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6233A - Torque and angle sensor - Google Patents

Torque and angle sens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6233A
KR20160056233A KR1020140156398A KR20140156398A KR20160056233A KR 20160056233 A KR20160056233 A KR 20160056233A KR 1020140156398 A KR1020140156398 A KR 1020140156398A KR 20140156398 A KR20140156398 A KR 20140156398A KR 20160056233 A KR20160056233 A KR 201600562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shaft
insertion hole
case
shaf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63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24460B1 (en
Inventor
손호찬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563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4460B1/en
Publication of KR201600562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623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44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446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5/00Stee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15/02Steering position indicators ; Steering position determination; Steering aids
    • B62D15/021Determination of steering angle
    • B62D15/0215Determination of steering angle by measuring on the steering colum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0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 B62D6/08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responsive only to driver input torque
    • B62D6/1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responsive only to driver input torque characterised by means for sensing or determining torqu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3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angles or tapers; for testing the alignment of ax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3/00Measuring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or mechanical efficiency, in general
    • G01L3/02Rotary-transmission dynamometers
    • G01L3/04Rotary-transmission dynamometers wherein the torque-transmitting element comprises a torsionally-flexible shaft
    • G01L3/10Rotary-transmission dynamometers wherein the torque-transmitting element comprises a torsionally-flexible shaft involv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indicating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rque angle sensor which is arranged between a steering input shaft and an output shaft. The torque angle sensor comprises: a rotor part which is connected to the input shaft; a stator part which is arranged on the outer side of the rotor part and is connected to the output shaft; a main gear part which is coupled to the stator part; a sub gear part which has a gear engaged with the main gear and a shaft part coupled to the gear; and a case which has an insertion hole where the shaft part is inserted, wherein the shaft part comprises a clearance preventing part having a catching protrusion caught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case in a state that the shaft part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thereby preventing vertical movement while securing the smooth rotation of the sub gear.

Description

토크앵글센서{TORQUE AND ANGLE SENSOR}TORQUE AND ANGLE SENSOR < RTI ID = 0.0 >

본 발명은 스티어링 시스템의 토크 및 앵글을 측정할 수 있는 토크앵글센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rque angle sensor capable of measuring torque and angle of a steering system.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바퀴와 연결된 스티어링 휠(Steering wheel)을 조작하여 주행 방향을 조작한다. 그러나, 바퀴와 노면과의 저항이 크거나 스티어링의 장애요인 발생시 조작력이 약화되어 신속한 조작이 어려운 경우가 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EPS)이 사용된다. 이러한 파워스티어링 장치는 스티어링 휠의 조작에 동력장치를 개입하여 조작의 힘을 경감시키도록 하는 장치이다.Generally, the automobile operates the steering wheel by operating the steering wheel connected to the wheel. However, when the resistance between the wheels and the road surface is large, or the obstacle of the steering is generated, the operation force is weakened and the operation is difficult.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power steering system (EPS) is used. Such a power steering device is a device for interrupting the operation force of the steering wheel through a power device.

이러한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EPS)은 차속센서, 토크 앵글센서 및 토크센서 등에서 감지한 운행조건에 따라 전자제어장치(Electronic Control Unit)에서 모터를 구동하여 선회 안정성을 보장하고 신속한 복원력을 제공함으로써 운전자로 하여금 안전한 주행이 가능하도록 한다.This power steering system (EPS) drives a motor in an electronic control unit according to operating conditions sensed by a vehicle speed sensor, a torque angle sensor, and a torque sensor to ensure swing stability and provide quick restoring force, Ensure safe driving.

토크앵글센서는 기능상 토크센싱모듈과 앵글(조향각, steering angle) 센싱모듈로 구분될 수 있다. 이 중 앵글센싱모듈은 스테이터에 메인기어가 결합되어 스테이터의 회전을 감지함으로써 조향 핸들의 조향각도(절대각)을 측정한다.The torque angle sensor can be divided into a torque sensing module and an angle (steering angle) sensing module as a function. The angle sensing module measures the steering angle (absolute angle) of the steering wheel by detecting the rotation of the stator by coupling the main gear to the stator.

메인기어는 서브기어와 치합된다. 서브기어는 메인기어와 회전비를 달리하도록 형성되어 조향 핸들의 조향각도(상대각)을 측정한다. 이러한 서브기어는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지만, 상하 방향으로는 별도로 구속하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그 결과 서브 기어 회전 시에 유격으로 인하여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는 현상이 발생하고 이로 인하여 센서 성능에 악영향을 끼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The main gear is engaged with the sub gear. The sub gear is formed so as to have a rotation ratio different from that of the main gear, and measures the steering angle (relative angle) of the steering wheel. Such a sub gear is rotatably seated in the case, but there is no separate restraining means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As a result, when the sub gear is rotated, the sub gear is moved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due to the clearance, Problems arise.

이를 방지하기 위해 케이스 자체에 단차를 형성하여 서브 기어를 상하 방향으로 구속하는 방안이 제안되고 있으나, 이는 단차 영역에 서브 기어가 끼임으로써 회전이 방해 받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To prevent this, there has been proposed a method of restricting the sub gear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by forming a step on the case itself. However, this may cause a problem that the sub gear is interfered with the rotation due to the sub gear inserted in the step difference area.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서브 기어의 원활한 회전을 확보하면서도 서브 기어의 상하 방향 유격을 방지할 수 있는 토크앵글센서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orque angle sensor capable of preventing the vertical gear gap of the sub gear from being ensured while ensuring smooth rotation of the sub gear.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here can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조향 입력축과 출력축 사이에 배치되는 토크앵글센서에 있어서, 상기 입력축에 연결되는 로터부와, 상기 로터부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출력축에 연결되는 스테이터부와, 상기 스테이터부에 결합하는 메인기어부와, 상기 메인기어에 치합되는 기어와 상기 기어에 결합하는 축부를 포함하는 서브기어부 및 상기 축부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된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축부는 상기 삽입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 하면에 걸리는 걸림단턱을 포함하는 유격방지부를 포함하는 토크앵글센서를 제공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orque angle sensor disposed between a steering input shaft and an output shaft, the torque angle sensor comprising: a rotor portion connected to the input shaft; a stator portion disposed outside the rotor portion and connected to the output shaft; And a case having a main gear portion coupled to the stator portion, a sub gear portion including a gear engaged with the main gear and a shaft portion coupled to the gear, and a case having an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shaft portion is inserted, And an engaging step that engages the lower surface of the case in a state of being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격방지부는 하향하는 후크형 돌기일 수 있다.Preferably, the play preventing portion may be a downwardly directed hook protrus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격방지부는 상기 축부의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Preferably, the air gap preventing portions may be dispos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shaft por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케이스는 상기 삽입홀의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기 기어의 하면과 접촉 가능하게 형성되는 미끄럼저항감소부를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case may include a sliding resistance reducing portion formed to be protrud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insertion hole to be contactable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gear.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끄럼저항감소부는 환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기어의 직경보다 작은 외경으로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sliding resistance reducing portion may be formed to have an annular shape and have an outer diameter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gear.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끄럼저항감소부의 폭은 상기 걸림단턱의 폭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width of the sliding resistance reducing portion is equal to the width of the engaging step.

바람직하게는, 상기 축부는 절개 형성되는 탄성유발슬롯을 포함할 수 있다.Advantageously, the shaft portion may comprise an elastic induction slot that is incised.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유발슬롯은 상기 축부의 하단에서 높이 방향으로 절개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Advantageously, the resiliently-induced slot may be cut in a height direction at the lower end of the shaft por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유발슬롯은 상기 축부의 원주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유격방지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Preferably, the elastic induction slot may be disposed between the play preventing portions with respect to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haft por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격방지부는 상기 걸림단턱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미끄럼저항감소홈을 포함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play preventing portion may include a sliding resistance reducing groove formed concavely in the engaging step.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브 기어가 케이스에 안착된 상태에서 케이스의 하면에 걸림 가능하게 형성되는 유격방지부를 구비함으로써, 서브 기어의 원활한 회전을 확보하면서도 상하 방향 움직임을 방지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ub-gear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ase in a state in which the sub gear is se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ase, the sub-gear is prevented from mov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while ensuring smooth rotation of the sub- Effect.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케이스의 삽입홀의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는 미끄럼저항감소부를 구비함으로써, 서브 기어의 상하 방향 움직임을 구속하면서도 서브 기어의 하면과의 접촉면적을 줄여 미끄럼저항을 감소시키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Furth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liding resistance reducing portion protruded around the insertion hole of the case is provided, the contact area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sub gear is reduced while restricting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sub gear, Lt; / RTI >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브기어의 축부에 탄성유발슬롯을 구비하여, 케이스의 삽입홀에 서브기어를 보다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게 하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Furth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lastic induction slot is provided in the shaft portion of the sub gear to provide an advantageous effect that the sub gear can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of the case more easily.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토크앵글센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서브 기어부에 형성된 유격방지부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케이스의 삽입홀에 끼워지는 유격방지부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케이스에 장착된 유격방지부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유격방지부의 단면을 확대한 도면,
도 6은 유격방지부에 형성된 미끄럼저항감소홈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torque angle sens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 clearance preventing portion formed in the sub gear portion, FIG.
3 is a view showing a play preventing portion fitted in an insertion hole of a case,
4 is a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a clearance preventing portion mounted on a case,
5 is an enlarged view of a cross section of the anti-
6 is a view showing a sliding resistance reducing groove formed in the clearance preventing por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objectives, specific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FIG. The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to be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and the inventor should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describe its own invention in the best way.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there is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토크앵글센서의 케이스 내부에는 서브 기어부를 상하 방향으로 잡아주는 구조가 없었다. 그 결과, 서브 기어부에 상하 방향으로 유격이 발생하고 이러한 유격은 토크앵글센서의 성능에 악영향을 끼쳤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크앵글센서는, 이러한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고자 케이스의 구조가 아닌 서브 기어부의 구조를 변경하여 서브 기어부의 상하 유격 발생을 방지하고자 안출된 장치이다.
There was no structure inside the case of the torque angle sensor to hold the sub gear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a result, a clearance is gener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sub gear portion, and such clearance adversely affects the performance of the torque angle sensor. The torque angle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to prevent the vertical gear gap of the sub gear portion by changing the structure of the sub gear portion, not the case structure, in order to fundamentally solve such a problem.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토크앵글센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서브 기어부에 형성된 유격방지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러한,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을 개념적으로 명확히 이해하기 위하여, 주요 특징 부분만을 명확히 도시한 것이며,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되며, 도면에 도시된 특정 형상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될 필요는 없다.
FIG. 1 is a view showing a torque angle sens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view illustrating a clearance preventing portion formed in a sub gear portion. 1 and 2 clearly illustrate only the major feature parts for the purpose of a clear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s a result various variations of the illustrations are to be expected and the scope of the invention Need not be limited.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토크앵글센서는 로터부(100)와, 스테이터부(200)와, 메인기어부(300)와, 서브기어부(400)와, 케이스(500)와, 유격방지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1 and 2, a torque angle sens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otor unit 100, a stator unit 200, a main gear unit 300, a sub gear unit 400, A case 500, and an air gap preventing part 600. [0033]

토크앵글센서는 기능상 토크센싱모듈과 앵글(조향각, steering angle) 센싱모듈로 구분될 수 있다. 토크센싱모듈은 로터부(100)와 스테이터부(200), 및 콜렉터(미도시)로 구성되어, 조향 핸들을 원활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토션바에 걸리는 토크를 측정한다.
The torque angle sensor can be divided into a torque sensing module and an angle (steering angle) sensing module as a function. The torque sensing module is composed of a rotor section 100, a stator section 200, and a collector (not shown), and measures the torque applied to the torsion bar so that the steering wheel can be smoothly operated.

먼저, 토크를 측정하는 주요 구성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First, a description of the main configuration for measuring the torque is as follows.

로터부(100)는 입력축(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스테이터부(200)는 출력축(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입력축은 운전자의 스티어링 휠을 회전시키는 힘에 의해 회전하게 되고, 출력축은 차량의 전륜과 연결되어 상기 입력축으로부터 힘을 전달받아 회전하게 된다. The rotor section 100 may be connected to an input shaft (not shown). And the stator unit 200 may be connected to an output shaft (not shown). At this time, the input shaft is rotated by the force of rotating the steering wheel of the driver, and the output shaft is connected to the front wheel of the vehicle and receives the force from the input shaft to rotate.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로터부(100)가 입력축에 연결되고 스테이터부(200)가 출력축에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로터부(100)가 출력축에 연결되고 스테이터부(400)가 입력축에 연결될 수도 있다.
The rotor unit 100 is connected to the input shaft and the stator unit 200 is connected to the output shaft.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rotor unit 100 may be connected to the output shaft The stator unit 400 may be connected to the input shaft.

로터부(100)는 조향 입력축에 연결되는 원통형상의 로터(111)와, 로터(111)의 외주면에 부착된 로터 마그네트(112)를 포함한다. 로터부(100)는 조향 입력축과 연결되어 입력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게 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로터부(100)에는 조향 입력축과 결합될 수 있는 결합구조(예: 돌기 또는 요홈)가 형성될 수 있다.
The rotor section 100 includes a cylindrical rotor 111 connected to the steering input shaft and a rotor magnet 112 attach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or 111. The rotor unit 100 is connected to the steering input shaft and rotates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input shaft. Although not shown, the rotor portion 100 may be provided with a coupling structure (e.g., a projection or groove) that can be engaged with the steering input shaft.

스테이터부(200)는 스테이터링(210)과, 스테이터링(210)이 수용되는 스테이터 홀더(220)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편(211)은 스테이터 홀더(220)의 내주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돌출편(211)은 로터 마그네트(112)의 자력 변화를 감지할 수 있도록 로터 마그네트(112)에 대향되게 배치된다. The stator unit 200 may include a stator 210 and a stator holder 220 in which the stator 210 is accommodated. The projecting piece 211 can be fixed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tator holder 220. The protruding pieces 211 are arranged to face the rotor magnet 112 so as to sense a change in magnetic force of the rotor magnet 112.

그 결과, 입력축과 출력축 사이에 따라 비틀림이 발생하게 되면, 로터부(100)와 스테이터부(200) 사이의 회전 차이가 발생하게 되고 이는 자기력의 변화로 감지되어 콜렉터(미도시)에 배치된 자기소자에 의해 검출된다.
As a result, if a twist occurs between the input shaft and the output shaft, a difference in rotation occurs between the rotor unit 100 and the stator unit 200, which is sensed by a change in the magnetic force, Is detected by the device.

다음으로, 앵글을 측정하는 구성은 다음과 같다.Next, the configuration for measuring the angle is as follows.

메인기어부(300)는 스테이터부(420)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메인기어부(300)와 치합하는 서브기어부(400)는 기어(410)와, 기어(410)의 중심에 결합되는 축부(420)와, 기어(410)의 축부(420)에 결합되는 복수의 서브 마그네트(411, 41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브 마그네트(411, 412)의 자화를 센싱하는 자기소자(412, 422)를 포함할 있다.
The main gear unit 300 may be disposed outside the stator unit 420. The sub gear portion 400 meshing with the main gear portion 300 includes a gear 410, a shaft portion 420 coupled to the center of the gear 410, and a shaft portion 420 coupled to the shaft portion 420 of the gear 410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sub-magnets 411 and 412. It also includes magnetic elements 412 and 422 for sensing the magnetization of the sub-magnets 411 and 412.

앵글을 측정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스테이터부(200)의 회전에 연동하여 메인기어부(300)가 회전하면 메인기어부(300)와 치합된 기어(410)가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기어(410)에 삽입된 서브 마그네트(411, 421)가 회전하게 된다. 자기소자(412, 422)는 서브 마그네트(411, 421)의 자계변화를 센싱한다. 이러한 자기소자(412, 422)는 홀 소자(Hall IC)일 수 있다.When the main gear unit 300 rotates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stator unit 200, the gear 410 engaged with the main gear unit 300 rotates. The sub-magnets 411 and 421 inserted in the sub-magnets 410 rotate. The magnetic elements 412 and 422 sense the magnetic field changes of the sub-magnets 411 and 421. These magnetic elements 412 and 422 may be Hall ICs.

만약, 기어(410)가 회전하면서 상하 유동하게 되면, 자기소자(412, 422)의 출력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차이는 센서의 성능 저하를 유발한다.
If the gear 410 is rotated up and down while rotating, a difference may occur in the output of the magnetic elements 412, 422, such a difference causing a performance degradation of the sensor.

본 발명에서는 서브기어부(400)에 유격방지부(600)를 형성하여 서브기어부(400)의 상하 유동을 방지하고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ub gear portion 400 is provided with the anti-play portion 600 to prevent the sub gear portion 400 from flowing up and down.

도 2는 서브 기어부에 형성된 유격방지부를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view showing a clearance preventing portion formed in the sub gear portion.

도 2를 참조하면, 유격방지부(600)는 서브기어부(400)의 축부(420)에서 형성되며 축부(420)의 반경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걸림단턱(610)을 포함한다. 그리고 유격방지부(600)는 걸림단턱(610)에서 하향할수록 두께가 감소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삽입가이드면(620)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서, 유격방지부(600)는 하향하는 후크형 돌기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anti-air portion 600 is formed at the shaft portion 420 of the sub gear portion 400 and includes a locking step 610 protruding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shaft portion 420. The clearance preventing part 600 may be formed with an inserting guide surface 620 formed to be inclined so as to decrease in thickness as it is lowered from the engaging step 610. As an example, the anti-shake portion 60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downwardly protruding hook-shaped protrusion.

이러한 유격방지부(600)는 서브기어부(400)의 축부(420)의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마다 배치될 수 있다. 축부(420)의 둘레를 따라 유격방지부(600)의 사이에는 탄성유발슬롯(630)이 형성될 수 있다. 탄성유발슬롯(630)은 축부(420)의 하단에서 축부(420)의 높이 방향으로 소정의 폭으로 절개 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The clearance preventing portions 600 may be dispos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shaft portion 420 of the sub gear portion 400. An elastic induction slot 630 may be formed between the play preventing portions 600 along the periphery of the shaft portion 420. The elastic induction slot 630 may be formed at a predetermined width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shaft portion 420 at the lower end of the shaft portion 420.

도 3은 케이스의 삽입홀에 끼워지는 유격방지부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3 is a view showing a play preventing portion fitted in the insertion hole of the case. Fig.

도 3을 참조하면, 케이스(500)에는 삽입홀(510)이 형성될 수 있다. 삽입홀(510)은 서브기어부(400)가 개수에 대응되게 마련될 수 있다. 서브기어부(400)는 삽입홀(510)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진다. 이때. 탄성유발슬롯(630)은 유격방지부(600)가 형성된 축부(420)의 선단이 축소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여, 경사면(620)을 따라 유격방지부(600)가 삽입홀(510)을 용이하게 관통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Referring to FIG. 3, an insertion hole 510 may be formed in the case 500. The insertion hole 510 may be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sub gear portions 400. The sub gear portion 400 is rotatably fitted in the insertion hole 510. At this time. The elastic induction slot 630 provides a space in which the tip end of the shaft portion 420 formed with the play preventing portion 600 can be reduced so that the play preventing portion 600 moves along the inclined surface 620 in the insertion hole 510 So that it can be easily penetrated.

도 4는 케이스에 장착된 유격방지부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유격방지부의 단면을 확대한 도면이다.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lay preventing portion mounted on the case, and Fig. 5 is an enlarged view of a cross section of the play preventing portion.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서브기어부(400)가 삽입홀(510)을 관통하여 케이스(50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경우, 삽입홀(510)의 하부 측에서는 걸림단턱(610)이 케이스(500)의 하면에 접촉 가능하게 구성되며, 삽입홀(510)의 하부 측에서는 기어(510)의 하면(411)이 케이스(500)의 하면에 접촉 가능하게 구성되어 서브기어부(400)가 회전하면서 삽입홀(510)을 기준으로 상하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4 and 5, when the sub gear unit 400 is rotatably mounted on the case 500 through the insertion hole 510, the engagement step 610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insertion hole 510 The lower surface of the insertion hole 510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case 500 so that the sub gear portion 400 can contact the lower surface of the case 500. [ It is possible to prevent upward and downward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insertion hole 510 while rotating.

이때, 삽입홀(510)의 직경보다 걸림단턱(610)의 두께를 포함하는 축부(420)의 직경이 크게 형성된다. At this time, the diameter of the shaft portion 420 including the thickness of the engaging step 610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insertion hole 510.

걸림단턱(610)의 위치는 삽입홀(510)의 두께를 고려하여 설계하되, 서브기어부(400)의 미끄럼저항이 크지 않도록 적절하게 설계될 수 있다.The position of the engagement step 610 may be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the thickness of the insertion hole 510, but may be appropriately designed so that the sliding resistance of the sub gear portion 400 is not large.

한편, 케이스(500)의 상면 중 삽입홀(510)의 둘레에는 미끄럼저항감소부(520)가 형성될 수 있다. 미끄럼저항감소부(520)는 삽입홀(510)의 둘레에서 상향 돌출되어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기어(410)의 하면과 접촉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미끄럼저항감소부(520)의 외경은 적어도 기어(410)의 직경 보다 작게 형성되기 때문에 기어(410)와 케이스(500)간의 접촉 면적을 줄일 수 있다. 즉, 도 5의 G와 같이, 미끄럼저항감소부(520)는 케이스(500)와 기어(410)의 하면(411) 사이에서 간극을 형성하여 접촉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sliding resistance-reducing portion 520 may be formed around the insertion hole 510 in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500. The sliding resistance sensing portion 520 may be formed in an annular shape protruding upward from the periphery of the insertion hole 510 and may be formed so as to be able to contact the lower surface of the gear 410. At this time, since the outer diameter of the sliding resistance sensing portion 520 is formed to be at least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gear 410,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gear 410 and the case 500 can be reduced. That is, as shown in FIG. 5G, the sliding resistance sensing portion 520 can form a gap between the case 500 and the lower surface 411 of the gear 410, so that the contact area can be minimized.

동시에, 미끄럼저항감소부(520)는 기어(410)의 하면을 접촉 지지하기 때문에 서브기어부(400)가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t the same time, the sliding resistance portion 520 supports the lower surface of the gear 410, thereby preventing the sub gear portion 400 from mov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도 6은 유격방지부에 형성된 미끄럼저항감소홈을 도시한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a sliding resistance reducing groove formed in the clearance preventing portion.

도 6을 참조하면, 서브기어부(400)의 걸림단턱(610)은 미끄저항감소홈(640)을 포함할 수 있다. 미끄저항감소홈(640)은 걸림단턱(610)에서 오목하게 형성되며 걸림단턱(610)의 폭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케이스(500)의 하면과 걸림단턱(610)의 접촉면적을 줄임으로써 미끄럼 저항을 줄여 주는 역할을 한다. 도면에서는 하나의 미끄저항감소홈(640)을 도시하였으나, 복수의 미끄저항감소홈(640)이 정렬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6, the engagement step 610 of the sub gear portion 400 may include a slip resistance reducing groove 640. The slip resistance reducing groove 640 is recessed in the engaging step 610 and is elongat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engaging step 610 to reduce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case 500 and the engaging step 610, . Although one slip resistance reduction groove 640 is shown in the drawing, a plurality of slip resistance reduction grooves 640 may be formed in alignment.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토크앵글센서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As described above, the torque angle sensor according to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pecifical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substitutions and substitu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e invention as disclosed in the accompanying claims. will be.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intended to illustrate and not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로터부
111: 로터
112: 로터 마그네트
200: 스테이터부
210: 스테이터링
211: 돌출편
220: 스테이터 홀더
300: 메인기어부
400: 서브기어부
410: 기어
411,412: 서브 마그네트
412,422: 자기소자
420: 축부
500: 케이스
510: 삽입홀
520: 미끄럼저항감소부
600: 유격방지부
610: 걸림단턱
620: 삽입가이드면
630: 탄성유발슬롯
640; 미끄럼저항걸림홈
100:
111: Rotor
112: Rotor magnet
200: stator part
210: Statoring
211: protruding piece
220: Stator holder
300: main gear portion
400: sub gear portion
410: gear
411, 412:
412, 422:
420:
500: Case
510: insertion hole
520: slip resistance
600:
610:
620: Insertion guide face
630: elastic induction slot
640; Slip resistance

Claims (10)

조향 입력축과 출력축 사이에 배치되는 토크앵글센서에 있어서,
상기 입력축에 연결되는 로터부;
상기 로터부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출력축에 연결되는 스테이터부;
상기 스테이터부에 결합하는 메인기어부;
상기 메인기어에 치합되는 기어와 상기 기어에 결합하는 축부를 포함하는 서브기어부; 및
상기 축부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된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축부는 상기 삽입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 하면에 걸리는 걸림단턱을 포함하는 유격방지부를 포함하는 토크앵글센서.
A torque angle sensor disposed between a steering input shaft and an output shaft,
A rotor connected to the input shaft;
A stator unit disposed outside the rotor unit and connected to the output shaft;
A main gear portion coupled to the stator portion;
A sub gear portion including a gear engaged with the main gear and a shaft portion coupled to the gear; And
And a case having an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shaft portion is inserted,
And the shaft portion includes an engagement preventing step including a locking step that is engaged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case when the shaft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유격방지부는 하향하는 후크형 돌기인 토크앵글센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ree-fall preventing portion is a downwardly-directed hook-shaped projection.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유격방지부는 상기 축부의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토크앵글센서.
3. The method of claim 2,
And the airbag-preventing portions are dispos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shaft portio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삽입홀의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기 기어의 하면과 접촉 가능하게 형성되는 미끄럼저항감소부를 포함하는 토크앵글센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ase includes a sliding resistance reduction portion formed to protrude along the periphery of the insertion hole and to be able to contact the lower surface of the gear.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저항감소부는 환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기어의 직경보다 작은 외경으로 갖도록 형성되는 토크앵글센서.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liding resistance reducing portion is formed in an annular shape and is formed to have an outer diameter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gear.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저항감소부의 폭은 상기 걸림단턱의 폭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토크앵글센서.
6. The method of claim 5,
And the width of the sliding resistance reducing portion is formed to be equal to the width of the engaging step.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축부는 절개 형성되는 탄성유발슬롯을 포함하는 토크앵글센서.
The method of claim 3,
And the shaft portion includes an elastic induction slot that is formed in an incision.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유발슬롯은 상기 축부의 하단에서 높이 방향으로 절개되어 이루어지는 토크앵글센서.
10. The method of claim 9,
And the elastic induction slot is cut in a height direction at a lower end of the shaft portion.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유발슬롯은 상기 축부의 원주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유격방지부 사이에 배치되는 토크앵글센서.
9. The method of claim 8,
And the elastic induced slots are disposed between the clearance preventing portions with respect to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haft portio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유격방지부는 상기 걸림단턱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미끄럼저항감소홈을 포함하는 토크앵글센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learance preventing portion includes a sliding resistance reducing groove formed concavely in the engaging step.
KR1020140156398A 2014-11-11 2014-11-11 Torque and angle sensor KR10222446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6398A KR102224460B1 (en) 2014-11-11 2014-11-11 Torque and angle sens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6398A KR102224460B1 (en) 2014-11-11 2014-11-11 Torque and angle sens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6233A true KR20160056233A (en) 2016-05-19
KR102224460B1 KR102224460B1 (en) 2021-03-08

Family

ID=56103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6398A KR102224460B1 (en) 2014-11-11 2014-11-11 Torque and angle sens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4460B1 (en)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06136A (en) * 1997-01-17 1998-08-07 Yazaki Corp Steering angle sensor
KR19980064539U (en) * 1997-04-29 1998-11-25 배순훈 Gear assembly structure for power transmission of electronic products
JP2000283705A (en) * 1999-03-30 2000-10-13 Bosch Braking Systems Co Ltd Rotation detector
KR100765087B1 (en) * 2006-12-01 2007-10-0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Steering angle sensor assembly in vehicle
US20090058405A1 (en) * 2006-04-10 2009-03-05 Kouji Oike Rotation angle sensor
KR20090129766A (en) * 2008-06-13 2009-12-17 (주)신창코넥타 Sensor device for detecting steering angle of steering wheel of a vehicle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20004031A (en) * 2010-07-06 2012-01-1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Torque angle sensor
KR20120069869A (en) * 2010-12-21 2012-06-2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Torque angle sensor
JP2013044557A (en) * 2011-08-22 2013-03-04 Bosch Corp Steering angle sensor
KR20130105823A (en) * 2010-08-09 2013-09-26 발레오 샬터 운트 센소렌 게엠베아 Device comprising a torque sensor and a rotation angle sensor
JP2014016222A (en) * 2012-07-09 2014-01-30 Azbil Corp Torque detector and electric actuator
KR20140031683A (en) * 2012-09-05 2014-03-1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Yoke device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06136A (en) * 1997-01-17 1998-08-07 Yazaki Corp Steering angle sensor
KR19980064539U (en) * 1997-04-29 1998-11-25 배순훈 Gear assembly structure for power transmission of electronic products
JP2000283705A (en) * 1999-03-30 2000-10-13 Bosch Braking Systems Co Ltd Rotation detector
US20090058405A1 (en) * 2006-04-10 2009-03-05 Kouji Oike Rotation angle sensor
KR100765087B1 (en) * 2006-12-01 2007-10-0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Steering angle sensor assembly in vehicle
KR20090129766A (en) * 2008-06-13 2009-12-17 (주)신창코넥타 Sensor device for detecting steering angle of steering wheel of a vehicle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20004031A (en) * 2010-07-06 2012-01-1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Torque angle sensor
KR20130105823A (en) * 2010-08-09 2013-09-26 발레오 샬터 운트 센소렌 게엠베아 Device comprising a torque sensor and a rotation angle sensor
KR20120069869A (en) * 2010-12-21 2012-06-2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Torque angle sensor
JP2013044557A (en) * 2011-08-22 2013-03-04 Bosch Corp Steering angle sensor
JP2014016222A (en) * 2012-07-09 2014-01-30 Azbil Corp Torque detector and electric actuator
KR20140031683A (en) * 2012-09-05 2014-03-1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Yok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4460B1 (en) 2021-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35658B2 (en) Motor with multiple-pole sensing plate
KR20110055845A (en) Apparatus for detecting steering torque and steering angle of vehicle
JP5214626B2 (en) Optical steering angle sensor for measuring the absolute value of steering angle
JP6793609B2 (en) Motor with reduction mechanism
KR102452164B1 (en) Sensor assembly
KR20160056233A (en) Torque and angle sensor
EP2744072A2 (en) Motor
EP2675043A2 (en) Motor
KR20160143925A (en) Motor
KR20120133404A (en) Torque angle sensor
JP2005257364A (en) Rotating angle/torque detector
KR20170011599A (en) Torque and angle sensor
US20180334133A1 (en) Belt retractor having a signal transmitter ring
KR102452162B1 (en) Torque angle sensor
KR20120102235A (en) Step actuator
EP2680409A2 (en) Motor
WO2007140504A8 (en) Electromagnetic rotary drive device
KR20150018282A (en) Torque and angle sensor
JP2005168249A (en) Shaft structure for motor
JP4164072B2 (en) Mo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547573B1 (en) Rotating sensing apparatus
KR20120073853A (en) Eps motor
JP2008082826A (en) Rotational angle/rotational torque detector
KR101411599B1 (en) Apparatus for detecting steering torque and steering angle of vehicle
CN218625119U (en) Axial limiting equipment for bear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