안가나 강가에 구조적으로 안정된 계단형의 틀체을 설치하여 둔치경계면을 이루게 함으로써 제방의 침식을 방지시킴과 동시에 하천의 둔치를 이용하는 어린이들과 어른들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또 둔치 지반으로의 물 침투를 방지하여 지반의 침식으로 인한 붕괴를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수로에 구성되는 자연형 인공어초의 내부에 물고기 및 양서류를 비롯하여 수생생물이 서식하면서 자유롭게 산란하는 산란장을 제공하여 하천생태계를 살려주는 작용효과는 물론 이로인한 먹이사슬의 자연스런 제공으로 인해 자연생태의 보존과 물을 막아주는 자동보의 역할로 인해 수질정화기능을 할 수 있어 수질오염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1은 종래에 본 발명자에 의해 창안된 출원번호 10-2003-0086372호의 단면 사시도
도2는 종래에 창안된 공개 번호 10-2009-0073071호의 단면 사시도
도3은 종래에 창안된 공개번호10-2005-0019569호의 단면 사시도 도3은 종래에 창안된특허 등록번호 10-1528504호의 단면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라 하천에 구성되는 추락방지막과 물고기 산란장의 단면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라 하천에 구성되는 추락방지막과 물고기 산란장의 사시도
도7는 봉 발명에 따라 구성되는 물고기 산란장의 일부분 사시도
도8은 보 발명에 따라 구성되는 물고기 산란장의 사시도
도9는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되는 가동보 수문의 상류에 두쌍으로 구성되는 스크류 이송기의 단면 사시도
도10은 본 발명 청구항 5에 따라 가동보 수문의 상류에 1개의 스크류로 구성되는 스크류 이송기의 단면 사시도
본 발명에 따라 대량의 어류들이 서식하도록 작용하는 인공어초 기능과 하천을 이용하는 어린이와 어른들의 추락방지 작용과 오염된 하천수를 자연적으로 정화시켜도록 작용하는 친환경 종합 수질정화 시스템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라 하천에 구성되는 추락방지막과 물고기 산란장의 단면 사시도 이고,
도6은 본 발명에 따라 하천에 구성되는 추락방지막과 물고기 산란장의 사시도 이며,
도7는 봉 발명에 따라 구성되는 물고기 산란장의 일부분 사시도 이고,
도8은 보 발명에 따라 구성되는 물고기 산란장의 사시도 이다.
하천(100)을 굴착 준설하여 수로를 정비한후 수로바닥에 기초 콘크리트(700)을 설치하는 구조;
기초콘크리트(700) 상단에 가동보 수문(500)을 설치하는 구조;
가동보 수문(500)의 일측에 원형의 스크류하우징(900)과 두쌍의 회전식으로 구성되는 스크류이송기(901)의 구조;
스크류 이송기(901)의 상단에 구성되는 회전모타(602)의 구조;
스크류하우징(900)의 하단에 구성되는 부유물질 유입구(605)의 구조;
스크류하우징(900)의 상단에 구성되는 부유물질배출구(606)의 구조;
부유물질배출구(606)의 입구에 구성되는 이송용 콘베어 벨트(800)의 구조;
하천의 둔치 양안에 인공산란장(1000)과 물고기 이동구(1001)가 층층으로 구성되어 있는 인공어초 구조물(2000)을 설치하여 물고기를 비롯한 수생생물의 생활터전과 산란장이 구비되는 친환경 생태하천 수로의 구조;
인공어초 구조물(2000)의 상단부에 구성되는 자전거 도로와 산책로 겸용 둔치(200)의 구조;
하천(100)의 양안에 설치되는 추락방지막 조절기(300)의 구조;
추락방지막 조절기(300)과 결합되는 장대 형태의 조절봉(301)의 구조;
조절봉(301)과 결합되는 그믈 형태의 추락방지막(302)의 구조;
추락방지막(302)을 부유시켜주는 부구통(303)의 구조;
추락방지막(302)에 구성되는 수질정화추(102)의 구조;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하천(100)에 가동보 수문(500)을 설치하여 하천(100)의 둔치 부분까지 항상 수위를 유치시켜서 하천에 서식하는 물고기와 양서류를 비록한 수생동물들의 서식환경을 조성하여 이들 생물들의 서식환경을 도와주어서 자연생태계를 복원시켜주도록 구성되는 대량의 어류들이 서식하도록 작용하는 인공어초 기능과 하천을 이용하는 어린이와 어른들의 추락방지 작용과 오염된 하천수를 자연적으로 정화시켜도록 작용하는 친환경 종합 수질정화 시스템 을 제공한다.
100: 하천 200: 둔지 300: 추락방지막 조절기

Claims (6)

  1. 하천(100)을 굴착 준설하여 수로를 정비한후 수로바닥에 기초 콘크리트(700)을 설치하는 구조;
    기초콘크리트(700) 상단에 가동보 수문(500)을 설치하는 구조;
    가동보 수문(500)의 일측에 원형의 스크류하우징(900)과 결합되는 두쌍의 스크류이송기(901)의 구조;
    두쌍의 스크류 이송기(901)의 상단에 구성되는 회전모타(602)의 구조;
    스크류하우징(900)의 하단에 구성되는 부유물질 유입구(605)의 구조;
    스크류하우징(900)의 상단에 구성되는 부유물질배출구(606)의 구조;
    부유물질배출구(606)의 입구에 구성되는 이송용 콘베어 벨트(800)의 구조;
    하천의 둔치 양안에 인공산란장(1000)과 물고기 이동구(1001)가 층층으로 구성되어 있는 인공어초 구조물(2000)을 설치하여 물고기를 비롯한 수생생물의 생활터전과 산란장이 구비되는 친환경 생태하천 수로의 구조;
    물고기 이동구(1001)의 구성형태는 큰 물고기들이 작은 물고기를 잡아 먹으려고 할 때에 작은 물고기들이 도망가기가 용이하도록 작용하면서 큰 물고기 들이 작은 물고기들이 서식하는 공간으로 침투하지 못하도록 불특정 크기로 구성시키는 구조;
    인공어초 구조물(2000)의 상단부에 구성되는 자전거 도로와 산책로 겸용 둔치(200)의 구조;
    하천(100)의 양안에 설치되는 추락방지막 조절기(300)의 구조;
    추락방지막 조절기(300)과 결합되는 장대 형태의 조절봉(301)의 구조;
    조절봉(301)과 결합되는 그믈 형태의 추락방지막(302)의 구조;
    추락방지막(302)을 부유시켜주는 부구통(303)의 구조;
    추락방지막(302)에 구성되는 수질정화추(102)의 구조;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하천(100)에 가동보 수문(500)을 설치하여 하천(100)의 둔치 부분까지 항상 수위를 유치시켜서 하천에 서식하는 물고기와 양서류를 비록한 수생동물들의 서식환경을 조성하여 이들 생물들의 서식환경을 도와주어서 자연생태계를 복원시켜주도록 구성되는 대량의 어류들이 서식하도록 작용하는 인공어초 기능과 하천을 이용하는 어린이와 어른들의 추락방지 작용과 오염된 하천수를 자연적으로 정화시켜도록 작용하는 친환경 종합 수질정화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보의 작동 형태는 전도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대량의 어류들이 서식하도록 작용하는 인공어초 기능과 하천을 이용하는 어린이와 어른들의 추락방지 작용과 오염된 하천수를 자연적으로 정화시켜도록 작용하는 친환경 종합 수질정화 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보의 작동 형태는 회전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대량의 어류들이 서식하도록 작용하는 인공어초 기능과 하천을 이용하는 어린이와 어른들의 추락방지 작용과 오염된 하천수를 자연적으로 정화시켜도록 작용하는 친환경 종합 수질정화 시스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보의 작동 형태는 3각형 전도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대량의 어류들이 서식하도록 작용하는 인공어초 기능과 하천을 이용하는 어린이와 어른들의 추락방지 작용과 오염된 하천수를 자연적으로 정화시켜도록 작용하는 친환경 종합 수질정화 시스템
  5. 스크류 하우징(600)의 내부에 한쌍으로 구성되는 스크류 이송기(601)를 특징으로하는 대량의 어류들이 서식하도록 작용하는 인공어초 기능과 하천을 이용하는 어린이와 어른들의 추락방지 작용과 오염된 하천수를 자연적으로 정화시켜도록 작용하는 친환경 종합 수질정화 시스템
  6. 두쌍으로 구성되는 상기 스크류 이송기(901)의 날개를 구성할 때에 부유물질들과 쓰레기들을 분쇄할수 있도록 맞 물질 회전 구조로 구성하여 부유물질들과 쓰레기들을 분쇄하는 스크류이송기 겸용 분쇄기의 구조를 특징으로하는 대량의 어류들이 서식하도록 작용하는 인공어초 기능과 하천을 이용하는 어린이와 어른들의 추락방지 작용과 오염된 하천수를 자연적으로 정화시켜도록 작용하는 친환경 종합 수질정화 시스템



KR1020160055986A 2016-05-07 2016-05-07 대량의 어류들이 서식하도록 작용하는 인공어초 기능과 하천을 이용하는 어린이와 어른들의 추락방지 작용과 오염된 하천수를 자연적으로 정화시켜도록 작용하는 친환경 종합 수질정화 시스템 KR201600600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5986A KR20160060013A (ko) 2016-05-07 2016-05-07 대량의 어류들이 서식하도록 작용하는 인공어초 기능과 하천을 이용하는 어린이와 어른들의 추락방지 작용과 오염된 하천수를 자연적으로 정화시켜도록 작용하는 친환경 종합 수질정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5986A KR20160060013A (ko) 2016-05-07 2016-05-07 대량의 어류들이 서식하도록 작용하는 인공어초 기능과 하천을 이용하는 어린이와 어른들의 추락방지 작용과 오염된 하천수를 자연적으로 정화시켜도록 작용하는 친환경 종합 수질정화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0013A true KR20160060013A (ko) 2016-05-27

Family

ID=56106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5986A KR20160060013A (ko) 2016-05-07 2016-05-07 대량의 어류들이 서식하도록 작용하는 인공어초 기능과 하천을 이용하는 어린이와 어른들의 추락방지 작용과 오염된 하천수를 자연적으로 정화시켜도록 작용하는 친환경 종합 수질정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6001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wales The use of instream habitat improvement methodology inmitigating the adverse effects of river regulation on fisheries
CN104790346B (zh) 水库消落带岸坡防护松木桩-石笼网组合植生挡土墙
KR102187983B1 (ko) 녹조를 발생시키지 못하도록 작용하면서 하천생태계를 복원시켜주는 어도를 이용하여 친환경 전기를 생산함과 동시에 자연 생태계를 복원시켜주는 인공양어장 기능을 발휘시켜서 어족자원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대형 빗물 저류조 역활을 수행하여 홍수 피해를 예방하여 주도록 작용함과 동시에 하천, 강에 흐르는 하천수와 호수, 댐, 저수지에 저수되어 있는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한 하천수가 되도록 작용하는 녹조 발생 방지용 친환경 가동보를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자연정화시키는 자연친화적인 공법
KR101983371B1 (ko) 대형 빗물저장고 겸용 인공양어장을 조성하여 자연생태계를 살려 내면서 오염된 하천수를 자연정화시키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
Remani et al. Environmental problems and management aspects of Vembanad Kol wetlands in south west coast of India
KR20160102936A (ko) 저층수 배출용 친환경 가동보를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켜주도록 작용하면서 파괴되어가는 하천생태계를 자연적으로 복원시켜주도록 작용하면서 전기를 생산하도록 구성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전력생산공법
KR100487997B1 (ko) 생태복원형 수문식 자동보 시스템
KR20170005777A (ko) 2중으로 구성되는 권양기와 2중 권양기의 후면부에 구성되는 발전용 권양기의 내부에 다중으로 구성 발전수차를 이용하여 지속적으로 전기를 생산함과 동시에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키는 자연친화적인 전력생산 친환경 공법
KR20160060013A (ko) 대량의 어류들이 서식하도록 작용하는 인공어초 기능과 하천을 이용하는 어린이와 어른들의 추락방지 작용과 오염된 하천수를 자연적으로 정화시켜도록 작용하는 친환경 종합 수질정화 시스템
KR20160094353A (ko) 인공어초 겸용 저층수 배출용 친환경 어도와 결합 되어 구성되는 저층수 배출용 친환경 삼각형수문을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켜주도록 작용하면서 파괴되어가는 하천생태계를 자연적으로 복원시켜주도록 작용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
KR20160098120A (ko) 물고기들과 하천에 서식하는 생물들의 상,하류이동을 이동이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인공어초 겸용 저층수 배출용 친환경 어도와 결합 되어 구성되는 저층수 배출용 친환경 가동보를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켜주도록 작용하면서 파괴되어가는 하천생태계를 자연적으로 복원시켜주도록 작용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
Voicu et al. A potential engineering solution to facilitate upstream movement of fish in mountain rivers with weirs: Southern Carpathians, the Azuga River
KR20170004918A (ko) 발전용 권양기의 내부에 다중으로 구성 발전수차를 이용하여 지속적으로 전기를 생산함과 동시에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키는 자연친화적인 전력생산 친환경 공법
JP2007023573A (ja) 河川用ブロック及び河川用ブロック堰
KR20160098123A (ko) 인공어초 겸용 저층수 배출용 친환경 어도와 결합 되어 구성되는 저층수 배출용 친환경 가동보를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켜주도록 작용하면서 파괴되어가는 하천생태계를 자연적으로 복원시켜주도록 작용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
KR20160104592A (ko)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켜주도록 작용하면서 하천생태계를 자연적으로 복원시켜주도록 작용함과 동시에 전기를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전력생산 친환경 공법
KR100515189B1 (ko) 도심지 하천설비와 도심지 하천 복원 공법
KR20100015300A (ko)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켜 주면서 물고기 서식이 용이하도록 구비되는 생태하천 수로를 이용하여 자연형 하천을 조성하는 자연친화적인 공법
RU2560626C1 (ru) Водозаборное сооружение из поверхностных источников
KR20030096198A (ko) 오염된 수질을 정화시키면서 인공어초 기능을 발휘하는 계단형 구조체의 생태 호안과 그 구성방법
KR100635122B1 (ko) 하천에 설치할 친환경 어도시설물
CN109292988A (zh) 一种防堵塞排空构筑的潜流人工湿地及其运行方法
KR200336702Y1 (ko) 오염된 수질을 정화시키면서 인공어초 기능을 발휘하는계단형 구조체의 생태 호안
KR20120040570A (ko) 관수로 타입 어도
KR20200004479A (ko) 대형 빗물저장고 겸용 인공양어장을 조성하여 자연생태계를 살려 내면서 오염된 하천수를 자연정화시키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