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9339A - System for detecting vehicles for decoding and offering information of traffic of section in street network - Google Patents

System for detecting vehicles for decoding and offering information of traffic of section in street networ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9339A
KR20160059339A KR1020140161120A KR20140161120A KR20160059339A KR 20160059339 A KR20160059339 A KR 20160059339A KR 1020140161120 A KR1020140161120 A KR 1020140161120A KR 20140161120 A KR20140161120 A KR 20140161120A KR 20160059339 A KR20160059339 A KR 201600593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omagnetic sensor
vehicle
peak
road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112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종선
Original Assignee
(주)아이티에스뱅크
이종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티에스뱅크, 이종선 filed Critical (주)아이티에스뱅크
Priority to KR10201401611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59339A/en
Publication of KR201600593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933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 G08G1/0175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by photographing vehicles, e.g. when violating traffic ru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2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using treadles built into the roa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42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using inductive or magnetic dete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vehicle detecting system for decoding section traffic information and providing information in a street network. The vehicle detecting system includes: a first terrestrial magnetism sensor buried in a road; a second terrestrial magnetism sensor buried in the road to be spaced from the first terrestrial magnetism sensor; and a control unit receiving signals outputted from the first terrestrial magnetism sensor and the second terrestrial magnetism sensor and determining whether or not a vehicle is parked. The vehicle detecting system can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vehicle is currently driven and passes the road, the vehicle stops, or the vehicle is parked by simply using the two terrestrial magnetism sensors without establishing infrastructures such as a complex sensor, a camera and the like. Therefore, a construction cost is reduced and a maintenance cost is also innovatively reduced.

Description

가로망에서 구간교통정보 판독 및 정보제공을 위한 차량 검지 시스템 {SYSTEM FOR DETECTING VEHICLES FOR DECODING AND OFFERING INFORMATION OF TRAFFIC OF SECTION IN STREET NETWORK}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detection system for reading traffic information from a road network and providing information to the vehicle.

본 발명은 가로망에서 구간교통정보 판독 및 정보제공을 위한 차량 검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이 교차로나 이면도로 등으로의 진출입시 이를 감지하고 더 나아가 그 진출입 방향까지도 감지할 수 있는 가로망에서 구간교통정보 판독 및 정보제공을 위한 차량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detection system for reading and providing information on section traffic information in a street network, and more particularly, it relates to a vehicle detection system for detecting a vehicle entering or leaving an intersection or a back road, To a vehicle sensing system for reading and providing information.

차량의 증가로 인하여 교통사고나 도로가 정체되는 경우가 많아지게 되었으며, 신호등이 없는 이면도로 등에서는 이러한 문제가 더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Traffic accidents and road congestion are becoming more frequent due to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vehicles, and such problems are increasing in the back roads without traffic lights.

또한, 불법 주정차로 인하여 도로가 더 정체되는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긴급하게 통과하여야 하는 응급차량이나 소방차 등의 경우에는 재산적인 피해 뿐만 아니라 인명사고가 발생할 수 있게 되어 심각한 문제가 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oad becomes more stagnant due to illegal driving, and in the case of emergency vehicles or fire trucks which are urgently required to pass, serious injury may occur as well as property damage as well as human accidents.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에 카메라(C)를 설치하고, 카메라(C)에서 촬상된 영상을 분석하여 도로의 교통량이나 불법 주정차 차량을 판단하는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 technique has been proposed in which a camera C is installed on the road as shown in Fig. 1 and an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C is analyzed to judge the traffic volume of the road or the illegally parked vehicle .

그러나, 카메라(C)에 의한 영상처리 기술의 한계, 예를 들어 밤과 같은 어두운 경우에는 영상분석에 의한 판단이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카메라(C)의 촬상각이 한정되어 있어 이를 피하여 불법 주정차하는 경우에는 이를 판단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However, in the case where the image processing technique by the camera C is dark, for example, in the case of dark such as the night, there is a limit to the judgment by the image analysis, and the imaging angle of the camera C is limited, There is a problem that it can not be judged.

또한, 촬상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는 복수개의 카메라(C)를 설치할 수 밖에 없는데 고가의 카메라(C)를 설치하고 이를 관리, 유지 및 보수하기 위한 인력 및 비용적 문제가 있다. Further,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imaging, a plurality of cameras C can be installed, but there is a labor and a cost problem for installing an expensive camera C and managing, maintaining, and repairing them.

이외 지자기 센서를 도로상에 매설하여 차량을 감지하는 기술이 제안되고 있으나, 이는 단지 지자기 센서를 통과하는 차량의 유무만을 감지하는 것으로서, 이 차량이 주차했는지, 정차했는지 또는 어느 방향으로 진출입하는지 판단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Another technology for detecting a vehicle by burying a geomagnetic sensor on the road has been proposed. However, this technique detects only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vehicle passing through the geomagnetic sensor and determines whether the vehicle is parked, stopped, There is a limit that can not be done.

즉, 차량이 통과하였는지만을 판단할 뿐 이 차량이 계속 직진주행할지, 좌회전 또는 우회전할지 판단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으며, 이로 인하여 미리 차량의 주행방향을 판단하여 해당 도로에서 주행하고 있는 타차량이나 보행자에게 미리 경고나 주의신호를 주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That is,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only judged whether the vehicle has passed or not, and it is impossible to judge whether the vehicle continues to run straight, left turn or right tur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the running direction of the vehicle in advanc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give a warning or caution signal in advance.

예를 들어, 좁은 이면도로 교차로에서는 물건이 쌓여 있거나 담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차량이 어느 방향에서 오는지 파악하기 어려워 교통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For example, in an intersection with narrow back roads, when objects are piled up or fences are installed, traffic accidents may occur because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from which direction the vehicle is coming from.

또한, 어린이가 통학하기 위해 유치원이나 학교에 갈때 불법 주정차 차량이 있는 경우에는 이를 피하기 위해 도로 중앙으로 돌아서 가야함에 따라 교통사고의 위험이 있다.
In addition, when a child goes to a kindergarten or school to attend school, there is a risk of a traffic accident if he / she turns to the center of the road to avoid illegal parking.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간단한 구성으로 도로의 교통상황을 파악할 수 있는 차량 감지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ehicle detection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 traffic situation of a road by a simple structur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차량 감지 시스템은, 도로에 매설되는 제1 지자기 센서; 상기 제1 지자기 센서와 이격되게 상기 도로에 매설되는 제2 지자기 센서; 및 상기 제1 지자기 센서 및 제2 지자기 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차량의 주정차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A vehicle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geomagnetic sensor embedded in a road; A second geomagnetic sensor embedded in the roa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geomagnetic sensor; And a control unit for receiving signals output from the first geomagnetic sensor and the second geomagnetic sensor to determine whether the vehicle is in an emergency.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지자기 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 파형의 제1 피크 및 제2 피크가 발생된 후 소멸된 후, 상기 제2 지자기 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 파형이, 상기 제1 지자기 센서의 제1 피크값의 일정 오차범위 이내의 크기를 가지는 제3 피크 및 제4 피크가 발생된 후 소멸되는 경우, 상기 차량이 통과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The first geomagnetism sensor outputs the signal waveform of the first geomagnetism sensor and the second geomagnetism sensor outputs the signal waveform of the second geomagnetism sensor after the first and second peaks of the signal waveform output from the first geomagnetic sensor are generated.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passes when the third and fourth peaks having a size within a certain error range of the first peak value are generated and then disappear.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지자기 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 파형의 제5 피크가 일정한 범위내에서 계속 반복되고, 상기 제2 지자기 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 파형이 상기 제5 피크와 일정 오차범위내에 있는 제6피크가 일정한 범위내에서 계속 반복되는 경우, 상기 차량이 정차중인 것으로 판단한다. The fifth peak of the signal waveform output from the first geomagnetic sensor is continuously repeat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When the signal waveform output from the second geomagnetic sensor is within a certain error range from the fifth peak When the sixth peak is continuously repeated within a certain range,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stopped.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5 피크 및 제6 피크가 일정한 범위내에서 반복된 후 제5 피크 또는 제6 피크보다 일정한 범위를 벗어나는 제1 지자기 센서의 신호 파형의 제7피크 또는 제2 지자기 센서의 신호 파형의 제8피크가 짧은 시간구간에서 발생된 후 소멸되는 경우, 상기 차량이 주차한 것으로 판단한다. The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a seventh peak of the signal waveform of the first geomagnetic sensor or a seventh peak of the signal of the first geomagnetic sensor or a second geomagnetism sensor of the second geomagnetism sensor which is out of a certain range of the fifth peak or the sixth peak after the fifth and sixth peaks are repeat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When the eighth peak of the signal waveform of " 1 " is generated in a short time period and then disappears, it is judged that the vehicle is parked.

이로써, 복잡한 센서나 카메라 등 인프라를 구축하지 않고도 간단하게 지자기 센서 2개를 이용하여 차량이 현재 주행하여 통과한 것인지, 정차하고 있는지 아니면 주차하고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This makes it possible to easily determine whether the vehicle is currently traveling, passing through, or parked by using two geomagnetic sensors without constructing an infrastructure such as a complicated sensor or camera.

그에 따라, 구축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 비용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 As a result, not only the construction cost can be reduced, but also the maintenance cost can be drastically reduced.

또한, 간단하게 차량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일정 구간에서 차량의 유무를 확인하거나 일정 구간에서 점유하고 있는 차량의 대수까지 파악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since it is possible to easily determine the state of the vehicle, it is possible to check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vehicle in a predetermined section or to recognize the number of vehicles occupied in a predetermined section.

이러한 효과에 의하여, 예를 들면 소방차나 구급차와 같이 급한 경우 막힌 길을 우회하는 길을 안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학생들 통학로의 상태를 파악하여 차량이 없는 안전한 다른 길로 안내하는 등 다른 추가적인 복잡한 인프라의 구축없이도 유용한 정보로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By this effect,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guide the way to avoid a blocked road in case of emergency such as a fire engine or an ambulance, but also to construct another additional complex infrastructure It is possible to utilize it as useful information.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차량 감지 시스템은, 도로의 중앙부에 매설되는 제1 지자기 센서; 상기 도로의 중앙부와 상기 제1 지자기 센서를 연결하는 연장선과 이격되게 상기 도로에 매설되는 제2 지자기 센서; 상기 제1 지자기 센서 및 제2 지자기 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차량의 진출입 방향을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ehicle detection system comprising: a first geomagnetic sensor embedded in a central portion of a road; A second geomagnetic sensor embedded in the roa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an extension line connecting the center of the road and the first geomagnetic sensor; And a control unit for receiving a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geomagnetic sensor and the second geomagnetic sensor and determining a direction of entry and exit of the vehicle.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지자기 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 파형의 제1 피크 및 상기 제2 지자기 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 파형의 제3 피크 크기가 일정 오차 범위 이내에 있는 경우, 상기 차량이 상기 제1 지자기 센서 및 제2 지자기 센서를 연장하는 방향으로 주행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When the first peak of the signal waveform output from the first geomagnetic sensor and the third peak amplitude of the signal waveform output from the second geomagnetic sensor are within a predetermined error range, It is judged that the vehicle runs in the direction of extending the geomagnetic sensor and the second geomagnetic sensor.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지자기 센서의 제1 피크값 대비 상기 제2 지자기 센서의 제3 피크값이 일정 범위 이내로 작은 경우, 상기 차량이 직진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vehicle travels straight when the third peak value of the second geomagnetic sensor is smaller than a first peak value of the first geomagnetic sensor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지자기 센서의 제1 피크값 대비 상기 제2 지자기 센서의 제1 피크값이 일정 범위를 초과하여 작거나 '0'인 경우, 상기 차량이 상기 제1 지자기 센서 및 제2 지자기 센서를 연장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주행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When the first peak value of the second geomagnetic sensor is smaller than the first peak value of the first geomagnetic sensor and is smaller than the first peak value of the first geomagnetism sensor or is '0',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first geomagnetism sensor,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travels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geomagnetic sensor extends.

이로써, 복잡한 센서나 카메라 등 인프라를 구축하지 않고도 간단하게 지자기 센서 2개를 이용하여 차량이 일정한 구간에서 어느 방향으로 통과한 것인지, 즉, 주행하는 방향을 따라 직진한 것인지, 우회전한 것인지 또는 좌회전한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Thus, without constructing an infrastructure such as a complicated sensor or a camera, it is possible to easily determine in which direction the vehicle has passed in a certain section, that is, whether the vehicle has traveled straight along the traveling direction, It is possible to judge whether or not it is.

그에 따라, 구축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 비용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 As a result, not only the construction cost can be reduced, but also the maintenance cost can be drastically reduced.

또한, 간단하게 차량의 주행방향을 판단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일정 구간에서 진입차량 대수 및 진출차량 대수 까지 파악할 수 있게 된다. Also, as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can be easily determined, it is possible to grasp the number of the entering vehicles and the number of the advanced vehicles in a predetermined section.

이러한 효과에 의하여, 예를 들면 소방차나 구급차와 같이 급한 경우 막힌 길을 우회하는 길을 안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학생들 통학로의 상태를 파악하여 차량이 없는 안전한 다른 길로 안내하는 등 다른 추가적인 복잡한 인프라의 구축없이도 유용한 정보로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By this effect,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guide the way to avoid a blocked road in case of emergency such as a fire engine or an ambulance, but also to construct another additional complex infrastructure It is possible to utilize it as useful information.

또한, 진출차량의 방향으로부터 오는 보행자 또는 차량에게 미리 자신이 현재 주행하거나 걸어가고 있는 방향으로 타차량이 진입해 오는 것을 경고하거나 주의신호를 주어 교통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warn a pedestrian or a vehicle coming from the direction of the advanced vehicle ahead of the other vehicl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vehicle is currently traveling or walking, or to give a caution signal to prevent a traffic accident in advanc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복잡한 센서나 카메라 등 인프라를 구축하지 않고도 간단하게 지자기 센서 2개를 이용하여 차량이 현재 주행하여 통과한 것인지, 정차하고 있는지 아니면 주차하고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easily determine whether the vehicle is currently traveling, passed, parked, or parked using two geomagnetic sensors without constructing an infrastructure such as a complicated sensor or camera .

그에 따라, 구축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 비용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 As a result, not only the construction cost can be reduced, but also the maintenance cost can be drastically reduced.

또한, 간단하게 차량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일정 구간에서 차량의 유무를 확인하거나 일정 구간에서 점유하고 있는 차량의 대수까지 파악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since it is possible to easily determine the state of the vehicle, it is possible to check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vehicle in a predetermined section or to recognize the number of vehicles occupied in a predetermined section.

이러한 효과에 의하여, 예를 들면 소방차나 구급차와 같이 급한 경우 막힌 길을 우회하는 길을 안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학생들 통학로의 상태를 파악하여 차량이 없는 안전한 다른 길로 안내하는 등 다른 추가적인 복잡한 인프라의 구축없이도 유용한 정보로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By this effect,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guide the way to avoid a blocked road in case of emergency such as a fire engine or an ambulance, but also to construct another additional complex infrastructure It is possible to utilize it as useful information.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복잡한 센서나 카메라 등 인프라를 구축하지 않고도 간단하게 지자기 센서 2개를 이용하여 차량이 일정한 구간에서 어느 방향으로 통과한 것인지, 즉, 주행하는 방향을 따라 직진한 것인지, 우회전한 것인지 또는 좌회전한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easily determine in which direction the vehicle has passed through a certain section, that is, the direction in which the vehicle travels, using two geomagnetic sensors without constructing an infrastructure such as a complicated sensor or camera It is possible to judge whether it is straight forward, rightward or leftward.

그에 따라, 구축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 비용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 As a result, not only the construction cost can be reduced, but also the maintenance cost can be drastically reduced.

또한, 간단하게 차량의 주행방향을 판단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일정 구간에서 진입차량 대수 및 진출차량 대수 까지 파악할 수 있게 된다. Also, as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can be easily determined, it is possible to grasp the number of the entering vehicles and the number of the advanced vehicles in a predetermined section.

이러한 효과에 의하여, 예를 들면 소방차나 구급차와 같이 급한 경우 막힌 길을 우회하는 길을 안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학생들 통학로의 상태를 파악하여 차량이 없는 안전한 다른 길로 안내하는 등 다른 추가적인 복잡한 인프라의 구축없이도 유용한 정보로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By this effect,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guide the way to avoid a blocked road in case of emergency such as a fire engine or an ambulance, but also to construct another additional complex infrastructure It is possible to utilize it as useful information.

또한, 진출차량의 방향으로부터 오는 보행자 또는 차량에게 미리 자신이 현재 주행하거나 걸어가고 있는 방향으로 타차량이 진입해 오는 것을 경고하거나 주의신호를 주어 교통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warn a pedestrian or a vehicle coming from the direction of the advanced vehicle ahead of the other vehicl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vehicle is currently traveling or walking, or to give a caution signal to prevent a traffic accident in advance.

도 1은 종래 카메라를 이용하여 차량을 감지하거나 주행방향을 판단하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가로망에서 구간교통정보 판독 및 정보제공을 위한 차량 감지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차량 감지 시스템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상태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차량의 상태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차량 감지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가로망에서 구간교통정보 판독 및 정보제공을 위한 차량의 주행방향을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차량의 주행 방향을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system for detecting a vehicle or determining a driving direction using a conventional camera,
FIG. 2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vehicle detection system for reading out section traffic information and providing information in a street network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detection system shown in FIG. 2,
4A to 4C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method of determining a state of a vehic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of determining the state of the vehicle,
FIG. 6 is a view for explaining an oper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vehicle detection system shown in FIG. 2;
7A to 7C are views for explaining a method of determining a traveling direction of a vehicle for reading interval traffic information and providing information in a street network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of determining the running direction of the vehicl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가로망에서 구간교통정보 판독 및 정보제공을 위한 차량 감지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로로서, 이를 참조하여 가로망에서 구간교통정보 판독 및 정보제공을 위한 차량 감지 시스템을 설명한다. FIG. 2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vehicle detection system for reading and providing information on section traffic information in a street network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가로망에서 구간교통정보 판독 및 정보제공을 위한 차량 감지 시스템(100)은 제어부(110), 제1 지자기 센서(130) 및 제2 지자기 센서(15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가로망에서 구간교통정보 판독 및 정보제공을 위한 차량 감지 시스템을 '차량 감지 시스템'으로 한다. The vehicle sensing system 100 for reading and providing information on section traffic information in a road network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roller 110, a first geomagnetic sensor 130, and a second geomagnetic sensor 150. Hereinafter, the vehicle detection system for reading the section traffic information and providing information in the cross-road network will be referred to as a " vehicle detection system ".

제어부(110)는, 제1 지자기 센서(130) 및 제2 지자기 센서(15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분석하여 차량의 상태 즉, 주정차 여부를 판단한다. The controller 110 analyzes the signals output from the first geomagnetic sensor 130 and the second geomagnetic sensor 150 to determine the state of the vehicle, that is, whether the vehicle is driven or not.

제1 지자기 센서(130)는 도로에 매설되어 차량이 그 위를 지나가거나 위치할 때 변화되는 지자기량을 신호로서 제어부(110)로 출력하여 제공한다. The first geomagnetic sensor 130 is embedded in the road, and outputs the geomagnetism to the control unit 110 as a signal, which is changed when the vehicle passes over or is located on the road.

제2 지자기 센서(150)는, 제1 지자기 센서(130)와 이격되게 도로에 매설되어 차량이 그 위를 지나가거나 위치할 때 변화되는 지자기량을 신호로서 제어부(110)로 출력하여 제공한다. The second geomagnetic sensor 150 is provided on the roa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geomagnetic sensor 130 and outputs the geomagnetism as a signal to the control unit 110 when the vehicle passes over the geomagnetism sensor 130 or is positioned there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자기 센서(130)와 제2 지자기 센서(150)는 상호 이격되며 도로와 평행한 연장선 상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며, 두개의 지자기센서(130)(150)를 한 개조로 하여 도로에 매설되어 이들 두개의 지자기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분석하여 차량이 해당 설치된 구간을 통과하여 진행하였는지, 해당 구간에서 정차하고 있는지 및 해당 구간에서 주차하고 있는지를 판단하게 된다. As shown in FIG. 3, the first geomagnetic sensor 130 and the second geomagnetic sensor 15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positioned on an extension line parallel to the road, and two geomagnetic sensors 130 and 150 And analyzes the signals output from the two geomagnetic sensors to determine whether the vehicle has traveled through the installed section, whether the vehicle has been stopped in the corresponding section, and whether the vehicle is parked in the corresponding section.

도 4a는 차량이 지자기센서 위를 통과하는 경우 도로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방향으로의 지자기 크기가 변화되는 것을 도시한 것으로서, 차량이 통과하지 않는 경우에는 지자기 변화가 없으며 차량이 지자기센서로 진입해서 나가는 경우 차량의 엔진, 차축 및 차체에 의하여 제1 피크 및 이 보다 큰 제2 피크를 형성한 후 차량이 진출해 가면서 변화가 없게 되는 상태가 된다. 4A shows that the geomagnetism size changes in the direction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ad when the vehicle passes over the geomagnetic sensor, and when the vehicle does not pass, there is no geomagnetism change and the vehicle enters the geomagnetic sensor The first peak and the second peak larger than the first peak are formed by the engine, the axle, and the vehicle body of the vehicle, and there is no change as the vehicle advances.

또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이 정차한 경우 즉, 시동을 끄지 않고 정차한 경우 제1 지자기센서(130) 또는 제2 지자기센서(150)에서는 차량이 진입해 오면서 변화되는 지자기량이 증가하면서 정차한 경우 제5 피크 또는 제6피크가 일정한 좁은 범위내에서 유지되는 상태가 된다. 즉, 시동이 꺼지지 않은 상태에서 엔진이 작동됨에 따라 지자기량이 일정한 범위내에서 유지된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4B, when the vehicle is stationary, that is, when the vehicle stops without turning off the engine, the first geomagnetic sensor 130 or the second geomagnetic sensor 150 increases the amount of geomagnetism When stopped, the fifth peak or the sixth peak is maintained in a constant narrow range. That is, the amount of geomagnetism is kept within a certain range as the engine is operated in a state in which the starter is not turned off.

이후,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이 정차한 후 시동을 끄는 즉, 주차상태에 있는 경우 제5 피크 또는 제6피크에서 시동이 꺼지는 제7 피크 또는 제8 피크를 형성한 후 급격하게 변화가 없게 되는 상태가 된다. 즉, 시동이 꺼지면서 급격하게 지자기가 변화되면서 제7 또는 제8 피크를 나타낸 후 엔진이 완전히 정지하면서 지자기 변화량이 없는 상태가 된다. Thereafter, as shown in FIG. 4C, when the vehicle is stopped and the start is turned off, that is, when the vehicle is in the parking state, the seventh peak or the eighth peak is turned off at the fifth peak or sixth peak, There will be no state. That is, when the engine is completely stopped after the seventh or eighth peak is displayed while the start is turned off and the geomagnetism is suddenly changed, there is no change in the geomagnetism.

이때, 제1 피크 내지 제8피크의 크기는 차량과 각 지자기센서와 거리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전체 파형은 유사하나 그 크기는 지자기 센서와 차량의 거리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At this time, it can be seen that the sizes of the first to eighth peaks may vary depending on the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and each geomagnetic sensor. That is, the entire waveform is similar but its size may vary depending on the distance between the geomagnetic sensor and the vehicle.

이하,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여, 제어부(110)에서 차량의 상태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Hereinafter, a method of determining the state of the vehicle by the control unit 11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A to 4C. FIG.

제어부(110)는 제1 지자기 센서(130)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파형이 제1 피크와 제2 피크가 발생한 후 소멸되고, 소정 시간 경과후 제2 지자기 센서(150)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파형이 제3 피크와 제4피크가 발생한 후 소멸되는 경우 차량이 통과한 것으로 판단한다. The control unit 110 determines that the waveform of the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geomagnetic sensor 130 is destroyed after the first peak and the second peak occur and the waveform of the signal output from the second geomagnetic sensor 150 afte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has passed when the third peak and the fourth peak disappear after the occurrence.

즉, 제1 지자기 센서(130)에서 신호의 파형이 제1 피크와 제2 피크가 발생한 후 소멸된 경우는 제1 지자기 센서(130) 위를 차량이 통과한 것이며, 제2 지자기 센서(150) 신호의 파형이 제3 피크와 제4 피크가 발생한 후 소멸된 경우 제2 지자기 센서(150) 위를 차량이 통과한 것이므로 제1 지자기 센서(130) 및 제2 지자기 센서(150)가 매설된 구간을 차량이 완전히 통과한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That is, when the waveform of the signal in the first geomagnetic sensor 130 disappears after the occurrence of the first peak and the second peak, the vehicle passes the first geomagnetic sensor 130, and the second geomagnetic sensor 150, When the waveform of the signal has disappeared after the third peak and the fourth peak have occurred, the vehicle has passed through the second geomagnetic sensor 150, so that the interval between the first geomagnetic sensor 130 and the second geomagnetic sensor 150,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has completely passed.

한편, 제어부(110)는 제1 지자기 센서(130) 또는 제2 지자기 센서(150) 또는 양 센서 모두에서, 제5 피크 또는 제6 피크가 발생된 후 일정한 시간동안 일정한 범위내에서 제5 피크 또는 제6 피크가 유지되는 경우 차량이 해당 구역에서 정차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first geomagnetic sensor 130 or the second geomagnetic sensor 150 or both sensors, the control unit 110 determines whether the fifth peak or the sixth peak is within a certain rang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fter the generation of the fifth peak or sixth peak, When the sixth peak is maintained, it is judged that the vehicle is stopped in the corresponding zone.

즉, 차량이 제1 지자기 센서(130) 또는 제2 지자기 센서(150) 위에서 멈추어 있거나, 인접하게 진입한 후 멈추어 있는 즉, 정차한 경우에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피크와 같이 두개의 피크가 발생되지 않고 즉, 차량이 지자기 센서를 빠져 나가지 않고 엔진에 의하여 지자기 변화가 유지됨에 따라 일정한 범위내에서 제5 피크 또는 제6 피크가 유지되게 되며, 이를 분석하여 차량이 정차한 것으로 판단한다. That is, when the vehicle is stopped on the first geomagnetic sensor 130 or the second geomagnetic sensor 150 or stopped after it has entered the adjacent geomagnetic sensor 150, that is, stopped, the first and second peaks The second peak or the sixth peak is maintained within a certain range as the vehicle does not exit the geomagnetism sensor and the geomagnetism change is maintained by the engine while the vehicle does not exit the geomagnetism sensor. .

이때, 제5 피크 또는 제6 피크의 크기는 차량과 지자기 센서간 이격거리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파형의 패턴은 유사하게 발생한다. 예를 들어, 차량이 제1 지자기 센서(130) 위에서 정차한 경우 제5 피크는 클 수 있으나, 차량이 제1 지자기 센서(130)에 근접하여 정차한 경우 바로 위에서 정차한 경우보다 제5 피크는 작을 수 있다. 제2 지자기 센서(150)에서의 출력되는 신호의 파형 또한 동일하며, 제1 지자기 센서(130)와 제2 지자기 센서(150) 중 어느 하나에서 즉, 일측 지자기 센서에서는 지자기 변화없이 발생할 수도 있으며, 양측 지자기 센서 모두에서 영향을 주어 크기만 다를 뿐 동일한 패턴이 발생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size of the fifth peak or the sixth peak may vary depending on the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and the geomagnetic sensor, but the pattern of the waveforms similarly occurs. For example, if the vehicle is stationary on the first geomagnetic sensor 130, the fifth peak may be large, but if the vehicle is stationed close to the first geomagnetic sensor 130, Can be small. The waveform of the signal outputted from the second geomagnetic sensor 150 is also the same and may be generated in one of the first geomagnetic sensor 130 and the second geomagnetic sensor 150, Both of the geomagnetic sensors affects the same pattern with different size only.

예를 들어, 제1 지자기 센서(130) 전방에 차량이 정차한 경우 제1 지자기 센서(130)에는 영향을 미쳐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형이 분석될 수 있으나 제2 지자기 센서(150)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여 변화가 없을 수 있으며, 이는 차량이 제2 지자기 센서(150) 전방에 정차한 경우 반대로 분석될 수 있다. 또한, 차량이 제1 지자기 센서(130)와 제2 지자기 센서(150) 사이에 정차하여 양 센서 모두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경우 이격거리에 따라 제5 피크 또는 제6 피크의 크기만 다를뿐 도 4b에 도시된 패턴과 유사한 패턴으로 파형이 분석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vehicle is stopped in front of the first geomagnetic sensor 130, the first geomagnetic sensor 130 may be affected and the waveform may be analyzed as shown in FIG. 4B. However, in the second geomagnetic sensor 150, And may be reversed when the vehicle is stationed in front of the second geomagnetic sensor 150. In addition, when the vehicle is stopped between the first geomagnetic sensor 130 and the second geomagnetic sensor 150 and affects both sensors, only the magnitude of the fifth peak or the sixth peak varies depending on the separation distance, The waveform can be analyzed in a pattern similar to the pattern shown in Fig.

한편, 상기의 설명에서 제1 지자기 센서(130)에서 신호가 출력된 후 소정시간 경과후 제2 지자기 센서(150)에서 신호가 출력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제2 지자기 센서(150)에서 먼저 신호가 출력되고 제1 지자기 센서(130)에서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In the above description, a signal is output from the second geomagnetic sensor 150 afte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after a signal is output from the first geomagnetic sensor 130. However, in the second geomagnetic sensor 150, A signal can be output and a signal can be output from the first geomagnetic sensor 130.

즉, 차량의 진행 방향이 제1 지자기 센서(130)에서 제2 지자기 센서(150)인 경우에는 위와 같이 신호가 출력 순서가 되나, 차량의 진행방향이 이와 반대 즉, 제2 지자기 센서(150)에서 제1 지자기 센서(130)인 경우에는 제2 지자기 센서(150)에서 신호가 출력된 후 소정시간 경과후 제1 지자기 센서(130)에서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is the second geomagnetic sensor 150 in the first geomagnetic sensor 130, the signals are output in the above order, but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is opposite to that of the second geomagnetic sensor 150, The first geomagnetic sensor 130 may output a signal afte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after the second geomagnetic sensor 150 outputs a signal.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제1 지자기 센서(130)에서 제2 지자기 센서(150)로 차량이 진행하는 것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제2 지자기 센서(150)에서 제1 지자기 센서(130)로 차량이 진행하는 경우에도 동일함은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다. Although the first geomagnetic sensor 130 and the second geomagnetic sensor 150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geomagnetic sensor 130, the second geomagnetic sensor 150, The same can be easi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한편, 제어부(110)는 제1 지자기 센서(130) 또는 제2 지자기 센서(150) 별로, 또는 양 지자기 센서(130)(150) 모두에서, 제5 피크 또는 제6 피크가 소정시간동안 일정한 범위내에서 유지되는 즉, 정차 상태인 것으로 판단된 후 급격한 지자기 변화가 발생하여 제5 피크 또는 제6 피크의 크기보다 큰 제7 피크 또는 제8 피크를 형성한 후 출력신호가 소멸하는 경우에는 주차한 것으로 판단한다.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110 determines whether the fifth peak or the sixth peak i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predetermined range) for a predetermined time, for each of the first geomagnetic sensor 130 or the second geomagnetic sensor 150, or both geomagnetism sensors 130 and 150 When a sudden change in geomagnetism occurs after it is determined to be in a stationary state and a seventh peak or an eighth peak larger than the size of the fifth peak or the eighth peak is formed and the output signal disappears, .

즉, 주차하기 위해 운전자가 차량 시동을 끄는 경우 엔진이 끄는 순간 급격한 지자기가 변화되면서 제7 피크 또는 제8 피크가 형성되고 엔진이 꺼지게 되면서 지자기 변화가 없어지게 됨으로 출력신호가 소멸하게 된다. That is, when the driver turns off the vehicle to park in order to park the vehicle, the sudden geomagnetism changes as soon as the engine is turned off, the seventh peak or the eighth peak is formed, and the engine is turned off, so that the geomagnetism changes.

이는 상기 정차 상태를 설명한 것과 동일하게, 어느 하나의 지자기 센서 또는 양 지자기 센서에서 출력될 수 있다. 즉, 어느 일측 지자기 센서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위치에서 주차하거나 양 지자기 센서에 영향을 미치는 위치에서 주차할 수 있으므로, 어느 일측 지자기 센서에서 도 4c와 같인 신호 파형이 검출되거나 양 지자기 센서(130)(150) 모두에서 신호 파형이 검출될 수 있으며, 단지 제5 피크 내지 제8 피크의 크기만이 다를 뿐임을 알 수 있다.
This can be output from any one of the geomagnetic sensors or both geomagnetism sensors as described above for the stopped state. That is, parking can be performed at a position that does not affect one geomagnetism sensor or parking at a position that affects both geomagnetism sensors, so that a signal waveform as shown in FIG. 4C is detected from either one geomagnetism sensor, or both geomagnetism sensors 130 150), it can be seen that only the magnitudes of the fifth to eighth peaks are different.

도 5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차량 감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vehicle detection metho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110)는 제1 지자기 센서(130) 및 제2 지자기 센서(15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수신하고, 이들 신호로부터 각 지자기 센서(130)(150)의 출력신호 파형을 분석한다(S110)(S115). 5, the controller 110 receives signals output from the first geomagnetic sensor 130 and the second geomagnetic sensor 150 and generates output signal waveforms of the geomagnetic sensors 130 and 150 from these signals. (S110) (S115).

단계 S110에서 분석된 제1 지자기 센서(130)의 출력 신호 파형이 제1 피크 및 제2 피크를 형성한 후 소멸되고, 단계 S115에서 분석된 제2 지자기 센서(150)의 출력 신호 파형이 제3 피크 및 제4 피크를 형성한 후 소멸되는지 판단한다(S120). The output signal waveform of the first geomagnetic sensor 130 analyzed in step S110 is destroyed after forming the first peak and the second peak and the output signal waveform of the second geomagnetic sensor 150 analyzed in step S115 is the third Peak and the fourth peak are formed and then it is determined whether they are annihilated (S120).

단계 S120에서 제1 지자기 센서(130) 및 제2 지자기 센서(150)에서 제1 피크 내지 제4 피크가 형성된 후 소멸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차량이 제1 및 제2 지자기 센서(130)(150)가 설치된 구역을 통과한 것으로 판단한다(S1250).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120 that the first to fourth peaks are formed in the first geomagnetic sensor 130 and the second geomagnetic sensor 150 and then the first and second geomagnetic sensors 130 and 150 (S1250).

한편, 하나의 지자기 센서(130)(150)에서 두 개의 피크 즉, 제1 피크 및 제2 피크(제3 피크 및 제4 피크)가 형성되는 파형이 아닌 경우, 소정 크기로 피크가 형성된 후 해당 형성된 피크가 일정한 범위내에서 반복해서 유지되는 파형인지를 판단한다(S130).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where one geomagnetic sensor 130 or 150 does not have two peaks, that is, a waveform in which a first peak and a second peak (third and fourth peaks) are forme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formed peak is a waveform that is repeatedly maintained within a certain range (S130).

즉, 제1 지자기 센서(130)에서 제5 피크가 형성된 후 일정한 범위내에서 유지되거나 제2 지자기 센서(150)에서 제6 피크가 형성된 후 일정한 범위내에서 유지되거나, 양 지자기 센서(130)(150) 모두에서 제5 피크 또는 제6 피크가 형성된 후 유지되는 경우 차량 정차인 것으로 판단한다(S135). That is, the first geomagnetic sensor 130 may be maintained within a certain range after the fifth peak is formed, or may be maintained within a certain range after the sixth geomagnetic sensor 150 has formed the sixth peak, or both geomagnetism sensors 130 150),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stationary when the fifth or sixth peak is formed and then maintained (S135).

이때, 제5 피크 또는 제6 피크가 형성된 후 이들 피크보다 큰 제7 피크 또는 제8피크가 형성된 후 소멸하는지 판단하고(S140), 제7 피크 또는 제8 피크가 형성 된 후 소멸하는 경우에는 차량이 주차한 것으로 판단한다(S145).
In this case, it is determined whether a seventh or eighth peak is formed after the fifth or sixth peak is formed (step S140). If the seventh peak or the eighth peak is formed and then disappears, (S145).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한쌍의 지자기 센서를 설치하는 간단한 구성으로 차량이 통과, 정차 또는 주차 상태인지 여부를 정확하게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부터 특정 도로의 일정 구역에서 차량이 얼마나 통과해 나가는지 교통량을 추적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주정차한 차량 대수를 추적하여 해당 도로가 막혀있는지 판단하고 응급차량 또는 보행자가 해당 도로로 진입해도 되는지 또는 막히지 않은 우회도로로 진입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determine whether the vehicle is passing, stopped, or parked with a simple configuration in which a pair of geomagnetic sensors are installed, Track how much traffic passes through it, and further track the number of vehicles on the road to determine if the road is blocked and to allow emergency vehicles or pedestrians to either enter the road or enter a bypass road that is not blocked .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차량 감지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a 내지 도 7c는 이러한 시스템에서 차량의 진행 방향을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vehicle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7A to 7C are views for explaining a method of determining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in such a system.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자기 센서(130')가 도로에 매설되어 차량이 그 위를 지나가거나 위치할 때 변화되는 지자기량을 신호로서 제어부(110)로 출력하여 제공한다. As shown in FIG. 6, the first geomagnetic sensor 130 'is buried in the road, and the geomagnetism, which is changed when the vehicle passes over or is located on the road, is output to the controller 110 as a signal.

제2 지자기 센서(150')는, 제1 지자기 센서(130')와 이격되게 도로에 매설되어 차량이 그 위를 지나가거나 위치할 때 변화되는 지자기량을 신호로서 제어부(110)로 출력하여 제공한다. 이때, 제2 지자기 센서(150')는 제1 지자기 센서(130')로부터 도로와 평행한 연장선과 이격되게 매설된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지자기 센서(150')는 제1 지자기 센서(130')로부터 도로의 길이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될 뿐만 아니라 그 폭방향과도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매설된다. The second geomagnetic sensor 150 'is embedded in the roa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geomagnetic sensor 130' and outputs the geomagnetism as a signal to the controller 110 when the vehicle passes over the geomagnetism sensor 130 ' do. At this time, the second geomagnetic sensor 150 'is embedded from the first geomagnetic sensor 130'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extension line parallel to the road. 6, the second geomagnetic sensor 150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geomagnetic sensor 13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ad, as well as spaced apart from the width direction by a predetermined distance. do.

즉, 이러한 제1 지자기 센서(130')와 제2 지자기 센서(150')간 상호 매설 위치에 의하여, 차량이 주행하여 통과하는 방향에 따라 각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파형의 크기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를 이용하여 차량의 통과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depending on the position where the first geomagnetic sensor 130 'and the second geomagnetic sensor 150' are embedded, the magnitude of the waveform output from each sensor may vary depending 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vehicle travels, So that the direction of passage of the vehicle can be determined.

즉, 도 6에서 차량이 교차로의 아래방향 도로에서 윗 방향으로 주행할 때 제 1 지자기 센서(130')를 통과하여 제2 지자기 센서(150')를 통과하게 되는데, 차량이 도면상 우회전하는 경우에는 제1 지자기 센서(130') 및 제2 지자기 센서(150') 바로 위로 이동하게 됨에 따라 각 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파형 크기가 일정한 오차 범위내에서 출력된다. That is, in FIG. 6, when the vehicle travels upward in the downward direction of the intersection, the vehicle passes through the first geomagnetic sensor 130 'and the second geomagnetic sensor 150'. When the vehicle turns right The first geomagnetic sensor 130 'and the second geomagnetic sensor 150' are moved directly above the first geomagnetic sensor 130 'and the second geomagnetism sensor 150', the waveforms of the signals output from the respective sensors are output within a predetermined error range.

한편, 차량이 도면상 직직하는 경우 제1 지자기 센서(130')에서는 차량이 제1 지자기 센서(130')의 바로 위를 통과하게 되는데 제2 지자기 센서(150')는 바로 위를 통과하지 못하고 옆을 통과하게 되면서 제1 지자기 센서(130')의 출력되는 신호 파형의 크기보다 일정한 범위 내에서 작은 크기의 파형으로 분석될 수 밖에 없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vehicle is in the plane of the drawing, the first geomagnetic sensor 130 'passes the vehicle directly above the first geomagnetic sensor 130', and the second geomagnetic sensor 150 ' It must be analyzed as a small-sized waveform within a certain range of the size of the signal waveform output from the first geomagnetic sensor 130 '.

한편, 차량이 도면상 좌회전 하는 경우 제1 지자기 센서(130')에서는 차량이 제1 지자기 센서(130')의 바로 위를 통과하게 되는데 제2 지자기 센서(150')는 상당히 이격되어 통과하게 되면서 제1 지자기 센서(130')의 출력되는 신호 파형의 크기 보다 일정한 범위를 벗어난 크기의 파형으로 분석될 수 밖에 없다. 이때, 제2 지자기 센서(150')에서는 차량에 의한 지자기 변화량이 미비하여 변화가 없을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vehicle turns left in the drawing, the first geomagnetic sensor 130 'passes the vehicle directly above the first geomagnetic sensor 130', and the second geomagnetic sensor 150 ' It is inevitable to analyze the waveform of the magnitude of the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geomagnetic sensor 130 '. At this time, in the second geomagnetic sensor 150 ', the amount of change of the geomagnetism due to the vehicle is insufficient and may not change.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제어부(110)는 차량의 진행방향 까지도 판단할 수 있다. 즉, 차량의 정차 및 주차 뿐만 아니라, 차량이 어느 방향으로 통과하는 것까지 파악할 수 있다. Using this principle, the controller 110 can also determine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That is, not only the stopping and parking of the vehicle but also the direction in which the vehicle passes can be grasped.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차량이 통과여부만 판단할 뿐 통과방향까지 감지는 힘들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차량의 통과방향까지 판단하여 해당 방향의 도로에서 주행하는 타 차량이나 보행자에게 차량의 접근을 미리 알려 주의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3, it is difficult to detect whether the vehicle has passed or not, but it is difficult to detect the passing direction. In this embodiment, however, So that the user can be aware of it in advance.

이하,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차량 감지 시스템이 차량의 상태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Hereinafter, a method of determining the state of the vehicle by the vehicle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A to 7C.

제어부(110)는 제1 지자기 센서(130')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파형이 제1 피크와 제2 피크가 발생한 후 소멸되고, 소정 시간 경과후 제2 지자기 센서(150')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파형이 제3 피크와 제4피크가 발생한 후 소멸되는 경우 차량이 통과한 것으로 판단한다. The control unit 110 determines that the waveform of the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geomagnetic sensor 130 'is destroyed after the first peak and the second peak have occurred and the signal output from the second geomagnetic sensor 150' If the waveform disappears after the third and fourth peaks have occurred,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has passed.

이때, 제1 피크 및 제3 피크와, 제2 피크 및 제4 피크의 크기가 소정 오차범위내에 있는 경우, 차량은 제1 지자기 센서(130')를 기준으로 제2 지자기 센서(150')가 도로의 폭 방향으로 편중되어 설치된 방향으로 통과한 것으로 판단한다. At this time, when the magnitudes of the first and third peaks and the second and fourth peaks are within a predetermined error range, the vehicle can detect the second geomagnetic sensor 150 'based on the first geomagnetic sensor 130' It is judged that the vehicle has passed through in a direction in which it is bias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road.

즉, 상기 위에서 설명한 대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교차로 중 아래 방향 도로에서 상방으로 차량이 주행하고 있는 경우 상기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파형이 분석되는 경우 차량은 제2 지자기 센서(150')가 폭방향으로 편중되게 설치된 방향, 즉 우회전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That is, when the vehicle is traveling upward from the downward road of the intersection as shown in FIG. 6 as described above, when the waveform as shown in FIG. 7A is analyzed, the vehicle is driven by the second geomagnetic sensor 150 ' It is judged that it is rightwardly rotated in the direction in which it is biased in the width direction.

한편,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자기 센서(130')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파형이 제1 피크와 제2 피크가 발생한 후 소멸되고, 소정 시간 경과후 제2 지자기 센서(150')에서 제1 피크의 크기에 비해 일정한 범위내에서 작은 제3 피크가 형성된 후 제2 피크의 크기에 비해 일정한 범위내에서 작은 제4 피크가 형성된 후 소멸되는 경우 차량이 제1 지자기 센서로부터 도로의 평행선과 연장되는 방향으로 진행 즉, 도 6에서 직진하는 방향으로 주행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7B, the waveform of the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geomagnetic sensor 130 'is destroyed after the first peak and the second peak are generated, and the second geomagnetic sensor 150' When a small fourth peak is formed within a certain range with respect to the size of the first peak and then a small fourth peak is formed within a certain range in comparison with the size of the second peak and thereafter the vehicle is annihilated from the first geomagnetism sensor, That is, in the direction going straight in Fig.

즉, 직직하는 경우 제2 지자기 센서(150')와 차량은 제1 지자기 센서(130')와 차량간 거리보다 이격되게 됨으로 차량의 제1 지자기 센서(130')에 미치는 영향보다 적게 제2 지자기 센서(150')에 영향을 미치게 됨에 따라 지자기 변화의 크기가 적게 되어 제3 피크 및 제4 피크의 크기가 작게 분석된다. That is, the second geomagnetic sensor 150 'and the vehicle are separated from the first geomagnetic sensor 130' and the vehicle when the second geomagnetic sensor 150 'is in a straight line. Therefore, the second geomagnetism sensor 130' As the sensor 150 'is affected, the magnitude of the geomagnetism change becomes small and the size of the third peak and the fourth peak is analyzed to be small.

한편,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자기 센서(130')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파형이 제1 피크와 제2 피크가 발생한 후 소멸되고, 소정 시간 경과후 제2 지자기 센서(150')에서 제1 피크의 크기에 비해 일정한 범위를 초과하는 작은 제3 피크가 형성된 후 제2 피크의 크기에 비해 일정한 범위를 초과하는 작은 제4 피크가 형성된 후 소멸되는 경우 차량은 제1 지자기 센서(130')를 기준으로 제2 지자기 센서(150')가 도로의 폭 방향으로 편중되어 설치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통과한 것으로 판단한다. 7C, the waveform of the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geomagnetic sensor 130 'is destroyed after the first peak and the second peak are generated, and the second geomagnetic sensor 150' A small fourth peak exceeding a certain range is formed after a small third peak is formed in the first geomagnetic sensor 130 and the first geomagnetic sensor 130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geomagnetic sensor 150' is bias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road.

이때, 제2 지자기 센서(150')에서 지자기 변화가 없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즉, 차량이 제2 지자기 센서(150')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그 반대방향으로 진행할 수 있으므로 제2 지자기 센서(150')의 지자기 변화량이 없는 경우에도 차량의 진행방향은 그 반대방향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second geomagnetic sensor 150 'may have no geomagnetism change. That is, since the vehicle can proceed in the opposite direction without affecting the second geomagnetic sensor 150 ', it is determined that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is the opposite direction even when there is no geomagnetism change amount of the second geomagnetic sensor 150' can do.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교차로 중 아래 방향 도로에서 상방으로 차량이 주행하고 있는 경우 상기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파형이 분석되는 경우 차량은 제2 지자기 센서(150')가 폭방향으로 편중되게 설치된 방향과 반대방향, 즉 좌회전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In other words, when the vehicle is traveling upward from the downward road among the intersections as shown in FIG. 6, when the waveform as shown in FIG. 7C is analyzed, the vehicle is driven by the second geomagnetic sensor 150 ' It is judged that it is counterclockwise installed, that is, leftwardly rotated.

한편,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차량의 주행방향이 제1 지자기 센서(130')에서 제2 지자기 센서(150')인 것을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제2 지자기 센서(150')에서 제1 지자기 센서(130')가 될 수 있다.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geomagnetic sensor 130 'is the second geomagnetic sensor 150', but the second geomagnetic sensor 150 ' (130 ').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교차로에서 우측 도로로 차량이 진입해 들어오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That is, the case where the vehicle enters the right road from the intersection as shown in FIG. 6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이때, 제2 지자기 센서(150')에서 신호 출력이 먼저 되고 제1 지자기 센서(130')에서 신호가 나중에 출력된다. At this time, signal output is first performed by the second geomagnetic sensor 150 ', and a signal is output from the first geomagnetic sensor 130'.

제2 지자기 센서(150')에서 도 7a의 상방 파형이 분석되고, 제1 지자기 센서(130')에서 도 7a의 하방 파형이 분석되는 경우 차량이 도 6에서 상방 도로에서 우측 도로로 진입해 들어오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7A is analyzed in the second geomagnetic sensor 150 'and the downward waveform of FIG. 7A is analyzed in the first geomagnetic sensor 130', the vehicle enters the road from the upper road to the right road in FIG. 6 It can be judged.

한편, 제2 지자기 센서(150')에서 도 7a의 하방 파형이 분석되고, 제1 지자기 센서(130')에서 도 7b의 상방 파형이 분석되는 경우 차량은 우측 도로와 대향되는 도로인 좌측도로에서 직진해서 우측 도로로 진입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downward waveform of FIG. 7A is analyzed by the second geomagnetic sensor 150 ', and the upward waveform of FIG. 7B is analyzed by the first geomagnetic sensor 130', the vehicle is located on the left road, It can be judged that the road has entered the right road straight ahead.

또한, 제2 지자기 센서(150')에서 도 7c의 하방 파형이 분석되고, 제1 지자기 센서(130')에서 도 7c의 상방 파형이 분석되는 경우 차량은 하측 도로에서 우측 도로로 진입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7C is analyzed by the second geomagnetic sensor 150 'and the upward waveform of FIG. 7C is analyzed by the first geomagnetic sensor 130',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has entered the road from the lower road to the right road .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서도 차량의 주정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lso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vehicle is parked.

다만, 제2 지자기 센서(150')가 일측으로 편중되게 설치되므로 도 4b에서 제5 피크 또는 제6 피크 중 어느 하나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게 분석되고, 도 4c에서 제7 피크 또는 제8피크 중 어느 하나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게 분석될 뿐이다.
However, since the second geomagnetic sensor 150 'is installed halfway to one side, the size of either the fifth peak or the sixth peak is analyzed to be relatively small in FIG. 4B, and in the fourth peak or the eighth peak Only one size is analyzed relatively small.

도 8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차량 감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8 is a view for explaining a vehicle sensing metho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제어부(110)는 제1 지자기 센서(130') 및 제2 지자기 센서(15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수신하고, 이들 신호로부터 각 지자기 센서(130')(150')의 출력신호 파형을 분석한다(S210)(S215). 8, the control unit 110 receives signals output from the first geomagnetic sensor 130 'and the second geomagnetic sensor 150', and outputs the geomagnetic sensor 130 ', 150' (S210) (S215).

단계 S210에서 분석된 제1 지자기 센서(130')의 출력 신호 파형이 제1 피크 및 제2 피크를 형성한 후 소멸되고, 단계 S215에서 분석된 제2 지자기 센서(150')의 출력 신호 파형이 제3 피크 및 제4 피크를 형성한 후 소멸되는지 판단하는데 이때, 제3 피크 및 제4 피크의 크기가 제1 피크 및 제2 피크의 소정 오차 범위내에 속하는지 판단한다(S220). The output signal waveform of the first geomagnetic sensor 130 'analyzed in step S210 is destroyed after forming the first peak and the second peak, and the output signal waveform of the second geomagnetic sensor 150' analyzed in step S215 is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third and fourth peaks are within a predetermined error range of the first peak and the second peak at step S220.

이때, 제3 피크의 크기가 제1 피크 크기의 소정 오차 범위내에 있고, 제4 피크의 크기가 제2 피크 크기의 소정 오차 범위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10)는 차량이 제1 지자기 센서(130')로부터 폭방향으로 편중되게 매설된 제2 지자기 센서(150')의 연장선 방향으로 주행하는 것으로 판단한다(S225). At this tim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ize of the third peak is within a predetermined error range of the first peak size and the size of the fourth peak is within a predetermined error range of the second peak size, 130 'in the direction of extension of the second geomagnetic sensor 150' embedded in the width direction (S225).

한편, 제3 피크의 크기가 제1 피크의 일정 범위내로 작고, 제4 피크의 크기가 제2 피크의 일정 범위내로 작은 지 판단하고(S230), 그러한 경우 차량이 제1 지자기센서(130')로부터 도로의 평행선과 연장되는 방향으로 직진 주행하는 것으로 판단한다(S235). On the other hand, if the size of the third peak is small within a certain range of the first peak and the size of the fourth peak is small within a certain range of the second peak (S230)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runs straight in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road and extending (S235).

한편, 제3 피크의 크기가 제1 피크의 일정 범위를 벗어나서 작고, 제4 피크의 크기가 제2 피크의 일정 범위를 벗어나사 작은 지 판단하고(S240), 그러한 경우 차량이 제1 지자기센서(130')로부터 폭방향으로 이격되는 제2 지자기센서(150')의 연장선과 반대방향으로 주행하는 것으로 판단한다(S245). On the other hand, if the size of the third peak is smaller than a certain range of the first peak and the size of the fourth peak is less than a certain range of the second peak (S240) 130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extended line of the second geomagnetic sensor 150' (S245).

단계 S120에서 제1 지자기 센서(130') 및 제2 지자기 센서(150')에서 제1 피크 내지 제4 피크가 형성된 후 소멸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차량이 제1 및 제2 지자기 센서(130')(150')가 설치된 구역을 통과한 것으로 판단한다(S1250).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120 that the first to fourth peaks are formed in the first geomagnetic sensor 130 'and the second geomagnetic sensor 150', then the first and second geomagnetic sensors 130 ' ) 150 'is installed (S1250).

한편, 하나의 지자기 센서(130')(150')에서 두 개의 피크 즉, 제1 피크 및 제2 피크(제3 피크 및 제4 피크)가 형성되는 파형이 아닌 경우, 소정 크기로 피크가 형성된 후 해당 형성된 피크가 일정한 범위내에서 반복해서 유지되는 파형인지를 판단한다(S130). On the other hand, when two geomagnetic sensors 130 'and 150' are not the waveforms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peaks (the third and fourth peaks) are forme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waveform is a waveform that is repeatedly maintain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S130).

즉, 제1 지자기 센서(130')에서 제5 피크가 형성된 후 일정한 범위내에서 유지되거나 제2 지자기 센서(150')에서 제6 피크가 형성된 후 일정한 범위내에서 유지되거나, 양 지자기 센서(130')(150') 모두에서 제5 피크 또는 제6 피크가 형성된 후 유지되는 경우 차량 정차인 것으로 판단한다(S135). That is, the first geomagnetic sensor 130 'is maintain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after the fifth peak is formed, or the sixth geomagnetic sensor 150' is formed within the predetermined range after the sixth peak is formed, ') 150',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stationary (S135).

이때, 제5 피크 또는 제6 피크가 형성된 후 이들 피크보다 큰 제7 피크 또는 제8피크가 형성된 후 소멸하는지 판단하고(S140), 제7 피크 또는 제8 피크가 형성 된 후 소멸하는 경우에는 차량이 주차한 것으로 판단한다(S145).
In this case, it is determined whether a seventh or eighth peak is formed after the fifth or sixth peak is formed (step S140). If the seventh peak or the eighth peak is formed and then disappears, (S145).

상기한 바와 같이, 차량이 진출해 나가는 도로에서는 차량이 어느 방향으로 진행하는지 파악할 수 있고, 차량이 진입해 들어오는 도로에서는 해당 차량이 어느 방향 도로에서 진입해 오는지 파악할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grasp in which direction the vehicle travels on the road on which the vehicle advances, and it is possible to grasp in which direction the vehicle enters the road on the road on which the vehicle enters.

따라서, 차량의 교통 흐름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교통신호를 체계적으로 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해당 구역에서 차량이 어는 도로에서 진입해서 어느 도로로 진출하는지 파악하여 일정 구역에서 차량이 얼마나 있는지, 주정차 차량이 얼마나 있는지 파악하여 해당 도로가 막혀있는지 판단하고 응급차량 또는 보행자가 해당 도로로 진입해도 되는지 또는 막히지 않은 우회도로로 진입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it is possible not only to systematically control the traffic signal by accurately grasping the traffic flow of the vehicle, but also to understand how the vehicle enters the road from which the vehicle enters the road to enter the road, It is possible to judge whether the road is blocked and to guide the emergency vehicle or the pedestrian to enter the corresponding road or to enter the bypass road that is not blocked.

한편, 상기 도 3에 도시된 실시예 및 도 6에 도시된 실시예 모두 해당 도로에 경고/주의 신호 출력부(170)를 설치하여, 불법으로 주정차한 차량에게 불법 주정차를 경고하거나 차량을 이동시키는 주의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both the embodiment shown in FIG. 3 and the embodiment shown in FIG. 6, a warning / attention signal output unit 170 is provided on a corresponding road to alert the illegally parked vehicle to illegal driving, A caution signal can be output.

또한,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차량의 주행방향을 파악할 수 있으므로 차량의 주행방향에 대응되는 도로에서 주행하는 타차량 또는 보행자에게 차량이 진입해 들어오고 있다는 것을 안내하여 사전에 주의함으로써 교통사고 발생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6, since the direction of the vehicle can be grasped, it is guided that the vehicle enters the other vehicle or the pedestrian traveling on the road corresponding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It is prefera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만 한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n all respect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 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차량 감지 시스템 110 : 제어부
130, 130' : 제1 지자기 센서 150, 150' : 제2 지자기 센서
170 : 경고/주의 출력부
100: vehicle detection system 110: control unit
130, 130 ': first geomagnetic sensor 150, 150': second geomagnetic sensor
170: warning / warning output

Claims (10)

도로에 매설되는 제1 지자기 센서;
상기 제1 지자기 센서와 이격되게 상기 도로에 매설되는 제2 지자기 센서; 및
상기 제1 지자기 센서 및 제2 지자기 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차량의 주정차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가로망에서 구간교통정보 판독 및 정보제공을 위한 차량 감지 시스템.
A first geomagnetic sensor embedded in the road;
A second geomagnetic sensor embedded in the roa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geomagnetic sensor; And
And a control unit for receiving the signals output from the first geomagnetic sensor and the second geomagnetic sensor and determining whether the vehicle is on a regular road or no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지자기 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파형이 제1 피크 및 제2 피크가 발생된 후 소멸된 후,
상기 제1 지자기 센서의 최초 신호 출력 시간보다 늦게, 상기 제2 지자기 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 파형이, 상기 제1 지자기 센서의 제1 피크값의 일정 오차범위 이내의 크기를 가지는 제3 피크 및 제4 피크가 발생된 후 소멸되는 경우,
상기 차량이 통과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가로망에서 구간교통정보 판독 및 정보제공을 위한 차량 감지 시스템.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a waveform of a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geomagnetic sensor is destroyed after a first peak and a second peak are generated,
The signal waveform output from the second geomagnetic sensor is delayed from the first signal output time of the first geomagnetic sensor by a third peak having a magnitude within a certain error range of the first peak value of the first geomagnetic sensor, If the peak disappears after the occurrence,
Wherein the transit traffic information is read and information is provided from a transverse network that the vehicle is judged to pass through.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지자기 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 파형의 제5 피크가 일정한 범위내에서 계속 반복되고, 상기 제2 지자기 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 파형이 상기 제5 피크와 일정 오차범위내에 있는 제6피크가 일정한 범위내에서 계속 반복되는 경우, 상기 차량이 정차중인 것으로 판단하는 가로망에서 구간교통정보 판독 및 정보제공을 위한 차량 감지 시스템.
3.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a fifth peak of the signal waveform output from the first geomagnetic sensor is continuously repeat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and a sixth peak whose signal waveform output from the second geomagnetic sensor is within a predetermined error range from the fifth geomagnetic sensor is in a constant range Wherein the vehicle traffic information is continuously repeated in the transverse network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stationary.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5 피크 및 제6 피크가 일정한 범위내에서 반복된 후 제5 피크 또는 제6 피크보다 일정한 범위를 벗어나는 제1 지자기 센서의 신호 파형의 제7피크 또는 제2 지자기 센서의 신호 파형의 제8피크가 짧은 시간구간에서 발생된 후 소멸되는 경우, 상기 차량이 주차한 것으로 판단하는 가로망에서 구간교통정보 판독 및 정보제공을 위한 차량 감지 시스템.
3.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seventh peak of the signal waveform of the first geomagnetic sensor or the eighth peak of the signal waveform of the second geomagnetic sensor of the signal waveform of the first geomagnetic sensor deviating from a certain range beyond the fifth peak or the sixth peak after the fifth and sixth peaks are repeated within a certain range, Wherein the vehicle is detected as having parked when the peak is generated in a short time period and then disappear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5 피크 및 제6 피크가 일정한 범위내에서 반복된 후 제5 피크 또는 제6 피크보다 일정한 범위를 벗어나는 제1 지자기 센서의 신호 파형의 제7피크 또는 제2 지자기 센서의 신호 파형의 제8피크가 짧은 시간구간에서 발생된 후 소멸되는 경우, 상기 차량이 주차한 것으로 판단하는 가로망에서 구간교통정보 판독 및 정보제공을 위한 차량 감지 시스템.
The apparatus of claim 3,
The seventh peak of the signal waveform of the first geomagnetic sensor or the eighth peak of the signal waveform of the second geomagnetic sensor of the signal waveform of the first geomagnetic sensor deviating from a certain range beyond the fifth peak or the sixth peak after the fifth and sixth peaks are repeated within a certain range, Wherein the vehicle is detected as having parked when the peak is generated in a short time period and then disappears.
도로의 중앙부에 매설되는 제1 지자기 센서;
상기 제1 지자기 센서의 상기 도로와 평행한 연장선과 이격되게 상기 도로에 매설되는 제2 지자기 센서;
상기 제1 지자기 센서 및 제2 지자기 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차량의 진출입 방향을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가로망에서 구간교통정보 판독 및 정보제공을 위한 차량 감지 시스템.
A first geomagnetic sensor embedded in a central portion of the road;
A second geomagnetic sensor embedded in the roa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an extension line parallel to the road of the first geomagnetic sensor;
And a control unit for receiving signals output from the first geomagnetic sensor and the second geomagnetic sensor and determining a direction of entry and exit of the vehicl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지자기 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 파형의 제1 피크 및 상기 제2 지자기 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 파형의 제3 피크 크기가 일정 오차 범위 이내에 있는 경우, 상기 차량이 상기 제1 지자기 센서 및 제2 지자기 센서를 연장하는 방향으로 주행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망에서 구간교통정보 판독 및 정보제공을 위한 차량 감지 시스템.
7. The apparatus of claim 6,
When the first peak of the signal waveform output from the first geomagnetic sensor and the third peak amplitude of the signal waveform output from the second geomagnetic sensor are within a predetermined error range, when the vehicle is in the first geomagnetic sensor and the second geomagnetism sensor, Wherei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vehicle is traveling in a direction in which the sensor extends.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지자기 센서의 제1 피크값 대비 상기 제2 지자기 센서의 제3 피크값이 일정 범위 이내로 작은 경우, 상기 차량이 직진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망에서 구간교통정보 판독 및 정보제공을 위한 차량 감지 시스템.
8.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6 or 7,
When the third peak value of the second geomagnetism sensor is smaller than a first peak value of the first geomagnetic sensor and the third peak value of the second geomagnetic sensor is smaller than a predetermined range,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travels straight ahead. Vehicle detection system.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지자기 센서의 제1 피크값 대비 상기 제2 지자기 센서의 제1 피크값이 일정 범위를 초과하여 작거나 '0'인 경우, 상기 차량이 상기 제1 지자기 센서 및 제2 지자기 센서를 연장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주행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망에서 구간교통정보 판독 및 정보제공을 위한 차량 감지 시스템.
8.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6 or 7,
Wherein when the first peak value of the second geomagnetic sensor with respect to the first peak value of the first geomagnetic sensor is smaller than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range and is '0', the vehicle extends the first geomagnetic sensor and the second geomagnetic sensor Wherei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vehicle is traveling in a direction opposite to a direction in which the vehicle is traveling.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지자기 센서의 제1 피크값 대비 상기 제2 지자기 센서의 제1 피크값이 일정 범위를 초과하여 작거나 '0'인 경우, 상기 차량이 상기 제1 지자기 센서 및 제2 지자기 센서를 연장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주행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망에서 구간교통정보 판독 및 정보제공을 위한 차량 감지 시스템.
9.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when the first peak value of the second geomagnetic sensor with respect to the first peak value of the first geomagnetic sensor is smaller than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range and is '0', the vehicle extends the first geomagnetic sensor and the second geomagnetic sensor Wherei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vehicle is traveling in a direction opposite to a direction in which the vehicle is traveling.
KR1020140161120A 2014-11-18 2014-11-18 System for detecting vehicles for decoding and offering information of traffic of section in street network KR2016005933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1120A KR20160059339A (en) 2014-11-18 2014-11-18 System for detecting vehicles for decoding and offering information of traffic of section in street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1120A KR20160059339A (en) 2014-11-18 2014-11-18 System for detecting vehicles for decoding and offering information of traffic of section in street networ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9339A true KR20160059339A (en) 2016-05-26

Family

ID=56104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1120A KR20160059339A (en) 2014-11-18 2014-11-18 System for detecting vehicles for decoding and offering information of traffic of section in street networ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59339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43475B2 (en) Lane departure warning device and method
US10186147B2 (en) Wrong-way determination apparatus
US10882532B2 (en) Driving assistance device and driving assistance method
KR101628503B1 (en) Driver assistance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reof
US10068472B2 (en) Automotive lane discipline system, method, and apparatus
US9239380B2 (en) Driver assistance system for avoiding collisions of a vehicle with pedestrians
KR101573764B1 (en) System and method for recognizing driving road of vehicle
CN109278754A (en) The method and apparatus of adjustment for the driver assistance function based on environment
CN103562980A (en) Method for assisting a driver of a motor vehicle
US1045293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WO2019189218A1 (en) Traffic monitoring device, traffic monitoring system, traffic monitoring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with program stored thereon
JP2007148849A (en) Signal control system
JP5751423B2 (en) Driving assistance device
WO2019189152A1 (en) Traffic monitoring device, traffic monitoring system, traffic monitoring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with program stored thereon
KR101917827B1 (en) Device for detecting offensive diriving
WO2019189216A1 (en) Traffic monitoring device, traffic monitoring system, traffic monitoring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with program stored thereon
JP2007266976A (en) Peripheral state recognition apparatus and method
KR102526583B1 (en) Deep learning-based intersection object detection and automatic alarm system
US10089881B2 (en) Driving support device
JP2011025895A (en) Parking support device
KR20150044134A (en) A device for inducing to change in a passing lane and method thereof
KR101466463B1 (en) One body system for warning illegal walker and vehicle
KR20160059340A (en) System for detecting vehicles for decoding and offering information of traffic of section in street network
KR200475831Y1 (en) Unannounced lane change direction indicator system operates automatically
JP2012093100A (en) Trailer height measuremen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