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7380A - 폼 프로세싱 - Google Patents

폼 프로세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7380A
KR20160057380A KR1020167001789A KR20167001789A KR20160057380A KR 20160057380 A KR20160057380 A KR 20160057380A KR 1020167001789 A KR1020167001789 A KR 1020167001789A KR 20167001789 A KR20167001789 A KR 20167001789A KR 20160057380 A KR20160057380 A KR 201600573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information
input box
touch screen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1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0238B1 (ko
Inventor
얀팡 메이
Original Assignee
알리바바 그룹 홀딩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리바바 그룹 홀딩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알리바바 그룹 홀딩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600573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73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02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02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F17/243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66Editing, e.g. inserting or deleting
    • G06F40/174Form filling; Mer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폼 프로세싱 방법 및 단말기를 제공한다. 폼에서 입력 박스를 위치 결정하는 데 커서를 이용하는 대신에, 본 기술들은 폼에서 커서의 지점을 고정시키고, 피처리 입력 박스에서의 정보 입력 지점이 터치스크린에서의 커서의 지점과 일치하도록 터치스크린에서 상기 폼을 이동시킨다. 본 기술들은 단말기가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피처리 입력 박스에 입력할 수 있게 하여, 정보 수집에 폼을 이용하기 위한 목적을 달성한다. 본 기술들은 터치스크린을 트리거링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한 클릭 및 커서의 이동에 많은 프로세스들을 할당할 필요가 없고, 단지 폼 이동에 프로세스들을 할당할 것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기술들은 폼 프로세싱에 필요한 프로세스들을 줄이고 단말기 리소스들을 효과적으로 절약한다.

Description

폼 프로세싱{FORM PROCESSING}
관련 특허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폼 프로세싱 방법 및 단말기(Form Processing Method and Terminal)"를 제목으로 하는 2013년 7월 30일에 출원된 중국 특허 출원 제201310326008.2호에 대한 외국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서 참고문헌으로 인용된다.
본 발명은 컴퓨터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폼 프로세싱을 위한 방법 및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 기술의 개발에 의해, 기본적인 입력 방법으로서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들은 이들이 소형이며 편리하게 운반될 수 있기 때문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현재, 다수의 단말기 제조 업체들에 의해 활성화된 터치스크린 휴대폰 및 태블릿 퍼스널 컴퓨터들(태블릿 PC, 플랫 PC, 태블릿, 슬레이트라고도 불림)은 기본적인 입력 방법으로서 터치스크린을 사용하는 통상의 단말기들이다.
태블릿에서의 터치스크린은 디지털 패널이라고도 불린다. 사용자는 입력 디바이스로서 전형적인 마우스 및 키보드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대신에,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을 직접 동작시키기 위해 그/그녀의 손가락을 이용할 수 있다. 태블릿에 정보를 입력하는 목적은 태블릿에 설치된 필체 인식 소프트웨어 또는 터치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소프트 키보드를 통해 달성된다.
통상의 정보 입력 프로세스들은 터치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폼(a form)을 통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태블릿을 포함한다. 폼은 데이터 수집을 담당하는 입력 페이지이다. 폼은 3개의 기본적인 구성요소들, 즉 폼 탭(a form tab), 폼 필드(a form field), 및 폼 버튼(a form button)을 갖는다.
폼 탭은 폼에 의해 수집된 정보를 처리하는 CGI 프로그램의 URL, 및 폼에 의해 수집된 정보를 서버에 제출하는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폼 필드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 박스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용 입력 박스는 수집된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텍스트 박스, 패스워드 박스, 히든 필드, 다중-라인 텍스트 박스, 다중-선택 박스, 단일-선택 박스, 드롭-다운 박스, 파일 업로드 박스 등일 수 있다.
폼 버튼은 폼에 의해 수집된 정보를 서버에서의 CGI 스크립트로 전송하거나 입력을 취소하기 위한 제출 버튼, 리셋 버튼, 및 제너럴 버튼(a general button)을 포함할 수 있다. 폼 버튼은 프로세싱 스크립트에 의해 정의되는 다른 처리 작업들을 제어하는 데에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태블릿의 터치스크린(106)에 디스플레이되는 폼(102) 및 소프트 키보드(104)를 도시한다. 전형적인 폼 프로세싱 방법은 커서 위치 결정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다. 커서(108)는 사용자가 현재 정보를 입력하고 있는 입력 박스(110)를 위치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태블릿은 터치스크린(106)에서의 소프트 키보드(104)의 클릭을 통해 커서(108)에 의해 위치 결정되는 입력 박스(110)로 사용자가 입력하는 정보를 수신한다.
커서 위치 결정 방법은 이하의 동작들을 포함한다. 사용자가 클릭하여 터치스크린을 트리거링한 후에, 사용자가 클릭하는 지점이 폼의 입력 박스 위치인지가 판정된다. 판정 결과가 긍정이면, 커서는 사용자가 클릭하는 입력 박스의 정보 입력 지점으로 이동된다. 사용자는 현재 커서에 의해 위치 결정된 입력 박스로 정보를 입력하기 위해 터치스크린에서의 소프트 키보드를 클릭한다. 또한, 터치스크린은 커서가 위치하는 입력 박스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정보를 수신할 준비가 되어 있다.
도 1에서의 폼(102) 및 소프트 키보드(104)의 예에서, 사용자가 입력 박스(110)의 첫 번째 라인을 클릭한 것을 터치스크린(106)이 검출한 후에, 커서(108)는 입력 박스(110)의 첫 번째 라인의 정보 입력 지점으로 이동된다. 터치스크린(106)은, 소프트 키보드(104)의 클릭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정보를 입력 박스(110)의 첫 번째 라인에서 수신한다. 입력 박스(110)의 첫 번째 라인에서의 정보가 입력 완료된 후에, 터치스크린(106)은 사용자가 입력 박스(110)의 임의의 다른 지점들을 클릭하는지를 계속해서 검출한다. 사용자가 입력 박스(110)의 두 번째 라인을 클릭한다고 가정하면, 터치스크린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현재 클릭한 입력 박스(110)의 지점으로 커서(108)를 이동시켜, 소프트 키보드(104)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정보를 계속해서 수신한다.
커서 위치 결정에 기초한 상기의 폼 프로세싱 방법에서, 터치스크린은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입력 박스에 정보를 입력하고자 하는지 및 사용자의 클릭에 의해 어떤 입력 박스가 트리거링되는지를 판정해야 한다. 판정 결과가 긍정이면, 커서는 사용자가 현재 정보를 입력하고 있는 입력 박스를 판정하기 위해 계속해서 이동된다. 따라서, 커서 위치 결정에 기초한 상기의 입력 동작들을 구현하기 위해 대량의 프로세스들이 터치스크린에 할당되어, 지나치게 많은 단말기 리소스들을 차지하고 단말기 리소스들을 소모하게 된다.
본 개요는 상세한 설명에서 추가로 설명되는 선택된 개념들을 단순화된 형태로 소개하기 위해 제공된다. 본 개요는 청구대상의 모든 주요한 특징들 또는 본질적인 특징들을 확인하도록 의도되지 않으며, 청구대상의 범위를 결정함에 있어서 보조물로서 단독으로 사용되도록 의도되지도 않는다. 예컨대, "기술들"의 용어는 상기 문맥에 의해 또한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허용되는 장치(들), 시스템(들), 방법(들) 및/또는 컴퓨터 판독가능 인스트럭션을 지칭할 수 있다. 본 기술들은 방향성 기술에서의 결과들에 대한 다양성을 개선한다.
본 발명은 예시적인 폼 프로세싱 방법을 제공한다. 예시적인 폼 프로세싱 방법은 터치스크린을 갖는 단말기에서 적용가능하다. 예시적인 방법은 이하의 동작들을 포함할 수 있다.
폼에서 피처리 입력 박스(a to-be-processed input box)가 판정된다. 폼은 피처리 입력 박스에서의 정보 입력 지점이 터치스크린에서의 커서의 지점과 일치하도록 터치스크린에서 이동된다. 소프트 키보드를 통해 수신된 정보와 같은 수신 정보는 피처리 입력 박스로 입력된다.
본 기술들은 커서를 트리거링하고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자의 클릭용 터치스크린에 많은 프로세스들을 할당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본 기술들은 단지 폼을 이동시키는 동작들에 프로세스들을 할당한다. 따라서, 본 기술들은 폼 프로세싱에 요구되는 프로세스들을 줄이고, 단말기 리소스들을 효과적으로 절약한다.
예컨대, 터치스크린에서의 커서의 지점은 소프트 키보드까지의 사전 설정 거리(a preset distance)를 갖는 지점이면서 소프트 키보드 위에 있다. 커서가 키보드 위에서 그리고 소프트 키보드에 가까운 지점에 고정되 있기 때문에, 본 기술들은 사용자가 정보를 편리하게 입력할 수 있게 하고, 사용자의 초점을 고정시키며, 폼을 작성하는 작성 속도 및 정확성을 개선한다.
예컨대, 피처리 입력 박스를 판정하는 동작은 이하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가 입력되지 않은 입력 박스는 피처리 입력 박스로 판정된다. 입력 정보가 입력 박스의 대응하는 정보 속성에 일치하지 않는 다른 입력 박스는 피처리 입력 박스로 판정된다. 위부터 아래로 또한 동일 라인에서 왼쪽부터 오른쪽으로와 같은, 폼에서 판정된 피처리 입력 박스들의 시퀀스에 따라, 판정된 입력 박스들은 피처리 입력 박스로서 연속해서 처리된다.
정보가 입력되지 않은 입력 박스 및 대응하는 정보 속성과 입력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입력 박스는 피처리 입력 박스로서 처리됨에 따라, 입력 정보가 단말기에서 검출될 수 있어, 사용자는 올바른 정보를 재입력할 것을 요청받을 수 있고 또한 폼 작성의 효율성을 개선할 수 있다.
예컨대, 수신된 정보가 피처리 입력 박스에 입력된 후에, 예시적인 방법은 이하의 동작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폼에서 모든 입력 박스들에 관한 정보 입력 동작들이 종료된 후에, 폼은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된다. 터치스크린을 통해 입력된 특정 입력 박스에 관한 클릭 또는 트리거가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후에, 폼은 사용자가 클릭한 특정 입력 박스에서의 정보 입력 지점이 터치스크린에서의 커서의 지점과 일치하도록 이동된다. 소프트키보드를 통한 것들과 같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정보는, 커서가 위치한 입력 박스에 이미 입력된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데 사용된다.
폼이 작성된 후에, 입력 박스에 입력된 정보가 사용자의 클릭 또는 트리거에 따라 변경될 수 있어, 잘못된 입력 정보는 폼 작성의 효율성을 개선하도록 단말기에서 검출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수신된 정보가 피처리 입력 박스에 입력된 후에, 예시적인 방법은 이하의 동작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폼에서 모든 입력 박스들에 관한 정보 입력 동작들이 종료된 후에, 폼은 서버로 제출된다. 서버에 의해 되돌려 보내진 잘못된 입력 정보를 갖는 폼이 수신된 후에, 입력 정보가 잘못된 입력 박스의 정보 입력 지점은 커서의 지점과 일치한다. 소프트 키보드를 통해 수신된 정보와 같은 재입력 정보는 입력 정보가 잘못된 입력 박스에 입력되어 입력 정보를 업데이트한다.
단말기가 서버로 제출한 폼이 입력 정보가 잘못된 입력 박스를 포함하는 경우, 단말기는 서버에 의해 되돌려 보내진 폼을 수신하고, 입력 정보가 잘못된 입력 박스를 커서의 지점과 맞지 않는 입력 박스와 정확하게 일치시켜, 사용자가 폼을 편리하게 변경할 수 있으며 또한 폼 작성의 효율성이 개선된다.
본 발명은 또한 예시적인 단말기에 터치스크린을 제공한다. 장치는 판정 모듈, 폼 이동 모듈, 및 입력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판정 모듈은 폼에서 피처리 입력 박스를 판정한다. 폼 이동 모듈은 피처리 입력 박스에서의 정보 입력 지점이 터치스크린에서의 커서의 지점과 일치하도록 터치스크린에서 폼을 이동시킨다.
입력 모듈은 소프트 키보드를 통해 수신된 정보와 같은 수신된 정보를 피처리 입력 박스에 입력한다.
본 기술들은 커서를 트리거링 및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자의 클릭용 터치스크린에 많은 프로세스들을 할당할 필요가 없으므로, 본 기술들은 단지 폼을 이동시키는 동작들에 프로세스들을 할당한다. 따라서, 본 기술들은 폼 프로세싱에 요구되는 프로세스들을 줄이고, 단말기 리소스들을 효과적으로 절약한다.
예컨대, 터치스크린에서의 커서의 지점은 소프트 키보드까지의 사전 설정 거리를 갖는 지점이면서 소프트 키보드 위에 있다. 커서가 키보드 위에서 그리고 소프트 키보드에 가까운 지점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본 기술들은 사용자가 편리하게 정보를 입력할 수 있게 하고, 사용자의 초점을 고정시키며, 폼 작성에 대한 작성 속도 및 정확성을 개선한다.
예컨대, 판정 모듈은 정보가 입력되지 않은 입력 박스를 피처리 입력 박스로 판정할 수 있다. 판정 모듈은 입력 정보의 대응하는 정보 속성과 입력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다른 입력 박스를 피처리 입력 박스로 판정할 수도 있다. 판정 모듈은, 위부터 아래로 또한 동일 라인에서의 왼쪽부터 오른쪽으로와 같은, 폼에서 판정된 피처리 입력 박스들의 시퀀스에 따라, 판정된 입력 박스들을 피처리 입력 박스로서 순차적으로 사용한다.
정보가 입력되지 않은 입력 박스 및 대응하는 정보 속성과 입력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입력 박스는 피처리 입력 박스로서 처리됨에 따라, 잘못된 입력 정보가 단말기에서 검출될 수 있어 사용자가 잘못된 정보를 재입력할 것을 요청받을 수 있고 또한 폼 작성의 효율성을 개선할 수 있다.
예컨대, 예시적인 장치는 폼에서 모든 입력 박스들에 관련된 정보 입력 동작들이 종료된 후에 사용자에게 폼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할 수도 있다. 폼 이동 모듈은, 터치스크린을 통해 입력된 특정 입력 박스에 관련된 클릭 또는 트리거가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경우, 사용자가 클릭한 특정 입력 박스에서의 정보 입력 지점이 터치스크린에서의 커서의 지점과 일치하도록 폼을 이동시킨다.
입력 모듈은 소프트 키보드를 통한 것들과 같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정보를, 커서가 위치한 입력 박스에 이미 입력된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데 사용한다.
폼이 완벽하게 작성된 후에, 입력 박스에 입력된 정보가 사용자의 클릭 또는 트리거에 따라 변경될 수 있어서, 잘못된 입력 정보는 단말기에서 검출될 수 있어 폼 작성의 효율성을 개선한다.
다른 예로서, 예시적인 장치는 폼에서 모든 입력 박스들에 관한 정보 입력 동작들이 완료한 후에 서버로 폼을 제출하는 제출 모듈을 포함할 수도 있다. 폼 이동 모듈은, 서버에 의해 되돌려 보내진 잘못된 입력 정보를 갖는 폼이 수신된 후에, 입력 정보가 잘못된 입력 박스의 정보 입력 지점을 커서의 지점과 일치시킨다. 입력 모듈은 소프트 키보드를 통해 수신된 정보과 같은 재입력 정보를, 입력 정보가 잘못된 입력 박스에 이미 입력된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데 사용한다.
단말기가 서버에 제출한 폼이 입력 정보가 잘못된 입력 박스를 포함하는 경우, 단말기는 서버에 의해 되돌려 보내진 폼을 수신하고, 입력 정보가 잘못된 입력 박스를 커서의 지점과 정확하게 일치시켜서, 사용자가 폼을 편리하게 변경할 수 있고, 폼 작성의 효율성이 개선된다.
본 명세서에서의 도면들은 본 기술들을 보다 잘 예시하기 위해 이하에서 간단하게 기재된다. 명확하게, 도면들은 본 발명에 대한 단지 일부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이다. 당업자는 창의적인 수고 없이도 이하의 도면들에 기초하여 다른 도면들을 획득할 수 있다.
도 1은 배경 기술들 하에서의 커서 위치 결정 방법들에 따라 예시적인 터치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예시적인 폼 및 소프트 키보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배경 기술들 하에서의 커서 위치 결정 방법들에 따라 입력 박스들 사이에서 커서의 이동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폼 프로세싱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커서와 소프트 키보드 사이의 예시적인 거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예시적인 단말기에 의해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되고, 모든 입력 박스들에 정보가 입력된 예시적인 폼의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단말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의 기재는 본 발명의 목적, 기술적 계획, 및 이점을 명확하게 예시하기 위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들을 대신하는 단지 일부 실시예들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기초하여, 당업자는, 창의적인 노력을 하지 않고서도, 또한 본 발명의 보호 범위 아래에 있는 다른 실시예들을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폼 프로세싱 기술들에서, 커서는 폼의 입력 박스를 위치 결정하는 데 사용되지 않는다. 대신에, 본 기술들은 터치스크린에서 커서의 지점을 고정시키고, 터치스크린에서 폼을 이동시키고, 피처리 입력 박스의 정보 입력 지점을 커서의 지점과 일치시킴으로써, 단말기는 정보 수집에 폼을 이용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피처리 입력 박스에 입력할 수 있다. 본 기술들은 커서를 트리거링하고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자의 클릭용 터치스크린에 많은 프로세스들을 할당할 필요가 없으므로, 본 기술들은 단지 폼을 이동시키기 위한 동작들에 프로세스들을 할당한다. 폼을 위치 결정하는 데 커서를 사용하는 종래의 기술들과 비교해서, 본 기술들은 폼 프로세싱에 요구되는 프로세스들을 줄이고, 단말기 리소스들을 효과적으로 절약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되는 바와 같은 단말기가 기본적인 입력 방법으로서 터치스크린을 사용하는 단말기일 수 있음을 유의한다. 단말기의 예들은 태블릿 및 터치-동작(touch-operate) 모바일 폰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서의 단말기는 태블릿 및 터치-동작 모바일 폰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폼은 쇼핑 웹사이트에서의 결재 페이지, 웹사이트 등록 페이지 등과 같은 웹 페이지에서 데이터 수집을 담당하는 입력 페이지일 수 있다. 본 명세서는 폼의 응용 시나리오 및 특정 표현을 제한하지 않는다.
본 기술들은 이하의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이하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 1 실시예의 예시적인 폼 프로세싱이 구현되기 전에, 단말기는 터치스크린을 통해 사용자의 트리거를 수신하여 서버와 네트워크 비지니스를 수행한다. 네트워크 비지니스를 구현하는 과정에서, 단말기가 서버에 의해 푸쉬된 폼 페이지를 수신한 후에, 단말기는 수신된 폼을 터치스크린을 통해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한다. 예컨대, 제 1 실시예의 예시적인 폼 프로세싱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단말기를 트리거링하는 이하의 3개의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제 1 예시적 방법은 사용자에 의한 수동적인 트리거이다. 단말기가 수신된 폼을 터치스크린을 통해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한 후에, 단말기는 폼이 사용자의 클릭에 의해 실시간으로 트리거링되는지를 검출한다. 폼이 사용자의 클릭에 의해 트리거링됨을 단말기가 검출하고, 또한 사용자에 의해 클릭된 지점이 터치스크린에서 디스플레이된 폼의 입력 박스의 지점이라고 단말기가 판정하면, 본 기술들은 사용자가 정보를 폼에 입력할 의도가 있다고 판정한다. 단말기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예시적인 폼 프로세싱 방법을 구현하기 시작한다.
제 2 예시적 방법은 직접적인 트리거이다. 폼이 수신된 폼을 터치스크린을 통해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단말기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예시적인 폼 프로세싱 방법을 직접적으로 구현하기 시작한다.
제 3 예시적 방법은 사전 설정의 시간 구간 후에 직접적인 트리거이다. 단말기는 수신된 폼을 터치스크린을 통해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고, (3초와 같은) 사전 설정의 시간 구간 후에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예시적인 폼 프로세싱 방법을 직접적으로 구현하기 시작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트리거 방법은 상기 방법들 중 임의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는 또한 다른 방법들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트리거 방법에 대해 어떠한 제한도 부여하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폼 프로세싱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302에서, 단말기는 폼에서 피처리 입력 박스를 판정한다. 예컨대, 단말기가 트리거 후에 폼에서 피처리 입력 박스를 처음으로 판정한다고 가정하면, 피처리 입력 박스는 폼에서 위부터 아래로의 첫 번째 입력 박스이다. 폼의 첫 번째 라인에 다수의 입력 박스들이 존재하면, 302에서의 피처리 입력 박스는 멀리 떨어진 입력 박스이다.
다른 예로서, 302에서의 동작이 구현되고 또한 단말기가 폼에서 일부 입력 박스들을 이미 처리한 경우를 가정하면, 피처리 입력 박스는 위부터 아래로 또한 동일 라인에서의 왼쪽부터 오른쪽으로의 시퀀스에 따라 처리되지 않은 입력 박스 중에서 첫 번째 입력 박스이다.
일반적으로 처리되지 않은 입력 박스들은, 정보를 입력하지 않은 입력 박스, 및 입력 정보를 갖지만 그 입력 정보가 입력 박스의 대응하는 정보 속성과 일치하지 않는 입력 박스를 포함하되,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기술들에서, 응용 시나리오에 의하면, 서버는, 폼을 생성할 때에, 폼에서 입력 박스들에 대응하는 정보 속성들을 사전 설정하고 또한 정보 속성들을 갖는 입력 박스들을 포함한 폼을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어서, 단말기는 입력 박스에 입력된 정보 대해 포맷 검증과 같은 예비 검증을 수행하는 데 입력 박스의 정보 속성들을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폼이 웹사이트 등록 페이지이고 특정 입력 박스로 입력되어야 하는 정보가 사용자의 휴대 전화번호이면, 서버는 입력 박스의 정보 속성을 "11 자리수"로서 설정할 수 있다. 입력 박스에 입력된 정보가 번호가 아니거나, 혹은 자리수가 11이 아니라고 단말기가 판정하는 경우, 입력 박스에 대응하는 정보 속성에 입력 정보가 일치하지 않으며 그 입력 박스가 정상적으로 처리되지 않은 입력 박스라고 단말기는 판정할 수 있다.
상기는 피처리 입력 박스를 판정하는 선택적 방법이다. 본 발명은 피처리 입력 박스를 판정하는 임의의 다른 방법에 어떠한 제한도 부여하지 않는다. 예컨대, 정상적으로 처리되지 않은 랜덤 입력 박스는 피처리 입력 박스로 판정될 수 있다.
304에서, 단말기는 피처리 입력 박스에서의 정보 입력 지점을 터치스크린에서의 커서의 지점과 일치하도록 터치스크린에서 상기 폼을 이동시킨다.
본 기술들에서, 터치스크린에서의 커서의 고정된 위치는 사용자가 사용자의 초점을 입력 및 고정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사전 설정될 수 있고, 그에 의해 폼 작성의 속도 및 정확성이 개선된다. 예컨대, 터치스크린에서의 커서의 고정된 지점은 소프트 키보드까지의 사전 설정 거리를 갖는 지점이면서 소프트 키보드 위에 있을 수 있다. 사전 설정 거리는 입력 박스의 높이, 2개의 인접한 입력 박스들 사이의 거리 등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사전 설정 거리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입력 박스들 사이의 거리 또는 2개의 입력 박스들 사이의 거리와 다음 입력 박스의 높이의 2/3과의 합일 수 있다.
커서 지점이 고정된 후, 피처리 입력 박스를 그때그때 판정하고 나서, 단말기는 피처리 입력 박스에서의 정보 입력 지점이 터치스크린에서의 커서의 지점과 일치하도록 터치스크린에서 폼의 지점을 이동시킨다.
단말기에 의해 폼을 이동시키는 예시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단말기는 피처리 입력 박스에서의 정보 입력 지점 및 터치스크린에서의 커서의 지점의 변위 벡터를 결정하고, 폼을 옮기는 데 결정된 변위 벡터를 사용한다. 도 4 및 도 6의 예들에서, 사용자가 "이름" 입력 박스의 입력을 완료한 후에, 단말기는 피처리 입력 박스가 "나이" 입력 박스라고 판정한다. 단말기는 추가로 스크린에서의 "나이" 입력 박스의 지점과 커서의 지점 사이에서 변위 벡터를 판정하고, "나이" 박스에서의 정보 입력 지점이 커서의 지점과 일치하도록,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환경에 도달할 때까지 변위 벡터에 따라 "나이" 입력 박스를 왼쪽으로 이동시킨다. (예컨대, "이름" 입력 박스는 터치스크린의 범위 밖으로 움직여질 수 있고, "나이" 입력 박스가 왼쪽으로 움직여진 후에 터치스크린에서 보여지지 않을 수 있다.)
306에서, 단말기는 수신된 정보를 피처리 입력 박스에 입력한다.
피처리 입력 박스에서의 정보 입력 지점이 터치스크린에서의 커서의 지점과 일치함에 따라, 피처리 입력 박스는 사용자가 정보를 현재 입력하고 있는 입력 박스이다. 따라서, 단말기가 터치스크린에서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되는 소프트 키보드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단말기는 수신된 정보를 피처리 입력 박스에 입력한다.
예컨대, 서버가 피처리 입력 박스에 대응하는 정보 속성을 사전 설정하면, 단말기는 입력 정보가 피처리 입력 박스의 정보 속성에 일치하는지를 추가로 판정할 수 있다. 입력 정보가 피처리 입력 박스의 정보 속성에 일치하면, 후속 동작들이 수행된다. 입력 정보가 피처리 입력 박스의 정보 속성에 일치하면, 동작은 302로 점프한다. 입력 정보가 정보 속성에 일치하지 않는 입력 박스는 피처리 입력 박스로서 재사용된다. 이와 달리, 입력 정보가 대응하는 정보 속성에 일치할 때까지 사용자는 입력 정보가 일치하지 않음을 상기하게 되어 피처리 입력 박스에 정보를 재입력할 것을 요청받고, 그 후에 308에서의 동작들이 구현된다.
308에서, 단말기는 피처리 입력 박스에 정보가 입력 완료되었는지를 판정한다. 결과가 긍정이면, 310에서의 동작들이 실시된다. 그렇지 않으면, 단말기는 피처리 입력 박스에 모든 정보가 입력 완료될 때까지 대기한다.
308에서, 단말기는 피처리 입력 박스의 정보 속성에 따라 정보 입력이 완료되었는지를 판정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단말기는 사용자의 트리거에 따라 정보 입력이 완료되었는지를 판정할 수 있다.
예컨대, 피처리 입력 박스의 정보 속성은 "11 자리수"이다. 사용자가 소프트 키보드를 통해 11개의 연속적인 숫자를 입력했음을 단말기가 검출하면, 그 단말기는 피처리 입력 박스에 정보 입력이 완료되었다고 판정한다.
다른 예로서, 단말기는 정보 입력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인스트럭션(예를 들어, 엔터 인스트력선 또는 임의의 다른 특정 인스트럭션)을 소프트 키보드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정보가 포함하는지를 판정한다.
310에서, 단말기는 정상적으로 처리되지 않은 임의의 다른 입력 박스가 있는지를 판정할 수 있다. 결과가 긍정이면, 302에서의 동작들이 수행된다. 그렇지 않으면, 312에서의 동작들이 수행된다.
302~310의 상기 동작들은 순환형의 프로세스들이다. 폼의 첫 번째 라인에서의 첫 번째 입력 박스에서부터, 302~310의 동작들은 모든 입력 박스들이 처리되어 정보 입력 동작들이 폼의 모든 입력 박스들에 대해 시행될 때까지 각 입력 박스에 대해 수행된다. 그 후에 단말기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프트 키보드를 숨기고 모든 입력 박스들이 사용자에 대해 처리된 폼을 디스플레이한다. 사용자가 입력 박스에 입력된 정보를 변경하길 원하면, 사용자는 종래의 기술에 따라 변경을 원하는 입력 박스를 클릭할 수 있다. 단말기는 사용자로부터 클릭 트리거를 수신하고, 입력 박스에서의 정보 입력 지점이 터치스크린에서의 커서의 지점과 일치하도록 폼을 이동시키고, 소프트 키보드를 열고, 또한 커서가 위치한 입력 박스에 이미 입력된 정보를 업데이트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정보를 계속해서 수신한다.
312에서, 단말기는 입력 박스들이 프로세싱을 완료한 폼을 서버에 제출한다. 서버가 성공 메시지를 보내면, 폼에 대한 프로세싱이 완료된다. 그렇지 않으면, 314에서의 동작들이 수행된다.
예컨대, 단말기는 입력 박스들이 프로세싱을 완료한 폼을 즉시 서버에 제출하지 못할 수 있다. 대신에, 단말기는 사용자의 트리거를 기다린다. 사용자가 폼에서 제출 버튼을 클릭하면, 단말기는 사용자가 터치스크린을 통해 폼을 제출한다는 트리거를 수신한다. 그 후, 단말기는 프로세싱을 완료한 입력 박스들을 갖는 폼을 서버에 제출한다.
314에서, 단말기는 서버에 의해 되돌려 보내진 잘못된 입력 정보를 갖는 폼을 수신한다.
서버가 단말기에 의해 제출된 폼을 수신한 후에, 서버는 폼의 각 입력 박스에 입력된 정보를 분석한다. 정보가 분석을 거치면, 서버는 이때 단말기로 성공 메시지를 되돌려 보내고 폼의 프로세싱을 완료하며, 이후에 314에서의 동작들을 수행하지 않는다. 정보가 분석을 거치지 않으면, 서버는 폼의 입력 박스들에 입력된 일부 정보가 올바르지 않다고 판정하고, 서버는 단말기로 폼을 되돌려 보내고, 단말기에게 잘못된 입력 정보를 갖는 입력 박스를 통지하며, 사용자에게 올바른 정보를 입력할 것을 요청한다.
316에서, 단말기는 잘못된 입력 정보를 갖는 입력 박스에서의 정보 입력 지점을 터치스크린에서의 커서의 지점과 일치시킨다.
316에서, 단말기가 서버에 의해 되돌려 보내진 폼을 수신하면, 단말기는 또한 잘못된 입력 정보를 갖는 입력 박스의 아이덴티티를 획득한다. 잘못된 입력 정보를 갖는 단지 하나의 입력 박스가 있으면, 단말기는 입력 박스에서의 정보 입력 지점을 터치스크린에서의 커서의 지점과 일치시킨다. 잘못된 입력 정보를 갖는 다수의 입력 박스가 존재하면, 단말기는 316에서의 동작들 및 폼의 위부터 아래로 그리고 각 라인에서의 왼쪽부터 오른쪽으로의 시퀀스에 따라 잘못된 정보를 갖는 입력 박스들에 차례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318에서, 단말기는 사용자가 현재 입력하는 정보를 수신하고 또한 재입력 정보로서 현재 입력 정보를 사용하여, 잘못된 입력 정보를 갖는 입력 박스의 정보를 업데이트한다.
예컨대, 사용자는 단말기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해 소프트 키보드를 사용한다. 사용자가 현재 입력하는 정보를 단말기가 수신하면, 현재 입력 정보는 커서의 지점과 일치하는 정보를 업데이트하거나 또는 잘못된 정보를 갖는 입력 박스의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데 사용되어, 입력 박스에 현재 입력된 정보가 서버의 분석을 거친다.
320에서, 단말기는 잘못된 정보를 갖으며 또한 처리되지 않은 임의의 입력 박스가 존재하는지를 판정한다. 결과가 긍정이면, 316에서의 동작들이 수행된다. 그렇지 않으면, 312에서의 동작들은 서버가 폼을 성공적으로 분석하고 그 폼의 프로세싱을 완료할 때까지 수행된다.
제 1 실시예의 본 기술들 하에서, 폼의 프로세싱시에, 단말기는 단지 폼을 이동시키는 동작들에 컴퓨터 프로세스들을 할당한다. 폼을 위치 결정하는 데 커서를 이용하는 종래의 기술과 비교해서, 본 기술들은 폼을 프로세싱에 요구되는 프로세스들을 줄이고 단말기 리소스들을 효과적으로 절약할 수 있다. 또한, 본 기술들은 소프트 키보드의 위에 그리고 소프트 키보드에 가까운 지점에 커서를 고정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정보를 편리하게 입력할 수 있게 하며, 사용자의 초점을 고정시키고, 폼 작성의 입력 속도 및 정확성을 개선한다. 또한, 단말기에 의해 서버로 제출된 폼이 잘못된 입력 정보를 갖는 입력 박스를 포함하는 경우, 단말기는 서버에 의해 되돌려 보내진 폼을 수신하고, 잘못된 입력 정보를 갖는 입력 박스를 정확하게 커서와 일치시켜서, 사용자가 폼을 편리하게 변경할 수 있고 폼 작성의 효율성이 개선된다.
또한, 본 기술들은 제 1 실시예의 동일한 발명 개념에 속해 있는 예시적인 단말기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터치스크린을 제공한다.
단말기(8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802) 또는 데이터 프로세싱 유닛(들) 및 메모리(804)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804)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의 예이다. 메모리(804)는 판정 모듈(806), 폼 이동 모듈(808), 및 입력 모듈(810)을 포함하는 복수의 모듈을 저장할 수 있다.
판정 모듈(806)은 폼에서 피처리 입력 박스를 판정한다. 폼 이동 모듈(808)은 피처리 입력 박스에서의 정보 입력 지점이 터치스크린에서의 커서의 지점과 일치하도록 터치스크린에서 폼을 이동시킨다.
입력 모듈(810)은 소프트 키보드를 통해 수신된 정보와 같은 수신 정보를 피처리 입력 박스에 입력한다.
예컨대, 터치스크린에서의 커서의 지점은 소프트 키보드까지의 사전 설정 거리를 갖는 지점이면서 소프트 키보드의 위에 있다.
예컨대, 판정 모듈(806)은 정보가 입력되지 않은 입력 박스를 피처리 폼으로 판정할 수 있다. 판정 모듈(806)은 입력 박스의 대응하는 정보 속성에 입력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다른 입력 박스를 피처리 폼으로 판정할 수도 있다. 판정 모듈(806)은, 위부터 아래로 그리고 동일 라인에서의 왼쪽부터 오른쪽으로와 같은, 폼에서 판정된 입력 박스들의 시퀀스에 따라, 판정된 입력 박스들을 피처리 입력 박스로서 하나씩 순차적으로 처리한다.
예컨대, 단말기는 폼에서 모든 입력 박스들에 관한 정보 입력 동작들이 종료된 후에 사용자에게 폼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모듈(812)을 포함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812)은 터치스크린과 통신할 수 있다. 즉, 단말기는 터치스크린을 통해 사용자에게 폼을 제시할 수 있다.
폼 이동 모듈(808)은, 특정 입력 박스에 관한 클릭 또는 트리거를 터치스크린을 통해 수신할 때에, 사용자가 클릭하는 입력 박스에서의 정보 입력 지점이 터치스크린에서의 커서의 지점과 일치하도록 폼을 이동시킨다.
입력 모듈(810)은 소프트 키보드를 통한 것들과 같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정보를, 커서가 위치하는 입력 박스에 이미 입력된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데 사용한다.
다른 예로서, 단말기는 폼에서 모든 입력 박스들에 관한 정보 입력 동작들이 종료된 후에 서버에게 폼을 제출하는 제출 모듈(814)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출 모듈(814)은 서버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 인터페이스로 간주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는 단말기에서의 폼을 서버에게 제출할뿐만 아니라 서버에 의해 푸쉬된 폼을 단말기로 수신한다.
폼 이동 모듈(808)은, 서버에 의해 되돌려 보내진 잘못된 입력 정보를 갖는 폼이 수신된 후, 입력 정보가 잘못된 입력 박스의 정보 입력 지점을 커서의 지점과 일치시킨다. 입력 모듈(810)은 소프트 키보드를 통해 수신된 정보와 같은 재입력 정보를, 입력 정보가 잘못된 입력 박스에 이미 입력된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데 사용한다.
다른 예로서, 단말기(800)는, 상기 모듈들에 추가로, (도 8에 도시되지 않은) 소프트 키보드 및 터치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의 화면으로서의 터치스크린은 사용자에게 페이지 또는 폼을 제시하고, 사용자가 터치스크린을 터치할 때에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트리거 메시지를 수신한다.
터치스크린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시되는 소프트 키보드는 사용자가 입력 인터페이스로서 소프트 키보드를 클릭할 때에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정보를 수신한다.
본 발명의 단말기(800)는, 통상의 단말기와 같이, 간결성을 위해 여기서 상세히 열거되지 않는 일반적인 네트워크 통신 능력 및 사용자와의 상호작용 능력을 가질 수도 있다.
당업자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방법, 시스템,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제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기술들은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기술들은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으로서, 즉 컴퓨터 실행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가능 인스트럭션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저장 매체(디스크, CD-ROM, 또는 광 저장 장치를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 않음)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기술들은 방법, 디바이스(시스템),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의 흐름도 또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컴퓨터 실행가능 인스트럭션이 흐름도 및/또는 도면에서의 각 프로세스 또는 박스, 및 흐름도 및/또는 도면에서의 프로세스들 및 박스들의 조합을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실행가능 인스트럭션은 범용 컴퓨터, 특수 목적 컴퓨터, 임베디드 컴퓨터, 또는 임의의 다른 프로그래밍가능 데이터 프로세싱 디바이스에 제공되어, 컴퓨터 실행가능 인스트럭션이 컴퓨터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되거나 혹은 임의의 다른 프로그래밍가능 데이터 처리 프로세스가 흐름도에서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 및/또는 도면에서의 하나 이상의 박스의 지정된 기능들을 구현하는 머신을 생성할 수 있다.
컴퓨터 실행가능 인스트럭션은 컴퓨터 또는 임의의 다른 프로그래밍가능 데이터 프로세싱 디바이스가 특정 방법들로 동작하도록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될 수 있어서, 그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실행가능 인스트럭션은 인스트럭션 장치를 포함하는 제품을 생산한다. 인스트럭션 장치는 흐름도들에서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 및/또는 도면들에서의 하나 이상의 박스의 지정된 기능들을 구현한다.
컴퓨터 실행가능 인스트럭션은 컴퓨터 또는 임의의 다른 프로그래밍가능 데이터 프로세싱 디바이스에 로딩될 수도 있어서, 그 컴퓨터 또는 임의의 다른 프로그래밍가능 데이터 프로세싱 디바이스가 컴퓨터에 의해 구현되는 프로세스들을 생성하기 위해 일련의 동작들을 수행한다. 따라서, 컴퓨터 또는 임의의 다른 프로그래밍가능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가능한 컴퓨터 실행가능 인스트럭션은 흐름도들에서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 및/또는 도면들의 하나 이상의 박스의 지정된 기능들을 구현하기 위한 동작들을 제공한다.
표준 구성에서,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컴퓨팅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CPU, 입/출력 인터페이스, 및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있어서 비영구(non-permanent) 메모리,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및/또는 읽기 전용 메모리(ROM) 및 플래시 랜덤 액세스 메모리(플래시 RAM)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등의 형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의 예이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정보 저장을 구현하는 데 임의의 방법들 또는 기술들을 사용할 수 있는 영구적 및 비영구적이고, 이동가능 및 이동불가능한 매체를 포함한다. 정보는 컴퓨터 판독가능 인스트럭션, 데이터 구조,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임의의 데이터일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의 예는 상변화 메모리(PCM; phase-change memory), 스태틱 랜덤 액세스 메모리(SRAM), 다이내믹 랜덤 액세스 메모리(DRAM), 다른 타입의 RAM,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 내부 메모리, CD-ROM, DVD, 광 메모리,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임의의 다른 자기 저장 디바이스, 또는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액세스가능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비통신 매체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여기서 정의되는 바와 같이,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변조된 데이터 신호 및 반송파와 같은 일시적 매체를 포함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실시예들을 설명하고 있지만, 그/그녀가 여기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그 기본적인 개념들을 알고 있으면 당업자는 실시예들에 대해 변경 및 변형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항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들어가는 모든 변경 및 변형과 실시예들을 포함하도록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당업자는 본 기술들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 본 기술들에 대해 임의의 수정 또는 변형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수정 또는 변형이 본 기술들 및 그에 상응하는 기술들에 대한 청구항들의 범위에 있는 경우,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수정 또는 변형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Claims (20)

  1. 폼에서 피처리 입력 박스(a to-be-processed input box)를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피처리 입력 박스에서의 정보 입력 지점(information inputting position)을 터치스크린에서의 커서의 지점과 일치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에서 상기 폼을 이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피처리 입력 박스에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소프트 키보드(a soft keyboard)를 통해 수신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에서의 커서의 지점을 고정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커서의 지점은 상기 소프트 키보드까지의 사전 설정 거리(a preset distance)를 갖으며 또한 상기 소프트 키보드 위에 있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폼에서 피처리 입력 박스를 판정하는 단계는, 정보가 입력되지 않은 입력 박스를 상기 피처리 입력 박스로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폼에서 피처리 입력 박스를 판정하는 단계는, 입력 정보가 상기 입력 박스의 대응하는 정보 속성과 일치하지 않는 입력 박스를 상기 피처리 입력 박스로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처리 입력 박스를 판정하는 단계는, 상기 폼의 동일 라인에서의 왼쪽부터 오른쪽으로 또한 위부터 아래로의 시퀀스에 따라 상기 폼에서 하나 이상의 입력 박스로부터 상기 피처리 입력 박스를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폼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입력되는 특정 입력 박스의 트리거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특정 입력 박스에서의 정보 입력 지점을 상기 터치스크린에서의 커서의 지점과 일치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에서 상기 폼을 이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재입력되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특정 입력 박스에 이미 입력된 정보를 업데이트하기 위해 상기 재입력 정보를 사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폼을 서버에게 제출하는 단계와,
    상기 폼의 적어도 하나의 입력 박스가 잘못된 입력 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 판정된 후에 상기 서버에 의해 되돌려 보내진 상기 폼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잘못된 입력 정보를 갖는 특정 입력 박스의 정보 입력 지점을 상기 터치스크린에서의 커서의 지점과 일치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에서 상기 폼을 이동시키는 단계와,
    재입력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특정 입력 박스에 이미 입력된 상기 잘못된 입력 정보를 업데이트하기 위해 상기 재입력 정보를 사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0. 폼에서 피처리 입력 박스를 판정하는 판정 모듈과,
    상기 피처리 입력 박스에서의 정보 입력 지점을 터치스크린에서의 커서의 지점과 일치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에서 상기 폼을 이동시키는 폼 이동 모듈과,
    상기 피처리 입력 박스에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 모듈을 포함하는
    단말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소프트 키보드를 통해 수신되는
    단말기.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커서의 지점은 상기 터치스크린에서 고정되는
    단말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점은 상기 소프트 키보드까지의 사전 설정 거리를 갖으며 또한 상기 소프트 키보드 위에 있는
    단말기.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모듈은 정보가 입력되지 않은 입력 박스를 상기 피처리 입력 박스로 판정하는
    단말기.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모듈은 입력 정보가 상기 입력 박스의 대응하는 정보 속성과 일치하지 않는 입력 박스를 상기 피처리 입력 박스로 판정하는
    단말기.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모듈은 상기 폼의 동일 라인에서의 왼쪽부터 오른쪽으로 또한 위부터 아래로의 시퀀스에 따라 상기 폼에서 하나 이상의 입력 박스로부터 상기 피처리 입력 박스를 판정하는
    단말기.
  17. 제 10 항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상기 폼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폼 이동 모듈은,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입력되는 특정 입력 박스의 트리거를 수신한 후, 상기 특정 입력 박스에서의 정보 입력 지점을 상기 터치스크린에서의 커서의 지점과 일치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에서 상기 폼을 이동시키며,
    상기 입력 모듈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재입력되는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특정 입력 박스에 이미 입력된 정보를 업데이트하기 위해 상기 재입력 정보를 사용하는
    단말기.
  18.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폼을 서버에게 제출하는 제출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폼 이동 모듈은, 상기 폼의 적어도 하나의 입력 박스가 잘못된 입력 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 판정되고 나서 상기 서버에 의해 되돌려 보내진 상기 폼을 수신한 후, 상기 잘못된 입력 정보를 갖는 특정 입력 박스의 정보 입력 지점을 상기 터치스크린에서의 커서의 지점과 일치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에서 상기 폼을 이동시키고,
    상기 입력 모듈은, 재입력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특정 입력 박스에 이미 입력된 상기 잘못된 입력 정보를 업데이트하기 위해 상기 재입력 정보를 사용하는
    단말기.
  19.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서,
    폼에서 피처리 입력 박스를 판정하는 동작과,
    상기 피처리 입력 박스에서의 정보 입력 지점을 터치스크린에서의 커서의 지점과 일치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에서 상기 폼을 이동시키는 동작과,
    상기 피처리 입력 박스에 정보를 입력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한 컴퓨터 실행가능 인스트럭션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소프트 키보드를 통해 수신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KR1020167001789A 2013-07-30 2014-07-29 폼 프로세싱 KR1022102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310326008.2 2013-07-30
CN201310326008.2A CN104346053A (zh) 2013-07-30 2013-07-30 一种表单处理方法和终端
PCT/US2014/048738 WO2015017464A1 (en) 2013-07-30 2014-07-29 Form process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7380A true KR20160057380A (ko) 2016-05-23
KR102210238B1 KR102210238B1 (ko) 2021-02-05

Family

ID=51390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1789A KR102210238B1 (ko) 2013-07-30 2014-07-29 폼 프로세싱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10445418B2 (ko)
EP (1) EP3028179A1 (ko)
KR (1) KR102210238B1 (ko)
CN (1) CN104346053A (ko)
HK (1) HK1204697A1 (ko)
SG (2) SG11201600220XA (ko)
TW (1) TWI605379B (ko)
WO (1) WO20150174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46053A (zh) 2013-07-30 2015-02-11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表单处理方法和终端
CN106997273B (zh) * 2016-01-22 2020-06-05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信息输入方法及装置
KR20180083131A (ko) * 2017-01-12 2018-07-20 에이치피프린팅코리아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CN107608822A (zh) * 2017-08-10 2018-01-19 深圳市佰仟金融服务有限公司 单据处理方法、终端及服务器
CN110765145B (zh) * 2019-10-15 2022-08-09 益萃网络科技(中国)有限公司 内容项传输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2307005B (zh) * 2020-11-11 2022-08-02 天津汇商共达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写入检查方法及装置
US11704484B2 (en) * 2021-04-30 2023-07-18 Bank Of America Corporation Cross channel digital data parsing and generation 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98935A1 (en) * 2001-06-25 2002-12-26 Crandall Steven Allen Methods and systems for validating the fields of a form
US20060262102A1 (en) * 2005-05-17 2006-11-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input window
US8346635B1 (en) * 2010-06-30 2013-01-01 Intuit Inc.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identifying suspect data of an electronic tax return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41018A (en) * 1997-03-12 2000-10-31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hypertext documents with visual effects
CN1085363C (zh) * 1998-08-04 2002-05-22 英业达股份有限公司 根据光标位置改变输入视窗位置的方法
JP2002055938A (ja) * 2000-08-10 2002-02-20 Pioneer Electronic Corp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用プログラムがコンピュータで読取可能に記録された情報記録媒体
US6577296B2 (en) * 2000-11-14 2003-06-10 Vega Vista, Inc. Fixed cursor
US8438496B1 (en) * 2007-05-09 2013-05-07 Adobe Systems Incorporated Content sensitive automatic scrolling
US20090249257A1 (en) 2008-03-31 2009-10-01 Nokia Corporation Cursor navigation assistance
CN101794195A (zh) * 2010-03-16 2010-08-04 北京商纳科技有限公司 一种考试分数录入方法及系统
US8572478B2 (en) * 2010-04-12 2013-10-29 Google Inc. Row heights in electronic documents
US8473861B2 (en) * 2010-06-17 2013-06-25 Freedom Scientific, Inc. System wide text viewer
JP5455823B2 (ja) * 2010-07-09 2014-03-26 アルパイン株式会社 カーソル表示方法および文字入力装置
CN102375667B (zh) * 2010-08-24 2015-11-25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定位输入焦点的方法和装置
JP5706253B2 (ja) 2011-07-04 2015-04-22 日立建機株式会社 電気駆動ダンプトラック
CN103020057A (zh) * 2011-09-21 2013-04-03 幻音科技(深圳)有限公司 窗口化显示rss摘要的方法及装置
CN103959206B (zh) * 2011-12-08 2016-10-19 英特尔公司 用于动态适应虚拟键盘的方法和装置
US9557913B2 (en) * 2012-01-19 2017-01-31 Blackberry Limited Virtual keyboard display having a ticker proximate to the virtual keyboard
KR101958747B1 (ko) * 2012-05-02 2019-03-1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텍스트 입력 방법 및 장치
US20130326428A1 (en) 2012-05-30 2013-12-05 Huawei Technologies Co., Ltd. Text input method and apparatus
CN103076982B (zh) 2013-01-24 2016-09-14 优视科技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中光标控制的方法及装置
CN104346053A (zh) 2013-07-30 2015-02-11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表单处理方法和终端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98935A1 (en) * 2001-06-25 2002-12-26 Crandall Steven Allen Methods and systems for validating the fields of a form
US20060262102A1 (en) * 2005-05-17 2006-11-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input window
US8346635B1 (en) * 2010-06-30 2013-01-01 Intuit Inc.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identifying suspect data of an electronic tax retur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445418B2 (en) 2019-10-15
US20200042586A1 (en) 2020-02-06
TWI605379B (zh) 2017-11-11
SG11201600220XA (en) 2016-02-26
WO2015017464A1 (en) 2015-02-05
US11093701B2 (en) 2021-08-17
KR102210238B1 (ko) 2021-02-05
SG10201800615RA (en) 2018-02-27
EP3028179A1 (en) 2016-06-08
TW201504923A (zh) 2015-02-01
CN104346053A (zh) 2015-02-11
US20150039988A1 (en) 2015-02-05
HK1204697A1 (en) 2015-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57380A (ko) 폼 프로세싱
KR101970208B1 (ko) 클램핑을 사용한 스크롤링의 변경
US9002699B2 (en) Adaptive input language switching
US8943092B2 (en) Digital ink based contextual search
US9202039B2 (en) Secure identification of computing device and secure identification methods
US20170160879A1 (en) Method and system for inputting information
KR20180008480A (ko) 애플리케이션 관련 사용자 데이터를 추출하고 공유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9632693B2 (en) Translation of touch input into local input based on a translation profile for an application
WO2016186819A1 (en) Real-time analysis of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s
CN111125555B (zh) 企业信息获取方法以及装置
WO2016184319A1 (zh) 触控终端的字符输入方法
CN114896374A (zh) 一种人机交互方法及其装置
WO201504335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test nodes on webpages
KR20150027885A (ko) 전자 필기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WO2017211202A1 (zh) 数据的提取方法、装置及终端设备
US20180129300A1 (en) Input-based candidate word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CN111240553B (zh) 一种操作入口展示方法及装置
CN104503679A (zh) 一种基于终端界面触控操作进行搜索的方法及装置
US9935939B1 (en) Keyboard login manager
WO2015039585A1 (en) Method and device for testing software reliability
WO2018113638A1 (zh) 便携式电子终端及待操作对象选定装置与方法
US20150331564A1 (en) Interaction method and apparatus of smart device
CN104978112A (zh) 数据交互方法及装置
WO2014198039A1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distinguishing partial and complete handwritten symbols
Cardosa VOICE AND TOUCH BASED INPU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