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6165A - 영상 입력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 입력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6165A
KR20160056165A KR1020140156243A KR20140156243A KR20160056165A KR 20160056165 A KR20160056165 A KR 20160056165A KR 1020140156243 A KR1020140156243 A KR 1020140156243A KR 20140156243 A KR20140156243 A KR 20140156243A KR 20160056165 A KR20160056165 A KR 201600561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hannel
video
display device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6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민
김상원
최신우
최정화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562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56165A/ko
Priority to EP15184388.5A priority patent/EP3021592A1/en
Priority to US14/861,440 priority patent/US20160134827A1/en
Priority to CN201510755565.5A priority patent/CN105592350A/zh
Publication of KR201600561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61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0Tuning indicators; Automatic tuning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60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04N21/41265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hav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client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08Display device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1Transmission circuitry, e.g. infrared [IR] or radio frequency [R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외부 기기로부터 영상 소스 및 오디오 소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입력 소스를 제공받도록 구성되는 연결부, 디스플레이 장치와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와 연결되어, 상기 입력 소스에 기초하여 입력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입력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하는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하는 영상 입력 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영상 입력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IMAGE INPUT APPARATUS, DISPLAY APPARAGUS AND OPERATION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영상 입력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효율적으로 통신할 수 있는 영상 입력 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가장 널리 보급된 전자 기기들 중 하나이다. 또한, 전자 기술의 발전에 따라 영상 소스 및 오디오 소스를 제공할 수 있는 외부 기기들이 점점 다양해지고 있다. 영상 소스 및 오디오 소스를 제공할 수 있는 외부 기기의 예로는, BD 플레이어, DVD 플레이어, 스마트폰 및 태블릿 PC와 같은 스마트 기기, 컴퓨터, 셋톱 박스(set top box) 등 다양할 수 있다. 또한, 방송국,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서버 등도 디스플레이 장치에 영상 소스 및 오디오 소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예인 TV(television) 장치는 과거에는 방송국에서 송출하는 방송 신호를 단방향으로만 수신하여 방송 영상을 디스플레이해주는 기능만을 하였었다. 그러나 현재의 TV 장치는 방송국으로부터 전달받는 방송 영상뿐만 아니라 다양한 외부 기기로부터 영상 소스 및 오디오 소스를 입력받아 출력할 수 있는 기능이 요구된다.
따라서 다양한 외부 기기로부터 영상 소스를 제공받아 출력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효율적으로 통신할 수 있는 영상 입력 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 따른 영상 입력 장치는, 외부 기기로부터 영상 소스 및 오디오 소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입력 소스를 제공받도록 구성되는 연결부, 디스플레이 장치와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통신부 및 상기 입력 소스에 기초하여 입력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입력 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하는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복수의 채널 신호들을 포함하는 상기 입력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통신부는 각각이 상기 복수의 채널 신호들의 각각을 전송하는 복수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채널 신호들 중 하나인 제1 채널 신호는 비디오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채널 신호들 중 하나인 제2 채널 신호는 그래픽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채널 신호들 중 하나인 제3 채널 신호는 데이터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신호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정보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신호 처리를 위한 영상 처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채널 신호 및 상기 제2 채널 신호 중 적어도 하나는 오디오 신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복수의 채널 신호들 각각을 동일한 동기 신호와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채널 신호들은 동시에 전송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채널 신호들 중 하나인 제1 채널 신호는 비디오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채널 신호들 중 하나인 제2 채널 신호는 그래픽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안테나 중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는 송수신 안테나일 수 있다.
상기 송수신 안테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전송된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그래픽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른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 입력 장치와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통신부, 상기 통신부와 연결되어, 상기 영상 입력 장치로부터 전송된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출력 영상을 획득하는 데이터 처리부 및 상기 출력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복수의 채널 신호들을 포함하는 상기 입력 신호를 수신하되, 상기 복수의 채널 신호들 각각은 서로 다른 채널을 통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복수의 채널 신호들 중 하나인 제1 채널 신호에 포함된 비디오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복수의 채널 신호들 중 하나인 제2 채널 신호에 획득된 그래픽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비디오 신호 및 상기 그래픽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출력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비디오 신호에 기초하여 비디오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그래픽 신호에 기초하여 그래픽 객체를 획득하고, 상기 비디오 영상 및 상기 그래픽 객체를 포함하는 상기 출력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비디오 신호를 스케일링(scaling), FRC(frame rate control) 및 MJC(motion judder canceller) 중 적어도 하나의 영상 처리를 통해 상기 비디오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채널 신호들 중 하나인 제3 채널 신호는 데이터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상 처리를 상기 데이터 신호에 기초하여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복수의 채널 신호들 각각을 동기 신호와 함께 수신하고, 상기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채널 신호들 사이의 타이밍을 조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른 영상 입력 장치의 동작 방법은, 외부 기기로부터 영상 소스 및 오디오 소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입력 소스를 제공받는 단계, 상기 입력 소스에 기초하여 입력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무선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입력 신호는 복수의 채널 신호들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채널 신호들 중 하나인 제1 채널 신호는 비디오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채널 신호들 중 하나인 제2 채널 신호는 그래픽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2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도 1 및 도 2의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4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5는 도 4의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일부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6은 도 5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획득하는 영상의 일부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7은 도 5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표시하는 출력 영상의 일부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8은 도 7과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표시하는 출력 영상의 예를 나타낸다.
도 9는 FRC의 예를 나타낸다.
도 10은 MJC의 예를 나타낸다.
도 11 내지 도 13은 도 4의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일부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4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3000)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15는 도 14의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일부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6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영상 입력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17은 도 16의 영상 입력 장치의 또 다른 구성을 도시한다.
도 18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19는 도 18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또 다른 구성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영상 입력 장치"는 다양한 외부 기기들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 가능하며, 그 외부 기기들로부터 전달 받은 영상 소스 및 오디오 소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입력 소스를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할 수 있는 어떠한 전자 장치, 컴퓨팅 장치로도 언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도 1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은 영상 입력 장치(100) 및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포함한다.
영상 입력 장치(100)는 영상 소스 및 오디오 소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입력 소스를 제공해 줄 수 있는 다양한 외부 기기들(10)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 가능하다. 외부 기기들(10)의 예로는, BD 플레이어, DVD 플레이어, 스마트폰 및 태블릿 PC와 같은 스마트 기기, 컴퓨터, 셋톱 박스(set top box) 등 다양할 수 있다. 또한, 입력 소스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 매체 역시 외부 기기(10)로서 영상 입력 장치(100)에 입력 소스를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방송국,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서버 등도 외부 기기(10)로서 입력 소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영상 입력 장치(100)는 다양한 외부 기기들(10)과 연결 가능하도록 구성된 연결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외부 기기들(10)의 유형에 따라 영상 입력 장치(100)에 연결되는 방식은 다양할 수 있다. 따라서 영상 입력 장치(100)는 다양한 유형의 연결 포트(port)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입력 장치(100)에 포함되는 연결 포트들은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포트,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 LAN(Local Area Network) 포트 등 다양할 것이다. 또한, 연결부는 외부 기기들(10)과 연결될 수 있는 근거리 통신 모듈, 유선 통신 모듈, 이동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입력 장치(100)는 각종 외부 기기들(10)로부터 영상 소스 및 오디오 소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입력 소스를 제공받고, 제공받은 입력 소스를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영상 입력 장치(100)로부터 무선으로 수신된 입력 소스에 기초하여 출력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디스플레이, CRT(Cathode Ray Tube) 디스플레이, PDP(Plasma Display Panel) 디스플레이,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FED(Field Emission Display) 디스플레이, LED(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VFD(Vacuum Fluorescence Display) 디스플레이, DLP(Digital Light Processing) 디스플레이, FPD(Flat Panel Display) 디스플레이, 3D 디스플레이, 투명 디스플레이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영상 입력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으로 통신 가능하다. 예를 들어, WiGig, WiHD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무선 전송 기술이 가능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영상 입력 장치(100)는 외부 기기(10)로부터 영상 소스 및 오디오 소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입력 소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S110). 영상 소스는 동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는 비디오 데이터일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소스는 사운드로 출력될 수 있는 오디오 데이터일 수 있다.
영상 입력 장치(100)는 입력 소스에 기초하여 입력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S120). 입력 신호는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입력 신호는 그래픽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입력 장치(100)는 입력 소스에 기초하여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영상 입력 장치(100)는 입력 소스에 포함된 영상 소스인 비디오 데이터에 기초하여 비디오 신호를 획득하고, 입력 소스에 포함되는 오디오 소스인 오디오 데이터에 기초하여 오디오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영상 입력 장치(100)는 비디오 데이터를 데이터 처리하여 비디오 신호를 획득할 수 있고, 오디오 데이터를 데이터 처리하여 오디오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의 예로는 압축(compression), 포맷팅(formatting), 인코딩(encoding), 변조(modulation) 등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비디오 신호는 복수의 프레임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 프레임들은 이산적인 이미지 요소들인 픽셀들 각각에 대한 픽셀값들로 구성된 2차원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픽셀값은 휘도 및/또는 색상 정보일 있다.
또한, 영상 입력 장치(100)는 그래픽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그래픽 신호는 그래픽 객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신호이다. 그래픽 객체는 화면에 그래픽이나 텍스트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각종 정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그래픽 객체는 OSD(on screen display) 메뉴, 프로그램 정보, 애플리케이션 아이콘, 애플리케이션 창, UI(user interface) 창, 비디오 신호에 대응하는 자막(subtitl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그래픽 객체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영상 입력 장치(100)는 그래픽 객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영상 입력 장치(100)는 사용자의 입력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에 기초하여, 또는 자체적으로 그래픽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입력 장치(100)는 데이터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데이터 신호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제어하는 제어 정보 및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영상 처리, 데이터 처리와 같은 신호 처리를 위한 신호 처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입력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무선 연결되어,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입력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S130).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수신된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출력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S140).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입력 신호를 영상 처리, 데이터 처리와 같은 신호 처리를 통해 출력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입력 신호에 복조(demodulation), 디코딩(decoding), 압축 해제 등의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수행하는 영상 처리에는 스케일링(scaling), FRC(frame rate control), MJC(motion judder canceller) 등이 있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출력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S150).
도 3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도 1 및 도 2의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을 도시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영상 입력 장치(100) 및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영상 입력 장치(100) 및 디스플레이 장치(200) 사이를 연결하기 위한 유선, 즉 어떤 케이블도 필요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완벽한 클린 백 디자인이 가능해진다. 도 3과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벽걸이 형인 경우, 영상 입력 장치(100)와 디스플레이 장치(200) 사이에 어떤 케이블도 없다. 이를 통해, 미관이 향상되고 사용자 만족도가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영상 입력 장치(100)의 위치에 대한 높은 선택의 자유도를 가질 수 있다. 이 역시 사용자의 만족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와 달리 영상 입력 장치(10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외부 기기들(10)과 연결될 수 있는 모든 연결 포트들은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구현되어야 한다. 또한 영상 입력 장치(100)를 사용하더라도, 영상 입력 장치(100) 및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유선으로 연결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200)에는 영상 입력 장치(100)와 연결되어야 하는 케이블이 필요하다. 도 3과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벽에 설치할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연결된 케이블이 보이게 되어 미관이 손상될 것이다.
도 4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2000)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4의 디스플레이 시스템(2000)은 도 1의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의 일부 실시예일 수 있다. 따라서 도 4의 디스플레이 시스템(2000)에는 전술한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에 대한 내용이 적용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시스템(2000)은 영상 입력 장치(300) 및 디스플레이 장치(400)를 포함한다.
영상 입력 장치(300)는 복수의 안테나들(331), 즉, 제1 안테나(331-1) 내지 제N 안테나(331-N)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400) 역시 복수의 안테나들(411), 즉, 제1 안테나(411-1) 내지 제N 안테나(411-N)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안테나들(331, 411)로 인해, 영상 입력 장치(300) 및 디스플레이 장치(400) 사이에는 공간적으로 분리된 복수의 채널들(20), 즉, 제1 채널(20-1) 내지 제N 채널(20-N)이 형성될 수 있다. 각 채널(20)들은 영상 입력 장치(300)에서 전송된 신호가 디스플레이 장치(400)에 수신되기까지의 신호 경로를 의미한다. 영상 입력 장치(300)의 제n 안테나(331-n)와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제n 안테나(411-n) 사이에는 제n 채널(20-n)이 형성될 수 있다(n=1, 2, ..., N). 각 채널(20-n)에는 서로 다른 RF 대역이 할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입력 장치(300)의 제n 안테나(331-n)는 제n RF 대역의 RF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채널들(20)은 안테나(331)를 통해 공간적으로 분리되고, 사용하는 RF 대역을 통해 주파수 대역으로 분리될 수 있다.
영상 입력 장치(300)는 각 안테나들(331)을 통해 각 채널 신호들(CS-1~CS-N)을 전송할 수 있다. 제1 안테나(331-1)를 통해서는 제1 채널 신호(CS-1)가 전송되고, 제2 안테나(331-2)를 통해서는 제2 채널 신호(CS-2)가 전송되는 것과 같이, 제n 안테나(331-n)를 통해서는 제n 채널 신호(CS-n, n= 1, 2, ..., N)가 전송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영상 입력 장치(100)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되는 입력 신호는, 도 4와 같이 복수의 채널 신호들(CS-1~CS-N)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입력 장치(300)는 디스플레이 장치(400)에 전송할 입력 신호를 복수의 채널 신호들(CS-1~CS-N)로 분리할 수 있다. 영상 입력 장치(300)는 각 채널 신호들(CS-1~CS-N)을 대응하는 각 안테나(331-1~331-N)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400)는 각 안테나들(411-1~411-N)을 통해 각 채널 신호들(CS-1~CS-N)을 수신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400) 역시 복수의 안테나들(441)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안테나의 개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신호 처리 성능이 우수하다면, 디스플레이 장치(400)는 하나의 안테나를 통해 복수의 채널 신호들(CS-1~CS-N)을 수신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400)는 수신된 복수의 채널 신호들(CS-1~CS-N)을 신호 처리를 통해 각 채널(20)별로 분리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채널들(20)을 통해 채널 신호들(CS-1~CS-N)이 동시에 전송될 수 있어, 전송률이 높아질 수 있다. 또한, 전송률이 높기 때문에, 영상 입력 장치(300)는 입력 신호를 획득하기 위한 압축률을 낮춰, 데이터의 손실율을 낮출 수 있다. 이를 통해, 화질이 향상될 수 있고, 사용자의 만족도 역시 높일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400)는 대형화되고 있고, 고화질(UHD)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것이 요구된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400)가 출력해야할 출력 영상은 대용량의 데이터일 것이다. 따라서, 영상 입력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대용량의 입력 신호를 전송할 수 있어야 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채널들(20)이 사용되면, 영상 입력 장치(300)는 대용량의 입력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400)에 효율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디스플레이 시스템(2000)의 일부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5를 참고하면, 영상 입력 장치(300)에서 제1 안테나(331-1)를 통해 전송되는 제1 채널 신호는 비디오 신호(VS)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안테나(331-2)를 통해 전송되는 제2 채널 신호는 그래픽 신호(GS)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400)는 제1 안테나(411-1)를 통해 비디오 신호(VS)를 수신할 수 있고, 제2 안테나(411-2)를 통해 그래픽 신호(GS)를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400)는 분리되어 수신된 비디오 신호(VS)와 그래픽 신호(GS)를 별개로 신호 처리할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디스플레이 장치(400)가 획득하는 영상의 일부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장치(400)가 획득하는 영상은 비디오 영상(31) 및 그래픽 객체(32)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400)는 제1 채널(20-1)을 통해 수신된 비디오 신호(VS)에 기초하여 비디오 영상(31)을 획득할 수 있고, 제2 채널(20-2)을 통해 수신된 그래픽 신호(GS)에 기초하여 그래픽 객체(32)를 획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400)는 비디오 영상(31) 및 그래픽 객체(32)를 중첩함으로써 도 6과 같은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표현되지 않았으나, 비디오 영상(31)은 동영상이므로 시간에 따라 계속 영상이 변화할 것이다. 예를 들어, 비디오 영상(31) 속의 자동차는 시간에 따라 움직일 것이다.
그래픽 객체(32)는 화면 조정 메뉴(43), 음향 조정 메뉴(44), 자막 설정 메뉴(4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그래픽 객체(32)는 예시일 뿐이고, 그래픽 객체(32)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다양할 수 있다. 그래픽 객체(32)는 비디오 영상(31)에 비해 시간에 따른 변화가 거의 없을 것이다. 그래픽 객체(32)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출력되고, 출력된 그래픽 객체(32)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세부 메뉴를 출력하는 등 변할 것이다.
그런데, 디스플레이 장치(400)가 수신된 비디오 신호(VS) 및 그래픽 신호(GS)에 기초하여 획득되는 도 6과 같은 원(original) 영상은 디스플레이 장치(400)가 출력할 출력 영상과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400)는 원 영상을 신호 처리하여 출력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400)는 비디오 신호(VS)의 신호 처리와 그래픽 신호(GS)의 신호 처리를 별개로 수행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400)가 비디오 신호(VS)를 신호 처리할 경우, 그래픽 신호(GS)는 비디오 신호(VS)의 신호 처리에 영향 받지 않을 수 있다.
도 7은 도 5의 디스플레이 장치(400)가 표시하는 출력 영상의 일부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7의 출력 영상은 디스플레이 장치(400)가 도 6의 비디오 영상(31)을 영상 처리하여 획득한 것일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화면에는 출력 비디오 영상(41) 및 출력 그래픽 객체(42)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6의 비디오 영상(31)과 도 7의 출력 비디오 영상(41)을 비교하면, 비디오 영상(31)의 화면비(aspect ratio)와 출력 비디오 영상(41)의 화면비가 다름을 알 수 있다. 화면비란, 영상의 가로(width)와 세로(height) 사이의 비를 말한다. 예를 들어, 비디오 영상(31)의 화면비는 16:9이나, 출력 비디오 영상(31)의 화면비는 21:9일 수 있다.
도 6 및 도 7과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400)가 제공받은 비디오 신호(VS)에 기초한 비디오 영상(31)의 화면비가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화면비와 다를 수 있다. 이런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400)는 비디오 신호를 스케일링(scaling)하여 스케일링된 출력 비디오 영상(41)을 획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400)는 분리되어 수신된 비디오 신호(VS)와 그래픽 신호(GS)를 별개로 신호 처리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400)는 그래픽 신호(GS)는 스케일링하지 않고, 비디오 신호(VS)만을 스케일링할 수 있다.
도 8은 도 7과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501)가 표시하는 출력 영상의 예를 나타낸다. 도 8의 디스플레이 장치(501)는 도 5 내지 도 7과 달리 비디오(VS) 및 그래픽 신호(GS)를 분리해서 수신하지 않는 경우의 예이다.
도 8을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장치(501)는 비디오 신호와 그래픽 신호가 혼합된 혼합 신호를 수신한다. 혼합 신호의 화면비가 디스플레이 장치(501)의 화면비와 다른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501)는 혼합 신호를 스케일링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501)는 스케일링된 혼합 신호에 기초하여 출력 비디오 영상(51) 및 출력 그래픽 객체(52)를 획득할 수 있다.
도 7의 출력 그래픽 객체(42)와 비교하여, 도 8의 출력 그래픽 객체(52)는 가로로 늘어나 있어 도 7에 비해 부자연스럽다. 또한, 도 8의 출력 그래픽 객체(52)는 불필요하게 가로로 늘어나 도 7에 비해 출력 비디오 영상(51)을 더 많이 가리게 된다. 디스플레이 장치(501)가 혼합 신호를 스케일링하면서, 그래픽 신호까지 스케일링되었기 때문이다.
다시 일부 실시예에 따른 도 5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영상 입력 장치(300)가 비디오 신호(VS)와 그래픽 신호(GS)를 서로 다른 채널(20-1, 20-2)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400)는 비디오 신호(VS)만을 스케일링할 수 있어, 그래픽 신호(GS)가 비디오 신호(VS)와 같이 스케일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비디오 신호(VS)를 영상 처리할 때, 그래픽 신호(GS)는 영향받지 않는다. 이를 통해, 출력 그래픽 객체(42)는 그래픽 신호(GS)에 기초한 원 비율(original ratio)로 표시될 수 있어, 자연스럽게 표시될 수 있다.
스케일링 외에도, 디스플레이 장치(400)가 제공받은 비디오 신호(VS)에 기초한 비디오 영상(31)의 화면비가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화면비와 다른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400)는 파노라마 스티칭(panorama stitching)을 통해 화면비를 조절할 수도 있다. 파노라마 스티칭은 복수의 영상을 연결하여 하나의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처리이다. 파노라마 스티칭을 통해 영상의 가로 비율이 증가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400)는 비디오 신호(VS)만을 파마로마 스티칭함으로써, 출력 그래픽 객체(42)는 그래픽 신호(GS)에 기초한 원 비율로 자연스럽게 표시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400)는 비디오 신호(VS)와 그래픽 신호(GS)를 서로 다른 채널(20-1, 20-2)을 통해 수신할 수 있어, 비디오 신호(VS)와 그래픽 신호(GS)를 별개로 영상 처리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스케일링, 파노라마 스티칭 외에도, 디스플레이 장치(400)는 비디오 신호(VS)만을 FRC(frame rate control), MJC(motion judder canceller) 등으로 영상 처리할 수 있다.
도 9는 FRC의 예를 나타낸다.
도 9를 참고하면, FRC는 복수의 프레임들(FR1, FR2, FR3, ...) 사이에 보간된 프레임들(FR1.5, FR2.5, ...)을 획득함으로써 프레임 레이트를 변경하는 영상 처리 과정이다. 도 5 및 도 9를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장치(400)는 수신된 비디오 신호(VS)에 기초하여 복수의 프레임들(FR1, FR2, FR3, ...)을 획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400)는 FRC를 통해 프레임들(FR1, FR2, FR3, ...) 사이에 보간된 프레임들(FR1.5, FR2.5, ...)을 획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400)는 FRC를 통해 프레임 레이트가 변경된 프레임들(FR1, FR1.5, FR2, FR2.5, FR3, ...)을 포함하는 출력 비디오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된 비디오 신호(VS)에 기초한 프레임들의 프레임 레이트가 60Hz(초당 60장의 프레임)라면, 디스플레이 장치(400)는 도 9와 같은 FRC를 통해 프레임 레이트가 120Hz(초당 120장의 프레임)인 출력 비디오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도 10은 MJC의 예를 나타낸다.
도 10을 참고하면, 원 프레임들(FR1, FR2, FR3, ...)이 3:2 풀다운(pulldown) 처리되어, 풀다운된 프레임들(FR1, FR1, FR1, FR2, FR2, FR3, ...)가 획득된다. 2:3 풀다운 처리된다면, 풀다운된 프레임들은 FR1, FR1, FR2, FR2, FR2, FR3, ...일 것이다. 도 10과 달리, 3:2로 풀다운 처리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원 프레임들(FR1, FR2, FR3, ...)의 프레임 레이트가 24Hz라면, 풀다운된 프레임들(FR1, FR1, FR1, FR2, FR2, FR3, ...)의 프레임 레이트는 60Hz로 변경될 것이다.
그런데, 풀다운된 프레임들(FR1, FR1, FR1, FR2, FR2, FR3, ...)에서는 원 프레임들의 비율(FR1:FR2)이 2:3 또는 3:2와 같이 1:1이 아니다. 이로 인해, 원 프레임들(FR1, FR2) 사이에 움직임 차이가 있으면, 사람의 눈이 풀다운된 프레임들을 동영상으로 볼 때 동영상의 움직임이 어색함을 감지할 수 있다. 원 프레임 간의 비율(FR1:FR2)이 서로 다름으로써 나타나는 화면의 떨림이나 끊김 등을 모션 저더(motion judder)라 한다.
MJC는 풀다운된 프레임들(FR1, FR1, FR1, FR2, FR2, FR3, ...)로부터 보정된 프레임들(FR1, FR1a, FR1b, FR2, FR2a, FR3, ...)을 획득하는 영상 처리이다. FR1과 FR2에 기초하여 모션 추정을 할 수 있고, 그에 따라 FR1과 FR2에 기초하여 보정된 프레임들(FR1a, FR1b, FR2a)을 획득할 수 있다. MJC를 통해, 모션 저더가 제거될 수 있다.
도 5 및 도 10을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장치(400)는 수신된 비디오 신호(VS)에 기초하여 원 프레임들(FR1, FR2, FR3, ...) 또는 풀다운된 프레임들(FR1, FR1, FR1, FR2, FR2, FR3, ...)을 획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400)는 MJC를 통해 보정된 프레임들(FR1, FR1a, FRb, FR2, FR2a, FR3, ...)을 획득할 수 있다.
만일 디스플레이 장치(400)가 비디오 신호 및 그래픽 신호가 혼합된 혼합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디스플레이 장치(400)가 혼합 신호를 FRC, MJC 등의 영상 처리할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400)에 표시되는 출력 그래픽 객체(도 7의 42)가 흔들리거나, 깨지거나, 그래픽 객체(42) 주변에 그림자가 생기는 등 저더(Judder), 트라이볼(Triball), 할로(Halo) 등의 문제점이 생길 수 있다. 따라서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400)가 비디오 신호(VS)만을 FRC, MJC 등의 영상 처리를 함으로써, 출력 그래픽 객체(도 7의 42)가 깨끗이 출력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저더, 트리볼, 할로 등의 문제점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 따라 비디오 신호(VS) 및 그래픽 신호(GS)가 분리되어 전송되고, 비디오 신호(VS)가 그래픽 신호(GS)와 별도로 영상 처리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400)에 출력 비디오 영상과 그래픽 객체가 함께 출력 영상으로 표시될 때 잔상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화질이 증가하고, 사용자의 만족도가 증가할 수 있다.
도 11은 도 4의 디스플레이 시스템(2000)의 일부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1의 디스플레이 시스템(2000)에는 전술한 내용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1을 참고하면, 영상 입력 장치(300)에서 제1 안테나(331-1)를 통해 전송되는 제1 채널 신호는 비디오 신호(VS)를 포함하고, 제2 안테나(331-2)를 통해 전송되는 제2 채널 신호는 그래픽 신호(GS)를 포함하고, 제3 안테나(331-3)를 통해 전송되는 제3 채널 신호는 데이터 신호(DS)를 포함한다. 사운드 신호(SS)는 제1 채널 신호에 포함되어 비디오 신호(VS)와 함께 전송될 수 있다. 또는, 사운드 신호(SS)는 제2 채널 신호에 포함되어 그래픽 신호(GS)와 함께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입력 장치(300)는 비디오 신호(VS) 및 사운드 신호(SS)를 압축하고, HDMI 포맷팅(formatting)하여 제1 채널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입력 장치(300)는 그래픽 신호(GS) 및 사운드 신호(SS)를 압축하고, HDMI 포맷팅하여 제2 채널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사운드 신호(SS)는 I2S(Inter-IC Sound, Integrated Interchip Sound) 포맷의 신호일 수 있다.
또한, 영상 입력 장치(300)는 데이터 신호(DS)를 USB, I2C(Inter-Integrated Circuit), PCIe(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Express), 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 등으로 포맷팅하여 제3 채널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다만, 비디오 신호(VS), 그래픽 신호(GS), 사운드 신호(SS), 데이터 신호(DS) 등의 포맷팅 형식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2는 도 4의 디스플레이 시스템(2000)의 일부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2의 디스플레이 시스템(2000)에는 전술한 내용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2를 참고하면, 영상 입력 장치(300)에서 제3 안테나(331-3)를 통해 전송되는 제3 채널 신호는 데이터 신호(DS)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입력 장치(300)와 디스플레이 장치(400)는 제3 채널(20-3)을 통해 양방향 통신을 할 수 있다. 영상 입력 장치(300)의 복수의 안테나들(331) 중 적어도 하나인 제3 안테나(331-3)는 송수신용 안테나이고,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복수의 안테나들(411) 중 적어도 하나인 제3 안테나(411-3)는 송수신용 안테나일 수 있다. 따라서 영상 입력 장치(300)가 디스플레이 장치(400)에 디지털 신호(DS)를 전송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장치(400) 역시 제3 채널(20-3)을 통해 영상 입력 장치(300)에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400)는 제3 채널(20-3)을 통해 제어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영상 입력 장치(300)을 초기화하거나, 영상 입력 장치(3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사용자는 리모컨, 터치 스크린 등의 입력부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400)에 특정 동작을 명령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400)는 사용자의 명령에 기초한 제어 신호를 획득하여 영상 입력 장치(300)에 제3 채널(20-3)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영상 입력 장치(300)와 디스플레이 장치(400) 사이에 형성된 복수의 채널들(20-1~20-N) 중 적어도 하나의 채널(20-3)은 양방향 통신에 사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영상 입력 장치(300)와 디스플레이 장치(400)는 상호 제어를 할 수 있다. 영상 입력 장치(300)가 영상 입력 장치(300)가 비디오 신호(VS)를 전송 중이지 않은 대기 모드뿐 아니라, 비디오 신호(VS)를 전송 중인 경우에도, 디스플레이 장치(400)는 제3 채널(20-3)을 통해 영상 입력 장치(300)에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양방향 통신이 가능할 것이다. 양방향 통신을 통해, 영상 입력 장치(300)와 디스플레이 장치(400)는 서로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서로의 동작을 상호 제어 할 수 있다.
만일, 영상 입력 장치(300)와 디스플레이 장치(400) 사이에 하나의 채널만이 형성된다면, 영상 입력 장치(300)는 그 하나의 채널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400)에 계속적으로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전송해야 한다. 따라서 영상 입력 장치(300)가 계속적으로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전송하는 동안에는 디스플레이 장치(400)가 영상 입력 장치(300)를 제어할 수 있는 통신 통로가 없어 디스플레이 장치(400)가 영상 입력 장치(300)를 제어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도 13은 도 4의 디스플레이 시스템(2000)의 일부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3을 참고하면, 영상 입력 장치(300)는 각 안테나들(331)을 통해 각 채널 신호들(CS-1~CS-N)을 동기 신호(Sync)와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이 동기 신호(Sync)는 각 채널들(20-1~20-N)에 대하여 동일할 것이다. 동기 신호(Sync)는 영상 입력 장치(300) 및 디스플레이 장치(400) 모두가 알고 있는 서로 약속된 신호일 것이다.
영상 입력 장치(300)는 동기 신호(Sync)를 획득하고, 획득된 동기 신호(Sync)를 각 채널 신호들(CS-1~CS-N)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채널 신호들(CS-1~CS-N)은 전술한 내용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채널 신호(CS-1)는 비디오 신호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채널 신호(CS-2)는 그래픽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각 안테나들(411)은 대응하는 채널 신호들(CS-1~CS-N)을 동기 신호(Sync)와 함께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400)는 서로 분리 수신된 채널 신호들(CS-1~CS-N)에 기초하여 하나의 출력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400)는 채널 신호들(CS-1~CS-N)을 통합하거나 다중화(multiplexing)할 수 있다.
그런데, 디스플레이 장치(400)에서 서로 다른 채널들(20-1~20-N)을 통해 수신된 채널 신호들(CS-1~CS-N)은 채널들(20-1~20-N) 간 수신 지연(delay)으로 인해 서로 타이밍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400)는 이미 알고 있는 동기 신호(Sync)에 기초하여 채널 신호들(CS-1~CS-N)을 서로 동기화시킬 수 있어, 지연되어 수신된 채널 신호의 타이밍을 보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채널 신호들(CS-1~CS-N)의 타이밍을 서로 조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400)는 동기화된 채널 신호들(CS-1~CS-N)을 통합 또는 다중화할 수 있다.
영상 입력 장치(300)에 포함되는 복수의 안테나들(331) 각각이 항상 채널 신호들(CS-1~CS-N)을 전송하는 것은 아닐 것이다. 예를 들어, 영상 입력 장치(300)는 4개의 안테나들(331-1~331-4)을 포함할 수 있고, 4개의 안테나들(331-1~331-4) 중 3개의 안테나들(331-1~331-3)만이 각 채널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제4 안테나(411-4)는 채널 신호나 동기 신호를 수신하지 않을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400)는 동기 신호(Sync)의 수신 여부에 기초하여 채널(20-1~20-4)을 통해 채널 신호가 전송되었는지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400)는 각 안테나들(411-1~411-4)를 통해 동기 신호(Sync)의 수신 여부를 검출하여, 동기 신호가(Sync)가 수신되지 않은 채널로는 채널 신호가 전송되지 않은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 14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3000)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14를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시스템(3000)은 영상 입력 장치(500) 및 디스플레이 장치(600)를 포함한다. 영상 입력 장치(500) 및 디스플레이 장치(600)는 서로 유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 영상 입력 장치(500) 및 디스플레이 장치(600) 사이에는 복수의 유선 채널들(60: 60-1~60-N)이 형성될 수 있다. 영상 입력 장치(500)는 각 유선 채널들(60-1~60-N)을 통해 각 채널 신호들(CS-1~CS-N)을 전송할 수 있다. 제1 유선 채널(60-1)을 통해 전송되는 제1 채널 신호(CS-1)는 비디오 신호(VS)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유선 채널(60-2)을 통해 전송되는 제2 채널 신호(CS-2)는 그래픽 신호(GS)를 포함할 수 있다.
각 유선 채널들(60)은 하나의 유선 통신 케이블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유선 채널들(60)은 각 유선 통신 케이블들을 포함하는 하나의 통합 케이블로 구현할 수 있다.
영상 입력 장치(500) 및 디스플레이 장치(600)가 서로 유선으로 통신하는 점을 제외하면, 전술한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내용이 도 14의 디스플레이 시스템(3000)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5는 도 14의 디스플레이 시스템(3000)의 일부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5를 참고하면, 영상 입력 장치(500)는 각 유선 채널들(60-1~60-N)을 통해 채널 신호들(CS-1~CS-N) 각각을 동기 신호(Sync)와 함께 전송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600)는 동기 신호(Sync)에 기초하여 복수의 채널들(60)을 동기화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600)는 수신되는 채널 신호들(CS-1~CS-N)을 동기화시키고 다중화할 수 있다.
도 16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영상 입력 장치(700)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16의 영상 입력 장치(700)는 전술한 영상 입력 장치(100, 300, 500)의 일부 실시예일 수 있다.
도 16을 참고하면, 영상 입력 장치(700)는 연결부(710), 데이터 처리부(720) 및 통신부(730)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입력 장치(700)에 포함되는 여러 구성들은 버스(790)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710)는 입력 소스를 제공할 수 있는 복수의 외부 기기들(도 1의 10)과 연결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연결부(710)는 영상 입력 장치(100)가 복수의 외부 기기들(10)과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710)는 다양한 유형의 연결 포트들(port)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710)는 다양한 외부 기기들과 연결될 수 있는 유선 통신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이동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유선 통신 모듈은 전기적 신호 또는 광 신호를 이용한 통신을 위한 모듈을 의미하며, 유선 통신 기술의 예로는 페어 케이블(pair cable),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등을 이용한 유선 통신 기술이 포함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한 유선 통신 기술이 포함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소정 거리 이내의 위치하는 장치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 기술의 예로는 무선 랜(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지그비(ZigBee), WFD(Wi-Fi Direct), UWB(ultra wideband),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BLE(Bluetooth Low Energy),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무선 통신 모듈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의 방송국, 기지국, 외부의 장치,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신호의 예로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720)는 영상 입력 장치(7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영상 입력 장치(70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720)는 외부 기기들로부터 제공받은 입력 소스에 기초하여 입력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처리부(120)는 그래픽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획득하여 입력 신호에 포함시킬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처리부(120)는 복수의 채널 신호들을 포함하는 입력 신호를 획득할 수 있고, 각 채널 신호들과 함께 전송될 동기 신호를 획득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데이터 처리부(120)는 신호 획득을 위한 다양한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처리부(720)는 전송 방식에 기초하여 입력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입력 장치(700)이 입력 신호를 무선 전송할 경우, 영상 입력 장치(700)는 무선 전송이 가능하도록 신호 처리를 통해 무선 신호인 입력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전술한 도면들에서 설명한 영상 입력 장치(100, 300, 500)의 동작의 제어나, 그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 처리는 모두 데이터 처리부(720)에서 수행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72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마이크로 프로세서, GPU(graphic processing unit) 등과 같이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730)는 디스플레이 장치(도 1의 200)와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부(730)는 디스플레이 장치(도 14, 15의 600)와 유선 통신 또한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6은 연결부(710) 및 통신부(730)를 별개로 도시하고 있다. 다만, 연결부(710) 및 통신부(730)는 각각 외부 기기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을 위한 구성이라는 공통점이 있으므로, 공통된 부분을 통합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도 17은 도 16의 영상 입력 장치(700)의 또 다른 구성을 도시한다.
도 17을 참고하면, 영상 입력 장치(700)는 연결부(710), 데이터 처리부(720) 및 통신부(730) 외에도 메모리(740) 및 입력부(7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740)는 영상 입력 장치(700)의 동작을 위한 각종 정보나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메모리(740)는 그래픽 객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입력부(750)는 사용자로부터 영상 입력 장치(700)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도 1의 100)의 조작을 위한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입력부(750)의 예로는 리모컨으로부터 전송된 신호 수신부, 음성 인식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기타 당업자에게 자명한 입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720)는 입력부(750)를 통한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메모리(740)에 저장된 그래픽 객체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그래픽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도 18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800)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18의 디스플레이 장치(800)는 전술한 디스플레이 장치(200, 400, 600)의 일부 실시예일 수 있다.
도 18을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장치(700)는 통신부(810), 데이터 처리부(820) 및 출력부(830)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입력 장치(700)에 포함되는 여러 구성들은 버스(890)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통신부(810)는 영상 입력 장치(도 16의 700)와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부(810)는 영상 입력 장치(도 14, 15의 500)와 유선 통신 또한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통신부(810)는 영상 입력 장치(700)와 통신하기 위해 유선 통신 모듈, 무선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820)는 디스플레이 장치(8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디스플레이 장치(80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820)는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입력 신호를 신호 처리하여 출력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처리부(820)는 입력 신호에 포함된 사운드 신호(SS)에 기초하여 출력 사운드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전술한 도면들에서 설명한 디스플레이 장치(200, 400, 600)의 동작의 제어나, 그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 처리는 모두 데이터 처리부(820)에서 수행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820)는 CPU, 마이크로 프로세서, GPU 등과 같이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출력부(830)는 디스플레이부 및 사운드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운드 출력부는 스피커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출력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사운드 출력부는 출력 사운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9는 도 18의 디스플레이 장치(800)의 또 다른 구성을 도시한다.
도 19를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장치(800)는 통신부(810), 데이터 처리부(820) 및 출력부(830) 외에도 입력부(8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840)는 사용자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800)의 조작을 위한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입력부(840)의 예로는 리모컨으로부터 전송된 신호 수신부, 키보드, 마우스, 터치스크린, 음성 인식기, 지문 인식기, 홍채 인식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기타 당업자에게 자명한 입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820)는 입력부(840)를 통한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제어 신호를 획득하여 영상 입력 장치(도 1의 100)에 전송할 수 있다. 제어 신호는 전술한 것과 같이, 영상 입력 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800) 사이에 형성된 복수의 채널들 중 하나인 양방향 채널을 통해 전송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술한 일부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 및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20)

  1. 외부 기기로부터 영상 소스 및 오디오 소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입력 소스를 제공받도록 구성되는 연결부;
    디스플레이 장치와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통신부; 및
    상기 입력 소스에 기초하여 입력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입력 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하는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하는 영상 입력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복수의 채널 신호들을 포함하는 상기 입력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통신부는 각각이 상기 복수의 채널 신호들의 각각을 전송하는 복수의 안테나를 포함하는, 영상 입력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채널 신호들 중 하나인 제1 채널 신호는 비디오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채널 신호들 중 하나인 제2 채널 신호는 그래픽 신호를 포함하는, 영상 입력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채널 신호들 중 하나인 제3 채널 신호는 데이터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신호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정보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신호 처리를 위한 영상 처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영상 입력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채널 신호 및 상기 제2 채널 신호 중 적어도 하나는 오디오 신호를 더 포함하는, 영상 입력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복수의 채널 신호들 각각을 동일한 동기 신호와 함께 전송하는, 영상 입력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채널 신호들은 동시에 전송되는, 영상 입력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채널 신호들 중 하나인 제1 채널 신호는 비디오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채널 신호들 중 하나인 제2 채널 신호는 그래픽 신호를 포함하는, 영상 입력 장치.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안테나 중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는 송수신 안테나인, 영상 입력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안테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전송된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그래픽 신호를 획득하는, 영상 입력 장치.
  11. 영상 입력 장치와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통신부;
    상기 통신부와 연결되어, 상기 영상 입력 장치로부터 전송된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출력 영상을 획득하는 데이터 처리부; 및
    상기 출력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복수의 채널 신호들을 포함하는 상기 입력 신호를 수신하되, 상기 복수의 채널 신호들 각각은 서로 다른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복수의 채널 신호들 중 하나인 제1 채널 신호에 포함된 비디오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복수의 채널 신호들 중 하나인 제2 채널 신호에 획득된 그래픽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비디오 신호 및 상기 그래픽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출력 영상을 획득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비디오 신호에 기초하여 비디오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그래픽 신호에 기초하여 그래픽 객체를 획득하고, 상기 비디오 영상 및 상기 그래픽 객체를 포함하는 상기 출력 영상을 획득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비디오 신호를 스케일링(scaling), FRC(frame rate control) 및 MJC(motion judder canceller) 중 적어도 하나의 영상 처리를 통해 상기 비디오 영상을 획득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채널 신호들 중 하나인 제3 채널 신호는 데이터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상 처리를 상기 데이터 신호에 기초하여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복수의 채널 신호들 각각을 동기 신호와 함께 수신하고,
    상기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채널 신호들 사이의 타이밍을 조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8. 외부 기기로부터 영상 소스 및 오디오 소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입력 소스를 제공받는 단계;
    상기 입력 소스에 기초하여 입력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무선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입력 장치의 동작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신호는 복수의 채널 신호들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채널 신호들 중 하나인 제1 채널 신호는 비디오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채널 신호들 중 하나인 제2 채널 신호는 그래픽 신호를 포함하는, 영상 입력 장치의 동작 방법.
  20. 제18항 또는 제19항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40156243A 2014-11-11 2014-11-11 영상 입력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60056165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6243A KR20160056165A (ko) 2014-11-11 2014-11-11 영상 입력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EP15184388.5A EP3021592A1 (en) 2014-11-11 2015-09-09 Image input apparatus, display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of the image input apparatus
US14/861,440 US20160134827A1 (en) 2014-11-11 2015-09-22 Image input apparatus, display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of the image input apparatus
CN201510755565.5A CN105592350A (zh) 2014-11-11 2015-11-09 图像输入装置、显示装置和该图像输入装置的操作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6243A KR20160056165A (ko) 2014-11-11 2014-11-11 영상 입력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6165A true KR20160056165A (ko) 2016-05-19

Family

ID=54151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6243A KR20160056165A (ko) 2014-11-11 2014-11-11 영상 입력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60134827A1 (ko)
EP (1) EP3021592A1 (ko)
KR (1) KR20160056165A (ko)
CN (1) CN10559235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46558A1 (ko) * 2020-06-05 2021-1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35438B (zh) * 2016-12-01 2021-12-28 Lg 电子株式会社 图像显示设备和包含该图像显示设备的图像显示系统
US11722635B2 (en) 2021-06-22 2023-08-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Processing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outputting video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63503B1 (en) * 1999-05-26 2001-07-17 Neal Margulis Method for effectively implementing a wireless television system
JP4543513B2 (ja) * 2000-07-17 2010-09-15 ソニー株式会社 双方向通信システム、表示装置、ベース装置および双方向通信方法
US7861272B2 (en) * 2000-11-14 2010-12-28 Russ Samuel H Networked subscriber television distribution
US8127326B2 (en) * 2000-11-14 2012-02-28 Claussen Paul J Proximity detection using wireless connectivity in a communications system
US7042515B2 (en) * 2002-07-23 2006-05-09 Abocom Systems, Inc. Wireless monitor cradle having a TV tuner
JP3690606B2 (ja) * 2003-04-17 2005-08-31 シャープ株式会社 ワイヤレスavシステム、avシステム、ワイヤレスセンタ、av出力装置、選局方法、選局データ生成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それ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US20040244036A1 (en) * 2003-05-28 2004-12-02 Microspace Communications Corporation Channel combining and decombining systems and methods for television program transmitting and receiving
KR100522605B1 (ko) * 2003-06-12 2005-10-2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송신이 가능한 셋 탑 박스
KR101121778B1 (ko) * 2004-01-06 2012-03-23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으로 영상기기 주변의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US7957733B2 (en) * 2004-07-16 2011-06-07 Sellerbid,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media communications with different user terminals
US7538825B2 (en) * 2004-08-31 2009-05-26 Sanyo Electric Co., Ltd. Wireless redistribution system for terrestrial digital television broadcasting
US20070089144A1 (en) * 2005-10-13 2007-04-19 Du Breuil Thomas L Wireless HDTV display link
US8973064B2 (en) * 2005-11-30 2015-03-03 Broadcom Corporation Parallel television based media recording
US9247175B2 (en) * 2005-11-30 2016-01-26 Broadcom Corporation Parallel television remote control
US20070165144A1 (en) * 2006-01-17 2007-07-19 Bennett James D Parallel television based media interaction
US20070162939A1 (en) * 2006-01-12 2007-07-12 Bennett James D Parallel television based video searching
US7699229B2 (en) * 2006-01-12 2010-04-20 Broadcom Corporation Laptop based television remote control
US7797004B2 (en) * 2006-08-14 2010-09-14 Kyocera Corporation System,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content o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KR101194318B1 (ko) * 2006-09-06 2012-10-25 삼성전자주식회사 자동 채널 설정 제어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 표시장치
US8060910B2 (en) * 2006-12-21 2011-11-15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Set top box apparatus having a radio frequency antenna and an associated method
KR101311895B1 (ko) * 2007-01-12 2013-09-27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채널 설정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수신장치
US20080263621A1 (en) * 2007-04-17 2008-10-23 Horizon Semiconductors Ltd. Set top box with transcoding capabilities
KR20080102768A (ko) * 2007-05-22 2008-11-26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hdmi cec에서 패킷 생성 방법
KR20100091570A (ko) * 2009-02-10 2010-08-19 주식회사 유비콘테크놀로지 고화질 멀티미디어 무선 엑세스 시스템
KR20100135145A (ko) * 2009-06-16 2010-12-24 삼성전자주식회사 원격제어장치 및 그의 디스플레이방법
US8286211B1 (en) * 2009-09-04 2012-10-09 Dicus Tony A Wireless audio and video signal transmitting and receiving system
US8817189B2 (en) * 2011-09-29 2014-08-26 Lsi Corporation Digital television with improved input selection functionality
TW201318427A (zh) * 2011-10-26 2013-05-01 Sheng-Chuang Zhang 具對外連接應用處理器功能的液晶電視機
US9942533B2 (en) * 2011-12-02 2018-04-10 Provenance Asset Group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multi-channel video
KR20130093432A (ko) * 2012-02-14 2013-08-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구동 장치,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10020861B2 (en) * 2012-08-08 2018-07-10 Golba Llc Method and system for distributed transceivers and mobile device connectivity
KR20140099146A (ko) * 2013-02-01 2014-08-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중 영상 기반 방송 서비스를 위한 다중 영상의 기준 pcr 결정 방법 및 그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46558A1 (ko) * 2020-06-05 2021-1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592350A (zh) 2016-05-18
EP3021592A1 (en) 2016-05-18
US20160134827A1 (en) 2016-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091091A1 (en) Broadcast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two-dimensional image thereof
CN111899680B (zh) 一种显示设备及其设置方法
CN112449229B (zh) 一种音画同步处理方法及显示设备
US8767052B2 (en) Remote controller, display apparatus, 3D glasse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147214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210142761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40111736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140160354A1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US20160191841A1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KR20160056165A (ko) 영상 입력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20130016196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3d image thereof
KR20120034996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US11303958B2 (en) Display device and image display method of the same
KR102330608B1 (ko) 영상표시장치
US20110221872A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isplaying image
CN113689810B (zh) 图像显示设备及其方法
US9852712B2 (en) System for synchronizing display of data transmitted wirelessly
KR102295970B1 (ko) 영상표시장치,
KR102657462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22333A (ko) 디지털 디바이스 및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데이터 처리 방법
US20140181657A1 (en) Portable device and audio controlling method for portable device
KR20160052095A (ko) 파노라마 비디오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 그 장치
US11899854B2 (en)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20230179819A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2014149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