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5413A - Automatic scoring system for driving license test using around-view monitering video, and method for the same - Google Patents

Automatic scoring system for driving license test using around-view monitering video, and method for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5413A
KR20160055413A KR1020140155147A KR20140155147A KR20160055413A KR 20160055413 A KR20160055413 A KR 20160055413A KR 1020140155147 A KR1020140155147 A KR 1020140155147A KR 20140155147 A KR20140155147 A KR 20140155147A KR 20160055413 A KR20160055413 A KR 201600554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st
course
scoring
vehicle
licen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514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44109B1 (en
Inventor
이은규
Original Assignee
(주)네오정보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네오정보시스템 filed Critical (주)네오정보시스템
Priority to KR1020140155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4109B1/en
Publication of KR20160055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541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41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410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2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using treadles built into the roa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generally relates to a technology of effectively and automatically marking a driver′s license test and, more specifically, to a technology of effectively and automatically marking a driver′s license test: obtaining an image of the periphery of a test vehicle through a camera; recognizing a section where the vehicle is proceeding through an image process;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vehicle goes into a test course; detecting a division line inside the test course; and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test vehicle accurately performs a task of the driver′s license test without deviating from the division l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driver′s license test, an automatic marking system for a driver′s license test can be established at a relatively inexpensive price.

Description

어라운드뷰 영상을 이용한 운전면허 자동채점 시스템 및 방법{Automatic scoring system for driving license test using around-view monitering video, and method for the sam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scoring system,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운전면허 시험을 효과적으로 자동 채점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시험 차량 주변의 영상을 카메라를 통해 획득하고 영상처리를 통해 차량이 진행하고 있는 구간인식과 시험코스 내부의 진입여부를 판별하고 시험코스 내부의 구획 선을 감지함으로써 시험 차량이 구획 선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정확하게 운전면허 시험의 과제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이를 통해 운전면허 시험을 자동으로 채점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generally relates to a technique for effectively scoring a driver's license test.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acquiring an image around a test vehicle through a camera, recognizing an interval that the vehicle is proceeding through image processing, determining whether the test course has entered the inside of the test cours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ique for automatically determining whether a vehicle carries out a test of driving license test without departing from a zone line, and thereby automatically scoring a driving license test.

운전면허 시험은 학과 시험, 기능 시험, 도로주행 시험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중에서 기능 시험은 운전면허 시험장에 실제 도로와 비슷한 환경의 지형물을 설치하여 수험생의 운전 능력을 평가하는 것이다.The driver 's license test consists of a departmental test, a functional test, and a road test. Among these, the functional test is to evaluate the driver' s driving ability by installing a terrain similar to an actual road in a driver 's license test center.

운전면허 시험장에는 수험생의 운전 미숙을 감지하여 기능 시험 점수에 반영하기 위한 기술적 장치가 운전면허 시험 시스템에 마련되어 있다. 기능 시험을 위한 과제 별로 차량이 준수해야 하는 경로 내지 기준선이 설정되어 있다. 운전면허 시험 시스템은 이들 경로 내지 기준선의 도로면에 검지선(센서)를 매설해 두고서 시험 차량이 이를 이탈하여 검지선을 바퀴로 누르게 되면 운전 실수로 간주하여 수험생에게 감점을 주는 것이다.The driver's license test system is equipped with a technical device for the driving license test system to detect the driver's immaturity and reflect it on the functional test score. Routes and baselines that the vehicle must follow for each task for the functional test are set. The driver's license test system buries a sensor (sensor) on the road surface of these paths or baselines, and when the test vehicle leaves the test vehicle and presses the sensor with the wheel, it is regarded as a driving mistake.

이처럼 운전면허 시험에 있어서 자동채점을 수행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은 운전면허시험장에 센서를 매설하고 시험 차량이 이를 통과하는 것을 감지하는 것이 기본 구조로 되어 있어 왔다.The conventional technique for performing the automatic grading in the driver's license test has been based on the basic structure in which the sensor is buried in the driving license test room and the test vehicle passes through it.

이러한 방식에서는 운전면허 시험장의 바닥에 경로를 따라 다수의 센서를 매설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운전면허 시험장 건설을 위한 토목공사를 진행할 때부터 센서 매설을 위한 도면설계가 이루어져야 하고 토목공사와 함께 센서 매설이 이루어져야 했다. 기존 운영중인 운전면허 시험장의 경우에는 일정 기간동안 전부 또는 일부 영역에 대해 운전면허 시험을 중단한 상태에서 시험장 바닥을 다시 파고 자동채점용 센서를 매설하는 과정이 필요했다. 이로 인하여 자동채점을 위한 설비구축에 상당한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었다.In this manner, multiple sensors should be embedded along the path at the bottom of the driver's license test site. For this purpose, from the time of civil engineering works for the construction of the driver 's license test site, the drawing for the sensor burial has to be designed and the sensor burial has to be done along with the civil engineering works. In the case of the existing driver's license test center, it was necessary to re-dig the floor of the test ground and lay down the sensor for automatic scoring while the driver's license test was stopped for all or a part of the area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t took a considerable amount of time and money to construct a facility for automatic scoring.

그에 따라, 운전면허 자동채점을 구현함에 있어서 운전면허 시험장의 설비구축에 따른 비용과 시간을 감소시킴으로써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이 요망되었다.
Accordingly, there has been a demand for a technology capable of solving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by reducing the cost and time for constructing the driving license test center in implementing the automatic license driving test.

1. 대한민국 특허출원 10-1996-0042147호 "운전면허 전자채점 시스템"1.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1996-0042147 "Driver's License Electronic Scoring System"

2.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20-2001-0017959호 "활성 상태의 탈선 검지장치"2.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Application No. 20-2001-0017959 entitled "Active Deviation Detection Device"

3.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01-0051651호 "압력감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운전면허 시험 시스템"3.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01-0051651 "Pressure Sensing System and Driver's License Test System Using It"

4.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02-0009056호 "도로주행 채점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전자채점 시스템 및 채점 방법"4.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02-0009056 entitled " Road Running Scoring Device, Electronic Scoring System Including It, and Scoring Method "

5.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04-002726호 "최첨단 인공위성 위치 측정 장치를 이용한 자동차 운전면허 실기 자동평가 시스템 및 방법"5.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04-002726 entitled "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Evaluating Vehicle Driving License Practice Using a State of the Art Satellite Positioning Apparatus "

6.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05-0042906호 "운전면허 시험 시스템에서의 경로 이탈 판별 장치 및 그 방법"6.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05-0042906 "Apparatus for determining path deviation in driver's license test system and method thereof"

7.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20-2005-0014458호 "운전면허 시험에서의 차량의 구역 이탈 판별 장치"7. Utility Model Registration Application No. 20-2005-0014458 of the Republic of Korea "Apparatus for determining the departure of a vehicle from a driver's license test"

8.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11-0139112호 "도로주행 시험 채점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도로주행 시험 채점 방법"8.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11-0139112 entitled " Road Test Test Scoring System and Road Test Test Scoring Method Using It "

9.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12-0119083호 "도로주행 테스트용 전자채점 장치 및 방법"
9.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12-0119083 "Electronic Scoring Apparatus and Method for Road Driving Test"

본 발명의 목적은 운전면허 시험을 효과적으로 자동 채점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시험 차량 주변의 영상을 카메라를 통해 획득하고 영상처리를 통해 차량이 진행하고 있는 구간인식과 시험코스 내부의 진입여부를 판별하고 시험코스 내부의 구획 선을 감지함으로써 시험 차량이 구획 선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정확하게 운전면허 시험의 과제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이를 통해 운전면허 시험을 자동으로 채점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echnique for effectively scoring a driver's license test. In particula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acquiring a video image of a test vehicle through a camera, recognizing a zone on which the vehicle is proceeding through image processing, This is to provide a technique for judging whether or not to carry out the task of the driver's license test correctly without going out of the section line and automatically scoring the driver's license test.

이상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어라운드뷰 영상을 이용한 운전면허 자동채점 시스템은, 시험 차량에 설치된 복수의 카메라로부터 획득한 촬영 영상을 영상처리함으로써 시험 차량에 대한 AVM 영상을 생성하는 AVM 영상처리기(100); 운전면허 시험코스에 대한 구분 체크마크의 식별 정보를 저장하고, 구분 체크마크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AVM 영상을 분석함으로써 운전면허 시험의 자동채점을 수행하는 자동채점 제어기(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ystem for automatically scoring a driver's license using an overview image, comprising: an AVM image processor for generating an AVM image for a test vehicle by image- (100); And an automatic scoring controller (200) for stor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division check mark for the driver's license test course and analyzing the AVM image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ivision check mark to perform automatic scoring of the driver's license test do.

이때, 자동채점 제어기(200)는, AVM 영상처리기로부터 시험 차량에 대한 AVM 영상을 수신하는 AVM 수신부(210); 운전면허 시험코스에 대한 구간인식 표식 및 코스 구획선을 포함하는 구분 체크마크의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체크마크 저장부(230); AVM 영상에서 구간인식 표식을 식별하는 구간표식 식별부(240); AVM 영상에서 코스 구획선을 식별하는 구획선 식별부(250); 코스 구획선에 기초하여 시험 차량이 운전면허 시험코스에 따른 코스 경계를 벗어났는지 여부를 식별하고 그에 따른 개별 채점을 처리하는 채점이벤트 처리부(260); 구간인식 표식에 기초하여 시험코스를 식별하고 상기 채점이벤트 처리부의 개별 채점 결과를 취합하여 상기 식별된 시험코스에 대한 자동채점을 처리하는 자동채점 제어부(27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automatic scoring controller 200 includes an AVM receiver 210 for receiving an AVM image of a test vehicle from the AVM image processor; A check mark storage unit 230 for stor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division check mark including a section recognition mark and a course partition line for the driver's license test course; An interval marker identifying unit 240 for identifying the interval marker in the AVM image; A partition line identification unit 250 for identifying a course partition line in the AVM image; A scoring event processing unit (260) for identifying whether the test vehicle is out of the course boundary according to the driving license test course based on the course segment line and processing individual scoring corresponding thereto; And an automatic grading control unit (270) for identifying a test course based on the interval recognition markers and collecting individual grading results of the grading event processing unit and processing automatic grading for the identified test course.

또한, 자동채점 제어기(200)는, 시험 차량에 설치된 복수 개의 차량 센서로부터 센서 입력을 수신하는 차량센서 수신부(22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자동채점 제어부(270)는 AVM 영상으로부터 시험코스에서 시험 차량의 위치를 식별하고 그에 따른 요구사항과 상기 차량 센서의 센싱 입력을 대비한 결과를 시험코스 채점에 반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automatic grading control unit 200 further includes a vehicle sensor receiving unit 220 for receiving sensor inputs from a plurality of vehicle sensors installed on the test vehicle, And to reflect the result of comparing the requirement with the sensing input of the vehicle sensor to the test course scor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어라운드뷰 영상을 이용한 운전면허 자동채점 시스템은, 자동채점 제어기에 의한 자동채점 결과를 디스플레이 표시하는 채점 모니터(300); 자동채점 제어기에 의한 자동채점 결과를 무선으로 수신하여 시험 차량의 시험진행 상태를 실시간 모니터링하기 위한 통제실의 채점관리 컴퓨터(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iving license automatic grading system using the surround view im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rading monitor 300 for displaying an automatic grading result by the automatic grading controller; And a scoring management computer 400 of a control room for wirelessly receiving an automatic scoring result by the automatic scoring controller and real-time monitoring of the test progress status of the test vehicl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어라운드뷰 영상을 이용한 운전면허 자동채점 방법은, 운전면허 시험코스에 대한 구분 체크마크의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제 1 단계; 시험 차량에 설치된 복수의 카메라로부터 획득한 촬영 영상을 영상처리함으로써 시험 차량 주변의 AVM 영상을 생성하는 제 2 단계; 구분 체크마크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AVM 영상을 분석함으로써 운전면허 시험의 자동채점을 수행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a method for automatically scoring a driving license using an approach view im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tep of stor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division check mark for a driving license test course; A second step of generating an AVM image around the test vehicle by image processing an image captured from a plurality of cameras installed on the test vehicle; And a third step of performing automatic scoring of the driver's license test by analyzing the AVM image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ivision check mark.

이때, 구분 체크마크는 운전면허 시험코스에 대한 구간인식 표식 및 코스 구획선을 포함하고, 제 3 단계는, AVM 영상에서 구간인식 표식을 식별하여 시험코스를 식별하는 단계; AVM 영상에서 코스 구획선을 식별하여 시험 차량이 운전면허 시험코스에 따른 코스 경계를 벗어났는지 여부를 식별하고 그에 따른 개별 채점을 처리하는 단계; 개별 채점 결과를 취합하여 그 식별된 시험코스에 대한 자동채점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division check mark includes a section recognition mark and a course partition line for the driving license test course, and the third step includes: identifying the examination course by identifying the section recognition mark on the AVM image; Identifying a course segment line in the AVM image to identify whether the test vehicle is out of the course boundary according to the driving license test course and processing the individual scoring accordingly; Collecting the individual scoring results and processing the automatic scoring for the identified test cours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어라운드뷰 영상을 이용한 운전면허 자동채점 방법은, 제 1 단계 이후에 수행되고 제 3 단계 이전에 수행되는, 시험 차량에 설치된 복수 개의 차량 센서로부터 센싱 입력을 제공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제 3 단계는, AVM 영상으로부터 시험코스에서 시험 차량의 위치를 식별하고 그에 따른 요구사항과 차량 센서의 센싱 입력을 대비한 결과를 시험코스 채점에 반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automatically scoring a driver's license using an approach-view image, the method comprising: receiving a sensing input from a plurality of vehicle sensors installed on a test vehicle performed after a first step and before a third step; And the third step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identifying the position of the test vehicle in the test course from the AVM image and reflecting the result of the comparison with the requirement of the sensory input of the vehicle sensor in the test course scoring .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는 컴퓨터에 이상과 같은 어라운드뷰 영상을 이용한 운전면허 자동채점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이다.
Meanwhile,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cords a program for executing a driver's license automatic scoring method using an overview image such as the above.

본 발명에 따르면 운전면허 시험에 있어서 운전면허 자동채점 시스템을 비교적 저렴한 가격으로 빠르게 구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driver's license automatic scoring system can be constructed quickly at a relatively low price in the driver's license test.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운전면허 시험장 바닥에 대량의 센서를 매설할 필요 없이 차량에 어라운드뷰 영상을얻기 위한 간단한 카메라 장비만 설치하면 자동 채점을 통해 정확한 시험 결과를 도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Particular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accurate test results through automatic scoring if only a simple camera device for obtaining an overview image of a vehicle is installed without burdening a large number of sensors on the floor of a driving license examination room.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운전면허 시험장 바닥에는 자동채점을 지원하기 위한 설비(예: 센서, 튜브 등)를 설치할 필요 없이 단지 구간표식 및 시험구획 페인팅만 하면 되기 때문에 자동채점 설비를 설치하기 위한 비용이 낮고 신속한 설치도 가능한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necessary to install facilities (for example, sensors, tubes, etc.) for supporting automatic scoring on the floor of the driver's license test center,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install quickly and quickly.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운전면허 시험장에 자동채점 시스템을 도입하는 경우라도 별도의 바닥시설이 필요 없고 일부 페인팅의 수정만 하면 되므로 시스템 전환이 효율적이다. 어라운드뷰 영상을 생성하는 카메라 장비를 갖춘 시험 차량은 외부에서 제작하여 도입하면 되므로 채점 시스템을 전환하는 경우에도 운전면허 시험장 운영을 정상적으로 지속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an automatic scoring system is introduced to an existing driver's license test center, a separate floor facility is not required and system conversion is efficient since only some paintings need to be corrected. Test vehicles equipped with the camera equipment that generates the surround view image can be produced from outside, so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license test center can be continued normally even when the scoring system is switched.

[도 1]은 일반적인 어라운드뷰 영상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어라운드뷰 영상에 기초하여 운전면허 시험의 개별 항목에 대한 자동채점을 달성하는 구조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서 자동채점 제어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운전면허 자동채점 시스템에서 자동 채점을 위한 데이터 수집 및 처리 구조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5]은 본 발명의 운전면허 자동채점 시스템을 적용한 코스 시험 과정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운전면허 자동채점 시스템이 다양한 시험코스에 적용될 수 있음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어라운드뷰 영상에 기초하여 운전면허 자동채점를 구현하는 전체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에서 운전면허 자동채점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
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general overview image,
[Fig. 2] conceptually shows a structure for achieving automatic scoring of individual items of the driver's license test based on the surround view im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n automatic scoring controller in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conceptually showing a data collection and processing structure for automatic scoring in the driver's license automatic scor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conceptually showing a course test process to which the driver's license automatic scor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6 is a diagram showing that the driving license automatic scor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test courses,
7 is a flowchart showing an entire process for implementing driving license automatic scoring based on the surround view im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flowchart showing an embodiment of implementing driving license automatic scoring in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일반적인 어라운드뷰(AVM) 영상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1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general overview image (AVM) image.

최근들어 주차를 지원하기 위하여 AVM(Around View Monitor) 시스템이 도입되는 추세이다. AVM 시스템은 복수의 카메라를 차량에 설치하여 차량 전후좌우를 촬영한 후, 차량의 이동거리 및 방위 변화에 기초하여 이들 촬영 영상을 합성하여 하나의 영상으로 표시한다.Recently, AVM (Around View Monitor) system has been introduced to support parking. In the AVM system, a plurality of cameras are installed in a vehicle, and the images are photographed in front, rea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vehicle, and then these photographed images are combined and displayed as a single image based on a change in the moving distance and azimuth of the vehicle.

[도 1]을 참조하면, AVM 시스템은 차량의 전후좌우에 장착된 복수의 카메라(101 내지 104)로부터 복수 개의 촬영 영상(111 내지 114)를 지속적으로 제공받고, 이들 촬영 영상에 대해 이미지 개선, 왜곡 보정, 이미지 정합 및 합성 등과 같은 영상처리를 수행하여 차량의 어라운드뷰 영상(115)를 획득한다.
Referring to FIG. 1, the AVM system continuously receives a plurality of photographed images 111 to 114 from a plurality of cameras 101 to 104 mounted on the front, rear, right, and left sides of the vehicle, Distortion correction, image registration, and synthesis to acquire the surround view image 115 of the vehicle.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어라운드뷰 영상에 기초하여 운전면허 시험의 개별 항목에 대한 자동채점을 달성하는 구조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은 본 발명의 운전면허 자동채점 시스템을 적용한 코스 시험 과정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운전면허 자동채점 시스템이 다양한 시험코스에 적용될 수 있음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2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structure for achieving automatic grading of individual items of the driver's license test based on the surround view im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course test process applied. 6 is a diagram showing that the driving license automatic scor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test courses.

[도 5]를 참조하면, 운전면허 시험장의 각 시험코스에 대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채점을 보조하기 위한 구분 체크마크(131 ~ 135)가 예컨대 페인트로 표시되어 있다. 이때, 구분 체크마크는 구간인식 표식(131)과 코스 구획선(132 ~ 135)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5, for each test course of the driver's license test center, division check marks 131 to 135 for assisting automatic sco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indicated, for example, by paints.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division check mark is realized by the interval recognition mark 131 and the course partition lines 132 to 135.

[도 2]를 참조하면, 자동채점 제어기(200)는 시험 차량의 AVM 영상(115)에 대한 영상처리 및 사물식별 기능에 기초하여 운전면허 시험의 자동채점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자동채점 제어기(200)는 바닥에 표시된 구간인식 표식(131), 예컨대 "T1"을 식별함으로써 시험 차량(M)이 운전면허 시험에서 현재 어떤 과제를 수행해야 하는지 식별한다. 구간인식 표식(131)은 시험코스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미리 설정된 특정의 표식을 사용한다.Referring to FIG. 2, the automatic scoring controller 200 performs automatic scoring of the driving license test based on the image processing and the object identification function for the AVM image 115 of the test vehicle. To this end, the auto-scoring controller 200 identifies which task (s) the test vehicle M should currently perform in the driving license test by identifying the interval recognition mark 131, e.g., "T1" The interval recognition tag 131 is used to distinguish the test course, and uses a predetermined mark previously set.

이어서, 자동채점 제어기(200)는 AVM 영상(115)을 분석함으로써 시험코스에 대한 코스 구획선(132 ~ 135)을 식별하며 시험 차량(M)이 운전면허 시험코스에 따른 코스 경계를 벗어났는지 여부를 식별한다. [도 2]에서는 시험차량이 후방 측면의 코스 경계를 침범한 경우를 도시하였다. 자동채점 제어기(200)는 시험 차량(M)이 코스 경계를 벗어났다고 식별될 때마다 미리 설정된 방식에 따른 개별 채점(예: 감점)을 처리하며, 미션을 완료한 때에 이들 개별 채점 결과를 취합하여 해당 시험코스에 대한 자동채점을 처리한다.Subsequently, the automatic grading controller 200 identifies the course segment lines 132 to 135 for the test course by analyzing the AVM image 115 and determines whether the test vehicle M is out of the course boundary according to the driving license test course . FIG. 2 shows a case where the test vehicle invades the course boundary on the rear side. The automatic scoring controller 200 processes individual scoring points (for example, deduction points) according to a preset method every time the test vehicle M is identified as being out of the course boundary, and when the mission is completed, Handle automatic grading for the test course.

한편, 코스 구획선(132 ~ 135)도 색깔이나 무늬에 제한은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실외 환경의 변화에도 식별이 용이하도록 예컨대 노란색과 검은색의 얼룩무늬로 선택한다.On the other hand, the course partition lines 132 to 135 are not limited to colors and patterns, but are preferably selected, for example, as yellow and black spots so as to facilitate identification even when the outdoor environment changes.

또한, 시험 차량(M)이 해당 시험코스에 진입하여 과제 수행을 개시하였는지 여부의 식별은 구간인식 표식(131)에 의할 수도 있고 코스 구획선(132 ~ 135)에 의할 수도 있다. [도 5]에서는 구간인식 표식(131)의 일부에 진입 경계선을 표시함으로써 시험코스 진입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하였다.Whether or not the test vehicle M has entered the test course and started performing the task can be identified by the interval recognition mark 131 or by the course partition lines 132 to 135. [ 5, an entry boundary line is displayed in a part of the interval recognition mark 131 so that entry of the test course can be identified.

한편, 이처럼 AVM 영상에 기초하여 운전면허 시험을 채점하는 러한 방식은 다양한 형태의 시험코스에 대해 적용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운전면허 자동채점 시스템이 다양한 시험코스에 적용될 수 있음을 나타내는 도면인데, 직렬주차, 병렬주차, 앵글주차, 돌발 급제동, 경사로 정지 등의 시험코스에 대해 적절하게 미션을 완수하였는지 여부에 대한 평가를 AVM 영상을 분석함으로써 자동으로 채점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각 시험코스마다 상이하게 구간인식 표식(T1, P1, A1, E1, H1)이 표시되어 있고, 해당 미션의 수행 능력을 평가할 수 있도록 코스 구획선도 적절하게 표시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such a method of scoring a driver's license test based on an AVM image can be applied to various types of test courses. FIG. 6 is a diagram showing that the driving license automatic scor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test courses, and appropriately performs missions for test courses such as serial parking, parallel parking, angle parking, sudden braking, An evaluation of whether or not it has been completed can be automatically scored by analyzing the AVM image. 6, section recognition marks (T1, P1, A1, E1, and H1) are displayed differently for each test course, and a course partition line is appropriately displayed so that performance of the mission can be evaluated .

[도 3]은 본 발명에서 자동채점 제어기(20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운전면허 자동채점 시스템에서 자동 채점을 위한 데이터 수집 및 처리 구조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automatic grading controller 200 in the present invention. FIG. 4 conceptually shows a data gathering and processing structure for automatic grading in the driver's license automatic grad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운전면허 자동채점 시스템은 AVM 영상처리기(100), 자동채점 제어기(200), 채점 모니터(300), 채점관리 컴퓨터(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4, the DRM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VM image processor 100, an automatic scoring controller 200, a scoring monitor 300, and a scoring management computer 400 do.

AVM 영상처리기(100)는 시험 차량(M)에 설치된 복수의 카메라(101 내지 104)로부터 획득한 촬영 영상(111 내지 114)을 영상처리함으로써 시험 차량(M)에 대한 AVM 영상(115)을 생성한다.The AVM image processor 100 generates an AVM image 115 for the test vehicle M by image processing the photographed images 111 to 114 obtained from the plurality of cameras 101 to 104 provided in the test vehicle M do.

시험 차량(M)의 전후좌우에 예컨대 4개의 180도 광각(어안렌즈) 카메라(101 내지 104)를 장착하고 이들 카메라를 통해 복수의 촬영 영상(111 내지 114)을 획득한다. 광각 카메라를 통해 얻어진 영상은 평면적이지 않고 원형으로 찌그러진 영상을 얻게 되는데 이를 영상처리를 통해 평면화시키고 조합하여 시험 차량(M) 주변의 영상을 모두 얻을 수 있다.Four 180 degree wide angle (fisheye) cameras 101 to 104 are mounted on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test vehicle M, and a plurality of photographed images 111 to 114 are obtained through these cameras. The images obtained through the wide-angle camera are not flat but distorted in a circular shape, which can be flattened and combined by image processing to obtain all of the images around the test vehicle M.

이렇게 얻은 영상은 차량 주변의 영상만 있고 실제 차량이 있어야 할 자리는 비어있는 상태가 되는데 여기에 해당 차량의 영상을 결합하면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마치 하늘에서 차량을 내려다본 듯 한 영상을 구현할 수 있다. 왜곡이 없는 좀더 정교한 영상을 얻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영상 튜닝 과정이 필요하며 튜닝과정을 거치고 나면 시험 차량(M)에 대한 양호한 품질의 어라운드뷰 영상(115)을 얻을 수 있다.The image thus obtained is only the image of the surroundings of the vehicle, and the place where the actual vehicle should be present is empty. When the images of the vehicle are combined, as shown in FIG. 1, Can be implemented. In order to obtain a more sophisticated image without distortion, an additional image tuning process is required. After the tuning process, a good quality surrounding view image 115 for the test vehicle M can be obtained.

자동채점 제어기(200)는 운전면허 시험코스에 대한 구분 체크마크(131 ~ 135)의 식별 정보를 저장하고, 구분 체크마크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AVM 영상처리기(100)가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AVM 영상(115)을 분석함으로써 운전면허 시험의 자동채점을 수행한다.The automatic grading controller 200 stor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ivision check marks 131 to 135 for the driver's license test course, and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ivision check mark, the AVM image processor 100 real- (115) of the driver's license test.

자동채점 제어기(200)는 AVM 영상처리기(100)로부터 제공받은 AVM 영상(115)에 대해 고속의 실시간 영상인식 처리, 예컨대 초당 5프레임 이상의 실시간 영상인식을 수행함으로써 운전면허 시험에서 시험코스에 대한 각종 표식 및 차량의 차선침범 여부를 인식하고 시험 차량(M)에 설치된 다양한 차량 센서(105)의 센싱 입력을 조합하여 자동채점을 수행한다.The automatic grading controller 200 performs high-speed real-time image recognition processing on the AVM image 115 provided from the AVM image processor 100, for example, real-time image recognition of 5 frames per second or more, Recognizes whether or not the vehicle is in the lane, and carries out automatic scoring by combining the sensing inputs of various vehicle sensors 105 installed in the test vehicle (M).

이를 위해, 자동채점 제어기(200)는 운전면허 시험코스에 대한 구분 체크마크(131 ~ 135)의 식별 정보를 저장한다. [도 5]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운전면허 시험장에는 각 시험코스에 대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채점을 보조하기 위한 구분 체크마크로서 구간인식 표식(131)과 코스 구획선(132 ~ 135)이 예컨대 페인트로 표시되어 있다. 자동채점 제어기(200)는 카메라에서 촬영한 AVM 영상(115)에 구분 체크마크가 나타나는 경우에는 이들을 식별해야 하므로 이를 위한 식별 정보를 저장하고 있어야 한다. To this end, the auto-scoring controller 200 stor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ivision check marks 131 to 135 for the driver's license test course.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5, the driver's license test site is provided with the interval recognition mark 131 and the course partition lines 132 to 135 as the division check marks for assisting the automatic sco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each test course For example, paint. When a division check mark appears on the AVM image 115 photographed by the camera, the automatic grading controller 200 must identify the AVM image 115 and stor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refor.

한편, 구분 체크마크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AVM 영상(115)을 분석함으로써 운전면허 시험의 자동채점을 수행하기 위한 자동채점 제어기(200)의 일 실시예는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On the other hand, an embodiment of the automatic grading controller 200 for performing the automatic grading of the driving license test by analyzing the AVM image 115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ivision check mark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채점 모니터(300)는 자동채점 제어기(200)에 의한 자동채점 결과를 모니터 화면에 디스플레이 표시하는데, 바람직하게는 시험 차량(M)의 내부에 설치되어 응시자 내지 감독관이 자동채점 결과를 그때그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e scoring monitor 300 displays the result of automatic scoring by the automatic scoring controller 200 on a monitor screen. Preferably, the scoring monitor 300 is installed inside the test vehicle M, and the examiner or the supervisor can check the automatic scoring result at that time. .

채점관리 컴퓨터(400)는 자동채점 제어기(200)에 의한 자동채점 결과를 무선으로 수신하여 시험 차량(M)의 시험진행 상태를 운전면허 시험장의 통제실이 실시간 모니터링하기 위한 장치이다. 또한, 채점관리 컴퓨터(400)는 운전면허 자동채점 결과를 데이터베이스로서 관리하는 기능을 갖출 수도 있다.
The scoring management computer 400 is a device for wirelessly receiving the automatic scoring result by the automatic scoring controller 200 and real-time monitoring the test progress of the test vehicle M by the control room of the driving license test center. In addition, the score management computer 400 may have a function of managing the result of the automatic license scoring as a database.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채점 제어기(200)는 AVM 수신부(210), 차량센서 수신부(220), 체크마크 저장부(230), 구간표식 식별부(240), 구획선 식별부(250), 채점이벤트 처리부(260), 자동채점 제어부(2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3, an automatic scoring controller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VM receiving unit 210, a vehicle sensor receiving unit 220, a check mark storing unit 230, an interval marker identifying unit 240, A division line identification unit 250, a scoring event processing unit 260, and an automatic scoring control unit 270.

AVM 수신부(210)는 AVM 영상처리기(100)로부터 시험 차량(M)에 대한 AVM 영상(115)을 수신한다.The AVM receiving unit 210 receives the AVM image 115 for the test vehicle M from the AVM image processor 100.

차량센서 수신부(220)는 시험 차량(M)에 설치된 복수 개의 차량 센서(105)로부터 센서 입력을 수신한다. 운전면허 시험 결과를 채점하기 위한 정보 획득을 목적으로 시험 차량(M)에는 주차레버 조작, 가속 정도, 핸들조작, 방향지시등 조작, 안전벨트 체결 여부 등을 감지하기 위한 차량 센서(105)가 설치되어 있다. 차량센서 수신부(220)는 이들 차량 센서(105)로부터 센서 입력을 수신한다.The vehicle sensor receiving unit 220 receives sensor inputs from a plurality of vehicle sensors 105 installed on the test vehicle M. [ For the purpose of obtaining information for scoring the driver's license test results, the test vehicle M is provided with a vehicle sensor 105 for detecting the operation of the parking lever, the degree of acceleration, the operation of the steering wheel, the operation of the turn signal lamp, have. The vehicle sensor receiving section 220 receives sensor inputs from these vehicle sensors 105. [

체크마크 저장부(230)는 운전면허 시험코스에 대한 구간인식 표식(131) 및 코스 구획선(132 ~ 135)을 포함하는 구분 체크마크의 식별 정보를 저장한다. 바람직하게는 AVM 영상(115)에서 구분 체크마크(131 내지 132)를 식별하기 위한 기초 정보를 저장한다.The check mark storage unit 230 stor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ivision check mark including the interval recognition mark 131 and the course partition lines 132 to 135 for the driving license test course. Preferably, basic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division check marks 131 to 132 in the AVM image 115 is stored.

구간표식 식별부(240)는 AVM 영상(115)으로부터 구간인식 표식(131)을 식별한다. [도 5]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구간인식 표식(131)은 운전면허 시험장에서 시험코스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기초하여 자동채점 제어기(200)는 시험 차량(M)이 운전면허 시험에서 현재 어떤 과제를 수행해야 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The section marker identifying unit 240 identifies the section marker 131 from the AVM image 115.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5, the section recognition flag 131 is used to classify the test courses in the driving license test center. On the basis of this, the automatic grading controller 200 judges whether the test vehicle (M) You can now decide which tasks you need to perform.

구획선 식별부(250)는 AVM 영상(115)으로부터 코스 구획선(132 ~ 135)을 식별한다. [도 5]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코스 구획선(132 ~ 135)은 시험 차량(M)이 운전면허 시험코스에 따른 코스 경계를 벗어났는지 여부를 식별하기 위한 것이다.The partition line identification unit 250 identifies the course partition lines 132 to 135 from the AVM image 115.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5, the course partition lines 132 to 135 are for discriminating whether or not the test vehicle M is out of the course boundary according to the driving license examination course.

채점이벤트 처리부(260)는 코스 구획선(132 ~ 135)에 기초하여 시험 차량(M)이 운전면허 시험코스에 따른 코스 경계를 벗어났는지 여부를 식별하고 그에 따른 개별 채점, 예컨대 감점 이벤트를 처리한다.The scoring event processing unit 260 identifies whether the test vehicle M is out of the course boundary according to the driving license test course based on the course partition lines 132 to 135 and processes individual scoring corresponding thereto, for example, a scoring event.

자동채점 제어부(270)는 구간인식 표식(131)에 기초하여 시험코스를 식별하고, 해당 시험코스에 대한 미션 수행이 완료되었을 때 채점이벤트 처리부(260)의 개별 채점 결과를 취합하여 그 식별된 시험코스에 대한 자동채점을 처리한다. 또한, 자동채점 제어부(270)는 AVM 영상(115)으로부터 시험코스에서 시험 차량(M)의 위치를 식별하고 그에 따른 요구사항과 차량 센서(105)의 센싱 입력을 대비한 결과를 시험코스 채점에 반영한다. 예를 들어, 주차레버를 풀고 안전벨트를 체결하는 것은 시험코스의 초기에 실시해야 하고, 방향지시등 조작도 해당 지점에서 이루어져야 하므로 센서 입력을 채점에 반영할 때 시험 차량(M)의 위치를 식별할 필요가 있다.
The automatic grading control unit 270 identifies the test course based on the interval recognition mark 131 and collects the individual grading results of the grading event processing unit 260 when the mission execution for the corresponding test course is completed, Handles automatic grading for the course. In addition, the automatic grading control unit 270 identifies the position of the test vehicle M on the test course from the AVM image 115 and compares the result of the comparison with the requirement of the sensed input of the vehicle sensor 105, Reflect. For example, unlocking the parking lever and fastening the seatbelt must be performed at the beginning of the test course, and the turn signal lamp should also be operated at the corresponding point, so that the position of the test vehicle (M) There is a need.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어라운드뷰 영상(115)에 기초하여 운전면허 자동채점를 구현하는 전체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서 자동채점 제어기(200)가 AVM 영상(115)에 기초하여 운전면허 자동채점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7 is a flowchart showing the entire process of implementing driving license automatic scoring based on the surround view image 115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운전면허 자동채점의 전체 프로세스를 살펴본다.First, referring to FIG. 7, the overall process of automatic driver's license sco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단계 (S110) : 자동채점 제어기(200)가 운전면허 시험코스에 대한 구분 체크마크(131 ~ 135)의 식별 정보를 저장한다. 운전면허 시험장의 각 시험코스에 표시되어 있는 구간인식 표식(131)과 코스 구획선(132 ~ 135)이 AVM 영상(115)에 나타나면 인식해야 하므로 자동채점 제어기(200)는 구분 체크마크(131 ~ 135)의 식별 정보를 저장한다.Step S110: The automatic grading controller 200 stor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ivision check marks 131 to 135 for the driving license test course. The automatic grading controller 200 must recognize the segment recognition marks 131 and the course segment lines 132 to 135 on the AVM image 115 displayed on each test course of the driving license examination center so that the division check marks 131 to 135 ). ≪ / RTI >

단계 (S120) : AVM 영상처리기(100)가 시험 차량(M)에 설치된 복수의 카메라(101 내지 104)로부터 획득한 촬영 영상을 영상처리함으로써 시험 차량(M)에 대한 주변 모습을 나타내는 AVM 영상(115)을 생성한다. AVM 영상처리기(100)는 AVM 영상(115)을 자동채점 제어기(200)로 제공한다.Step S120: The AVM image processor 100 performs image processing of the photographed image obtained from the plurality of cameras 101 to 104 provided in the test vehicle M, thereby generating an AVM image 115). The AVM image processor 100 provides the AVM image 115 to the automatic scoring controller 200.

단계 (S130) : 자동채점 제어기(200)가 시험 차량(M)에 설치된 복수 개의 차량 센서(105)로부터 센싱 입력을 제공받는다. 운전면허 시험을 보조하기 위해서 시험 차량(M)에는 주차레버 조작, 가속 정도, 핸들조작, 방향지시등 조작, 안전벨트 체결 여부 등을 감지하기 위한 차량 센서(105)가 설치되어 있는데, 자동채점 제어기(200)는 이들 차량 센서(105)로부터 센싱 입력을 제공받는다.Step S130: The automatic grading controller 200 receives a sensing input from a plurality of vehicle sensors 105 installed on the test vehicle M. In order to assist the driver's license test, the test vehicle M is provided with a vehicle sensor 105 for detecting the operation of the parking lever, the degree of acceleration, the operation of the handle, the operation of the turn signal lamp, 200 are provided with sensing inputs from these vehicle sensors 105.

단계 (S140) : 자동채점 제어기(200)가 구분 체크마크(131 ~ 135)의 식별 정보에 기초한 AVM 영상(115)의 분석 결과 및 센싱 입력을 반영하여 운전면허 시험의 자동채점을 수행한다. 단계 (S140)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 대해서는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Step S 140: The automatic grading controller 200 performs the automatic grading of the driving license test reflecting the analysis result of the AVM image 115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ivision check marks 131 to 135 and the sensing input. A specific embodiment of step S140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다음으로,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자동채점 제어기(200)가 수행하는 자동채점 과정의 일 실시예를 살펴본다.Next, an automatic scoring process performed by the automatic scoring controller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단계 (S141) : AVM 영상(115)에서 구간인식 표식(131)을 식별하여 시험코스를 식별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운전면허 시험장에서 시험코스를 구분하기 위해 구간인식 표식(131), 예컨대 "T1"이 표시되어 있는데, 자동채점 제어기(200)는 AVM 영상(115)으로부터 구간인식 표식(131)을 식별한다. 구간인식 표식(131)을 식별함에 따라 자동채점 제어기(200)는 해당 시험코스를 판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해당 시험코스에 대한 시험이 개시됨을 식별할 수 있다.Step S141: The AVM video 115 identifies the section recognition mark 131 to identify the test course. 5, a section recognition flag 131, for example, "T1" is displayed in order to distinguish the test course from the driving license examination center. The automatic grading controller 200 receives the interval recognition mark 131). By identifying the interval recognition tag 131, the autograghing controller 200 can determine the corresponding test course and, preferably, identify that the test for that test course is initiated.

단계 (S142) : AVM 영상(115)에서 코스 구획선(132 ~ 135)을 식별하여 시험 차량(M)이 운전면허 시험코스에 따른 코스 경계를 벗어났는지 여부를 식별하고 그에 따른 채점을 처리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시험 차량(M)이 운전면허 시험코스에 따른 미션을 수행하면서 코스 경계를 벗어났는지 여부를 식별하기 위해 코스 구획선(132 ~ 135)이 표시되어 있는데, 자동채점 제어기(200)는 AVM 영상(115)으로부터 코스 구획선(132 ~ 135)을 식별한다. 코스 구획선(132 ~ 135)의 식별 결과에 따라 시험 차량(M)이 코스 경계를 벗어났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고, 그에 따른 개별 채점(예: 감점) 이벤트를 처리할 수 있다.Step S142: The course partition lines 132 to 135 are identified in the AVM image 115 to identify whether or not the test vehicle M is out of the course boundary according to the driving license test course and process the score accordingly. 5, the course partition lines 132 to 135 are displayed in order to identify whether the test vehicle M is out of the course boundary while performing the mission according to the driving license test course, and the automatic score controller 200 Identifies the course partition lines 132 to 135 from the AVM image 115. [ It is possible to identify whether or not the test vehicle M has departed from the course boundary according to the identification result of the course partition lines 132 to 135 and to process individual scoring (e.g., scoring) events accordingly.

단계 (S143) : AVM 영상(115)으로부터 시험코스에서 시험 차량(M)의 위치를 식별하고 그에 따른 요구사항과 차량 센서(105)의 센싱 입력을 대비하여 감점 여부 또는 긴급 탈락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정보를 생성한다.Step S143: The AVM image 115 is used to identify the position of the test vehicle M on the test course and to compare the requirement with the sensed input of the vehicle sensor 105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deduction or an emergency dropout Information.

단계 (S144) : 해당 시험코스에 대한 미션 수행이 완료됨에 따라 자동채점 제어기(200)는 개별 채점 결과 및 대비 결과를 취합하여 해당 시험코스에 대한 자동채점을 처리한다.
Step S144: As the mission execution for the test course is completed, the automatic scoring controller 200 collects the individual scoring result and the contrast result to process the automatic scoring for the corresponding test course.

한편, 본 발명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의 형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기록매체는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하는데, 예컨대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고 캐리어웨이브(예: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기록매체는 네트워크 상에서 분산된 방식으로 프로그램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computer-readable code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recording medium may be any type of recording device readable by a computer such as a ROM, a RAM, a CD-ROM, a magnetic tape, a floppy disk, an optical data storage device, ). ≪ / RTI > Also, the recording medium may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fashion on a network.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의 용어가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가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As described abov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and although specific terms have been used, they have been used only in a general sense to easily describe the technical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It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는 일반적인 운전면허 시험을 가정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기술하였으나, 기술의 발전에 따라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구현의 형태는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최근 주목받고 있는 무인자동차를 예로 들면, 무인자동차의 주행 알고리즘이 적정하게 구현되었는지 여부를 검사하기 위한 테스트를 운전면허 실기 시험과 비슷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무인자동차의 적정성 테스트를 AVM 영상에 기초하여 구현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기존의 운전면허 시험의 형식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하게 구현 가능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For example, althoug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assumption of a general driver's license test,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developed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the technology. For example, in the case of an unmanned automobile, which has recently attracted attention, a test for checking whether the running algorithm of an unmanned vehicle has been properly implemented can be configured in a form similar to a driver's license te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adequacy test of an unmanned vehicle can be implemented based on an AVM image. Thus,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to be variously implementable without being limited to the form of the existing driver's license test.

100 : AVM 영상처리기
101 ~ 104 : 카메라
105 : 차량 센서
111 ~ 114 : 촬영 영상
115 : AVM 영상
131 : 구간인식 표식
121, 132 ~ 135 : 코스 구획선
200 : 자동채점 제어기
210 : AVM 수신부
220 : 차량센서 수신부
230 : 체크마크 저장부
240 : 구간표식 식별부
250 : 구획선 식별부
260 : 채점이벤트 처리부
270 : 자동채점 제어부
300 : 채점 모니터
400 : 채점관리 컴퓨터
100: AVM image processor
101 ~ 104: Camera
105: Vehicle sensor
111 ~ 114: Photographed video
115: AVM video
131: interval recognition mark
121, 132 to 135: course partition line
200: Automatic scoring controller
210: AVM receiver
220: vehicle sensor receiver
230: Checkmark storage unit
240: section marker identification unit
250:
260: Scoring event processor
270: automatic grading control section
300: Scoring monitor
400: Scoring management computer

Claims (8)

시험 차량에 설치된 복수의 카메라로부터 획득한 촬영 영상을 영상처리함으로써 시험 차량에 대한 AVM 영상을 생성하는 AVM 영상처리기(100);
운전면허 시험코스에 대한 구분 체크마크의 식별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구분 체크마크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AVM 영상을 분석함으로써 운전면허 시험의 자동채점을 수행하는 자동채점 제어기(2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어라운드뷰 영상을 이용한 운전면허 자동채점 시스템.
An AVM image processor (100) for generating an AVM image for a test vehicle by image processing a photographed image acquired from a plurality of cameras installed on a test vehicle;
An automatic scoring controller (200) for stor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division check mark for a driver's license test course and analyzing the AVM image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ivision check mark to perform automatic scoring of a driver's license test;
A driver 's license auto - scoring system using an auroral view imag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동채점 제어기(200)는,
상기 AVM 영상처리기로부터 시험 차량에 대한 AVM 영상을 수신하는 AVM 수신부(210);
운전면허 시험코스에 대한 구간인식 표식 및 코스 구획선을 포함하는 구분 체크마크의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체크마크 저장부(230);
상기 AVM 영상에서 상기 구간인식 표식을 식별하는 구간표식 식별부(240);
상기 AVM 영상에서 상기 코스 구획선을 식별하는 구획선 식별부(250);
상기 코스 구획선에 기초하여 시험 차량이 운전면허 시험코스에 따른 코스 경계를 벗어났는지 여부를 식별하고 그에 따른 개별 채점을 처리하는 채점이벤트 처리부(260);
상기 구간인식 표식에 기초하여 시험코스를 식별하고 상기 채점이벤트 처리부의 개별 채점 결과를 취합하여 상기 식별된 시험코스에 대한 자동채점을 처리하는 자동채점 제어부(27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라운드뷰 영상을 이용한 운전면허 자동채점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utomatic grading controller (200)
An AVM receiver 210 for receiving an AVM image for a test vehicle from the AVM image processor;
A check mark storage unit 230 for stor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division check mark including a section recognition mark and a course partition line for the driver's license test course;
An interval marker identifying unit 240 for identifying the interval marker in the AVM image;
A partition line identification unit (250) for identifying the course partition line in the AVM image;
A scoring event processing unit (260) for identifying whether the test vehicle is out of the course boundary according to the driving license test course based on the course partition line and processing individual scoring corresponding thereto;
An automatic grading control unit (270) for identifying a test course based on the segment recognition mark and collecting individual grading results of the grading event processing unit to process an automatic grading for the identified test course;
And a driving license automatic scoring system using the surround view imag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자동채점 제어기(200)는,
시험 차량에 설치된 복수 개의 차량 센서로부터 센서 입력을 수신하는 차량센서 수신부(22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자동채점 제어부(270)는 상기 AVM 영상으로부터 상기 시험코스에서 시험 차량의 위치를 식별하고 그에 따른 요구사항과 상기 차량 센서의 센싱 입력을 대비한 결과를 상기 시험코스 채점에 반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라운드뷰 영상을 이용한 운전면허 자동채점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The automatic grading controller (200)
A vehicle sensor receiver 220 for receiving sensor inputs from a plurality of vehicle sensors installed on a test vehicle;
Further comprising:
The automatic grading control unit 270 identifies the position of the test vehicle in the test course from the AVM image and reflects the result of comparing the requirement with the sensing input of the vehicle sensor in the test course scoring Driver's License Scoring System Using Around View Image.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자동채점 제어기에 의한 자동채점 결과를 디스플레이 표시하는 채점 모니터(300);
상기 자동채점 제어기에 의한 자동채점 결과를 무선으로 수신하여 시험 차량의 시험진행 상태를 실시간 모니터링하기 위한 통제실의 채점관리 컴퓨터(40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라운드뷰 영상을 이용한 운전면허 자동채점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A scoring monitor (300) for displaying an automatic scoring result by the automatic scoring controller;
A scoring management computer (400) of a control room for wirelessly receiving an automatic scoring result by the automatic scoring controller and real-time monitoring of a test progress status of the test vehicle;
And a driving license automatic scoring system using the surround view image.
운전면허 시험코스에 대한 구분 체크마크의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제 1 단계;
시험 차량에 설치된 복수의 카메라로부터 획득한 촬영 영상을 영상처리함으로써 시험 차량 주변의 AVM 영상을 생성하는 제 2 단계;
상기 구분 체크마크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AVM 영상을 분석함으로써 운전면허 시험의 자동채점을 수행하는 제 3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어라운드뷰 영상을 이용한 운전면허 자동채점 방법.
A first step of stor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division check mark for a driver's license test course;
A second step of generating an AVM image around the test vehicle by image processing an image captured from a plurality of cameras installed on the test vehicle;
A third step of performing automatic scoring of the driver's license test by analyzing the AVM image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ivision check mark;
A driver's license auto-scoring method using an arousal view image including a driver's license.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구분 체크마크는 운전면허 시험코스에 대한 구간인식 표식 및 코스 구획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AVM 영상에서 구간인식 표식을 식별하여 시험코스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AVM 영상에서 코스 구획선을 식별하여 시험 차량이 상기 운전면허 시험코스에 따른 코스 경계를 벗어났는지 여부를 식별하고 그에 따른 개별 채점을 처리하는 단계;
상기 개별 채점 결과를 취합하여 상기 식별된 시험코스에 대한 자동채점을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라운드뷰 영상을 이용한 운전면허 자동채점 방법.
The method of claim 5,
The division check mark includes an interval recognition mark and a course partition line for the driving license test course,
In the third step,
Identifying a test course by identifying an interval recognition mark on the AVM image;
Identifying a course segment line in the AVM image to identify whether the test vehicle is out of the course boundary according to the driving license test course and processing the individual scoring corresponding thereto;
Collecting the individual scoring results to process the automatic scoring for the identified test course;
The method of claim 1 or 2,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 이후에 수행되고 상기 제 3 단계 이전에 수행되는,
시험 차량에 설치된 복수 개의 차량 센서로부터 센싱 입력을 제공받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AVM 영상으로부터 상기 시험코스에서 시험 차량의 위치를 식별하고 그에 따른 요구사항과 상기 차량 센서의 센싱 입력을 대비한 결과를 상기 시험코스 채점에 반영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라운드뷰 영상을 이용한 운전면허 자동채점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Receiving a sensing input from a plurality of vehicle sensors installed on a test vehicle;
Further comprising:
In the third step,
Identifying a location of the test vehicle on the test course from the AVM image and reflecting the result of comparing the requirement with the sensing input of the vehicle sensor in the test course scoring;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steps of:
컴퓨터에 청구항 5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어라운드뷰 영상을 이용한 운전면허 자동채점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causing a computer to execute a driving license automatic scoring method using an approach view imag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5 to 7.
KR1020140155147A 2014-11-10 2014-11-10 Automatic scoring system for course test of driving license test using around-view monitering video, and method for the same KR10164410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5147A KR101644109B1 (en) 2014-11-10 2014-11-10 Automatic scoring system for course test of driving license test using around-view monitering video, and method for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5147A KR101644109B1 (en) 2014-11-10 2014-11-10 Automatic scoring system for course test of driving license test using around-view monitering video, and method for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5413A true KR20160055413A (en) 2016-05-18
KR101644109B1 KR101644109B1 (en) 2016-07-29

Family

ID=56113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5147A KR101644109B1 (en) 2014-11-10 2014-11-10 Automatic scoring system for course test of driving license test using around-view monitering video, and method for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4109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24635A (en) * 2016-08-01 2017-01-11 广州展讯信息科技有限公司 Satellite navigation positioning-based vehicle straight running detection method and device
CN108648490A (en) * 2018-07-03 2018-10-12 公安部交通管理科学研究所 A kind of test method of autonomous driving vehicle speed-limiting messages responding ability
KR20180126879A (en) * 2017-05-18 2018-11-28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System for Measuring a Position of a Vehicle
WO2021045446A1 (en) * 2019-09-04 2021-03-11 (주)네오정보시스템 Vehicle control device for driver's license tes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04373A (en) * 2005-10-05 2007-04-19 Alpine Electronics Inc On-vehicle image displaying device
JP2010269656A (en) * 2009-05-20 2010-12-02 Toyota Industries Corp Parking assist device
KR20130082874A (en) * 2011-12-21 2013-07-22 (주)네오정보시스템 Support system for road drive test and support method for road drive test usgin the same
KR20140052132A (en) * 2012-10-19 2014-05-07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onic scoring road-driving test by using image informa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04373A (en) * 2005-10-05 2007-04-19 Alpine Electronics Inc On-vehicle image displaying device
JP2010269656A (en) * 2009-05-20 2010-12-02 Toyota Industries Corp Parking assist device
KR20130082874A (en) * 2011-12-21 2013-07-22 (주)네오정보시스템 Support system for road drive test and support method for road drive test usgin the same
KR20140052132A (en) * 2012-10-19 2014-05-07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onic scoring road-driving test by using image information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삭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24635A (en) * 2016-08-01 2017-01-11 广州展讯信息科技有限公司 Satellite navigation positioning-based vehicle straight running detection method and device
KR20180126879A (en) * 2017-05-18 2018-11-28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System for Measuring a Position of a Vehicle
CN108648490A (en) * 2018-07-03 2018-10-12 公安部交通管理科学研究所 A kind of test method of autonomous driving vehicle speed-limiting messages responding ability
CN108648490B (en) * 2018-07-03 2021-09-17 公安部交通管理科学研究所 Method for testing speed limit information response capability of automatic driving automobile
WO2021045446A1 (en) * 2019-09-04 2021-03-11 (주)네오정보시스템 Vehicle control device for driver's license test
KR20210028436A (en) * 2019-09-04 2021-03-12 (주)네오정보시스템 Vehicle monitoring system for driving license tes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4109B1 (en) 2016-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64783B2 (en) Object detection device
US11062437B2 (en) Method for monitoring damage to motor vehicles
JP5901779B2 (en) How to move data from image database map service into assist system
CN107545232A (en) Track detection system and method
CN110861639A (en) Parking information fusion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WO2020098286A1 (en) Lane line detection method and device
RU2742213C1 (en) Method to control information on lanes, method of traffic control and device for control of information on lanes
CN107797118A (en) Trailer identification and blind area adjustment based on camera
US8605949B2 (en) Vehicle-based imaging system function diagnosis and validation
US9990376B2 (en) Methods for identifying a vehicle from captured image data
KR101644109B1 (en) Automatic scoring system for course test of driving license test using around-view monitering video, and method for the same
US20150266509A1 (en) Object detection during vehicle parking
CN109425343A (en) This truck position apparatus for predicting
CN102646274B (en) Lane boundary detecting device and lane boundary detecting method
WO2020022042A1 (en) Deterioration diagnosis device, deterioration diagnosis system, deterioration diagnosis method, and storage medium for storing program
CN102915532A (en) Method of determining extrinsic parameters of a vehicle vision system and vehicle vision system
JP5656547B2 (en) Intersection traffic flow measuring device
JP6431204B2 (en) State prediction apparatus and state prediction method
JP2009123182A (en) Safety confirmation determination device and driving teaching support system
CN107957258A (en) Pavement marker identification device
GB2549654A (en) Information presentation system for evaluating billing location
WO2019073024A1 (en) Lane sensing method
JP2018097398A (en) Sight line estimation system
CN113743312B (en) Image correction method and device based on vehicle-mounted terminal
KR102106029B1 (en) Method and system for improving signage detection perform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5

Year of fee payment: 4