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4306U - Mobile phone holder having supporter - Google Patents

Mobile phone holder having suppor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4306U
KR20170004306U KR2020160003267U KR20160003267U KR20170004306U KR 20170004306 U KR20170004306 U KR 20170004306U KR 2020160003267 U KR2020160003267 U KR 2020160003267U KR 20160003267 U KR20160003267 U KR 20160003267U KR 20170004306 U KR20170004306 U KR 2017000430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estal
mobile phone
base
present
cra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3267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여신
Original Assignee
윤여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여신 filed Critical 윤여신
Priority to KR20201600032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4306U/en
Publication of KR2017000430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4306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폰의 이면에 받침대를 부착하여 사용하면서 휴대폰의 받침대로써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받침대를 접어서 휴대할 수 있고, 또한 휴대폰을 일정각도로 받쳐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받침대를 펴서 휴대폰 이면의 받침대가 지면과의 받침을 유지할 수 있는 휴대폰에 부가하여 움직임이 없이 안정적으로 받침대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휴대폰이 분리되어 이탈되는 일이없이 거치할 수 있고, 또한 휴대폰을 조작할 수 있는 받침대가 부착된 휴대폰의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지면에 부착할 수 있는 고정부(11)와, 이 고정부(11)에 연장하여 절곡성형되어 휴대폰(1)에 부착된 받침대(2)를 걸어 유지할 수 있는 경사진 거치부(20)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또한 본 고안의 상기 고정부(11)에는 점착제(12), 자석(13)이 형성되어 지면 또는 피자석물에 부착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또한 본 고안의 상기 경사진 거치부(20)에는 휴대폰(1)의 받침대(2)를 걸어 유지할 수 있는 걸이요홈(2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거치대(10)의 고정부(11)와는 별도로 베이스(32)를 형성하여, 이 베이스(32)에 회전돌기(30)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고정부(11)에는 회전요홈(31)이 형성되도록 되어, 거치대(10)의 고정부(11)가 베이스(32)에 결합되어 회동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arried by folding a pedestal when the pedestal is not used as a pedestal of a mobile phone while attaching a pedestal to the back of the mobile phone, and when the pedestal is supported by a certain angle, In addition to the mobile phone capable of holding the base with the floor, it is possible to stably maintain the base without movement, so that the mobile phone can be mounted without being detached and separat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and which can be attached to a ground and which can be held by a pedestal 2 attached to the cellular phone 1 by being bent and formed by extending to the fixed portion 11. [ A tilting mount 20 is integrally formed and the adhesive 12 and the magnet 13 are formed on the fixing portion 11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lant mounting portion 2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with an insertion groove 21 capable of holding a pedestal 2 of the cellular phone 1 by hooking, A base 32 is formed separately from the fixing portion 11 of the mounting table 10 so that a rotation protrusion 30 is formed on the base 32. A rotary groove 31 is formed in the fixing portion 11 So that the fixed portion 11 of the mount 10 is coupled to the base 32 to be rotatable.

Description

받침대가 부착된 휴대폰의 거치대{Mobile phone holder having supporter}Mobile phone holder having supporter < RTI ID = 0.0 >

본 고안은 휴대폰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받침대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폰의 이면에 받침대를 부착하여 사용하면서 휴대폰의 받침대로써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받침대를 접어서 휴대할 수 있고, 또한 휴대폰을 일정각도로 받쳐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받침대를 펴서 휴대폰 이면의 받침대가 지면과의 받침을 유지할 수 있는 휴대폰에 부가하여 움직임이 없이 안정적으로 받침대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휴대폰이 분리되어 이탈되는 일이없이 거치할 수 있고, 또한 휴대폰을 조작할 수 있는 받침대가 부착된 휴대폰의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and capable of mounting a pedestal attached to a mobile pho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edestal mounted on the back of a mobile phone, and can be folded and carried when the pedestal is not used as a pedestal In addition, when the mobile phone is intended to be supported at a certain angle, the pedestal can be extended so that the pedestal on the back surface of the mobile phone can stably maintain the pedestal in addition to the mobile phone capable of maintaining the pedestal with the groun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lder of a cellular phone, to which a pedestal capable of operating a mobile phone is attached.

일반적으로, 휴대폰은 상대방과 통화를 하기 위한 기능 외에도 인터넷을 비롯한 정보검색 과 정보저장 및 영상컨텐츠를 활용할 수 있는 기능으로 점차 그 사용범위가 넓어지고 있다. In general, in addition to the function of making a call with the other party, a mobile phone is gradually being used as a function that can utilize information retrieval, information storage, and image contents including the Internet.

이에 따라 휴대폰을 상대방과의 통화를 위해 잠깐씩 사용하는 경우 외에 영상컨텐츠를 시청하기 위해 사용자가 장시간 휴대폰을 이용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이렇게 장시간 사용자가 휴대폰을 시청할 때 손으로 잡고 있는 번거로움을 줄이고자 휴대폰 거치대가 사용되고 있다.Accordingly, in addition to using the mobile phone for a short period of time for communication with the other party, there are increasing cases where the user uses the mobile phone for a long time to view the video content. A cell phone cradle is being used to reduce the cumbersome handling by the user when the user watches the cell phone for such a long time.

종래의 거치수단은, 휴대폰 자체를 거치대에 세워서 또는 눕혀서 거치하는 구조가 대부분이었다. Conventionally, most of the mounting means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cellular phone itself is mounted on a cradle or laid down.

예를 들면, 또한, 본 출원인이 앞서 제시한 대한민국 실용신안 제20-0465340호에서는 일정폭의 평면의 고정베이스의 전방에 세워진 전면거치턱이 형성되고, 또한 고정베이스의 후방에 세워진 배면턱에 연장하여 전방쪽으로 복수개의 탄성절곡면이 형성되고 탄성절곡면의 끝단에 배면거치턱이 형성되어, 상기 전면거치턱과 상기 배면거치턱과의 일정간격을 두고 대향되게 형성되어서, 상기 전면거치턱과 배면거치턱의 사이에 거치공간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거치공간내의 휴대폰이 전면거치턱과 배면거치턱에 의하여 유지되도록 되고, 또한 배면거치턱이 탄성절곡면에 의하여 탄력적으로 거치공간의 간격을 가변할 수 있어서, 휴대폰의 두께에 관계없이 다양한 휴대폰을 거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For example, Korean Utility Model No. 20-0465340, which was previously proposed by the present applicant, discloses that a front mount tuck erected on the front side of a fixed base of a certain width is formed, and a front mount tuck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fixed base A plurality of elastic bent surfaces are formed toward the front side and a rear surface tucking jaw is formed at an end of the elastic bent surface so as to be opposed to each other with a predetermined gap between the front surface mounting tuck and the rear surface tuck jaw, The mobile phone can be held by the front mount tuck and the rear mount tuck in the mounting space by allowing the mounting space to be formed between the mounting tucks and the interval of the mounting space can be changed flexibly by the elastic tucking surface So that various mobile phones can be mounted regardless of the thickness of the mobile phone.

그런데, 휴대폰의 길이 또는 폭등을 감안하여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가 필요이상으로 커지는 불편이 있고, 단순히 휴대폰을 거치하는 수단에 한정되어 휴대폰의 사용이 한정적이었다. However, there is an inconvenience that the mount that can be mounted in consideration of the length or the height of the mobile phone becomes larger than necessary, and the use of the mobile phone is limited to the means for simply mounting the mobile phone.

그리고, 근래에는 휴대폰에 휴대가 용이한 걸이부분을 일체로 부착하였다가 사용시에는 휴대폰의 걸이부분을 펴서 책상 또는 기타의 구조물에 거치할 수 있는 일체형의 걸이부가 부착된 휴대폰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In recent years, a mobile phone having an integral hook that can be mounted on a desk or other structure is widely used when the hook portion, which is easy to carry on the mobile phone, is integrally attached.

그런데, 휴대폰의 일체의 걸이부분을 펴서 사용하는 데는 문제가 없으나, 차량과 같이 움직이는 곳에서는 걸이부분이 움직임에 따라서, 휴대폰의 거치가 용이하지 않을뿐더러, 휴대폰이 바닥 등에 떨어져 휴대폰이 훼손되는 결점이 있다.However, there is no problem in unfolding any one of the hooks of the mobile phone. However, in a place where the mobile phone moves like a car, the mobile phone is not easy to mount due to the movement of the hook, have.

따라서, 휴대폰을 책상 등에 걸이부분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또한 차량 등에서는 걸이부분이 거치대에 움직임이 없도록 거치할 수 있는 겸용의 휴대폰 거치대가 요구되고 있다. Accordingly, there is a demand for a mobile phone holder that can be easily installed using a hanger portion of a cellular phone, and can be mounted on a vehicle or the like so that the hanger portion is prevented from moving.

대한민국 실용신안 제20-0465340호Korean Utility Model No. 20-0465340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이면에 받침대를 부착하여 사용하는 휴대폰을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radle for mounting a cellular phone with a pedestal on the back.

본 고안의 거치대는 지면 등이 고정될 수 있는 고정부와, 이 고정부에 대하여 일정한 경사각을 이루는 거치부가 일체적으로 성형됨을 목적으로 한다.The mou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integrally form a stationary portion to which a ground or the like can be fixed and a mounting portion having a constant inclination angle with respect to the stationary portion.

또한, 본 고안의 거치대는 고정부에 점착제 또는 자석이 형성되어, 지면에 고정부를 고정할 수 있고, 또한 거치부에는 휴대폰의 받침대를 걸어 유지할 수 있도록 됨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stand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hesive or a magnet formed on the stationary portion so that the stationary portion can be fixed to the ground, and the pedestal of the mobile phone can be held on the stationary portion.

또한, 본 고안은 휴대폰의 받침대가 거치대의 걸이요홈에 삽입되어 휴대폰이 후방으로 눕혀진 방향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됨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ims at allowing a base of a mobile phone to be inserted into a groove of a cradle so that the mobile phone can be held in a direction in which it is laid rearward.

또한, 본 고안의 거치대는 휴대폰이 분리되어 이탈되는 일이없이 거치할 수 있고, 또한 휴대폰을 조작할 수 있도록 됨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cradle of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be able to mount the cellular phone without being separated and to be able to operate the cellular phone.

본 고안은 지면에 부착할 수 있는 고정부와, 이 고정부에 연장하여 절곡성형되어 휴대폰에 부착된 받침대를 걸어 유지할 수 있는 경사진 거치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fixed portion that can be attached to the ground and a tilted mounting portion that is formed by bending and extending from the fixing portion to hold a pedestal attached to the mobile phone are integrally formed.

또한, 본 고안의 상기 고정부에는 점착제, 자석이 형성되어 지면 또는 피자석물에 부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portion is formed with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and a magnet so that it can be attached to the ground or the stone lumber.

또한, 본 고안의 상기 경사진 거치부에는 휴대폰의 받침대를 걸어 유지할 수 있는 걸이요홈이 형성되어 있다. In addition, in the inclined mounting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support groove for supporting the support of the mobile phone is formed.

또한, 상기 거치대의 고정부와는 별도로 베이스를 형성하여, 이 베이스에 회전돌기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고정부에는 회전요홈이 형성되도록 되어, 거치대의 고정부가 베이스에 결합되어 회동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In addition, a base is formed separately from the stationary portion of the cradle, a rotation protrusion is formed in the base, and a rotation groove is formed in the fixing portion, and the fixing portion of the cradle is coupled to the base so as to be rotatable .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휴대폰의 이면에 받침대를 부착하여 사용하면서 휴대폰의 받침대로써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받침대를 접어서 휴대할 수 있고, 또한 휴대폰을 일정각도로 받쳐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받침대를 펴서 휴대폰 이면의 받침대가 지면과의 받침을 유지할 수 있는 휴대폰에 부가하여 움직임이 없이 안정적으로 받침대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휴대폰이 분리되어 이탈되는 일이없이 거치할 수 있고, 또한 휴대폰을 조작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pedestal is attached to the back of a mobile phone and the pedestal is not used as a pedestal of the mobile phone, the pedestal can be folded and carried. In addition, The base of the back surface can stably hold the base without movement in addition to the mobile phone capable of supporting the base with the ground, so that the mobile phone can be mounted without being detached and detached, and also the cellular phone can be operated.

도 1 은 본 고안의 받침대가 부착된 휴대폰의 거치대의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받침대가 부착된 휴대폰의 거치대의 측면도,
도 3a,b 는 본 고안의 거치대의 분리 및 결합의 1실시예도,
도 4 는 본 고안의 받침대가 부착된 휴대폰의 거치대의 다른예의 정면도,
도 5a,b 는 본 고안의 거치대의 분리 및 결합의 2실시예도,
도 6 은 본 고안의 받침대가 부착된 휴대폰의 거치대의 고정부에 자석이 형성된 측면도,
도 7a,b 는 본 고안의 거치대를 차량의 대쉬보드에 장착한 예시도,
도 8 은 본 고안의 받침대가 부착된 휴대폰의 거치대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radle of a cellular phone with a pedestal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view of a cradle of a cellular phone with a pedestal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3a and 3b show one embodiment of the separation and coupling of the stand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front view of another example of a cradle of a mobile phone to which a pedest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Figures 5a and 5b show two embodiments of separation and coupling of a crad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side view of a mobile phone with a pedestal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7A and 7B are views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mou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dashboard of a vehicle,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a holder of a cellular phone with a pedestal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의 구체적인 예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Specific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휴대폰(1)을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10)는 지면에 고정할 수 있는 고정부(11)와 이 고정부(11)에 연장 성형된 경사진 거치부(20)로 이루어져 있다. As shown in Fig. 1, the cradle 10, which can hold the mobile phone 1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xed portion 11 which can be fixed to the ground, a tilted mounting portion (20).

도 2와 같이, 상기 고정부(11)는 평판형상으로 이면에 점착제(12)가 도포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점착제(12)의 이면에는 이형지(14)가 형성되어 있다. 이 이형지(14)는 점착제(12)에 부착되어 있다가 사용시에는 이형지(14)를 떼어내어 점착제(12)부분이 지면 등에 부착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fixing portion 11 has a plate-like shape with a backing 12 coated thereon and a backing 14 on the backside of the backing 12. The releasing paper 14 is attached to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12, and in use, the releasing paper 14 can be removed and the portion of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12 can be attached to the paper or the like.

또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거치대(10)의 고정부(11)에 자석이 매몰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이 고정부(11)가 피자석물에 부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Further, as shown in Fig. 6, the magnet can be fixed to the stationary portion 11 of the mount 10 so that the stationary portion 11 can be attached to the stone pavement.

또한, 본 고안은 거치대(10)의 고정부(11)에 점착제(12)와 자석(13)이 함께 형성되도록 하여 피고정물에 고정되도록 하면, 자석(13)의 자력과 또한 이형지(14)를 분리하여 점착제(12)의 점착력에 의하여 더욱 거치대(10)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고, 또한 자석(13)의 자력만을 이용하여 부착할 수 있고, 또는 이형지(14)를 분리하여 점착제(12)의 점착제에 의하여 부착될 수 있게 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12 and the magnet 13 are formed on the fixed portion 11 of the cradle 10 so as to be fixed to the fixed object,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13, The adhesive 10 can be firmly held by the adhesive force of the adhesive 12 and can be attached using only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13 or the adhesive 14 can be separated from the adhesive 12, To be adhered by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도 3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거치대(10)의 고정부(11)에 연장하여 절곡 성형된 경사진 거치부(20)는 후면으로 일정한 각도로 경사져 있고, 또한 상기 경사진 거치부(20)에는 일정한 폭과 길이의 칫수로 걸이요홈(21)이 파여 있다. 이 걸이요홈(21)은 휴대폰(1)의 이면에 부착되는 받침대(2)가 걸려져 유지될 수 있는 칫수이다. 3A and 3B, the inclined mounting portion 20 which is formed by bending and forming the fixing portion 11 of the mounting table 10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to the rear surface, and the inclined mounting portion 20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The hooking groove 21 is formed with a predetermined width and length dimension. The groove 21 is a dimension to which the pedestal 2 attach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cellular phone 1 can be caught and held.

또한, 본 고안은 도 4 및 도 5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거치대(10)의 경사진 거치부(20)의 걸이요홈(21)의 기초부에 가로방향의 장공(22)이 형성되도록 되어, 휴대폰(1)의 고리형상의 받침대(2)를 도 5a와 같은 방향에서 거치대(10)의 장공(22)을 통하여 넣고, 이후에 휴대폰(1)의 고리형상의 받침대(2)를 대략 90도 정도 돌려서 받침대(2)가 거치대(10)의 장공(22)의 중앙에 유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4 and Figs. 5A and 5B, a longitudinal slot 22 is formed in the base portion of the hook groove 21 of the inclined mounting portion 20 of the cradle 10 The annular pedestal 2 of the cellular phone 1 is inserted through the elongated hole 22 of the pedestal 10 in the same direction as in Fig. 5A, So that the pedestal 2 can be held in the center of the slot 22 of the platform 10.

따라서, 본 고안은 도 7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량의 대쉬보드(3)에 거치대(10)를 부착 고정하고, 필요에 따라서, 상기 거치대(10)의 경사진 거치부(20)의 걸이요홈(21)에 휴대폰(1)의 받침대(2)가 삽입되도록 하는 것으로, 거치대(10)에 휴대폰(1)의 장착이 이루어진다. 7A and 7B, the cradle 10 is attached and fixed to the dashboard 3 of the vehicle, and the cradle 20 of the cradle 10 of the cradle 10, The cellular phone 1 is mounted on the holder 10 by inserting the pedestal 2 of the cellular phone 1 into the groove 21.

또한, 상기 거치대(10)의 경사진 거치부(20)의 걸이요홈(21)으로부터 휴대폰(1)을 위쪽으로 올리는 것으로, 거치대(10)에서 휴대폰(1)을 분리할 수 있다. The cell phone 1 can be separated from the cradle 10 by raising the cell phone 1 upward from the hook groove 21 of the slanted mounting portion 20 of the cradle 10. [

그리고, 본 고안의 거치대(10)의 경사진 거치부(20)의 걸이요홈(21)의 요홈깊이는 휴대폰(1)의 받침대(2)가 움직임의 반동으로 이탈되지 않는 칫수이면 된다. The recess depth of the hook groove 21 of the inclined mounting portion 20 of the mount 1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ny dimension as long as the pedestal 2 of the cellular phone 1 is not detached by the reaction of motion.

또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거치대(10)의 고정부(11)와는 별도로 베이스(32)를 형성하여, 이 베이스(32)에 회전돌기(30)가 형성되도록 하고, 또한 고정부에는 회전요홈(31)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서, 거치대(10)의 고정부(11)의 회전요홈(31)을 베이스(32)의 회전돌기(30)에 결합하면, 거치대(10)의 휴대폰(1)을 360도 회동하여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휴대폰을 돌려가며 볼 수 있어서 휴대폰(1)의 시각성이 좋은 이점이 있다. 8, a base 32 is formed separately from the fixing portion 11 of the mount 10 so that the rotation protrusion 30 is formed on the base 32. In addition, When the rotation groove 31 of the fixing portion 11 of the mount 10 is coupled to the rotation protrusion 30 of the base 32 so that the mobile phone 1 of the mount 10 is rotated 360 Can also be used. Therefore, the mobile phone 1 can be seen by turning around, so that there is a merit that the visual quality of the mobile phone 1 is good.

본 고안은 회전돌기(30)와 회전요홈(31)을 서로 반대방향(베이스와 고정부)으로 형성할 수 있고, 또한 베이스(32)의 저면에 점착테이프 등이 고정되도록 하여, 지면에 고정한 상태에서 사용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on projections 30 and the rotation grooves 31 can be formed in opposite directions (base and fixed portions), and an adhesive tape or the like is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32, .

또한, 본 고안의 상기 베이스(32)는 부드러운 고무재질이고, 또한 고정부(11)는 경질의 합성수지로써, 거치대(10)의 고정부(11)를 베이스에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한다.The base 32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soft rubber material and the fixing portion 11 is made of a hard synthetic resin so that the fixing portion 11 of the mounting table 10 can be easily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base.

1 : 휴대폰 2 : 받침대
3 : 대쉬보드 10 : 거치대
11 : 고정부 12 : 점착제
13 : 자석 14 : 이형지
20 : 경사진 거치부 21 : 걸이요홈
22 : 장공 30 : 회전돌기
31 : 회전요홈 32 : 베이스
1: cell phone 2: pedestal
3: Dashboard 10: Cradle
11: fixing part 12: adhesive
13: magnet 14: release paper
20: inclined mounting part 21:
22: elongated hole 30: rotation projection
31: rotation groove 32: base

Claims (4)

지면에 부착할 수 있는 고정부(11)와, 이 고정부(11)에 연장하여 절곡성형되어 휴대폰(1)에 부착된 받침대(2)를 걸어 유지할 수 있는 경사진 거치부(20)가 일체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받침대가 부착된 휴대폰의 거치대.A tilting mount 20 which is bent and formed on the fixing part 11 and can be held by holding a pedestal 2 attached to the mobile phone 1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xing part 11, Wherein the base is formed as a bas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11)에는 점착제(12), 자석(13)이 형성되어 지면 또는 피자석물에 부착될 수 있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받침대가 부착된 휴대폰의 거치대.The holder of a mobile phone with a pedestal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xing part (11) is formed with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12) and a magnet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경사진 거치부(20)에는 휴대폰(1)의 받침대(2)를 걸어 유지할 수 있는 걸이요홈(21)이 형성됨 특징으로 하는 받침대가 부착된 휴대폰의 거치대.The cradle of claim 1, wherein the tilting mount (20) is provided with a tongue groove (21) for holding the cradle (2) of the cell phone (1).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10)의 고정부(11)와는 별도로 베이스(32)를 형성하여, 이 베이스(32)에 회전돌기(30)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고정부(11)에는 회전요홈(31)이 형성되도록 되어, 거치대(10)의 고정부(11)가 베이스(32)에 결합되어 회동가능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받침대가 부착된 휴대폰의 거치대.
The base (32) is formed separately from the fixing part (11) of the mounting table (10) so that the rotation protrusion (30) is formed on the base (32) Wherein a rotation groove is formed in the base and the fixing portion of the base is coupled to the base to be rotatable.
KR2020160003267U 2016-06-13 2016-06-13 Mobile phone holder having supporter KR20170004306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3267U KR20170004306U (en) 2016-06-13 2016-06-13 Mobile phone holder having suppor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3267U KR20170004306U (en) 2016-06-13 2016-06-13 Mobile phone holder having support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4306U true KR20170004306U (en) 2017-12-21

Family

ID=61259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3267U KR20170004306U (en) 2016-06-13 2016-06-13 Mobile phone holder having suppor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4306U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9429A (en) 2018-05-11 2019-11-20 김봉기 Grip cradle for mobile phone
KR102084753B1 (en) 2018-12-04 2020-03-04 이유나 Terminal holder
KR200495332Y1 (en) 2021-05-27 2022-04-29 민소영 Mobile phone stand hold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340Y1 (en) 2011-06-24 2013-02-13 윤여신 Mobile phone hold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340Y1 (en) 2011-06-24 2013-02-13 윤여신 Mobile phone holde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9429A (en) 2018-05-11 2019-11-20 김봉기 Grip cradle for mobile phone
KR102084753B1 (en) 2018-12-04 2020-03-04 이유나 Terminal holder
KR200495332Y1 (en) 2021-05-27 2022-04-29 민소영 Mobile phone stand hold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6496B1 (en) Portable cradle
US10362697B2 (en) Support for a mobile electronic device
US10856633B2 (en) Bistable spring stand and housing for a handheld device
US20140049851A1 (en) Device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ing accessories to hand held electronic devices
KR20170004306U (en) Mobile phone holder having supporter
US6535606B2 (en) Mobile telephone shoulder rest
US20140166803A1 (en) Multi-Purpose Bath Tissue Holder
KR101721751B1 (en) Terminal holding device, terminal case and terminal assembly
US20050236347A1 (en) Display system
KR101731827B1 (en) Holder for portable terminal
US20050017149A1 (en) Paper holder structure
KR200465340Y1 (en) Mobile phone holder
KR20150033835A (en) Stands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nd system
KR20140002951U (en) Mobile phone case with a stand
JP4859997B2 (en) Thin display device stand and thin display device
KR101738616B1 (en) Apparatus for mounting mobile phone
KR20150002726U (en) Resting Structure For Mobile Telephone
US2003004221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toring items
CN208874606U (en) A kind of mobile phone support
KR20120088946A (en) A variable holder for supporter for vehicle of personal portable device
KR200494821Y1 (en) Fixing device for portable instrument
KR20190053061A (en) Cell phone supporter set for vehicles
KR20150082756A (en) Mobile-device dock
KR102090786B1 (en) Rotary supporting means for smartphone using decoration assembly
KR20210079522A (en) Clip type smartphone cradle f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