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8737A - Washing Machine - Google Patents

Washing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8737A
KR20160058737A KR1020160057686A KR20160057686A KR20160058737A KR 20160058737 A KR20160058737 A KR 20160058737A KR 1020160057686 A KR1020160057686 A KR 1020160057686A KR 20160057686 A KR20160057686 A KR 20160057686A KR 20160058737 A KR20160058737 A KR 201600587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rgent
nozzle
container
wat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76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80521B1 (en
Inventor
이상업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600587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873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05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052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4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06F39/02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in a liquid stat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06F39/024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mounted on the agitator or the rotating drum; Free body dispens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06F39/028Arrangements for selectively supplying water to detergent compart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1Safety arrangements for preventing water damag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 Y02B40/5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shing machine. Th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rotating tub which is disposed in a main body; and a detergent accommodation unit which is mounted on the main body and dissolves a detergent in washing water to supply the detergent, wherein the detergent accommodation unit includes a housing which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a detergent accommodation container which is accommodated in the housing and in which the detergent is accommodated, and a rotating device which is coupled to be rotatable to at least a part of a path on which the detergent moves to dissolve the detergent in the washing w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aise dissolution performance of a detergent.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dissolve a solid detergent and a liquid detergent in one detergent accommodation unit without a separate component.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a detergent from remaining after washing in the detergent accommodation unit, it is not necessary to use an additional rinsing function to wash the detergent accommodation unit, and it is possible to save the use of washing water.

Description

세탁기{Washing Machine}Washing Machine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세제 수용 용기의 구조를 개선한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shing machine.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세탁물과 세탁수가 담긴 원통 형상의 회전조를 회전시켜서 세탁물을 세탁하는 장치로서, 이러한 세탁기의 종류에는 회전조를 수평으로 배치해서 회전조가 수평축에 대하여 정역 방향으로 회전할 때 세탁물이 회전조의 내주면을 따라 상향으로 올려져서 낙하함으로써 세탁물을 세탁하는 방식인 드럼 세탁기와, 내부에 펄세이터를 구비한 회전조를 수직으로 배치하여 이 회전조가 수직축에 대하여 정역 방향으로 회전할 때 펄세이터에 의해 발생하는 수류를 이용하여 세탁물을 세탁하는 방식인 펄세이터 세탁기가 있다. 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Generally, a washing machine is an apparatus for washing a laundry by rotating a cylindrical rotary tub containing laundry and washing water. In such a washing machine, a rotary tub is horizontally arranged, and when the rotary tub is rotated in the forward / A drum type washing machine in which laundry is washed by being raised upward along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tub, and a rotary tub having a pulsator therein is vertically arranged, and when the rotary tub is rotated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about the vertical axis, There is a pulsator washing machine in which laundry is washed using the generated water stream.

이러한 드럼 세탁기 또는 펄세이터 세탁기의 상부에는 외부 급수원으로부터 회전조의 내측으로 공급되는 세탁수를 이용하여 세제를 용해시키고, 이와 혼합된 세탁수를 회전조 내측으로 공급하는 세제수용유닛이 설치된다. A detergent receiving unit for dissolving the detergent by using the wash water supplied from the external water source to the inside of the rotary tub and supplying the mixed wash water to the inside of the rotary tub is installed at the upper part of the drum washing machine or the pulsator washing machine.

종래의 세제 수용 유닛은 가는 입자 형태로 된 분말 상태의 세제를 수용하는 고체 세제수용 용기와 액체 상태로 된 세제를 수용하는 액체 세제 수용 용기가 분리되어 있었다. 액체 상태로 된 세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세제 수용 유닛에 별도의 액체 세재 수용 용기를 세제 수용 유닛에 결합시켜야 했다. The conventional detergent receiving unit has a solid detergent container for receiving powdered detergent in a fine particle form and a liquid detergent container for receiving detergent in a liquid state. In the case of using the liquid detergent, a separate liquid detergent container was required to be connected to the detergent receiving unit in the detergent receiving unit.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세제 용해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한 세제 수용 유닛을 포함하는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shing machine including a detergent receiving unit that is improved in structure to improve detergent dissolving ability.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세탁기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회전조,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세제를 공급하기 위하여 세탁수에 세제를 용해시키는 세제 수용 유닛으로서, 상기 본체 내측에 결합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며 내측에 세제가 수용되고, 후면에 세탁수를 급수하기 위한 급수홀 및 용해된 세제가 빠져나갈 수 있도록 배출구가 마련되는 세제 수용 용기와, 세제를 세탁수에 용해시키도록 세제가 이동하는 경로의 적어도 일부분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전장치를 포함하는 세제 수용 유닛 및 상기 세제 수용 용기의 내측으로 세탁수를 공급하도록 상기 급수홀과 연통되게 상기 세제 수용 용기의 후방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노즐 장치를 포함하고, 세탁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노즐 장치로부터 상기 세제 수용 용기의 내측으로 수평방향으로 급수되어 상기 회전장치를 회전시키고, 상기 회전장치의 회전에 의해 용해된 세제는 상기 배출구를 통해 상기 세제 수용 용기의 외측으로 수평방향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a rotating tub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a detergent receiving unit mounted on the main body to dissolve the detergent in the washing water to supply the detergent, A detergent container accommodated in the housing and containing therein detergent, a water supply hole for supplying wash water to the rear surface of the detergent container and an outlet for discharging dissolved detergent, a detergent container for detergent dissolved in the detergent, A detergent receiving unit including a rotatable device rotatably coupled to at least a part of a path through which the detergent container moves and at least a detergent container provided at the rear of the detergent container to communicate with the water supply hole to supply wash water to the inside of the detergent container Wherein the washing water is supplied from the at least one nozzle device to the detergent container The side of the water supply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rotate the rotator, the detergent dissolved by the rotation of the rotary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through the outlet is discharged in a horizontal direction to the outside of the detergent container.

상기 회전장치는 상기 세제 수용 용기의 내측에 결합될 수 있다.The rotating device may be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detergent container.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세탁기는 상기 세제 수용 용기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적어도 하나의 제1유로를 가지는 사이펀관을 더 포함하며, 상기 회전장치는 상기 사이펀 관에 결합될 수 있다.Th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siphon tube protruding from a bottom surface of the detergent container and having at least one first flow path, and the rotating device can be coupled to the siphon tube.

상기 회전장치는 상기 사이펀 관과 이격되도록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세제 수용 용기의 내측을 회전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날개를 포함할 수 있다.The rotating device may include a coupling portion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iphon tube, and a plurality of blades extending from the coupling portion to rotate the inside of the detergent container.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노즐 장치는 상기 급수홀에 결합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노즐 장치는 세탁수와 공기를 혼합시켜 상기 세제 수용 용기로 급수하도록 세탁수 유입홀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 유입홀을 포함할 수 있다.The at least one nozzle device may be coupled to the water supply hole and the at least one nozzle device may include a wash water inflow hole and at least one air inflow hole for mixing wash water and air into the detergent container have.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노즐 장치의 상기 세탁수 유입홀은 상기 공기 유입홀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washing water inflow hole of the at least one nozzle device may be provided such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decreases toward the air inflow hole direction.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노즐 장치는 상기 세탁수 유입홀과 상기 공기 유입홀이 하나의 부재에 형성될 수 있다.The at least one nozzle device may have the washing water inflow hole and the air inflow hole formed in one member.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세탁기는 상기 세제 수용 용기의 상면을 덮어 세탁수의 이동 방향을 가이드 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결합되는 가이드 덮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guide lid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to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detergent container and guide the moving direction of the washing water.

상기 가이드 덮개는 상기 세탁수의 이동 방향을 가이드 하기 위하여 상기 가이드 덮개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The guide cover may include at least one rib extending downward from the guide cover to guide the moving direction of the wash water.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브는, 급수되는 세탁수가 상기 세제 수용 용기의 전면으로 오버플로우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가이드 덮개의 전방에 마련되는 제1리브와, 세탁수를 상기 세제 수용 용기의 중심부로 가이드 하기 위하여 상기 가이드 덮개의 중심부에서 가장자리부로 원형에 근접하도록 연장되는 제2리브와, 상기 세탁수를 특정 구간에 집중적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가이드 덮개의 중심부에서 가장자리부로 방사형으로 연장되는 제3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The at least one rib may include a first rib provided at the front of the guide lid to prevent the wash water supplied to the front of the detergent container from overflowing, And a third rib extending radially from a central portion of the guide lid to the edge portion for intensively supplying the wash water to a specific section of the guide lid .

상기 가이드 덮개는 상기 회전장치와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하여 중심부에 마련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브보다 높이가 낮도록 마련되는 접촉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guide cover may further include a contact preventing portion provided at a central portion to prevent contact with the rotating device and having a lower height than the at least one rib.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세탁기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회전조,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세제를 공급하기 위하여 세탁수에 세제를 용해시키는 세제 수용 유닛으로서, 상기 본체 내측에 결합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며 내측에 세제가 수용되고, 후면에 세탁수를 급수하기 위한 급수홀이 마련되는 세제 수용 용기와, 세제를 세탁수에 용해시키도록 세제가 이동하는 경로의 적어도 일부분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전장치를 포함하는 세제 수용 유닛 및 상기 세제 수용 용기의 내측으로 세탁수를 공급하도록 상기 급수홀과 연통되게 상기 세제 수용 용기의 후방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노즐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노즐 장치는 상기 급수홀에 결합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노즐 장치는 세탁수와 공기를 혼합시켜 상기 세제 수용 용기로 급수하도록 세탁수 유입홀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 유입홀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노즐 장치는 상기 세제 수용 용기가 인출되었을 때 세탁수가 상기 세제 수용 용기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세탁수가 유입되는 유로를 폐쇄하도록 구성되는 유입방지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a rotating tub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a detergent receiving unit mounted on the main body to dissolve the detergent in the washing water to supply the detergent, A detergent container accommodated in the housing and containing detergent in the inside thereof and having a water supply hole for supplying water to the rear thereof, and a detergent container rotatable in at least a part of a path through which the detergent moves to dissolve the detergent in the wash water And at least one nozzle device provided at the rear of the detergent container to communicate with the water supply hole to supply wash water to the inside of the detergent container, One nozzle device is coupled to the water supply hole, and the at least one nozzle device mixes the wash water and air And at least one air inlet hole for supplying the washing water into the detergent container, wherein the at least one nozzle device is arranged to prevent washing water from entering the detergent container when the detergent container is drawn out And an inflow prevention device configured to close the flow path through which the washing water flows.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세탁기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회전조,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세제를 공급하기 위하여 세탁수에 세제를 용해시키는 세제 수용 유닛으로서, 상기 본체 내측에 결합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며 내측에 세제가 수용되고, 후면에 세탁수를 급수하기 위한 급수홀이 마련되는 세제 수용 용기와, 세제를 세탁수에 용해시키도록 세제가 이동하는 경로의 적어도 일부분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전장치를 포함하는 세제 수용 유닛 및 상기 세제 수용 용기의 내측으로 세탁수를 공급하도록 상기 급수홀과 연통되게 상기 세제 수용 용기의 후방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노즐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노즐 장치는 상기 급수홀에 결합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노즐 장치는 세탁수와 공기를 혼합시켜 상기 세제 수용 용기로 급수하도록 세탁수 유입홀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 유입홀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노즐 장치는 상기 세탁수 유입홀이 형성되는 노즐과, 상기 노즐이 삽입되며 상기 공기 유입홀이 형성되는 노즐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노즐 하우징과 상기 노즐의 사이에는 상기 노즐로 유입되는 세탁수의 수압에 따라 상기 노즐을 가압하여 상기 노즐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탄성부재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a rotating tub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a detergent receiving unit mounted on the main body to dissolve the detergent in the washing water to supply the detergent, A detergent container accommodated in the housing and containing detergent in the inside thereof and having a water supply hole for supplying water to the rear thereof, and a detergent container rotatable in at least a part of a path through which the detergent moves to dissolve the detergent in the wash water And at least one nozzle device provided at the rear of the detergent container to communicate with the water supply hole to supply wash water to the inside of the detergent container, One nozzle device is coupled to the water supply hole, and the at least one nozzle device mixes the wash water and air And at least one air inlet hole for supplying water into the detergent container, wherein the at least one nozzle device comprises: a nozzle in which the washing water inlet hole is formed; An elastic member is inserted between the nozzle housing and the nozzle so as to press the nozzle according to the water pressure of the washing water flowing into the nozzle to guide the nozzle to mov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세탁기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회전조, 상기 본체 내측에 결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며 내측에 세제가 수용되고, 후면에 세탁수를 급수하기 위한 급수홀 및 용해된 세제가 빠져나갈 수 있도록 배출구가 마련되는 세제 수용 용기를 포함하는 세제 수용 유닛 및 상기 급수홀과 연통되게 상기 세제 수용 용기의 후방에 마련되고, 상기 세제 수용 용기의 내측으로 수평방향으로 세탁수를 직접적으로 급수하는 적어도 하나의 노즐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세제 수용 용기의 내측에서 용해된 세제는 상기 배출구를 통해 상기 세제 수용 용기의 외측으로 수평방향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a rotating tub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a housing coupled to the main body, a detergent accommodated in the housing, A detergent receiving unit including a detergent receiving container provided with an outlet for allowing holes and dissolved detergent to escape from the detergent receiving container and a detergent receiving unit provided at the rear of the detergent receiving container to communicate with the water supplying hole, Wherein at least one nozzle device for directly supplying washing wat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etergent dissolved in the detergent container is discharged horizontally to the outside of the detergent container through the outlet.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노즐 장치는 세탁수와 공기를 혼합시켜 상기 세제 수용 용기로 급수하도록 세탁수 유입홀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 유입홀을 포함할 수 있다.The at least one nozzle device may include a washing water inflow hole and at least one air inflow hole for mixing wash water and air into the detergent container.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노즐 장치의 상기 세탁수 유입홀은 상기 공기 유입홀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washing water inflow hole of the at least one nozzle device may be provided such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decreases toward the air inflow hole direction.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세탁기는 상기 세제 수용 용기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세제 수용 용기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세제 수용 용기의 내측을 회전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날개를 포함하는 회전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upling portion rotatab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detergent receiving container and coupled to the detergent receiving container, and a plurality of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rotating device including wings.

상기 결합부는 상기 세제 수용 용기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적어도 하나의 제1유로를 가지는 사이펀관에 결합될 수 있다.The coupling portion may be coupled to a siphon tube projecting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detergent container and having at least one first flow path.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세탁기는 상기 세제 수용 용기의 상면을 덮어 세탁수의 이동 방향을 가이드 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결합되는 가이드 덮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guide lid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to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detergent container and guide the moving direction of the washing water.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세탁기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회전조, 상기 본체의 내측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세제가 수용되는 세제 수용 공간과 유연제가 수용되는 유연제 수용 공간을 포함하고, 후면에 세탁수를 급수하기 위한 급수홀과 용해된 세제가 빠져나갈 수 있도록 배출구가 마련되는 세제 수용 용기 및 상기 세제 수용 공간의 후면에 결합되며 상기 세제 수용 공간의 내측으로 세탁수와 공기를 홉합시켜 유입시키기 위한 노즐을 포함하며, 상기 세제 수용 공간은 고체 상태의 세제를 용해시키기 위한 회전 장치와 액체 상태의 세제를 용해시켜 배출시키기 위하여 바닥면에서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사이펀 관을 포함하고, 세탁수는 상기 노즐로부터 상기 세제 수용 공간으로 수평방향으로 급수되어 상기 회전장치를 회전시키고, 상기 회전장치의 회전에 의해 용해된 세제는 상기 배출구를 통해 상기 세제 수용 공간의 외측으로 수평방향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a rotating tub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a detergent receiving space detachab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and containing a detergent, A detergent container having an outlet for allowing the detergent to drain out from the water supply hole and a detergent receiving space for discharging washing water from the detergent receiving space, Wherein the detergent receiving space includes a rotating device for dissolving the detergent in a solid state and a siphon tube protruding from the bottom surface for dissolving and discharging the detergent in a liquid state, Water is supplied horizontally from the nozzle to the detergent receiving space to rotate the rotating device, And the detergent dissolved by rotation of the rotary device is discharged horizontally to the outside of the detergent receiving space through the outlet.

상기 회전 장치는 상기 사이펀 관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세제 수용 공간의 내측을 회전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날개를 포함할 수 있다.The rotating device may include a coupling portion coupled to the siphon tube and a plurality of blades extending from the coupling portion and adapted to rotate inside the detergent receiving space.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세탁기는 상기 세제 수용 용기의 상면을 덮어 세탁수의 이동 방향을 가이드 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리브를 포함하는 가이드 덮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guide lid including at least one rib to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detergent container and guide the moving direction of the washing water.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세탁기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회전조, 상기 본체 내측에 결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며 내측에 세제가 수용되는 세제 수용 용기를 포함하는 세제 수용 유닛, 상기 세제 수용 용기로 세탁수를 분사하는 노즐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노즐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노즐은 상기 세제 수용 유닛으로 유입되는 세탁수의 수압에 따라 상기 하우징 또는 상기 세제 수용 용기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a rotating tub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a housing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a detergent receiving unit including a detergent receiving container accommodated in the housing, And at least one nozzle device including a nozzle for spraying the washing water into the detergent container, wherein the nozzle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housing or the detergent container according to the water pressure of the washing water flowing into the detergent receiving unit .

상기 노즐장치는 상기 노즐과, 상기 노즐을 수용하는 노즐 하우징과, 상기 노즐과 상기 노즐 하우징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노즐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nozzle device may include the nozzle, a nozzle housing accommodating the nozzle, and an elastic member inserted between the nozzle and the nozzle housing to guide movement of the nozzle.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세탁기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회전조, 상기 본체 내측에 결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며 내측에 세제가 수용되는 세제 수용 용기를 포함하는 세제 수용 유닛, 상기 세제 수용 용기로 세탁수를 분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노즐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노즐 장치는 상기 세제 수용 용기로 분사되는 세탁수의 유로를 개방하는 제1상태와, 상기 세제 수용 용기로 분사되는 세탁수의 유로를 폐쇄하는 제2상태 사이를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유입방지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a rotating tub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a housing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a detergent receiving unit including a detergent receiving container accommodated in the housing, And at least one nozzle device for spraying the washing water into the detergent container, wherein the nozzle device has a first state in which the flow path of the washing water sprayed into the detergent container is opened, And a second state for closing the water flow path.

상기 노즐 장치는, 상기 세제 수용 용기로 세탁수를 분사하는 노즐과, 상기 노즐을 수용하는 노즐 하우징을 더 포함하며, 상기 유입방지장치는 상기 노즐 하우징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The nozzle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nozzle for spraying the washing water into the detergent container and a nozzle housing for accommodating the nozzle, and the inflow prevention device may be coupled to one side of the nozzle housing.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세탁기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회전조, 상기 본체의 내측에 결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며 내측에 세제가 수용되는 세제 수용 용기를 포함하는 세제 수용 유닛에 있어서, 상기 세제 수용 용기의 후면에는 세탁수를 급수하기 위한 급수홀 및 용해된 세제가 빠져나갈 수 있도록 배출구가 마련되는 세제 수용 유닛, 상기 세제 수용 용기의 상면을 덮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결합되는 가이드 덮개 및 상기 세제 수용 용기로 수평방향으로 세탁수를 분사하도록 상기 세제 수용 용기의 후면과 연통되며 상기 가이드 덮개의 적어도 일부분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노즐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세제 수용 용기의 내측에서 용해된 세제는 상기 배출구를 통해 상기 세제 수용 용기의 외측으로 수평방향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a rotating tub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a housing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and a detergent receiving unit including a detergent receiving container accommodated in the housing, A detergent receiving unit disposed on a rear surface of the detergent receiving container, the detergent receiving unit including a water supply hole for supplying washing water and a detergent for dissolving the detergent, a detergent receiving unit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to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detergent receiving container, And at least one nozzle device communicating with a rear surface of the detergent container to spray wash water in a horizontal direction to the detergent container and coupled to at least a part of the guide cover, The detergent dissolved in the insid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detergent container through the outlet in a horizontal dire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stops.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노즐 장치는, 상기 세제 수용 용기로 세탁수를 분사하는 노즐과, 상기 노즐을 수용하는 노즐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노즐 하우징은 상기 가이드 덮개에서 상기 노즐 하우징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에 결합될 수 있다.Wherein the at least one nozzle device includes a nozzle for spraying the washing water into the detergent container and a nozzle housing for accommodating the nozzle, wherein the nozzle housing is coupled to a protrud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guide cover toward the nozzle housing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세제의 용해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solving ability of the detergent can be improv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체 세제와 액체 세제를 별도의 부품 없이 하나의 세제 수용 유닛에서 용해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dissolve the solid detergent and the liquid detergent in one detergent receiving unit without separate parts.

또한, 세제 수용 유닛 내에 세탁 후에 세제가 잔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세제 수용 유닛의 세척을 위하여 추가적으로 헹굼 기능을 사용할 필요가 없어 세탁수의 사용을 절약할 수 있다.Furth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etergent from remaining in the detergent receiving unit after washing, and it is not necessary to use an additional rinsing function for washing the detergent receiving unit, thus saving the use of the washing wat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제 수용 유닛이 세탁기에서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세제 수용 유닛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세제 수용 유닛의 세제 수용 용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세제 수용 유닛의 세제 수용 용기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세제 수용 유닛의 세제 수용 용기가 인출된 상태의 측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세제 수용 유닛의 세제 수용 용기가 수용된 상태의 측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세제 수용 유닛의 노즐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세제 수용 유닛의 세제 수용 용기의 후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세제 수용 유닛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세제 수용 유닛에 공급되는 세탁수의 수압이 작은 경우의 세탁수의 이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세제 수용 유닛에 공급되는 세탁수의 수압이 큰 경우의 세탁수의 이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세제 수용 유닛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세제 수용 유닛의 노즐 장치의 측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세제 수용 유닛의 세제 수용 용기가 수용된 상태의 측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세제 수용 유닛의 세제 수용 용기가 인출된 상태의 측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세제 수용 유닛의 가이드 덮개의 하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the construction of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detergent receiv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rawn out from a washing machine.
3 is an exploded view of a detergent receiving unit of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detergent receiving container of a detergent receiving unit of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view showing a detergent receiving container of the detergent receiving unit of th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ide section of the detergent receiving unit of th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the detergent container is taken out.
FIG. 7 is a cross-sectional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detergent container of the detergent receiving unit of th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ceived.
8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nozzle of a detergent receiving unit of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rear view of a detergent container of a detergent receiving unit of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exploded view of a detergent receiving unit of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showing the movement of the washing water when the water pressure of the washing water supplied to the detergent receiving unit of th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mall.
FIG. 12 is a view showing the movement of the washing water when the water pressure of the washing water supplied to the detergent receiving unit of th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
13 is an exploded view of a detergent receiving unit of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ide section of a nozzle unit of a detergent receiving unit of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ide section of a detergent receiving unit of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a detergent container is received.
1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ide section of the detergent receiving unit of th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the detergent container is drawn out.
17 is a bottom view of a guide cover of a detergent receiving unit of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펄세이터 세탁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제 수용 유닛은 드럼 세탁기에 대해서도 적용 가능하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ereinafter, the pulsator washing machine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detergent receiv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applicable to a drum washing machin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the construction of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와,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20)와, 터브(2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조(11)를 포함한다. 1, a washing machin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0 forming an outer appearance, a tub 20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10 to receive washing water, And a rotatable tub 11 rotatably installed inside the tub 20.

또한, 본체(10) 내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장치(30)와, 세제를 수용하며 급수장치(30)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세제와 혼합하여 터브(20)로 공급하기 위해 마련된 세제 수용 유닛(40)을 포함한다. A water supply unit 30 for supplying water into the main body 10 and a detergent receiving unit 30 for supplying the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unit 30 to the tub 20 by mixing the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unit 30 with the detergent 40).

본체(10)의 상부에는 세탁물의 출입을 위한 개구(12)가 형성되고, 이 개구(12)에는 개폐 가능한 상부 커버(13)가 설치된다. 본체(10)의 상측 전방에는 사용자가 세탁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다수의 조작 버튼과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가 마련된 조작패널(14)이 설치된다. An opening 12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 so as to allow laundry to enter and exit the main body 10. The opening 12 is provided with an upper cover 13 which can be opened and closed. An operation panel 14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on buttons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operation state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10 so that the user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washing machine.

본체(10)의 내부에는 세탁수의 수용을 위한 터브(20)와 터브(20)의 내부에서 회전하는 회전조(11)가 설치되며, 회전조(11)의 내측 하부에는 세탁 수류를 형성하는 펄세이터(16)가 설치된다. A tub 20 for receiving the washing water and a rotating tub 11 rotating inside the tub 20 are installed in the main body 10 and a washing water flow is formed in the inner lower portion of the tub 11 A pulsator 16 is installed.

본체(10) 내부의 터브(20) 하부에는 회전조(11)와 펄세이터(16)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미도시)와 세탁수의 배수를 위한 배수장치(15)가 마련된다. A driving means (not shown) for driving the rotating tub 11 and the pulsator 16 and a drain device 15 for draining wash water are provided below the tub 20 in the main body 10.

세탁기(1)는 터브(20) 내에 세제를 포함한 세탁수가 채워지고, 회전조(11) 내부에 세탁물이 수용된 후에 구동수단(미도시)에 의해 펄세이터(16)가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반복 회전하여 세탁을 수행한다. In the washing machine 1, the washing water containing detergent is filled in the tub 20 and after the laundry is received in the rotating tub 11, the pulsator 16 repeatedly rotates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forward direction by the driving means (not shown) Perform washing.

세탁 동작 후에는 반복적으로 급수와 배수가 이루어지면서 상술한 세탁 동작과 동일한 동작을 통해 세탁물의 헹굼을 수행하고, 헹굼 동작 후에는 배수장치(15)를 통해 배수를 수행한다. 또한 배수 동작 후에는 회전조(11)가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세탁물의 탈수를 수행한다. After the washing operation, water is supplied and drained repeatedly, so that laundry is rinsed through the same operation as the above-described washing operation, and drainage is performed through the drainage device 15 after the rinsing operation. Further, after the drainage operation, the rotary tub 11 rotates at a high speed to perform dewatering of the laundry.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제수용유닛이 세탁기에서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세제수용유닛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FIG.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detergent receiv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rawn out from a washing machine, and FIG. 3 is an exploded view of a detergent receiving unit of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장치(30)는 본체(10)의 상측 후방에 설치된다. 급수장치(30)는 급수원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급수관(31, 32)과 제1급수관(31, 32)에 연결되어 제1급수관(31)을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급수 밸브(미도시)와, 급수 밸브(미도시)와 세제 수용 유닛(40)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의 제2급수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2 and 3, the water supply device 30 is installed on the upper rear side of the main body 10. The water supply device 30 includes first water supply pipes 31 and 32 extending from a water supply source and a water supply valve (not shown) connected to the first water supply pipes 31 and 32 to open and close the first water supply pipe 31, And a plurality of second water supply pipes (not shown) connecting between the water supply valve (not shown) and the detergent receiving unit 40.

제1급수관(31, 32)은 외부의 온수 공급원과 연결된 온수 공급관(31)과, 외부의 냉수 공급원과 연결된 냉수 공급관(32)을 포함한다. 급수 밸브(미도시)는 온수 공급관(31)과 연결되는 온수용 급수 밸브와, 냉수 공급관(32)과 연결되는 냉수용 급수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밸브의 유로전환동작에 의해 어느 한 쪽에 선택적으로 물을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 first water pipes 31 and 32 include a hot water supply pipe 31 connected to an external hot water supply source and a cold water supply pipe 32 connected to an external cold water supply source. The water supply valve (not shown) may include a hot water supply valve connected to the hot water supply pipe 31 and a cold water supply valve connected to the cold water supply pipe 32.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supply water to either one of them by the flow path switching operation of the valve.

세제 수용 유닛(40)은 본체(10) 내측에 결합되는 하우징(41)과, 하우징(41)에 수용되며 내측에 세제가 수용되는 세제 수용 용기(43)로 구성된다. 하우징(41)은 전면이 개방되어 있으며, 내측에 용기 수용 공간(41a)이 마련되어 세제 수용 용기(43)를 수용할 수 있다. 세제 수용 용기(43)는 하우징(41)으로부터 착탈 가능하며, 이에 소비자는 필요에 따라 세제 수용 용기(43)를 인출하여 세제 수용 용기(43) 내측에 세제를 채울 수 있다. The detergent receiving unit 40 is constituted by a housing 41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 and a detergent receiving container 43 accommodated in the housing 41 and containing therein detergent. The housing 41 is opened on the front side and the container accommodating space 41a is provided on the inner side to accommodate the detergent container 43. The detergent storage container 43 can be detached from the housing 41 so that the consumer can fill the detergent inside the detergent storage container 43 by drawing the detergent storage container 43 as necessary.

세제 수용 용기(43)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세제 수용 용기(43)를 인출할 수 있도록 파지부(43a)가 마련될 수 있다. 세제 수용 용기(43)는 세제를 수용하는 세제 수용 공간(44)과, 섬유 유연제를 수용하는 유연제 수용 공간(45)을 포함할 수 있다. A detent 43a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etergent container 43 so that the detergent container 43 can be taken out by the user. The detergent receiving container 43 may include a detergent receiving space 44 for receiving the detergent and a softening agent receiving space 45 for receiving the fabric softening agent.

하우징(41)의 내측에는 세제 수용 용기(43)의 상면을 덮도록 구성되는 가이드 덮개(42)가 결합될 수 있다. 가이드 덮개(42)는 하우징(41)의 내측에 고정되어 세제 수용 용기(43)내로 유입된 세탁수의 이동 방향을 가이드 할 수 있다. A guide lid 42 configured to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detergent container 43 may be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41. The guide lid 42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41 to guide the moving direction of the washing water introduced into the detergent receiving container 43.

세제 수용 용기(43)는 액체 세제와 액체 상태의 유연제를 안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4개의 측면이 폐쇄되도록 마련되며 오목한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The detergent receiving container 43 is formed to have a concave shape so that four side surfaces are closed so as to stably receive the liquid detergent and the liquid softener.

세제를 세탁수에 용해시키도록 세제가 이동하는 경로의 적어도 일부분에는 회전 가능 하도록 회전장치(46)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세제 수용 용기(43)의 내측에는 세제를 세탁수에 용해시키도록 회전 가능하도록 회전장치(46)가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회전장치(46)는 세제 수용 용기(43)의 외측이라도 세제가 이동하는 경로의 적어도 일부분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세제 수용 용기(43)의 외측에 회전장치(46)가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며, 세제 수용 용기(43)와 본체(10)를 연결하는 연결관(미도시)의 내측에 회전장치가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연결관(미도시)에 회전장치(46)가 결합되는 경우에는 세제 수용 용기(43)의 내측에 수용된 세제가 연결관(미도시)으로 유입되어 연결관(미도시)의 회전장치에 의해 세탁수에 용해될 수 있다. A rotating device 46 may be coupled to rotate at least a portion of the path through which the detergent travels to dissolve the detergent in the wash wat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otating device 46 may be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detergent container 43 so as to be rotatable to dissolve the detergent in the washing water.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rotating device 46 may be coupled to at least a part of the path through which the detergent moves even outside the detergent receiving container 43. That is, the rotating device 46 can be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detergent container 43, and a rotating device is provided inside the connecting pipe (not shown) connecting the detergent container 43 and the main body 10 . When the rotary device 46 is coupled to the connection pipe (not shown), the detergent contained in the detergent container 43 flows into the connection pipe (not shown) Soluble in water.

보다 구체적으로, 회전장치(46)는 세제 수용 공간(44)에 결합될 수 있다. 세제 수용 공간(44)의 바닥면에는 적어도 일부분이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내측에 적어도 하나의 제1유로를 가지는 사이펀 관(44a)이 마련될 수 있다. 회전장치(46)는 사이펀 관(44a)에 결합될 수 있다. 사이펀 관(44a)은 원기둥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rotating device 46 can be coupled to the detergent receiving space 44. The siphon tube 44a may be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detergent accommodation space 44 so as to protrude at least partly upward and have at least one first flow path on the inner side. The rotating device 46 can be coupled to the siphon tube 44a. The siphon tube 44a may be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세제 수용 용기(43)의 후면에는 세제 수용 용기(43)로 세탁수를 급수하기 위한 급수홀(44c)이 마련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급수홀(44c)은 세제 수용 공간(44)의 후방에 두개 마련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하나 또는 두 개 이상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A water supply hole 44c for supplying wash water to the detergent storage container 43 may be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etergent storage container 43. [ As shown in the drawing, two water supply holes 44c are provided behind the detergent accommodation space 44, but not limited thereto, and one or more water supply holes 44c may be provided.

급수홀(44c)은 하우징(41)의 급수 호스(41b, 41c)와 연결될 수 있다. 급수 호스(41b, 41c)는 하우징(41)의 후면에 마련될 수 있다. 하우징(41)의 후방에는 급수 호스(41b, 41c)외에 세제 수용 용기(43)로부터 오버 플로우되는 세탁수를 배출할 수 있는 배출 호스(41d)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출 호스(41d) 하나와 급수 호스(41b, 41c) 두 개가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The water supply holes 44c may be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hoses 41b and 41c of the housing 41. The water supply hoses 41b and 41c may be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housing 41. In addition to the water supply hoses 41b and 41c, a discharge hose 41d capable of discharging the washing water overflowing from the detergent storage container 43 may be provided at the rear of the housing 41. [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wo discharge hoses 41d and two water hoses 41b and 41c may be provid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세제 수용 용기(43)의 후면에는 세탁수와 공기를 혼합시켜 세제 수용 용기(43) 내측으로 급수하도록 마련되는 노즐 장치가 세제 수용 용기(43)의 후면과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노즐 장치는 세제 수용 용기(43)의 내측으로 세탁수를 분사하는 노즐(47, 48)을 포함할 수 있다. 노즐(47, 48)은 급수홀(44c)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급수홀(44c)은 두 개 마련되는 바, 노즐(47, 48) 또한 두 개 마련될 수 있다. 노즐(47, 48)은 세탁수가 유입되는 세탁수 유입홀(47a, 도 8 참고)과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홀(47b, 47c, 도 8 참고)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노즐(47, 48)은 하우징(41)의 내측에 결합되어 급수홀(44c)과 연통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노즐(47, 48)은 급수홀(44c)에 직접적으로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A nozzle device for mixing wash water and air and supplying water to the inside of the detergent receiving container 43 may be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etergent receiving container 43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detergent receiving container 43. The nozzle device may include nozzles (47, 48) for spraying wash water into the inside of the detergent container (43). The nozzles 47 and 48 can be coupled to the water supply hole 44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wo water supply holes 44c are provided, and two nozzles 47 and 48 may also be provided. The nozzles 47 and 48 may include a washing water inflow hole 47a (see FIG. 8) into which washing water flows and air inlet holes 47b and 47c (see FIG. 8) through which air flows. The nozzles 47 and 48 may be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41 to communicate with the water supply holes 44c.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nozzles 47 and 48 may be directly coupled to the water supply hole 44c.

노즐(47, 48)은 급수홀(44c)과 급수 호스(41b, 41c) 사이를 매개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노즐(47, 48)에는 마찰 방지부(49a, 49b)가 끼워질 수 있다. 마찰 방지부(49a, 49b)는 노즐(47, 48)과 급수 호스(41b, 41c) 사이의 마찰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링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마찰을 방지하기 위하여 유연한 소재로 마련될 수 있다. The nozzles 47 and 48 can be coupled to mediate between the water supply hole 44c and the water supply hoses 41b and 41c. The friction preventing portions 49a and 49b can be fitted to the nozzles 47 and 48, respectively. The friction preventing portions 49a and 49b serve to prevent friction between the nozzles 47 and 48 and the water supply hoses 41b and 41c and may be provided in a ring shape. It may also be provided with a flexible material to prevent fric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세제수용유닛의 세제 수용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세제수용유닛의 세제 수용부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FIG. 4 is a view showing a detergent receiving unit of a detergent receiving unit of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view showing a detergent receiving unit of the detergent receiving unit of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제 수용 공간(44)의 내측에는 회전장치(46)가 결합될 수 있다. 회전장치(46)는 세제 수용 공간(44)의 바닥면에서 돌출된 사이펀 관(44a)에 결합되는 결합부(46a)와, 결합부(46a)에서 연장되어 세제 수용 공간(44)의 내측을 회전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날개(46b)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날개(46b)와 세제 수용 공간(44)의 바닥면 사이의 각도는 0°가 아닐 수 있다. 4 and 5, a rotating device 46 can be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detergent receiving space 44. [ The rotary device 46 includes a coupling portion 46a coupled to the siphon tube 44a protruding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detergent accommodation space 44 and a coupling portion 46b extending from the coupling portion 46a, And a plurality of vanes 46b provided to rotat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ngle between the plurality of vanes 46b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detergent receiving space 44 may not be 0 deg.

세탁수가 세제 수용 공간(44) 내측으로 급수되면 세제 수용 공간(44) 내측에 회전 와류가 형성되고 이에 따라 세제 수용 공간(44) 내측의 세제가 용해된다. 특히, 노즐(47, 48)의 세탁수는 공기와 혼합되어 유입되는 바, 세제의 용해를 촉진시킬 수 있다. When the washing water is supplied into the detergent receiving space 44, a rotating vortex is formed inside the detergent receiving space 44, whereby the detergent inside the detergent receiving space 44 is dissolved. Particularly, the washing water of the nozzles 47 and 48 is mixed with air and introduced, so that dissolution of the detergent can be promoted.

세탁수가 세제 수용 공간(44) 내측으로 급수될 때에 노즐(47, 48)에서 세탁수가 분사되는 수압과 회전 와류로 인하여 회전장치(46)의 날개(46b)가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세제 수용 공간(44)내에 수류가 형성되어 세제를 용해시킬 수 있다. 특히, 세제 수용 공간(44) 내에 고체 세제가 수용되어 있는 경우에는 세제 수용 공간(44)내의 적어도 일부분에 잔류해 있는 고체 세제 덩어리를 분쇄하여 용해시킬 수 있다.The wings 46b of the rotating device 46 can rotate due to the water pressure and rotating vortex in which the washing water is sprayed from the nozzles 47 and 48 when the washing water is supplied into the detergent accommodation space 44. [ As a result, a water stream is formed in the detergent receiving space 44 to dissolve the detergent. Particularly, when the solid detergent is contained in the detergent receiving space 44, the solid detergent lump remaining in at least a part of the detergent receiving space 44 can be crushed and dissolved.

세제 수용 공간(44)의 상부에는 배출구(44b)가 마련될 수 있다. 이에 용해된 세제는 배출구(44b)를 통해 빠져나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출구(44b)는 슬릿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체 세제의 경우 덩어리가 남아 있는 경우에는 배출구(44b)를 통해 빠져나가지 못한다. 배출구(44b)를 통해 배출된 세제는 하우징(41)의 배출 호스(41d)를 통해 회전조(11) 내측으로 유입되어 세탁물을 세탁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An outlet 44b may be provided in the upper part of the detergent receiving space 44. [ The detergent dissolved therein can escape through the discharge port 44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let 44b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slit. As a result, the solid detergent can not escape through the discharge port 44b if a lump remains. The detergent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44b flows into the rotary tub 11 through the discharge hose 41d of the housing 41 to be used for washing the laundry.

세제 수용 공간(44) 내측에 남아 있는 세탁수는 회전장치(46)의 결합부(46b)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결합된 사이폰 관(44a)을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The washing water remaining inside the detergent receiving space 44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siphon tube 44a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engaging portion 46b of the rotating device 46. [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유연제 수용 공간(45)에는 제2유로가 형성될 수 있도록 바닥면이 돌출된 사이폰 관(45a)이 마련될 수 있다. 유연제 수용 공간(45) 내의 유연제는 세탁수에 용해되어 사이폰 관(45a)을 통하여 회전조(11)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다.The softener accommodating space 45 may be provided with a siphon tube 45a having a bottom surface protruding to form a second flow path. The softening agent in the softening agent accommodating space 45 may be dissolved in the washing water and may be introduced into the rotary tub 11 through the siphon tube 45a.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세제 수용 유닛의 세제 수용 용기가 인출된 상태의 측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세제 수용 유닛의 세제 수용 용기가 수용된 상태의 측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ide section of the detergent receiving unit of th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ctional view showing a side cross-section in a state in which the detergent container is housed.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제 수용 유닛(40)의 세제 수용 용기(43)는 하우징(41)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가이드 덮개(42)는 하우징(41)의 상측에 결합된 상태이며, 세제 수용 용기(43)가 인출되는 경우에 함께 인출되지 않는다. 6 and 7, the detergent containing container 43 of the detergent receiving unit 40 can be drawn out from the housing 41. As shown in Fig. The guide lid 42 is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housing 41 and is not drawn out together when the detergent container 43 is taken out.

세제 수용 공간(44)의 사이폰 관(44a)은 세제 수용 공간(44)의 4개의 측벽의 높이보다 낮게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세제 수용 공간(44) 내의 액체는 세제 수용 공간(44)의 측벽의 높이를 넘어 오버플로우 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사이폰 관(44a)을 통하여 먼저 배출될 수 있다. The siphon tube 44a of the detergent housing space 44 may be provided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four side walls of the detergent housing space 44. [ Accordingly, the liquid in the detergent containing space 44 can be discharged first through the siphon tube 44a except when the overflow is caused to exceed the height of the side wall of the detergent containing space 44. [

세제 수용 용기(43)가 하우징(41)에 수용된 상태에서 하우징(41)의 급수 호스(41c)를 통해 세탁수가 유입된다. 유입된 세탁수는 노즐(48)을 지나 급수홀(44c)을 거쳐 세제 수용 공간(44)으로 유입된다. 유입된 세탁수는 세제 수용 공간(44)내에서 회전 와류를 형성하며 세제 수용 공간(44) 내측의 세제를 용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세제 수용 공간(44)의 후면에 결합된 노즐(48)에 의하여 세탁수가 직접적으로 분사되며, 세제 수용 공간(44)의 4면이 폐쇄되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세탁수가 세제 수용 공간(44) 내에서 회전 순환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회전장치(46)의 날개(46b)가 회전하기 때문에 고체 세제의 용해가 가능하다. The washing water is introduced through the water supply hose 41c of the housing 41 while the detergent receiving container 43 is housed in the housing 41. [ The introduced washing water flows into the detergent accommodation space 44 through the nozzle 48 and the water supply hole 44c. The introduced washing water forms a rotating vortex in the detergent receiving space 44 and dissolves the detergent inside the detergent receiving space 44.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washing water is directly sprayed by the nozzle 48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detergent containing space 44 and the four surfaces of the detergent containing space 44 are closed, The water circulates in the detergent receiving space 44. In this process, since the blade 46b of the rotating device 46 rotates, it is possible to dissolve the solid detergent.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세제 수용 공간(44)의 4면이 폐쇄된 상태로 액체 세제를 안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 세탁수가 노즐(48)을 통하여 유입되어 세제가 용해되면 회전장치(46)가 결합된 사이폰 관(44a) 내측의 제1유로를 통해 세제가 용해된 세탁수가 배출될 수 있다. 회전장치(46)와 사이폰 관(44a)은 서로 이격되도록 결합되어 세탁수가 회전장치(46)와 사이폰 관(44a)의 사이로 이동할 수 있는 유로를 형성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quid detergent can be stably accommodated with the four sides of the detergent receiving space 44 being closed. When the wash water is introduced through the nozzle 48 and the detergent is dissolved, the wash water dissolved in the detergent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flow path inside the siphon pipe 44a to which the rotating device 46 is coupled. The rotating device 46 and the siphon pipe 44a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o form a flow path through which the wash water can move between the rotating device 46 and the siphon pipe 44a.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체 세제가 세제 수용 공간(44)의 내측에서 용해되어 액체 상태로 변환될 수 있기 때문에 동일한 세제 수용 공간(44)을 액체 세제와 고체 세제에 대해 공통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고체 세제와 액체 세제를 사용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세제 수용 공간(44)을 교체할 필요가 없다. 또한 회전장치(46)로 인하여 세제 수용 공간(44) 내의 잔류 세제의 용해가 가능하기 때문에 세제 수용 유닛(40)의 세척을 위하여 추가적으로 세탁수를 사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세탁수를 절약할 수 있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olid detergent can be dissolved in the detergent receiving space 44 and converted into the liquid state, the same detergent receiving space 44 is commonly used for the liquid detergent and the solid detergent It is possible. Therefore, it is not necessary to replace the detergent accommodation space 44 depending on whether the user uses the solid detergent and the liquid detergent. In addition, since the rotary device 46 can dissolve the residual detergent in the detergent receiving space 44, it is not necessary to additionally use the washing water for washing the detergent receiving unit 40, so that the washing water can be saved.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세제수용유닛의 노즐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화살표는 세탁수의 유입을 의미하며, 검은색 화살표는 공기의 유입을 의미하며, 빗금쳐진 화살표는 공기와 혼합된 세탁수의 유입을 의미한다. 8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nozzle of a detergent receiving unit of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8, arrows indicated by dotted lines indicate inflow of wash water, black arrows indicate inflow of air, and shaded arrows indicate inflow of wash water mixed with air.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47)은 세제 수용 공간(44)의 급수홀(44c)에 결합될 수 있다. 노즐(47)은 세탁수가 유입되는 세탁수 유입홀(47a)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 유입홀(47b, 47c)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세탁수 유입홀(47a)과 공기 유입홀(47b, 47c)은 하나의 부재인 노즐(47)에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8, the nozzle 47 can be coupled to the water supply hole 44c of the detergent receiving space 44. [ The nozzle 47 may include a washing water inflow hole 47a through which the washing water flows and at least one air inflow hole 47b or 47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shing water inflow hole 47a and the air inflow holes 47b and 47c may be formed in the nozzle 47 as one memb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공기 유입홀(47b, 47c)은 노즐(47)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하나씩 두 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따라, 공기 유입홀(47b, 47c)을 통해 유입된 공기는 세탁수 유입홀(47a)을 통해 유입된 세탁수와 교차 유로(47e)에서 만나 혼합될 수 있다. 이후, 세탁수 유입홀(47a)과 공기 유입홀(47b, 47c)을 통해 공기와 혼합된 세탁수는 통합 유입홀(47g)을 통해 급수홀(44c)을 지나세제 수용 공간(44)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inlet holes 47b and 47c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nozzle 47, respectively.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ccordingly,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air inflow holes 47b and 47c can be mixed with the washing water flowing through the washing water inflow hole 47a and the cross flow path 47e. The washing water mixed with the air through the washing water inflow hole 47a and the air inflow holes 47b and 47c passes through the water inflow hole 44c through the integrated inflow hole 47g and flows into the detergent accommodation space 44 Can be introduc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세탁수 유입홀(47a)은 공기 유입홀(47b, 47c) 방향으로 갈 수록 단면적이 감소할 수 있다. 즉, 세탁수 유입홀(47a)은 제1단면적을 가지는 제1구간(S1)과 제2단면적을 가지는 제2구간(S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구간(S2)은 제1구간(S1)보다 세탁수 유입홀(47a)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2구간(S2)은 제1구간(S1)보다 단면적이 좁게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구간(S2)에서 세탁수의 압력이 감소하게 되며 공기 유입홀(47b, 47c)을 통해 공기의 유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세탁수와 공기가 혼합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washing water inflow hole 47a may decrease as it goes toward the air inflow holes 47b and 47c. That is, the washing water inflow hole 47a may include a first section S1 having a first cross-sectional area and a second section S2 having a second cross-sectional area. The second section S2 may be positioned inside the washing water inflow hole 47a and the second section S2 may be formed to have a smaller cross sectional area than the first section S1 than the first section S1 . Accordingly, the pressure of the washing water is reduced in the second section S2 and the inflow of air through the air inflow holes 47b and 47c can be performed smoothly, so that the washing water and the air can be mixed.

노즐(47)을 통하여 세탁수와 공기가 혼합되어 세제 수용 공간(44) 내측으로 공기와 혼합된 세탁수가 유입되기 때문에 세제 수용 공간(44) 내의 세제 용해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The efficiency of detergent dissolving in the detergent receiving space 44 can be improved because the washing water and air are mixed through the nozzle 47 and the washing water mixed with the air is introduced into the detergent receiving space 44.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세제 수용 유닛의 세제 수용 용기의 후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세제 수용 유닛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FIG. 9 is a rear view of a detergent container of a detergent receiving unit of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1 is an exploded view of a detergent receiving unit of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부호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Description of the constituent elements hav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ill be omitted.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제 수용 유닛(140)은 하우징(141)과, 하우징(141)에 수용되며 내측에 세제가 수용되는 세제 수용 용기(43)로 구성된다. 하우징(141)의 내측에는 세제 수용 용기(43)의 상면을 덮도록 구성되는 가이드 덮개(142)가 결합될 수 있다. 9 and 10, the detergent receiving unit 140 includes a housing 141, and a detergent container 43 which is accommodated in the housing 141 and receives detergent therein. A guide lid 142 configured to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detergent container 43 may be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141.

하우징(141)의 후방에는 세탁수를 급수하는 급수 호스(141b, 141c)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41)의 후방에는 세제 수용 용기(43)로부터 오버 플로우되는 세탁수를 배출할 수 있는 배출 호스(141d)가 마련될 수 있다. On the rear side of the housing 141, water supply hoses 141b and 141c for supplying wash water may be provided. Further, a discharge hose 141d capable of discharging washing water overflowing from the detergent container 43 may be provided at the rear of the housing 141. [

세제 수용 용기(43)의 후면에는 세제 수용 용기(43)로 세탁수를 급수하기 위한 급수홀(44c)이 마련될 수 있다. 급수홀(44c)은 하우징(141)의 급수 호스(141b, 141c)와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A water supply hole 44c for supplying wash water to the detergent storage container 43 may be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etergent storage container 43. [ The water supply hole 44c may be provided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water supply hose 141b or 141c of the housing 141.

급수홀(44c)에는 세제 수용 용기(43)로 세탁수를 분사하는 노즐 장치(150)가 결합될 수 있다. 급수홀(44c)에는 각각 하나의 노즐 장치(150)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세제 수용 용기(43)에 급수홀(44c)이 마련되며, 각각의 급수홀(44c)에 노즐 장치(150)가 하나씩 결합된다. A nozzle device 150 for spraying wash water into the detergent container 43 may be coupled to the water supply hole 44c. One nozzle device 150 may be coupled to the water supply hole 44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water supply hole 44c is provided in the detergent storage container 43, and the nozzle devices 150 are coupled to the respective water supply holes 44c one by on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노즐 장치(150)는 세탁수를 분사하는 노즐(153)과, 노즐(153)을 수용하는 노즐 하우징(151)과, 노즐(153)과 노즐 하우징(151) 사이에 삽입되는 탄성부재(152)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152)는 노즐(153)이 세탁수의 수압에 따라 하우징(141) 또는 세제 수용 용기(43)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가이드할 수 있다. 즉, 노즐(153)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ozzle device 150 includes a nozzle 153 for spraying washing water, a nozzle housing 151 for housing the nozzle 153, And an elastic member 152 inserted into the elastic member 152. The elastic member 152 can guide the nozzle 153 to move in the direction of the housing 141 or the detergent container 43 according to the water pressure of the washing water. That is, the nozzle 153 can move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노즐(153)에 탄성부재(152)가 끼워지고 노즐(153)이 노즐 하우징(151)에 삽입되고, 노즐 하우징(151)이 가이드 덮개(142)에 끼워지고 가이드 덮개(142)가 하우징(141)에 결합되는 방식으로 노즐 장치(150)가 세제 수용 용기(43)에 장착될 수 있다. 이에, 노즐 장치(150)를 보다 간단한 방식으로 조립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 elastic member 152 is fitted in the nozzle 153 and the nozzle 153 is inserted into the nozzle housing 151. The nozzle housing 151 is fitted in the guide lid 142 and the guide lid 142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141 The nozzle device 150 can be mounted in the detergent container 43. [0050] Thus, it is possible to assemble the nozzle device 150 in a simpler mann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노즐(153)과 가이드 덮개(142)는 별도의 부재로 마련되어 노즐(153)이 가이드 덮개(142)에 결합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노즐이 가이드 덮개와 하나의 부재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노즐이 하우징에 일체로 형성되어 가이드 덮개가 조립되는 것도 가능하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ozzle 153 and the guide lid 142 are provided as separate members so that the nozzle 153 is coupled to the guide lid 142,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s shown in FIG.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nozzle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housing to assemble the guide lid.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세제 수용 유닛에 공급되는 세탁수의 수압이 작은 경우의 세탁수의 이동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세제 수용 유닛에 공급되는 세탁수의 수압이 큰 경우의 세탁수의 이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FIG. 11 is a view showing the movement of the washing water when the water pressure of the washing water supplied to the detergent receiving unit of th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mall. FIG. Fig. 5 is a view showing the movement of the washing water when the water pressure of the washing water supplied to the detergent receiving unit of the washing machine is large.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 호스(141b)와 급수홀(44a)의 사이에 노즐 장치(150)가 위치한다. 노즐 장치(150)는 급수 호스(141b)에서 급수홀(44a)의 방향으로, 노즐(153), 탄성부재(152), 노즐 하우징(151)의 순으로 위치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11 and 12, the nozzle device 150 is positioned between the water supply hose 141b and the water supply hole 44a. The nozzle device 150 may be positioned in the order of the nozzle 153, the elastic member 152, and the nozzle housing 151 in the direction of the water supply hole 44a from the water supply hose 141b.

노즐(153)은 바디부(153a)와, 바디부(153a)에서 연장되는 헤드부(153b)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153a)와 헤드부(153b)를 통해 세탁수는 유입되며 바디부(153a)와 헤드부(153b)는 세탁수 유입홀을 형성한다. The nozzle 153 may include a body portion 153a and a head portion 153b extending from the body portion 153a. The washing water flows into the body part 153a and the head part 153b, and the body part 153a and the head part 153b form a washing water inflow hole.

노즐 하우징(151)에는 공기 유입홀(151c, 151d)이 형성될 수 있다. 노즐 하우징(151)은 노즐(153)이 삽입되는 삽입홀(151e)이 마련되는 삽입부(151b)와, 삽입부(151b)에서 연장되어 절곡되는 절곡부(151a)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공기 유입홀(151c, 151d)은 삽입부(151b)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하나씩 마련될 수 있다. 삽입홀(151e)은 삽입부(151b)의 중간 지점에 마련될 수 있다. Air inlet holes 151c and 151d may be formed in the nozzle housing 151. The nozzle housing 151 may include an insertion portion 151b provided with an insertion hole 151e into which the nozzle 153 is inserted and a bent portion 151a extending and bent from the insertion portion 151b.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inlet holes 151c and 151d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inserting portion 151b, respectively. The insertion hole 151e may be provided at an intermediate point of the insertion portion 151b.

가이드 덮개(142)는 노즐 하우징(151)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42a)를 포함할 수 있다. 노즐 하우징(151)은 돌출부(142a)에 끼워져 노즐 장치(150)와 가이드 덮개(142)가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돌출부(142a)는 노즐 하우징(151)의 절곡부(151a)에 결합될 수 있다. The guide cover 142 may include a protrusion 142a protruding in the direction of the nozzle housing 151. The nozzle housing 151 is fitted in the protrusion 142a so that the nozzle device 150 and the guide lid 142 can be engaged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rusion 142a may be coupled to the bent portion 151a of the nozzle housing 151. [

세탁수 유입홀은 제1단면적(S3)을 가지는 제1구간와 제2단면적(S4)을 가지는 제2구간를 포함할 수 있다. 제2구간은 제1구간보다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2구간(S4)은 공기 유입홀(151c, 151d)과 근접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제2구간의 단면적(S4)은 제1구간의 단면적(S3)보다 좁게 마련될 수 있다. 즉, 헤드부(153b)의 단면적(S3)은 바디부(153a)의 단면적(S4)보다 크게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구간에서 세탁수의 압력이 감소하게 되며 공기 유입홀(151c, 151d)을 통해 공기의 유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세탁수와 공기가 혼합될 수 있다. The wash water inflow hole may include a first section having a first cross-sectional area (S3) and a second section having a second cross-sectional area (S4). The second section may be located further inside than the first section. That is, the second section S4 may be positioned to be close to the air inlet holes 151c and 151d. Sectional area S4 of the second section may be narrower than the sectional area S3 of the first section. That is, the sectional area S3 of the head portion 153b may be larger than the sectional area S4 of the body portion 153a. Accordingly, the pressure of the washing water is reduced in the second section and the inflow of air through the air inlet holes 151c and 151d can be smoothly performed, so that the washing water and the air can be mixed.

도 11은 세탁수의 수압이 작은 경우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세탁수의 수압이 탄성부재(152)의 탄성력보다 작은 경우이다. 탄성부재(152)의 탄성력으로 인하여 노즐(153)은 하우징(141)에 밀착되도록 결합된다. 이에 노즐(153)과 하우징(141) 사이에는 세탁수가 이동하는 유로가 생성되지 않으며, 급수 호스(141b)를 지난 세탁수는 노즐(153) 내의 유로를 지나 급수홀(44a)을 통해 세제 수용 용기(43) 내측으로 분사된다. 11 shows a case where the water pressure of the washing water is small. More specifically, the water pressure of the washing water is smaller than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152. Due to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152, the nozzle 153 is tightly coupled to the housing 141. The washing water flowing through the water supply hose 141b flows through the water passage in the nozzle 153 through the water supply hole 44a to the detergent receiving container (43).

도 12는 세탁수의 수압이 큰 경우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세탁수의 수압이 탄성부재(152)의 탄성력보다 큰 경우이다. 세탁수의 수압이 탄성부재(152)의 탄성력보다 크기 때문에 노즐(153)은 세제 수용 용기(43) 방향으로 밀착되도록 결합된다. 이에 노즐(153)과 하우징(141) 사이에 세탁수가 이동하는 유로가 생성된다. 이에 따라 급수 호스(141b)를 지난 세탁수 중 일부는 노즐(153) 내측을 지나 세제 수용 용기(43)로 분사되나, 다른 일부는 노즐(153) 외측을 지나 세제 수용 용기(43)의 외측으로 분사된다. Fig. 12 shows a case where the water pressure of the washing water is large. More specifically, the water pressure of the washing water is larger than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152. Since the water pressure of the washing water is greater than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152, the nozzle 153 is tightly coupled in the direction of the detergent container 43. Thus, a flow path for the washing water to flow between the nozzle 153 and the housing 141 is generated. A part of the washing water passing through the water supply hose 141b is sprayed to the detergent storage container 43 through the inside of the nozzle 153 but the other part is discharged outside the detergent storage container 43 .

세탁수의 수압이 높은 경우에는 회전장치(46)의 원심력이 커져 세제 수용 용기(43) 내부의 세탁수가 세제 수용 용기(43)의 외곽으로 쏠리게 되고 세탁수가 세제 수용 용기(43)의 외부로 넘칠 수 있다. 이에 따라, 세탁수의 공급이 중단된 후에 세제 수용 용기(43)의 수위가 낮아져 사이폰 관(44a) 사이로 세탁수가 빠져나가지 못한다. 따라서 세제 수용 용기(43)에 잔수가 발생한다. 또한, 세탁수의 수압이 높은 경우에는 세제의 용해 성능도 낮아진다.  When the water pressure of the washing water is high, the centrifugal force of the rotary device 46 becomes large, so that the washing water in the detergent container 43 is pour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detergent container 43 and the washing water overflows to the outside of the detergent container 43 . Accordingly, after the supply of the washing water is stopped, the water level of the detergent storage container 43 is lowered, and washing water can not escape through the siphon pipes 44a. Therefore, residual water is generated in the detergent container 43. Further, when the water pressure of the washing water is high, the detergent dissolving performance is also lower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노즐(153)이 일정 정도 이동 가능하기 때문에 세탁수의 수압이 높은 경우에 노즐(153)이 세제 수용 용기(43) 방향으로 이동하여 노즐(153) 외측으로 세탁수가 이동할 수 있는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세탁수의 수압이 높은 경우에 세탁수의 일부는 하우징(141)으로 분기되어 공급되기 때문에 세제 수용 용기(43)에 수압이 높은 세탁수가 공급되어 발생하는 상술한 문제점이 해결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nozzle 153 can move to a certain extent, when the water pressure of the washing water is high, the nozzle 153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detergent container 43, The number of which can be shifted. Accordingly, when the water pressure of the wash water is high, a part of the wash water is branched and supplied to the housing 141, so that the aforementioned problem that the wash water having a high water pressure is supplied to the detergent container 43 can be solved.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세제 수용 유닛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세제 수용 유닛의 노즐 장치의 측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FIG. 13 is an exploded view of a detergent receiving unit of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side view of a nozzle unit of a detergent receiving unit of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세제 수용 유닛(240)의 노즐 장치(150)는 세탁수의 유로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구성되는 유입방지장치(15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입방지장치(154)는 세탁수의 유로를 개방하는 제1상태와, 세탁수의 유로를 폐쇄하는 제2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상태는 세제 수용 용기(43)가 하우징(141)에 수용된 상태이며, 제2상태는 세제 수용 용기(43)가 하우징(141)으로부터 인출된 상태를 의미한다. 유입방지장치(154)는 세제 수용 용기(43)가 하우징(141)으로부터 인출된 때에 세탁수가 분사되어 세제 수용 용기(43)로 급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13 and 14, the nozzle device 150 of the detergent receiving unit 240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n inflow prevention device 154 configured to open or close the flow path of the washing water . The inflow prevention device 154 may include a first state for opening the flow path of the washing water and a second state for closing the flow path for the washing water. The first state means that the detergent receiving container 43 is housed in the housing 141 and the second state means that the detergent receiving container 43 is taken out from the housing 141. [ The inflow prevention device 154 can prevent the washing water from being sprayed to the detergent container 43 when the detergent container 43 is drawn out from the housing 141. [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입방지장치(154)는 노즐 하우징(151)의 절곡부(151a)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 유입방지장치(154)는 절곡부(151a)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절곡부(151a)에 대해 회동될 수 있다. 유입방지장치(154)는 노즐 하우징(151)과 결합되는 결합부(154a)와, 세제 수용 용기(43)의 인출 시에 세제 수용 용기(43)와 접촉하여 유입방지장치(154)를 회동시키는 걸림턱(154b)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low prevention device 154 may be coupled to one side of the bent portion 151a of the nozzle housing 151. [ The inflow prevention device 154 may be hinged to one side of the bent portion 151a and be rotated with respect to the bent portion 151a. The inflow prevention device 154 includes an engaging portion 154a that is engaged with the nozzle housing 151 and a detergent container 154 that contacts the detergent container 43 at the time of detaching the detergent container 43 to rotate the inflow prevention device 154 And may include a latching jaw 154b.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세탁수의 표면 장력으로 인해 유입방지장치(154)가 제1상태에서 제2상태로 회동되지 않을 수 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결합부(154a)의 상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154c)가 돌출될 수 있다. 또한, 결합부(154a)는 제1상태에서 절곡부(151a)에 대해 하향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결합부(154a)와 절곡부(151a)사이에 형성되는 각도(θ)는 15°일 수 있다. 이는 결합부(154a)에 대해 일정한 각도를 형성하여 세탁수가 결합부(154a) 상에 머무르지 않고 하향으로 흘러가도록 가이드 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1상태에서 절곡부(151a)와 유입 방지 장치(154) 사이에는 일정한 갭(g)이 형성될 수 있다. 절곡부(151a)와 유입 방지 장치(154) 사이의 갭(g)은 최소 2mm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유입 방지 장치(154)의 돌기(154c)와 절곡부(151a)사이에 갭(g)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절곡부(151a)와 유입 방지 장치(154)가 세탁수의 표면 장력으로 인해 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The inflow preventing device 154 may not be rotated from the first state to the second state due to the surface tension of the washing water. In order to prevent this, at least one protrusion 154c may protrud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oupling portion 154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engaging portion 154a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bent portion 151a in the first state. For example, the angle formed between the engaging portion 154a and the bent portion 151a may be 15 degrees. This is for guiding the washing water to flow downward without staying on the coupling part 154a by forming a certain angle with respect to the coupling part 154a. In addition, in the first state, a constant gap g may be formed between the bent portion 151a and the inflow prevention device 154. [ The gap g between the bent portion 151a and the inflow prevention device 154 may be at least 2 mm. More specifically, a gap g may be formed between the projection 154c of the inflow prevention device 154 and the bent portion 151a. This is to prevent the bent portion 151a and the inflow prevention device 154 from being brought into close contact due to the surface tension of the washing water.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세제 수용 유닛의 세제 수용 용기가 수용된 상태의 측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세제 수용 유닛의 세제 수용 용기가 인출된 상태의 측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FIG. 1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ide end surface of a detergent receiving unit of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ctional view showing a side cross-section in a state in which the detergent storage container of the storage unit is drawn out.

도 15는 제1상태에서 유입 방지 장치(154)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6은 제2상태에서 유입 방지 장치(154)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 15 is a view showing the inflow prevention device 154 in the first state, and Fig. 16 is a view showing the inflow prevention device 154 in the second state.

제1상태에서 걸림턱(154b)은 세제 수용 용기(43)의 내측을 향할 수 있다. 제1상태에서 걸림턱(154b)의 위치는 세제 수용 용기(43)의 높이보다 낮게 위치할 수 있다. 이에 세제 수용 용기(43)가 하우징(141)에서 인출될 때 세제 수용 용기(43)가 걸림턱(154b)과 접촉하여 걸림턱(154b)이 상향으로 이동하고 결합부(154a)가 회동하여 유입 방지 장치(154)가 제2상태로 변환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상태에서 세제 수용 용기(43)의 높이의 최대 지점과 걸림턱(154b)의 높이의 최소 지점의 차이(d)는 3mm일 수 있다. In the first state, the catching jaw 154b can be directed to the inside of the detergent container 43. [ The position of the latching jaw 154b in the first state may be located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detergent container 43. [ When the detergent container 43 is drawn out from the housing 141, the detergent container 43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engaging protrusion 154b so that the engaging protrusion 154b moves upward and the engaging portion 154a rotates, Prevention device 154 can be converted to the second state. For example, in the first state, the difference d between the maximum point of the height of the detergent container 43 and the minimum point of the height of the engaging step 154b may be 3 mm.

제1상태에서 결합부(154a)는 세제 수용 용기(43)에 의해 세제 수용 용기(43)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세탁수가 노즐 장치(150)에서 세제 수용 용기(43)로 이동하는 유로가 개방되어 세탁수가 노즐 장치(150)에서 세제 수용 용기(43)로 이동할 수 있다. 제2상태에서 중력에 의해 결합부(154a)는 하향으로 회동된다. 이에 따라 결합부(154a)와 결합된 걸림턱(154b)은 상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결합부(154a)가 하향으로 회동되기 때문에 노즐 장치(150)에서 세제 수용 용기(43)로 연통되는 유로가 폐쇄된다. 이에 따라 세제 수용 용기(43)가 인출된 경우에 세탁수가 세제 수용 용기(43)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the first state, the engaging portion 154a may be located above the detergent container 43 by the detergent container 43. [ The flow of the wash water from the nozzle device 150 to the detergent container 43 is opened so that the wash water can be transferred from the nozzle device 150 to the detergent container 43. In the second state, the engaging portion 154a is rotated downward by gravity. Accordingly, the engaging protrusion 154b coupled with the engaging portion 154a can be rotated upward. Since the engaging portion 154a is rotated downward, the flow path communicated from the nozzle device 150 to the detergent container 43 is closed. Thus, when the detergent storage container 43 is taken out, the washing water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into the detergent storage container 43.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세제 수용 유닛의 가이드 덮개의 하면을 도시한 도면이다.17 is a bottom view of a guide cover of a detergent receiving unit of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덮개(42)의 하면에는 세제 수용 용기(43)로 유입된 세탁수의 이동 방향을 가이드 하기 위하여 가이드 덮개(42)의 하면으로부터 세제 수용 용기(43) 방향으로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리브(51, 52, 5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드 덮개(42)는 유연제 수용 공간(45)의 상면에 위치하는 유연제 수용 공간 덮개부(42a)와 세제 수용 공간(44)의 상면에 위치하는 세제 수용 공간 덮개부(42b)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리브(51, 52, 53)는 세제 수용 공간 덮개부(42b)에 위치할 수 있다. 17, in order to guide the moving direction of the washing water flowing into the detergent storage container 43, the guide lid 42 is provided at the lower surface thereof with a guide groove 42 extending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guide lid 42 toward the detergent storage container 43 And at least one rib (51, 52, 53) extending therefro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uide cover 42 includes a softening agent housing space cover 42a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oftening agent housing space 45 and a detergent housing space cover 42a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etergent housing space 44. [ And a portion 42b. At least one rib 51, 52, 53 may be located in the detergent receiving space cover 42b.

리브(51, 52, 53)는 각각 다른 방향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리브(51)는 가이드 덮개(42)의 전방에 마련되는 제1리브(5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리브(51)는 세제 수용 공간(44)으로 급수되는 세탁수가 세제 수용 용기(43)의 전면으로 오버 플로우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세제 수용 공간(44)의 전면을 둘러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리브(51)는 외측에 마련되는 외측 제1리브(51a)와 외측 제1리브(51a)의 내측에 마련되며 외측 제1리브(51a)에서 분기되어 마련되는 내측 제1리브(51b)를 포함할 수 있다. The ribs 51, 52 and 53 may be provided in different directions. More specifically, the ribs 51 may include a first rib 51 provided in front of the guide lid 42. The first rib 51 may be provided to surround the entire surface of the detergent receiving space 44 to prevent the washing water supplied into the detergent receiving space 44 from overflowing to the front surface of the detergent receiving container 43. The first rib 51 includes an outer first rib 51a provided on the outer side and an inner first rib 51b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outer first rib 51a and branched from the outer first rib 51a. . ≪ / RTI >

리브(51, 52, 53)는 가이드 덮개(42)의 중심부에서 가장자리부로 원형에 근접하도록 연장되는 제2리브(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리브(52)는 세탁수를 세제 수용 공간(44)의 중심부로 가이드하기 위하여 마련된다.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리브(52)는 원심력에 의하여 바깥으로 밀려나가는 세탁수를 중앙으로 모아줄 수 있도록 외측에서 중심부로 모아지는 소용돌이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리브(52)는 6개(52a, 52b, 52c, 52d, 52e, 52f)가 마련될 수 있으며, 제2리브 중 하나는 다른 제2리브로부터 분기될 수도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The ribs 51, 52 and 53 may include a second rib 52 extending from the center of the guide lid 42 to the periphery in a circular manner. The second rib 52 is provided to guide the washing water to the center of the detergent receiving space 44.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ribs 52 may be formed in a spiral shape that is collected from the outside to the center so as to collect the wash water pushed outward by the centrifugal force to the cen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x second ribs 52a, 52b, 52c, 52d, 52e, and 52f may be provided, and one of the second ribs may be branched from another second rib But is not limited thereto.

리브(51, 52, 53)는 가이드 덮개(42)의 중심부에서 가장자리부로 방사형으로 연장되는 제3리브(53)를 포함할 수 있다. 제3리브(53)는 세탁수를 특정 구간에 집중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제3리브(53)로 인하여 특정 구간에 세제가 잔류해 있는 경우에 세탁수를 집중적으로 공급하여 세제를 용해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리브(53)는 세제 수용 공간 덮개부(42b)의 전면에 위치해 있으나 이는 세탁수가 세제 수용 공간(44)의 후면에서 유입되어 통상적으로 세제 수용 공간(44)의 전면에 잔류 세제가 많이 남아있어 제3리브(53)로 세탁수의 유입을 안내하여 잔류 세제를 용해시키기 위함이다.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리브(53)는 5개(53a, 53b, 53c, 53d, 53e) 마련되며, 제3리브 중 하나는 다른 제3리브로부터 분기되어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제3리브(53)는 제2리브(52)로부터 분기되어 연장되는 것도 가능하다. The ribs 51, 52 and 53 may include a third rib 53 extending radially from the center of the guide lid 42 to the edge. The third rib 53 is for intensively supplying wash water to a specific section. When the detergent remains in a specific section due to the third rib 53, it is possible to intensively supply the washing water to dissolve the detergen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rd ribs 53 are loca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etergent housing space cover 42b, but the wash water may flow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detergent housing space 44, So that the residual detergent is dissolved in the third rib 53 by guiding the inflow of the washing w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ve third ribs 53a, 53b, 53c, 53d, and 53e may be provided, and one of the third ribs may be branched and extended from another third rib. Also, the third rib 53 may be branched from the second rib 52 and extended.

가이드 덮개(42)는 회전장치(46)와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하여 중심부에 마련되는 접촉방지부(5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회전장치(46)는 세제 수용 공간(44)에 결합되기 때문에 접촉방지부(54)는 이에 대응되는 위치인 세제 수용 공간 덮개부(42b)에 마련될 수 있다. 접촉방지부(54)는 회전장치(46)의 결합부(46a)와의 사이에 최소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접촉방지부(54)는 리브(51, 52, 53)보다 높이가 낮도록 가이드 덮개(42)의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회전장치(46)는 세탁수의 흐름에 의하여 회전하면서 양력을 받아 가이드 덮개(42) 방향으로 상승할 수 있다. 이 때, 회전장치(46)와 상술한 리브(51, 52, 53)들이 접촉하면 소음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회전장치(46)에 대응하는 위치에 접촉방지부(54)를 위치시켜 회전장치(46)와 가이드 덮개(42)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The guide cover 42 may further include a contact preventing portion 54 provided at a central portion to prevent contact with the rotating device 46. Since the rotating device 46 is coupled to the detergent receiving space 44, the contact preventing portion 54 may be provided in the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detergent receiving space cover 42b. The contact preventing portion 54 is for maintaining a minimum gap between the contact preventing portion 54 and the engaging portion 46a of the rotating device 46. [ For this purpose, the contact preventing portion 54 may protrude downward from the guide lid 42 so as to be lower in height than the ribs 51, 52 and 53. The rotating device 46 can be lifted in the direction of the guide lid 42 by receiving the lift force while being rotated by the flow of washing water. At this time, when the rotating device 46 and the ribs 51, 52 and 53 contact with each other, noise may be generated. Therefore, the contact preventing part 54 is position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otating device 46, 46 and the guide lid 42 can be prevented from coming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The foregoing has shown and described specific embodiments.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following claims .

1: 세탁기 10: 본체
20: 터브 11: 회전조
30: 급수장치 40, 140, 240: 세제 수용 유닛
41, 141: 하우징 42, 142: 가이드 덮개
43: 세제 수용 용기 44: 세제 수용 공간
45: 유연제 수용 공간 46: 회전 장치
47, 48, 153: 노즐 47a: 세탁수 유입홀
47b, 47c, 151c, 151d: 공기 유입홀 47d: 통합 유입홀
47e: 교차 유로 51: 제1리브
52: 제2리브 53: 제3리브
54: 접촉방지부 151: 노즐 하우징
151a: 절곡부 151b: 삽입부
152: 탄성부재 153a: 바디부
153b:헤드부 154: 유입방지장치
154a: 결합부 154b: 걸림턱
154c: 돌기
1: Washing machine 10:
20: tub 11:
30: Water supply device 40, 140, 240: Detergent receiving unit
41, 141: housing 42, 142: guide cover
43: Detergent container 44: Detergent space
45: softening agent accommodating space 46: rotating device
47, 48, 153: nozzle 47a: washing water inflow hole
47b, 47c, 151c, 151d: air inflow hole 47d: integrated inflow hole
47e: cross flow path 51: first rib
52: second rib 53: third rib
54: contact prevention part 151: nozzle housing
151a: bent portion 151b:
152: elastic member 153a:
153b: head part 154: inflow prevention device
154a: engaging portion 154b:
154c:

Claims (28)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회전조;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세제를 공급하기 위하여 세탁수에 세제를 용해시키는 세제 수용 유닛으로서, 상기 본체 내측에 결합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며 내측에 세제가 수용되고, 후면에 세탁수를 급수하기 위한 급수홀 및 용해된 세제가 빠져나갈 수 있도록 배출구가 마련되는 세제 수용 용기와, 세제를 세탁수에 용해시키도록 세제가 이동하는 경로의 적어도 일부분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전장치를 포함하는 세제 수용 유닛; 및
상기 세제 수용 용기의 내측으로 세탁수를 공급하도록 상기 급수홀과 연통되게 상기 세제 수용 용기의 후방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노즐 장치;를 포함하고,
세탁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노즐 장치로부터 상기 세제 수용 용기의 내측으로 수평방향으로 급수되어 상기 회전장치를 회전시키고, 상기 회전장치의 회전에 의해 용해된 세제는 상기 배출구를 통해 상기 세제 수용 용기의 외측으로 수평방향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main body;
A rotatable vessel disposed inside the body;
A detergent receiving unit mounted on the main body to dissolve the detergent in the washing water to supply the detergent, the detergent receiving unit comprising: a housing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a detergent accommodated in the housing, A detergent receiving container having a water outlet for discharging dissolved detergent and a detergent container containing a detergent container for rotatably coupled to at least a part of a path through which the detergent moves to dissolve the detergent in the washing water, unit; And
And at least one nozzle device provided at the rear of the detergent container to communicate with the water supply hole to supply wash water to the inside of the detergent container,
The washing water is supplied horizontally from the at least one nozzle device to the inside of the detergent container to rotate the rotating device, and the detergent dissolved by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device is supplied to the outside of the detergent container through the outlet And is discharged in a horizontal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장치는 상기 세제 수용 용기의 내측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otating device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detergent contain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 수용 용기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적어도 하나의 제1유로를 가지는 사이펀관을 더 포함하며,
상기 회전장치는 상기 사이펀 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3. The method of claim 2,
And a siphon tube projecting from a bottom surface of the detergent container and having at least one first flow path,
And the rotating device is coupled to the siphon tub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장치는 상기 사이펀 관과 이격되도록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세제 수용 용기의 내측을 회전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날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rotating device includes a coupling portion coupled to the siphon tube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iphon tube, and a plurality of blades extending from the coupling portion to rotate the inside of the detergent contain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노즐 장치는 상기 급수홀에 결합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노즐 장치는 세탁수와 공기를 혼합시켜 상기 세제 수용 용기로 급수하도록 세탁수 유입홀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 유입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t least one nozzle device is coupled to the water supply hole,
Wherein the at least one nozzle device includes a washing water inflow hole and at least one air inflow hole for mixing washing water and air to supply water to the detergent receiving contain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노즐 장치의 상기 세탁수 유입홀은 상기 공기 유입홀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washing water inflow hole of the at least one nozzle device is formed to have a reduced cross-sectional area toward the air inflow hole direc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노즐 장치는 상기 세탁수 유입홀과 상기 공기 유입홀이 하나의 부재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at least one nozzle device has the washing water inflow hole and the air inflow hole formed in one mem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 수용 용기의 상면을 덮어 세탁수의 이동 방향을 가이드 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결합되는 가이드 덮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guide cover which covers the upper surface of the detergent container and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to guide the moving direction of the wash wate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덮개는 상기 세탁수의 이동 방향을 가이드 하기 위하여 상기 가이드 덮개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guide cover includes at least one rib extending downward from the guide cover to guide the moving direction of the wash water.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브는, 급수되는 세탁수가 상기 세제 수용 용기의 전면으로 오버플로우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가이드 덮개의 전방에 마련되는 제1리브와, 세탁수를 상기 세제 수용 용기의 중심부로 가이드 하기 위하여 상기 가이드 덮개의 중심부에서 가장자리부로 원형에 근접하도록 연장되는 제2리브와, 상기 세탁수를 특정 구간에 집중적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가이드 덮개의 중심부에서 가장자리부로 방사형으로 연장되는 제3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at least one rib may include a first rib provided at the front of the guide lid to prevent the wash water supplied to the front of the detergent container from overflowing, And a third rib radially extending from a central portion of the guide cover to an edge portion for intensively supplying the wash water to a specific section,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덮개는 상기 회전장치와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하여 중심부에 마련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브보다 높이가 낮도록 마련되는 접촉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guide lid further comprises a contact preventing portion provided at a central portion for preventing contact with the rotating device and provided to be lower in height than the at least one rib.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회전조;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세제를 공급하기 위하여 세탁수에 세제를 용해시키는 세제 수용 유닛으로서, 상기 본체 내측에 결합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며 내측에 세제가 수용되고, 후면에 세탁수를 급수하기 위한 급수홀이 마련되는 세제 수용 용기와, 세제를 세탁수에 용해시키도록 세제가 이동하는 경로의 적어도 일부분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전장치를 포함하는 세제 수용 유닛; 및
상기 세제 수용 용기의 내측으로 세탁수를 공급하도록 상기 급수홀과 연통되게 상기 세제 수용 용기의 후방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노즐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노즐 장치는 상기 급수홀에 결합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노즐 장치는 세탁수와 공기를 혼합시켜 상기 세제 수용 용기로 급수하도록 세탁수 유입홀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 유입홀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노즐 장치는 상기 세제 수용 용기가 인출되었을 때 세탁수가 상기 세제 수용 용기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세탁수가 유입되는 유로를 폐쇄하도록 구성되는 유입방지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main body;
A rotatable vessel disposed inside the body;
A detergent receiving unit mounted on the main body to dissolve the detergent in the washing water to supply the detergent, the detergent receiving unit comprising: a housing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a detergent accommodated in the housing, A detergent receiving unit in which a water supply hole is provided, and a rotating device rotatably coupled to at least a part of a path through which the detergent moves to dissolve the detergent in the washing water; And
And at least one nozzle device provided at the rear of the detergent container to communicate with the water supply hole to supply wash water to the inside of the detergent container,
Wherein the at least one nozzle device is coupled to the water supply hole,
Wherein the at least one nozzle device includes a washing water inflow hole and at least one air inflow hole for mixing wash water and air into the detergent container,
Wherein the at least one nozzle device further comprises an inflow prevention device configured to close a flow path for introducing the washing water to prevent the inflow of the washing water into the detergent container when the detergent container is drawn out washer.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회전조;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세제를 공급하기 위하여 세탁수에 세제를 용해시키는 세제 수용 유닛으로서, 상기 본체 내측에 결합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며 내측에 세제가 수용되고, 후면에 세탁수를 급수하기 위한 급수홀이 마련되는 세제 수용 용기와, 세제를 세탁수에 용해시키도록 세제가 이동하는 경로의 적어도 일부분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전장치를 포함하는 세제 수용 유닛; 및
상기 세제 수용 용기의 내측으로 세탁수를 공급하도록 상기 급수홀과 연통되게 상기 세제 수용 용기의 후방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노즐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노즐 장치는 상기 급수홀에 결합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노즐 장치는 세탁수와 공기를 혼합시켜 상기 세제 수용 용기로 급수하도록 세탁수 유입홀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 유입홀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노즐 장치는 상기 세탁수 유입홀이 형성되는 노즐과, 상기 노즐이 삽입되며 상기 공기 유입홀이 형성되는 노즐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노즐 하우징과 상기 노즐의 사이에는 상기 노즐로 유입되는 세탁수의 수압에 따라 상기 노즐을 가압하여 상기 노즐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탄성부재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main body;
A rotatable vessel disposed inside the body;
A detergent receiving unit mounted on the main body to dissolve the detergent in the washing water to supply the detergent, the detergent receiving unit comprising: a housing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a detergent accommodated in the housing, A detergent receiving unit in which a water supply hole is provided, and a rotating device rotatably coupled to at least a part of a path through which the detergent moves to dissolve the detergent in the washing water; And
And at least one nozzle device provided at the rear of the detergent container to communicate with the water supply hole to supply wash water to the inside of the detergent container,
Wherein the at least one nozzle device is coupled to the water supply hole,
Wherein the at least one nozzle device includes a washing water inflow hole and at least one air inflow hole for mixing wash water and air into the detergent container,
Wherein the at least one nozzle device includes a nozzle having the washing water inflow hole and a nozzle housing into which the nozzle is inserted and in which the air inflow hole is formed,
Wherein an elastic member is inserted between the nozzle housing and the nozzle to press the nozzle according to the water pressure of the washing water flowing into the nozzle to guide the nozzle to mov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회전조;
상기 본체 내측에 결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며 내측에 세제가 수용되고, 후면에 세탁수를 급수하기 위한 급수홀 및 용해된 세제가 빠져나갈 수 있도록 배출구가 마련되는 세제 수용 용기를 포함하는 세제 수용 유닛; 및
상기 급수홀과 연통되게 상기 세제 수용 용기의 후방에 마련되고, 상기 세제 수용 용기의 내측으로 수평방향으로 세탁수를 직접적으로 급수하는 적어도 하나의 노즐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세제 수용 용기의 내측에서 용해된 세제는 상기 배출구를 통해 상기 세제 수용 용기의 외측으로 수평방향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main body;
A rotatable vessel disposed inside the body;
And a detergent container accommodated in the housing and containing detergent in the inside thereof, a water supply hole for supplying the washing water to the rear side, and a detergent container having an outlet for allowing the dissolved detergent to escape from the housing, A detergent receiving unit; And
And at least one nozzle device provided at the rear of the detergent container to communicate with the water supply hole and to directly supply the wash water in a horizontal direction to the inside of the detergent container,
Wherein the detergent dissolved in the detergent container is discharged horizontally to the outside of the detergent container through the outlet.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노즐 장치는 세탁수와 공기를 혼합시켜 상기 세제 수용 용기로 급수하도록 세탁수 유입홀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 유입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at least one nozzle device includes a washing water inflow hole and at least one air inflow hole for mixing washing water and air to supply water to the detergent receiving container.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노즐 장치의 상기 세탁수 유입홀은 상기 공기 유입홀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washing water inflow hole of the at least one nozzle device is formed to have a reduced cross-sectional area toward the air inflow hole direction.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 수용 용기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세제 수용 용기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세제 수용 용기의 내측을 회전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날개를 포함하는 회전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5. The method of claim 14,
A rotary unit rotatab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detergent container and coupled to the detergent container, and a plurality of blades extending from the coupling unit to rotate the inside of the detergent container Wherein the washing machine is a washing machine.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세제 수용 용기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적어도 하나의 제1유로를 가지는 사이펀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coupling portion is coupled to a siphon tube projecting from a bottom surface of the detergent container and having at least one first flow path.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 수용 용기의 상면을 덮어 세탁수의 이동 방향을 가이드 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결합되는 가이드 덮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5. The method of claim 14,
Further comprising a guide cover which covers the upper surface of the detergent container and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to guide the moving direction of the wash water.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회전조;
상기 본체의 내측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세제가 수용되는 세제 수용 공간과 유연제가 수용되는 유연제 수용 공간을 포함하고, 후면에 세탁수를 급수하기 위한 급수홀과 용해된 세제가 빠져나갈 수 있도록 배출구가 마련되는 세제 수용 용기; 및
상기 세제 수용 공간의 후면에 결합되며 상기 세제 수용 공간의 내측으로 세탁수와 공기를 홉합시켜 유입시키기 위한 노즐;을 포함하며,
상기 세제 수용 공간은 고체 상태의 세제를 용해시키기 위한 회전 장치와 액체 상태의 세제를 용해시켜 배출시키기 위하여 바닥면에서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사이펀 관을 포함하고,
세탁수는 상기 노즐로부터 상기 세제 수용 공간으로 수평방향으로 급수되어 상기 회전장치를 회전시키고, 상기 회전장치의 회전에 의해 용해된 세제는 상기 배출구를 통해 상기 세제 수용 공간의 외측으로 수평방향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main body;
A rotatable vessel disposed inside the body;
A detergent receiving space detachab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and including a detergent receiving space for receiving the detergent and a softening agent receiving space for receiving the detergent therein and includes a water supply hole for supplying the washing water and a discharge port A detergent container provided with the detergent container; And
And a nozzle coupled to a rear surface of the detergent receiving space for introducing wash water and air into the detergent receiving space,
The detergent receiving space includes a rotating device for dissolving the detergent in a solid state, and a siphon tube configured to protrude from the bottom surface to dissolve and discharge the liquid detergent,
The washing water is supplied from the nozz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the detergent receiving space to rotate the rotating device, and the detergent dissolved by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device is discharged horizontally to the outside of the detergent containing space through the outlet .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장치는 상기 사이펀 관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세제 수용 공간의 내측을 회전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날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1. The method of claim 20,
Wherein the rotating device includes a coupling portion coupled to the siphon tube and a plurality of blades extending from the coupling portion and adapted to rotate inside the detergent receiving space.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 수용 용기의 상면을 덮어 세탁수의 이동 방향을 가이드 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리브를 포함하는 가이드 덮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1. The method of claim 20,
Further comprising a guide lid including at least one rib to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detergent container and guide the moving direction of the washing water.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회전조;
상기 본체 내측에 결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며 내측에 세제가 수용되는 세제 수용 용기를 포함하는 세제 수용 유닛;
상기 세제 수용 용기로 세탁수를 분사하는 노즐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노즐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노즐은 상기 세제 수용 유닛으로 유입되는 세탁수의 수압에 따라 상기 하우징 또는 상기 세제 수용 용기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main body;
A rotatable vessel disposed inside the body;
A detergent receiving unit including a housing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and a detergent receiving container accommodated in the housing and containing detergent therein;
And at least one nozzle device including a nozzle for spraying wash water into the detergent container,
Wherein the nozzle is configured to move in the direction of the housing or the detergent container according to the water pressure of the washing water flowing into the detergent receiving unit.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장치는 상기 노즐과, 상기 노즐을 수용하는 노즐 하우징과, 상기 노즐과 상기 노즐 하우징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노즐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4. The method of claim 23,
Wherein the nozzle unit includes the nozzle, a nozzle housing for accommodating the nozzle, and an elastic member inserted between the nozzle and the nozzle housing to guide movement of the nozzle.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회전조;
상기 본체 내측에 결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며 내측에 세제가 수용되는 세제 수용 용기를 포함하는 세제 수용 유닛;
상기 세제 수용 용기로 세탁수를 분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노즐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노즐 장치는 상기 세제 수용 용기로 분사되는 세탁수의 유로를 개방하는 제1상태와, 상기 세제 수용 용기로 분사되는 세탁수의 유로를 폐쇄하는 제2상태 사이를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유입방지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main body;
A rotatable vessel disposed inside the body;
A detergent receiving unit including a housing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and a detergent receiving container accommodated in the housing and containing detergent therein;
And at least one nozzle device for spraying wash water into the detergent container,
Wherein the nozzle device is configured to be capable of rotating between a first state for opening the flow path of the washing water sprayed into the detergent container and a second state for closing the flow path for the washing water sprayed to the detergent container, Wherein the washing machine further comprises a washing machine.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장치는, 상기 세제 수용 용기로 세탁수를 분사하는 노즐과, 상기 노즐을 수용하는 노즐 하우징을 더 포함하며,
상기 유입방지장치는 상기 노즐 하우징의 일측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6. The method of claim 25,
The nozzle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nozzle for spraying the washing water into the detergent container, and a nozzle housing for receiving the nozzle,
And the inflow prevention device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nozzle housing.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회전조;
상기 본체의 내측에 결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며 내측에 세제가 수용되는 세제 수용 용기를 포함하는 세제 수용 유닛에 있어서, 상기 세제 수용 용기의 후면에는 세탁수를 급수하기 위한 급수홀 및 용해된 세제가 빠져나갈 수 있도록 배출구가 마련되는 세제 수용 유닛;
상기 세제 수용 용기의 상면을 덮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결합되는 가이드 덮개; 및
상기 세제 수용 용기로 수평방향으로 세탁수를 분사하도록 상기 세제 수용 용기의 후면과 연통되며 상기 가이드 덮개의 적어도 일부분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노즐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세제 수용 용기의 내측에서 용해된 세제는 상기 배출구를 통해 상기 세제 수용 용기의 외측으로 수평방향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main body;
A rotatable vessel disposed inside the body;
A detergent storage unit including a housing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body, and a detergent storage container accommodated in the housing and containing detergent therein, wherein a water supply hole for supplying wash water and a dissolving A detergent receiving unit having an outlet for allowing the detergent to escape;
A guide cover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to cover an upper surface of the detergent container; And
And at least one nozzle device communicating with a rear surface of the detergent container to spray wash water in a horizontal direction into the detergent container and coupled to at least a part of the guide cover,
Wherein the detergent dissolved in the detergent container is discharged horizontally to the outside of the detergent container through the outlet.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노즐 장치는, 상기 세제 수용 용기로 세탁수를 분사하는 노즐과, 상기 노즐을 수용하는 노즐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노즐 하우징은 상기 가이드 덮개에서 상기 노즐 하우징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8. The method of claim 27,
Wherein the at least one nozzle device comprises a nozzle for spraying wash water into the detergent container, and a nozzle housing for receiving the nozzle,
Wherein the nozzle housing is coupled to a protrud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guide cover toward the nozzle housing.
KR1020160057686A 2014-05-22 2016-05-11 Washing Machine KR102080521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1506 2014-05-22
KR20140061506 2014-05-22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9985A Division KR20150135043A (en) 2014-05-22 2014-12-01 Washing Ma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8737A true KR20160058737A (en) 2016-05-25
KR102080521B1 KR102080521B1 (en) 2020-02-24

Family

ID=5488338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9985A KR20150135043A (en) 2014-05-22 2014-12-01 Washing Machine
KR1020160057686A KR102080521B1 (en) 2014-05-22 2016-05-11 Washing Machine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9985A KR20150135043A (en) 2014-05-22 2014-12-01 Washing Machine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2) KR20150135043A (en)
CN (1) CN106536811B (en)
AU (1) AU2015262218B2 (en)
CA (1) CA2949780C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05672A1 (en) 2017-12-27 2019-07-03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6795A (en) 2016-01-19 2017-07-27 엘지전자 주식회사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CN109097953B (en) * 2017-06-21 2021-07-23 青岛海尔洗涤电器有限公司 Washing additive feeding device and washing machine
CN110799692B (en) * 2017-06-29 2021-12-28 夏普株式会社 Washing machine
CN107881712B (en) * 2017-09-29 2020-11-10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Washing equipment and throwing device for same
CN109629181A (en) * 2017-10-09 2019-04-16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Device for clothing processing
KR102488736B1 (en) 2017-10-24 2023-01-17 삼성전자주식회사 Washing machine having detergent feeding device
TR201721787A2 (en) * 2017-12-26 2019-07-22 Arcelik As ONE MOVING SPRAY HEAD
CN110835829B (en) * 2018-08-17 2023-08-08 青岛海尔洗涤电器有限公司 Detergent box and washing machine
CN110835830B (en) * 2018-08-17 2023-08-08 青岛海尔洗涤电器有限公司 Detergent box and washing machine
WO2020088848A1 (en) 2018-11-01 2020-05-07 Arcelik Anonim Sirketi A washing machine with improved detergent dissolving effectiveness
CN112342748A (en) * 2019-08-08 2021-02-09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Detergent box and washing machine
WO2022149796A1 (en) * 2021-01-07 2022-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Washing machin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2742U (en) * 1993-03-25 1994-10-20 Detergent Dissolving Device for Washing Machine
US20110041567A1 (en) * 2009-08-24 2011-02-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608619A1 (en) * 1986-03-14 1987-09-17 Bosch Siemens Hausgeraete WASHING MACHINE WITH A DETERGENT DISH WASHER
DE3712323C2 (en) * 1987-04-11 1996-05-02 Miele & Cie Detergent dispenser
CN1048774C (en) * 1992-06-01 2000-01-26 三星电子株式会社 Scouring agent dissolving unit of laundry machine
KR0134945B1 (en) * 1994-03-30 1998-04-23 배순훈 A detergent melting apparatus
JPH08215482A (en) * 1995-02-08 1996-08-27 Sharp Corp Washer
KR20120043214A (en) * 2010-10-26 2012-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Washing machine
KR101882177B1 (en) * 2011-08-26 2018-07-26 삼성전자주식회사 Water supply apparatus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CN202717978U (en) * 2012-07-25 2013-02-06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Washing powder box capable of stirring through impell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2742U (en) * 1993-03-25 1994-10-20 Detergent Dissolving Device for Washing Machine
US20110041567A1 (en) * 2009-08-24 2011-02-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05672A1 (en) 2017-12-27 2019-07-03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5262218B2 (en) 2018-09-13
CA2949780A1 (en) 2015-11-26
CA2949780C (en) 2020-07-21
AU2015262218A1 (en) 2016-12-08
CN106536811B (en) 2019-03-19
KR102080521B1 (en) 2020-02-24
CN106536811A (en) 2017-03-22
KR20150135043A (en) 2015-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0521B1 (en) Washing Machine
US10508380B2 (en) Washing machine
KR20100011255A (en) Detergent dissolving apparatus and a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KR101389238B1 (en) Drum type washing machine
US20050229652A1 (en) Apparatus for supplying detergent in washer
JP2016073330A (en) Washing machine
KR20070059425A (en) Detergent box of drum washing machine
KR20150047372A (en) Washing Machine
KR20130125198A (en) Laundry treatment machine
JP2016158743A (en) Washing machine
KR102549126B1 (en) Washing Machine
KR20060100616A (en) Detergent supply apparatus of washing machine
KR20130125199A (en) Laundry treatment machine
EP3670733B1 (en) Washing machine detergent supply device
KR20070117914A (en) Washing method of washer
JP2017136460A (en) Agitation vane for washing machine
JP7089514B2 (en) washing machine
JP2012075687A (en) Drum type washing machine
US20230272573A1 (en) Washing machine
JP2017018467A (en) Washing machine
KR20220099876A (en) Washcing machine
CN110462125A (en) Washing machine
JP6223274B2 (en) Washing machine
WO2021218427A1 (en) Washing machine
JP6250204B2 (en) Stirrer blade for wash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