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8527A - A smart type stand - Google Patents

A smart type stan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8527A
KR20160058527A KR1020140160137A KR20140160137A KR20160058527A KR 20160058527 A KR20160058527 A KR 20160058527A KR 1020140160137 A KR1020140160137 A KR 1020140160137A KR 20140160137 A KR20140160137 A KR 20140160137A KR 20160058527 A KR20160058527 A KR 201600585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unit
mounting
communication device
sm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01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한진환
Original Assignee
한진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진환 filed Critical 한진환
Priority to KR10201401601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58527A/en
Publication of KR201600585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852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and for smart devices which fixes a standing unit at which a plurality of fixing grooves with different forming angles are formed, at one side of a mobile telecommunication device or a protective cover of the same, and forms a fixing unit that is fixed to the surface, thereby allowing to conveniently change the standing angle of the mobile telecommunication devices or the protective cover, to enhance convenience of using them. For such purpose, a stand for a smart device that stands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PDA, and smart pads to allow users to conveniently use the mobile telecommunication devices, comprises: a standing unit (10) standing unit and a fixing unit (20). The standing unit (10) comprises: an adhesive unit (12) that has a fixed width at the outer border; a dent unit (14) having a fixed depth at the adhesive unit (12); a hollow unit (16) formed at one side of the dent unit (14); and fixing grooves (18) with different angles that have their sides opened into the hollow unit (16). The fixing unit (20) comprises: a pedestal (22) fixed to the surface; an extension rod (24) that stands on the end of the pedestal (22) with a constant height; and a fixation pin (26) that is positioned on one side of the extension rod (24) and fixed to one of the plurality of fixing grooves (18) of the standing unit (10).

Description

스마트 거치대{A smart type stand}A smart type stand

본 발명은 스마트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정보통신기기 또는 이를 보호하는 커버의 일측에 형성각도를 달리하는 복수의 안착홈이 형성된 거치부를 고정하고, 표면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휴대정보통신기기 또는 커버를 거치 각도를 용이하게 변환시킬 수 있어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스마트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hold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smart holder that fixes a mounting portion having a plurality of mounting grooves formed at one side of a portable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 or a cover for protecting the sam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cradle capable of easily changing the mounting angle of the portable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 or the cover, thereby improving the ease of use.

일반적으로, 휴대정보통신기기는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는 무선기기의 통칭으로서, 휴대성을 위해 작고 얇게 제작되고 있으며, 통신기능에서부터 멀티미디어 기능까지 다양한 콘텐츠의 개발과 제공으로 생활에 없어서는 안 될 주요 소지품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In general, a portable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 is a name of a wireless device that a user can easily use while being portable, and is made small and thin for portability. It is an indispensable part of life by developing and providing various contents ranging from a communication function to a multimedia function It has become a major personal belonging.

또한, 근래에는 멀티통신서비스의 발달로 인터넷 접속, 화상통화, 음악청취는 물론, 핸드폰을 통하여 동영상이나 DMB 시청할 수 있는 다양한 PDA, 핸드폰에서부터 최근에는 스마트폰 및 스마트패드 등이 제작, 판매되고 있다.In recent years, with the development of multi-communication services, various types of PDAs and mobile phones capable of watching videos or DMB through mobile phones, smart phones and smart pads have been produced and sold, as well as Internet access, video calls and music listening.

따라서, 휴대통신기기의 기능성에 맞게 편리함을 제공하는 다양한 액세서리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다. 예컨대, 차량에 설치되는 휴대용통신기기용 거치대 등이 있다.Accordingly, a variety of accessory products are being released that provide convenience for the functionality of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For example, there is a stand for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installed in a vehicle.

또한, 휴대통신기기의 일종인 핸드폰, 스마트폰의 경우 휴대하면서 동영상이나 음악, TV 등을 시청하고 있는데, 이를 파지하면서 계속적으로 화면을 보기란 장시간 피곤함 때문에 여러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mobile phones and smartphones, which are a kind of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are watching videos, music, and TV while they are portable. However, there are various inconveniences because they are tired for a long period of time.

이를 극복하기 위해, 휴대통신기기용 거치대가 제공되고 있다.To overcome this, a cradle for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is provided.

종래의 거치대는 크게 3가지 형태로 나눌 수 있다. 첫째 핸드폰 등의 통신기기의 본체를 끼움, 결합하여 단순히 홀딩할 수 있는 거치대고, 둘째, 양측 또는 일측으로 가이드 홀더를 형성하여 스마트폰 또는 기타 통신기기의 본체를 거치대에 결합하여 가이드홀더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된 거치대이며, 셋째 스마트폰의 배면에 얇은 철판을 양면 테이프 등으로 접착하여 거치대에 자석을 내장하여 자석에 의해 거치대에 스마튼 폰과 같은 통신기기를 부착하는 거치대가 사용되고 있다.Conventional cradles can be roughly classified into three types. First, a main body of a tele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is inserted and coupled and can be simply held. Second, a guide holder is formed on both sides or one side to connect the main body of the smart phone or other communication device to the cradle, Third, a cradle is used in which a thin steel plate is attached to the back side of a smart phone with a double-sided tape or the like and a magnet is built in the cradle, and a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 smartphone is attached to the cradle by a magnet.

예컨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397433호(2005.09.26. 등록)의 초슬림형 거치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드폰 등의 통신기기의 거치장치에 있어서, 거치대 홀더(100)는 장방형으로 형성되어 양측으로 슬라이딩 단턱(102)이 형성되고, 상기 거치대홀더(100)의 일측으로 핸드폰 등의 통신기기(10) 일측의 공간부(12)에 결합할 수 있도록 양면 테이프 등의 접착수단(104)이 형성되며, 양면테이프 등의 접착수단(124)에 의해 외부 고정물에 접착 결합되는 고정 거치대부재(120)에 "U"형으로 돌출턱(122)이 형성되고, "U"형의 슬라이딩 가이드 부재(132)가 형성된 슬라이딩 거치대부재(130)가 상기 고정 거치대부재(120)의 상기 돌출턱(122)에 결합하여 슬라이딩 홈(140)이 형성되며, "U"형의 요홈(152)이 형성된 거치대커버(150)가 상기 고정 거치대부재(120)에 결합된 상기 슬라이딩 거치대부재(130) 상에 끼움 결합되고, 핸드폰 등의 통신기기(10)와 결합된 상기 거치대홀더(100)의 상기 슬라이딩 단턱(102)이 상기 슬라이딩 홈(140) 내에 삽입됨으로써 핸드폰 등의 통신기기(10)가 착탈 가능하게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a super slim type mounting device of the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397433 (Registered on Sep. 26, 2005) is a device for mounting a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A sliding step 102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radle holder 100 and adhesive means 104 such as a double-sided tape or the like i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cradle holder 100 so as to be coupled to a space 12 on one side of the communication device 10, A protruding step 122 is formed in a "U" shape on a fixed mount member 120 to be adhered and bonded to an external fixture by a bonding means 124 such as a double-sided tape, and a "U" A sliding cradle member 130 formed with a member 132 is engaged with the protruding claw 122 of the fixed cradle member 120 to form a sliding groove 140 and a U- The cover 150 is fixed to the fixed restraining member 120, And the sliding step 102 of the cradle holder 100 coupled with the communication device 10 such as a mobile phone is inserted into the sliding groove 140 so that communication And the device 10 is detachably mounted.

그러나, 종래의 휴대통신기기용 거치대는 휴대통신기기를 가로 또는 세로와 같이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변환시킬 수 없이 고정된 위치에 한정하여 사용하여야 하는 사용의 제한성을 가지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cradle has a problem that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is limited in its use, which can not be converted according to the user's preference, such as the width or length, but is limited to a fixed position.

물론, 자석을 이용하는 거치대의 경우에는 휴대통신기기의 작도를 원하는 위치로 변경이 가능하나, 외부의 작은 충격 또는 진동에 의해 쉽게 탈락됨으로써, 결국 고가의 휴대통신기기가 훼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Of course, in the case of a cradle using a magnet, the construction of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can be changed to a desired position, but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can be easily dropped out due to a small external impact or vibration.

대한민국 특허 제701233호(2007.03.22. 등록)Korean Patent No. 701233 (registered on March 22, 2007)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452288호(2011.02.09. 등록)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452288 (Registered on February 9, 201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3-136339호(2013.12.12. 공개)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13-136339 (Dec. 12, 2013)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정보통신기기 또는 이를 보호하는 커버의 일측에 형성각도를 달리하는 복수의 안착홈이 형성된 거치부를 고정하고, 표면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휴대정보통신기기 또는 커버를 거치 각도를 용이하게 변환시킬 수 있어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스마트 거치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 or a cover for protecting the same, which fixes a mounting part having a plurality of mounting recesses formed at different angles on one side there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mart cradle which can easily change the mounting angle of the portable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 or the cover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us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스마트폰이나 PDA, 스마트 패드와 같은 휴대정보통신기기를 거치시켜 사용자가 용이하게 상기 휴대정보통신기기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거치대에 있어서, 외주연에 일정 폭을 가지는 접착부와, 상기 접착부에 일정깊이 함몰되는 함몰부와, 상기 함몰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공동부 및 상기 공동부에 일측이 연통되고 각기 다른 각도를 가지고 형성되는 안착홈으로 구성되어 휴대정보통신기기 또는 이를 보호하는 커버의 일측에 고정되는 거치부; 및 표면에 고정되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의 끝단에서 일정높이 세워지는 연장대, 및 상기 연장대의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거치부의 복수의 안착홈 중 어느 하나에 안착되는 고정핀이 구성된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의 고정핀은 상기 거치부의 안착홈에 안착되면서 내측면에 안내되어 회전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평면이 형성된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의 끝단에 구성되어 상기 안착홈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안착홈의 지름보다 큰 지름을 가지는 받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mart cradle for allowing a user to easily use the portable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 by loading a portable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a PDA, or a smart pad, A recessed portion which is recessed at a predetermined depth in the adhesive portion; a hollow portion formed at one side of the depressed portion; and a seating groove communicated at one side to the cavity portion and formed at different angles, A mount fixed to one side of a communication device or a cover for protecting the same; And a fixing part configured to be fixed to one of the plurality of mounting grooves of the mounting part, the fixing part being formed on one side of the extension, and a support fix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support, ; Wherein the fixing pin of the fixing part has a flat surface formed to be supported by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fixing part so as not to be guided by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fixing part of the fixing part, And a pedestal portion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groove.

본 발명에 있어서, 고정부의 연장대는 수직선상을 기준으로 10 ~ 30°;로 기울어진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extension of the fixing portion is inclined at 10 to 3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line.

본 발명에 있어서, 거치부의 안착홈은 2개소 또는 4개소가 등 간격;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wo or four places of the mounting recess of the mounting portion are equally spaced.

본 발명에 있어서, 고정부는 받침대가 없이 고정핀이 연장대의 일측에 구성되고; 상기 연장대는 유선형의 표면에 접착이 용이하도록 휘어짐이 좋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portion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fixing pin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extension bar without the pedestal; Preferably, the extension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good warpage to facilitate adhesion to a streamlined surface.

본 발명에 있어서, 거치부의 공동부에는, 고정부의 고정핀을 안착홈에서 이탈시킬 때 상기 안착홈과 대칭방향에 위치한 함몰부에 걸림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안착홈에 고정핀이 용이하게 안착 및 이탈되도록 유도하는 착탈방지턱;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ixing pin of the fixing portion is detached from the mounting groove, it is prevented from being caught by the depression located in the direction symmetrical to the mounting groove, and the fixing pin is easily seated in the mounting groove And a detachment preventing jaw that guides the detachable jaw to be detached.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정보통신기기 또는 이를 보호하는 커버의 일측에 형성각도를 달리하는 복수의 안착홈이 형성된 거치부를 고정하고, 표면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휴대정보통신기기 또는 커버를 거치 각도를 용이하게 변환시킬 수 있어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rtable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 or a cover for protecting the portable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 or a cover for protecting the same, It is possible to easily change the stationary angle, thereby improving the ease of use.

또한, 거치부 및 고정부를 작고 심플하게 구성함으로써, 차량 또는 책상이나 벽면 등의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용이하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mounting portion and the fixing portion are small and simpl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convenience of use, which can be easily installed and used without being restricted to a place such as a vehicle or a desk or a wall, can be improved.

또한, 거치부의 공동부에 고정부의 고정핀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이탈방지턱을 구성함으로써, 고정부의 고정핀이 상기 거치부의 안착홈에 용이하게 안착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of guiding the fixing pin of the fixing portion to be easily seated in the seating groove of the fixing portion by configuring the separation preventing pin to prevent the fixing pin of the fixing portion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cavity portion of the fixing portion.

도 1은 종래의 일례를 보인 거치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를 통해 휴대정보통신기기의 방향을 전환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거치부의 방향전환 상태로서,
5a는 고정부에 고정된 상태이고, 5b는 고정부의 공동구역에 위치한 상태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커버에 거치부를 일체화시킨 상태를 촬영한 사진.
도 7은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use state of a conventional mounting devic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ra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ectional view of a cra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n engaged state. FIG.
4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of switching the direction of a portable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 through a cra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of the orientation of the mounting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a is fixed to the fixing portion, and 5b is positioned in the common portion of the fixing portion.
6 is a photograph of a state in which a mounting portion is integrated with a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종래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as the conventional ones,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1실시 예>&Lt; Embodiment 1 >

제1실시 예의 휴대정보통신기기용 거치대(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정보통신기기(2)의 일측에 고정되는 거치부(10), 및 상기 거치부(10)의 일측이 거치 및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고정부(20)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휴대정보통신기기(2)는 스마트폰(2)을 일례로 해서 설명한다. 또한, 상기 휴대정보통신기기(2)에는 이를 보호하기 위한 커버(3)에 상기 거치부(10)가 고정된 상태를 기준으로 설명하며,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거치부(10)를 상기 휴대정보통신기기(2)에 직접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다.2, the cradle 1 for a portable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ncludes a cradle 10 fixed to one side of the portable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 2 and a cradle 10 fixed to one side of the cradle 10, And a fixing part 20 for supporting the fixing part 20 to be fixed and fixed. In this case, the portable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 2 will be described taking the smartphone 2 as an example. The portable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 2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state where the mounting portion 10 is fixed to the cover 3 for protecting the mounting portion 10, Can be directly fixed to the portable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 2 and used.

상기 거치부(10)는 상기 고정부(20)에 일측에 거치되어 고정됨으로써, 상기 거치부(10)가 고정된 스마트폰(2)이 거치되도록 지지하는 수단이다.The mounting portion 10 is a means for supporting the mounting portion 10 so that the fixed smart phone 2 is mounted by being fixed to the fixing portion 20 at one side.

상기 거치부(10)는 외주연에 일정폭을 가지는 접착부(12)와, 상기 접착부(12)에서 외측으로 일정깊이 함몰되는 함몰부(14)와, 상기 함몰부(14)에 외부와 연통되도록 일정크기 형성되는 공동부(16), 및 상기 함몰부(14)에 형성되고 고정부(20)의 일부가 삽입되어 위치를 고정시키도록 일측이 상기 공동부(16)와 연통되게 형성되는 복수의 안착홈(18)으로 구성된다.The mounting portion 10 includes a bonding portion 12 having a constant width on the outer circumference, a concave portion 14 that is recessed outwardly at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bonding portion 12, A plurality of hollow portions 16 formed on the depressions 14 and formed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cavities 16 so as to fix the position of the fixed portions 20, And a seating groove (18).

상기 접착부(12)는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3)의 일측에 인서트로 일체화시켜 고정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접착 또는 양면테이프를 상기 접착부(12)에 도포 또는 접착시킨 후 스마트폰(2) 또는 커버(3)에 고정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S. 3 and 6, it is preferable that the adhesive portion 12 is integrally fixed to one side of the cover 3 with an insert. Of cours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adhesive or double-sided tape may be applied to or adhered to the adhesive portion 12 and then fixed to the smartphone 2 or the cover 3 for use.

상기 함몰부(14)는 상기 접착부(12)에서 일정깊이 함몰되어 상기 고정부(20)와의 결합력을 증폭하는 수단이다. 즉, 상기 함몰부(14)는 고정부(20)의 고정핀에 형성되는 받침부에 일측이 밀림력을 받게됨으로써, 고정력을 향상시킨다.The depressed portion 14 is a means for amplifying a coupling force with the fixing portion 20 by being recessed at a predetermined depth in the adhering portion 12. That is, the depression 14 receives a pressing force on one side of the receiving portion formed on the fixing pin of the fixing portion 20, thereby improving the fixing force.

상기 공동부(16)는 상기 함몰부(14)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20)의 고정핀이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도록 공간을 형성하는 수단이다. 이 경우, 상기 공동부(16)는 상기 고정부(20)의 고정핀보다 지름이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The hollow portion 16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depression 14 and forms a space so that the fixing pin of the fixing portion 20 can freely move.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cavity 16 is formed to have a larger diameter than the fixing pin of the fixing part 20. [

상기 공동부(16)는 상기 함몰부(14)의 중앙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The cavity 16 is preferably formed at the center of the depression 14.

즉, 상기 공동부(16)는 스마트폰(2)을 최초 설치위치 또는 설치위치를 변환시키고자 할 경우, 고정부(20)의 고정핀을 안착홈(18)에서 이탈시킨 후 다른 위치의 안착홈(18)으로 안착시킬 때 스마트폰(2)을 자유롭게 변환시킬 수 있는 공간이다.That is, when the smartphone 2 is to be changed from the initial installation position or the installation position, the cavity portion 16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fixing pin of the fixing portion 20 is detached from the seating groove 18, And is a space where the smartphone 2 can be freely converted when it is seated in the groove 18.

상기 안착홈(18)은 상기 공동부(16)와 일측이 연통되어, 상기 고정부(20)의 고정핀이 삽입됨에 따라 스마트폰(2) 또는 커버(3)가 거치위치가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수단이다.The seating groove 18 communicates with the cavity 16 to support the smartphone 2 or the cover 3 in a fixed position as the fixing pin of the fixing portion 20 is inserted It is means.

또한, 상기 안착홈(18)은 복수로 구성되어, 상기 스마트폰(2) 또는 스마트폰(2)이 내장된 커버(3)의 거치각도를 변환시키도록 한다. 이 경우, 안착홈(18)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2)을 세로방향 또는 가로방향으로 전환될 수 있도록 90°등 간격으로 4개소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스마트폰(2)의 변환각도를 30°등 간격이나 60°등 간격과 같이 사용자의 요구 등에 따라 변환시키고자 하는 각도에 따라 다수로 구성할 수도 있다.The seating grooves 18 are formed of a plurality of seating grooves 18 so as to change the seating angle of the smartphone 2 or the cover 3 in which the smartphone 2 is embedded. In this case, as shown in FIGS. 4 and 5, it is preferable that the seating groove 18 is formed at four places at equal intervals of 90 degrees so that the smartphone 2 can be switch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r the horizontal direction. Of cours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a plurality of conversion angles of the smartphone 2 may be arranged according to the user's request, such as 30 [deg.] Equally spaced or 60 [deg.] Equally spaced.

상기 고정부(20)는 표면에 고정시키고, 일측에 상기 거치부(10)를 고정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서 스마트폰(2)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고정력을 제공하는 수단이다.The fixing part 20 is a means for fixing the mounting part 10 to one side and fixing the mounting part 10 to one side thereby to provide a fixing force so that the user can conveniently use the smartphone 2 at a desired position.

상기 고정부(20)는 표면에 안착되어 고정력을 발휘하도록 하는 받침대(22)와, 상기 받침대(22)의 끝단에서 일정높이 세워지는 연장대(24)와, 상기 연장대(24)의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거치부(10)가 거치, 고정되도록 고정력을 제공하는고정핀(26)으로 구성된다.The fixing part 20 is provided with a pedestal 22 which is seated on the surface so as to exert a clamping force, an extension 24 which is raised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end of the pedestal 22, And a fixing pin 26 for providing a fixing force to fix the mounting portion 10 in place.

상기 받침대(22)는 일정 폭으로 형성되어, 표면 즉, 고정하고자 하는 위치에 형성된 대상물의 상단에 안착되는 수단이다.The pedestal 22 is formed to have a constant width and is mounted on the surface of the object to be fixed.

또한, 상기 받침대(22)의 저면에는 표면에 고정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양면형 접착테이프(28)가 구성된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받침대(22)가 표면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예컨대, 접착제 또는 직결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을 이용할 수도 있다.A double-sided adhesive tape 28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edestal 22 so as to exert a fixing force on the surface. Of cours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ny means can be used as long as the pedestal 22 can be stably fixed to the surface. For example, a fastening means such as an adhesive or a direct bolt may be used.

상기 연장대(24)는 상기 받침대(22)의 일단에서 일정높이 상승되어 스마트폰(2)이 거치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지지하는 수단이다.The extension 24 is a means for supporting the smartphone 2 in a state where the smartphone 2 is held at a raised height at one end of the support 22.

상기 연장대(24)는 상기 받침대(22)에서 일정각도(α°)를 가지고 경사지게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연장대(24)의 경사각도(α°)는 수직선상에 대하여 10° ~ 30°임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10°미만이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여 사용자가 스마트폰(2)을 사용하기가 불편하고, 30°초과하면 스마트폰(2)이 수직선상을 기준으로 누워진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스마트폰(2)의 화면이 잘보이지 않는 등의 문제가 있다.Preferably, the extension 24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 In the pedestal (22). In this case, the inclination angle alpha of the extension 24 is preferably 10 to 3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line. For example, when the angle is less than 10 degrees, the user is kept vertically erected and inconvenient for the user to use the smartphone 2. If the angle is more than 30 degrees, the smart phone 2 is kept lying on the vertical line, The screen of the phone 2 can not be seen easily.

상기 고정핀(26)은 상기 연장대(24)의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거치부(10)에 고정력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스마트폰(2)이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유지하는 수단이다.The fixing pin 26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extension 24 and is a means for holding the smartphone 2 in a stable state by providing a fixing force to the fixing portion 10.

상기 고정핀(26)은 상기 연장대(24)의 상단부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스마트폰(2)을 가로 또는 세로방향으로 전환할 때 표면에 간섭되지 않고 원활하게 변환되도록 하는 위치이면 어느 곳이든 무방하다.The fixing pin 26 is preferably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extension 24. Of cours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any location may be used as long as the smart phone 2 can be smoothly converted without being interfered with the surface when the smartphone 2 is transversely or vertically switched.

상기 고정핀(26)은 상기 연장대(24)에서 일정높이 돌출되는 삽입부(262) 및 상기 삽입부(262)의 끝단에 구성되는 받침부(264)로 구성된다.The fixing pin 26 includes an insertion portion 262 protruding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extension 24 and a receiving portion 264 formed at an end of the insertion portion 262.

상기 삽입부(262)는 상기 거치부(10)의 안착홈(18)에 삽입되어 거치각도가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삽입부(262)는 상기 안착홈(18)의 내측면에 안내되면서 임의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평면(263)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삽입부(262)는 안착홈(18)에 삽입된 후 임의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사각 또는 육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안착홈(18)에 삽입된 삽입부(262)가 임의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형상이면 어느 형상이든 사용 가능하다.The insertion portion 262 is inserted into the seating groove 18 of the mounting portion 10 so that the mounting angle is fixed. The insertion portion 262 is preferably guided by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seating groove 18 so as to prevent the insertion portion 262 from being rotated arbitrarily. The insertion portion 262 may be formed in a square or hexagonal shape to prevent the insertion portion 262 from being arbitrarily rotated after being inserted into the seating groove 18, Any shape can be used as long as it can prevent the portion 262 from being arbitrarily rotated.

또한, 상기 삽입부(262)의 돌출높이는 함몰부(14)에 형성된 안착홈(18)과 동일 또는 유사한 높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The protrusion height of the insertion portion 262 is preferably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seating recess 18 formed in the depression 14.

상기 받침부(264)는 상기 삽입부(262)의 끝단에 구성되어, 상기 삽입부(262)가 안착홈(18)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고 안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수단이다.The receiving portion 264 is formed at the end of the insertion portion 262 and is a means for supporting the insertion portion 262 so as to maintain a state in which the insertion portion 262 is not easily detached from the receiving groove 18.

상기 받침부(264)는 상기 안착홈(18)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어, 외부에서 작용하는 충격 또는 진동 등의 외부적인 요인들에 의해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시켜, 결합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The receiving portion 264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size of the receiving groove 18 so that the receiving portion 264 is prevented from being easily detached due to external factors such as shock or vibration acting on the outside,

상기 받침부(264)의 두께는 상기 거치부(10)의 접착부(12)에서 함몰부(14)까지 함몰된 깊이와 동일 또는 다소 작은 두께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거치부(10)의 공동부(16)를 통해 삽입된 후 어느 하나의 안착홈(18)에 상기 삽입부(262)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thickness of the receiving portion 264 is preferably equal to or slightly smaller than the depth of the mounting portion 10 from the bonding portion 12 to the depressed portion 14. This is to allow the insertion portion 262 to be easily inserted into any one of the seating recesses 18 after being inserted through the hollow portion 16 of the accommodation portion 10.

상기와 같이 구성된 휴대정보통신기기용 거치대의 작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state of the cradle for a portable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below.

먼저, 고정부(20)의 받침대(22)를 고정하고자 하는 대상물의 표면에 고정한다. 이때, 상기 받침대(22)의 저면에 양면형 접착테이프(28)가 구성되어 있음으로써, 표면에 상기 고정부(20)가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양면형 접착테이프(28)가 양면형으로 이루어져 설치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First, the pedestal 22 of the fixing portion 20 is fixed to the surface of the object to be fixed. At this time, since the double-sided adhesive tape 28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edestal 22, the fixing portion 20 is stably fixed on the surface. Further, the double-sided adhesive tape 28 is made of a double-sided type so that the mounting position can be easily changed.

또한, 휴대정보통신기기(2) 또는 휴대정보통신기기(2)를 보호하도록 구성되는 커버(3)의 일면에 접착부(12)를 통해 고정된 거치부(10)를 상기 고정부(20)에 거치시킨다.The mounting portion 10 fixed to one surface of the cover 3 configured to protect the portable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 2 or the portable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 2 through the bonding portion 12 is attached to the fixing portion 20 Mount.

이 경우, 상기 거치부(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3)의 일면에 접착부(12)를 인서트시켜 일체화된 상태를 유지하여, 외부에 공동부(16)와 안착홈(18)이 형성된 함몰부(14)가 노출되도록 한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 6, the mounting portion 10 inserts the adhesive portion 12 into one side of the cover 3 to maintain the integrated state, and the cavity portion 16 and the seating groove 18 are exposed.

이어서, 상기 커버(3)의 외주연에 노출된 함몰부(14)의 공동부(16)에 표면에 고정된 고정부(20)의 고정핀(26)을 삽입시킨 후 상기 공동부(16)에 일측이 연통된 안착홈(18)에 상기 고정핀(26)의 삽입부(262)를 삽입시킨다. 이때, 상기 삽입부(262)의 평면(263)이 상기 안착홈(18)의 내측면에 안내됨으로써, 안정적으로 삽입이 이루어지고, 또한 상기 삽입부(262)의 평면(263)에 의해 상기 거치부(10)가 고정된 휴대정보통신기기(2) 또는 커버(3)가 임의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The fixing pin 26 of the fixing portion 20 fixed to the surface is inserted into the hollow portion 16 of the depression 14 exposed at the outer periphery of the cover 3, The insertion portion 262 of the fixing pin 26 is inserted into the seating groove 18, At this time, the plane 263 of the insertion portion 262 is guided by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seating groove 18, so that the insertion is performed stably. Further, the plane 263 of the insertion portion 262 allows the inser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ortable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 2 or the cover 3 from rotating arbitrarily.

이후, 휴대정보통신기기(2)의 거치방향 예컨대, 세로에서 가로 또는 가로에서 세로방향으로 변환시키고자 할 경우, 휴대정보통신기기(2)를 들어올리면 상기 거치부(10)의 안착홈(18)이 표면에 고정된 고정부(20)의 고정핀(26)에 안내되면서 상승한다.Thereafter, when the portable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 2 is lifted up, when the user intends to change the mounting direction of the portable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 2, for example, from vertical to horizontal or from vertical to horizontal, Is guided by the fixing pin 26 of the fixing portion 20 fixed to the surface and then ascends.

그리고, 상기 고정핀(26)이 상기 안착홈(18)의 일측에 연통된 공동부(16)에 위치됨에 따라 상기 휴대정보통신기기(2)를 자유롭게 회전시킬 수 있게 되고, 사용자가 원하는 회전방향에 위치되면, 상기 휴대정보통신기기(2)를 재차 아래로 하강시킨다.The portable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 2 can be freely rotated by locating the fixing pin 26 in the cavity 16 communicating with one side of the seating groove 18, The portable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 2 is lowered again.

이를 통해, 상기 고정핀(26)이 위치가 변경된 안착홈(18)으로 삽입됨으로써, 결국 휴대정보통신기기(2)의 거치방향이 변환되고, 이를 통해 사용자는 휴대정보통신기기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the stationary pin 26 is inserted into the seat groove 18 having the changed position, so that the direction of the portable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 2 is changed, so that the user can easily use the portable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 .

<제2실시 예>&Lt; Embodiment 2 >

제1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이에 대란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in the first embodiment,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 예의 휴대정보통신기기(2) 또는 커버(3)의 일측에 접착 또는 인서트로 일체화된 거치부(10) 및 표면에 고정되는 고정부(20)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7, a mounting portion 10 integrated with a portable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 2 or a cover 3 by bonding or inserts and a fixing portion 20 fixed to the surface of the portable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 2 or the cover 3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do.

상기 거치부(10)는 접착부(12)와, 함몰부(14)와 공동부(16) 및 안착홈(18)으로 구성되고, 상기 안착홈(18)은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으로 방향전환이 가능하도록 2개소 형성된다.The mounting portion 10 is composed of a bonding portion 12, a depression 14, a cavity portion 16 and a mounting groove 18, At two locations.

또한, 상기 거치부(10)의 접착부(12)에는 커버(3)에 인서트로 일체화할 때 결합력을 증폭시키도록 일정깊이를 가지는 결합홈(19)이 구성된다. 상기 결함홈(19)은 4개소로 구성된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복수로 구성되어 상기 커버(3)와 거치부(10) 사이의 결합력을 증폭시킬 수 있는 개소 및 형상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The adhesive portion 12 of the mounting portion 10 is formed with a coupling groove 19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to amplify the coupling force when the cover 3 is integrated with the insert. The defect groove 19 is composed of four portions. Of cours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ny of a plurality of portions and shapes that can amplify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cover 3 and the mount portion 10 can be used.

또한, 상기 거치부(10)의 공동부(16)에는 안착홈(18)으로 고정핀(26)이 용이하게 안내되도록 하는 착탈방지턱(17)이 구성된다.The mounting portion 16 of the mounting portion 10 is formed with a mounting and detaching stopper 17 for allowing the mounting pin 26 to be easily guided by the mounting recess 18.

상기 착탈방지턱(17)은 상기 거치부(10)의 함몰부(14)와 접착부(12) 사이에 형성되어 고정핀(26)이 공동부(16)에 임의의 위치에 걸림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The detachable tuck 17 is formed between the depression 14 of the mounting portion 10 and the adhering portion 12 so as to prevent the fixing pin 26 from being caught in the cavity 16 at an arbitrary position .

또한, 상기 착탈방지턱(17)은 상기 고정부(20)의 고정핀(26)을 안착홈(18)에서 이탈시킬 때 상기 안착홈(18)과 대칭방향에 위치한 함몰부(14)에 걸림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안착홈(18)에 고정핀(26)이 용이하게 안착 및 이탈되도록 유도한다.The detachable tuck 17 is engaged with the depression 14 located in the direction of symmetry with the seating groove 18 when the fixing pin 26 of the fixing portion 20 is released from the seating groove 18 So that the fixing pin 26 is easily seated and released to the seating groove 18. [

상기 고정부(20)는 받침대(22)와, 연장대(24) 및 고정핀(26)으로 구성된다.The fixing portion 20 is composed of a pedestal 22, an extension 24, and a fixing pin 26.

상기 연장대(24)를 유선형으로 형성함으로써, 디자인적인 심미감을 증폭시키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o form the extension 24 in a streamlined shape so as to amplify a design aesthetic sense.

<제3실시 예>&Lt; Third Embodiment >

제1 및 제2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3실시 예의 고정부(2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고정핀(26)이 구성된 연장대(24)로 구성된다. 이 경우, 받침대(22)는 생략한다.The fixing portion 20 of the third embodiment is constituted by an extension bar 24 having a fixing pin 26 formed on one side thereof as shown in Fig. In this case, the pedestal 22 is omitted.

상기 연장대(24)의 배면에 양면 접착테이프가 구성되어, 설치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어디든 사용 가능하다.A double-sided adhesive tape is form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extension 24 so that it can be used anywhere without being limited to the installation site.

상기 고정부(20)는 자유롭게 모양을 변경할 수 있도록 알루미늄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The fixing portion 20 is preferably made of aluminum so that it can freely change its shape.

이에 따라, 차량의 대시보드와 같이 굴곡 또는 유선형을 가지는 모양에 따라 연장대(24)를 휘어지게 함으로써, 고정력이 증폭되도록 하여 임의 위치에 설치가 가능하다.
Accordingly, the extension 24 is bent according to a shape having a curved or streamlined shape like a dashboard of a vehicle, so that the clamping force can be amplified and installed at an arbitrary position.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스마트 거치대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The above description is only one embodiment for implementing the smart holder,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1: 거치대 10: 거치부
12: 접착부 14: 함몰부
16: 공동부 18: 안착홈
20: 고정부 22: 받침대
24: 연장대 26: 고정핀
262: 삽입부 263: 평면
264: 받침부 28: 접착테이프
2: 휴대정보통신기기 또는 스마트폰 3: 커버
1: mount 10: mount
12: Adhesive part 14: Depression part
16: cavity portion 18: seat groove
20: fixing part 22: pedestal
24: extension base 26: fixing pin
262: inserting portion 263: plane
264: receiving portion 28: adhesive tape
2: portable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 or smart phone 3: cover

Claims (5)

스마트폰이나 PDA, 스마트 패드와 같은 휴대정보통신기기를 거치시켜 사용자가 용이하게 상기 휴대정보통신기기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거치대에 있어서,
외주연에 일정 폭을 가지는 접착부(12)와, 상기 접착부(12)에 일정깊이 함몰되는 함몰부(14)와, 상기 함몰부(14)의 일측에 형성되는 공동부(16) 및 상기 공동부(16)에 일측이 연통되고 각기 다른 각도를 가지고 형성되는 안착홈(18)으로 구성되어 휴대정보통신기기(2) 또는 이를 보호하는 커버(3)의 일측에 고정되는 거치부(10); 및
표면에 고정되는 받침대(22)와, 상기 받침대(22)의 끝단에서 일정높이 세워지는 연장대(24), 및 상기 연장대(24)의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거치부(10)의 복수의 안착홈(18) 중 어느 하나에 안착되는 고정핀(26)이 구성된 고정부(20)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20)의 고정핀(26)은 상기 거치부(10)의 안착홈(18)에 안착되면서 내측면에 안내되어 회전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평면(263)이 형성된 삽입부(262), 및 상기 삽입부(262)의 끝단에 구성되어 상기 안착홈(18)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안착홈(18)의 지름보다 큰 지름을 가지는 받침부(26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거치대.
A smart cradle for allowing a user to easily use the portable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 by loading a portable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a PDA, or a smart pad,
A recessed portion 14 which is recessed at a predetermined depth in the bonding portion 12; a cavity portion 16 formed at one side of the recessed portion 14; (10) which is composed of a seating groove (18) communicating with one side of the housing (16) and formed at different angles and fixed to one side of the portable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 (2) or a cover (3) for protecting the same; And
An extension 24 extending upward from the end of the support 22 and a plurality of seats 22 formed on one side of the extension 24 for supporting the support 22, And a fixing portion (20) having a fixing pin (26) seated in one of the grooves (18);
The fixing pin 26 of the fixing part 20 includes an insertion part 262 formed with a flat surface 263 which is seated in the receiving groove 18 of the mounting part 10 and is guided by the inner side and is not rotated, And a receiving part (264) formed at an end of the insertion part (262) and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receiving groove (18) to prevent the receiving part (26)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receiving groove (18);
Wherein the smart cradle comprise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10)의 연장대(24)는 수직선상을 기준으로 10 ~ 30°;
로 기울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거치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xtending portion 24 of the fixing portion 10 is inclined at 10 to 3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line;
Wherein the slider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bas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10)의 안착홈(18)은 2개소 또는 4개소가 등 간격;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거치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ounting recesses 18 of the mounting portion 10 are equally spaced at two or four positions;
&Lt; / RTI &g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20)는 받침대(22)가 없이 고정핀(26)이 연장대(24)의 일측에 구성되고;
상기 연장대(24)는 유선형의 표면에 접착이 용이하도록 휘어짐이 좋은 재질;
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거치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xing portion 2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fixing pin 26 without the pedestal 22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extension 24;
The extension 24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good warpage to facilitate adhesion to a streamlined surface;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shelves are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10)의 공동부(16)에는, 고정부(20)의 고정핀(26)을 안착홈(18)에서 이탈시킬 때 상기 안착홈(18)과 대칭방향에 위치한 함몰부(14)에 걸림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안착홈(18)에 고정핀(26)이 용이하게 안착 및 이탈되도록 유도하는 착탈방지턱(17);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거치대.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The cavity 16 of the mounting portion 10 is provided with a depression 14 positioned in a symmetr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mounting recess 18 when the fixing pin 26 of the fixing portion 20 is released from the mounting recess 18 (17) for preventing the fixing pin (26) from being easily seated and released from the seating groove (18);
Lt; RTI ID = 0.0 &gt; a &lt; / RTI &gt; smart cradle.
KR1020140160137A 2014-11-17 2014-11-17 A smart type stand KR2016005852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0137A KR20160058527A (en) 2014-11-17 2014-11-17 A smart type stan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0137A KR20160058527A (en) 2014-11-17 2014-11-17 A smart type stan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8527A true KR20160058527A (en) 2016-05-25

Family

ID=56114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0137A KR20160058527A (en) 2014-11-17 2014-11-17 A smart type stan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58527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75921A1 (en) * 2019-02-26 2020-09-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unting device for electronic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75921A1 (en) * 2019-02-26 2020-09-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unting device for electronic device
US11405494B2 (en) 2019-02-26 2022-08-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unting device for electronic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62697B2 (en) Support for a mobile electronic device
KR101502738B1 (en) Apparatus for mounting mobile device
USD655282S1 (en) Suction cup apparatus holder
CA2857141A1 (en) Holder for a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use
USD655284S1 (en) Suction cup apparatus holder
US20210106106A1 (en) Cellular Device Case Having a Built-In Mount
USD655283S1 (en) Suction cup apparatus holder
KR200466549Y1 (en) Finger holder for mobile device
KR20150003379U (en) Suction type stands for electronic instrument
USD593566S1 (en) Support device for supporting an apparatus holder
KR20160058527A (en) A smart type stand
KR20170004306U (en) Mobile phone holder having supporter
KR20120035810A (en) A hand held device protection case clip and standing. and holding apparatus with a tilt function
KR20150033835A (en) Stands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nd system
KR20140002951U (en) Mobile phone case with a stand
TW200621122A (en) Display and wire clip thereof
KR20190056224A (en) Vehicle Only Smartphone Charging cradle and Smart phone case
KR20190000346U (en) Holder for embedding tablet
KR101565592B1 (en) Versatile Holder
KR200485571Y1 (en) Narrow table having of grooved goods
KR101537576B1 (en) Holder for handheld device
CN216143490U (en) Multifunctional support
KR200474707Y1 (en) A holder of electronic equipment
KR20190053061A (en) Cell phone supporter set for vehicles
KR20110001588U (en) Support members mounted on cellular 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