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6812A - 운동 검출 장치 - Google Patents

운동 검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6812A
KR20160056812A KR1020150157205A KR20150157205A KR20160056812A KR 20160056812 A KR20160056812 A KR 20160056812A KR 1020150157205 A KR1020150157205 A KR 1020150157205A KR 20150157205 A KR20150157205 A KR 20150157205A KR 20160056812 A KR20160056812 A KR 201600568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curved plate
golf club
motion
holding t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7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츠토무 다니구치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568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68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20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22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of resilient material, e.g. rubbery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3/00Indicating or record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3/02Indicating direction only, e.g. by weather van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46Measurement devices associated with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for measuring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e.g. baseball bats with impact indicators or bracelets for measuring the golf sw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23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for driving
    • A63B69/3632Clubs or attachments on clubs, e.g. for measuring, alig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F16M13/02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repositionab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9/00Gyroscopes; Turn-sensitive devices using vibrating masses; Turn-sensitive devices without moving masses; Measuring angular rate using gyroscopic effec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30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an instrument;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a set of instru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00Details of instruments
    • G01P1/02Housings
    • G01P1/023Housings for acceleration measu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30Speed
    • A63B2220/34Angular spe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40Accel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50Wireless data transmission, e.g. by radio transmitters or telemetr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05Means to increase the friction-coeffici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관한 운동 검출 장치는, 운동을 검출하는 센서와, 센서를 운동 기구에 장착하기 위한 유지구를 구비한 운동 검출 장치로서, 유지구는, 일단이 개방되고, 내면이 운동 기구에 장착되는 만곡판을 구비하며, 만곡판은, 운동 기구에 장착하여 체결했을 때에, 내면이 체결에 의해 운동 기구에 접촉하는 복수의 구속부와, 복수의 구속부의 사이에 마련되며 오목부 및 볼록부 중 적어도 일방을 마련하는 것에 의해 내면을 불연속면으로 하는 불연속부가 마련되어 있다.

Description

운동 검출 장치{MOTION DETECTION DEVICE}
본 발명은, 운동 검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골프 클럽(club), 야구의 배트(bat), 테니스 등의 라켓, 및 그들을 이용하여 운동하는 인체 등의 스윙에 따른 움직임을 해석ㆍ평가하는 수법으로서, 카메라로 촬상한 화상에 근거하여 해석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또, 화상에 의한 해석에서는 정밀도적인 한계가 있기 때문에, 가속도 센서 혹은 자이로(gyro) 센서 등을 이용하여, 보다 정밀도가 높은 운동 해석을 행하는 것이 시도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는, 골프 클럽의 그립에, 3축의 가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를 장착하여, 스윙의 해석을 행하는 스윙 해석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특허공개 평11-169499호 공보
운동 기구에의 센서의 장착 방법에는, 여러 가지의 수법이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특허 문헌 1의 장치에서는, 어태치먼트(attachment)라고 칭하는 센서를 장착하기 위한 지그(유지구)를 이용하고 있다. 센서를 장착하는 것에 의해, 운동 기구의 중량이 크게 증대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에, 플라스틱제의 지그 등에 의해 경량화가 모도되는 것이 많다.   
이러한 센서는, 해당 운동 기구의 운동의 가속도나 각속도를 검출하기 위해, 탈락하거나, 위치 어긋남, 회전 등이 생기지 않도록, 운동 기구에 대해서 강고하게 체결하여 고정된다. 그런데 지그의 내측면(운동 기구에 접촉하는 면)의 일부가 운동 기구에 균일하게 강하게 밀어 붙여져 고정된 상태에서, 생각 외에 강한 충격이 부여되면, 밀어 붙여진 부분과, 밀어 붙여져 있지 않은 부분과의 경계 부근에 크랙을 생길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현상은, 생각 외의 충격 등의 특수한 상황에서밖에 생기지 않기는 하지만, 보다 높은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특수한 상황하에서도 크랙을 생기기 어렵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몇 개의 형태에 관한 목적의 하나는, 센서를 운동 기구에 장착하여 운동을 검출하는 운동 검출 장치로서, 장착한 상태에서, 충격 등에 의해 유지구가 파손되기 어려운 운동 검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의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이하의 형태 또는 적용예로서 실현할 수 있다.   
[적용예 1] 본 발명에 관한 운동 검출 장치의 일 형태는,
운동을 검출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를 운동 기구에 장착하기 위한 유지구를 구비한 운동 검출 장치로서,
상기 유지구는, 일단이 개방되고, 내면이 상기 운동 기구에 장착되는 만곡판(灣曲板)을 구비하며,
상기 만곡판은, 상기 운동 기구에 장착하여 체결했을 때에, 상기 내면이 체결에 의해 상기 운동 기구에 접촉하는 복수의 구속부와, 복수의 상기 구속부의 사이에 마련되며 오목부 및 볼록부 중 적어도 일방을 마련하는 것에 의해 상기 내면을 불연속면으로 하는 불연속부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운동 검출 장치는, 내면에, 체결에 의해 운동 기구에 접촉하는 복수의 구속부가 있고, 그들의 사이에 오목부 및 볼록부 중 적어도 일방을 마련하는 것에 의해 내면을 불연속면으로 하는 불연속부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운동 기구에 장착된 상태에서 외력이 인가된 경우에, 응력이 분산되어, 응력의 집중이 완화된다. 이것에 의해, 탈락, 위치 어긋남, 회전 등이 생기기 어려워 운동 기구에 대해서 안정적으로 장착할 수 있고, 또한, 장착한 상태에서 충격 등이 가해져도 유지구가 파손되기 어렵다.   
[적용예 2] 적용예 1에 있어서,
상기 만곡판을 상기 운동 기구에 장착하여 체결했을 때에, 상기 만곡판의 내면이 상기 운동 기구에 접촉하지 않은 비접촉부가 형성되어도 괜찮다.   
이러한 운동 검출 장치는, 복수의 구속부의 사이에 비접촉부가 형성되고, 내면을 불연속면으로 하는 불연속부가 마련되므로, 운동 기구에 장착된 상태에서 외력이 인가된 경우에, 응력이 더 분산되어, 구속부의 근방으로의 응력의 집중이 더 완화된다.   
[적용예 3] 적용예 1 또는 적용예 2에 있어서,
상기 불연속부는, 상기 만곡판의 내면에 마련된 탄성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도 괜찮다.   
이러한 운동 검출 장치는, 복원력이 있는 탄성 부재에 의해서 불연속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운동 기구에 의해 강고하게 장착되기 쉽다.   
[적용예 4] 본 발명에 관한 운동 검출 장치의 일 형태는,
운동을 검출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를 운동 기구에 장착하기 위한 유지구를 구비한 운동 검출 장치로서,
상기 유지구는, 일단이 개방되고, 내면이 상기 운동 기구에 장착되는 만곡판을 구비하며,
상기 만곡판은, 상기 운동 기구에 장착하여 체결했을 때에, 상기 내면이 체결에 의해 상기 운동 기구에 접촉하는 복수의 구속부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내면이 상기 운동 기구의 외형을 따르지 않은 부분을 가진다.   
이러한 운동 검출 장치는, 운동 기구에 장착하여 체결했을 때에, 내면이 체결에 의해 운동 기구에 접촉하는 복수의 구속부를 구비하고, 또한, 내면이 운동 기구의 외형을 따르지 않은 부분을 가지기 때문에, 운동 기구에 장착된 상태에서 외력이 인가된 경우에, 응력이 분산되어, 응력의 집중이 완화된다. 이것에 의해, 탈락, 위치 어긋남, 회전 등이 생기기 어려워 운동 기구에 대해서 안정적으로 장착할 수 있고, 또한, 장착한 상태에서 충격 등이 가해져도 유지구가 파손되기 어렵다.
[적용예 5] 적용예 1 내지 적용예 4 중 어느 하나의 예에 있어서,
상기 만곡판은, 상기 일단에서 상기 센서와 감합(嵌合)되어도 괜찮다.   
이러한 운동 검출 장치는, 센서를, 운동 기구에 탈락, 위치 어긋남, 회전 등이 생기기 어려워 안정적으로 장착하는 것이 더 용이하고, 또한, 장착한 상태에서 충격 등이 가해져도 파손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센서를 운동기구에 장착한 상태에서, 충격 등에 의해 유지구가 파손되기 어려운 효과가 있다.
도 1은 실시 형태에 관한 유지구가 운동 기구(골프 클럽(club))에 장착된 상태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로 나타내는 범위의 확대도로서, 실시 형태에 관한 유지구에 센서를 감합(嵌合)시키는 모습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3은 도 1의 A로 나타내는 범위의 확대도로서, 실시 형태에 관한 유지구를 운동 기구에 장착하고, 센서를 감합시킨 상태의 센서 부착 운동 기구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4는 실시 형태에 관한 유지구의 사시도로서, 도 12에 J로 나타내는 화살표의 방향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5는 실시 형태에 관한 유지구의 단면의 몇 개의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로서, 도 4에 나타내는 P단면에 상당한다.   
도 6은 실시 형태에 관한 센서를 상면으로부터 평면적으로 본 모식도.
도 7은 실시 형태에 관한 센서를 하면으로부터 평면적으로 본 모식도
도 8은 실시 형태에 관한 센서를 도 6에 F로 나타내는 화살표의 방향으로부터 본 모식도.  
도 9는 실시 형태에 관한 센서를 도 6 및 도 7의 B-B'선으로 절단한 단면의 모식도.  
도 10은 실시 형태에 관한 센서를 도 7의 C-C'선 및 도 8의 E-E'선으로 절단한 단면의 모식도.  
도 11은 실시 형태에 관한 유지구를 장착면의 측부로부터 평면적으로 본 모식도.  
도 12는 실시 형태에 관한 유지구를 도 11에 G로 나타내는 화살표의 방향으로부터 본 모식도.  
도 13은 실시 형태에 관한 유지구를 도 11에 H로 나타내는 화살표의 방향으로부터 본 모식도.  
도 14는 실시 형태에 관한 유지구를 운동 기구(골프 클럽)에 장착한 상태의 단면의 모식도.  
도 15는 실시 형태에 관한 유지구에 센서를 감합시킨 상태의 단면의 모식도.
도 16은 도 15의 J로 나타내는 범위의 확대도.  
도 17은 도 16의 L-L'선으로 절단한 단면의 모식도.  
도 18은 도 17의 M-M'선으로 절단한 단면의 모식도.  
도 19는 압압(押壓) 돌기 조작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확대 모식도.  
도 20은 센서에서의 방향 지시부의 외관의 몇 개의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21은 종래예에 관한 유지구를 골프 클럽에 장착한 상태의 단면의 모식도
도 22는 실시 형태에 관한 센서 부착 운동 기구 및 운동 해석 장치를 나타내는 외관도.  
도 23은 실시 형태에 관한 운동 해석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
이하에 본 발명의 몇 개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일례를 설명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 형태에 조금도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에서 실시되는 각종의 변형 형태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구성 모두가 본 발명의 필수의 구성이라고는 할 수 없다.   
1. 운동 검출 장치
본 실시 형태의 운동 검출 장치는, 운동을 검출하는 센서와, 센서를 운동 기구에 장착하기 위한 유지구를 구비한 운동 검출 장치이다.   
1.1. 운동 기구
본 실시 형태의 운동 검출 장치가 장착되는 운동 기구는, 막대 모양, 기둥 모양, 통 모양 등의 파지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서, 운동(공간적인 위치의 이동, 형상이나 자세의 변화, 회전, 진동 등)하는 것이면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운동 기구로서는, 각종의 운동 경기에 사용되는 기구, 예를 들면, 골프 클럽(club), 야구의 배트(bat), 테니스 등의 라켓, 죽도(竹刀) 등, 또 기구 이외에도, 운동 기구의 스윙 등에 따라 운동하는 팔, 발 등의 인체의 일부, 혹은 로봇 장치의 암 등의 가동부를 예시할 수 있다.   
이하, 운동 기구가 골프 클럽인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골프 클럽에 대해서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샤프트에 러버 그립(rubber grip)이 장착된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또 이 설명에서는, 본 실시 형태의 운동 검출 장치의 유지구가 러버 그립의 부분을 파지하는 형태를 나타내지만, 샤프트를 파지해도 좋고, 양자의 경계부를 파지해도 괜찮다.  
1.2. 유지구
유지구는, 일단이 개방되고, 내면이 운동 기구에 장착되는 만곡판(灣曲板)을 구비하고 있다. 또, 만곡판에는, 운동 기구에 장착하여 체결했을 때에, 내면이 체결에 의해 운동 기구에 접촉하는 복수의 구속부와, 복수의 구속부의 사이에 마련되며 오목부 및 볼록부 중 적어도 일방을 마련하는 것에 의해 내면을 불연속면으로 하는 불연속부가 마련되어 있다. 또, 환언하면, 유지구는, 구속부를 가지며, 해당 구속부에서 물체를 파지하는 만곡판과, 만곡판에 마련된 접촉부를 포함한다. 유지구는, 후술하는 센서를 물체에 장착하기 위한 지그 혹은 어태치먼트(attachment)이다.  
1.2.1. 만곡판
본 실시 형태의 유지구(20)는, 구속부(21a)를 가지며, 구속부(21a)에서 골프 클럽(200)(물체)을 파지하는 만곡판(21)을 포함한다. 만곡판(21)은, 유지구(20)의 일부 또는 전부를 구성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유지구(20)의 전부가 만곡판(21)에 의해서 구성된 예를 나타낸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만곡판(21)이 유지구(20)로 되어 있다. 또, 유지구(20)는, 만곡판(21)과, 그 외의 부재(예를 들면, 센서(10)를 고정하는 기구 등)를 포함하여 구성되어도 괜찮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유지구(20)가 골프 클럽(200)(운동 기구)에 장착된 상태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로 나타내는 범위의 확대도로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유지구(20)에 센서(10)를 감합(嵌合, 끼워 맞춤)시키는 모습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은, 도 1의 A로 나타내는 범위의 확대도로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유지구(20)에 센서(10)를 감합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골프 클럽(200)의 그립부(200a)에 장착 가능한 유지구(20)에, 내부에 도시하지 않은 관성 센서 등의 센서부(13)를 구비하는 센서(10)가, 도 2에 나타내는 화살표 방향으로, 도 4에 나타내는 감합부(20b, 20c)를 매개로 하여 장착되어,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골프 클럽(200)에 장착된다.
또,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운동 검출 장치(100)(유지구(20)와, 유지구(20)에 감합하는 센서(10)를 포함함)는, 운동하는 물체로서의 골프 클럽(200)에 장착된다. 즉, 유지구(20)가 골프 클럽(200)에 장착되며, 감합부(20b, 20c)가, 센서(10)와 감합한 경우에, 골프 클럽(200)을 둘러싸도록 센서(10)가 골프 클럽(200)에 장착된다.   
유지구(20)(만곡판(21))는, 구속부(21a)를 가지며, 구속부(21a)에서 물체를 파지한다(도 5 참조). 여기서, 본 명세서에서는,「만곡판이 물체를 파지한다」라 함은, 막대 모양, 기둥 모양, 통 모양 등의 물체를 만곡판이 잡도록(grasp, clutch, gripe 등) 장착 고정되는(hold 등) 것을 가리키며, 만곡판이 관계되는 물체를 주회(周回)하여 덮지 않고, 물체의 적어도 반주(半周)를 덮어 고정(지지)되는 상태를 가리킨다. 또, 이러한 형태는,「만곡판이 물체를 파지한다」,「물체에 만곡판이 파착(把着)된다」라고 환언할 수 있다.   
만곡판(21)의 재질로서는, 골프 클럽(200)을 파지하는 힘(악력(握力))이 얻어지는한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틸렌, 폴리염화비닐, 폴리카보네이트, ABS 수지, 불소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혹은 이들의 공중합체 등의 합성 수지를 이용하면 경량화에 기여할 수 있다.
1.2.2. 구속부
구속부(21a)는, 만곡판(21)(유지구(20))의 만곡 형상에서의 내측에 형성된다. 도 4는, 만곡판(21)(유지구(20))의 사시도이다(시야의 방향은, 도 12를 참조하여, J로 나타내는 화살표의 방향이다). 도 5는, 실시 형태에 관한 유지구(20)가 골프 클럽(200)에 장착된 상태의 단면의 몇 개의 형태의 모식도이며, 도 4에 나타내는 P단면에 대응한다. 또, 도 4의 단면 P의 위치는, 골프 클럽(200)이 연장하는 방향에서의 유지구(20)의 중앙 부근으로 되어 있지만, 유지구(20)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나의 부재로서 나타내지는 단면이 얻어지는 위치라면, 유지구(20)의 단면 P의 위치는 한정되지 않는다.   
도 5의 (a) ~ 도 5의 (d)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구속부(21a)는, 골프 클럽(200)을 밀어 붙여(체결하여) 끼우는, 만곡판(21)의 부위이다. 골프 클럽(200)에 만곡판(21)이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만곡판(21)의 내측의 공간은, 골프 클럽(200)의 외형 보다도 작다. 그 때문에, 골프 클럽(200)에 만곡판(21)이 장착된 상태에서는, 만곡판(21)의 복원력(가압력)에 의해서, 만곡판(21)이 골프 클럽(200)을 체결하는(끼우는) 상태가 된다. 구속부(21a)는, 관계하는 복원력이 압압력(押壓力)이 되어, 구속되어 골프 클럽(200)에 밀어 붙여지는 부위이다. 즉, 구속부(21a)는, 만곡판(21)(유지구(20))이 골프 클럽(200)에 장착되었을 때에, 골프 클럽(200)에 대해서 압력으로 밀면서 접촉하는(압접(壓接)하는) 부위이다.  
도 5의 (a) ~ 도 5의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속부(21a)는, 골프 클럽(200)을 끼우는 위치에 2개소 형성된다. 구속부(21a)는, 3개소 이상이라도 괜찮다. 또, 만곡판(21)과 골프 클럽(200)이 접촉하는 부분 전부가, 구속부(21a)가 되지는 않는다. 복수의 구속부(21a)는, 만곡판(21)의 내측면(장착면(20a))에서, 서로 이간하여 배치된다. 환언하면, 구속부(21a)에 의해서 형성되는 접촉면은, 만곡판(21)의 골프 클럽(200)을 주회하는 방향에서 불연속으로 되어 있다.
또, 도 5의 (a) ~ 도 5의 (d)에 나타내는 절단면에서, 구속부(21a)는, 만곡판(21)의 단부까지 형성되어도 괜찮고, 만곡판(21)의 단부를 피해 형성되어도 괜찮다. 도 5의 (a) ~ 도 5의 (d)의 예에서는, 만곡판(21)의 단부에는, 감합부(21b, 21c)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만곡판(21)의 단부를 피해 형성되어 있다. 또, 만곡판(21)에 형성된 감합부(21b, 21c)는, 각각 유지구(20)에 마련된 감합부(20b, 20c)로 간주할 수 있다.   
또 환언하면, 도 5의 (a) ~ 도 5의 (d)에 나타내는 절단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개소의 구속부(21a)는, 만곡판(21)의 일방의 단부와 타방의 단부에 형성되며, 만곡판(21)의 내측면(장착면(20a))을 따라서 골프 클럽(200)의 축을 주회하도록 더듬어 가면, 2개소의 구속부(21a)의 사이에는 구속되어 있지 않은 부위가 존재하고, 구속부(21a)는 불연속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구속부(21a)에 의해서 형성되는 골프 클럽(200)과의 접촉면은 불연속면으로 되어 있다.   
만곡판(21)을, 도 5의 (a) ~ 도 5의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단한 절단면에서, 2개소의 구속부(21a)의 사이의 만곡판(21)의 내측면에는, 도시하지 않은 다른 구속부(21a)가 형성되어도 괜찮다. 이 경우에서도, 장착면(20a)에서 각 구속부(21a)는 서로 불연속으로 형성된다.
만곡판(21)을, 도 5의 (a) ~ 도 5의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단한 절단면에서, 2개소의 구속부(21a)의 사이의 만곡판(21)의 내측면에는, 접촉부(22)가 마련된다. 도 5의 (a), (b), (d)의 예에서는, 접촉부(22)는, 구속부(21a)와 이간하고 있지만, 구속부(21a)와 접촉부(22)는 연속하고 있어도 좋고, 복수의 구속부(21a)는 접촉부(22)에 의해서, 불연속으로 배치되어도 괜찮다. 이 경우, 도 5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속부(21a)에 연속적으로 접촉부(22)가 배치되어도 좋고, 구속력을 가지는 부분이 구속부(21a)가 된다. 또, 도 5의 (c)의 예에서는, 접촉부(22)가 나타내어져 있지만, 접촉부(22)가 구속력을 가지는 경우에는, 구속부(21a)가 되지만, 후술하는 오목부(26)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2개의 구속부(21a)는, 이간되어 불연속으로 배치되게 된다.   
또, 도시하지 않지만, 구속부(21a)의 골프 클럽(200)에 접하는 면에는, 고무등의 유연한 소재가 배치되어도 괜찮고, 미끄럼 방지 등의 가공이 실시되어 있어도 괜찮다.   
구속부(21a)의 기능으로서는, 만곡판(21)이 골프 클럽(200)에 장착되었을 때에, 만곡판(21)의 탈락, 위치 어긋남, 회전 등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 것을 들 수 있다.
1.2.3. 접촉부
만곡판(21)(유지구(20))은, 접촉부(22)를 포함한다. 접촉부(22)는, 만곡판(21)과 골프 클럽(200)과의 사이에 형성되어, 골프 클럽(200)에 접촉한다. 접촉부(22)는, 구속하면서 골프 클럽(200)에 접촉해도 괜찮지만, 그 경우에는, 접촉부(22)는, 구속부(21a)가 되기 때문에, 다른 구속부(21a)와는 불연속으로 형성된다.
접촉부(22)는, 만곡판(21)과 일체로 형성되어도 괜찮고, 별체(別體)로 형성되어도 괜찮다. 도 5의 (a)의 예에서는, 접촉부(22)는, 만곡판(21)에 형성된 볼록부(24)로 되어 있다. 또, 도 5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만곡판(21)에 장착된 탄성 부재(23)가 접촉부(22)를 형성하고 있다. 또, 도 5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촉부(22)는, 구속부(21a)와 연속하여 배치되어도 괜찮다. 게다가, 도 5의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촉부(22)는, 복수 마련되어도 괜찮다. 또, 도 5의 (b)의 탄성 부재(23)는, 도면에서는 내면에만 형성되어 있지만, 만곡판(21)의 측면을 매개로 하여, 만곡판(21)의 외표면을 탄성 부재(23)에 의해 덮도록 해도 괜찮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낙하 등의 충격에 의해 강한 기계적 부하가 걸려 유지구(20)가 파손한 경우에도, 유지구(20)가 튀어 센서(10)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탄성 부재(23)와는 별체로 만곡판(21)의 외표면을 덮는 부재를 마련해도 좋다.   
만곡판(21)(유지구(20))이, 골프 클럽(200)에 장착되었을 때에, 접촉부(22)가 골프 클럽(200)에 접촉한다. 접촉부(22)의 기능으로서는, 만곡판(21)이 골프 클럽(200)에 장착되었을 때에, 만곡판(21)의 탈락, 위치 어긋남, 회전 등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 구속부(21a)의 기능을 더 높이는 것을 들 수 있다. 접촉부(22)가 존재하는 것에 의해, 보다 안정적으로 만곡판(21)을 골프 클럽(200)에 장착할 수 있다. 또, 접촉부(22)가 존재하는 것에 의해, 구속부(21a)의 주위에 응력이 집중하는 것을 완화하고, 응력의 일부를 접촉부(22)에 생기게 하여 전체의 응력을 분산시킬 수 있다.   
접촉부(22)가 볼록부(24)로 구성되는 경우, 접촉부(22)는, 만곡판(21)의 골프 클럽(200)을 향하는 면에, 골프 클럽(200)을 향해 돌출하는 형상이 된다. 볼록부(24)의 형상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 접촉부(22)는, 탄성 부재(23)로 형성되어도 괜찮다. 탄성 부재(23)로서는, 각종의 고무, 엘라스토머, 플라스틱등을 이용할 수 있다. 탄성 부재(23)의 형상에 대해서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탄성 부재(23)는, 만곡판(21)에 일체적으로 성형되어도 괜찮고, 만곡판(21)에 대해서 붙이는 것에 의해 마련되어도 괜찮다.   
또, 2개의 구속부(21a)의 사이에 접촉부(22)가 간극없이 배치되었다고 해도, 이들 2개의 구속부(21a)가 골프 클럽(200)과 접촉하는 각각의 면은, 불연속면이며 불연속부가 된다. 또, 불연속부는, 만곡판(21)의 내면에 마련된 탄성 부재(23)에 의해 구성되어도 괜찮다.  
1.2.4. 비접촉부
만곡판(21)은, 골프 클럽(200)에 장착되었을 때에, 골프 클럽(200)과 접촉하지 않은 비접촉부(25)를 가져도 괜찮다. 즉, 만곡판(21)을 골프 클럽(200)에 장착하여 체결했을 때에, 만곡판(21)의 내면이 골프 클럽(200)에 접촉하지 않은 비접촉부(25)가 형성되어도 괜찮다. 비접촉부(25)는, 도 5의 (a) ~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단한 절단면에서, 2개소의 구속부(21a)의 사이의 만곡판(21)에 마련된다. 비접촉부(25)는, 구속부(21a)에 인접하도록 마련되어도 괜찮고, 접촉부(22)에 인접하여 마련되어도 괜찮다. 게다가, 비접촉부(25)는 만곡판(21)의 내측면(장착면(20a))에 형성된 오목부(26)라도 좋다. 또, 비접촉부(25)는, 접촉부(22)의 사이에 형성되어도 좋고, 예를 들면, 도 5의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만곡판(21)에 장착된 2개의 탄성 부재(23)의 사이에 형성되어도 괜찮다. 만곡판(21)(유지구(20))이, 골프 클럽(200)에 장착되었을 때에, 비접촉부(25)는 골프 클럽(200)으로부터 이간하고 있다.   
비접촉부(25)가 마련되면, 비접촉부(25)의 주위에 응력이 발생하기 쉬워져, 구속부(21a)의 주변에의 응력의 집중을 완화할 수 있다.   
또, 골프 클럽(200)의 그립 러버(200c)가 비교적 단단한 경우에, 만곡판(21)을 골프 클럽(200)에 장착하여, 비접촉부(25)가 형성된다고 해도, 그립 러버(200c)가 유연한 경우에는, 만곡판(21)이 골프 클럽(200)에 장착되었을 때에 그립 러버(200c)가 만곡판(21)에 밀착하여 비접촉부(25)가 형성되지 않게 되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에는, 예를 들면, 오목부(26)는, 접촉부(22)와 동일한 기능을 발휘하게 된다.   
또, 비접촉부(25)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만곡판(21)이 골프 클럽(200)에 장착되었을 때에, 만곡판(21)의 골프 클럽(200)을 향하는 면의 형상과, 만곡판(21)이 장착된 골프 클럽(200)의 부위의 표면의 형상이 다르게 된다. 환언하면, 만곡판(21)을 골프 클럽(200)에 장착하여 체결했을 때에, 만곡판(21)의 내면이 체결에 의해 골프 클럽(200)에 접촉하는 복수의 구속부(21a)를 구비하고, 또한, 내면이 골프 클럽(200)의 외형을 따르지 않은 부분이 존재하게 된다.   
또, 2개의 구속부(21a)의 사이에 비접촉부(25)가 배치되면, 이들 2개의 구속부(21a)가 골프 클럽(200)과 접촉하는 각각의 면은 불연속면이 된다. 또, 불연속부는, 만곡판(21)의 내면에 마련된 탄성 부재(23)에 의해 구성되어도 괜찮다.
1.2.5. 감합부
만곡판(21)은, 구속부(21a) 보다도 선단측에, 감합부(20b, 20c)를 가져도 괜찮다. 구속부(21a) 보다도 선단측이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단한 절단면에서, 2개소의 구속부(21a) 보다도 만곡판(21)의 단부측을 말한다.   
감합부(20b, 20c)는, 예를 들면, 후술하는 센서(10)와 감합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기능을 해도 괜찮다. 이러한 감합부(20b, 20c)는, 센서(10)를, 골프 클럽(200)에 탈락, 위치 어긋남, 회전 등이 생기기 어려워 안정적으로 장착시킬 수 있다.
감합부(20b, 20c)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하지만, 만곡판(21)(유지구(20))이 골프 클럽(200)에 장착되고, 감합부(20b, 20c)가, 센서(10)와 감합한 경우에, 골프 클럽(200)을 센서(10) 및 유지구(20)(운동 검출 장치(100))가 골프 클럽(200)을 둘러싸도록 장착된다. 게다가, 감합부(20b, 20c)가 센서(10)와 감합한 경우에, 구속부(21a)의 골프 클럽(200)에 대한 구속의 정도가 증대하도록 해도 괜찮다. 이와 같이 하면, 센서(10)를, 골프 클럽(200)에 탈락, 위치 어긋남, 회전 등이 생기기 어려워, 보다 안정적으로 장착할 수 있고, 또한, 장착한 상태에서 충격 등이 가해져도 파손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감합부(20b, 20c)는, 센서(10)에 대해서 슬라이드하여 감합하는 형태로 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센서(10)를 골프 클럽(200)에 대해서 고정할 수 있는 형태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1.3. 센서
도 6 ~ 도 10을 참조하여, 센서(10)에 대해 설명한다. 도 9,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센서(10)는, 받침대(11)에 나사(14)에 의해서 고정되는 커버(12)에 의해서 내부 공간(10a)이 형성되는 케이스를 구성하고 있다. 받침대(11)의 내부 공간(10a)측의 면(11a)에는, 전자 디바이스(13b)와, 전자 디바이스(13b)가 실장되는 회로 기판(13a)으로 구성된, 센서(10)의 검출 수단으로서의 센서부(13)인 회로 기판(13a)이 접착 등의 수단에 의해 받침대(11)의 면(11a)에 고착되어 있다. 또한 전자 디바이스(13b) 중 적어도 1개는 관성 센서이다. 또, 센서부(13)는, 가속도 센서나 각속도 센서를 포함해도 괜찮다. 게다가, 센서부(13)는, 예를 들면, 3축의 운동을 해석할 수 있도록, 적절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 받침대(11)에의 커버(12)의 고정 수단은, 나사(14)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접착이라도 좋고, 받침대(11) 및 커버(12)가 플라스틱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면 용착에 의한 고정도 가능하다.   
받침대(11)는, 도 7,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시하는 Y방향을 따라서, 병행하도록 제1 돌기(11b)와 제2 돌기(11c)가 연장하여 마련되어 있다. 제1 돌기(11b)에는 Y방향을 따라서 오목 부분으로서의 제1 홈(11d)이 형성되고, 제2 돌기(11c)에도 Y방향을 따라서 오목 부분으로서의 제2 홈(11e)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홈(11d)과 제2 홈(11e)의 X방향의 개구는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제1 홈(11d) 및 제2 홈(11e)의 Y(-) 방향, 즉 도 2에 나타내는 센서(10)의 조립 방향의 측은 개구하고, 반대 방향은 홈 벽(11f)이 형성되어 있다(도 9, 10도 함께 참조). 또, 유지구(20)의 빠짐 방지 돌기와 맞물리는 맞물림부로서 제1 돌기(11b)에는 노치부(11g)가, 제2 돌기(11c)에는 노치부(11h)가 형성되어 있다.   
1.4. 감합 및 조립
도 11 ~ 도 13은 유지구(20)를 나타내고, 도 11은, 관계되는 유지구(20)의 평면도, 도 12는, 유지구(20)를 도 11에 G로 나타내는 화살표의 방향으로부터 본 측면도, 도 13은, 유지구(20)를 도 11에 H로 나타내는 화살표의 방향으로부터 본 측면도이다. 또, 도 11 ~ 도 13에서는, 구속부(21a), 접촉부(22), 비접촉부(25) 등은 생략하여 그려져 있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지구(20)는 물체로서의 골프 클럽(200)에 감기도록 장착되는 장착면(20a)과, 도 2에 나타내는 센서(10)의 홈(11d)에 삽입 통과되는 X(-) 방향으로 돌출하고 Y방향으로 연장하는 돌기 모양 부분으로서의 감합부(20b)와, 홈(11e)에 삽입 통과되는 X(+) 방향으로 돌출하고 Y방향으로 연장하는 돌기 모양 부분으로서의 감합부(20c)를 구비하고 있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지구(20)의 ±Y 방향의 일방의 단부(20d)는 X-Z면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지만, 타방의 단부(20e)는 X-Z면에 교차하는, 본 예에서는 큰 원주면(Co)을 따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 결과,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타방의 단부(20e)의 평면 형상은 오목 형상이 된다. 이와 같이 타방의 단부(20e)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일방의 단부(20d)와는 명확한 형상의 차이를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유지구(20)에 감합되는 센서(10)가, 조립 방향을 지정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 골프 클럽(200)에 대해서 형상이 다른 타방의 단부(20e)를 조립 방향의 지시부로서 맞춘 다음에 유지구(20)를 장착하여, 센서(10)의 조립 방향의 실수를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형태에 나타내는 타방의 단부(20e)의 형상을 일방의 단부(20d)와 다르게 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단순한 마킹의 부여라도 좋다.   
또, 유지구(20)에는, 센서(10)가 빠짐 방지 돌기(20f, 20g)를 구비하고 있어도 괜찮다. 빠짐 방지 돌기(20f, 20g)는, 후술하는 센서(10)의 조립시에 도시하지 않은 센서(10)의 걸림부에 걸려, 유지구(20)로부터 센서(10)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빠짐 방지 돌기(20f, 20g)를 구비하는 것에 의해, 유지구(20)로부터 센서(10)를 떼어낼 때에, 센서(10)의 맞물림부에의 빠짐 방지 돌기(20f, 20g)의 걸림을 해제하는 압압 돌기(20h, 20j)를 구비하고 있어도 괜찮다. 유지구(20)로부터 센서(10)를 떼어낼 때에, 압압 돌기(20h, 20j)를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손가락(300)에 의해서 화살표 방향으로 압압하여, 빠짐 방지 돌기(20f, 20g) 사이의 거리를 작게 하고, 센서(10)의 감합부와의 감합을 해제함으로써, 센서(10)가 유지구(20)로부터 떼어내어질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센서(10)의 유지구(20)에의 조립 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4는, 유지구(20)의 골프 클럽(200)에의 장착 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14에서는, 구속부(21a), 접촉부(22), 비접촉부(25) 등은 생략하여 그려져 있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지구(20)는 골프 클럽(200)의 그립부(200a)에 장착된다. 그립부(200a)는, 샤프트부(200b)에 미끄럼 방지의 그립 러버(200c)가 피복 혹은 감겨진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립 러버(200c)는, 예를 들면 고무, 우레탄 엘라스토머 등의 탄성 재료에 의해 형성되고, 유지구(20)의 장착면(20a)(만곡판(21)의 내면)에 의해서 샤프트부와의 사이에서 압축되는 것에 의해 생기는 반발력이, 유지구(20)와 그립 러버(200c)와의 사이의 마찰력을 증가시켜, 유지구(20)가 골프 클럽(200)에 대해서 위치 어긋남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운동 검출 장치(100)는, 골프 클럽(200)에 장착되는 형태를 예시하고 있지만, 예를 들면 야구 배트와 같이 그립부에 미끄럼 방지 수단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도 14에서의 그립 러버(200c)와 같은 탄성 부재를 야구 배트와 유지구(20)의 장착면(20a)과의 사이에 끼워 지지시키는, 이른바 피협지(被挾持) 부재로서의 미끄럼 방지 부재를 배치해도 괜찮다. 피협지 부재로서는, 고무, 우레탄 엘라스토머 등의 탄성 수지, 혹은 연금속(軟金屬) 등이 재료로서 바람직하다.   
도 15는, 유지구(20)와 센서(10)가 조립되어진 상태에서, 도 1에 나타내는 B-B'부에 상당하는 위치에서의 조립 단면도이다. 도 15에서는, 구속부(21a), 접촉부(22), 비접촉부(25) 등은 생략하여 그려져 있다.
운동 검출 장치(100)의 조립은, 센서(10)를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골프 클럽(200)에 장착된 유지구(20)에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센서(10)에 형성된 홈(11d)과 홈(11e)에, 유지구(20)에 구비하는 감합부(20b)와 감합부(20c)를 삽입 통과, 이른바 슬라이드 삽입시키는 것에 의해, 골프 클럽(200)에 장착된 유지구(20)에 센서(10)가 장착되어, 운동 검출 장치(100)에 조립되어진다. 즉 만곡판(21)은, 감합부(20b) 및 감합부(20c)가 마련된 단부에서 센서(10)와 감합된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지구(20)가 골프 클럽(200)의 그립부(200a)에 장착되면, 그립부(200a)의 그립 러버(200c)는 유지구(20)의 장착면(20a)과 샤프트부(200b)와의 사이에 끼워 지지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 그립 러버(200c)의 탄성에 의해서 장착면(20a)에 대향하는 장착 개구(20k)의 폭이 넓어지도록 변위하여, 감합부(20b) 및 감합부(20c)가 외측으로 이동한 감합부(20b'), 감합부(20c')의 상태된다.   
그리고,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홈(11d), 홈(11e)에 감합부(20b'), 감합부(20c')의 상태에서 삽입 통과되면,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홈(11e)의 홈 벽면(11j), 및 홈(11e)의 홈 벽면(11k)에 의해서 도시한 화살표 K방향으로 교정된다. 즉, 도 15에 나타내는 운동 검출 장치(100)가 된 상태에서, 유지구(20)는 그립 러버(200c)를 압축하는 방향으로 교정되어, 유지구(20)의 그립부(200a)에 대한 유지력을 높일 수 있다. 환언하면, 유지구(20)가 골프 클럽(200)에 장착되고, 센서(10)를 유지구(20)에 감합하는 것에 의해, 유지구(20)가 체결되어 고정된다. 따라서, 운동 검출 장치(100)의 골프 클럽(200)에 대한 위치 결정을 보다 확실히 하며, 골프 클럽(200)의 스윙에 의해서 운동 검출 장치(100)에 부가되는 관성력 혹은 충격력에 대해서, 위치 어긋남을 일으키기 어려워, 적절한 골프 클럽(200)의 스윙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다.   
도 17은, 도 16에 나타내는 L-L'부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지구(20)에 대해서 센서(10)를 도시한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켜, 홈(11e)에 상대적으로 유지구(20)의 감합부(20c)가 삽입 통과되고, 마찬가지로 홈(11d)에 상대적으로 유지구(20)의 감합부(20b)가 삽입 통과되어, 운동 검출 장치(100)에 조립되어진다. 또, 도 16에서의 L-L'부는 홈(11e) 및 감합부(20c)가 상당하기 때문에, 이후, 홈(11e) 및 감합부(20c)를 예로 설명한다. 또, 홈(11d) 및 감합부(20b)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유지구(20)에 대해서 센서(10)가 도시한 화살표 방향으로 삽입 통과될 때, 먼저 유지구(20)의 일방의 단부(20d)측의 감합부(20c) 단부가 홈(11e)에 삽입 통과하기 시작한다. 감합부(20c)는, 일방의 단부(20d)측의 두께(Z방향) t2는, 홈(11e)의 Z방향 높이 s에 대해서,  
t2<s
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유지구(20)의 일방의 단부(20d)측의 감합부(20c)의 두께를 홈(11e)의 홈 높이보다 작게 하는 것에 의해, 삽입 통과 개시시의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게다가 홈(11e)에의 감합부(20c)의 상대적인 삽입 통과가 행해지고,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지구(20)의 빠짐 방지 돌기(20g)가, 돌기(11c)에 형성된 노치부(11h)에 감합하여, 삽입 통과가 완료된다. 이 상태에서, 유지구(20)의 타방의 단부(20e)측의 감합부(20c)의 두께 t1이,  
t1>t2
의 관계로 형성되면, Z방향에서의 홈(11e)과 감합부(20c)의 간극은, 유지구(20)의 일방의 단부(20d)측보다 타방의 단부(20e)측이 좁아져, 예를 들면,  
t1≒s
혹은  
t1>s
와의 조건으로 하는 것에 의해, 감합부(20c)는 홈(11e)의 Z방향의 면에 의해서 끼워 지지되는 상태가 되어, 유지구(20)로부터 센서(10)가 탈락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유지구(20)에 대한 센서(10)의 Z방향의 덜거덕거림이 억제되어, 적절한 골프 클럽(200)의 스윙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도 18은, 도 17에 나타내는 M-M'부의 개략 확대 단면도이다.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감합부(20c)가 홈(11e)에 삽입 통과된 상태에서, 빠짐 방지 돌기(20g)는 돌기(11c)의 노치부(11h)와 감합량 δ를 가지고 감합된다. 이것에 의해, 도 17에 나타내는 센서(10)와 유지구(20)와의 장착 상태가 유지된다.  
이 상태로부터 센서(10)를 유지구(20)로부터 떼어내는 경우에는,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손가락(300)에 의해서 압압 돌기(20j)를 도시하는 화살표의 방향으로 압압하는 것에 의해, 빠짐 방지 돌기(20g)는 노치부(11h)로부터 이탈하여, 틈 ε(ε〉0))을 발생시킨 상태에서, 센서(10)는 도 17에 나타내는 화살표의 역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는 것에 의해, 유지구(20)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이와 같이, 빠짐 방지 돌기(20g, 20f)와 빠짐 방지 돌기(20g, 20f)를 감합할 수 있는 노치부(11h, 11g)를 구비하는 것에 의해, 유지구(20)에의 센서(10)의 장착성을 확보하면서도, 필요시에는 용이하게 센서(10)를 유지구(20)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운동 검출 장치(100)에 구비되는 전자 디바이스(13b)에, 검출축을 구비하는 관성 센서를 포함하는 경우, 골프 클럽(200)에 운동 검출 장치(100)를 장착하는 경우, 관성 센서의 검출축을 골프 클럽(200)에 대해서 상대적인 위치 맞춤을 필요로 한다. 이 경우, 검출축 방향을 명확하게 나타내는 수단으로서,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검출축의 방향 지시부를 검출 장치에 구비해도 괜찮다.  
또, 상술한 방향 지시부(12a, 12b, 20m, 20n)는, 모두 돌기 모양으로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형태를 예시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성형 혹은 조각에 의한 오목형이라도 좋고, 또, 인쇄 마크라도 좋다. 또, 화살표 형상, 혹은 선 모양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방향성을 식별할 수 있는 형상 마크라면 좋다.
또, 그 외의 변형예로서 방향 지시부를 마련하지 않고, 예를 들면, 홈부, 감합부, 감합부가 연장하는 방향으로 관성 센서의 검출축을 설정하면, 받침대와 유지구를 감합하는 동작을 행하는 것만으로 검출축을 소정의 방향과 일치시킬 수 있고, 정밀도 좋게 운동 검출을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관성 센서로서 각속도 센서를 이용하고, 홈부, 감합부, 감합부가 연장하는 방향을 축방향으로 하면, 샤프트축 둘레의 각속도를 정밀도 좋게 검출할 수 있고, 골프 클럽 헤드의 페이스각(face角)의 변화 등을 정밀도 좋게 트레이스할 수 있다.   
상술한 운동 검출 장치(100)는, 유지구(20)에 구비되는 감합부(20b, 20c)가 센서(10)에 구비되는 홈(11d, 11e)에 삽입 통과하도록 센서(10)를 슬라이드 감합시키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골프 클럽(200)에 장착된 유지구(20)에 센서(10)를 장착시킬 수 있다. 게다가, 센서(10)가 유지구(20)에 장착되는 것에 의해, 유지구(20)의 장착면(20a)과 샤프트부(200b)에 의해 그립부(200a)에 구비되는 그립 러버(200c)를 압축하여 끼워 지지하여, 골프 클럽(200)에 대한 운동 검출 장치(100)의 유지력을 높이며, 골프 클럽(200)의 스윙에 의한 운동 검출 장치(100)에 가해지는 관성력 혹은 충격력에 대해서 장착 위치의 어긋남이 억제된다. 따라서, 적절한 골프 클럽(200)의 스윙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또, 슬라이드 감합의 구조 이외에도, 받침대 및 유지구의 일방에 홈부나 구멍부 등의 오목 부분을 마련하고, 받침대 및 유지구의 타방에 돌기 등의 돌기 모양 부분을 마련한 구조에 의해, 서로 압압하여 받침대와 유지구를 감합하는 방식으로 해도 괜찮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유지구(20)는, 구속부(21a)와 접촉부(22)를 가지는 만곡판(21)을 포함하기 때문에, 골프 클럽(200) 등의 물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외력이 인가된 경우에, 응력이 분산되어, 구속부(21a)의 근방에의 응력의 집중이 완화된다. 이것에 의해, 탈락, 위치 어긋남, 회전 등이 생기기 어려워 물체에 대해서 안정적으로 장착할 수 있고, 또한, 센서 등의 센서를 물체에 장착시키기 위해서 사용한 경우에, 장착한 상태에서 충격 등이 가해져도 파손되기 어렵다.   
도 21은, 종래의 유지구(50)의 단면의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1은, 도 5에 나타내는 단면과 동일하게 절단한 단면에 상당한다.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유지구(50)는, 골프 클럽(200)에 장착되었을 때에, 골프 클럽(200)에 접촉하는 부위의 전체가 골프 클럽(200)을 압압하는 구속부(51a)로 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유지구(50)에 센서 등이 감합되면, 도면 중 탈색 화살표로 나타내는 구속부(51a)의 양단부 근방에, 응력이 집중한다. 그 때문에, 골프 클럽(200)에, 생각 외의 외력(충격이나 진동 등)이 가해진 경우에는, 유지구(50)의 양단부 부근에 크랙 등이 생기기 쉬웠다.   
이것에 대해서, 상기 설명한 본 실시 형태의 유지구(20)에서는, 접촉부(22)가 존재하기 때문에, 구속부(21a)의 주위에의 응력의 집중이 완화된다. 이것에 의해, 유지구(20)의 양단부 부근에서의 크랙 등이 생기기 어렵게 되어 있다. 또, 비접촉부(25)가 존재하는 것에 의해, 응력은 보다 분산되어, 유지구(20)의 양단부 부근에서의 응력의 집중을 보다 완화할 수 있고, 파손을 더 억제할 수 있다. 또, 도 21과 같은 종래의 유지구(50)에서, 유지구(50)를 골프 클럽(200)에 장착한 경우에, 골프 클럽(200)과 유지구(50)가 접하는 면에, 상술의 탄성 부재(23)를 붙이는 등에 의해 설치하면, 본 실시 형태의 유지구(20)와 동일한 구성이 되어, 본 발명의 유지구의 일 형태가 되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1.5. 운동 검출 장치
본 실시 형태의 운동 검출 장치(100)는, 상술의 유지구(20)와, 유지구(20)에 감합하는 전술의 센서(10)에 구비된 센서부(13)를 포함한다. 이러한 운동 검출 장치(100)는, 골프 클럽(200) 등의 물체에, 센서부(13)를 탈락, 위치 어긋남, 회전 등이 생기기 어려워, 안정적으로 장착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의 운동 검출 장치(100)는, 골프 클럽(200)에 장착한 상태에서 충격 등이 가해져도 파손되기 어렵다.
운동 검출 장치(100)는, 내면에, 체결에 의해 운동 기구에 접촉하는 복수의 구속부(21a)가 있으며, 그들의 사이에 오목부 및 볼록부 중 적어도 일방을 마련하는 것에 의해 내면을 불연속면으로 하는 불연속부가 마련되어 있다. 혹은, 운동 검출 장치(100)는, 운동 기구에 장착하여 체결했을 때에, 내면이 체결에 의해 운동 기구에 접촉하는 복수의 구속부(21a)를 구비하고, 또한, 내면이 운동 기구의 외형을 따르지 않은 부분을 가진다.   
그 때문에, 운동 기구에 장착된 상태에서 외력이 인가된 경우에, 응력이 분산되어, 응력의 집중이 완화된다. 이것에 의해, 탈락, 위치 어긋남, 회전 등이 생기기 어려워 운동 기구에 대해서 안정적으로 장착할 수 있고, 또한, 장착한 상태에서 충격 등이 가해져도 파손되기 어렵다.   
2. 센서 부착 운동 기구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센서 부착 운동 기구(400)는, 골프 클럽(200) 등의 운동 기구로서, 상술의 운동 검출 장치(100)가 장착되어 있다(도 3, 도 22 참조). 이러한 센서 부착 운동 기구(400)는, 센서부가 탈락, 위치 어긋남, 회전 등이 생기기 어려워, 안정적으로 장착되고, 또한, 충격 등이 가해져도 운동 검출 장치(100)가 파손되기 어렵다.   
3. 운동 해석 장치
도 22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운동 해석 장치를 나타내는 외관도이다.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운동 해석 장치(1000)(이하, '해석 장치(1000)'라고 함)는, 상술의 운동 검출 장치(100)와, 운동 검출 장치(100)에 의해서 얻어진 물체로서의 골프 클럽(200)의 운동 데이터를 취득하고, 운동 데이터를 해석하는 컴퓨터(500)를 구비하고 있다. 컴퓨터(500)는, 입력부(500a)를 구비한는 처리부(500b)와, 처리 결과를 표시하는 표시부(500c)를 구비한다. 도시의 예에서는, 퍼스널 컴퓨터(500)(이하, 'PC(500)'라고 함)를 구비하고 있지만, 태블릿 단말이나 스마트 폰 등의 휴대 단말을, 유선, 무선 등에 의해 적절히 접속해도 괜찮다. 또, PC(500)의 해석 결과를 기록하기 위해서 외부 출력으로서의 프린터(600)를 구비하고 있어도 괜찮다. 또, 운동 검출 장치(100)와 PC(500)와의 사이는 본 형태에서는, 후술하지만, 무선 통신에 의해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검출 장치에 SD카드, USB 메모리 등의 착탈 가능한 기록 매체를 장착하고, 기록 매체를 매개로 하여 데이터의 수수(授受)를 행해도 괜찮다.   
도 23에, 도 22에 나타내는 해석 장치(1000)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운동 검출 장치(100)에 구비하는 센서(10)에는, 관성 센서(110), 데이터 처리를 행하면서 데이터가 격납되는 데이터 축적부(120), 그리고 PC(500)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부(132)와, PC(500)로부터의 송신을 수신하는 수신부(131)를 포함하는 제1 통신부(130)를 적어도 구비하고 있다. 또, 해석 장치로서의 PC(500)에는, 운동 검출 장치(100)의 제1 통신부(130)로부터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511)와, 제1 통신부(130)로 송신하는 송신부(512)를 포함하는 제2 통신부(510)와, 취득한 검출 데이터의 데이터 처리를 행하고 해석하는 운동 해석부(520)를 포함한 처리부(500b)와, 운동 해석부(520)에서의 해석 결과를 표시하는 표시부(500c)를 포함한다. 또, 해석 결과의 외부 출력으로서 프린터(600)를 가지고 있다.   
운동 검출 장치(100)가 장착된 골프 클럽(200)을 스윙하면, 관성 센서(110)가 관성력을 검출하고, 검출 데이터를 데이터 축적부(120)에 송출한다. 데이터 축적부(120)에서는, PC(500)에 송신 가능한 데이터 형식에 처리한 다음에, PC(500)로부터의 송신 지시를 수신할 때까지 축적(격납)해 둔다. 운동 해석을 위한 소정의 스윙이 종료한 곳에서, 운동 해석의 작업이 개시된다. 도시하지 않은 입력부(500a)에 의해서, 처리부(500b)에 해석 개시의 명령을 주면, 제2 통신부(510)의 송신부(512)로부터 제1 통신부(130)에 검출 데이터 송신의 지시가 무선에 의해서 송신된다. 제1 통신부(130)의 수신부(131)에 의해서 수신된 명령에 근거하여, 데이터 축적부(120)에 격납된 검출 데이터가 송신부(132)에 의해서 처리부(500b)에 송신된다. 또, 본 형태에서는 제1 통신부(130)와 제2 통신부(510)와의 사이를 무선 접속하는 형태로 하고 있지만, 유선 접속이라도 좋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운동 검출 장치(100)에 착탈 가능한 기억 매체를 장착하고, 기억 매체를 매개로 하여 데이터의 수수를 행해도 괜찮다.   
제2 통신부(510)의 수신부(511)에 의해서 수신된 검출 데이터는 운동 해석부(520)에 송출되고, 소정의 해석 프로그램에 근거하여 골프 클럽(200)의 운동 해석이 실행된다. 해석 결과는, PC(500)에 구비하는 표시부(500c)에 화상으로서 표시되든지, 혹은 외부 출력으로서의 프린터(600)에 의해서 기록 매체에 기록, 출력된다.
본 형태에 관한 운동 해석 장치(1000)는, 예시한 물체(본 형태에서는 골프 클럽(200))에, 운동 검출 장치(100)를 용이하게 착탈 가능하게 하는 것에 의해, 예를 들면 복수의 물체의 특징을 해석하는 경우라도, 운동 검출 장치(100)는 적어도 1세트 준비하면 좋다. 따라서, 해석을 위한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또, 종래 기술에 개시되어 있는 접착 수단에 의한 센서의 물체에의 장착은 아니기 때문에, 해석 준비의 시간 단축, 또는 해석 후에 센서를 물체로부터 떼어냄을 용이하게 하고, 해석 시간의 단축, 및 물체의 접착제 등의 오염물 부착의 방지가 되어, 물체의 상품 가치를 저하시키지 않고, 물체의 운동 특성의 해석을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또 여러 가지의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예를 들면, 기능, 방법 및 결과가 동일한 구성, 혹은 목적 및 효과가 동일한 구성)을 포함한다. 또, 본 발명은,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구성의 본질적이지 않은 부분을 치환한 구성을 포함한다. 또, 본 발명은,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작용 효과를 나타내는 구성 또는 동일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한다. 또, 본 발명은,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구성에 공지 기술을 부가한 구성을 포함한다.
10 - 센서 11 - 받침대
12 - 커버 13 - 센서부
14 - 나사 20 - 유지구
20a - 장착면 21 - 만곡판
21a - 구속부 21b, 21c - 감합부
22 - 접촉부 23 - 탄성 부재
24 - 볼록부 25 - 비접촉부
26 - 오목부 100 - 운동 검출 장치
110 - 관성 센서 120 - 데이터 축적부
130 - 제1 통신부 200 - 골프 클럽
300 - 손가락 400 - 센서 부착 운동 기구
500 - 컴퓨터 510 - 제2 통신부
512 - 송신부 520 - 운동 해석부
600 - 프린터 1000 - 운동 해석 장치

Claims (7)

  1. 운동을 검출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를 운동 기구에 장착하기 위한 유지구를 구비한 운동 검출 장치로서,
    상기 유지구는, 일단이 개방되고, 상기 운동 기구에 장착했을 때에 상기 운동 기구의 샤프트의 일부를 둘러싸는 만곡판(灣曲板)을 구비하며,
    상기 만곡판은, 상기 운동 기구에 장착하고 상기 일단을 체결했을 때에, 상기 만곡판의 내면이 체결에 의해 상기 샤프트에 접촉하는 복수의 구속부와, 복수의 상기 구속부의 사이에 오목부 및 볼록부 중 적어도 일방을 마련하는 것에 의해 상기 내면을 불연속면으로 하는 불연속부가 마련되어 있는 운동 검출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만곡판이 체결될 때에, 상기 만곡판의 내면이 상기 운동 기구에 접촉하지 않은 비접촉부가 형성되는 운동 검출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불연속부는, 상기 만곡판의 내면에 마련된 탄성 부재에 의해 구성된 운동 검출 장치.
  4. 운동을 검출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를 운동 기구에 장착하기 위한 유지구를 구비한 운동 검출 장치로서,
    상기 유지구는, 일단이 개방되고, 상기 운동 기구에 장착했을 때에 상기 운동 기구의 샤프트의 일부를 둘러싸는 만곡판을 구비하며,
    상기 만곡판은, 상기 운동 기구에 장착하고 상기 일단을 체결했을 때에, 상기 만곡판의 내면이 체결에 의해 상기 운동 기구에 접촉하는 복수의 구속부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내면이 상기 운동 기구의 외형을 따르지 않는 부분을 가지는 운동 검출 장치.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만곡판은, 상기 일단에서 상기 센서와 접속되는 운동 검출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유지구가 상기 운동 기구에 장착되며, 상기 센서를 상기 유지구에 상기 일단에서 감합(嵌合)하는 것에 의해, 상기 유지구가 체결되어 고정되는 운동 검출 장치.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에 기재된 운동 검출 장치를 탑재한 운동 기구.
KR1020150157205A 2014-11-12 2015-11-10 운동 검출 장치 KR2016005681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229987A JP2016093245A (ja) 2014-11-12 2014-11-12 運動検出装置
JPJP-P-2014-229987 2014-11-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6812A true KR20160056812A (ko) 2016-05-20

Family

ID=55911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7205A KR20160056812A (ko) 2014-11-12 2015-11-10 운동 검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60131167A1 (ko)
JP (1) JP2016093245A (ko)
KR (1) KR2016005681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97567B1 (en) * 2016-05-02 2017-03-21 Bao Tran Smart sport device
US11638992B2 (en) * 2019-12-10 2023-05-02 Armor Builders, Inc. Tool retaining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40484B2 (en) * 2013-01-17 2014-09-23 Skyhawke Technologies, Llc. Apparatus for providing motion sensors on a golf club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131167A1 (en) 2016-05-12
JP2016093245A (ja) 2016-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77160B2 (en) Input apparatus, method, and game processing method
JP6260616B2 (ja) センサ装置
US10918901B2 (en) Sensor equipped resistance training grip
US8840484B2 (en) Apparatus for providing motion sensors on a golf club
JP6393961B2 (ja) 運動検出装置および運動解析装置
US9199360B2 (en) Sensor mounting apparatus and methods of using same
WO2018118926A1 (en) Swing training device, method, and system therefor
KR20160056812A (ko) 운동 검출 장치
US20180352880A1 (en) Glove with sensors for exercise tracking
US20170120105A1 (en) Exercise equipment, motion detection sensor, motion detection device, and motion analysis system
US20220409971A1 (en) Sensor device and sports implement
US20170122775A1 (en) Motion detecting device and motion analyzing system
US20160129306A1 (en) Sensor unit, sensor set, sports equipment, and mounting method of sensor unit
US1085016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rehabilitation and exercise
JP2016093236A (ja) 運動検出装置、保持具及びセンサー付き運動体
JP2017169859A (ja) 運動検出装置、および運動解析システム
JP2014198097A (ja) ゴルフクラブ、及びこれに取付けられるセンサユニット
JP2016093230A (ja) 運動検出装置及び運動器具
EP3753612B1 (en) Input apparatus
JP2017169860A (ja) 運動検出装置、および運動解析システム
WO2024073792A1 (en) Multi-use dynamometer
JP2015184240A (ja) 装着具、運動検出装置及び運動解析装置
AU2018204326A1 (en) Wearable athletic performance monitoring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