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5637A - Liquid crystal removable sheet and the fabrication method - Google Patents

Liquid crystal removable sheet and the fabrication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5637A
KR20160055637A KR1020140155700A KR20140155700A KR20160055637A KR 20160055637 A KR20160055637 A KR 20160055637A KR 1020140155700 A KR1020140155700 A KR 1020140155700A KR 20140155700 A KR20140155700 A KR 20140155700A KR 20160055637 A KR20160055637 A KR 201600556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layer
pattern
bezel
pri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570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47004B1 (en
Inventor
김영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맥스젠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맥스젠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맥스젠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1401557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7004B1/en
Publication of KR20160055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563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70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700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00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 B32B17/10018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comprising only one glass she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formed with recesses or projections, e.g. hollows, grooves, protuberances, r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14Printing or colouring
    • B32B38/145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Landscapes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movable sheet for liquid crystal protection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movable sheet for liquid crystal protection that is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a liquid crystal of a smartphone or the like by a user so that the liquid crystal can be protected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The removable sheet for liquid crystal prot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inforced glass; a transparent printing layer printed with a transparent ink, the transparent printing layer including a line pattern region and a recessed groove pattern region, the line pattern region being printed in a bezel region in the middle of a lower surface of the reinforced glass, the recessed groove pattern region being printed in a central region of the bezel region in the middl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reinforced glass, and a recessed groove pattern being formed in the recessed groove pattern region; a bezel printing layer coupled with the line pattern region, printed in a lower surface of the bezel region of the reinforced glass, and printed with an ink of certain color; and a removal tape. The removal tape includes: an OCA layer attached to cover the recessed groove pattern region and the bezel printing layer and a film layer coupled with the OCA layer and formed by the use of a light-transmitting material; and an adhesive layer coupled with the film layer.

Description

액정보호용 탈부착 시트 및 그 제조 방법{LIQUID CRYSTAL REMOVABLE SHEET AND THE FABRICATION METHOD}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tachable sheet for protecting liquid crystal,

본 발명은 액정보호용 탈부착 시트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에 의해 스마트폰과 같은 액정에 탈부착되어 액정을 보호하기 위한 액정보호용 탈부착 시트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tachable sheet for protecting liquid crystal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tachable sheet for protecting liquid crystal, which is detachably attached to a liquid crystal such as a smart phone by a user to protect the liquid crystal.

최근, 스마트폰이 대중화되면서, 스마트폰에 장착되는 악세사리 용품이 늘고 있다.Recently, smartphones have become popular, and accessories for smartphones are increasing.

이와 같은 스마트폰에 장착되는 악세사리 용품 가운데 스마트폰의 액정을 보호하기 위한 액정보호용 탈부착 시트가 판매되고 있다.Among these accessory items to be mounted on the smart phone, a detachable sheet for protecting the LCD for protecting the liquid crystal of the smart phone is sold.

이 경우, 종래 스마트폰의 액정을 보호하기 위한 액정보호용 탈부착 시트는 주로 필름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스마트폰의 액정에 부착되어 액정을 보호하게 된다.In this case, the liquid crystal protection detachable sheet for protecting the liquid crystal of the conventional smart phone is mainly made of a film material, and is attached to the liquid crystal of the smartphone to protect the liquid crystal.

하지만, 필름재질의 액정보호용 시트는 일발적인 사용자가 부착시에 연성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액정면과 필름사이에 기포가 발생되어 미관상으로 보기 좋지 않은 문제점을 유발하며, 나아가, 필름재질의 액정보호용 시트는 보통 수지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스크래치등에 의해 쉽게 손상되는 문제점을 유발하고 있다.However, since the liquid crystal protective sheet made of a film is made of a soft material at the time of attaching a user, air bubbles are generated between the liquid crystal surface and the film, which causes problems in appearance. Is usually made of a resin material, so that it is easily damaged by scratches or the like.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 액정보호용 시트의 선행기술1로써,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4-0065155호인 터치 스크린 패널 보호용 시트 및 그 제조 방법에서는 터치 스크린 패널 형상의 강화 유리층 하단의 디스플레이 표시단말기의 화면 표시영역과 베젤 영역 각각에 잉크젯 프린팅 공정을 통해 투명도를 달리하는 인쇄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인쇄층 하단에 실크 스크린 공정 또는 몰딩 공정을 통해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접착층 하단에 실크 스크린 공정 또는 몰딩 공정을 통해 점착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강화 유리층 상단 및 상기 점착층 하단에 각각 보호용 보호필름과 이형필름을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서, 충진층을 형성하기 위한 별도의 공정 추가 없이 한 번의 잉크젯 프린팅 공정을 통해 강화 유리층 하단의 베젤영역과 화면 표시영역 각각에 컬러가 인쇄된 인쇄층과 투명 인쇄층을 연속 하여 형성함으로써, 인쇄층에 의한 단차를 제거하여 기포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충진층 형성을 위한 공정을 삭제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생산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하고 있다.As a prior art 1 of the conventional liquid crystal protection sheet for solving such a problem,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4-0065155 discloses a sheet for protecting a touch screen panel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in which a touch screen panel- Forming a printing layer having different transparency through an ink-jet printing process on each of the screen display area and the bezel area; Forming an adhesive layer on the lower end of the print layer through a silk screen process or a molding process; Forming an adhesive layer on the lower end of the adhesive layer through a silk screen process or a molding process; And a step of attaching a protection film and a release film to the upper end of the reinforcing glass layer and the lower end of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generation of bubbles by removing the stepped portion by the printing layer by continuously forming the printing layer and the transparent printing layer printed with the color in the bezel region and the screen display region respectively, As a result, the production yield can be improved.

이와 같은 종래 선행기술1은 전술한 필름형이 아닌, 강화 유리에 점착층이 형성된 필름을 부착함으로써, 스크래치등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이점을 제공하여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있다.Such prior art 1 solves the above-mentioned problems by providing an advantage that scratches or the like are not generated by attaching a film having an adhesive layer formed thereon to the tempered glass instead of the film type described above.

한편, 종래 선행기술1은 단순히 강화유리를 제공하여 스크래치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것뿐만 아니라, 강화유리의 하부면 가운데 베젤 영역에 인쇄층(선행기술1에서 도 5의 도면 부호 505)을 형성하고 있다. Conventional Prior Art 1 not only provides a tempered glass to prevent scratches, but also forms a printed layer (reference numeral 505 in Fig. 5 in Prior Art 1) in the bezel region in the lower side of the tempered glass.

이 경우, 베젤영역의 인쇄층(선행기술1에서 도 5의 도면 부호 505)은 일정 두께를 가지고 돌출되어 형성되기 때문에, 인쇄층(선행기술1에서 도 5의 도면 부호 505)이 형성되지 않은 중앙영역에는 단차가 형성되어 액정에 부착시에 단차가 형성된 공간에 의해 시트와 액정 사이에 기포가 유발된다.In this case, since the printing layer in the bezel region (reference numeral 505 in Fig. 5 in the prior art 1) is protruded and formed with a certain thickness, the printing layer (reference numeral 505 in Fig. 5 in the prior art 1) A step is formed in the region, and a space in which a step is formed when adhering to the liquid crystal causes bubbles between the sheet and the liquid crystal.

이를 위하여 선행기술1은 인쇄층이 형성되지 않은 강화유리의 중앙영역에 투명인쇄층(선행기술1에서 도 5의 도면 부호 505)을 형성하여 단차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To this end, the prior art 1 prevents a step from being formed by forming a transparent print layer (reference numeral 505 in FIG. 5 in the prior art 1)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tempered glass where no print layer is formed.

즉, 선행기술1은 강화유리의 베젤영역에 색상을 더하기 위하여 색상이 더해진 인쇄층(선행기술1에서 도 5의 도면 부호 505)을 형성하고, 이러한 인쇄층(선행기술1에서 도 5의 도면 부호 505)에 의해 중앙영역에 단차가 발생하기 때문에, 중앙영역에 투명 인쇄층(선행기술1에서 도 5의 도면 부호 510)을 인쇄하는 2도 인쇄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That is, Prior Art 1 forms a printing layer (reference numeral 505 in FIG. 5 in Prior Art 1) added with a color to add color to the bezel region of the tempered glass, and this printing layer 505), a two-dimensional printing method is adopted in which a transparent printing layer (reference numeral 510 in FIG. 5 in the prior art 1) is printed in the central area.

이와 같이, 베젤영역에 인쇄층(선행기술1에서 도 5의 도면 부호 505)을 형성하고, 중앙영역에 투명인쇄층(선행기술1에서 도 5의 도면 부호 510)을 형성하는 2도 인쇄 방식은 베젤영역에 인쇄층(선행기술1에서 도 5의 도면 부호 505)을 1도 인쇄 이후에, 중앙영역에 투명 인쇄층(선행기술1에서 도 5의 도면 부호 510)을 2도 인쇄해야 하는데, 2도 인쇄를 하기 전에 실제 중앙영역의 빈공간 보다 인쇄될 투명인쇄층(선행기술1에서 도 5의 도면 부호 510)이 적은 영역을 차지하도록 베젤영역과 중앙영역에 갭을 형성하여 투명인쇄층(선행기술1에서 도 5의 도면 부호 510)을 인쇄하여야만 한다. 이 경우, 중앙영역과 베젤영역에 갭을 두고 투명인쇄층(선행기술1에서 도 5의 도면 부호 510)을 형성하지 않게 되면, 중앙영역의 투명인쇄층(선행기술1에서 도 5의 도면 부호 510)과 베젤영역의 인쇄층(선행기술1에서 도 5의 도면 부호 505)이 서로간에 중첩되는 구간이 발생하여 중첩되는 부위가 돌출되어 강화유리가 기기의 액정면에 들뜨는 현상이 발생되므로, 이는 불량 제품으로 폐기되어야만 한다.Thus, the 2-degree printing method in which a printing layer (reference numeral 505 in Fig. 5 in the prior art 1) is formed in the bezel region and a transparent printing layer (reference numeral 510 in Fig. 5 in the prior art 1) After printing the print layer (505 of FIG. 5 in FIG. 5 in the prior art 1) to the bezel area, the transparent print layer (510 in FIG. 5 in the prior art 1) A gap is formed in the bezel area and the center area so as to occupy an area where the transparent printing layer (reference numeral 510 in FIG. 5 in the prior art 1) to be printed is printed rather than the empty space in the actual center area before printing, 510 < / RTI > in FIG. 5). In this case, if a transparent printing layer (reference numeral 510 in FIG. 5 in the prior art 1) is not formed with a gap in the center area and the bezel area, the transparent printing layer in the center area (reference numeral 510 ) And the printed layer of the bezel region (the reference numeral 505 of FIG. 5 in the prior art 1)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and the overlapping portions are protruded to cause the tempered glass to float on the liquid crystal surface of the device. It must be discarded as a product.

이와 같이, 중앙영역에 투명인쇄층(선행기술1에서 도 5의 도면 부호 510)을 인쇄하기 위해서는 베젤영역의 인쇄층(선행기술1에서 도 5의 도면 부호 505)과 갭이 형성되도록 실제 중앙영역보다 적은 영역으로 투명인쇄층(선행기술1에서 도 5의 도면 부호 510)이 인쇄되도록 설정한 상태에서, 중앙영역의 중심점을 측정하여 중심점을 기준으로 인쇄해야만 중영영역에 형성된 투명인쇄층(선행기술1에서 도 5의 도면 부호 510)과 베젤영역의 인쇄층(선행기술1에서 도 5의 도면 부호 505) 사이에 갭을 형성하여야만 한다.Thus, in order to print a transparent print layer (reference numeral 510 in FIG. 5 in the prior art 1) in the central region, the actual central region (not shown in FIG. 5) In the state in which the transparent printing layer (reference numeral 510 in Fig. 5 in the prior art 1) is printed in a smaller area, the center point of the center area is measured and printed on the basis of the center point, 1 to 5 in FIG. 5) and the print layer of the bezel region (prior art 1 to 505 in FIG. 5).

하지만, 현재, 중영영역의 중심점을 찾기 위해서는 지그를 이용하여 강화유를 고정한 상태에서 미세 측정기구를 이용하여 중심점을 찾아내야만 하는데, 이때, 미세 측정기구가 가지고 있는 편차 범위와, 강화유리를 지그에 맞물리는 경우에 강화유리와 지그 사이의 편차 범위 또는, 미세 가공방식으로 제조되는 강화유리의 제조시에 강화유리의 외곽 사이즈가 다르게 형성되는 자체적인 편차에 의해, 투명인쇄층(선행기술1에서 도 5의 도면 부호 510)과 베젤영역의 인쇄층(선행기술1에서 도 5의 도면 부호 505) 사이에 항상 일정한 갭이 형성되도록 하는 중심점을 찾아내는 작업은 불가능에 가까워, 이러한 방식으로 양산을 시행하는 경우에는 대부분의 제품에 불량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유발하게 된다.However, in order to find the center point of the mid-range, it is necessary to find the center point by using the fine measuring instrument while fixing the reinforcing oil by using the jig. At this time, the deviation range of the fine measuring instrument, Due to a deviation range between the tempered glass and the jig or a deviation in the outer size of the tempered glass produced when the tempered glass manufactured by the microfabrication method is differently formed, It is almost impossible to find a center point at which a constant gap is always formed between the print layer 510 in FIG. 5 and the print layer 505 in FIG. 5 in the bezel region. In this way, In this case, defects occur in most products.

즉, 선행기술1과 같이, 베젤영역에 인쇄층(선행기술1에서 도 5의 도면 부호 505)을 형성하고, 중앙영역에 투명인쇄층(선행기술1에서 도 5의 도면 부호 510)을 별도로 형성하는 2도 인쇄방식은 양산 체재에 적용될 수 없기 때문에, 양산을 하기 위해서는 다른 방식을 제안해야만 한다.That is, a print layer (reference numeral 505 in FIG. 5 in the prior art 1) is formed in the bezel area as in the prior art 1, and a transparent print layer (reference numeral 510 in FIG. 5 in the prior art 1) The second-degree printing method can not be applied to the mass-production format, so it is necessary to propose another method for mass production.

나아가, 선행기술1에서는 베젤영역에 인쇄층(선행기술1에서 도 5의 도면 부호 505)을 형성하고, 중앙영역에 투명인쇄층(선행기술1에서 도 5의 도면 부호 510)을 각각 형성하는 작업을 하기 때문에, 베젤영역에 인쇄층(선행기술1에서 도 5의 도면 부호 505)과, 중앙영역의 투명인쇄층(선행기술1에서 도 5의 도면 부호 510)을 형성시에 중앙영역의 투명인쇄층에 대한 도막 두께와 베젤영역의 인쇄층에 대한 도막 두께를 동일하게 구현해야만 한다.Furthermore, in the prior art 1, a print layer (reference numeral 505 in FIG. 5 in the prior art 1) is formed in the bezel region and an operation (in the prior art 1, the reference numeral 510 in FIG. 5) (The reference numeral 505 in Fig. 5 in the prior art 1) and the transparent printing layer in the center area (the reference numeral 510 in Fig. 5 in the prior art 1) are formed in the bezel area, The coating thickness for the layer and the coating thickness for the printing layer in the bezel region must be equalized.

만약, 중앙영역의 투명인쇄층에 대한 도막 두께와 베젤영역의 인쇄층에 대한 도막 두께를 동일하게 구현되지 않게 되고, 중앙영역에 기포가 발생되거나, 베젤영역이 액정에 밀착되지 않는 문제점을 유발하게 된다.If the coating thickness of the transparent printing layer in the central region is not equal to the coating thickness of the printing layer in the bezel region, bubbles are generated in the central region or the bezel region is not adhered to the liquid crystal do.

이 경우, 투명인쇄층을 인쇄하는 잉크와 베젤영역의 인쇄층을 인쇄하는 잉크는 색상이 가미되는 등의 원료 특성으로 인하여 점도가 서로 간에 다르게 형성된다. 이 때문에, 각각의 잉크 점도를 조절하지 않고, 투명인쇄층과 베젤영역의 인쇄층을 인쇄하는 경우에는 도막의 두께가 서로 간에 달라지기 때문에, 투명인쇄층의 도막 두께와 베젤영역 인쇄층의 도막 두께가 서로 간에 다르게 형성된다.In this case, the ink for printing the transparent print layer and the ink for printing the print layer in the bezel region are formed to have different viscositie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raw material such as coloring. Therefore, in the case of printing the print layer of the transparent print layer and the bezel region without adjusting the viscosity of each ink, the thickness of the coating film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refore, the thickness of the transparent print layer and the thickness Are formed differently from each other.

하지만, 잉크의 점도를 조절하여 투명인쇄층의 도막 두께와 베젤영역 인쇄층의 도막 두께를 조절하는 작업은 잉크의 특성을 변질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이는 인쇄불량으로 이어지는 문제점을 유발하며, 나아가, 잉크의 점도를 변경시키는 작업도 매우 어려운 작업이기 때문에, 이는 결국, 제조비용의 상승으로 이어지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However, adjusting the viscosity of the ink to adjust the coating thickness of the transparent printing layer and the coating thickness of the printing layer of the bezel area deteriorates the properties of the ink, which leads to a problem that leads to poor printing. Further, Since the work of changing the viscosity is also a very difficult task, this results in a problem that leads to an increase in the manufacturing cost.

한편, 최근에 출시되는 스마트폰 가운데 액정의 외곽영역에 둥근 모따기가 형성되는 형태의 스마트폰이 출시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a smartphone in which a round chamfer is formed in the outer area of the liquid crystal among the recently introduced smart phones is being released.

이와 같이 액정의 외곽영역에 둥근모따기가 형성된 스마트폰의 액정에 악세사리인 액정보호용 탈부착 시트를 부착시키는 경우에는 액정보호용 탈부착 시트와 액정의 둥근 모따기가 형성되는 부위에 갭이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갭에는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침투하여 스마트폰의 미관을 해치거나, 갭이 발생된 부위에 다른 물체가 걸려, 액정보호용 탈부착 시트가 스마트폰에서 분리되는등의 문제점을 유발하며, 특히, 액정보호용 탈부착 시트를 스마트폰의 액정에 부착시키는 경우에 부착면의 정확한 위치가 어느 지점인지에 대해 알 수 없어 액정보호용 탈부착 시트를 정확한 위치에 부착시킬 수 없는 문제점을 유발하게 된다.When a liquid crystal protection detachable sheet, which is an accessory, is attached to a liquid crystal of a smart phone having a round chamfer formed in the outer region of the liquid crystal, a gap is formed at a portion where the liquid crystal protection detachable sheet and the round chamfer of the liquid crystal are formed. A foreign matter such as dust is infiltrated and the aesthetic appearance of the smart phone is damaged or other objects are caught at the gap generated area, and the liquid crystal protection detachable sheet is separated from the smart phone. In particular, When attaching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o the liquid crystal of the smartphone, it is difficult to know the exact position of the attachment surface, which causes a problem that the liquid crystal protection detachable sheet can not be attached to the correct position.

이를 위하여 선행기술2인 대한민국 공개 특허 10-2014-0065155호(2014. 05. 29 공개)에서는 스마트폰의 액정에 외곽에 테두리가 곡면을 형성한 경우, 강화유리과 스마트폰의 곡면부가 형성된 액정 사이에 점착층(331)이 형성된 PET필름(332)을 부착하여 스마트폰의 곡면부가 형성된 액정과 액정보호용 플레이트 사이에 갭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For this purpose,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4-0065155 (published on Apr. 25, 2014) discloses a case where a curved surface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a liquid crystal of a smart phone, A PET film 332 having an adhesive layer 331 formed thereon is attached to prevent a gap from being generated between the liquid crystal and the liquid crystal protection plate in which the curved portion of the smartphone is formed.

이 경우, 종래 선행기술2에서는 베젤영역의 하부에 블랙이나 화이트등의 칼라가 형성된 인쇄층(310)을 형성하는 작업 이후에, 인쇄층(310)의 하부에 점착층(331)이 형성된 PET필름(332)을 부착하여 제조하게 된다.In this case, in the prior art 2, after the printing layer 310 in which the color such as black or white is formed on the lower part of the bezel area, a PET film 331 having an adhesive layer 331 formed under the printing layer 310 (332).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 선행기술2에서는 베젤영역의 하부에 인쇄층(310)을 형성하는 작업과, 인쇄층(310)의 하부에 점착층(331)이 형성된 PET필름(332)을 부착하는 작업이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제조비용을 상승시키는 요인이 된다.However, in the related art 2, the operation of forming the print layer 310 under the bezel area and the operation of attaching the PET film 332 having the adhesive layer 331 formed under the print layer 310 It is a factor that raises the manufacturing cost.

특히, 종래 선행기술2에서는 점착층(331)이 형성된 PET필름(332)은 그 폭이 0.3mm 내지 0.8mm 밖에 되지 않기 때문에, 점착층(331)이 형성된 PET필름(332)의 폭을 0.3mm 내지 0.8mm로 절단하는 작업 즉, 양면테이프를 1mm 이내로 절단하는 작업은 연질의 필름 특성상 절단시에 가공면이 변형되는 등의 문제점에 의해 많은 문제점을 유발하여 양산에는 적합하지 않고, 특히, 0.3mm 내지 0.8mm로 형성되는 PET필름(332)을 강화유리에 반듯하게 부착하는 작업도 거의 불가능하고, PET필름(332)을 강화유리에 부착하더라고, PET필름(332)은 부착면의 폭이 0.3mm 내지 0.8mm 밖에 되지 않기 때문에, 부착위치가 쉽게 가변되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Particularly, in the prior art 2, since the width of the PET film 332 having the adhesive layer 331 is 0.3 mm to 0.8 mm, the width of the PET film 332 on which the adhesive layer 331 is formed is 0.3 mm The work of cutting the double-sided tape within 1 mm causes many problems due to problems such as deformation of the processed surface at the time of cutting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ft film, which is not suitable for mass production, And the PET film 332 is attached to the tempered glass. The PET film 332 has a width of 0.3 mm on the mounting surface, To 0.8 mm, which means that the attachment position can be easily changed.

다른 한편, 종래 선행기술3으로써,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29049호(2013. 11. 07 등록)인 곡면처리된 액정보호필름에서는 보호필름에 인쇄층을 형성한 이후에, 외곽영역을 핫프레싱하여 필름의 외곽면에 곡면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곡면이 형성된 액정에 곡면이 밀착되도록 하여 액정의 곡면부와 보호필름 사이에 갭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curved liquid crystal protective film of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329049 (registered on Mar. 11, 2017) as prior art 3, after forming the print layer on the protective film, the outer region is hot-pressed A curved surface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lm so that the curved surface is closely attached to the liquid crystal having the curved surface so that no gap is generated between the curved surface portion of the liquid crystal and the protective film.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 선행기술3은 보호필름이 수지재질이 경우에 한정하여 적용될 수 있으나, 강화유리가 같은 글래스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적용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in the prior art 3, the protective film can be applied only to the case of the resin material, but it can not be applied to the case where the tempered glass uses the same glass.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065155호(2014. 05. 29호 공개)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4-0065155 (published on Apr. 05, 29, 201) 대한민국 공개 특허 10-2014-0065155호(2014. 05. 29 공개)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4-0065155 (published on May 29, 2014)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29049호(2013. 11. 07 등록)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329049 (Registered on Mar. 11, 2013)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해결하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강화유리의 중앙영역에 단차가 발생되지 않도록 투명인쇄층을 형성하고, 강화유리의 베젤영역에 특정 색상의 베젤인쇄층을 형성하는 경우, 미세 측정기구가 가지고 있는 편차 범위와, 강화유리를 지그에 맞물리는 경우에 강화유리와 지그 사이의 편차 범위 또는, 미세 가공방식으로 제조되는 강화유리의 제조시에 강화유리의 외곽 사이즈가 다르게 형성되는 자체적인 편차에 의해, 베젤인쇄층과 투명인쇄층이 중첩되지 않도록 하여 양산이 가능하도록 하는 액정보호용 탈부착 시트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ransparent printing layer that prevents a step from being formed in a central region of a tempered glass, The deviation range of the micro-measuring instrument, the range of deviation between the tempered glass and the jig when the tempered glass is engaged with the jig, or the outside of the tempered glass in the manufacture of the tempered glass manufactured by the micr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etachable sheet for protecting liquid crystal that can be mass-produced by preventing the bezel printed layer and the transparent printed layer from overlapping with each other due to a deviation of their own siz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강화유리의 중앙영역에 단차가 발생되지 않도록 투명인쇄층을 형성하고, 강화유리의 베젤영역에 특정 색상의 베젤인쇄층을 형성하는 경우, 잉크의 점도를 조절하는 작업을 시행하지 않고도 베젤인쇄층의 도막두께가 중앙영역의 투명인쇄층 도막두께를 넘지 않도록 하여, 중앙영역에 기포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액정보호용 탈부착 시트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forming a transparent printed layer so that a step is not formed in a central region of a tempered glass and a bezel printed layer of a specific color in a bezel region of a tempered glas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movable detachable sheet for protecting liquid crystal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that prevent the film thickness of the bezel printing layer from exceeding the coating thickness of the transparent printing layer in the central area without performing the operation.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스마트폰의 액정면 외곽에 곡면부가 형성되는 경우, 곡면부와 밀착되는 부위와 갭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액정보호용 탈부착 시트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tachable sheet for protecting liquid crystal, which prevents a gap and a gap between a curved portion and a curved portion when a curved portion is formed on the outside of a liquid crystal surface of a smartphon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스마트폰의 액정면 외곽에 곡면부가 형성되는 경우 곡면부와 밀착되는 부위에 인쇄층을 형성하는 작업만으로 곡면부와 밀착되는 부위에 갭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액정보호용 탈부착 시트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including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 protective detachable sheet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액정보호용 탈부착 시트는 강화유리; 상기 강화유리의 하부면 가운데 베젤영역에 인쇄되는 선패턴영역 및, 상기 강화유리의 하부면 가운데 상기 베젤영역의 중앙영역에 인쇄되고 요홈이 패턴형태로 형성되는 요홈패턴영역을 포함하며, 투명잉크로 인쇄되는 투명인쇄층; 상기 선패턴영역과 결합되고, 상기 강화유리의 베젤영역의 하부면에 인쇄되며, 특정 색상의 잉크로 인쇄되는 베젤인쇄층; 및, 상기 요홈패턴영역과 상기 베젤인쇄층을 덮도록 접착되는 OCA층과, 상기 OCA층에 결합되며 광투과재질로 이루어지는 필름층; 및, 상기 필름층에 결합되는 점착층; 을 포함하는 리무벌테이프; 를 포함하며, 상기 베젤인쇄층은 상기 투명인쇄층과 중첩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지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etachable sheet for protecting liquid crystal, comprising: a tempered glass; A line pattern region printed on a bezel region in a lower surface of the tempered glass and a concave pattern region printed on a central region of the bezel region in a lower surface of the tempered glass and having a groove formed in a pattern, A transparent printed layer to be printed; A bezel printed layer, coupled to the line pattern area, prin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ezel area of the tempered glass and printed with ink of a specific color; An OCA layer adhered to cover the concave pattern area and the bezel printing layer; a film layer bonded to the OCA layer and made of a light transmitting material; And an adhesive layer bonded to the film layer; ≪ / RTI > And the bezel printing layer is formed so as not to overlap with the transparent printing layer.

이 경우, 상기 선패턴영역과 상기 요홈패턴영역은 1도 인쇄에 의해 하나의 층으로 형성되되, 상기 요홈패턴영역의 두께는 상기 선패턴영역의 두께보다 두꺼운 두께로 형성된다.In this case, the line pattern area and the concave pattern area are formed by printing one layer at a time, and the thickness of the concave pattern area is thicker than the thickness of the line pattern area.

또한, 상기 베젤인쇄층은 상기 선패턴영역에 결합되어 형성되되, 상기 요홈패턴영역의 하부면을 넘지 않도록 형성된다.Also, the bezel printing layer is formed to be coupled to the line pattern region and not to extend beyond the lower surface of the concave pattern region.

또한, 상기 OCA층은 상부 접착면의 일부가 상기 잉크로 인쇄된 요홈패턴영역의 요홈에 삽입되도록 접착되고, 하부 접착면에 상기 필름층이 평탄한 상태로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요홈패턴영역을 상기 강화유리의 상부공간에서 하부방향으로 바라보는 경우에 상기 요홈을 시각적으로 차단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OCA layer is adhered such that a part of the upper adhesive surface is inserted into the groove of the groove pattern area printed with the ink, and the film layer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adhesive surface in a flat state, So that the groove is visually interrupted when viewed downward in the upper space of the glass.

한편, 상기 스마트폰은 액정의 외곽에 곡면부가 더 형성되는 경우, 상기 액정보호용 시트는 도트패턴층;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 경우, 상기 도트패턴층은 상기 리무벌테이프와 상기 베젤인쇄층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베젤인쇄층의 하부에 인쇄되어 형성되며, 상기 스마트폰의 액정에 형성된 곡면부와 대응하는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도트패턴층의 도트들 각각의 직경이 상기 스마트폰의 외곽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증가하도록 형성된다.In the meantime, when the smartphone has a curved surface portion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iquid crystal, the liquid crystal protective sheet may include a dot pattern layer; Wherein the dot pattern layer is disposed between the removable tape and the bezel print layer and is print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bezel print layer, the curved surface portion formed in the liquid crystal of the smartphone, And the diameters of the dots of the dot pattern layer gradually increase toward the outer side of the smartphone.

다른 한편,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액정보호용 탈부착 시트의 제조 방법은 제1제판망에 유제를 도포하여 제1제판망을 준비하는 제1제판망준비단계; 스마트폰의 베젤영역에 대한 선패턴 인쇄영역과 스마트폰의 중앙영역에 대한 요홈패턴 인쇄영역이 형성되는 도안필름을 제작하는 도안필름준비단계; 상기 제1제판망에 상기 도안필름을 밀착시킨 상태에서 광을 조사하여 상기 선패턴 인쇄영역과 상기 요홈패턴 인쇄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제1제판망 영역을 노광하는 제판망노광단계; 상기 제1제판망을 현상하여 상기 선패턴 인쇄영역과 상기 요홈패턴 인쇄영역이 위치한 영역에 잉크가 투과되도록 상기 선패턴 인쇄영역과 상기 요홈패턴 인쇄영역을 현상하여 선패턴 투과영역과 요홈패턴 투과영역을 형성하는 제1제판망현상단계; 강화유리에 상기 제1제판망을 밀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선패턴 투과영역과 상기 요홈패턴 투과영역에 잉크를 투과시켜 투명인쇄층을 형성하되, 상기 강화유리의 베젤영역에 선패턴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강화유리의 중앙영역에 요홈패턴영역이 형성되도록 하는 투명인쇄층 인쇄단계; 제2제판망에 유제를 도포하여 제2제판망을 준비하는 제2제판망준비단계; 스마트폰의 베젤영역에 대응하는 베젤 인쇄영역이 형성되는 제2도안필름을 제작하는 제2도안필름준비단계; 상기 제2제판망에 상기 제2도안필름을 밀착시킨 상태에서 광을 조사하여 상기 베젤 인쇄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제2제판망 영역을 노광하는 제2제판망노광단계; 상기 제2제판망을 현상하여 상기 베젤 인쇄영역이 위치한 영역에 잉크가 투과되도록 상기 베젤 인쇄영역을 현상하여 베젤부 투과영역을 형성하는 제2제판망현상단계; 상기 강화유리에 상기 제2제판망을 밀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베젤부 투과영역에 잉크를 투과시켜 상기 선패턴영역에 결합되도록 상기 강화유리의 베젤영역에 베젤인쇄층을 형성하는 베젤인쇄층 형성단계; 및, 상기 요홈패턴영역과 상기 베젤인쇄층을 덮도록 접착되는 OCA층과, 상기 OCA층에 결합되는 필름층과, 상기 필름층에 결합되고 상기 스마트폰의 액정면과 점착되어 결합되는 점착층을 포함하는 리무벌테이프를 부착하는 리무벌테이프 부착단계;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liquid crystal protection detachable sheet, comprising: preparing a first plate making net by coating a first plate net with an oil agent to prepare a first plate making net; A pattern film preparation step of fabricating a pattern film in which a line pattern printing area for a bezel area of a smartphone and an area for printing a concave pattern for a central area of a smartphone are formed; Exposing a first plate network region except for the line pattern printing region and the groove pattern printing region by irradiating light with the pattern film adhering to the first plate network; The first plate network is developed to develop the line pattern printing area and the concave pattern printing area so that ink is transmitted through the areas where the line pattern printing area and the concave pattern printing area are located, A first plate making net forming step of forming a first plate making net; A transparent pattern layer is formed by transmitting ink to the line pattern transmitting region and the concave pattern transmitting region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plate making net is closely contacted to the tempered glass and a linear pattern region is formed in the bezel region of the tempered glass, A transparent printed layer printing step for forming a recessed pattern area in a central region of the tempered glass; A second plate making net preparing step of preparing a second plate making net by applying an oil to the second plate making net; A second pattern film preparation step of fabricating a second pattern film in which a bezel printing area corresponding to a bezel area of a smart phone is formed; A second plate network exposure step of exposing the second plate network area except for the bezel printing area by irradiating light in a state where the second plate film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 plate network; A second plate network development step of developing the second plate network to develop the bezel printing area to transmit ink to an area where the bezel printing area is located to form a bezel transmission area; Forming a bezel print layer on the bezel area of the tempered glass so that the bezel-penetrated area is in contact with the reinforcing glass while the second plate network is in contact with the line, An OCA layer adhered to cover the concave pattern area and the bezel printing layer; a film layer coupled to the OCA layer; and 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bonded to the film layer and bonded to the liquid crystal surface of the smartphone, And a rimmed tape attaching step of attaching the rimmed tape including the tape.

이 경우, 상기 투명인쇄층 인쇄단계에서는 상기 선패턴영역과 상기 요홈패턴영역을 1도 인쇄에 의해 하나의 층으로 형성하되, 상기 요홈패턴영역의 두께를 상기 선패턴영역의 두께보다 두꺼운 두께로 형성된다.In this case, in the printing of the transparent printed layer, the line pattern region and the concave pattern region are formed by printing one layer to form one layer, and the thickness of the concave pattern region is formed thicker than the thickness of the line pattern region do.

또한, 상기 베젤인쇄층 형성단계는 상기 베젤인쇄층을 상기 선패턴영역에 결합시켜 형성하되, 상기 요홈패턴영역의 하부면을 넘지 않도록 형성된다.The step of forming the bezel printing layer may be formed by joining the bezel printing layer to the line pattern region, but not over the lower surface of the concave pattern region.

또한, 상기 리무벌테이프 부착단계에서는 상기 OCA층의 상부 접착면의 일부가 상기 잉크로 인쇄된 요홈패턴영역의 요홈에 삽입되도록 접착하고, 상기 OCA층의 하부 접착면에 상기 필름층이 평탄한 상태로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요홈패턴영역을 상기 강화유리의 상부공간에서 하부방향으로 바라보는 경우에 상기 요홈이 시각적으로 차단되도록 하게 된다.Further, in the step of attaching the rigid tape, a part of the upper adhesive surface of the OCA layer is adhered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groove of the concave pattern area printed with the ink, and the film layer is placed flat on the lower adhesive surface of the OCA layer So that the groove is visually blocked when the concave pattern area is viewed downward in the upper space of the tempered glass.

한편, 상기 스마트폰은 액정의 외곽에 곡면부가 더 형성되는 경우, 상기 액정보호용 시트 제조방법은 제3제판망에 유제를 도포하여 제3제판망을 준비하는 제3제판망준비단계; 스마트폰 액정의 곡면영역과 중첩되는 도트패턴 인쇄영역을 구비하는 제3도안필름을 제작하되, 상기 도트패턴 인쇄영역을 상기 스마트폰 액정의 곡면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하고, 상기 도트패턴 인쇄영역에 형성되는 도트들 각각의 직경들이 상기 스마트폰 액정의 외곽측으로 향할수록 점차적으로 증가되도록 형성하는 제3도안필름준비단계; 상기 제3제판망에 상기 제3도안필름을 밀착시킨 상태에서 광을 조사하여 상기 도트패턴 인쇄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제3제판망 영역을 노광하는 제3제판망노광단계; 상기 제3제판망을 현상하여 상기 도트패턴 인쇄영역에 잉크가 투과되도록 상기 도트패턴 인쇄영역을 현상하여 도트패턴 투과영역을 형성하는 제3제판망현상단계; 및, 상기 베젤인쇄층 형성단계와 상기 리무벌테이프 부착단계 사이에 진행되며, 강화유리에 상기 제3제판망을 밀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도트패턴 투과영역에 잉크를 투과시켜 상기 베젤인쇄층의 하부에 도트패턴층을 형성하되 상기 도트패턴층을 상기 스마트폰의 액정에 형성된 곡면부와 대응하는 영역에 형성하고, 상기 도트패턴층의 도트들 각각의 직경이 상기 스마트폰의 외곽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증가하도록 형성하는 도트패턴층 형성단계;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In the case where the smartphone has a curved surface portion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iquid crystal, the method for preparing a liquid crystal protective sheet may further include: preparing a third plate making net by coating the third plate net with an emulsion; A third patterned film having a dot pattern printing area overlapping with a curved area of a smartphone liquid crystal is produced by forming the dot pattern printing area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curved area of the smartphone liquid crystal, A third pattern film preparation step of forming diameters of the dots formed on the first substrate and the second substrate film so that the diameters of the dots gradually increase toward the outer side of the smartphone liquid crystal; A third plate network exposure step of exposing the third plate network area except for the dot pattern print area by irradiating light in a state in which the third pattern film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third plate network; A third plate network development step of developing the third plate network to develop the dot pattern print area so that ink is transmitted to the dot pattern print area to form a dot pattern transmission area; And the step of attaching the bezel printing layer and the step of attaching the rigid tape, wherein ink is transmitted to the dot pattern transmitting area in a state in which the third plate making ne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tempered glass, The dot pattern layer is formed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curved portion formed in the liquid crystal of the smartphone and the diameter of each dot of the dot pattern layer is gradually increased toward the outer side of the smartphone A step of forming a dot pattern layer; As shown in FIG.

본 발명은 강화유리의 중앙영역에 단차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투명인쇄층의 요홈패턴영역을 형성하며, 요홈패턴영역에서 선패턴영역을 하나의 층으로 연장되어 형성하되 요홈패턴영역이 선패턴영역보다 두께운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한 후, 선패턴영역에 베젤인쇄층을 인쇄하기 때문에, 미세 측정기구가 가지고 있는 편차 범위와, 강화유리를 지그에 맞물리는 경우에 강화유리와 지그 사이의 편차 범위 또는, 미세 가공방식으로 제조되는 강화유리의 제조시에 강화유리의 외곽 사이즈가 다르게 형성되는 자체적인 편차가 존재하는 경우에도, 베젤인쇄층과 투명인쇄층이 중첩되지 않아 양산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essed pattern region of the transparent printed layer is formed to prevent a step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tempered glass, and a line pattern region is formed extending in one layer in the recessed pattern region, Since the bezel printing layer is printed on the line pattern area after forming the thickness of the reinforcing glass to be thicker than the thickness of the reinforcing glass, the deviation range of the fine measuring mechanism and the deviation range Alternatively, even when there is a self deviation in which the outer size of the tempered glass is differently formed in the production of the tempered glass manufactured by the fine processing method, the bezel printed layer and the transparent printed layer do not overlap each other, .

또한, 본 발명은 강화유리의 중앙영역에 단차가 발생되지 않도록 투명인쇄층을 형성하고, 강화유리의 베젤영역에 특정 색상의 베젤인쇄층을 형성하는 경우, 투명인쇄층의 요홈패턴영역을 배제한 상태로 선패턴영역에 베젤인쇄층을 형성하기만 하면 되므로, 베젤인쇄층의 인쇄시 잉크의 점도를 조절하는 작업을 시행하지 않고도 베젤인쇄층의 도막두께가 중앙영역의 투명인쇄층 도막두께를 넘지 않도록 하여 중앙영역에 기포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Further, in the case where a transparent printing layer is formed so that a step is not formed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tempered glass and a bezel printing layer of a specific color is formed in the bezel region of the tempered glass, The thickness of the bezel printing layer does not exceed the thickness of the transparent printing layer coating layer in the central area without performing the operation of adjusting the viscosity of the ink during printing of the bezel printing layer. So that bubbles are prevented from being generated in the central region.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폰의 액정면 외곽에 곡면부가 형성되는 경우, 외곽측으로 직경이 증가하는 도트패턴층이 곡면부의 굴곡에 맞도록 두께가 증가하여 형성되기 때문에, 시트와 곡면부가 밀착되는 부위와 갭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게 된다.Further, in the case where a curved portion is formed outside the liquid crystal surface of a smart phone, the dot pattern layer whose diameter increases toward the outer side is formed to increase in thickness to match the curvature of the curved portion,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gap from being generated can be exhibited.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폰의 액정면 외곽에 곡면부가 형성되는 경우 곡면부와 밀착되는 부위에 도트패턴층만을 인쇄하는 작업만으로도 시트와 곡면부가 밀착되는 부위에 갭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게 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n effect of preventing a gap from being generated in a portion where a sheet and a curved surface are in close contact even when only a dot pattern layer is printed on a portion where the curved portion is in close contact when a curved portion is formed outside the liquid crystal surface of a smart phone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보호용 탈부착 시트의 리무벌테이프가 분해된 상태의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액정보호용 탈부착 시트가 스마트폰의 액정면에 부착된 상태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보호용 탈부착 시트의 제조 방법의 순서도.
도 4 내지 도 11은 도 3에 도시된 액정보호용 탈부착 시트의 제조 방법 각각의 순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보호용 탈부착 시트의 제조 방법의 순서도.
도 13 내지 도 16은 도 12에 도시된 액정보호용 탈부착 시트의 제조 방법 각각의 공정에 대한 순서도.
도 17은 도 1에 도시된 액정보호용 탈부착 시트에 도트패턴층을 부가한 상태의 단면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removable sheet for protecting liquid cryst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a removable tape is disassembled. Fig.
Fig. 2 is a sectional view of the detachable sheet for protecting liquid crystal shown in Fig. 1 attached to a liquid crystal surface of a smartphone. Fig.
3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etachable sheet for protecting liquid cryst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4 to 11 are flowcharts of respective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detachable sheet for protecting liquid crystal shown in Fig. 3;
12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etachable sheet for protecting liquid cryst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13 to 16 are flowcharts of respective steps of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detachable sheet for protecting liquid crystal shown in Fig. 12; Fig.
1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a dot pattern layer is added to the liquid crystal protection detachable sheet shown in Fig.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Hereinafter, other objec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evant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overly formal sense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보호용 탈부착 시트 및 그 제조 방법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17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liquid crystal protection detachable she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7.

먼저,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보호용 탈부착 시트를 이루는 구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structure of a liquid crystal protection detachable she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보호용 탈부착 시트의 리무벌테이프가 분해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액정보호용 탈부착 시트가 스마트폰의 액정면에 부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1 is a sectional view of a removable sheet for protecting liquid cryst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a removable tape is disassembled.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etachable sheet for protecting liquid crystal shown in Fig. 1 attached to a liquid crystal surface of a smartphone.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보호용 탈부착 시트는 강화유리(10), 투명인쇄층(20), 베젤인쇄층(30) 및, 리무벌테이프(40)를 포함한다.1 and 2, a liquid crystal protective detachable she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empered glass 10, a transparent print layer 20, a bezel print layer 30, and a rimmed tape 40 ).

상기 강화유리(10)는 스마트폰의 액정(c1)면을 보호하기 위한 층으로써, 액정보호용 탈부착 시트가 최외각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스마트폰의 사용자 손에 의해 접촉된다. 즉, 강화유리(10)는 사용자의 손이 터치되는 경우, 스마트폰의 액정(c1)에 형성되는 터치스크린에 접촉신호를 전달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The tempered glass 10 is a layer for protecting the liquid crystal (c1) side of the smartphone, and is configured such that a liquid crystal protective detachable sheet is positioned at an outermost position and is contacted by a user's hand of the smartphone. That is, when the user's hand is touched, the tempered glass 10 transmits a touch signal to the touch screen formed on the liquid crystal c1 of the smartphone.

상기 투명인쇄층(20)은 실크스크린 인쇄기법에 의해 고투명 잉크가 인쇄되어 형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고투명 잉크는 강화유리(10)를 통해 스마트폰 액정(c1)의 표면이 보이는 정도의 광투과율을 가지는 잉크로써, 실크 스크린 인쇄를 업으로 삼는 당업자들이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잉크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투명인쇄층(20)은 선패턴영역(22) 및 요홈패턴영역(21)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선패턴영역(22)은 강화유리(10)의 하부면 가운데 베젤영역에 고투명잉크가 인쇄되어 형성되는 영역이다. 이러한 선패턴영역(22)은 사선형 패턴, 원형 패턴, 방사형 패턴, 도트형 패턴, 일점쇄선형 패턴등으로 다양하게 변형되어 구성되거나, 예시한 패턴과 유사한 패턴으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상기 요홈패턴영역(21)은 강화유리(10)의 하부면 가운데 베젤영역의 중앙영역에 인쇄되어 형성되는 영역으로써, 영역의 표면에 복수개의 요홈(21a)이 이격 배열되어 형성되는 형태의 패턴이다. The transparent print layer 20 is formed by printing a highly transparent ink by a silk screen printing technique. Here, the high-transparency ink is an ink having light transmittance to the extent that the surface of the smartphone liquid crystal (c1) is visible through the tempered glass 10, and is an ink generally us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make up silk screen printing.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the transparent print layer 20 is formed of the line pattern region 22 and the concave pattern region 21. Here, the line pattern region 22 is an area formed by printing a high-transparency ink on the bezel region in the lower surface of the tempered glass 10. The line pattern region 22 may be formed by variously deforming a line pattern, a circular pattern, a radial pattern, a dot pattern, a single dotted line pattern, or the like, or may be modified in a pattern similar to the illustrated pattern. The recessed pattern area 21 is formed by printing on the central area of the bezel area in the lower surface of the tempered glass 10 and is a pattern in which a plurality of recesses 21a are formed by being spaced from each other on the surface of the area .

이 경우, 선패턴영역(22)과 요홈패턴영역(21)은 1도 인쇄에 의해 하나의 층으로 형성되되, 요홈패턴영역(21)의 두께는 선패턴영역(22)의 두께보다 두꺼운 두께로 형성된다.In this case, the line pattern region 22 and the concave pattern region 21 are formed by printing one layer at a time, and the thickness of the concave pattern region 21 is thicker than the thickness of the line pattern region 22 .

상기 베젤인쇄층(30)은 실크스크린 인쇄기법에 의해 잉크가 인쇄되어 형성되는 것으로써, 선패턴영역(22)의 하부면에 인쇄되며, 특정 색상의 잉크로 인쇄된다. 이 경우, 색상은 블랙 또는 화이트와 같은 단색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베젤인쇄층(30)은 선패턴영역(22)과 결합되어 강화유리(10)의 베젤영역의 하부에 형성되되, 요홈패턴영역(21)의 하부면을 넘지 않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요홈패턴영역(21)은 베젤인쇄층(30)이 인쇄될 선패턴영역(22)보다 돌출된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베젤인쇄층(30)을 선패턴영역(22)에 인쇄하여 구성하는 경우, 점도조절등으로 베젤인쇄층(30)의 도막두께를 조절할 필요가 없고, 아울러, 베젤인쇄층(30)의 인쇄시에 돌출된 요홈패턴영역(21)을 배제한 후, 선패턴영역(22)에만 베젤인쇄층(30)을 인쇄하면 되기 때문에, 지그와의 편차와 강화유리(10)가 가지고 있는 자체적인 편차등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요홈패턴영역(21)과 베젤인쇄층(30) 사이에 중첩되지 않도록 하게 된다. 이 경우, 베젤인쇄층(30)과 요홈패턴영역(21)은 서로 간에 중첩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베젤인쇄층(30)과 요홈패턴영역(21) 사이에 갭이 발생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bezel printing layer 30 is formed by printing ink by a silkscreen printing technique, and is prin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ine pattern area 22 and printed with ink of a specific color. In this case, the color may be composed of a single color such as black or white. In this case, the bezel printing layer 30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bezel region of the tempered glass 10 in combination with the line pattern region 22, and is formed so as not to exceed the lower surface of the concave pattern region 21. The bezel printed layer 30 is formed so as to protrude from the line pattern area 22 to be printed so that the bezel printed layer 30 is printed on the line pattern area 22 It is not necessary to adjust the thickness of the coating layer of the bezel printing layer 30 by adjusting the viscosity or the like and the concave pattern region 21 projected at the time of printing the bezel printing layer 30 is eliminated, Even when there is a deviation from the jig and the own deviation of the tempered glass 10 or the like exists between the concave pattern region 21 and the bezel printing layer 30, As shown in FIG. In this case, a gap may be generated between the bezel printing layer 30 and the concave pattern area 21 so that the bezel printing layer 30 and the concave pattern area 21 do not overlap with each other.

상기 리무벌테이프(40)는 OCA층(41), 필름층(42) 및, 점착층(43)을 포함한다.The rigid tape 40 includes an OCA layer 41, a film layer 42, and an adhesive layer 43.

상기 OCA층(41)은 접착재질로 형성되어, 투명인쇄층(20)의 요홈패턴영역(21)과 베젤인쇄층(30)을 덮도록 접착된다.The OCA layer 41 is formed of an adhesive material and is adhered to cover the concave pattern area 21 of the transparent printed layer 20 and the bezel printed layer 30. [

상기 필름층(42)은 고투명 PET필름과 같은 광투과 재질의 수지필름으로써, OCA층(41)에 결합되어 투명인쇄층(20)과 베젤인쇄층(30)을 덮게 된다.The film layer 42 is a transparent resin film such as a highly transparent PET film and is bonded to the OCA layer 41 to cover the transparent print layer 20 and the bezel print layer 30.

이러한 필름층(42)은 후술하는 점착층(43)이 결합될 공간을 제공하며, 요홈패턴영역(21)으로 입사되는 광의 반사율이 현저히 낮춤으로써, 사용자가 강화유리(10)를 통해 요홈패턴영역(21)의 요홈을 보게 되는 경우에, 요홈들이 보이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This film layer 42 provides a space for the adhesive layer 43 to be described later to be bonded and significantly reduces the reflectance of light incident on the recessed pattern area 21 so that the user can easily grasp the recessed pattern area When the user sees the groove of the body 21, the user does not see the groove.

상기 점착층(43)은 필름층(42)에 접착방식등으로 결합된다. 이러한 점착층(43)은 실리콘과 같은 점착성질이 있는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액정보호용 탈부착 시트를 사용자의 임의대로 스마트폰의 액정면에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The adhesive layer 43 is bonded to the film layer 42 by an adhesive method or the like. The adhesive layer 43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dhesive property such as silicone, thereby enabling the detachable sheet for protecting liquid crystal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liquid crystal surface of the smartphone as desired by a user.

여기서, OCA층(41)은 상부 접착면의 일부가 상기 잉크로 인쇄된 요홈패턴영역(21)의 요홈에 삽입되도록 접착되고, 하부 접착면에 필름층(42)이 평탄한 상태로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요홈패턴영역(21)을 강화유리(10)의 상부공간에서 하부방향으로 바라보는 경우에 필름층(42)과 OCA층(41)에 의해 요홈이 시각적으로 차단되도록 한다. 즉, OCA층(41)과 필름층(42)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요홈패턴영역(21)의 요홈들이 시각적으로 보이기 때문에, 액정의 화면에 흐려지는 문제점을 유발할 수 있으며, 점착층(43)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시트를 스마트폰의 액정에 부착할 수 없는 문제점을 유발하게 된다.Here, the OCA layer 41 is adhered such that a part of the upper adhesive surface is inserted into the groove of the recessed pattern area 21 printed with the ink, and the film layer 42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adhesive surface in a flat state, The groove is visually blocked by the film layer 42 and the OCA layer 41 when the recessed pattern area 21 is viewed downward in the upper space of the tempered glass 10. [ That is, when the OCA layer 41 and the film layer 42 are not present, the grooves of the groove pattern region 21 are visually seen, which may cause a problem of blurring on the screen of the liquid crystal, If it does not exist, the sheet can not be attached to the liquid crystal of the smartphon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보호용 탈부착 시트는 강화유리(10)의 중앙영역에 단차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투명인쇄층(20)의 요홈패턴영역(21)을 형성하며, 요홈패턴영역(21)에서 선패턴영역(22)을 하나의 층으로 연장되어 형성하되, 요홈패턴영역(21)이 선패턴영역(22)보다 두께운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한 후, 선패턴영역(22)에 베젤인쇄층(30)을 인쇄하기 때문에, 미세 측정기구가 가지고 있는 편차 범위와, 강화유리(10)를 지그에 맞물리는 경우에 강화유리(10)와 지그 사이의 편차 범위 또는, 미세 가공방식으로 제조되는 강화유리(10)의 제조시에 강화유리(10)의 외곽 사이즈가 다르게 형성되는 자체적인 편차가 존재하는 경우에도, 베젤인쇄층(30)과 투명인쇄층(20)이 중첩되지 않아 양산이 가능하도록 하는 목적/효과를 달성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liquid crystal protection detachable shee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s the concave pattern area 21 of the transparent printing layer 20 in order to prevent a step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tempered glass 10, The line pattern region 22 is formed to extend in one layer in the pattern region 21 so that the concave pattern region 21 has a thickness thicker than the line pattern region 22, The deviation range of the fine measuring instrument and the deviation range between the tempered glass 10 and the jig when the tempered glass 10 is engaged with the jig, The bezel printed layer 30 and the transparent printed layer 20 overlap each other even when there is a deviation in the outer size of the tempered glass 10 which is different from that in the case of manufacturing the tempered glass 10 manufactured by the processing method So as to achieve the purpose / effect of enabling mass production Th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보호용 탈부착 시트는 강화유리(10)의 중앙영역에 단차가 발생되지 않도록 투명인쇄층(20)을 형성하고, 강화유리(10)의 베젤영역에 특정 색상의 베젤인쇄층(30)을 형성하는 경우, 투명인쇄층(20)의 요홈패턴영역(21)을 배제한 상태로 선패턴영역(22)에 베젤인쇄층(30)을 형성하기만 하면 되므로, 베젤인쇄층(30)의 인쇄시 잉크의 점도를 조절하는 작업을 시행하지 않고도 베젤인쇄층(30)의 도막두께가 중앙영역의 투명인쇄층(20) 도막두께를 넘지 않도록 하여 중앙영역에 기포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목적/효과를 달성할 수 있게 된다.
A transparent printed layer 20 may be formed on the bezel region of the tempered glass 10 so as to prevent a step from being formed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tempered glass 1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ezel printing layer 30 is formed on the line pattern region 22 in a state in which the concave pattern region 21 of the transparent printing layer 20 is excluded, Air bubbles are generated in the central region so that the coating thickness of the bezel printing layer 30 does not exceed the coating thickness of the transparent printing layer 20 in the central region without performing the operation of controlling the viscosity of the ink during the printing of the printing layer 30 So that the object / effect can be achieved.

이하에서는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액정보호용 탈부착 시트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etachable sheet for protecting liquid crystal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will be described.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보호용 탈부착 시트의 제조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 내지 도 11은 도 3에 도시된 액정보호용 탈부착 시트의 제조 방법 각각의 순서도이다.3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etachable sheet for protecting liquid cryst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4 to 11 are flowcharts of respective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detachable sheet for protecting liquid crystal shown in Fig.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보호용 탈부착 시트의 제조 방법은 제1제판망준비단계(S01), 도안필름준비단계(S02), 제판망노광단계(S03), 제1제판망현상단계(S04), 투명인쇄층 인쇄단계(S05), 제2제판망준비단계(S06), 제2도안필름준비단계(S07), 제2제판망노광단계(S08), 제2제판망현상단계(S09), 베젤인쇄층형성단계(S10) 및, 리무벌테이프 부착단계(S11)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3,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liquid crystal protection detachable shee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plate making net preparing step S01, a drawing film preparing step S02, a plate making net exposure step S03, (S04), a transparent printed layer printing step (S05), a second plate making net preparing step (S06), a second pattern film preparing step (S07), a second plate making net exposure step (S08) 2 plate making network developing step (S09), a bezel printing layer forming step (S10), and a rim tape attaching step (S11).

상기 제1제판망준비단계(S0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제판망(1)에 유제를 도포하여 제1제판망(1)을 준비하는 단계이다. 이 경우, 제1제판망(1)은 후술하는 투명인쇄층(20)의 요홈패턴영역(21) 및 선패턴영역(22)을 형성시에 잉크의 번짐을 최소화시키고 패턴이 무너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스테인레스 재질로 형성되며, 직조 방식의 격자형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4, the first plate making net preparing step S01 is a step of preparing the first plate making net 1 by coating the first plate making net 1 with the tanning agent. In this case, in order to minimize the bleeding of the ink and to prevent the pattern from being broken down when the concave pattern area 21 and the line pattern area 22 of the transparent printing layer 20 described later are formed, It is preferable to be embodied in a lattice type of weaving method.

상기 도안필름준비단계(S0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의 베젤영역에 대한 선패턴 인쇄영역(2a)과 스마트폰의 중앙영역에 대한 요홈패턴 인쇄영역(2b)이 형성되는 도안필름(2)을 제작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도안필름(2)은 광투과율이 높은 필름(다른 명칭으로 투명 수지형 필름)의 일면에 후술하는 요홈패턴영역(21)과 선패턴영역(22)에 대한 인쇄이미지를 인쇄하게 된다. 이 경우, 요홈패턴영역(21)과 선패턴영역(22)에 대한 인쇄이미지는 이후에 진행되는 노광작업시에 광투과율이 거의 없는 잉크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5, the pattern film preparing step S02 is a step in which the line pattern printing area 2a for the bezel area of the smartphone and the groove pattern printing area 2b for the central area of the smartphone are formed And then the film 2 is produced. Here, the pattern film 2 prints a print image for the concave pattern area 21 and the line pattern area 2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on one surface of a film having a high light transmittance (another name is a transparent resin film). In this case, the printed image for the concave pattern area 21 and the line pattern area 22 is composed of ink having little light transmittance at the time of the subsequent exposure work.

상기 제판망노광단계(S03)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제판망(1)에 도안필름(2)을 밀착시킨 상태에서 광을 조사하여 선패턴 인쇄영역(2a)과 요홈패턴 인쇄영역(2b)을 제외한 나머지 제1제판망 영역을 노광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노광작업은 광원이 수은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수은등의 광원(L_1)이 통과되는 영역에 볼록한 렌즈 형상이되 복수 개의 주름부가 이격되어 형성되는 프레넬 렌즈(fresnel lens)부(FL_1)를 배치함으로써, 수은등의 광원에서 발생하는 광산란을 줄여 광의 굴절 및 반사를 최소화하여 광의 직진성을 향상시키는데, 이는 인쇄작업시에 톱니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게 된다. 이와 같은 노광작업을 일정 시간동안 진행하게 되면, 제1제판망(1)은 선패턴 인쇄영역(2a)과 요홈패턴 인쇄영역(2b)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유제가 경화된다.As shown in FIG. 6, the plate-making screen exposure step S03 irradiates the first plate making net 1 with the pattern film 2 in close contact with the line pattern printing area 2a, And exposing the remaining first plate making net area except for the area 2b. Here, in the exposure operation, the light source may be composed of a mercury lamp, and a fresnel lens unit FL_1 formed in a convex lens shape and spaced apart from a plurality of corrugated portions at a region through which the light source L_1 of the mercury lamp passes, Thereby minimizing the light refraction and reflection of light by reducing the light scattering occurring in the light source of the mercury lamp, thereby improving the straightness of the light. This prevents the sawing phenomenon from occurring during the printing operation. When the exposure operation is perform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the first plate making net 1 is cured in the areas other than the line pattern printing area 2a and the groove pattern printing area 2b.

상기 제1제판망현상단계(S04)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제판망(1)을 현상하여 선패턴 인쇄영역(2a)과 요홈패턴 인쇄영역(2b)이 위치한 영역에 잉크가 투과되도록 선패턴 인쇄영역(2a)과 요홈패턴 인쇄영역(2b)을 현상하여 선패턴 투과영역(3a)과 요홈패턴 투과영역(3b)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선패턴 투과영역(3a)과 요홈패턴 투과영역(3b)은 스퀴즈에 의해 잉크를 투과되어 후술하는 투명인쇄층(20)의 선패턴영역(22)과 요홈패턴영역(21)을 형성하게 된다.7, the first plate making network development step S04 is a step of developing the first plate making net 1 so that ink is supplied to the areas where the line pattern printing area 2a and the groove pattern printing area 2b are located, The line pattern printing area 2a and the concave pattern printing area 2b are developed to form a linear pattern transmitting area 3a and a concave pattern transmitting area 3b. The linear pattern transmission area 3a and the concave pattern transmission area 3b are formed so as to form a line pattern area 22 and a concave pattern area 21 of the transparent printing layer 20, do.

상기 투명인쇄층 인쇄단계(S05)는 스마트폰의 액정을 보호하기 위하여 강화유리(10)에 1액형 인쇄를 시행하는 단계로써, 강화유리(10)에 제1제판망(1)을 밀착시킨 상태에서 선패턴 투과영역(3a)과 요홈패턴 투과영역(3b)에 고투명 잉크를 투과시켜 투명인쇄층(20)을 형성하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화유리(10)의 베젤영역에 선패턴영역(22)이 형성되고 강화유리(10)의 중앙영역에 요홈패턴영역(21)이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이다. 즉, 투명인쇄층 인쇄단계(S05)에서는 고투명 잉크를 흡수한 스퀴즈를 제판망에 스크럽하여 투명인쇄층(20)의 요홈패턴영역(21) 및 선패턴영역(22)을 동시에 형성하게 된다. 이 경우, 요홈패턴영역(21)은 요홈들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고투명 잉크들이 미세한 요홈을 통과하는 경우와 선패턴을 통과하는 압력차에 의해 동일한 점도를 가짐에도 불구하고 요홈패턴영역(21)의 두께가 선패턴영역(22)의 두께보다 두꺼운 두께로 형성된다. 따라서, 투명인쇄층 인쇄단계(S05)에서는 선패턴영역(22)과 요홈패턴영역(21)을 1도 인쇄에 의해 하나의 층으로 형성하되, 요홈패턴영역(21)의 두께를 선패턴영역(22)의 두께보다 두꺼운 두께로 형성함으로써, 점도의 조절이 필요없이 액정면에 부착되는 영역에 기포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게 된다. 이 경우, 선패턴영역(22)은 1도 인쇄의 작업시에 요홈패턴영역(21)의 패턴이 무너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요홈패턴영역(21)의 도막 두께가 선패턴영역(22)의 도막 두께보다 두꺼운 두께로 형성되도록 하게 된다. 즉, 선패턴영역(22)이 없이 요홈패턴영역(21)만을 인쇄하는 경우, 요홈패턴영역(21)은 후술하는 베젤인쇄층(30)의 도막 두께보다 큰 두께로 형성하기 어렵기 때문에, 종래 선행기술에서 언급한 도막 편차에 의해 단차가 발생되는 문제점을 유발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요홈패턴영역(21)은 베젤인쇄층(30)이 인쇄될 선패턴영역(22)보다 돌출된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베젤인쇄층(30)을 선패턴영역(22)에 인쇄하여 구성하는 경우, 점도조절등으로 베젤인쇄층(30)의 도막두께를 조절할 필요가 없고, 아울러, 베젤인쇄층(30)의 인쇄시에 돌출된 요홈패턴영역(21)을 배제한 후, 선패턴영역(22)에만 베젤인쇄층(30)을 인쇄하면 되기 때문에, 지그와의 편차와 강화유리(10)가 가지고 있는 자체적인 편차등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요홈패턴영역(21)과 베젤인쇄층(30) 사이에 중첩되지 않도록 하게 된다. 이 경우, 베젤인쇄층(30)과 요홈패턴영역(21)은 서로 간에 중첩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베젤인쇄층(30)과 요홈패턴영역(21) 사이에 갭이 발생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transparent printing layer printing step S05 is a step of performing one-component printing on the tempered glass 10 in order to protect the liquid crystal of the smartphone. In this state, the first plate making net 1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tempered glass 10 The transparent printed layer 20 is formed by transmitting the transparent ink through the linear pattern transmitting region 3a and the concave pattern transmitting region 3b in the bevel region of the tempered glass 10, The pattern region 22 is formed and the recessed pattern region 21 is formed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tempered glass 10. [ That is, in the transparent printed layer printing step S05, the squeeze absorbing the highly transparent ink is scratched into the plate making net to form the concave pattern area 21 and the line pattern area 22 of the transparent printed layer 20 at the same time. In this case, since the concave pattern area 21 is formed of concave grooves, even when the opaque ink passes through the fine concave grooves and the pressure difference passing through the line pattern has the same viscosity, And the thickness is formed to be thicker than the thickness of the line pattern region 22. Accordingly, in the transparent printed layer printing step S05, the line pattern area 22 and the concave pattern area 21 are formed by printing one layer at a time, and the thickness of the concave pattern area 21 is set in the line pattern area ( 22, it is possible to prevent bubbles from being generated in the region to be adhered to the liquid crystal surface without adjusting the viscosity. In this case, in order to prevent the pattern of the concave pattern area 21 from being broken during the 1-degree printing operation, the coating film thickness of the concave pattern area 21 is set to be the coating film thickness of the line pattern area 22 Thereby forming a thicker layer. That is, when only the concave pattern area 21 is printed without the line pattern area 22, since the concave pattern area 21 is difficult to be formed with a thickness lar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bezel printing layer 30 described later, It is possible to cause a problem that steps are generated due to the coating film deviation mentioned in the prior art. The bezel printed layer 30 is formed so as to protrude from the line pattern area 22 to be printed so that the bezel printed layer 30 is printed on the line pattern area 22 It is not necessary to adjust the thickness of the coating layer of the bezel printing layer 30 by adjusting the viscosity or the like and the concave pattern region 21 projected at the time of printing the bezel printing layer 30 is excluded, The bevel printing area 30 and the bezel printing layer 30 can be printed only in the case where the deviation from the jig and the own deviation of the tempered glass 10 exist, As shown in FIG. In this case, a gap may be generated between the bezel printing layer 30 and the concave pattern area 21 so that the bezel printing layer 30 and the concave pattern area 21 do not overlap with each other.

상기 제2제판망준비단계(S06)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제판망(3)에 유제를 도포하여 제2제판망(3)을 준비하는 단계이다. 이 경우, 제2제판망(3)은 후술하는 베젤인쇄층(30)을 형성시에 잉크의 번짐을 최소화시키고 패턴이 무너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스테인레스 재질로 형성되며, 직조 방식의 격자형(1a)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econd plate making net preparing step S06 is a step of preparing the second plate making net 3 by coating the second plate making net 3 with the tanning agent as shown in FIG. In this case, the second plate making net 3 is formed of a stainless steel material in order to minimize blurring of the ink and prevent the pattern from falling down when forming the bezel printing layer 30 to be described later, .

상기 제2도안필름준비단계(S07)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의 베젤영역에 대응하는 베젤 인쇄영역(4a)이 형성되는 제2도안필름(4)을 제작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제2도안필름(4)은 광투과율이 높은 필름(다른 명칭으로 투명 수지형 필름)의 일면에 후술하는 베젤인쇄층(30)에 대한 인쇄이미지를 인쇄하게 된다. 이 경우, 베젤인쇄층(30)에 대한 인쇄이미지는 이후에 진행되는 노광작업시에 광투과율이 거의 없는 잉크로 구성된다.The second pattern film preparing step S07 is a step of manufacturing a second pattern film 4 on which a bezel printing area 4a corresponding to a bezel area of a smartphone is formed as shown in Fig. Here, the second pattern film 4 prints a print image on the bezel print layer 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on one side of a film having a high light transmittance (another name is a transparent resin film). In this case, the print image for the bezel printing layer 30 is composed of ink having little light transmittance during the subsequent exposure work.

상기 제2제판망노광단계(S08)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제판망(3)에 제2도안필름(4)을 밀착시킨 상태에서 광을 조사하여 베젤 인쇄영역(4a)을 제외한 나머지 제2제판망 영역을 노광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노광작업은 광원(L_1)이 수은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수은등의 광원이 통과되는 영역에 볼록한 렌즈 형상이되 복수 개의 주름부가 이격되어 형성되는 프레넬 렌즈(fresnel lens)부(FL_1)를 배치함으로써, 수은등의 광원에서 발생하는 광산란을 줄여 광의 굴절 및 반사를 최소화하여 광의 직진성을 향상시키는데, 이는 인쇄작업시에 톱니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게 된다. 이와 같은 노광작업을 일정 시간동안 진행하게 되면, 제2제판망(3)은 베젤 인쇄영역(4a)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유제가 경화된다.10, the second plate network exposure step S08 irradiates the second patterned film 4 with the second patterned film 4 in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 plate network 3 to expose the bezel printed area 4a And exposing the remaining second plate netting region. Here, in the exposure operation, the light source L_1 may be composed of a mercury lamp, and a fresnel lens unit FL_1 formed by a plurality of corrugated portions spaced from each other by a convex lens shape in a region through which the light source of the mercury lamp passes, Thereby minimizing the light refraction and reflection of light by reducing the light scattering occurring in the light source of the mercury lamp, thereby improving the straightness of the light. This prevents the sawing phenomenon from occurring during the printing operation. When the exposure operation is perform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the emulsion of the second plate making net 3 is cured in other areas except for the bezel printing area 4a.

상기 제2제판망현상단계(S09)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제판망(3)을 현상하여 베젤 인쇄영역(4a)이 위치한 영역에 잉크가 투과되도록 베젤 인쇄영역(4a)을 현상하여 베젤부 투과영역(5a)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베젤부 투과영역(5a)은 스퀴즈에 의해 잉크를 투과시켜 후술하는 베젤인쇄층(30)을 형성하게 된다.11, the second plate network development step S09 is a step of developing the second plate network 3 to develop the bead printing area 4a so that the ink is transmitted to the area where the bezel printing area 4a is located Thereby forming the bezel-side transmissive region 5a. Here, the bezel-side transmissive region 5a transmits ink by squeezing to form a bezel printing layer 30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베젤인쇄층형성단계(S10)는 강화유리(10)에 제2제판망(3)을 밀착시킨 상태에서 베젤부 투과영역(5a)에 블랙색상이나 화이트 색상과 같은 단색 잉크를 투과시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패턴영역(22)과 강화유리(10)의 베젤영역에 베젤인쇄층(30)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즉, 베젤인쇄층(30) 인쇄단계에서는 고투명 잉크를 흡수한 스퀴즈를 제판망에 스크럽하여 베젤인쇄층(30)을 형성하게 된다. 이 경우, 베젤인쇄층(30)은 투명인쇄층(20)의 선패턴영역(22)에 결합되어 형성하되, 베젤인쇄층(30)이 요홈패턴영역(21)의 하부면을 넘지 않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베젤인쇄층(30)이 요홈패턴영역(21)의 하부면을 넘지 않는 이유는 전술한 투명인쇄층 인쇄단계(S05)에서 형성한 요홈패턴영역(21)이 압력차에 의해 일반적인 도막두께보다 두꺼운 두께로 형성한 상태에서, 강화유리(10)의 베젤영역에 베젤인쇄층(30)을 형성하되, 선패턴영역(22)을 덮도록 형성함으로써, 베젤인쇄층(30)의 점도를 조절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베젤인쇄층(30)의 도막두께가 요홈패턴영역(21)의 도막 두께를 넘지 않도록 인쇄할 수 있게 된다.In the bezel printing layer forming step S10, a monochromatic ink such as a black color or a white color is transmitted to the bezel transmitting area 5a while the second screen forming net 3 is closely attached to the tempered glass 10, And a step of forming a bezel printing layer 30 in the bezel region of the line pattern region 22 and the tempered glass 10 as shown in Fig. That is, in the printing step of the bezel printing layer 30, the bezel printing layer 30 is formed by scrubbing the squeeze absorbing the high-transparent ink into the screen printing net. In this case, the bezel printing layer 30 is formed so as to be coupled to the line pattern area 22 of the transparent printing layer 20 such that the bezel printing layer 30 does not exceed the lower surface of the concave pattern area 21 . The reason why the bezel printing layer 30 does not extend beyond the lower surface of the concave pattern area 21 is that the concave pattern area 21 formed in the above-described transparent printing layer printing step (S05) The bezel printing layer 30 is formed in the bezel region of the tempered glass 10 so as to cover the line pattern region 22 in a state in which the thickness of the bezel printing layer 30 is thicker than the thickness The printing film thickness of the bezel printing layer 30 can be printed so as not to exceed the coating film thickness of the concave pattern area 21 even in the unadjusted state.

상기 리무벌테이프 부착단계(S11)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홈패턴영역(21)과 베젤인쇄층(30)을 덮도록 접착되는 OCA층(41)과, OCA층(41)에 결합되는 필름층(42)과, 필름층(42)에 결합되고 스마트폰의 액정면과 점착되어 결합되는 점착층(43)을 포함하는 리무벌테이프(40)를 부착하는 단계이다. 이 경우, 리무벌테이프 부착단계(S11)에서는 OCA층(41)의 상부 접착면의 일부가 잉크로 인쇄된 요홈패턴영역(21)의 요홈에 삽입되도록 접착하고, OCA층(41)의 하부 접착면에 필름층(42)이 평탄한 상태로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요홈패턴영역(21)을 강화유리(10)의 상부공간에서 하부방향으로 바라보는 경우에 요홈이 시각적으로 차단되도록 하게 된다.1 and 2, the joining step S11 includes an OCA layer 41 bonded to cover the concave pattern region 21 and the bezel printing layer 30, and an OCA layer 41 And 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43 bonded to the film layer 42 and adhered to the liquid crystal surface of the smartphone. In this case, in the step of attaching the rimmed tape S11, a part of the upper adhesive surface of the OCA layer 41 is adhered to be inserted into the groove of the recessed pattern area 21 printed with ink, The film layer 42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in a flat state so that the groove is visually blocked when the concave pattern area 21 is viewed downward in the upper space of the tempered glass 10. [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보호용 탈부착 시트의 제조 방법은 강화유리(10)의 중앙영역에 단차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투명인쇄층(20)의 요홈패턴영역(21)을 형성하며, 요홈패턴영역(21)에서 선패턴영역(22)을 하나의 층으로 연장되어 형성하되, 요홈패턴영역(21)이 선패턴영역(22)보다 두께운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한 후, 선패턴영역(22)에 베젤인쇄층(30)을 인쇄하기 때문에, 미세 측정기구가 가지고 있는 편차 범위와, 강화유리(10)를 지그에 맞물리는 경우에 강화유리(10)와 지그 사이의 편차 범위 또는, 미세 가공방식으로 제조되는 강화유리(10)의 제조시에 강화유리(10)의 외곽 사이즈가 다르게 형성되는 자체적인 편차가 존재하는 경우에도, 베젤인쇄층(30)과 투명인쇄층(20)이 중첩되지 않아 양산이 가능하도록 하는 목적/효과를 달성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detachable sheet for protecting liquid cryst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essed pattern region 21 of the transparent printed layer 20 is formed so as to prevent a step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tempered glass 10 And the line pattern region 22 is formed to extend in one layer in the concave pattern region 21 so that the concave pattern region 21 has a thickness thicker than the line pattern region 22, The deviation range of the fine measuring mechanism and the deviation range between the tempered glass 10 and the jig 10 when the tempered glass 10 is engaged with the jig Or even when there is a deviation in the outer size of the tempered glass 10 that is different from the size of the tempered glass 10 in the manufacturing of the tempered glass 10 manufactured by the microfabrication method, the bezel printed layer 30 and the transparent printed layer 20 ) Is not overlapped and the purpose / effect of enabling mass production It is able to.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보호용 탈부착 시트는 강화유리(10)의 중앙영역에 단차가 발생되지 않도록 투명인쇄층(20)을 형성하고, 강화유리(10)의 베젤영역에 특정 색상의 베젤인쇄층(30)을 형성하는 경우, 투명인쇄층(20)의 요홈패턴영역(21)을 배제한 상태로 선패턴영역(22)에 베젤인쇄층(30)을 형성하기만 하면 되므로, 베젤인쇄층(30)의 인쇄시 잉크의 점도를 조절하는 작업을 시행하지 않고도 베젤인쇄층(30)의 도막두께가 중앙영역의 투명인쇄층(20) 도막두께를 넘지 않도록 하여 중앙영역에 기포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목적/효과를 달성할 수 있게 된다.
A transparent printed layer 20 may be formed on the bezel region of the tempered glass 10 so as to prevent a step from being formed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tempered glass 1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ezel printing layer 30 is formed on the line pattern region 22 in a state in which the concave pattern region 21 of the transparent printing layer 20 is excluded, Air bubbles are generated in the central region so that the coating thickness of the bezel printing layer 30 does not exceed the coating thickness of the transparent printing layer 20 in the central region without performing the operation of controlling the viscosity of the ink during the printing of the printing layer 30 So that the object / effect can be achieved.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보호용 탈부착 시트의 제조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3 내지 도 16은 도 12에 도시된 액정보호용 탈부착 시트의 제조 방법 각각의 공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17은 도 1에 도시된 액정보호용 탈부착 시트에 도트패턴층을 부가한 상태의 단면도이다.12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etachable sheet for protecting liquid cryst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13 to 16 are flowcharts of the respective steps of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detachable sheet for protecting liquid crystal shown in Fig. 12. 1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a dot pattern layer is added to the liquid crystal protection detachable sheet shown in Fig.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보호용 탈부착 시트의 제조 방법은 스마트폰의 액정(c1)의 외곽에 곡면부(R1)가 형성되는 경우에, 제3제판망준비단계(S12), 제3도안필름준비단계(S13), 제3제판망노광단계(S14), 제3제판망현상단계(S15) 및, 도트패턴층 형성단계(S16)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12, in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etachable sheet for protecting liquid crystal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curved surface portion R1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a liquid crystal (c1) of a smartphone, (Step S12), a third pattern film preparation step (S13), a third plate network exposure step (S14), a third plate network development step (S15), and a dot pattern layer formation step (S16) .

상기 제3제판망준비단계(S12)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제판망(6)에 유제를 도포하여 제3제판망(6)을 준비하는 단계이다. 이 경우, 제3제판망(6)은 후술하는 베젤인쇄층(30)을 형성시에 잉크의 번짐을 최소화시키고 패턴이 무너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스테인레스 재질로 형성되며, 직조 방식의 격자형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13, the third plate making net preparing step S12 is a step of preparing the third plate making net 6 by applying the oil on the third plate making net 6. In this case, the third plate making net 6 is formed of a stainless steel material in order to minimize blurring of the ink and prevent the pattern from falling down when forming the bezel printing layer 30 to be described later, desirable.

상기 제3도안필름준비단계(S13)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 액정의 곡면영역과 대응하는 위치에 도트패턴 인쇄영역(7a)을 구비하는 제3도안필름(7)을 제작하되, 상기 도트패턴 인쇄영역(7a)을 상기 스마트폰 액정의 곡면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하고, 상기 도트패턴 인쇄영역(7a)에 형성되는 도트들 각각의 직경들이 상기 스마트폰 액정의 외곽측으로 향할수록 점차적으로 증가되도록 형성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제3도안필름(7)은 광투과율이 높은 필름(다른 명칭으로 투명 수지형 필름)의 일면에 후술하는 도트패턴층(50)에 대한 인쇄이미지를 인쇄하게 된다. 이 경우, 도트패턴층(50)에 대한 인쇄이미지는 이후에 진행되는 노광작업시에 광투과율이 거의 없는 잉크로 구성된다.In the third pattern film preparation step S13, as shown in Fig. 14, a third pattern film 7 having a dot pattern printing area 7a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urved surface area of the smartphone liquid crystal is manufactured , The dot pattern printing area (7a)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urved surface area of the smartphone liquid crystal, and the diameters of the dots formed in the dot pattern printing area (7a) As the number of steps increases. Here, the third pattern film 7 prints a print image on the dot pattern layer 5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on one side of a film having a high light transmittance (another name is a transparent resin film). In this case, the print image for the dot pattern layer 50 is composed of ink having little light transmittance during the subsequent exposure work.

상기 제3제판망노광단계(S14)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제판망(6)에 제3도안필름(7)을 밀착시킨 상태에서 광을 조사하여 도트패턴 인쇄영역(7a)을 제외한 나머지 제3제판망(6) 영역을 노광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노광작업은 광원(L_1)이 수은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수은등의 광원이 통과되는 영역에 볼록한 렌즈 형상이되 복수 개의 주름부가 이격되어 형성되는 프레넬 렌즈(fresnel lens)부(FL_1)를 배치함으로써, 수은등의 광원에서 발생하는 광산란을 줄여 광의 굴절 및 반사를 최소화하여 광의 직진성을 향상시키는데, 이는 인쇄작업시에 톱니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게 된다. 이와 같은 노광작업을 일정 시간동안 진행하게 되면, 제3제판망(6)은 도트패턴 인쇄영역(7a)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유제가 경화된다.15, the third plate network exposure step S14 irradiates the third patterned film 7 with the third patterned film 7 in close contact with the third plate network 6 to form the dot pattern printing area 7a, And exposing the third plate making net 6 region except for the second plate making net 6. Here, in the exposure operation, the light source L_1 may be composed of a mercury lamp, and a fresnel lens unit FL_1 formed by a plurality of corrugated portions spaced from each other by a convex lens shape in a region through which the light source of the mercury lamp passes, Thereby minimizing the light refraction and reflection of light by reducing the light scattering occurring in the light source of the mercury lamp, thereby improving the straightness of the light. This prevents the sawing phenomenon from occurring during the printing operation. When the exposure operation is perform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the third plate making net 6 is cured in the remaining areas except for the dot pattern printing area 7a.

상기 제3제판망현상단계(S15)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제판망(6)을 현상하여 도트패턴 인쇄영역(7a)에 잉크가 투과되도록 도트패턴 인쇄영역(7a)을 현상하여 도트패턴 투과영역(6a)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도트패턴 투과영역(6a)은 스퀴즈에 의해 잉크를 투과되어 후술하는 도트패턴층(50)을 형성하게 된다.The third plate making network development step S15 is a step of developing the third plate making net 6 to develop the dot pattern printing area 7a so that ink is transmitted to the dot pattern printing area 7a, Thereby forming the dot pattern transmitting region 6a. Here, the dot pattern transmitting region 6a is permeated with ink by squeezing to form the dot pattern layer 50 described later.

상기 도트패턴층 형성단계(S16)는 베젤인쇄층형성단계(S10)와 리무벌테이프 부착단계(S11) 사이에 진행되며, 실크스크린 기법에 의해 인쇄를 시행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도트패턴층 형성단계(S16)는 강화유리(10)에 제3제판망(6)을 밀착시킨 상태에서 도트패턴 투과영역(6a)에 잉크를 투과시켜 베젤인쇄층(30)의 하부에 도트패턴층(50)을 형성하되,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트패턴층(50)을 스마트폰의 액정에 형성된 곡면부(R1)와 대응하는 영역에 형성하고, 도트패턴층(50)의 도트들 각각의 직경이 스마트폰의 외곽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증가하도록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도트패턴층(50)에 이용되는 잉크는 고투명 잉크 또는 단색 잉크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도트패턴층 형성단계(S16)에서는 도트들의 직경이 증가되기 때문에, 도트의 직경이 클수록 두꺼운 두께로 형성된다. 따라서, 도트패턴층(50)은 액정(C1)의 외곽측으로 갈수록 두께와 도트의 직경이 증가하는 형태로 구현된다. 이와 같은 도트패턴층(50)은 외곽측으로 깊이가 증가하여 형성되기 때문에, 곡면부(R1)와의 갭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The dot pattern layer forming step S16 is performed between the bezel printing layer forming step S10 and the rigid tape attaching step S11, and printing is performed by the silk screen technique. The dot pattern layer forming step S16 is a step of forming the dot pattern layer 6a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ezel printing layer 30 by passing ink through the dot pattern transmitting area 6a in a state in which the third plate making net 6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tempered glass 10, 17, the dot pattern layer 50 is formed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curved surface portion R1 formed in the liquid crystal of the smartphone, and the pattern layer 50 is formed in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curved surface portion R1 formed in the liquid crystal of the smartphone. The diameter of each of the dots gradually increases toward the outer side of the smartphone. Here, the ink used for the dot pattern layer 50 may be composed of a highly transparent ink or a monochromatic ink. In this dot pattern layer formation step (S16), since the diameter of the dots increases, the larger the diameter of the dot, the thicker the thickness is formed. Accordingly, the dot pattern layer 50 is realized in such a manner that the thickness and the diameter of the dot increase toward the outer side of the liquid crystal C1. Since the dot pattern layer 50 is formed by increasing the depth toward the outer side, a gap with the curved surface portion R1 is not generated.

다음, 상기한 바와 같이, 도트패턴층(50)을 형성한 이후에, 전술한 리무벌테이프 부착단계(S11)를 진행하게 되면, 스마트폰에 점착가능한 액정보호용 시트가 완성이 된다.Next, as described above, after the dot pattern layer 50 is formed, if the above-mentioned step of attaching the rigid tape is performed (S11), a liquid crystal protective sheet which can be adhered to a smartphone is completed.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보호용 탈부착 시트의 제조 방법은 스마트폰의 액정면 외곽에 곡면부가 형성되는 경우, 외곽측으로 직경이 증가하는 도트패턴층(50)이 곡면부의 굴곡에 맞도록 두께가 증가하여 형성되기 때문에, 시트와 곡면부가 밀착되는 부위와 갭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목적/효과를 달성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detachable sheet for protecting liquid cryst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curved portion is formed outside the liquid crystal surface of a smart phone, the dot pattern layer 50 whose diameter increases toward the outer side It is possible to achieve the object / effect of preventing the gap between the sheet and the curved portion from being adhered to the sheet.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보호용 탈부착 시트의 제조 방법은 스마트폰의 액정면 외곽에 곡면부(R1)가 형성되는 경우 곡면부와 밀착되는 부위에 도트패턴층(50)만을 인쇄하는 작업만으로도 시트와 곡면부가 밀착되는 부위에 갭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목적/효과를 달성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urved portion R1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iquid crystal surface of the smartphone, only the dot pattern layer 50 is printed on the curved portion, It is possible to achieve the object / effect of preventing a gap from being generated in the portion where the sheet and the curved surface are in close contact even by the operation alon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articular embodiments, such as specific ele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nd drawings.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thereto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Accordingl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nd all of the equivalents or equivalents of the claims, as well as the following claims,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10 ; 강화유리 20 ; 투명인쇄층
21 ; 요홈패턴영역 22 ; 선패턴영역
30 ; 베젤인쇄층 40 ; 리무벌테이프
41 ; OCA층 42 ; 필름층
43 ; 점착층 50 ; 도트패턴층
c1 ; 스마트폰의 액정 R1 ; 곡면부
10; Tempered glass 20; Transparent print layer
21; A groove pattern region 22; Line pattern area
30; A bezel printing layer 40; Ribbon tape
41; OCA layer 42; Film layer
43; An adhesive layer 50; The dot pattern layer
c1; LCD of the smart phone R1; Curved portion

Claims (10)

강화유리(10);
상기 강화유리(10)의 하부면 가운데 베젤영역에 인쇄되는 선패턴영역(22) 및, 상기 강화유리(10)의 하부면 가운데 상기 베젤영역의 중앙영역에 인쇄되고 요홈이 패턴형태로 형성되는 요홈패턴영역(21)을 포함하며, 투명잉크로 인쇄되는 투명인쇄층(20);
상기 선패턴영역(22)과 결합되고, 상기 강화유리(10)의 베젤영역의 하부면에 인쇄되며, 특정 색상의 잉크로 인쇄되는 베젤인쇄층(30); 및,
상기 요홈패턴영역(21)과 상기 베젤인쇄층(30)을 덮도록 접착되는 OCA층(41)과, 상기 OCA층(41)에 결합되며 광투과재질로 이루어지는 필름층(42); 및, 상기 필름층(42)에 결합되는 점착층(43); 을 포함하는 리무벌테이프(40); 를 포함하며, 상기 베젤인쇄층(30)은 상기 투명인쇄층(20)과 중첩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보호용 탈부착 시트.
Tempered glass (10);
A line pattern area 22 printed on a bezel area in the lower side of the tempered glass 10 and a groove pattern 22 printed on a central area of the bezel area of the lower surface of the tempered glass 10, A transparent printing layer (20) including a pattern region (21) and printed with transparent ink;
A bezel printing layer (30) coupled to the line pattern area (22), prin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ezel area of the tempered glass (10) and printed with ink of a specific color; And
An OCA layer 41 adhered to cover the concave pattern region 21 and the bezel printing layer 30; a film layer 42 formed of a light transmitting material and coupled to the OCA layer 41; And an adhesive layer (43) bonded to the film layer (42); A rimbeing tape (40) comprising; And the bezel printing layer (30) is formed so as not to overlap with the transparent print layer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패턴영역(22)과 상기 요홈패턴영역(21)은 1도 인쇄에 의해 하나의 층으로 형성되되, 상기 요홈패턴영역(21)의 두께는 상기 선패턴영역(22)의 두께보다 두꺼운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보호용 탈부착 시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ine pattern region 22 and the concave pattern region 21 are formed by printing one layer at a time. The thickness of the concave pattern region 21 is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line pattern region 22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iquid crystal cell.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젤인쇄층(30)은 상기 선패턴영역(22)에 결합되어 형성되되, 상기 요홈패턴영역(21)의 하부면을 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보호용 탈부착 시트.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bezel printing layer (30) is formed to be coupled to the line pattern area (22) and does not extend beyond the lower surface of the concave pattern area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OCA층(41)은 상부 접착면의 일부가 상기 잉크로 인쇄된 요홈패턴영역(21)의 요홈에 삽입되도록 접착되고, 하부 접착면에 상기 필름층(42)이 평탄한 상태로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요홈패턴영역(21)을 상기 강화유리(10)의 상부공간에서 하부방향으로 바라보는 경우에 상기 요홈을 시각적으로 차단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보호용 탈부착 시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OCA layer 41 is adhered such that a part of the upper adhesive surface is inserted into the groove of the recessed pattern area 21 printed with the ink and the film layer 42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adhesive surface in a flat state, Wherein the grooves are visually blocked when the concave pattern area (21) is viewed downward from the upper space of the tempered glass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은 액정의 외곽에 곡면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리무벌테이프(40)와 상기 베젤인쇄층(3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베젤인쇄층(30)의 하부에 인쇄되어 형성되며, 상기 스마트폰의 액정에 형성된 곡면부와 대응하는 영역에 형성되고, 도트들 각각의 직경이 상기 스마트폰의 외곽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증가하도록 형성되는 도트패턴층(50); 을 더 포함하는 액정보호용 탈부착 시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martphone has a curved surface portion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liquid crystal,
The bezel printing layer 30 is formed by printing on the lower portion of the bezel printing layer 30 and is formed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a curved portion formed in the liquid crystal of the smartphone, A dot pattern layer 50 formed so that the diameter of each of the dots gradually increases toward the outer side of the smartphone; Further comprising a protective sheet for protecting the liquid crystal.
제1제판망(1)에 유제를 도포하여 제1제판망(1)을 준비하는 제1제판망준비단계(S01);
스마트폰의 베젤영역에 대한 선패턴 인쇄영역(2a)과 스마트폰의 중앙영역에 대한 요홈패턴 인쇄영역(2b)이 형성되는 도안필름(2)을 제작하는 도안필름준비단계(S02);
상기 제1제판망(1)에 상기 도안필름(2)을 밀착시킨 상태에서 광을 조사하여 상기 선패턴 인쇄영역(2a)과 상기 요홈패턴 인쇄영역(2b)을 제외한 나머지 제1제판망(1) 영역을 노광하는 제판망노광단계(S03);
상기 제1제판망(1)을 현상하여 상기 선패턴 인쇄영역(2a)과 상기 요홈패턴 인쇄영역(2b)이 위치한 영역에 잉크가 투과되도록 상기 선패턴 인쇄영역(2a)과 상기 요홈패턴 인쇄영역(2b)을 현상하여 선패턴 투과영역(3a)과 요홈패턴 투과영역(3b)을 형성하는 제1제판망현상단계(S04);
강화유리(10)에 상기 제1제판망(1)을 밀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선패턴 투과영역(3a)과 상기 요홈패턴 투과영역(3b)에 잉크를 투과시켜 투명인쇄층(20)을 형성하되, 상기 강화유리(10)의 베젤영역에 선패턴영역(22)이 형성되고 상기 강화유리(10)의 중앙영역에 요홈패턴영역(21)이 형성되도록 하는 투명인쇄층 인쇄단계(S05);
제2제판망(3)에 유제를 도포하여 제2제판망(3)을 준비하는 제2제판망준비단계(S06);
스마트폰의 베젤영역에 대응하는 베젤 인쇄영역(4a)이 형성되는 제2도안필름(4)을 제작하는 제2도안필름준비단계(S07);
상기 제2제판망(3)에 상기 제2도안필름(4)을 밀착시킨 상태에서 광을 조사하여 상기 베젤 인쇄영역(4a)을 제외한 나머지 제2제판망(3) 영역을 노광하는 제2제판망노광단계(S08);
상기 제2제판망(3)을 현상하여 상기 베젤 인쇄영역(4a)이 위치한 영역에 잉크가 투과되도록 상기 베젤 인쇄영역(4a)을 현상하여 베젤부 투과영역(5a)을 형성하는 제2제판망현상단계(S09);
상기 강화유리(10)에 상기 제2제판망(3)을 밀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베젤부 투과영역(5a)에 잉크를 투과시켜 상기 선패턴영역(22)에 결합되도록 상기 강화유리(10)의 베젤영역에 베젤인쇄층(30)을 형성하는 베젤인쇄층형성단계(S10); 및,
상기 요홈패턴영역(21)과 상기 베젤인쇄층(30)을 덮도록 접착되는 OCA층(41)과, 상기 OCA층(41)에 결합되는 필름층(42)과, 상기 필름층(42)에 결합되고 상기 스마트폰의 액정면과 점착되어 결합되는 점착층(43)을 포함하는 리무벌테이프(40)를 부착하는 리무벌테이프 부착단계(S11);를 포함하는 액정보호용 탈부착 시트의 제조방법.
A first plate making net preparing step (S01) for preparing the first plate making net (1) by applying the oil on the first plate making net (1);
A design film preparation step (S02) of producing a design film (2) in which a line pattern printing area (2a) for a bezel area of a smartphone and an artificial pattern printing area (2b) for a central area of a smartphone are formed;
The first plate making net 1 is irradiated with light in a state in which the pattern film 2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plate making net 1 so that the first plate making net 1 1 excluding the line pattern printing area 2a and the concave pattern printing area 2b (S03) < / RTI >
The first pattern making net 1 is developed to form the line pattern printing area 2a and the concave pattern printing area 2b so that ink is transmitted to the areas where the line pattern printing area 2a and the concave pattern printing area 2b are located, (S04) for developing the first patterned film (2b) to form a line pattern transmission area (3a) and a desired pattern transmission area (3b);
The transparent printing layer 20 is formed by transmitting ink to the line pattern transmitting region 3a and the concave pattern transmitting region 3b while the first screen forming net 1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tempered glass 10 A transparent printed layer printing step (S05) in which a line pattern area (22) is formed in a bezel area of the tempered glass (10) and a concave pattern area (21) is formed in a central area of the tempered glass (10);
A second plate making net preparing step (S06) of applying a tanning agent to the second plate making net (3) to prepare a second plate making net (3);
A second pattern film preparing step (S07) for producing a second pattern film (4) in which a bezel printing area (4a) corresponding to a bezel area of a smart phone is formed;
A second plate (4)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 plate network (3) and irradiates light to expose an area of the second plate network (3) other than the bezel printing area (4a) Screen exposure step (S08);
The second plate making net 3 is developed to develop the bezel printing area 4a so that ink is transmitted to an area where the bezel printing area 4a is located, Developing step S09;
The first plate making net 3 is attached to the tempered glass 10 so that ink is transmitted to the bezel passing area 5a to be bonded to the line pattern area 22, A bezel printing layer forming step (S10) of forming a bezel printing layer (30) in a bezel area; And
An OCA layer 41 adhered to cover the concave pattern area 21 and the bezel printing layer 30; a film layer 42 coupled to the OCA layer 41; (S11) attaching a rimmed tape (40), which is joined and includes 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43) bonded to the liquid crystal surface of the smartphon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인쇄층 인쇄단계(S05)에서는 상기 선패턴영역(22)과 상기 요홈패턴영역(21)을 1도 인쇄에 의해 하나의 층으로 형성하되, 상기 요홈패턴영역(21)의 두께를 상기 선패턴영역(22)의 두께보다 두꺼운 두께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보호용 탈부착 시트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In the printing step S05 of the transparent printed layer, the line pattern area 22 and the concave pattern area 21 are formed as a single layer by printing at 1 degree, and the thickness of the concave pattern area 21 is set to the line Is formed to have a thickness lar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pattern region (2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베젤인쇄층형성단계(S10)는 상기 베젤인쇄층(30)을 상기 선패턴영역(22)에 결합시켜 형성하되, 상기 요홈패턴영역(21)의 하부면을 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보호용 탈부착 시트.
8. The method of claim 7,
The bezel printing layer forming step S10 is formed by joining the bezel printing layer 30 to the line pattern area 22 so as not to exceed the lower surface of the concave pattern area 21. [ Detachable sheet for liquid crystal protect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리무벌테이프 부착단계(S11)에서는 상기 OCA층(41)의 상부 접착면의 일부가 상기 잉크로 인쇄된 요홈패턴영역(21)의 요홈에 삽입되도록 접착하고, 상기 OCA층(41)의 하부 접착면에 상기 필름층(42)이 평탄한 상태로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요홈패턴영역(21)을 상기 강화유리(10)의 상부공간에서 하부방향으로 바라보는 경우에 상기 요홈이 시각적으로 차단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보호용 탈부착 시트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 part of the upper adhesive surface of the OCA layer 41 is adhered to be inserted into the groove of the concave pattern area 21 printed with the ink, and the lower part of the OCA layer 41 The film layer 42 is adhered to the adhesive surface in a flat state so that the groove is visually blocked when the recessed pattern area 21 is viewed downward from the upper space of the tempered glass 10 Wherein the liquid crystal protection layer is formed on the substrat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은 액정의 외곽에 곡면부가 더 형성되고,
제3제판망(6)에 유제를 도포하여 제3제판망(6)을 준비하는 제3제판망준비단계(S12);
스마트폰 액정의 곡면영역과 중첩되는 도트패턴 인쇄영역(7a)을 구비하는 제3도안필름(7)을 제작하되, 상기 도트패턴 인쇄영역(7a)을 상기 스마트폰 액정의 곡면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하고, 상기 도트패턴 인쇄영역(7a)에 형성되는 도트들 각각의 직경들이 상기 스마트폰 액정의 외곽측으로 향할수록 점차적으로 증가되도록 형성하는 제3도안필름준비단계(S13);
상기 제3제판망(6)에 상기 제3도안필름(7)을 밀착시킨 상태에서 광을 조사하여 상기 도트패턴 인쇄영역(7a)을 제외한 나머지 제3제판망(6) 영역을 노광하는 제3제판망노광단계(S14);
상기 제3제판망(6)을 현상하여 상기 도트패턴 인쇄영역(7a)에 잉크가 투과되도록 상기 도트패턴 인쇄영역(7a)을 현상하여 도트패턴 투과영역(6a)을 형성하는 제3제판망현상단계(S15); 및,
상기 베젤인쇄층형성단계(S10)와 상기 리무벌테이프 부착단계(S11) 사이에 진행되며, 강화유리(10)에 상기 제3제판망(6)을 밀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도트패턴 투과영역(6a)에 잉크를 투과시켜 상기 베젤인쇄층(30)의 하부에 도트패턴층(50)을 형성하되 상기 도트패턴층(50)을 상기 스마트폰의 액정에 형성된 곡면부와 대응하는 영역에 형성하고, 상기 도트패턴층(50)의 도트들 각각의 직경이 상기 스마트폰의 외곽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증가하도록 형성하는 도트패턴층 형성단계(S16); 를 더 포함하는 액정보호용 탈부착 시트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smartphone has a curved surface portion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liquid crystal,
A third plate making net preparing step (S12) of applying a tanning agent to the third plate making net (6) to prepare a third plate making net (6);
A third pattern film (7) having a dot pattern print area (7a) superimposed on a curved area of a smartphone liquid crystal is manufactured, and the dot pattern print area (7a) is positioned at a position A third pattern film preparation step (S13) for forming diameters of the dots formed in the dot pattern printing area (7a) so as to gradually increase toward the outer side of the smartphone liquid crystal;
The third patterned film 7 is irradiated with light in a state in which the third patterned film 7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third plate making net 6 to expose the third plate making net 6 area except for the dot pattern printed area 7a, Plate-making screen exposure step (S14);
The third plate making net 6 is developed to develop the dot pattern printing area 7a so that the ink is transmitted to the dot pattern printing area 7a to form the dot pattern transmitting area 6a, Step S15; And
The third patterning net 6 is placed between the bezel printing layer forming step S10 and the rimmed tape attaching step S11 so that the third plate making net 6 is adhered to the tempered glass 10 and the dot pattern transmitting area 6a ) To form a dot pattern layer (50) below the bezel printing layer (30), wherein the dot pattern layer (50) is formed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a curved portion formed in the liquid crystal of the smartphone, A dot pattern layer forming step (S16) of forming a dot pattern layer (50) so that the diameter of each dot is gradually increased toward the outer side of the smartphone; Further comprising the steps of:
KR1020140155700A 2014-11-10 2014-11-10 Liquid crystal removable sheet and the fabrication method KR10164700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5700A KR101647004B1 (en) 2014-11-10 2014-11-10 Liquid crystal removable sheet and the fabrication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5700A KR101647004B1 (en) 2014-11-10 2014-11-10 Liquid crystal removable sheet and the fabrication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5637A true KR20160055637A (en) 2016-05-18
KR101647004B1 KR101647004B1 (en) 2016-08-10

Family

ID=56113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5700A KR101647004B1 (en) 2014-11-10 2014-11-10 Liquid crystal removable sheet and the fabrication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7004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7374A (en) * 2016-09-05 2018-03-14 김영수 Apparatus of detachable display having bezel design coupled a screen design
CN110266839A (en) * 2019-06-15 2019-09-20 恩利克(浙江)智能装备有限公司 The ultra-thin glass cover sheet structure of Folding display screen mobile phon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11727B2 (en) 2016-11-17 2021-05-1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0451B1 (en) * 2012-01-31 2012-11-12 정흥순 Protection film for mobile terminal displa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277727B1 (en) * 2013-03-08 2013-06-24 (주)미래씨엔피 Deco-film for touch window and method thereof
KR101329049B1 (en) 2013-01-09 2013-11-13 장경순 Lcd protection film of curved surface and manufaturing method thereof
KR20140065155A (en) 2012-11-21 2014-05-29 김영수 Touch screen panel protection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0451B1 (en) * 2012-01-31 2012-11-12 정흥순 Protection film for mobile terminal displa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40065155A (en) 2012-11-21 2014-05-29 김영수 Touch screen panel protection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329049B1 (en) 2013-01-09 2013-11-13 장경순 Lcd protection film of curved surface and manufaturing method thereof
KR101277727B1 (en) * 2013-03-08 2013-06-24 (주)미래씨엔피 Deco-film for touch window and method thereof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7374A (en) * 2016-09-05 2018-03-14 김영수 Apparatus of detachable display having bezel design coupled a screen design
WO2019050194A1 (en) * 2016-09-05 2019-03-14 김영수 Attachable/detachable display device having bezel design adapted to screen design
CN110266839A (en) * 2019-06-15 2019-09-20 恩利克(浙江)智能装备有限公司 The ultra-thin glass cover sheet structure of Folding display screen mobile pho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7004B1 (en) 2016-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7004B1 (en) Liquid crystal removable sheet and the fabrication method
KR101692341B1 (en) Deco-Film for Touch Window
KR101668627B1 (en) Producting Methode of Deco-Film for Touch Window
KR20140142904A (en) A cover sheet for display
JP6783413B2 (en) Display panel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JP2010244730A (en) Light guide plate, surface light-emitting apparatus,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light guide plate
KR20170086912A (en) The mobile terminal protective film and this method and a manufacturing apparatus for producing
KR102376939B1 (en) High definition offset printing sheet and manufacturing thereof
US20200080872A1 (en) Dial plate
KR101808175B1 (en) Producting Methode of Deco-Film for Touch Window
KR101609337B1 (en) Liquid crystal removable sheet and the fabrication method
TW307719B (en)
KR20170000649A (en) Removal sheet for protecting liquid crysta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06214906A (en) Dial for display
KR20160010065A (en) Liquid crystal removable sheet and the fabrication method
KR101216613B1 (en) Plastic cover window coated with glass for touch screen panel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20170059686A (en) Rim round type display protecting film
JP4916346B2 (en) Operation switch
US11473946B2 (en) Resin decorative part and dial plate
KR102098707B1 (en) Case for electric device comprising decoration fil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5646262B2 (en) Image display device
JP2007010716A (en) Peep preventing structure
JP5391238B2 (en) Dot pattern printing light guide plate
JP2016126240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resin plate precursor for printing and flexographic printing plate
JP2007010717A (en) Optical fil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