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8313A -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8313A
KR20160058313A KR1020140158870A KR20140158870A KR20160058313A KR 20160058313 A KR20160058313 A KR 20160058313A KR 1020140158870 A KR1020140158870 A KR 1020140158870A KR 20140158870 A KR20140158870 A KR 20140158870A KR 20160058313 A KR20160058313 A KR 201600583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vature
bottom chassis
display panel
chassis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88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50808B1 (ko
Inventor
정의준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588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0808B1/ko
Priority to US14/702,071 priority patent/US9541779B2/en
Publication of KR201600583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83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08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08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77Bendability or stretchability details
    • H05K1/028Bending or folding regions of flexible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14Back fram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25Assembling process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25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display surface tensioning means
    • G09F15/0031Tensioned curved signs; Signs with curved tensioning structur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Abstract

곡률을 갖는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이 배치되며, 걸림 돌기를 포함하고 곡률을 갖는 바텀 샤시; 및 상기 걸림 돌기와 결합되고,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곡률 유지바;를 포함하고, 상기 바텀 샤시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결합 홀을 갖는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표시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곡률을 갖는 표시장치의 곡률을 유지시키는 곡률 유지바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 표시 장치나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등의 평판 표시 장치는 복수 쌍의 전기장 생성 전극과 그 사이에 들어 있는 전기광학(electro-optical) 활성층을 포함한다. 액정 표시 장치는 전기 광학 활성층으로 액정층을 포함하고,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전기 광학 활성층으로 유기 발광층을 포함한다.
최근에, 액정표시장치는 텔레비젼 수신기의 표시장치로 사용됨에 따라, 액정표시장치의 화면의 대화면화가 가속되고 있다. 하지만, 화면의 대형화에 따라, 시청자가 화면의 중앙부를 보는 경우와 화면의 좌우 양단을 보는 경우에 있어서 시각 차가 커지는 문제가 발생된다. 본 명세서에서, 시각이라는 용어를 화면의 관찰자의 시선과 관찰하고 있는 화면의 접선이 이루는 각도라고 정의하고, 그러한 차이를 시각차라고 정의하여 사용한다.
이러한 시각차를 보상하기 위하여, 표시장치를 오목형 또는 볼록형으로 굴곡시켜 곡면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표시장치는 시청자 기준으로, 가로 길이보다 세로 길이가 길고, 세로 방향으로 굴곡된 포트레이트(portrait) 타입일 수 있고, 가로 길이보다 세로 길이가 짧고, 가로 방향으로 굴곡된 랜드스케이프(landscape) 타입일 수도 있다.
한편, 곡률을 갖는 표시장치의 곡률을 유지하기 위해 바텀 샤시 등의 프레임 구조물의 외면에 “L” 형상의 곡률 유지바가 배치된다. 곡률 유지바는 용접 또는 스크류 결합을 이용하여 바텀 샤시의 외면에 부착된다. 따라서, 곡률 유지바를 바텀 샤시에 부착하기 위한 추가 공정이 발생하고, 곡률 유지바를 부착하는 공정에서 바텀 샤시가 변형될 우려가 있다. 또한, 곡률 유지바에서 절곡된 돌출부로 인하여 표시장치의 두께가 두꺼워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곡률 유지바가 바텀 샤시에 끼움 결합되는 표시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곡률을 갖는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이 배치되며, 걸림 돌기를 포함하고 곡률을 갖는 바텀 샤시; 및 상기 걸림 돌기와 결합되고,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곡률 유지바;를 포함하고, 상기 바텀 샤시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결합 홀을 갖는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바텀 샤시는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에서 절곡된 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 돌기는 상기 바닥부의 일면에서 연장되고, 상기 바닥부는 상기 결합 홀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곡률 유지바는 곡률을 갖고, 상기 바닥부와 접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곡률 유지바는 베이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일면에서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걸림 돌기와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바텀 샤시의 상기 바닥부와 접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곡률 유지바는 상기 바텀 샤시의 장변 또는 단변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곡률 유지바를 상기 바텀 샤시의 상기 바닥부에 고정시키는 스크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곡률 유지바는 적어도 일부에서 휘어진 베이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텀 샤시는 상기 바닥부에서 절곡된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베이스부와 접촉하고, 상기 결합 홀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바닥부와 상기 가이드부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곡률을 갖는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이 배치되며, 걸림 돌기를 포함하고 곡률을 갖는 바텀 샤시; 및 상기 걸림 돌기와 슬라이딩 결합되는 곡률 유지바;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바텀 샤시는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에서 절곡된 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 돌기는 상기 바닥부의 일면에서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곡률 유지바는 곡률을 갖고, 상기 바닥부와 접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곡률 유지바는 상기 바텀 샤시의 장변 또는 단변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곡률 유지바를 바텀 샤시에 배치하여 표시장치의 곡률을 유지할 수 있고, 곡률 유지바 체결 공정 효율이 올라가고, 곡률 유지바 체결 공정으로 인한 바텀 샤시의 변형이 줄어들고, 곡률 유지바와 바텀 샤시의 체결력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1 에 따른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의 I-I’선을 따라 절단한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1 에 따른 곡률 유지바 및 바텀 샤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1 에 따른 곡률 유지바 및 바텀 샤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결합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Ⅱ-Ⅱ’선을 따라 절단한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2 에 따른 곡률 유지바 및 바텀 샤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2 에 따른 곡률 유지바 및 바텀 샤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결합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3 에 따른 곡률 유지바 및 바텀 샤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결합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4 에 따른 곡률 유지바 및 바텀 샤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4 에 따른 곡률 유지바 및 바텀 샤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결합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Ⅲ-Ⅲ’선을 따라 절단한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5 에 따른 곡률 유지바 및 바텀 샤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5 에 따른 곡률 유지바 및 바텀 샤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결합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소자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소자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1 에 따른 표시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1 에 따른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의 I-I’선을 따라 절단한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1 에 따른 표시장치는 소정의 곡률 반경(Radius of curvature)을 갖는다. 즉, 표시장치는 표시패널(200)의 중앙부를 기점으로 양측이 둥글게 굴곡된, 곡면형 표시장치이다.
표시장치는 표시패널(200), 표시패널(200)에 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400), 표시패널(200)을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는 탑 샤시(100) 및 표시패널(200)이 안착되는 몰드 프레임(300)을 포함한다. 위 열거된 구성요소들은 그 곡면 형상에 맞춰 둥글게 굴곡된 형태를 이룬다.
탑 샤시(100)는 몰드 프레임(300) 상에 안착된 표시패널(200)을 덮기 위하여 바텀 샤시(440)와 결합된다. 탑 샤시(100)는 그 중앙부에 표시패널(200)이 노출되는 개방창을 구비한다. 탑 샤시(100)는 표시패널(200)의 상면 가장자리 및 측면을 덮도록(cover) 배치될 수 있다.
탑 샤시(100)는 표시패널(200)의 측면을 덮는 측면부(110), 및 측면부(110)에서 절곡되어 표시패널(200)의 상면 가장자리를 덮는 가림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탑 샤시(100)는 후크 결합 및/또는 나사 결합을 통하여 바텀 샤시(440)와 체결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탑 샤시(100)와 바텀 샤시(440)의 결합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표시패널(200)은 소정의 곡률 반경을 갖는다. 표시패널(200)은 플렉서블(flexible)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바텀 샤시(440), 몰드 프레임(300) 및 탑 샤시(100)에 배치된 후 휘어질 수(curved) 있다. 즉, 바텀 샤시(440), 몰드 프레임(300) 및 탑 샤시(100)는 표시패널(200)이 소정의 곡률 반경을 가지도록 표시패널(200)을 고정한다. 따라서, 바텀 샤시(440), 몰드 프레임(300) 및 탑 샤시(100)는 표시패널(200)과 유사한 형태로 소정 곡률 반경을 가지게 된다.
표시패널(200)은 다양한 방식으로 휘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패널(200)에 있어서 영상이 표시되는 방향을 상부 방향으로, 그 반대 방향을 하부 방향으로 할 때, 표시패널(200)은 하부 방향 또는 상부 방향으로 볼록하게 휘어질 수 있다. 그러나, 표시패널(200)의 휘어진 방향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표시패널(200)의 중심부가 상부 방향으로 볼록하게, 즉 사용자 측으로 볼록하게 제공될 수 있다. 또는 표시패널(200)의 일부는 상부 방향으로 볼록하게 다른 일부는 하부 방향으로 볼록하게 제공될 수 있다.
표시패널(200)은 영상을 표시한다. 표시 패널(200)은 수광형 표시패널로서, 액정 표시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 전기습윤 표시패널(electrowetting display panel), 전기영동 표시패널(electrophoretic display panel), MEMS 표시 패널(microelectromechanical system display panel)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1에서 액정 표시패널을 예로서 설명한다.
표시패널(200)은 서로 평행한 두 쌍의 변들을 가지는 사각형의 판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실시예1에서 표시패널(200)은 한 쌍의 장변과 한 쌍의 단변을 가지는 직사각형일 수 있다. 표시패널(200)은 제1 기판(210)과, 제1 기판(210)에 대향되는 제2 기판(220), 및 제1 기판(210)과 제2 기판(220) 사이에 형성된 액정층(미도시)을 포함한다. 표시패널(200)은 평면상에서 볼 때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부와, 표시부를 둘러싸며 영상이 표시되지 않은 비표시부로 이루어진다. 비표시부는 탑 샤시(100)에 의해 가려진다.
제1 기판(210)은 다수의 화소 전극들(미도시) 및 화소 전극들과 일대일 대응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 다수의 박막 트랜지스터(미도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 박막 트랜지스터는 대응하는 화소 전극 측으로 제공되는 구동 신호를 스위칭한다. 또한, 제2 기판(220)은 화소 전극들과 함께 액정의 배열을 제어하는 전계를 형성하는 공통전극(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패널(200)은 액정층을 구동하여 전방으로 영상을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표시패널(200)은 구동 신호를 제공하는 구동칩(미도시), 구동칩이 실장되는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ape Carrier Package, TCP) 및 TCP를 통해 표시 패널(2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쇄 회로 기판(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칩은 외부 신호에 응답하여 표시패널(200)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발생한다. 외부 신호는 인쇄회로 기판으로부터 공급된 신호이고, 외부 신호는 영상 신호, 각종 제어신호 및 구동 전압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편광판(240)은 표시패널(200)에 배치되며, 제1 편광판(241) 및 제2 편광판(242)을 포함한다. 제1 기판(210)과 제2 기판(220)이 서로 마주보는 면의 반대편 측에 각각 제1 편광판(241)과 제2 편광판(242)이 배치된다. 즉, 제1 기판(210)의 외측에 제1 편광판(241)이 부착되고, 제2 기판(220)의 외측에 제2 편광판(242)이 부착될 수 있다. 제1 편광판(241)의 투과축은 제2 편광판(242)의 투과축과 실질적으로 직교한다.
몰드 프레임(300)은 바텀 샤시(440)와 결합하며, 표시패널(200)을 수납한다. 이러한 몰드 프레임(300)은 표시패널(200)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플라스틱 재질과 같은 유연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한 형상과 기능을 갖는다면 다른 재료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몰드 프레임(300)은 표시패널(200)을 지지하는 상부 몰드(310) 및 확산판(420)과 광학시트(410)를 지지하는 하부 몰드(32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몰드 프레임(300)은 상부 몰드(310)만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바텀 샤시(440)가 확산판(420) 및 광학시트(410)를 지지할 수 있다.
몰드 프레임(300)은 표시패널(200)의 가장자리를 따라 제공되어 표시 패널(200)의 하부에서 표시패널(200)을 지지한다. 몰드 프레임(300)은 표시패널(200)의 네 변에 대응하는 위치, 또는 네 변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몰드 프레임(300)은 표시패널(200)의 네 변에 대응하는 사각의 고리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또는, 표시패널(200)의 가장자리 중 어느 한 변에 대응하는 개구부를 가질 수 있다. 몰드 프레임(300)은 단일 개수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 복수로 형성되어 조립될 수 있다.
한편, 몰드 프레임(300)은 탑 샤시(100)와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탑 샤시(100), 바텀 샤시(440) 및 몰드 프레임(300)에 나사홀을 형성한 뒤, 스크류 체결을 이용하여 탑 샤시(100), 바텀 샤시(440) 및 몰드 프레임(300)을 동시에 체결할 수 있다. 즉, 탑 샤시(100), 바텀 샤시(440) 및 몰드 프레임(300)은 서로 고정될 수 있도록 다양하게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백라이트 어셈블리(400)는 광학시트(410), 확산판(420), 반사시트(430), 바텀 샤시(440), 및 광원 유닛(450)을 포함한다.
광원 유닛(450)은 광원(451) 및 광원(451)이 배치된 회로기판(452)을 포함한다. 광원 유닛(450)은 표시패널(200)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원 유닛(450)은 반사판(430)의 바닥면 또는 바텀 샤시(440)의 바닥면에 배치될 수 있다.
회로기판(452)은 둥글게 굴곡된 형태를 이룬다. 회로기판(452)은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며, 회로기판(452)은 반사 표면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사성을 갖는 물질로 회로기판(452)의 표면을 처리할 수 있다. 또한, 회로기판(452)은 방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금속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금속 재질은 제한이 없으며, 열전도율이 높은 다양한 금속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회로기판(452)은 도시되지 않았지만, 적어도 하나의 실장(mounting, 實裝) 영역과 배선 영역으로 구분된다. 광원(451)이 두 개 이상일 경우 각 실장 영역에 광원(451)이 하나씩 설치되고, 그리고 배선 영역에 그 광원(451)들로 구동전원을 전송하기 위한 복수의 배선들이 설치된다. 전술된 구동전원은 외부의 전원공급부(도시되지 않음)에서 생성된 후, 별도의 커넥터(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위의 복수의 배선들로 공급된다.
광원(451)은 LED(light emitting diod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광원(451)은 표시장치가 영상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광을 제공한다. 광원(451)으로부터 출사된 광은 확산판(420) 및 광학 시트(410)를 거쳐 표시패널(200)) 방향으로 가이드 된다. 광원 유닛(450)의 휘도 균일성을 위하여 광원(451)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광원(451)은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으로 균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광원(451)은 세로 방향으로는 나란히 배열되고 가로 방향으로는 지그재그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광원(451)은 가로 방향으로는 나란히 배열되고 세로 방향으로는 지그재그로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휘도 균일성을 얻기 위하여 광원(451)은 회로기판(452) 상에 다양하게 배열될 수 있다. 또한 회로기판(452)은 체결부재(미도시)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체결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광원(451)은 적어도 하나의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가 포함된 발광 패키지(package)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발광 패키지는 그 내부에 적색 광을 출사하는 적색 발광다이오드, 녹색 광을 출사하는 녹색 발광다이오드 및 청색 광을 출사하는 청색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 패키지는 세 종류의 색상을 조합하여 백색 광을 생성한다. 또 다른 예로서, 이 발광 패키지는 그 내부에 전술된 세 가지 색상의 발광다이오드들 중 청색 발광다이오드만을 포함할 수도 있는 바, 이와 같은 경우 청색 광을 백색 광으로 변환하기 위한 형광체가 그 청색 발광다이오드의 발광부에 형성된다. 광원(451)으로부터 방출된 광은 확산판(420)으로 입사된다.
확산판(420)은 광원 유닛(450) 상부에 배치된다. 확산판(42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둥글게 굴곡된 다면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확산판(420)은 표시패널(200)과 유사하게 플렉서블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확산판(420)은 최초로 제공된 형태가 편평한 형태일 수 있으며, 표시장치(10)에 조립된 최종 상태에서 휘어진 상태로 변형될 수 있다. 또는, 확산판(420)은 최초 형태가 휘어진 것으로 제공되되, 가요성이 없는 단단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확산판(420)은 광원 유닛(450)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제공받아 광을 확산시킨다. 즉, 확산판(420)은 광원 유닛(450)에서 발생한 광의 휘도 균일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확산판(420)은 광원(451)의 배치에 따라 밝은 부분으로 나타나는 휘점이 표시장치의 전면에서 보이지 않도록 한다. 또한, 확산판(420)은 공기층을 사이에 두고 광원 유닛(450)과 일정 간격을 가지도록 이격될 수 있다.
확산판(420)은 하부 몰드(320)에 고정된다. 확산판(420)은 예를 들어, 표시패널(200)과 같이 4각형의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LED와 같은 광원(451)을 사용하는 경우, 광원(451)의 위치에 따라 소정의 홈 또는 돌기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확산판(420)은 설명의 편의상, 플레이트(plate)로 기술하였으나, 표시장치의 슬림화를 위해 시트 또는 필름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확산판(420)은 광을 가이드하기 위한 플레이트 및 필름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기술된다.
확산판(420)은 광이 효율적으로 가이드 될 수 있도록 투광성을 가지는 재료, 예를 들어 PMMA(PolyMethylMethAcrylate)와 같은 아크릴 수지, 폴리카보네이트(PC: PolyCarbonate)와 같은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광학 시트(410)는 확산판(420)의 상부에 배치되어 확산판(420)으로부터 전달되는 빛을 확산하고 집광하는 역할을 한다. 광학 시트(410)는 둥글게 굴곡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광학 시트(410)는 표시패널(200)과 유사하게 플렉서블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광학 시트(410)는 최초로 제공된 형태가 편평한 형태일 수 있으며, 표시장치(10)에 조립된 최종 상태에서 휘어진 상태로 변형될 수 있다. 또는, 광학 시트(410)는 최초 형태가 휘어진 것으로 제공되되, 가요성이 없는 단단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광학 시트(410)는 확산 시트, 프리즘 시트, 보호 시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확산 시트는 확산판(420)으로부터 입사되는 빛을 분산시켜서 빛이 부분적으로 밀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프리즘 시트는 일면에 삼각 기둥 모양의 프리즘이 일정한 배열을 갖고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확산 시트 상에 배치되어 확산 시트로부터 확산된 빛을 표시패널(200)에 수직한 방향으로 집광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보호 시트는 프리즘 시트 위에 형성될 수 있고, 프리즘 시트의 표면을 보호하고, 광을 확산시켜서 빛의 분포를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반사 시트(430)는 광원 유닛(450) 및 바텀 샤시(440) 사이에 배치되어, 확산판(420)의 하부로 방출되는 빛을 표시패널(200)로 향하도록 반사시켜 빛의 효율을 향상시킨다. 반사 시트(430)는 둥글게 굴곡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반사 시트(430)는 바닥면과 둔각을 이루어 연장된 날개부(Wing)를 포함한다. 반사 시트(430)의 바닥면은 바텀 샤시(440)에 안착될 수 있고, 반사 시트(430)의 날개부는 하부 몰드(320)에 배치될 수 있다.
반사 시트(430)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로 이루어져 반사성을 가질 수 있으며, 그 한쪽 표면은 예를 들어, 티타늄 디옥사이드를 함유하는 확산층으로 코팅될 수 있다.
한편, 반사 시트(430)는 예를 들어 은(Ag)과 같은 금속을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바텀 샤시(440)는 광원 유닛(450), 광학시트(410), 반사시트(430), 확산판(420) 및 하부 몰드(320)를 수납한다. 바텀 샤시(440)는 둥글게 굴곡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바텀 샤시(440)는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과 같은 강성을 가지는 금속 재질 또는 알루미늄 혹은 알루미늄 합금과 같이 방열 특성이 좋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바텀 샤시(440)는 표시장치의 골격을 유지하며, 내부에 수납되는 각종 구성 요소를 보호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곡면형 표시장치에서, 표시패널(200)이 휘어짐에 따라 표시패널(200)에서 응력이 발생한다. 응력(Stress)이란 외력이 어떠한 물체에 작용할 때, 물체 내부에 생기는 저항력 또는 변형력을 말한다. 따라서, 표시장치가 휘어짐에 따라 발생하는 응력을 감소시키는 구성이 필요하다.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곡률을 유지시키는 곡률 유지바(460) 및 바텀 샤시(440)의 결합 구조를 더욱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1 에 따른 곡률 유지바 및 바텀 샤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1 에 따른 곡률 유지바 및 바텀 샤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결합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Ⅱ-Ⅱ’선을 따라 절단한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바텀 샤시(440)는 바닥부(441), 바닥부(441)에서 절곡된 측벽부(442), 걸림 돌기(443)를 포함하고, 결합 홀(444)을 갖는다. 바텀 샤시(440)는 소정의 곡률을 갖는다.
바닥부(441)는 확산판(420), 광학시트(410) 및 표시패널(200)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측벽부(442)는 바닥부(441)의 가장자리에서 이와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걸림 돌기(443)는 바닥부(441)의 일면에서 연장되고, 곡률 유지바(460)를 바텀 샤시(440)에 고정시킨다. 걸림 돌기(443)는 이중 사출 또는 인서트 사출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바텀 샤시(44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후크(hook)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바닥부(441)는 돌출부(462)가 삽입되는 결합 홀(444)을 가진다. 결합 홀(444)은 바텀 샤시(440)의 장변 또는 단변과 평행하게 바닥부(441)에 형성된다. 결합 홀(444)은 곡률 유지바(460)의 돌출부(462)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걸림 돌기(443) 및 결합 홀(444)은 바텀 샤시(440)의 바닥부(441)의 중심을 기준으로 각각 대칭되도록 배치된다. 본 실시예 1에서 걸림 돌기(443) 및 결합 홀(444)의 개수를 예시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걸림 돌기(443) 및 결합 홀(444)의 개수는 표시장치의 크기 및 사용 용도 등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곡률 유지바(460)는 표시장치의 외면에 배치되고, 표시장치의 곡률을 유지시킨다. 구체적으로, 곡률 유지바(460)는 소정의 곡률을 갖고, 바텀 샤시(440)의 바닥부(441)와 접촉한다. 예를 들면, 곡률 유지바(460)는 바텀 샤시(44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곡률을 갖고, 바닥부(441)와 면접촉할 수 있다. 곡률 유지바(460)는 바텀 샤시(440)와 끼움 결합되고, 표시장치의 곡률을 유지시킨다.
곡률 유지바(460)는 바텀 샤시(440)의 장변 또는 단변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곡률 유지바(46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바텀 샤시(440)의 단변 길이의 1/3 이 되는 두 곳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외에도 곡률 유지바(460)는 바텀 샤시(440)의 크기 및 곡률을 고려하여 다양한 개수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곡률 유지바(460)는 바텀 샤시(440)의 장변 또는 단변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된다.
곡률 유지바(460)는 베이스부(461) 및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462)를 포함한다.
베이스부(461)는 걸림 돌기(443)와 결합된다. 베이스부(461)는 바텀 샤시(440)의 바닥부(441)와 접촉한다.
돌출부(462)는 베이스부(461)의 일면에서 돌출된다. 돌출부(462)는 베이스부(461)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베이스부(461)의 일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돌출부(462)는 바텀 샤시(440)의 결합 홀(444)에 삽입된다.
곡률 유지바(460)의 베이스부(461)가 바텀 샤시(440)의 걸림 돌기(443)에 체결되고, 돌출부(462)가 바텀 샤시(440)의 결합 홀(444)에 삽입됨에 따라 곡률 유지바(460)가 바텀 샤시(440)에 밀착 고정된다. 또한, 기존에 곡률 유지바(460)는 스크류 체결을 통하여 바텀 샤시(440)와 점접촉하였지만, 본 발명의 곡률 유지바(460)는 바텀 샤시(440)와 면접촉을 하게 된다. 따라서, 곡률 유지바(460)는 표시장치의 곡률을 신뢰성 높게 유지시킬 수 있다. 이외에도 스크류 공정 대신 곡률 유지바(460)를 바텀 샤시(440)에 끼움 결합하게 됨에 따라 부품 수가 감소되고 조립 공정이 간소화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직하형(direct type) 백라이트 유닛을 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에지형(edge type) 백라이트 유닛 등 다양한 타입의 액정표시장치에 본 발명의 구조가 적용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 1은 액정표시장치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곡률 유지바(460) 및 바텀 샤시(440)는 액정표시장치 이외에도 화상을 표시할 수 있는 다양한 곡면형 표시장치에 적용된다.
하기에서 도 6 내지 도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2 내지 실시예 5 를 각각 설명한다.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1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2 에 따른 곡률 유지바 및 바텀 샤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2 에 따른 곡률 유지바 및 바텀 샤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결합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곡률 유지바(460)는 복수 개의 돌출부(462)를 포함한다. 바텀 샤시(440)는 각각의 돌출부(462)와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 개의 결합 홀(444)을 갖는다. 돌출부(462)는 바텀 샤시(440)의 곡률 및 공정 난이도를 고려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3 에 따른 곡률 유지바 및 바텀 샤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결합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곡률 유지바(460)는 스크류(470)를 이용하여 바텀 샤시(440)에 더욱 밀착될 수 있다. 스크류(470)를 추가함에 따라 곡률 유지바(460) 및 바텀 샤시(440)의 체결력이 더욱 강화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4 에 따른 곡률 유지바 및 바텀 샤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4 에 따른 곡률 유지바 및 바텀 샤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결합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Ⅲ-Ⅲ’선을 따라 절단한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곡률 유지바(460)는 적어도 일부에서 휘어진 베이스부(461)를 포함하고, 바텀 샤시(440)는 바닥부(441)에서 절곡된 가이드부(445)를 포함한다.
곡률 유지바(460)의 베이스부(461)는 바텀 샤시(440)의 바닥부(441)와 평행한 제1 부분(461a) 및 제1 부분(461a)과 둔각을 이루는 제2 부분(461a)을 포함한다.
바텀 샤시(440)의 가이드부(445)는 이중 사출 또는 인서트 사출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바텀 샤시(44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부(445)는 바닥부(441)와 일체로 형성되며, 바닥부(441)의 일면에서 절곡된다. 가이드부(445)는 바닥부(441)와 예각을 이루며, 곡률 유지바(460)의 베이스부(461)와 접촉한다. 또한, 가이드부(445)는 돌출부(462)가 삽입되는 결합 홀(444)을 갖는다.
바텀 샤시(440)에 가이드부(445)를 배치함에 따라 곡률 유지바(460)와 바텀 샤시(440)의 체결력이 더욱 강화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5 에 따른 곡률 유지바 및 바텀 샤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5 에 따른 곡률 유지바 및 바텀 샤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결합 사시도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곡률 유지바(460)는 바텀 샤시(440)의 걸림 돌기(443)와 슬라이딩 결합된다. 곡률 유지바(460)는 실시예 1과 달리 돌출부(462)가 제외되고, 베이스부(461)만 포함한다. 걸림 돌기(443)는 곡률 유지바(460)의 좌측 및 우측을 따라 복수 개가 배치된다. 이와 같이 곡률 유지바(460) 및 바텀 샤시(440)를 형성할 경우, 곡률 유지바(460) 및 바텀 샤시(440)의 제작 및 체결 공정이 더욱 단순화될 수 있고, 공정 효율이 올라간다.
이와 같이, 곡률 유지바(460)와 바텀 샤시(440)간 체결력 및 공정 효율을 고려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곡률 유지바(460)와 바텀 샤시(440)를 형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표시장치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본 발명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예를 포함할 수 있다.
100 : 탑 샤시 110 : 측면부
120 : 가림부 200 : 표시패널
210 : 제1 기판 220 : 제2 기판
240 : 편광판 241 : 제1 편광판
242 : 제2 편광판 300 : 몰드 프레임
310: 상부 몰드 320: 하부 몰드
400 : 백라이트 어셈블리 410 : 광학시트
420 : 확산판 430 : 반사 시트
440 : 바텀 샤시 441 : 바닥부
442 : 측벽부 443 : 걸림 돌기
444 : 결합 홀 445 : 가이드부
450 : 광원 유닛 451 : 광원
452 : 회로기판 460 : 곡률 유지바
461 : 베이스부 461a : 제1 부분
461b : 제2 부분 462 : 돌출부
470 : 스크류

Claims (15)

  1. 곡률을 갖는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이 배치되며, 걸림 돌기를 포함하고 곡률을 갖는 바텀 샤시; 및
    상기 걸림 돌기와 결합되고,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곡률 유지바;를 포함하고,
    상기 바텀 샤시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결합 홀을 갖는 표시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바텀 샤시는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에서 절곡된 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 돌기는 상기 바닥부의 일면에서 연장되고,
    상기 바닥부는 상기 결합 홀을 갖는 표시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곡률 유지바는 곡률을 갖고, 상기 바닥부와 접촉하는 표시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곡률 유지바는 베이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일면에서 돌출된 표시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걸림 돌기와 결합하는 표시장치.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바텀 샤시의 상기 바닥부와 접촉하는 표시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곡률 유지바는 상기 바텀 샤시의 장변 또는 단변과 평행하게 배치된 표시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곡률 유지바를 상기 바텀 샤시의 상기 바닥부에 고정시키는 스크류를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9.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곡률 유지바는 적어도 일부에서 휘어진 베이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텀 샤시는 상기 바닥부에서 절곡된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베이스부와 접촉하고, 상기 결합 홀을 갖는 표시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와 상기 가이드부는 일체로 형성된 표시장치.
  12. 곡률을 갖는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이 배치되며, 걸림 돌기를 포함하고 곡률을 갖는 바텀 샤시; 및
    상기 걸림 돌기와 슬라이딩 결합되는 곡률 유지바;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바텀 샤시는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에서 절곡된 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 돌기는 상기 바닥부의 일면에서 연장된 표시장치.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곡률 유지바는 곡률을 갖고, 상기 바닥부와 접촉하는 표시장치.
  15.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곡률 유지바는 상기 바텀 샤시의 장변 또는 단변과 평행하게 배치된 표시장치.
KR1020140158870A 2014-11-14 2014-11-14 표시장치 KR1022508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8870A KR102250808B1 (ko) 2014-11-14 2014-11-14 표시장치
US14/702,071 US9541779B2 (en) 2014-11-14 2015-05-01 Display device including a curvature maintaining ba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8870A KR102250808B1 (ko) 2014-11-14 2014-11-14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8313A true KR20160058313A (ko) 2016-05-25
KR102250808B1 KR102250808B1 (ko) 2021-05-12

Family

ID=55963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8870A KR102250808B1 (ko) 2014-11-14 2014-11-14 표시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541779B2 (ko)
KR (1) KR1022508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55258B2 (en) * 2014-05-30 2017-05-16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KR102269968B1 (ko) 2014-12-08 2021-06-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TWM496780U (zh) * 2014-09-15 2015-03-01 Innolux Corp 電子顯示裝置
KR102373003B1 (ko) * 2015-10-28 2022-03-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JP6663589B2 (ja) * 2016-03-29 2020-03-13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カバー付き表示装置
KR101866314B1 (ko) * 2016-07-12 2018-06-12 (주)코텍 곡면형 디스플레이
KR102524906B1 (ko) * 2016-09-19 2023-04-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7656403B (zh) * 2017-09-29 2021-03-2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曲面显示面板及曲面显示装置
KR102476295B1 (ko) * 2018-01-31 2022-1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N114236904B (zh) * 2021-12-10 2022-10-11 重庆惠科金渝光电科技有限公司 背光模组及液晶显示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76330A (ko) * 2007-02-15 2008-08-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20140059930A (ko) * 2012-11-08 2014-05-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15999A (zh) * 2010-07-12 2010-12-15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非平面显示模块及其背框支撑架构造
KR101320385B1 (ko) 2011-06-30 2013-10-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요성 표시 패널 및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9711752B2 (en) 2011-12-19 2017-07-18 Lg Electronics Inc. Display apparatus
KR101401196B1 (ko) 2011-12-19 2014-05-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JP5842602B2 (ja) 2011-12-26 2016-01-13 株式会社Joled 曲面ディスプレイ
JP6195698B2 (ja) * 2012-06-11 2017-09-13 サターン ライセンシング エルエルシーSaturn Licensing LLC 表示装置
KR102041883B1 (ko) 2012-07-09 2019-11-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커브드 프레임 및 이를 갖는 커브드 표시장치
CN104756176B (zh) * 2012-10-25 2017-12-08 Lg电子株式会社 显示装置
US9323084B2 (en) 2012-11-08 2016-04-26 Lg Display Co., Ltd. Curve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140139950A (ko) * 2013-05-28 2014-12-0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9536456B2 (en) * 2013-07-02 2017-01-03 Lg Electronics, Inc. Image display device
KR102193921B1 (ko) * 2014-04-23 2020-1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76330A (ko) * 2007-02-15 2008-08-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20140059930A (ko) * 2012-11-08 2014-05-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541779B2 (en) 2017-01-10
US20160143161A1 (en) 2016-05-19
KR102250808B1 (ko) 2021-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0808B1 (ko) 표시장치
KR102343720B1 (ko) 표시장치
KR102256232B1 (ko) 표시장치
KR102216100B1 (ko) 표시장치
US9784911B2 (en) Backlight assembly including alignment member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20200142244A1 (en) Display device
KR102216079B1 (ko) 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멀티 표시장치
KR102270236B1 (ko) 표시장치
KR20160035132A (ko) 표시 장치
KR20160077489A (ko) 표시 장치
KR20180064612A (ko) 표시 장치
KR20160135894A (ko) 표시 장치
US20100220256A1 (en)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20160135896A (ko) 표시장치
KR20160013418A (ko) 표시장치
KR20160010774A (ko) 표시장치
KR20160148106A (ko) 표시 장치
KR101834350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60147106A (ko) 표시장치
KR20150145915A (ko) 백라이트 유닛
US20160102847A1 (en)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ing device
KR20160008675A (ko) 표시장치
KR102236800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60048297A (ko) 표시 장치
KR20160031080A (ko)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