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7637A - 융착 조건 자동 제어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융착 조건 자동 제어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7637A
KR20160057637A KR1020140158482A KR20140158482A KR20160057637A KR 20160057637 A KR20160057637 A KR 20160057637A KR 1020140158482 A KR1020140158482 A KR 1020140158482A KR 20140158482 A KR20140158482 A KR 20140158482A KR 20160057637 A KR20160057637 A KR 201600576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ding
fusing
fusion
electronic tag
cond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8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승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이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to KR10201401584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57637A/ko
Publication of KR20160057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76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78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34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elements which remain in the joint, e.g. "verlorenes Schweiss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34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elements which remain in the joint, e.g. "verlorenes Schweisselement"
    • B29C65/3404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elements which remain in the joint, e.g. "verlorenes Schweisselement"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eated elements which remain in the joint
    • B29C65/34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elements which remain in the joint, e.g. "verlorenes Schweisselement"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eated elements which remain in the joint comprising at least a single wire, e.g. in the form of a wi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34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elements which remain in the joint, e.g. "verlorenes Schweisselement"
    • B29C65/347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elements which remain in the joint, e.g. "verlorenes Schweisselement"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f the heated elements which remain in the joint
    • B29C65/3476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elements which remain in the joint, e.g. "verlorenes Schweisselement"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f the heated elements which remain in the joint being metall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4Specific machine types or machines suitable for specific applications
    • B29C66/861Hand-held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90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0Vehicles, e.g. ships or aircraft, or body parts thereof
    • B29L2031/3055C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융착 대상물인 제품의 사양을 인식함으로써, 융착설비를 자동으로 제어하여 차량용 부품의 융착과정을 자동화시키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본 시스템은 차량용 내/외장재 부품의 제조용 융착 설비에 있어서, 복수의 융착 대상물에 부착되어 융착 대상물의 융착 사양을 포함하는 전자태그, 복수의 대상물 각각의 전자태그 및 융착 사양에 대응하는 융착 작업 조건을 저장하는 메모리, 전자태그를 인식하고, 인식된 전자태그에 대응되는 융착 사양을 출력하는 전자태그 리더기 및 전자태그 리더기로부터 융착 대상물의 융착 사양을 입력받고, 상기 융착 사양에 대응하는 융착 작업 조건을 상기 메모리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융착 대상물의 융착 프로세스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통합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융착 조건 자동 제어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AUTO CONTROLLING OF MELT BONDING TYPE TOOL}
본 발명은 자동차 내/외장재 부품의 제조를 위한 융착 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융착 조건이 다른 여러 가지 제품을 하나의 융착 설비만으로 융착조건을 관리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부품의 경우 여러 개의 플라스틱 부품들을 결합하여 하나의 부품으로 완성하는 부품도 있다. 따라서 분리된 개개의 부품들을 일체로 결합하는 작업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며, 이를 위하여 전도열 또는 대류열을 이용하는 열융착 또는 열풍 융착 공법 또는 특정한 형상을 가진 공구혼의 진동과 주파수를 이용한 초음파(진동) 융착 공법에 의해 이루어진다.
종래에는 작업자가 직접 융착이 될 설비의 제품 사양을 확인하고, 확인된 제품 사양에 준해 융착 조건을 선택하고, 설비의 동작 프로그램, 융착시간 및 냉각시간을 일괄적으로 설정하여 융착 조건을 제어하도록 하였다.
도 1은 종래의 융착 조건 제어 방법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융착 조건 제어 방법은 제품의 사양을 작업자가 확인하는 단계(S110), 작업자의 융착조건 선택 스위치 조작에 의한 융착 조건을 설정하는 단계(S120), 설비동작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단계(S130), 융착조건을 설정하는 단계(S140)을 포함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단계를 수행하는 종래 융착 설비의 주요 융착 조건 관리 항목은 한 제품에 있는 다수의 융착점별 융착온도와 융착을 위한 예열시간, 융착 시간 및 냉각시간으로 구성되어있으며 융착조건의 제어를 위하여 하드웨어 전기부품인 PID 온도계 및 타이머를 이용하에 따라 융착조건을 최대 2종까지만 변경할 수 있었다. 이 경우, 융착 조건의 변경은 작업자가 직접 제품의 사양을 인지하고 설비의 융착 조건 선택 스위치를 조작하여 제품 사양에 맞는 융착조건을 변경하는 방식이었다.
구체적으로 시스템의 작동을 살피자면, 두 가지 사양의 제품을 하나의 융착 설비에서 작업할 경우에는 각 사양에 해당하는 PID 온도계와 시간을 제어하는 타이머를 별도로 설치하고, 작업자가 제품 사양을 인식하여 제품의 사양을 변경한 후 설비 동작 PLC 프로그램으로 융착설비의 기구부를 동작시키고 선택된 PID 온도계 및 타이머를 이용하여 융착작업을 진행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시스템 및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 두 가지 이내의 제한된 제품의 사양만 작업이 가능하여 다품좀 소량 생산 시스템의 적용이 어려웠고, 두 가지 이상의 제품의 사양을 작업해야 하는 경우 추가적인 설비가 필요하였다. 또한, 두 가지 사양의 제품을 하나의 융착설비에서 작업할 경우, 작업자가 직접 제품 사양을 인지하고 융착조건을 설정하여야 했는바 작업자의 실수에 의한 융착조건의 오류 발생 및 그에 의한 불량 제품이 발생할 수 있었다.
그리하여, 이러한 설비를 사용하는 경우 설비 시설에 대한 경비가 증가항 제조 경쟁력이 저하되었고, 작업자에 의한 융착 조건 변경으로 인한 일정한 품질의 보증이 어려운 문제가 발생하였다.
한국 공개 특허번호 제 2003-0030529호(2003년 04월 18일 공개)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 내/외장재 부품의 제조용 융착 설비에서, 융착 대상이 되는 부품에 부착된 바코드 등의 전자태그를 이용하여 융착 사양을 자동으로 인식하고, 인식된 융착 사양을 기준으로 자동으로 융착 조건을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융착 차량용 내/외장재 부품의 제조용 융착 설비에 있어서, 복수의 융착 대상물에 부착되어 융착 대상물의 융착 사양을 포함하는 전자태그, 복수의 대상물 각각의 전자태그 및 융착 사양에 대응하는 융착 작업 조건을 저장하는 메모리, 전자태그를 인식하고, 인식된 전자태그에 대응되는 융착 사양을 출력하는 전자태그 리더기 및 전자태그 리더기로부터 융착 대상물의 융착 사양을 입력받고, 융착 사양에 대응하는 융착 작업 조건을 메모리로부터 추출하여 융착 대상물의 융착 프로세스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통합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통합 제어부는 융착 사양으로부터 융착 대상물의 융착점별 융착온도, 예열시간, 융착시간, 냉각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융착 대상물을 고정시키고, 융착 대상물이 용융되어 융착되도록 하는 융착설비 및 통합 제어부의 제어 동작에 따라 자동으로 융착설비의 동작을 제어하는 융착설비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융착설비는 융착 대상물의 융착부를 가압하여 융착작업을 수행하는 융착팁 및 융착팁을 왕복 이동시키기 위한 작동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융착설비 제어부는 융착 대상물의 융착조건에 따라 선택되는 융착 설비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의 프로세스에 의하여 융착 설비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전자태그는 RFID, 바코드, QR코드 또는 개별 센서태그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융착 대상물의 융착 사양을 표시하거나, 실행되는 융착 작업의 내역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 및 복수의 개별 융착 대상물의 융착 사양 및 융착 작업이 진행되는 융착 환경을 저장하거나, 융착 대상물의 융착 결과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융착 조건 자동 제어 방법을 제공하며, 본 방법은 각각의 전자태그가 부착된 복수의 융착 대상물, 메모리, 전자태그 리더기 및 통합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내/외장재 부품의 제조용 시스템의 융착 조건 자동 제어 방법으로서, 전자태그를 인식하고 전자태그에 대응되는 융착 대상물의 융착 사양을 입력받는 단계, 메모리로부터 융착 사양에 대응되는 융착 작업 조건을 추출하는 단계 및 융착 작업 조건에 따른 융착 대상물의 융착 프로세스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융착 사양 및 융착 작업 조건을 작업자에게 전달하기 위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융착 대상물의 개별 융착 프로세스 이력을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복합적인 융착 설비로서 다양한 융착 부품의 사양을 통합적으로 제어하게 됨으로써 다품종 소량 생산이 가능해지고, 융착 품질을 확보함에 따라 융착 대상물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결과적으로는 제조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융착 대상물 별로 융착 작업 이력을 자동 저장함에 따라 융착 품질 보증이 가능해져 융착 설비의 유지 관리를 향상시킴과 더불어 융착 자동 제어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융착 조건 제어 방법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융착 조건 자동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기능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태그 및 융착 대상물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바코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융착 조건 자동 제어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양상들이 아래에서 설명된다. 여기에서 제시되는 발명들은 폭넓은 다양한 형태들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제시되는 임의의 특정한 구조, 기능 또는 이들 모두는 단지 예시적이라는 것을 이해하도록 한다. 여기에서 제시되는 발명들에 기반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여기에서 제시되는 하나의 양상이 임의의 다른 양상들과 독립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둘 이상의 이러한 양상들이 다양한 방식들로 결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여기에서 설명되는 임의의 수의 양상들을 이용하여 장치가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방법이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양상들에 더하여 또는 이들 양상들이 아닌 다른 구조, 기능 또는 구조 및 기능을 이용하여 이러한 장치가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이러한 방법이 실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융착 조건 자동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기능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의 융착 조건 자동 제어 시스템은 전자태그(15)가 부착된 융착 대상물(10), 전자태그 리더기(20), 메모리(30), 통합 제어부(40), 융착설비 제어부(60), 융착설비(70), 및 표시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융착 대상물(10)은 자동차 부품의 일종으로서 여러 개의 플라스틱 부품들을 결합하여 하나의 부품으로 완성되는 부품으로서, 이러한 결합이 전도열 또는 대류열을 이용하는 열융착 또는 열풍 융착 공법 또는 특정한 형상을 가진 공구혼의 진동과 주파수를 이용한 초음파 융착 공법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태그(15)는 융착 대상물(10)의 융착사양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자태그(15)는 융착 대상물(10)의 일부에 부착될 수 있다. 전자태그(15)는 RFID, 바코드, QR코드, 개별 센서태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대표적인 실시예로 바코드 및 RFID를 예를 들어 설명하도록 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태그(15) 및 융착 대상물(10)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융착 조건 자동 제어 시스템에서 융착해야할 대상으로서의 융착 대상물(10), 즉 자동차 부품에는 바코드와 같은 전자태그(15)가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바코드는 융착 대상물(10)의 식별자로서 융착 대상물(10)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바코드는 문자나 숫자를 흑과 백의 막대 모양 기호로 조합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바코드의 데이터 저장량은 수십 단어(1~100Byte)에 불과하여 비교적 소량의 정보만을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RFID와 달리 접촉이나 가시거리가 확보된 근거리 스캔을 통한 개별 스캐닝을 해야만 하는 제약도 있다. 그러나 가격이 저렴하고 개별 제품에 모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융착 대상물(10)에 부착된 전자태그(15)가 바코드인 경우 전자태그 리더기(20)는 바코드 리더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바코드 리더기를 통해 바코드에 포함된 융착 사양에 대한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RFID는 융착 대상물(10)에 부착된 전자태그(15)로부터 무선 주파수를 이용하여 정보를 송신하고 이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바코드가 물건에 일일이 판독기를 접촉시켜 정보를 읽는 것과 달리, RFID는 무선으로 신호를 주고받기 때문에 바코드에 비해 인식 거리가 길고 여러 개의 제품 정보를 동시에 인식할 수 있어 빠른 인식 속도, 다른 통신망과의 연계 등의 장점을 지닌다. 또한 RFID 데이터 저장량은 수십 KByte까지 가능하여 융착 대상물(10)의 기본적인 정보 외에도 현재 융착 대상물(10)의 상태, 이동 과정 등의 다양한 정보를 담을 수 있다.
융착 대상물(10)에 부착된 전자태그(15)가 RFID인 경우 전자태그 리더기(20)는 RFID 리더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RFID 리더기를 통해 수하물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RFID에 포함된 융착 대상물(10)의 융착 사양에 대한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이때, 전자태그 리더기(20)와 통합 제어부(40)는 각각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은 유/무선 인터넷 및 CDMA, 셀룰라, GSM, W-CDMA,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IEEE 802.11 표준을 따르는 무선랜(Wireless LAN, WLAN),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바코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자태그(15)가 포함하는 융착 정보는 융착 대상물(10)의 품번, 생산 번호, 제품의 생산 Lot의 20자리 숫자(예를 들어, FBH000182310-M3100LT), 생산 일자, 장착 위치(예를 들어, F/1 H(FRT 1H)), 제품의 사이즈, 융착 대상물(10)의 융착점별 융착온도, 예열시간, 융착시간, 냉각시간 등의 융착 사양에 대한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30)는 융착 대상물별로 각각 설정된 융착 사양에 대응하는 융착 작업 조건을 저장할 수 있다. 융착 작업 조건은 융착 대상물의 융착점별 융착온도, 예열시간, 융착시간, 냉각시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융착 대상물의 전자태그(15)에 포함되어 있는 융착 사양에 대응되는 융착 작업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메모리(30)라 함은, 메모리(30)에 대응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메모리(30)는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메모리(30)에 저장된 정보를 검색, 저장, 및 관리하기 위한 별도의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링크드 리스트(linked-list), 트리(Tree),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형태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메모리(30)에 대응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모든 데이터 저장매체 및 데이터 구조를 포함한다.
통합 제어부(40)는 전자태그 리더기(20)로부터 융착 대상물의 융착 사양을 입력받고, 융착 사양에 대응하는 융착 작업 조건을 메모리(30)로부터 추출하여 융착 대상물의 융착 프로세스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통합 제어부(40)는 융착 사양으로부터 융착 대상물의 융착점별 융착온도, 예열시간, 융착시간, 냉각시간을 입력받아 융착 작업 조건에 대하여 제어할 수 있다.
통합 제어부(40)는 전자태그 리더기(20)로부터 입력받은 융착 사양에 대응하는 융착 작업이 융착 설비를 통해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융착 대상물, 즉 융착하고자 하는 부품의 사양을 자동으로 인식하고 인식된 부품 사양을 기준으로 자동으로 융착 조건을 변경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다품종 소량 생산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융착품질을 확보할 수 있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통합 제어부(40)는 전자태그 리더기(20)로부터 입력받은 융착 사양을 작업자에게 보여줄 수 있도록 표시부(5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부(50)는 작업이 진행중인 사항이 표시되는 작업 지시용 모니터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50)는 통합 제어부(40)에 연결되어 통합 제어부(40)로부터 작업이 진행되고 있는 융착 대상물의 종류, 융착 대상물에 실시되어야 할 융착 사양, 융착에 관한 상세 사항, 진행중인 융착의 상태 및 앞서 언급한 융착 작업 조건 등에 대하여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디스플레이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고유 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FT LCD, Thin Film Transistor-LCD), 발광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ED), 능동형 OLED(AMOLED, Active Matrix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벤디드 디스플레이(bended display), 그리고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표시부(50)는 작업이 진행되는 도중 발생하는 오류 사항, 추가 사항, 작업자가 미리 설정해 놓은 알람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융착설비(70)는 대상물을 고정시키고, 융착 대상물이 용융되어 융착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융착설비(70)는 융착 대상물을 직접 융착할 수 있는 기구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융착설비 제어부(60)로부터 직접 제어를 받아 융착 대상물을 용융하여 융착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융착설비(70)는 제품의 융착부를 가압하여 융착작업을 수행하는 융착팁과, 프레임에 연결되어 융착팁을 왕복 이동시키는 작동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융착설비 제어부(60)는 통합 제어부(40)의 제어 동작에 따라 자동으로 융착설비(7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융착설비 제어부(60)는 융착 대상물별로 설정된 융착 조건을 통합 제어부(40)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자동으로 융착설비(70)의 동작을 변경 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융착설비 제어부(60)는 융착설비(70) 동작의 프로그램을 탑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프로그램은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PLC 프로그램은 프로그램 가능 논리 제어 장치(programmable logic controller)의 약어로서, 이제까지 사용되어온 릴레이 제어반의 각종 릴레이, 타이머, 카운터 등의 기능을 마이크로프로세스를 이용해 통합시킨 것이다. 이 PLC에 프로그램을 작성함으로써 시퀀스 제어(sequnce control)는 물론 산술 연산, 논리 연산, 함수 연산, 조절 연산 및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PLC는 기존의 릴레이에 비해 제어 기능 신뢰성이 뛰어나고 제어 내용을 손쉽게 수정하고 변경할 수 있으며 릴레이에 비해 복잡한 제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등 많은 장점을 지니고 있다. PLC를 사용함으로써 얻게 되는 이점으로 프로그램 변경이 쉽고 시스템 확장이 간편해 작업 환경의 변화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다는 점과 유지 보수가 쉽고 신뢰성이 높아 고장을 줄여줌으로써 설비의 가동율이 향상되며 네트워크 기능과 고속의 데이터 처리 기능 및 충분한 용량의 데이터 기억 기능을 갖춰 향후 CIM 구축에 의한 전사 관리가 가능한 점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통합 제어부(40)는 융착 대상물별 융착작업의 이력을 메모리(30)에 자동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저장은 전산 시스템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융착 대상물별 융착 작업의 이력은 제품의 사양, 융착 조건, 작업 결과, 작업 중 발생하는 오류, 주의사항 및 기타 특이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융착 조건 자동 제어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융착 조건 자동 제어 방법을 제공하며, 본 방법은 각각의 전자태그(15)가 부착된 복수의 융착 대상물, 메모리(30), 전자태그 리더기(20) 및 통합 제어부(40)를 포함하는 차량용 내/외장재 부품의 제조용 시스템의 융착 조건 자동 제어 방법으로서, 융착 대상물의 전자태그(15)를 인식하는 단계(S10), 전자태그(15)에 대응되는 융착 대상물의 융착 사양을 입력받는 단계(S20), 융착 사양 및 융착 작업 조건을 표시하는 단계(S30), 메모리(30)로부터 융착 사양에 대응되는 융착 작업 조건을 추출하는 단계(S40), 융착 작업 조건에 따른 융착 대상물의 융착 프로세스를 제어하는 단계(S50) 및 융착 프로세스 이력을 저장하는 단계(S60)를 포함할 수 있다.
융착 대상물의 전자태그(15)를 인식하는 단계(S10)는 융착 대상물에 부착되어 있는 전자태그(15)를 전자태그 리더기(20)를 통해 인식하고, 인식된 융착 대상물의 식별자를 판별하는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태그(15)에 대응되는 융착 대상물의 융착 사양을 입력받는 단계(S20)는 전자태그(15)에 포함된 정보로부터 융착 대상물에 진행되어야 할 융착 사양을 식별할 수 있다.
융착 사양 및 융착 작업 조건을 표시하는 단계(S30)는 작업자에게 보여줄 수 있도록 융착 대상물의 융착 사양, 융착 조건 등을 작업 지시 모니터 등을 이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메모리(30)로부터 융착 사양에 대응되는 융착 작업 조건을 추출하는 단계(S40)는 융착 작업을 실시하기 위하여 실행되어야 할 융착 작업 조건을 메모리(30)로부터 추출하여 융착설비 제어부(60)로 전송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융착 작업 조건에 따른 융착 대상물의 융착 프로세스를 제어하는 단계(S50)는 통합 제어부(40)의 신호를 입력받은 융착설비 제어부(60)의 제어 동작으로 인하여 융착 설비가 작동되는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융착 프로세스 이력을 저장하는 단계(S60)는 융착이 이루어지거나 또는 완료된 융착 프로세스의 이력을 메모리(30)에 저장함으로써 융착 대상물의 프로세스를 저장할 수 있다.
10 : 융착 대상물
15 : 전자태그
20 : 전자태그 리더기
30 : 메모리
40 : 통합 제어부
50 : 표시부
60 : 융착설비 제어부
70 : 융착설비

Claims (10)

  1. 차량용 내/외장재 부품의 제조용 융착 설비에 있어서,
    복수의 융착 대상물에 부착되어 상기 융착 대상물의 융착 사양을 포함하는 전자태그;
    상기 복수의 대상물 각각의 전자태그 및 상기 융착 사양에 대응하는 융착 작업 조건을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전자태그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전자태그에 대응되는 융착 사양을 출력하는 전자태그 리더기; 및
    상기 전자태그 리더기로부터 상기 융착 대상물의 융착 사양을 입력받고, 상기 융착 사양에 대응하는 융착 작업 조건을 상기 메모리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융착 대상물의 융착 프로세스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통합 제어부;
    를 포함하는, 융착 조건 자동 제어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제어부는,
    상기 융착 대상물의 융착점별 융착온도, 예열시간, 융착시간, 냉각시간 등을 포함하는 상기 융착 프로세스를 제어하는. 융착 조건 자동 제어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융착 대상물을 고정시키고, 상기 융착 대상물이 용융되어 융착되도록 하는 융착설비; 및
    상기 통합 제어부의 제어 동작에 따라 자동으로 상기 융착설비의 동작을 제어하는 융착설비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합 제어부는,
    상기 전자태그 리더기를 통해 상기 융착 대상물의 융착 사양이 인식되면, 상기 융착 작업 조건을 상기 융착 설비제어부에 전달하고, 상기 융착 프로세스의 오류를 실시간 검출하고 상기 오류에 대한 피드백을 상기 융착설비 제어부에 전달하는, 융착 조건 자동 제어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융착설비는,
    상기 융착 대상물의 융착부를 가압하여 융착작업을 수행하는 융착팁;및
    상기 융착팁을 왕복 이동시키기 위한 작동유닛;을 포함하는. 융착 조건 자동 제어 시스템.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융착설비 제어부는,
    상기 융착 대상물의 융착조건에 따라 선택되는 상기 융착 설비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의 프로세스에 의하여 상기 융착 설비의 동작을 제어하는, 융착 조건 자동 제어 시스템.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태그는
    RFID, 바코드, QR코드 또는 개별 센서태그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융착 조건 자동 제어 시스템.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융착 대상물의 융착 사양을 표시하거나, 진행되는 융착 작업 이력을 작업자에게 전달하기 위하여 표시하는 표시부;및
    상기 융착 작업이 진행되는 융착 환경을 저장하거나, 상기 융착 대상물의 융착 결과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를 더 포함하는, 융착 조건 자동 제어 시스템.
  8. 각각의 전자태그가 부착된 복수의 융착 대상물, 메모리, 전자태그 리더기 및 통합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내/외장재 부품의 제조용 시스템의 융착 조건 자동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전자태그를 인식하고 상기 전자태그에 대응되는 상기 융착 대상물의 융착 사양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융착 사양에 대응되는 융착 작업 조건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융착 작업 조건에 따른 상기 융착 대상물의 융착 프로세스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융착 조건 자동 제어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융착 사양 및 상기 융착 작업 조건을 작업자에게 전달하기 위하여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융착 조건 자동 제어 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융착 대상물의 개별 융착 프로세스 이력을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융착 조건 자동 제어 방법.



KR1020140158482A 2014-11-14 2014-11-14 융착 조건 자동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576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8482A KR20160057637A (ko) 2014-11-14 2014-11-14 융착 조건 자동 제어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8482A KR20160057637A (ko) 2014-11-14 2014-11-14 융착 조건 자동 제어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7637A true KR20160057637A (ko) 2016-05-24

Family

ID=56113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8482A KR20160057637A (ko) 2014-11-14 2014-11-14 융착 조건 자동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5763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1099A (ko) * 2017-11-06 2019-05-15 주식회사 서연이화 열풍 융착 장치 및 방법
KR20190053516A (ko) * 2017-11-10 2019-05-20 주식회사 서연이화 열풍융착장치
KR102361140B1 (ko) * 2021-04-08 2022-02-09 이관민 고유 경보음이 출력되는 융착기 컨트롤러와, 이를 이용한 융착기 관리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1099A (ko) * 2017-11-06 2019-05-15 주식회사 서연이화 열풍 융착 장치 및 방법
KR20190053516A (ko) * 2017-11-10 2019-05-20 주식회사 서연이화 열풍융착장치
KR102361140B1 (ko) * 2021-04-08 2022-02-09 이관민 고유 경보음이 출력되는 융착기 컨트롤러와, 이를 이용한 융착기 관리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0159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esenting an augmented reality
JP6571462B2 (ja) 建設資材管理システムおよび建設資材管理方法
KR20160057637A (ko) 융착 조건 자동 제어 시스템 및 방법
US10341202B2 (en) Smartphone-assisted maintenance of a self-service terminal
US10635368B2 (en) Management of 3D printing
CN102354210A (zh) 一种汽车装配车间质量预警系统和方法
EP385972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lectronic labeling of electronic equipment
JP2011512605A5 (ko)
JP2016063116A (ja) 部品準備指示システムおよび部品準備指示方法ならびに携帯端末
US20200408791A1 (en) Method of information transmission, a liquid handling device, and a system
US20170277172A1 (en) Sim system, control method therefor and production informatization system
CN107153853A (zh) 一种二维码系统防错和追溯的方法
US20180295010A1 (en) Life cycle network management system for performing life cycle and maintenance management of distributed network devices
CN105100239A (zh) 车辆订单的监控方法和监控系统
JP4166751B2 (ja) 射出成形機の管理方法
US9429754B2 (en) Wearable assembly aid
CN104914792A (zh) 作业计划显示系统
KR101740374B1 (ko)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관리 가능한 스마트 취출 로봇 관제시스템
EP3041321A1 (en) Method for marking luminaires, controller arrangement and luminaire
KR102035072B1 (ko) 열풍 융착 장치 및 방법
CN104463538A (zh) 基于定位的物流车辆监控系统
CN104463539A (zh) 基于定位模块的智能物流车辆监控系统
JP6540061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用プログラム
US20230390990A1 (en) Controlled system for manufacturing products
US20220159355A1 (en) Method for controlling a wearable user device, a wearable user device as well as a control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