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6045A - 넉가래 - Google Patents

넉가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6045A
KR20160056045A KR1020140155929A KR20140155929A KR20160056045A KR 20160056045 A KR20160056045 A KR 20160056045A KR 1020140155929 A KR1020140155929 A KR 1020140155929A KR 20140155929 A KR20140155929 A KR 20140155929A KR 20160056045 A KR20160056045 A KR 201600560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now
plate
grain
present
snow sho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5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성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엠모터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엠모터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엠모터스
Priority to KR10201401559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56045A/ko
Publication of KR201600560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60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5/00Removing snow or ice from roads or like surfaces; Grading or roughening snow or ice
    • E01H5/02Hand imp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Of Streets, Tracks, Or Beaches (AREA)

Abstract

곡물이나 눈 따위를 한곳으로 밀어 모으는 데 쓰는 기구인 넉가래로서, 넉가래판(11)이 자루(12)에 대해 좌우 어느 한쪽으로 경사지게 연결된 구성을 개시한다. 자루에 대해 경사진 넉가래판은 그 좌우 한쪽이 전위에, 다른 쪽이 후위에 위치하여 전위 쪽에서 들어오는 눈이나 곡물을 후위 쪽으로 밀어냄으로써 이미 지나온 자리에 흔적을 남기지 않으며, 넉가래판 위에 눈이나 곡물이 쌓이지 않아 힘들이지 않고 작업할 수 있다.

Description

넉가래{SNOW SHOVEL}
이 발명은 곡물이나 눈 따위를 한곳으로 밀어 모으는 데 쓰는 기구인 넉가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눈이나 곡물이 판 양쪽으로 분산되지 않고 한 쪽으로만 밀려 나할 수 있게 손잡이 자루에 대해 넉가래 판을 기울인 구조에 관한 것이다.
바닥에 쌍인 눈을 치우거나 멍석에 깔린 탈곡 곡물을 거둬들일 때 사용하는 기구인 넉가래가 잘 알려져 있다. 넉가래를 사용한 제설작업을 묘사한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전형적인 넉가래(1)는 넓적한 판에 자루를 단 단순한 형태였으며, 예를 들면 넓은 면적에 쌓인 눈을 치울 때는 한쪽부터 차례로 넉가래(1)를 밀어 작업하는데, 넉가래(1) 위에 눈이 수북이 쌓이면 넉가래를 미는 데 힘이 많이 들 뿐만 아니라, 넉가래(1)에 수북히 쌓인 눈이 양 옆으로 무너져 내리면서 이미 지나온 자리에 흔적(2)을 남기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로 인해 그 흔적(2)을 치우기 위해 이미 지나온 자리를 다시 작업하여야 하는 번거러움이 있었으며, 이에 대해 종래에도 여러가지 개선된 형태가 제안되어 왔다.
하기 특허문헌 1(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249154)에는 넉가래판 좌우 양측에 보호벽을 형성하고 판 이면 바닥에는 바퀴를 단 형태가 제안돼 있다. 보호벽은 판 위로 올라온 눈이나 곡물이 양측으로 밀려나지 않게 하고, 바퀴는 이동에 편리를 기하기 위한 것이다.
하기 특허문헌 2(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10-0447929)에는 전술한 특허문헌 1의 보호벽이 있는 형태에서 전술한 바퀴 대신 돌출부를 형성한 형태가 제안돼 있다. 돌출부는 바퀴처럼 이동에 편리하면서도 바퀴의 위험성과 기구고장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하기 특허문헌 3(대한민국 등록특허 10-1335449)에는 통행로의 확보를 위한 제설작업이 용이하도록 눈을 양측으로 밀어낼 수 있는 형태가 제안돼 있다.
KR20-0249154 Y1 (2001년09월22일) KR20-0447929 Y1 (2010년02월23일) KR10-1335449 B1 (2013년11월26일)
넓은 면적에 깔린 눈이나 곡물을 한곳으로 밀어 모으는 넉가래 작업을 단시간에 마치기 위해서는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미 지나온 자리에 흔적을 남기는 문제를 해결할 필요가 있다.
전술한 특허문헌 1과 2 등에 제안된 보호벽은 넉가래에 쌓인 눈이나 곡물이 양 옆으로 넘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겠지만, 넉가래에 눈이나 곡물이 수북이 쌓인 상태에서는 더이상 효과를 볼 수 없는 한계가 있고, 또 넉가래에 정체된 눈이나 곡물의 중량으로 작업에 방해가 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전술한 특허문헌 3의 형태는 통행로 확보를 위한 작업에 효율적일 뿐, 넓은 면적에 쌓인 눈을 한곳으로 밀어 모으는 넉가래 본래의 기능과는 거리가 있는 것이다.
이 발명의 목적은 넓은 면적에 깔린 눈이나 곡물을 한곳으로 밀어 모을 때 이미 지나온 자리에 흔적을 남기지 않아 작업시간을 단축시키는 동시에 눈이나 곡물이 넉가래판 위에 정체되지 않고 곧바고 한쪽 측방향으로 밀려나가게 함으로써 수북이 쌓이지 않아 힘을 덜 들이고 작업할 수 있게 개선된 넉가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는 이 발명에 따른 넉가래는, 넉가래판과 이 넉가래판 이면에 달린 자루를 포함하는 모든 형태의 넉가래에 있어서, 넉가래판이 자루에 대해 좌우 어느 한쪽으로 경사지게 연결된 구성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경사진 넉가래판이 그 좌우 양측 중 전위에 위치하는 쪽에는 차단벽이 있고, 후위에 위치하는 쪽은 개방된 형태로 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이 발명에 따른 넉가래, 즉 자루에 대해 경사진 넉가래판을 구비한 형태에 의하면, 자루와 똑바른 방향으로 밀때 넉가래판의 좌우 양측 중 한쪽이 전위에 위치하고, 반대편이 후위에 위치하여 진행하게 되는데, 그 전위에 위치한 쪽으로 들어오는 눈이나 곡물은 넉가래판의 경사를 따를 반대편 후위에 위치하는 쪽으로 이동하여 그 측면 밖으로 밀려나가므로, 넉가래 판 위에 눈이나 곡물이 정체하여 나타나는 수북이 쌓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눈이나 곡물이 옆으로 흘러서 이미 지나온 자리에 흔적을 남기는 문제를 해결하여, 작업을 반복하지 않아도 되는, 즉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이 뿐만 아니라 넉가래판 위에 눈이나 곡물이 수북이 쌓이지 않아 작업에도 힘이 덜 들어 작업이 한결 수훨해지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넉가래를 사용한 제설작업을 묘사한 것으로, 이미 지나온 자리에 흔적이 남는 문제를 설명한다.
도 2는 이 발명에 따른 넉가래를 사용한 제설작업을 도 1과 대응하는 형태로 묘사한 것으로, 이미 지나온 자리에 흔적이 남지 않음을 설명한다.
도 3은 이 발명에 따른 넉가래의 외양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이 발명에 따른 넉가래를 측면에서 본 입체도이다.
도 5는 이 발명에 따른 넉가래를 판 뒤에서 똑바로 본 입체도이다.
도 6은 이 발명에 따른 넉가래를 판 위에서 본 입체도로서, 자루에 대해 넉가래판이 경사진 상태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한다. 첨부된 도면은 어디까지나 이 발명을 이해시키기 위해 그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예시한 것으로서, 일부 구성요소가 과장되거나 생략되는 등 실제와는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또한 예시된 형태 외에 더욱 다양한 형태로도 실시가능함은 물론이다.
먼저 이 발명에 따른 넉가래를 사용한 제설작업을 묘사한 도 1을 참조하면, 이 발명에 따른 넉가래(10)는 넉가래판으로 들어오는 눈이나 곡물이 한쪽으로 밀려 나가 이미 지나온 자리에 흔적을 남지기 않을 뿐만 아니라, 넉가래판 위에 수북이 쌓이지 않아 작업도 힘이 덜 들어 한결 수월해진다.
이 발명에 따른 넉가래(10)는 도 3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넉가래판(11)과 자루(12)로 이루어지고, 자루(12)에 대해 넉가래판(11)이 일정각도 θ 만큼 기운 구성이다. 즉, 도 6과 같이 자루(12) 방향으로 정렬할 때 넉가래판(1)의 한쪽 옆이 전위에, 다른 쪽 옆이 후위에 위치하게 하여, 넉가래판(11)으로 들어오는 눈이나 곡물이 전위측에서 후위측으로 이동할 수 있게 의도한 것이다.
바람직한 형태로서 넉가래판(11)은 좌우 중 한쪽 옆, 즉 전위에 놓이는 측에 차단벽(13)을 형성하고, 다른 쪽, 즉 후위에 놓이는 측을 개방하였다. 차단벽(13)은 넉가래판(1)으로 들어오는 눈이나 곡물이 한쪽으로 넘치는 것을 방지해 준다.
또한 바람직한 형태로서, 넉가래판(11)은 판면이 좌우 방향으로는 일진선상으로 곧고, 상하 방향으로는 뒤쪽으로 오목하게 형성하였다. 이와 같은 모양은 넉가래판(11) 하단이 땅바닥을 긁어 나갈 때 바닥에 쌓인 눈이나 곡물을 넉가라판(11) 안으로 용이하게 들어올 수 있게 그 판면을 땅바닥에 대한 예각을 유지해 주며, 작업자가 허리를 굽히지 않고 편한 자세로 작업할 수 있게 해 준다.
또한 바람직한 형태로서, 넉가래판(11) 판면에는 가로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세로방향으로 정렬하게 판면에서 융기된 모양으로 돌출부(14)를 형성하였다. 돌출부(14)는 넉가래판(11) 안으로 들어오는 눈 따위를 수갈래로 갈라주는데, 그리하여 눈 따위가 뭉쳐서 수북이 쌓이는 것을 방지하고, 작업을 편하게 해 준다. 융기된 돌출부(14)는 또한 넉가래판(14)의 강도를 높여 합성수지 성형물의 뒤틀림을 방지하고 두께를 줄일 수 있게 해 준다.
또한 바람직한 형태로서, 넉가래판(11) 이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자루 연결부(15)를 도 5와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θ만큼 기울여 형성함으로써 거기에 자루(12)를 끼원 고정시키는 것으로써 자루에 대한 넉가패판(11)이 그 각도만큼 기울도록 구현하였다. 필요에 따라 그 연결부(15)에 힌지장치를 하여 자루(12)에 대한 넉가래(11)의 경사 방향과 그 각도를 조정하여 작업자가 선택케 할 수 있을 것이다. 부호 16은 연결부(15)를 넉가래판(11)에 견고하게 고착시키는 보강살이다.
10: 넉가래, 11: 넉가래판, 12: 자루, 13: 차단벽, 14: 돌출부, 15: 연결부

Claims (2)

  1. 넉가래판과 이 넉가래판 이면에 달린 자루를 포함하는 모든 형태의 넉가래에 있어서, 상기 넉가래판이 자루에 대해 좌우 어느 한쪽으로 경사지게 연결된 구성을 그 특징으로 하는 넉가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경사지게 연결된 넉가래판의 좌우 양측 중 전위에 위치하는 쪽에 차단벽이 있고, 후위에 위치하는 쪽은 개방된 형태로 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넉가래.
KR1020140155929A 2014-11-11 2014-11-11 넉가래 KR201600560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5929A KR20160056045A (ko) 2014-11-11 2014-11-11 넉가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5929A KR20160056045A (ko) 2014-11-11 2014-11-11 넉가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6045A true KR20160056045A (ko) 2016-05-19

Family

ID=56103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5929A KR20160056045A (ko) 2014-11-11 2014-11-11 넉가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5604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7652A (ko) 2017-09-29 2019-04-08 남기복 제설기
CN112554119A (zh) * 2020-12-23 2021-03-26 唐淑贞 一种用于城市市政道路清洁用除雪装置
KR200493705Y1 (ko) 2021-03-15 2021-05-24 정혜영 지붕용 제설도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7652A (ko) 2017-09-29 2019-04-08 남기복 제설기
CN112554119A (zh) * 2020-12-23 2021-03-26 唐淑贞 一种用于城市市政道路清洁用除雪装置
KR200493705Y1 (ko) 2021-03-15 2021-05-24 정혜영 지붕용 제설도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804123S1 (en) Snow broom and scraper
USD901118S1 (en) Snow paddle
USD926397S1 (en) Debris blower
USD877779S1 (en) Debris blower
USD919674S1 (en) Cab for a snow groomer
KR20160056045A (ko) 넉가래
US8267358B1 (en) Bag holder
US9609844B2 (en) Scoopable litter scooper
USD917100S1 (en) Urban bicycle helmet
USD802241S1 (en) Cart for a water jetting machine
USD795510S1 (en) Animal waste collecting tool
US20110198875A1 (en) Snow shovel for unconventional surfaces
US8662548B1 (en) Multifunction lawn and garden device
USD788181S1 (en) Wheel loader excavator bucket with bottom mounted ripping teeth
KR200410326Y1 (ko) 삽날에 보강부재가 형성된 삽
CN102625651A (zh) 用于农用除草机的安全罩
KR101686950B1 (ko) 본체의 길이조절이 가능한 넉 가래
US3088232A (en) Replaceable shoe for scraper bowl edges
USD878881S1 (en) Yard debris scoop
US20110210572A1 (en) Multimode snow tool
USD877208S1 (en) Welded-on teeth for a front-end, soil-leveling attachment removably attached to a skid steer
US7533468B1 (en) Moss removal tool
JP2012136931A (ja) 屋根用除雪具
US20140138108A1 (en) Scraper Attachment and Methods of Use
KR200443333Y1 (ko) 플라스틱 삽의 삽날 보강부재의 개선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