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5683A -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처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처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5683A
KR20160055683A KR1020150139629A KR20150139629A KR20160055683A KR 20160055683 A KR20160055683 A KR 20160055683A KR 1020150139629 A KR1020150139629 A KR 1020150139629A KR 20150139629 A KR20150139629 A KR 20150139629A KR 20160055683 A KR20160055683 A KR 201600556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session
electronic device
srvcc
handover
webrt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9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5690B1 (ko
Inventor
정상수
컬트 씨. 웡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CN201580054922.3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6797594B/zh
Priority to EP15858774.1A priority patent/EP3219148B1/en
Priority to PCT/KR2015/012022 priority patent/WO2016076591A1/en
Publication of KR201600556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56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56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56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04W36/0022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for transferring data sessions between adjacent core network technologies
    • H04W36/00224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for transferring data sessions between adjacent core network technologies between packet switched [PS] and circuit switched [CS] network technologies, e.g. circuit switched fallback [CSFB]
    • H04W36/00226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for transferring data sessions between adjacent core network technologies between packet switched [PS] and circuit switched [CS] network technologies, e.g. circuit switched fallback [CSFB] wherein the core network technologies comprise IP multimedia system [IMS], e.g. single radio voice call continuity [SRVC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04W36/0022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for transferring data sessions between adjacent core network technolog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04W36/0033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with transfer of context information
    • H04W36/0044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with transfer of context information of quality context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8Upper layer protocols
    • H04W80/10Upper layer protocols adapted for application session management, e.g. SIP [Session Initiation Protoc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4Registration at HLR or HSS [Home Subscriber Ser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단일 무선 음성 호 연속성 핸드오버 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노드의 동작 방법은, 전자 장치와 IMS(IP Multimedia Subsystem) 사이의 음성 세션이 상기 전자 장치의 웹 실시간 통신(Web Real Time Communication, WebRTC)과 관련된 프로그램에 의해 개시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 상기 음성 세션이 상기 전자 장치의 WebRTC과 관련된 프로그램에 의해 개시되었는지 여부를 기반으로, 상기 음성 세션에 대해 단일 무선 음성 호 연속성(Single Radio Voice Call Continuity, SRVCC) 핸드오버 적용이 가능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전자 장치의 서빙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처리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HANDLING HANDOV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처리 기술에 관한 것이다.
IP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IP Multimedia Subsystem; IMS) 기반의 VoLTE(Voice services over Long Term Evolution) 뿐만 아니라, WebRTC(Web Real-Time-Communication Services)와 같은 브라우저 기반의 어플리케이션들은 음성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3GPP는 기술 규격서(Technical Specification, TS) 23.228에서 “WebRTC access to IMS-network-based architecture”를 개발해왔다. 여기서 LTE 전자 장치 내의 WebRTC 클라이언트가 WebRTC 클라이언트에서의 IMS 기능을 가짐으로써, LTE를 통해 운영자 IMS로 연결할 수 있다. WebRTC 클라이언트는 WebRTC IMS 클라이언트 또는 WIC라고 칭할 수 있다. 이 기술은 운영자가 WebRTC 클라이언트로 양호한 QoS(Quality of Service)를 갖는 다른 IMS 네트워크에 대한 멀티미디어 음성 세션을 연결하는 것과 같은 IMS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허용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자 장치와 IMS 서버 사이의 음성 세션에 대한 단일 무선 음성 호 연속성(Single Radio Voice Call Continuity, SRVCC) 핸드오버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자 장치와 IMS 서버 사이의 음성 세션이, 웹 실시간 통신(Web Real Time Communication, RTC)와 관련된 클라이언트(혹은 프로그램)에 의해 개시되었는지 여부를 기반으로, 해당 음성 세션의 SRVCC 적용 가능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자 장치와 IMS 서버 사이의 음성 세션이, 공지된 IMS APN에 대한 것인지 여부를 기반으로, 해당 음성 세션의 핸드오버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노드의 동작 방법은, 전자 장치와 IMS(IP Multimedia Subsystem) 사이의 음성 세션이 상기 전자 장치의 웹 실시간 통신(Web Real Time Communication, WebRTC)과 관련된 프로그램에 의해 개시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 상기 음성 세션이 상기 전자 장치의 WebRTC과 관련된 프로그램에 의해 개시되었는지 여부를 기반으로, 상기 음성 세션에 대해 단일 무선 음성 호 연속성(Single Radio Voice Call Continuity, SRVCC) 핸드오버 적용이 가능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전자 장치의 서빙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노드의 장치는, 송수신기;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전자 장치와 IMS(IP Multimedia Subsystem) 사이의 음성 세션이 상기 전자 장치의 웹 실시간 통신(Web Real Time Communication, WebRTC)과 관련된 프로그램에 의해 개시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음성 세션이 상기 전자 장치의 WebRTC과 관련된 프로그램에 의해 개시되었는지 여부를 기반으로, 상기 음성 세션에 대해 단일 무선 음성 호 연속성(Single Radio Voice Call Continuity, SRVCC) 핸드오버 적용이 가능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전자 장치의 서빙 기지국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IP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IP Multimedia Subsystem, IMS)와의 음성 세션 설정 시도를 감지하는 과정; 상기 음성 세션 설정이, 웹 실시간 통신(Web Real Time Communication, WebRTC)과 관련된 프로그램에 의해 시도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 및 상기 음성 세션 설정이, 상기 WebRTC와 관련된 프로그램에 의해 시도되는지 여부를 기반으로, 상기 음성 세션에 대해 단일 무선 음성 호 연속성(Single Radio Voice Call Continuity, SRVCC) 핸드오버 적용이 가능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네트워크 노드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자 장치는, 웹 실시간 통신(Web Real Time Communication, WebRTC)에 기초하여 IP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IP Multimedia Subsystem, IMS)과의 음성 세션을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제1 프로그램; 상기 IMS와 음성 세션을 설정하도록 구성된 제2 프로그램;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음성 세션을 개시하는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상기 음성 세션에 대해 단일 무선 음성 호 연속성(Single Radio Voice Call Continuity, SRVCC) 핸드오버 적용이 가능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네트워크 노드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동작 방법은, 전자 장치와 네트워크 노드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전자 장치와 IP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IP Multimedia Subsystem, IMS) 사이의 음성 세션에 대한 단일 무선 음성 호 연속성(Single Radio Voice Call Continuity, SRVCC) 핸드오버 적용이 가능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및 상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음성 세션에 대한 SRVCC 핸드오버 트리거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장치는, 송수신기;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전자 장치와 네트워크 노드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전자 장치와 IP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IP Multimedia Subsystem, IMS) 사이의 음성 세션에 대한 단일 무선 음성 호 연속성(Single Radio Voice Call Continuity, SRVCC) 핸드오버 적용이 가능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음성 세션에 대한 SRVCC 핸드오버 트리거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기술적 특징은 하기의 도면들, 설명들 및 청구항으로부터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일 수 있다.
아래의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기 전에, 본 특허 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특정 단어 및 어구들의 정의를 기재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용어 "결합하다(couple)" 및 그 파생어들은 이들 요소가 서로 물리적으로 접촉하고 있든지 그렇지 않든지, 둘 또는 그 이상의 요소들 사이의 직접 또는 간접적인 통신을 의미한다. 용어 "전송하다(transmit)", “수신하다(receive)" 및 "소통하다(communicate)", 뿐만 아니라 이들의 파생어들은 직접 및 간접 통신을 모두 포함한다. 용어 "포함하다(include)", “구성하다(comprise)”뿐만 아니라 이들의 파생어들은 제한 없이 포함함을 의미한다. 용어 "또는"은 포괄적 의미 및/또는 이다. 구문 "~와 관련된(associated with)", 뿐만 아니라 이의 파생어들은 포함하다(include), ~내에 포함되다(be included within), ~와 내적 연결하다(interconnect with), 포함하다(contain), ~내에 포함되다(be contained within), ~에 또는 ~와 연결하다(connect to or with), ~에 또는 ~와 결합하다(couple to or with), ~와 통신할 수 있는(be communicable with), ~와 협력하다(cooperate with), 끼우다(interleave), 나란히 놓다(juxtapose), ~에 인접하다(be proximate to), ~에 또는 ~와 인접되다(be bound to or with), 가지다(have), ~의 속성을 갖다(have a property of), ~에 또는 ~와 관계가 있다(have a relationship to or with) 등을 의미한다. 용어 "제어기(controller)"는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는 임의의 장치, 시스템 또는 이들의 부분을 의미한다. 이러한 제어기는 하드웨어, 및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firmware)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임의의 특정 제어기와 관련된 기능은 국부적이든 원격적이든 관계없이 집중화되거나 분산될 수 있다. "~중 적어도 하나(at least one of)"라는 구문은, 열거되는 항목들이 사용되는 경우, 사용될 수 있는 열거된 항목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서로 다른 조합, 및 요구되는 열거된 항목 중 하나의 항목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는 다음의 조합, A, B, C, A와 B, A와 C, B와 C, 및 A와 B와 C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후술되는 다양한 기능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들에 의해 구현되거나 지원될 수 있고, 각각은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 코드로부터 형성되거나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 실시된다. 용어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과 “프로그램(program)”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소프트웨어의 구성들, 지시사항들의 집합(sets), 절차, 기능들, 객체, 클래스, 사례들, 관련된 자료들, 또는 적절한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 코드를 구현하는 것에 적합한 이들의 부분을 지칭한다. 어구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 코드(computer readable program code)"는 소스 코드(source code), 오브젝트 코드(object code), 및 실행 가능한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코드의 임의의 유형을 포함한다. 어구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computer readable medium)"는 판독 전용 메모리(ROM, Read Only Memory),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andom Access Memory),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컴팩트 디스크(CD, Compact Disc),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DVD, Digital Video Disc), 또는 임의의 다른 메모리의 유형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 될 수 있는 임의의 유형의 매체를 포함한다. "비 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는 유선, 무선, 광학 또는 일시적으로 전기적 또는 다른 신호를 전송하는 다른 통신 링크를 제외한다. 비 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데이터가 영구적으로 저장될 수 있는 미디어와 재기록 가능한 광 디스크 또는 지울 수 있는 메모리 장치와 같이, 데이터가 저장될 수도 있고 데이터 덮어쓰기도 가능한 미디어를 포함한다.
다른 특정 단어 및 구문들의 정의가 본 특허 문서 전반에 걸쳐서 제공된다. 당업자는 대부분의 경우에, 이러한 정의들이 정의된 단어들 및 구문들로 미래뿐 아니라 이전의 사용들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와 IMS 서버 사이의 음성 세션이, 웹 실시간 통신(Web Real Time Communication, RTC)와 관련된 클라이언트(혹은 프로그램)에 의해 개시되었는지 여부를 기반으로, 해당 음성 세션의 SRVCC 적용 가능 여부를 결정하고, SRVCC 적용 가능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하여, 기지국에서 해당 음성 세션의 핸드오버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 및 그의 특징에 대한 더욱 완벽한 이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첨부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의 예를 도시한다.
도 2a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송신 경로의 예를 도시한다.
도 2b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수신 경로의 예를 도시한다.
도 3a는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 구성을 예로 들어 도시한다.
도 3b는 본 개시에 따른 기지국의 블록 구성을 예로 들어 도시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단일 무선 음성 호 연속성(SRVCC) 핸드오버 절차를 처리하기 위한 전반적인 구조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의해 SRVCC 능력을 전환하여 SRVCC 핸드오버를 처리하기 위한 흐름도의 예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정책 제어 및 과금(Policy Control and Charging, PCC)에서 명시적인 표시(explicit indication)에 의한 SRVCC 핸드오버 절차를 처리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홈 가입자 서버(Home Subscriber Server,HSS) 푸시 모델(push model)에서 SRVCC 핸드오버 절차를 처리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8a 및 8b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 명칭(Access Point Name, APN) 기반의 이동성 관리 개체(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 제어에 의해 SRVCC 핸드오버 절차를 처리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9는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른 APN-기반의 명시적 표시에 의해 SRVCC 핸드오버를 처리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후술되는 도 1 내지 9, 및 본 특허 문서에서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다양한 예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것일 뿐, 어떠한 방식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당업자들은 본 발명의 원리들이 임의의 적절한 방식과 적절하게 배열된 장치 또는 시스템의 임의의 유형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이하의 문서들과 표준의 기술들은 본 개시에 제시된 것과 같이 본 개시에 포함될 수 있다:
3GPP 기술 규격서(TS) 23.228 버전 12.5.0, “IP Multimedia Subsystem (IMS); Stage 2”; 3GPP TS23.216 버전 12.1.0, “Single Radio Voice Call Continuity (SRVCC); Stage 2”; 3GPP 기술 요구조건 No. 23.706 버전 0.1.1, “Study on enhancements to Web Real Time Communication (Web RTC) access to IP Multimedia Subsystem (IMS)”; 3GPP TS23.237 버전 12.7.0, “IMS Service Continuity; Stage 2”; 3GPP TS23.203 버전 12.5.0, “Policy and charging control architecture”; 및 3GPP TS 23.401 버전 12.5.0, “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 enhancements for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E-UTRAN)”.
도 1은 본 개시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100의 예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시스템 100의 실시 예는 단지 설명을 위한 것이다. 시스템 100의 다른 실시 예들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 네트워크 100은 기지국(eNodeB 혹은 eNB) 101, 기지국 102, 및 기지국 103을 포함한다. 기지국 101은 기지국 102 및 기지국 103과 통신할 수 있다. 기지국 101은 인터넷, 전용 IP 네트워크, 혹은 다른 데이터 네트워크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인터넷 프로토콜(IP: Internet Protocol) 네트워크 130과 통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유형(type)에 따라, "기지국(eNodeB, 혹은 eNB)” 대신에 “기지국(base station)”, 혹은 “액세스 포인트(acess point)”와 같이 다른 알려진 용어들이 사용될 수 있다. 편의상, 용어 “기지국(eNodeB, 혹은 eNB)”은 본 문서에서 원격 단말(remote terminal)로의 무선 접근을 제공하는 네트워크 인프라스트럭쳐 구성 요소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유형에 따라,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혹은 UE)” 대신에 다른 알려진 용어 “이동국(mobile station)”,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원격 단말(remote terminal)”, “무선 단말(wireless terminal)”, “STA(station)”,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 혹은 “사용자 기기(user device)”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자 장치”를 기지국에 무선으로 접근하는 원격 무선 장치로 기술한다. 본 개시에서“전자 장치”는 휴대폰이나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장치일 수도 있고, 데스크탑 컴퓨터 혹은 자판기와 같은 고정 장치일 수도 있다.
기지국 102는 기지국 102의 커버리지 영역 120 내에 다수의 제1 전자 장치들을 위해 네트워크에 대한 무선 광대역 접속을 제공한다. 다수의 제1 전자 장치들은 소기업(SB: smaill business)에 위치할 수 있는 전자 장치 111, 대기업(E: enterprise)에 위치할 수 있는 전자 장치 112, WiFi 핫 스팟(HS: hot spot)에 위치할 수 있는 전자 장치 113, 제1 주거지(R: residence)에 위치할 수 있는 전자 장치 114, 제2 주거지(R)에 위치할 수 있는 전자 장치 115, 휴대폰, 무선 랩탑, 무선 PDA 등과 같은 이동 기기(M: mobile device)일 수 있는 전자 장치 116을 포함한다. 기지국 103은 기지국 103의 커버리지 영역 125 내에 다수의 제2 전자 장치들을 위해 네트워크에 대한 무선 광대역 접속을 제공한다. 다수의 제2 전자 장치들은 전자 장치 115 및 전자 장치 116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기지국 101 내지 103 중 적어도 하나는 5G, LTE, LTE-A, WiMAX, 또는 다른 진보된 무선 통신 기술을 기반으로 전자 장치 111 내지 116과 통신하고, 기지국 101 내지 103들은 상술한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 기술을 기반으로 서로 통신할 수 있다.
점선들은 커버리지(coverage) 영역들 120 및 125의 근사 범위를 나타내는 것이며, 이는 오직 예시 및 설명을 목적으로 대략 원형으로 도시된 것이다. 기지국들과 연계된 커버리지 영역들, 예를 들어, 커버리지 영역들 120 및 125는 기지국의 구성 및 자연과 인공적인 방해물들과 연계된 무선 환경에서의 변동 사항들에 따른 불규칙한 형상들을 포함하는 다른 형상일 수 있다.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 101, 기지국 102, 및 기지국 103 중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은 단일 무선 음성 호 연속성(Single Radio Voice Call Continuity, 이하 'SRVCC'라 칭함) 핸드오버의 연속성을 지원한다. 일부 실시 예에서는, 기지국 101, 기지국 102, 및 기지국 103 중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은 웹 실시간 통신(Web Real Time Communication, 이하 'WebRTC'라 칭함)과 같이, 개체들 사이의 통신을 지원한다.
도 1은 무선 네트워크 100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도 1에 대해 다양한 변경이 이뤄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네트워크 100은 적절하게 배치된 기지국들과 전자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 101은 많은 전자 장치들과 통신할 수 있으며, 해당 전자 장치들로 네트워크 130에 대한 광대역 무선 접속을 제공할 수 있다. 유사하게, 기지국 102 내지 103 각각은 네트워크 130과 직접 통신할 수 있으며, 전자 장치들로 네트워크 130에 대한 광대역 무선 접속을 제공할 수 있다. 더하여, 기지국 101, 102, 및/또는 103은 외부 전화 네트워크 또는 다른 타입의 네트워크와 같이, 다른 또는 추가적인 외부 네트워크로의 접속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a 및 2b는 본 개시에 따른 무선 송신 경로 및 무선 수신 경로의 예를 도시한다. 이하 설명에서, 송신 경로 200은 기지국(예: 기지국 102)에서 구현될 수 있고, 수신 경로 250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 116)에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실시 예에 따라 수신 경로 250이 기지국에서 구현되고 송신 경로 200이 전자 장치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수신 경로 250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설명된 바와 같은 SRVCC 핸드오버의 연속성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송신 경로 200은 채널 코딩 및 변조부(channel coding and modulation block) 205, 직렬-병렬 변환부(serial-to-parallel block) 210, N-크기(size N) IFFT부(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block) 215, 병렬-직렬 변환부(parallel-to-serial block) 220, CP(cyclic prefix) 추가부 225, 및 상향 변환기(up-converter,UC) 230을 포함한다. 수신 경로 250은 하향 변환기(down-converter, DC) 255, CP 제거부 260, 직렬-병렬(S-to-P) 변환부 265, N-크기 FFT부 270, 병렬-직렬 (P-to-S) 변환부 275, 채널 디코딩 및 복조부 280을 포함한다.
송신 경로 200에서 채널 코딩 및 변조부 205는 정보 비트 집합을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 비트 집합에 코딩(예: LDPC(low density parity code) 코딩)을 적용한 후, 변조(예: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또는 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하여 일련의 주파수 영역(frequency-domain) 변조 심벌(symbol)들을 생성할 수 있다. 직렬-병렬 변환부 210은 변조된 직렬 심벌들을 병렬 데이터로 변환(즉, 역다중화)하여, N개의 병렬 심벌 스트림(symbol stream)들을 생성한다. 이때, N은 기지국 102 및 전자 장치 116에서 이용되는 IFFT/FFT 크기이다. N-크기 IFFT부 215는 N개의 병렬 심벌 스트림들에 대해 IFFT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시간영역의 출력 신호를 생성한다. 병렬-직렬 변환부 220은 N-크기 IFFT부 215로부터 출력되는 병렬 시간 영역 출력 심벌들을 변환(즉, 다중화)하여 직렬 시간영역 신호를 생성한다. CP 추가부 225는 시간 영역 신호에 CP를 삽입한다. 상향 변환기 230은 CP 추가부 225의 출력을 무선 채널을 통해 송신하기 위한 RF(radio frequency) 신호로 변조(즉, 상향 변환)한다. 이때, 신호는 RF 신호로 변환되기 이전에 기저대역(baseband)에서 필터링될 수 있다.
기지국 102에서 송신된 RF 신호는 무선 채널을 통과한 이후에 전자 장치 116에 도달한다. 전자 장치 116에서는 기지국 102에서 수행되는 동작들에 대한 역 동작들(reverse operations)이 수행될 수 있다. 하향 변환기 255는 수신된 신호를 기저대역 주파수로 하향 변환하고, CP 제거부 260은 CP를 제거하여 직렬 시간영역 기저대역 신호를 생성한다. 직렬-병렬 변환부 265는 시간 영역 기저대역 신호를 병렬 시간 영역 신호들로 변환한다. N-크기 FFT부 270은 FFT 알고리즘을 수행하여 N-병렬 주파수 영역 신호들을 생성한다. 상기 병렬-직렬 변환부 275는 병렬 주파수 영역 신호들을, 변조된 데이터 심벌들의 시퀀스로 변환한다. 채널 디코딩 및 복조부 280은 변조된 심벌들을 복조하여 디코딩함으로써 원래의 입력 데이터 스트림을 복원한다.
기지국들 101 내지 103 각각은 하향링크에서 전자 장치들 111 내지 116으로 송신하는 것과 유사한 송신 경로를 구현할 수 있고, 상향링크에서 전자 장치들 111 내지 116으로부터 수신하는 것과 유사한 수신 경로를 구현할 수 있다. 유사하게, 전자 장치들 111 내지 116 각각은 상향링크에서 기지국들 101 내지 103으로의 송신을 위한 송신 경로를 구현할 수 있고, 하향링크에서 기지국들 101 내지 103으로부터의 수신을 위한 수신 경로를 구현할 수 있다.
도 2a 및 2b에서의 각각의 구성요소들(components)은 하드웨어로만 구현되거나,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펌웨어의 결합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특정 예로서, 도 2a 및 2b에서의 구성요소들 중 일부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고, 다른 구성요소들은 설정 가능한(configurable)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와 설정 가능한 하드웨어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N-크기 FFT부 270 및 n-크기 IFFT부 215는 설정 가능한 소프트웨어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크기 N의 값은 구현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FFT 및 IFFT를 이용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되었으나, 이는 일 예시에 불과한 것이며, 본 개시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예를 들어, 본 개시에서 FFT 함수 및 IFFT 함수는 DFT(Discrete Fourier Transform) 함수 및 IDFT(Inverse Discrete Fourier Transform) 함수로 대체될 수 있다. DFT 및 IDFT 함수를 위한 변수 N의 값은 임의의 정수(예: 1, 2, 3, 4 등)일 수 있는 반면, FFT 및 IFFT 함수를 위한 변수 N의 값은 2의 거듭제곱(예: 1, 2, 4, 8, 16 등)인 임의의 정수일 수 있다.
도 2a 및 2b가 무선 송신 경로 및 무선 수신 경로를 도시하고 있으나, 도 2a 및 2b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a 및 2b 내의 다양한 구성 요소들은 결합되거나, 분리되거나, 또는 생략될 수 있고, 추가적인 구성 요소들이 필요에 따라 부가될 수 있다. 또한, 도 2a와 2b는 무선 네트워크에 사용되는 송신 경로 및 수신 경로의 다양한 유형 중 하나의 예시일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무선 통신을 지원하기 위해 다른 적절한 설계가 사용될 수 있다.
도 3a는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 116의 블록 구성을 예로 들어 도시한다. 도 3a에 도시된 전자 장치 116의 블록 구성은 단지 설명을 위한 것이고, 도 1의 전자 장치들 111 내지 115는 동일한 구성 혹은 유사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들은 매우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고, 도 3a는 본 개시의 범위를 어떤 특정한 전자 장치의 구성으로 제한하지 않을 것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 116은 안테나 305, RF 송수신기 310, 송신(transmit, TX) 처리 회로 315, 마이크 320, 및 수신(receive, RX) 처리 회로 325를 포함한다. 또한 전자 장치 116은 스피커 330, 메인 프로세서 340, 입력/출력(input/output, I/O) 인터페이스(interface, IF) 345, 키패드 350, 디스플레이 355, 및 메모리 360을 포함한다. 메모리 360은 기본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OS) 프로그램 361과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362를 포함한다.
RF 송수신기 310은 네트워크 100의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착신(incoming) RF 신호를 안테나 305로부터 수신한다. RF 수신기 310은 착신 RF 신호를 하향 변환하여 중간 주파수(intermediate frequency, IF) 또는 기저대역 신호를 생성한다. IF 또는 기저대역 신호는 수신 처리 회로 325로 전송되고, 수신 처리 회로 325는 기저대역 또는 IF 신호를 필터링, 디코딩, 및/또는 디지털화하여 처리된 기저대역 신호를 생성한다. 수신 처리 회로 325는 처리된 기저대역 신호를 스피커 330으로 전송하거나, 추가적인 처리를 위해 메인 프로세서 340으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처리된 기저대역 신호가 음성 데이터인 경우, 수신 처리 회로 325는 처리된 기저대역 신호를 스피커 33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처리된 기저대역 신호가 웹 브라우징 데이터인 경우, 수신 처리 회로 325는 처리된 기저대역 신호의 추가적인 처리를 위해, 처리된 기저대역 신호를 메인 프로세서 340으로 전송한다.
송신 처리 회로 315는 마이크 320으로부터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또는 메인 프로세서 340으로부터 다른 출력용 기저대역 데이터(예: 웹 데이터, 이메일, 또는 상호 비디오게임 데이터)를 수신한다. 송신 처리 회로 315는 출력용 기저대역 데이터를 인코딩, 멀티플렉싱 및/또는 디지털화하여 처리된 기저대역 또는 IF 신호를 생성한다. RF 송수신기 310은 송신 처리 회로 315로부터 처리된 기저대역 또는 IF 신호를 수신하고, 처리된 기저대역 또는 IF 신호를 RF 신호로 상향 변환하여 안테나 305를 통해 송신한다.
메인 프로세서 34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또는 처리 장치들을 포함한다. 메인 프로세서 340은 전자 장치 116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메모리 360에 저장된 기본 OS 프로그램 361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 340은 공지된 원리에 따라 RF 송수신기 310, 수신 처리 회로 325, 및 송신 처리 회로 315에 의해 순방향 채널 신호의 수신과 역방향 채널 신호의 송신을 제어한다. 일부 실시 예에서, 메인 프로세서 340은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또는 마이크로컨트롤러(microcontroller)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프로세서 340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SRVCC 핸드오버의 연속성(continuity)을 위한 동작들과 같이, 메모리 360에 저장된 다른 프로세스들과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프로세서 340은 서빙 기지국으로 SRVCC 핸드오버가 적용될 수 없음을 알려줄 수 있고, 일반적인 IMS 클라이언트를 통해 개시된 음성 세션에 대한 응답으로, 메인 프로세서 340은 RF 송수신기 310이 서빙 기지국으로, SRVCC 핸드오버가 적용 가능함을 나타내는 신호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클라이언트는 프로그램 혹은 프로세스를 의미할 수 있다. 메인 프로세서 340은 실행 프로세스에 의해 필요에 따라 메모리 360의 데이터를 외부로 이동시키거나, 메모리 360의 내부로 데이터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메인 프로세서 340은 OS 프로그램 361을 기반으로 어플리케이션 362를 실행하거나, 또는 기지국들 또는 사용자들로부터 수신된 신호들에 응답하여, 어플리케이션 362를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인 프로세서 340은 I/O 인터페이스 345와 결합(coupled)되어 전자 장치 116과 다른 장치들, 예를 들어, 랩톱 컴퓨터 및 휴대용 컴퓨터들의 연결을 제공할 수 있다. I/O 인터페이스 345는 이러한 보조장치들과 메인 프로세서 340 사이의 통신 경로이다.
메인 프로세서 340은 키패드 350 및 디스플레이 355와 결합(coupled)될 수 있다. 전자 장치 116의 사용자는 전자 장치 116에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해 키패드 350을 이용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355는 웹사이트에서와 같이, 텍스트나 적어도 제한된 그래픽을 재현하도록 구성되는 액정 디스플레이 또는 다른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메모리 360은 메인 프로세서 340과 결합(coupled)된다. 또한, 메모리 360의 일부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를 포함할 수 있고, 메모리(360)의 다른 부분은 플래시 메모리 또는 다른 읽기 전용 메모리(ROM)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a는 전자 장치 116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도 3a에 도시된 전자 장치 116의 구성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a의 일부 구성 요소들은 결합되거나, 세분화되거나, 또는 생략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추가적인 구성이 부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프로세서 340은 하나 이상의 CPU(Central Processing Unit) 또는 GPU(Graphics Processing Unit)와 같이 다수 개의 프로세서로 분할될 수 있다. 또한, 도 3a에서는 모바일 전화기 또는 스마트폰으로 구성된 전자 장치 116을 도시하였으나, 전자 장치는 다른 유형의 이동식 또는 고정된 장치로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b는 본 개시에 따른 기지국 102의 블록 구성을 예로 들어 도시한다. 도 3b에 도시된 기지국 102의 블럭 구성은 단지 설명을 위한 것이다. 도 1의 다른 기지국들은 기지국 102와 동일한 구성 또는 유사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실시 예에 따라 각각의 기지국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고, 도 3b는 본 개시의 범위를 어떤 특정한 기지국의 구성으로 제한하지 않을 것이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 102는 다수 개의 안테나 370a 내지 370n, 다수 개의 RF 송수신기 372a 내지 372n, 송신(transmit, TX) 처리 회로 374, 및 수신 처리 회로 376을 포함한다. 기지국 102는 컨트롤러/프로세서 378, 메모리 380, 및 백홀(backhaul)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382를 포함한다.
RF 송수신기 372a 내지 372n은 전자 장치들 또는 다른 기지국들에 의해 송신된 착신(incoming) RF 신호를 안테나 370a 내지 370n으로부터 수신한다. RF 송수신기 372a 내지 372n은 착신 RF 신호를 하향 변환하여 IF 또는 기저대역 신호를 생성한다. IF 또는 기저대역 신호는 수신 처리 회로 376으로 전송되고, 수신 처리 회로 376은 기저대역 또는 IF 신호를 필터링, 디코딩 및/또는 디지털화함으로써 처리된 기저대역 신호를 생성한다. 수신 처리 회로 376은 처리된 기저대역 신호를 추가적인 처리를 위해 컨트롤러/프로세서 378로 전송한다.
송신 처리 회로 374는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데이터(예: 음성 데이터, 웹 데이터, 이메일, 또는 상호 비디오게임 데이터)를 컨트롤러/프로세서 378로부터 수신한다. 송신 처리 회로 374는 출력용 기저대역 데이터를 인코딩, 멀티플렉싱, 및/혹은 디지털화하여 처리된 기저대역 또는 IF 신호를 생성한다. RF 송수신기 372a 내지 372n은 송신 처리 회로 374로부터 출력용 처리된 기저대역 또는 IF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기저대역 또는 IF 신호를 RF 신호로 상향 변환한다. RF 신호는 안테나 370a 내지 370n을 통해 송신된다.
컨트롤러/프로세서 378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또는 다른 처리 장치들을 포함하고, 컨트롤러/프로세서 378은 기지국 102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컨트롤러/프로세서 378은 공지된 원리에 따라 RF 송수신기 372a 내지 372n, 수신 처리 회로 376, 및 송신 처리 회로 374에 의해 순방향 채널 신호의 수신과 역방향 채널 신호의 송신을 제어한다. 컨트롤러/프로세서 378은 차세대 무선 통신 기능과 같은 추가적인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컨트롤러/프로세서 378은 BIS(Blind interference Sensing) 알고리즘에 의해 BIS를 수행하고 간섭 신호가 제거된 수신 신호를 디코딩할 수 있다. 컨트롤러/프로세서 378에 의해 다양한 다른 기능들이 기지국 102 내에서 지원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컨트롤러/ 프로세서 378은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또는 마이크로컨트롤러(microcontroller)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프로세서 378은 기본 OS와 같이 메모리 380에 저장된 프로그램 또는 다른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다. 컨트롤러/프로세서 378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SRVCC 핸드오버의 연속성을 지원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컨트롤러/프로세서 378은 WebRTC와 같은 개체들 사이의 통신을 지원한다. 컨트롤러/프로세서 378은 실행중인 프로세스의 필요에 따라 메모리 380으로 데이터를 이동시키거나, 메모리 380으로부터 데이터를 독출할 수 있다.
컨트롤러/프로세서 378은 백홀(backhaul)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335와 결합(coupled)될 수 있다. 백홀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382는 기지국 102가 백홀 연결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장치 또는 시스템과 통신하도록 한다. 인터페이스 382는 적합한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 102가 셀룰러 통신 시스템의 일부로 구현된 경우, 예를 들면, 기지국 102가 5G, LTE, 또는 LTE-A를 지원하는 경우, 인터페이스 382는 기지국 102가 유선 또는 무선의 백홀 연결을 통해 다른 기지국과 통신하도록 할 수 있다. 기지국 102가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로 구현된 경우, 인터페이스 382는 기지국 102가 유선 또는 무선의 로컬 영역 네트워크를 통해 더 큰 네트워크(예를 들면, 인터넷)와 통신하거나, 유선 또는 무선의 연결을 통해 더 큰 네트워크와 통신하도록 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382는 이더넷 또는 RF 송수신기와 같이,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통신을 지원하도록 적절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380은 컨트롤러/프로세서 325와 연결될 수 있다. 메모리 380의 일부는 RAM을 포함할 수 있고, 다른 일부분은 플래시 메모리 또는 ROM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 예에서, BIS 알고리즘과 같은 다수의 지시 사항들(혹은 명령어)이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다수의 지시 사항들은 컨트롤러/프로세서 378이 BIS 프로세스를 수행하고 BIS 알고리즘에 의해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간섭신호가 제거된 수신 신호를 디코딩하도록 구성된다.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기지국 102의 송신 및 수신 경로(즉, RF 송수신기 372a 내지 372n, 송신 처리 회로 374, 및/또는 수신 처리 회로 376를 이용하여 구현된 경로)는 FDD 셀들과 TDD 셀들의 집합(aggregation)을 이용한 통신을 지원한다.
도 3b는 기지국 102의 블록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3b에 대해 다양한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 102는 도 3b에 도시된 각 구성 요소들을 임의의 개수만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예를 들면,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는 다수의 인터페이스 382를 포함할 수 있고, 컨트롤러/프로세서 378은 서로 다른 네트워크 주소들 사이에 데이터를 라우팅(routing)하는 라우팅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3b에서는 하나의 송신 처리 회로 374와 하나의 수신 처리 회로 376가 도시되었으나, 기지국 102는 여러 개의 송신 처리 회로와 수신 처리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각 RF 송수신기 별로 하나의 송신 처리 회로와 하나의 수신 처리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SRVCC 핸드오버 절차를 처리하기 위한 전반적인 구조를 도시한다. 도 4에 도시된 실시 예는 설명만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 예들이 이용될 수 있다.
전자 장치 116은 SRVCC가 가능한 전자 장치이고, IP 멀티미디어 시스템(IP Multimedia System, IMS)를 통한 음성 세션을 개시하기 위해 IMS 클라이언트 및 웹 실시간 통신 IMS 클라이언트(WebRTC IMS Client, WIC)를 모두 포함한다. IMS 430은 VoLTE(Voice-over LTE)를 위한 IMS 클라이언트, SRVCC 및 IMS를 통한 음성 통신을 위한 WebRTC IMS 클라이언트 간의 연동을 위해서 3GPP TS 23.228 및 3GPP TS 23.237에서 정의된 필요한 IMS 기능들을 모두 포함한다.
기지국 103,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 410, 서빙/PDN-게이트웨이(Serving/PDN-Gateway, S/P-GW)/ 정책 및 과금 시행 기능(Policy and Charging Enforcement Function, PCEF) 415, 정책 및 과금 정책 기능(the Policy and Charging Rules Function, PCRF) 420, 이동 서비스 교환 센터(Mobile Services Switching Center, MSC)/ 방문자 위치 레지스터(Visitor Location Register, VLR) 440, 홈 가입자 서버(Home Subscriber Server, HSS) 450, 2/3G 무선 접속 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 RAN) 460 및 모든 관련된 참조할 점들은 상술한 3GPP TS 23.203, 3GPP TS 23.401, 및 3GPP TS 23.216과 같이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LTE 전자 장치 116에서의 WebRTC 클라이언트는 WebRTC IMS 클라이언트(WIC)에서 IMS 기능을 가짐으로써 LTE를 통해 운영자 IMS에 연결할 수 있다. 그러나, IMS 클라이언트로 제공되지 않는 일부 네트워크 서비스들은 WebRTC IMS 클라이언트에 대해 동작하지 않을 것이다. 예를 들어, VoLTE에 대해 3GPP TS 23.216에서 정의된 것과 같은 SRVCC가 있다. SRVCC는 음성 서비스가 패킷 교환(Packet Switching, PS) 영역에서 회선 교환(Circuit Switching, CS) 영역으로 전환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다. SRVCC에 있어서, CS 무선 접속 기술(Radio Access Technology, RAT)로의 핸드오버를 결정하는 기지국은 품질 제어 지표(qulaity control indicator, QCI)-1 베어러(bearer)의 존재에 기반할 필요가 있고 전자 장치 116은 내부적으로 QCI-1 베어러 내 IMS 세션에서 전달되는 음성 매체(voice media)를 2/3G RAT을 통해 CS 베어러로 전환한다. 기지국 103이 WIC에 의해 설정된 음성 세션에 대해 이런 종류의 SRVCC 핸드오버를 트리거(trigger)시키는 경우, 전자 장치 116이 2/3G RAT으로 전환되도록 명령된 이후에 음성 세션은 끊어질 것이다.
기지국 103은 특정한 전제 조건들이 만족되지 않는 경우에는 SRVCC 핸드오버를 트리거시키지 않을 것이다. IMS는 IMS 클라이언트 또는 WIC에 의해 설정된 음성 세션을 동일한 방식으로 처리할 수 있고, 이는 기지국 103이 WIC에 의해 개시된 음성 세션에 대해 잘못된 SRVCC 핸드오버를 트리거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한가지 방법은, 네트워크에서 기지국 103이 WebRTC 클라이언트에 의해 설정된 음성 세션에 대한 SRVCC 핸드오버를 트리거시키지 않도록 하는 몇 가지 명시적인 표시를 기반으로 SRVCC에 대한 전제 조건이 만족되지 않도록 하거나, 혹은 미리 수행되고 있는 절차에 의해 SRVCC에 대한 전제 조건이 만족되지 않도록 보장하는 것이다. 본 개시는 기지국 103이 WIC에 의해 개시된 음성 세션에 대한 SRVCC를 트리거시키지 않도록 하는 다양한 실시 예를 제공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의해 SRVCC 능력을 전환함으로써 SRVCC 핸드오버를 처리하기 위한 흐름도 500을 도시한다. 흐름도 500은 일련의 순차적인 단계들을 도시하였으나,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도시된 도면으로부터, 특정한 수행 순서, 단계들 또는 단계들의 일부를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대신 동시에 또는 중복하는 방식으로 수행하는 것, 또는 중간에 개입된 단계 또는 중간 단계의 발생 없이 배타적으로 설명된 단계들을 수행하는 것과 관련된 어떠한 추론도 도출될 수 없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의 절차는 전자 장치, 기지국 또는 다른 개체와 같은 처리 회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특정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 116은 VoLTE를 위한 일반적인 IMS 클라이언트가 음성 세션을 개시하였는지 또는 WebRTC를 위한 IMS 클라이언트가 음성 세션을 개시하였는지에 따라 자신의 SRVCC 능력을 "가능" 또는 "불가능"으로 변경한다. 이를 통해, MME 410은 네트워크가 의도되지 않은 SRVCC 핸드오버를 트리거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자 장치 116에서 WebRTC IMS 클라이언트(WIC)가 음성 세션을 시작할 때, 전자 장치 116의 WIC는 505단계에 도시된 바와 같이 IMS 엔티티 430으로 IMS 등록을 수행한다. 이후, WIC는 510단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 116에서의 WIC에 대한 SRVCC 능력이 현재 "불가능"임을 나타내는 트래킹 영역 갱신(Tracking Area Update, TAU) 메시지를 MME 410으로 전송한다. 이와 같은 "불가능" 표시는 네트워크가 전자 장치 116에 대한 SRVCC 핸드오버 동작을 트리거시키지 않도록 방지한다. 음성 세션은 515단계에서 WebRTC를 통해 전자 장치 116의 WIC와 IMS 430 사이에서 설정(setup)된다.
전자 장치 116의 IMS 클라이언트가 음성 세션 개시를 시도할 때, VoLTE를 위한 전자 장치 116의 IMS 클라이언트는 520단계에 도시된 바와 같이, IMS 엔티티 430으로 IMS 등록을 수행한다. 이후, IMS 클라이언트는 525단계에 도시된 바와 같이, SRVCC 능력이 현재 “가능”임을 나타내는 트래킹 영역 갱신(TAU) 메시지를 MME 410으로 전송한다. “SRVCC 가능” 표시는 필요 시에 네트워크가 전자 장치 116으로 SRVCC 핸드오버 동작을 트리거시킬 수 있도록 한다. 530단계에서 음성 세션은 일반적인 IMS를 통해 전자 장치 116의 WIC와 IMS 430 사이에서 설정된다.
상술한 두 가지 경우에 있어서, MME 410은 535단계에서 S1 AP 메시지를 통해 기지국 103으로 SRVCC 가능 표시를 갱신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RVCC 가능 표시를 "가능"에서 "불가능"으로 갱신하거나, 또는 "불가능"에서 "가능"으로 갱신할 수 있다. 이는, S1 AP 초기 컨텍스트 설정 절차(Initial Context Setup Procedure)에서 유휴(IDLE) 상태에서 활성(ACTIVE) 상태로 전환하는 동안에 기지국 103으로 SRVCC 가능 표시가 주어지고, SRVCC 가능성은 다음 유휴(IDLE) 상태에서 활성(ACTIVE) 상태로 전환될 때까지 변경되지 않기 때문이다. 일부 실시 예에서, MME 410은 530단계에서 S1 AP 메시지를 통해 SRVCC 가능 상태를 갱신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정책 제어 및 과금(Policy Control and Charging, PCC)으로부터의 명시적 표시에 의한 SRVCC 핸드오버를 처리하기 위한 흐름도 600을 도시한다. 흐름도 600은 계속적인 단계의 연속을 도시하나,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도시된 도면으로부터, 특정한 수행 순서, 단계들 또는 단계들의 일부를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대신 동시에 또는 중복하는 방식으로 수행하는 것, 또는 중간에 개입된 단계 또는 중간 단계의 발생 없이 배타적으로 설명된 단계들을 수행하는 것과 관련된 어떠한 추론도 도출될 수 없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의 절차는 전자 장치, 기지국 또는 다른 개체와 같은 처리 회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특정 실시 예에서, PCRF 420은 SRVCC 금지 표시(혹은 SRVCC 불가능 표시)를 포함하는 QCI-1을 활용하거나, 또는 새로운 QCI 값을 활용하여, 기지국 103으로 SRVCC가 허용되지 않음을 명시적으로 나타낸다. 새로운 QCI 값은 SRVCC가 허용되지 않음을 나타내기 위해 운영자에 의해 정의된 QCI 값일 수 있고, QCI-1과 다른 값일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예에서, 전자 장치 116의 WIC는 605단계에서 IMS 430과의 음성 세션을 개시한다. 이후, 음성 세션을 위한 EPS 베어러를 설정할 때, IMS 430은 610단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PCRF 420으로 해당 음성 세션이 SRVCC가 가능하지 않으나, QCI-1과 유사한 QoS 특성을 요구함을 나타낼 수 있다.
615단계에서, PCRF 420은 네트워크 정책을 기반으로, SRVCC 금지 표시를 포함하는 QCI-1, 또는 새로운 QCI 값을 P-GW/PCEF 415로 나타낸다. 여기서, 새로운 QCI 값은 QCI-1 이외에, SRVCC 금지 혹은 SRVCC 적용 불가능을 암시하기 위해 새롭게 정의된 인덱스일 수 있다.
620단계 및 625단계에서 전용 베어러 생성 절차의 일부로서, 새로운 QCI, 또는 SRVCC 금지 표시가 포함된 QCI-1은 MME 410을 통해 기지국 103에 의해 수신된다. 새로운 QCI가 이용되는 경우, 운영자는 새로운 QCI 값을 이용하여 기지국 103을 미리 설정할 수 있고, 이때 QoS 특성은 SRVCC 트리거가 제외된 QCI-1과 비슷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정 실시 예에서, PCRF 420은 생성된 베어러가 수신 세션을 위해 미리 설정된 발신자 식별 정보 또는 IP 주소와 같은 AF/eP-CSCF의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WebRTC 세션을 위한 것임을 추정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HSS 푸시 모델(HSS push model)에서 SRVCC 핸드오버를 처리하기 위한 흐름도 700을 도시한다. 도 7에 도시된 실시 예는 단지 설명을 위한 것이다. 따라서, 다른 실시 예들이 본 개시의 범위 내에서 이용될 수 있다. 흐름도 700은 일련의 순차적인 단계들을 도시하였으나,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도시된 도면으로부터, 특정한 수행 순서, 단계들 또는 단계들의 일부를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대신 동시에 또는 중복하는 방식으로 수행하는 것, 또는 중간에 개입된 단계 또는 중간 단계의 발생 없이 배타적으로 설명된 단계들을 수행하는 것과 관련된 어떠한 추론도 도출될 수 없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의 절차는 전자 장치, 기지국 또는 다른 개체와 같은 처리 회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특정 실시 예에서는, IMS 430은 서빙 MME 410으로 사용자 데이터를 갱신하여, HSS 450이 해당 가입자에 대한 SRVCC를 허용하거나 비활성화시키도록 요청한다.
705단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 116의 WIC가 IMS 430을 이용하여 음성 세션을 개시할 때, IMS 410은 710단계에서 Sh 465를 통해, HSS 450이 전자 장치 116에 대한 SRVCC를 비활성화시키도록 요청한다. 예를 들어, IMS 430은 전자 장치 116에 대한 SRVCC가 허용되지 않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HSS 450으로 전송한다. 이에 대한 응답으로, HSS 450은 현재 SRVCC 상태가 이미 비활성화된 상태인지 아닌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검사를 수행한다. 현재 SRVCC 상태가 비활성화된 상태가 아닌 경우, 715단계에서 HSS 450은 해당 가입자에 대한 SRVCC가 비활성화됨을 나타내는 상태 갱신 메시지를 S6a 470을 통해 서빙 MME 410로 전송한다.
대안적으로, 720단계에서 전자 장치 116의 VoLTE를 위한 IMS 클라이언트는 IMS 430을 이용한 음성 세션을 개시한다. 725단계에서 IMS 430은 Sh 465를 통해, HSS 450으로, 해당 전자 장치에 대한 SRVCC를 허용하도록 요청한다. 예를 들어, IMS 430은 전자 장치 116에 대한 SRVCC가 허용됨을 나타내는 정보를 HSS 450으로 전송한다. 이에 대한 응답으로, HSS 450은 현재의 SRVCC 상태가 이미 허용된 상태인지 아닌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검사를 수행한다. 현재 SRVCC 상태가 허용되지 않은 상태인 경우, HSS 450은 730단계에서 해당 가입자에 대한 SRVCC가 허용됨을 나타내는 상태 갱신 메시지를 S6a 470을 통해 서빙 MME 410으로 전송한다. 상술한 두 가지 경우에서, MME 410은 735단계에서 SRVCC 가능 여부를 나타내는 표시를 기지국 103으로 전송함으로써, 기지국 103에서 전자 장치 116에 대한 SRVCC 가능 상태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도 8a 및 8b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 명칭(Access Point Name, APN)-기반의 MME 제어(APN-based MME control)에 의한 SRVCC 핸드오버를 처리하기 위한 흐름도 800 및 850을 도시한다. 흐름도 800 및 850은 일련의 순차적인 단계들을 도시하였으나,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도시된 도면으로부터, 특정한 수행 순서, 단계들 또는 단계들의 일부를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대신 동시에 또는 중복하는 방식으로 수행하는 것, 또는 중간에 개입된 단계 또는 중간 단계의 발생 없이 배타적으로 설명된 단계들을 수행하는 것과 관련된 어떠한 추론도 도출될 수 없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의 절차는 전자 장치, 기지국 또는 다른 개체와 같은 처리 회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특정 실시 예에서, MME 410은 공지된 IMS APN에 대해 활성화되지 않는, 활성 QCI-1 및 PDN 관계를 확인함으로써 SRVCC가 유효하지 않음을 감지할 수 있다. 공지된 IMS APN은 APN 명칭이 "IMS"인 GSMA -IR.88 "LTE Roaming Guidelines"에 의해 정의되고, 여기서 IMS 명칭은 전체 APN의 APN 네트워크 식별자 부분이다. 동작을 위한 VoLTE 로밍에 있어서, IMS 서비스를 위해 이용되는 "공지된(well-known)" APN은 VoLTE를 위해 마련된 APN을 의미한다. "공지된" IMS APN은 IMS 가입자에 대한 디폴트(default) APN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는 장치 또는 서빙 네트워크에 대해 IMS APN에 대한 설정이 필요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MME 410은 SRVCC가 유효하지 않은 것을 감지하면,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SRVCC 핸드오버 대신 QCI-1이 포함된 PS 핸드오버를 수행하거나, 또는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으로 실패를 나타내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도 8a에 따르면, 전자 장치 116의 WIC는 WebRTC를 통한 음성 세션을 설정할 때, 805단계에서 공지된 IMS APN이 아닌 APN(예: VoLTE를 위해 마련된 것이 아닌 APN)에 대해 설정된 PDN 연결을 이용하여 IMS 430과의 음성 세션을 개시한다.
기지국 103은 810단계에서 핸드오버 측정 결과를 기반으로 전자장치 116에 대해 SRVCC가 필요함을 결정할 수 있고, 이 경우 기지국 103은 815단계에서 MME 410으로 핸드오버 필요 메시지(handover required message)를 전송한다. 핸드오버 필요 메시지는 SRVCC 지표로써, SRVCC 핸드오버가 필요함을 나타내는 SRVCC HO 표시를 포함한다.
MME 410은 820단계에서 전자 장치 116이 공지된 IMS APN을 위해 설정된 PDN 연결에 대해 활성 상태의 QCI-1 베어러를 갖고 있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만약 PDN 연결이 공지된 IMS APN에 대한 것이 아닌 경우, MME 410은 SRVCC 요청 적용이 불가능함을 결정한다. 대신에, MME 410은 PS 도메인에 대해서만 핸드오버 절차를 실행한다.
825단계에서 MME 410은 타겟 무선 시스템에 대한 QCI-1만을 포함하는 PS 도메인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음성 세션에 대한 QCI-1 베어러는 2G/3G RAT의 PS 도메으로 핸드오버된다.
도 8b는 본 개시에 따른 APN-기반의 MME 제어(APN-based MME control)를 위한 다른 흐름도 850을 도시한다. 특정 실시 예에서, SRVCC가 유효하지 않은 경우, MME 410은 기지국으로 핸드오버 준비 실패 메시지를 전송하여 SRVCC 핸드오버를 거절한다.
도 8b의 실시 예는 도 8a의 805단계 내지 815단계와 동일한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8b의 855단계 내지 865단계는 도 8a의 805단계 내지 815단계와 동일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 116의 WIC는 855단계에서 공지되지 않은 IMS APN을 위해 설정된 PDN 연결을 이용하여 IMS 430과의 음성 세션을 개시한다. 기지국 103은 860단계에서 핸드오버 측정 결과를 기반으로, 전자 장치 116에 대한 SRVCC가 필요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기지국 103은 전자 장치 116에 대한 SRVCC가 필요한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865단계에서 MME 410으로 핸드오버 필요 메시지를 전송한다. 핸드오버 필요 메시지는 SRVCC 지표로써, SRVCC 핸드오버가 필요함을 나타내는 SRVCC HO 표시를 포함한다.
870단계에서, MME 410은 전자 장치 116이 공지된 IMS APN을 위해 설정된 PDN 연결에 대해 활성화된 QCI-1 베어러를 가지고 있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PDN 연결이 공지된 IMS APN에 대한 것이 아닌 경우, MME 410은 SRVCC 요청 적용이 불가능함을 결정하고, 875단계에서 핸드오버 준비 실패 메시지를 기지국 103으로 전송한다. 이때 핸드오버 준비 실패 메시지는 SRVCC 핸드오버가 실패된 원인을 나타내는 원인 값(cause value)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핸드오버 준비 실패 메시지는 "사용 불가능한 셀", 또는 "사용 불가능한 무선 자원" 또는 SRVCC 핸드오버가 허용되지 않음을 나타내는 새로운 원인 값 등과 같은, 현재 사용되는 원인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MME 410은 기지국 103이 핸드오버를 즉시 재시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원인 값을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MME 410은 기지국 103으로 SRVCC 핸드오버가 허용되지 않음을 알리기 위한 새로운 원인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지국 103은 해당 세션에 대해서 더 이상 SRVCC 핸드오버를 시도하지 않을 것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APN-기반의 명시적 표시(APN-based explicit indication)에 의한 SRVCC 핸드오버를 처리하기 위한 흐름도 900을 도시한다.
특정 실시 예에서, MME 410은 PDC 연결을 기반으로 SRVCC 에 대한 QCI-1 활성화가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기지국 103으로 QCI-1 베어러에 대한 SRVCC가 적용 가능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신호를 전송한다.
전자 장치 116의 WIC는 WebRTC를 통한 음성 세션을 설정할 때, 905단계에서 IMS 430과의 음성 세션을 개시한다. 해당 음성 세션에 대한 EPS 베어러를 설정할 때, IMS 430은 910단계에서 PCRF 420으로 해당 세션이 QCI-1과 같은 음성 세션의 서비스 품질(QoS)을 요구함을 나타내는 신호를 전송다.
915단계에서, PCRF 420은 네트워크 정책을 기반으로, P-GW 415에 대해 QCI-1을 갖는 새로운 전용 베어러 설정을 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CRF 420은 QCI-1을 갖는 새로운 전용 베어러 설정을 명령하는 메시지를 P-GW 415로 전송할 수 있다. 920단계에서, P-GW 415는 QCI-1을 갖는 새로운 베어러 설정 명령 메시지를 MME 410으로 전달한다.
925단계에서, MME 410은 새로운 QCI-1 베어러가 공지된 IMS APN을 이용하는 PDN 연결을 위해 설정되었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PDN 연결이 공지된 IMS APN에 한 것이 아닌 경우, MME 410은 SRVCC 요청 적용이 불가능한 것으로 결정한다.
930단계에서, MME 410은 새로운 베어러에 대한 S1-어플리케이션 프로토콜(Application Protocol, AP) 베어러 설정 요청 메시지에 "SRVCC 금지 표시(예: SRVCC 불가능 표시)"를 포함시켜 기지국 103으로 전송한다. 실시 예에 따라 MME 410은 도 7의 735단계와 유사하게, SRVCC 가능 여부를 나타내는 표시를 포함하는 S1-AP 메시지를 기지국 103으로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 103은 베어러 설정 요청 메시지 또는 SRVCC "불가능" 표시를 포함하는 S1-AP 메시지를 기반으로, 해당 QCI-1 베어러에 SVRCC의 적용이 불가능함을 확인 또는 결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노드의 동작 방법은, 전자 장치와 IMS 사이의 음성 세션이 상기 전자 장치의 WebRTC와 관련된 프로그램(혹은 WebRTC 클라이언트)에 의해 개시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 상기 음성 세션이 상기 전자 장치의 WebRTC과 관련된 프로그램에 의해 개시되었는지 여부를 기반으로, 상기 음성 세션에 대해 SRVCC 핸드오버 적용이 가능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전자 장치의 서빙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 노드는 MME 41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성 세션에 대해 SRVCC 핸드오버 적용이 가능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전자 장치의 서빙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과정은, 상기 음성 세션이 상기 전자 장치의 WebRTC과 관련된 프로그램에 의해 개시된 경우,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 상기 음성 세션에 대한 SRVCC 핸드오버 적용이 불가능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 및/혹은 상기 음성 세션이 상기 전자 장치의 WebRTC과 관련되지 않은 프로그램에 의해 개시된 경우,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 상기 음성 세션에 대한 SRVCC 핸드오버 적용이 가능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동작 방법은, 상기 음성 세션이 상기 전자 장치의 WebRTC과 관련된 프로그램에 의해 개시된 경우,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SRVCC 핸드오버 적용이 불가능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동작 방법은 상기 IMS의 서버로부터, RVCC 금지 표시와 품질 제어 지표(Quality Control Indicator, QCI)-1, 또는 SRVCC 적용이 불가능함을 나타내기 위해 미리 정의된 새로운 QCI 값을 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동작 방법은 홈 가입자 서버(HSS: Home Subscriber Server)로부터, 상기 전자 장치에 대한 SRVCC 능력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및 상기 수신된 SRVCC 능력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음성 세션에 대한 SRVCC 핸드오버 적용 가능 여부에 대한 정보를 갱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동작 방법은 상기 음성 세션이 상기 전자 장치의 WebRTC과 관련된 프로그램에 의해 개시된 경우,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전자 장치의 음성 세션에 대한 SRVCC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음성 세션이 공지된 APN에 대한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 상기 음성 세션이 공지된 APN에 대한 것이 아닌 경우, 패킷 교환(PS: Packet Switched) 핸드오버를 수행하거나,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 핸드오버 실패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동작 방법은 상기 음성 세션이 상기 전자 장치의 WebRTC과 관련된 프로그램에 의해 개시된 경우,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로부터 베어러 설정 명령을 수신하는 과정, 상기 음성 세션이 공지된 APN에 대한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 및 상기 음성 세션이 공지된 APN에 대한 것이 아닌 경우,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 SRVCC 금지 표시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SRVCC 금지 표시를 포함하는 메시지는, 베어러 설정 요청 메시지, 혹은 S1 어플리케이션 프로토콜 메시지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노드의 장치는, 송수신기;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전자 장치와 IMS(IP Multimedia Subsystem) 사이의 음성 세션이 상기 전자 장치의 WebRTC과 관련된 프로그램에 의해 개시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음성 세션이 상기 전자 장치의 WebRTC과 관련된 프로그램에 의해 개시되었는지 여부를 기반으로, 상기 음성 세션에 대해 SRVCC 핸드오버 적용이 가능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전자 장치의 서빙 기지국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 노드는 MME 410일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음성 세션에 대해 SRVCC 핸드오버 적용이 가능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전자 장치의 서빙 기지국으로 전송하고, 상기 음성 세션이 상기 전자 장치의 WebRTC과 관련된 프로그램에 의해 개시된 경우,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 상기 음성 세션에 대한 SRVCC 핸드오버 적용이 불가능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음성 세션이 상기 전자 장치의 WebRTC과 관련되지 않은 프로그램에 의해 개시된 경우,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 상기 음성 세션에 대한 SRVCC 핸드오버 적용이 가능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전송하도록 상기 송수신기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음성 세션이 상기 전자 장치의 WebRTC과 관련된 프로그램에 의해 개시된 경우,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SRVCC 핸드오버 적용이 불가능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도록 상기 송수신기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IMS의 서버로부터, RVCC 금지 표시와 품질 제어 지표(Quality Control Indicator, QCI)-1, 또는 SRVCC 적용이 불가능함을 나타내기 위해 미리 정의된 새로운 QCI 값을 수신하도록 상기 송수신기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홈 가입자 서버(HSS: Home Subscriber Server)로부터, 상기 전자 장치에 대한 SRVCC 능력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SRVCC 능력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음성 세션에 대한 SRVCC 핸드오버 적용 가능 여부에 대한 정보를 갱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음성 세션이 상기 전자 장치의 WebRTC과 관련된 프로그램에 의해 개시된 경우,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전자 장치의 음성 세션에 대한 SRVCC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음성 세션이 공지된 APN에 대한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음성 세션이 공지된 APN에 대한 것이 아닌 경우, 패킷 교환(PS: Packet Switched) 핸드오버를 수행하거나,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 핸드오버 실패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음성 세션이 상기 전자 장치의 WebRTC과 관련된 프로그램에 의해 개시된 경우,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로부터 베어러 설정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음성 세션이 공지된 APN에 대한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음성 세션이 공지된 APN에 대한 것이 아닌 경우,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 SRVCC 금지 표시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SRVCC 금지 표시를 포함하는 메시지는, 베어러 설정 요청 메시지, 혹은 S1 어플리케이션 프로토콜 메시지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IMS와의 음성 세션 설정 시도를 감지하는 과정, 상기 음성 세션 설정이, WebRTC와 관련된 프로그램에 의해 시도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 및 상기 음성 세션 설정이, 상기 WebRTC와 관련된 프로그램에 의해 시도되는지 여부를 기반으로, 상기 음성 세션에 대해 SRVCC 핸드오버 적용이 가능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네트워크 노드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성 세션에 대해 SRVCC 핸드오버 적용이 가능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네트워크 노드로 전송하는 과정은, 상기 음성 세션 설정이 상기 WebRTC과 관련된 프로그램에 의해 시도되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 노드로 상기 음성 세션에 대한 SRVCC 핸드오버 적용이 불가능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음성 세션 설정이 상기 WebRTC과 관련되지 않은 프로그램에 의해 시도되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 노드로 상기 음성 세션에 대한 SRVCC 핸드오버 적용이 가능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자 장치는, WebRTC에 기초하여 IMS와의 음성 세션을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제1 프로그램; 상기 IMS와 음성 세션을 설정하도록 구성된 제2 프로그램;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음성 세션을 개시하는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상기 음성 세션에 대해 SRVCC 핸드오버 적용이 가능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네트워크 노드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음성 세션 설정이 상기 WebRTC과 관련된 프로그램에 의해 시도되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 노드로 상기 음성 세션에 대한 SRVCC 핸드오버 적용이 불가능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음성 세션 설정이 상기 WebRTC과 관련되지 않은 프로그램에 의해 시도되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 노드로 상기 음성 세션에 대한 SRVCC 핸드오버 적용이 가능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동작 방법은 전자 장치와 네트워크 노드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전자 장치와 IMS 사이의 음성 세션에 대한 SRVCC 핸드오버 적용이 가능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및 상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음성 세션에 대한 SRVCC 핸드오버 트리거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장치는 송수신기,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전자 장치와 네트워크 노드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전자 장치와 IMS 사이의 음성 세션에 대한 SRVCC 핸드오버 적용이 가능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음성 세션에 대한 SRVCC 핸드오버 트리거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는 실시 예들을 이용하여 설명되었으나, 상술한 실시 예들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화 및 변경될 수 있다. 본 개시는 첨부된 청구 범위의 범위 내에 속하는 이러한 변화 및 변경을 모두 포함하도록 의도되었다.

Claims (20)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노드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전자 장치와 IMS(IP Multimedia Subsystem) 사이의 음성 세션이 상기 전자 장치의 웹 실시간 통신(Web Real Time Communication, WebRTC)과 관련된 프로그램에 의해 개시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 및
    상기 음성 세션이 상기 전자 장치의 WebRTC과 관련된 프로그램에 의해 개시되었는지 여부를 기반으로, 상기 음성 세션에 대해 단일 무선 음성 호 연속성(Single Radio Voice Call Continuity, SRVCC) 핸드오버 적용이 가능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전자 장치의 서빙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음성 세션에 대해 SRVCC 핸드오버 적용이 가능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전자 장치의 서빙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과정은,
    상기 음성 세션이 상기 전자 장치의 WebRTC과 관련된 프로그램에 의해 개시된 경우,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 상기 음성 세션에 대한 SRVCC 핸드오버 적용이 불가능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음성 세션이 상기 전자 장치의 WebRTC과 관련되지 않은 프로그램에 의해 개시된 경우,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 상기 음성 세션에 대한 SRVCC 핸드오버 적용이 가능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음성 세션이 상기 전자 장치의 WebRTC과 관련된 프로그램에 의해 개시된 경우,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SRVCC 핸드오버 적용이 불가능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IMS의 서버로부터, RVCC 금지 표시와 품질 제어 지표(Quality Control Indicator, QCI)-1, 또는 SRVCC 적용이 불가능함을 나타내기 위해 미리 정의된 새로운 QCI 값을 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홈 가입자 서버(HSS: Home Subscriber Server)로부터, 상기 전자 장치에 대한 SRVCC 능력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수신된 SRVCC 능력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음성 세션에 대한 SRVCC 핸드오버 적용 가능 여부에 대한 정보를 갱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음성 세션이 상기 전자 장치의 WebRTC과 관련된 프로그램에 의해 개시된 경우,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전자 장치의 음성 세션에 대한 SRVCC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음성 세션이 공지된 APN에 대한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
    상기 음성 세션이 공지된 APN에 대한 것이 아닌 경우, 패킷 교환(PS: Packet Switched) 핸드오버를 수행하거나,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 핸드오버 실패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음성 세션이 상기 전자 장치의 WebRTC과 관련된 프로그램에 의해 개시된 경우,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로부터 베어러 설정 명령을 수신하는 과정;
    상기 음성 세션이 공지된 APN에 대한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 및
    상기 음성 세션이 공지된 APN에 대한 것이 아닌 경우,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 SRVCC 금지 표시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며,
    상기 SRVCC 금지 표시를 포함하는 메시지는, 베어러 설정 요청 메시지, 혹은 S1 어플리케이션 프로토콜 메시지인 방법.
  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노드의 장치에 있어서,
    송수신기;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전자 장치와 IMS(IP Multimedia Subsystem) 사이의 음성 세션이 상기 전자 장치의 웹 실시간 통신(Web Real Time Communication, WebRTC)과 관련된 프로그램에 의해 개시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음성 세션이 상기 전자 장치의 WebRTC과 관련된 프로그램에 의해 개시되었는지 여부를 기반으로, 상기 음성 세션에 대해 단일 무선 음성 호 연속성(Single Radio Voice Call Continuity, SRVCC) 핸드오버 적용이 가능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전자 장치의 서빙 기지국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음성 세션에 대해 SRVCC 핸드오버 적용이 가능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전자 장치의 서빙 기지국으로 전송하고, 상기 음성 세션이 상기 전자 장치의 WebRTC과 관련된 프로그램에 의해 개시된 경우,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 상기 음성 세션에 대한 SRVCC 핸드오버 적용이 불가능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음성 세션이 상기 전자 장치의 WebRTC과 관련되지 않은 프로그램에 의해 개시된 경우,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 상기 음성 세션에 대한 SRVCC 핸드오버 적용이 가능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전송하도록 상기 송수신기를 제어하는 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음성 세션이 상기 전자 장치의 WebRTC과 관련된 프로그램에 의해 개시된 경우,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SRVCC 핸드오버 적용이 불가능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도록 상기 송수신기를 제어하는 장치.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IMS의 서버로부터, RVCC 금지 표시와 품질 제어 지표(Quality Control Indicator, QCI)-1, 또는 SRVCC 적용이 불가능함을 나타내기 위해 미리 정의된 새로운 QCI 값을 수신하도록 상기 송수신기를 제어하는 장치.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홈 가입자 서버(HSS: Home Subscriber Server)로부터, 상기 전자 장치에 대한 SRVCC 능력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SRVCC 능력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음성 세션에 대한 SRVCC 핸드오버 적용 가능 여부에 대한 정보를 갱신하도록 제어하는 장치.
  13.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음성 세션이 상기 전자 장치의 WebRTC과 관련된 프로그램에 의해 개시된 경우,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전자 장치의 음성 세션에 대한 SRVCC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음성 세션이 공지된 APN에 대한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음성 세션이 공지된 APN에 대한 것이 아닌 경우, 패킷 교환(PS: Packet Switched) 핸드오버를 수행하거나,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 핸드오버 실패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장치.
  14.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음성 세션이 상기 전자 장치의 WebRTC과 관련된 프로그램에 의해 개시된 경우,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로부터 베어러 설정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음성 세션이 공지된 APN에 대한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음성 세션이 공지된 APN에 대한 것이 아닌 경우,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 SRVCC 금지 표시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SRVCC 금지 표시를 포함하는 메시지는, 베어러 설정 요청 메시지, 혹은 S1 어플리케이션 프로토콜 메시지인 장치.
  15.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IP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IP Multimedia Subsystem, IMS)와의 음성 세션 설정 시도를 감지하는 과정;
    상기 음성 세션 설정이, 웹 실시간 통신(Web Real Time Communication, WebRTC)과 관련된 프로그램에 의해 시도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 및
    상기 음성 세션 설정이, 상기 WebRTC와 관련된 프로그램에 의해 시도되는지 여부를 기반으로, 상기 음성 세션에 대해 단일 무선 음성 호 연속성(Single Radio Voice Call Continuity, SRVCC) 핸드오버 적용이 가능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네트워크 노드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음성 세션에 대해 SRVCC 핸드오버 적용이 가능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네트워크 노드로 전송하는 과정은,
    상기 음성 세션 설정이 상기 WebRTC과 관련된 프로그램에 의해 시도되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 노드로 상기 음성 세션에 대한 SRVCC 핸드오버 적용이 불가능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음성 세션 설정이 상기 WebRTC과 관련되지 않은 프로그램에 의해 시도되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 노드로 상기 음성 세션에 대한 SRVCC 핸드오버 적용이 가능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17.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자 장치에 있어서,
    웹 실시간 통신(Web Real Time Communication, WebRTC)에 기초하여 IP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IP Multimedia Subsystem, IMS)과의 음성 세션을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제1 프로그램;
    상기 IMS와 음성 세션을 설정하도록 구성된 제2 프로그램;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음성 세션을 개시하는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상기 음성 세션에 대해 단일 무선 음성 호 연속성(Single Radio Voice Call Continuity, SRVCC) 핸드오버 적용이 가능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네트워크 노드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장치.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음성 세션 설정이 상기 WebRTC과 관련된 프로그램에 의해 시도되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 노드로 상기 음성 세션에 대한 SRVCC 핸드오버 적용이 불가능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음성 세션 설정이 상기 WebRTC과 관련되지 않은 프로그램에 의해 시도되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 노드로 상기 음성 세션에 대한 SRVCC 핸드오버 적용이 가능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전자 장치.
  19.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전자 장치와 네트워크 노드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전자 장치와 IP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IP Multimedia Subsystem, IMS) 사이의 음성 세션에 대한 단일 무선 음성 호 연속성(Single Radio Voice Call Continuity, SRVCC) 핸드오버 적용이 가능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및
    상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음성 세션에 대한 SRVCC 핸드오버 트리거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20.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장치에 있어서,
    송수신기;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전자 장치와 네트워크 노드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전자 장치와 IP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IP Multimedia Subsystem, IMS) 사이의 음성 세션에 대한 단일 무선 음성 호 연속성(Single Radio Voice Call Continuity, SRVCC) 핸드오버 적용이 가능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음성 세션에 대한 SRVCC 핸드오버 트리거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KR1020150139629A 2014-11-10 2015-10-05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20656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580054922.3A CN106797594B (zh) 2014-11-10 2015-11-10 用于处理单无线电语音呼叫连续性切换的设备和方法
EP15858774.1A EP3219148B1 (en) 2014-11-10 2015-11-10 Apparatus and method for handling single radio voice call continuity handover
PCT/KR2015/012022 WO2016076591A1 (en) 2014-11-10 2015-11-10 Apparatus and method for handling single radio voice call continuity handov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2077788P 2014-11-10 2014-11-10
US62/077,788 2014-11-10
US201562138839P 2015-03-26 2015-03-26
US62/138,839 2015-03-26
US14/743,747 US20160135093A1 (en) 2014-11-10 2015-06-18 Apparatus and method for handling single radio voice call continuity handover
US14/743,747 2015-06-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5683A true KR20160055683A (ko) 2016-05-18
KR102065690B1 KR102065690B1 (ko) 2020-01-13

Family

ID=55913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9629A KR102065690B1 (ko) 2014-11-10 2015-10-05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처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60135093A1 (ko)
EP (1) EP3219148B1 (ko)
KR (1) KR102065690B1 (ko)
CN (1) CN10679759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64674B1 (en) * 2015-11-06 2019-10-09 Huawei Technologies Co., Ltd. Voice roaming method, mobility management network element, and access network element
WO2017152387A1 (zh) * 2016-03-09 2017-09-14 华为技术有限公司 语音业务处理方法和装置
US10278100B1 (en) * 2016-03-16 2019-04-30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Long term evolution (LTE) 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 management of an internet protocol multimedia subsystem (IMS) media session service level for a user equipment (UE)
CN109688610B (zh) * 2017-10-18 2021-06-08 中国移动通信集团重庆有限公司 单待语音连续业务的切换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09951879B (zh) * 2017-12-21 2021-04-23 中国移动通信集团设计院有限公司 一种esrvcc切换准备阶段的惩罚方法及演进基站
WO2019140646A1 (zh) * 2018-01-19 2019-07-2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切换处理方法、网络设备、ue及计算机存储介质
CN110225558B (zh) * 2018-03-02 2021-07-09 中国移动通信集团设计院有限公司 跨区域通话处理方法、MME、HSS和eMSC
WO2019196012A1 (en) * 2018-04-10 2019-10-17 Zte Corporation Single radio voice call continuity for 5g wireless networks
US11122533B2 (en) 2018-10-29 2021-09-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user equipment for handling dual registr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115877B2 (en) 2019-04-01 2021-09-07 T-Mobile Usa, Inc. Communication fallback in 5G systems and methods
US11792694B2 (en) * 2020-05-29 2023-10-17 T-Mobile Usa, Inc. Packet-switched to circuit-switched handover during VOIP call initiation
US11621982B1 (en) 2021-07-23 2023-04-04 T-Mobile Usa, Inc. Seamless voice call initiation
US11824904B1 (en) 2022-11-18 2023-11-21 T-Mobile Usa, Inc. Verifying delivery of rich call data object to a terminating wireless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71391A1 (en) * 2012-11-05 2014-05-08 Genesys Telecommunications Laborator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web-based real time communication with contact center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80681B1 (en) * 2008-04-01 2022-03-16 Wireless Future Technologies Inc. Method and entities for inter-domain handover
US20090268722A1 (en) * 2008-04-29 2009-10-29 Gallagher Michael D User Equipment and System Architecture for Voice over Long Term Evolution via Generic Access
US8964691B2 (en) * 2008-08-18 2015-02-24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technology handoff of a user equipment
GB2467915B (en) * 2009-02-18 2012-05-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munication method for voice calls
CN101959269B (zh) * 2009-07-15 2013-04-2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切换方法和装置
EP2625875B1 (en) * 2010-10-05 2018-01-24 Nokia Technologies Oy Single radio voice call continuity for emergency callback or click-to-dial sessions
JP5655958B2 (ja) * 2011-01-19 2015-01-21 ▲ホア▼▲ウェイ▼技術有限公司 ハンドオーバ方法およびモビリティ管理ネットワーク要素
US9723030B2 (en) * 2011-10-04 2017-08-01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device for indicating VoLTE capability
US9668166B2 (en) * 2013-02-05 2017-05-30 Qualcomm Incorporated Quality of service for web client based sessions
AU2015218697B2 (en) * 2014-02-24 2018-03-01 Apple Inc. Circuit switched fallback
US9294337B2 (en) * 2014-03-26 2016-03-22 Sonus Network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integrating independent IMS and WebRTC network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71391A1 (en) * 2012-11-05 2014-05-08 Genesys Telecommunications Laborator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web-based real time communication with contact center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TR 23.701, 2013.12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135093A1 (en) 2016-05-12
CN106797594B (zh) 2020-07-14
CN106797594A (zh) 2017-05-31
EP3219148A1 (en) 2017-09-20
EP3219148B1 (en) 2020-08-12
KR102065690B1 (ko) 2020-01-13
EP3219148A4 (en) 2018-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5690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처리 장치 및 방법
JP2018007283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多重優先順位制御方法及び装置
EP3758327B1 (en) Ims emergency call routing techniques
US20210099943A1 (en) Method and Function for Handling Traffic for an Application
EP3001735B1 (en) Service offloading method and base station
US1191048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E reporting for multi-USIM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3827616B1 (en) Transferring a data connection to a radio access network
JP7135122B2 (ja) リダイレクション方法、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装置
EP3531782B1 (en) Information sending method, device and system
CN116671085A (zh) 从测量报告中删除不支持新无线电语音的新无线电小区的装置和方法
US9942689B2 (en)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for managing information in a smart storage device
US20120157071A1 (en) Local circuit switched fallback cancellation mechanism
WO2020168467A1 (en) Terminal and method for performing a group communication
JP2020061732A (ja) ハンドオーバーでのアップリンクベアラーバインディング
KR20200018139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CN111512692A (zh) 选择非3gpp接入节点以支持到5g核心网的ims服务
WO201607659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andling single radio voice call continuity handover
EP4218313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a mobile terminating user equipment connecting to a fallback network
TW201929591A (zh) 處理系統重新定向程序的裝置及方法
EP3972142B1 (en) Policy control function fallback
EP4055792B1 (en) Proxy-call session control function (p-cscf) to p-cscf communication
EP4181549A1 (en)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communication device, and storage medium
KR20240044508A (ko) 세션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