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7066A - 유비쿼터스 컴퓨팅을 이용한 역가 관리형 시약 저장 장치 및 그 역가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유비쿼터스 컴퓨팅을 이용한 역가 관리형 시약 저장 장치 및 그 역가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7066A
KR20160057066A KR1020140157777A KR20140157777A KR20160057066A KR 20160057066 A KR20160057066 A KR 20160057066A KR 1020140157777 A KR1020140157777 A KR 1020140157777A KR 20140157777 A KR20140157777 A KR 20140157777A KR 20160057066 A KR20160057066 A KR 201600570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gent
storage device
information
reagent storage
pot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7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6621B1 (ko
Inventor
강연균
이근식
홍석제
윤종철
신현남
신성현
김지호
김영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티사이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티사이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티사이언
Priority to KR1020140157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6621B1/ko
Publication of KR20160057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70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6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66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06K17/0022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arrangements or provisious for transferring data to distant stations, e.g. from a sensing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49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 G06K19/07758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arrangements for adhering the record carrier to further objects or living beings, functioning as an identification ta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06K7/1408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the method being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type of code
    • G06K7/14172D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Abstract

본 발명은 유비쿼터스 컴퓨팅(ubiquitous computing)을 이용한 역가 (titer) 관리형 시약 저장 장치 및 그 역가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시약의 유효 기간 또는 역가를 기간 별로 n분하고 잔존 유효 기간 또는 잔존 역가를 비율로 환산한 시약의 역가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실험실 또는 연구실 등의 시약장이나 시약 보관실과 같은 시약 저장 장치에 보관 중인 시약의 역가 관리를 실시간으로 유비쿼터스 컴퓨팅에 의해 효율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시약 보관 환경의 불안정성에 의한 시약의 변질을 방지함과 아울러, 고가의 시약이나 특별관리가 필요한 불안정한 약품에 대한 효과적인 관리를 가능하게 하며, 시약 상태의 실시간 확인 및 체계적 관리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유비쿼터스 컴퓨팅을 이용한 역가 관리형 시약 저장 장치 및 그 역가 관리 방법{Titer Control Type Chemical Storeroom Using Ubiquitous Computing And Titer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유비쿼터스 컴퓨팅(ubiquitous computing)을 이용한 역가 (titer) 관리형 시약 저장 장치 및 그 역가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실험실 또는 연구실 등의 시약장이나 시약 보관실과 같은 시약 저장 장치에 보관 중인 시약의 역가 관리를 실시간으로 유비쿼터스 컴퓨팅에 의해 효율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시약 보관 환경의 불안정성에 의한 시약의 변질을 방지함과 아울러, 고가의 시약이나 특별관리가 필요한 불안정한 약품에 대한 효과적인 관리를 가능하게 하며, 시약 상태의 실시간 확인 및 체계적 관리가 가능한 유비쿼터스 컴퓨팅을 이용한 역가 관리형 시약 저장 장치 및 그 역가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약, 특히 바이오 계통의 시약이나 의약품은 상대적으로 고가인 경우가 많고 온도나 습도 등과 같은 보관 환경에 예민하며 시간 경과에 따른 역가 감소 현상을 나타내므로 대부분의 경우 보관 조건과 유효기간이 정해져 있다.
유효 기간이 경과하여 역가가 저하되거나 소실된 시약이나 약품을 사용하게 되면 의도하는 실험 결과를 얻지 못하게 될 가능성이 클 뿐만 아니라 잘못된 결론으로 유도할 수 있으므로 실험실이나 연구실에서 이 문제는 매우 중요하며, 유효 역가를 보유한 고가의 시약을 적기에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실험실이나 연구실 경제 측면에서도 중요한 요소이다.
종래 이러한 시약이나 약품의 보관 및 취급은 실험실 또는 연구실 내의 여러 시약장 내에 보관되고 있는 매우 다양한 종류의 수많은 시약들을 단순한 기억에 의존하거나, 시약 라벨을 일일이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찾아야만 하고, 시약의 반납 또는 반출 시 번거롭고 수고스럽게 수기로 관리 대장에 기록함이 통상적이었으며, 이러한 관리 기장을 컴퓨터에 기록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기록매체가 종이인가 컴퓨터 메모리인가의 차이만 있을 뿐 번거롭고 수고스럽기는 마찬가지였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방법에 있어서는, 특정 시약을 찾기 위해서는 작성된 목록을 일일이 확인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음과 아울러, 실수로 목록상의 시약장과는 다른 시약장에 시약을 보관한 경우에는 많은 시간과 노력을 들여 여러 시약장들을 전부 찾아보아야만 하는 불편이 있음은 물론, 데이터 베이스화를 위한 수기 또는 컴퓨터 타이핑 시 정보 기록 누락이 발생할 우려가 있어 시약의 저장 정보 및 역가 정보의 정확성과 신속성이 저하될 가능성이 크다.
한편, 각종 시약들의 역가 또는 유효 기간은 시약마다 다르고 시약의 개봉 여부에 따라 상이하므로 유효 기간, 구입일 또는 반입일을 기록하거나 또는 사용 후 잔량을 칭량하거나 기록하는 것만으로는 불충분하며, 시약의 효과적인 역가 관리를 위해서는 유효기간에 따른 단계별 관리가 필요하나 현재까지 이에 대한 관리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시약장 또는 시약 보관 장치는 알려져 있지 않다.
종래 본 출원인에 의한 등록특허공보 제10-1233641호(2013.02.08.)는 저장고 내부 환경 정보를 전달하는 센싱부와 바코드(barcode) 또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를 판독하여 저장 대상물의 반입 또는 반출 여부를 감지하는 리더부 및, 상기한 센싱부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한 저장고를 제어하고 상기한 리더부로부터 전달되는 이력을 관리하는 제어부로 구성되는 원격제어모니터링을 이용한 저장고 관리 및 저장대상물 반입, 반출 관리 장치와 그 방법을 개시(開示)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장치 및 방법은 시약의 역가 관리와는 무관하며, 시약과 같은 저장 대상물 용기에 바코드 또는 RFID를 붙여 이용하고 있으나, 통상의 1차원 바코드는 통상 20자 정도의 정보 저장 용량을 가지므로 기본적인 정보 사항 외에 시약 제조일과 유효 기간과 같은 역가 관련 정보를 저장하기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RFID를 이용한 3차원 스마트태그(smart tag)는 태그에 초소형 칩과 안테나를 부착하여야 한다는 점에서 비용 상승을 초래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장치 및 방법은 관리 데이터의 연산에 의한 역가 정보를 가공하여 시약의 역가 관련 정보를 실시간으로 또는 일정 기간 마다 사용자에게 제공한다거나, 또는 이를 통하여 시약의 역가 관련 정보에 따른 특정 시약의 우선 사용 소비 촉구 또는 신규 추가 구매 촉구 또는 복수개의 동종 시약 중 새 시약의 개봉 방지 기능은 전혀 존재하지 않았다.
등록특허공보 제10-1233641호(2013.02.08. 등록)
따라서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역가 또는 유효 기간이 상이한 수많은 시약들의 역가 또는 유효 기간 정보를 저장하고 이를 연산 가공하여 유효 기간 비율에 따른 역가 관리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효과적이고 경제적인 단계별 역가 관리를 수행할 수가 있는 유비쿼터스 컴퓨팅을 이용한 역가 관리형 시약 저장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역가 관련 데이터의 연산 가공에 의한 시약의 역가 관련 정보를 실시간으로 또는 일정기간 마다 사용자에게 제공하거나, 또는 이를 통하여 시약의 역가 관련 정보에 따른 특정 시약의 우선 사용 소비를 촉구하거나, 또는 신규 추가 구매를 촉구하거나, 또는 복수개의 동종 시약 중 새 시약의 개봉 방지 알림 기능을 가지는 유비쿼터스 컴퓨팅을 이용한 역가 관리형 시약 저장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세 번째 목적은 정보 수록 및 판독이 용이하면서도 경제적이며 또한 상대적으로 많은 용량의 정보를 수록할 수가 있는 2차원 바코드(barcode) 또는 QR 코드(quick response code)를 이용한 유비쿼터스 컴퓨팅을 이용한 역가 관리형 시약 저장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네 번째 목적은 시약 저장 장치 내에 센서를 구비하여 운전 정보 및 내부 환경 정보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작동 상태를 실시간으로 신속 제어함과 아울러, 시약 용기에 붙인 2차원 바코드 또는 QR 코드의 정보를 이용하여 유효 기간 등과 같은 역가 정보, 시약의 반입 및 반출, 위치 검색 및, 등록 등과 같은 관리 정보를 정확히 파악할 수가 있는 유비쿼터스 컴퓨팅을 이용한 역가 관리형 시약 저장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섯 번째 목적은 실험실 또는 연구실 등의 시약장이나 시약 보관실과 같은 시약 저장 장치에 보관 중인 시약의 역가 관리를 실시간으로 유비쿼터스 컴퓨팅에 의해 효율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시약 보관 환경의 불안정성에 의한 시약의 변질을 방지함과 아울러, 고가의 시약이나 특별관리가 필요한 불안정한 약품에 대한 효과적인 관리를 가능하게 하며, 시약 상태의 실시간 확인 및 체계적 관리가 가능한 시약의 역가 관리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첫 번째 내지 네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양태에 따르면, 시약 저장 장치 내에 보관되는 시약의 유효 기간 또는 역가를 포함하는 정보가 수록된 2차원 바코드(barcode) 또는 QR 코드(Quick Response code)를 판독하여 유효 기간 또는 역가와 시약의 반입 또는 반출 여부, 그리고 보관 위치를 포함하는 정보를 판독하는 리더부와; 상기 리더부로부터 판독된 유효 기간 또는 역가를 기간 별로 n분하여 잔존 유효 기간 또는 잔존 역가를 비율로 환산하는 연산부 및; 상기 연산부로부터 소정의 잔존 유효 기간 또는 잔존 역가 비율에 도달한 시약의 역가 정보를 포함하는 관리 정보를 실시간 또는 소정 시점마다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또는 상기 역가 정보를 관리자의 컴퓨터 또는 스마트폰에 실시간 또는 소정 시점마다 전달하고 지시 신호를 수령하는 데이터 송수신부로 구성되는 유비쿼터스 컴퓨팅을 이용한 역가 관리형 시약 저장 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역가 정보는 특정 시약의 우선 사용 소비를 촉구하는 정보, 또는 신규 추가 구매 촉구 정보, 또는 복수개의 동종 시약 중 새 시약의 개봉 방지 알림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시약 저장 장치는 시약 저장 장치 내부의 환경 정보를 측정하여 전달하는 복수의 측정 센서로 이루어지는 센싱부와, 상기 센싱부로부터 전달되는 내부 환경 정보 또는 관리자로부터 송신되어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에 수신되는 설정 기준에 따라 상기 시약 저장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시약 저장 장치는 입력부를 더욱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에 미리 저장된 아이디와 상기 입력부를 통해서 입력되는 아이디 또는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에 수신되는 아이디와 일치할 때에만 상기 시약 저장 장치를 개방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약 저장 장치는 상기 소정의 잔존 유효 기간 또는 잔존 역가 비율에 도달한 시약의 역가 정보와, 시약의 반입 및 반출 이력과, 보관 위치를 포함하는 관리 정보를 실시간으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부로부터 전달되는 시약 저장 장치 내부의 환경 정보 측정치가 설정 기준치 보다 높거나 낮을 경우 알람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다섯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양태에 따르면, (A) 전술한 시약 저장 장치 내에 보관할 시약의 유효 기간 또는 역가를 포함하는 정보가 수록된 2차원 바코드(barcode) 또는 QR 코드(Quick Response code)를 시약 용기에 부착하는 단계와; (B) 상기 2차원 바코드(barcode) 또는 QR 코드(Quick Response code)를 판독하여 유효 기간 또는 역가를 포함하는 정보를 판독하는 단계와; (C) 판독된 유효 기간 또는 역가를 기간 별로 n분하여 잔존 유효 기간 또는 잔존 역가를 비율로 환산하는 단계와; (D) 소정의 잔존 유효 기간 또는 잔존 역가 비율에 도달한 시약의 역가 정보를 포함하는 관리 정보를 실시간 또는 소정 시점마다 디스플레이하거나 또는 상기 역가 정보를 관리자의 컴퓨터 또는 스마트폰에 실시간 또는 소정 시점마다 전달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유비쿼터스 컴퓨팅을 이용한 시약의 역가 관리 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시약의 역가 관리 방법은 미리 설정된 시약 저장 장치 내의 환경 기준을 설정하고 상기 시약 저장 장치 내부의 복수의 측정 센서로부터 상기 시약 저장 장치 내부의 환경 정보를 센싱하여 상기 환경 기준에 부합하도록 상기 시약 저장 장치를 제어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시약의 역가 관리 방법은 미리 저장된 아이디와 입력되는 아이디 또는 유무선 수신되는 아이디와 일치할 때에만 상기 시약 저장 장치를 개방하도록 할 수 있다.
시약에 부착된 2차원 바코드 또는 QR 코드를 판독하고 연산하여 획득되는 상기 소정의 잔존 유효 기간 또는 잔존 역가 비율에 도달한 시약의 역가 정보와, 상기 2차원 바코드 또는 QR 코드를 판독하여 얻어지는 시약의 반입 및 반출 이력과 보관 위치를 포함하는 관리 정보는 실시간으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센싱된 상기 시약 저장 장치 내부의 환경 정보 측정치가 미리 설정된 상기 환경 기준치 보다 높거나 낮을 경우에는 알람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게 할 수 있다.
위에서, 상기 역가 정보는 특정 시약의 우선 사용 소비를 촉구하는 정보, 또는 신규 추가 구매 촉구 정보, 또는 복수개의 동종 시약 중 새 시약의 개봉 방지 알림 정보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비쿼터스 컴퓨팅을 이용한 역가 관리형 시약 저장 장치 및 그 역가 관리 방법은 유효 기간 또는 역가가 상이한 수많은 시약들의 유효 기간 또는 역가 정보를 저장하고 이를 연산하여 시약의 잔존 유효 기간 또는 잔존 역가를 비율로 환산한 역가 정보를 실시간으로 또는 단계별로 관리자에게 제공하거나, 또는 이를 통하여 특정 시약의 우선 사용 소비를 촉구하거나, 또는 신규 추가 구매를 촉구하거나, 또는 복수개의 동종 시약 중 새 시약의 개봉 방지 알림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고가의 시약이나 특별관리가 필요한 불안정한 약품에 대한 효과적인 관리를 가능하게 함은 물론, 시약 상태의 실시간 확인 및 체계적 관리가 가능하므로, 효과적이고 경제적인 시약의 역가 관리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2차원 바코드(barcode) 또는 QR 코드(Quick Response code)를 이용함으로써 정보 수록 및 판독이 용이하면서도 경제적이며 또한 상대적으로 많은 용량의 정보를 수록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선택적으로 시약 저장 장치 내에 센서를 구비하여 운전 정보 및 내부 환경 정보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작동 상태를 실시간으로 신속 제어함과 아울러, 시약 용기에 붙인 2차원 바코드 또는 QR 코드의 정보를 이용하여 유효 기간 등과 같은 역가 정보, 시약의 반입 및 반출, 위치 검색 및, 등록 등과 같은 관리 정보를 정확히 파악할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비쿼터스 컴퓨팅을 이용한 역가 관리형 시약 저장 장치의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사용되는 용어는 달리 특별히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쳐 사용되는 “시약 저장 장치”라는 용어는 외부의 불규칙한 온도나 습도 등에 영향 받는 환경 조건이 아닌 독립된 공간의 제어된 환경 조건 하에 시약 등을 저장하는 장치를 의미하며, 예를 들면 팬과 필터 또는 냉장이나 냉동 설비를 사용하는 저온 또는 상온의 시약장, 시약 저장실, 시약 저장고, 혈액이나 체액과 같은 바이오 시료 저장고, 의약품 저장고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시약 또는 시료 보관 공간을 지칭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 사용되는 “시약”이라는 용어는 협의의 시약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통상의 시약은 물론, 혈액이나 체액과 같은 다양한 생물학적 시료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정의된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 사용되는 “유비쿼터스 컴퓨팅(ubiquitous computing)”이라는 용어는 시약 저장 장치와 관리자가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고, 관리자 또는 사용자 중심의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며, 스마트폰 또는 컴퓨터에 의해 원격상으로도 제어 가능하고, 시약 저장 장치 내부의 환경, 기일 경과에 따른 그때마다의 시약들의 잔종 유효기간 또는 잔존 역가 상황, ID 등에 따른 변화된 정보 제공이 가능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구체예에 따른 유비쿼터스 컴퓨팅을 이용한 역가 관리형 시약 저장 장치를 간략히 도시한 블록도로서, 이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구체예에 따른 유비쿼터스 컴퓨팅을 이용한 역가 관리형 시약 저장 장치는 리더부(100), 연산부(200), 디스플레이부(300), 데이터송수신부(400), 센싱부(500), 제어부(600), 입력부(700) 및, 데이터베이스부(8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시약 저장 장치 내에 보관되어 있는 시약 또는 시료 용기에는 시약명, 제조업체 및 구입처 정보, 유효 기간, 역가, 제조일, 구입일, 구매단위, 용량, 보관 온도, 보관 유의 사항, 시약 보관 특성, 시약 특성, 순도, 농도, 재고량, 잔량, 사용 이력, 출고 및 입고 일자, 관리 실험실 및/또는 취급자 정보, 분자식 정보 및, 원래 보관 장소, 갱신 전 보관 장소, 갱신 후 보관 장소, 현재 보관 장소와 같은 위치 정보 등과 같은 관리 정보가 수록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한 관리 정보는 2차원 바코드 또는 QR 코드에 수록되며, 수평방향으로만 데이터가 수록되는 1차원 바코드는 포함 가능한 정보량이 적어 역가 관리에는 불충분하므로 바람직하지 않으며,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기술을 이용한 초소형 전자칩과 안테나가 포함된 3차원 스마트태그는 경제성 측면 및 정보 수록 및 판독에 마이크로소프트사의 특정 프로그램만을 사용하여야 한다는 점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부연하면, 2차원 바코드는 종래 널리 사용되어 온 1차원 바코드의 용량 제한을 극복하고 그 형식과 내용을 확장하기 위하여 2차원 종횡으로 정보를 수록한 코드로서 유효기간이나 역가 등과 같은 상세 정보를 수록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있어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한편 QR 코드는 흑백 격자무늬 패턴으로 정보를 나타내는 매트릭스 형식의 2차원 코드로서, 대용량 정보를 수록할 수 있으며 오염이나 손상에 강하고 오류 복원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므로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한 2차원 바코드 또는 QR 코드는 모두 상업적 구매가 아닌 프리웨어 프로그램이나 스마트폰 앱을 통하여 사용자나 관리자가 특정 시약에 관한 역가 정보를 포함하는 관리 정보를 수록하여 용이하게 생성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고 경제적이며, 상기한 바와 같이 생성된 2차원 바코드 또는 QR 코드를 용기에 붙여 두고, 본 발명에 따른 유비쿼터스 컴퓨팅을 이용한 역가 관리형 시약 저장 장치의 리더부(100)를 통한 정보 판독과 동시에 데이터베이스부(800)에 저장하는 것에 의해 각각의 시약의 역가 정보를 포함하는 관리 정보가 데이터베이스화된다.
따라서 시약의 반출 또는 반입시 리더부(100)에 의해 상기 2차원 바코드(barcode) 또는 QR 코드(quick response code)에 저장된 시약의 역가 정보를 포함하는 관리 정보가 판독되고, 정보의 특성 및 종류에 따라 연산부(200)에서 연산 가공되거나 또는 연산 가공 없이 디스플레이부(300) 또는 데이터송수신부(400)로 시약의 반입 또는 반출 여부와 위치 정보 등과 같은 관리 정보가 전달됨과 아울러, 제어부(600)에 전달된다.
상기 리더부(100)는 시약 용기에 부착된 2차원 바코드 또는 QR 코드를 통해서 반입 또는 반출이 감지됨과 아울러 그러한 정보가 저장되며, 이를 통해서 시약이 어느 시약 저장 장치에 보관되어 있는지 아니면 그 외의 장소에 있는지를 용이하게 실시간으로 어느 장소에서나 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연산부(200)는 각 시약에 대하여 판독된 유효 기간 또는 역가를 소정의 기간 별로 n분하여 기간별 영역으로 나누고 잔존 유효 기간 또는 잔존 역가를 유효 기간 또는 역가로 나눈 비율로 환산하여 잔존 유효 기간 또는 잔존 역가가 n분된 어느 영역에 위치하는지 가공된 역가 정보를 디스플레이부(300)에 실시간 또는 소정 시점마다 모아서 표시하거나 또는 상기 역가 정보를 관리자의 컴퓨터 또는 스마트폰에 실시간 또는 소정 시점마다 모아서 전달하거나, 또는 데이터베이스부(800)에 가공된 역가 정보를 저장한 후, 실시간 또는 소정 시점마다 모아서 디스플레이부(300) 또는 관리자의 컴퓨터 또는 스마트폰에 송신한다.
따라서 소정의 잔존 유효 기간 또는 잔존 역가 비율에 도달한 시약들의 역가 정보를 포함하는 관리 정보를 디스플레이부(300) 또는 관리자의 컴퓨터 또는 스마트폰에 전달하게 되므로, 사용자 또는 관리자는 특정 시약의 우선 사용 소비를 촉구하는 정보, 또는 신규 추가 구매 촉구 정보, 또는 복수개의 동종 시약 중 새 시약의 개봉 방지 알림 정보와 같은 역가 정보를 이용하여 시약의 효율적인 사용을 도모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시약 관리를 달성함과 아울러, 경제적인 실험실 또는 연구실 경제를 이룰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약 저장 장치는 내부의 환경 정보를 측정하여 전달하는 복수의 측정 센서로 이루어지는 센싱부(500)와, 상기 센싱부(500)로부터 전달되는 내부 환경 정보 또는 관리자로부터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400)에 수신되는 설정 기준의 지시에 따라 상기 시약 저장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600)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한 센싱부(500)는 예컨대 온도 센서, 습도 센서, 시약 저장 장치 내에 팬에 의해 형성되는 유속 센서, TVOCs(휘발성 유기화합물, Total Volatile Organic Compounds) 농도 센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600)는 시약 저장 장치 내의 에어컨, 냉동기, 히터 또는 팬(Pan)이나 알람 장치 등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시약 저장 장치 내를 일정한 조건의 환경으로 안정적으로 균일하게 유지하게 된다.
더불어, 상기 제어부(600)는 시약의 반입 반출 이력뿐만 아니라, 시약을 반입 반출하는 사용자를 관리하기 위하여 제어부(600)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이디를 저장할 수 있으며, 아이디는 시약 저장 장치에 접근하여 시약을 반입 반출할 수 있는 사용자를 식별하여 사용 이력을 저장함은 물론, 아이디가 다를 경우 시약 저장 장치의 개방을 거부함으로서 저지할 수 있게 한다.
한편, 데이터송수신부(400)는 데이터베이스부(800)로부터 연산부(200)를 경유하여 전달되거나 또는 데이터베이스부(800)로부터 제어부(600)를 경유하여 전달되거나, 또는 연산부(200)나 제어부(600)로부터 직접 전달되는 관리 정보 또는 센싱 정보를 유선(LAN ; Local Area Network 등)은 물론, 무선(USN ; Ubiquitous Sensor Network, WIFI ; Wireless LAN 등)으로 연결되어 있는 사용자 또는 관리자 단말기 등으로 시약 장치 장치 내부의 실시간 환경 정보 및 반입, 반출 이력, 위치 정보 등을 전송하여 보여줄 수 있음은 물론, 시약 역가 정보도 원하는 때에 실시간으로 또는 소정 시점 마다 잔존 유효 기간 또는 잔존 역가를 보여주거나 또는 잔존 유효 기간 또는 잔존 역가가 절반 정도 남은 시약 리스트, 거의 소진된 시약 리스트 등을 원하는 방식으로 보여 줄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약 저장 장치는 입력부(700)를 더욱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600)에 미리 저장된 아이디(ID, Identification)와 상기 입력부(700)를 통해서 입력되는 아이디 또는 관리자 또는 사용자에 의해 데이터송수신부(400)에 수신되는 아이디와 일치할 때에만 상기 시약 저장 장치를 개방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한 아이디는 비밀번호, 아이디카드, 지문, 홍채 등의 공지된 방법을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부연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부(800)는 소정의 잔존 유효 기간 또는 잔존 역가 비율에 도달한 시약의 역가 정보와, 시약의 반입 및 반출 이력과, 보관 위치를 포함하는 관리 정보를 실시간으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고 필요 시점 또는 소정 시점마다 이를 디스플레이부(300) 또는 데이터송수신부(400)로 전송하여 사용자 또는 관리자의 요구에 응답하게 된다.
더불어, 상기 데이터베이스부(800)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들을 별도의 관리자 아이디에게만 상기 정보들을 열람할 수 있도록 권한을 지정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서 더욱 안정적으로 시약을 관리 및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어부(600)에서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부(800)에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저장되어 있는 시약 저장 장치의 내부 환경 정보 및, 역가 정보와 시약의 반입 반출 이력과, 위치 정보 등을 이용하여 시약 저장 장치의 내부 환경 변화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으므로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시약의 보관 관리와 시약의 역가 관리를 수행할 수가 있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유비쿼터스 컴퓨팅을 이용한 시약의 역가 관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비쿼터스 컴퓨팅을 이용한 시약의 역가 관리 방법은 하기의 단계로 구성된다.
(A) 정보 수록 단계:
전술한 시약 저장 장치 내에 보관할 시약의 유효 기간 또는 역가를 포함하는 정보가 수록된 2차원 바코드(barcode) 또는 QR 코드(Quick Response code)를 출력하여 시약 용기에 부착한다.
(B) 정보 판독 단계:
상기 2차원 바코드(barcode) 또는 QR 코드(Quick Response code)를 판독하여 유효 기간 또는 역가를 포함하는 정보를 읽어낸다.
(C) 정보 연산 가공 단계:
판독된 유효 기간 또는 역가를 기간 별로 n분하여 잔존 유효 기간 또는 잔존 역가를 소정의 비율로 환산하여, 특정 시약의 우선 사용 소비를 촉구하는 정보, 또는 신규 추가 구매 촉구 정보, 또는 복수개의 동종 시약 중 새 시약의 개봉 방지 알림 정보를 생성한다.
(D) 역가 정보 전달 단계:
소정의 잔존 유효 기간 또는 잔존 역가 비율에 도달한 시약의 역가 정보를 포함하는 관리 정보를 실시간 또는 소정 시점마다 디스플레이하거나 또는 상기 역가 정보를 관리자의 컴퓨터 또는 스마트폰에 실시간 또는 소정 시점마다 전달한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유비쿼터스 컴퓨팅을 이용한 시약의 역가 관리 방법에 있어서는, 시약 저장 장치의 환경 기준을 미리 설정하고 상기 시약 저장 장치 내부에 설치된 복수의 측정 센서, 즉 전술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시약 저장 장치 내에 팬에 의해 형성되는 유속 센서, TVOCs(휘발성 유기화합물, Total Volatile Organic Compounds) 농도 센서 등으로부터 상기 시약 저장 장치 내부의 환경 정보를 센싱하여 상기 환경 기준에 부합하도록 상기 시약 저장 장치를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는, 미리 저장된 아이디(ID, Identification)와 입력되는 아이디 또는 관리자나 사용자로부터 유무선 수신되는 아이디와 일치할 때에만 상기 시약 저장 장치를 개방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상기한 아이디는 비밀번호, 아이디카드, 지문, 홍채 등과 같은 공지의 수단일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비쿼터스 컴퓨팅을 이용한 시약의 역가 관리 방법에 있어서는, 시약에 부착된 2차원 바코드 또는 QR 코드를 판독하고 연산하여 획득되는 상기 소정의 잔존 유효 기간 또는 잔존 역가 비율에 도달한 시약의 역가 정보와, 상기 2차원 바코드 또는 QR 코드를 판독하여 얻어지는 시약의 반입 및 반출 이력과, 보관 위치를 포함하는 관리 정보를 실시간으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할 수 있음도 전술한 바와 같다.
또한 선택적으로는 센싱된 상기 시약 저장 장치 내부의 환경 정보 측정치가 미리 설정된 상기 환경 기준치 보다 높거나 낮을 경우 알람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구체예를 통하여 설명하였으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일탈하는 일 없이도 다양한 변화 및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영역 내이다.
100 : 센싱부 200 : 리더부
300 : 제어부 400 : 입력부
500 : DB(DateBase)부 600 : 모니터링부
700 : 데이터 송수신부

Claims (12)

  1. 시약 저장 장치 내에 보관되는 시약의 유효 기간 또는 역가를 포함하는 정보가 수록된 2차원 바코드(barcode) 또는 QR 코드(Quick Response code)를 판독하여 유효 기간 또는 역가와 시약의 반입 또는 반출 여부, 그리고 보관 위치를 포함하는 정보를 판독하는 리더부(100);
    상기 리더부(100)로부터 판독된 유효 기간 또는 역가를 기간 별로 n분하여 잔존 유효 기간 또는 잔존 역가를 비율로 환산하는 연산부(200); 및
    상기 연산부(200)로부터 소정의 잔존 유효 기간 또는 잔존 역가 비율에 도달한 시약의 역가 정보를 포함하는 관리 정보를 실시간 또는 소정 시점마다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300) 또는 상기 역가 정보를 관리자의 컴퓨터 또는 스마트폰에 실시간 또는 소정 시점마다 전달하고 지시 신호를 수령하는 데이터 송수신부(400)로 구성되는
    유비쿼터스 컴퓨팅을 이용한 역가 관리형 시약 저장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역가 정보가 특정 시약의 우선 사용 소비를 촉구하는 정보, 또는 신규 추가 구매 촉구 정보, 또는 복수개의 동종 시약 중 새 시약의 개봉 방지 알림 정보인 유비쿼터스 컴퓨팅을 이용한 역가 관리형 시약 저장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시약 저장 장치 내부의 환경 정보를 측정하여 전달하는 복수의 측정 센서로 이루어지는 센싱부(500)와, 상기 센싱부(500)로부터 전달되는 내부 환경 정보 또는 관리자로부터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400)에 수신되는 설정 기준에 따라 상기 시약 저장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600)를 더욱 포함하는 유비쿼터스 컴퓨팅을 이용한 역가 관리형 시약 저장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한 시약 저장 장치가 입력부(700)를 더욱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600)에 미리 저장된 아이디(ID, Identification)와 상기 입력부(700)를 통해서 입력되는 아이디 또는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400)에 수신되는 아이디와 일치할 때에만 상기 시약 저장 장치를 개방하는 유비쿼터스 컴퓨팅을 이용한 역가 관리형 시약 저장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잔존 유효 기간 또는 잔존 역가 비율에 도달한 시약의 역가 정보와, 시약의 반입 및 반출 이력과, 보관 위치를 포함하는 관리 정보를 실시간으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800)를 더욱 포함하는 유비쿼터스 컴퓨팅을 이용한 역가 관리형 시약 저장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센싱부(500)로부터 전달되는 시약 저장 장치 내부의 환경 정보 측정치가 설정 기준치 보다 높거나 낮을 경우 알람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유비쿼터스 컴퓨팅을 이용한 역가 관리형 시약 저장 장치.
  7. 하기의 단계로 구성되는 유비쿼터스 컴퓨팅을 이용한 시약의 역가 관리 방법:
    (A) 제1항에 따른 시약 저장 장치 내에 보관할 시약의 유효 기간 또는 역가를 포함하는 정보가 수록된 2차원 바코드(barcode) 또는 QR 코드(Quick Response code)를 시약 용기에 부착하는 단계;
    (B) 상기 2차원 바코드(barcode) 또는 QR 코드(Quick Response code)를 판독하여 유효 기간 또는 역가를 포함하는 정보를 판독하는 단계;
    (C) 판독된 유효 기간 또는 역가를 기간 별로 n분하여 잔존 유효 기간 또는 잔존 역가를 비율로 환산하는 단계; 및
    (D) 소정의 잔존 유효 기간 또는 잔존 역가 비율에 도달한 시약의 역가 정보를 포함하는 관리 정보를 실시간 또는 소정 시점마다 디스플레이하거나 또는 상기 역가 정보를 관리자의 컴퓨터 또는 스마트폰에 실시간 또는 소정 시점마다 전달하는 단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시약의 역가 관리 방법이 미리 설정된 시약 저장 장치 내의 환경 기준을 설정하고 상기 시약 저장 장치 내부의 복수의 측정 센서로부터 상기 시약 저장 장치 내부의 환경 정보를 센싱하여 상기 환경 기준에 부합하도록 상기 시약 저장 장치를 제어하는 유비쿼터스 컴퓨팅을 이용한 시약의 역가 관리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시약의 역가 관리 방법이 미리 저장된 아이디(ID, Identification)와 입력되는 아이디 또는 유무선 수신되는 아이디와 일치할 때에만 상기 시약 저장 장치를 개방하는 유비쿼터스 컴퓨팅을 이용한 시약의 역가 관리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시약에 부착된 2차원 바코드 또는 QR 코드를 판독하고 연산하여 획득되는 상기 소정의 잔존 유효 기간 또는 잔존 역가 비율에 도달한 시약의 역가 정보와, 상기 2차원 바코드 또는 QR 코드를 판독하여 얻어지는 시약의 반입 및 반출 이력과, 보관 위치를 포함하는 관리 정보를 실시간으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는 유비쿼터스 컴퓨팅을 이용한 시약의 역가 관리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센싱된 상기 시약 저장 장치 내부의 환경 정보 측정치가 미리 설정된 상기 환경 기준치 보다 높거나 낮을 경우 알람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유비쿼터스 컴퓨팅을 이용한 시약의 역가 관리 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역가 정보가 특정 시약의 우선 사용 소비를 촉구하는 정보, 또는 신규 추가 구매 촉구 정보, 또는 복수개의 동종 시약 중 새 시약의 개봉 방지 알림 정보인 유비쿼터스 컴퓨팅을 이용한 시약의 역가 관리 방법.
KR1020140157777A 2014-11-13 2014-11-13 유비쿼터스 컴퓨팅을 이용한 역가 관리형 시약 저장 장치 및 그 역가 관리 방법 KR1022866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7777A KR102286621B1 (ko) 2014-11-13 2014-11-13 유비쿼터스 컴퓨팅을 이용한 역가 관리형 시약 저장 장치 및 그 역가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7777A KR102286621B1 (ko) 2014-11-13 2014-11-13 유비쿼터스 컴퓨팅을 이용한 역가 관리형 시약 저장 장치 및 그 역가 관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7066A true KR20160057066A (ko) 2016-05-23
KR102286621B1 KR102286621B1 (ko) 2021-08-05

Family

ID=56104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7777A KR102286621B1 (ko) 2014-11-13 2014-11-13 유비쿼터스 컴퓨팅을 이용한 역가 관리형 시약 저장 장치 및 그 역가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662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01763A (ja) * 2004-04-13 2005-10-27 Nikkiso Co Ltd 有効期限余裕確認方法
KR100708234B1 (ko) * 2006-09-22 2007-04-16 (주)제이브이엠 의약품 수납 캐비닛
KR20110038437A (ko) * 2009-10-08 2011-04-14 조길형 약품정보 코드 스캔 및 메시징서비스가 가능한 약품보관장치
KR20120034694A (ko) * 2012-02-13 2012-04-12 (주)제이브이엠 약품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1233641B1 (ko) 2012-09-18 2013-02-15 주식회사 지티사이언 원격제어모니터링을 이용한 저장고 관리 및 저장대상물 반입, 반출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01763A (ja) * 2004-04-13 2005-10-27 Nikkiso Co Ltd 有効期限余裕確認方法
KR100708234B1 (ko) * 2006-09-22 2007-04-16 (주)제이브이엠 의약품 수납 캐비닛
KR20110038437A (ko) * 2009-10-08 2011-04-14 조길형 약품정보 코드 스캔 및 메시징서비스가 가능한 약품보관장치
KR20120034694A (ko) * 2012-02-13 2012-04-12 (주)제이브이엠 약품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1233641B1 (ko) 2012-09-18 2013-02-15 주식회사 지티사이언 원격제어모니터링을 이용한 저장고 관리 및 저장대상물 반입, 반출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6621B1 (ko) 2021-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281487A1 (en) Inference electronic shelf life dating system for perishables
KR101233641B1 (ko) 원격제어모니터링을 이용한 저장고 관리 및 저장대상물 반입, 반출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EP3179222B1 (en) Shelf-life monitoring sensor-transponder system
US8287818B2 (en) Modular hospital cart
KR101704479B1 (ko) 시약장의 지능형 통합관리장치
KR102286617B1 (ko) 지능형 실험실 관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실험실 관리 방법
RU2018109480A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запасами
US20090002173A1 (en) Method, system and program for tracking pharmaceutical samples
KR20130013536A (ko) 보관된 물품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냉동고
US20080270270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management of inventory of products and assets in real time
JP2019087153A (ja) 薬品管理システム、薬品管理方法、薬品管理プログラム
WO201803532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stocking locations of products having more than one stocking location on a sales floor
KR20160057066A (ko) 유비쿼터스 컴퓨팅을 이용한 역가 관리형 시약 저장 장치 및 그 역가 관리 방법
US20120312875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the Use or Consumption of Tangible Prodcuts and for Delivery According to Use or Consumption
KR20140067783A (ko) 듀얼모드 로깅을 지원하는 알에프아이디 센서태그, 알에프아이디 센서리더 및 그 제어방법
US20190114582A1 (en) Deliver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outputting location and environmental information
US20170132550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ioritizing retrieval of products from stock room bins
KR20170085725A (ko) 시약 관리 시스템 및 방법
WO201719681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stimating availability of additional sales floor space for a product being binned
KR101356081B1 (ko) 과학기기 관리 시스템
JP4911989B2 (ja) 物品管理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US20220163373A1 (en) Measurement systems and methods
CN111867948A (zh) 配送单元和配送系统
US20230409851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smart container
CN106251098A (zh) 一种物联网物资管理平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