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9358A - 영상 처리 방법, 상기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 및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영상 처리 방법, 상기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 및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9358A
KR20160059358A KR1020140161159A KR20140161159A KR20160059358A KR 20160059358 A KR20160059358 A KR 20160059358A KR 1020140161159 A KR1020140161159 A KR 1020140161159A KR 20140161159 A KR20140161159 A KR 20140161159A KR 20160059358 A KR20160059358 A KR 201600593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images
thumbnail
input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1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2310B1 (ko
Inventor
강태훈
송원석
최명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61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2310B1/ko
Priority to US14/843,324 priority patent/US9767588B2/en
Priority to EP15860528.7A priority patent/EP3222036B1/en
Priority to PCT/KR2015/010642 priority patent/WO2016080653A1/en
Priority to CN201510796656.3A priority patent/CN105607825B/zh
Publication of KR201600593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93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23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23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60Editing figures and text; Combining figures or tex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2Control of parameters via user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583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metadata automatically derived from the cont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04Context-preserving transformations, e.g. by using an importance ma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20Image preprocessing
    • G06V10/22Image preprocessing by selection of a specific region containing or referencing a pattern; Locating or processing of specific regions to guide the detection or recognition
    • G06V10/235Image preprocessing by selection of a specific region containing or referencing a pattern; Locating or processing of specific regions to guide the detection or recognition based on user input or intera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40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10/00Indexing scheme for image generation or computer graphics
    • G06T2210/22Cro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20Image preprocessing
    • G06V10/24Aligning, centring, orientation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image
    • G06V10/247Aligning, centring, orientation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image by affine transforms, e.g. correction due to perspective effects; Quadrilaterals, e.g. trapezo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Editing Of Facsimile Originals (AREA)

Abstract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입력 영상을 순차적으로 수신하는 동안, 입력 영상을 수신할 때마다 수신된 상기 입력 영상에서 사각 이미지 영역(RIR, Rectangular Image Region)을 병렬적으로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사각 이미지 영역에 대응되는 좌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좌표 정보를 상기 입력 영상과 연관지어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영상 처리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영상 처리 방법, 상기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 및 전자 기기. {Method of processing images,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of recording the method and an electronic apparatus}
본 발명은 복수의 영상에 대한 영상 처리를 수행함에 있어서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영상 처리 방법, 상기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 및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인쇄물, 강의 자료 등의 여러 장의 복합적인 자료에 대한 영상 촬영에서는 매번 싱글 촬영으로 찍고 각각의 촬영된 영상에 대하여 각각 사각 영역 검출 및 원근 변환을 이용하여 영상처리를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복수의 영상 촬영이 가능한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 존재하지만, 복수의 영상의 영상 처리를 하는 데는, 싱글 촬영과 마찬가지로 각각의 영상에 보정 및 편집을 할 수밖에 없었다.
즉, 다중 촬영을 제공하는 종래의 전자 기기에서는 촬영된 복수의 영상을 영상 처리하기 위해서는 복수의 영상에 대한 촬영이 종료된 이후에, 복수의 영상에 대한 각각의 영상 처리가 한번에 일어나므로, 영상 처리 장치 내에서의 과부하와 시간적 지연 및 복수의 영상을 관리하는 데 수고스러움이 있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처리 방법은, 복수의 영상을 순차적으로 수신할 때마다, 수신된 영상에 대하여 병렬적으로 획득한 영상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하여, 추후에 복수의 영상에 대한 영상 처리를 수행함에 있어서 전자 기기 내에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영상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처리 방법은, 복수의 입력 영상을 순차적으로 수신하는 동안, 입력 영상을 수신할 때마다 수신된 상기 입력 영상에서 사각 이미지 영역(RIR, Rectangular Image Region)을 병렬적으로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사각 이미지 영역에 대응되는 좌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좌표 정보를 상기 입력 영상과 연관지어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영상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처리 방법은 상기 좌표 정보와 상기 복수의 입력 영상에 기초하여, 소정의 식별 표시를 포함하는 복수의 썸 네일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및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상기 복수의 썸 네일 영상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소정의 식별 표시는 상기 썸 네일 영상에서 사각 이미지 영역을 식별하기 위한 표시로써, 상기 좌표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것인, 영상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처리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썸 네일 영상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 는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썸 네일 영상을 확대한 영상을, 상기 복수의 썸 네일 영상과 함께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영상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처리 방법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상기 복수의 썸 네일 영상을 편집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영상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처리 방법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썸 네일 영상과 함께 표시된 상기 식별 표시를 편집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상기 복수의 썸 네일 영상을 동시에 원근 변환 영상 처리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상기 복수의 썸 네일 영상을 소정의 크기로 크기 변환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처리 방법은, 상기 복수의 입력 영상의 수신과 관련되는 카테고리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복수의 입력 영상과 관련된 복수의 변환 영상을 상기 카테고리와 관련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변환 영상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카테고리와 함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영상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변환 영상과 관련된 정보는 상기 복수의 변환 영상의 개수 및 상기 복수의 변환 영상과 대응되는 썸 네일 영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는 입력 영상을 수신하는 영상 수신부; 상기 수신된 입력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수신된 입력 영상에서 사각 이미지 영역(RIR, Rectangular Image Region)을 검출하는 사각 이미지 영역 검출부; 상기 검출된 사각 이미지 영역에 대응되는 좌표 정보와 상기 입력 영상을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좌표 정보와 상기 입력 영상에 기초하여, 소정의 영상 처리를 수행하는 영상 처리부; 및 상기 영상 수신부가 복수의 입력 영상을 순차적으로 수신할 때마다, 상기 사각 영역 이미지 검출부가 수신된 상기 입력 영상에서 사각 이미지 영역(RIR, Rectangular Image Region)을 병렬적으로 검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는 상기 좌표 정보와 상기 복수의 입력 영상에 기초하여, 소정의 식별 표시를 포함하는 복수의 썸 네일 영상을 생성하고,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상기 복수의 썸 네일 영상을 표시하며, 상기 소정의 식별 표시는 상기 썸 네일 영상에서 사각 이미지 영역을 식별하기 위한 표시로써, 상기 좌표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썸 네일 영상을 확대한 영상을, 상기 복수의 썸 네일 영상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상기 복수의 썸 네일 영상을 편집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썸 네일 영상과 함께 표시된 상기 식별 표시를 편집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영상 처리부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상기 복수의 썸 네일 영상을 동시에 원근 변환 영상 처리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영상 처리부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상기 복수의 썸 네일 영상을 소정의 크기로 크기 변환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입력 영상의 수신과 관련되는 카테고리를 생성하여, 상기 복수의 입력 영상과 관련된 복수의 변환 영상을 상기 카테고리와 관련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복수의 변환 영상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카테고리와 함께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변환 영상과 관련된 정보는 상기 복수의 변환 영상의 개수 및 상기 복수의 변환 영상과 대응되는 썸 네일 영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에 의해 도출되어 실행되었을 때, 영상 처리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들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 방법은, 복수의 입력 영상을 순차적으로 수신하는 동안, 입력 영상을 수신할 때마다 수신된 상기 입력 영상에서 사각 이미지 영역(RIR, Rectangular Image Region)을 병렬적으로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사각 이미지 영역에 대응되는 좌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좌표 정보를 상기 입력 영상과 연관지어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에서 영상 처리 방법은 상기 좌표 정보와 상기 복수의 입력 영상에 기초하여, 소정의 식별 표시를 포함하는 복수의 썸 네일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및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상기 복수의 썸 네일 영상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소정의 식별 표시는 상기 썸 네일 영상에서 사각 이미지 영역을 식별하기 위한 표시로써, 상기 좌표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도1 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영상에 포함된 사각 이미지 영역을, 복수의 입력 영상이 순차적으로 수신될 때마다 병렬적으로 검출하는 전자 기기의 블록도이다.
도2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영상에 포함된 사각 이미지 영역을, 복수의 입력 영상이 순차적으로 수신될 때마다 병렬적으로 검출하는 영상 처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3 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가, 순차적으로 수신된 입력 영상간에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복수의 입력 영상에서 사각 이미지 영역을 검출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4 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소정의 식별 표시를 포함하는 썸 네일 영상을 미리 저장된 좌표 정보와 입력 영상에 기초하여 생성하는 영상 처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 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가,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상기 복수의 썸 네일 영상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6 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썸 네일 영상을 편집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영상 처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7 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복수의 썸 네일 영상의 정렬 순서를 편집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8 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썸 네일 영상을 삭제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9 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가 썸 네일 영상과 함께 표시된 식별 표시를 편집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0 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가 복수의 썸 네일 영상을 동시에 원근 변환 영상 처리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1 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가, 유효한 사각 영역이 아닌 식별 표시를 포함하는 썸 네일 영상이 포함된 경우, 썸 네일 영상을 편집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 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가, 복수의 썸 네일 영상을 소정의 크기로 크기 변환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3 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가, 복수의 썸 네일 영상을 영상 후처리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 내지 도1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가, 카테고리 저장 목록에서, 복수의 변환 영상과 관련된 정보를 카테고리와 함께 표시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가, 카테고리 저장 목록에서 카테고리에 저장된 복수의 변환 영상을 볼 수 있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 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외부 메모리에 저장된 복수의 변환 영상을, 외부 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서 확인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형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1 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영상의 사각 이미지 영역을, 복수의 영상을 연속 촬영하는 동안 인식하는 전자 기기(100) 의 블록도이다.
전자 기기(100) 는 영상 수신부(10), 사각 이미지 영역 검출부(20), 디스플레이부(30), 사용자 입력부(40), 메모리(50), 영상 처리부(60) 및 제어부(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70)는 전자 기기(100)의 전체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즉, 제어부(70)는 도1 에 도시된 영상 수신부(10), 사각 이미지 영역 검출부(20), 디스플레이부(30), 사용자 입력부(40), 메모리(50), 영상 처리부(60) 간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영상 수신부(10), 사각 이미지 영역 검출부(20), 디스플레이부(30), 사용자 입력부(40), 메모리(50), 영상 처리부(60) 및 제어부(70) 중 일부 또는 전부는 소프트웨어 모듈에 의해 동작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상술한 구성 중 일부가 하드웨어에 의해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영상 수신부(10), 사각 이미지 영역 검출부(20), 및 영상 처리부(60) 중 적어도 일부는 제어부(70)에 포함될 수 있으나, 이러한 구현 형태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전자 기기(100)에는 사용자로부터의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키 등을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부(40) 가 구비된다. 이 사용자 입력부(40)로부터의 전기적 신호는 제어부(70)에 전달되어, 제어부(70)가 전기적 신호에 따라 전자 기기(100)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촬영부(미도시)는 복수의 영상을 순차적으로 촬영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촬영부(미도시)는 상기 전자 기기(100)에 영상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것으로,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는 렌즈부(미도시)와 이미지 센서(미도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렌즈부(미도시)를 투과한 광학 신호는 이미지 센서(미도시)의 수광면에 이르러 피사체의 상을 결상할 수 있다.
카메라는 영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및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영상 프레임을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수신부(10)는 입력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영상은 카메라로부터 획득한 입력 영상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메라로부터 획득한 입력 영상은 프리뷰 영상 일 수도 있고, 메모리(50) 에 저장된 영상 일 수도 있다. 또한, 입력 영상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수동으로 입력되거나, 네트워크를 통해서 웹 서버로부터 입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사각 이미지 영역 검출부(20)는 영상 수신부(10)에서 수신된 입력 영상에서 사각 이미지 영역(RIR, Rectangular Image Region)을 검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입력 영상으로부터 사각 이미지 영역을 검출하는 방법은 업계에서 통용되는 다양한 방법들이 있으므로, 입력 영상으로부터 사각 영역 검출하는 방법이 특정 방법으로 한정되지 않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예를 들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사각 이미지 영역이란, 입력 영상에 포함된 사각형의 모양을 가진 피사체를 나타내는 것으로, 사각 이미지 영역에 대응되는 좌표 정보는 추후에 입력 영상과 함께 소정의 식별 표시를 포함하는 썸 네일 영상을 생성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썸 네일 영상에 포함된 소정의 식별 표시는 썸 네일 영상에서 사각 이미지 영역을 식별하기 위한 표시로써, 좌표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좌표 정보는 입력 영상을 원근 변환(Perspective Transform) 영상 처리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좌표 정보는 원근 변환 영상 처리의 매트릭스를 생성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50)는 제어부(7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도 있고, 전자 기기(100)에 입력 및/또는 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모리(5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자 기기(100)는 웹 상에서 메모리(50)(5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 또는 클라우드 서버를 운영할 수도 있다.
메모리(5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그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분류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UI 모듈(미도시), 터치 스크린 모듈(미도시)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UI 모듈(미도시)은, 전자 기기와 연동되는 특화된 UI, GUI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썸 네일 영상을 편집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복수의 썸 네일 영상의 정렬 순서를 변경하거나, 사용자가 선택한 썸 네일 영상을 삭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썸 네일 영상과 함께 표시된 식별 표시를 편집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복수의 썸 네일 영상을 동시에 원근 변환 영상 처리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복수의 썸 네일 영상을 소정의 크기로 크기 변환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UI 모듈(미도시)의 기능은 그 명칭으로부터 당업자가 직관적으로 추론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터치 스크린 모듈(미도시)은 사용자의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제스처를 감지하고, 터치 제스처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70)로 전달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모듈(미도시)은 별도의 컨트롤러(H/W)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의 터치 제스처에는 탭, 터치&홀드, 더블 탭, 드래그, 패닝, 플릭, 드래그 앤드 드롭, 스와이프 등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50)는 전자 기기(100)가 수신한 복수의 입력 영상, 복수의 입력 영상에서 검출된 사각 이미지 영역에 대응되는 복수의 좌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좌표 정보는 입력 영상에서 검출된 사각 이미지 영역의 각 꼭지점에 대응되는 픽셀의 좌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좌표 정보는 입력 영상을 기초로 영상 처리를 수행할 때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50)에는 좌표 정보 및 입력 영상을 기초로 생성된 썸 네일 영상 또는 원근 변환(Perspective Transform) 영상 처리된 변환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100)는 추후에 복수의 입력 영상에 대한 영상 처리를 수행함에 있어서, 메모리(50)에 저장된 복수의 좌표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전자 기기(100) 내에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순차적으로 수신된 복수의 입력 영상과 관련된 카테고리가 생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입력 영상과 관련된 변환 영상이 카테고리와 관련하여 메모리(50)에 저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100)는 사용자로 하여금 수월하게 복수의 영상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3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0)와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30)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은 터치 입력 위치, 터치된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입력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은 상기 터치(real-touch) 뿐만 아니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도 검출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30)는 전자 기기(100)에서 입력 및/또는 출력될 수 있는 영상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30)는 순차적으로 수신된 복수의 입력 영상과 관련된 복수의 변환 영상들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부(30)는 영상 수신부(10)에서 순차적으로 수신된 입력 영상들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소정의 식별 표시를 포함하는 썸 네일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소정의 식별 표시는 썸 네일 영상에서 사각 이미지 영역을 식별하기 위한 표시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선택한 썸 네일 영상을 확대된 영상이 복수의 썸 네일 영상과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사각 이미지 영역을 식별하기 위한 소정의 식별 표시를 포함하는 썸 네일 영상을 크게 볼 수 있음으로써, 복수의 썸 네일 영상에 대한 시인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는 확대된 썸 네일 영상을 이용하여, 썸 네일 영상을 편집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30)는 메모리(50)에 저장된 입력 영상을 기초로 소정의 영상 처리를 완료한 변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변환 영상은 입력 영상 및 좌표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원근 변환 영상 처리된 영상일 수 있다. 또한, 변환 영상은 원근 변환 영상 처리된 영상에 영상 후처리를 완료한 영상일 수 있다. 또한, 변환 영상은 원근 변환 영상 처리된 영상을 소정의 크기로 크기 변환한 영상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입력부(40)는 사용자가 전자 기기(1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4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접촉식 정전 용량 방식, 압력식 저항막 방식, 적외선 감지 방식, 표면 초음파 전도 방식, 적분식 장력 측정 방식, 피에조 효과 방식 등),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30)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 스크린이라 부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입력부(40)는 디스플레이부(30)에 표시된 복수의 썸 네일 영상 중 사용자가 편집하고자 하는 썸 네일 영상을 선택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40)는 사용자가 선택한 썸 네일 영상을 편집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입력부(40)는 썸 네일 영상에 포함된 식별 표시를 수정하기 위한 신호, 복수의 썸 네일 영상을 원근 변환 영상 처리를 하기 위한 신호, 복수의 썸 네일 영상을 소정의 크기로 크기 변환하는 신호, 복수의 썸 네일 영상을 영상 후처리하는 신호 및 카테고리에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변환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신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발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처리부(60)는 영상 수신부(10)에서 수신된 입력 영상 데이터에 대해 노이즈를 저감하고, 감마 보정(Gamma Correction), 색필터 배열보간(color filter array interpolation), 색 매트릭스(color matrix), 색보정(color correction), 색 향상(color enhancement) 등의 화질 개선을 위한 영상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처리부(60)는 화질 개선을 위한 영상 신호 처리를 하여 생성한 영상 데이터를 압축 처리하여 영상 파일을 생성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영상 파일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의 압축형식은 가역 형식 또는 비가역 형식이어도 된다. 적절한 형식의 예로서,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형식이나 JPEG 2000 형식 등으로 변환도 가능하다. 이 경우, 압축 처리된 데이터는 메모리(5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영상 처리부(60)는 기능적으로 불선명 처리, 색채 처리, 블러 처리, 엣지 강조 처리, 영상 해석 처리, 영상 인식 처리, 영상 이펙트 처리 등도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 인식 처리는 얼굴 인식 또는 장면 인식 처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처리부(60)는 영상 수신부(10)에서 순차적으로 수신한 입력 영상들을 장면 인식 처리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 처리부(60)에서 인접한 프레임에 대응되는 복수의 입력 영상들이 동일한 장면이라고 인식되는 경우, 영상 수신부(10)에서 순차적으로 수신되는 복수의 입력 영상들에 대하여, 사각 이미지 영역 검출부(20)에서 서로 다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3 에서 자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또한, 영상 처리부(60)는 휘도 레벨 조정, 색 보정, 콘트라스트 조정, 윤곽 강조 조정, 화면 분할 처리, 캐릭터 영상 등 생성 및 영상의 합성 처리 등을 행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13에서 자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영상 처리부(60)는 외부 모니터와 연결되어, 외부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소정의 영상 신호 처리를 행할 수 있으며, 이렇게 처리된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여 외부 모니터에서 해당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처리부(60)는 메모리(5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거나, 별도의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처리부(60)로부터 출력된 이미지 데이터는 메모리(50)를 통하여 또는 직접 제어부(70)에 전달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처리부(60)는, 영상 수신부(10)에서 순차적으로 수신된 복수의 입력 영상에 소정의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 처리부(60)는 메모리(50)에 저장된 복수의 입력 영상과 좌표 정보를 이용하여, 복수의 썸 네일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처리부(60)는 복수의 입력 영상 또는 복수의 썸 네일 영상에 원근변환(Perspective Transform)영상 처리하여 복수의 변환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처리부(60)는 복수의 썸 네일 영상을 원근 변환 영상 처리하고, 원근 변환 영상 처리된 복수의 썸 네일 영상을 소정의 크기로 크기 변환하여 복수의 변환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처리부(60)는 복수의 썸 네일 영상을 원근 변환 영상 처리 및 영상 후처리하여, 복수의 변환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영상 후처리는 휘도 레벨 조정, 색 보정, 콘트라스트 조정 및 윤곽 강조 조정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영상 처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영상 처리부(60)는 복수의 썸 네일 영상에 대한 영상 처리를 수행함과 동시에 복수의 입력 영상에 대한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70)는 영상 수신부(10), 사각 이미지 영역 검출부(20), 디스플레이부(30), 사용자 입력부(40), 메모리(50), 영상 처리부(60) 간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70)는 영상 수신부(10)가 복수의 입력 영상을 순차적으로 수신할 때마다, 사각 영역 이미지 검출부(20)가 수신된 입력 영상에서 사각 이미지 영역(RIR, Rectangular Image Region)을 병렬적으로 검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70)는 사각 이미지 영역에 대응되는 좌표 정보를 입력 영상과 관련하여 메모리(50)에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70)는 영상 처리부(60)가 영상 수신부(10)에서 순차적으로 수신한 인접한 프레임에 대응되는 복수의 입력 영상이 동일 장면(scene) 인지 판단하는 장면 인식 처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70)는 영상 처리부(60)에서의 판단 결과에 따라 사각 이미지 영역 검출부(20)의 동작을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3 에서 자세하게 알아보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70)는 영상 처리부(60)가 메모리(50)에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입력 영상과 좌표 정보를 이용하여 소정의 식별 표시를 포함하는 복수의 썸 네일 영상을 생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소정의 식별 표시는 썸 네일 영상에서 사각 이미지 영역을 식별하기 위한 표시로, 사용자는 입력 영상에서 검출된 사각 이미지 영역에 대항, 썸 네일 영상의 형식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70)는 복수의 썸 네일 영상을 편집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부(3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썸 네일 영상과 함께 표시된 식별 표시를 편집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썸 네일 영상을 확대한 영상에 포함된 식별 표시를 편집하여, 썸 네일 영상에 포함된 식별 표시를 편집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영상 처리부(60)가 디스플레이부(30)에 표시된 복수의 썸 네일 영상을 동시에 원근 변환 영상 처리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썸 네일 영상을 확대한 영상에 포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복수의 썸 네일 영상을 동시에 원근 변환 영상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영상 처리부(60)가 디스플레이부(40)에 표시된 복수의 썸 네일 영상을 소정의 크기로 크기 변환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입력 영상 또는 복수의 썸 네일 영상을 원근 변환 처리한 변환 영상은 소정의 크기로 크기 변환되어, 디스플레이부에 동일한 크기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변환 영상은 동일한 크기로 메모리(50)에 저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입력 영상과 관련된 복수의 변환 영상은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부 또는 외부 기기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모두 같은 크기로 표시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로 하여금 시인성 및 가독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영상 처리부(60)가 디스플레이부(40)에 표시된 복수의 썸 네일 영상을 소정의 영상 후처리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입력 영상과 관련된 복수의 변환 영상은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모두 같은 영상 후처리가 되어 디스플레이부(30)에 표시되거나 메모리(5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70)는 영상 처리부(60)가 썸 네일 영상에 포함된 식별 표시가 유효한 사각 영역인지 판단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판단 결과에 따라 디스플레이부(30)에 서로 다른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11에서 자세하게 알아보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70)는 복수의 입력 영상의 수신과 관련되는 카테고리를 생성하여, 복수의 입력 영상과 관련된 복수의 변환 영상을 카테고리와 관련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70)는 복수의 변환 영상과 관련된 정보를 카테고리와 함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변환 영상과 관련된 정보는 복수의 변환 영상의 개수 및 복수의 변환 영상과 대응되는 썸 네일 영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14 내지 도16 에서 자세하게 알아보도록 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7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50)에 저장되고, 제어부(7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전자 기기(100)의 동작들을 순서대로 상술한다.
도2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영상에 포함된 사각 이미지 영역을, 복수의 입력 영상이 순차적으로 수신될 때마다 병렬적으로 검출하는 영상 처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단계 100에서 전자 기기(100)는 복수의 입력 영상을 순차적으로 수신하는 동안, 입력 영상을 수신할 때마다 수신된 입력 영상에서 사각 이미지 영역(RIR, Rectangular Image Region)을 병렬적으로 검출한다.
예를 들면, 영상에서 사각 이미지 영역을 검출하는 방법은 업계에서 통용되는 다양한 방법들이 있으므로, 입력 영상으로부터 사각 이미지 영역 검출하는 방법이 특정 방법으로 한정되지 않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단계 110에서 전자 기기(100)는 단계 100에서 검출된 사각 이미지 영역에 대응되는 좌표 정보를 획득한다.
예를 들면, 좌표 정보는 입력 영상에서 검출된 사각 이미지 영역의 각 꼭지점에 대응되는 픽셀의 좌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단계 120에서 전자 기기(100)는 단계 110에서 획득된 좌표 정보를 입력 영상과 연관지어 저장한다.
이 경우, 전자 기기(100)는 메모리(50)에 저장된 좌표 정보를 이용하여, 입력 영상에 소정의 영상 처리를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소정의 식별 표시를 포함하는 썸 네일 영상이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입력 영상 또는 썸 네일 영상을 원근 변환 영상 처리한 변환 영상이 생성될 수 있다.
도3 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100)가, 순차적으로 수신된 입력 영상간에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복수의 입력 영상에서 사각 이미지 영역을 검출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3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영상(200a) 과 제2 영상(200b)이 순차적으로 수신된 경우, 전자 기기(100)의 영상 처리부(60)에서 제1 영상(200a) 과 제2 영상(200b)이 동일 장면인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 처리부(60)에서 제1 영상(200a) 과 제2 영상(200b)간에 장면 인식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영상 수신부(10)에서 순차적으로 수신되는 제1 영상(200a) 과 제2 영상(200b) 들에 대하여, 사각 이미지 영역 검출부(20)에서 서로 다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영상(200a)의 화각과 제2 영상(200a)의 화각이 동일한 경우, 제1 영상(200a)과 제2 영상(200b)이 동일 장면(scene)이라고 판단될 수 있다.
이 경우, 각 영상의 화각은 영상 처리부(60)에서 분석되는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전자 기기가 디지털 카메라인 경우, 화각은 초점이 맞았을 때, 렌즈부(미도시)에서 이미지 센서(미도시)까지의 거리인 초점 거리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초점 거리가 길면 화각이 좁아지고, 촬영되는 피사체는 커진다. 반면, 초점 거리가 짧은 렌즈일수록 화각이 넓어지고, 촬영되는 범위가 넓어진다.
따라서, 전자 기기(100)가 디지털 카메라인 경우 초점 거리에 기초하여 제1 영상(200a)과 제2 영상(200b) 이 서로 동일한 화각을 가지고 있는지 판단될 수 있다.
또한, 전자 기기(100)의 움직임을 검출하여, 검출된 움직임이 소정의 시간 동안 없는 경우, 제1 영상(200a)과 제2 영상(200b)이 동일 장면(scene)이라고 판단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기기(100)의 움직임은 전자 기기(100)에 탑재된 센서에서 감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소정의 시간동안 센서에서 감지된 움직임이 없는 경우, 전자 기기(100)의 움직임은 없다고 결정될 수 있다.
도 3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영상(200a)의 화각과 제2 영상(200a)의 화각이 동일하므로, 제1 영상(200a)과 제2 영상(200b)이 동일 장면(scene)이라고 판단될 수 있다.
제1 영상(200a)과 제2 영상(200b)이 동일 장면(scene)이라고 판단된 경우, 전자 기기(100) 는 제2 영상(200b)을 수신한 이후에, 제2 영상에 포함된 사각 이미지 영역을 인식할 필요 없이, 연속적으로 제3 영상(200c) 및 제4 영상(200d)을 수신할 수 있다.
이는, 동일한 장면을 가진 복수의 입력 영상 간에는, 각각의 입력 영상에서 검출된 각각의 사각 이미지 영역이 동일하다고 판단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전자 기기(100)는 제1 영상(200a)에서 획득된 좌표 정보를 이용하여, 제2 영상(200b), 제3 영상(200c) 및 제4 영상(200d)의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영상(200a)에서 획득된 좌표 정보는, 제2 영상(200b)이 수신되기 전에 제1 영상(200a)에서 검출된 사각 이미지 영역(210)에 대응되는 좌표 정보인 것으로, 복수의 입력 영상이 수신 완료되기 전에, 미리 메모리(5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동일한 장면을 가진 복수의 입력 영상을 순차적으로 수신하는 경우, 복수의 입력 영상에서 각각 사각 이미지 영역을 검출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전자 기기(100) 내의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전자 기기(100)의 동작들을 순서대로 상술한다.
도4 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소정의 식별 표시를 포함하는 썸 네일 영상을 미리 저장된 좌표 정보와 입력 영상에 기초하여 생성하는 영상 처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단계200 내지 단계 220 은 도2 의 단계 100내지 단계120과 대응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단계 230 에서 전자 기기(100)는 단계220에서 저장된 좌표 정보와 복수의 입력 영상에 기초하여, 소정의 식별 표시를 포함하는 복수의 썸 네일 영상을 생성한다.
예를 들면, 소정의 식별 표시는 썸 네일 영상에서 사각 이미지 영역을 식별하기 위한 표시로써, 좌표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단계 240에서 전자 기기(100)는 단계230에서 생성된 복수의 썸 네일 영상을 사용자가 선택 가능하게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한다.
사용자가 선택한 썸 네일 영상을 확대된 영상이 복수의 썸 네일 영상과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사각 이미지 영역을 식별하기 위한 소정의 식별 표시를 포함하는 썸 네일 영상을 크게 볼 수 있음으로써, 복수의 썸 네일 영상에 대한 시인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는 확대된 썸 네일 영상을 이용하여, 썸 네일 영상을 편집할 수 있다.
도 5 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가,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상기 복수의 썸 네일 영상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5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기기(100)는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복수의 썸 네일 영상을 디스플레이부(30)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썸 네일 영상(300a, 300b, 300c, 300d, 300e) 에는 메모리(50)에 저장된 좌표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소정의 식별 표시(310a, 310b, 310c, 310d, 310e)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100)는 복수의 썸 네일 영상(300a, 300b, 300c, 300d, 300e)을 표시할 때, 썸 네일 영상에서 사각 이미지 영역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표시(310a, 310b, 310c, 310d, 310e)를 함께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사각형 이미지 영역이 인식된 복수의 영상들을 미리 확인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도5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썸 네일 영상(300d)이 선택되면, 선택된 썸 네일 영상(300d)을 확대한 영상(이하, 편집 영상(400a)이라고 한다.)이 디스플레이부(30)에 표시될 수 있다.
도5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편집 영상(400a)에는 편집 영상에 포함된 사각 이미지 영역에 대응되는 식별 표시(410a)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식별 표시(410a)는 사용자가 선택한 썸 네일 영상(300d)에 포함되는 식별 표시(310d)가 확대된 표시와 대응될 수 있다.
이 경우, 편집 영상(400a)은 사용자가 선택한 썸 네일 영상(300d)을 편집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예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편집 영상(400a)에는 사용자가 선택한 썸 네일 영상(300d)을 편집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420a)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420a) 는 사용자가 선택한 썸 네일 영상(300d)에 포함된 식별 표시(310d)를 수정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420a) 는 디스플레이부(30)에 표시된 복수의 썸 네일 영상(300a, 300b, 300c, 300d, 300e)을 동시에 원근 변환 처리 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100)에서 영상 처리부(60)는 복수의 썸 네일 영상을 편집함으로써, 동시에 메모리(50)에 저장된 복수의 입력 영상들도 편집할 수 있다.
전자 기기(100)의 동작들을 순서대로 상술한다.
도6 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썸 네일 영상을 편집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영상 처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단계300 내지 단계 340 은 도4 의 단계 200내지 단계240과 대응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단계 350에서 전자 기기(100)는 단계 340에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복수의 썸 네일 영상을 편집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썸 네일 영상과 함께 표시된 식별 표시를 편집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썸 네일 영상을 확대한 영상에 포함된 식별 표시를 편집하여, 썸 네일 영상에 포함된 식별 표시를 편집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영상 처리부(60)가 디스플레이부(30)에 표시된 복수의 썸 네일 영상을 동시에 원근 변환 영상 처리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썸 네일 영상을 확대한 영상에 포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복수의 썸 네일 영상을 동시에 원근 변환 영상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영상 처리부(60)가 디스플레이부(40)에 표시된 복수의 썸 네일 영상을 소정의 크기로 크기 변환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입력 영상 또는 복수의 썸 네일 영상을 원근 변환 처리한 변환 영상은 소정의 크기로 크기 변환되어, 디스플레이부에 동일한 크기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변환 영상은 동일한 크기로 메모리(5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영상 처리부(60)가 디스플레이부(40)에 표시된 복수의 썸 네일 영상을 소정의 영상 후처리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입력 영상과 관련된 복수의 변환 영상은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모두 같은 영상 후처리가 되어 디스플레이부(30)에 표시되거나 메모리(5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70)는 영상 처리부(60)가 썸 네일 영상에 포함된 식별 표시가 유효한 사각 영역인지 판단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판단 결과에 따라 디스플레이부(30)에 서로 다른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7 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복수의 썸 네일 영상의 정렬 순서를 편집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7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30)에 표시된 복수의 썸 네일 영상(300a, 300b, 300c, 300d)의 정렬 순서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변형이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7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썸 네일 영상(300c)이 디스플레이 상에서 가장 우측의 위치로 드래그 앤드 드롭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30)에 표시된 복수의 썸 네일 영상의 정렬 순서는 선택한 썸 네일 영상(300c)의 위치 이동으로 인하여,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변형된 복수의 썸 네일 영상의 정렬 순서에 대응되게, 메모리(50)에 저장된 복수의 입력 영상들의 정렬 순서가 변형될 수 있다.
도8 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썸 네일 영상을 삭제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8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30)에 표시된 복수의 썸 네일 영상(300a, 300b, 300c, 300d)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삭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8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썸 네일 영상(300c)이 디스플레이부(30)에 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430a)의 영역으로 드래그 앤드 드롭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430a)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부(30)에서 썸 네일 영상(300c)이 삭제될 수 있다.
또한, 썸 네일 영상의 삭제에 대응되게, 메모리(50)에 저장된 입력 영상이 삭제될 수 있다.
도9 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가 썸 네일 영상과 함께 표시된 식별 표시를 편집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9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30)에 표시된 복수의 썸 네일 영상(300a, 300b, 300c, 300d) 중에서, 영상의 사각 이미지 영역이 잘못 인식되어, 영상에 포함된 피사체와 식별 표시(310a, 310b, 300c, 3010d)가 일치하지 않은 썸 네일 영상(300b)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썸 네일 영상은 메모리(50)에 저장된 좌표 정보를 이용하여 원근 변환 영상 처리가 수행될 수 있으므로, 썸 네일 영상에서 획득되는 좌표 정보에 대응되는 식별 표시가 썸 네일 영상에 포함된 피사체와 매칭이 잘 될수록 좋은 품질의 영상 처리가 수행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복수의 썸 네일 영상 중에서, 사각 이미지 영역이 잘못 인식되어, 썸 네일 영상에 포함된 피사체와 식별 표시가 일치되지 않은 경우, 잘못 인식된 사각 이미지 영역에 대응되는 좌표 정보가 복수의 썸 네일 영상을 원근 변환 영상 처리하는데 이용되게 된다. 예를 들면, 잘못 인식된 사각 이미지 영역에 대응되는 좌표 정보가 원근 변환 영상 처리에 필요한 매트릭스를 설정하는 데 이용되므로, 사용자의 의도대로 원근 변환 영상 처리가 수행되기는 어렵다.
따라서, 사용자의 의도에 맞게 원근 변환 영상 처리된 썸 네일 영상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썸 네일 영상에 포함한 식별 표시가 영상에 포함된 피사체에 맞추어 수정될 필요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사용자는 썸 네일 영상(300b)에 포함된 식별 표시(310b)를 수정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부(30)에서 썸 네일 영상(300b)을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30)에는 사용자가 선택된 썸 네일 영상(300b)을 편집하기 위한 편집 영상(400a)이 표시된다.
편집 영상(400a)에 함께 표시된 식별 표시(410a)는, 선택된 썸 네일 영상(300b)에 포함된 식별 표시(310b)를 확대한 것과 대응되는 것이므로, 썸 네일 영상(300b)에 포함된 피사체와 식별 표시(310b)가 일치하지 않은 경우, 편집 영상(400a)에 함께 표시된 식별 표시(410a)도 편집 영상에 포함된 피사체와 일치하지 않게 된다.
이 경우, 도9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편집 영상(400a)에 포함된 식별 표시(410a)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편집 영상(400a)에 포함된 피사체에 대응되게 수정될 수 있다. 이 경우, 편집 영상(400a)에서 수정된 식별 표시(410b)에 대응되는 수정 좌표 정보를, 선택된 썸 네일 영상(300b)과 연관하여 메모리(50)에 저장한다.
예를 들면, 수정된 식별 표시(410b)에 대응하는 수정 좌표 정보는, 편집 영상(400a)에서 수정된 식별 표시(410b)의 각 꼭지점에 대응되는 픽셀의 좌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좌표 정보 및 수정 좌표 정보는 선택된 썸 네일 영상(300b)과 연관하여 함께 메모리(50)에 저장됨으로써, 추후에 수정된 식별 표시가 영상에 포함된 피사체에 매칭이 잘 안된 경우, 다시 원래의 식별 표시로 돌아가서 식별 표시의 수정을 다시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10 에서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따라, 편집 영상(400a)에는 수정된 식별 표시(410b)이 함께 표시될 수 있고, 이와 대응되게 사용자가 선택한 썸 네일 영상(300b)에도 수정된 식별 표시(310e)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도10 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가 복수의 썸 네일 영상을 동시에 원근 변환 영상 처리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전자 기기(100)는 복수의 썸 네일 영상 및 편집 영상을 원근 변환 영상 처리한 복수의 썸 네일 변환 영상 및 편집 변환 영상을 디스플레이부(30)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10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30)에 표시된 복수의 썸 네일 변환 영상(500a, 500b) 및 편집 변환 영상(510a)은 원근 변환 영상 처리가 사용자의 의도대로 되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이 경우, 도10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편집 변환 영상(510a)에 포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520a)에 의하여, 원근 변환 영상 처리를 수행하기 직전인 복수의 썸 네일 영상(300a, 300b) 및 편집 영상(400a)이 디스플레이부(30)에 표시될 수 있다.
도10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편집 영상(400a) 에 포함된 식별 표시(410a)가 영상에 포함된 피사체와 일치하지 않은 경우,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편집 영상(400a)에는 수정된 식별 표시(410b)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썸 네일 영상(300b)에도 수정된 식별 표시(310c)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편집 영상(400a)에 포함된 수정된 식별 표시(410b)에 대응되는 수정 좌표 정보는, 썸 네일 영상(300b)과 연관하여 메모리(50)에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편집 영상(400a)에 포함된 피사체와 매칭이 잘 되도록 수정된 식별 표시(410b)에 대응되는 수정 좌표 정보가, 썸 네일 영상(300b) 및 편집 영상(400a)을 원근 변환 영상 처리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도10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420a)에 입력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복수의 썸 네일 영상(300a, 300b) 및 편집 영상(400a)을 원근 변환 영상 처리하여 생성된 복수의 썸 네일 변환 영상(500c, 500d) 및 편집 변환 영상(510b)이 디스플레이부(30)에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원근 변환 영상 처리하는 데 이용되는 수정 좌표 정보는 영상에 포함된 피사체와 잘 매칭이 되게 수정된 것이므로, 좋은 품질의 복수의 썸 네일 변환 영상(500c, 500d) 및 편집 변환 영상(510b)이 디스플레이부(30)에 표시될 수 있다.
도11 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가, 유효한 사각 영역이 아닌 식별 표시를 포함하는 썸 네일 영상이 포함된 경우, 썸 네일 영상을 편집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전자 기기(100)는 메모리(50)에 저장된 좌표 정보를 이용하여, 복수의 썸 네일 영상과 함께 표시된 복수의 식별 표시가 모두 유효한 사각 영역인지 판단한다.
예를 들면, 유효한 사각 영역이란, 사각 영역을 정의하는 파라미터의 값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사각 영역을 정의하는 파라미터의 값에는 사각 영역을 정의하는 크기, 사각 영역을 정의하는 왜곡 정도, 사각 영역을 정의하는 꼭지점의 개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 처리부(60)에서 복수의 썸 네일 영상에 포함된 복수의 식별 표시가 모두 유효한 사각 영역이라고 판단된 경우, 전자 기기(100)는 메모리(50)에 저장된 좌표 정보를 이용하여, 복수의 썸 네일 영상을 원근 변환 영상 처리하여 디스플레이부(30)에 표시할 수 있다.
반면, 영상 처리부(60)에서 복수의 썸 네일 영상과 함께 표시된 복수의 식별 표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유효한 사각 영역이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 전자 기기(100) 는 유효한 사각 영역이 아닌 식별 표시가 포함된 썸 네일 영상에 소정의 알림 표시를 함께 포함하여, 디스플레이부(30)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소정의 알림 표시는 썸 네일 영상에 포함된 식별 표시는 원근 변환 영상 처리를 수행하는데 적합한 유효 사각 영역이 아님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출력이다.
예를 들면, 복수의 썸 네일 영상은 식별 표시에 대응되는 좌표 정보를 이용하여 원근 변환 영상 처리가 수행될 수 있으므로, 영상에서 검출되는 식별 표시가 유효 사각 영역이 아닌 경우, 좋은 품질의 원근 변환 영상 처리가 수행되기가 어렵다.
따라서,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100)는 복수의 썸 네일 영상을 일괄적으로 원근 변환 영상 처리하기 전에, 원근 변환 영상 처리가 사용자 의도에 맞지 않게 수행될 것 같은 썸 네일 영상의 존재를 소정의 알림 표시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미리 알려줄 수 있다.
또한, 전자 기기(100)는 유효한 사각 영역이 아닌 식별 표시가 포함된 썸 네일 영상을 편집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효한 사각 영역이 아닌 식별 표시가 포함된 썸 네일 영상을 편집하기 위한 편집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편집 영상에 포함된 식별 표시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유효 사각 영역의 조건에 대응되게 수정될 수 있다. 반면, 유효한 사각 영역이 아닌 식별 표시가 포함된 썸 네일 영상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삭제될 수 있다.
전자 기기(100)가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썸 네일 영상에 포함된 식별 표시를 유효 사각 영역의 조건에 대응되게 수정한 경우, 전자 기기(100)는 수정된 식별 표시에 대응되는 수정 좌표 정보를 썸 네일 영상과 관련하여 메모리(50)에 저장할 수 있다.
반면, 전자 기기(100)가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30)에 표시된 썸 네일 영상을 삭제한 경우, 메모리(50)에 저장된 썸 네일 영상에 대응되는 영상도 삭제될 수 있다.
도 11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편집 영상(400a)에 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420a)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부(30)에 표시된 복수의 썸 네일 영상(300a, 300b, 300c) 및 편집 영상(400a)을 원근 변환 영상 처리 하기 위한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썸 네일 영상(300a, 300b, 300c)에 포함된 각각의 식별 표시(310a, 310b, 310c)는 모두 유효 사각 영역인지 판단될 수 있다.
도 11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썸 네일 영상(300b)에 포함된 식별 표시(310b)에 대응되는 사각 영역은 왜곡 정도가 심하므로, 유효 사각 영역이 아니라고 판단된다.
이 경우, 전자 기기(100)는 유효 사각 영역이 아니라고 판단된 식별 표시(310b)를 포함하는 썸 네일 영상(300b)과 소정의 알림 표시(330b)를 함께 디스플레이부(30)에 표시한다.
이에 따라, 전자 기기(100)는 복수의 썸 네일 영상을 일괄적으로 원근 변환 영상 처리하기 전에, 원근 변환 영상 처리가 사용자 의도에 맞지 않게 수행될 것 같은 썸 네일 영상(300b)의 존재를 소정의 알림 표시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미리 알려줄 수 있다.
또한, 유효 사각 영역이 아니라고 판단된 식별 표시(310b)를 포함하는 썸 네일 영상(300b)을 편집하기 위한 편집 영상(400b)이 디스플레이부(30)에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편집 영상(400b)에 포함된 식별 표시(410b)는 유효 사각 영역의 조건에 대응되게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수정될 수 있다.
반면, 편집 영상(400b)에 포함된 식별 표시(410b)가 유효 사각 영역의 조건에 대응되게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수정될 수 없는 경우, 썸 네일 영상(300b)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30)에서 삭제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30)에서 삭제된 썸 네일 영상(300b)에 대응되는 영상도 메모리(50)에서 삭제될 수 있다.
도 12 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가, 복수의 썸 네일 영상을 소정의 크기로 크기 변환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순차적으로 수신된 복수의 입력 영상의 화각이 동일한 경우, 동일한 장면을 가진 복수의 영상이 수신되고 있다고 판단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입력 영상이 순차적으로 수신되는 중에 전자 기기(100)의 움직임을 검출하여 소정의 시간 동안 검출된 움직임이 없는 경우, 동일한 장면을 가진 복수의 입력 영상이 수신되고 있다고 판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동일한 장면을 가진 복수의 입력 영상이 수신되고 있다고 판단된 경우, 복수의 썸 네일 영상을 소정의 크기로 크기 변환 할 수 있다.
이 경우, 소정의 크기란 복수의 입력 영상에 포함된 하나의 입력 영상에 대응되는 크기 또는 디폴트로 설정되어 있는 크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소정의 크기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순차적으로 수신된 복수의 입력 영상의 장면이 명함이라고 인식된 경우, 복수의 썸 네일 영상의 가로 또는 세로의 크기는 명함 사이즈의 비율로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순차적으로 수신된 복수의 입력 영상의 장면이 A4 문서라고 인식된 경우, 복수의 썸 네일 영상의 가로 또는 세로의 크기는 A4 문서의 비율로 조절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기기(100)는 소정의 크기로 크기 변환된 복수의 썸 네일 영상을 디스플레이부(30)에 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복수의 썸 네일 영상에 대한 시인성 또는 가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복수의 썸 네일 영상이 소정의 크기로 변환되면,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입력 영상도 소정의 크기로 변환될 수 있다.
반면, 상술한 실시 예들이 따르면, 복수의 입력 영상의 수신 중에, 전자 기기(100)의 움직임이 있거나, 순차적으로 수신된 복수의 입력 영상 간에 화각이 동일하지 않는 경우, 전자 기기(100)에는 동일한 장면을 가진 복수의 입력 영상이 수신되고 있다고 판단될 수 없다.
그러나, 예를 들어, 전자 기기(100)를 고정할 삼각대가 없이 사용자가 직접 전자 기기(100)를 들고, 강의 시간에 수업 자료 등을 촬영하는 경우에도, 순차적으로 수신되는 복수의 입력 영상을, 동일한 크기로 크기 변환하여 메모리에 저장하고자 하는 필요성은 여전히 있다.
이와 관련하여,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100)는 복수의 입력 영상을 수신하기 전인 라이브 뷰 상태에서, 추후에 수신될 복수의 입력 영상을 영상 처리 함에 있어서 동일한 크기로 크기 변환할지 여부를 사용자가 미리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기기(100)는 라이브 뷰 상태(100a)에서 추후에 수신될 복수의 입력 영상을 영상 처리 함에 있어서 동일한 크기로 크기 변환할지 여부를 미리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10a)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2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추후에 순차적으로 수신된 복수의 입력 영상이 동일한 장면이 아닌 경우에도,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소정의 크기로 크기 변환된 복수의 썸 네일 영상(600a, 600b, 600c)이 디스플레이부(30)에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기기(100)는 동일한 장면이 아닌 복수의 영상을 연속 수신하는 경우에도, 소정의 크기로 크기 변환된 복수의 썸 네일 영상을 디스플레이부(30)에 표시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복수의 썸 네일 영상에 대한 시인성 또는 가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3 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가, 복수의 썸 네일 영상을 영상 후처리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전자 기기(100)는 복수의 썸 네일 영상을 원근 변환 영상 처리 및 영상 후처리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기기(100)는 복수의 썸 네일 영상을 원근 변환 영상 처리 및 영상 후처리를 함으로써, 복수의 입력 영상을 원근 변환 영상 처리 및 영상 후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 후처리는 화질 개선을 위한 영상 신호 처리를 포함하는 것으로, 휘도 레벨 조정, 색 보정, 콘트라스트 조정, 윤곽 강조 조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13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기기(100)는 원근 변환 영상 처리된 복수의 썸 네일 영상(500a, 500b, 500c, 500d) 및 편집 영상(510a)의 영상 처리를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530a)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530a)는 원근 변환 영상 처리된 복수의 썸 네일 영상(500a, 500b, 500c, 500d) 및 편집 영상(510a)의 화질 개선을 위한 영상 신호 처리 종류를 선택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면, 화질 개선을 위한 영상 신호 처리 종류는 휘도 레벨 조정, 색 보정, 콘트라스트 조정, 윤곽 강조 조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기기(100)는 영상 후처리된 복수의 썸 네일 영상을 디스플레이부(30)에 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복수의 썸 네일 영상에 대한 시인성 또는 가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4 내지 도1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가, 카테고리 저장 목록에서, 복수의 변환 영상과 관련된 정보를 카테고리와 함께 표시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전자 기기(100)는 복수의 입력 영상의 영상 처리를 완료한 이후에, 순차적인 복수의 입력 영상의 수신에 대응되는 카테고리를 생성하여, 복수의 입력 영상을 카테고리별로 저장하여 관리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100)는 복수의 입력 영상의 수신과 관련되는 카테고리를 생성하여, 복수의 입력 영상과 관련된 복수의 변환 영상을 카테고리와 관련하여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변환 영상과 관련된 정보가 카테고리와 함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변환 영상들은 영상 수신부(10)에서 순차적으로 수신된 복수의 입력 영상일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변환 영상들은 복수의 입력 영상을 일괄적으로 원근 변환 영상 처리 한 복수의 변환 영상일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변환 영상과 관련된 정보는 카테고리에 포함된 복수의 변환 영상의 개수 및 복수의 변환 영상과 대응되는 썸 네일 영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4 및 도15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기기(100)는 복수의 입력 영상을 순차적으로 수신할 때, 복수의 입력 영상의 수신에 대응되는 카테고리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입력 영상에 대한 소정의 영상 처리를 완료한 복수의 변환 영상는 카테고리 별로 저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기기(10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복수의 변환 영상을 저장하는 카테고리의 목록(1000a, 1000b)을 디스플레이부(30)에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도14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카테고리 목록(1000a)에는 각 카테고리의 이름(1010a, 1010b, 1010c) 및 각 카테고리에 저장된 복수의 변환 영상에 대응되는 복수의 썸 네일 영상(1020a) 을 함께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도15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카테고리의 목록(1000b)에는 각 카테고리의 이름(1010d, 1010e, 1010f, 1010g, 1010h, 1010i) 및 각 카테고리에 저장된 복수의 변환 영상 중 대표 영상에 대응되는 썸 네일 영상(1020b)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카테고리의 목록(1000b)에는 각 카테고리에 저장된 복수의 변환 영상의 개수를 나타내는 아이콘(1030a)이 함께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도15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카테고리(1010g)에 이미지 데이터가 이외에 음성 데이터도 저장되어 있는 경우, 스피커의 아이콘(1040a)이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기기(100)는 복수의 변환 영상을 저장하는 카테고리 목록을 표시함에 있어서, 카테고리에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변환 영상과 관련된 정보를 함께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복수의 변환 영상을 확인하고 관리하는데 편리함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1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가, 카테고리 저장 목록에서 카테고리에 저장된 복수의 변환 영상을 볼 수 있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카테고리 목록(1000b)에는 카테고리의 이름(1010d) 및 각 카테고리에 저장된 복수의 변환 영상 중 대표 영상에 대응되는 썸 네일 영상(1020b)이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카테고리 목록(1000b)에 표시된 썸 네일 영상(1020b)이 선택되는 경우, 카테고리의 이름(1010d)을 가진 카테고리에 저장된 복수의 변환 영상들이 디스플레이부(30)에 표시될 수 있다.
도 1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변환 영상에 대응되는 복수의 썸 네일 변환 영상들(500a, 500b, 500c, 500d)이, 카테고리 목록(1000b) 에 표시된 썸 네일 영상(500a)을 확대한 영상(510a)과 함께 디스플레이부(30)에 표시될 수 있다.
도 17 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외부 메모리에 저장된 복수의 변환 영상을, 외부 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서 확인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7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기기(100)가 아닌 외부 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 메모리(50)에 저장되어 있는 카테고리를 표시함에 있어서, 각 카테고리에 포함된 복수의 영상들이 PDF, DOC, PPT 등의 하나의 문서 파일로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100)는 사용자로 하여금 수월하게 복수의 영상을 일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카테고리 별로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프로세서, 프로그램 데이터를 저장하고 실행하는 메모리,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영구 메모리(permanent storage), 터치 패널, 키(key), 버튼 등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되는 방법들은 상기 프로세서상에서 실행 가능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들 또는 프로그램 명령들로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 상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로 마그네틱 저장 매체(예컨대, ROM(read-only memory), RAM(random-access memory),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및 광학적 판독 매체(예컨대, 시디롬(CD-ROM), 디브이디(DVD: Digital Versatile Disc)) 등이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들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하며,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인용하는 공개 문헌, 특허 출원, 특허 등을 포함하는 모든 문헌들은 각 인용 문헌이 개별적으로 및 구체적으로 병합하여 나타내는 것 또는 에서 전체적으로 병합하여 나타낸 것과 동일하게 에 병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서 참조 부호를 기재하였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였으나, 특정 용어에 의해 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당업자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모든 구성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은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또는/및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제어 또는 다른 제어 장치들에 의해서 다양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는, 메모리, 프로세싱, 로직(logic), 룩 업 테이블(look-up table) 등과 같은 직접 회로 구성들을 채용할 수 있다. 에의 구성 요소들이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는 것과 유사하게, 은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매커니즘”, “요소”, “수단”, “구성”과 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는 프로세서 등과 연계하여 소프트웨어의 일련의 처리들(routines)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00: 전자 기기 10: 영상 수신부
20: 사각 이미지 영역 검출부 30: 디스플레이부
40: 사용자 입력부 50: 메모리
60: 영상 처리부 70: 제어부

Claims (20)

  1. 복수의 입력 영상을 순차적으로 수신하는 동안, 입력 영상을 수신할 때마다 수신된 상기 입력 영상에서 사각 이미지 영역(RIR, Rectangular Image Region)을 병렬적으로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사각 이미지 영역에 대응되는 좌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좌표 정보를 상기 입력 영상과 연관지어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영상 처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 방법은
    상기 좌표 정보와 상기 복수의 입력 영상에 기초하여, 소정의 식별 표시를 포함하는 복수의 썸 네일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및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상기 복수의 썸 네일 영상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소정의 식별 표시는 상기 썸 네일 영상에서 사각 이미지 영역을 식별하기 위한 표시로써, 상기 좌표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것인, 영상 처리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썸 네일 영상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 는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썸 네일 영상을 확대한 영상을, 상기 복수의 썸 네일 영상과 함께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영상 처리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 방법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상기 복수의 썸 네일 영상을 편집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영상 처리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썸 네일 영상과 함께 표시된 상기 식별 표시를 편집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인 것인, 영상 처리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상기 복수의 썸 네일 영상을 동시에 원근 변환 영상 처리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인 것인, 영상 처리 방법.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상기 복수의 썸 네일 영상을 소정의 크기로 크기 변환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인 것인, 영상 처리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 방법은,
    상기 복수의 입력 영상의 수신과 관련되는 카테고리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복수의 입력 영상과 관련된 복수의 변환 영상을 상기 카테고리와 관련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변환 영상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카테고리와 함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영상 처리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변환 영상과 관련된 정보는
    상기 복수의 변환 영상의 개수 및 상기 복수의 변환 영상과 대응되는 썸 네일 영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영상 처리 방법.
  10. 입력 영상을 수신하는 영상 수신부;
    상기 수신된 입력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수신된 입력 영상에서 사각 이미지 영역(RIR, Rectangular Image Region)을 검출하는 사각 이미지 영역 검출부;
    상기 검출된 사각 이미지 영역에 대응되는 좌표 정보와 상기 입력 영상을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좌표 정보와 상기 입력 영상에 기초하여, 소정의 영상 처리를 수행하는 영상 처리부; 및
    상기 영상 수신부가 복수의 입력 영상을 순차적으로 수신할 때마다, 상기 사각 영역 이미지 검출부가 수신된 상기 입력 영상에서 사각 이미지 영역(RIR, Rectangular Image Region)을 병렬적으로 검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인, 전자 기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좌표 정보와 상기 복수의 입력 영상에 기초하여, 소정의 식별 표시를 포함하는 복수의 썸 네일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상기 복수의 썸 네일 영상을 표시하며,
    상기 소정의 식별 표시는 상기 썸 네일 영상에서 사각 이미지 영역을 식별하기 위한 표시로써, 상기 좌표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것인, 전자 기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썸 네일 영상을 확대한 영상을, 상기 복수의 썸 네일 영상과 함께 표시하는 것인, 전자 기기.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상기 복수의 썸 네일 영상을 편집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인, 전자 기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썸 네일 영상과 함께 표시된 상기 식별 표시를 편집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인 것인, 전자 기기.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영상 처리부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상기 복수의 썸 네일 영상을 동시에 원근 변환 영상 처리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인 것인, 전자 기기.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영상 처리부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상기 복수의 썸 네일 영상을 소정의 크기로 크기 변환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인 것인, 전자 기기.
  17.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입력 영상의 수신과 관련되는 카테고리를 생성하여, 상기 복수의 입력 영상과 관련된 복수의 변환 영상을 상기 카테고리와 관련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복수의 변환 영상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카테고리와 함께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인, 전자 기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변환 영상과 관련된 정보는
    상기 복수의 변환 영상의 개수 및 상기 복수의 변환 영상과 대응되는 썸 네일 영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전자 기기.
  19. 프로세서에 의해 도출되어 실행되었을 때, 영상 처리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들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 방법은,
    복수의 입력 영상을 순차적으로 수신하는 동안, 입력 영상을 수신할 때마다 수신된 상기 입력 영상에서 사각 이미지 영역(RIR, Rectangular Image Region)을 병렬적으로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사각 이미지 영역에 대응되는 좌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좌표 정보를 상기 입력 영상과 연관지어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 방법은
    상기 좌표 정보와 상기 복수의 입력 영상에 기초하여, 소정의 식별 표시를 포함하는 복수의 썸 네일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및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상기 복수의 썸 네일 영상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소정의 식별 표시는 상기 썸 네일 영상에서 사각 이미지 영역을 식별하기 위한 표시로써, 상기 좌표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것인,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KR1020140161159A 2014-11-18 2014-11-18 영상 처리 방법, 상기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 및 전자 기기. KR1022723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1159A KR102272310B1 (ko) 2014-11-18 2014-11-18 영상 처리 방법, 상기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 및 전자 기기.
US14/843,324 US9767588B2 (en) 2014-11-18 2015-09-02 Method and apparatus for image processing
EP15860528.7A EP3222036B1 (en) 2014-11-18 2015-10-08 Method and apparatus for image processing
PCT/KR2015/010642 WO2016080653A1 (en) 2014-11-18 2015-10-08 Method and apparatus for image processing
CN201510796656.3A CN105607825B (zh) 2014-11-18 2015-11-18 用于图像处理的方法和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1159A KR102272310B1 (ko) 2014-11-18 2014-11-18 영상 처리 방법, 상기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 및 전자 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9358A true KR20160059358A (ko) 2016-05-26
KR102272310B1 KR102272310B1 (ko) 2021-07-02

Family

ID=55961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1159A KR102272310B1 (ko) 2014-11-18 2014-11-18 영상 처리 방법, 상기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 및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767588B2 (ko)
EP (1) EP3222036B1 (ko)
KR (1) KR102272310B1 (ko)
CN (1) CN105607825B (ko)
WO (1) WO201608065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71898B2 (en) 2017-08-31 2020-12-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for providing preview UI and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53475B2 (en) * 2016-10-03 2019-07-1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utomated E-tran application
US11087292B2 (en) * 2017-09-01 2021-08-10 Allstate Insurance Company Analyzing images and videos of damaged vehicles to determine damaged vehicle parts and vehicle asymmetries
CN109525646B (zh) * 2018-10-23 2021-12-21 广州力挚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图像处理方法与装置
JP7340353B2 (ja) * 2019-05-22 2023-09-07 東芝テック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物品識別装置、及び物品識別システ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62199A1 (en) * 2008-04-18 2009-10-22 Pfu Limited Notebook information processor and projective transformation parameter calculating method
KR20110023634A (ko) * 2009-08-31 2011-03-08 (주)아이디스 썸네일 이미지 생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썸네일 이미지 출력 방법
US20130070122A1 (en) * 2009-09-23 2013-03-21 Microsoft Corporation Camera-Based Scanning
US20130332831A1 (en) * 2012-06-07 2013-12-12 Sony Corporation Content management user interface that is pervasive across a user's various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63151B2 (ja) 2003-10-14 2009-11-11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撮影装置、そ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3743828B2 (ja) 2003-10-14 2006-02-08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電子カメラ
US8549435B1 (en) * 2006-09-25 2013-10-01 Adobe Systems Incorporated Displaying thumbnails for one or more files to be imported
JP4775332B2 (ja) * 2007-06-14 2011-09-2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選択装置および画像選択方法
US20090204915A1 (en) * 2008-02-08 2009-08-13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ethod for Switching Desktop Panels in an Active Desktop
US8009921B2 (en) * 2008-02-19 2011-08-30 Xerox Corporation Context dependent intelligent thumbnail images
JP5462522B2 (ja) 2009-05-07 2014-04-0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当該画像処理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現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
JP4856263B2 (ja) 2009-08-07 2012-01-18 シャープ株式会社 撮像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出力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CN102214000B (zh) * 2011-06-15 2013-04-10 浙江大学 用于移动增强现实系统的目标物体混合注册方法及系统
US9311746B2 (en) * 2012-05-23 2016-04-12 Glasses.Com Inc.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 3-D model of a virtual try-on product
US10013426B2 (en) * 2012-06-14 2018-07-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eduplicating similar image objects in a docume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62199A1 (en) * 2008-04-18 2009-10-22 Pfu Limited Notebook information processor and projective transformation parameter calculating method
KR20110023634A (ko) * 2009-08-31 2011-03-08 (주)아이디스 썸네일 이미지 생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썸네일 이미지 출력 방법
US20130070122A1 (en) * 2009-09-23 2013-03-21 Microsoft Corporation Camera-Based Scanning
US20130332831A1 (en) * 2012-06-07 2013-12-12 Sony Corporation Content management user interface that is pervasive across a user's various devic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71898B2 (en) 2017-08-31 2020-12-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for providing preview UI and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140417A1 (en) 2016-05-19
WO2016080653A1 (en) 2016-05-26
US9767588B2 (en) 2017-09-19
EP3222036A1 (en) 2017-09-27
CN105607825B (zh) 2020-10-27
EP3222036B1 (en) 2021-05-05
EP3222036A4 (en) 2018-07-11
KR102272310B1 (ko) 2021-07-02
CN105607825A (zh) 2016-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409166B (zh) 摇摄镜头的自动生成
US9001230B2 (en) Systems, methods, and computer-readable media for manipulating images using metadata
US839631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image
CN105611275B (zh) 执行电子装置的多照相机捕捉控制的方法及其设备
CN107566732B (zh) 控制装置的相机的方法及其装置
JP6525611B2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TWI544448B (zh) 影像處理方法以及影像處理裝置
WO2016127478A1 (zh) 一种图像处理方法、装置和终端
US9503629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readable device having instructions for generating focused image
KR102272310B1 (ko) 영상 처리 방법, 상기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 및 전자 기기.
TWI545522B (zh) 生成圖片縮略圖的方法與系統
KR102173109B1 (ko) 디지털 영상 처리 방법, 상기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 및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US9792012B2 (en) Method relating to digital images
CN108805799B (zh) 全景图像合成装置、方法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0860166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for generating a depth adjusted image file
US9767533B2 (en) Image resolution enhancement based on data from related images
JP2020091745A (ja) 画像撮像支援装置及び画像撮像支援方法
US1037332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for determining an image to be subjected to a character recognition processing
US9137448B2 (en) Multi-recording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multi-recording image capturing apparatus for enabling the capture of two image areas having two different angles of view
KR20110099498A (ko)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디지털 영상 처리 방법
JP6038489B2 (ja) 画像処理装置
WO2020106277A1 (en) Document detections from video images
US9049382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TW201134198A (en) Method for image pickup and image pickup device using the same
CN109218599B (zh) 全景图像的显示方法及其电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