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6108A - Flexible Cable Connector System with Double Combining Structure - Google Patents

Flexible Cable Connector System with Double Combining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6108A
KR20160056108A KR1020140156078A KR20140156078A KR20160056108A KR 20160056108 A KR20160056108 A KR 20160056108A KR 1020140156078 A KR1020140156078 A KR 1020140156078A KR 20140156078 A KR20140156078 A KR 20140156078A KR 20160056108 A KR20160056108 A KR 201600561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coupling
base
actuator
coupl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607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38179B1 (en
Inventor
이성목
강택형
Original Assignee
(주)우주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주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우주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1401560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8179B1/en
Publication of KR201600561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610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81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817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8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exible cable connector system with a double combining structure to stably fix a cable to a connector. When the cable is inserted into the base of the connector, the combining groove of the base is hooked. Because the combining protrusion of an actuator is integrally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art of the base and the combining hole of the cable, the cable is stably fixed to the accommodating part of the base. So, the sudden separation of the cable from the outside of the base due to external shock can be prevented.

Description

이중 결합 구조를 갖는 플랙시블 케이블 커넥터 시스템{Flexible Cable Connector System with Double Combining Structur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exible cable connector system having a double-

본 발명은 이중 결합 구조를 갖는 플랙시블 케이블 커넥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케이블이 커넥터에 견고하게 고정 위치되도록 하는 이중 결합 구조를 갖는 플랙시블 케이블 커넥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exible cable connector system having a double-coupled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flexible cable connector system having a double-coupled structure in which a cable is firmly fixed to a connector.

일반적으로 플랫 또는 플렉시블 케이블은 FPC(Flexible Printed Circuit), FFC(Flexible Flat Cable)로 구분되는 얇은 필름 형태의 케이블인데, 복잡한 회로를 유연한 절연 필름 위에 형성한 연성 인쇄 회로 내지는 케이블로서 휨, 겹침, 접힘, 말림, 꼬임 등의 유연성 때문에 영상기기를 비롯한 각종 전자제품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a flat or flexible cable is a thin film type cable divided into an FPC (Flexible Printed Circuit) and an FFC (Flexible Flat Cable). A flexible printed circuit or cable formed of a complicated circuit on a flexible insulating film is used as a bending, , Curling, twisting, etc., are widely used in various electronic products including video equipment.

이러한 플렉시블 케이블을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하여, 인쇄회로기판에는 커넥터가 구비된다. 커넥터의 베이스에는 다수의 터미널이 일렬 또는 다열로 배치되고, 케이블이 접속되는 방향으로는 액츄에이터가 회동되며 가압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커넥터에 결합된 FPC 등의 케이블은 터미널 사이의 밀착 압력에 의해 구속되는바 외부 충격 등에 의하여 쉽게 빠지는 문제점이 있어,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케이블에 결합홀을 형성하여 케이블이 커넥터에 구속되도록 하였다.
In order to electrically connect such a flexible cable to a printed circuit board, a connector is provid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A plurality of terminals are arranged in a row or a plurality of rows in a base of the connector, and the actuator is pivoted and pressuriz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cables are connected. A cable such as an FPC coupled to a connector has a problem that it is easily pulled out due to an external impact or the like because it is restrained by the close contact pressure between the terminals. In order to compensate this, a coupling hole is formed in the cable so that the cable is constrained to the connector.

도 1은 종래 커넥터에 결합되는 케이블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FPC 또는 FFC 등의 케이블(10)은 그 끝단에 형성된 제 1 커넥터(20)와, 상기 제 1 커넥터(20)가 삽입되는 제 2 커넥터(미도시)를 포함한다. 제 1 커넥터(20)는 그 내부의 배선과 연결되어 노출된 영역을 가지는 배선(23)이 형성된 접속부(22)와, 상기 접속부(22)의 양측과 연결되며 홀(26)이 형성된 결합부(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커넥터의 결합부(미도시)가 홀(26)에 삽입된 상태로 제 1 커넥터(20)를 고정하여 제 1 커넥터(20)와 상기 제 2 커넥터 간의 결합이 견고해지도록 한다. 1 shows a cable coupled to a conventional connector. Referring to FIG. 1, a cable 10 such as an FPC or an FFC includes a first connector 20 formed at an end thereof and a second connector (not shown) into which the first connector 20 is inserted. The first connector 20 includes a connection portion 22 formed with a wiring 23 having an exposed region connected to the wiring therein and a connection portion 22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connection portion 22 and having a hole 26 25). The first connector 20 is fixed in a state where the coupling portion (not shown) of the second connector is inserted into the hole 26, so that the coupling between the first connector 20 and the second connector is secured.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은 홀(26)을 형성하기 위하여 접속부(22)의 양측에 별도의 결합부(25)를 형성해야 하므로, 전체 크기가 커지게 됨은 물론, 이에 따른 제조 단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in the related art, a separate engaging portion 25 must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onnecting portion 22 in order to form the hole 26, so that the total size is increased and the manufacturing cost is increased accordingly .

또한, 접속부(22)에 형성되는 홀(26)은 상호 대칭되도록 위치되는바, 결합 과정에서 제 1 커넥터(20)를 뒤집은 채로 상기 제 2 커넥터에 오삽입시킬 수도 있게 되어, 불량률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holes 26 formed in the connection portion 22 are positioned so as to b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each other, the first connector 20 can be erroneously inserted into the second connector while being reversed, .

국내공개특허 제10-2008-0061780호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08-0061780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457140호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57140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358321호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358321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케이블이 커넥터에 견고하게 고정 위치되도록 하는 이중 결합 구조를 갖는 플랙시블 케이블 커넥터 시스템을 제공하도록 하는 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lexible cable connector system having a double-coupling structure in which a cable is firmly fixed to a connector.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케이블에 구비되는 홀을 형성하기 위하여 별도의 결합부를 형성하지 않아도 되도록 하는 이중 결합 구조를 갖는 플랙시블 케이블 커넥터 시스템을 제공하도록 하는 데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lexible cable connector system having a double-coupled structure in which a separate coupling part is not required to form a hole in a cable.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케이블이 커넥터에 삽입될 때, 케이블의 좌우가 뒤집힌 상태를 용이하게 알 수 있도록 하여 조립 과정에서의 불량률을 감소시키도록 하는 이중 결합 구조를 갖는 플랙시블 케이블 커넥터 시스템을 제공하도록 하는 데 있다.
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lexible cable connector system having a double-coupled structure for allowing a cable to be easily recognized when the cable is inserted into a connector, To the use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케이블바디와, 상기 케이블바디의 단부에 돌출되도록 연장 형성되는 접속부를 포함하는 케이블; 및 상기 케이블의 상기 접속부가 수용되는 베이스와, 상기 접속부에 구비되는 접속단자와 접촉되도록 상기 베이스에 배열되는 터미널과, 상기 베이스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접속부를 가압하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부의 양측에는 오목하게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접속부의 양측에서 상기 접속부의 중앙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는 결합홀이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의 상기 결합홈과 대향되는 위치에는 상기 결합홈이 걸리도록 걸림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액츄에이터의 상기 결합홀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기 결합홀에 삽입되도록 결합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결합 구조를 갖는 플랙시블 케이블 커넥터 시스템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able comprising: a cable body formed to be long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connection portion extending to be protruded from an end of the cable body; And a connector including a base on which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cable is received, a terminal arranged on the base to be in contact with a connection terminal provided on the connection portion, and an actuator for pressing the connection portion in a state coupled to the base And a coupling hole is form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a center of the coupling portion on both sides of the coupling portion, and the coupling groove is formed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coupling groove of the base, And a coupling protrusion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hole of the actuator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5] The flexible cable connector system of claim 1,

또한, 상기 결합홀은 상기 접속부의 일측 방향에 형성되는 제 1 결합홀과, 상기 접속부의 타측 방향에 형성되는 제 2 결합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결합 구조를 갖는 플랙시블 케이블 커넥터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flexible cable connector system according to any one of the preceding claims, wherein the coupling hole includes a first coupling hole formed in one direction of the coupling portion and a second coupling hole formed in the other direction of the coupling portion. to provide.

또한, 상기 제 1 결합홀과 상기 제 2 결합홀은 상호 대칭되지 않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결합 구조를 갖는 플랙시블 케이블 커넥터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first connector hole and the second connector hole are positioned so as not to b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each other.

또한, 상기 접속부는 상기 케이블바디와 동일하거나 그보다 작은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결합 구조를 갖는 플랙시블 케이블 커넥터 시스템을 제공한다.Also, the connection part is formed to have a width equal to or less than that of the cable body.

또한, 상기 베이스의 상기 결합홀과 대향되는 위치에는 상기 결합홀을 관통한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되도록 삽입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결합 구조를 갖는 플랙시블 케이블 커넥터 시스템을 제공한다.In addition, an insertion portion is formed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coupling hole of the base to insert the coupling protrusion through the coupling hole.

또한, 상기 액츄에이터의 일측은 상기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액츄에이터의 타측은 상기 접속부를 가압하도록 회전운동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결합 구조를 갖는 플랙시블 케이블 커넥터 시스템을 제공한다.Further, a side of the actuator is rotatably coupled to the base, and the other side of the actuator rotates to press the connection portion.

또한, 상기 케이블바디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상기 결합돌기의 제 1 측부는 상기 액츄에이터에서 수직 방향 또는 둔각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케이블바디와 마주보는 방향에 위치되는 상기 결합돌기의 제 2 측부는 상기 액츄에이터에서 예각 방향으로 라운드지도록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결합 구조를 갖는 플랙시블 케이블 커넥터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first side of the coupling protrusion locat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cable body protrudes in a vertical direction or an obtuse angle direction in the actuator, and the second side of the coupling protrusion, which is locat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cable body, And is protruded so as to round in an acute angle direction in the actuator.

또한, 상기 제 1 측부의 선단부에는 상기 케이블바디의 반대 방향으로 절곡되는 절곡부를 구비하고, 상기 절곡부는 상기 결합홀에 걸림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결합 구조를 갖는 플랙시블 케이블 커넥터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flexible cable connector syste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side portion has a bent portion bent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cable body, and the bent portion is engaged with the coupling hole. .

또한, 상기 케이블의 상기 접속부가 상기 베이스에 수용될 때, 상기 베이스의 저면에는 상기 결합홀과 대향되는 위치에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액츄에이터가 상기 접속부를 가압할 때, 상기 액츄에이터의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결합홀과 상기 삽입부에 일체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결합 구조를 갖는 플랙시블 케이블 커넥터 시스템을 제공한다.Further, when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cable is received in the base, an insertion portion is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base at a position facing the coupling hole, and when the actuator presses the coupling portion, And the insertion hole is integrally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and the insertion portion.

또한, 상기 액츄에이터가 상기 접속부를 가압할 때, 상기 액츄에이터의 상기 걸림부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기 걸림부가 수용되도록 오목하게 요입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결합 구조를 갖는 플랙시블 케이블 커넥터 시스템을 제공한다.
Further, when the actuator presses the connection portion, a recessed recessed portion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ecessed portion of the actuator so as to receive the recessed portion, thereby providing a flexible cable connector system having a double- do.

본 발명에 따른 이중 결합 구조를 갖는 플랙시블 케이블 커넥터 시스템은 커넥터의 베이스에 케이블이 삽입될 때, 케이블의 결합홈은 베이스의 걸림부에 걸림 위치되고, 액츄에이터의 결합돌기가 케이블의 결합홀과 베이스의 삽입부에 일체로 삽입되므로, 케이블은 베이스의 수용부에 견고하게 고정 위치되어, 외부 충격 등에 의하여 베이스의 외부로 탈거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In the flexible cable connector system having a double-coupled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able is inserted into the base of the connector, the coupling groove of the cable is engaged with the locking portion of the base, The cable is securely fixed to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base and is not detached from the base by an external impact or the like.

또한, 액츄에이터의 결합돌기가 케이블의 결합홀과 베이스의 삽입부에 삽입될 때, 결합돌기의 라운드진 제 2 측부가 결합홀과 삽입부의 내주연을 따라 부드럽게 삽입되고, 액츄에이터의 결합돌기가 케이블의 결합홀과 베이스의 삽입부에서 빠지게 될 때, 결합돌기의 직각 또는 둔각으로 돌출된 제 1 측부가 결합홀과 삽입부의 내주연에 걸림 위치되고, 절곡부가 결합홀의 내주연에 걸림 위치되어, 액츄에이터의 결합돌기는 케이블의 결합홀과 베이스의 삽입부에서 잘 빠지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Further, when the engaging projection of the actuator is inserted into the engaging hole of the cable and the inserting portion of the base, the rounded second side of the engaging projection is smoothly inserted along the inner periphery of the engaging hole and the inserting portion, The first side portion protruding at a right angle or an obtuse angle of the engaging protrusion is engaged with the inner periphery of the engaging hole and the inserting portion when the engaging hole and the inserting portion of the base come out of the inserting portion of the engaging hole and the base, The coupling protrusion has an effect that it does not fall off easily at the insertion hole of the coupling hole of the cable and the base.

또한, 케이블의 제 1 결합홀과 제 2 결합홀은 상호 대칭되지 않도록 위치되므로, 케이블이 커넥터에 삽입될 때, 케이블의 좌우가 뒤집힌 상태 또는 올바른 상태를 용이하게 알 수 있게 되어, 조립 과정에서의 불량률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Further, since the first coupling hole and the second coupling hole of the cable are positioned so as not to be mutually symmetrical, when the cable is inserted into the connector,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cable can be easily recognized in an inverted state or a correct state, The defective rate can be remarkably reduced.

또한, 케이블의 접속부의 폭이 케이블바디의 폭과 같거나 그보다 작도록 형성되므로, 케이블바디의 단부에 접속부를 일체로 형성하기가 용이해지며, 이에 따라 제조 단가가 낮아지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width of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cable is formed to be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cable body, it is easy to integrally form the connecting portion at the end portion of the cable body.

도 1은 종래 커넥터에 결합되는 케이블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중 결합 구조를 갖는 플랙시블 케이블 커넥터 시스템의 커넥터에 케이블이 삽입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중 결합 구조를 갖는 플랙시블 케이블 커넥터 시스템의 케이블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중 결합 구조를 갖는 플랙시블 케이블 커넥터 시스템의 커넥터에 케이블이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일부 절개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중 결합 구조를 갖는 플랙시블 케이블 커넥터 시스템의 커넥터에 케이블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일부 절개사시도이다.
1 shows a cable coupled to a conventional connector.
FIG. 2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where a cable is inserted into a connector of a flexible cable connector system having a double-coupled structu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view of a cable of a flexible cable connector system having a double-coupled structu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cable is coupled to a connector of a flexible cable connector system having a double-coupled structu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cable is coupled to a connector of a flexible cable connector system having a double-coupled structu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중 결합 구조를 갖는 플랙시블 케이블 커넥터 시스템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 flexible cable connector system having a double-coupled structu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중 결합 구조를 갖는 플랙시블 케이블 커넥터 시스템의 커넥터에 케이블이 삽입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중 결합 구조를 갖는 플랙시블 케이블 커넥터 시스템의 케이블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FIG. 2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state where a cable is inserted into a connector of a flexible cable connector system having a double-coupled structu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ross- Lt; RTI ID = 0.0 > of < / RTI > a flexible cable connector system.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중 결합 구조를 갖는 플랙시블 케이블 커넥터 시스템은 커넥터(200) 및 상기 커넥터(200)에 접속되는 케이블(100)을 포함한다. 커넥터(200)는 예를 들면 자동차와 같이 진동 및 충격이 심한 환경에서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Referring to FIGS. 2 and 3, a flexible cable connector system having a double-coupled structu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nector 200 and a cable 100 connected to the connector 200. The connector 200 may be used in an environment where vibrations and impacts are severe, such as automobiles, but is not limited thereto.

커넥터(200)는 케이블(100)이 수용되는 베이스(210)와, 베이스(210)에 배열되며 케이블(100)과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터미널(220)과, 베이스(210)에 수용된 케이블(100)을 터미널(220) 방향으로 가압시키는 액츄에이터(230)를 포함한다. 베이스(210), 터미널(220) 및 액츄에이터(230)의 세부 구조 및 케이블(100)과의 결합관계는 하기 도면을 참조하여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The connector 200 includes a base 210 in which the cable 100 is received, a terminal 220 arranged in the base 210 and i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cable 100, a cable 100 housed in the base 210, And an actuator 230 for urging the actuator 220 toward the terminal 220.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base 210, the terminal 220, and the actuator 230 and the coupling relationship with the cable 1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drawings.

케이블(100)은 플랫 케이블(100) 또는 플랙시블 케이블(100)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블(100)은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케이블바디(110)와, 케이블바디(110)의 단부에 일체로 돌출되면서 연장 형성되는 접속부(120)를 포함한다. 접속부(120)의 길이방향 폭은 케이블바디(110)의 길이방향 폭과 같거나 그보다 작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접속부(120)의 하면에는 그 선단부에 복수 개의 접속단자(122)가 형성되어, 후술하는 케이블(100)과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그리고 접속부(120)의 상면 양측에는 오목하게 결합홈(124)이 형성된다. 그리고 접속부(120)의 상면 양측에서 접속부(120)의 중앙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는 결합홀(126)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홀(126)은 접속부(12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제 1 결합홀(126a)과, 제 2 결합홀(126b)을 포함한다. 이때, 제 1 결합홀(126a)과 제 2 결합홀(126b)은 상호 대칭되지 않도록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결합홀(126a)이 제 2 결합홀(126b)보다 접속단자(122)로부터 케이블바디(110) 방향으로 더 이격되도록 위치된다.The cable 100 may be composed of a flat cable 100 or a flexible cable 100 or the like. The cable 100 includes a cable body 110 formed to be lo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connection part 120 extending integrally and protruding from the end of the cable body 110. The longitudinal width of the connection part 120 is formed to be equal to or less than the longitudinal width of the cable body 110. A plurality of connection terminals 122 ar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onnection portion 120 at its distal end to be electrically coupled to a cable 100 to be described later. In addition, coupling grooves 124 are formed concavely on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onnection part 120. A coupling hole 126 is form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onnection part 120 in the center direction of the connection part 120. The coupling hole 126 is formed in a first coupling A hole 126a, and a second engagement hole 126b.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holes 126a and 126b are positioned so as not to be symmetrical to each other.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And is further spaced from the connection terminal 122 in the direction of the cable body 110 than the hole 126b.

이처럼 제 1 결합홀(126a)과 제 2 결합홀(126b)이 상호 대칭되지 않도록 위치되므로, 케이블(100)이 커넥터(200)에 삽입될 때, 케이블(100)의 좌우가 뒤집히게 되면, 작업자가 이를 용이하게 알 수 있게 되어, 조립 과정에서의 불량률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holes 126a and 126b are positioned such that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holes 126a and 126b are not symmetrical to each other. When the cable 100 is inserted into the connector 200, It is possible to easily recognize such a defect, and the defect rate in the assembling process can be remarkably reduced.

또한, 제 1 결합홀(126a)과 제 2 결합홀(126b)을 갖는 접속부(120)의 폭이 케이블바디(110)의 폭과 같거나 그보다 작도록 형성되므로, 케이블바디(110)의 단부에 접속부(120)를 일체로 형성하기가 용이해지며, 이에 따라 제조 단가가 낮아지는 효과가 있다.
Since the width of the connection portion 120 having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holes 126a and 126b is formed to be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cable body 110, It is easy to integrally form the connecting portion 120, and accordingly, the manufacturing cost is lowered.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중 결합 구조를 갖는 플랙시블 케이블 커넥터 시스템의 커넥터에 케이블이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일부 절개사시도이다.4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cable is coupled to a connector of a flexible cable connector system having a double-coupled structu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커넥터(200)는 베이스(210), 터미널(220: 도 2 도시) 및 액츄에이터(23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4, the connector 200 includes a base 210, a terminal 220 (shown in FIG. 2), and an actuator 230.

베이스(210)는 예를 들면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며, 케이블(100)의 접속부(120)가 수용되도록 오목하게 수용부(212)가 형성된다. 수용부(212)는 사각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케이블(100)의 접속부(120)가 수용부(212)로 삽입된다. 이때, 케이블(100)의 접속부(120)에 형성되는 결합홈(124)과 대향되는 수용부(212)의 양측에는 걸림부(214)가 대응되게 돌출 형성되어, 케이블(100)이 수용부(212)에 삽입될 때, 케이블(100)의 결합홈(124)이 베이스(210)의 걸림부(214)에 걸림 결합된다. 한편, 수용부(212)의 저면에는 케이블(100)의 결합홀(126)과 대향되는 위치에 후술하는 액츄에이터(230)의 결합돌기(232)가 삽입되도록 삽입부(216)가 형성된다.The base 210 is formed, for example, in a rectangular shape, and a receiving portion 212 is formed concavely for receiving the connection portion 120 of the cable 100. The receiving portion 212 is concaved in a rectangular shape and the connecting portion 120 of the cable 100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portion 212. At this time, on both sides of the receiving portion 212 opposed to the coupling groove 124 formed in the connecting portion 120 of the cable 100, the engaging portion 214 is correspondingly protruded so that the cable 100 is received in the receiving portion The engaging groove 124 of the cable 100 is engaged with the engaging portion 214 of the base 210. As a result, The insertion portion 216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212 so that the coupling protrusion 232 of the actuator 230 described later is inserted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coupling hole 126 of the cable 100.

터미널(220)은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어 베이스(210)의 수용부(212)에 위치된 케이블(100)의 접속단자(12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일측은 베이스(210)의 외측 방향으로 노출되고, 타측은 베이스(210)를 관통하여 베이스(210)의 수용부(212)에 구비되는 케이블(100)의 접속단자(122) 방향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터미널(220)은 예를 들면 케이블(100)의 복수의 접속단자(122)와 일대일 대응되도록 복수 개가 병렬로 배열될 수 있다.The terminal 22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122 of the cable 100 located in the receiving portion 212 of the base 210. The terminal 220 has one side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base 210 And the other end is exposed in the direction of the connection terminal 122 of the cable 100 provided in the receiving portion 212 of the base 210 through the base 210. [ A plurality of such terminals 220 may be arranged in parallel so as to correspond one-to-one with a plurality of connection terminals 122 of the cable 100, for example.

액츄에이터(230)는 베이스(210)의 수용부(212)에 위치되는 케이블(100)을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것으로, 베이스(210)의 수용부(212)에 삽입된 케이블(100)을 덮도록 형성되되, 그 일측은 베이스(21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그 타측은 케이블(100)의 접속부(120)를 가압하도록 닫힘 위치로 회전운동 되거나 케이블(100)의 접속부(120)를 가압하지 않도록 열림 위치로 회전운동 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액츄에이터(230)가 닫힘 위치로 회전운동 될 때, 액츄에이터(230)의 타측에는 케이블(100)의 결합홀(126)과 대응되는 위치 및 베이스(210)의 걸림부(214)와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결합돌기(232)가 및 요입부(234)가 형성된다. 결합돌기(232)는 케이블(100)의 결합홀(126) 및 베이스(210)의 삽입부(216)에 일체로 삽입되도록 돌출 형성된다. 요입부(234)는 베이스(210)의 걸림부(214)가 수용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된다.
The actuator 230 is formed to firmly fix the cable 100 positioned in the receiving portion 212 of the base 210 and cover the cable 100 inserted into the receiving portion 212 of the base 210 One side of which is rotatably coupled to the base 210 and the other side of which is rotationally moved to the closed position to press the connection 120 of the cable 100 or does not press the connection 120 of the cable 100 And is configured to be rotated to the open position. When the actuator 230 is rotated to the closed position, the other side of the actuator 230 is position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hole 126 of the cable 100 an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engagement portion 214 of the base 210 The engaging projections 232 and the recessed portions 234 are formed. The coupling protrusions 232 are protruded to be integrally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126 of the cable 100 and the insertion portion 216 of the base 210. The recessed portion 234 is recessed to receive the latching portion 214 of the base 210.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중 결합 구조를 갖는 플랙시블 케이블 커넥터 시스템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a flexible cable connector system having a double-coupled structu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중 결합 구조를 갖는 플랙시블 케이블 커넥터 시스템의 커넥터에 케이블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일부 절개사시도이다.5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cable is coupled to a connector of a flexible cable connector system having a double-coupled structu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액츄에이터(230)가 열림 위치로 회전운동된 상태에서 커넥터(200)의 베이스(210)에 구비되는 수용부(212)에 케이블(100)이 삽입된다. 이때, 케이블(100)의 결합홈(124)은 베이스(210)의 수용부(212)에 형성되는 걸림부(214)에 걸림 위치된다. 그 후, 액츄에이터(230)는 닫힘 위치로 회전운동되어, 터미널(220)을 가압하게 된다. 이때, 액츄에이터(230)의 저면은 케이블(100)의 접속부(120)를 가압하도록 위치되고, 액츄에이터(230)의 결합돌기(232)는 케이블(100)의 결합홀(126)과 베이스(210)의 삽입부(216)에 일체로 삽입되도록 구성되며, 액츄에이터(230)의 요입부(234)는 베이스(210)의 걸림부(214)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The cable 100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portion 212 of the base 210 of the connector 200 while the actuator 230 is rotated to the open position. At this time, the coupling groove 124 of the cable 100 is engaged with the coupling portion 214 formed in the receiving portion 212 of the base 210. Thereafter, the actuator 230 is rotated to the closed position to press the terminal 220. At this time, the bottom surface of the actuator 230 is positioned to press the connection part 120 of the cable 100, and the coupling protrusion 232 of the actuator 230 is positioned between the coupling hole 126 of the cable 100 and the base 210, And the concave portion 234 of the actuator 230 is configured to receive the engaging portion 214 of the base 210. [

이처럼 커넥터(200)의 베이스(210)에 케이블(100)이 삽입되면, 케이블(100)의 결합홈(124)은 베이스(210)의 걸림부(214)에 걸림 위치되고, 이어서 액츄에이터(230)의 결합돌기(232)가 케이블(100)의 결합홀(126)과 베이스(210)의 삽입부(216)에 일체로 삽입되므로, 케이블(100)은 걸림부(214)와 결합돌기(232)에 이중으로 결합되며, 이에 따라 케이블(100)은 베이스(210)의 수용부(212)에 견고하게 고정 위치되어, 외부 충격 등에 의하여 베이스(210)의 외부로 탈거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When the cable 100 is inserted into the base 210 of the connector 200 as described above, the coupling groove 124 of the cable 100 is engaged with the coupling portion 214 of the base 210, The coupling protrusion 232 of the cable 100 is integrally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126 of the cable 100 and the insertion portion 216 of the base 210 so that the cable 100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portion 214 and the coupling protrusion 232, The cable 100 is firmly fixed to the receiving portion 212 of the base 210 and is not detached from the base 210 due to an external impact or the like.

한편, 액츄에이터(230)의 결합돌기(232)의 단면은 케이블바디(110)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제 1 측부(232a) 및 케이블바디(110)를 바라보도록 위치되는 제 2 측부(232c)를 포함한다. 제 1 측부(232a)는 액츄에이터(230)에서 수직 방향 또는 둔각 방향으로 돌출되고, 제 2 측부(232c)는 액츄에이터(230)에서 예각 방향으로 라운드지면서 제 1 측부(232a)의 선단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여기에 더하여 제 1 측부(232a)의 선단부에는 케이블바디(110)의 반대 방향으로 ?곡되는 절곡부(232b)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액츄에이터(230)의 결합돌기(232)가 케이블(100)의 결합홀(126)과 베이스(210)의 삽입부(216)에 삽입될 때, 결합돌기(232)의 라운드진 제 2 측부(232c)가 결합홀(126)과 삽입부(216)의 내주연을 따라 부드럽게 삽입된다. 반면, 액츄에이터(230)의 결합돌기(232)가 케이블(100)의 결합홀(126)과 베이스(210)의 삽입부(216)에서 빠지게 될 때, 결합돌기(232)의 직각 또는 둔각으로 돌출된 제 1 측부(232a)가 결합홀(126)과 삽입부(216)의 내주연에 걸림 위치되고, 절곡부(232b)가 결합홀(126)의 내주연에 걸림 위치되어, 액츄에이터(230)의 결합돌기(232)는 케이블(100)의 결합홀(126)과 베이스(210)의 삽입부(216)에서 잘 빠지지 않게 된다. 이때, 결합홀(126)의 직경은 삽입부(216)의 직경보다 크도록 형성되어, 절곡부(232b)의 선단부가 결합홀(126)의 내주연에 용이하게 걸림 위치된 상태로 삽입부(216)에 수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 cross section of the coupling protrusion 232 of the actuator 230 includes a first side portion 232a positioned opposite to the cable body 110 and a second side portion 232c positioned to face the cable body 110 . The first side portion 232a protrudes in the vertical direction or the obtuse angle direction in the actuator 230 and the second side portion 232c protrudes in the direction of the tip end of the first side portion 232a while rounding in the acute angle direction in the actuator 230 do. In addition, the first side portion 232a may further include a bent portion 232b which is bent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cable body 110 at the front end thereof. Thus, when the engaging projection 232 of the actuator 230 is inserted into the engaging hole 126 of the cable 100 and the inserting portion 216 of the base 210, The side portion 232c is smoothly inserted along the inner periphery of the engaging hole 126 and the insertion portion 216. [ When the coupling protrusion 232 of the actuator 230 is pulled out of the coupling hole 126 of the cable 100 and the insertion portion 216 of the base 210, The first side portion 232a is engaged with the inner periphery of the engaging hole 126 and the insertion portion 216 and the bent portion 232b is engaged with the inner periphery of the engaging hole 126, The coupling protrusion 232 of the cable 100 does not fall off the coupling hole 126 of the cable 100 and the insertion portion 216 of the base 210. The diameter of the coupling hole 126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insertion portion 216 so that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bent portion 232b is easily engaged with the inner peripheral edge of the coupling hole 126, 216, respectively.

따라서, 액츄에이터(230)가 열림 위치로 회전되도록 외부 압력이 가해진다 하더라도, 액츄에이터(230)의 결합돌기(232)가 케이블(100)의 결합홀(126)과 베이스(210)의 삽입부(216)에 걸림 위치되어, 액츄에이터(230)는 닫힘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The coupling protrusion 232 of the actuator 230 can be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126 of the cable 100 and the insertion portion 216 of the base 210. Therefore, even if an external pressure is applied to rotate the actuator 230 to the open position, So that the actuator 230 can maintain the closed state firmly.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을 이로 한정하지 않음은 당연하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technical idea belonging to the scope of the claims also belongs to the present invention.

100: 케이블 110: 케이블바디
120: 접속부 122: 접속단자
124: 결합홈 126: 결합홀
126a: 제 1 결합홀 126b: 제 2 결합홀
200: 커넥터 210: 베이스
212: 수용부 214: 걸림부
216: 삽입부 220: 터미널
230: 액츄에이터 232: 결합돌기
232a: 제 1 측부 232b: 절곡부
232c: 제 2 측부 234: 요입부
100: Cable 110: Cable body
120: connection part 122: connection terminal
124: coupling groove 126: coupling hole
126a: first coupling hole 126b: second coupling hole
200: connector 210: base
212: receiving portion 214:
216: insertion part 220: terminal
230: actuator 232: engaging projection
232a: first side 232b:
232c: second side portion 234:

Claims (10)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케이블바디와, 상기 케이블바디의 단부에 돌출되도록 연장 형성되는 접속부를 포함하는 케이블; 및
상기 케이블의 상기 접속부가 수용되는 베이스와, 상기 접속부에 구비되는 접속단자와 접촉되도록 상기 베이스에 배열되는 터미널과, 상기 베이스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접속부를 가압하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부의 양측에는 오목하게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접속부의 양측에서 상기 접속부의 중앙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는 결합홀이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의 상기 결합홈과 대향되는 위치에는 상기 결합홈이 걸리도록 걸림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액츄에이터의 상기 결합홀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기 결합홀에 삽입되도록 결합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결합 구조를 갖는 플랙시블 케이블 커넥터 시스템.
A cable body formed to be elongat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connection portion extending to protrude from an end of the cable body; And
A connector including a base on which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cable is received, a terminal arranged on the base to be in contact with a connection terminal provided on the connection portion, and an actuator for pressing the connection portion in a state coupled to the base,
Wherein coupling hole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onnection portion at positions spaced from each other in the center direction of the connection portion,
And a coupling protrusion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hole of the actuator so that the coupling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at a position facing the coupling groove of the base. Flexible cable connector system with coupling structur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홀은 상기 접속부의 일측 방향에 형성되는 제 1 결합홀과, 상기 접속부의 타측 방향에 형성되는 제 2 결합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결합 구조를 갖는 플랙시블 케이블 커넥터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upling hole includes a first coupling hole formed in one direction of the coupling portion and a second coupling hole formed in the other direction of the coupling portion.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결합홀과 상기 제 2 결합홀은 상호 대칭되지 않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결합 구조를 갖는 플랙시블 케이블 커넥터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irst coupling hole and the second coupling hole are positioned so as not to b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each oth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는 상기 케이블바디와 동일하거나 그보다 작은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결합 구조를 갖는 플랙시블 케이블 커넥터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nection portion is formed to have a width equal to or less than that of the cable bod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상기 결합홀과 대향되는 위치에는 상기 결합홀을 관통한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되도록 삽입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결합 구조를 갖는 플랙시블 케이블 커넥터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n insertion portion is formed at a position of the base opposite to the coupling hole so that the coupling protrusion penetrating the coupling hole is insert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의 일측은 상기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액츄에이터의 타측은 상기 접속부를 가압하도록 회전운동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결합 구조를 갖는 플랙시블 케이블 커넥터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one side of the actuator is rotatably coupled to the base and the other side of the actuator is rotated to press the conne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바디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상기 결합돌기의 제 1 측부는 상기 액츄에이터에서 수직 방향 또는 둔각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케이블바디와 마주보는 방향에 위치되는 상기 결합돌기의 제 2 측부는 상기 액츄에이터에서 예각 방향으로 라운드지도록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결합 구조를 갖는 플랙시블 케이블 커넥터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side of the engaging projection loc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cable body projects in the vertical direction or the obtuse angle direction in the actuator,
And a second side of the coupling protrusion locat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cable body is protruded so as to round in an acute angle direction in the actuator.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측부의 선단부에는 상기 케이블바디의 반대 방향으로 절곡되는 절곡부를 구비하고,
상기 절곡부는 상기 결합홀에 걸림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결합 구조를 갖는 플랙시블 케이블 커넥터 시스템.
8. The method of claim 7,
And a bent portion bent at an end of the first side portion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cable body,
And wherein the bent portion is engaged with the coupling ho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의 상기 접속부가 상기 베이스에 수용될 때, 상기 베이스의 저면에는 상기 결합홀과 대향되는 위치에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액츄에이터가 상기 접속부를 가압할 때, 상기 액츄에이터의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결합홀과 상기 삽입부에 일체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결합 구조를 갖는 플랙시블 케이블 커넥터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cable is received in the base, an insertion portion is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base at a position facing the coupling hole,
Wherein the coupling protrusion of the actuator is integrally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and the insertion portion when the actuator presses the coupling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가 상기 접속부를 가압할 때, 상기 액츄에이터의 상기 걸림부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기 걸림부가 수용되도록 오목하게 요입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결합 구조를 갖는 플랙시블 케이블 커넥터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ctuator is formed with a recessed recessed portion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etaining portion of the actuator when the actuator presses the recessed portion to receive the retaining portion.
KR1020140156078A 2014-11-11 2014-11-11 Flexible Cable Connector System with Double Combining Structure KR10163817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6078A KR101638179B1 (en) 2014-11-11 2014-11-11 Flexible Cable Connector System with Double Combining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6078A KR101638179B1 (en) 2014-11-11 2014-11-11 Flexible Cable Connector System with Double Combining Struc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6108A true KR20160056108A (en) 2016-05-19
KR101638179B1 KR101638179B1 (en) 2016-07-08

Family

ID=56103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6078A KR101638179B1 (en) 2014-11-11 2014-11-11 Flexible Cable Connector System with Double Combining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817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8538A (en) 2017-10-31 2019-05-09 에스엘 주식회사 Connector for Connecting Board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0784A (en) * 1998-05-08 2000-01-28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 Ltd Electric connector
KR200358321Y1 (en) 2004-05-18 2004-08-06 (주)우주일렉트로닉스 Socket Connector and Plug Connector
KR20080061780A (en) 2006-12-28 2008-07-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Connector unit for flexible cable and flat pane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200457140Y1 (en) 2010-01-22 2011-12-06 (주)파트론정밀 Flexible Flat Cable Connector
JP2014011116A (en) * 2012-07-02 2014-01-20 Yazaki Corp Structure for assembling flat cable and slider
JP2015002094A (en) * 2013-06-17 2015-01-05 矢崎総業株式会社 Flat cable terminal connection tool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0784A (en) * 1998-05-08 2000-01-28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 Ltd Electric connector
KR200358321Y1 (en) 2004-05-18 2004-08-06 (주)우주일렉트로닉스 Socket Connector and Plug Connector
KR20080061780A (en) 2006-12-28 2008-07-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Connector unit for flexible cable and flat pane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200457140Y1 (en) 2010-01-22 2011-12-06 (주)파트론정밀 Flexible Flat Cable Connector
JP2014011116A (en) * 2012-07-02 2014-01-20 Yazaki Corp Structure for assembling flat cable and slider
JP2015002094A (en) * 2013-06-17 2015-01-05 矢崎総業株式会社 Flat cable terminal connection too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8538A (en) 2017-10-31 2019-05-09 에스엘 주식회사 Connector for Connecting Boar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8179B1 (en) 2016-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25090B2 (en) Card edge connector with a metal member
US7988501B2 (en) IC socket with improved contact having deformable retention portion
US7637787B2 (en) Audio jack connector
US7500876B2 (en) Shielded Receptacle Connector
JP4851510B2 (en) Electrical connector
US10770821B2 (en) Electrical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having the same
EP2840660B1 (en) Electric connector
JP2007128876A (en) Electric connector
JP4521351B2 (en) Board connector
US8721370B2 (en) USB connector
JP4558562B2 (en) connector
JP4774956B2 (en) Connector and connector receptacle
US20090258518A1 (en) Electrical card connector with a flange-like plane portion
KR101638179B1 (en) Flexible Cable Connector System with Double Combining Structure
US7874876B1 (en) Audio jack connector
US7959472B1 (en) Audio jack connector
US7232338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metal strengthen member
KR101651653B1 (en) Wire to wire connector assembly
TWM499690U (en) Electrical connector
JP6681655B2 (en) Coaxial connector
US6948964B2 (en) Electronic card connector with fixed lateral arms
US20160226204A1 (en) Electrical connector
US8292668B2 (en) Electrical connector
US6974355B1 (en) Connector
JP4563250B2 (en) Connector, receptacle connector, and portable wireless terminal or small electron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