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6063A - 차열 방화 유리 구조체 - Google Patents

차열 방화 유리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6063A
KR20160056063A KR1020140155966A KR20140155966A KR20160056063A KR 20160056063 A KR20160056063 A KR 20160056063A KR 1020140155966 A KR1020140155966 A KR 1020140155966A KR 20140155966 A KR20140155966 A KR 20140155966A KR 20160056063 A KR20160056063 A KR 201600560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late
glass
refractory glass
ceramic
refract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5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0498B1 (ko
Inventor
이용규
Original Assignee
이용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규 filed Critical 이용규
Priority to KR10201401559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0498B1/ko
Publication of KR20160056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60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0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04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7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characterised by additional arrangements or devices for heat or sound insulation or for controlled passage of light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 시 차열 또는 차염 성능은 물론 고열에 의한 변형 또는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차열 방화 유리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내화 유리의 상단부 영역, 상기 내화 유리의 하단부 영역, 상기 내화 유리의 좌측단부 영역, 상기 내화 유리의 우측단부 영역이 각각 결합되는 결합 프레임; 상기 결합 프레임의 내부에 단열재가 충전되는 제1 스틸 플레이트; 상기 제1 스틸 플레이트의 외측에 상기 내화 유리의 방향으로 배치되는 2개의 제2 스틸 플레이트; 상기 제1 스틸 플레이트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3 스틸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스틸 플레이트와 상기 제3 스틸 플레이트를 체결하기 위한 드릴링 스크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열 방화 유리 구조체 {Glass Wall Structure for Insulated Fire Resistant}
본 발명은 차열 방화 유리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재 시 차열 또는 차염 성능은 물론 고열에 의한 변형 또는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차열 방화 유리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의 대규모, 초고층화가 급격히 진행됨에 따라 건축물의 방재 계획에 있어, 화재 확산방지에 대한 새로운 기술 개발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방재 계획은 콘크리트 벽체, 건식벽체, 조립식 패널 벽체 등을 사용하여 왔으나, 최근에는 정서적 안정감과 미적 요인은 물론, 건축물의 고층화 등으로 인하여 공간의 미관이나 활용성을 중요시하여 유리 벽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고, 그 사용량도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방재 계획에 대해서도, 유리를 사용하고자 하는 필요성이 나타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31625호(2013.11.14 등록)는 차열 방화 유리 구조체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차열 방화 유리 구조체는, 내화 유리의 상단부 영역이 결합되는 상단부 결합 프레임; 상기 상단부 결합 프레임의 반대편에서 상기 내화 유리의 하단부 영역이 결합되는 하단부 결합 프레임; 상기 내화 유리의 좌측단부 영역이 결합되는 좌측단부 결합 프레임; 및 상기 좌측단부 결합 프레임의 반대편에서 상기 내화 유리의 우측단부 영역이 결합되는 우측단부 결합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126900호(2012.03.07 등록)는 차열방화유리를 고정시키면서, 차열방화유리와 함께 내화구조의 유리벽체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여 내화, 단열, 차염 및 차열 성능을 향상시킨 차열방화유리 프레임 구조체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차열방화유리의 테두리 부분에 고정되는 차열방화유리 프레임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차열방화유리의 테두리를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되고, 내측의 빈 공간으로는 단열 성능의 충진제가 채워지는 하부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의 양측에 구비되며, 상기 하부프레임과 결합되는 동시에 상기 차열방화유리의 테두리 일부를 감싸는 위치까지 형성되는 지지프레임; 및 상기 지지프레임을 관통하는 동시에, 상기 하부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을 결합시키는 체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프레임은 내측이 비어 있으며, 상기 하부프레임 측을 향해, 길이 방향의 개방구를 구비하고, 상기 개방구를 통해 상기 지지프레임의 내측으로 단열 성능의 충진제가 채워지고, 상기 개방구는 지지부재가 일정 간격 이격되면서 결합되어 폐쇄되며, 상기 충진제는 상기 지지부재 사이사이로 밀어 넣어지고, 상기 하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사이에, 상기 체결부재가 관통되는 위치에는, 제1단열부재 개재되고,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기 지지프레임 측 및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기 차열방화유리 측에는 제2단열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차열방화유리의 테두리와 상기 하부프레임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차열방화유리를 지지하며 설치 위치 및 간격을 조정하기 위한 세팅블럭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세팅블럭과 상기 지지프레임 내측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는 단열 성능의 충진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차열 방화 유리는 열을 받아 발포하는 성질을 가지기 때문에 내화, 단열 및 차열 기능을 제대로 발현하게 되지만, 창틀 프레임의 차열 기능이 부족하고 용접부위나 차열 방화 유리와 차열 방화 유리를 고정시키는 부분이 용융되거나, 변형 또는 파손이 발생되고, 그 부분을 통하여 뜨거운 열이 인접 구역으로 번지게 되며, 이는 화재 전파의 주요한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31625호 한국등록특허 제10-1126900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내화 유리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 프레임의 내부가 발포제로 형성되도록 형성한 차열 방화 유리 구조체를 제공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내화 유리의 상단부 영역, 상기 내화 유리의 하단부 영역, 상기 내화 유리의 좌측단부 영역, 상기 내화 유리의 우측단부 영역이 각각 결합되는 결합 프레임; 상기 결합 프레임의 내부에 단열재가 충전되는 제1 스틸 플레이트; 상기 제1 스틸 플레이트의 외측에 상기 내화 유리의 방향으로 배치되는 2개의 제2 스틸 플레이트; 상기 제1 스틸 플레이트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3 스틸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스틸 플레이트와 상기 제3 스틸 플레이트를 체결하기 위한 드릴링 스크루를 포함하는 차열 방화 유리 구조체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스틸 플레이트는, 상기 내화 유리와 접하는 부분과 상기 제3 스틸 플레이트 사이가 충진된 발포제로 형성되는 세팅 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2 스틸 플레이트와 상기 내화 유리 사이에 충진된 발포제가 개재되는 세라믹 보드; 및 상기 세라믹 보드를 밀봉 처리하기 위해 상기 세라믹 보드의 일 말단에서 상기 내화 유리 사이로 형성되는 실리콘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세라믹 보드는, 요소수지 20~60중량%, 세라믹분말 20~30%중량, 발포제 10~60중량% 의 비율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세라믹 보드는, 폴리우레탄수지 20~60중량%, 제올라이트분말 20~30중량%, 발포제 10~60중량% 의 비율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스틸 플레이트는, 상기 내화 유리와 접하는 부분과 상기 제3 스틸 플레이트 사이에 형성되는 세팅 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스틸 플레이트, 상기 제3 스틸 플레이트, 상기 세팅 블록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3 스틸 플레이트는, 일 측이 돌출된 '凸'형태로 형성되며, 돌출된 부분이 공기층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3 스틸 플레이트는, 내부가 세라크울 또는 인슐레이팅 보드로 형성되거나, 세라크울과 인슐레이팅 보드를 혼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2 스틸 플레이트는, 테두리 부분이 2중 구조로 형성되며, 그 사이에 단열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단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내화 유리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 프레임의 내부에 발포제를 형성함으로써, 화재 시 다량의 기체를 발생시켜 차열 또는 차염 성능은 물론 고열에 의한 변형 또는 파손 방지 기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열 방화 유리 구조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차열 방화 유리 구조체를 단면도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제3 스틸 플레이트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차열 방화 유리 구조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열 방화 유리 구조체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열 방화 유리 구조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열 방화 유리 구조체(10)는, 결합 프레임(100), 제1 스틸 플레이트(200), 제2 스틸 플레이트(300, 400), 제3 스틸 플레이트(500), 드릴링 스크루(600)를 포함한다.
결합 프레임(100)은, 내화 유리(G)를 사이에 두고 둘레(내화 유리(G)의 상단부 영역, 내화 유리(G)의 하단부 영역, 내화 유리(G)의 좌측단부 영역, 내화 유리(G)의 우측단부 영역)에 각각 결합되어 내화 유리(G)를 고정시킨다.
제1 스틸 플레이트(200)는, 일 측에 내화 유리(G)가 설치되며, 결합 프레임(100)의 내부 구조를 이룬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스틸 플레이트(200)는, 결합 프레임(100)의 내부에 단열재인 세라크울(CW)을 충전하여 차열 기능을 발현할 수 있다. 이 세라크울(CW)의 정식 명칭은 세라크울 1300 Blanket이며, 섬유화된 화이버(FIBER)를 연속적으로 적층한 후, 니들 펀칭(NEDDLE PUNCHING)하여 블랭킷 형태로 성형한 것으로서, 경량이고 유연하며 시공이 간편한 고온 1,000도까지 단열재로 사용할 수 있는 재료이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스틸 플레이트(200)는, 테두리 부분이 건축에 사용되는 강철판 재질로 형성되어, 화재 발생 시 고온에도 견딜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스틸 플레이트(200)는, 내화 유리(G)가 고정되는 반대편(벽체에 설치되는 부분)이 일정 넓이만큼 개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스틸 플레이트(200)에 있어서, 강철판 재질로 형성된 테두리 부분에 용접된 부분이 약 500도 정도의 높은 고온의 경우 차열 기능이 부족하여 용융되거나, 변형될 수 있기 때문에 제1 스틸 플레이트(200)가 벽체와 접촉하는 부분이 단열재와 바로 접촉되도록 하여 단열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스틸 플레이트(200)는, 제2 스틸 플레이트(300, 400) 및 제3 스틸 플레이트(500)의 두께보다 더 두껍게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재료비를 절감하면서도 강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제2 스틸 플레이트(300, 400)는, 제1 스틸 플레이트(200)의 외측에 내화 유리(G)의 방향으로 내화 유리(G) 양측에 2개로 배치되며, 드릴링 스크루(600)에 의해 제3 스틸 플레이트(500)와 체결된다.
제3 스틸 플레이트(500)는, 제1 스틸 플레이트(200)의 내부에 형성되며, 드릴링 스크루(600)에 의해 두 개의 제2 스틸 플레이트(300, 400)와 각각 체결된다.
드릴링 스크루(600)는, 제2 스틸 플레이트(300, 400)와 제3 스틸 플레이트(500)를 체결하여 고정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드릴링 스크루(600)는 스테인리스 등 고온에도 견딜 수 있는 재질의 볼트 형태로 형성되어, 제1 스틸 플레이트(200)와 제3 스틸 플레이트(300)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차열 방화 유리 구조체(10)는, 제1 스틸 플레이트(200), 제2 스틸 플레이트(300, 400), 제3 스틸 플레이트(500)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은 내부가 세라크울 또는 인슐레이팅 보드로 형성되거나, 세라크울과 인슐레이팅 보드를 혼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인슐레이팅 보드(INSULATING BOARD)는 단열판으로써, 내열성 수지, 세라믹 등과 같은 단열 기능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된 판을 의미한다.
도 2는 도 1의 차열 방화 유리 구조체를 단면도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차열 방화 유리 구조체(10)는, 결합 프레임(100), 제1 스틸 플레이트(200), 제2 스틸 플레이트(300, 400), 제3 스틸 플레이트(500), 드릴링 스크루(600), 세라믹 보드(700), 실리콘(800)을 포함한다. 여기서 결합 프레임(100), 제3 스틸 플레이트(500), 드릴링 스크루(600)는 도1의 구성요소와 유사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아래에서 설명한다.
제1 스틸 플레이트(200)는, 단열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세팅 블록(210)을 포함한다.
세팅 블록(210)은, 발포제로 형성되며, 제1 스틸 플레이트(200)에서 내화 유리(G)와 접하는 부분과 제3 스틸 플레이트(500) 사이에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세팅 블록(210)은, 요소수지 20~60중량%, 세라믹분말 20~30%중량, 발포제 10~60중량% 의 비율로 형성될 수 있다. 요소수지는 우레아수지 또는 요소포르말린수지라고도 하고, 요소와 알데히드류의 축합반응으로 생기는 열경화성 수지이며, 인체에 무해한 특징이 있다. 그리고 발포제는 요소수지의 점도를 낮추고 발포시키는 기능을 하며, 요소수지와 발포제에 세라믹분말을 첨가함으로써 단열 기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발포제는 화재 시 스스로 열분해 등의 반응을 일으켜 다량의 기체를 발생시킴으로써 단열 기능을 향상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세팅 블록(210)은, 폴리우레탄수지 20~60중량%, 제올라이트분말 20~30중량%, 발포제 10~60중량% 의 비율로 형성될 수 있다. 폴리우레탄은 단열성이 우수하며, 제올라이트는 알루미늄을 함유하는 규산염광물로 함수량이 높은 다공성 물질로써 단열의 기능을 가진다.
일 실시 예에서, 세팅 블록(210)은, 내부가 세라믹 페이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단열 기능이 있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세팅 블록(210)은, 내화 유리(G)의 사이즈에 따라 다양한 사이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세팅 블록(210)은, 내화 유리(G)의 상단부 영역, 내화 유리(G)의 하단부 영역, 내화 유리(G)의 좌측단부 영역에 각각 결합되는 결합 프레임(100) 중 어느 하나에만, 그리고 내화 유리(G)의 우측단부 영역에 각각 결합되는 결합 프레임(100) 중 어느 하나에만 형성될 수 있다.
제2 스틸 플레이트(300, 400)는, 단열부재(320, 420)를 포함한다.
단열부재(320, 420)는, 테두리 부분이 2중 구조로 형성된 제2 스틸 플레이트(300, 400) 사이에 형성되어, 단열 기능을 향상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단열부재(320, 420)는, 단열의 기능을 가지는 재질(예를 들어, 아크릴 고무, 니트릴 고무 등)로 제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단열부재(320, 420)는, 제2 스틸 플레이트(300, 400)의 내부면 테두리 부분에 접착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드릴링 스크루(600)는 단열부재(320, 420)를 통과하여 제2 스틸플레이트(300, 400)와 제3 스틸 플레이트(500)를 체결할 수 있다.
세라믹 보드(700)는, 제2 스틸 플레이트(300, 400)와 내화 유리(G) 사이에 충진된 발포제가 개재된다.
일 실시 예에서, 세라믹 보드(700)는, 세팅 블록(210)과 유사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단열 기능을 가지는 세라믹 페이퍼 등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실리콘(800)은, 세라믹 보드(700)를 밀봉 처리하기 위해 세라믹 보드(700)의 일 말단에서 내화 유리(G) 사이로 형성됨으로써, 내화 유리(G)의 들뜸 현상을 방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차열 방화 유리 구조체(10)는, 세팅 블록(210)과 세라믹 보드(700)를 발포제로 형성함으로써, 화재 시 다량의 기체를 발생시켜 차열 또는 차염 성능은 물론 고열에 의한 변형 또는 파손 방지 기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스틸 플레이트(200), 제3 스틸 플레이트(500), 세팅 블록(210)이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제품 생산이 간편해짐은 물론, 조립 작업 시 내화 유리(G)를 제1 스틸 플레이트(200)의 일 측면에 접촉시키고 제2 스틸 플레이트(300, 400)로 내화 유리(G)의 양측을 고정시켜주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시공이 간편하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제3 스틸 플레이트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3 스틸 플레이트(500)는, 일 측(내화 유리(G)가 설치되는 방향)이 돌출된 '凸'형태로 형성된다. 돌출된 부분을 단열의 기능을 가지는 공기층(Air)으로 형성함으로써, 내화 유리(G)와 벽체 사이의 열전도가 이루어지지 않아 단열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3 스틸 플레이트(500)의 일 측 내부를 공기층(Air)으로 형성함으로써, 중량을 줄일 수 있고 단열 및 차열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이때, 제3 스틸 플레이트(500)의 일 측은 공기층(Air)이 아닌 단열 기능을 가지는 세라크울 또는 인슐레이팅 보드 등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차열 방화 유리 구조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차열 방화 유리 구조체(10)는, 중앙부 결합 프레임(900)을 더 포함한다.
중앙부 결합 프레임(900)은, 2개의 내화 유리(G)가 적용되는 경우에 2개의 내화 유리(G)의 중앙 부분에 결합된다.
일 실시 예에서, 중앙부 결합 프레임(900)은, 결합 프레임(100)과 달리 양측으로 대치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중앙부 결합 프레임(900)은 제1 스틸 플레이트(200)의 구조는 동일하며, 내화 유리(G)를 제1 스틸 플레이트(200)의 양측으로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제3 스틸 플레이트(500)는 양측이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며, 돌출된 부분을 공기층으로 형성할 수 있다. 2개의 내화 유리(G) 양측에 제2 스틸 플레이트(300, 310, 400, 410)를 각각 2개씩 배치하여 제2 스틸 플레이트(300, 310, 400, 410)와 제3 스틸 플레이트(500)를 드릴링 스크루(600)로 체결할 수 있다. 그리고 중앙부 결합 프레임(900)이 결합되지 않은 내화 유리(G)의 다른 측면은 결합 프레임(100)을 통해 결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운용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 차열 방화 유리 구조체
100 : 결합 프레임
200 : 제1 스틸 플레이트
210 : 세팅 블록
300, 310, 400, 410 : 제2 스틸 플레이트
320, 420 : 단열부재
500 : 제3 스틸 플레이트
600 : 드릴링 스크루
700 : 세라믹 보드
800 : 실리콘
900 : 중앙부 결합 프레임

Claims (10)

  1. 내화 유리의 상단부 영역, 상기 내화 유리의 하단부 영역, 상기 내화 유리의 좌측단부 영역, 상기 내화 유리의 우측단부 영역이 각각 결합되는 결합 프레임;
    상기 결합 프레임의 내부에 단열재가 충전되는 제1 스틸 플레이트;
    상기 제1 스틸 플레이트의 외측에 상기 내화 유리의 방향으로 배치되는 2개의 제2 스틸 플레이트;
    상기 제1 스틸 플레이트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3 스틸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스틸 플레이트와 상기 제3 스틸 플레이트를 체결하기 위한 드릴링 스크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열 방화 유리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틸 플레이트는,
    상기 내화 유리와 접하는 부분과 상기 제3 스틸 플레이트 사이가 충진된 발포제로 형성되는 세팅 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열 방화 유리 구조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틸 플레이트와 상기 내화 유리 사이에 충진된 발포제가 개재되는 세라믹 보드; 및
    상기 세라믹 보드를 밀봉 처리하기 위해 상기 세라믹 보드의 일 말단에서 상기 내화 유리 사이로 형성되는 실리콘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열 방화 유리 구조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 보드는,
    요소수지 20~60중량%, 세라믹분말 20~30%중량, 발포제 10~60중량% 의 비율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열 방화 유리 구조체.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 보드는,
    폴리우레탄수지 20~60중량%, 제올라이트분말 20~30중량%, 발포제 10~60중량% 의 비율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열 방화 유리 구조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틸 플레이트는,
    상기 내화 유리와 접하는 부분과 상기 제3 스틸 플레이트 사이에 형성되는 세팅 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열 방화 유리 구조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틸 플레이트, 상기 제3 스틸 플레이트, 상기 세팅 블록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열 방화 유리 구조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스틸 플레이트는,
    일 측이 돌출된 '凸'형태로 형성되며, 돌출된 부분이 공기층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열 방화 유리 구조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스틸 플레이트는,
    내부가 세라크울 또는 인슐레이팅 보드로 형성되거나, 세라크울과 인슐레이팅 보드를 혼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열 방화 유리 구조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틸 플레이트는,
    테두리 부분이 2중 구조로 형성되며, 그 사이에 단열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단열부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열 방화 유리 구조체.
KR1020140155966A 2014-11-11 2014-11-11 차열 방화 유리 구조체 KR1016604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5966A KR101660498B1 (ko) 2014-11-11 2014-11-11 차열 방화 유리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5966A KR101660498B1 (ko) 2014-11-11 2014-11-11 차열 방화 유리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6063A true KR20160056063A (ko) 2016-05-19
KR101660498B1 KR101660498B1 (ko) 2016-09-27

Family

ID=56103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5966A KR101660498B1 (ko) 2014-11-11 2014-11-11 차열 방화 유리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049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3255A (ko) 2018-03-28 2019-10-08 주식회사 지투비 차열방화유리 구조체
KR20200003338A (ko) * 2018-07-01 2020-01-09 주식회사 대한창호 방화유리를 위한 차열 프레임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88489A (zh) * 2016-06-22 2016-08-24 安徽安旺门业股份有限公司 新型钢质隔热防火窗及其制作方法
KR102614093B1 (ko) 2023-02-21 2023-12-13 홍주성 차열 방화 윈도우 샤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6900B1 (ko) 2011-06-09 2012-03-20 주식회사 삼공사 차열방화유리 프레임 구조체
KR101331625B1 (ko) 2013-05-29 2013-11-20 이용규 차열 방화 유리 구조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6900B1 (ko) 2011-06-09 2012-03-20 주식회사 삼공사 차열방화유리 프레임 구조체
KR101331625B1 (ko) 2013-05-29 2013-11-20 이용규 차열 방화 유리 구조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3255A (ko) 2018-03-28 2019-10-08 주식회사 지투비 차열방화유리 구조체
KR20200003338A (ko) * 2018-07-01 2020-01-09 주식회사 대한창호 방화유리를 위한 차열 프레임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0498B1 (ko) 2016-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0498B1 (ko) 차열 방화 유리 구조체
JP5651008B2 (ja) 複層ガラス窓の防火構造
KR101191560B1 (ko) 차열 방화 유리벽 구조
KR200465678Y1 (ko) 방화문 기밀 구조
JP5296448B2 (ja) 鉄骨柱の耐火被覆構造
JP2005351009A (ja) 合成樹脂製窓枠
KR20200018164A (ko) 방화문
KR101688272B1 (ko) 차열 방화 유리 구조체
CN209195233U (zh) 一种钢质防火门
JP2012072601A (ja) 耐火パネルの連結部構造
KR102183931B1 (ko) 복합 성능을 향상시킨 방화문의 패널구조
KR20190131955A (ko) 단열 및 방열 기능을 갖는 방화문
KR20180061535A (ko) 차열프레임 및, 이를 활용한 프레임구조체
JP2015061971A (ja) 連結部材
CN214659765U (zh) 一种钢质防火门
KR20110056134A (ko) 내화단열구조
KR101331625B1 (ko) 차열 방화 유리 구조체
KR20180118381A (ko) 차열성 및 기밀성이 향상된 복합성능 방화문
KR102302052B1 (ko) 복합 성능을 향상시킨 방화문의 선형 열교 및 선형 누기 차단 구조
CN205132869U (zh) 防火隔热电梯层门
JP3142544B2 (ja) 断熱スラット
KR101007757B1 (ko) 슬림형 단열 복합패널
KR200356633Y1 (ko) 조립식 복합패널
CN209908334U (zh) 一种新型隔热防火门
JP4944473B2 (ja) 金属系耐火化粧パネル、該パネルを用いた耐火被覆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